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618B1 -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 Google Patents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618B1
KR102612618B1 KR1020220096286A KR20220096286A KR102612618B1 KR 102612618 B1 KR102612618 B1 KR 102612618B1 KR 1020220096286 A KR1020220096286 A KR 1020220096286A KR 20220096286 A KR20220096286 A KR 20220096286A KR 102612618 B1 KR102612618 B1 KR 10261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rame
evacuation device
emergency evacuation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웨이
Priority to KR1020220096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618B1/en
Priority to PCT/KR2022/011892 priority patent/WO20240296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61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1Trap-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52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52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1/54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of the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외벽에 설치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전개 시 대피 공간을 마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전개 시 중력에 의해 펼쳐지는 사다리부; 상기 프레임부 하측에 형성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도어부 및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를 전개시킬 수 있는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고정을 해제하여 전개되도록 하는 제2 레버부를 포함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비상대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where an emergency exit is formed and is folded to provide an evacuation space when deployed; a ladder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frame portion and unfolded by gravity when the frame portion is deployed; A movable door par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unit to enable movement to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located on the lower floor, a first lever capable of deploy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when unlocked, and a first lever that is operated by the first lever to fix the frame p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cluding a lever portion including a second lever portion that releases and deploys.

Description

접이식 비상대피장치{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본 발명은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화재, 재난 등 비상 시에 작동되어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 또는 다른 세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 복원이 용이한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is activated and deploy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disaster, thereby securing an evacuation space and enabling evacuees to safely evacuate to the lower floor or another household. It relates to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at not only provides safety, but also allows easy restoration after use.

빌딩 또는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구조물에서 화재 발생시 현관문을 통해 탈출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면 창가 또는 발코니에 가서 구조를 기다리거나 화재 진압 실패로 인하여 화염에 휩싸인 놀란 대피자가 고층 건물에서 뛰어내리거나 추락하여 부상당하거나 사망에 이르는 인명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f a fire breaks out in an architectural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or apartment complex and you are unable to escape through the front door, go to a window or balcony and wait for rescue, or startled evacuees engulfed in flames due to failure to extinguish the fire may jump or fall from a high-rise building. Accidents resulting in injury or death are occurring.

종래에는 건축구조물의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발코니에 설치할 수 있는 하향식 피난구, 완강기 등과 같은 화재대피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재 대피장치는 외부 침입자의 이동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하고, 대피자의 추락 위험에 취약하며, 화재 대피장치가 설비된 발코니에는 각종 생활용품 등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대피공간으로서 제 역할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ast, fire escape devices such as downward escape hatches and descents that can be installed on balconies were developed to prepare for fires in building structures. These fire escape devices are sometimes abu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by outside intruders, and are vulnerable to the risk of falls for evacuees. In addition, since various household items are placed on balconies equipped with fire escape devices, they are not used as evacuation spaces in the event of an actual fire. There is a problem with it not functioning properly.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40021호(발명의 명칭: 대피용 구조물)에는 건축물 외벽에 피구조인이 일시적으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대피용 구조물을 개시한다. 이 대피용 구조물은 건축물 외벽의 개방된 부분에 피구조인이 대기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회전동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있다. As an example, Korean Patent No. 10-0640021 (title of the invention: evacuation structure) discloses an evacuation structure that can secure a space for rescued people to temporarily wait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This evacuation structure has an external frame that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rescued people can wait in the open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 scaffolding part that is provided inside the external frame and has a support part to support the load. Contains.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036763호(발명의 명칭: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는 접이식으로 발코니 등에 설치된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개시하고 있다. 이 화재 피난 대피시설은 화재 발생시 건축물 외부로 판넬벽이 펼쳐져 대피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대피자가 화염과 유독가스로로부터 대피하고, 대피시설 내부에 체류하면서 구조를 기다리도록 개발되었다. 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036763 (title of the invention: fire evacuation shelter) discloses a foldable fire evacuation shelter installed on a balcony, etc. This fire evacuation facility was developed to allow evacuees to evacuate from flames and toxic gases by securing an evacuation space by expanding the panel wall outside the building in the event of a fire, and to stay inside the evacuation facility and wait for rescue.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449380호(발명의 명칭: 비상탈출 시설)에는 비상시 난간이 전개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다리를 통해 건물 밖으로 탈출하는 비상 탈출 시설을 개시한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449380 (title of the invention: emergency escape facility) discloses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that deploys handrail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o provide an evacuation space and at the same time escapes out of the building through a ladder.

그러나, 상기 제10-0640021호, 제10-1036763호의 경우 화재 등 비상시에 대피자가 화재 발생 장소에 머무르며 구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화재 위험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날 수 없는 한계로 인하여 안전한 대피장소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제10-1449380호에서는 화재 발생 시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아래층으로 수직 피난시 대피시설의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통로가 항시 개방된 구조여서 고층에서 대피하는 경우 추락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Nos. 10-0640021 and 10-1036763 abov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evacuees must stay at the place where the fire occurred and wait for rescue, so they cannot provide a safe evacuation site due to the limitation of completely escaping from the fire risk. There is a disadvantage, and No. 10-1449380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vacuate to the ground in the event of a fire, but when evacuating vertically to a lower floor, the evacuation passage formed on the floor of the evacuation facility is always open, so evacuating from a high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falling always exists.

또한 종래의 접이식 대피시설들은 레버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접이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구조적으로 건물 외벽에 설치됨에 따라 바람 등 외부 환경에 의해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거나 강제적으로 펼쳐질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folding evacuation facilities can be installed in a folded state by levers or fixing members. However, as they are structurally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s of building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y may be shaken by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wind, generating noise, or being forcibly unfolded. there was.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화재, 재난 등 비상 시에 작동되어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 또는 다른 세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 복원이 용이한 접이식 비상대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is activated and deploy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disaster, thereby securing an evacuation space and allowing evacuees to safely evacuate to the lower floor or another househol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at is easy to restore after us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는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외벽에 설치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전개 시 대피 공간을 마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전개 시 중력에 의해 펼쳐지는 사다리부; 상기 프레임부 하측에 형성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도어부 및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를 전개시킬 수 있는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고정을 해제하여 전개되도록 하는 제2 레버부를 포함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비상대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art tha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where an emergency exit is formed and is folded to provide an evacuation space when deployed; a ladder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frame portion and unfolded by gravity when the frame portion is deployed; A movable door par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unit to enable movement to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located on the lower floor, a first lever capable of deploy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when unlocked, and a first lever that is operated by the first lever to fix the frame p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cluding a lever portion including a second lever portion that releases and deploys.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부; 판넬이 부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부 전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 프레임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연결시키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3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의 하단에 연결되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4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rame unit includes: a first frame unit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second frame part to which a panel is attached and installed to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part; A third frame part is formed on both sides and connects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but is formed in a foldable manner, and a fourth frame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but is formed in a foldable manner. can do.

