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421B1 -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421B1
KR102604421B1 KR1020200160271A KR20200160271A KR102604421B1 KR 102604421 B1 KR102604421 B1 KR 102604421B1 KR 1020200160271 A KR1020200160271 A KR 1020200160271A KR 20200160271 A KR20200160271 A KR 20200160271A KR 102604421 B1 KR102604421 B1 KR 102604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weight
parts
adhesiv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2542A (ko
Inventor
송수현
최용석
최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아트
송수현
최용석
최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아트, 송수현, 최용석, 최현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아트
Priority to KR102020016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4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9/00Adhesives based on prote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내벽에 도포되어 새집증후군 또는 결로 발생을 방지하거나, 마감재를 부착할 수 있는 건축물에 도포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는 제1 도료를 건축물 내벽에 도포 후, 제2 도료를 제1 도료의 상부에 도포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로서, 상기 제1 도료 100 중량부 당 점착성을 갖는 천연식물에서 추출된 점착수지 50~60 중량부, 쥐오줌풀 추출물이 함침된 오줌풀담체 20~30 중량부, 율무 5~10 중량부, 및 편백수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료 100 중량부 당 상기 편백수의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산화칼슘 20 내지 50 중량부, 숯 25~40 중량부, 및 황토 또는 포졸란을 25~4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료와 상기 제2 도료는 1 : 0.2 내지 0.5의 중량비로 도포된다. 따라서, 새집증후군 및 결로의 발생을 방지하고, 신속시공이 가능하며, 마감재를 부착하는 접착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Adhesive paint for interior walls of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물 내벽에 도포되어 새집증후군 또는 결로 발생을 방지하거나, 마감재를 부착할 수 있는 건축물에 도포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지을 때 콘크리트의 양생속도, 경도 및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재료들이 혼합되며, 건축물의 마감시에도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새집에 입주하는 경우, 아토피와 같은 피부트러블이 발생하거나 호흡기의 질병이 발생하는 새집증후군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새집증후군이 발생하는 경우, 입주 전에 난방온도를 높여 온도에 의해 유해성분들을 증발시키는 형태로 베이크아웃를 수행하는데, 베이크아웃를 수행하더라도 유해성분의 제거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45200호(2011.6.30.공고)의 "건물내벽용 접착도료"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건물내벽용 접착도료는 연근 추출액 12~16wt%, 인진쑥 추출액 12~16wt%, 숯 27~33wt%, 포조란 8~12wt%, 식염수 5~9wt%, 나머지 증류수가 혼합되고 90시간 내지 100시간 동안 1~5℃의 저온에서 숙성시켜 제작되며, 건물내벽에 도포함으로써, 건물내벽에서 유해성분들이 실내로 유입되거나, 유해성분들을 소멸시고 친환경소재로만 구성되어 새집증후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건물내벽용 접착도료는 연근 추출액과 인진쑥 추출액은 섭취시에 효과를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해성분을 제거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식염수, 증류수가 증발되어야만 경화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며, 연근 추출액 및 인진쑥 추출액의 접착성이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혼합되는 성분들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유해성분을 제거하기에는 역부족하고, 금새 휘발되면서 유효성분을 장기간 지속으로 제공하기 어려우며, 공기의 유통성, 흡수성, 향균성이 낮아 결로방지에는 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 구성되어 친환경적이며, 편백수, 및 쥐오줌풀이 함유되어 신경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쥐오줌풀추출물을 오줌풀담체에 담아 장시간 효과를 지속할 수 있고, 산화칼슘이 함유되어 편백수의 수분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함으로써, 실내를 가열하여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베이크아웃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신속한 접합성과 추출물의 가열에 따른 항균성을 향상시키고 신속히 경화되고 경도를 증가시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쥐오줌풀, 숯 또는 황토 또는 포졸란, 율무, 편백수 등 다양한 자연 추출물이 혼합되어 항균성을 높여 세균 및 곰팡이의 증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황토 또는 숯 또는 포졸란, 및 한지가 함유되어 공기의 유통성을 증가시키고, 수분의 흡수성을 높여 결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쥐오줌풀과 편백수에 의해 신경의 안정성을 높여 편안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는 제1 도료를 건축물 내벽에 도포 후, 제2 도료를 제1 도료의 상부에 도포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로서, 상기 제1 도료 100 중량부 당 점착성을 갖는 천연식물에서 추출된 점착수지 50~60 중량부, 쥐오줌풀 추출물이 함침된 오줌풀담체 20~30 중량부, 율무 5~10 중량부, 및 편백수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료 100 중량부 당 상기 편백수의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산화칼슘 20 내지 50 중량부, 숯 25~40 중량부, 및 황토 또는 포졸란을 25~4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료와 상기 제2 도료는 1 : 0.2 내지 0.5의 중량비로 도포된다.
