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744B1 -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744B1
KR102612744B1 KR1020207028785A KR20207028785A KR102612744B1 KR 102612744 B1 KR102612744 B1 KR 102612744B1 KR 1020207028785 A KR1020207028785 A KR 1020207028785A KR 20207028785 A KR20207028785 A KR 20207028785A KR 102612744 B1 KR102612744 B1 KR 102612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uttering target
molybdenum
manufacturing
target according
p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143A (ko
Inventor
게이지로 스기모토
슈헤이 무라타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704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144A/ko
Publication of KR20200129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07Cathode assembly for sputtering apparatus, e.g. Target
    • C23C14/3414Metallurgical or chemical aspects of target preparation, e.g. casting, powder metallu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4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4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simultaneously
    • B22F3/15Hot isostatic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45Alloys based on refractory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4Alloys based on tungsten or molybden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C23C14/542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C23C14/542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 C23C14/545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using measurement on deposited material
    • C23C14/547Controlling the film thickness or evaporation rate using measurement on deposited material using optical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0Refractory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4/00Physical aspects of the powder
    • B22F2304/10Micron size particles, i.e. above 1 micrometer up to 500 micro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B22F2998/1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sequence of their steps

Abstract

몰리브덴의 함유량이 99.99질량% 이상이고, 상대 밀도가 98% 이상이며, 평균 결정 입경이 400㎛ 이하인 스퍼터링 타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이 명세서는,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는 것이다.
LSI의 초 고집적화가 진행되는 근년은, 전극재나 배선 재료로서, 전기 저항률이 보다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고순도의 텅스텐은, 비교적 낮은 저항률, 그리고, 양호한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의 특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전극재나 배선 재료로서 사용되기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전극재나 배선 재료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한 스퍼터링법으로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술한 고순도의 텅스텐을 포함하는 전극재나 배선 재료에서는, 고순도이면서 고밀도의 텅스텐으로 구성된 스퍼터링 타깃이 희구되고 있다.
이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 및 2에는, 「텅스텐 소결체 스퍼터링 타깃으로서, 텅스텐의 순도가 5N(99.999%) 이상이며, 텅스텐에 함유되는 불순물의 탄소가 3wt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 소결체 스퍼터링 타깃」이 제안되어 있다. 이 「텅스텐 소결체 스퍼터링 타깃」에 의하면, 「텅스텐막에 있어서, 안정된 전기 저항값의 저감화가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텅스텐제의 스퍼터링 타깃에 관한 것은 아니지만, 특허문헌 3에는, 「금속 몰리브덴 혹은 몰리브덴 화합물을 용해하여 몰리브덴 함유 수용액을 생성하고, 해당 수용액을 정제한 후 몰리브덴 함유 결정을 정출시켜, 해당 결정을 고액 분리, 세정 및 건조시킨 후에 가열 환원함으로써 고순도 몰리브덴 분말을 조정하고, 해당 고순도 몰리브덴 분말을 가압 성형 및 소결한 후, 일렉트론 빔 용해하여 고순도 몰리브덴 잉곳을 작성하고, 그리고 후에 해당 잉곳을 소성 가공 및 기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도가 99.999% 이상이고, 또한 알칼리 금속 함유율 100ppb 이하 그리고 방사성 원소 함유율 10ppb 이하인 LSI 전극용 고순도 몰리브덴 타깃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944482호 공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5/0023837호 명세서 일본 특허 공개 평4-218912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고순도의 텅스텐막에서는, 장래적인 가일층 저저항의 요구에 대응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텅스텐을 대신하는 유망한 재료를 알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에 관하여, 몰리브덴 막은 충분히 낮은 전기 저항값을 