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241B1 - Printer having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 Google Patents

Printer having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241B1
KR102612241B1 KR1020230039991A KR20230039991A KR102612241B1 KR 102612241 B1 KR102612241 B1 KR 102612241B1 KR 1020230039991 A KR1020230039991 A KR 1020230039991A KR 20230039991 A KR20230039991 A KR 20230039991A KR 102612241 B1 KR102612241 B1 KR 102612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head
nozzle
cleaning
cleaning device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딜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딜리
Priority to KR102023003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2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4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6Spra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7Suction devic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잉크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노즐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린트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노즐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노즐과 상기 노즐 주변부에 존재하는 세척수를 석션 방식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클리닝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 head fixed to a support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spray ink, and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to form a plurality of nozzles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 cleaning device is disposed to partially cover the print hea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int hea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cleaning device sprays cleaning water toward the nozzle and onto the nozzle and the nozzle periphery. Disclosed is a printer having a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that removes existing washing water using a suction method.

Description

프린트 헤드 클리닝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PRINTER HAVING PRINT HEAD CLEANING FUNCTION}Printer having a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PRINTER HAVING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프린트 헤드를 청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r that provides a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잉크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문서나 이미지를 인쇄하는 장치이다. 잉크를 이용하는 프린터의 경우 프린트 헤드가 이동하면서 인쇄 소재 상에 잉크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인쇄가 이루어진다. 프린트 헤드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이 구비된다.In general, a printer is a device that prints documents or images using ink or laser. In the case of a printer using ink, printing is performed by spraying ink onto the printing material while the print head moves. The print hea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that spray ink.

이러한 프린터의 인쇄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잉크의 온도 변화에 따라 잉크의 점도가 달라지게 되고, 프린트 헤드의 노즐과 노즐 주변부에 잉크와 인쇄 과정 중에 발생하는 불순물에 의해 오염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printing process of such a printer is continuously performed, the viscosity of the ink chang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ink, and the nozzle of the print head and the area around the nozzle are contaminated by the ink and impurities generated during the printing process.

프린트 헤드의 노즐 오염은 인쇄 품질을 저하시키고, 노즐 자체를 막히게 하거나 파손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노즐의 오염은 프린터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프린터의 고장으로 인한 불편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Contamination of the print head's nozzles can reduce printing quality and cause the nozzles themselves to become clogged or damaged. In addition, contamination of the nozzle can reduc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printer and cause inconvenience due to printer failure.

이에 따라, 프린터 헤드의 노즐을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프린터의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printer with a function that can more effectively clean the nozzles of the printer head may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프린터 헤드의 노즐 클리닝 과정에서 노즐 클리닝 공정 수행에 따른 추가적인 오염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r that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contamination due to the nozzle cleaning process during the nozzle cleaning process of the printer head.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프린트 헤드의 노즐 클리닝 과정에서 노즐 청소를 위한 구성이 노즐과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r that can maintain a nozzle cleaning configura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nozzle during the nozzle cleaning process of the print hea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잉크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프린트 헤드;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노즐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린트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노즐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노즐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세척수를 석션 방식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support plate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at the bottom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to spray ink. print head; and a cleaning device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and arranged to cove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wherein the cleaning device moves toward the nozzles. Washing water is sprayed, and washing water existing in the periphery of the nozzle is removed using a suction metho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노즐과 마주하는 상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의 하부와 함께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바디부 간의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형성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device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recess portion that opens toward an upper portion facing the nozzle and forms a cleaning space together with a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and a gap maintenance part mounted on the body part to maintain a preset gap between the print head and the body par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리세스부를 한정하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프린트 헤드 양측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볼을 구비하는 볼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maintenance portion is a ball screwed into a fasten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defining the recess portion and made to roll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It may include a ball plunger having a.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장착되고, 외륜이 상기 프린트 헤드 양측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maintenance part may include a bearing that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and whose outer rings are in rolling contact with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s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결합축이 베어링의 중심에 편심되게 위치하는 편심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maintenanc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ccentric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and having a coupling shaft mounted on the body portion eccentrical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earing.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부를 한정하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 양측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바디부의 상면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defining the recess portion and contacts th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s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respectively, and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a low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t may include a coating lay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바디부의 아래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바디부를 상기 프린트 헤드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device includes a bas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and an elastic pressing part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body part to press the body part toward the print hea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부의 저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노즐의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는 상기 리세스부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recess is formed to slope down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the nozzle may be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ss. there i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리세스부를 한정하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밀착되는 씰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al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defining the recess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 클리닝 방법은,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프린트 헤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를 상기 복수의 노즐의 일부를 덮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세척장치를 통해 상기 노즐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노즐을 세척하는 세척수 분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노즐과 상기 노즐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세척수를 석션 방식으로 제거하는 석션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leaning a print head of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 head fixed to a support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A printer comprising a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arranging the cleaning device to be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of the print head, with the cleaning device positioned to cove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nozzles; performing a washing water spraying process of cleaning the nozzle by spraying washing water toward the nozzle through the washing device; and performing a suction process to remove the washing water present in the nozzle and the periphery of the nozzle using a suction method.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olution are as follows.

프린터의 세척장치는, 복수의 노즐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프린트 헤드가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프린트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노즐의 세척 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세척장치를 통한 노즐의 세척은, 노즐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노즐을 세척하고 노즐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printer's cleaning device is arranged to cover a portion of a plurality of nozzles and is supported on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print head is fixed, and moves along the length of the print head to perform a nozzle cleaning process. Here, the cleaning of the nozzle using the cleaning device is performed by spraying cleaning water into the nozzle to clean the nozzle and removing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leaning the nozzle by suctioning it.

이와 같은 프린터의 구성에 의하면, 세척장치가 프린트 헤드의 복수의 노즐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노즐로 세척수를 분사하고 노즐을 세척하고 발생하는 오염수를 바로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노즐 세척 과정에서 세척수와 오염수에 의해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inter, the cleaning device is arranged to cover som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of the print head, sprays cleaning water to the nozzle, cleans the nozzle, and immediately suctions and removes the generated contaminated water, thereby performing a nozzle cleaning process. The area where secondary contamination can occur due to washing water and contaminated water can be minimized.

또한, 세척장치는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바디부와, 바디부에 장착되어 프린트 헤드와 바디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형성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leaning device may include a body portion having a recess portion, and a gap maintenance portion mounted on the body portion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print head and the body portion.

이와 같은 세척장치의 구조에 의하면, 세척장치의 바디부와 프린트 헤드가 직접 맞닿지 않으며, 세척장치와 프린트 헤드 사이의 간격을 기설정된 크기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세척장치의 세척 기능과 이동 동작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is cleaning device, the body of the cleaning device and the print head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nd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device and the print head is kept constant at a preset size to ensure the cleaning function and movement of the cleaning device are stable. It can be implemented wi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의 일 예가 적용된 프린터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의 다른 일 예가 적용된 프린터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베어링 및 편심 체결부재의 정면도와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의 또 다른 일 예가 적용된 프린터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에 구비되는 씰의 일 예가 적용된 프린터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 클리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rinter to which an example of the gap maintenance unit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 1 is applie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 5.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rinter to which another example of the gap maintenance unit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 1 is applied.
Figure 8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ring and eccentric fastening member shown in Figure 7.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rinter to which another example of the gap maintenance unit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 1 is applie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 9.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rinter to which an example of a seal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 1 is applied.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 11.
Figure 1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leaning a print head of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프린트 헤드 클리닝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inter 100 equipped with a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dentical and similar reference numbers are assigned to identical and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12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120)의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120)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leaning device 120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leaning device 120 shown in FIG. 1.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cleaning device 120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프린트 헤드(110) 및 세척장치(120)를 포함한다.1 to 4, the printer 100 includes a print head 110 and a cleaning device 120.

