KR102616682B1 -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mesh type ch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mesh type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682B1
KR102616682B1 KR1020230104556A KR20230104556A KR102616682B1 KR 102616682 B1 KR102616682 B1 KR 102616682B1 KR 1020230104556 A KR1020230104556 A KR 1020230104556A KR 20230104556 A KR20230104556 A KR 20230104556A KR 102616682 B1 KR102616682 B1 KR 10261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support
horizontal direction
protrusion
mov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영포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영포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영포맥스
Priority to KR102023010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6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패드 등을 포함하는 패드유닛;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슬롯이 구비되는 몸체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유닛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외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버노브; 상기 레버노브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전면이 상기 돌출레일과 대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무빙가이드; 및 상기 무빙가이드의 후면과 대접한 상태에서 상기 무빙가이드의 이동을 가이딩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이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unit including a support pad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main frame including a body frame provided with a guide slot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hysically supporting the pad unit; a lever knob that slides along the guide slot by external force; a moving guide that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lever knob and moves along the protruding rail with its front face facing the protruding rail; And a guiding unit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guide while facing the rear of the moving guide and is provided inside the body frame.

Description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MESH TYPE CHAIR}Device for adjusting the support part of a mesh chair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MESH TYPE CHAIR}

본 발명은 메쉬형 의자에 장착되는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착탈식 결합 구조를 통하여 장치 확장성을 높임은 물론, 착석자의 후방부위의 지지 위치를 인체공학적 구조에 의하여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justment device mounted on a mesh-type chair,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that not only increases the expandability of the device through a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but also allows the support posi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seated person to be conveniently adjusted through an ergonomic structure. It's about devices.

메쉬형 의자(Mesh type Chair)는 착석자의 후면을 지지하는 구성을 통기성이 좋은 천, 직물의 시트로 구현한 의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메쉬형 의자는 통풍이 원활하고 독자적인 미감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어 근래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A mesh type chair refers to a chair that supports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with a seat made of highly breathable fabric or fabric. These mesh-type chair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well-ventilated and able to create unique aesthetics, so their use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이러한 메쉬형 의자는 등판 지지가 플라스틱 등의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다른 일반 의자와는 달리 직물시트의 텐션(tension)에 의하여 착석자의 후방이 지지되므로 직물시트가 등판프레임에 강하게 고정된다고 하여도 직물 시트의 본질적인 특성상 플라스틱, 목재, 스틸 등의 구조물에 상응하는 강한 지지력이 착석자의 후방에 전달되는데에는 일부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These mesh-type chairs, unlike other general chairs in which the back support is made of plastic or other structures, support the rear of the seated person by the tension of the fabric seat, so even if the fabric seat is strongly fixed to the back frame, the essential nature of the fabric seat is not maintained. Due to its characteristics,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ransmitting the strong support force corresponding to structures such as plastic, wood, and steel to the rear of the seated person.

메쉬형 의자의 이러한 일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착석자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포함된 형태의 의자가 개시되고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some of these shortcomings of mesh-type chairs, chairs including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rear of the seated person are being disclosed.

그러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4195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의자들은 상당히 복잡한 구성을 가지는 장치 내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쉽게 이용하기 어려우며, 복잡한 제조·조립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공정 효율성이 낮음은 물론, 가격 경쟁력도 상당히 낮다고 할 수 있다.Howeve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41957, etc., these conventional chairs are made up of devices or structures with a fairly complex configuration, making them difficult for users to use, and require complex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es, resulting in low process efficiency. Of course, price competitiveness can also be said to be quite low.

