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157B1 -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157B1
KR102604157B1 KR1020230061556A KR20230061556A KR102604157B1 KR 102604157 B1 KR102604157 B1 KR 102604157B1 KR 1020230061556 A KR1020230061556 A KR 1020230061556A KR 20230061556 A KR20230061556 A KR 20230061556A KR 102604157 B1 KR102604157 B1 KR 10260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rtion
input shaft
casing
connection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기웅
Original Assignee
(주) 해원오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해원오직 filed Critical (주) 해원오직
Priority to KR1020230061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8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몸체를 구성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입력축케이싱부와, 상기 입력축케이싱부 내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상으로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입력축부와, 상기 제 1입력축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평행하게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입력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입력축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출력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입력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출력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입력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연결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연결축부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연결축부와, 상기 제 1입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1베벨기어와, 상기 제 2입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2베벨기어와, 상기 제 1출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3베벨기어와, 상기 제 1연결축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4베벨기어와, 상기 제 2연결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5베벨기어와, 상기 제 2출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5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6베벨기어와, 상기 제 1연결축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 1연결기어와, 상기 제 2연결축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연결기어와 맞물리는 제 2연결기어와, 상기 제 1연결축부와 상기 제 2연결축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 1베어링부와, 상기 제 1입력축부에 상기 제 2입력축부를 고정시키는 제 1베어링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A Robot Power Transmittion System}
본 발명은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밀하게 사용하는 로봇에서 손목부의 동력을 제어하는 5축 및 6축의 동력전달과정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로봇이 필요한 제조업 현장에는 중량물 또는 정밀부품의 제어가 필요함으로써 다관절이 적합하다. 공간제약 및 이동반경에 따라 최소 3개 이상의 관절이 요구되며, 관절이 많을수록 자유도가 높아지게 된다.
각 관절부에는 로봇크기에 맞는 회전과 기동토크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기어부품들로 이루어진다. 산업현장에서는 좀 더 정밀하고 빠른 작업속도가 필요한 로봇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그에 맞는 성능을 가진 동력전달시스템을 가진 로봇이 필요하다.
로봇에서 1 내지 4축부는 모터, 감속기 및 스퍼기어 등의 구조의 조립 등에 의하여 컨트롤이 용이하나, 로봇의 손목부분의 동작을 구현하는 5축 및 6축부는 모터, RV감속기, 베벨기어구조로 높은 수준의 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동력전달부분에 있어서 소음 및 진동을 제어하는 기술의 구현이 어렵고, 여러 개의 베벨기어가 삽입되어 작업자의 조립성향에 따라 소음 및 진동의 변화의 폭이 큰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012053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의 목적은 로봇의 손목부분의 5축 및 6축의 동력을 전달함에 있어 진동이나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은, 몸체를 구성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입력축케이싱부와, 상기 입력축케이싱부 내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상으로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입력축부와, 상기 제 1입력축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평행하게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입력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입력축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출력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입력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출력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입력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연결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연결축부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연결축부와, 상기 제 1입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1베벨기어와, 상기 제 2입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2베벨기어와, 상기 제 1출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3베벨기어와, 상기 제 1연결축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4베벨기어와, 상기 제 2연결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5베벨기어와, 상기 제 2출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5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6베벨기어와, 상기 제 1연결축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 1연결기어와, 상기 제 2연결축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연결기어와 맞물리는 제 2연결기어와, 상기 제 1연결축부와 상기 제 2연결축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 1베어링부와, 상기 제 1입력축부에 상기 제 2입력축부를 고정시키는 제 1베어링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베어링커버부는, 원판형상의 제 1베어링커버와, 상기 제 1베어링커버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제 1커버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커버나사의 체결정도로 상기 제 1베어링커버의 삽입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연결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사이에 제 2베어링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베어링부를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시키는 제 2베어링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베어링커버와 상기 제 2베어링부 사이에는 원판 형상의 제 