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088B1 -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088B1
KR102600088B1 KR1020230044779A KR20230044779A KR102600088B1 KR 102600088 B1 KR102600088 B1 KR 102600088B1 KR 1020230044779 A KR1020230044779 A KR 1020230044779A KR 20230044779 A KR20230044779 A KR 20230044779A KR 102600088 B1 KR102600088 B1 KR 102600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ail
support rail
fall prevention
steel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양순
Original Assignee
장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양순 filed Critical 장양순
Priority to KR102023004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2Rail-form lifelin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93Fall arrest ree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는, 철탑의 외주면을 두르며 수평 설치되는 안전지지레일; 안전지지레일의 소정 거리 상측으로 철탑 기둥프레임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의 견인고리; 안전지지레일을 수용하고 견인고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안전지지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조끼와 안전와이어로 연결되는 안전작업기구;를 포함하되, 안전지지레일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며 지면과 수평하게 철탑 기둥프레임에 연결되는 레일연결바; 및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레일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안전작업기구는, 안전지지레일을 수용하며 작업자 추락 시 안전조끼에 연결된 안전와이어의 풀림을 제한하는 추락방지유닛; 견인고리 내측을 관통하면서 철탑을 환형으로 두르도록 구비되는 견인로프; 및 추락방지유닛의 상단 표면과 개구부를 통해 견인고리 내측을 연결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선단에 수평 방향으로 통공 형성된 견인공에 견인로프가 끼움 장착되는 견인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Fall prevention device with free horizontal movement of steel tower}
본 발명은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안전조끼를 안전작업기구에 연결하여 철탑 고공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조끼와 연결되어 작업자 추락을 방지하면서 작업자가 디딜 수 있는 안전지지레일이 철탑의 외주면을 두르며 수평 설치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의 견인고리가 안전지지레일의 소정 거리 상측으로 철탑 기둥프레임에 설치되며, 안전지지레일을 수용하고 견인고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안전지지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하며 추락 감지 시 안전와이어 풀림이 제한되는 안전작업기구가 구비되되, 안전작업기구는 견인로프가 부착되고 견인로프는 견인고리에 걸린 채로 철탑을 두르도록 구비되어 안전지지레일의 어느 지점에서든 견인로프를 당겨 안전작업기구를 작업자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는 위험 없이 안전작업기구에 연결하여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탑 등 고공 철탑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작업자는 안전조끼를 착용하고 철탑에 연결하게 되는데, 종래의 철탑 안전장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가 권취되고 와이어의 일단 및 타단에 카라비너 또는 후크가 부착되어, 일단은 안전조끼에 연결되고 타단은 철탑에 설치된 로프에 연결되면서, 작업자가 작업 도중 중심을 잃거나 추락을 하게 되면 안전조끼와 철탑 로프 간에 연결된 안전조끼 장착 와이어가 작업자를 지탱해주면서 추락을 방지하는 구조로 작동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 안전장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거나 추락이 일어나는 순간에 작동하지 못하여 일단 작업자가 중심을 잃고 철탑에서 떨어지게 되면 와이어의 길이만큼은 하강이 이뤄지고 와이어의 선단에 매달린 채로 철탑 옆 공중에 떠 있게 되고, 구조대가 올 때가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신체가 심하게 훼손됨은 물론 정신적인 충격도 상당하다.
이에 철탑의 다수 개소에 안전조끼의 와이어를 결합시키고 안전한 작업을 하면서 추락을 감지하면 즉각 와이어의 풀림을 제한하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장착되고 있다.
가령 등록특허 문헌 제10-2061329호(“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경우에는 수직형 철탑 로프에 안전 기능이 구비된 추락방지기구가 제시되었는데, 작업자가 철탑의 일측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안전장치는 철탑의 타측에 배치된 경우 위험을 감수하면서 철탑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안전조끼와 연결한 후 다시 철탑의 일측으로 되돌아와야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여 이동 간에 위험성은 물론 안전장치와 안전조끼의 거리 이격으로 안전조치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게다가 추락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및 근접감지수단 등이 구비되어야 하는 등 구조 및 설비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철탑에서의 안전한 이동 및 지지를 담보할 수 있으면서 작업 장소에 어디든지 간에 안전장치와 안전조끼를 바로 연결할 수 있어 작업자가 철탑을 타고 위험하게 불필요한 이동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의 추락을 감지하는 순간 즉각 와이어의 풀림이 제한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되지 않고 바로 멈출 수 있는 안전작업장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61329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안전조끼를 안전작업기구에 연결하여 철탑 고공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조끼와 연결되어 작업자 추락을 방지하면서 작업자가 디딜 수 있는 안전지지레일이 철탑의 외주면을 두르며 수평 설치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의 견인고리가 안전지지레일의 소정 거리 상측으로 철탑 기둥프레임에 설치되며, 안전지지레일을 수용하고 견인고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안전지지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하며 추락 감지 시 안전와이어 풀림이 제한되는 안전작업기구가 구비되되, 안전작업기구는 견인로프가 부착되고 견인로프는 견인고리에 걸린 채로 철탑을 두르도록 구비되어 안전지지레일의 어느 지점에서든 견인로프를 당겨 안전작업기구를 작업자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는 위험 없이 안전작업기구에 연결하여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는, 철탑의 외주면을 두르며 수평 설치되는 안전지지레일; 안전지지레일의 소정 거리 상측으로 철탑 기둥프레임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의 견인고리; 안전지지레일을 수용하고 견인고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안전지지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조끼와 안전와이어로 연결되는 안전작업기구;를 포함하되, 안전지지레일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며 지면과 수평하게 철탑 기둥프레임에 연결되는 레일연결바; 및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레일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안전작업기구는, 안전지지레일을 수용하며 작업자 추락 시 안전조끼에 연결된 안전와이어의 풀림을 제한하는 추락방지유닛; 견인고리 내측을 관통하면서 철탑을 환형으로 두르도록 구비되는 견인로프; 및 추락방지유닛의 상단 표면과 개구부를 통해 견인고리 내측을 연결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선단에 수평 방향으로 통공 형성된 견인공에 견인로프가 끼움 장착되는 견인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락방지유닛은, 케이스; 케이스 내부 공간으로써 상부로는 지지레일을 수용하고 안전지지레일 하부로 제어부 및 회전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부에 지지레일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안전지지레일에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레일수용면; 및 레일수용면의 일측에서 케이스의 일측으로 레일연결바를 수용 가능한 폭으로 개구 형성되는 연결바수용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락방지유닛은, 제어트리거가 승강하며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 하부에 위치하며, 안전조끼에 연결되는 