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318B1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318B1
KR102608318B1 KR1020160177055A KR20160177055A KR102608318B1 KR 102608318 B1 KR102608318 B1 KR 102608318B1 KR 1020160177055 A KR1020160177055 A KR 1020160177055A KR 20160177055 A KR20160177055 A KR 20160177055A KR 102608318 B1 KR102608318 B1 KR 102608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0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3793A (en
Inventor
김진태
조소영
이길복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318B1/en
Publication of KR2018007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3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hape of the interlayer dielectric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21Patterning of a layer by embossing, e.g. stamping to form trenches in an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유기발광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유기발광장치는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함몰부 또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 1 절연층, 제 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 2 절연층, 제 2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제 2 절연층 또는 제 1 전극 중 적어도 1 개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유기발광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se embodiments disclos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 disclos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having a plurality of recesses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a light emitting area,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sses or a plurality of convexities,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having a plurality of recesses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It includes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wo insulating layers,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following the morphology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or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Through this,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improved.

Figure R1020160177055
Figure R1020160177055

Description

유기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실시예들은 유기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se embodiments relate to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유기발광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큰 장점이 있다.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light on their own, so they have great advantages such as fast response speed, luminous efficiency, luminance, and viewing angle.

유기발광장치의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은 유기발광장치의 여러 구성들을 통과하여 유기발광장치 외부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유기발광장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유기발광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들이 존재하게 되어, 유기발광장치의 광 추출 효율이 문제가 된다. 유기발광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발광장치의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를 부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passes through various components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comes out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owever,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there is light that cannot come out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is trapped inside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ausing a problem in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 order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 method of attaching a micro lens array (MLA)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used.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gainst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further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되고,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함몰부 또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 1 절연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제 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 2 절연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제 2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제 2 절연층 또는 제 1 전극 중 적어도 1 개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s a substrate divided into a light emitting area and a non-light emitting area. Additional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s disposed on a substrate and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having a plurality of depressions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light emitting area. Additional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s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includes a second insulating layer hav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or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dditional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s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dditional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a first electrode and following the morphology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장치는 구조를 개선하여 광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ha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improving the structure.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도 3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또는 복수의 굴곡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파장 별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영역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영역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light emitting area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n optical pat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shapes of a micro lens or a plurality of curv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Figure 5 is a graph measuring the transmittance by wavelength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second exampl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ure 7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ure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within the scope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another element or “on” or “on” it includes not only those directly on top of another element or layer, but also all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layer or element in between. do.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an element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indicates that there is no intervening element or layer.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below, beneath,” “lower,” “above,” and “upper” refer to one element or component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with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element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an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 Accordingly, the illustrative term “down”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는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120) 및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EL)를 포함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120 disposed on a substrate 10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Includes.

구체적으로는, 박막 트랜지스터(120)는 액티브층(122), 게이트 전극(124), 소스전극(126) 및 드레인전극(128)을 포함한다. 액티브층(122)과 게이트 전극(124)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123)이 배치된다. 그리고, 유기발광소자(EL)는 무기층(170), 유기발광층(180) 및 제 2 전극(19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includes an active layer 122, a gate electrode 124, a source electrode 126, and a drain electrode 128. A gate insulating film 123 is disposed between the active layer 122 and the gate electrode 124.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L) includes an inorganic layer 170,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nd a second electrode 190.

게이트 전극(124) 상에는 층간 절연막(140)이 배치된다. 그리고, 소스전극(126) 및 드레인전극(128)은 층간절연막(140)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컨택홀(142, 144)을 통해 액티브층(122)과 접촉한다. 소스전극(126) 및 드레인전극(128) 상에는 보호층(150)이 배치된다.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40 is disposed on the gate electrode 124. Also, the source electrode 126 and the drain electrode 128 contact the active layer 122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42 and 144 provided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40. A protective layer 150 is disposed on the source electrode 126 and the drain electrode 128.

보호층(150)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는 제 1 절연층(160) 및 제 2 절연층(260)이 배치된다. 제 1 절연층(160) 및 제 2 절연층(26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드레인전극(128)과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70)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전극(170)은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170)은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ZO(Aluminum doped Zinc Oxide) 및 IZO(Indium Zinc Ox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first insulating layer 16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260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including the protective layer 150. The first electrode 17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28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is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Here, the first electrode 17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70 is made of any one of Indium Tin Oxide (ITO), Fluorine-doped Tin Oxide (FTO), Antimony Tin Oxide (ATO), Aluminum doped Zinc Oxide (AZO), and Indium Zinc Oxide (IZO). It may be one, but is not limited to this.

제 2 절연층(260) 상에는 제 1 전극(170)의 일부를 노출하여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패턴(155)이 배치된다. 뱅크패턴(155)에 의해 노출된 제 1 전극(170) 및 뱅크패턴(155) 상에는 유기발광층(180)이 배치된다. 그리고, 유기발광층(180) 상에 유기발광소자(EL)의 제 2 전극(190)이 배치된다.A bank pattern 155 is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to expose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70 and define an emission area and a non-emission area.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80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170 and the bank pattern 155 exposed by the bank pattern 155. Then, the second electrode 19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is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여기서,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도전물질일 수 있으며, 제 2 전극(190)은 반사율이 높은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는 하부발광(bottom-emission)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가 하부발광 방식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부발광(top-emission)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17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L)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with high reflectivity. 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a bottom-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is a bottom emission type. Howev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also be applied to a top emission type. .

또한,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는 보호층(150) 상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컬러필터층은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픽셀 중에서 일부의 서브픽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s can be applied may further include a color filter layer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150. However, the color filter layer may be disposed only in some subpixels among the plurality of subpixels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일반적인 하부발광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의 일부가 제 1 전극을 통과하여 기판 밖으로 추출되거나, 나머지 일부의 광이 제 2 전극에 의해 반사되어 제 1 전극 및 기판을 통과하고 표시장치 외부로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각 구성들이 굴절률 차이로 인해, 유기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기판 밖으로 추출되지 못하고 표시장치 안에 갇히게 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In a typical bottom-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asse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is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or the remaining part of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ubstrate and displays. Can be extracted outside the device. However, suc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have a problem in that, due to differences in refractive index of each component,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annot be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and is trapped within the display device, significantly reduc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광영역(EA)에서 유기발광소자(EL)의 유기발광층(180)은 복수의 굴곡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발광층(180)은 복수의 오목한 굴곡(181) 및 복수의 볼록한 굴곡(182)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180)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190) 역시 유기발광층(180)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따라 복수의 굴곡을 가질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In order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is used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may have a plurality of curves. Specifical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may have a plurality of concave curves 181 and a plurality of convex curves 182. Accordingly, the second electrode 190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may also have a plurality of curves according to the morpholog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유기발광층(180)이 복수의 굴곡을 갖기 위해서는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70) 또는 제 1 전극(170)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절연층(260)이 발광영역(EA)에서 유기발광층(180)의 복수의 오목한 굴곡(181) 및 복수의 볼록한 굴곡(182)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굴곡을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to have a plurality of curves, the first electrode 17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o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disposed below the first electrode 170 is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80 may have curves in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cave curves 181 and the plurality of convex curves 182.