또한, 이러한 종래 의자들은 의자 전체 내지 등판프레임 전체의 새로운 구조적 변화가 적용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일반적인 메쉬형 의자를 그대로 활용할 수 없다는 장치 확장성 측면의 한계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se conventional chairs are made with new structural changes applied to the entire chair or the entire back frame,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device expandability in that a general mesh-type chair cannot be used as i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41957호(2006.10.2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41957 (October 26, 2006)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537호(2013.10.11.)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9537 (2013.1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적 적용만으로도 메쉬형 의자의 지지 부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 메쉬형 의자의 구조 변화를 거의 수반하지 않는, 더욱 높은 장치 확장성을 구현할 수 있는 지지부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gainst the above background. It not only allows the support portion of a mesh-type chair to be easily and conveniently adjusted by simple structural application, but also requires little structural change in the conventional mesh-type chai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upport area adjustment device that can realize higher device expandabi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nfiguration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and the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는 등판시트가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는 메쉬형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석자의 지지 부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장치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패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패드의 후면에 구비되는 돌출레일과, 상기 돌출레일의 외측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패드유닛;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슬롯이 구비되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등판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유닛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외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버노브; 상기 레버노브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전면이 상기 돌출레일과 대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무빙가이드; 및 상기 무빙가이드의 후면과 대접한 상태에서 상기 무빙가이드의 이동을 가이딩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이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that variably adjusts the support portion of the seated person by being coupled to the back frame of a mesh-type chair in which the back seat is made of a fabric material, and is ope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ad unit including a support pad having an extended shape, a protruding rail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rovided on the rear of the support pad, and a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an outside of the protruding rail; It includes a body frame provided with a guide slot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coupling frame provided on a side of the body frame and coupled to the back frame, and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nd physically connects the pad unit. supporting mainframe; a lever knob that slides along the guide slot by external force; a moving guide that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lever knob and moves along the protruding rail with its front face facing the protruding rail;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fram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guide while facing the rear of the moving guide.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돌출레일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돌출의 정도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otruding 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degree of protrusion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돌출레일은, 상기 지지패드의 후면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the protruding r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a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되, 상기 지지패드의 탄성변형에 의한 유격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art by a fastening means,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long hole shape to allow clearance movement due to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pa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무빙가이드는, 수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 형상을 가지는 홈부레인; 상기 홈부레인보다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슬롯에 끼움결합된 상기 레버노브와 결합되는 노브결합부; 및 상기 홈부레인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ving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shape extending in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 groove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relative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groove shape that is open at the rear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knob coupling portion provided lower than the groove lane and coupled to the lever knob fitted into the guide slot; And it may include an elastic protrusion provided above the groove lane and protruding rearward.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가이딩유닛은 상기 가이드슬롯의 위치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부레인으로 진입하여 상기 홈부레인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딩레인; 상기 가이드슬롯의 위치보다 하부에 구비되며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이딩레인보다 돌출의 정도가 작고 상기 무빙가이드의 후면 하부와 대접하는 서브레인; 상기 가이딩레인의 위치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이딩레인보다 돌출의 정도가 작고, 상기 탄성돌기부와 대접하는 요철 패턴이 반복 형성되는 치합레인; 및 상기 치합레인의 위치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이딩레인보다 돌출의 정도가 작고, 상기 무빙가이드의 후면 상부와 대접하는 제2서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ui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bove the position of the guide slot, has a shape where the protrus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nters the groove lan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groove lane. guiding lane; A sub-lane provided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guide slot and having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egree of protrusion being smaller than that of the guiding lane, and facing the lower rear of the moving guide; A meshing lane provided above the position of the guiding lane, having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egree of protrusion being smaller than that of the guiding lane, and a concavo-convex pattern facing the elastic protrusion repeatedly formed; And a second sublane that is provided above the position of the joining lane, has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s a smaller degree of protrusion than the guiding lane, and faces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moving guide. can do.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몸체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guide sl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fram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버노브는, 상기 가이드슬롯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레버; 상기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슬롯을 관통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노브결합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r kno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slot; a body connected to the lever and penetrating the guide slot;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part provided at an inner end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knob coupling part.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지지패드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라운드진 형상이 수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돌출레일은, 상기 만곡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support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cen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whose rounded shape extends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protruding 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urved portion. They can be provided in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체형, 착석 습관, 피로감이 누적되는 부위 등에 따라 착석자의 후방이 지지되는 위치와 강도를 쉽고 편리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uncomplicated configuration can provide the effect of easily and conveniently changing the position and strength of support for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according to body type, sitting habits, areas where fatigue accumulates, etc.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레버노브가, 착석자의 착석 상태를 기준으로 착석자 손의 위치와 상응하도록 조절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knob configured to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eated person's hand based on the seated state, thereby further increasing user convenience. You can.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메쉬형 의자 및 등판프레임의 구조 변화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도 메쉬형 의자에 설치 내지 장착될 수 있어 장치 확장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an be installed or mounted on a mesh-type chair with little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mesh-type chair and the back frame, making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implement device expand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착석자 기준, 전후방으로 진퇴 이동하는 물리적 구조에 의한 조정과 착석자의 후방을 지지하는 패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한 조정을 상호 유기적으로 접목시킴으로써 물리적 지지의 강성과 유연성을 더욱 조화롭게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ity of physical support and the adjustmen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ad itself supporting the rear of the seated person are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adjustment by the physical structure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based on the seated person. Flexibility can be implemented more harmonious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사용자가 간단하면서도 명확하게 작동하는 메카니즘을 통하여 착석자 후방이 지지되는 부위를 더욱 용이하게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re user-oriented device can be implemented because the user can more easily and variably adjust the area where the seated person's back is supported through a simple and clearly operating mechanism.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 및 메쉬형 의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의 상세 구성과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레버노브의 이동에 의하여 지지패드가 진퇴 이동하는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빙가이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딩유닛의 구조와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later, serve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se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detail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support portion adjustment device and a mesh-type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upport portio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back frame of a chair;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upport portio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in which the support pad moves forward and backward due to the movement of the lever knob;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v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and 9 are diagrams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detailed configuration of a gu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variations may exist.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Addition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refers not only to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Includ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 및 메쉬형 의자(5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메쉬형 의자(50)의 등판프레임(51)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and the mesh-type chair 5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back frame 51 of the mesh-type chair 50. )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a.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가 적용되는 메쉬형 의자(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형 의자(50)의 등판프레임(51)에 결합되는 등판시트(52)가 직물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의자에 해당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esh-type chair 50 to which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the back seat 52 coupled to the back frame 51 of the mesh-type chair 50 made of fabric. It applies to chairs made of materials, etc.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메쉬형 의자(50)는 물리적 플레이트(가죽, 직물 등으로 커버링)가 착석자의 등판을 지지하는 의자와는 달리, 직물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등판시트(52)의 외주 부분이 등판프레임(51)에 고정된 상태에서 등판시트(52) 자체의 장력(텐션, tension)에 의하여 착석자의 후방이 지지된다.As previously described, this mesh-type chair 50 is different from a chair in which a physical plate (covered with leather, fabric, etc.) supports the seated person's back,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ack seat 52 made of a fabric material, etc. is a backrest. In a state fixed to the frame 51, the rear of the seated person is supported by the tension of the backrest sheet 52 itself.

