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619B1 -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 Google Patents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619B1
KR102612619B1 KR1020220160874A KR20220160874A KR102612619B1 KR 102612619 B1 KR102612619 B1 KR 102612619B1 KR 1020220160874 A KR1020220160874 A KR 1020220160874A KR 20220160874 A KR20220160874 A KR 20220160874A KR 102612619 B1 KR102612619 B1 KR 102612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frame
expansion
evacuation device
emergency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웨이
Priority to KR102022016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619B1/ko
Priority to PCT/KR2022/019283 priority patent/WO202411172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1Trap-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건물 외부로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마련하는 확장부, 상기 고정부와 확장부의 사이의 하면에 마련되는 발판부, 상기 확장부의 측방에 마련되어, 확장부 전개 시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보호부 및 다른 객체의 발판부와 연계됨으로써, 다른 객체의 확장부가 전개될 시, 상기 확장부를 건물 외부로 전개시키는 연계락킹부를 포함하여, 비상 시 간단한 조작으로 아래 층의 비상대피장치들이 연속적으로 전개됨으로써, 대피자의 안전성이 향상된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Linked deploy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본 발명은 비상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화재, 재난 등과 같은 비상 시에 대피자에 의해 일부가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의 다른 세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 또는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구조물에서 화재 발생시 현관문을 통해 탈출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면 창가 또는 발코니에 가서 구조를 기다리거나 화재 진압의 지연으로 인해 대피자가 고층 건물에서 뛰어내리거나 추락하여 부상당하거나 사망에 이르는 인명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건축구조물의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발코니에 설치할 수 있는 하향식 피난구, 완강기 등과 같은 화재대피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재대피장치는 외부 침입자의 이동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하고, 대피자의 추락 위험에 취약하여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대피공간으로서 제 역할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40021호(발명의 명칭: 대피용 구조물)에는 건축물 외벽에 대피자가 일시적으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대피용 구조물을 개시한다. 이 대피용 구조물은 건축물 외벽의 개방된 부분에 대피자가 대기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회전동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036763호(발명의 명칭: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는 접이식으로 발코니 등에 설치된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개시하고 있다. 이 화재 피난 대피시설은 화재 발생시 건축물 외부로 판넬벽이 펼쳐져 대피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대피자가 화염과 유독가스로로부터 대피하고, 대피시설 내부에 체류하면서 구조를 기다리도록 개발되었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449380호(발명의 명칭: 비상탈출 시설)에는 비상시 난간이 전개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다리를 통해 건물 밖으로 탈출하는 비상 탈출 시설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제10-0640021호, 제10-1036763호의 경우 화재 등 비상시에 대피자가 화재 발생 장소에 머무르며 구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화재 위험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날 수 없는 한계로 인하여 안전한 대피장소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제10-1449380호에서는 아래층으로 수직 피난 시 대피시설의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통로가 항시 개방된 구조여서 고층에서 대피하는 경우 추락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상대피장치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화재, 재난 등의 비상 시에 대피자에 의해 일부가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의 다른 세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대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건물 외부로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마련하는 확장부; 상기 고정부와 확장부의 사이의 하면에 마련되는 발판부; 상기 확장부의 측방에 마련되어, 확장부 전개 시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보호부 및 상기 확장부가 건물 외부로 전개되도록 하는 연계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대피공간 내에 설치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건물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확장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가 접힐 시의 충격을 덜어주는 충격방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프레임; 상기 확장프레임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여 상기 확장부를 전개시키는 측면프레임 및 상기 확장프레임의 외면에 마련되는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대피자가 다른 객체로 이동하도록 상방으로 열리는 도어부; 상기 발판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계락킹부 해제 시 상기 확장부가 건물 외부로 확장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발판부 및 도어부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접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보호부는, 상기 고정부와 확장부의 사이 측면에 설치되되, 상하로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 개 설치되는 보호프레임 및 상방에 형성된 보호프레임과 하방에 형성된 보호프레임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상기 보호프레임을 연결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계락킹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연계락킹부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와 연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래치부; 상기 확장부의 일측에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래치부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되는 캐치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부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래치작동부 및 상기 래치작동부가 다른 객체의 발판부와 연계되도록 하는 커넥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래치작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도록 