또한 상기 제3 프레임부는 2개의 사다리프레임이 대칭되게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힌상태로 설치되고, 잠금해제 시 펼쳐질 수 있는 경첩사다리부 및 상기 경첩사다리부 하측에 형성되되, 일단이 제1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추락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frame part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by connecting two ladder frames symmetrically with a hinge, and is formed on a hinge ladder part that can be unfolded when unlocked and a lower side of the hinge ladder part, and one end is pivoted on the first frame part. It may include a fall prevention unit possibly connected.

또한 상기 추락방지부는 일단이 제1 프레임부 우측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타단이 우측으로 회동하여 제2 프레임부에 접하는 제1 추락방지부 및 일단이 제1 프레임부 좌측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타단이 좌측으로 회동하여 제2 프레임부에 접하는 제2 추락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part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ight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is folded to the rear side, and when unlocked, the other end rotates to the right and the first fall prevention part and one end contact the second frame part.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rear, and when the lock is unlocked, the other end rotates to the left and may include a second fall prevention portion that contacts the second frame.

또한 상기 제1 추락방지부는 일면에 중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추락방지부는 상기 제1 추락방지부 보다 상하방향의 길이가 작게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로 설치될 시 상기 중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fall prevention part includes an overlapping groove on one surface, and the second fall prevention part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length smaller than the first fall prevention part, so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overlap groove when installed in a folded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사다리부는 일단이 제2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바;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상기 회동바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사다리 및 동일 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dder part includes a rotating bar at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part; It may include a ladder to which the other ends of the pivot bars are connect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a connecting bar to connect the pivot bars formed on the same line.

또한 상기 이동도어부는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홀로 형성된 이동통로 및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하는 이동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ovable door unit may include a movable passageway formed alone in the fourth frame portion and a movable door formed in a plate shap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urth frame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movable passageway.

또한 상기 제2 레버부는 상기 프레임부 전면측에 형성되는 제2 레버걸림부 및 상기 프레임부 후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레버걸림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레버걸림부의 고정을 해제시켜 상기 프레임부가 전개되도록 하는 제2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ever part is formed on a second lever locking part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and a rear side of the frame part to fix the second lever locking part, and moves upward by the first lever to lock the second lever locking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lever that releases the fixation of the lever locking portion so that the frame portion is deployed.

또한 상기 제2 레버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레버걸림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레버부재;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레버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 및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레버부재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제2 임시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ever includes a second lever member that is formed in an 'ㄱ' shape and is capable of fixing the second lever stopper; A second moving member installed on the frame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member, and moving upward by the first lever, and a second formed in an 'ㄱ' shape and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second lever member. It may include temporary holding members.

또한 상기 제2 레버부는 상기 프레임부 후면측에서 상기 제2 임시거치부재 하측에 형성되되, 전후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레버임시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레버임시고정부는 상기 제2 레버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전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레버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임시 고정시키고, 전개된 프레임부가 다시 접힘에 따라 상기 제2 레버걸림부에 의해 후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레버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lever par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emporary holding member at the rear side of the frame unit,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lever temporary fixing part form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second lever temporary fixing part When the second lever moves upward, the portion rotates forward to temporarily fix the second lever so that it does not move downward, and as the deployed frame portion is folded again, it rotates rearward by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second lever from moving downward.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is moved downward.

또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이동도어부가 개방됨에 따라 회동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를 전개시키는 제3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lever that rotates as the movable door unit is opened to deploy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located on the lower floor.

또한 상기 제1 레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레버를 고정시키고 열림에 의해 상기 제1 레버의 고정이 해제되면 경보가 울리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devic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lever, which fixes the first lever and sounds an alarm when the first lever is released by opening.

또한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자동전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전개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1 레버를 작동시켜 전개되도록 하는 레버작동부 및 상시에 충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deployment device that can be automatically deployed in the event of a fire, and the automatic deployment device includes a fire detector that detects a fire; It may include a lever operating unit that operates the first lever to deploy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and a battery that is constantly charged and supplies power to the lever operating unit.

또한 와이어가 연결된 접이핀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형성된 제1 접이홀; 접이핀에 연결된 와이어가 관통되어 상기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내부에서 와이어를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비상구에 형성된 제2 접이홀 및 상기 제4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갈고리를 걸어 상기 제4 프레임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갈고리걸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갈고리걸림부에 갈고리를 걸어 제4 프레임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서 상기 접이핀에 연결된 와이어를 건물 내부에서 당기는 것으로 전개된 상기 비상대피장치를 다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a first fold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frame portion to enabl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a folding pin to which a wire is connected; The wire connected to the folding pin penetrates and is formed in the second folding hole formed in the emergency exit and the fourth frame portion so that the wire can be pulled inside the building where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so that the fourth frame portion can be lifted upward by hooking a hook. It further includes a hook hook that allows the deploye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o be folded again by hanging a hook on the hook and lifting the fourth frame upward and pull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folding pin from inside the building.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외벽에 설치될 시, 두 세대의 비상구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다른 세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where an emergency exit is formed, the emergency exits of two households are connected, allowing evacuation to another household.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의 상기 제3 프레임부는 2개의 사다리프레임이 대칭되게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힌상태로 설치되고, 잠금해제 시 펼쳐질 수 있는 경첩사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프레임은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부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발판프레임을 포함하는 접이식 비상대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frame part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ladder frames symmetrically connected by hinges and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nd a hinged ladder part that can be unfolded when unlocked, The ladder frame can provide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at includes a step frame that is detachably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can protrude inwar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는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화재, 재난 등 비상 시에 작동되어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 또는 다른 세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s activated and deploy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disaster, thereby securing an evacuation space and allowing evacuees to safely evacuate to the lower floor or another household. make it possible

또한, 경보장치를 통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전 시에도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작동시키고 알림으로 비상대피장치로 유도할 수 있어, 대피자가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malfunctions can be prevented through an alarm device, and it can be activated to deploy automatically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and guid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with a notification, allowing evacuees to evacuate safely.

또한, 레버부를 통해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설치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use, easy to install, and low in installation costs since it can be simply operated through the lever unit.

