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607B1 - 생체이식을 위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 Google Patents

생체이식을 위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607B1
KR102612607B1 KR1020230108633A KR20230108633A KR102612607B1 KR 102612607 B1 KR102612607 B1 KR 102612607B1 KR 1020230108633 A KR1020230108633 A KR 1020230108633A KR 20230108633 A KR20230108633 A KR 20230108633A KR 102612607 B1 KR102612607 B1 KR 102612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biomimetic material
band
smart band
wound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문
정장묵
조영민
Original Assignee
(주)에너지마이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너지마이닝 filed Critical (주)에너지마이닝
Priority to KR102023010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3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oclusive layer skin contac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specially adapted to be resorbabl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9Materials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8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wound h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4Subcutaneous electrod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ardiology (AREA)

Abstract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스마트 밴드가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밴드는, 전자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고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 및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 가능한 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전력을 수신하는 안테나 및 집적 회로; 상기 밴드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LDO 레귤레이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LDO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LDO 레귤레이터로부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상처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상처부위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 및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및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이식을 위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SMART BANDAGE FOR WOUND CARE FOR BIOTRANSPLANTATION}
본 개시는, 상처 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상처 치료 속도를 가속화화되, 상처 정도 및 사용자에 따른 최적의 상처 치료 방식을 적용하고, 외부로부터 상처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상처 치료에 있어서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미세한 전기자극은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분화 능력을 빠르게 함으로써 상처 복원력을 가속하게 된다.
전기자극을 이용한 치료에 있어서 문제는, 상처에 전기자극을 주기 위해서 외부자극을 이용하여 가속하는 경우 상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액체 화학물질의 외부저항력 혹은 피브린(fibrin)에 따른 생체저항 크기가 상이하고 그 편차 또한 고르지 않기 때문에 큰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처 영역 내부에서 전극을 통해 직접 자극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전기적으로 상처 내부를 직접 자극하는 방법은 외과적 수술이 등이 필요하므로, 효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처 치료에 있어서, 외과적 수술 없이 상처 내부에 직접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가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상처를 회복시킬 수 있는 제품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790081호 (2017.10.26.)
개시된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상처부위를 높은 복원 정도로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는, 전자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고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 및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 가능한 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전력을 수신하는 안테나 및 집적 회로; 상기 밴드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LDO 레귤레이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LDO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LDO 레귤레이터로부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상처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상처부위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 및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및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 모듈은,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을 포함하는 층의 제1 면에 부착된 하이드로겔/하이드로콜로이드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을 포함하는 층의 제2 면이 상기 상처부위에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밴드 모듈은,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을 포함하는 층의 제1 면이 상기 하이드로겔/하이드로콜로이드 층과 부착되고,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을 포함하는 층의 제2 면에 폴리우레탄 필름 층이 부착되며, 상기 하이드로겔/하이드로콜로이드 층의 일부에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밴드는,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밴드 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및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링크를 구성하는 시한성 생체모방소재는, 전기 전도가 가능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분해되어 생체 흡수가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밴드는,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및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링크의 분해 속도가 상이하도록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및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링크 각각의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가 구성되고,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의 상기 분해 속도의 순서는,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및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링크의 순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LDO 레귤레이터는, 제1 LDO 레귤레이터, 제2 LDO 레귤레이터 및 제3 LDO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LDO 레귤레이터, 상기 제2 LDO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3 LDO 레귤레이터는 상이한 사양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처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MCU는, 상기 상처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LDO 레귤레이터, 상기 제2 LDO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3 LDO 레귤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의 전기적 자극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처 정보는, 상처의 크기 및 상처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성별, 연령, 질환, 비만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의 두께는 1㎛ 이상 25㎛ 이하이고,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의 두께는 30㎛ 이상 60㎛ 이하이고, 상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링크의 두께는 50㎛ 이상 75㎛ 이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에 의하면, 첫째, 전기자극을 통해, 높은 저항을 갖는 상처의 작용 기전전달에 따른 세포의 전위를 낮춰 상처의 전기적 저항성을 낮추고, 전기적 신호를 유지함으로써 세포간의 신호전달이 명확하게 하고 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가속시킴으로써 빠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전기적 치료로 인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에 포함되는 젤라틴과 하이드로겔의 녹는 속도를 가속화하고, 이들 물질과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의 섬유모세포를 더욱 가속하여 콜라겐(collagen)을 치환, 교차결합(cross-linking)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분화와 성장을 가속하게 된다.