안전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하고, 제어트리거 하강 시 제어트리거와 맞물리며 회전이 제한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수용부 양 내측단에 복수 구성되며, 상부로는 레일요홈부에 밀착 수용되고 하부로는 회전부에 대향되며, 케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지지레일에 눌려 승강되는 바 형상의 제어트리거; 제어트리거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트리거스프링; 트리거스프링을 수용부 내주면에 고정하는 스프링고정돌기; 및 제어트리거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트리거톱니;를 더 포함하고, 회전부는, 제어트리거 하부에 위치하며 외주면에 제동톱니가 형성되는 복수의 제동디스크; 및 제동디스크를 연결하는 수평축으로써 중앙에는 안전와이어를 권취하고 양 측단은 수용부 내측면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바수용구는, 레일수용면에 접하는 통과일면; 및 케이스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통과타면;을 더 포함하고, 통과타면은 통과일면 대비 넓게 형성되어 연결바수용구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산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연결바는 연결바수용구의 하부 방향으로 편심 배치되며, 연결바수용구의 상단과 레일연결바의 거리는 연결바수용구의 하단과 레일연결바의 거리 대비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철탑의 안전지지레일의 경로 상에 어느 위치에 안전작업기구가 있어도 작업자가 위치한 곳으로 안전작업기구를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전작업기구가 있는 곳으로 위험한 이동을 할 필요가 없어 작업 안전성이 대폭 확대된다.
둘째, 안전지지레일에는 하나의 안전작업기구만 있어도 되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설비 구축 및 운용이 가능하다.
셋째, 안전작업기구는 추락방지유닛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중심을 잃고 안전지지레일에서 추락하면 그 즉시 안전조끼에 연결된 안전와이어의 풀림이 제한되면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안전지지레일을 따라 안전작업기구 및 견인고리에 연결된 채 자유롭고 안전한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다섯째, 작업자가 발을 헛디뎌 몸이 기울어지면 추락방지유닛도 기울어지면서 안전와이어의 풀림이 제한되는 구조로써, 승강 이동되는 제어부가 와이어 회전부와 톱니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어서 센서 등 전자장치가 필요치 않고 간략한 구조로써 오작동 발생 또는 내구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고리 및 안전작업기구, 안전지지레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와 작업자의 연결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지레일, 견인고리, 안전작업기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9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유닛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유닛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졌을 경우 작동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유닛의 측면도와 설치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유닛의 기울기 차이에 따른 작동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고리 및 안전작업기구, 안전지지레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와 작업자의 연결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지레일, 견인고리, 안전작업기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상면도이며, 도 9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유닛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10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유닛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졌을 경우 작동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유닛의 측면도와 설치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유닛의 기울기 차이에 따른 작동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1)는 철탑(50)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우면서 작업자(H)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어느 지점에 작업자(H)가 위치하든 안전작업기구(10)를 작업자(H)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전작업기구(10)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안전작업기구(10)가 위치한 곳까지 연결을 위한 이동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성이 대폭 확보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1)는 안전작업기구(10), 안전지지레일(20), 견인고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작업기구(10)는 안전지지레일(20) 및 견인고리(30)에 장착되어 이동될 수 있는 장치로써 작업자(H)가 착용한 안전조끼(4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면서 작업자(H)의 수평이동을 안전하게 하고, 작업자의 추락 상황 발생 시 추락을 못하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안전지지레일(20) 및 견인고리(30)는 철탑(50)에 설치된 고정 구조물로써 안전작업기구(10)와 연계되어 결국엔 작업자와 철탑(50)을 연결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안전지지레일(20)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레일 형상으로써 철탑(50)의 외주면을 환형으로 두르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안전지지레일(20)은 철탑(50)의 외주면에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철탑(50) 외주면보다 넓게 형성되는데, 따라서 안전지지레일(20)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철탑(50)의 기둥 프레임과 안전지지레일(20)을 연결하는 레일연결바(22)가 설치되어야 한다.
레일연결바(22)는 기둥프레임 및 안전지지레일(20)과 직교하면서 지면과 수평하게 구비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안전지지레일(20)의 직경 대비 작은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가진 봉 형상 또는 사각 단면을 가진 바 형상일 수 있다.
안전지지레일(20)은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레일요홈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요홈부(21)는 후술하는 제어부(120)가 결합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제어부(120)가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레일요홈부(21)는 안전지지레일(20) 하부면에서 오목하게 패인 형상이되 요홈상부면(211)과 두 개의 요홈경사면(212)으로 이뤄지는 절곡된 형상일 수 있는데, 요홈상부면(211)은 레일요홈부(21)의 중앙부에 소정 깊이의 오목한 형태로 지면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레일요홈부(21)의 천장과 같이 구성되며, 요홈경사면(212)은 요홈상부면(211)의 양 측단에서 양 측 하부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경사 형성되는 것으로 레일요홈부(21)의 기울어진 벽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요홈부(21)를 측면에서 본 단면은 요홈상부면(211)을 윗면으로 하고 요홈경사면(212)을 측면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요홈경사면(212)은 추락방지유닛(100)이 기울어질 때 제어트리거(121)를 압박하여 하부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제어부(120)가 동작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안전작업기구(10)는 안전지지레일(20)에 설치되어 안전지지레일(20)을 따라 철탑(50)에 수평하게 환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안전지지레일(20)은 철탑(5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되되 각 안전지지레일(20)이 상호 수평하게 설치되고, 작업자가 본인의 상측 안전지지레일(20)에 부착된 안전작업기구(10)에 안전조끼(40)의 고리장착후크(41)를 연결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작업자 본인의 하측에 위치한 안전지지레일(20)을 딛고 서 있을 수 있도록, 작업자가 안전지지레일(20)에 서 있는 상태에서 손을 뻗으면 안전작업기구(10)의 안전고리(135)에 닿을 수 있는 간격으로 상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안전지지레일(20)은 작업자의 안전 담보를 위한 안전작업기구(10)가 연결 설치되는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작업자가 디딜 수 있는 지지부재의 기능도 수행한다.