이러한 메쉬형 의자(50)는 통기성 등에서 뛰어난 성능을 가지며 착석자의 후방을 유연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장시간 착석하는 경우 지지 부위 등에 피로감이 발생될 수 있는 일부 단점이 있을 수 있다.This mesh-type chair 50 has excellent performance in terms of breathability and the lik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lexibly support the rear of the seated person, but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some disadvantages that may cause fatigue in the support area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You can.

본 발명의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는 착석자의 후방이 직물소재로 이루어지는 등판시트(52)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메쉬형 의자(50)에 적용되는 장치로서, 물리적 지지력을 강화 내지 증강시키되, 물리적 지지가 이루어지는 부위 또는 강도 등을 유연하게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applied to a mesh-type chair 50 in which the rear of the seated person is physically supported by a back seat 52 made of a fabric material, and strengthens or enhances the physical suppor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area or intensity of physical support can be flexibly adjusted.

본 발명의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시트(52)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등판프레임(51), 구체적으로 등판프레임(51)의 사이드프레임(51a)에 간단한 결합구조(나사결합, 끼움결합 등)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등판프레임(51)이 포함되어 있다면 거의 모든 메쉬형 의자(50)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 plate frame 51 that physically supports the back seat 52, specifically the side frame 51a of the back plate frame 51. Since it is detachably coupled through a simple coupling structure (screw coupling, fitting coupling, etc.), it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almost all mesh-type chairs 50 if the back frame 51 is included.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에 도시된 축, 그 축을 지칭하는 용어 및 해당 축을 기준으로 설명되는 상부, 하부, 전방, 후방, 수직 등과 같은 방향을 의미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대적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을 뿐, 절대적 기준에서 어떤 방향이나 위치 등을 특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자명하며,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바라보는 방향(view direction) 등에 따라 상대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xis shown in the drawings, terms referring to the axis, and terms referring to directions such as upper, lower, front, rear, vertical, etc.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axis refer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hat it is only intended to present a relative standard for explanation and is not intended to specify any direction or position on an absolute standar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arget object, the location of the observer, the viewing direction, etc.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relatively different.

이하, 도면에 도시된 Z축을 상하 또는 수직 방향의 기준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와 상응하는 관점에서 Y축을 전방 또는 후방의 기준으로, X축을 좌측 또는 우측의 기준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defining the Z-axis shown in the drawing as a reference in the up-down or vertical direction, and from a corresponding perspective, the Y-axis is defined as a reference in the front or rear, and the X-axis is defined as a referenc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Let us now describ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정의된 방향 기준에 의할 때, XY평면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평면이 되며, +Y축 방향이 후방, -Y축 방향이 전방이며, +X축 방향이 좌측, -X축 방향이 우측이 된다.Based on the direction criteria defined in this way, the XY plane becomes a horizontal plan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 axis direction is rear, the -Y axis direction is front, the + This becomes the right s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인체공학적 구조 등을 구현하기 위하여 라운드진 형상, 기울어진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들 구성요소들의 방향성은 도면에 표기된 방향축의 선형성(linearity)과 절대적 기준에서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an inclined shape, etc. to implement an ergonomic structure, etc., so the directionality of these components is shown in the drawing. The linearity of the indicated direction axis may not match in absolute terms.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의 상세 구성과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레버노브(300)의 이동에 의하여 지지패드(110)가 진퇴 이동하는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요 구성과 이들의 주요한 기능 등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support pad 110 moves forward and backward due to the movement of the lever knob 300. Hereinaft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main functions will first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는 패드유닛(100), 메인프레임(200), 레버노브(300), 무빙가이드(400) 및 가이딩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d unit 100, a main frame 200, a lever knob 300, a moving guide 400, and a guiding unit 500.

본 발명의 패드유닛(100)은 등판시트(52)의 뒷쪽에서 착석자의 후방 부위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후술되는 본 발명의 고유한 메카니즘을 통하여 전후방으로(착석자 기준) 진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The pad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that physically supports the rear portion of the seated person at the back of the backrest seat 52, and is configur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based on the seated person) through the uniqu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패드유닛(100)은 지지패드(110), 돌출레일(120) 및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ad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pad 110, a protruding rail 120, and a coupling portion 130.

패드유닛(100)의 일 구성인 지지패드(110)는 등판시트(52)를 매개로 착석자의 신체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수평"??*(X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인체 구조에 부합되도록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면형상을 이루되, 후방이 돌출되는 호(arch)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Z축 기준)가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기울어진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ad 1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ad unit 100, is a component that directly supports the body of the seated person through the back seat 52 and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 (X-axis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have an overall gently curved shape to match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but an arc shape with the rear protruding, and a slanted shape in which the upper part (based on the Z axis) protrudes relatively forward than the lower part. It is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본 발명의 돌출레일(120)은 상기 지지패드(110)의 후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Y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레일(120)은 착석자에 대한 인체공학적 지지가 구현되도록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돌출의 정도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ruding rail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support pad 110, and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rearward (in the Y-axis direction) and extends horizontally, as shown in the drawing.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otruding rail 1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egree of protrusion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bas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ovide ergonomic support for the seated person. .