실현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특허문헌 3에 기재된 「LSI 전극용 고순도 몰리브덴 타깃」에서는, 스퍼터링 시에 파티클의 발생률이 높고, 그에 의해, 재료 수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몰리브덴을 함유하고,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을 유효하게 저감할 수 있는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스퍼터링 타깃은, 몰리브덴의 함유량이 99.99질량% 이상이고, 상대 밀도가 98% 이상이며, 평균 결정 입경이 400㎛ 이하인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은, 상기 스퍼터링 타깃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몰리브덴 분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몰리브덴 분말에 대해, 135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하중을 작용시켜 핫 프레스를 행하는 공정과, 상기 핫 프레스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체에 대해, 1300℃ 내지 1850℃의 온도에서 열간 등방압 가압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스퍼터링 타깃,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주로 몰리브덴을 함유하고,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을 유효하게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그러한 스퍼터링 타깃을 유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스퍼터링 타깃은, 몰리브덴의 함유량이 99.99질량% 이상이고, 상대 밀도가 98% 이상이며, 평균 결정 입경이 400㎛ 이하인 것이다. 이들 구성에 더하여, 방사선량이 0.03cp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까지는, 고집적의 LSI용 전극재나 배선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순도의 텅스텐제의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한 스퍼터링법이 채용되고 있었지만, 이에 의해 형성된 텅스텐막에서는, 금후 더 진전된다고 추측되는 저저항화의 요구에 대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발명자는, 고융점 금속의 성막 특성을 검토한 결과, 고융점 금속의 하나인 몰리브덴제의 박막이 텅스텐제의 박막에 비하여, 보다 낮은 저항값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몰리브덴제의 박막을 성막 가능한 스퍼터링 타깃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소정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소정의 스퍼터링 타깃에 의하면, 한층 더 낮은 저항값을 실현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고 반도체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박막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이러한 스퍼터링 타깃에서는,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의 발생률을 유효하게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그에 의해 형성된 박막으로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의 오작동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이러한 스퍼터링 타깃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성)
이 실시 형태의 스퍼터링 타깃은, 몰리브덴을 99.99질량% 이상으로 함유하고, 4N 이상의 고순도의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것이다. 몰리브덴의 순도가 높으면, 파티클의 발생률이 유의미하게 저하되고, 한편, 몰리브덴의 순도가 낮으면, 파티클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파티클 저감의 관점에서, 몰리브덴의 순도는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스퍼터링 타깃 중의 몰리브덴의 함유량은, 99.999질량% 이상(즉 5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순도는, 불가분의 동족 원소를 제외한 것을 의미한다. 즉, 불가분의 동족 원소는 텅스텐이며, 여기서는, 검출 하한 이하의 원소 및 텅스텐 이외의 모든 금속 원소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몰리브덴의 함유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순도라 하고 있다. 이러한 몰리브덴의 함유량은, 글로우 방전 질량 분석법(GDMS)에 의해 측정하여 산출한다.
(상대 밀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스퍼터링 타깃의 상대 밀도는 98% 이상이다. 상대 밀도는 높을수록 파티클이 저감되지만, 낮으면 파티클의 증가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이 관점에서, 상대 밀도는 9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9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퍼터링 타깃의 상대 밀도는, 상대 밀도=(측정 밀도/이론 밀도)×100(%)로 표시된다. 여기서, 측정 밀도는, 순수를 용매로서 사용한 아르키메데스법으로 측정한 스퍼터링 타깃의 밀도이며, 이론 밀도란, 몰리브덴의 함유량이 100%인 경우의 이론 상의 밀도이다.
(결정 입경)
스퍼터링 타깃이 함유하는 몰리브덴의 결정 입경은, 크면 파티클이 증가되고, 작으면 파티클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스퍼터링 타깃의 몰리브덴의 평균 결정 입경은 400㎛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로 한다. 몰리브덴의 평균 결정 입경이 너무 작은 것에 의한 문제는 없지만, 평균 결정 입경은, 예를 들어 15㎛ 이상, 전형적으로는 40㎛ 이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평균 결정 입경은, 타깃 표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에 의해 얻어지는 조직 사진 상에 입자수 N≥200이 될 때까지 직선을 긋고, 그 직선 상에 존재하는 입자수(N≥200)와 직선의 전체 길이(L)로부터, L/N으로 하여 산출한다. 이 평균 결정 입경의 측정 방법은, JIS G0551에 규정된 절단법에 준거한 것이다.
