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177B1 -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177B1
KR102600177B1 KR1020210089371A KR20210089371A KR102600177B1 KR 102600177 B1 KR102600177 B1 KR 102600177B1 KR 1020210089371 A KR1020210089371 A KR 1020210089371A KR 20210089371 A KR20210089371 A KR 20210089371A KR 102600177 B1 KR102600177 B1 KR 10260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fuel cell
cooling
radiator
cell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8558A (ko
Inventor
최성경
원종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177B1/ko
Priority to US17/536,692 priority patent/US11791484B2/en
Priority to EP21210917.7A priority patent/EP4117063B1/en
Priority to JP2021204495A priority patent/JP2023010526A/ja
Priority to CN202111567185.0A priority patent/CN115602889A/zh
Publication of KR2023000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417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68Pressure; Flow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86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01M8/04074Heat exchange unit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58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26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79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955Shut-off or shut-down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라디에이터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된 제1 냉각팬의 고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향하도록 제1 밸브를 개도하는 동작, 공조유닛의 블로어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냉각량 및 상기 공조유닛의 냉각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2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1 펌프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DEALING WITH FAULTS IN IN FUEL CELL SYSTEM}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가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로 사용되는 경우 지구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될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연료전지 스택에 전기화학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 중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연료전지 스택의 반응열을 시스템 외부로 제거하고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온도를 제어하며 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열 관리 시스템(thermal management system, TMS)을 포함할 수 있다.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 역할을 하는 부동액을 연료전지 스택으로 순환시켜 적정 온도(예를 들어, 60~70℃)를 유지시키는 냉각 장치의 일 종류로서, 냉각수가 순환하는 TMS 라인, 냉각수가 저장된 리저버,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 냉각수에 포함된 이온을 제거하는 이온 필터, 및 냉각수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라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냉각수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이 포함된 장치(예: 차량)의 내부를 냉난방하는 공조유닛(예를 들어, 난방용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열 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장부품의 적정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관리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에 맞추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 라디에이터가 연료전지 스택에서 발생한 열을 대기로 방출하여야 한다. 때문에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라디에이터, 냉각팬, 및 펌프의 설계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냉각팬이 제어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 연료전지 스택의 과열이 발생하게 된다.
냉각팬과 같이 일부 부품의 고장으로 인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과열이 발생하면 특정 차량(예: 지게차와 같은 건설기계)은 고가의 연료전지 스택을 보호하기 위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작동을 차단(shut off)할 수 있지만, 차량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등과 같은 비상 조치를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은 연료전지 스택의 작동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일부 부품의 결함이 발생한 상태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1 라디에이터, 상기 제1 냉각라인과 난방 루프를 형성하는 제1 연결라인 상에 배치되는 공조유닛, 상기 제1 라디에이터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된 제1 냉각팬,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히터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제1 밸브,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제2 밸브,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1 펌프, 및 상기 제1 냉각팬, 및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제1 펌프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팬의 고장을 감지하고, 상기 제1 냉각수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개도하고, 상기 공조유닛의 블로어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고,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냉각량 및 상기 공조유닛의 냉각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2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고, 및 상기 제1 펌프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라디에이터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된 