1예압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연결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사이에 제 3베어링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3베어링부를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시키는 제 3베어링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베어링커버와 상기 제 3베어링부 사이에는 원판 형상의 제 2예압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연결기어의 중앙을 상기 제 1연결축부의 후단이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 1연결축부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원판형상의 제 1체결판과, 상기 1체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연결축부에 고정하는 2개의 제 1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연결기어의 중앙을 상기 제 2연결축부의 후단이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 2연결축부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원판형상의 제 2체결판과, 상기 제 2체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 2연결축부에 고정하는 2개의 제 2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각각의 축부를 고정함에 있어, 베어링을 고정할 때 축부와 베어링의 사이에 시트형상의 심들을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베어링의 적정예압과 구동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백래쉬 및 조립가공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로봇구조에서 손목부의 5축 및 6축 구동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구성하는 케이싱부(10)와, 상기 케이싱부(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입력축케이싱부(20)와, 상기 입력축케이싱부(20) 내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상으로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입력축부(30)와, 상기 제 1입력축부(30)의 내부에 삽입되어 평행하게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입력축부(40)와, 상기 케이싱부(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입력축부(4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출력축부(50)와, 상기 케이싱부(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출력축부(60)와, 상기 케이싱부(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입력축부(4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연결축부(70)와, 상기 케이싱부(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연결축부(70)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연결축부(80)와, 상기 제 1입력축부(30)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1베벨기어(32)와, 상기 제 2입력축부(40)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2베벨기어(42)와, 상기 제 1출력축부(60)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베벨기어(32)와 맞물리는 제 3베벨기어(62)와, 상기 제 1연결축부(70)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베벨기어(42)와 맞물리는 제 4베벨기어(72)와, 상기 제 2연결축부(80)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5베벨기어(82)와, 상기 제 2출력축부(50)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5베벨기어(82)와 맞물리는 제 6베벨기어(52)와, 상기 제 1연결축부(70)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 1연결기어(74)와, 상기 제 2연결축부(80)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연결기어(74)와 맞물리는 제 2연결기어(84)와,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상기 제 2입력축부(40) 사이에 마련되는 제 1베어링부(90)와,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상기 제 2입력축부(40)를 고정시키는 제 1베어링커버부(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에는 케이싱부(10)가 마련된다. 상기 케이싱부(10)는 본 발명인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의 몸체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싱부(1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각종 부품이 내부에 실장된다.
상기 케이싱부(10)에는 입력축케이싱부(20)가 더 마련된다. 상기 입력축케이싱부(20)는 상기 케이싱부(1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부(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입력축케이싱부(20)에는 제 1입력축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입력축부(3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입력축케이싱부(20)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제 1입력축부(30)는 일단이 상기 케이싱부(10) 내부까지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입력축케이싱부(20) 외부까지 연장되어,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상기 입력축케이싱부(20) 사이에는 베어링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입력축부(30)의 내부에는 제 2입력축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입력축부(40)는 원기둥 형상의 바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입력축부(3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평행하게 위치하면서,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별개로 회전한다.
상기 제 2입력축부(40)의 일단이 상기 케이싱부(10)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입력축케이싱부(20) 외부까지 연장되어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입력축부(40)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제 1입력축부(30)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더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부(10)의 내부에는 제 2출력축부(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출력축부(50)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입력축부(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상기 제 2출력축부(40)의 일단으로 전달받은 동력을 타단으로 회전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출력축부(50)는 일단이 상기 제 2입력축부(40)의 일단과 이격되어 위치되어 상기 케이싱부(10) 내부까지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싱부(10) 외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출력축부(50)의 일단에서 전달받은 동력이 상기 제 2출력축부(50)의 타단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싱부(10)의 내부에는 제 1출력축부(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출력축부(60)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1출력축부(60)는 일단으로 전달받은 동력을 타단으로 회전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출력축부(60)는 일단이 상기 제 1입력축부(30)의 일단과 접하도록 상기 케이싱부(10) 내부까지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싱부(10) 외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1출력축부(60)의 일단에서 