패드유닛(100)의 일 구성인 결합부(130)는 돌출레일(120)의 외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나사 등과 같은 제1체결수단(F1)에 의하여 후술되는 메인프레임(200)과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에 해당한다.The coupling portion 13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ad unit 10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rotruding rail 120 and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main fram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a first fastening means (F1) such as a screw. It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의 일 구성인 메인프레임(200)은 상술된 패드유닛(100)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등판프레임(51), 구체적으로 등판프레임(51)의 사이드프레임(51a)에 결합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패드유닛(100)은 이동체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200)은 패드유닛(100)의 이동을 지지하는 상대적 고정체에 해당한다.The main frame 20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is a component that physically supports the pad unit 100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the back frame 51, specifically the side frame 51a of the back frame 51. ) is combined with. In this respect, the pad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moving body, and the main fram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relative fixed body that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pad unit 1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200)은 몸체프레임(210), 결합프레임(220) 및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fram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frame 210, a coupling frame 220, and a connection portion 230.

상기 몸체프레임(210)은 메인프레임(200)의 바디에 해당하는 프레임으로서, 메인프레임(20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X축 방향과 대응)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슬롯(211)이 구비된다.The body frame 210 is a frame corresponding to the body of the main frame 200, and the main frame 200 includes a guide slot (corresponding to the X-axis direction)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X-axis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211) is provided.

본 발명의 결합프레임(220)은 몸체프레임(21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등판프레임(51)의 사이드프레임(51a)에 결합된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20)은 사이드프레임(51a)과의 결합력 및 물리적 지지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이드프레임(51a)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도록 수직 방향(Z축방향과 대응)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frame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210 and is coupled to the side frame 51a of the back frame 51 in a detachable manner.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coupling frame 220 is aligned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Z-axis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de frame 51a in order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and physical support with the side frame 51a. It may have an elongated shape.

메인프레임(200)의 연결부(230)는 앞서 설명된 패드유닛(100)의 결합부(130)와 제1체결수단(F1) 등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부(130)와 연결부(230)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패드유닛(100)이 메인프레임(200)에 결합된다. The connection portion 230 of the main frame 200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30 of the pad unit 100 described above by the first fastening means (F1). The pad unit 10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200 by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1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0.

나아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패드유닛(100)의 지지패드(110)가 전후방으로 진퇴이동하는 경우, 연결부(230)와 결합부(130)가 결합되는 지점은 지지패드(110)의 진퇴이동에 대한 고정점 내지 지지패드(110)의 형상 변형에 대한 기준점으로 기능한다.Furtherm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upport pad 110 of the pad unit 100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point where the connection portion 230 and the coupling portion 130 are coupled is fixe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upport pad 110. It functions as a reference point for shape deformation of the point or support pad 110.

본 발명의 레버노브(300)는 사용자(착석자 등)에 의한 작동력이 가해지는 구성으로서, 몸체프레임(21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2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슬롯(211)에 끼움 결합된다.The lever knob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n operating force is applied by the user (seated person, etc.), and is fitted into the guide slot 211 formed in the body frame 210 to enable sliding movement. .

레버노브(300)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직접 작용하는 구성이므로 가이드슬롯(211)이 제공하는 장공을 따라 더욱 쉽고 유연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일종의 손잡이 형상으로 구현되되,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lever knob 300 is a structure on which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user is directly applied, it is implemented as a kind of handle shape so that it can slide more easily and flexibly along the long hole provided by the guide slot 211,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hape that protrudes rearward. It is desirable to be

본 발명의 무빙가이드(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유닛(100)과 메인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상술된 레버노브(3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레버노브(300)가 가이드슬롯(211)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레버노브(300)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The moving guid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pad unit 100 and the main frame 20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lever knob 300 described above to form the lever knob 300. When moving along the guide slot 211, it is configured to move together with the lever knob 300.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무빙가이드(400)는 제2체결수단(F2) 등을 통하여 레버노브(300)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oving guide 400 may be physically coupled to the lever knob 300 through a second fastening means (F2) or the lik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빙가이드(400)는 그 전면(도면 기준 -Y축 방향)이 지지패드(110)의 후면에 형성된 돌출레일(120)과 대접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ving guid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its front (in the -Y-axis direction based on the drawing) faces the protruding rail 120 formed on the rear of the support pad 110.

이러한 구조적 관계에 의하여 레버노브(300)가 가이드슬롯(211)을 따라 이동하면 가이드슬롯(211)을 따라 이동하는 레버노브(300)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돌출레일(120)과 대접한 무빙가이드(400)가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무빙가이드(400)의 이동에 의하여 무빙가이드(400)가 대접하는 돌출레일(120)의 위치가 가변된다.Due to this structural relationship, when the lever knob 300 moves along the guide slot 211, it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lever knob 300 moving along the guide slot 211, and a moving guide ( 400 moves, and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rail 120 that the moving guide 400 faces chang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guide 40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레일(120)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돌출의 정도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무빙가이드(400)의 후방에 위치한 메인프레임(200)은 등판프레임(51)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otruding rail 120 has a shape in which the degree of protrusion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the main frame 200 located at the rear of the moving guide 400 is the back frame 51.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d maintain its position.