제1 냉각팬의 고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향하도록 제1 밸브를 개도하는 동작, 공조유닛의 블로어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냉각량 및 상기 공조유닛의 냉각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2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1 펌프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냉각팬과 같이 열관리를 위한 부품의 고장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고가 장치인 연료전지 스택의 과열로 인한 손상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냉각팬과 같이 열관리를 위한 부품의 고장이 감지되는 비상 상황에서도 탑승자 및 차량이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는 시간 동안 시스템의 출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1 냉각수가 흐르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제1 배관 및 제2 배관을 설명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7은 제2 밸브의 개도량에 따른 냉각량을 나타낸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조유닛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냉각팬의 고장이 감지될 때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경고 알림을 출력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연료전지 시스템은 차량의 연료전지 스택(10)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110)과 차량의 전장부품(power electronic parts)(200)을 경유하는 제2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2 냉각라인(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생략 가능하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라인(110)과 가열 루프(가열 순환 경로, 또는 난방 루프)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1 냉각라인(110)과 냉각 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연결라인(130), 제2 연결라인(150), 및 제3 연결라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 제2 연결라인(150), 또는 제3 연결라인(140)을 순환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냉각라인(110)은 차량의 초기 시동 상태에서는 냉간 시동 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라인(130) 및 제3 연결라인(140)과 가열 루프를 형성하고, 주행 중에는 연료전지 스택(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각수가 제1 라디에이터(60)를 통과하는 냉각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기가 지정된 온도만큼 높은 경우, 제1 냉각라인(110)은 가열 루프를 형성하지 않으며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10)의 열을 통해 시동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1 냉각라인(110) 상에는 연료전지 스택(10), 제1 밸브(20), 제1 펌프(30), 제2 밸브(40), 및 제1 라디에이터(60)가 배치될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10)(또는, '연료전지'로 참조될 수 있다)은 연료(예를 들어, 수소)와 산화제(예를 들어, 공기)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료전지 스택(10)은, 수소 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막의 양쪽에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전극층이 부착된 막전극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반응기체들을 고르게 분포시키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 반응기체들 및 제1 냉각수의 기밀성과 적정 체결압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 및 체결기구, 그리고 반응기체들 및 제1 냉각수를 이동시키는 분리판(bipolar plate)을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10)에서 연료인 수소와 산화제인 공기(산소)가 분리판의 유로를 통해 막전극접합체의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로 각각 공급되는데, 수소는 애노드로 공급되고, 공기는 캐소드로 공급될 수 있다. 애노드로 공급된 수소는 전해질막의 양쪽에 구성된 전극층의 촉매에 의해 수소 이온(proton)과 전자(electron)로 분해되며, 이 중 수소 이온만이 선택적으로 양이온교환막인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캐소드로 전달되고, 동시에 전자는 도체인 기체확산층과 분리판을 통해 캐소드로 전달될 수 있다. 캐소드에서는 전해질막을 통해 공급된 수소 이온과 분리판을 통해 전달된 전자가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캐소드로 공급된 공기 중 산소와 만나서 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일어나는 수소 이온의 이동에 기인하여 외부 도선을 통한 전자의 흐름이 발생하며, 이러한 전자의 흐름으로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밸브(20)는 제1 냉각라인(110) 상에서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히터(50)가 배치된 제1 연결라인(13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20)는 제1 냉각라인(110)상에서 제1 펌프(30)의 일단, 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 및 연료전지 스택(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밸브(20)는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밸브(20)는 삼방 밸브(three way valve)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밸브(20)는, 제1 펌프(30)에 의해 펌핑된 제1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1 포트(21), 제1 밸브(20)를 통과하는 제1 냉각수가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2 포트(22), 및 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3 포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20)의 제2 포트(22) 및 제3 포트(23)가 개폐됨으로써,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가 제1 연결라인(130)의 히터(5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2 포트(22)가 개방되고 제3 포트(23)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고, 이와 반대로 제3 포트(23)가 개방되고 제2 포트(22)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을 통해 히터(5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130)은 제1 냉각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제1 냉각라인(110)과 가열 루프(가열 