상기 오줌풀담체는 숯, 황토, 포졸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오줌풀담체는 1mm 이하의 입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도료는 결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줌풀담체는 상기 쥐오줌풀 추출물의 발산성을 낮춰 장기간 휘발되도록 상기 오줌풀담체의 외면에 코팅되는 지연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막층은 전분수용액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수증기에 상기 오줌풀담체를 노출시킨 후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수지는 콩추출물 또는 마늘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점착수지가 마늘 또는 콩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구현되어 친환경적이며, 신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지, 황토, 및 숯이 습기를 흡수하여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통해 공기가 벽체와의 공기가 유통되고 흡수되면서 결로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항균성을 향상시켜 곰팡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율무가 혼합되어 율무에 의한 항균성에 의해 아토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쥐오줌풀 추출물이 발산되면서 신경안정효과와 근육이완의 효과를 발생하여 편안한 휴식을 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산화칼슘과 편백수에 포함된 수분과 반응하면서, 열과 수증기를 발생시켜 열에 의해 율무의 항균성을 향상시키고, 신속하게 경화시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산화칼슘과 수분이 반응한 부산물인 수산화칼슘이 포졸란과 반응하여 경화된 상태에서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지가 함유되어 혼합물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고, 편백수가 흡수되면서 장기간 편백수에 의한 피톤치드 및 키토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오줌풀담체에 쥐오줌풀 추출물이 함유되어 혼합되기 때문에 쥐오줌풀에 의한 신경안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오줌풀담체에 지연막층이 형성되어 장기간 동안 쥐오줌풀에 의한 신경안정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쥐오줌풀이 오줌풀담체에 함침되어 혼합되기 때문에 다른 재료와의 혼합에 따른 쥐오줌풀에 의한 효과가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를 구성하는 오줌풀담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는 제1 도료(100) 및 제2 도료(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료(100)는 점착성을 가져 건축물 내벽에 점착될 수 있으며, 제2 도료(200)는 제1 도료(100)의 외면에 도포되어 제1 도료(100)에 포함된 성분과 함께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발열하기 때문에 새집의 경우, 발열에 따른 유해한 성분을 가열하여 제거하는 베이크아웃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성분의 효능을 증진시키거나, 경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도료(100)는 점착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수지는 점착성을 가져 같이 혼합된 혼합물들을 건축물 내벽에 점착시키는 바인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점착수지는 천연원료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점착수지는 콩의 점성성분을 추출한 콩추출물 또는 마늘에서 점성성분을 추출한 마늘추출물일 수 있다.
콩추출물은 콩에서 추출되는 젤라틴화된 전분을 포함한 성분일 수 있으며, 마늘추출물은 마늘에서 추출된 알리나제, 알린 또는 알리신을 포함하는 성분일 수 있다.