견인고리(30)는 안전지지레일(20)의 소정 거리 상측으로 철탑(50) 기둥프레임에 설치되되 레일연결바(22)처럼 기둥프레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며 형성되며, 다수의 견인고리(30)가 소정 간격의 환형을 이루면서 안전지지레일(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출 수 있다.
견인고리(30)는 고리 부분이 안전지지레일(20)의 상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고리 부분과 기둥프레임을 연결하는 직선의 바가 설치되면서 기둥프레임에 부착되며, 따라서 견인고리(30)의 고리 부분은 추락방지유닛(100)의 상측에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견인고리(30)의 고리 부분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고리 형상으로써 측방향으로는 통공 형성되는 고리 형상이되 전방을 향해 개구부(31)가 형성될 수 있는데, 개구부(31)는 견인로프(200)가 견인고리(30) 안팎으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 기능을 한다.
견인고리(30)는 안전지지레일(20)과 대응되면서 해당 안전지지레일(20)에 장착된 안전작업기구(10)에 연결되어야 하며, 따라서 철탑(5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각 안전지지레일(20)에는 그 상측에 다수의 견인고리(30)가 환형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있다.
안전작업기구(10)는 육면체의 케이스(110) 형상으로써 안전지지레일(20)을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추락방지유닛(100)과, 추락방지유닛(100)의 상면에서 견인고리(30)로 연결되는 견인바(300), 그리고 다수의 견인고리(30)에 걸친 채 철탑(50)을 환형으로 두르며 설치되어 견인바(300)와 결합 구비되는 견인로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전작업기구(10)는 추락방지유닛(100)이 안전지지레일(20)을 수용하고, 견인로프(200) 및 견인바(300)가 견인고리(30)에 연결됨에 따라, 안전지지레일(20) 및 견인고리(3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추락방지유닛(100)이 작업자의 안전조끼(40)에 결속된 상태로 작업이 이뤄지므로 작업자는 결국 안전지지레일(20)과 견인고리(30)가 부착된 철탑(50)에 지지된 상태로써 안전하게 고공 작업을 할 수 있다.
견인바(300)는 소정 직경 및 길이의 봉 또는 바 형상으로써 소정 지점에서 절곡된 형상을 갖추게 되는데, 견인바(300)의 일단은 케이스(110)의 상단 표면에 부착되면서 견인바(300)의 일측은 직립 구비되고, 직립한 견인바(300)의 일측은 소정 지점에서 견인고리(30)를 향해 절곡된 후 타측의 선단은 견인고리(30) 내부에 위치하며 삽입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견인바(300)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절곡 지점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이 이루는 내각이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래야 견인고리(30)에 삽입되는 견인바(300)의 타단이 견인고리(30)의 외측 상부에서 내측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어서, 견인바(300)의 타단이 견인고리(30) 전방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견인고리(30)의 측방향에서 견인바(300)가 출입 이동하는 것이 원활해질 수 있다.
견인바(300)의 타단 선단에는 안전지지레일(20) 혹은 견인로프(200)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 통공 형성되는 견인공(310)이 구비될 수 있다.
견인로프(200)는 하나의 로프로써 견인공(310)을 관통하면서 견인바(300)에 끼움 장착되어 견인로프(200)와 견인바(300)가 연결되며, 견인로프(200)는 견인바(300)에 연결되고 견인고리(30) 내측에 걸친 채로 철탑(50) 외주면을 환형으로 두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견인로프(200)와 견인바(3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견인로프(200)를 당기면 견인바(300)와 견인바(300)에 부착된 추락방지유닛(100)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즉 견인로프(200)는 견인공(310)을 통과하면서 별개로 움직이는게 아니라, 견인로프(200)와 견인공(310)이 결속된 상태를 이루면서 견인로프(200)와 견인바(300)가 함께 움직이는 구조이며, 이를 위해 견인바(300) 선단에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견인공(310)을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견인바(300)에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 조합의 결속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견인로프(200)는 철탑(50)을 두르며 견인고리(30)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견인로프(200)에 끼움 장착된 견인바(300)는 견인로프(200)와 견인고리(30) 및 추락방지유닛(100) 케이스(110)와 연결한 상태로 설치된 상태이므로, 안전지지레일(20)의 일측에 추락방지유닛(100)이 위치해 있고 작업자는 반대편인 안전지지레일(20)의 타측에 위치해 있게 된다면, 굳이 위험을 무릅쓰고 작업자가 안전지지레일(20)을 딛고 철탑(50)을 잡으며 추락방지유닛(100)이 있는 곳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안전지지레일(20)의 타측에서 작업 위치를 정한 후 작업자의 상부에 위치한 견인로프(200)를 잡아당기면 견인바(300)가 끌려오게 되고, 견인바(300)와 연결된 추락방지유닛(100)이 함께 이동해 오게 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추락방지유닛(100)이 안전지지레일(20) 상 어느 지점에 있든지 신경 쓰지 않고, 철탑(50)의 작업 위치로 사다리를 타고 이동 후 작업지점에서 견인로프(200)를 당김으로써 추락방지유닛(100)을 이동 배치시켜 작업자의 안전조끼(40)와 연결하여 안전조치를 마무리 할 수 있다.