셋째, 혼합물을 전극 위에 사용할 때 진물의 전기자극에 따른 기화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상처 치유 물질을 혼합물에 가둠으로써 지혈의 속도를 최대화하고 염증반응 단계를 줄이면서, 혈관 생성과 섬유세포 증식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염증기(inflammatory phase)를 최소화하고 증식기(proliferative phase)와 재형성기(remodeling phase)를 가속할 수 있다.
넷째,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s)와 상처 장기 치료시 습한상태(wet)으로 인한 회복지연의 문제를 전기자극으로 기화시킴으로써 습한 상태에 대한 최적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의 통신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가 전기적 자극을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의 밴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에 의한 상처 치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전류 전달율의 테스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 치료용 밴드의 상처 치료 효과 테스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듈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모듈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밴드 시스템은 전자 장치(110) 및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로 구성된다.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전자 장치(1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전자 장치(110)는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 등) 및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스마트 손목 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상처 부위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처 부위가 치유될 때, 신경과 세포들은 활동전류라는 전기적 현상에 따라 본래 상처를 수복하려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 주요 담당을 하는 것이 섬유모세포(Fibroblast)를 가진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이며, 세포에서 콜라겐(collagen) 등의 조직성분을 합성해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미세한 전기자극은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분화 능력을 빠르게 함으로써 복원성을 가속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문제는, 상처에 전기자극을 위해서 외부자극을 통해 가속하는 것은, 상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액체 화학물질의 외부저항력 혹은 피브린(fibrin)에 따른 생체저항 크기/편차가 고르지 않기 때문에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처 영역 내부에서 전극을 통해 직접 자극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상처 내부에 전기적으로 직접 자극하는 방법은 결국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므로, 효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창상피복재 기반의 음압 기기를 통해 삼출물 배출로 생체저항 편차를 줄이고, 혈류를 원활하게 하여 생체저항을 낮추면서 혈류를 원활하게 하는 방식의 기계로 치료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자연 치료에 가깝고 전기적 자극 방식에 비하여 효율성이 낮다. 따라서, 의공학자들은 외과적인 수술이 없으면서, 액체 화학물질에 대한 외부저항력에 받지 않는 상처 자극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전도도를 갖는 생체 소재를 이용하여 전기로 진피층를 고속화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하였다.
본 개시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에는 시한성 생체모방소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시한성 생체모방소재는 일시적으로 동작하여 전기적 자극을 상처부위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처치료 과정에서 생체에 흡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를 상처부위에 붙이면,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에 포함되는 시한성 생체모방소재의 일부는 상처에 삽입되어 상처 내부에 전기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생체모방소재는 예를 들어, 나노몰리브데넘(Molybdenum,Mo), 이황화몰리브덴(MoS2), 이황화텅스텐(WS2),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등 전기전도가 가능한 인체 해가 없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체모방소재, 즉, 전기전도가 가능한 인체에 해가 없는 소재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처 부위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면, 섬유아세포(Fibroblast)들이 빠르게 증식과 분화하면서 빠르게 진피를 회복시키는 단계를 거쳐 상처가 치유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을 통해 전기적 자극으로 진피의 회복은 빠르게 될지라도, 회복 장력은 기존의 상처 전에 비하여 80% 수준으로 떨어지고, 기존 상처껍질(피, 고름, 진물 등이 마르면서 생긴 껍질)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와, 상처의 진물이 빠르게 기화(Evaporation)되어 버리는 문제를 갖는다. 즉, 진물에는, 죽은 세포와 세균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마크로파지,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백혈구와 리소솜 효소, 성장인자들이 밀집되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이 전기자극으로 인해 기화되면 상처회복이 더디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상처 삽입형 소재를 통해 상처 내부에서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여 진피를 회복시키는 동시에, 진물 등의 성분을 기화시키지 않고 습윤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상처 복원력 및 상처 치유의 속도가 개선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후술하는 도면들과 그에 대응하는 설명들을 참조하면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120) 및 전자 장치(110)의 동작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통신 모듈(210) 및 밴드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10)은 밴드 모듈(220)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고 전기적 자극을 전달하여 상처를 치료하는 사용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NFC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110)(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자 장치(110)로부터 상처 치료 동작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상처 정보, 사용자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로부터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로 수신되는 상처 정보는 상처의 크기 및 상처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자 장치(110)로부터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로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는 성별, 연령, 질환, 비만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모듈(210)은 안테나, MCU, 통신 집적회로(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NFC 집적회로, LDO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10)은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집적회로(무선 전력전송을 위한 Qi(기(氣)) 집적회로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210)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더 기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 모듈(220)은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 가능하도록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밴드 모듈(220)은 상처에 전기적 자극을 전달하여 상처의 회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상처치료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처치료용 소재는 시한성의 소재로 일시적으로 동작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처치료 과정에서 생체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생체모방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밴드 모듈(220)은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 하이드로겔(Hydrogel) 층 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oide)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 모듈(220)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더 기술한다.