프린트 헤드(11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프린트 헤드(110)는 잉크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111)을 구비한다. 복수의 노즐(111)을 통해 분사되는 잉크는 성질에 따라 수성 또는 유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노즐(111)은 잉크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프린트 헤드(110)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110)의 하부에 프린트 헤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print head 110 may extend in one direction. The print head 110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111 that spray ink. Ink spr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may be water-based or oil-based depending on its properties.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are formed to spray ink an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print head 110. As shown in FIG. 1 ,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part of the print head 11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110 .

프린트 헤드(110)는 지지 플레이트(110a)에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0a)는 복수의 노즐(111)이 노출되는 프린트 헤드(110)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 head 110 may be fixed to the support plate 110a. The support plate 110a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110 where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are exposed.

세척장치(120)는 복수의 노즐(111)을 세척하도록 이루어진다. 세척장치(120)는 지지 플레이트(110a)에 지지되어 복수의 노즐(111)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세척장치(120)는 적어도 일부가 프린트 헤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120 is configured to clean a plurality of nozzles 111. The cleaning device 120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110a and arranged to cove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110.

세척장치(120)는 프린트 헤드(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복수의 노즐(111)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장치(120)는 프린트 헤드(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부에서 시작하여 타단부로 가면서 복수의 노즐(111) 전체에 대한 세척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세척장치(120)는 프린트 헤드(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부가 아닌 프린트 헤드(11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간 부분부터 시작하여 일단부 또는 타단부로 가면서 노즐(111)에 대한 세척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to clean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while moving from one side of the print head 110 to the other side. For example, the cleaning device 120 may perform a cleaning process on all of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starting from one end and moving to the other end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110. In contrast, the cleaning device 120 starts from the middle part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int head 110, rather than from one end,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110, and moves to one end or the other end to form a nozzle 111. ) can be subjected to a cleaning process.

한편, 노즐(111)의 세척 공정 수행을 위해 세척장치(120)가 지지 플레이트(110a)에 지지되게 복수의 노즐(111)을 덮도록 배치되는 과정은 프린트 헤드(110)가 이동하거나 세척장치(120)가 이동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erform the cleaning process of the nozzles 111,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cleaning device 120 to cover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110a is a process in which the print head 110 moves or the cleaning device ( 120) can be achieved as it moves.

예를 들어, 세척장치(120)에 의한 노즐(111)의 세척은, 세척장치(12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프린트 헤드(110)가 세척장치(120)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세척장치(120)에 의한 노즐(111)의 세척은, 프린트 헤드(11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세척장치(120)가 프린트 헤드(110)로 이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cleaning of the nozzle 111 by the cleaning device 120 can be accomplished by moving the print head 110 to the location where the cleaning device 120 is located while the position of the cleaning device 120 is fixed. there is. In contrast, cleaning of the nozzle 111 by the cleaning device 120 may be performed by moving the cleaning device 120 to the print head 110 while the position of the print head 110 is fixed.

세척장치(120)는 노즐(111)을 향하여 세척수(W1)를 분사하고, 노즐(111)과 노즐(111) 주변부에 존재하는 세척수(W1)를 석션 방식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W1)는 예를 들어 DI Water(deionized wa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DI Water는 물이 자체 이온화하여 생긴 이온을 제외하고는 불순물이 하나도 없는 순수한 물을 의미한다. 상기 DI Water는 증류수를 양이온, 음이온 교환수지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The washing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W1 toward the nozzle 111 and remove the washing water W1 existing in the nozzle 111 and the surrounding area of the nozzle 111 using a suction method. Here, the washing water W1 may be made of, for example, DI Water (deionized water). The DI Water refers to pure water without any impurities except for ions created by self-ionization of water. The DI Water can be made by sequentially passing distilled water through a cation and anion exchange res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린터(100)는, 세척장치(120)가 프린트 헤드(110)가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110a)에 지지되어 복수의 노즐(111)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프린트 헤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노즐(111)의 세척 공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in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device 120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110a on which the print head 110 is fixed and arranged to cove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A cleaning process for the nozzle 111 is performed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110.

여기서, 세척장치(120)의 이동 동작은 세척장치(120)가 지지 플레이트(110a)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어렵다. 만약 세척장치(120)가 지지 플레이트(110a)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세척장치(120)가 노즐(111)에 부딪혀 노즐(111)의 손상에 발생할 수 있으며, 세척장치(120)와 지지 플레이트(110a)의 상호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세척장치(120)의 이동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Here, it is difficult to move the cleaning device 120 while the cleaning device 120 is in complet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110a. If the cleaning device 120 moves while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110a, the cleaning device 120 may hit the nozzle 111 and damage the nozzle 111, and the cleaning device 120 may be damaged.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nd the support plate 110a increases, it is difficult for the cleaning device 120 to move stably.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프린터(100)의 세척장치(120)에는 간격유지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cleaning device 120 of the prin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gap maintenance unit 122.

이하 간격유지부(122)를 포함하는 세척장치(12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leaning device 120 including the gap maintenance unit 122 will be described.

세척장치(120)는 바디부(121) 및 간격유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12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21 and a gap maintenance portion 122.

바디부(121)는 세척 장치(120)의 외관을 형성하며 리세스부(121a)를 구비한다. 리세스부(121a)는 복수의 노즐(111)과 마주하는 상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프린트 헤드(110)의 하부와 함께 세척 공간(121a')을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21 forms the exterior of the cleaning device 120 and includes a recess portion 121a. The recess portion 121a may be opened toward the upper portion facing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to form a cleaning space 121a' together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110.

간격유지부(122)는 바디부(121)에 장착되어, 프린트 헤드(110)와 바디부(121) 간의 기설정된 간격(G)을 유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122)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gap maintenance unit 122 may be mounted on the body 121 to maintain a preset gap G between the print head 110 and the body 121.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ap maintenance unit 12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세척장치(120)는 유입구(121a1) 및 배출구(121a2)와, 세척수(W1) 수용부(123a) 및 오염수(W2) 수용부(124a)와, 세척수(W1) 공급관(123c) 및 오염수(W2) 배출관(124c)과, 세척수(W1) 공급수단(123b) 및 오염수(W2) 배출수단(124b)과 석션유닛(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washing device 120 includes an inlet 121a1 and an outlet 121a2, a washing water (W1) receiving part 123a, a contaminated water (W2) receiving part 124a, and washing water (W1).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pipe (123c), a contaminated water (W2) discharge pipe (124c), a washing water (W1) supply means (123b), a contaminated water (W2) discharge means (124b), and a suction unit 128.