순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라인(130)을 따라 유동하는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에 설치된 히터(50)를 통과하는 중에 가열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은 제1 펌프(30)의 출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지점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1 연결라인(130)의 다른 일단은 제1 펌프(30)의 입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지점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펌프(30)의 입구는 제1 냉각수가 제1 펌프(30)에 유입되는 입구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펌프(30)의 출구는, 제1 펌프(30)를 통과한 제1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펌프(30)의 출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는, 제1 펌프(30)로부터 배출된 제1 냉각수가 연료전지 스택(10)의 제1 냉각수 유입구(미도시)까지 유동하는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펌프(30)의 입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는, 연료전지 스택(10)의 냉각수 배출구(미도시)로부터 배출된 제1 냉각수가 제1 펌프(30)의 입구까지 유동하는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펌프(30)는 제1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유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펌프(30)는 제1 냉각수를 펌핑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펌프(30)의 종류 및 개수가 본 문서에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밸브(40)는 제1 냉각라인(110) 상에서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제1 라디에이터(6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밸브(40)는 제1 펌프(30)와 제1 라디에이터(6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냉각라인(110) 상에 제공되며, 제3 연결라인(140)의 일단 및 제1 라디에이터(60)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밸브(40)는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1 라디에이터(6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밸브(40)는 사방 밸브(four way valve) 또는 삼방 밸브(three way valve)일 수 있다. 삼방 밸브인 경우, 제2 밸브(40)는 제3 연결라인(140)과 연결되는 제1 포트(41), 제1 라디에이터(60)를 통과하는 제1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2 포트(42), 및 제1 냉각수가 제1 펌프(30)로 유입되도록 제1 냉각라인(110)과 연결되는 제3 포트(44)를 포함하며, 사방 밸브인 제2 밸브(40)는 제2 연결라인(15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포트(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40)의 제1 포트(41) 또는 제2 포트(42)가 개폐됨으로써,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가 제1 라디에이터(60) 또는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1 포트(41)가 개방되고 제2 포트(42)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제1 라디에이터(60)를 거치지 않고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고, 이와 반대로 제2 포트(42)가 개방되고 제1 포트(41)가 차단되면 제1 냉각수는 제1 라디에이터(60)를 거친 후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은 공조유닛(HVAC UNIT)(90)을 가열 하기 위하여 제1 냉각라인(110)과 난방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연결라인(150)은 공조유닛(90)의 난방용 히터(미도시)를 가열하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의 일단은 제1 지점(제1 연결라인(130)의 일단이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는 지점)과 연료전지 스택(10)의 입구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1 냉각수 중 일부가 제2 연결라인(150)을 통해 순환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의 다른 일단은 제1 펌프(30)와 제2 지점(제1 연결라인(130)의 다른 일단이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는 지점)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150)에는 공조유닛(90)을 통과한 제1 냉각수의 이온을 필터링하는 이온 필터(95)가 구비될 수 있다. 시스템의 부식이나 용출(exudation) 등으로 인해 제1 냉각수의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면 제1 냉각수로 전기가 흐르게 되어 연료전지 스택(10)이 단락되거나 제1 냉각수 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1 냉각수는 낮은 전기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온 필터(95)는 제1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냉각수에 포함된 이온을 제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동되는 제1 냉각수의 공급이 차단(제1 밸브(20)의 제2 포트(22) 차단)되는 냉시동 중에, 제1 냉각수는 제1 연결라인(130)의 히터(50)를 경유하며 순환(승온 루프)함과 동시에, 제2 연결라인(150)을 따라서도 순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냉시동시에도 제2 연결라인(150)에 구비된 이온 필터(95)에 의한 필터링(제1 냉각수에 포함된 이온 제거)이 가능하다. 따라서, 냉시동 직후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연결라인(140)은 제1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하여 제1 냉각라인(110)과 냉각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연결라인(140)의 일단은 제1 펌프(30)와 제1 라디에이터(60)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3 연결라인(140)의 다른 일단은 연료전지 스택(10)의 냉각수 배출구와 제1 라디에이터(60)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라디에이터(60)는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라디에이터(60)는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라디에이터(6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라디에이터(60)는 제1 냉각수가 저장되는 제1 리저버(62)에 연결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10)과 제1 지점(제1 밸브(20))의 사이에서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112), 제1 연결라인(130)의 다른 일단과 제1 펌프(30)의 사이에서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114), 및 히터(50)에서 제1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 