통신 모듈(210) 및 밴드 모듈(220)은, 시한성 생체모방소재로 구성된, 전극 링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의 통신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는(120)의 통신 모듈(210)은, 통신 기능 및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이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스마트 밴드(120)의 통신 모듈(210)이 NFC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단,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다. 즉,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설계변경에 의해, 통신 기능 및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210)은 도 3의 예시와 별개로 또다른 다양한 형태의 회로 소자들이 채택 가능함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0)은,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이 가능한 능동형 RFID(Active RFID)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통신 모듈(210)은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과 같은 다양한 규격의 무선 통신 기술이 차용될 수 있고, Qi(기(氣)), AirFuel, WiTricity, PMA(Power Matters Allicance)와 같은 다양한 규격의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차용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의 무선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일 예시를 NFC 모듈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의 통신 모듈(210)은, 안테나(310), NFC 집적회로(320), MCU(330), 제1 LDO 레귤레이터(340), 제2 LDO 레귤레이터(350) 및 제3 LDO 레귤레이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안테나(31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10)로부터 무선으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310)는 NFC 규격 주파수인 13.56MHz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일 수 있으며, F-PCB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안테나(310)는 전자기장 등에 의해 공급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0)은 전자 장치(110)로부터 공급된 에너지에 기초하여 2.4V 내지 5.5V의 전압 및 최대 300mA의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NFC 집적회로(320)는 MCU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및 제1 LDO 레귤레이터(340) 내지 제3 LDO 레귤레이터(36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MCU는 제1 LDO 레귤레이터(340) 내지 제3 LDO 레귤레이터(360) 중 어떤 LDO 레귤레이터를 사용할 지 결정하고, 결정된 LDO 레귤레이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LDO 레귤레이터(340) 내지 제3 LDO 레귤레이터(360)는, 밴드 모듈(220)로 전력을 공급하며, 밴드 모듈(220)에 포함되는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370)에 의해 상처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전달됨으로써 상처가 치료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LDO 레귤레이터(340) 내지 제3 LDO 레귤레이터(360)는 각각, 상이한 사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1 LDO 레귤레이터(340), 제2 LDO 레귤레이터(350), 제3 LDO 레귤레이터(350)가 서로 다른 로드(부하 전류)를 담당할 수 있다. MCU(330)는 적절한 상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제1 LDO 레귤레이터(340), 제2 LDO 레귤레이터(350), 제3 LDO 레귤레이터(35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제1 LDO 레귤레이터(340), 제2 LDO 레귤레이터(350), 제3 LDO 레귤레이터(360) 중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10)은 상처 정보, 사용자 정보,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의 동작 시간 및 치료 시간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신할 수 있다.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MCU의 RTC(Real Time Clock) 또는 외부 RTC를 기초로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동작 시간/치료 시간을 제어하고, 제1 LDO 레귤레이터(340), 제2 LDO 레귤레이터(350) 및 제3 LDO 레귤레이터(36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처 치료를 위한 시간,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370)의 전기적 자극 정도/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3개의 LDO 레귤레이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의 설계변경(예를 들어, 상처 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의 사이즈 변경)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는 LDO 레귤레이터의 개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DO 레귤레이터의 수는 1개 내지 5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가 전기적 자극을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상처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10)를 이용하여 상처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웹 접속 등을 통해 상처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처 정보는, 상처의 크기 및 상처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사용자 정보는, 성별, 연령, 질환, 비만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상처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LDO 