전달받은 동력이 상기 제 1출력축부(60)의 타단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싱부(10)에는 제 1연결축부(7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연결축부(70)는 상기 케이싱부(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입력축부(4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1연결축부(70)는 일단이 상기 제 2입력축부(40)의 일단과 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케이싱부(10)에는 제 2연결축부(8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연결축부(80)는 상기 케이싱부(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연결축부(70)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2연결축부(80)는 일단이 상기 제 2출력축부(50)와 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입력축부(30)의 선단에는 제 1베벨기어(3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출력축부(60)의 선단에는 제 3베벨기어(6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베벨기어(32)와 상기 제 3베벨기어(62)는 서로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2입력축부(40)의 선단에는 제 2베벨기어(4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연결축부(70)의 선단에는 제 4베벨기어(7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베벨기어(42)와 상기 제 4베벨기어(72)는 서로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2연결축부(80)의 선단에는 제 5베벨기어(8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출력축부(50)의 선단에는 제 6베벨기어(52)가 마련된다. 상기 제 5베벨기어(82)와 상기 제 6베벨기어(52)는 서로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 1연결축부(70)의 후단에는 제 1연결기어(7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연결축부(80)의 후단에는 제 2연결기어(8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연결기어(74)와 상기 제 2연결기어(84)가 서로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즉, 상기 제 1입력축부(30)가 회전하면 제 1베벨기어(32)와 제 3베벨기어(62)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제 1출력축부(60)가 회전하면서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 2입력축부(40)가 회전하면 제 2베벨기어(42)와 상기 제 4베벨기어(72)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동력이 전달되고, 제 1연결축부(70) 및 제 2연결축부(80)를 통하여 상기 제 2출력축부(50)가 회전하면서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상기 제 2입력축부(40) 사이에는 제 1베어링부(9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베어링부(90)는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상기 제 2입력축부(40) 사이의 일단과,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상기 제 2입력축부(40)의 타단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제 1입력축부(30)의 내벽에 선단의 제 1베어링부(90)를 삽입하고, 제 2입력축부(40)를 삽입한 후 후단의 제 1베어링부(9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 1베어링부(90)가 상기 제 1입력축부(30)와 상기 제 2입력축부(40) 사이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제 1베어링커버부(9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베어링커버부(92)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 1베어링커버부(92)는, 원판형상의 제 1베어링커버(94)와, 상기 제 1베어링커버(94)의 체결공(95)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제 1커버나사(96)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커버나사(96)의 체결정도로 상기 제 1베어링커버(94)의 삽입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커버나사(96)를 조절하여 상기 제 1입력축부(30)에 대하여 상기 제 2입력축부(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 1베어링부(90)의 예압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연결축부(70)와 상기 케이싱부(10) 사이에는 제 2베어링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베어링부(100)는 상기 케이싱부(10)의 내측벽에 삽입 후 상기 제 2베어링부(100)를 삽입하고, 상기 제 1연결축부(7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 2베어링부(100)가 상기 케이싱부(10)와 상기 제 1연결축부(70) 사이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제 2베어링커버부(10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베어링커버부(102)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 2베어링커버부(102)는, 원판형상의 제 2베어링커버(104)와, 상기 제 2베어링커버(104)의 체결공(105)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제 2커버나사(106)와, 상기 제 2베어링커버(104)와 상기 제 2베어링부(100) 사이에는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제 1예압심(10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예압심(108)의 개수와 두께 등을 조절하여, 상기 제 2베어링부(100)의 예압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 2베어링부(100)와 상기 케이싱부(10) 사이에는 제 1연결축하우징(109)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축하우징(109)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부(10)에 고정된다. 상기 제 1연결축하우징(109)과 상기 케이싱부(10) 사이에는 원판형상의 제 1백래쉬심(101)이 마련된다.
상기 제 1백래쉬심(101)의 개수와 두께 등을 조절하여, 상기 케이싱부(10)에 상기 제 1연결축부(70)가 밀착된 정도를 조절하여 제 4베벨기어(72)와 상기 제 2입력축부(40)의 제 2베벨기어(42)의 접촉되는 간극을 조절하여 백래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연결축하우징(109)에 상기 제 2베어링커버(104)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연결축부(80)와 상기 케이싱부(10) 사이에는 제 3베어링부(1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베어링부(110)는 상기 케이싱부(10)의 내측벽에 삽입 후 상기 제 3베어링부(110)를 삽입하고, 상기 제 2연결축부(8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 3베어링부(110)가 상기 케이싱부(10)와 상기 제 2연결축부(80) 사이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제 3베어링커버부(112)가 마련된다.
상기 제 3베어링커버부(112)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 3베어링커버부(112)는, 원판형상의 제 3베어링커버(114)와, 상기 제 3베어링커버(114)의 체결공(115)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제 3커버나사(116)와, 상기 제 3베어링커버(114)와 상기 제 3베어링부(110) 사이에는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제 2예압심(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예압심(118)의 개수와 두께 등을 조절하여, 상기 제 3베어링부(110)의 예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3베어링부(110)와 상기 케이싱부(10) 사이에는 제 2연결축하우징(119)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축하우징(119)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부(10)에 고정된다. 상기 제 2연결축하우징(119)과 상기 케이싱부(10) 사이에는 원판형상의 제 2백래쉬심(111)이 마련된다.