콩추출물 또는 마늘추출물은 콩 또는 마늘을 용매에 용해한 후 용매에서 점성성분만을 추출하여 농축하는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
물론, 점착수지는 콩추출물 또는 마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그외 점성과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천연 왁스, 천연 오일, 천연검, 또는 지방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점착수지는 마늘추출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늘추출물로 제1 점착도료로 사용할 경우, 마늘추출물의 알리신, 알린 또는 알리나제 등에 의해 향균성을 가져 세균 또는 곰팡이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점착수지는 제1 도료(100) 100 중량부 당 50~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수지가 5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점착성이 낮아 혼합되는 성분들의 점착성이 하락되며,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각 성분들의 혼합량이 낮아 각 성분들에서 제공하는 효과가 미미하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료(100)는 쥐오줌풀(Valerian officinalis) 추출물이 함침된 오줌풀담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오줌풀담체(300)는 쥐오줌풀 추출물이 함침되어 쥐오줌풀에 포함된 발레리아닌과 카티닌 등이 진정작용을 함으로써, 정시적인 안정감을 제공하여 숙면을 유도하거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쥐오줌풀 추출물은 섭취도 가능하지만, 발산에 의한 정신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쥐오줌풀 추출물은 쥐오줌풀의 잎사귀 또는 뿌리를 건조시켜 분쇄한 후, 알콜 또는 오일 등과 같은 용매에 담그는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쥐오줌풀 추출물은 제1 도료(100)에 그대로 혼합될 경우, 마늘추출물 등 다른 혼합물들과 서로 혼합되면서, 고유한 발향에 따른 효과를 상실할 수 있기 때문에 쥐오줌풀 추출물은 오줌풀담체(300)에 함침된 상태로 제1 도료(100)에 혼합될 수 있다.
오줌풀담체(300)는 다공성 소재로 형성되어 쥐오줌풀 추출물이 함침될 수 있으며, 오줌풀담체(300)는 숯, 또는 황토 또는 포졸란(pozzolan) 또는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오줌풀담체(300)를 숯으로 구현할 경우, 쥐오줌풀 추출물의 향기를 제공하면서, 악취제거, 습도조절 및 공기정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으며, 오줌풀담체(300)를 황토로 구현할 경우, 원적외선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기조절이 가능하여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오줌풀담체(300)를 포졸란으로 구현할 경우, 수분 및 하기에 설명할 산화칼슘과 수분의 부산물인 수산화칼슘과 반응하면서 시멘트성지를 가지면서 건축물 내벽에 부착되는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오줌풀담체(300)는 1mm 이하의 입도를 가질 수 있으며, 오줌풀담체(300)는 쥐오줌풀 추출물에 오줌풀담체(300)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담그거나, 쥐오줌풀 추출물을 고압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용기에 오줌풀담체(300)를 반입한 상태에서 쥐오줌풀 추출물을 고압으로 가압용기에 주입하여 오줌풀담체(300)에 쥐오줌풀 추출물을 고압에 의해 강제적으로 함침시킬 수 있다.
이렇게 고압용기에서 쥐오줌풀 추출물을 오줌풀담체(300)에 함침시킬 경우, 상대적으로 조직이 치밀한 오줌풀담체(300)에도 쥐오줌풀 추출물을 함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줌풀담체(300)의 깊숙한 부분까지 쥐오줌풀 추출물이 함침되면서 쥐오줌풀 추출물의 발산성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다.
한편, 오줌풀담체(300)는 지연막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연막층(400)은 오줌풀담체(300)의 외면을 둘러싸 단기간의 다량의 쥐오줌풀 추출물이 발산되는 것을 지연시킴으로써, 쥐오줌풀 추출물의 발산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다.
지연막층(400)은 오줌풀담체(300)의 외면에 전분에 의해 막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지연막층(400)은 전분이 용해된 전분수용액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수증기에 오줌풀담체(300)를 노출시켜 수증기가 수증기에 포함된 전분이 오줌풀담체(300)에 도포되고, 전분이 도포된 상태에서 전분이 경화되면서 막을 형성하도록 상온 경화시키는 형태로 오줌풀담체(300)에 지연막층(4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분수용액의 수증기에 의해 지연막층(400)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입도가 작은 오줌풀담체(300)에도 용이하게 지연막층(400)을 형성할 수 있다.
지연막층(400)은 전분에 의해 막을 형성할 경우, 전분에 의해 형성되는 막은 수증기에 의해 도포되기 때문에 다공성의 오줌풀담체(300)의 다공에도 스며들면서 일부 다공을 밀폐하며, 막의 조직에 형성된 다공을 통해 쥐오줌풀 추출물이 발형되기 때문에 쥐오줌풀 추출물의 발산을 장기간 지속할 수 있다.
쥐오줌풀 추출물이 수용된 오줌풀담체(300)는 제1 도료(100) 100 중량부 당 20 내지 3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으며, 오줌풀담체(300)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쥐오줌풀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낮아져 쥐오줌풀 추출물의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오줌풀담체(300)가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줌풀의 발산성이 증가되어 오히려 건강을 저해시킬 수 있다.