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온도 센서(112), 제2 온도 센서(114), 및 제3 온도 센서(116)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유입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냉각라인(110)을 따라 순환하는 제1 냉각수의 측정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제1 냉각수의 유입 유량을 미리 설정된 설정 유량보다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냉각수의 측정 온도가 낮으면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유입 유량을 낮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연료전지 스택(10) 내부에 정체된 제1 냉각수의 온도와 연료전지 스택(10)에 유입되는 제1 냉각수 온도 간 편차에 의한 열 충격 및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냉각라인(120)은 차량의 전장부품(200)을 경유하도록 구성되며, 제2 냉각수는 제2 냉각라인(120)을 따라서 순환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전장부품(200)은, 차량의 전원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부품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전장부품(200)의 종류 및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전장부품(200)은 연료전지 스택(10)과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미도시) 사이에 구비되는 BHDC(bi-directional high voltage DC-DC converter)(210), 연료전지 스택(10)의 구동을 위한 외기를 공급하는 블로어(미도시)를 제어하는 BPCU(blower pump control unit)(220), 고전압 배터리에서 공급받은 직류 고전압을 직류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LDC(low-voltage DC-DC converter)(230), 연료전지 스택(10)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ACP)(240), 및 에어쿨러(air cooler)(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장부품(200)은 DC-DC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라인(120) 상에는 제2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 펌프(20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펌프(205)는 제2 냉각수를 펌핑할 수 있는 펌핑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펌프(205)의 종류 및 특성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냉각라인(120) 상에는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라디에이터(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라디에이터(70)는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라디에이터(70)의 종류 및 구조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라디에이터(70)는 제2 냉각수가 저장되는 제2 리저버(72)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냉각팬(80)에 의해 동시에 냉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는 나란하게 배치되고, 냉각팬(80)은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냉각팬(80)에 의해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가 동시에 냉각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조는 간소화되고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1 라디에이터(60) 및 제2 라디에이터(7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전력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라디에이터(6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1 냉각팬(80)과 제2 라디에이터(7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냉각팬(85)이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팬(80)의 회전수를 제어할 때 전장부품(200)의 열부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배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도 1의 연료전지 시스템 구조에 기반하지만, 동일한 원리가 도 3의 연료전지 시스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열교환기(300)는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를 상호 열교환시키기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열교환기(300)가 포함되는 경우, 제1 냉각라인(110) 및 제2 냉각라인(120)은 제1 냉각수 및 제2 냉각수가 열교환을 수행하면서 유동할 수 있는 TMS(thermal management system) 라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냉각수 또는 제2 냉각수는 TMS 라인 상에서 냉매(cooling medium) 또는 열매(heat medium)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부품을 냉각하는 제2 냉각수의 온도가 연료전지 스택(10)을 냉각하는 제1 냉각수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므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라디에이터(60) 및 냉각팬(80)의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제1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연료전지 스택(1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은 주행풍을 사용할 수 없는 차량(예를 들어, 건설기계)의 정차 중에 제1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 스택(10)의 고출력 운전을 보장하고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의 출구와 연료전지 스택(10)의 사이에서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되고, 제2 냉각라인(120)은 열교환기(300)를 경유하도록 제2 라디에이터(70)의 출구와 전장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냉각수는 제1 냉각라인(110)에 연결된 열교환기(300)를 따라 유동될 수 있으며, 제2 냉각라인(120)은 제1 냉각수에 노출(예를 들어, 제1 냉각수가 제2 냉각라인(120)의 둘레를 따라 유동)되도록 열교환기(30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10)으로 유입되는 제1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제1 라디에이터(60)를 통과한 제1 냉각수의 제1 온도는 제2 라디에이터(70)를 통과한 제2 냉각수의 제2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제1 냉각수의 제3 온도는 제1 온도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냉각수의 제1 온도는 제2 냉각수의 제2 온도보다 대략 10℃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300)를 통과(제2 냉각수와 열교환)한 제1 냉각수의 제3 온도는 제1 온도보다 