유입구(121a1) 및 배출구(121a2)는 리세스부(121a)의 저면(121a3)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21a1)와 배출구(121a2)는 프린트 헤드(110)의 하부와 리세스부(121a)에 의해 형성되는 세척 공간(121a')으로 상기 세척수(W1)가 유입되고 상기 오염수(W2)가 배출되는 유로를 각각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 유입구(121a1)와 배출구(121a2)는 각각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유입구(121a1)와 배출구(121a2)의 형상이 원형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며,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let 121a1 and the outlet 121a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21a3 of the recess portion 121a. The inlet 121a1 and the outlet 121a2 allow the washing water W1 to flow into the washing space 121a' formed by the lower part of the print head 110 and the recess 121a, and the contaminated water W2 to flow therethrough. The discharge flow path is provided for each. Meanwhile,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121a1 and the outlet 121a2 are each shown as circular, but the shapes of the inlet 121a1 and the outlet 121a2 are not limited to circular shapes, and may be formed in polygons such as squares. .

또한, 세척장치(120)에는 유입구(121a1)를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세척수 분사 노즐(121a1')이 구비될 수 있다. 세척수 분사 노즐(121a1')은 도 2 및 도 3에서 유입구(121a1)에서 세척공간(121a')으로 돌출 형성되게 도시되었으나, 세척수(W1)가 분사되는 일단부가 세척공간(121a') 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washing device 120 may be provided with a washing water spray nozzle 121a1'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through the inlet 121a1.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121a1' is shown to protrude from the inlet 121a1 to the washing space 121a' in FIGS. 2 and 3, but one end where the washing water W1 is sprayed protrudes onto the washing space 121a'. It may be arranged so that it does not occur.

여기서, 유입구(121a1) 및 배출구(121a2)는 리세스부(121a)의 저면(121a3)의 형상에 따라 높이차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리세스부(121a)의 저면에 경사가 없는 구조일 경우에는 유입구(121a1) 및 배출구(121a2)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nlet 121a1 and the outlet 121a2 may have a heigh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21a3 of the recess portion 121a.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when the bottom of the recess portion 121a has no slope, the inlet 121a1 and the outlet 121a2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이와 달리, 도 3을 참조하면, 리세스부(121a)의 저면(121a3)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배출구(121a2)는 리세스부(121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구(121a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부(121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구(121a2)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세스부(121a)의 타측에서 유입구(121a1)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됨에 따라, 노즐(111)의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오염수(W2)가 리세스부(121a)의 저면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려 배출구(121a2)를 통해 세척 공간(121a')으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세척 공간(121a') 상에 상기 오염수(W2)가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오염수(W2)의 제거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contrast, referring to FIG. 3, the bottom surface 121a3 of the recess portion 121a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the outlet 121a2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ss portion 121a. Here, the inlet 121a1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recess 121a as shown in FIG. 3. In this way, as the outlet 121a2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inlet 121a1 on the other side of the downwardly inclined recess 121a, the contaminated water W2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the nozzle 111 is It flows down along the slope of the bottom of the recess portion 121a and exits the washing space 121a'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1a2. Accordingly, while preventing the contaminated water W2 from accumulating on the washing space 121a', the contaminated water W2 can be removed more quickly.

세척수(W1) 수용부(123a) 및 오염수(W2) 수용부(124a)는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세척수(W1)와 상기 오염수(W2)를 각각 수용하도록 형성된다.The washing water (W1) receiving part 123a and the contaminated water (W2) receiving part 124a have a receiving space of a certain size therein and are formed to accommodate the washing water (W1) and the contaminated water (W2), respectively. .

세척수(W1) 공급관(123c) 및 오염수(W2) 배출관(124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유입구(121a1) 및 배출구(121a2)에 각각 연결되며, 타측은 세척수(W1) 수용부(123a) 및 오염수(W2) 수용부(124a)와 각각 연결되게 형성된다. 또한, 세척수(W1) 공급관(123c) 상에는 세척 공간(121a')으로 상기 세척수(W1)가 유입되기 전 상기 세척수(W1)를 한번 더 정화시키도록 형성되는 정화 필터(123c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화 필터(123c1)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세척수(W1)에 존재하는 불순물 함유량을 크게 낮춰 노즐(111)의 세척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One side of the washing water (W1) supply pipe 123c and the contaminated water (W2) discharge pipe 124c is connected to the inlet 121a1 and the outlet 121a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 and the other side accommodates the washing water (W1). I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ortion 123a and the contaminated water (W2) receiving portion 124a, respectively. In addition, a purification filter 123c1 may be provided on the washing water W1 supply pipe 123c to purify the washing water W1 once more before the washing water W1 flows into the washing space 121a'. .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urification filter 123c1, the content of impurities present in the washing water W1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cleaning quality of the nozzle 111.

세척수(W1) 공급수단(123b) 및 오염수(W2) 배출수단(124b)은, 세척수(W1) 공급관(123c) 과 오염수(W2) 배출관(124c)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W1)와 상기 오염수(W2)를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세척수(W1) 공급수단(123b) 및 오염수(W2) 배출수단(124b)은 예를 들어 압력을 통하여 액체, 기체를 빨아들이거나 이동시키는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shing water (W1) supply means (123b) and the contaminated water (W2) discharge means (124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W1) supply pipe (123c) and the contaminated water (W2) discharge pipe (124c) to supply the washing water (W1) and It is configured to provide force to move the contaminated water (W2). The washing water (W1) supply means (123b) and the contaminated water (W2) discharge means (124b) may be, for example, a pump that sucks in or moves liquid or gas through pressure.

석션유닛(128)은 세척공간(121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튜브(128a)와 연결되어, 세척공간(121a') 상의 공기(A)를 흡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석션유닛(128)은 예를 들어, 압력을 통하여 액체 내지 기체를 빨아들이는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석션유닛(128) 및 튜브(128a)의 구성에 의하면, 강한 석션 기류를 세척공간(121a')에 형성시켜 노즐(111)과 노즐(111)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세척수(W1) 또는 오염수(W2)와 불순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트 헤드(110)의 노즐(111)과 노즐(111) 주변부에 잔류하는 세척수(W1) 또는 오염수(W2)와 불순물의 제거를 위해 헝겊 등을 이용한 별도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다. The suction unit 128 may be connected to a tube 128a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leaning space 121a', and may be configured to suck the air A on the cleaning space 121a'. For example, the suction unit 128 may be configured as a pump that sucks liquid or gas through pressu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unit 128 and the tube 128a, a strong suction airflow is formed in the washing space 121a' to remove the washing water W1 or contamination present in the nozzle 111 and the surrounding area of the nozzle 111. Water (W2) and impurities can be removed. Accordingly, even if a separate cleaning operation using a cloth or the like is not performed to remove the washing water (W1) or contaminated water (W2) and impurities remaining in the nozzle 111 of the print head 110 and around the nozzle 111, It can be completed easily.

한편, 본 발명의 프린터(100)에 구비되는 세척장치(120)는 프린트 헤드(110) 양측의 지지 플레이트(110a)에 지지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세척장치(120)의 이동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세척장치(120)가 노즐(111)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를 최대한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Meanwhile, the cleaning device 120 provided in the prin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on support plates 110a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110 and is mov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device 1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nozzle 111 as much as possible even while the cleaning device 120 is moving.