레귤레이터(340), 제2 LDO 레귤레이터(350), 제3 LDO 레귤레이터(360)에서 사용될 LDO 레귤레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처의 크기 또는 상처의 정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상처 치료에 필요한 전기적 자극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처가 클수록 저항값이 낮으며, 상처가 회복될수록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상처 크기 및 상처 정도에 따라 공급되어야할 전기적 자극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상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LDO 레귤레이터(340), 제2 LDO 레귤레이터(350), 제3 LDO 레귤레이터(360) 중 어느 하나 또는 제1 LDO 레귤레이터(340), 제2 LDO 레귤레이터(350), 제3 LDO 레귤레이터(360)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따라 상처 치료에 필요한 전기적 자극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생아 연령의 신체는 5~6V의 높은 생체전기의 전위를 지니지만, 30대 연령에 들어서면서부터 생체전기 전위가 3V로 낮아지게 되고, 60대 연령의 노년기로 들어서면 생체전기 전위는 2V로 낮아진다. 그러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상처에 대한 저항값(impedance)은 빠르게 증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상처에 공급되어야할 전기적 자극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연령과 비만도가 높을수록 상처에 제공되는 전압은 높아지며, 제공되는 전류의 출력도 높아져야 한다. 따라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LDO 레귤레이터(340), 제2 LDO 레귤레이터(350), 제3 LDO 레귤레이터(360) 중 어느 하나 또는 제1 LDO 레귤레이터(340), 제2 LDO 레귤레이터(350), 제3 LDO 레귤레이터(360)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결정된 LDO 레귤레이터를 제어하여 밴드 모듈(22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10~250uW의 전력 출력이 가능하다.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결정된 LDO 레귤레이터를 통해 밴드 모듈(22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제1 LDO 레귤레이터(340) 및 제2 LDO 레귤레이터(350)를 이용하여 밴드 모듈(22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상처를 치료함에 따라 상처에 인가되는 전기적 자극의 정도를 동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용될 LDO 레귤레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상처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상처 치료 중에 이용되는 LDO 레귤레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상처 회복속도가 빠를수록 상처에 공급되는 전력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복수개의 LDO 레귤레이터들을 통해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최적화된 상처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전력의 양을 조절하는 것 외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는 것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의 밴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의 밴드 모듈(220)은, 폴리우레탄 필름(510),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520), 하이드로겔 및/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530),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을 포함할 수 있다.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은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상처부위에 접촉되어 상처부위를 전기적으로 자극한다.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은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5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은 전기자극을 통해 상처의 전기적 저항성을 낮추고, 전기적 신호를 유지함으로써 빠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이 상처치료를 위해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에 포함되는 젤라틴과 하이드로겔 등의 녹는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 상처 치료용 젤라틴과 하이드로겔은 35도 이하에서 녹으며, 괴사조직을 부드럽게 하여 자가분해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이러한 젤라틴과 하이드로겔 등의 물질과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의 섬유모세포의 녹는 속도를 가속하여 빠르게 콜라겐(collagen)을 치환, 교차결합(Cross-linking)하도록 하며, 빠른 분화와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은 2차원 구조로 조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은 자기장 형태의 특성을 띄며, 효과적 치료를 위해 펄스 형태의 감응 전류(Faradic current)를 이용하여 셀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은 3차원 구조로 조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은 전기장 및 자기장 특성을 띄며, 자기장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인 상처 치료 특성을 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의 제1 면에는 하이드로겔 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530) 층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의 제2 면이 상처부위에 접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의 제2 면에 로진 에스터(Rosin ester)층, 실리콘(silicone)층,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층이 부착될 수 있다.