1℃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와 별도로 배치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열교환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제1 라디에이터(6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300)는 제1 라디에이터(60)의 지정된 위치(좌측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열교환기(300)가 제1 라디에이터(60)의 좌측 상단부에 연결된 경우, 제1 라디에이터(60) 및 열교환기(300)는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제1 배관 및 제2 배관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라디에이터(60)는 제1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1 유로(64a)를 형성하는 제1 배관(64)을 포함하고, 열교환기(300)는 제1 유로(64a)의 내부에서 제1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배관(302)을 포함하되, 제2 냉각수는 제2 배관(302)을 따라 유동하며 제1 유로(64a)에서 제1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될 수 있다. 제2 배관(302)은 제2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2 유로(302a)를 형성하고, 제2 배관(30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유로(64a)의 내부에서 제1 냉각수에 노출될 수 있다. 제2 배관(302)의 형태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2 배관(302)의 형태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냉각수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제1 냉각수에 노출되는 제2 배관의 외면에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열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관(64)과 제2 배관(302)의 사이에 실링부재(304)(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관(64)과 제2 배관(302)의 사이에 실링부재(30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유로(64a)의 밀폐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기능적 블록도이고, 도 7은 제2 밸브의 개도량에 따른 냉각량을 나타낸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조유닛(90)의 구조(예: 사이드 섹션 뷰(side section view))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구성은 하드웨어 장치이거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어부(610)는 프로세서(processor)나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이거나,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어부(610)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각 구성들과 연결되어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610)는 냉각팬(80)의 고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10)는 제어부(610)와 냉각팬(80) 간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의 불능을 감지하거나, 제1 냉각수의 온도가 지정된 시간 동안 변화되지 않음을 감지하거나, 또는 냉각팬(80)의 소비전력이 지정된 시간 동안 변화하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냉각수의 온도는 예를 들어, 제1 온도 센서(112)에 의하여 측정된 연료전지 스택(10) 입구의 제1 냉각수 온도일 수 있다. 냉각팬(80)이 작동 불능이 되면 제1 라디에이터(60)(또는 제2 라디에이터(70))에서의 강제 대류를 통한 공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연료전지 스택(10)에서 가열된 제1 냉각수의 온도가 지정된 온도만큼 감소하지 못할 수 있다. 냉각팬(80)이 작동 불능이 상태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의 과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어부(610)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610)는 제1 밸브 제어부(612), 제2 밸브 제어부(614), 제1 펌프 제어부(616), 제2 펌프 제어부(618), 및 공조유닛 제어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10) 내에 포함된 구성들은 각각 개별적인 장치(또는 프로그램)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통합된 모듈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1 밸브 제어부(612) 및 제2 밸브 제어부(614) 각각은 제1 밸브(20) 및 제2 밸브(40)의 개도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팬(80)의 고장이 감지되면,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밸브 제어부(612)는 제1 냉각수가 제1 연결라인(130)으로 흐르지 않고 연료전지 스택(10)과 공조유닛(90)의 히터 코어(94)로 흐를 수 있도록 제1 밸브(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 제어부(614)는 연료전지 스택(10)을 통과한 제1 냉각수가 제3 연결라인(140)으로 흐르지 않고 제1 라디에이터(60)와 공조유닛(90)의 히터 코어(94)로 흐를 수 있도록 제2 밸브(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냉각수는 제1 라디에이터(60)를 지나면서 자연 대류를 통해 냉각될 수 있으며, 히터 코어(94)를 지나면서 블로어(blower)(92)를 통해 냉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밸브 제어부(614)는 공조유닛(90)의 냉각량과 제1 라디에이터(80)의 냉각량을 고려하여 제2 밸브(40)의 개도량을 지정된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그래프의 가로축은 제2 밸브(40)의 개도 각도(또는, '운전 각도', '작동 각도'로 참조될 수 있다)(단위: 도, degree)를, 세로축은 유량(LPM) 및 냉각량(kW)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밸브(40)의 개도 각도가 특정 각도(예: n, 80도)를 초과하면 개도 각도가 증가할수록 제1 냉각수의 라디에이터(예: 제1 라디에이터(60)) 측 유량이 증가하면서 라디에이터에 따른 냉각량(라디에이터 냉각량)이 증가하는 반면에, 제1 냉각수의 공조유닛(예: 공조유닛(90)) 측 유량이 감소하므로 공조유닛에 따른 냉각량(공조유닛 냉각량)은 감소할 수 있다. 제2 밸브 제어부(614)는 라디에이터 냉각량과 공조유닛 냉각량의 총합이 최대가 되는 개도 각도(예: K)를 고려하여 제2 밸브(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펌프 제어부(614) 및 제2 펌프 제어부(616) 각각은 제1 펌프(30) 및 제2 펌프(20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팬(80)의 고장이 감지되면, 제1 펌프 제어부(614)는 제1 냉각수의 유량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제1 펌프(30)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냉각수가 열교환기(300)를 통해 제2 냉각수와 열교환할 수 있는 경우, 제2 펌프 제어부(616)는 열교환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 펌프(205)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할 수 있다.