추락방지유닛(100)에는 안전와이어(134)가 권취되어 있고 안전와이어(134)의 선단에는 안전고리(135)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조끼(40)의 고리장착후크(4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작업자는 고공 철탑(50)에서 추락방지유닛(100)에 연결되어 안전지지레일(20)에 의지하면서 추락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수평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추락방지유닛(100)은 안전지지레일(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이내 범위를 유지하는 한 권취된 안전와이어(134)가 풀림과 감김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반면 추락방지유닛(100)이 안전지지레일(20)에 소정 각도를 벗어나 기울어지게 되면 안전와이어(134)의 풀림이 차단되면서 작업자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추락방지유닛(100)은 케이스(110), 제어부(120) 및 회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육면체 형상으로써 안전지지레일(20)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는 형태일 수 있다.
수용부(111)는 케이스(110) 내부 공간으로써 안전지지레일(20)과 제어부(120) 및 회전부(130)가 수용되는 일체형 공간을 제공하는 데, 상부로는 안전지지레일(20)의 상부 및 측부를 감싸면서 요홈경사면(212) 하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감싸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안전지지레일(20) 하부로는 제어부(120) 및 회전부(130)를 수용하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11) 중 안전지지레일(20)을 수용하는 공간의 내주면은 레일요홈부(21)에 대향되는 부위의 개방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레일수용면(112)이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추락방지유닛(100)은 안전지지레일(20)에 접한 상태에서 케이스(110)의 회전이 이뤄질 수 있어야 하므로, 레일수용면(112)의 내주면에는 다수 지점에 다수의 베어링(1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베어링(114)은 레일수용면(112)에 일부 매립된 형태로 안전지지레일(20)을 향하여 돌출되어 안전지지레일(20)과 접하면서 회전 및 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베어링(114)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크기의 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안전지지레일(20)을 수용하면서 결합되되, 안전지지레일(20)을 타고 수평으로 막힘없이 이동해야 하는데, 철탑(50) 기둥프레임과 안전지지레일(20)을 연결하는 레일연결바(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레일연결바(22)에 걸림 없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써 연결바수용구(113)가 구성될 수 있다.
연결바수용구(113)는 케이스(110)의 일측에 개구 형성되는 것으로써, 레일연결바(22)를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며, 레일수용면(112)의 일측과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바수용구(113)를 통해 레일연결바(22)가 케이스(110)에 결합되고, 레일연결바(22) 선단에 부착된 안전지지레일(20)은 연결바수용구(113) 선단에 연결되는 레일수용면(112)에 수용된다.
연결바수용구(113)는 레일수용면(112)에 접하는 통과일면(113a)과 케이스(110)의 일측 외표면에 형성되는 통과타면(113b)이 특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통과타면(113b)이 통과일면(113a) 대비 넓게 형성되어 연결바수용구(113)가 내측 통과일면(113a)에서 외측 통과타면(113b) 방향으로 넓게 확산되는 형상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정상적인 작업 수행 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는 앞뒤로 몸을 숙이고 펼 수 있고 그에 따라 추락방지유닛(100)이 안전지지레일(20)과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만들 수 있는데 이럴 때 추락방지유닛(100)이 정상 각도 범위 내에서는 상하로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하는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통과타면(113b)이 통과일면(113a) 대비 넓어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하지 않는다면 추락방지유닛(100)이 조금만 기울어져도 안전와이어(134)의 풀림이 멈춰지면서 작업자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작업 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고 작업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통과타면(113b)이 통과일면(113a) 대비 넓게 형성되되, 연결바수용구(113)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측의 확산되는 각도가 하측의 확산되는 각도 대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바수용구(113)는 레일연결바(22)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확산되는 각도가 하측으로 확산되는 각도 대비 크게 형성되어서, 상측 공간은 상대적으로 높고 넓게 형성되며, 하측 공간은 상대적으로 낮고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결국 통과타면(113b)에서 레일연결바(22)를 기준으로 상단까지의 거리(D1)는 하단까지의 거리(D2) 대비 길게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는 연결바수용구(113)의 단면적은 레일연결바(22)를 기준으로 상측의 넓이(W1)가 하측의 넓이(W2)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정상 작업 시 소정 각도 범위에서의 추락방지유닛(100)의 회전은 허용되면서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되, 소정 각도를 벗어난 회전 시 추락방지유닛(100)이 안전와이어(134)의 풀림을 저지하면서 추락을 방지하게 되는데, 작업자의 추락을 즉시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안전지지레일(20)을 딛고 작업을 하다가 미끄러져 추락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철탑(50)을 향해 앞으로 넘어지는 것보다 철탑(50) 외측을 향해 신체가 뒤로 넘어가는 상황이 발생될 확률이 높고, 정상 작업시에는 신체를 뒤로 젖혀 작업하는 것보다는 철탑(50)을 바라보며 앞으로 숙여가면서 하는 작업이 더 빈번한 바, 연결바수용구(113)를 상측은 넓고 하측을 좁게 하면 정상작업은 최대한 작업 허용범위를 크게 하여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하면서, 뒤로 넘어지는 추락 상황 발생 시에는 추락방지유닛(100)이 회전되는 각도가 작으므로 즉각 안전와이어(134) 풀림을 저지하면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연결바수용구(113)는 통과타면(113b)이 통과일면(113a) 대비 넓게 형성되되, 레일연결바(22)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확산되는 각도가 하측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다만, 레일연결바(22)가 연결바수용구(113)의 하바 방향으로 치우쳐 편심 배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레일연결바(22)가 편심 배치되면 레일연결바(22)에서 연결바수용구(113) 상단까지의 거리는 레일연결바(22)에서 연결바수용구(113) 하단까지의 거리 대비 길게 형성되어서, 추락방지유닛(100)이 앞으로 기울어질때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의 각도까지 허용되는 반면, 추락방지유닛(100)이 뒤로 기울어질때는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의 각도만 허용될 수 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바수용구(113)의 상하부 확산 각도를 다르게 설정했을 때와 동일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케이스(110)가 기울어질 때 제어부(120)와 안전지지레일(20)의 각도가 변화하게 되면 안전지지레일(20)에 제어부(120)가 눌리면서 안전와이어(134)가 권취된 회전부(130)의 동작을 멈추도록 강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제어트리거(121), 트리거스프링(122), 스프링고정돌기(123) 및 트리거톱니(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트리거(121)는 직선의 바 타입으로써 상부로는 레일요홈부(21)에 대향되며 하부로는 회전부(130)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데, 제어트리거(121)의 상단은 완만한 곡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레일요홈부(21)은 절곡된 형상일 수 있으므로 케이스(110)가 기울어지면 평면으로 각진 요홈경사면(212)이 곡면형의 제어트리거(121) 상단에 닿아 압박을 하면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후술하는 트리거스프링(122) 및 스프링고정돌기(123)에 의해 제어트리거(121)가 하강하게 되며, 케이스(100)가 본래의 직립 위치로 복원되면 제어트리거(121)가 레일요홈부(21) 내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요홈경사면(212)이 제어트리거(121)를 누르지 않게 되어 제어트리거(121)는 트리거스프링(1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본래 위치로 상승될 수 있다.
