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828B1 - Elevator preventing door separation by external impact - Google Patents

Elevator preventing door separation by external imp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828B1
KR102600828B1 KR1020230107562A KR20230107562A KR102600828B1 KR 102600828 B1 KR102600828 B1 KR 102600828B1 KR 1020230107562 A KR1020230107562 A KR 1020230107562A KR 20230107562 A KR20230107562 A KR 20230107562A KR 102600828 B1 KR102600828 B1 KR 10260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hall
car do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7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선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3010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8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8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외부 충격에 의한 도어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기 설정된 위치에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카도어부를 구비한 승강기; 상기 카도어부와 연동되어 개방 또는 폐쇄되는 홀도어부;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의 외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도록 마련된 도어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levator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door separation due to external shock, including an elevator having a car door that opens or closes at a preset position; A hall door part that opens or closes in conjunction with the car door part; It relates to an elevator, including a door protection member coupled to the car door part or the hall door part and provid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car door part or the hall door part.

Description

외부 충격에 의한 도어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ELEVATOR PREVENTING DOOR SEPARATION BY EXTERNAL IMPACT}Elevator with door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e to external impact {ELEVATOR PREVENTING DOOR SEPARATION BY EXTERNAL IMP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도어에 사용자 또는 전동장치 등이 충돌하여도 충격에 의해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n elevator that can prevent a door from being separated due to impact even if a user or a power transmission device collides with the door.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승강기에는 구동되어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되고, 건물의 각층 승강장의 입구에는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승강기 통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홀도어가 설치된다.The elevator lift provided in the elevator device is equipped with a car door that is driven and opened and closed, and the entrance to the platform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car door to prevent the elevator passag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 allow passengers to board and disembark on the relevant floor. A hall door is installed.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기의 카도어 측 바닥면 말단에는 카실(CAR SILL)이 설치되고, 승강장의 홀도어 측 바닥면 말단에는 홀실(HALL SILL)이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기의 입구 측 바닥에 구비된 카실 및 승강장 입구 측 바닥에 구비된 홀실 사이에는, 승강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대략 40mm 이하의 크기로 이격된 틈새가 발생된다.In addition, a CAR SILL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loor on the car door side of the elevator lift, and a HALL SILL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loor on the hall door side of the platform. Between the car compartment provided on the floor at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lift and the hall compartment provided on the floor at the entrance to the platform, a gap of approximately 40 mm or less is created for smooth movement of the elevator.

한편,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령 인구가 전동으로 구동되는 전동장치에 탑승한 채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운전 미숙 또는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 등에 의해 홀도어나 카도어에 강한 충격으로 충돌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이러한 충격에 의해 홀도어 또는 카도어가 파손되고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disabilities or elderly people who have congenital or acquired mobility difficulties often use elevators while riding in electrically driven devices, and due to inexperience in driving or unpredictable situations, they collide with the hall door or car door due to a strong impact. There are cases where the hall door or car door is damaged and deformed due to such impact.

심지어 승강기 다른 층에 위치해 있을 때, 즉 홀도어만 승강기 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홀도어에 전동장치 등에 탑승한 채 강한 충격으로 충돌하는 경우, 홀도어가 이탈되어 승강기 통로로 낙하되고 전동장치의 탑승자 또한 함께 낙하되어 사망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Even when the elevator is located on a different floor, i.e., with only the hall door closed to the elevator passage, if the hall door is hit by a strong impact while riding on an electric device, the hall door will break away and fall into the elevator passage, damaging the occupants of the electric devic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of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and death.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1163호(2012.01.2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11163 (2012.01.25)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외부 충격에 의한 도어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착오 또는 조작 미숙 등으로 전동장치로 엘리베이터 도어와 충돌하는 경우에도 도어의 파손 및 변형을 최소화하고 특히 충돌에 의한 도어 이탈로 사용자가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ntended to provide an elevator with a function to prevent door separation due to external shock, which improves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described above, and prevents collision with the elevator door with an electric device due to user error or poor oper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vator that minimizes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door and especially prevents the user from falling due to the door leaving due to collis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explain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consider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충격에 의한 도어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기 설정된 위치에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카도어부를 구비한 승강기; 상기 카도어부와 연동되어 개방 또는 폐쇄되는 홀도어부;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의 외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도록 마련된 도어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levator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door separation due to external shocks includes: an elevator having a car door that opens or closes at a preset position; a hall door part that opens or closes in conjunction with the car door part; An elevator can be provided, including a door protection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car door part or the hall door part and is provid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car door part or the hall door part.

상기 도어보호부재는, 상기 카도어부의 상기 승강기 실내측 외면에 배치된 제1 도어보호부; 및 상기 홀도어부의 상기 승강기 실외측 외면에 배치된 제2 도어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protection member includes: a first door protection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evator interior of the car door part; And it may include a second door protection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evator outside of the hall door part.

상기 승강기는, 상기 카도어부가 설치되는 상기 승강기의 입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제1 마감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감프레임에는, 상기 제1 도어보호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제1 가이드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홀도어부가 설치되는 공간 입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제2 마감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감프레임에는, 상기 제2 도어보호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절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elevator further includes a first finishing frame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where the car door unit is installed, and the first finishing frame has a first finishing frame formed by cutting at least a portion so that the first door protection unit slides. 1 A guide cutout is provided, and the elevator further includes a second finishing frame install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entrance to the space where the hall door part is installed, and the second finishing frame has at least a second door protection part so that the second door protection part slides. A second guide cut portion formed by cutting a portion may be provided.

상기 도어보호부재는,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의 외측면의 하부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는 보호커버; 및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protection member includes: a protective cover disposed to cover a lower area of an outer surface of the car door portion or the hall door portion;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coupling the protective cover to the car door part or the hall door part.

상기 보호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브라켓에 의해 상기 도어보호부재가 결합된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로부터 소정 폭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car door portion or the hall door portion to which the door protection member is coupled by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상기 도어보호부재는, 상기 보호커버의 하단부에 지지축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지지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지지롤러는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의 개폐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바닥면에 접지될 수 있다.The door protection memb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through a support shaft, and the seating support rollers are configured to slide and move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 door portion or the hall door portion. can be grounded.