이하, 세척장치(120)의 이동 동작 시에도 세척장치(120)가 노즐(111)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세척장치(120)의 구조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 to FIGS. 2 and 3 for the structure of the cleaning device 120 to stably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device 120 is placed adjacent to the nozzle 111 even when the cleaning device 120 moves. This explain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세척장치(120)는 베이스부(125) 및 탄성 가압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cleaning device 120 may further include a base portion 125 and an elastic pressing portion 126.

베이스부(125)는 세척장치(120)의 바디부(121) 아래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25)는 세척장치(120)의 바디부(121)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장치(120)의 이동 동작 시에 세척장치(120)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25)는 세척장치(120)를 프린트 헤드(11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이송장치(미도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125 may be spaced apart below the body portion 121 of the cleaning device 120. The base portion 125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body portion 121 of the cleaning device 120 is seated, and moves together with the cleaning device 120 when the cleaning device 120 moves. The base portion 125 may form part of a transfer device (not shown) that moves the cleaning device 120 relative to the print head 110.

탄성 가압부(126)는 베이스부(125)와 세척장치(120)의 바디부(1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탄성 가압부(126)는 바디부(121)를 프린트 헤드(110)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가압부(126)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스프링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astic pressing portion 126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ortion 125 and the body portion 121 of the cleaning device 120.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126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 body portion 121 toward the print head 110.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126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may have a spring structure.

이와 같은 베이스부(125)와 탄성 가압부(126)의 구성에 의하면, 세척장치(120)가 프린트 헤드(110) 양측의 지지 플레이트(110a)에 지지되어 이동 시에, 지속적으로 세척장치(120)의 바디부(121)를 프린트 헤드(110) 측으로 밀어주어 바디부(121)가 노즐(111)과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121)의 리세스부(121a)가 노즐(111)을 최대한 감싸도록 배치되어 노즐(111)에 대한 클리닝 공정 수행에 따라 발생 가능한 추가적인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장치(120)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W1)와 노즐(111)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노즐(111)에 대한 세척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portion 125 and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126, when the cleaning device 120 is mov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s 110a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110, the cleaning device 120 is continuously moved. ) can be pushed toward the print head 110 to maintain the body portion 121 disposed adjacent to the nozzle 111. Accordingly, the recess portion 121a of the body portion 121 is arranged to surround the nozzle 111 as much as possible, thereby minimizing additional contamination that may occur when a clean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nozzle 111. In addition, the cleaning effect on the nozzle 111 can be further improved by minimiz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ashing water W1 sprayed through the cleaning device 120 and the nozzle 111.

한편, 프린터(10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inter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제어부는 잉크의 분사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세척장치(120)에 의해 복수의 노즐(111)에 대한 세척이 수행되기 이전, 또는 세척장치(120)에 의해 노즐(111)에 대한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 노즐(111)을 통해 기설정된 분사 압력과 분사 시간의 조건에 따라 잉크를 분사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노즐(111)을 통한 잉크의 분사량, 분사 압력, 분사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쇄를 위한 제1 범위와 다른 제2 범위로 제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n ink spraying opera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nozzles 111 before cleaning of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is performed by the cleaning device 120 or after cleaning of the nozzles 111 by the cleaning device 120 is completed. Ink can be jetted according to preset jetting pressure and jetting time conditions. That is,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injection amount, injection pressure, and injection time of ink through the nozzle 111 to a second range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range for printing.

이러한 상기 제어부의 구성에 의하면, 노즐(111)을 통해 잉크를 분사하여 세척장치(120)에 의한 노즐(111) 세척 전 노즐(111)의 출구 상에 잉크가 경화되어 막힌 상태를 해소함으로써 이후 세척장치(120)에 의한 노즐(111)의 세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참고로, 잉크 또는 불순물 등에 의해 노즐(111)의 막힌 상태의 정도가 심할 경우 노즐의 파손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프린터(10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노즐(111) 세척이 완료된 후 노즐(111)의 출구 상에 존재하는 상기 세척수(W1) 또는 상기 오염수(W2)를 제거함으로써 세척 과정 이후 프린터(100)의 인쇄가 다시 시작될 때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ink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111 and the ink hardens on the outlet of the nozzle 111 before cleaning the nozzle 111 by the cleaning device 120, thereby eliminating the blockage and subsequent cleaning. The cleaning effect of the nozzle 111 by the device 120 can be improved. For reference, if the nozzle 111 is severely blocked by ink or impurities, the nozzle may be damaged. In addition, the printer 100 removes the washing water (W1) or the contaminated water (W2) present on the outlet of the nozzle 111 after the cleaning of the nozzle 111 is completed by the control unit, thereby removing the printer 100 after the cleaning process. ) can prevent the print quality from deteriorating when printing resumes.

이상에서 설명한 프린터(100)의 구성에 의하면, 세척장치(120)가 프린트 헤드(110)의 복수의 노즐(111)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노즐(111)로 상기 세척수(W1)를 분사하여 노즐(111)을 세척하고, 노즐(111)을 세척하고 발생하는 상기 오염수(W2)를 바로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프린트 헤드(110)의 노즐(111)에 대한 세척 과정에서 상기 세척수(W1) 및 상기 오염수(W2), 그리고 노즐(111)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타 불순물에 의해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er 100 described above, the washing device 120 is arranged to cove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of the print head 110, and the washing water (W1) is applied to the nozzle 111. By spraying to clean the nozzle 111, and immediately sucking and removing the contaminated water (W2) generated after cleaning the nozzle 111, the cleaning water (W2) is remov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for the nozzle 111 of the print head 11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rea where secondary contamination may occur due to W1), the contaminated water (W2), and other impurities generated during the nozzle 111 cleaning process.

이하, 세척장치(120)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122)의 일 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of the gap maintenance unit 122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볼 플런저(122a)를 포함하는 간격유지부(122)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gap maintenance part 122 including the ball plunger 122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120)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122)의 일 예가 적용된 프린터(100)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세척장치(100)의 사시도이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rinter 100 to which an example of the gap maintenance unit 122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120 shown in FIG. 1 is applie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device 100 shown in Figure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간격유지부(122)는 볼 플런저(122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gap maintenance portion 122 may include a ball plunger 122a.

볼 플런저(122a)는 리세스부(121a)를 한정하는 바디부(121)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121b)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체결홀(121b)은 상기 바디부(121)의 상면에서 바디부(121)의 저면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ball plunger 122a may be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defining the recess portion 121a. The fastening hole 121b may be formed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볼 플런저(122a)는 프린트 헤드(110) 양측의 지지 플레이트(110a)의 하부에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볼(122a1)을 구비한다. 볼 플런저(122a)에는 볼(122a1)이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볼홈(122a2)이 구비될 수 있다. 볼(122a1)은 리세스부(121a)를 한정하는 바디부(121)의 상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 만큼 돌출된다. 볼(122a1)은, 세척장치(120)가 프린트 헤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시에 회전하면서 프린트 헤드(110)와 바디부(121) 간의 기설정된 간격(G)을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ball plunger 122a includes balls 122a1 that are brought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s 110a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110, respectively. The ball plunger 122a may be provided with a ball groove 122a2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ball 122a1 can be seated and rotated. The ball 122a1 protrudes by a preset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defining the recess portion 121a. The ball 122a1 rotates when the cleaning device 12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110 and maintains a preset gap (G) between the print head 110 and the body portion 121. .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볼 플런저(122a)의 볼(122a1)과 접하는 프린트 헤드(110)의 일면에는 상기 볼(122a1)의 일부가 안착되어 가이드될 수 있게 형성되는 볼 가이드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 가이드 홈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볼(122a1)이 상기 볼 가이드 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여, 세척장치(120)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ll guide groove (not show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 head 110 in contact with the ball 122a1 of the ball plunger 122a so that a portion of the ball 122a1 can be seated and guided. city)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all guide groove, the ball 122a1 can be moved while seated in the ball guide groove, so that the cleaning device 120 can be moved more stably.