그러므로 이와 같이 무빙가이드(400)가 대접하는 즉, 무빙가이드(400)가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돌출레일(120)의 위치가 가변 내지 조정되면(도 6(a)의 화살표 방향),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가이드(400)의 전방에 위치한 지지패드(110)가 무빙가이드(400)의 이동 위치 변화에 상응하는 만큼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if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rail 120 that the moving guide 400 supports in this way is variable or adjus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a)), FIG. 6(b) ), the support pad 110 located in front of the moving guide 400 naturally moves forward in proportion to the change in the moving position of the moving guide 400.

이와 같이 지지패드(1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착석자와 대접하는 부위의 위치와 강도가 자연스럽게 변화 및 조정되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support pad 110 moves forward, the position and strength of the area facing the seated person are naturally changed and adjusted.

좌측과 우측의 지지부위가 독립적으로 그리고 조합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레일(120)은 지지패드(110)의 후면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so that the left and right support portions can be adjusted independently and in combination, a plurality of protruding rails 120 are provided at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pad 110. It is desirable.

한편, 지지패드(110)는, 수평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라운드진 형상이 수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pad 110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115 that is formed in the cen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has a rounde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물리적 지지를 위한 별도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지지패드(110)의 가운데 부분의 탄성저항력 내지 강성을 증강시킬 수 있어 지지패드(110)의 좌우측 각각에 대한 지지부위 변화를 더욱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장공 형상의 결합부(130)에 의해 유도되는 지지패드(110)의 유격 이동에 따른 탄성 및 휘어짐 특성 변화 또한, 좌우측에서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implementation configuration, the elastic resistance or rigidity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pad 110 can be increased without adding a separate component for physical support, so that changes in the support area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ad 110 can be made more independently. It can be implemented as, and furthermore, changes in elasticity and bending characteristics due to the clearance movement of the support pad 110 induced by the long hole-shaped coupling part 130 can also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이와 같이 지지패드(110)의 가운데 부분에 만곡부(115)가 형성되는 경우, 돌출레일(120)은 상기 만곡부(115)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각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when the curved portion 11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ad 110, the protruding rail 12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rved portion 115, respectively.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패드(110)는, 제1체결수단(F1)에 의하여 결합부(130)와 연결부(230)가 결합됨으로써 메인프레임(200), 구체적으로 몸체프레임(210)에 결합된다.As previously described, the support pad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200, specifically the body frame 210, by coupling the coupling portion 1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0 by the first fastening means (F1). is combined with

이 때, 도면(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드(110)에 구비되되, 돌출레일(1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제1체결수단(F1)이 결합되는 결합부(13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s (FIG. 5, etc.), the coupling portion 130, which is provided on the support pad 110 and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rotruding rail 120 and to which the first fastening means F1 is coupled, is horizontal. It is preferable to be implemented in a long hole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빙가이드(400)가 내측으로 이동하면(도 6(a)의 화살표 방향), 지지패드(11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결합부(130)가 연결부(230)에 고정되는 경우, 지지패드(110)의 외측 부분 즉, 결합부(130)가 구비된 부위에 응력(스트레스)이 집중되어 내구성이 약화되거나 크랙 또는 파손 등이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ving guide 400 moves i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a)), the support pad 110 moves forward, and 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30. ),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outer part of the support pad 110, that is, the area where the coupling portion 130 is provided, which may weaken durability or cause cracks or damage.

이와 같이 결합부(130)가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패드(110)가 전후방으로 진퇴이동함에 따라 지지패드(110)의 외측 부분에서 유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어 응력 집중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oupling portion 1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as the support pad 110 moves forward and backward, a clearance movement can be induced in the outer part of the support pad 110, thereby eliminating problems such as stress concentration. It can be dispersed effectively.

또한, 이와 같이 결합부(130)가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패드(110)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지지패드(110)의 고정 위치가 결합부(130)의 장공이 제공하는 공간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패드(110)의 탄성력에 의한 휘어짐 특성이 조정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물리적 지지의 강성과 유연성 모두를 동시에 조화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portion 1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the fixed position of the support pad 110 is variable within the spatial range provided by the long hole of the coupling portion 130 as the support pad 110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is can lead to adjustment of the bending characteristic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pad 110, making it possible to harmoniously adjust both the rigidity and flexibility of the physical support at the same time.

실시형태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부위 조절장치(1000)는, 메인프레임(200)의 일 구성인 몸체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이딩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ing unit 500 provided inside the body frame 2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main frame 200. It can be included.

상기 가이딩유닛(500)은 무빙가이드(400)의 후면과 대접한 상태에서 무빙가이드(400)의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그리고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무빙가이드(400)를 가이딩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guiding unit 500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ing guide 400 so that the moving guide 400 moves more stably and clearly while facing the rear of the moving guide 400.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빙가이드(4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딩유닛(500)의 구조와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ving guid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8 and 9 illustrate the structure and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uid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explainin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빙가이드(400)는 몸체부(410), 홈부레인(420), 노부결합부(430) 및 탄성돌기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7, the moving guid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portion 410, a groove lane 420, a paddle coupling portion 430, and an elastic protrusion portion 440.