상기 카도어부가 설치되는 상기 승강기의 입구의 바닥면에는 상기 복수의 안착지지롤러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 레일홈이 마련되고, 상기 홀도어부가 설치되는 공간 입구의 바닥면에는 상기 복수의 안착지지롤러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 레일홈이 마련될 수 있다.A second rail groove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where the car door part is installed, into which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are inserted and guided,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trance to the space where the hall door part is installed,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are provided. A second rail groove into which is inserted and guided may be provided.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승강기에서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사용자 또는 전동장치 등과 홀도어부 또는 카도어부가 충돌하더라도 도어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damaged or deformed even if the hall door portion or the car door portion collides with a user boarding or exiting an elevator or an electric device.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 또는 전동장치와 홀도어부 또는 카도어부의 충돌 시 도어가 이탈되어 낙하됨에 따른 사용자 낙상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due to the door being separated and falling when the user or the electric device collides with the hall door or car door.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단에서 지지되어 위치 고정되는 홀도어부와 카도어부의 하중 지지력이 향상되어 도어 슬라이드 구동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hall door portion and the car door portion, which are supported at the top and fixed in position,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door slide drive.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카도어부 및 홀도어부가 개방되는 양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홀도어부가 개방 및 폐쇄되는 양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카도어부가 개방되는 양태를 승강기 내부에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측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B부분 확대도
도 8은 도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에 포함되는 도어보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어보호부재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provide various embodiments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 technical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 door portion and the hall door portion of the elevator shown in FIG. 1 are opened.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all door portion of the elevator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 door portion of the elevator shown in FIG. 1 is opened from inside the elevator.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shown in Figure 4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elevator shown in Figure 1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6
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oor protection member included in the elevator shown in Figure 1
Figure 9 is a side view of the door protection member shown in Figure 8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a means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1)의 카도어부(200) 및 홀도어부(300)가 개방되는 양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v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ar door portion 200 and the hall door portion 300 of the elevator 1 shown in FIG. 1 being opened. This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aspec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충격에 의한 도어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1)는, 건물 또는 시설물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승강기(10), 및 승강기(10)가 정차하는 기 설정된 위치에 마련된 홀도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10)는 건물 또는 시설물에 마련된 승강기(10) 통로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n elevator 1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door separation due to external sh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elevator 10 installed in a building or facility where a user can board, and an elevator. It may include a hall door unit 300 provided at a preset position where (10) stops. The elevator 10 can be moved within an elevator passageway provided in a building or facility.

승강기(10)는 기 설정된 위치에서 개방 또는 페쇄되는 카도어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카도어부(200)가 개폐되는 기 설정된 위치란 승강기(10)가 설치된 건축물 또는 시설물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승강기(10)가 정차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elevator 10 may be provided with a car door 200 that opens or closes at a preset position. At this time, the preset position where the car door 200 opens and closes may mean a position where the elevator 10 stops so that a user can board a building or facility where the elevator 10 is installed.

홀도어부(300)는 건축물 또는 시설물에서 승강기(10)가 정차하는 위치의 보행로 또는 복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홀도어부(300)는 승강기(10)가 이동하는 통로가 노출되지 않도록 승강기(10) 통로를 폐쇄하여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all door unit 300 may be provided in a walkway or hallway at a location where the elevator 10 stops in a building or facility. In addition, the hall door unit 300 can prevent accidents such as falls by closing the passage of the elevator 10 so that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elevator 10 moves is not exposed.

홀도어부(300)는 카도어부(200)와 연동되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홀도어부(300)는 기 설정된 위치에서 카도어부(200)가 개방될 때 카도어부(200)와 연계되어 동시에 개방될 수 있고, 기 설정된 위치에서 카도어부(200)가 폐쇄될 때 카도어부(200)와 동시에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기(10)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홀도어부(300)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hall door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car door unit 200. Preferably, the hole door part 300 can be opened simultaneously in conjunction with the car door part 200 when the car door part 200 is opened at a preset position, and when the car door part 200 is closed at a preset pos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closed simultaneously with the car door portion 200. Meanwhile, when the elevator 10 moves to another location, the hall door unit 300 may remain clos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는 카도어부(200)를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카도어개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도어개페부는 승강기(1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도어개폐부(500)는 승강기(10)의 상측에서 승강기(10) 입구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개폐안내부(520), 개폐안내부(5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도어부(200)의 상단에 결합된 슬라이딩브라켓(530), 및 슬라이딩브라켓(530)을 개폐안내부(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개폐구동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car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500 for sliding the car door unit 200. The car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or (10). In addition, the car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500 can slide on the opening and closing guide part 520, which ext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elevator 10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10. It includes a sliding bracket 530 coupled to the top of the car door 200, and an opening/closing drive unit 510 driven to slide the sliding bracket 5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closing guide 520. can do.

개폐구동부(510)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브라켓(530)이 개폐안내부(5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카도어부(200)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한편, 개폐구동부(510), 개폐안내부(520) 및 슬라이딩브라켓(530)에는 종래의 카도어 개방 구조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By operating the opening/closing actuator 510, the sliding bracket 530 may move along the opening/closing guide 520, and through this, the car door 200 may be opened or closed. Meanwhile, since various conventional car door opening structures can be applied to the opening/closing drive unit 510, the opening/closing guide unit 520, and the sliding bracket 530,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는 홀도어부(300)의 상단에 마련된 홀도어안내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도어안내부(610)에는 개폐안내부(5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안내레일(611)이 구비될 수 있다. 안내레일(611)에는 홀도어부(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슬라이드브라켓(미도시됨)이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브라켓은 홀도어부(30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hall door guide part 610 provided at the top of the hall door part 300. The hall door guide 6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ail 611 extend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guide 520. A slide bracket (not shown) that can guide the slide movement of the hole door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guide rail 611. The slide bracket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hall door portion 300.