구체적으로는, 유기발광층(180)의 복수의 오목한 굴곡(181) 및 복수의 볼록한 굴곡(182)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 1 전극(170)이 굴곡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유기발광층(180)의 복수의 오목한 굴곡(181) 및 복수의 볼록한 굴곡(182)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 2 절연층(260)이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절연층(260)과 유기발광층(18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전극(170) 역시 유기발광층(180)의 복수의 오목한 굴곡(181) 및 복수의 볼록한 굴곡(182)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굴곡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170 may have curves in area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cave curves 181 and the plurality of convex curves 18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lternatively,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may have a curve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cave curves 181 and the plurality of convex curves 18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n this cas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 The first electrode 170 located between 260 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80 may also have curves in area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cave curves 181 and the plurality of convex curves 182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80. .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영역(EA)에서 유기발광층(180)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전극(170)에서부터 제 2 전극(190)까지 복수의 굴곡이 구비되거나, 제 2 절연층(260)에서부터 제 2 전극(190)까지 복수의 굴곡이 구비되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다만,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절연층(260)에 굴곡이 구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at i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rves from the first electrode 170 disposed below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to the second electrode 190, or has a second curved lin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urves are provided from the insulating layer 260 to the second electrode 190 is sufficient.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is provided with a curve.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에서 제 2 절연층(260)에서와 같이 발광영역(EA)에 복수의 볼록부(172)와 복수의 오목부(171)를 구비하는 구조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또는 마이크로 렌즈라고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72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71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as i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is used as a micro It is called a lens array or micro lens.

이 경우, 마이크로 렌즈와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제 1 전극(170) 계면에 입사되는 광 중, 입사각이 전반사 임계각 이하로 입사되는 광은 그대로 기판(100) 밖으로 추출된다. 그리고, 입사각이 전반사 임계각을 초과하여 입사되는 광은 마이크로 렌즈에 부딪혀 광 경로가 변하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기판(100) 밖으로 추출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렌즈를 적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case, among the light incident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micro lens and the first electrode 17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light whose incident angle is less than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is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as is. And, the incident light whose incident angle exceeds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strikes the micro lens and changes the optical path, so that it is finally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Accordingly,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using a micro lens can be improv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는 광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 시키기 위해, 제 2 절연층 하부에 복수의 돌출부(162) 및 복수의 함몰부(161)를 구비하는 제 1 절연층(160)을 포함한다. 이 때, 제 1 절연층 (160) 및 제 2 절연층(160)은 투명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insula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162 and a plurality of recesses 161 unde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to further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cludes layer 160. At this time,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6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ganic material,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절연층(160)은 발광영역(EA)에서 복수의 돌출부(162)와 복수의 함몰부(161)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절연층(160)의 복수의 돌출부(162)의 위치는 제 2 절연층(260)의 복수의 오목부(171)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제 1 절연층(160)의 복수의 함몰부(161)의 위치는 제 2 절연층(260)의 복수의 볼록부(172)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62 and a plurality of depressions 161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Als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may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arts 171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1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may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nvex parts 172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는 유기발광층(180)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절연층(160) 및 제 2 절연층(260)을 통해 2 중층의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2 중층의 마이크로 렌즈 구조를 통해 광 경로 변화의 다양성이 고려되므로,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는 광량이 많아질 수 있다.That i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provided with a double layer micro lens through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provided below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there is. Therefore, since the diversity of optical path changes is taken into account through the double-layer micro lens structure, the amount of light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can increase.

구체적으로는,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 중 전반사 임계각을 초과하는 각도로 입사되는 광은 1차적으로 제 1 전극(170)과 제 2 절연층(260)의 계면에서 경로가 적어도 1번 변경되어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추출되지 못한 광의 일부는 제 2 절연층(260)과 제 1 절연층(160) 계면에서 경로가 변경되어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the light incident at an angle exceeding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primarily takes at least one path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It can be changed and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In addition, part of the light that is not extracted during this process may change its path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nd be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이러한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발광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This configura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2 as follows.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light emitting area of Figure 1.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00) 상에 제 1 절연층(160) 및 제 2 절연층(260)이 배치된다. 제 2 절연층(26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70), 유기발광층(180) 및 제 2 전극(190)이 배치된다. 한편,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판(100)과 제 1 절연층(160)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 보호층 및 컬러필터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이 더 배치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구성들의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2,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first insulating layer 16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260 disposed on a substrate 100. The first electrode 17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are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at least one of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a protective layer, and a color filter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y are described above.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are omitted.

제 1 절연층(160)은 발광영역(EA)에서 복수의 함몰부(171) 및 복수의 돌출부(17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절연층(160) 상에 배치되는 제 2 절연층(260)은 발광영역(EA)에서 복수의 오목부(261) 및 복수의 볼록부(262)를 구비한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has a plurality of depressions 17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72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Additionally,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includes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261 and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62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그리고, 제 2 절연층(260) 상에 구비되는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70), 유기발광층(180) 및 제 2 전극(190)은 제 2 절연층(260)의 모폴로지를 따를 수 있다. 즉, 제 1 전극(170), 유기발광층(180) 및 제 2 전극(190)은 제 2 절연층(260)의 복수의 오목부(261) 및 복수의 볼록부(26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 복수의 굴곡을 구비할 수 있다. And, the first electrode 17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provid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have the morphology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You can follow.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7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ar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261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62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Each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rves.

이로 인해, 유기발광층(180)은 복수의 굴곡의 경사면에서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한 두께가 가장 얇게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굴곡의 경사면에서 전기장이 국부적으로 모이게 되어 복수의 굴곡의 경사면에서 주 발광이 일어날 수 있다. As a result,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80 has the thinnest thickness relativ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lurality of curved slopes, so that the electric field is locally collected at the plurality of curved slopes, and the main light emission occurs at the plurality of curved slopes. You can.

이 때, 제 2 절연층(260)의 복수의 볼록부(262)는 제 1 절연층(160)의 복수의 함몰부(16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절연층(260)의 복수의 오목부(261)는 제 1 절연층(160)의 복수의 돌출부(162)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절연층(160)에 삽입된 마이크로 렌즈의 형상은 제 2 절연층(260)에 삽입된 마이크로 렌즈의 형상과 반대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62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may b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1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recesses 261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may b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That is, the shape of the micro lens inserted in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may be opposite to the shape of the micro len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또한, 제 2 절연층(260)의 굴절률은 제 1 절연층(16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절연층(260)의 굴절률은 1.3 이상에서 1.75 미만일 수 있으며, 제 1 절연층(160)의 굴절률은 1 이상에서 1.3 미만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may be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may be from 1.3 to less than 1.75,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may be from 1 to 1.3.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절연층(160)과 제 2 절연층(260)의 형상과 굴절률 차이로 인해, 유기발광소자(EL)의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리사이클링(recycling)되어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difference in shape and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layers 160 and 260,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is recycled. It can be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구체적으로는,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과의 일부는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70)을 통과하여 제 1 전극(170)과 제 2 절연층(260)의 계면에 도달한다. 이 때, 제 1 전극(170)과 제 2 절연층(260)의 계면에 도달한 광 중 전반사 임계각 이하로 입사되는 광은 제 2 절연층(260), 제 1 절연층(160) 및 기판(100)을 거쳐 표시장치 외부로 추출된다.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passe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7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and reaches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do. At this time, among the light reach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the light incident below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nd the substrate ( 100) and is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그리고, 제 1 전극(170)과 제 2 절연층(260)의 계면에 도달한 광 중 전반사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입사되는 광은 제 2 절연층(260)에 구비된 마이크로 렌즈에 부딪친 후 광 경로가 변경되어 제 1 절연층(160)으로 입사된다. 이 때, 제 2 절연층(260)과 제 1 절연층(160) 계면에 도달한 광 중 전반사 임계각 이하로 입사된 광의 일부(a)는 제 2 절연층(260)과 제 1 절연층(160)을 거쳐 기판(100) 외부로 빠져 나간다. And, among the light reach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the light incident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hits the micro lens provided i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and then the light path changes. It changes and enters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t this time, a portion (a) of the light incident below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among the light reach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 and exits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100.