상기 몸체부(410)는 무빙가이드(400)의 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 길이 방향(Z축 기준)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410)의 전면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출레일(120)과 대접하며, 몸체부(410)의 후면은 이하 설명되는 가이딩유닛(500)과 대접한다.The body portion 410 forms the main body of the moving guide 400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Z axis)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front of the body 410 faces the protruding rail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ar of the body 410 faces the guiding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몸체부(410)의 가운데 부분(수직 길이 방향 기준)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 개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 형상을 가지는 홈부레인(420)이 구비되며, 그 하부에는 가이드슬롯(211)에 끼움 결합되는 레버노브(300)와 제2체결수단(F2) 등에 의하여 결합되는 노부결합부(430)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entral portion (based o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410 is provided with a groove lane 420 having a groove shape that is open at the rear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guide slot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10. A lever knob 300 fitted into (211) and a lever coupling portion 430 coupled by a second fastening means (F2) are provided.

또한, 무빙가이드(400)는, 몸체부(410)의 후면부에 구비되되, 홈부레인(420)의 위치보다 상부(Z축 기준)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탄성돌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guide 400 is provid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10, and is provided above the position of the groove lane 420 (based on the Z axis) and includes an elastic protrusion 440 having a shape that protrudes rearward. may include.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 등을 참조하여 상기 무빙가이드(400)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는 본 발명의 가이딩유닛(500)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기능 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uiding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moving guide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딩유닛(500)은 무빙가이드(400)의 후면과 대접하는 구성으로서 무빙가이드(400)의 이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딩함과 동시에 무빙가이드(400)의 동작 관계가 더욱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구성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ing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ace the rear of the moving guide 40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guide 400 more stably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moving guide 400. It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leads to more clarity.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가이딩유닛(500)은 가이딩레인(510), 서브레인(520), 치합레인(530) 및 제2서브레인(5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구성들은 모두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위 선반(shelf)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모두 메인프레임(200)의 일 구성인 몸체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전방 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guiding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ing lane 510, a sublane 520, a joining lane 530, and a second sublane 540.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all of these components have a so-called shelf-like shape, and are all components provided inside the body frame 2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main frame 200, in the forward direction (-Y axis). direction) is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that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가이딩유닛(500)의 일 구성인 가이딩레인(510)은 무빙가이드(400)의 홈부레인(420)이 제공하는 공간으로 진입하여 홈부레인(420)의 흔들림이나 유격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되므로 무빙가이드(400)의 평행 이동(수평 방향 기준)과 안정적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The guiding lane 5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guiding unit 500, enters the space provided by the groove lane 420 of the moving guide 400 and effectively suppresses the shaking or clearance of the groove lane 420. Therefore, parallel movement (bas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stable movement of the moving guide 400 can be induced more effectively.

또한, 가이딩유닛(500)에 의한 무빙가이드(400)의 물리적 지지와 가이딩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함은 물론, 레버노브(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 구조의 효율적 적용을 위하여 상기 가이딩레인(510)은 레버노브(30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슬롯(211)이 구비된 위치보다 상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implement the physical support and guidance of the moving guide 400 by the guiding unit 500, as well as to efficiently apply the spatial structure for the sliding movement of the lever knob 300, the guiding lane 5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provided above the position where the guide slot 211 through which the lever knob 300 slides is provided.

수직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딩레인(510)의 상부에는 치합레인(530)이 구비된다. 상기 치합레인(530)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되, 가이딩레인(510)보다 돌출의 정도가 작도록(D3<D1, 도 9 참조) 구성되며, 상술된 무빙가이드(400)의 탄성돌기부(440)와 대접하는 요철 패턴이 돌출 단부에 반복 형성되도록 구성된다.A joining lane 530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guiding lane 510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joining lane 530 has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guiding lane 510 (D3<D1, see FIG. 9). , the uneven pattern facing the elastic protrusion 440 of the moving guide 400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repeatedly formed on the protruding end.

이와 같이 무빙가이드(400)의 탄성돌기부(440)가 치합레인(530)에 치합되도록 함으로써 레버노브(300)를 통하여 무빙가이드(400)에 전달되는 사용자(착석자 등)의 외력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무빙가이드(400)가 단속적으로 이동 및 정지(위치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elastic protrusion 440 of the moving guide 40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lane 530, so that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seated person, etc.) transmitted to the moving guide 400 through the lever knob 300 exceeds the threshold. The moving guide 400 can be controlled to move and stop (maintain its position) intermittently.

한편, 상술된 가이딩레인(510)의 하부에는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되, 가이딩레인(510)보다 작게(D4<D1) 돌출되며 무빙가이드(400)의 후면 하부(A, 도 7 참조)와 대접하는 서브레인(520)이 구비된다.Meanwhile, the protrusion at the lower part of the above-described guiding lane 510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protrudes smaller than the guiding lane 510 (D4<D1) and is located at the rear lower portion (A) of the moving guide 400. , see FIG. 7) and a sublane 520 that serves it is provided.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가이딩유닛(500)은, 상기 치합레인(530)의 위치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이딩레인(510)보다 돌출의 정도가 작고(D2<D1), 상기 무빙가이드(400)의 후면 상부(B, 도 7 참조)와 대접하는 제2서브레인(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guiding unit 500 is provided above the position of the joining lane 530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guiding unit 500 has a protrusion more than the guiding lane 510. The degree is small (D2<D1)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blane 540 facing the rear upper part (B, see FIG. 7) of the moving guide 400.