승강기(10)가 홀도어부(300)가 설치된 기 설정된 위치(즉 승강장 입구)에 위치될 때, 카도어부(200)와 홀도어부(300) 상호간의 슬라이드 이동이 간섭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카도어부(200)가 개폐구동부(51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카도어부(200)와의 간섭에 의해 홀도어부(300)가 홀도어안내부(610)의 안내레일(6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카도어부(200)와 홀도어부(300) 상호간의 연계 개폐 구조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When the elevator 10 is located at a preset location where the hall door 300 is installed (i.e., the entrance to the platform), the slide movement between the car door 200 and the hall door 300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card door unit 200 is slid and mov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unit 510, the hall door unit 300 slides along the guide rail 611 of the hall door guide unit 610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car door unit 200. It can be. The link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between the car door unit 200 and the hall door unit 300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elevator,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는,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에 결합되어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외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도록 마련된 도어보호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어보호부재(400)는, 카도어부(200)의 승강기(10) 실내측 외면에 배치된 제1 도어보호부(400a), 및 홀도어부(300)의 승강기(10) 실외측 외면에 배치된 제2 도어보호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upled to the car door 200 or the hall door 300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door 200 or the hall door 300. It may include a provided door protection member 400. Preferably,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includes a first door protection part 400a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side of the elevator 10 of the car door part 200, and the outdoor side of the elevator 10 of the hall door part 300. It may include a second door protection unit 400b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제1 도어보호부(400a)는 승강기(10) 실내에서 건축물 홀 쪽으로 이동하는 승객 또는 전동기와 충돌되도록, 카도어부(200)의 승강기(10) 실내측 외면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어보호부(400b)는 건축물 홀 내에서 승강기(10) 실내 쪽으로 이동하는 승객 또는 전동기와 충돌되도록, 홀도어부(300)의 승강기(10) 실외측(건축물 홀측) 외면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oor protection unit 400a may be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ior surface of the elevator 10 of the car door 200 so as to collide with passengers or electric motors moving from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10 toward the building hall. The second door protection unit 400b is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levator 10 (building hall side) of the hall door unit 300 so as to collide with passengers or electric motors moving toward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10 within the building hall. It can be.

제1 도어보호부(400a)는 카도어부(200)에 결합되어 동반 이동될 수 있고, 제2 도어보호부(400b)는 홀도어부(300)에 결합되어 동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door protection part 400a is coupled to the car door part 200 and can be moved together, and the second door protection part 400b is coupled to the hall door part 300 and can be moved together.

바람직하게, 도어보호부재(400)는 홀도어부(300) 또는 카도어부(200)의 외면 하부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도어보호부재(400)는 홀도어부(300) 또는 카도어부(200)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중앙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홀도어부(300) 또는 카도어부(200)의 외면 하부 영역 전체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lower outer surface area of the hall door part 300 or the car door part 200. More preferably,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is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central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all door part 300 or the car door part 20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hall door part 300 or the car door part 200 is formed. It can be arranged to surround the entire lower area.

사용자, 전동 휠체어, 자전거 또는 전동 보행기 등의 이동 과정에서 홀도어부(300)나 카도어부(200)에 충돌하는 경우에도, 제1 도어보호부(400a) 및 제2 도어보호부(400b)가 마련됨으로써 홀도어부(300)나 카도어부(200)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당 충돌에 의해 홀도어부(300)나 카도어부(200)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Even when a user, an electric wheelchair, a bicycle, or an electric walker collides with the hall door unit 300 or the car door unit 200 while moving, the first door protection unit 400a and the second door protection unit 400b are protected. By being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irect collision with the hall door part 300 or the car door part 200, and problems such as damage or deformation of a part of the hall door part 300 or the car door part 200 due to the collision. can be prevented.

뿐만 아니라, 홀도어부(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강한 충격력이 홀도어부(300)에 가해지는 경우, 홀도어부(300)가 핫슈로부터 이탈되어 전동기에 탑승한 승객이 승강기(10) 통로 내에 추락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데 도어보호부재(400)가 마련됨으로써 충격력을 흡수하여 위와 같은 추락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trong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hall door 300 while the hall door 300 is closed, the hall door 300 is separated from the hot shoe and the passenger riding the electric motor falls into the elevator 10 passage. A falling accident may occur inside, but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is provided to absorb impact force and prevent the above falling accident from occurrin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1)의 홀도어부(300)가 개방 및 폐쇄되는 양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홀도어부(300)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는 홀도어부(30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ll door portion 300 of the elevator 1 shown in FIG. 1 is opened and closed. Figure 3(a) is a diagram showing the hall door 300 in a closed state, and Figure 3(b) is a diagram showing the hall door 300 in an open state.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는, 홀도어부(300)가 설치되는 공간 입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제2 마감프레임(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감프레임(700)에는, 제2 도어보호부(400b)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절개부(721)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elev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nishing frame 700 install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entrance to the space where the hall door unit 300 is installed. The second finishing frame 70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cut portion 721 formed by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oor protection portion 400b so that the second door protection portion 400b can slide.

제2 마감프레임(700)은 홀도어부(300)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홀측 공간 입구 바닥에 배치되는 제2-1 프레임(710), 제2-1 프레임(710)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2 프레임(720), 및 한 쌍의 제2-2 프레임(720)의 상단에서 한 쌍의 제2-2 프레임(720)을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2-3 프레임(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프레임(710), 한 쌍의 제2-2 프레임(720) 및 제2-3 프레임(730)은 사각의 제2 마감프레임(700)을 구성할 수 있다. The second finishing frame 700 is a 2-1 frame 710 disposed on the floor of the entrance to the hall side space of the building where the hall door unit 300 is installed, and is positioned on the ground fro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2-1 frame 710. A pair of 2-2 frames 720 extending vertically, and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pair of 2-2 frames 720 to connect the pair of 2-2 frames 720. It may include 3 frames 730. The 2-1 frame 710, the pair of 2-2 frames 720, and the 2-3 frames 730 may form a square second finishing frame 700.

홀도어부(300)가 설치된 건축물의 홀측에서 볼 때, 홀도어부(300)는 제2 마감프레임(7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고, 홀도어부(300)의 폐쇄 시 제2 마감프레임(700) 사이의 공간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홀도어부(300)는 제2 마감프레임(700)의 배면측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When viewed from the hall side of the building where the hall door part 300 is installed, the hall door part 300 may b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second finishing frame 700, and when the hall door part 300 is closed, the second finishing frame (700) The space between can be closed. Additionally, the hole door portion 300 can be opened or closed by sliding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inishing frame 700.

제2 가이드절개부(721)는 한 쌍의 제2-2 프레임(720)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가이드절개부(721)는 제2-2 프레임(720)의 배면측 말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절개부(721)는 제2-2 프레임(720)의 배면에서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절개부(721)의 승강기(10) 입구의 전후 방향 폭 또는 두께는 제2 도어보호부(400b)의 폭 또는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cutout 721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2-2 frames 720. Preferably, the second guide cut portion 721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2-2 frame 720. Additionally, the second guide cut portion 721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rear surface of the 2-2 frame 720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upward. The width or thickness of the second guide cut portion 721 at the entrance to the elevator 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r thickness of the second door protection portion 400b.