상처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서, 상처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물에는, 죽은 세포/세균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마크로파지,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백혈구와 리소솜 효소, 기타 성장 인자들이 밀집되어 있어, 이들이 기화되면 상처회복을 더디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이드로겔/하이드로콜로이드(530)는 전기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빠른 기화를 막아주고, 수분과 삼출물이 적절히 유지되는 습윤한 환경을 지속해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습윤한 환경은 전기 전달에 있어서 적은 전류로도 넓은 범위에 손실이 적도록 전달이 가능하여, 지속성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이드로겔/하이드로콜로이드(530)의 두께와 양은 상처로부터의 삼출물의 양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은 친수성 분자가 상처의 삼출물을 흡수한다. 그러나, 삼출물의 흡수에 한계가 있어 다량의 삼출물이 발생하였을 때 잦은 교환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개시의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에서는 시한성 생체모방소자 패턴(540)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에 따라 삼투압 현상과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삼출물을 기화시키기 때문에, 삼출물의 포화에 따른 밴드 교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생체모방소자 패턴(540)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은 젤라틴, 하이드로겔 등의 녹는 속도를 가속화하므로, 본 개시의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과 하이드로겔/하이드로콜로이드(530)의 결합을 통해 기존 밴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520)은 통신 모듈(210)과 링크를 통해 연결되고, 통신 모듈(2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520)이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하이드로겔/하이드로콜로이드(530)의 층의 일부에 시한성 생체모방 소재의 전극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520)과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이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필름(510)은 다공성 폴리에틸렌으로 조성되어 수증기와 공기를 투과하고, 열교환을 하며, 박테리아 등 외부 병균과 물방울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폴리우레탄 필름의 두께는 10㎛ 이상 100 ㎛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520) 및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링크를 구성하는 시한성 생체모방소재는, 전기 전도가 가능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분해되어 생체 흡수가 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몰리브데넘(Molybdenum, Mo), 이황화몰리브덴(MoS2), 이황화텅스텐(WS2),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등 전기전도가 가능한 인체 해가 없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520) 및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링크는 분해 속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한성 생체모방소재의 분해 속도의 순서는,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이 가장 먼저 분해되고,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520)이 다음으로 분해되고,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링크가 그 다음으로 분해되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분해 순서를 위해,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의 두께는 1㎛ 이상 25㎛ 이하로 조성되고,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520)의 두께는 30㎛ 이상 60㎛ 이하로 조성되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 링크의 두께는 50㎛ 이상 75㎛ 이하로 조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의 사용 기간은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540) 및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전극(520)의 두께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18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에 의한 상처 치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처 회복 과정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상처 회복 과정은 세포 생성 과정에서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산소를 이용하여 아데노신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ATP)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전기 자극은 ATP의 '에너지 저장'과 '전달'을 활성화하게 되며, 고에너지 준위를 가진 ATP 전기 자극이 발생하면 전자는 H2O와 결합하여 더 낮은 에너지 상태로 이동하면서 많은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러한 전기 자극은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하여 회복 과정에 활용된다.
ATP는 조직의 복구와 상처 치료에 필요한 표피 유사 성장 인자와 같은 상처 치유에 필요한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손상된 세포에서 산화 환원 신호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타이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NADPH)을 활성화하는 역할도 한다. NADPH는 음전하 분자로, 양전하 분자와 결합할 준비를 하게 된다. 또한 NADPH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가속화하게 된다. ROS는 백혈구 생성에 도움을 주며, 산화 환원 작용으로 인해 세포 증식 및 이동과 같은 현상을 발생시킨다.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에서는 모든 단계에 산소가 필요하며, ROS는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수용체 활성화와 상처 복구에 필요한 기타 기능을 자극한다. 또한, 상처 치료를 위해 백혈구와 대식세포(백혈구의 일종)를 활성화하며, 이후 '섬유모세포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여분의 에너지는 상처에서 방출되어 체외로 나간다.
앞서 도면들을 통한 설명에서 제안된 구조를 갖는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가 상처에 처음 부착되면, 시한성 생체모방소재 패턴이 상처에 삽입된다. 이 경우, 표피와 진피에 가해지는 음전하 전기자극 신호를 통해 치유가 이루어진다. 이 신호는 성장인자를 자극하게 된며, 성장인자들은 섬유모세포(Fibroblast)를 가진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을 자극하게 된다(S610).
이 과정에서, 삼출물(exudate)을 흡수하는 물질이 필요하게 되는데, 하이드로겔 혹은 하이드로콜로이드(또는, 하이드로겔)가 삼출물을 흡수하는 데 사용된다. 하이드로콜로이드(또는, 하이드로겔)는 삼출물을 흡수하면서 습윤한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시한성 생체모방소재가 상처를 전기적으로 자극하게 되면, 열 발생과 함께 삼출물의 기화가 이루어지고, 하이드로콜로이드(또는, 하이드로겔)에 맞붙은 다공성 폴리에틸렌에 의해 외부장벽으로 내보내진다. 이러한 기화 과정은 과도한 삼출물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시한성 생체모방소재를 이용하여 전기자극을 가함으로써 상처를 가속하여 복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르게 진정시킬 수 있게 된다(S620).