프린트 헤드(110)와 바디부(121) 간의 기설정된 간격(G)은 볼(122a1)이 배치되는 볼 플런저(122a)의 일단부가 상기 바디부(1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볼 플런저(122a)의 일단부가 상기 바디부(1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는, 바디부(121)의 체결홀(121b)에 나사 체결된 볼 플런저(122a)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볼 플런저(122a)의 타단부에는 볼 플런저(122a)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122a3)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볼 플런저(122a)의 타단부에는 체결홈(122a3)과 같은 홈 형태가 아닌 돌기 형태의 체결돌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볼 플런저(122a)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t gap (G) between the print head 110 and the body portion 121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one end of the ball plunger 122a on which the ball 122a1 is dispose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You can. Here, the extent to which one end of the ball plunger 122a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21 is determined by the degree to which the ball plunger 122a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b of the body 12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It can be adjusted by rotating it. The other end of the ball plunger 122a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122a3 into which a tool for rotating the ball plunger 122a can be inserted. Howev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ball plunger 122a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not shown) in the form of a protrusion rather than a groove like the fastening groove 122a3. At this time, a tool for rotating the ball plunger 122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볼 플런저(122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21)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바디부(1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121)가 지지 플레이트(110a)에 균형 잡힌 상태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6에서 볼 플런저(122a)는 바디부(121) 상에 4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볼 플런저(122a)의 개수는 4개가 아닌 다른 짝수개 또는 홀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볼 플런저(122a)의 개수가 홀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볼 플런저(122a)가 바디부(121)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바디부(1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홀수개의 볼 플런저(122a)가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6, the ball plungers 122a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21 based on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21 to form a pair. Accordingly, the body portion 121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in a balanced state on the support plate 110a. In FIG. 6, four ball plungers 122a are shown as being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121, but the number of ball plungers 122a may be an even or odd number other than four. When the number of ball plungers 122a is odd, the ball plungers 122a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21 based on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21, forming a pair. It is preferable that an odd number of ball plungers 122a ar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state provided to achieve this.

이하, 세척장치(120)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122)의 다른 일 예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xample of the gap maintenance unit 122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100)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122)의 다른 일 예가 적용된 프린터(100)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베어링(122b) 및 편심 체결부재(122c)의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베어링(122b) 및 편심 체결부재(122c)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도시된 A1-A1 선에 따른 베어링(122b) 및 편심 체결부재(122c)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rinter 100 to which another example of the gap maintenance unit 122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applied. FIG. 8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ring 122b and the eccentric fastening member 122c shown in FIG. 7. Figure 8 (a) shows a front view of the bearing 122b and the eccentric fastening member 122c, and Figure 8 (b) shows the bearing 122b and the bearing 122b along the line A1-A1 shown in Figure 8 (a).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ccentric fastening member 122c.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간격유지부(122)는 베어링(122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gap maintenance portion 122 may include a bearing 122b.

베어링(122b)은 바디부(121)의 양측에 장착되고, 외륜(122b1)이 프린트 헤드(110) 양측의 지지 플레이트(110a)의 하부에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베어링(122b)의 외륜(122b1)과 내륜(122b2) 사이에는 복수의 베어링 볼(122b3)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어링(122b)의 외륜(122b1)과 내륜(122b2) 사이에는 볼(122b3)이 아닌 롤러(미도시)가 개재될 수도 있다.The bearings 122b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outer rings 122b1 may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s 110a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11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bearing balls 122b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ring 122b1 and the inner ring 122b2 of the bearing 122b.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ller (not shown) rather than a ball 122b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ring 122b1 and the inner ring 122b2 of the bearing 122b.

베어링(122b)은 바디부(121)에 장착되는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프린트 헤드(110)와 바디부(121) 간의 기설정된 간격(G)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외륜(122b1)일 경우, 베어링(122b)이 바디부(121) 상에 장착되는 위치가 리세스부(121a)를 한정하는 바디부(121)의 상면에 가깝게 위치할수록, 프린트 헤드(110)와 바디부(121) 간의 기설정된 간격(G)이 늘어나거나, 반대로 베어링(122b)이 바디부(121) 상에 장착되는 위치가 상기 바디부(121)의 상면에서 멀게 위치할수록, 프린트 헤드(110)와 바디부(121) 간의 기설정된 간격(G)이 줄어든다.As the position at which the bearing 122b is mounted on the body 121 changes, the preset gap G between the print head 110 and the body 121 can be adjust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outer ring 122b1 having the same outer diameter, the position at which the bearing 122b is mounted on the body 121 is located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21 defining the recess 121a. As the preset gap G between the print head 110 and the body 121 increases, or, conversely, the position at which the bearing 122b is mounted on the body 121 increases, the position at which the bearing 122b is mounted on the body 121 increases. The further away it is located, the smaller the preset gap (G) between the print head 110 and the body portion 121 is.

도 7을 참조하면 베어링(122b)은, 바디부(121)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바디부(1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121)가 지지 플레이트(110a)에 균형 잡힌 상태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7에서 베어링(122b)은 바디부(121) 상에 4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베어링(122b)의 개수는 4개가 아닌 다른 짝수개 또는 홀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bearings 122b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21 in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21 to form a pair. Accordingly, the body portion 121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in a balanced state on the support plate 110a. In FIG. 7, four bearings 122b are shown as being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121, but the number of bearings 122b may be an even or odd number other than four.

한편, 간격유지부(122)는 편심 체결부재(12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gap maintenance part 122 may further include an eccentric fastening member 122c.

편심 체결부재(122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22b)의 내륜(122b2)에 결합되고, 바디부(121)에 장착되는 결합축(122c1)이 베어링(122b)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결합축(122c1)의 중심축(C1)은, 베어링(122b)의 중심축(C2)과 일치하지 않고 베어링(122b)의 중심축(C2)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eccentric fastening member 122c is coupled to the inner ring 122b2 of the bearing 122b, and the coupling shaft 122c1 mounted on the body 121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earing 122b. It is formed to be positioned properly. That is, referring to FIG. 8, the central axis C1 of the coupling shaft 122c1 does not coincide with the central axis C2 of the bearing 122b, but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central axis C2 of the bearing 122b. can be formed.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어링(122b)의 외륜(122b1)과 접하는 프린트 헤드(110)의 일면에는 상기 외륜(122b1)의 일부가 안착되어 가이드될 수 있게 형성되는 베어링 가이드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가이드 홈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볼(122a1)이 상기 베어링 가이드 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세척장치(120)의 이동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aring guide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 head 110 in contact with the outer ring 122b1 of the bearing 122b so that a portion of the outer ring 122b1 can be seated and guided. (not show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earing guide groove, the ball 122a1 can be moved while seated in the bearing guide groove.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device 120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이하, 세척장치(120)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122)의 또 다른 일 예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xample of the gap maintenance unit 122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120)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122)의 또 다른 일 예가 적용된 프린터(100)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세척장치(120)의 사시도이다.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rinter 100 to which another example of the gap maintenance unit 122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120 shown in FIG. 1 is applie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device 120 shown in FIG. 9.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간격유지부(122)는 코팅층(122d)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gap maintenance portion 122 may include a coating layer 122d.

