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848B1 -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 Google Patents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848B1
KR102599848B1 KR1020217015097A KR20217015097A KR102599848B1 KR 102599848 B1 KR102599848 B1 KR 102599848B1 KR 1020217015097 A KR1020217015097 A KR 1020217015097A KR 20217015097 A KR20217015097 A KR 20217015097A KR 102599848 B1 KR102599848 B1 KR 10259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ium stannate
doped perovskite
stannate material
perovskite barium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2225A (ko
Inventor
쩐샤오 푸
지엔메이 류
하이동 런
윈 류
테리 제임스 프란크콤베
시우화 차오
스워 타
Original Assignee
광동 펑화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 홀딩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펑화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 홀딩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펑화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 홀딩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2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5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nc, tin, or bismuth oxides or solid solutions thereof with other oxides, e.g. zincates, stannates or bismuthates
    • C04B35/457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nc, tin, or bismuth oxides or solid solutions thereof with other oxides, e.g. zincates, stannates or bismuthates based on tin oxides or stan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5Alkaline earth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eryllium oxide
    • C04B2235/3215Barium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24Rare earth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candium oxide
    • C04B2235/3227Lanthan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31Refractory metal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51Niobium oxides, niobates, tantalum oxides, tantalat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09Boron oxide, borates, boric acid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orax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6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characterised by specific heating conditions during heat treatment
    • C04B2235/6562Heating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6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characterised by specific heating conditions during heat treatment
    • C04B2235/6567Treatment 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8Atmosphere during therm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8Atmosphere during thermal treatment
    • C04B2235/6583Oxygen containing atmosphere, e.g. with changing oxygen press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6Specific sintering techniques, e.g. centrifugal sintering
    • C04B2235/661Multi-step sintering
    • C04B2235/662Annealing after sin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6Cryst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e.g. symmetry
    • C04B2235/768Perovskite structure ABO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에 있어서,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화학식은 BaAxBxSn1-2xO3이다. 상기 A는 In, Y, Bi 및 La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B는 Nb 및 Ta 중 적어도 하나이며, 0<x≤0.025이다.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는 높은 유전상수, 낮은 손실 및 우수한 온도 안정성의 성능을 갖추고 있다.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저주파 세라믹 커패시터 또는 마이크로파 통신 유전체 세라믹에서의 응용을 더 개시한다.

Description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본 발명은 유전체 세라믹 재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파(300MHz 내지 300GHz) 영역에서 정보 기술 및 무선 통신의 고속 발전은 소형화, 높은 신뢰성, 우수한 온도 안정성, 높은 품질을 가진 마이크로파 소자를 절실하게 필요로 하고 있다. 마이크로파 주파수 대역 회로의 매질 재료로서, 마이크로파 유전체 세라믹은 높은 유전상수, 낮은 유전손실 및 우수한 온도 안정성을 동시에 갖추어야 한다.
필요한 마이크로파 유전체 세라믹 크기는 재료의 유전상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소자의 소형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유전체 재료가 높은 유전상수를 가져야 한다. 수많은 연구에 따르면, BaTiO3와 같은 강유전체(ferroelectric) 재료는 높은 유전상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으나, 그 유전상수는 온도에 따른 변화가 매우 크기 때문에 마이크로파 소자에 적용할 수 없다. 현재 적용되는 마이크로파 유전체 세라믹에는 텅스텐 브론즈 구조의 BaO-Ln2O3-TiO2(BLT) 계열, CaTiO3 개질 계열 및 Ba(Zn1/3Ta2/3)O3 페로브스카이트 계열 등이 포함되며, 그 유전상수는 100 이하로 본 특허의 유전값보다 훨씬 작다.