공조유닛 제어부(620)는 냉각팬(80)의 고장이 감지되면 히터 코어(94) 내 방열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공조유닛(90)에 포함된 구성들(91 내지 94)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공조유닛(90)은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 코어(94), 에어컨(air conditioner)이 온(on)되면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증발기(91), 냉각된 공기를 히터 코어(94)를 향해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블로어(92), 및 개폐를 통해 히터 코어(94)로 향하는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배치된 템프 도어(temp door)(93-1, 93-2)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유닛 제어부(620)는 증발기(91)를 통해 생성된 차가운 공기가 지정된 방향(805)으로 이동하여 히터 코어(94)를 통과할 수 있도록 블로어(92)의 회전수를 최대로 설정하고, 템프 도어(93-1, 93-2)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증발기(91)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 코어(94)로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 상태에서, 제1 템프 도어(93-1)는 아래로, 제2 템프 도어(93-2)는 위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냉각팬의 고장이 감지될 때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에 도시된 동작 흐름도의 동작들은 연료전지 시스템 또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예: 제어부(61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냉각팬(80)의 고장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가 연료전지 스택(10)을 향하도록 제1 밸브(20)를 개도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공조유닛(90)의 블로어(92)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작 932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냉각된 공기가 히터 코어(94)를 지나갈 수 있도록 템프 도어(93-1, 93-2)를 개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작 934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콘덴서의 포함 여부에 기반하여 에어컨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디에이터(60), 제2 라디에이터(70), 및 쿨링팬(80)이 포함된 차량 쿨링 모듈에 콘덴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연료전지 시스템은 공기의 냉각을 위하여 에어컨을 온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차량 쿨링 모듈에 콘덴서가 포함되는 경우, 에어컨이 작동하면 콘덴서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제1 라디에이터(60)의 온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 시스템은 에어컨을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
동작 940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라디에이터(60)와 공조유닛(90)의 냉각량을 고려하여 제2 밸브(40)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라디에이터(60)의 냉각량과 공조유닛(90)의 냉각량의 총합이 최대가 되도록 제2 밸브(40)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950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펌프(30)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이 제1 라디에이터(60)뿐만 아니라 제2 라디에이터(70)도 포함하는 경우, 또는 연료전지 시스템이 열교환기(300)를 포함하는 경우, 동작 955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2 펌프(205)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경고 알림을 출력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9의 동작 910 이후 임의의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전지 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동작들을 동작 950을 수행한 이후 수행하거나, 동작 910, 920, 930, 932, 934, 또는 940 이후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10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제1 냉각수의 연료전지 스택(10) 입구 냉각수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10)는 제1 온도 센서(112)를 통해 냉각수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모니터링된 냉각수 온도가 임계온도를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냉각수 온도가 임계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동작 1010 내지 1020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냉각수 온도가 임계온도를 초과하면, 차량 및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동작 1030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은 경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Claims (16)

  1.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1 라디에이터;
    상기 제1 냉각라인과 난방 루프(loop)를 형성하는 제1 연결라인 상에 배치되는 냉난방 공조유닛(HVAC UNIT);
    상기 제1 라디에이터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된 제1 냉각팬;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히터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제1 밸브;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제2 밸브;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1 펌프; 및
    상기 제1 냉각팬, 및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제1 펌프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팬의 고장을 감지하고,
    상기 제1 냉각수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개도하고,
    상기 냉난방 공조유닛의 블로어(blower)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고,
    상기 제1 라디에이터 측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량에 의한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냉각량(kW) 및 상기 냉난방 공조유닛 측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량에 의한 상기 냉난방 공조유닛의 냉각량(kW)을 고려하여 상기 제2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고, 및
    상기 제1 펌프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불능을 감지하거나, 상기 제1 냉각수의 온도가 지정된 시간 동안 변화하지 않음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냉각팬의 소비전력이 지정된 시간 동안 변화하지 않음을 감지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냉각팬의 고장을 감지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난방 공조유닛 내의 냉각된 공기가 히터 코어를 향해 이동하도록 템프 도어(temp door)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 코어로 향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에어컨을 온(on)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콘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 코어로 향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에어컨을 오프(off)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장부품을 경유하는 제2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2 냉각라인;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2 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2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펌프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팬은 상기 제1 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외기를 송풍하도록 배치된, 연료전지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된 제2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라인 및 상기 제2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와 상기 제2 냉각수를 열 교환하도록 설정된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냉각수의 연료전지 스택 입구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냉각수의 온도가 임계온도를 초과하면 경고 알림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연료전지 시스템.