형성되되, 하단이 상기 캐치부에 삽탈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가이드부재의 하방으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작동부는, 상기 레버부, 래치부 및 커넥터링을 연결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래치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의 경로를 가이드해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되, 세 개의 베어링을 갖도록 형성되는 상방베어링부 및 아래층에 마련된 다른 객체의 와이어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최하단에 하나의 베어링이 형성되는 하방베어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는, 화재, 재난 등 비상 시에 간단 명료하게 작동되어 건물의 외벽에서 일부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의 다른 세대로 안전하고 대피자의 시야로 인해 높이에 대한 공포감을 주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는, 비상 시 간단한 조작으로 아래 층의 비상대피장치들이 연속적으로 전개됨으로써, 대피자의 안전성이 향상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 및 고정부에 설치되는 연계락킹부의 모습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확장부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확장부가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발판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판부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발판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발판부의 도어부만 접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추락방지보호부의 일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추락방지보호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패널부, 발판부 및 추락방지보호부를 제외한 비상대피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래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래치부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연계락킹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연계락킹부의 다른 연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비상대피장치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1)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17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건물의 외부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건물의 내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별개의 기재가 되지 않은 한 외부 방향, 외면, 외측은 전방을 지칭하고, 내부 방향, 내면, 내측은 후방을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 및 고정부에 설치되는 연계락킹부의 모습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확장부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확장부가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발판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판부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발판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발판부의 도어부만 접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추락방지보호부의 일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추락방지보호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1)는 확장부(20), 고정부(10), 발판부(30), 추락방지보호부(40) 및 연계락킹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술하기에 앞서, 비상대피장치(1)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소재는 강도와 강성이 우수한, 즉, 장치 자체의 하중을 버팀과 동시에 대피자 및 그가 소유한 소지품의 하중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는 강철 또는 합금강과 같은 소재의 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별개의 기재가 없는 한 후술되는 구성 중 프레임으로 명명된 구성들은 상기와 같은 소재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부(10)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며, 홈 또는 결합 프레임/브라켓 따위로 고정될 수 있으며, 확장부(20)의 고정과 전개 및 복귀를 위한 장치 및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10)는 고정프레임(11) 및 충격방지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11)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건물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11)은 후술될 확장프레임(21)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면에 브라켓 또는 결합 프레임이 형성되어 건물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프레임(11)은 건물 내부에 볼트 혹은 앵커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을 통해 상기의 결합 프레임/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탈부착이 필요치 않다고 판단될 경우 용접과 같은 일체형의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1)은 전방에 연계락킹부(50)의 래치부(52)가 설치될 수 있으며, 후방에 연계락킹부(50)를 해제할 수 있는 레버부(51)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래치부(52)는 비상대피장치(1)가 접힌 상태일 시 확장부(20)가 전개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장치로, 고정프레임(11)에 적어도 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레버부(51) 및 래치부(52)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충격방지프레임(12)은 고정프레임(11)의 하단에 형성되어 확장부(20)가 접힐 시 고정프레임(11)과 확장프레임(21)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격방지프레임(12)은 고정프레임(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충격방지프레임(12)은 비상대피장치(1)의 재사용을 위하여 확장부(20)가 와이어 또는 끈 따위로 건물 내부 방향으로 당겨질 시, 확장프레임(21)과 고정프레임(11)이 강하게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격방지프레임(12)의 전단은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감싸질 수도 있어 확장부(20)가 접힐 시 소음을 줄여줄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비상대피장치(1)가 복귀할 시의 충격을 흡수 또는 분산시켜 줄 수 있는 모든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충격방지프레임(12)은 상술된 형태로 인하여, 확장부(20)가 건물 외측으로 전개되었을 시 발판부(30)의 충격을 감소시켜 줄 수 있으며 발판부(30)를 지지해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격방지프레임(12)은 하단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1)의 중심 측에서 두개의 프레임이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두개의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에 돌출된 프레임과 수직 대응되는 프레임이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격방지프레임(12)은 비상대피장치(1)가 복귀할 시 확장프레임(21)과 고정프레임(11)이 부딪히는 충격을 분산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부(30)가 전개될 시의 충격을 흡수해줄 수 있으면서 