또한, 작동시킨 후 파손되지 않게 다시 접혀진 상태로 만들 수 있어, 사용 후 복원 비용 또한 저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can be folded again to prevent damage after opera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restoration costs after us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건물 외벽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설치된 건물 내부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전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전개된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다리부가 펼쳐지고 이동도어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7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의 제2 레버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의 제3 레버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의 경보장치 열림 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두 세대의 비상구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의 제3 프레임부에서 발판프레임이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12의 (a) 및 (b)는 도 11의 발판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투영평면도.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building where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folded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folded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dder part of Figure 5 unfolded and the movable door part opened.
Figures 7 (a) to (d)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ever portion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a) and (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lever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 and (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alarm device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pened.
Figure 10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installed at the emergency exit of two households.
Figure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otrest frame protruding from the third frame portion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2 (a) and (b) are projection plan views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scaffold frame of Figure 11.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ossible. In addition, the content describ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ir meaning is not limited, and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provide,” or “have” us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construed and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12 attach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건물 외벽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설치된 건물 내부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전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전개된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사다리부가 펼쳐지고 이동도어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7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의 제2 레버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의 제3 레버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 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의 경보장치 열림 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가 두 세대의 비상구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building where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and Figure 4 is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ployed state, and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ployed state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the ladder part of Figure 5 unfolded and the movable door part opened. It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nd Figures 7 (a) to (d)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ever portion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 a) and (b) are illustration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lever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9 (a) and (b) are illustration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lever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state when the alarm device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opened, and FIG. 10 is an example showing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installed at the emergency exit of two households. It's a degre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1)는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가 비상 시 작동하여 전개되는 것으로, 대피공간을 제공하고 아래층 또는 다른 세대로 안전하게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where an emergency exit is formed and is activated and deploy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providing an evacuation space and safely moving to the lower floor or another household. This is to enable evacua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이하 '비상대피장치'라 함)(1)는 프레임부, 사다리부(50), 이동도어부(60), 레버부(70) 및 경보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cludes a frame part, a ladder part 50, a moving door part 60, a lever part 70, and an alarm. It may include a device 80.

프레임부는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외벽에 설치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전개 시 대피 공간을 마련하는 것으로,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제3 프레임부(30) 및 제4 프레임부(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re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and is folded to provide an evacuation space when deployed, and includes a first frame part 10, a second frame part 20, a third frame part 30, and a fourth frame part. It may include a frame portion 40.

먼저, 제1 프레임부(10)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frame unit 10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may be formed as a square fram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또한 제1 프레임부(10)는 제2 프레임부(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 레버부(7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레버부(70)의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dditionally, the first frame unit 10 may be formed with a second lever unit 701 to fix the second frame unit 20.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lever unit 70.

제2 프레임부(20)는 전면에 판넬(20)이 부착되고 제1 프레임부(10) 전면측에 제1 프레임부(10)와 평행되게 위치되어 제1 프레임부(10)와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경우 제1 프레임부(10)와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part 20 has a panel 20 attached to the front and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rame part 10 in parallel with the first frame part 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frame part 10. It can be, and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i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part 10 at a certain distance.

이러한 제2 프레임부(20)는 제1 프레임부(10)와 같이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프레임부(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is second frame unit 20 may be formed as a square-shaped frame like the first frame unit 1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unit 10.

이때, 판넬(200)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부에 격자 모양 또는 'ㅗ’자 형상 등의 프레임이 더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grid-shaped or 'ㅗ'-shaped frame may be further formed inside the square-shaped frame so that the panel 200 can be easily attached.

또한, 판넬(200)은 실외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1)를 비, 눈, 바람, 먼지 등 외부 요소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대피 시 대피자가 느낄 수 있는 공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건물 외부에서 비상대피장치(1)를 바라볼 경우 외관상으로도 거슬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시각적으로 더 미려할 수 있도록 도형, 그림 등의 디자인이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anel 200 not only protect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outdoors from external factors such as rain, snow, wind, and dust, but also minimizes the fear that evacuees may feel during evacuation, and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When looking 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from the outside, it can be made to be unobtrusive in appearance. Accordingly, designs such as shapes and pictures may be depicted to make it visually more beautiful.

또한, 제2 프레임부(20)는 제2 프레임부(20)가 고정되어 비상대피장치(1)가 접힌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레버부(701)의 제2 레버걸림부(701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rame part 20 is fixed to the second lever locking part 7010 of the second lever part 701 so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installed in a folded state. ) can be formed.

제3 프레임부(30)는 1 프레임부(10) 및 제2 프레임부(20) 양측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제1 프레임부(10) 및 제2 프레임부(20)의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다.The third frame portion 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and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respectively. The first frame part 10 and the second frame part 20 can be connected.

이때, 비상대피장치(1)가 접히고 펴질 수 있도록, 제3 프레임부(30)는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frame portion 30 may be formed in a foldable manner so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folded and unfolded.

이러한 제3 프레임부(30)는 경첩사다리부(300) 및 추락방지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This third frame part 30 may include a hinge ladder part 300 and a fall prevention part 301.

경첩사다리부(300)는 2개의 사다리프레임(3000)이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대칭되게 설치되고, 서로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d ladder unit 300 is symmetrically installed with two ladder frames 3000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unit 10 and the second frame unit 20,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inges to form a foldable structure. It can be.

이에 경첩사다리부(300)는 접힙상태로 설치되며, 잠금해제 시 펼쳐 질 수 있다. 이때, 경첩사다리부(300)는 경첩으로 연결된 부분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어, 제2 프레임부(20)의 고정이 해제되면 토션스프링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져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inge ladder portion 300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nd can be unfolded when unlocked. At this time, the hinged ladder part 300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at a portion connected by a hinge, and when the second frame part 20 is released, it is automatically unfolded by the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n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It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또한, 경첩사다리부(300)는 사다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다리프레임을 이용하여 비상대피장치(1)의 측면을 이룸으로써, 대피자가 사다리부(50)외에도 제3 프레임부(30)를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nged ladder part 300 forms the side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using a ladder frame made of a ladder shape, so that evacuees can evacuate using the third frame part 30 in addition to the ladder part 50. You can do it.

추락방지부(301)는 경첩사다리부(300) 하측에 형성되되, 일단이 제1 프레임부(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비상대피장치(1)의 잠금해제 시 제2 프레임부(20)의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타단이 측면측으로 회동하여 펼쳐져 제2 프레임부(20)에 접할 수 있다.The fall prevention unit 30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inged ladder unit 300, and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unit 10, so that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unlocked, the second frame unit 20 ) is released, the other end can be rotated and unfolded to the side in a state in which it is folded toward the rear side and contact the second frame portion 20.

이때, 경첩사다리부(300)도 일단 측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어, 경첩사다리부(300)와 같이 자동으로 펼쳐 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hinge ladder unit 300 is also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on one end, so it can be automatically unfolded like the hinge ladder unit 300.

이에 추락방지부(301)는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시 측면 하부측을 막아 줘 대피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all prevention unit 301 can prevent the evacuee from falling by blocking the lower side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또한, 추락방지부(301)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어 있어, 경첩사다리부(300)를 이용한 대피자가 발을 딛일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unit 301 has open front and rear surfaces, so it can be used as a space where an evacuee using the hinged ladder unit 300 can step.