Shail Upadhyay 등은 간행물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Materials in Electronics>에서 발표한 "Dielectric relaxation and conduction in the system Ba1-xLaxSn1-xCrxO3"와 간행물 <Journal of Physics: Applied Physics>에서 발표한 "Synthesis, structure and electrical behaviour of lanthanum-doped barium stannate"에서 10Hz 내지 5MHz 주파수 범위 내에서 Ba1-xLaxSn1-xCrxO3와 Ba1-xLaxSnO3의 유전 성능을 각각 검토하였다. 2가지 재료의 유전상수는 103 이상에 달하지만, 주파수와 온도 의존성이 상당히 강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채택하는 기술적 해결책은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화학식은 BaAxBxSn1-2xO3이다. 상기 A는 In, Y, Bi 및 La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B는 Nb 및 Ta 중 적어도 하나이며, 0<x≤0.025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는 높은 유전상수, 낮은 손실 및 우수한 온도 안정성의 성능을 갖추고 있어, 저주파 세라믹 커패시터 매질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마이크로파 세라믹으로서의 우수한 성능 및 마이크로파 통신 영역에서의 응용 가치가 두드러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여기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1) 화학식의 몰비에 따라 바륨원, 4가 주석원, A3+를 함유한 반응물 및 B5+를 함유한 반응물을 칭량한다.
(2) 상술한 반응물을 볼 밀링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건조한 후 균일한 혼합물을 수득한다.
(3) 단계 (2)에서 수득한 혼합 분체를 산화알루미늄 도가니에 넣고, 하소 처리를 수행하여 하소된 분체를 수득한다.
(4) 하소된 분체에 소결 보조제 B2O3를 첨가한 후, 2차 볼 밀링을 수행하고, 건조한 후 예비 분체를 수득한다.
(5) 단계 (4)에서 수득한 예비 분체를 타정한 후, 소결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를 수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륨원은 BaCO3, Ba(NO3)2, Ba(NO3)2의 수화물, BaSO4, BaSO4의 수화물, Ba(OH)2, Ba(OH)2의 수화물, Ba(C2H3O2)2, Ba(C2H3O2)2의 수화물, Ba3(PO4)2 및 Ba3(PO4)2의 수화물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석원은 SnO2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3+를 함유한 반응물은 A2O3 , A2(C2O4)3, A2(C2O4)3의 수화물, A(NO3)3, A(NO3)3의 수화물, A2(SO4)3, A2(SO4)3의 수화물, A2(CO3)3 , A2(CO3)3의 수화물, A(C2H3O2)3 및 A(C2H3O2)3의 수화물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5+를 함유한 반응물은 B2O5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3)에서 상기 하소 처리는 4℃/min내지 6℃/min의 승온 속도 하에서 1000℃내지 1200℃의 온도 범위까지 승온하며, 3시간의 보온 시간이 종료된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4)에서 상기 소결 보조제 B2O3의 첨가량은 상기 하소된 분체의 중량백분율 함량의 0.5% 내지 5%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5) 이후에 단계 (5)에서 수득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에 대해 표면 연마 처리를 수행한 후 어닐링을 수행하는 단계 (6)을 더 포함한다. 어닐링 처리를 통해 공간 전하를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0<x≤0.025 도핑량 범위 내에서 수득한 재료의 유전 성능이 주파수 의존성을 갖는지 여부에 따를 수 있으며, 그 유전 성능이 주파수 의존성을 갖는다면 어닐링 처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x>0.025인 경우에는 어닐링 처리를 거쳐 제조된 재료라 하더라도 그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닐링은, 1.5℃/min내지 15℃/min의 승온 속도 하에서 1000℃내지 1500℃까지 승온하고,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보온하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고, 종료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 연마 처리는 먼저 240메쉬의 사포로 거친 연마를 수행한 후, 1200메쉬의 사포로 미세 연마를 수행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5)에서 상기 타정의 압력은 1MPa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5)에서 상기 소결 처리는, 4℃/min내지 6℃/min의 승온 속도 하에서 1300℃내지 1500℃의 온도 범위까지 승온하며, 보온 시간은 6시간 내지 24시간이며, 종료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3)과 단계 (4)에서 상기 볼 밀링은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니아 볼을 매질로 사용하며, 분산 매질은 에탄올 및/또는 아세톤이고, 볼 밀링 시간은 12시간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3)의 하소와 단계 (5)의 소결에서 기체 분위기는 공기 또는 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주파 세라믹 커패시터 또는 마이크로파 통신 유전체 세라믹에서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응용을 더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는 +3가와 +5가 금속이온을 동시 도핑함으로써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구조를 화학적으로 개질하여 그 유전 성능을 최적화하였으며, 동시에 높은 유전상수, 낮은 손실 및 우수한 온도 안정성의 우수한 성능을 구현하여 마이크로파 유전 재료의 응용 요건을 충족시켰다. 