이와 같이 상기 서브레인(520) 및 제2서브레인(540)은 무빙가이드(400), 구체적으로 무빙가이드(400) 후면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즉, 서로 이격된 복수 개 위치에서 대접하도록 구성되므로 무빙가이드(400)의 이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ublane 520 and the second sublane 540 are configured to face the moving guide 400, specifically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of the moving guide 400, that is,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movement of the moving guide 400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이딩유닛(500)은 구체적으로 3 또는 4 곳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기능으로 무빙가이드(400)와 유기적으로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되므로 무빙가이드(400)의 안정적 지지, 평행 이동, 단속적 이동 등이 하나의 구성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guid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configured to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moving guide 400 with different functions at three or four different locations, thereby providing stable support for the moving guide 400. , parallel movement, intermittent movement, etc. can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and integrated through one configura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슬롯(211)에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버노브(300)는 구체적으로 가이드슬롯(21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레버(310), 상기 레버(310)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슬롯(211)을 관통하는 바디(320) 그리고 바디(320)의 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lever knob 300 that is fitted into the guide slot 211 and slides is specifically connected to the lever 3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slot 211 and the lever 310. It may include a body 320 penetrating the guide slot 211 and a fastening portion 330 provided at the inner end of the body 320.

무빙가이드(400)의 노브결합부(430)는 가이드슬롯(211)에 끼움결합된 레버노브(300), 구체적으로 레버노브(300)의 체결부(330)와 제2체결수단(F2)에 의하여 결합된다.The knob coupling portion 430 of the moving guide 400 is connected to the lever knob 300 fitted into the guide slot 211, specifically to the fastening portion 330 of the lever knob 300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F2). are combined by

레버노브(300)가 끼움결합되는 가이드슬롯(211)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의 몸체프레임(21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도면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프레임(210)이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slot 211 into which the lever knob 300 is inserted is a component provided in the body frame 210 of the main frame 200, as previously described.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body frame 210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It is desirable to be provided with.

이와 같이 레버노브(300)가 구비되는 가이드슬롯(211)이 몸체프레임(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착석자 등)의 작용력이 직접 가해지는 레버노브(300)를 착석자의 손위치와 근접한, 하방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레버노브(300)의 조작 편의성 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guide slot 211 in which the lever knob 300 is provided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frame 210, the lever knob 300, to which the user's (seated person, etc.) direct force is applied, is adjusted to the seated person's hand position. It can be placed in a downwardly biased position close to the lever knob 300,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lever knob 30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atent claims.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odifi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merely instrumental terms used to relatively distinguish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are therefore used to indicate a specific order, priority, etc.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not a valid term.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The drawings attach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 its embodiments may be shown in a somewhat exaggerated form in order to emphasize or highlight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and the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etc. Considering th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obvious that various types of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 examples may be possible at the level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50 : 메쉬형 의자 51 : 등판프레임
51a : 사이드프레임 52 : 등판시트
1000 :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위 조절장치
100 : 패드유닛 110 : 지지패드
115 : 만곡부 120 : 돌출레일
130 : 결합부 200 : 메인프레임
210 : 몸체프레임 211 : 가이드슬롯
220 : 결합프레임 230 : 연결부
300 : 레버노브 310 : 레버
320 : 바디 330 : 체결부
400 : 무빙가이드 420 : 홈부레인
430 : 노브결합부 440 : 탄성돌기부
500 : 가이딩유닛 510 : 가이딩레인
520 : 서브레인 530 : 치합레인
540 : 제2서브레인 F1(2) : 제1(2)체결수단
50: Mesh type chair 51: Back frame
51a: Side frame 52: Back seat
1000: Support portio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pad unit 110: support pad
115: curved portion 120: protruding rail
130: Coupler 200: Main frame
210: Body frame 211: Guide slot
220: coupling frame 230: connection part
300: lever knob 310: lever
320: Body 330: Fastening part
400: Moving guide 420: Home lane
430: Knob coupling part 440: Elastic protrusion part
500: guiding unit 510: guiding lane
520: Sublane 530: Chihaplane
540: 2nd sublane F1 (2): 1st (2) fastening means

Claims (7)