홀도어부(300)의 개방 또는 폐쇄 시 홀도어부(300)와 동반 이동되는 제2 도어보호부(400b)는 제2 가이드절개부(721)를 통해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hall door part 300 is opened or closed, the second door protection part 400b,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hall door part 300, may be guided and moved through the second guide cut part 721.

한편, 홀도어부(300) 측으로 전동장치 등이 돌진하여 충돌하는 경우 제2 도어보호부(400b)와 충돌하게 되는데, 제2 도어보호부(400b)에 일부 뒤틀림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제2 도어보호부(400b)와 제2 가이드절개부(721)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 및/또는 간섭됨에 따라 충격력이 분산될 수 있다. 즉, 홀도어부(300)로 전달되는 충격량이 감소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n electric device, etc. rushes toward the hall door unit 300 and collides with it, it collides with the second door protection unit 400b. Even if some distortion occurs in the second door protection unit 400b, the second door protection unit 400b is damaged.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ective part 400b and the second guide cutout 721 contact and/or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impact force may be distributed. That is, the amount of impact transmitted to the hall door unit 300 can be reduc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1)의 카도어부(200)가 개방되는 양태를 승강기(10) 내부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 확대도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 door portion 200 of the elevator 1 shown in FIG. 1 is opened from inside the elevator 10,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shown in FIG.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승강기(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기본체(100) 및 승강기본체(100)의 입구 부분에 설치되는 카도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본체(100)는 다수의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탑승공간(S)을 구비할 수 있고, 전면벽체(111), 한 쌍의 측면벽체(112), 바닥면, 천장면 및 배면벽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카도어부(200)가 설치되는 승강기(10)의 입구는 전면벽체(111)에 마련될 수 있다. 전면벽체(111)와 배면벽체(113)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면벽체(112)는 전면벽체(111)와 배면벽체(113)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대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elevator 10 may include an elevator body 100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car door portion 200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body 100. The elevator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boarding space (S) so that multiple users can board, and includes a front wall 111, a pair of side walls 112, a floor, a ceiling, and a back wall 113. may include.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10 where the car door 200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wall 111. The front wall 111 and the back wall 113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a pair of side walls 112 may be arranged to connect between the front wall 111 and the back wall 113 to face each other. there is.

또한, 승강기(10)는, 카도어부(200)가 설치되는 승강기(10)의 입구의 양측면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제1 마감프레임(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마감프레임(120)은 전면벽체(111)에 마련된 입구에서 상하로 연장된 입구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1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first finishing frames 120 installed along both sides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10 where the car door 200 is installed. That is, the first finishing frame 120 may be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inle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inlet provided in the front wall 111.

각각의 제1 마감프레임(120)에는, 제1 도어보호부(400a)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제1 가이드절개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Each first finishing frame 12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guide cut part 121 formed by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door protection part 400a so that the first door protection part 400a can slide.

카도어부(200)가 설치된 승강기(10)의 탑승공간(S)에서 볼 때, 카도어부(200)는 한 쌍의 제1 마감프레임(120)의 배면(즉, 홀도어부(300) 측 외면)에 배치될 수 있고, 카도어부(200)의 폐쇄 시 한 쌍의 제1 마감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즉 승강기(10)의 입구)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카도어부(200)는 제1 마감프레임(120)의 배면측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When viewed from the boarding space (S) of the elevator 10 where the car door part 200 is installed, the car door part 200 is the rear surface (i.e., the outer surface of the hall door part 300) of the pair of first finishing frames 120. ), and when the car door portion 200 is closed,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first finishing frames 120 (i.e., the entrance to the elevator 10) may be closed. Additionally, the car door portion 200 may be opened or closed by sliding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finishing frame 120.

제1 가이드절개부(121)는 한 쌍의 제1 마감프레임(120)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가이드절개부(121)는 제1 마감프레임(120)의 배면측 말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절개부(121)는 제1 마감프레임(120)의 배면에서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절개부(121)의 승강기(10) 입구의 전후 방향 폭 또는 두께는 제1 도어보호부(400a)의 폭 또는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cutout 121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first finishing frames 120. Preferably, the first guide cut portion 121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finishing frame 120. Additionally, the first guide cut portion 121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back of the first finishing frame 120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upward. The front-to-back width or thickness of the entrance to the elevator 10 of the first guide cutout 12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r thickness of the first door protection part 400a.

카도어부(200)의 개방 또는 폐쇄 시 카도어부(200)와 동반 이동되는 제1 도어보호부(400a)는 제1 가이드절개부(121)를 통해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car door part 200 is opened or closed, the first door protection part 400a,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car door part 200, may be guided and moved through the first guide cut part 121.

한편, 승강기(10) 내부에서 하차하려는 전동장치 등이 카도어부(200) 측으로 돌진하여 충돌하는 경우 제1 도어보호부(400a)와 충돌하게 되는데, 제1 도어보호부(400a)에 일부 뒤틀림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제1 도어보호부(400a)와 제1 가이드절개부(121)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 및/또는 간섭됨에 따라 충격력이 분산될 수 있다. 즉, 카도어부(200)로 전달되는 충격량이 감소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lectric device, etc., trying to get off inside the elevator 10 rushes toward the car door 200 and collides with it, it collides with the first door protection unit 400a, and the first door protection unit 400a is partially distorted. Even if it occurs, the impact force may be distributed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door protection part 400a and the first guide cutout 121 contacts and/or interferes with each other. That is, the amount of impact transmitted to the car door 200 can be reduc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1)의 측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부분 확대도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elevator 1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 6.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어보호부재(400)는,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외측면의 하부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는 보호커버(410), 및 보호커버(410)를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브라켓(4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includes a protective cover 410 arranged to cover the lower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all door part 300, and a protective cover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420 that couples 410 to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all door part 300.

보호커버(41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브라켓(420)에 의해 도어보호부재(400)가 결합된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로부터 승강기(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도어보호부(400a)의 보호커버(410)는 카도어부(200)로부터 승강기(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2 도어보호부(400b)의 보호커버(410)는 홀도어부(300)로부터 승강기(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410 has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elevator 10 from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all door part 300 to which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is coupled by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420. It can be placed spaced apart. That is, the protective cover 410 of the first door protection part 400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ar door part 200 at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elevator 10, and the protective cover 410 of the second door protection part 400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ar door part 200 by a predetermined width. The protective cover 4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all door portion 300 at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elevator 10.