그리고, 제 2 절연층(260)과 제 1 절연층(160) 계면에 전반사 임계각 이하로 입사된 광의 나머지 일부(b)는 제 1 절연층(160)과 기판(100)의 계면에 도달하여 반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광은 제 1 절연층(160)의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광 경로가 변경되어 최종적으로 기판(100) 외부로 추출될 수 있다.And, the remaining part (b)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below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reaches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nd the substrate 100 and is reflected. The optical path of this light may be changed by the microle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nd may finally be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100.

즉,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하나의 절연층에 구비된 마이크로 렌즈 도입만으로는 표시장치 외부로 추출할 수 없는 광, 예를 들면,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하나의 절연층에 의해 경로가 변경됨으로써, 기판(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편광판의 광축과 상이한 광축을 갖게 되어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던 광을 리사이클링을 통해 외부로 추출하여 광 추출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light that cannot be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simply by introducing a micro lens provided in one insulating layer, for exampl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s transmitted into one single insulating layer. As the path is changed by the insulating layer, the optical axis has a different optical axis from the optical axis of the polarizer disposed on the back of the substrate 100, and the light trapped inside the display device can be extracted to the outside through recycling, contributing to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

다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절연층(160, 260)이 각각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하고, 제 2 절연층(260)의 굴절률이 제 1 절연층(160)의 굴절률보다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나아가게 되므로 전반사 현상을 활용하여 통해 광을 리사이클링 시켜 표시장치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layers 160 and 260 each have micro lenses,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is equal to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By having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160),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80 travels from a medium with a high refractive index to a medium with a low refractive index, so the light can be recycled and exit the display device by utilizing the total reflection phenomenon. there is.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제 1 절연층(160)의 함몰부(161)는 제 2 절연층(260)의 볼록부(262)와 대응되고,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는 제 2 절연층(260)의 오목부(261)에 대응됨으로써,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제 2 절연층(260)을 거쳐, 제 1 절연층(160)의 함몰부(161)와 돌출부(162) 사이의 경사부(163)에 입사될 수 있다. 제 1 절연층(160)의 함몰부(161)와 돌출부(162) 사이의 경사부(163)에 입사된 광은 마주보는 다른 경사부(163)에 부딪혀 광의 다중 반사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광의 경로 및 광축을 변경하여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는 광량을 많아지게 한다.In particula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cessed portion 1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corresponds to the convex portion 262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The protrusion 162 corresponds to the concave portion 261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80 passes throug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and reaches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It may be incident on the inclined portion 163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161 and the protruding portion 162. The light incident on the inclined portion 163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161 and the protruding port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strikes another opposing inclined portion 163, enabling multiple reflections of light, thereby By changing the path and optical axis, the amount of light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is increased.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제 1 절연층(160)의 함몰부(161)는 제 2 절연층(260)의 볼록부(262)와 대응되고,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는 제 2 절연층(260)의 오목부(261)에 대응됨으로써, 제 2 절연층(260)을 통해 다중 반사를 거친 광이 제 1 절연층(160)에서 한번 더 다중 반사되어 표시장치 내부에 갇힐 수 있는 광을 표시장치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cessed portion 1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corresponds to the convex portion 262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The protrusion 162 corresponds to the concave portion 261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so that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multiple reflections throug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0 is multiplely reflected once more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This allows light that could be trapped inside the display device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광 경로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light pat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review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n optical pat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the same components as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omitted. Identical components may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제 1 절연층(360), 제 1 절연층(360) 상에 배치되는 제 2 절연층(460), 제 2 절연층(460)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EL)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360 disposed on a substrate 10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460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 and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L)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60.

이 때, 제 1 절연층(360)은 복수의 돌출부(362) 및 복수의 함몰부(36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절연층(360)은 복수의 함몰부(361)를 통해 기판(100)을 노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1 절연층(360)은 복수의 함몰부(361)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기판(100)을 노출하도록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제 1 절연층(360)의 마이크로 렌즈는 돌출부(362)와 인접하는 다른 돌출부(362) 사이에 갭(gap)이 존재할 수 있다(갭은 함몰부와 동일한 영역을 지칭한다.). 이 때, 제 2 절연층(460)은 기판(100)을 노출하는 영역 없이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362 and a plurality of depressions 361. Here,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may be provided to expose the substrate 100 through a plurality of depressions 361. That is,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may include a micro lens disposed to expose the substrate 100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361. In other words, the microle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may have a gap between the protrusion 362 and another adjacent protrusion 362 (the gap refers to the same area as the depression). . At this tim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60 may be configured without an area exposing the substrate 100.

한편, 도 3에서는 제 1 절연층(360)의 함몰부(361)로 인해 기판(100)이 노출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 1 절연층(360)과 기판(100)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배치될 경우, 예를 들면, 컬러필터층이 배치될 경우, 제 1 절연층(360)의 함몰부(361)는 컬러필터층을 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Figure 3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bstrate 100 is exposed due to the depression 3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but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and When other components are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s 100, for example, when a color filter layer is disposed, the recessed portion 3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may be configured to expose the color filter layer.