발판부(30)를 지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확장부(20)는 건물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부(10)로부터 건물 외부로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확장부(20)는 확장프레임(21), 사다리부(22), 측면프레임(23) 및 패널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프레임(21)은 측면프레임(23)에 의해 고정부(10)로부터 건물 외부로 전개되는 구성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확장프레임(21)은 고정부(10)의 고정프레임(11)에 맞닿을 수 있으며, 이때, 확장프레임(21)은 고정프레임(11)이 가지는 직경 혹은 두께와 유사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확장프레임(21)이 가지는 직경 혹은 두께는 후술될 연계락킹부(50)를 통해 고정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는 모든 직경 혹은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확장프레임(21)은 연계락킹부(50)의 작동을 위하여 세로로 마련된 프레임의 동일 선상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치부(5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캐치부(53)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다리부(22)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확장프레임(2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다리부(22)는 확장프레임(21)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개 또는 복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다리부(22)가 확장부(20)의 전개와 복귀에 따라 전개 또는 복귀될 수 있으며, 분단되는 사다리 프레임과 이들 간을 결속시키는 경첩 및 토션스프링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 사다리부(22)는 확장프레임(21)에 고정되는 고정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주요사다리(220) 및 보조사다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주요사다리(220)는 대피자가 다른 객체로부터 대피가 가능하도록 확장부(20)의 일측면 또는 패널부(24)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사다리(221)는 주요사다리(220)가 형성된 프레임에 덧붙여져서 설치될 수 있으며, 보조사다리(221)는 주요사다리(220)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어, 후술될 측면프레임(23)이 접힐 시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조사다리(221)는 고정형이거나 삽탈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대피자가 유아 또는 노약자일 시 보조사다리(221)는 주요사다리(220)의 상방 및 하방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주요사다리(220)까지 대피자의 신체가 닿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여 대피자가 보다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삽탈형으로 설치 시에는 보조사다리(221)가 필요치 않을 경우 제거될 수 있어 비상탈출장치(1)의 하중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사다리(221)는 후술될 도어부(31)의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보조사다리(2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이 마련될 수 있으며, 도어부(31)가 접힐 시 일체로 접힐 수 있는 형태 또는 밧줄과 같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보조사다리(221)는 도어부(31)가 개폐되도록 하는 접힘부재(33)에 일측이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은 도어부(31)의 타단 하면에 형성됨으로서, 대피자에 의해 도어부(31)가 열릴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도어부(31)의 하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에 보조사다리(221)는 본 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하면과 아래 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상면 사이의 수직 거리를 줄여 줄 수 있음에 따라, 대피자가 보다 용이하게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측면프레임(23)은 확장프레임(21)과 고정부(10)를 연결하되, 확장부(20)의 내측, 즉, 건물과 수평 방향으로 접철 되는 것으로, 상기 확장부(20)가 고정부(10)로부터 인출 또는 복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면프레임(23)은 확장프레임(21)의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측면프레임(23)은 펼쳐진 형태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단면을 기준으로 사방의 모서리에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측면프레임(23)의 개수는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1)의 측면프레임(23)은 연결프레임(230)과 지지와이어(2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230)은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마련된 복수의 측면프레임(23)을 연결하는 것으로, 동일 선상의 측면프레임(23)이 동시에 접철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230)은 양 끝단이 상기 측면프레임(23)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프레임(230)의 소재는 플라스틱 또는 목재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어 반드시 금속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지지와이어(231)는 건물 내부와 확장부(20)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발판부(30)에 가해지는 무게 및 충격을 분산시키고, 확장부(20)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여기서, 지지와이어(231)는 와이어, 줄 또는 끈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패널부(24)는 확장프레임(21)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패널부(24)는 비상대피장치(1)의 외부로 노출되는 확장부(20)의 정면에 마련될 수 있다.
패널부(24)는 비상대피장치(1)가 접힌 상태일 경우 건물 내부와 건물 외부를 분리시켜 줄 수 있다.
또한 패널부(24)는 확장부(20)의 전개 시 대피자의 시야에 지면이 직접적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함에 따라, 대피자에게 높은 곳에 서 있는 고소공포감을 감쇠 시킬 수 있어 패닉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확장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23)이 주요사다리(220)와 보조사다리(221)의 사이로 접힐 수 있어, 확장부(20) 전개 전 보다 효율적이게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발판부(30)는 고정부(10)와 확장부(20) 사이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부(30)는 고정부(10)와 확장부(20)의 하면, 즉 확장부(20)의 바닥에 마련될 수 있으며, 비상대피장치(1)의 전개에 따라 건물의 외부로 전개되거나, 비상대피장치(1)의 복귀에 따라 함께 복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발판부(30)는 도어부(31), 토션스프링(32) 및 접힘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31)는 대피자가 아래 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부(31)는 대피자의 조작에 따라 개방됨으로써, 하방으로 탈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도어부(31)에는 대피자가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어부(31)의 동일 선상의 하방에 아래층 비상대피장치(1)의 사다리부(22)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부(31)는 발판부(30)와 동일하게 전개 또는 복귀될 수 있도록 발판부(30)와 동일한 방향에 접힘부재(33)가 형성될 수도 있다.