코팅층(122d)은 리세스부(121a)를 한정하는 바디부(121)의 상면에 부착되어 프린트 헤드(110) 양측의 지지 플레이트(110a)의 하부에 각각 접촉된다. 여기에서, 코팅층(122d)은 바디부(121)의 상면보다 마찰 계수가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2d)은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는 테프론(Teflon)이라는 상품명으로 알려진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ating layer 122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defining the recess portion 121a and contacts th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s 110a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110, respectively. Here, the coating layer 122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ith a low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The coating layer 122d may include, for exampl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s the polytetrafluoroethylene, a material known under the trade name Teflon can be used.

여기에서, 프린트 헤드(110)와 바디부(121) 간의 기설정된 간격(G)은 코팅층(122d)의 두께를 다르게 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층(122d)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할수록 프린트 헤드(110)와 바디부(121) 간의 간격(G)이 증가하고, 코팅층(122d)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할수록 프린트 헤드(110)와 바디부(121) 간의 간격(G)이 감소한다.Here, the preset gap (G) between the print head 110 and the body portion 121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122d. For example, as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122d becomes relatively thick, the gap (G) between the print head 110 and the body portion 121 increases, and as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122d becomes relatively thin, the print head 110 ) and the gap (G) between the body portion 121 decreases.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코팅층(122d)은 리세스부(121a)를 한정하는 바디부(121)의 상면의 전체가 아닌 일부에만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층(122d)은 바디부(121)의 상면 중, 세척장치(120)가 노즐(111)의 세척을 위해 프린트 헤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시에 프린트 헤드(110)의 노즐(111)과 마주하는 오버랩 영역(A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코팅층(122d)은 상기 프린트 헤드(110)의 노즐(111)과 마주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the coating layer 122d may be attached only to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defining the recess portion 121a, rather than the entire top surface. More specifically, the coating layer 122d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when the cleaning device 12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110 to clean the nozzle 111. It may be attached on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overlap area (A1) facing the nozzle 111. Here, the coating layer 122d may be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maining areas excluding the area facing the nozzle 111 of the print head 110.

이와 같은 코팅층(122d)의 구조에 의하면, 프린트 헤드(110)와 바디부(121) 간의 기설정된 간격(G)을 유지하면서, 세척장치(120)의 이동 동작 시에 노즐(111)이 코팅층(122d)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ating layer 122d, the nozzle 111 is applied to the coating layer ( 122d) can prevent damage from collision.

이와 같은 간격유지부(122)를 포함하는 세척장치(120)의 구조에 의하면, 세척장치(120)의 바디부(121)와 프린트 헤드(110)가 직접 맞닿지 않으며, 세척장치(120)와 프린트 헤드(110) 사이의 간격(G)을 기설정된 크기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세척장치(120)의 세척 기능과 이동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leaning device 120 including the gap maintenance portion 122, the body portion 121 of the cleaning device 120 and the print head 110 do not directly contact the cleaning device 120 and the print head 110. By maintaining the gap G between the print heads 110 at a preset size, the cleaning function and movement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120 can be implemented more stably.

이하, 세척장치(120)에 구비되는 씰(127)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al 127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120)에 구비되는 씰(127)의 일 예가 적용된 프린터(100)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세척장치(120)의 사시도이다.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rinter 100 to which an example of the seal 127 provided in the cleaning device 120 shown in FIG. 1 is applie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device 120 shown in FIG. 1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세척장치(120)는 씰(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11 and 12, the cleaning device 120 may further include a seal 127.

씰(127)은 바디부(121)의 리세스부(121a)를 한정하는 바디부(12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씰(127)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11)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기 전 상태에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장치(120)가 노즐(111)의 세척을 위해 노즐(111)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때, 프린트 헤드(110)의 양측 지지 플레이트(110a)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씰(127)은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척장치(120)를 통한 노즐(111)의 세척 과정에서 지지 플레이트(110a)에 눌려 탄성 변형될 수 있다.The seal 127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defining the recess portion 121a of the body portion 121. The seal 127 is in a state before being arranged to cover a part of the nozzle 111 as shown in (a) of FIG. 11, and the cleaning device 120 is used to clean the nozzle (as shown in (b) of FIG. 11). When disposed to cover a portion of the nozzle 111 for cleaning 111, it is form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s 110a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110. The seal 127 may include, for example, an elastic rubber material, and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support plate 110a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the nozzle 111 through the cleaning device 120.

씰(127)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플런저(122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씰(127)은 바디부(121)의 세척 공간(121a')을 기준으로 상기 세척 공간(121a')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볼 플런저(122a)는 씰(127)보다 세척 공간(121a')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al 127 may be placed inside the ball plunger 122a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at is, the seal 127 is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the cleaning space 121a' of the body 121, and the ball plunger 122a is cleaned more than the seal 127. It may be placed at a location relatively far from the space 121a'.

이와 같은 씰(127)의 구조에 의하면, 세척장치(120)에 의해 노즐(111)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세척수(W1) 및 상기 오염수(W2) 또는 기타 불순물이 상기 세척 공간(121a') 밖으로 누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볼 플런저(122a)가 씰(127)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볼 플런저(122a)에 상기 세척수(W1)가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거나, 상기 오염수(W2) 또는 기타 불순물에 의해 볼 플런저(122a)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al 127, during the process of cleaning the nozzle 111 by the cleaning device 120, the washing water W1, the contaminated water W2, or other impurities enter the cleaning space 121a'. External leakag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ball plunger 122a is disposed outside the seal 127 so that the washing water W1 remains in the ball plunger 122a in an undried state, or is contaminated with the contaminated water W2 or other impurities. Contamination of the plunger 122a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씰(127)의 종단면(longitudinal section)을 기준으로 상측 단부가 세척 공간(121a')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110a)에 가압 시에 세척 공간(121a')을 향하도록 벤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씰(127)의 구조에 의하면, 지지 플레이트(110a)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지지 플레이트(110a)의 상측 단부가 세척 공간(121a') 향하도록 벤딩되어 상기 세척수(W1) 및 상기 오염수(W2) 또는 기타 불순물이 씰(127)에 부딪힌 후 다시 세척 공간(121a')으로 향하여 이동할 확률을 높여 노즐(111) 클리닝 공정 수행에 따른 추가적인 2차 오염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seal 127 is formed to face the washing space 121a' bas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so that when the support plate 110a is pressed, the washing space ( It may be formed to be bent toward 121a').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al 127,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110a, which forms a boundary with the support plate 110a, is bent to face the washing space 121a', so that the washing water W1 and the contaminated water ( W2) or other impurities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moving back toward the cleaning space 121a' after hitting the seal 127,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secondary contamination occurring during the nozzle 111 cleaning process.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간격유지부(122)의 일 예들 중 볼 플런저(122a)를 도시하고 있으나, 씰(127)의 외측에 볼 플런저(122a)가 아닌 베어링(122b)이 배치되거나, 코팅층(122d)이 배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Figures 11 and 12 show a ball plunger 122a as an example of the gap maintenance part 122, but a bearing 122b rather than a ball plunger 122a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eal 127. A coating layer 122d may be dispos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프린트 헤드(110) 클리닝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와 함께 도 13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leaning the print head 110 of the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13 along with FIGS. 1 to 12.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프린트 헤드(110) 클리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ure 1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leaning the print head 110 of the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프린터(100)의 프린트 헤드(110) 클리닝 방법은 세척장치 배치 단계(210), 세척수 분사 단계(230) 및 석션 단계(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method of cleaning the print head 110 of the printer 100 includes a cleaning device arrangement step 210, a washing water spray step 230, and a suction step 240.