도어보호부재(400)의 보호커버(410)와 홀도어부(300) 또는 카도어부(200) 사이에 이격틈(G)이 형성됨으로써, 홀도어부(300) 또는 카도어부(200)를 향해 전동장치 등이 충돌하는 경우에도 보호커버(410)가 충격에 의해 이격틈(G) 거리를 이동하며 일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홀도어부(300) 또는 카도어부(200)로 충돌에 의한 충격량이 그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A separation gap (G) is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cover 410 of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and the hall door part 300 or the car door part 200, so that the space is directed toward the hall door part 300 or the car door part 200. Even when an electric device, etc. collides, the protective cover 410 can absorb some of the shock by moving the separation gap (G) distance due to the impact, and the hole door part 300 or the car door part 200 can be used to absorb some of the shock. The amount of impact may not be transmitted as is.

바람직하게, 이격틈(G)은 12 내지 18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이격틈(G)이 12mm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도어보호부재(400)에 전동장치 등이 충돌할 시 도어보호부재(400)가 밀려 이동되며 흡수하는 충격이 미미하여 상당한 크기의 충격량이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이격틈(G)이 18mm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도어보호부재(400)를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비해 엘리베이터(1)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게 되고, 관련법규에 규정된 엘리베이터 규격을 벗어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paration gap G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f 12 to 18 mm. If the separation gap (G) is formed smaller than 12mm, when the electric device, etc. collides with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is pushed and moved, and the absorbed shock is minimal, so a significant amount of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car door ( 20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hall door unit 300. In addition, if the separation gap (G) is formed larger than 18 mm, the space required to install the elevator (1) will take up too much compared to a conventional elevator without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and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elevator (1) will be too much, and Problems that deviate from elevator specifications may occur.

또한, 도어보호부재(400)는, 보호커버(410)의 하단부에 지지축(431)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지지롤러(430)는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개폐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바닥면에 접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410 through a support shaft 431. The seating support roller 430 may be grounded to the floor so that it can slide and mov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all door part 300.

예를 들어, 제1 도어보호부(400a)의 안착지지롤러(430)는 승강기(10)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제2 도어보호부(400b)의 안착지지롤러(430)는 홀도어부(300)가 설치되는 홀측 입구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ating support roller 430 of the first door protection unit 400a may b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10, and the seating support roller 430 of the second door protection unit 400b may be supported. Can be sup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trance to the hall where the hall door unit 300 is installed.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카도어부(200)는 상단에 결합된 카도어개폐부(500)의 제1 슬라이딩브라켓에 의해서만 하중 지지되고 홀도어부(300)는 상단에 결합된 홀도어안내부(610)의 제2 슬라이딩브라켓에 의해서만 하중 지지된 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는 도어보호부의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에 의해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하중 또한 안착 지지되는바,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지지 안정성이 향상되고 이탈 사고의 발생 가능이 감소될 수 있다.Through this,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the car door part 200 is load supported only by the first sliding bracket of the car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500 coupled to the top, and the hole door part 300 is a hole door guide coupled to the top. While the load is supported only by the second sliding bracket of the part 610, the elev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upports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older by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of the door protection part. Since the load of the fisherman 300 is also seated and supported, the support stability of the car door 200 or the hall door 300 can be improved and the possibility of a breakaway accident can be reduced.

승강기본체(100)의 바닥면에서 승강기(10) 입구 측 말단에는 카실(CAR SILL)(810)이 배치될 수 있고, 승강장 입구의 바닥면에서 승강기(10) 측 말단에는 홀실(HALL SILL)(830)이 배치될 수 있다. 승강기(10)가 정차하는 기 설정된 위치의 승강장에서 카실(810)과 홀실(830)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카실(810)과 홀실(830)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된 공간은 승강기(10)가 설치되는 승강기(10) 통로와 연통되는바, 만약 이격된 공간 사이로 소지품 등을 떨어뜨리는 경우 승강기(10) 통로로 낙하될 수 있다.A CAR SILL 810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main body 100 at the end of the entrance to the elevator 10, and a HALL SILL (810)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main body 100 at the end of the elevator 10. 830) can be placed. On the platform at a preset location where the elevator 10 stops, the car compartment 810 and the hall room 830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a spaced apart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car compartment 810 and the hall room 830. . The spaced space communicates with the elevator 10 passage where the elevator 10 is installed, so if belongings, etc. are dropped between the spaced spaces, they may fall into the elevator 10 passage.

카실(810)은 승강기본체(100)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카실(810)에는 복수의 제1 핫슈(820)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핫슈(820)는 승강기(10)에 설치된 카도어부(200)가 홀도어부(300) 측으로 밀려 이동되지 않게 간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핫슈(820)에 의해 카도어부(200)가 카실(810)과 홀실(8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ase 810 may be formed to exten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elevator body 100, and a plurality of first hot shoes 820 may be installed in the case 810. The plurality of first hot shoes 820 may be configured to interfere with the car door unit 200 installed in the elevator 10 to prevent it from being pushed and moved toward the hall door unit 300. That is, the car door unit 2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car compartment 810 and the hall compartment 830 by the plurality of first hot shoes 820.

또한, 홀실(830)은 승강기본체(100)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홀실(830)에는 복수의 제2 핫슈(840)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핫슈(840)는 승강장에 설치된 홀도어부(300)가 카도어부(200) 측으로 밀려 이동되지 않게 간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핫슈(840)에 의해 홀도어부(300)가 카실(810)과 홀실(8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all room 830 may be formed to exten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elevator body 100, and a plurality of second hot shoes 840 may be installed in the hall room 830. The plurality of second hot shoes 840 may be configured to interfere with the hall door unit 300 installed on the platform to prevent it from being pushed and moved toward the car door unit 200. That is, the hall door unit 3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casing 810 and the hall 830 by the plurality of second hot shoes 840.

한편, 카도어부(200)가 설치되는 승강기(10)의 입구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 레일홈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레일홈은 승강기(10)의 바닥면 일부가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도어부(300)가 설치되는 공간(즉 승강장) 입구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 레일홈이 마련될 수 있고, 제2 레일홈은 승강장 입구의 바닥면 일부가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first rail groove into which a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are inserted and guided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10 where the car door 200 is installed, and the first rail groove is provided in the elevator ( 10) may be formed by sinking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A second rail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entrance to the space (i.e., platform) where the hall door unit 300 is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are inserted and guided, and the second rail groove is located at the platform entrance.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may be depr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제1 레일홈은 카도어부(2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레일홈은 홀도어부(3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ail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car door unit 200, and the second rail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hall door unit 300.