또한, 제 1 절연층(360)의 굴절률은 제 2 절연층(460)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절연층(460)의 굴절률은 1.3 이상에서 1.75 미만일 수 있으며, 제 1 절연층(360)의 굴절률은 1 이상에서 1.3 미만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수치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기판(100)과 가깝게 배치된 절연층일수록 굴절률이 낮게 이루어지는 구성이면 충분하다.Additionall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may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60.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60 may be from 1.3 to less than 1.75,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may be from 1 to 1.3. However, the above-mentioned values are only exemplary, and it is sufficient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sulating layer disposed closer to the substrate 100 has a lower refractive index.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절연층(360, 460)이 각각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하고, 제 2 절연층(460)의 굴절률이 제 1 절연층(360)의 굴절률보다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나아가게 되므로 전반사 현상을 활용하여 광을 리사이클링 시켜 표시장치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A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layers 360 and 460 each have micro lenses,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60 is equal to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By being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travels from a medium with a high refractive index to a medium with a low refractive index, so the light can be recycled using the total reflection phenomenon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제 1 절연층(360)의 함몰부(361)는 제 2 절연층(460)의 볼록부(462)와 대응되고, 제 1 절연층(360)의 돌출부(362)는 제 2 절연층(460)의 오목부(461)에 대응됨으로써,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제 2 절연층(460)을 거쳐, 제 1 절연층(460)의 함몰부(461)와 돌출부(462) 사이의 경사부(463)에 입사될 수 있다. 제 1 절연층(360)의 함몰부(361)와 돌출부(362) 사이의 경사부(363)에 입사된 광은 마주보는 다른 경사부(363)에 부딪혀 광의 다중 반사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광의 경로 및 광축을 변경하여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는 광량을 많아지게 한다.In particula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cessed portion 3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corresponds to the convex portion 462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6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The protrusion 362 corresponds to the concave portion 461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6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80 passes throug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60 and reaches the first insulating layer 460. It may be incident on the inclined portion 463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461 and the protruding portion 462. The light incident on the inclined portion 363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361 and the protruding portion 3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60 strikes another opposing inclined portion 363, enabling multiple reflections of light, thereby By changing the path and optical axis, the amount of light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is increas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굴절률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2 개의 절연층이 유기발광층(180) 하부에 배치되고, 동일 위치을 기준으로 각각의 절연층이 서로 반대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구비됨으로써, 표시장치 내에 갇히는 광을 줄이고,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t least two insulating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disposed below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nd each insulating layer is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the same position. By providing a shaped micro lens,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light trapped within the display device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thereby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예를 통해, 제 1 절연층(160, 360)의 마이크로 렌즈 형상이 다른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 1 절연층(160, 360)의 형상뿐만 아니라, 제 2 절연층(260, 460)의 형상 역시 도 2 및 도 3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onfigurations with different micro lens shape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s 160 and 360 have been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s 160 and 360 ), as well as the shape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s 260 and 460 are not limited to those in FIGS. 2 and 3 and may be variously formed.

제 1 절연층, 제 2 절연층 및 유기발광층에 구비될 수 있는 마이크로 렌즈 또는 복수의 굴곡의 다양한 형상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또는 복수의 굴곡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A detailed review of various shapes of micro lenses or plurality of curves that can be provided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s as follows.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shapes of a micro lens or a plurality of curv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절연층, 제 2 절연층 및 유기발광층에는 마이크로 렌즈 또는 복수의 굴곡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및 복수의 굴곡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절연층(160)의 복수의 돌출부(16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insulating laye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may be provided with micro lenses or a plurality of curves. There are many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shape of the micro lens and the plurality of curve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에는 지름(D(Diameter)), 높이(H (Height)), 종횡비(A/R(Aspect Ratio)), 반높이 너비(F(Full Width at Half Max)),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H/F)), 기울기(S(Slope)), 돌출부(162)의 바닥에서 이격 거리(G(Gap)),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Ratio of MLA=(F_A/R)/(A/R))) 등이 있다.Variables that determine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include diameter (D (Diameter)), height (H (Height)), aspect ratio (A/R (Aspect Ratio)), and half-height width. (F(Full Width at Half Max)), half-height width aspect ratio (F_A/R(=H/F)), slope (S(Slop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162 (G(Gap)) , half-height width aspect ratio to aspect ratio (Rm(Ratio of MLA=(F_A/R)/(A/R))), etc.

여기서,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의 지름(D)은 두 개의 돌출부(162) 사이의 중심들 간의 길이를 의미하고, 높이(H)는 제 1 절연층(160)의 함몰부(161)의 바닥에서부터 돌출부(162)까지의 수직 길이를 의미한다. 반높이 너비(F)는 높이의 절반 위치에서 돌출부(162)의 폭을 의미한다. 돌출부(162)의 종횡비(A/R)는 돌출부(162)의 높이(H)를 돌출부(162)의 반지름(D/2)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Here, the diameter (D) of the protrus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refers to the length between the centers between the two protrusions 162, and the height (H) refers to the depress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It means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part 161 to the protrusion 162. The half-height width (F) refers to the width of the protrusion 162 at half the height. The aspect ratio (A/R) of the protrusion 162 means the height (H) of the protrusion 162 divided by the radius (D/2) of the protrusion 162.

예를 들면,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의 지름(D)은 1㎛ 내지 5㎛이고, 높이(H)는 1㎛ 내지 4㎛일 수 있다. 한편,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의 지름(D)과 높이(H)가 상술한 범위로 이루어질 때, 돌출부(162)의 종횡비(A/R)는 0.2 내지 0.8일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62)의 반높이 너비(F)는 0.5㎛ 내지 2.5㎛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출부(162)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는 0.4 내지 2일 수 있다. 또한,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의 반높이 너비(F)가 0.5㎛ 내지 2.5㎛이고, 종횡비(A/R)가 0.2 내지 0.8로 이루어짐으로써,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는 1이상인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ameter (D) of the protrus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may be 1 ㎛ to 5 ㎛, and the height (H) may be 1 ㎛ to 4 ㎛. Meanwhile, when the diameter (D) and height (H) of the protrus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re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the aspect ratio (A/R) of the protrusion 162 may be 0.2 to 0.8. . In addition,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protrusion 162 may be 0.5 ㎛ to 2.5 ㎛, and accordingly, the half-height width aspect ratio (F_A/R) of the protrusion 162 may be 0.4 to 2. In addition,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protrus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is 0.5 ㎛ to 2.5 ㎛, and the aspect ratio (A/R) is 0.2 to 0.8, so that the half-height width to aspect ratio (Rm) can satisfy the condition of 1 or more.

한편,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의 형상을 정의하는 변수로 종횡비(A/R)만 적용하였을 때, 지름(D)과 높이(H)로만 정의하는 그 비율, 즉, 종횡비(A/R)가 동일하더라도 돌출부(162)의 반높이 너비(F)나 돌출부(162)들 사이의 간격(G)등 나머지 변수들로 정의되는 값들이 달라질 때,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의 형상이 확연히 달라지게 된다.Meanwhile, when only the aspect ratio (A/R) is applied as a variable defining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the ratio defined only by the diameter (D) and height (H), that is, the aspect ratio Even if (A/R) is the same, when the values defined by the remaining variables, such as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protrusion 162 or the gap (G) between the protrusion 162, are different,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62 is noticeably different.

구체적으로는,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의 지름(D)과 높이(H)가 동일할 때, 반높이 너비(F)가 줄어들수록 돌출부(162)의 측면이 홀쭉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지름(D)과 높이(H)가 동일할 때, 돌출부(162) 사이의 간격(G)이 증가할 경우에도 돌출부(162)의 측면이 홀쭉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돌출부(162)의 측면의 형상에 따라 유기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광 중 기판 방향이 아닌 측면 방향으로 향하는 광의 경로를 적절히 변경 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iameter (D) and height (H) of the protrus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are the same, as the half-height width (F) decreases, the side of the protrusion 162 becomes narrower. is achieved. Additionally, when the diameter (D) and the height (H) are the same, even if the gap (G) between the protrusions 162 increases, the side of the protrusions 162 may have a slim shap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62, the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at is directed toward the side rather than toward the substrate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한편, 돌출부(162)의 측면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돌출부(162)를 이루는 경사면의 기울기(S)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를 높이(H)를 기준으로 삼등분할 때, 가운데 영역인 제 2 영역(B)에서, 즉, 동일 영역을 기준으로 경사면의 기울기(S)는 돌출부(162)의 측면 형상이 홀쭉해 질수록 커질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62)의 높이(H)를 기준으로 삼등분할 때, 돌출부(162)의 정상부는 제 1 영역(A)이고, 돌출부(162)의 바닥부는 제 3 영역(C)이며, 돌출부(162)의 정상부와 바닥부 사이에 구비된 영역은 제 2 영역(B)으로 정의될 수 있다.Meanwhile, as the side shape of the protrusion 162 changes, the slope S of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protrusion 162 may change. For example, when dividing the protrus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into thirds based on the height H, in the second area B, which is the middle area, that is, based on the same area, the slope of the slope ( S) may increase as the side shape of the protrusion 162 becomes slimmer. Here, when dividing into thirds based on the height (H) of the protrusion 162, the top of the protrusion 162 is the first area (A),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162 is the third area (C), and the protrusion ( The area provid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162)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area (B).