토션스프링(32)은 발판부(30)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션스프링(32)은 발판부(3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계락킹부(50)가 레버부(51)에 의한 해제 시 토션스프링(32)이 발판부(30)를 펼치게 됨으로써 확장부(20)가 전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3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이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접힘부재(33)는 발판부(30) 및 도어부(31)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토션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발판부(30) 및 도어부(31)가 복귀하거나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힘부재(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으로 마련되어 발판부(30)와 도어부(31)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발판부(30)와 도어부(31)가 접히도록 할 수 있는 모든 부품으로 마련될 수 있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이에 따라, 발판부(30)는 상술된 구성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거나 복귀할 수 있으며, 도어부(3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추락방지보호부(40)는 확장부(20)의 측방에 마련되어, 확장부(20) 전개 시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추락방지보호부(40)는 보호프레임(41) 및 보호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프레임(41)은 고정부(10)의 고정프레임(11)과 확장부(20)의 확장프레임(21) 양 측면에 상하로 간격을 가지도록 두고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호프레임(41)은 비상대피장치(1)의 외측 또는 내측 중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보호부재(42)는 상방에 형성된 보호프레임(41)과 하방에 형성된 보호프레임(41)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될 수 있어, 보호프레임(41)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부재(42)는 와이어, 끈, 그물 등으로 탄성을 가진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보호부재(42)가 강성을 가진 바 형태로 마련될 경우, 상기 추락방지보호부(40)는 보호부재(42)의 양 끝단과 보호프레임(41)을 각각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는 베어링, 체인, 비너, 퀵링크 또는 슈벨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보호부재(42)가 보호프레임(41)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모든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락방지보호부(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접힐 수 있어, 측면프레임(23)이 접히는 것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연계락킹부(5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패널부, 발판부 및 추락방지보호부를 제외한 비상대피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래치부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래치부의 분해도이고,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연계락킹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연계락킹부의 다른 연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비상대피장치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연계락킹부(50)는 확장부(20)가 건물 외부로 전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계락킹부(50)는 다른 객체의 비상대피장치(1)와 연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층의 연계락킹부(50)는 위층의 다른 객체의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시 본 층의 확장부(20)를 건물 외부로 전개 시킬 수 있으며, 본 층에 형성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시 아래층에 형성된 다른 객체의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 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연계락킹부(50)는 레버부(51), 래치부(52), 캐치부(53), 래치작동부(54) 및 커넥터링(55)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부(51)는 고정부(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연계락킹부(50)를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부(51)는 후술될 와이어부를 통해 래치부(52)와 연결될 수 있으며, 대피자에 의해 건물 내부 방향으로 당겨 짐에 따라 래치부(52)가 캐치부(53)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연계락킹부(50)가 해제되는 작동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레버부(51)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손잡이 부분에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래치부(52)는 레버부(51)와 연계되어 상기 연계락킹부(50)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1)의 동일 선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래치부(52)는 사각 형상으로 마련된 고정프레임(11) 중 세로로 마련된 즉, 대피자를 기준으로 양측방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1)에 설치될 수 있다.
래치부(52)는 고정프레임(11)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양측방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1)에 각각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될 캐치부(5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모든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정프레임(11)에 하나 이상의 래치부(52)가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11)을 전방에서 바라볼 시 4개의 래치부(52)가 사각 형태를 나타내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레버부(51)가 설치된 고정프레임(11)의 상단에 설치된 래치부(52)를 '상방 일측 래치부(52a)'로, 상기 상방 일측 래치부(52a)와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의 하방에 설치된 래치부(52)를 '하방 일측 래치부(52b)'로, 레버부(51)가 설치되지 않은 고정프레임(11)의 상단에 설치된 래치부(52)를 '상방 타측 래치부(52c)'로 상기 상방 타측 래치부(52c)의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의 하방에 설치된 래치부(52)를 '하방 타측 래치부(52d)'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술된 래치부(52)의 하단은 위치에 따라 각각의 캐치부(53)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래치부(52)는 고정부재(520), 가이드부재(521), 이동부재(522) 및 복원스프링(52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고정부재(520)는 고정프레임(11)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520)는 래치부(52)가 설치될 위치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볼트 혹은 앵커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탈부착이 필요치 않다고 판단될 경우 용접과 같은 일체형의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재(520)는 제1관통부재(5200)가 관통될 수 있다.