또한, 추락방지부(301)는 비상대피장치(1) 설치 시(접힌상태 형성 시) 부피를 최소화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1 추락방지부(301a) 및 제2 추락방지부(301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unit 301 includes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and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to minimize the volume and efficiently use space when install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when formed in a folded state). ) may include.

제1 추락방지부(301a)는 일단이 제1 프레임부(10) 우측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고, 잠금해제 시 타단이 우측으로 회동하여 제2 프레임부(20)에 접할 수 있다.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has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right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unit 10 and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rear, and when unlocked, the other end rotates to the right to form the second frame unit 20. can be accessed.

이때, 제1 추락방지부(301a)는 제2 추락방지부(301b)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중첩될 수 있도록 중첩홈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may include an overlapping groove so as to accommodate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inside and overlap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중첩홈은 제1 추락방지부(301a) 일면에 형성되되, 제2 추락방지부(301b)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비상대피장치(1) 설치 시 제2 추락방지부(301b)가 중첩홈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1 추락방지부(301a)와 제2 추락방지부(301b)가 중첩되어 부피를 최소한으로 차지할 수 있다.The overlapping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Accordingly, when install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is inserted into the overlapping groove, so that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and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overlap to minimize the volume. there is.

제2 추락방지부(301b)는 일단이 제1 프레임부(10) 좌측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잠금해제 시 타단이 좌측으로 회동하여 제2 프레임부(20)에 접할 수 있다.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unit (10) and is folded to the rear side, and when unlocked, the other end rotates to the left to form the second frame unit (20). can be accessed.

이때, 제2 추락방지부(301b)는 중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추락방지부(301a) 보다 상하방향의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small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overlapping groove.

상기에서 제1 추락방지부(301a)와 제2 추락방지부(301b)를 각각 제1 프레임부(10)의 우측과 좌측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가 변경되어 각각 좌측과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first fall prevention unit 301a and the second fall prevention unit 301b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irst frame unit 10, respectively. However, they are not limited to this, and their positions have been chang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t may also form on the right side.

또한 제3 프레임부(30)는 대피자의 공포감을 보다 줄일 수 있도록 경첩사다리부(300) 및 추락방지부(301)에 각각 설치되는 판넬(302)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third frame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panel 302 installed on the hinge ladder unit 300 and the fall prevention unit 301 to further reduce the fear of evacue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

제4 프레임부(40)는 전개 시 대피자가 발을 딛일 수 있는 발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단이 제1 프레임부(10) 및 제2 프레임부(20)의 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접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4 프레임부(4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ourth frame part 40 serves as a stepping stone on which evacuees can stand when deployed, and both end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rame part 10 and the second frame part 20, respectively. It is formed in a foldable manner and can be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t this time, the fourth frame portion 40 may b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구체적으로, 제4 프레임부(40)는 전후방향의 중앙에 좌우방향을 따라 축이 형성된 경첩이 형성되어 접힐 수 있는데, 경첩을 기준으로 전후단이 후측으로 회동하여 경첩이 형성된 중앙이 상측으로 올라가는 것으로 접힐 수 있고, 전후단이 상측으로 회동하고 경첩이 형성된 중앙이 하측으로 내려가는 것으로 펼쳐 질 수 있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fourth frame portion 40 can be folded by forming a hinge with an axis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ends rotate toward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hinge, so that the center where the hinge is formed rises upward. It can be folded and unfolded by having the front and rear ends rotate upward and the center where the hinge is formed moves downward.

이때, 제4 프레임부(40) 하면의 경첩이 형성된 부분에 토션스프링이 형성됨으로써, 펼쳐지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힘을 주어 펼쳐 질 때 무게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a torsion spring is formed in the hing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ourth frame portion 40, so that the shock applied by the weight when the frame is unfolded by applying for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nfolding direction can be alleviated.

또한 설치 시 선택적으로 제4 프레임부(40)와 아래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1)의 제2 레버부(701)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제4 프레임부(40)가 전개됨에 따라 아래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작업자 또는 건물 관리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항으로 설치 시에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installation, the fourth frame part 40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part 701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located below, and as the fourth frame part 40 is deployed, the fourth frame part 40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part 701 below. One or more emergency evacuation devices (1) located may be deployed. However, this can be selected by the operator or building manager and can be easily changed during installation.

사다리부(50)는 제2 프레임부(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제1 프레임부(10) 측으로 펼쳐져 사다리(501)에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ladder part 5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frame part 20, and as shown in FIG. 6, when the lock is unlocked, a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the first frame part (20) is moved by gravity. 10) It can be expanded to the side to form a space to support the feet on the ladder 501.

즉, 사다리부(50)는 비상대피장치(1)가 접혀진 상태로 설치될 경우 판넬(200)과 인접되게 접혀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가, 제3 프레임부(30), 제4 프레임부(40)가 펼쳐져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제1 프레임부(10)측으로 펼쳐져 판넬(200)과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ladder unit 50 is provided in a folded state adjacent to the panel 200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nd then the third frame unit 30 and the fourth frame unit 40 ) is unfolded to form a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and may be expanded toward the first frame portion 10 by gravity to form a space apart from the panel 200.

이와 같은 사다리부(50)는 중력에 의해 펼쳐 질 수 있도록 회동바(500), 사다리(501) 및 연결바(502)를 포함할 수 있다.This ladder part 50 may include a pivoting bar 500, a ladder 501, and a connecting bar 502 so that it can be expanded by gravity.

회동바(500)는 4개가 제2 프레임부(20)에 사각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됨에 따라 상측(타단)이 제1 프레임부(10)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Four rotating bars 5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unit 20 in a square shape at regular intervals, with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unit 20 . Accordingly, when the lock is unlocked, the upper side (the other end) may rotate toward the first frame portion 10 a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사다리(501)는 상부 및 하부 양측에 회동바(500)의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판넬(200)과 인접되게 설치되고,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됨에 따라 회동바(500)가 회전하여 펼쳐지는 것으로 판넬(200)과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The ladder 501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panel 200 with the other ends of the pivot bar 500 connect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when the lock is unlocked, the pivot bar 500 is deployed a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By rotating and unfolding, i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panel 200 at a certain distance.

이에 판넬(200)과 사다리(501)간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대피자가 사다리(501)를 용이하게 밟고 대피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nel 200 and the ladder 501, allowing evacuees to easily step on the ladder 501 and evacuate.

연결바(502)는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바(500)간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비상대피장치(1)가 접혀진 상태로 설치될 시 사다리부(5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ng bar 502 can connect the rotating bars 500 formed on the same line. Accordingly,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shaking of the ladder unit 50 can be prevented.

이동도어부(60)는 제4 프레임부(40)에 형성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1)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동통로 및 이동도어(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door part 60 is formed on the fourth frame part 40 to enable movement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located on the lower floor, and may include a movable passage and a movable door 600.