또한, 돌출부(162)의 측면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돌출부(162)를 이루는 경사면의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영역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62)의 측면 형상이 홀쭉해 질수록 돌출부(162)를 이루는 경사면의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영역은 돌출부(162)의 정상에 가까운 제 1 영역(A)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Additionally, as the side shape of the protrusion 162 changes, the area where the maximum slope Smax of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protrusion 162 is located may also change. For example, as the side shape of the protrusion 162 becomes thinner, the area where the maximum slope (Smax) of the slope forming the protrusion 162 is located moves toward the first area (A) closer to the top of the protrusion 162. You can.

한편, 돌출부(162)를 이루는 경사면의 최대 기울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결정짓는 또 하나의 변수로는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값을 들 수 있다. 돌출부(16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의 비가 1.0 미만인 경우, 최대 기울기를 가지는 영역이 제 3 영역(C)이다. 돌출부(16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의 비가 1.0인 경우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지는 영역이 제 2 영역(B)이다. 돌출부(16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의 비가 1.0 초과인 경우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지는 영역이 제 1 영역(A)이다. Meanwhile, another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area where the maximum slope of the slope forming the protrusion 162 is located is the half-height width aspect ratio (Rm) value to the aspect ratio. When the ratio of the half-height width aspect ratio (Rm) to the aspect ratio of the protrusion 162 is less than 1.0, the area with the maximum slope is the third area (C). When the ratio of the half-height width aspect ratio (Rm) to the aspect ratio of the protrusion 162 is 1.0, the area with the maximum slope (Smax) is the second area (B). When the ratio of the half-height width aspect ratio (Rm) to the aspect ratio of the protrusion 162 is greater than 1.0, the area with the maximum slope (Smax) is the first area (A).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의 값이 1이상일 경우 가장 급격한 최대 기울기를 가지는 영역은 제 1 영역(A) 또는 제 2 영역(B)이 될 수 있다. 돌출부(162)를 이루는 경사면의 최대 기울기(Smax)를 갖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소자가 주 발광하므로, 최대 기울기를 갖는 영역이 달라질 경우, 유기발광소자가 주 발광하는 영역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가 주 발광하는 영역이 달라지면 마이크로 렌즈의 경사면에 부딪치는 지점 역시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다중 반사되는 광량 역시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광 추출 효율 역시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lue of the half-height width aspect ratio (Rm) to the aspect ratio of the protrus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is 1 or more, the area with the steepest maximum slope is the first area (A) or It may be the second area (B). Since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mainly emits light in the area having the maximum slope (Smax) of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protrusion 162, if the area with the maximum slope changes, the area where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mainly emits light may also vary. If the area w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inly emits light changes, the point at which it hit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icrolens also changes, which also causes the amount of multiple reflections to vary. And ultimately,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also vary.

즉,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돌출부(162)의 형상을 조절하여 유기발광소자의 최적의 주 발광 지점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유기발광소자의 수명 및 효율에 따라 표시장치의 서브픽셀 별로 최적 주 발광 지점을 조절하여 마이크로 렌즈에 광이 다중 반사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can adjust the optimal main light emission poi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adjusting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62.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multiple reflections of light on the microlens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optimal main light emission point for each subpixel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lifespan and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이상, 제 1 절연층(160)의 돌출부(162)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설명은 제 1 절연층(160)의 함몰부(161),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볼록부 그리고, 유기발광층의 오목한 굴곡과 볼록한 굴곡에도 해당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제 1 절연층(160), 제 2 절연층 및 유기발광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변경하여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bove,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1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but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includes the recessed portion 1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lso, this may apply to the concave and convex curves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That i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hanges the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changing the shap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60,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is can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발광영역에서 2중층의 마이크로 렌즈 구조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파장 별 투과율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비교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파장 별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Next, referring to FIG. 5, the transmittance by wavelength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double-layer micro lens structure in the light emitting area is examined as follows. Figure 5 is a graph measuring the transmittance by wavelength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second example.

도 5의 그래프를 비교예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380nm 내지 780nm의 파장에서 기판으로 투과되는 광의 투과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비교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과 유기발광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 중 한 층의 절연층에만 마이크로 렌즈 구조가 구비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이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제 1 절연층의 굴절률이 1.25이고, 제 2 절연층의 굴절률이 1.5이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와 인접한 다른 돌출부 사이의 이격거리(G)가 2㎛이다.The graph of FIG. 5 shows the transmittance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ubstrate at a wavelength of 380 nm to 780 nm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second embodiment. 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 micro lens structure is provided in only one insulating layer among the insulating layers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of 1.25, a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of 1.5, and a separation distance (G) between the protrus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another adjacent protrusion. is 2㎛.

도 5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균 투과율은 22.7%이며,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균 투과율은 26.1%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균 투과율이 비교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균 투과율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average transmitt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s 22.7%, and the average transmitt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26.1%.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transmittan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특히,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480nm 내지 520nm의 파장의 광의 투과율이 비교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투과율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higher transmittance of light with a wavelength of 480 nm to 520 nm than tha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이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examined as follows.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the same components as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omitted. Identical components may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6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2000)는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제 1 절연층(560) 및 제 1 절연층(560) 상에 배치되는 제 2 절연층(660)을 포함한다. 제 2 절연층(66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70), 유기발광층(180) 및 제 2 전극(190)이 차례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6,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56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Includes layer 660.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the first electrode 17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are sequentially disposed.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2000)의 발광영역(EA)에서 제 1 절연층(560)과 제 2 절연층(660) 중 적어도 1층의 절연층은 마이크로 렌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절연층(660)에 복수의 오목부(661) 또는 복수의 볼록부(662)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amo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may include a micro lens structure. there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micro lens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661 or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662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한편, 제 1 절연층(560)은 복수의 함몰부(561)와 복수의 돌출부(5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돌출부(562)는 상면이 평탄한 형상일 수 있다. 평탄한 형상의 복수의 돌출부(562) 상에는 제 1 무기층(570)이 배치된다. 이때, 제 1 무기층(570)은 발광영역(EA)에서 적어도 2개의 홀(575)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 1 절연층(560)의 복수의 함몰부(561)는 공정을 단순하게 하기 위해 제 1 무기층(570)의 적어도 2개의 홀(575)을 구비하는 제 1 무기층(570)을 마스크로 하여 에슁(ashing)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무기층(570)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절연층(560)의 일부 영역은 제 1 무기층(570)에 의해 함몰부(561) 형성 공정 중 에슁 가스가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즉, 에슁 가스가 도달하지 못한 영역은 제 1 절연층(560)의 복수의 돌출부(562)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pressions 56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562.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62 may have a flat upper surface.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is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flat-shaped protrusions 562. At this time,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may have at least two holes 575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Meanwhile,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include a first inorganic layer 570 having at least two holes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to simplify the process. It can be formed as a mask through an ashing process. Accordingly, the ashing gas cannot reach a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disposed below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depression 561 due to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That is, the area where the ashing gas does not reach can be formed flat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5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그리고, 제 1 무기층(570)과 제 1 절연층(560) 상에는 제 2 무기층(580)이 배치된다. 이 때, 제 2 무기층(580)은 제 1 무기층(570)의 적어도 일 측면과 하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의 표면 및 제 2 무기층(580)은 제 1 무기층(570)의 홀(57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2 무기층(580)은 제 1 무기층(570)의 홀(575)을 메울 수 있으며, 제 1 무기층(570)의 홀(575)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공간(565)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공간에는 굴절률이 1인 공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공간(565)을 에어갭(air-gap)으로 명명한다.And, a second inorganic layer 580 is disposed on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At this time,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also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and bottom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dditionally, the surface of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and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be disposed on the hole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That is,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can fill the hole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has a space 565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hole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can do. At this time, the space may be provided with air with a refractive index of 1, and in the description described later, the space 565 will be referred to as an air-gap.