이때, 오줌풀담체(300)가 포졸란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 도료(100)가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하기에 설명할 산화칼슘에 의한 부산물인 수산화칼슘과 반응하면서 콘크리트성이 높아져 상호간의 결합력보다는 오히려 쉽게 부스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료(100)는 율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율무는 습기를 빨아들이는 성질이 있어 결로를 흡수함으로써,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율무는 PH7의 중성으로 아토피 등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항균작용을 가져 세균 또는 곰팡이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율무는 가열할 경우, 항균성이 더욱 향상되어 세균 및 곰팡이의 증식에 탁월하며 율무는 가루의 형태로 제1 도료(100)에 혼합될 수 있고, 율무는 건조시킨 상태에서 가루로 분쇄하여 혼합될 수 있다.
율무는 제1 도료(100) 100 중량부 당 5 내지 1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으며, 율무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율무의 효과를 발현하기 미미하며, 율무가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수지의 수분을 흡수하면서 점착수지가 점착성을 잃고 경화 후에 쉽게 부스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료(100)는 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한지는 서로 혼합되는 혼합물끼리의 부착되는 가교의 기능을 수행하여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점착수지바인더가 부스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지는 수분을 흡수하여 결로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를 유통시켜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와 건축물 내벽의 사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지는 상대적으로 폭보다는 길이가 긴 형태로 절단되어 혼합될 수 있으며, 한지의 길이는 1 내지 10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한지가 1mm 미만일 경우에는 가루와 같은 형태가 되어 혼합물을 점착시키는 기능이 하락될 수 있으며, 한지가 10mm 초과일 경우, 제1 도료(100)를 도포하기 위해 분사시 분사노즐이 막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도료(100)는 편백수를 포함할 수 있다.
편백수는 피톤치드 및 키토산을 발산하여 해충을 퇴치하거나, 살균성을 가질 수 있으며, 편백수는 제1 도료(100)에 함유되는 량에 따라 도포하기 위한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편백수는 편백나무에서 채취하거나, 편백나무를 증류하여 얻을 수 있다. 편백수는 농축된 형태일 수 있으며, 물과 함께 원하는 비율로 조절하여 제1 도료(100)에 혼합될 수 있다.
편백수는 제1 도료(100) 100 중량부 당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편백수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점착수지의 점도가 높아 분사가 어려우며, 편백수를 30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편백수는 제1 도료(100)에 포함되는 한지에 흡수된 상태에서 피톤치드와 키토산을 발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료(200)는 산화칼슘(calcium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칼슘은 편백수에 포함된 수분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여 새집증후군의 유해물질을 증발시켜 소멸시킬 수 있다.
여기서, 통상 새로운 집에는 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데, 접착제에는 건강에 해로운 물질들이 발산되기 때문에 입주하기 이전에 난방온도를 높여 가열함으로써, 제거하는 형태로 베이크아웃을 수행한다.
그러나, 베이크아웃을 수행할 때, 난방이 들어오는 바닥에서만 제대로 가열되고, 나머지 내벽에는 가열이 어렵지만, 본원발명은 벽체에 도포된 제1 도료(100)에 제2 도료(200)를 도포하면서 산화칼슘이 편백수에 포함된 수분과 반응하면서 가열되어 건축물의 내벽도 가열하여 베이크아웃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산화칼슘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율무를 가열하여 율무의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 점착수지를 신속히 경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산화칼슘과 편백수의 수분이 반응하면 열과 함께 수증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편백수에 포함된 피톤치드와 키토산의 발산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까지 수증기가 전달되면서 피톤치드와 키토산에 의한 살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산화칼슘과 수분이 반응하면 부산물로 수산화칼슘이 발생하는 데, 수산화칼슘은 오줌풀담체(300)를 포졸란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수산화칼슘과 포졸란이 반응하면서 콘크리트성을 증가시켜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의 점착성 및 경화된 상태에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료(200)는 숯을 포함할 수 있다.
숯은 탈취성 및 습기를 흡수하여 결로를 방지하거나 습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으며, 음이온이 발생하여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다.