제어트리거(121)는 수용부(111) 양 내측단에 복수 구성되는데, 각 제어트리거(121)가 구비되는 수용부(111) 영역은 제어트리거(121) 형상에 맞춰 좁은 통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어트리거(121)는 수용부(111)의 수직 통로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트리거스프링(122)은 압축 스프링으로써 제어트리거(121)의 중심부 소정 구간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스프링고정돌기(123)는 트리거스프링(122)에 대향되는 수용부(111) 내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어 트리거스프링(122)을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트리거톱니(124)는 제어트리거(121)의 하단에 톱니 모양으로써 형성되어 회전부(130)의 제동디스크(131)와 결합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로써 제어트리거(121)는 트리거스프링(122)에 부착된 채 수용부(111) 양 측단에 고정되어 구성되는데, 트리거스프링(122)은 스프링고정돌기(123)에 고정 결합된 상태이므로 결국 제어트리거(121)는 트리거스프링(122)의 탄성범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될 수 있다.
회전부(130)는 제어부(120) 하부에 위치하며,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조끼(40)에 연결되는 안전와이어(134)가 권취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제어트리거(121)가 동작되어 하강하게 될 때 제어트리거(121)와 맞물리며 회전이 제한되어 안전와이어(134)의 풀림을 멈추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130)는 제동디스크(131) 및 회전축(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동디스크(131)는 제어트리거(121) 하부에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양 측으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수용부(111) 양 측단에 복수로 구비된다.
제동디스크(131)는 원형의 판상으로써 지름은 수용부(111)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이며 두께는 제어트리거(121)의 폭 대비 넓으면서 제어트리거(121)가 수용된 수용부(111) 내측단에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제어디스크의 외주면에는 제동톱니(132)가 형성되는데, 제동톱니(132)의 간격 및 너비는 트리거톱니(124)의 간격 및 너비에 대응될 수 있어서, 제어트리거(121)가 하강하면 트리거톱니(124)가 제동톱니(132)에 맞물리면서 제어디스크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회전축(133)은 복수의 제동디스크(131)를 연결하는 수평축으로써 제동디스크(131)는 수용부(111)의 양 측부에 배치되고 양 측단은 수용부(111)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회전축(133) 중앙에는 안전와이어(134)가 고정 결합된 채 권취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안전와이어(134)의 일단은 회전축(133)에 결합되고, 권취된 후 선단에는 안전고리(13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안전고리(135)가 케이스(110)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110) 일측에는 안전고리(135) 노출용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33)은 일 실시예로써 태엽 장치로 장착되어 자동으로 감길 수 있으며, 안전와이어(134)를 케이스(110)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회전축(133)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안전와이어(134)가 회전축(133)에서 풀려 케이스(110)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안전와이어(134)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회전축(133)이 본래 위치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안전와이어(134)는 회전축(133)에 권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1)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송전탑 등 철탑(50)에 올라 고공 작업을 한다고 가정한다.
작업자는 안전조끼(40)를 착용하고 철탑(50)을 올라 높은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데, 안전조끼(40)는 일반적으로 그네식 안전조끼(40)로써 배면에는 디(D)링이 부착된 상태이고 상기 디링에는 카라비너로써 고정후크(42)가 결합되며, 고정후크(42)에는 조임줄(43)의 일단이 연결되고 조임줄(43)의 타단에는 철탑(50) 추락방지유닛(100)에 결합될 수 있는 고리장착후크(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안전조끼(40)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작업자는 사다리 등을 타고 작업이 필요한 철탑(50)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한다.
철탑(50)에는 기둥프레임의 레일연결바(22)에 의해 환형으로 설치된 안전지지레일(20)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을 이루면서 설치된 상태이며, 각 안전지지레일(20)의 상측 소정거리에는 해당 안전지지레일(20)에 대향되는 견인고리(30)가 환형을 이루면서 다수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전지지레일(20)과 견인고리(30)에 연결되는 안전작업기구(10)가 장착되어 있는데, 추락방지유닛(100)은 안전지지레일(20) 및 레일연결바(22)를 수용한 형태로 구비되고, 견인바(300)는 환형으로 다수 지점에 설치된 견인고리(30)에 걸쳐진 견인로프(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추락방지유닛(100)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된다.
결국 견인고리(30)와 안전지지레일(20)이 상하로 배치되고, 안전작업기구(10)는 견인고리(30)에 견인로프(200)와 견인바(300)로 연결되며, 안전지지레일(20)에는 추락방지유닛(100)이 연결된다.