이동통로는 제4 프레임부(40)에 홀로 형성되어 대피자가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vement passage is formed alone in the fourth frame portion 40 to allow evacuees to move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이동도어(6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 프레임부(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통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회동하여 이동통로를 개방하면 대피자가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bile door 6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urth frame part 40 to open and close the mobile passage. When the mobile door 600 is rotated to open the mobile passage, the evacuees can move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You can.

또한, 이동도어(600)는 이동통로 개방 시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로 이동하는 대피자가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사다리부(50)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손잡이(60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door 600 has a handle 601 so that evacuees moving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can easily evacuate to the ladder part 50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when the moving passage is opened. may include.

손잡이(601)는 이동도어(600)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대피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handle 601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bottom of the mobile door 600 so that the evacuee can easily hold it.

또한 이동도어(600)는 제3 레버연동바를 통해 제3 레버(702)와 연동되어 있어, 개방 시 제3 레버(702)를 작동시켜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레버부(7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movable door 600 is linked to the third lever 702 through a third lever interlocking bar, and when opened,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can be deployed by operating the third lever 702.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in reference to the lever unit 70.

또한 이동도어부(60)는 제2 프레임부(20)에 형성되어 개방된 이동도어(6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도어고정부(6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door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 door fixing unit 602 formed on the second frame unit 20 and capable of fixing the open movable door 600.

도어고정부(602)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도어(600)가 회전되어 개방됨에 따라 이동도어(600)의 도어고정바가 걸려 안착되 이동도어(6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이동도어(600)가 회동되어 이동통로가 개방될 시, 이동도어(600)가 다시 닫혀짐에 따라 대피자가 다치는 사고를 방지하고 손잡이(601)를 잡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door fixing part 60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ok, so that as the movable door 600 is rotated and opened, the door fixing bar of the movable door 600 is caught and seated, thereby fixing the movable door 600. This is designed to prevent evacuees from being injured when the movable door 600 is rotated and the passage is opened when the movable door 600 closes again and to allow evacuees to easily evacuate by holding the handle 601. .

레버부(70)는 접혀진 상태로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를 잠금해제 시켜 전개시키고,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를 연동시켜 전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1 레버(700), 제2 레버부(701) 및 제3 레버(7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unit 70 unlocks and deploy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nd can be deployed by link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The first lever 700 and the second lever It may include a unit 701 and a third lever 702.

제1 레버(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 비상구 측에 설치되고,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어, 대피자에 의해 회동함에 따라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제2 레버부(701)를 작동시켜 비상대피장치(1)의 잠금을 해제해 전개시키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lever 700 is installed on the emergency exit side inside the building, is formed to be rotatable, and is connected to a wire. As the first lever 700 is rotated by an evacuee, it pulls the connected wire to operate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 can be expanded. Specifically, the second lever unit 701 connected by a wire is operated to unlock and deplo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한편, 제1 레버(700)는 경보장치(80)에 의해 회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경보장치(80)의 열림에 의해 제한이 해제되면 회동이 이루어져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rotation of the first lever 700 may be restricted by the alarm device 80, and when the restriction is lifted by opening the alarm device 80, the first lever 700 can be rotated to deplo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

도 7을 참조하면, 제2 레버부(701)는 제1 레버(700)에 의해 작동되어 프레임부의 고정을 해제하여 전개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2 레버걸림부(7010), 제2 레버(7011) 및 제2 레버임시고정부(701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lever unit 701 is operated by the first lever 700 to unlock the frame unit and allow it to unfold, and includes a second lever locking unit 7010 and a second lever 7011. And it may include a second lever temporary fixing unit 7012.

제2 레버걸림부(7010)는 제2 프레임부(20)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제2 레버(7011)가 걸릴 수 있다.One or more second lever locking parts 70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part 20, so that the second lever 7011 can be caught.

이때, 제2 레버걸림부(7010)는 고정력을 위해 제2 프레임부(20)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림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is preferably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for fixing fo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2 레버걸림부(7010)는 제2 레버(7011)와 밀착 고정되되 제2 레버(7011)의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면이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is closely fixed to the second lever 7011 and is formed in an 'ㄴ' shape so that the second lever 7011 can be easily released, and the vertical surface is upwar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t may be formed inclined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2 레버걸림부(7010)는 비상대피장치(1) 사용 후 다시 접고자 할 경우 제2 레버임시고정부(7012)를 후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후측에 해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해제돌기에 의해 제2 레버임시고정부(7012)가 후측으로 회동되고 제2 레버(7011)의 임시 고정이 해제되어 제2 레버(7011)가 하측으로 내려옴에 따라 제2 레버걸림부(7010)가 제2 레버(70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may include a release protrusion on the rear side so that the second lever temporary fixing portion 7012 can be pressed rearward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to be folded again after use. The second lever temporary fixing part 7012 is rotated to the rear by the release protrusion, the temporary fixation of the second lever 7011 is released, and the second lever 7011 moves downward, so that the second lever locking part 7010 Can be fixed by the second lever 7011.

이러한 제2 레버걸림부(7010)에 제2 레버(7011)가 걸림에 따라 제2 프레임부(20)가 고정될 수 있고, 제2 레버(7011)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제2 레버(7011)로부터 제2 레버걸림부(7010)가 이탈되어 제2 프레임부(2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part 20 can be fixed as the second lever 7011 is caught on the second lever locking part 7010, and when the second lever 7011 is moved upward, the second lever 7011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frame portion 20 and the fixation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may be released. Accordingl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deployed.

제2 레버(7011)는 제2 레버걸림부(7010)와 상응되게 제1 프레임부(10)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제1 레버(700)에 연결된 와이어가 연결되어 제1 레버(700)의 회동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2 프레임부(2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One or more second levers 701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to correspond to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and the wire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700 is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7011). As the 700 rotates, it moves upward to release the second frame portion 20 from being fixed.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레버(7011)는 제2 레버부재, 제2 이동부재, 제2 임시거치부재 및 제2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lever 7011 may include a second lever member, a second moving member, a second temporary holding member, and a second moving guide member.

제2 레버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레버걸림부(70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레버걸림부(7010)에 걸려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레버걸림부(7010)가 이탈될 수 있다.The second lever member is formed in an 'ㄱ' shape and can fix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It can be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and as it moves upward,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can be separated.