숯은 입도가 1mm 이하의 가루의 형태로 제2 도료(200) 100 중량부 당 25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으며, 숯이 2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숯에 의한 흡습량이 미미하여 결로방지효과가 하락되며, 숯이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에는 숯 가루가 점착수지에 고착되지 않고 비산되어 오히려 주변환경에 오염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료(200)는 황토 또는 포졸란을 포함할 수 있다.
황토는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원적외선에 의한 건강상의 이로운 효과를 발생할 수 있으며, 황토는 수분을 흡수하며 공기를 유통시켜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와 내벽의 사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황토는 가열할 경우, 원적외선의 방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산화칼슘과 편백수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원적외선의 방사량을 증가시켜 도포 초기시의 원적외선효과에 의한 새집증후군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포졸란은 황토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황토를 대치하여 제2 도료(200)에 혼합될 수 있다.
포졸란은 수분과 반응한 산화칼슘의 부산물인 수산화칼슘에 의해 황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콘크리트성을 높여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가 벽체에 부착되는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황토 또는 포졸란은 미리 설정된 입도를 갖는 가루의 형태일 수 있으며 황토 또는 포졸란은 제2 도료(200) 100 중량부 당 25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황토 또는 포졸란이 2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황토에 의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황토 또는 포졸란이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에는 수산화칼슘과 반응하는 포졸란에 의한 콘크리트성이 증가되면서 건축물 내벽에서 쉽게 부서져 이탈될 수 있다.
한편, 제1 도료(100)와 제2 도료(200)의 혼합비율은 제1 도료(100) 1 : 제2 도료(200) 0.2 내지 0.5 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도료(200)의 중량비가 0.2 미만으로 혼합되면 제2 도료(200)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고, 산화칼슘과 편백수의 수분이 반응하는 량이 작아 발열온도가 낮아 베이크아웃효과를 발생하기 어려우며, 0.5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점착수지에 점착되지 못하고 비산되는 량이 더 많아 재료의 낭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발열온도가 높아 점착수지의 유동성이 증가되면서 혼합된 혼합물들이 흘러내릴 수 있다.
그리고, 제2 도료(200)에 혼합되는 숯 및 황토 또는 포졸란 및 산화칼슘은 모두 건조된 상태의 가루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도료(100)에 혼합하면, 산화칼슘이 반응하고, 황토 또는 포졸란 및 숯에 편백수 및 점착수지가 흡수되면서, 황토 또는 포졸란 및 숯의 기능이 하락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도료(200)와 제1 도료(100)를 분리하여 도포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제1 도료(100)를 공기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되어 건축물 내벽에 분사되어 도포되고, 제1 도료(100)가 경화되기 이전에 제2 도료(200)를 공기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되어 도포될 수 있다.
제2 도료(200)가 제1 도료(100)에 분사되면, 제1 도료(100)에 포함된 편백수와 제2 도료(200)에 혼합된 산화칼슘이 반응하여 열과 수증기가 발생하며 부산물로서는 수산화칼슘만이 남으며, 발열에 의해 편백수가 증발하면서 수증기의 형태로 널리 퍼져 피톤치드와 키토산에 의한 항균 및 향에 의한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발열에 의해 율무도 가열되면서 항균성이 증가하고, 편백수의 증발을 촉진시켜 점착수지가 신속히 경화되어 건축물 내벽에 고착될 수 있다.
한편, 편백수는 발열할 때 모두 증발하는 것이 아니라, 한지에도 일부 함침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피톤치드 및 키토산을 발산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건축물 내벽에 시공된 건축물 내벽용 점착도료는 벽지부착하기 위한 도배풀 또는 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마감재를 설치 후 또는 도배를 시공 후에도 그 위에 도포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하기와 같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는 제1 도료(100)의 점착수지를 마늘추출물을 이용하였으며, 마늘추출물 50 중량부, 오줌풀담체(300) 30 중량부, 율무 5 중량부, 편백수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제2 도료(200)는 산화칼슘 20 중량부, 숯 40 중량부, 포졸란 40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실시예는 제1 도료(100)와 제2 도료(200)를 1:0.5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며, 비교예 1은 제1 도료(100)와 제2 도료(200)를 1:0.1로 혼합한 것이고, 비교예 2는 제1 도료(100)와 제2 도료(200)를 1:2로 혼합한 것이다.