작업자(H)는 작업이 필요한 대상 위치까지 이동 후 추락방지유닛(100)에 고리장착후크(41)를 결합하여야 하는데 이 때 추락방지유닛(100)이 작업자 위치와 이격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추락방지유닛(100)에 안전조끼(40)를 연결하기 위해 작업자의 하부에 위치하는 안전지지레일(20)을 딛고 지지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전지지레일(20)에 결합되어 있는 추락방지유닛(100)과 견인바(300)로 연결된 견인로프(200)를 당겨 견인바(300)와 함께 그에 딸린 추락방지유닛(100)이 작업자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추락방지유닛(100)이 작업자 위치로 이동해 오면 안전조끼(40)의 고리장착후크(41)를 추락방지유닛(100)의 안전고리(135)에 걸어 안전조끼(40)와 추락방지유닛(100), 안전지지레일(20)이 상호 연결되어 안전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제 작업자(H)는 조임줄(330)이 안전조끼(40)와 추락방지유닛(100)을 연결하게 되면서 안전지지레일(20)에 결합이 된 상태가 되며, 작업자(H)가 수평으로 이동을 하면 추락방지유닛(100)이 고리장착후크(41) 및 조임줄(330)에 끌려 이동할 수 있어서 원활한 수평 이동 및 정비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작업자(H)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경우 추락방지유닛(100)은 안전지지레일(20)에 수직 또는 수직과 유사한 각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직 상태에서 85도 내지 70도의 범위까지 기울어짐을 허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 범위는 레일요홈부(21)의 요홈경사면(212) 각도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는 작업자(H)가 몸을 기울여 작업을 하더라도 제어부(120)가 동작하지 않으며 안전와이어(134)가 회전축(133)에서 풀리면서 길이가 연장되어 추락방지유닛(100)과 작업자가 이격되더라도 무리 없이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상 작업 시에는 케이스(110) 내부의 제어트리거(121)가 레일요홈부(21) 내에 수용된 상태로써 요홈상부면(211) 및 요홈경사면(212)에 미세한 차이로 근접하여 밀착되어 있으며 소정 범위에서 케이스(110)가 기울어지더라도 요홈경사면(212)이 제어트리거(121) 상단에 접촉하지 않게 되면서 제어트리거(121)를 압박하여 누르게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어트리거(121)는 현재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제어트리거(121) 하단의 제동디스크(131)와 결합되지 않으면서 제동디스크(131)의 회전은 자유롭게 이뤄지고 안전와이어(134)의 풀림과 감김이 원활하게 이뤄져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바수용구(113)와 레일연결바(22)가 이루는 각도 또한 제어트리거(121)를 압박하는 각도에 미치지 않으면서 작업자는 정상 각도 범위에서 안전하게 원활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제 작업자(H)가 발을 헛디디는 등 중심을 잃고 철탑(50)에서 추락한다고 가정하면 작업자가 철탑(50) 옆으로 하강하면서 조임줄(330)이 팽팽해지며 고리장착후크(41)와 연결된 안전고리(135)가 끌려오면서 안전와이어(134)를 당기게 되고, 이와 동시에 안전와이어(134)의 당김으로 인해 케이스(110)가 작업자 이탈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안전지지레일(20)은 철탑(50)에 고정된 상태이고 추락방지유닛(100)만 안전지지레일(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게 되므로, 케이스(110)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120)도 함께 기울어질 수 있다. 케이스(110)가 기울어지면 제어트리거(121)도 측면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레일요홈부(21) 내에서 미 접촉 상태로 수용되어 있던 제어트리거(121)는 케이스(110)와 함께 기울어지면서 요홈경사면(212)에 접촉하고 눌리게 된다.
이를 부연 설명하면, 제어트리거(121)의 상단은 완만한 곡면으로 돌출 형태이고, 레일요홈부(21)는 절곡된 형태이면서 제어트리거(121) 상단이 레일요홈부(21)에 수용된 형태로 서로 밀착된 상태이므로, 케이스(110)가 기울어지더라도 제어트리거(121)의 상단은 완만한 곡면이 레일요홈부(21) 내에서 제자리 회전하는 형상이 되면서 요홈경사면(212)의 경사 각도에 따라 소정 각도까지는 레일요홈부(21)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케이스(110)의 기울어짐이 소정 각도를 초과하게 되면 제어트리거(121)가 요홈경사면(212)에 닿으면서 안전지지레일(20)에 압박되어 눌리게 된다.
이때 요홈경사면(212)과 제어트리거(121)가 접촉하여 멈추는 게 아니라 요홈경사면(212)이 제어트리거(121)의 상단 곡면을 타고 슬라이딩 되면서 케이스(110)의 기울어짐이 크면 클수록 제어트리거(121) 상단은 레일요홈부(21)의 모서리에 근접하면서 눌리게 되어 제동디스크(131) 깊게 하강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부연하자면 제어트리거(121)는 수용부(111) 내에 고정된 트리거스프링(122)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요홈경사면(212)에 접촉하여 압박됨에 따라 트리거스프링(122)의 탄성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밀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제어트리거(121)는 하단에 트리거톱니(124)가 형성되어 있고 제동디스크(131)에 대향되어 밀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어트리거(121)가 압박되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트리거톱니(124)가 하강하면서 제동디스크(131)의 제동톱니(132)와 맞물리게 된다.
제어트리거(121)의 상단은 안전지지레일(20)의 레일요홈부(21)에 접촉된 상태로 강한 압박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제어트리거(121)의 하단 트리거톱니(124)는 제동톱니(132)와 맞물린 상태로 제동디스크(131)의 회전을 차단하면서 강한 멈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동디스크(131)는 회전축(133)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제동디스크(131)가 제어트리거(121)에 맞물리며 정지상태가 되면, 회전축(133)은 회전이 정지되고 안전와이어(134)의 풀림도 정지되며 따라서 작업자는 더 이상 연장되지 않는 안전와이어(134) 및 안전고리(135)에 결합된 상태로 하강이 중지되고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이 멈춰진 작업자(H)는 지원인력의 도움을 기다리거나 또는 스스로 철탑(50)에 근접하여 안전사고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작업자(H)가 추락 등 유사한 위험을 제거하고 정상상태가 되면 케이스(110)가 안전지지레일(20)과 수직상태로 복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동디스크(131) 상단이 요홈경사면(212)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서 트리거스프링(122)의 탄성으로 인해 제어트리거(121)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써 제어트리거(121)와 제동디스크(131)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회전축(133)은 다시 정상적인 회전이 이뤄질 수 있다.