  11.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경유하는 제1 냉각수가 순환되는 제1 냉각라인;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제1 라디에이터; 상기 제1 냉각라인과 난방 루프(loop)를 형성하는 제1 연결라인 상에 배치되는 냉난방 공조유닛(HVAC UNIT); 상기 제1 라디에이터에 외기를 송풍하도록 설정된 제1 냉각팬;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히터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제1 밸브;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동 경로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제2 밸브; 및 상기 제1 냉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1 펌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팬의 고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1 냉각수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개도하는 동작;
    상기 냉난방 공조유닛의 블로어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1 라디에이터측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량에 의한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냉각량(kW) 및 상기 냉난방 공조유닛 측 상기 제1 냉각수의 유량에 의한 상기 냉난방 공조유닛의 냉각량(kW)을 고려하여 상기 제2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펌프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팬의 고장을 감지하는 동작은,
    CAN 통신 불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1 냉각수의 온도가 지정된 시간 동안 변화하지 않음을 감지하는 동작; 또는
    상기 제1 냉각팬의 소비전력이 지정된 시간 동안 변화하지 않음을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공조유닛 내의 냉각된 공기가 히터 코어를 향해 이동하도록 템프 도어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콘덴서가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에 포함되는지에 기반하여, 상기 히터 코어로 향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설정된 에어컨을 온(on) 또는 오프(off)로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전장부품을 경유하는 제2 냉각수를 펌핑하도록 설정된 제2 펌프의 회전수를 최대로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수의 연료전지 스택 입구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냉각수의 온도가 임계온도를 초과하면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089371A 2021-07-07 2021-07-07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KR102600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371A KR102600177B1 (ko) 2021-07-07 2021-07-07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US17/536,692 US11791484B2 (en) 2021-07-07 2021-11-29 Method for dealing with fault in fuel cell system
EP21210917.7A EP4117063B1 (en) 2021-07-07 2021-11-29 Method for dealing with fault in fuel cell system
JP2021204495A JP2023010526A (ja) 2021-07-07 2021-12-16 燃料電池システムで欠陥に対処するための方法
CN202111567185.0A CN115602889A (zh) 2021-07-07 2021-12-20 燃料电池***故障的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371A KR102600177B1 (ko) 2021-07-07 2021-07-07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558A KR20230008558A (ko) 2023-01-16
KR102600177B1 true KR102600177B1 (ko) 2023-11-09

Family

ID=7881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371A KR102600177B1 (ko) 2021-07-07 2021-07-07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91484B2 (ko)
EP (1) EP4117063B1 (ko)
JP (1) JP2023010526A (ko)
KR (1) KR102600177B1 (ko)
CN (1) CN1156028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1948B (zh) * 2019-12-30 2020-09-22 深圳市芯天下技术有限公司 一种掉电检测电路
JP2022157510A (ja) * 2021-03-31 2022-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102575043B1 (ko) 2023-02-07 2023-09-07 주식회사 시너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671962B1 (ko) * 2023-08-17 2024-06-07 (주)엘케이에너지 옥외형 연료전지시스템의 방열과 동파 관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076B1 (ko) * 2010-12-06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냉각 시스템
KR101284343B1 (ko) * 2011-12-08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냉각팬 관리장치 및 방법
KR102518235B1 (ko) 2017-12-07 2023-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열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993987B (zh) * 2019-12-20 2021-01-12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燃料电池汽车冷却***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7063B1 (en) 2024-03-27
EP4117063A1 (en) 2023-01-11
US11791484B2 (en) 2023-10-17
US20230008445A1 (en) 2023-01-12
KR20230008558A (ko) 2023-01-16
CN115602889A (zh) 2023-01-13
JP2023010526A (ja)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177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결함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
KR102576644B1 (ko) 열 관리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843142B2 (en) Method for dealing with fault in fuel cell system
KR102595285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효율 개선을 위한 방법
KR102576221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659321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240063412A1 (en) Fuel cell system and thermal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2518900B1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방법
KR102607329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의 히터 제어 방법
US20240105978A1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220148656A (ko)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240109441A (ko) 전장부품 열관리 시스템 및 전장부품 열관리 방법
KR20240028790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의 열 관리 방법
KR20230171233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30156547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것의 열관리 방법
KR20230156546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것의 열관리 방법
KR20230021207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의 비상 운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