제1관통부재(5200)는 이동부재(522)가 가이드부재(521)에 복귀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522)의 위치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볼트너트, 바(bar) 등 고정부재(520)를 관통할 수 있는 모든 부품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고정부재(520)의 내부에 단순 설치될 수도 있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가이드부재(521)는 고정부재(52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부재(522)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재(521)는 하면이 이동부재(522)의 하단 일부가 돌출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부재(521)는 이동부재(5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통으로 마련되되, 하면에 이동부재(522)의 하단이 돌출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522)는 가이드부재(521)의 내부에서 이동하며, 하단이 캐치부(53)에서 삽탈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522)는 가이드부재(521)에 내장될 수 있어, 가이드부재(5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출 또는 복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재(522)는 가이드부재(521)가 가지는 직경 혹은 두께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부재(521)에 끼워 맞춰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522)의 하단은 캐치부(53)의 내부로 끼워지도록 이동부재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부재(522)의 하단은 측면에서 바라 보았을 시, 캐치부(53)와 가깝게 마련된 부분이 짧고, 고정부재(520)와 가까운 부분이 길게 형성된 경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재(522)의 상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관통홀은 와이어부와 연계될 수 있어, 대피자에 의한 레버부(51)의 조작 또는 커넥터링(55)에 의한 와이어부의 장력으로 인해 이동부재(522)가 가이드부재(52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와이어부는 이동부재(522)의 상단에 형성된 동일한 홀 또는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22)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마련됨으로써, 각각의 와이어부가 다른 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부재(522)가 마련된 래치부(52)가 고정프레임(11)의 상단에 형성될 경우, 즉, 상방 일측 래치부(52a)와 상방 타측 래치부(52c)에 마련된 이동부재(522)는 와이어부에 의해 각각 하방 일측 래치부(52b)에 형성된 이동부재(522)와 하방 타측 래치부(52d)에 형성된 이동부재(52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링(55)과도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522)의 연결에 의한 연계락킹부(50)의 해제 작동은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부재(522)의 하단은 비상대피장치(1)가 복귀할 시 캐치부(53)의 후면에 의해 가이드부재(521)의 내부로 삽입된 후, 제1관통부재(5200), 제2관통부재(5220) 및 복원스프링(523)에 의해 가이드부재(521)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캐치부(5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관통부재(5220)는 이동부재(522)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이동부재(52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관통부재(5220)는 와이어부와 연결될 수 있어 대피자에 의한 레버부(51)의 조작을 통해 이동부재(522)가 가이드부재(521)를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관통부재(5220)는 제1관통부재(5200)와 동일하게 볼트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제2관통홀을 와이어부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도 마련될 수 있어,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복원스프링(523)은 고정부재(520) 및 이동부재(522)와 연결되어, 이동부재(522)를 가이드부재(521)의 하방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원스프링(523)은 고정부재(520)의 제1관통부재(5200)와 이동부재(520)의 제2관통부재(5220)를 연결하는 것으로, 이동부재(522)를 가이드부재(521)의 내측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복원스프링(523)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관통부재(5200)와 제2관통부재(5220)에 끼움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링(55) 또는 레버부(51)에 의해 이동부재(522)가 상방으로 이동했을 경우, 복원스프링(523)은 제1관통부재(5200)와 제2관통부재(5220)에 의해 인장 될 수 있으며, 이후, 커넥터링(55) 또는 레버부(51)에 의해 가해지던 장력이 사라지면 복원스프링(523)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522)가 가이드부재(521)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복원스프링(523)은 스프링으로 명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제1관통부재(5200) 및 제2관통부재(5220)를 연결할 수 있으며, 복원력으로 인해 제1관통부재(5200)의 위치에 맞춰 이동부재(522)를 복귀시킬 수 있는 모든 소재 또는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캐치부(53)는 확장프레임(21)에 형성되되, 래치부(52)가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치부(53)는 내부로 래치부(52)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사각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캐치부(53)는 통상적으로 문에 사용되는 캐치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 캐치부(53)는 확장프레임(2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래치부(52)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되어, 래치부(52)의 이동부재(522)의 하측 일부가 캐치부(53)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캐치부(53)는 확장프레임(21)의 후면에 후술될 고정부재(520)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래치작동부(54)는 고정프레임(11)의 정면에 형성되어, 각 래치부(52)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래치작동부(54)는 와이어부 및 베어링부(541)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부는 레버부(51), 래치부(52) 및 커넥터링(55)을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부는 각 구성을 일정 규칙에 맞춰 연결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11)에 설치된 다수의 래치부(52)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부는 와이어로 명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줄 또는 노끈 등과 같이 레버부(51), 래치부(52) 및 커넥터링(55)을 연결할 수 있으며, 장력을 가진 모든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부(541)는 래치부(52)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의 경로를 가이드 해 줄 수 있다. 베어링부(541)는 고정프레임(11)에 설치된 위치에 따라 상방베어링부(5410) 및 하방베어링부(5411)로 지칭될 수 있다.
상방베어링부(5410)는 고정프레임(11)의 상단 모서리 즉, 래치부(52)보다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세개의 베어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버부(51)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 고정프레임(11)에 형성된 상방베어링부(5410)는 모두 제1베어링(54100), 제2베어링(54101) 및 제3베어링(5410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베어링(54100), 제2베어링(54101) 및 제3베어링(54102)은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명명된 것일 뿐 도 15에 도시된 위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레버부(51)가 마련된 고정프레임(11)에 설치되는 상방베어링부(5410)는 '상방 일측 베어링부(5410a)'로 지칭되고, 레버부(51)가 마련되지 않은 고정프레임(11)에 설치되는 상방베어링부(5410)는 '상방 타측 베어링부(5410b)'로 지칭하기로 한다.