제1 레일홈 또는 제2 레일홈에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가 삽입되어 안내되는바,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슬라이드 이동이 보다 용이하고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보호부재(400)에 전동장치 등이 충돌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와 제1 레일홈 또는 제2 레일홈의 측벽이 간섭되어 충격을 분산하는바,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Since a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are inserted and guided in the first rail groove or the second rail groove, the slide movement of the car door portion 200 or the hall door portion 30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uniformly. In addition, even when an electric device, etc. collides with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and the side walls of the first rail groove or the second rail groove interfere to disperse the impact, and the car door portion 200 ) or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hall door part 300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제1 레일홈 및 제2 레일홈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배출홀이 마련될 수 있다.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제1 레일홈 또는 제2 레일홈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에 의해 제1 레일홈 또는 제2 레일홈 내에 위치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홈 내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해 승강기(10) 입구의 바닥면에서 제1 레일홈 내로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의 승강기(10) 통로로 배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at least one of the first rail groove and the second rail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form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When the car door unit 200 or the hall door unit 300 slides, the first rail groove or the second rail groove is moved by a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that move along the first rail groove or the second rail gro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located insid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 exampl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that has flowed into the first rail groov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10 may be discharged into the external passage of the elevator 10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first rail groove.

이를 통해, 승강기(10)를 일정 기간 운용하는 경우에도 제1 레일홈 또는 제2 레일홈 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퇴적되어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개폐 성능을 저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승강기(10) 이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is, even when the elevator 10 is op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deposited in the first rail groove or the second rail groove, impai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erformance of the car door portion 200 or the hall door portion 300. can be prevented, and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more comfortable convenience in using the elevator 10.

도 8은 도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1)에 포함되는 도어보호부재(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어보호부재(400)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included in the elevator 1 shown in FIG. 1,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shown in FIG. 8 from the sid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보호커버(41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외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커버플레이트(411), 커버플레이트(411)의 상단 가장자리 말단에서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를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절곡부(412), 및 커버플레이트(411)의 양 측부 가장자리 말단에서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를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 절곡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8 and 9, the protective cover 410 is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and includes a cover plate 411 disposed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ole door part 300, a cover plate ( A first bent portion 412 formed by bending at a right angle toward the card door portion 200 or the hole door portion 300 at the end of the upper edge of the cover plate 411, and a card door portion 200 at the ends of both side edges of the cover plate 411. ) or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413 formed by bending at a right angle toward the hall door portion 300.

즉, 보호커버(410)는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측 외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플레이트(411), 제1 절곡부(412) 및 한 쌍의 제2 절곡부(413) 사이에는 중공의 완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protective cover 4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n open outer surface on the car door portion 200 or the hall door portion 300 side. Additionally, a hollow buffer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ver plate 411, the first bent portion 412, and the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413.

제1 절곡부(412) 및 한 쌍의 제2 절곡부(413)는 승강기(10)의 입구 전후 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412) 및 제2 절곡부(413)의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 측 말단은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로부터 상술한 이격틈(G) 크기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ent portion 412 and the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413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nd siz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10. In addition, the ends of the first bent portion 412 and the second bent portion 413 on the card door portion 200 or the hole door portion 300 have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gap from the card door portion 200 or the hall door portion 300. (G) Can be placed spaced apart by size.

보호커버(410)와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 사이에 이격틈(G)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커버플레이트(411), 제1 절곡부(412) 및 한 쌍의 제2 절곡부(413) 사이에 완충 공간이 마련되는바, 보호커버(410)에 전동장치 등이 충돌하는 경우에도 커버플레이트(411)의 일부가 변형 또는 파손될 뿐이며 홀도어부(300) 또는 카도어부(200)가 직접적으로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Not only is a separation gap (G)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cover 410 and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ole door part 300, but also the cover plate 411, the first bent part 412, and the pair of second bent parts. A buffer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parts 413, so even if an electric device, etc. collides with the protective cover 410, only a part of the cover plate 411 is deformed or damaged, and the hole door part 300 or the car door part 200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damaged.

각 도어보호부재(400)에는 3개의 결합브라켓(420)이 마련될 수 있다. 3개의 결합브라켓(420)은 제1 결합브라켓(420a), 제2 결합브라켓(420b) 및 제3 결합브라켓(420c)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어보호부재(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Each door protection member 400 may be provided with three coupling brackets 420. The three coupling brackets 420 may be composed of a first coupling bracket 420a, a second coupling bracket 420b, and a third coupling bracket 420c,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oor protection member 400. It can be.

제1 결합브라켓(420a)은 보호커버(410)의 최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결합브라켓(420b)은 보호커버(410)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3 결합브라켓(420c)은 보호커버(410)의 최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결합브라켓은 보호커버(410)의 한 쌍의 제2 절곡부(413) 중 승강기(10)의 좌우 폭 방향에 있어서 측면벽체(112)에 인접한 제2 절곡부(413)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bracket 420a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protective cover 410, the second coupling bracket 420b may be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rotective cover 410, and the third coupling bracket 420c )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protective cover 410. Preferably, each coupling bracket is coupled to the second bent part 413 of the pair of second bent parts 413 of the protective cover 410 adjacent to the side wall 112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elevator 10. It can be.

결합브라켓(4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브라켓본체(421), 브라켓본체(42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1 결합홈(422), 및 브라켓본체(421)의 타측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2 결합홈(42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bracket 420 includes a bracket main body 421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422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421, an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422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421. It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groove 423.

브라켓본체(421)는 제2 절곡부(413)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브라켓본체(421)는 제2 절곡부(413)의 외면과,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body 421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second bent portion 413, and the bracket body 42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ent portion 413 and the card door portion 200 or the hole door portion 300. Can be coupled to the side of.

복수의 제1 결합홈(422)은 브라켓본체(421)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결합홈(423)은 브라켓본체(421)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 결합브라켓(420)은 2개의 제1 결합홈(422)과 2개의 제2 결합홈(423)을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422 may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racket body 42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grooves 423 may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racket body 421. Each coupling bracket 420 may be provided with two first coupling grooves 422 and two second coupling grooves 423.