이와 같이, 제 2 무기층(580)은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1 절연층(560)이 에어갭(565)을 구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1 무기층(570) 하부에 적어도 2개의 에어갭(565)을 구비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혀 손실될 수 있는 광을 표시장치 외부로 추출하여 광 추출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has an air gap 565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t least two air gaps 565 below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thereby extracting light that may be trapped and lost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한편, 제 2 무기층(580)은 공정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영역(EA)뿐만 아니라 비 발광영역(NEA)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무기층(580)은 발광영역(EA)에만 배치되는 구성 역시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for convenience of processing,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be disposed to extend not only to the emission area (EA) but also to the non-emission area (NEA) as shown in FIG. 6 .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also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is disposed only in the emission area EA.

한편,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와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에어갭(565)은 제 2 절연층(660)의 오목부(661)와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절연층(560)의 돌출부(562)는 제 2 절연층(660)의 볼록부(662)와 대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와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에어갭(565)이 제 2 절연층(660)의 오목부(661)와 대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 2 절연층(660)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 중 기판(100)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광이 에어갭(565)으로 인해 전반사되어 경로가 변경되고, 경로가 변경된 광은 기판(100) 밖으로 빠져나감으로써,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gap 565 provid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may correspond to the recessed portion 661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And, the protrusion 5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may correspond to the convex part 662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As described above, the air gap 565 provid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recessed portion 661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L)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the light that did not escape out of the substrate 100 is totally reflected due to the air gap 565, and the path is changed, and the path is changed. By escaping out of the silver substrate 100,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러한 구성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영역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This configura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as follows. Figure 7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영역(EA)에서 제 1 무기층(570)은 적어도 2 개의 홀(575)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무기층(570)에 구비된 적어도 2개의 홀(575)은 각각 평면상으로 원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may have at least two holes 575 in the emission area 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t this time, each of the at least two holes 575 provided in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may be circular in plan.

한편, 도 7에서는 제 1 무기층(570)에 구비된 적어도 2개의 홀(575)이 각각 평면상으로 원형인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타원형, 반구형 또는 호형상 등이거나 다각형, 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일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 역시 가능하다. 상술한 제 1 무기층(570)의 홀(575)의 평면 형상은 노광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 7, at least two holes 575 provided in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re each circular in plan view, but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elliptical, hemispherical, arc-shaped, etc. It can be a polygon, for example a triangle, a square or a hexagon, and combinations of these are also possible. The planar shape of the hole 575 of the above-described first inorganic layer 570 can be easily formed through an exposure process.

제 1 무기층(570)에 구비된 적어도 2개의 홀(575)에는 제 2 무기층(58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2 무기층(580)은 제 1 무기층(570)에 구비된 적어도 2개의 홀(575)을 채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two holes 575 provided in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That is,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be arranged to fill at least two holes 575 provided in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영역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영역(EA)에서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제 1 절연층(560), 제 1 절연층(560) 상에 배치되는 제 1 무기층(570), 제 1 무기층(570) 상에 배치되는 제 2 무기층(580), 제 2 무기층(560) 상에 배치되는 제 2 절연층(660) 및 제 2 절연층(660)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EL)를 포함한다.Figure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Referring to FIG. 8,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56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and a first insulating layer 560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A first inorganic layer 570, a second inorganic layer 580 disposed on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 second insulating layer 660 disposed on the second inorganic layer 56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660)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L) disposed on the top.

여기서, 제 1 절연층(560)은 발광영역(EA)에서 적어도 2개의 함몰부(561)와 돌출부(56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절연층(660)은 발광영역(EA)에서 적어도 2개의 오목부(661)과 볼록부(66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는 제 2 절연층(660)의 오목부(661)와 대응되고, 제 1 절연층(560)의 돌출부(562)는 제 2 절연층(660)의 볼록부(662)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함몰부(561)의 단면 형상이 기판(100)과 가까울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함몰부(561)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판(100)과 가까울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일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may have at least two depressions 561 and protrusions 562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Additionally,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may include at least two concave portions 661 and convex portions 662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At this time,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corresponds to the concave portion 661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and the protrusion 5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corresponds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560. It may correspond to the convex portion 662 of the layer 660. Meanwhile, in FIG. 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561 shows a shape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as it approaches the substrate 100. However, the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561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is shape. It is not limited, and may have a shape whose width becomes wider the closer it is to the substrate 100.

제 1 절연층(560)의 돌출부(562) 상에는 제 1 무기층(57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홀(575)을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may be disposed on the protrusion 5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and may have at least two holes 575.

제 1 무기층(570)의 홀(575)이 구비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1 절연층(560)은 함몰부(56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 1 무기층(570)의 홀(575)의 직경(W1)은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의 직경(W2)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의 직경(W2)은 단면상으로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의 직경(W2)이 가장 넓은 직경(또는 폭), 즉, 함몰부(561)의 최대 직경(또는 최대 폭)을 의미한다. 다시 설명하면, 제 1 무기층(570)의 홀(575)의 직경(W1)은 홀(575)과 인접한(또는 맞닿는)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may have a depression 561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where the hole 575 is provided. Meanwhile, the diameter W1 of the hole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W2 of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Here, the diameter W2 of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is the widest diameter (or width) of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in cross-section. That is, it means the maximum diameter (or maximum width) of the depression 561. In other words, the diameter W1 of the hole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adjacent to (or in contact with) the hole 575. there is.