커넥터링(55)은 래치작동부(54)와 다른 객체의 발판부(30)와 연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링(55)은 위층 또는 아래층에 마련된 다른 비상대피장치(1)의 발판부(30)와 와이어부를 통해 본 층의 비상대피장치(1)를 연결할 수 있으며, 위층의 다른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시 래치작동부(54)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고, 본 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시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래치작동부(54)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방법은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커넥터링(55)은 위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시 본 층의 비상대피장치(1)도 전개되도록 함에 따라, 비상대피장치(1) 복귀 시 위층의 비상대피장치(1)부터 복귀시키는 방식으로 건물 전체의 비상대피장치(1)를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링(5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와이어부와 다른 객체의 발판부(30)가 연결되도록 하는 모든 형태로 마련될 수 있어,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된 구성을 통해 연계락킹부(50)가 작동되는 일 예의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래치부(52)의 방향성만을 기재하나, 각 와이어는 래치부(52)의 이동부재(522)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상방 일측 래치부(52a)와 하방 일측 래치부(52b)가 제1와이어(540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방 타측 래치부(52c)와 하방 타측 래치부(52d)가 제2와이어(540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방 일측 래치부(52a)가 작동함과 동시에 하방 일측 래치부(52b)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방 타측 래치부(52c)가 작동함과 동시에 하방 타측 래치부(52d)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방 일측 래치부(52a)와 상방 타측 래치부(52c)는 레버부(51)에 의해 작동되기 위하여 각각 제3와이어(5403) 및 제4와이어(5404)로 연결될 수 있다.
제3와이어(5403)는 상방 일측 래치부(52a)에서 시작되며, 상방 일측 베어링부(5410a)의 제1베어링(54100)을 거치는 것으로 레버부(51)와 연결될 수 있다.
제4와이어(5404)는 상방 타측 래치부(52c)에서 시작되며, 상방 타측 베어링부(5410b)의 제1베어링(54100)을 거치고 상방 일측 베어링부(5410a)의 제2베어링(54101)을 거쳐 레버부(5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버부(51) 작동 시, 상방 일측 래치부(52a)와 상방 타측 래치부(52c)는 동시에 작동될 수 있으며, 제1와이어(5401) 및 제2와이어(5402)에 의해 하방 일측 래치부(52b)와 하방 타측 래치부(52d)도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방 일측 래치부(52a)와 상방 타측 래치부(52c)는 제5와이어(5405) 및 제6와이어(5406)로 커넥터링(55)과 연결될 수 있다.
제5와이어(5405)는 상방 일측 래치부(52a)에서 시작되며, 상방 일측 베어링부(5410a)의 제3베어링(54102)을 거치고 상방 타측 베어링부(5410b)의 제2베어링(54101)을 거쳐 커넥터링(55)과 연결될 수 있다.
제6와이어(5406)는 상방 타측 래치부(52c)에서 시작되며, 상방 타측 베어링부(5410b)의 제3베어링(54102)을 거쳐 커넥터링(55)과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커넥터링(55)은 제7와이어(5407)를 통해 다른 객체의 발판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7와이어(5407)는 제5와이어(5405) 및 제6와이어(5406)와 반대 측의 커넥터링(55)과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객체의 하방베어링부(5411)를 거쳐 발판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커넥터링(55)은 제5와이어(5405), 제6와이어(5406) 및 제7와이어(5407)로 인해 두 개의 비상대피장치(1)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어, 각 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의 연계락킹부(50)를 연결 시킬 수 있다.
이때, 제7와이어(5407)는 발판부(30)의 측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발판부(30)의 전개 또는 복귀에 따라 커넥터링(55)을 당기거나 복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7와이어(5407)는 하부베어링부(541)를 통해 발판부(30)의 측면과 상방에서 연결됨에 따라, 발판부(30)가 전개되어, 제7와이어(5407)와 연결된 부분이 원래의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커넥터링(55)을 상방으로 당길 수 있다.
즉, 다른 객체의 발판부(30)가 전개될 시 커넥터링(55)에 연결된 제7와이어(5407)가 상부로 당겨질 수 있으며, 제5와이어(5405) 및 제6와이어(5406)도 커넥터링(55)과 함께 상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상방 일측 래치부(52a)와 상방 타측 래치부(52c)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방 일측 래치부(52a)와 상방 타측 래치부(52c)가 작동함에 따라, 제1와이어(5401) 및 제2와이어(5402)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던 하방 일측 래치부(52b)와 하방 타측 래치부(52d)가 작동되어 연계락킹부(50)가 해제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연계락킹부(50)는 상술된 구성의 일부를 이용하여 다른 예의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와이어부의 다른 연결 방법에 따른 연계락킹부(50)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방 일측 래치부(52a)와 하방 일측 래치부(52b)는 제1와이어(540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방 타측 래치부(52c)와 하방 타측 래치부(52d)는 제2와이어(540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상방 일측 래치부(52a)와 상방 타측 래치부(52c)는 제5와이어(5405) 및 제6와이어(5406)를 이용하여 커넥터링(55)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5와이어(5405)는 상방 일측 래치부(52a)에서 시작되어 상방 일측 베어링부(5410a)의 제1베어링(54100)을 거치고 상방 타측 베어링부(5410b)의 제1베어링(54100)을 거쳐 커넥터링(55)을 연결할 수 있다.