이때 기울어진 추락방지유닛(100)은 케이스(110) 내부에서 레일요홈부(21)의 모서리와 제어트리거(121)의 상단 곡면이 불안정하게 결합된 상태였으므로, 안전와이어(134)를 강하게 잡아당기며 케이스(110)를 기울이는 힘이 해제가 되면 제어트리거(121) 상단 곡면은 레일요홈부(21) 내부로 슬라이딩 되어 들어가게 되어서 손쉽게 본 상태로 복원을 이룰 수 있다. 즉 추락방지유닛(100)은 본래 장착 형태인 안전지지레일(20)에 수직인 상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안전지지레일(20)은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요홈부(21) 또한 타원형의 곡면으로 요홈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의 레일요홈부(21)은 양 측단이 요홈내측단(213)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요홈내측단(213)은 안전지지레일(20)의 타원형 양 외측단 부위인 요홈외측단(214)으로 연결된다. 이때 요홈내측단(213)은 제어트리거(121)의 상단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 기울어진 형상의 완만한 곡면으로써 작은 곡률로 형성되고, 요홈외측단(214)은 수평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급격한 곡면으로써 큰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로 인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업자 추락 등의 사유로 추락방지유닛(100)이 기울어지게 되면 제어트리거(121)의 위치가 측면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레일요홈부(21)에 수용된 제어트리거(121) 상단이 레일요홈부(21) 모서리인 요홈내측단(213)에 접촉되면서 눌리게 되어 제어트리거(121)가 압박되어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가 급격하게 기울어지게 되면 제어트리거(121)의 상단이 요홈내측단(213)을 벗어나 레일요홈부(21) 외부에 형성되는 안전지지레일(20)의 양 측단까지 밀리면서 접촉되는데, 안전지지레일(20)이 타원형이므로 측단면으로 봤을 때 요홈외측단(214)은 하부 방향으로 길게 퍼진 형상이고 큰 곡률로써 돌출된 곡면이므로, 케이스(110)가 급격히 기울어짐에 따라 제어트리거(121)는 안전지지레일(20) 외측에 접한 상태로 요홈외측단(214)에 가까워질수록 요홈내측단(213)에 압박되었을 때보다 훨씬 강한 압박을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더 깊게 제동디스크(131)로 밀려 내려가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5에 도시하였는 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경미한 압박인 경우에는 제어트리거(121)가 요홈내측단(213)에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낮게 하강하면서 트리거톱니(124)와 제동톱니(132)가 겹치는 구간이 L1 만큼만 이뤄질 수 있어 약한 제동력이 작용하게 되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강한 압박인 경우에는 케이스(110)가 크게 기울어지면서 제어트리거(121)가 요홈외측단(214)에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깊게 하강하게 되어 트리거톱니(124)와 제동톱니(132)가 겹치는 구간이 L2 만큼 이뤄질 수 있어 강한 제동력이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경미한 수준에서 살짝 헛디뎠을 경우 추락방지유닛(100)의 기울어짐 경사가 작아 케이스(110)의 회전이 작은 각도 범위에서 이뤄지고 그에 따라 제어트리거(121)는 요홈내측단(213)에 눌리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의 하부 이동이 이뤄지게 되며 그만큼 트리거톱니(124)와 제동톱니(132)의 결합 교차 깊이(도 5 (a)의 L1)도 작게 이뤄질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약한 제동력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자가 큰 충격으로 강하게 추락하는 경우에는 추락방지유닛(100)이 큰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고 케이스(110)가 심하게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제어트리거(121) 또한 안전지지레일(20)과 큰 각도로 어긋나면서 요홈내측단(213)을 지나 요홈외측단(214)까지 밀리면서 상대적으로 깊고 강하게 압박을 받게 되면서 제동디스크(131) 방향으로 깊게 하강이 이뤄진다. 그리고 트리거톱니(124)와 제동톱니(132)는 상대적으로 깊게 교차(도 5 (b)의 L2)되면서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즉 제어트리거(121)와 제동톱니(132)가 강하게 결합되면서 지지력이 커지게 되고, 강한 제동력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하자면 작업자가 철탑(50)에서 작업 도중 불의의 실수로 추락 상황이 발생하게 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추락방지유닛(100)의 기울어짐에 따라 제어트리거(121)가 하강하면서 제동톱니(132)와 맞물리면서 제동디스크(131)의 회전을 강제로 멈추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작업자의 안전조끼(40)의 조임줄(330)이 추락방지유닛(100)의 안전고리(135)에 걸린 상태에서 안전와이어(134)의 풀림이 멈추게 되면서 작업자가 계속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거나 제 3자에 의해 구조될 수 있는 방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레일수용면(112)의 내주면에 구성된 다수의 베어링(114)은 크기가 달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레일수용면(112)의 단면은 원형인 반면 안전지지레일(20)은 타원형이고, 타원형의 안전지지레일(20)을 수용한 채 케이스(110)가 회전하려면 레일수용면(112)은 안전지지레일(20)의 가장 넓은 너비에 대응되는 직경의 원형 단면이어야 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추락방지유닛(100)이 수직 상태일 때 안전지지레일(20)의 상부에 접하는 레일수용면(112)에는 안전지지레일(20)과 레일수용면(112) 간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안전지지레일(20) 측방향에 배치된 베어링(114) 대비 상대적으로 큰 베어링(11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10 : 안전작업기구
100 : 추락방지유닛
110 : 케이스
111 : 수용부
113 : 연결바수용구
113a : 통과일면
113b : 통과타면
114 : 베어링
115 : 레일수용면
120 : 제어부
121 : 제어트리거
122 : 트리거스프링
123 : 스프링고정돌기
124 : 트리거톱니
130 : 회전부
131 : 제동디스크
132 : 제동톱니
133 : 회전축
134 : 안전와이어
135 : 안전고리
200 : 견인로프
300 : 견인바
310 : 견인공
20 : 안전지지레일
21 : 레일요홈부
211 : 요홈상부면
212 : 요홈경사면
213 : 요홈내측단
214 : 요홈외측단
22 : 레일연결바
30 : 견인고리
31 : 개구부
40 : 안전조끼
41 : 고리장착후크
42 : 고정후크
43 : 조임줄
50 : 철탑

Claims (5)

  1. 철탑의 외주면을 두르며 수평 설치되는 안전지지레일;
    안전지지레일의 소정 거리 상측으로 철탑 기둥프레임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의 견인고리;
    안전지지레일을 수용하고 견인고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안전지지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조끼와 안전와이어로 연결되는 안전작업기구;를 포함하되,
    안전지지레일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며 지면과 수평하게 철탑 기둥프레임에 연결되는 레일연결바; 및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레일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안전작업기구는,
    안전지지레일을 수용하며 작업자 추락 시 안전조끼에 연결된 안전와이어의 풀림을 제한하는 추락방지유닛;
    견인고리 내측을 관통하면서 철탑을 환형으로 두르도록 구비되는 견인로프; 및
    추락방지유닛의 상단 표면과 개구부를 통해 견인고리 내측을 연결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선단에 수평 방향으로 통공 형성된 견인공에 견인로프가 끼움 장착되는 견인바;를 포함하며,
    추락방지유닛은,
    케이스;
    케이스 내부 공간으로써 상부로는 지지레일을 수용하고 안전지지레일 하부로 제어부 및 회전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부에 지지레일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안전지지레일에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레일수용면; 및