온도의 측정은 제2 도료(200)를 도포 1분 후 비접촉식 온도계를 사용하였으며, 경화되는 시간은 시공 10분후 손에 묻어남을 관찰한 것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온도(실온 16.5℃) 경화도 흘러내림
실시예 57.1℃ 경화됨 X
비교예 1 28.2℃ 경화됨 X
비교예 2 77.3℃ 비경화됨 O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베이크아웃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적당한 온도로 가열되며, 손에 묻어나지 않고 흘러내림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1은 흘러내림이 관찰되지 않았고 경화되었지만, 베이크아웃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온도가 낮았다. 비교예2는 온도는 높아 베이크아웃효과가 탁월하지만, 온도에 따른 경화가 늦으며, 육안으로 봤을 때, 혼합물들의 흘러내림이 관찰되었다. 오줌풀담체(300)의 지속성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오줌풀담체(300)에 쥐오줌풀 추출물을 함침시킨 상태와 쥐오줌풀 추출물을 방지한 상태를 측정하여 발산여부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쥐오줌풀 추출물의 발향은 일반적인 가정에서 100ml의 쥐오줌풀 추출물을 비커에 담고 실시예는 황토를 100ml 가량 넣었으며 비교예에서는 그대로 방치하였으며, 5일간격으로 후각적으로 30일동안 후각을 이용하여 냄새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10일 20일 30일
실시예(황토담체) O O O
비교예 O X X
표 2에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30일이 지나더라도 미미하지만 냄새를 쥐오줌풀 추출물의 냄새를 맡을 수 있었으나, 비교예는 10일 후에는 냄새를 맡을 수 없었다. 또한, 결로방지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는 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를 이용하였고, 비교예는 시중에서 구입이 가능한 결로방지 페인트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은 수조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에 일면에는 실시예를 도포하고, 타면에는 비교예를 대략 3mm가량의 두께로 도포하고, 수조의 중앙에는 전기히터를 설치하여 수조의 내부 온도를 40℃ 유지하였다.
그리고, 수조를 냉수가 담긴 다른 수조에 넣어 수조의 외부에 냉수를 담은 냉수를 계속적으로 공급하여 10℃를 유지한 후 10분 동안 2분 간격으로 결로의 발생유무를 육안과 촉감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2분 4분 6분 8분 10분
실시예 O X X X X
비교예 O X X O O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초기 2분동안은 결로의 발생이 관찰되었고, 6분까지는 결로가 흡수되면서 결로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비교예는 8분이 지나면서 결로가 다시 관찰되어 결로의 흡수성이 비교예보다 실시예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는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점착수지가 마늘 또는 콩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구현되어 친환경적이며, 환경오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신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함께 혼합되는 한지, 황토, 및 숯이 습기를 흡수하여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지와 황토를 통해 공기가 벽체와의 공기가 유통되면서 곰팡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황토, 숯, 및 점착수지에 의한 항균성에 의해 세균과 곰팡이의 증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황토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율무가 혼합되어 율무에 의한 항균성에 의해 아토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쥐오줌풀 추출물이 발산되면서 신경안정효과와 근육이완의 효과를 발생하여 편안한 휴식을 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산화칼슘과 편백수에 포함된 수분과 반응하면서, 열과 수증기를 발생시켜 열에 의해 율무의 항균성을 향상시키고, 신속하게 경화시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산화칼슘과 수분이 반응한 부산물인 수산화칼슘이 포졸란과 반응하여 경화된 상태에서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지가 함유되어 혼합물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고, 편백수가 흡수되면서 장기간 편백수에 의한 피톤치드 및 키토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오줌풀담체(300)에 쥐오줌풀 추출물이 함유되어 혼합되기 때문에 쥐오줌풀에 의한 신경안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오줌풀담체(300)에 지연막층(400)이 형성되어 장기간 동안 쥐오줌풀에 의한 신경안정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쥐오줌풀이 오줌풀담체(300)에 함침되어 혼합되기 때문에 다른 재료와의 혼합에 따른 쥐오줌풀에 의한 효과가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제1 도료 200: 제2 도료
300: 오줌풀담체 400: 지연막층

Claims (6)

  1. 제1 도료를 건축물 내벽에 도포 후, 제2 도료를 제1 도료의 상부에 도포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로서,
    상기 제1 도료 100 중량부 당 점착성을 갖는 천연식물에서 추출된 점착수지 50~60 중량부, 쥐오줌풀 추출물이 함침된 오줌풀담체 20~30 중량부, 율무 5~10 중량부, 및 편백수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료 100 중량부 당 상기 편백수의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산화칼슘 20 내지 50 중량부, 숯 25~40 중량부, 및 황토 또는 포졸란을 25~4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료와 상기 제2 도료는 1 : 0.2 내지 0.5의 중량비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줌풀담체는 숯, 황토, 포졸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줌풀담체는 1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료는