제6와이어(5406)는 상방 타측 래치부(52c)에서 시작되어 상방 타측 베어링부(5410b)의 제2베어링(54101)을 거쳐 커넥터링(55)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와이어(5401), 제2와이어(5402), 제5와이어(5405) 및 제6와이어(5406)는 상술된 일 예의 와이어 연결 방법과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후, 커넥터링(55)은 제7와이어(5407)를 통해 다른 객체의 발판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7와이어(5407)는 커넥터링(55)에서 시작되어 상방 일측 베어링부(5410a)의 제2베어링(54101)을 거친 후에, 위층에 형성된 비상대피장치(1)의 하방베어링부(5411)를 거쳐 발판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링(55)은 제8와이어(5408)를 통해 레버부(51)와 연결될 수 있다.
제8와이어(5408)는 커넥터링(55)에서 시작되어 상방 일측 베어링부(5410a)의 제3베어링(54102)을 거친 후에 레버부(5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피자가 레버부(51)를 조작할 시 커넥터링(55)에 연결된 상방 일측 래치부(52a) 및 상방 타측 래치부(52c)가 각 캐치부(53)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제1와이어(5401) 및 제2와이어(5402)를 통해 연결된 하방 일측 래치부(52b) 및 하방 타측 래치부(52d)가 해제됨에 따라, 본 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와이어부를 통해 대피자는 간편하게 본 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시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도 전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다 간단한 와이어의 연결을 이용하여 각 층에 형성된 비상대피장치(1)를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위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시 본 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도 전개될 수 있으며, 아래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까지 순차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즉, 화재 발생 시 가장 위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경우, 가장 아래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까지 순차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1)가 설치된 건물은 비상대피장치(1)가 연계되는 수 또는 층의 범위가 지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는 일정 층마다 커넥터링(55)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일정 범위를 내려간 대피자가 연결되지 않은 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레버부(51)를 조작하는 것으로 각각의 범위 내의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25층의 아파트에 비상대피장치(1)가 각 층마다 설치되었을 경우, 21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와 20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의 사이에 커넥터링(55)이 설치되지 않는 것으로, 25층부터 21층까지의 비상대피장치(1)만 연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16층, 11층, 6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의 하방에도 커넥터링(55)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어 각각 15층, 10층, 5층의 비상대피장치(1)와 연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예에 따라 설치된 25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대피자의 조작에 의해 전개되었을 경우, 21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까지 전개됨에 따라, 대피자가 5층 범위에 전개된 비상대피장치(1)를 이용하여 내려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대피자가 비상 계단을 통해 20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 시키거나 아래층의 연계락킹부(50)와 다른 별도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16층까지의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시킬 수 있다.
이때,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에 마련된 커넥터링(55)은 와이어를 통해 본 층의 도어부(31)와 연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어부(31)의 하면에 제9와이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9와이어를 통해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커넥터링(55)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9와이어가 상기 예시의 21층, 16층, 11층 및 6층의 도어부(31)에 마련되었을 경우, 21층의 비상대피장치(1) 전개 시 20층의 비상대피장치(1)는 전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피자가 21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도어부(31)를 여는 것과 동시에 와이어가 20층의 비상대피장치(1)와 연결된 커넥터링(55)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20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비상대피장치(1)는 연계되는 수 또는 층의 범위가 지정될 수 있으며, 대피자의 도어부(31)의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연계되지 않는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도 전개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대피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고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비상대피장치(1)만 전개됨으로써, 건물 외부에 전개되지 않은 비상대피장치(1)가 남아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건물 전체 층에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는 보다 효율적으로 건물 외면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1)는 고정프레임(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고부는 레버부(51)와 고정프레임(11)의 사이에 설치되어, 레버부(51)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경고부는 레버부(51)와 일정 간격 벌어졌을 시 소리를 통해 대피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으며, 알림 이후 연계락킹부(50)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경고부는 레버부(51)가 대피자에 의해 건물 내부 방향으로 당겨졌을 시 대피자에게 알림을 주고, 대피자에 의해 레버부(51)가 더 당겨졌을 시 연계락킹부(50)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경고부는 연계락킹부(50) 해제 전 알림을 줄 수 있음에 따라, 비상대피장치(1)가 설치된 건물 내로 경보를 주거나, 연계락킹부(50)가 노약자 또는 어린아이에 의해 잘못된 상황에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23)은 확장부(20)의 내부로 접히고 추락방지보호부(40)은 비상대피장치(1)의 상부로 접히며, 발판부(30)는 상부로 접히는 것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을 이용하여 접힐 수 있다.