(방사선량)
스퍼터링 타깃의 방사선량은, 0.03cph/㎠ 이하로 한다. 이 방사선량이 많은 경우는, 당해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형성된 몰리브덴의 박막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의 오작동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한편, 방사선량이 적은 경우는, 그러한 전자 디바이스의 오작동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다. 그 때문에, 스퍼터링 타깃의 방사선량은, 0.02cp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01cph/㎠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선량은, 가부시키가이샤 스미카 분세키 센터제의 LACS-4000M을 사용하여, P-10 가스(Ar-CH4 10%), 유량 100㎖/분, 측정 시간 99kr, 측정 면적 203㎠, 계수 효율 80%로서 측정한다.
(제조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은 스퍼터링 타깃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로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몰리브덴 분말에 대해, 핫 프레스(HP)와 열간 등방압 가압(HIP)을 조합한 분말 야금법을 실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우선, 원료로서 몰리브덴 분말을 준비한다. 이 몰리브덴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입경이 0.1㎛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고, 평균 입경이 1㎛ 내지 5㎛이고, 몰리브덴의 순도가 4N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몰리브덴 분말의 입경이 너무 크면, 저밀도가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입경이 너무 작으면,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취급 난이도가 높아지고, 생산성이 손상될(즉, 부피가 커짐으로써, 핫 프레스 등의 형으로의 복수매 충전이 어려워져서, 1회당 생산수가 줄어들) 우려가 있다. 몰리브덴 분말의 순도가 낮은 경우에는, 제조하는 스퍼터링 타깃의 몰리브덴 함유량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몰리브덴 분말은, 몰리브덴의 순도가 5N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되는 스퍼터링 타깃의 방사선량을 저감하기 위해서도, 5N 이상의 몰리브덴 분말을 원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핫 프레스의 공정에서는, 상기 몰리브덴 분말을, 주형 그 밖의 소정의 형으로 충전하고, 이것을 가열하여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소정의 하중을 작용시킨다.
여기서는, 원료의 최고 도달 온도로서, 1350℃ 내지 15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하중을 작용시킨다. 이 때의 온도가 낮으면, 스퍼터링 타깃의 상대 밀도를 충분히 높일 수 없고, 한편, 온도가 높으면, 조대 입경이 되어 파티클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핫 프레스 시의 온도는, 1350℃ 내지 1500℃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온도로 유지하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60분 내지 300분으로 한다. 유지 시간이 너무 짧을 경우에는, 저밀도로 되는 것이 우려되고, 또한 너무 길 경우에는, 조대 입경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 작용시키는 하중의 크기는, 150kg/㎠ 내지 300k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kg/㎠ 내지 300kg/㎠로 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하중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저밀도로 될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하중이 너무 큰 것에 따른 문제는 특별히 없다. 다이스 등의 비품을 견딜 수 있는 것이면 하중 증가는 고밀도화로 연결된다. 단, 일반적으로는 300kg/㎠정도가 상한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핫 프레스 시의 가열 시에, 설정 온도와 실온도의 괴리를 적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승온시킬 때, 800℃ 내지 1200℃의 온도 영역에 도달한 곳에서, 해당 온도 영역에서 30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핫 프레스의 공정에서 얻어진 성형체에 대해, 열간 등방압 가압을 행한다. 그에 의해, 제조되는 스퍼터링 타깃을 보다 고밀도의 것으로 한다.
열간 등방압 가압의 공정에서는, 전형적으로는, 1300℃ 내지 1850℃의 온도 하에서, 1300kg/㎠ 내지 2000kg/㎠의 하중을, 60분 내지 300분에 걸쳐 작용시킨다. 이러한 온도, 하중 및 시간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저밀도로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열간 등방압 가압 시에는, 온도를 1400℃ 내지 1850℃로 하는 것, 하중을 1500kg/㎠ 내지 1900kg/㎠로 하는 것, 시간을 60분 내지 300분으로 하는 것이 각각 한층 더 바람직하다.