이때, 제2 레버부재는 밀착 고정되어 있는 제2 레버걸림부(7010)에서 해제 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레버걸림부(7010)와 접하는 부분에 베이링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bearing may be form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so that the second lever member can be moved more easily when released from the closely fixed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제2 이동부재는 제1 프레임부(10)에 설치된 제2 이동가이드부재에 일부가 삽입되게 설치되며, 제2 레버부재와 연결되고 제1 레버(700)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부재는 제1 레버(700)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단측에 하나 이상의 베이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은 제2 이동가이드부재와 접하여 제2 이동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moving member is installed to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moving guide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frame portion 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memb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700 by a wire. In addition, the second moving member may have one or more bearings formed on the lower side so that it can be moved more easily by the first lever 700, and the bearing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oving guide member and follows the second moving guide member. You can move.

여기서 베어링은 제2 이동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bearing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shaking of the second moving member, but the bearing is not limited to this.

이에 제2 이동부재는 제1 레버(700)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져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레버부재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moving member can be moved upward by pulling the wire by the first lever 700, and as it is moved upward, the second lever member can be moved upward.

또한 제2 이동부재는 윗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제4 프레임부(40) 또는 제3 레버(702)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윗층의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됨에 따라 또는 윗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이동도어(600)가 개방됨에 따라 제2 레버부(701)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v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ourth frame part 40 or the third lever 702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upper floor by a wire and moves a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upper floor is deployed or on the upper floor. As the movable door 600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opened, the second lever unit 701 may be unlocked.

제2 임시거치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레버부재에 수직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임시거치부재는 제2 레버(7011)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레버임시고정부(7012)에 받쳐져 제2 레버(7011)가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temporary holding member may be formed in an L-shape and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second lever member. As the second lever 7011 moves upward, the second temporary holding member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lever temporary fixing part 7012 to prevent the second lever 7011 from moving downward.

제2 이동가이드부재는 제2 이동부재가 제1 프레임부(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부(10)에 길이를 가지며 상면이 개구된 바 형상으로 설치되어 제2 이동부재가 삽입되고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moving guide member has a length on the first frame part 10 so that it can move while the second mov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first frame part 10, and is installed in a bar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so that the second moving member can move while the second mov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first frame part 10. It can be inserted and moved.

제2 레버(7011)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버(700)의 회동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지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2 레버걸림부(7010)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제2 프레임부(2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b) of FIG. 7, when the wire is pull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lever 700, the second lever 7011 moves upward and is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The fixation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can be released.

이와 같이 제2 레버(7011)는 회동이 아닌 상하 이동으로 제2 레버걸림부(7010)의 고정/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접은 상태로 설치된 비상대피장치(1)가 흔들리거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second lever 7011 fixes/releases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by moving up and down rather than rotating, thereby prevent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nstalled in a folded state from shaking or making noise. It can be fixed as tightly as possible.

제2 레버임시고정부(7012)는 제2 프레임부(20)에서 제2 임시거치부재 하측에 형성되되, 전후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ever temporary fixing part 701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emporary holding member in the second frame part 20, and can be form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제2 레버임시고정부(7012)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버(7011)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임시거치부재를 하측에서 받쳐줘 제2 레버(7011)가 하측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7, the second lever temporary fixing unit 7012 supports the second temporary fixing member from the lower side as the second lever 7011 moves upward, so that the second lever 7011 moves upward. You can prevent it from coming down to the bottom.

또한 제2 레버임시고정부(7012)는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음에 따라 제2 레버걸림부(7010)의 해제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후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2 임시거치부재의 고정이 해제되며, 이에 제2 레버(7011)가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제2 레버걸림부(7010)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d) of FIG. 7, the second lever temporary fixing part 7012 is pressed by the release protrusion of the second lever locking part 7010 as the deploye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folded again. As the second temporary holding member is rotated to the rear, the fixation of the second temporary holding member is released, and the second lever 7011 moves downward to fix the second lever locking portion 7010.

이와 같은 구성은 제2 레버(7011)의 위치를 임시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전개된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고자 할 경우 돌출되어 있는 제2 레버(7011)에 의해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temporarily fix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ver (7011) to prevent damage from occurring due to the protruding second lever (7011) when attempting to fold the deployed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gain. You can.

제3 레버(702)는 이동도어부(60)가 개방됨에 따라 회동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시킬 수 있다.The third lever 702 can be rotated as the movable door unit 60 is opened to deplo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located on the lower floor.

구체적으로, 제3 레버(702)는 제4 프레임부(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도어(600)의 제3 레버연동바에 거치되도록 설치되고, 와이어에 의해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제2 레버(7011)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lever 70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urth frame portion 40, is installed to be mounted on the third lever interlocking bar of the movable door 600, and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by a wire. )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7011.

이에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도어(600)가 회동하여 이동통로가 개방될 시 이동도어(600)의 회동에 따라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회동하여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의 제2 레버(7011)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당겨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d) of FIG. 8, when the movable door 600 rotates and the passage is opened, it is lifted upward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vable door 600, thereby open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can be deployed by pull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7011).

이와 같이 레버부(70)를 통해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되고 아래층의 비상대피장치(1)까지 전개되도록 하여 대피자의 대피가 좀 더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deployed through the lever unit 70 and can be deploy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n the lower floor, allowing evacuees to evacuate more easily and quickly.

경보장치(80)는 제1 레버(700) 일측에 형성되어, 제1 레버(700)를 고정시키고 열림에 의해 제1 레버(70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으며, 제1 레버(700)의 고정이 해제되면 경보가 울릴 수 있다. 여기서 경보는 소리, 빛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alarm device 8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lever 700, fixes the first lever 700, and releases the fixation of the first lever 700 by opening. If the lock is released, an alarm may sound. Here, the alarm can be made of sound, light, etc., but the type is not limited.

이러한 경보장치(80)는 도 9와 같이 열림 시 마그네틱(800)이 떨어지면서 경보가 울리는 구조로써, 제1 레버(700)를 회동시키기 위해 경보장치(80)를 열면 경보가 울리도록 하여 비상 상황임을 대피자 외에 건물 내부에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으며, 비상 상황이 아닌 장난에 의한 작동 등 오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is alarm device 8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larm sounds when the magnetic 800 falls when opened as shown in FIG. 9. When the alarm device 80 is opened to rotate the first lever 700, an alarm sounds, thereby preventing an emergency situation. This can be notified to other people inside the building in addition to evacuees, and can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malfunctions such as operation due to pranks rather than emergency situations.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1)는 자동전개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deployment device (not shown).

자동전개장치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제1 레버(700)를 작동시켜 비상대피장치(1)를 전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화재감지기, 레버작동부 및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deployment device is capable of deploy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first lever 700 when a fire occurs, and may include a fire detector, a lever operating unit, and a battery.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감지하여 레버작동부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 fire detector can detect a fire when a fire occurs and transmit a signal to the lever operating unit.

레버작동부는 화재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으면, 제1 레버(700)를 작동시켜 비상대피장치(1)가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개시킴에 따라 경보장치(80)를 작동시켜 경보가 울리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lever operating unit receives a signal from a fire detector, it can operate the first lever 700 to automatically deplo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dditionally, as it is deployed, the alarm device 80 can be activated to sound an alarm.