등판시트가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는 메쉬형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석자의 지지 부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장치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패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패드의 후면에 구비되는 돌출레일과, 상기 돌출레일의 외측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패드유닛;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슬롯이 구비되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등판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유닛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외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버노브; 및
상기 레버노브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전면이 상기 돌출레일과 대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무빙가이드; 및
상기 무빙가이드의 후면과 대접한 상태에서 상기 무빙가이드의 이동을 가이딩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이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가이드는, 수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 형상을 가지는 홈부레인, 상기 홈부레인보다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슬롯에 끼움결합된 상기 레버노브와 결합되는 노브결합부와, 상기 홈부레인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딩유닛은, 상기 가이드슬롯의 위치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부레인으로 진입하여 상기 홈부레인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딩레인, 상기 가이드슬롯의 위치보다 하부에 구비되며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이딩레인보다 돌출의 정도가 작고 상기 무빙가이드의 후면 하부와 대접하는 서브레인, 상기 가이딩레인의 위치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이딩레인보다 돌출의 정도가 작고, 상기 탄성돌기부와 대접하는 요철 패턴이 반복 형성되는 치합레인과, 상기 치합레인의 위치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돌출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가이딩레인보다 돌출의 정도가 작고, 상기 무빙가이드의 후면 상부와 대접하는 제2서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A device where the back seat is coupled to the back frame of a mesh-type chair made of a fabric material to variably adjust the support area of the seated person,
A pad unit including a support pad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rotruding rail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rovided on the rear of the support pad, and a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an outside of the protruding rail;
It includes a body frame provided with a guide slot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coupling frame provided on a side of the body frame and coupled to the back frame, and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pad unit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pad unit. Mainframe supported by;
a lever knob that slides along the guide slot by external force; and
a moving guide that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lever knob and moves along the protruding rail with its front face facing the protruding rail; and
A guiding unit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guide while facing the rear of the moving guide and is provided inside the body frame,
The moving guide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shape extending in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groove shape that is open at the rear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groove portion is It is provided below the bladder and includes a knob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lever knob fitted into the guide slot, and an elastic protrusion provided above the groove lane and protruding rearward,
The guiding unit is provided above the position of the guide slot, has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nters the groove lan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groove lane. It is provided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guide slot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degree of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guiding lane and the sublane facing the lower rear of the moving guide is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guiding lane. It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degree of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guiding lane, and a meshing lane in which an uneven pattern facing the elastic protrusion is repeatedly formed, and a position of the meshing lane that is larger than the position of the meshing lane. A mesh chair provided at the top and having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egree of protrusion being smaller than that of the guiding lane, and comprising a second sub-lane facing the rear upper part of the moving guide. Support area adjust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레일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돌출의 정도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rail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support portion of a mesh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레일은,
상기 지지패드의 후면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rail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support portion of a mesh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rear center of the support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되, 상기 지지패드의 탄성변형에 의한 유격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support portion of a mesh chair,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by a fastening means and has a long hole shape to allow clearance movement due to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pa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몸체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레버노브는,
상기 가이드슬롯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레버;
상기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슬롯을 관통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노브결합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slot is:
I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frame,
The lever knob is,
a lev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slot;
a body connected to the lever and penetrating the guide slot; and
A device for adjusting the support portion of a mesh chair, comprising a fastening part provided at an inner end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knob coupling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라운드진 형상이 수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레일은,
상기 만곡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pad is:
It is formed in the center bas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es a curved portion whose rounded shape extends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The protruding rail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support portion of a mesh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urved portion.
KR1020230104556A 2023-08-10 2023-08-10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mesh type chair KR102616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556A KR102616682B1 (en) 2023-08-10 2023-08-10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mesh type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556A KR102616682B1 (en) 2023-08-10 2023-08-10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mesh type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682B1 true KR102616682B1 (en) 2023-12-21

Family

ID=8932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556A KR102616682B1 (en) 2023-08-10 2023-08-10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mesh type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68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957B1 (en) 2001-06-15 2006-11-02 에이치엔아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Chair back construction with lumbar support
KR20100134365A (en) * 2009-06-15 2010-12-23 주식회사 코아스웰 Seat member and chair therewith
KR200469537Y1 (en) 2011-12-23 2013-10-17 김선규 Back of chair having lumbar support
KR101679795B1 (en) * 2016-06-29 2016-11-28 부호체어원(주)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and strength of lumb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957B1 (en) 2001-06-15 2006-11-02 에이치엔아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Chair back construction with lumbar support
KR20100134365A (en) * 2009-06-15 2010-12-23 주식회사 코아스웰 Seat member and chair therewith
KR200469537Y1 (en) 2011-12-23 2013-10-17 김선규 Back of chair having lumbar support
KR101679795B1 (en) * 2016-06-29 2016-11-28 부호체어원(주)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and strength of lumb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083B2 (en) Chair assembly
KR101679795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and strength of lumbar
KR101575774B1 (en) Back assembly for chair
JP5603329B2 (en) Tuning backrest for seating unit
KR101603925B1 (en) Mesh type chair seat with user orientation
KR102314380B1 (en) Lumbar support for chair
KR101207540B1 (en) Brest supporter for desk
KR101885598B1 (en) Seat capable of adjusting bottom support of sitter for mesh chair
KR102616682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of mesh type chair
JP2011229896A (en) Chair having moving structure of seat board whose seating position is adjusted
KR102382087B1 (en) Elastic flexion control module of chair
KR200425803Y1 (en) sofa
US20190029436A1 (en) Chair With A Footrest Device
JP2013198688A (en) Lumbar support mounting structure
KR101379931B1 (en) Mesh-type chair with a variable support section
KR101009491B1 (en) A chair have a back seat tilting structure
KR102217014B1 (en) Device for adjusting tilt posture of chair
KR101576968B1 (en) Back assembly for chair
JP2017086369A (en) Chair
KR102549699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and strength of lumbar
JP2016123724A (en) Chair
US10334953B2 (en) Furniture, load support member for chair, and chair
KR200494248Y1 (en) A Chair
KR200401280Y1 (en) Operation structure of waist supporter for chair
KR200428384Y1 (en) Frame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