열간 등방압 가압에서 얻어진 소결체에 대해, 필요에 따라, 연삭 그 밖의 형상 가공을 실시하여, 소정의 치수 형상을 갖는 스퍼터링 타깃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스퍼터링 타깃에서는,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의 발생률이 낮고, 또한 적은 방사선량때문에, 그에 의해 형성된 몰리브덴의 박막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의 오작동의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를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실시 형태가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가 갖는 모든 구성 요소로부터 몇가지 구성 요소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스퍼터링 타깃을 실제로 시작(試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이하에 설명한다. 단, 여기서의 설명은 단순한 예시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것에 한정하려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평균 입경이 5㎛이고 소정의 순도의 몰리브덴 분말을, 카본 다이스에 충전하고, 소정의 온도 하, 300kgf/㎠의 하중을 작용시켜, 핫 프레스를 행하였다. 이에 의해 얻어진 성형체에 대해, 소정의 온도에서 1800kgf/㎠의 하중을 작용시키는 열간 등방압 가압을 행하고, 소결체를 얻었다. 그 후, 그 소결체에 대해 형상 가공을 실시하고, 직경이 164㎜이고 두께가 5㎜인 스퍼터링 타깃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2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핫 프레스(HP)의 최고 도달 온도, 열간 등방압 가압(HIP)의 최고 도달 온도를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퍼터링 타깃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4에서는, 상술한 핫 프레스 및 열간 등방압 가압 대신에, 핫 프레스로 성형한 후에 열간 압연을 행하고, 스퍼터링 타깃을 제조하였다. 이 열간 압연에 대해, 비교예 3에서는 1200℃의 온도에서 5회, 또한 비교예 4에서는 1200℃의 온도에서 6회에 걸쳐 롤간을 통과시켜, 각각 10㎜의 두께까지 압연하고, 그 후의 형상 가공으로 상기 치수로 마무리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한 각 스퍼터링 타깃에 대해, 상술한 측정 방법에 따라, 순도, 평균 결정 입경(입경), 상대 밀도(밀도),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순도의 측정에 관해, 몰리브덴의 함유량은, 터모 피셔사(Thermo Fisher)제의 ELEMENT GD를 사용하여 글로우 방전 질량 분석법(GDMS)에 의해 측정하고, 또한, 탄소 농도에 대해서는 레코사(LECO)제의 탄소 분석 장치(CSLS600)를 사용하고, 산소 농도에 대해서는 레코사제의 산소ㆍ질소 동시 분석 장치(TC-600)를 사용하여, 각각 불활성 가스 용융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1에 나타내는 순도는, 스퍼터링 타깃의 몰리브덴 순도(질량%)를 의미한다. 또한, 스퍼터링 타깃의 순도는, 원료의 몰리브덴 분말의 순도와 거의 동일 정도였다.
또한, 상술한 각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Ar 가스를 충만시킨 분위기 하에서, 실리콘 기판 상에 스퍼터링을 행하고, 몰리브덴 막을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퍼터링 타깃을, 마그네트론 스퍼터 장치(캐논 아네르바제 C-3010 스퍼터링 시스템)에 장착하고, 스퍼터링을 행하였다. 스퍼터링의 조건은, 투입 전력 0.5kW, Ar 가스압 0.5Pa로 하고, 1.7kWhr의 프리 스퍼터링을 실시한 후, 4인치 직경의 실리콘 기판 상에 30㎚의 막 두께로 성막하였다. 그리고 기판 상으로 부착된 입자경이 0.07㎛ 이상인 파티클의 개수를 표면 이물 검사 장치(Candela CS920, KLA-Tencor사제)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105881829-pct00001
실시예 1 내지 7에서는, 소정의 조건의 핫 프레스 및 열간 등방압 가압으로 제조함으로써, 고순도로 상대 밀도가 높고, 또한 평균 결정 입경이 작은 스퍼터링 타깃이 얻어졌다. 그리고, 그에 의해,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은, 핫 프레스의 온도가 낮았던 것에 기인하여 상대 밀도가 낮아졌다. 비교예 2는, 원료의 몰리브덴 분말의 순도가 낮았던 것에 의해 스퍼터링 타깃의 순도가 낮아졌다. 비교예 3은, 순도가 낮고, 게다가 열간 등방압 가압이 아니고 압연으로 제조했기 때문에, 평균 결정 입경이 커졌다. 또한, 비교예 2, 3은, 원료의 몰리브덴 분말의 영향보다, 방사선량이 많아졌다.