복수의 제1 결합홈(422)은 브라켓본체(421)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수직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호커버(410)는 복수의 제1 결합홈(422)을 통해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브라켓(42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홈(423)은 브라켓본체(421) 상에서 승강기(10) 입구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수평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는 복수의 제2 결합홈(423)을 통해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브라켓(42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나사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42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vertical slit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racket body 421, and the protective cover 410 is fasten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422. It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bracket 420 by a member.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grooves 423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slit shap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10 on the bracket body 421, and may be formed in the car door portion 200 or the hole door portion 300.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bracket 420 by a fastening member through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grooves 423. The fastening member may be a bolt or screw.

결합브라켓(420)에는 수직슬릿 형상의 복수의 제1 결합홈(422) 및 수평슬릿 형상의 복수의 제2 결합홈(423)이 마련되는바, 보호커버(410),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제작 과정에서 일부 제조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보호커버(410)와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 사이에 기 설정된 이격틈(G)이 형성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The coupling bracket 4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422 in the shape of vertical slit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grooves 423 in the shape of horizontal slits, and is used to connect the protective cover 410, the car door part 200, or Even if some manufacturing tolerances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all door part 300, it can be installed so that a preset gap G is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cover 410 and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all door part 300.

나아가, 보호커버(410)가 결합브라켓(420)을 통해 홀도어부(300) 또는 카도어부(200)에 결합될 때, 보호커버(410)와 결합브라켓(420)은 수직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결합홈(422)을 통해 결합되고,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와 결합브라켓(420)은 수평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珦* 제2 결합홈(423)을 통해 결합되는바, 보호커버(410)에 전동장치 등이 충돌하는 경우 보호커버(410)가 승강기(10) 입구의 전후 방향으로는 제1 결합홈(422)의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는 제2 결합홈(423)의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커버(410)로부터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로 전달되는 충격량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protective cover 410 is coupled to the hole door part 300 or the car door part 200 through the coupling bracket 420, the protective cover 410 and the coupling bracket 42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vertical slits. It is coupl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groove 422, and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ole door part 300 and the coupling bracket 420 are coupled through the second coupling groove 423 formed in the shape of a horizontal slit. As such, when an electric device, etc. collides with the protective cover 410, the protective cover 410 may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entrance to the elevator 10 by the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422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moved by the length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423. Through this, the amount of impact transmitted from the protective cover 410 to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all door part 300 can be greatly reduced.

각 도어보호부재(400)는 3개의 안착지지롤러(430)를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는 커버플레이트(411)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는 커버플레이트(411)와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Each door protection member 400 may be provided with three seating support rollers 430, and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wer edge of the cover plate 411. A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ver plate 411 and the car door part 200 or the hole door part 300.

또한, 각 도어보호부재(400)는,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가 외부에 비노출되도록 안착지지롤러(430)의 외면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롤러지지커버(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door protection member 400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support cover 440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so that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

롤러지지커버(44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플레이트(411) 직접 대면하여 결합되는 제1 지지커버(441), 제1 지지커버(441)의 하단에서 홀도어부(300) 또는 카도어부(200) 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제2 지지커버(442), 및 제2 지지커버(442)에서 제1 지지커버(441)의 반대 측 말단에서 하방으로 직각 절곡된 제3 지지커버(4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커버(441), 제2 지지커버(442) 및 제3 지지커버(443)는 단일의 플레이트가 절곡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일체의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roller support cover 4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411 by directly facing the first support cover 441, and a hole door portion 300 or a car door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first support cover 441. A second support cover 442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200) side, and a third support cover 443 bent at a right angle downward at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cover 442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cover 441. It can be included. The first support cover 441, the second support cover 442, and the third support cover 443 may be formed by bending and molding a single plate, and may be composed of an integrated structure.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 각각은 회전 지지축(431)을 통해 제3 지지커버(4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축(431)은 커버플레이트(411)에 결합되지 않고 제3 지지커버(443)에 결합되는바, 보호커버(410)에 외부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착지지롤러(430)에 충격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support cover 443 through a rotation support shaft 431. The support shaft 431 is not coupled to the cover plate 411 but to the third support cover 443, so even if an external collision occurs on the protective cover 410, the impact is directly applied to the seating support roller 430. Transmission can be prevented.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는 커버플레이트(411)와 제3 지지커버(4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지지커버(443)의 하단은 카도어부(200) 또는 홀도어부(300)의 슬라이드 이동 시 승강기(10) 바닥면 또는 승강장 입구의 바닥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You can. Additionally, a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plate 411 and the third support cover 443. The lower end of the third support cover 443 is spaced upward from the floo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or of the elevator 10 or the floor of the platform entrance when the car door 200 or the hall door 300 slides. It can b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지지커버(440)에 의해 복수의 안착지지롤러(4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바, 전동장치나 사용자의 승강기(10) 승하차 시 발생되는 충돌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착지지롤러(4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43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roller support cover 440, so they are seated from collisions or external shocks that occur when the electric device or the user gets on and off the elevator 10. The support roller 4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later.

1: 엘리베이터
10: 승강기
100: 승강기본체
111: 전면벽체
112: 측면벽체
113: 배면벽체
S: 탑승공간
120: 제1 마감프레임
121: 제1 가이드절개부
200: 카도어부
300: 홀도어부
400: 도어보호부재
400a: 제1 도어보호부
400b: 제2 도어보호부
410: 보호커버
G: 이격틈
411: 커버플레이트
412: 제1 절곡부
413: 제2 절곡부
420: 결합브라켓
420a: 제1 결합브라켓
420b: 제2 결합브라켓
420c: 제3 결합브라켓
421: 브라켓본체
422: 제1 결합홀
423: 제2 결합홀
430: 안착지지롤러
431: 지지축
440: 롤러지지커버
441: 제1 지지커버
442: 제2 지지커버
443: 제3 지지커버
500: 카도어개폐부
510: 개폐구동부
520: 개폐안내부
530: 슬라이딩브라켓
610: 홀도어안내부
611: 안내레일
700: 제2 마감프레임
710: 제2-1 프레임
720: 제2-2 프레임
721: 제2 가이드절개부
730: 제2-3 프레임
810: 카실(CAR SILL)
820: 제1 핫슈
830: 홀실
840: 제2 핫슈
1: elevator
10: elevator
100: Elevator body
111: Front wall
112: Side wall
113: back wall
S: boarding space
120: 1st finishing frame
121: First guide incision
200: Cardo Fisherman
300: Hold door part
400: Door protection member
400a: first door protection unit
400b: Second door protection unit
410: Protective cover
G: Gap
411: Cover plate
412: first bending portion
413: second bending portion
420: Combination bracket
420a: First coupling bracket
420b: Second coupling bracket
420c: Third coupling bracket
421: Bracket body
422: first coupling hole
423: Second coupling hole
430: Seating support roller
431: support axis
440: Roller support cover
441: First support cover
442: Second support cover
443: Third support cover
500: Car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510: Opening/closing mechanism eastern part
520: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section
530: Sliding bracket
610: Hall door information section
611: Guide rail
700: 2nd finishing frame
710: Frame 2-1
720: Frame 2-2
721: Second guide incision
730: 2nd-3rd frame
810: CAR SILL
820: first hot shoe
830: Hall room
840: Second hot shoe