본 발명은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공정이 간단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저주파 세라믹 커패시터 또는 마이크로파 통신 유전체 세라믹에서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응용을 더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1(BaLa0.0005Nb0.0005Sn0.999O3), 실시예 2(BaLa0.001Nb0.001Sn0.998O3), 실시예 3(BaLa0.025Nb0.025Sn0.95O3) 및 실시예 4(BaLa0.001Ta0.001Sn0.998O3)에서 제조한 (A3++B5+)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및 비교예 1(BaSnO3)에서 제조한 도핑되지 않은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XRD 스펙트럼이다.
도 2는 실시예 1(BaLa0.0005Nb0.0005Sn0.999O3), 실시예 2(BaLa0.001Nb0.001Sn0.998O3) 및 실시예 3(BaLa0.025Nb0.025Sn0.95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후방 산란 전자(BSE) 이미지 및 상응하는 2차 전자(SE)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 1(BaLa0.0005Nb0.0005Sn0.999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실온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4는 실시예 1(BaLa0.0005Nb0.0005Sn0.999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선정한 4개 주파수(100Hz, 1KHz, 10KHz 및 100KHz)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온도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5는 실시예 2(BaLa0.001Nb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실온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6은 실시예 2(BaLa0.001Nb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선정한 4개 주파수(100Hz, 1KHz, 10KHz 및 100KHz)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온도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7은 실시예 3(BaLa0.025Nb0.025Sn0.95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실온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8은 실시예 4(BaLa0.001Ta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Ta)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실온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9는 비교예 1(BaSnO3)에서 제조한 도핑되지 않은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실온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장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화학식은 BaAxBxSn1-2xO3이다. 여기에서 A=La, B=Nb이고, x는 원자비(atomic ratio)이며, x=0.0005이다.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1) 화학식의 몰비에 따라, 19.7340g의 BaCO3, 15.0559g의 SnO2, 0.0082g의 La2O3 및 0.0066g의 Nb2O5 반응물 분체를 칭량한다.
(2) 상술한 반응물 분체를 볼 밀링 탱크에 넣고, 에탄올을 분산제로,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니아 볼을 볼 밀링 매질로 사용하여 12시간 동안 볼 밀링을 수행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건조한 후 균일한 혼합물을 수득한다.
(3) 단계 (2)에서 수득한 혼합 분체를 산화알루미늄 도가니에 넣고 하소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승온 속도는 5℃/min, 온도 범위는 1000°C, 보온 시간은 3시간이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다. 종료 후에는 실온으로 자연 냉각한다.
(4) 하소 이후, 분체 중량비가 2.5%인 소결 보조제 B2O3를 첨가한 후, 2차 볼 밀링을 수행한다. 볼 밀링 조건 등은 단계 (2)와 동일하며, 건조한 후 예비 분체를 수득한다.
(5) 단계 (4)에서 수득한 예비 분체를 몰드에 넣고 1MPa 압력 하에서 그린 시트(green sheet)를 수득한 후 그린 시트에 대해 소결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소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승온 속도는 5℃/min, 온도 범위는 1350℃, 보온 시간은 12시간이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다. 종료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여 치밀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를 수득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화학식은 BaAxBxSn1-2xO3이다. 여기에서 A=La, B=Nb이고, x는 원자비이며, x=0.001이다.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1) 화학식의 몰비에 따라, 19.7340g의 BaCO3, 15.0409g의 SnO2, 0.0163g의 La2O3 및 0.0133g의 Nb2O5 반응물 분체를 칭량한다.