비교예 4는, 열간 등방압 가압이 아니고 압연으로 제조함으로써, 평균 결정 입경이 커졌다.
이에 의해, 비교예 1 내지 4 모두에서도, 파티클이 증가되었다.

Claims (12)

  1. 스퍼터링 타깃으로서, 몰리브덴의 함유량이 99.999질량% 이상이고, 상대 밀도가 98% 이상이며, 평균 결정 입경이 45㎛ 이하이고, 방사선량이 0.03cph/㎠ 이하이며, 상기 평균 결정 입경은, 타깃 표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에 의해 얻어지는 조직 사진 상에 입자수 N≥200이 될 때까지 직선을 긋고, 그 직선 상에 존재하는 입자수(N≥200)와 직선의 전체 길이(L)로부터, L/N으로 하여 산출하며, 상기 평균 결정 입경의 측정 방법은, JIS G0551에 규정된 절단법에 준거한 것인, 스퍼터링 타깃.
  2. 제1항에 있어서, 방사선량이 0.02cph/㎠ 이하인, 스퍼터링 타깃.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대 밀도가 99% 이상인, 스퍼터링 타깃.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균 결정 입경이 40㎛ 이하인, 스퍼터링 타깃.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스퍼터링 타깃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몰리브덴 분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몰리브덴 분말에 대해, 135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하중을 작용시켜 핫 프레스를 행하는 공정과, 상기 핫 프레스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체에 대해, 1300℃ 내지 1850℃의 온도에서 열간 등방압 가압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핫 프레스를 행하는 공정에서, 상기 몰리브덴 분말에 작용시키는 하중을, 200kg/㎠ 내지 300kg/㎠로 하는,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핫 프레스를, 60분 내지 300분에 걸쳐 행하는,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등방압 가압을 행하는 공정에서, 상기 성형체에 작용시키는 하중을, 1300kg/㎠ 내지 2000kg/㎠로 하는,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등방압 가압을, 60분 내지 300분에 걸쳐 행하는,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 분말을 준비하는 공정에서, 순도가 4N 이상으로 평균 입경이 1㎛ 내지 5㎛인 몰리브덴 분말을 준비하는,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12. 삭제
KR1020207028785A 2018-03-13 2019-03-12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KR102612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42141A KR20230170144A (ko) 2018-03-13 2019-03-12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5836 2018-03-13
JPJP-P-2018-045836 2018-03-13
PCT/JP2019/010094 WO2019176962A1 (ja) 2018-03-13 2019-03-12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141A Division KR20230170144A (ko) 2018-03-13 2019-03-12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143A KR20200129143A (ko) 2020-11-17
KR102612744B1 true KR102612744B1 (ko) 2023-12-13

Family

ID=679078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785A KR102612744B1 (ko) 2018-03-13 2019-03-12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KR1020237042141A KR20230170144A (ko) 2018-03-13 2019-03-12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141A KR20230170144A (ko) 2018-03-13 2019-03-12 스퍼터링 타깃 및 스퍼터링 타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40601A1 (ko)
JP (3) JP7246370B2 (ko)
KR (2) KR102612744B1 (ko)
CN (1) CN111836914A (ko)
SG (1) SG11202008892PA (ko)
WO (1) WO2019176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4249B1 (ja) * 2023-05-15 2023-12-07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モリブデンターゲ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035A (ja) * 2000-04-11 2001-10-26 Toshiba Corp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33198A (ja) * 2003-09-16 2005-05-26 Japan New Metals Co Ltd パーティクル発生のきわめて少ない高純度金属Mo薄膜の形成を可能とするスパッタリング用高純度高密度金属Mo焼結ターゲット
JP2005154814A (ja) 2003-11-21 2005-06-16 Tosoh Corp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て作製した薄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9682B2 (ja) * 1991-01-25 2005-01-1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H04218912A (ja) 1991-03-20 1992-08-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Lsi電極用の高純度モリブデン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JPH09272970A (ja) * 1996-04-05 1997-10-21 Japan Energy Corp 高純度コバルト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127834B2 (ja) * 1996-08-21 2001-01-2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高誘電体膜形成用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US6713391B2 (en) * 1997-07-11 2004-03-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hysical vapor deposition targets