상기 제 2백래쉬심(111)의 개수와 두께 등을 조절하여, 상기 케이싱부(10)에 상기 제 2연결축부(80)가 밀착된 정도를 조절하여 제 5베벨기어(82)와 상기 제 1출력축부(50)의 제 6베벨기어(52)의 접촉되는 간극을 조절하여 백래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연결축하우징(119)에 상기 제 3베어링커버(114)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연결축부(70)와 상기 제 1연결기어(74) 사이에는 제 1체결부(75)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체결부(75)는 상기 제 1연결기어(74)가 상기 제 1연결축부(70)의 진동 등에도 안전하게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체결부(75)는 상기 제 1연결기어(74)가 상기 제 1연결축부(70)의 타단에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체결부(75)는, 상기 제 1연결기어(74)의 중앙을 제 1연결축부(70)의 후단이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 2연결축부(70)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원판형상의 제 1체결판(76)과, 상기 제 1체결판(76)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연결축부(74)에 고정하는 2개의 제 1체결나사(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체결판(76)은 중앙부분은 상기 제 1연결축부(70)의 타단과 접촉하고, 상기 제 1체결판(76)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제 1연결기어(74)의 일측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2개의 제 1체결나사(77)를 조절하면서 상기 제 1체결판(76)의 수평여부를 조절하여 상기 제 1연결기어(74)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연결축부(80)와 상기 제 2연결기어(84) 사이에는 제 2체결부(85)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2체결부(85)는 상기 제 2연결기어(84)가 상기 제 2연결축부(80)의 진동 등에도 안전하게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체결부(85)는 상기 제 2연결기어(84)가 상기 제 2연결축부(80)의 타단에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체결부(85)는, 상기 제 2연결기어(84)의 중앙을 제 2연결축부(80)의 후단이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 2연결축부(84)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원판형상의 제 2체결판(86)과, 상기 제 2체결판(86)을 관통하여 상기 제 2연결축부(80)에 고정하는 2개의 제 2체결나사(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체결판(86)은 중앙부분은 상기 제 2연결축부(80)의 타단과 접촉하고, 상기 제 2체결판(86)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제 2연결기어(84)의 일측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2개의 제 2체결나사(87)를 조절하면서 상기 제 2체결판(86)의 수평여부를 조절하여 상기 제 2연결기어(84)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케이싱부 20: 입력축케이싱부
30: 제 1입력축부 32; 제 1베벨기어
40: 제 2입력축부 42: 제 2베벨기어
50: 제 2출력축부 52: 제 6베벨기어
60: 제 1출력축부 62: 제 3베벨기어
70: 제 1연결축부 72: 제 4베벨기어
74: 제 1연결기어 75: 제 1체결부
76: 제 1체결판 77: 제 1체결나사
80: 제 2연결축부 82: 제 5베벨기어
84: 제 2연결기어 85: 제 2체결구
86: 제 2체결판 87: 제 2체결나사
90: 제 1베어링부 92: 제 1베어링커버부
94: 제 1베어링커버 95: 체결공
96: 제 1커버나사 100: 제 2베어링부
101: 제 1백래쉬심 102: 제 2베어링커버부
104: 제 2베어링커버 105: 체결공
106: 제 2체결나사 108: 제 1예압심
109: 제 1연결축하우징 110: 제 3베어링부
111: 제 2백래쉬심 112: 제 3베어링커버부
114: 제 3베어링커버 115: 체결공
116: 제 3체결나사 118: 제 2예압심
119: 제 2연결축하우징

Claims (6)

  1. 몸체를 구성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입력축케이싱부;
    상기 입력축케이싱부 내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형상으로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입력축부;
    상기 제 1입력축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평행하게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입력축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입력축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출력축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입력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출력축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입력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1연결축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연결축부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 2연결축부;
    상기 제 1입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1베벨기어;
    상기 제 2입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2베벨기어
    상기 제 1출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3베벨기어;
    상기 제 1연결축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4베벨기어;
    상기 제 2연결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5베벨기어;
    상기 제 2출력축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5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 6베벨기어;
    상기 제 1연결축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 1연결기어;
    상기 제 2연결축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연결기어와 맞물리는 제 2연결기어;