이에, 비상대피장치(1)는 연계락킹부(50)를 통해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연속적으로 전개됨에 따라, 아파트와 같이 고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대피자가 보다 용이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대피장치(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비상대피장치
10 : 고정부
11 : 고정프레임
12 : 충격방지프레임
20 : 확장부
21 : 확장프레임
22 : 사다리부
220 : 주요사다리
221 : 보조사다리
23 : 측면프레임
230 : 연결프레임
231 : 지지와이어
24 : 패널부
30 : 발판부
31 : 도어부
32 : 토션스프링
33 : 접힘부재
40 : 추락방지보호부
41 : 보호프레임
42 : 보호부재
50 : 연계락킹부
51 : 레버부
52 : 래치부
52a : 상방 일측 래치부
52b : 하방 일측 래치부
52c : 상방 타측 래치부
52d : 하방 타측 래치부
520 : 고정부재
5200 : 제1관통부재
521 : 가이드부재
522 : 이동부재
5220 : 제2관통부재
523 : 복원스프링
53 : 캐치부
54 : 래치작동부
5401 : 제1와이어
5402 : 제2와이어
5403 : 제3와이어
5404 : 제4와이어
5405 : 제5와이어
5406 : 제6와이어
5407 : 제7와이어
5408 : 제8와이어
541 : 베어링부
5410 : 상방베어링부
5410a : 상방 일측 베어링부
5410b : 상방 타측 베어링부
54100 : 제1베어링
54101 : 제2베어링
54102 : 제3베어링
5411 : 하방베어링부
55 : 커넥터링

Claims (9)

  1.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건물 외부로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대피공간 내에 설치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하는 확장부;
    상기 고정부와 확장부의 사이의 하면에 마련되는 발판부;
    상기 확장부의 측방에 마련되어, 확장부 전개 시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보호부 및
    상기 확장부가 건물 외부로 전개되도록 하는 연계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계락킹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연계락킹부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와 연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래치부;
    상기 확장부의 일측에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래치부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되는 캐치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부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래치작동부 및
    상기 래치작동부가 다른 객체의 발판부와 연계되도록 하는 커넥터링을 포함하는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건물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확장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가 접힐 시의 충격을 덜어주는 충격방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프레임;
    상기 확장프레임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여 상기 확장부를 전개시키는 측면프레임 및
    상기 확장프레임의 외면에 마련되는 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대피자가 다른 객체로 이동하도록 상방으로 열리는 도어부;
    상기 발판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계락킹부 해제 시 상기 확장부가 건물 외부로 확장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발판부 및 도어부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접힘부재를 포함하는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보호부는,
    상기 고정부와 확장부의 사이 측면에 설치되되, 상하로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 개 설치되는 보호프레임 및
    상방에 형성된 보호프레임과 하방에 형성된 보호프레임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상기 보호프레임을 연결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6. 삭제
  7.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건물 외부로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대피공간 내에 설치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하는 확장부;
    상기 고정부와 확장부의 사이의 하면에 마련되는 발판부;
    상기 확장부의 측방에 마련되어, 확장부 전개 시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보호부 및
    상기 확장부가 건물 외부로 전개되도록 하는 연계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건물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확장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가 접힐 시의 충격을 덜어주는 충격방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계락킹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연계락킹부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와 연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래치부;
    상기 확장부의 일측에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래치부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되는 캐치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부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래치작동부 및
    상기 래치작동부가 다른 객체의 발판부와 연계되도록 하는 커넥터링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래치작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도록 형성되되, 하단이 상기 캐치부에 삽탈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가이드부재의 하방으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작동부는,
    상기 레버부, 래치부 및 커넥터링을 연결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래치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의 경로를 가이드해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되, 세 개의 베어링을 갖도록 형성되는 상방베어링부 및
    아래층에 마련된 다른 객체의 와이어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최하단에 하나의 베어링이 형성되는 하방베어링부를 포함하는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KR1020220160874A 2022-11-25 2022-11-25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KR102612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874A KR102612619B1 (ko) 2022-11-25 2022-11-25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PCT/KR2022/019283 WO2024111729A1 (ko) 2022-11-25 2022-11-30 비상대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874A KR102612619B1 (ko) 2022-11-25 2022-11-25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619B1 true KR102612619B1 (ko) 2023-12-12

Family

ID=8915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874A KR102612619B1 (ko) 2022-11-25 2022-11-25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2619B1 (ko)
WO (1) WO202411172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545B1 (ko) * 2017-08-28 2018-10-02 류순모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2005216B1 (ko) * 2019-03-26 2019-07-29 김주미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096210B1 (ko) * 2019-06-10 2020-04-01 정성용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842B1 (ko) * 2017-06-16 2018-03-30 주식회사 에스엠텍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20210083887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매직웨이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545B1 (ko) * 2017-08-28 2018-10-02 류순모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2005216B1 (ko) * 2019-03-26 2019-07-29 김주미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096210B1 (ko) * 2019-06-10 2020-04-01 정성용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1729A1 (ko) 202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0640021B1 (ko) 대피용 구조물
KR10190354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2612619B1 (ko)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425298Y1 (ko) 긴급대피용 탈출장치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2612618B1 (ko)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KR20210083887A (ko) 슬라이딩 접이식 대피 장치
KR20100138588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