또한, 30~40도의 낮은 온도에 녹는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전기자극으로 인해 빠르게 융해되며, 그 안에 함유되는 팩틴(Pectin), 젤라틴(Gelation) 등의 콜라겐 단백질이 상처와 만나면서 섬유모세포가 새로운 모세혈관으로 변화되는 것을 돕게 된다. 또한, 시한성 생체모방소재가 생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중간단계부터는 상처삽입형 생체모방소자 자체에 전극을 이용한 과도한 전기자극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S630).
이는 결과적으로 ‘봉합’과 유사한 효과를 보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치유합병증(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며, 기능적이나 심미적인 면에서도 좋아질 수 있다(S640).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 치료용 밴드의 전류 전달율의 테스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상처 치료가 진행될수록, 상처 치료에 사용되는 전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상처가 치유됨에 따라 생체 내부의 전류가 증가하면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류에 대한 저항이 높아지고,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시한성 생체모방소자가 녹는 정도가 증가할수록 전류 전달의 효율이 낮아지고, 마지막으로, 상처의 삼출물이 높은 친수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전류 전달이 높은데, 상처 치료에 따라 삼출물이 감소하면서 전류 전달 효과도 감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도 7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2가지 방식으로 상처의 전류 전달율을 테스트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2가지 방식은 각각, 전극만 사용하는 방식(710) 및 전극+하이드로콜로이드 방식(720)이다. 여기서, 전극+하이드로콜로이드 방식(720)의 경우가 더 빠른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처 치료의 초기에는 삼출물의 양이 적어서 큰 차이가 없으나, 24시간(1Day) 이후부터는 상처의 삼출물이 빠르게 증가하게된다. 본 개시의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120)는 전극+하이드로콜로이드 방식(720)을 사용하고, 상처 치료의 경과에 따라 하이드르콜로이드가 액체화된 삼출물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므로, 높은 전류 전달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처 치료용 밴드의 상처 치료 효과 테스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3가지 방식으로 상처를 치료한 테스트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3가지 방식은 각각, 전극만 사용하는 방식(810), 전극+하이드로콜로이드 방식(820) 및 자연 치유 방식(830)이다.
자연 치유 방식(830)이 피부 장력의 75%까지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테스트는 자연 치유 방식(830)의 상처 복원력인 75%를 기준으로 비교하되, 제안된 방식인 전극+하이드로콜로이드 방식(820)이 12일 동안 최대 72~73%까지 효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동일 범위 기간인 12일 동안의 상호 비교를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전극+하이드로콜로이드 방식의 상처치료를 해도 상처복원력은 85%까지 한계를 가지며,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없는 전극만 사용하는 방식(810)에서는 무균 챔버에서 외부 바이러스 침투를 최소화하여 염증 반응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테스트하지만, 이 경우에도 공기로 인한 상처 가피(crust)의 영향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반영하여 12일간의 테스트를 통해 전극+하이드로 콜로이드 방식(820)의 상처 복원력에 대한 우월성을 검증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0)

  1.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전력을 유도하는, 통신 모듈; 및
    상처부위의 회복 속도를 향상시키는, 밴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생체모방소재 전극;
    상기 생체모방소재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처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상처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생체모방소재 패턴; 및
    상기 생체모방소재 전극과 상기 생체모방소재 패턴 사이에 개재되는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모방소재 전극, 상기 생체모방소재 패턴 및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전기 전도가 가능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분해되어 생체 흡수가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는,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밴드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LDO 레귤레이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밴드 모듈로 공급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의 공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연령 또는 비만도가 높을수록 상기 밴드 모듈에 제공하는 전력의 양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상처부위의 치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밴드 모듈에 제공하는 전력의 양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상처부위의 치료 시간이 경과될수록 또는 상기 상처부위의 회복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밴드 모듈에 제공하는 전력의 양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모방소재 전극과 상기 생체모방소재 패턴은 분해 속도가 상이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모방소재 전극의 분해 속도는 상기 생체모방소재 패턴의 분해 속도보다 느린,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모방소재 전극의 두께는 상기 생체모방소재 패턴의 두께보다 두꺼운,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상기 전기적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통해 녹는 속도가 가속화되는,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KR1020230108633A 2023-04-10 2023-08-18 생체이식을 위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KR10261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633A KR102612607B1 (ko) 2023-04-10 2023-08-18 생체이식을 위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547A KR102570162B1 (ko) 2023-04-10 2023-04-10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KR1020230108633A KR102612607B1 (ko) 2023-04-10 2023-08-18 생체이식을 위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547A Division KR102570162B1 (ko) 2023-04-10 2023-04-10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607B1 true KR102612607B1 (ko) 2023-12-14