Claims (7)

외부 충격에 의한 도어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기 설정된 위치에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카도어부를 구비한 승강기;
상기 카도어부와 연동되어 개방 또는 폐쇄되는 홀도어부;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의 외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도록 마련된 도어보호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보호부재는,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의 외측면의 하부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브라켓에 의해 상기 도어보호부재가 결합된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로부터 소정 폭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 사이에는 이격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에 외부 충격 발생 시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이격틈에서 이동하며 일부 충격이 흡수되고,
상기 보호커버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의 외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단 가장자리 말단에서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를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양 측부 가장자리 말단에서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를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In an elevator with a function to prevent door departure due to external shock,
An elevator having a car door that opens or closes at a preset position;
a hall door part that opens or closes in conjunction with the car door part;
A door protection member coupled to the car door part or the hole door part and provid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car door part or the hall door part.
Including,
The door protection member includes a protective cover arranged to cover a lower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door part or the hall door part, and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for coupling the protective cover to the car door part or the hall door part. Contains,
The protective cover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r door portion or the hall door portion to which the door protection member is coupled by the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car door or the hole door, and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on the protective cover, the protective cover moves in the gap and absorbs some of the shock,
The protective cover is,
A cover plat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door portion or the hall door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formed by bending at a right angle from the upper edge end of the cover plate toward the car door portion or the hall door portion;
An elevator comprising a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formed by bending at a right angle from ends of both side edges of the cover plate toward the car door portion or the hall door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보호부재는,
상기 카도어부의 상기 승강기 실내측 외면에 배치된 제1 도어보호부; 및
상기 홀도어부의 상기 승강기 실외측 외면에 배치된 제2 도어보호부
를 포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In claim 1,
The door protection member is,
a first door protection portion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evator interior of the car door portion; and
A second door protection unit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vator exterior of the hall door unit.
Including an elevat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상기 카도어부가 설치되는 상기 승강기의 입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제1 마감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감프레임에는, 상기 제1 도어보호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제1 가이드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홀도어부가 설치되는 공간 입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제2 마감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감프레임에는, 상기 제2 도어보호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절개부가 마련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In claim 2,
The elevator further includes a first finishing frame install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where the car door portion is installed,
The first finishing frame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cutout form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cutout so that the first door protection part slides,
The elevator further includes a second finishing frame install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entrance to the space where the hall door unit is installed,
An elevator, wherein the second finishing frame is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cutout form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oor protection portion to slide and m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보호부재는, 상기 보호커버의 하단부에 지지축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지지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지지롤러는 상기 카도어부 또는 상기 홀도어부의 개폐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바닥면에 접지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In claim 1,
The door protection memb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through a support shaft,
The elevator is wherein the seating support roller is grounded on the floor so that it can slide and move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 door or the hall do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카도어부가 설치되는 상기 승강기의 입구의 바닥면에는 상기 복수의 안착지지롤러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 레일홈이 마련되고,
상기 홀도어부가 설치되는 공간 입구의 바닥면에는 상기 복수의 안착지지롤러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 레일홈이 마련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In claim 6,
A first rail groov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where the car door unit is installed, into which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are inserted and guided,
An elevator, wherein a second rail groove is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entrance to the space where the hall door part is installed, into which the plurality of seating support rollers are inserted and guided.
KR1020230107562A 2023-08-17 2023-08-17 Elevator preventing door separation by external impact KR1026008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562A KR102600828B1 (en) 2023-08-17 2023-08-17 Elevator preventing door separation by external imp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562A KR102600828B1 (en) 2023-08-17 2023-08-17 Elevator preventing door separation by external impa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828B1 true KR102600828B1 (en) 2023-11-13

Family

ID=8874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7562A KR102600828B1 (en) 2023-08-17 2023-08-17 Elevator preventing door separation by external impa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82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302A (en) * 2007-07-31 2010-04-14 크노-브램스 게셀샤프트 미트 베슈렌크터 하프퉁 Sliding door
KR101111163B1 (en) 2011-07-19 2012-02-24 세화정공 주식회사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ardoor of elevator mountalbe within entrance width of the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302A (en) * 2007-07-31 2010-04-14 크노-브램스 게셀샤프트 미트 베슈렌크터 하프퉁 Sliding door
KR101111163B1 (en) 2011-07-19 2012-02-24 세화정공 주식회사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ardoor of elevator mountalbe within entrance width of the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4124B2 (en) Elevator car
KR102600828B1 (en) Elevator preventing door separation by external impact
US4678062A (en) Elevator car
US6557306B1 (en) Elevator apparatus for use in a building having a seismic isolation building portion and a non-seismic isolation building portion
EP1129978B1 (en) Double deck elevator
US5715913A (en) Door sill for an elevator car
US4357998A (en) Between landing car door safety lock
EP1215159B1 (en) Below the car retractable apron
EP1781563B1 (en) Elevator arrangement
KR102289475B1 (en) Closing around gap of elevator car and hall and air clean system
KR20210049444A (en) Elevator Door System
JP6026626B1 (en) Elevator equipment
EP2431318B1 (en) Closing systems for movable platforms
JP6026633B1 (en) Elevator equipment
KR10268265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 from escaping for elevator
KR101285591B1 (en) Lifting door
KR19980059741U (en)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fall of elevator
US20080011556A1 (en) Elevator door operator and interlock arrangement
US11577936B2 (en) Elevator apron
JP6751480B2 (en) Elevator car
KR20240016465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 from escaping for elevator
JP4844146B2 (en) Elevator landing door equipment
KR101811535B1 (en)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JP6560164B2 (en) Parking equipment
JP6026625B1 (en) Elevat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