세척장치 배치 단계(210)는, 세척장치(120)를 복수의 노즐(111) 중 일부를 덮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프린트 헤드(110) 양측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11a)에 지지되도록 배치한다.In the cleaning device arrangement step 210, the cleaning device 120 is positioned to cove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and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s 11a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110.

세척수 분사 단계(230)는, 세척장치(120)를 통해 복수의 노즐(111)을 향하여 상기 세척수(W1)를 분사하여 노즐(111)을 세척하는 세척수(W1) 분사 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W1)는 상기 DI Water(deionized wa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DI Water는 노즐(111)을 향하여 분사되기 전 단계에서 불순물 제거를 위한 정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spraying step 230 performs a washing water (W1) spraying process of spraying the washing water (W1) toward the plurality of nozzles 111 through the cleaning device 120 to clean the nozzles 111. Here, the washing water (W1) may be composed of the DI Water (deionized water). The DI Water may undergo a purification process to remove impurities before being sprayed toward the nozzle 111.

석션 단계(240)는, 노즐(111)과 노즐(111)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세척수(W1)를 석션 방식으로 제거하는 석션 공정을 수행한다. 석션 단계(240)는 석션유닛(128)을 이용하여 세척공간(121a') 상의 공기(A)를 흡입하는 과정에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석션 단계(240)는 석션유닛(128)을 통해 세척공간(121a') 내에서 강한 석션 기류를 형성시켜, 노즐(111)과 노즐(111)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세척수(W1) 또는 오염수(W2)와 불순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The suction step 240 performs a suction process to remove the nozzle 111 and the washing water W1 present in the periphery of the nozzle 111 using a suction method. The suction step 240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process of suctioning air (A) on the washing space (121a') using the suction unit 128. That is, the suction step 240 forms a strong suction airflow within the washing space 121a' through the suction unit 128, thereby removing the washing water W1 or contamination present in the nozzle 111 and the periphery of the nozzle 111. Water (W2) and impurities can be removed.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노즐(111)에 대한 세척 공정이 이루어지는 세척수 분사 단계(230)와 석션 단계(240)는, 세척장치(120)가 프린트 헤드(110)의 지지 플레이트(110a) 상에서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세척장치(120)의 이동과 세척수 분사 단계(230) 및 석션 단계(240)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세척장치(120)의 이동 속도는 노즐(111)의 세척 조건에 따라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즉, 노즐(111)의 오염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 세척장치(120)의 이동 속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제어하여 세척 공정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Here, the washing water injection step 230 and the suction step 240, in which the cleaning process for the nozzle 111 is substantially performed, are performed continuously while the cleaning device 120 moves on the support plate 110a of the print head 110. It can be performed as: That is, the movement of the washing device 120 and the washing water spraying step 230 and the suction step 240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t this time, the moving speed of the cleaning device 120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leaning conditions of the nozzle 111. That is, i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nozzle 111 is not severe, the cleaning process can be completed quickly by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of the cleaning device 120 to be relatively high.

이와 달리, 세척수 분사 단계(230)와 석션 단계(240)는 노즐(111) 전체를 구역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수 분사 단계(230)와 석션 단계(240)는, 최초 세척장치(120)가 위치한 노즐(111)의 어느 일 구역에 대하여 세척을 완료하는 동안 세척장치(120)의 이동 없이 세척수(W1) 분사 공정과 석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노즐(111)의 어느 일 구역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장치(120)를 세척이 완료된 노즐(111)의 어느 일 구역과 인접한 다른 일 구역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세척수 분사 단계(230)와 석션 단계(240)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노즐(111)의 다른 일 구역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기 전까지 세척장치(120)는 이동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노즐(111)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구역에 대한 세척 완료 여부는 세척수(W1) 분사 공정과 석션 공정이 수행되는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세척수(W1) 분사 공정과 석션 공정이 수행된 경우 노즐(111)의 해당 구역에 대한 세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washing water spraying step 230 and the suction step 240 may be performed step by step by dividing the entire nozzle 111 into zones. Specifically, the washing water injection step 230 and the suction step 240 are performed without moving the washing device 120 while completing the cleaning of any area of the nozzle 111 where the first cleaning device 120 is located. W1) Spraying process and suc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fterwards, when the cleaning of one area of the nozzle 111 is completed, the cleaning device 120 is moved to another area adjacent to the area of the nozzle 111 for which cleaning has been completed, and a washing water spray step 230 is performed. and suction step 240 may be performed. Additionally, the cleaning device 120 may be controlled not to move until cleaning of another area of the nozzle 111 is completed. At this time, whether or not the cleaning of each area where the nozzle 111 is cleaned is completed is determined by setting the time for which the cleaning water (W1) spraying process and the suction process are performed and whether the cleaning water (W1) spraying process and the suction process are performed during the set time.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cleaning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nozzle 111 has been completed.

한편, 프린터(100)의 프린트 헤드(110) 클리닝 방법은, 세척수(W1) 분사 단계(230) 이전에, 노즐(111)을 통해 기설정된 분사 압력과 분사 시간의 조건에 따라 잉크를 분사하여 노즐을 막힘을 해소하는 퍼징(purging)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220)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cleaning the print head 110 of the printer 100 is to spray ink through the nozzle 111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preset injection pressure and injection time before the washing water (W1) injection step 230. A step 220 of performing a purging process to resolve the blockag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프린터(100)의 프린트 헤드(110) 클리닝 방법은, 세척장치(120)를 통해 노즐(111)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는 상기 오염수 흡입 단계(240) 이후에, 노즐(111)을 통해 기설정된 분사 압력과 분사 시간의 조건에 따라 잉크를 재분사하는 위핑(weeping)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cleaning the print head 110 of the printer 100 is to clean the nozzle 111 through the cleaning device 120 after the contaminated water suction step 240, through the nozzle 111. A step 250 of performing a weeping process to re-jet ink according to preset injection pressure and injection time condi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oregoing content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technical spirit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dividually or in any combination.