배터리는 상시에 충전이 이루어지며, 화재에 의해 정전이 발생할 경우 레버작동부 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전 시에도 자동으로 비상대피장치(1)가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The battery is charged at all times, and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due to a fire, power is supplied to the lever operating unit, so that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can be deployed automatically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1)는 제1 접이홀(미도시), 제2 접이홀(미도시) 및 갈고리걸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olding hole (not shown), a second folding hole (not shown), and a hook engaging portion (not shown).

상기와 같은 구성들은 비상대피장치(1)를 잠금해제 시켜 전개시킨 후 별도의 큰 장치없이 각 층 건물 안에서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혀진 상태로 용이하게 재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s are intended to enable the emergency escape device (1) to be easily reinstalled in a folded state within each floor of the building without a separate large device after unlocking and deploying the emergency escape device (1).

제1 접이홀은 와이어가 연결된 접이핀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부(20)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old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rame portion 20 to allow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olding pin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제2 접이홀은 비상구에 형성되어, 접이핀에 연결된 와이어가 관통되어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내부에서 와이어를 당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fold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emergency exit, so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folding pin can pass through and pull the wire inside the building where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여기서, 제2 접이홀은 건물 내부에서 접이핀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접이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접이홀을 통해 드라이버 등 다른 장비들을 이용하여 접이핀을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Here, the second folding hole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folding pin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olding pin inside the building,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olding pin can be removed using other equipment such as a driver through the second folding hole. It may be possible.

갈고리걸림부는 제4 프레임부(40)에 형성되어 갈고리를 걸어 제4 프레임부(40)를 상측으로 살짝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The hook hook portion is formed on the fourth frame portion 40 so that the fourth frame portion 40 can be slightly lifted upward by hooking the hook.

이를 통해, 비상대피장치(1)는 전개된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고자 할 경우, 제1 접이홀에 접이핀을 부착한 다음 접이핀에 연결된 와이어를 제2 접이홀로 관통시킨 후, 건물 내부에서 갈고리를 갈고리걸림부에 걸어 제4 프레임부(40)를 상측으로 살짝 들어올린 다음 와이어를 당기는 것으로 제2 프레임부(20)를 제1 프레임부(10) 측으로 끌어 당겨 비상대피장치(1)를 다시 접을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to be folded again, a folding pin is attached to the first folding hole, and then the wire connected to the folding pin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folding hole, Inside the building, hang the hook on the hook and slightly lift the fourth frame part 40 upward, then pull the wire to pull the second frame part 20 towards the first frame part 10 to pull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 1) can be folded again.

한편, 본 발명의 비상대피장치(1)는 한 세대에서 비상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비상대피장치(1)가 두 세대의 비상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아래층뿐만 아니라 다른 세대로도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e at each emergency exit in one household, but as shown in FIG. 10, on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is installed to connect the emergency exits of two households. , it is possible to evacuate not only to the lower floor but also to other households.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의 제3 프레임부에서 발판프레임이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며, 도 12 의 (a) 및 (b)는 도 11의 발판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투영평면도이다.Figure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otrest frame protruding from the third frame portion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12 (a) and (b) are the footrest of Figure 11 This is a projection floor plan showing an enlarged frame.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1)의 제3 프레임부(30)의 사다리프레임(3000)은 발판프레임(3000a)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ladder frame 3000 of the third frame portion 30 of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frame 3000a.

여기서, 발판프레임(3000a)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Here, except for the footrest frame (3000a),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발판프레임(3000a)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footrest frame 3000a will be described.

발판프레임(3000a)은 사다리프레임(3000)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비상대피장치(1)의 내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발판프레임(3000a)은 제3 프레임부(30)에 판넬(302)이 구비될 경우 사다리프레임(3000)이 사다리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을 보완하고자 구성된 것으로, 대피자가 발을 딛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줌으로써 사다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tep frame 3000a is detachab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adder frame 3000 and can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 This step frame 3000a is designed to compensate for the failure of the ladder frame 3000 to function as a ladder when the panel 302 is provided in the third frame portion 30, and provides a space for evacuees to step on. It can serve as a ladder by giving it.

발판프레임(3000a)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프레임(3000)과 x자 반도(3000b)로 연결될 수 있다. x자 반도(3000b)는 사다리프레임(3000)에서 발판프레임(3000a)이 돌출되기 전에는 최대한으로 벌어진 상태일 수 있으며, 발판프레임(3000a)을 돌출시킴에 따라 최대한으로 접힐 수 있고, 일정간격까지 돌출되면 x자 반도(3000b)의 내측 끝단이 각각 사다리프레임(3000)에서 위치가 고정되어 발판프레임(3000a)이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step frame 3000a may be connected to the ladder frame 3000 and an x-shaped peninsula 3000b. The Then, the positions of the inner ends of th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는 건물 외벽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화재, 재난 등 비상 시에 작동되어 전개됨으로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대피자가 아래층 또는 다른 세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lded state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is activated and deploy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disaster, thereby securing an evacuation space and allowing evacuees to move to the lower floor or another household. Make sure you can evacuate safely.

또한, 경보장치를 통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전 시에도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작동시키고 알림으로 비상대피장치로 유도할 수 있어, 대피자가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malfunctions can be prevented through an alarm device, and it can be activated to deploy automatically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and guid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with a notification, allowing evacuees to evacuate safely.

또한, 레버부를 통해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설치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use, easy to install, and low in installation costs since it can be simply operated through the lever unit.

또한, 작동시킨 후 파손되지 않게 다시 접혀진 상태로 만들 수 있어, 사용 후 복원 비용 또한 저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can be folded again to prevent damage after opera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restoration costs after use.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비상대피장치를 제1 및 제2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ut this is explained by dividing the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ease of understanding, and is limited to each embodiment. This is not the case, and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each other by changing the design.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are not restrictive.