    결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줌풀담체는
    상기 쥐오줌풀 추출물의 발산성을 낮춰 장기간 휘발되도록 상기 오줌풀담체의 외면에 코팅되는 지연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막층은
    전분수용액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수증기에 상기 오줌풀담체를 노출시킨 후 경화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 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수지는
    콩추출물 또는 마늘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KR1020200160271A 2020-11-25 2020-11-25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KR102604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271A KR102604421B1 (ko) 2020-11-25 2020-11-25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271A KR102604421B1 (ko) 2020-11-25 2020-11-25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542A KR20220072542A (ko) 2022-06-02
KR102604421B1 true KR102604421B1 (ko) 2023-11-22

Family

ID=8198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271A KR102604421B1 (ko) 2020-11-25 2020-11-25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4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338B1 (ko) 2012-08-07 2014-06-02 박가원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KR101693322B1 (ko) 2016-06-28 2017-01-17 (주)아이웨이퍼니쳐 친환경 페인트의 제조방법
KR101962163B1 (ko) 2018-08-16 2019-07-17 극동씨엠씨(주) 고분자 복합시트 및 도막재 바인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교면 방수용 복합시트 및 교면 방수용 복합시트를 이용한 교면 방수 시공 방법
KR101977565B1 (ko) 2018-06-21 2019-08-28 황정식 친환경 페인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338B1 (ko) 2012-08-07 2014-06-02 박가원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KR101693322B1 (ko) 2016-06-28 2017-01-17 (주)아이웨이퍼니쳐 친환경 페인트의 제조방법
KR101977565B1 (ko) 2018-06-21 2019-08-28 황정식 친환경 페인트 조성물
KR101962163B1 (ko) 2018-08-16 2019-07-17 극동씨엠씨(주) 고분자 복합시트 및 도막재 바인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교면 방수용 복합시트 및 교면 방수용 복합시트를 이용한 교면 방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542A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705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클리너
KR101610679B1 (ko)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재와 그 제조방법
KR102469017B1 (ko) 친환경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도장방법
KR102604421B1 (ko)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KR102021352B1 (ko) 가구용 목재의 절단면 항균처리방법
KR20130081752A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0790488B1 (ko) 로즈마리 향이 방출되는 공기 정화용 음이온 졸 및 그 제조방법
KR100796729B1 (ko) 건물 실내 내장재의 기능성 코팅액 제조방법
KR102387295B1 (ko) 수목의 보호 및 상처 치료를 위한 황토 스프레이
KR20110138844A (ko) 편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2082614B1 (ko)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스티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98161B1 (ko) 아로마 패치의 제조방법
KR20240070316A (ko) 피톤치드 발산 실리콘 코팅제와 이를 이용한 실리콘 시트 및 실리콘 시트의 제조방법
KR100295741B1 (ko) 시트형향발산점착제의제조방법
KR200418067Y1 (ko) 기능성 지류
KR100738505B1 (ko)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390479B1 (ko) 정유를 함유하는 냉각 패치
KR101938858B1 (ko) 편백볼이 함유된 난방바닥재용 황토 조성물
KR20160074445A (ko) 솔 향(피톤치드)이 분출되는 기능성 건축내장재
KR102063758B1 (ko) 솔잎, 왕겨 및 톱밥을 이용한 친환경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53980B1 (ko) 무늬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81296B1 (ko) 잣나무 추출성분을 이용한 항균, 항진드기, 냉감 직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직물
KR200380254Y1 (ko) 기능성 지류
KR200405473Y1 (ko) 기능성 인조대리석
US5683707A (en) Biostatic media for active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