    레일수용면의 일측에서 케이스의 일측으로 레일연결바를 수용 가능한 폭으로 개구 형성되는 연결바수용구;를 더 포함하는,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추락방지유닛은,
    제어트리거가 승강하며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 하부에 위치하며, 안전조끼에 연결되는 안전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하고, 제어트리거 하강 시 제어트리거와 맞물리며 회전이 제한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수용부 양 내측단에 복수 구성되며, 상부로는 레일요홈부에 밀착 수용되고 하부로는 회전부에 대향되며, 케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지지레일에 눌려 승강되는 바 형상의 제어트리거;
    제어트리거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트리거스프링;
    트리거스프링을 수용부 내주면에 고정하는 스프링고정돌기; 및
    제어트리거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트리거톱니;를 더 포함하고,
    회전부는,
    제어트리거 하부에 위치하며 외주면에 제동톱니가 형성되는 복수의 제동디스크; 및
    제동디스크를 연결하는 수평축으로써 중앙에는 안전와이어를 권취하고 양 측단은 수용부 내측면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바수용구는,
    레일수용면에 접하는 통과일면; 및
    케이스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통과타면;을 더 포함하고,
    통과타면은 통과일면 대비 넓게 형성되어 연결바수용구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산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레일연결바는 연결바수용구의 하부 방향으로 편심 배치되며,
    연결바수용구의 상단과 레일연결바의 거리는 연결바수용구의 하단과 레일연결바의 거리 대비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KR1020230044779A 2023-04-05 2023-04-05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KR102600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779A KR102600088B1 (ko) 2023-04-05 2023-04-05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779A KR102600088B1 (ko) 2023-04-05 2023-04-05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088B1 true KR102600088B1 (ko) 2023-11-08

Family

ID=8874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779A KR102600088B1 (ko) 2023-04-05 2023-04-05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08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3532A (ja) * 2011-03-16 2012-10-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手摺に係着する安全具
JP2013113007A (ja) * 2011-11-29 2013-06-10 Denki Kogyo Co Ltd 鉄塔用ネット仮設方法及び鉄塔用ネット仮設装置、並びに鉄塔補修方法及び鉄塔補修システム
KR20140002751A (ko) * 2011-03-04 2014-01-08 이네오 토레스, 에스.엘. 풍력발전용 터빈 타워의 외측 표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JP2014030606A (ja) * 2012-08-03 2014-02-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昇降用安全装置
KR102061329B1 (ko) 2019-08-21 2019-12-31 위재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N211310655U (zh) * 2019-11-14 2020-08-21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带触发功能的收绳防坠机构
CN112791324A (zh) * 2021-01-27 2021-05-14 重庆市巴岳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安全防护装置
CN114028743A (zh) * 2021-11-22 2022-02-11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盐城供电分公司 一种电力维修登高用防坠装置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751A (ko) * 2011-03-04 2014-01-08 이네오 토레스, 에스.엘. 풍력발전용 터빈 타워의 외측 표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JP2012193532A (ja) * 2011-03-16 2012-10-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手摺に係着する安全具
JP2013113007A (ja) * 2011-11-29 2013-06-10 Denki Kogyo Co Ltd 鉄塔用ネット仮設方法及び鉄塔用ネット仮設装置、並びに鉄塔補修方法及び鉄塔補修システム
JP2014030606A (ja) * 2012-08-03 2014-02-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昇降用安全装置
KR102061329B1 (ko) 2019-08-21 2019-12-31 위재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N211310655U (zh) * 2019-11-14 2020-08-21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带触发功能的收绳防坠机构
CN112791324A (zh) * 2021-01-27 2021-05-14 重庆市巴岳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安全防护装置
CN114028743A (zh) * 2021-11-22 2022-02-11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盐城供电分公司 一种电力维修登高用防坠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487B2 (en) Safety line anchoring system
EP3047090B1 (en) Ladders including rope and pulley system and fall protection
CA2804735C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ascent
KR102567880B1 (ko) 작업자의 추락 방지 및 위치 고정이 용이한 송전탑 안전 작업장치
US10065053B2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KR102466376B1 (ko) 장력 표시부가 구비된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US10619417B2 (en) Pass-through cable grab system
KR102567879B1 (ko) 철탑 작업자 보호장치
WO2018198112A1 (en) Suspension cable wall anchoring device
US5305852A (en) Apparatus for lowering people from buildings and the like
KR102600088B1 (ko)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JP3932258B2 (ja) 緊急脱出用梯子
KR102548561B1 (ko)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강하장치
KR101982932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JP2868747B1 (ja) 昇降機
KR200367314Y1 (ko) 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205499B1 (ko)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CN210264002U (zh) 一种建筑高空防护栏
JP3033362U (ja) 懸垂物落下防止装置
KR20110010660U (ko) 추락방지용 네트장치
KR102679874B1 (ko) 안전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장치
US20150369421A1 (en) Bracket and Lifting/Lowering Device Assembly
US6868943B1 (en) Safety systems and methods for bosun's chairs
US20080087495A1 (en) System For Saving And Evacuating Persons, Which Is Applied To Buildings
RU6036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при пожар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