즉,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는 제 1 무기층(570)의 홀(575) 전체와 중첩하고, 제 1 무기층(570)의 일부와도 중첩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발광영역(EA)에서 제 1 무기층(570)은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와 중첩하는 돌기부(571)와 제 1 절연층(560)의 돌출부(562)와 중첩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설명하면, 제 1 무기층(570)의 직경(L1)은 제 1 절연층(560)의 돌출부(562)의 직경(L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절연층(560)의 돌출부(562)의 직경(L2)은 단면상으로 제 1 절연층(560)의 돌출부(562)의 직경(L2)이 가장 작은 직경(또는 폭), 즉 최소 직경(또는 최대 폭)을 의미한다. 다시 설명하면, 제 1 무기층(570)의 직경(L1)은 제 1 무기층(570)과 맞닿는 제 1 절연층(560)의 돌출부(562)의 최소 직경(L2)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무기층(570)의 직경(L1)이 제 1 절연층(560)의 돌출부(562)의 직경(L2)보다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 형성 시, 돌출부(562)에 에슁 가스가 침투하지 못할 수 있다.That is,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overlaps the entire hole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may also overlap a portion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In other words, in the light emitting area EA,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has a protrusion 571 that overlaps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and a protrusion 5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 can be divided into overlapping areas. Explained from another aspect, the diameter L1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L2 of the protrusion 5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Here, the diameter L2 of the protrusion 5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is the smallest diameter (or width) of the protrusion 5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in cross-section, that is, the minimum It means diameter (or maximum width). In other words, the diameter L1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may be smaller than the minimum diameter L2 of the protrusion 5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that contacts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When the diameter L1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L2 of the protrusion 562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is formed. , ashing gas may not penetrate into the protrusion 562.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의 표면에는 제 2 무기층(58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무기층(580)은 제 1 무기층(570)의 하면의 일부와도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무기층(580)은 제 1 무기층(570)의 돌기부(571)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무기층(580)은 제 1 무기층(570)의 홀(57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제 2 무기층(580)은 제 1 무기층(570)의 홀(575)을 메울 수 있다.A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Additionally,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also contact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Specifically,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571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be disposed on the hole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In other words,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fill the hole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이 때, 제 2 무기층(580)은 제 1 무기층(570)과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 사이에 공간을 구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무기층(570)의 홀(575)과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의 위치가 대응되고, 제 1 무기층(570)의 홀(575)의 직경(W1)이 제 1 절연층(560)의 함몰부(561)의 최대직경(W2)보다 작게 이루어짐으로써, 제 2 무기층(580) 형성 과정에서 제 2 무기층(580) 물질이 함몰부(561)를 채우기 전에 홀(575)을 막아 제 1 무기층(570)과 함몰부(561) 사이에 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be disposed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recessed port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Specifically, the positions of the hole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diameter of the hole 575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Since (W1)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W2) of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the material of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is in the depression (580)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Before filling 561, the hole 575 may be blocked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depression 561.

여기서, 제 2 무기층(580)을 형성하는 공정은 기판(100)에 형성된 구성들의 모폴로지를 따라 제 2 무기층(580)을 성장시킬 수 있는 공정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제 2 무기층(580)을 형성하는 공정은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process for forming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is sufficient as long as it can grow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according to the morphology of the component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For example,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use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atomic layer deposition,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빈 공간의 내부에는 굴절률이 1인 에어갭(56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에어갭(565)은 제 2 무기층(580)으로 둘러싸이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에어갭(565)은 굴절률이 1이므로, 제 2 무기층(580)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An air gap 565 with a refractive index of 1 may be provided inside the empty space. That is, the air gap 565 may be surrounded by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Here, since the air gap 565 has a refractive index of 1, it may have a refractive index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한편,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제 1 무기층(570) 하부에 적어도 2개의 에어갭(565)을 구비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혀 손실될 수 있는 광을 표시장치 외부로 추출하여 광 추출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경로를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t least two air gaps 565 below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thereby directing light that may be trapped and lost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Extraction can contribute to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 detailed review of the optical path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s follows.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제 1 절연층(560), 제 2 절연층(660), 제 1 무기층(570) 및 제 2 무기층(580)의 굴절률이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절연층(560), 제 2 절연층(660), 제 1 무기층(570) 및 제 2 무기층(560)의 굴절률은 1.3 이상에서 1.75일 수 있다.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may have similar refractive indices.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second inorganic layer 560 may be 1.3 or more to 1.75.

한편, 제 1 절연층(560) 함몰부(561) 형성 공정의 편의를 위해 제 1 절연층(560)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1 무기층(570)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정의 편의를 위해, 제 1 절연층(560) 및 제 2 절연층(660)이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1 무기층(570) 및 제 2 무기층(580)이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for the convenience of the process of forming the depression 561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may be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may be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for the convenience of the process,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However,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유기발광소자(EL)의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 광의 일부(d)는 제 1 전극(170), 제 2 절연층(660), 제 2 무기층(580), 제 1 무기층(570) 및 제 1 절연층(560)을 거쳐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거나, 기판(100)과 편광판(110)의 계면에서 굴절되어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다른 일부(e)는 제 2 전극(19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유기발광층(180), 제 1 전극(170), 제 2 절연층(660), 제 2 무기층(580), 제 1 무기층(570) 및 제 1 절연층(560)을 거쳐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A portion (d)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ode 170,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and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it may be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through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or may be refra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polarizing plate 110 and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And, another part (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s ref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190 and return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the first electrode 170,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and the second electrode 190. It can be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through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또한,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또 다른 일부(f)는 제 2 절연층(660)에 전반사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어 제 2 절연층(660)에 구비된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다중 반사되고, 광 경로가 변경되어 제 2 절연층(660), 제 2 무기층(580), 제 1 무기층(570) 및 제 1 절연층(560)을 거쳐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part (f)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s incident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at a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or more and is multiple reflected by the micro lens provided i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The light path is changed so that it can be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throug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또한,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또 다른 일부(g, h)는 제 1 전극(170)과 제 2 절연층(660)의 계면에 전반사 임계각 이하로 입사되고 제 2 절연층(660), 제 2 무기층(580) 및 제 1 무기층(570)을 거친 후, 제 1 무기층(570)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무기층(580)과 에어갭(565)의 계면에 도달한다. 이 때, 광은 제 2 무기층(580)과 에어갭(565)의 계면에 전반사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어 전반사될 수 있고, 전반사된 광은 제 2 절연층(680)의 마이크로 렌즈의 경사면에 도달하여 인접한 다른 경사면에 반사된 후 다시 제 2 무기층(580), 제 1 무기층(570), 제 1 절연층(560)을 거쳐 기판(100)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part (g, 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s incident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below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and is incident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and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it reaches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and the air gap 565 disposed below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t this time, the light may be incident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and the air gap 565 at a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or higher and be totally reflected, and the totally reflected light reache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icro len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80. After being reflected on another adjacent inclined surface, it can escape out of the substrate 100 again through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한편, 유기발광층(180)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또 다른 일부(i)는 제 1 전극(170)과 제 2 절연층(660)의 계면에 전반사 임계각 이하로 입사되고 제 2 절연층(660), 제 2 무기층(580), 제 1 무기층(570) 및 제 1 절연층(560)을 거친 후, 함몰부(561)의 표면에 배치된 제 2 무기층(580)과 에어갭(565)의 계면에 도달한다. 이 때, 광은 제 2 무기층(580)과 에어갭(565)의 계면에 전반사 임계각 이하로 입사되어 전반사될 수 있고, 전반사된 광은 기판(100)을 거쳐 표시장치 외부로 추출될 수 있다.Meanwhile, another part (i)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is incident on the inte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below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an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60.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the first inorganic layer 57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560,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and the air gap 565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depression 561 reaches the interface. At this time, light may be incident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inorganic layer 580 and the air gap 565 below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and be totally reflected, and the totally reflected light may be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substrate 100. .