100 : 프린터
110 : 프린트 헤드
110a : 지지 플레이트
111 : 노즐
120 : 세척장치
121 : 바디부
121a : 리세스부
121a' : 세척 공간
121a1 : 유입구
121a1' : 세척수 분사 노즐
121a2 : 배출구
121b : 체결홀
122 : 간격유지부
122a : 볼 플런저
122a1 : 볼
122a2 : 볼홈
122a3 : 체결홈
122b : 베어링
122b1 : 외륜
122b2 : 내륜
122b3 : 베어링 볼
122c : 편심 체결부재
122c1 : 결합축
122d : 코팅층
123a : 세척수 수용부
123b : 세척수 공급수단
123c : 세척수 공급관
123c1 : 정화 필터
124a : 오염수 수용부
124b : 오염수 배출수단
124c : 오염수 배출관
125 : 베이스부
126 : 탄성 가압부
127 : 씰
128 : 석션유닛
128a : 튜브
100: printer
110: print head
110a: support plate
111: nozzle
120: washing device
121: body part
121a: recess part
121a': washing space
121a1: inlet
121a1': Washing water spray nozzle
121a2: outlet
121b: fastening hole
122: gap maintenance part
122a: ball plunger
122a1: ball
122a2: Ball groove
122a3: Fastening groove
122b: Bearing
122b1: Paddle ring
122b2: Inner ring
122b3: bearing ball
122c: Eccentric fastening member
122c1: Coupling axis
122d: coating layer
123a: Washing water receiving part
123b: Washing water supply means
123c: Washing water supply pipe
123c1: purification filter
124a: Contaminated water receiving part
124b: Means of discharging contaminated water
124c: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ipe
125: base part
126: elastic pressing part
127: seal
128: Suction unit
128a: tube

Claims (10)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잉크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프린트 헤드;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노즐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린트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노즐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노즐과 상기 노즐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세척수를 석션 방식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노즐과 마주하는 상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의 하부와 함께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리세스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의 좌우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프린트 헤드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접촉되어, 상기 세척장치의 이동 시에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바디부 간의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형성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장착되고, 외륜이 상기 프린트 헤드 양측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결합축이 베어링의 중심에 편심되게 위치하는 편심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클리닝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A print head fixed to a support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at the bottom thereof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spray ink; and
a cleaning device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and disposed to cove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The washing device is configured to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nozzle and remove washing water existing in the nozzle and the periphery of the nozzle using a suction method,
The washing device,
a body portion that is open toward an upper portion facing the nozzle and has a recess portion that forms a cleaning space together with a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and
It is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recess,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so that a preset gap between the print head and the body is maintained when the cleaning device is moved. It includes a gap maintenance portion formed to maintain,
The gap maintenance part,
Bearing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having outer rings in rolling contact with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s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respectively; and
A printer equipped with a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ccentric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and having a coupling shaft mounted on the body portion eccentrical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ea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바디부의 아래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바디부를 상기 프린트 헤드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클리닝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shing device,
a base portion spaced apart below the body portion; and
A printer having a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pressing part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body part to press the body part toward the print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의 저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노즐의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는 상기 리세스부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클리닝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ttom of the recess is formed to slope down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A printer equipped with a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wherein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the nozzle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ss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리세스부를 한정하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밀착되는 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클리닝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shing device,
A printer having a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seal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defining the recess and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프린트 헤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 클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를 상기 복수의 노즐의 일부를 덮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세척장치를 통해 상기 노즐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노즐을 세척하는 세척수 분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노즐과 상기 노즐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세척수를 석션 방식으로 제거하는 석션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노즐과 마주하는 상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의 하부와 함께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리세스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의 좌우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프린트 헤드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접촉되어, 상기 세척장치의 이동 시에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바디부 간의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형성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장착되고, 외륜이 상기 프린트 헤드 양측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결합축이 베어링의 중심에 편심되게 위치하는 편심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클리닝 방법.
A method of cleaning a print head of a printer, comprising a print head fixed to a support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and a cleaning device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and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nt head,
positioning the cleaning device to cove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being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of the print head;
performing a washing water spraying process of cleaning the nozzle by spraying washing water toward the nozzle through the washing device; and
It includes performing a suction process to remove the washing water present in the nozzle and the periphery of the nozzle using a suction method,
The washing device,
a body portion that is open toward an upper portion facing the nozzle and has a recess portion that forms a cleaning space together with a lower portion of the print head; and
It is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recess,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so that a preset gap between the print head and the body is maintained when the cleaning device is moved. It includes a gap maintenance portion formed to maintain,
The gap maintenance part,
Bearing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having outer rings in rolling contact with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s on both sides of the print head, respectively; and
A print head cleaning method comprising an eccentric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and having a coupling shaft mounted on the body portion eccentrical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earing.
KR1020230039991A 2023-03-27 2023-03-27 Printer having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KR1026122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991A KR102612241B1 (en) 2023-03-27 2023-03-27 Printer having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991A KR102612241B1 (en) 2023-03-27 2023-03-27 Printer having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241B1 true KR102612241B1 (en) 2023-12-14

Family

ID=8916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991A KR102612241B1 (en) 2023-03-27 2023-03-27 Printer having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24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3390A (en) * 1993-04-19 1998-08-11 Xerox Corporation Wet-wipe maintenance device for a full-width ink-jet printer
US6158838A (en) * 1998-12-10 2000-12-12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d capping a print head in an ink jet printer
KR20160138022A (en) * 2014-03-28 2016-12-02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Inkjet-head cleaning device and method
WO2020239774A1 (en) * 2019-05-27 2020-12-03 Exone Gmbh Printhead cleaning device for a 3d printer, 3d printer comprising a printhead cleaning device, use of the printhead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printhead of a 3d prin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3390A (en) * 1993-04-19 1998-08-11 Xerox Corporation Wet-wipe maintenance device for a full-width ink-jet printer
US6158838A (en) * 1998-12-10 2000-12-12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d capping a print head in an ink jet printer
KR20160138022A (en) * 2014-03-28 2016-12-02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Inkjet-head cleaning device and method
WO2020239774A1 (en) * 2019-05-27 2020-12-03 Exone Gmbh Printhead cleaning device for a 3d printer, 3d printer comprising a printhead cleaning device, use of the printhead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printhead of a 3d pri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0221B2 (en) Ink jet printer having cleaning mechanis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218193B1 (en) Service station for inkjet printheads
US5555461A (en) Self cleaning wiper blade for cleaning nozzle faces of ink jet printheads
EP0597677B1 (en) Wiper blade cleaning system for ink jet printheads
EP1029684B1 (en) An ink jet printer with wiper blade and vacuum canopy cleaning mechanis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printer
JP5498996B2 (e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6595617B2 (en) Self-cleaning printer and print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7443907B (en) Printing apparatus
US8678547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kjet head cleaning device
US10105953B2 (en) Cleaning device of liquid ejection head and liquid ejection device
JP2013165137A (en) Wiping pad, nozzle maintenance device using the pad, and coating processing device
JP7014933B2 (en) Printing machine
KR20180116113A (en) Automatic cleaning system of anilox roll and method for cleaning the same
KR102612241B1 (en) Printer having print head cleaning function
JP437481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zzle plate for inkjet printer
US8376507B2 (en) Non-contact inkjet print head cleaning
EP1065060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nd capping an acoustic ink printhead
JP2001310476A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2014168896A (en) Cleaning device of liquid droplet discharge head
JP2017193161A (en) Cleaning device of liquid jet head and liquid jet device
JP6473387B2 (en) Liquid ejecting hea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2006088689A (en)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apparatus
JP3867092B2 (en) Dampening water supply device for offset printing machine
JP2017189886A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coating head
JP2022029356A (en) Injection hole plate, liquid injection head, liquid injection recor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jection hol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