Family

ID=878021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547A KR102570162B1 (ko) 2023-04-10 2023-04-10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KR1020230108633A KR102612607B1 (ko) 2023-04-10 2023-08-18 생체이식을 위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547A KR102570162B1 (ko) 2023-04-10 2023-04-10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0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992B1 (ko) * 2023-08-24 2024-04-19 주식회사 에너지마이닝 자가치료가 가능한 창상 및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제어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974A (ko) * 2015-10-14 2017-04-24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상 진단 및 치료용 복합 전극패드
KR101790081B1 (ko) 2016-06-29 2017-10-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료용 밴드 장치
JP2021502845A (ja) * 2017-11-15 2021-02-04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統合センサ対応型創傷モニタリングおよび/または治療被覆材ならびにシステム
KR20210101125A (ko) * 2020-02-07 2021-08-18 바이오센서연구소 주식회사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환부 치료 장치
KR20220013894A (ko) * 2020-07-27 2022-02-04 손정완 조직재생용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보철장치
KR102516252B1 (ko) * 2022-12-13 2023-03-31 엔사이드 주식회사 신경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994A (ko) * 2002-01-15 2003-07-23 세인전자 주식회사 미소전류를 이용한 통증치료용 반창고
CN110636880A (zh) * 2017-05-25 2019-12-31 Nse 产品公司 用于清洁和处理皮肤的装置的tens附件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974A (ko) * 2015-10-14 2017-04-24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상 진단 및 치료용 복합 전극패드
KR101790081B1 (ko) 2016-06-29 2017-10-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료용 밴드 장치
JP2021502845A (ja) * 2017-11-15 2021-02-04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統合センサ対応型創傷モニタリングおよび/または治療被覆材ならびにシステム
KR20210101125A (ko) * 2020-02-07 2021-08-18 바이오센서연구소 주식회사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환부 치료 장치
KR20220013894A (ko) * 2020-07-27 2022-02-04 손정완 조직재생용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보철장치
KR102516252B1 (ko) * 2022-12-13 2023-03-31 엔사이드 주식회사 신경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162B1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nckler et al. A current affair: electrotherapy in wound healing
US9731109B2 (en) Expandable wound dressings
KR102612607B1 (ko) 생체이식을 위한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Weiss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wound healing
Kloth Electrical stimulation for wound healing: a review of evidence from in vitro studies, animal experiments, and clinical trials
EP0099758B1 (en) Composite wound dressing
US20060212077A1 (en) Electromagnetic treatment apparatus for augmenting wound repair and method for using same
IS8909A (is) Rauðkornavaki til örvunar á innanþekju forverafrumum.
Hammer et al. Restoring full‐thickness defects with spray skin in conjunction with dermal regenerate template and split‐thickness skin grafting: a pilot study
Cai et al. [Retracted] Analysis of the Curative Effect and Influencing Factors of Collagen Sponge Combined with Autologous Skin Graft in the Treatment of Deep Burn Patients
CN208388858U (zh) 一种微电流护创敷料
KR20190051679A (ko) 상처 치유 가속화 장치
KR102658992B1 (ko) 자가치료가 가능한 창상 및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제어 시스템
US20220288386A1 (en) Current stimulation device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treatment system through current stimulation
Dingle et al. The Osseointegrated Neural Interface For Prosthetic Control: A Chronic, Percutaneous, Rabbit Model
Papadopoulos et al.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ower Extremity
Henn et al. Adoptive Transfer Of Tolerogenic Dendritic Cells Promotes Angiogenesis And Wound Healing
Matar et al. 32.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Regulates Yes-Associated Protein and Engrailed-1 Pathways to Prevent Scarring in Diabetic Wounds
CN116019970A (zh) 高含氧水性凝胶的制造方法
Devine Electric stimulation and wound healing
Pallua et al. Skin Replacement
Stoeckel et al. SPECIFIC THERAPY IN ITS CURRENT STATE: Vacuum Assisted Closure (VAC Therapy, Kinetic Concepts Inc., San Antonio, TX) con-sists of an open-cell polyurethane foam dressing
CURRENT Vacuum Assisted Devices for Difficult Wounds of the Face and Neck
Greer et al. THERAPY DESCRIPTIONS AND REFER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