    상기 제 1입력축부와 상기 제 2입력축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 1베어링부;
    상기 제 1베어링부를 상기 제 1입력축부와 상기 제 2입력축부 사이에 고정시키는 제 1베어링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베어링커버부는,
    원판형상의 제 1베어링커버;
    상기 제 1베어링커버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제 1커버나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커버나사의 체결정도로 상기 제 1베어링커버의 삽입정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 1연결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사이에 제 2베어링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베어링부를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시키는 제 2베어링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베어링커버와 상기 제 2베어링부 사이에는 원판 형상의 제 1예압심이 구비되고,
    상기 제 2베어링부와 상기 케이싱부 사이에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되는 제 1연결축하우징이 마련되고, 상기 제 1연결하우징과 상기 케이싱부 사이에는 원판형상의 제 1백래쉬심이 마련되며,
    상기 제 2연결축부와 상기 케이싱부 사이에 제 3베어링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3베어링부를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시키는 제 3베어링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베어링커버와 상기 제 3베어링부 사이에는 원판 형상의 제 2예압심이 구비되고,
    상기 제 3베어링부와 상기 케이싱부 사이에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되는 제 2연결축하우징이 마련되고, 상기 제 2연결하우징과 상기 케이싱부 사이에는 원판형상의 제 2백래쉬심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기어의 중앙을 상기 제 1연결축부의 후단이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 1연결축부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원판형상의 제 1체결판;
    상기 1체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연결축부에 고정하는 2개의 제 1체결나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기어의 중앙을 상기 제 2연결축부의 후단이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 2연결축부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원판형상의 제 2체결판;
    상기 제 2체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 2연결축부에 고정하는 2개의 제 2체결나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KR1020230061556A 2023-05-12 2023-05-12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KR10260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556A KR102604157B1 (ko) 2023-05-12 2023-05-12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556A KR102604157B1 (ko) 2023-05-12 2023-05-12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157B1 true KR102604157B1 (ko) 2023-11-20

Family

ID=8897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556A KR102604157B1 (ko) 2023-05-12 2023-05-12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1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9430B2 (ja) * 1996-04-09 2002-09-30 株式会社安川電機 産業用ロボットの手首機構
KR101012053B1 (ko) 2008-07-11 2011-01-31 주식회사 로보테크 서비스 로봇용 6축 아암 장치
KR20170068654A (ko) * 2015-12-09 2017-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개선된 베어링 예압 구조를 가진 로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9430B2 (ja) * 1996-04-09 2002-09-30 株式会社安川電機 産業用ロボットの手首機構
KR101012053B1 (ko) 2008-07-11 2011-01-31 주식회사 로보테크 서비스 로봇용 6축 아암 장치
KR20170068654A (ko) * 2015-12-09 2017-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개선된 베어링 예압 구조를 가진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9743B1 (en) Speed reducer
US4972735A (en) Wrist assembly for an industrial robot
JP5702826B2 (ja) 産業用ロボットの手首構造
KR920006657B1 (ko) 다관절(多關節)로보트
EP0632213B1 (en) Multi-stage angle drive reduction gear box
US5924330A (en) Industrial robot wrist unit
JP2015504010A (ja) 分離型アクチューエータ
KR200450505Y1 (ko) 감속기
US4579016A (en) Self-contained two-axis wrist module
US4627786A (en) Industrial robot
KR20000035994A (ko) 직각 기어박스와 기어모터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구조
CN109048869B (zh) 腕体传动结构及六轴机器人
KR102604157B1 (ko)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US10537992B2 (en) Speed reducer
JPS626958B2 (ko)
KR100304057B1 (ko) 평행오프셋기어박스와기어모터에대한유니버설마운트하우징구조
TWI822855B (zh) 角傳動裝置
CN110861120B (zh) 基于双定子无框力矩电机的驱动关节及其应用
KR20190082471A (ko) 자결 기능을 가지는 양축 볼 감속 장치
US10837539B2 (en) Gearbox-side motor end shield
GB2151327A (en) Power gearing
CN110228059B (zh) 机器人的关节轴结构及机器人
KR102456349B1 (ko) 유성기어를 이용한 전동식 조향장치
JPH06307504A (ja) 歯厚可変歯車
JPH045131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