JP4921653B2 (ja) * 2001-08-13 2012-04-25 株式会社東芝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45560B2 (ja) * 2003-09-16 2009-10-14 日本新金属株式会社 スパッタリング用高純度金属Mo焼結ターゲットの製造に原料粉末として用いるのに適した高純度金属Mo粗粒粉末の製造方法
US7534282B2 (en) * 2003-09-16 2009-05-19 Japan New Metals Co., Ltd. High purity metal Mo coarse powder and sintered sputtering target produced by thereof
US8088232B2 (en) * 2004-08-31 2012-01-03 H.C. Starck Inc. Molybdenum tubular sputtering targets with uniform grain size and texture
EP1831423A2 (en) * 2004-11-18 2007-09-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forming three-dimensional pvd targets
AT8697U1 (de) * 2005-10-14 2006-11-15 Plansee Se Rohrtarget
JP5550328B2 (ja) * 2009-12-22 2014-07-16 株式会社東芝 Mo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129434A1 (ja) 2012-03-02 2013-09-06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タングステン焼結体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該ターゲットを用いて成膜したタングステン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035A (ja) * 2000-04-11 2001-10-26 Toshiba Corp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33198A (ja) * 2003-09-16 2005-05-26 Japan New Metals Co Ltd パーティクル発生のきわめて少ない高純度金属Mo薄膜の形成を可能とするスパッタリング用高純度高密度金属Mo焼結ターゲット
JP2005154814A (ja) 2003-11-21 2005-06-16 Tosoh Corp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て作製した薄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25041A (ja) 2022-08-26
KR20200129143A (ko) 2020-11-17
JP7246370B2 (ja) 2023-03-27
SG11202008892PA (en) 2020-10-29
KR20230170144A (ko) 2023-12-18
US20210040601A1 (en) 2021-02-11
JP2023165778A (ja) 2023-11-17
JPWO2019176962A1 (ja) 2021-02-12
CN111836914A (zh) 2020-10-27
WO2019176962A1 (ja)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1612B2 (ja) タングステン焼結体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該ターゲットを用いて成膜したタングステン膜
WO2021177470A1 (ja) 純銅板
JP6479788B2 (ja)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22139A (ja) タングステ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465968A1 (en) Tantalum sputtering target
JP2007045697A (ja) 相変化膜形成用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13033A (ja) Moターゲット材の製造方法およびMoターゲット材
JP2023076733A (ja) タングステ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JP2023165778A (ja)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JP2018162493A (ja) タングステンシリサイドターゲ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1389A (ja) スパッタリング用タングステン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JP6144858B1 (ja) 酸化物焼結体およ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TWI675116B (zh) Ti-Al合金濺鍍靶
TWI519648B (zh) Ti-Al alloy sputtering target
JP6254308B2 (ja) 酸化物焼結体およ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3998972B2 (ja) スパッタリング用タングステン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EP3279366B1 (en) Cu-ga alloy sputtering targ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u-ga alloy sputtering target
KR102316360B1 (ko) 스퍼터링 타깃 및 제조방법
TWI798387B (zh) 濺鍍靶以及濺鍍靶的製造方法
JPH05222525A (ja) 半導体用タングステン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KR20160073216A (ko) 반도체용 니켈 합금 타겟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반도체용 니켈 합금 타겟
WO2021241522A1 (ja) 金属-Si系粉末、その製造方法、並びに金属-Si系焼結体、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金属-Si系薄膜の製造方法
KR101500108B1 (ko) 미세 결정입자를 갖는 스퍼터링용 탄탈럼 타겟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