1: 비상대피장치
10: 제1 프레임부
20: 제2 프레임부
200: 판넬
30: 제3 프레임부
300: 경첩사다리부
3000: 사다리프레임
3000a: 발판프레임
3000b: x자 반도
301: 추락방지부
301a 제1 추락방지부
301b: 제2 추락방지부
302: 판넬
40: 제4 프레임부
50: 사다리부
500: 회동바
501: 사다리
502: 연결바
60: 이동도어부
600: 이동도어
601: 손잡이
602: 도어고정부
70: 레버부
700: 제1 레버
701: 제2 레버부
7010: 제2 레버걸림부
7011: 제2 레버
7012: 제2 레버임시고정부
702: 제3 레버
80: 경보장치
800: 마그네틱
1: Emergency evacuation device
10: first frame part
20: second frame part
200: panel
30: Third frame part
300: Hinge ladder part
3000: Ladder frame
3000a: Footrest frame
3000b: x-shaped peninsula
301: Fall prevention department
301a 1st fall prevention unit
301b: 2nd fall prevention unit
302: panel
40: Fourth frame part
50: Ladder part
500: Rotating bar
501: Ladder
502: Connecting bar
60: Mobile door part
600: Mobile door
601: handle
602: Door fixing part
70: Lever part
700: first lever
701: Second lever part
7010: Second lever locking part
7011: Second lever
7012: 2nd lever temporary fixing unit
702: Third lever
80: Alarm device
800: Magnetic

Claims (10)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외벽에 설치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전개 시 대피 공간을 마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전개 시 중력에 의해 펼쳐지는 사다리부;
상기 프레임부 하측에 형성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도어부 및
잠금해제 시 비상대피장치를 전개시킬 수 있는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고정을 해제하여 전개되도록 하는 제2 레버부를 포함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버부는,
상기 프레임부 전면측에 형성되는 제2 레버걸림부;
상기 프레임부 후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레버걸림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레버걸림부의 고정을 해제시켜 상기 프레임부가 전개되도록 하는 제2 레버 및
상기 프레임부 후면측에서 제2 임시거치부재 하측에 형성되되, 전후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레버임시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레버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레버걸림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레버부재;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레버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레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 및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레버부재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제2 임시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버임시고정부는,
상기 제2 레버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전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레버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임시 고정시키고,
전개된 프레임부가 다시 접힘에 따라 상기 제2 레버걸림부에 의해 후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레버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A frame part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re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and folded to provide an evacuation space when deployed;
a ladder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frame portion and unfolded by gravity when the frame portion is deployed;
A movable door par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part to allow movement to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located on the lower floor, and
A lever unit including a first lever capable of deploying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when unlocked, and a second lever unit operated by the first lever to unlock the frame unit and deploy it,
The second lever part,
a second lever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portion;
A second lever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rame to fix the second lever locking part and moving upward by the first lever to release the second lever locking part to unfold the frame part;
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emporary holding member at the rear side of the frame, and includes a second temporary lever fixing part form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second lever is,
A second lever member formed in an 'ㄱ' shape and capable of fixing the second lever stopper;
A second moving member installed on the frame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member, and moving upward by the first lever, and
It includes a second temporary holding member formed in an 'L' shape and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second lever member,
The second lever temporary fixing unit is,
When the second lever moves upward, it rotates forward to temporarily fix the second lever so that it does not move downward,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deployed frame part is folded again, the second lever locking part rotates rearward so that the second lever moves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부;
판넬이 부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부 전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 프레임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연결시키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3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의 하단에 연결되되,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제4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rame part,
A first frame unit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second frame part to which a panel is attached and installed to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part;
A third frame part formed on both sides to connect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and formed in a foldable manner, and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omprising a fourth frame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formed in a foldable man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이동도어부가 개방됨에 따라 회동되어 아래층에 위치하는 비상대피장치를 전개시키는 제3 레버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ver part,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ird lever that rotates as the movable door part is opened to deploy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located on the lower fl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레버를 고정시키고 열림에 의해 상기 제1 레버의 고정이 해제되면 경보가 울리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larm devic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lever, fixing the first lever, and sounding an alarm when the fixation of the first lever is released by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자동전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전개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1 레버를 작동시켜 전개되도록 하는 레버작동부 및
상시에 충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deployment device that can be deployed automatically in the event of a fire,
The automatic deployment device,
A fire detector that detects fire;
A lever operating unit that operates the first lever to deploy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and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at is constantly charged and includes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lever oper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비상구가 형성된 건물 외벽에 설치될 시, 두 세대의 비상구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다른 세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at, when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with an emergency exit, is installed so that the emergency exits of two households are connected, allowing evacuation to another househol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부는,
2개의 사다리프레임이 대칭되게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힌상태로 설치되고, 잠금해제 시 펼쳐질 수 있는 경첩사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프레임은,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부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발판프레임을 포함하는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third frame part,
Two ladder frames are symmetrically connected with hinges and installed in a folded state, and include a hinged ladder portion that can be unfolded when unlocked,
The ladder frame is,
A fold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cluding a footrest frame that is detachably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can protrude inward.
KR1020220096286A 2022-08-02 2022-08-02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KR102612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286A KR102612618B1 (en) 2022-08-02 2022-08-02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PCT/KR2022/011892 WO2024029652A1 (en) 2022-08-02 2022-08-10 Folding type evacu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286A KR102612618B1 (en) 2022-08-02 2022-08-02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618B1 true KR102612618B1 (en) 2023-12-12

Family

ID=8915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286A KR102612618B1 (en) 2022-08-02 2022-08-02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2618B1 (en)
WO (1) WO2024029652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225B1 (en) * 2009-12-03 2011-12-27 강용학 Device for sheltering from fire in a building
KR101805060B1 (en) * 2017-04-26 2017-12-14 윤현지 Corridor safety railing for building evacuation
US20190119964A1 (en) * 2017-10-25 2019-04-25 Hoppe Holding Ag Latch mechanism for folding door or windows
KR102096210B1 (en) * 2019-06-10 2020-04-01 정성용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719B1 (en) * 2020-03-31 2020-08-05 김동우 An apparatus for escaping fire and disaster in a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225B1 (en) * 2009-12-03 2011-12-27 강용학 Device for sheltering from fire in a building
KR101805060B1 (en) * 2017-04-26 2017-12-14 윤현지 Corridor safety railing for building evacuation
US20190119964A1 (en) * 2017-10-25 2019-04-25 Hoppe Holding Ag Latch mechanism for folding door or windows
KR102096210B1 (en) * 2019-06-10 2020-04-01 정성용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9652A1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88757A1 (en)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KR100845297B1 (en) Ladder installed balcony parapet for escaping in case of emergency
KR100675090B1 (en) Emergency railing for refuge
KR100725267B1 (en) Ladder apparatus for disaster escape
KR101684335B1 (en)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US3692145A (en) Emergency fire escape means
KR102096210B1 (e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outer wall of building
KR101099764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1892255B1 (en)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100965536B1 (en) Escaping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KR101043592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20070060646A (en) Ladder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KR100613880B1 (en) Emergency shelter device using a handrail balcony
KR101131484B1 (en) Escap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KR102612618B1 (en) Folding typ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N110770404A (en) Fire disaster or other disaster evacuation facility used for balcony guardrail
KR101099765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1922174B1 (en) Deployable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10117124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JP2004324283A (en) Ladder for escape
KR101702044B1 (en)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KR20100138588A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2612619B1 (en) Linked deployab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KR101105685B1 (en) Descending device for fire escape
GB2123470A (en) Fire escape 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