일반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이 도 10에 도시된 광의 경로 중 d경로, e경로 및 f경로를 통해 기판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유기발광층(180)에서 발광된 광은 d, e, f, g, h 및 i 경로를 통해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g, h 및 I 경로를 통해 광이 더 추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내부에 갇히던 광이 에어갭(565)을 통해 기판 밖으로 더욱 추출될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 typic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an be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d path, e path, and f path among the light paths shown in FIG. 10. On the other hand,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8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through paths d, e, f, g, h, and i. That is, compared to a typic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extract more light through the g, h, and I paths. Accordingly,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light trapped inside can be further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air gap 565,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한편, 제 1 내지 제 3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를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구성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등의 유기발광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a configuration applied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ut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such as lighting devices includ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It can also be applied to devices.

유기발광장치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절연층 및 제 2 절연층, 제 2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유기발광장치의 제 1 절연층 및 제 2 절연층은 본 실시예들의 제 1 절연층 및 제 2 절연층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유기발광장치는 제 1 절연층과 제 2 절연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무기층과 제 2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무기층과 제 1 절연층의 함몰부 사이에는 에어갭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a first and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layer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layers of the present embodiments.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s are applied may include a first inorganic layer and a second inorgan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first inorganic layer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 air gap may be included between the depressio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의 제 1 전극과 접하고, 발광영역에서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하는 제 2 절연층과 제 2 절연층 하부에 제 2 절연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1 절연층을 포함하거나, 제 1 절연층이 에어갭을 포함함으로써, 표시장치 외부로 추출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has a second insulating lay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has a micro lens in the light emitting area, and a lower part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tha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By including a first insulating layer with a low refractive index or by including an air gap,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embodiments abov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abov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s. You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100: 기판
160, 360, 560: 제 1 절연층
161, 361, 561: 함몰부
162, 362, 562: 돌출부
260, 460, 660: 제 2 절연층
261, 461, 661: 오목부
262, 462, 662: 볼록부
100: substrate
160, 360, 560: first insulating layer
161, 361, 561: depression
162, 362, 562: protrusions
260, 460, 660: second insulating layer
261, 461, 661: recess
262, 462, 662: Convex portion

Claims (20)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함몰부 또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 1 절연층;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 2 절연층;
상기 제 2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굴곡을 구비하며,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 기울기를 갖는 영역에서 두께가 가장 얇은 유기발광층;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연층의 함몰부는 상기 제 2 절연층의 볼록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는 상기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대응되는 유기발광장치.
A substrate divided into an emitting area and a non-emitting area;
a first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depressions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light emitting area;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or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curves in the light-emitting area, and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in the area with the maximum slope relativ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depress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correspond to the convexitie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correspond to the concave portion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층의 굴절률은 상기 제 1 절연층의 굴절률보다 큰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의 함몰부로 인해 기판이 노출되는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the substrate is exposed due to a depression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의 함몰부는 상기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는 상기 제 2 절연층의 볼록부와 대응되는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corresponds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corresponds to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함몰부 또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 1 절연층;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 2 절연층;
상기 제 2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굴곡을 구비하며,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 기울기를 갖는 영역에서 두께가 가장 얇은 유기발광층;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연층의 함몰부는 상기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는 상기 제 2 절연층의 볼록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는 상부가 평탄한 형상인 유기발광장치.
A substrate divided into an emitting area and a non-emitting area;
a first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depressions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light emitting area;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or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curves in the light-emitting area, and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in the area with the maximum slope relativ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corresponds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corresponds to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protrus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has a flat top.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함몰부 또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 1 절연층;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 2 절연층;
상기 제 2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서 복수의 굴곡을 구비하며,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 기울기를 갖는 영역에서 두께가 가장 얇은 유기발광층;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연층의 함몰부는 상기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는 상기 제 2 절연층의 볼록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무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기층의 직경은 상기 돌출부의 최소 직경보다 큰 유기발광장치.
A substrate divided into an emitting area and a non-emitting area;
a first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depressions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light emitting area;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or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curves in the light-emitting area, and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in the area with the maximum slope relativ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corresponds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corresponds to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Comprising a first inorganic layer disposed on the protrus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diameter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is larger than the minimum diameter of the protrus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층은 상기 제 1 절연층의 함몰부의 일부와 중첩하는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7,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first inorganic layer overlaps a portion of a recessed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층은 상기 제 1 절연층의 함몰부와 대응하는 영역에서 홀을 구비하는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inorganic layer has a hole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직경은 상기 함몰부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diameter of the hole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depress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층의 상면, 적어도 일 측면, 하면의 일부 및 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연층의 함몰부 표면에 배치되는 제 2 무기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7,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inorganic layer disposed on a top surface, at least one side, a portion of a bottom surface, and a hole of the first inorganic layer, and a second inorganic layer disposed on a surface of a recessed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층과 상기 제 1 절연층의 함몰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무기층으로 둘러싸인 에어갭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1,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n air gap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organic layer and a recessed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surrounded by the second inorganic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와 함몰부 및 상기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높이는 0.6㎛ 내지 4㎛인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heights of the protrusions and depress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re 0.6 μm to 4 μ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와 함몰부 및 상기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지름은 1㎛ 내지 5㎛인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protrusions and depress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have a diameter of 1 μm to 5 μ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와 함몰부 및 상기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종횡비는 0.2 내지 0.8인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aspect ratio of the protrusions and depress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0.2 to 0.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와 함몰부 및 상기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는 0.4 내지 2인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half-height width to aspect ratio of the protrusions and depress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concave portions and convexitie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0.4 to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와 함몰부 및 상기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는 1이상인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half-height width aspect ratio to the aspect ratio of the protrusions and depress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concave portions and convexitie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1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의 돌출부와 함몰부 및 상기 제 2 절연층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경사면의 최대 기울기는 20도 내지 60도인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maximum slope of the protrusions and depress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has a maximum inclination of 20 to 60 degr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제 2 절연층 또는 제 1 전극 중 적어도 1 개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follows the morphology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의 굴절률은 상기 제 2 무기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유기발광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ir gap is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inorganic layer.
KR1020160177055A 2016-12-22 2016-12-22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6083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055A KR102608318B1 (en) 2016-12-22 2016-12-22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055A KR102608318B1 (en) 2016-12-22 2016-12-22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93A KR20180073793A (en) 2018-07-03
KR102608318B1 true KR102608318B1 (en) 2023-11-30

Family

ID=6291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055A KR102608318B1 (en) 2016-12-22 2016-12-22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3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899A (en) * 2019-06-19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510120B1 (en) * 2019-11-06 2023-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789A (en) * 2006-12-21 2008-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50077261A (en) * 2013-12-27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27462B1 (en) * 2014-04-22 2021-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45872B1 (en) * 2014-12-29 2021-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93A (en)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39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65116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173977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595648B2 (en) Light-emitting device
KR10266181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9962174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7498735B2 (en) OLED device having improved power distribution
US7825570B2 (en) LED device having improved contrast
WO2015184712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943163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60112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400751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8283858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8006254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34587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1987123B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58553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10040427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64560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60831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29347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09510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202032786A (en) Light emitting panel
KR20200133653A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210012415A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