(2) 상술한 반응물 분체를 볼 밀링 탱크에 넣고, 에탄올을 분산제로,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니아 볼을 볼 밀링 매질로 사용하여 12시간 동안 볼 밀링을 수행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건조한 후 균일한 혼합물을 수득한다.
(3) 단계 (2)에서 수득한 혼합 분체를 산화알루미늄 도가니에 넣고 하소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승온 속도는 5℃/min, 온도 범위는 1000℃, 보온 시간은 3시간이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다. 종료 후에는 실온으로 자연 냉각한다.
(4) 하소 이후, 분체 중량비가 2.5%인 소결 보조제 B2O3를 첨가한 후, 2차 볼 밀링을 수행한다. 볼 밀링 조건 등은 단계 (2)와 동일하며, 건조한 후 예비 분체를 수득한다.
(5) 단계 (4)에서 수득한 예비 분체를 몰드에 넣고 1MPa 압력 하에서 그린 시트를 수득한 후 그린 시트에 대해 소결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소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승온 속도는 5℃/min, 온도 범위는 1350℃, 보온 시간은 12시간이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다. 종료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여 치밀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를 수득한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화학식은 BaAxBxSn1-2xO3이다. 여기에서 A=La, B=Nb이고, x는 원자비이며, x=0.025이다.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1) 화학식의 몰비에 따라, 19.7340g의 BaCO3, 14.3145g의 SnO2, 0.4073g의 La2O3 및 0.3323g의 Nb2O5 반응물 분체를 칭량한다.
(2) 상술한 반응물 분체를 볼 밀링 탱크에 넣고, 에탄올을 분산제로,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니아 볼을 볼 밀링 매질로 사용하여 12시간 동안 볼 밀링을 수행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건조한 후 균일한 혼합물을 수득한다.
(3) 단계 (2)에서 수득한 혼합 분체를 산화알루미늄 도가니에 넣고 하소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승온 속도는 5℃/min, 온도 범위는 1000℃, 보온 시간은 3시간이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다. 종료 후에는 실온으로 자연 냉각한다.
(4) 하소 이후, 분체 중량비가 0.5%인 소결 보조제 B2O3를 첨가한 후, 2차 볼 밀링을 수행한다. 볼 밀링 조건 등은 단계 (2)와 동일하며, 건조한 후 예비 분체를 수득한다.
(5) 단계 (4)에서 수득한 예비 분체를 몰드에 넣고 1MPa 압력 하에서 그린 시트를 수득한 후 그린 시트에 대해 소결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소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승온 속도는 5℃/min, 온도 범위는 1500°C, 보온 시간은 6시간이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다. 종료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여 치밀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세라믹 시트를 수득한다.
(6) 단계 (5)에서 수득한 세라믹 시트에 대해 표면 연마 처리를 수행한 후, 어닐링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를 수득한다. 상기 표면 연마 처리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먼저 240메쉬의 사포로 거친 연마를 수행한 후, 1200메쉬의 사포로 미세 연마를 수행한다. 상기 어닐링 과정은 승온 속도가 5℃/min이고 1300℃까지 승온하며 보온 시간은 1시간이고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며 종료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는 것이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화학식은 BaAxBxSn1-2xO3이다. 여기에서 A=La, B=Ta이고, x는 원자비이며, x=0.001이다.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1) 화학식의 몰비에 따라, 19.7340g의 BaCO3, 15.0409g의 SnO2, 0.0163g의 La2O3 및 0.0221g의 Ta2O5 반응물 분체를 칭량한다.
(2) 상술한 반응물 분체를 볼 밀링 탱크에 넣고, 에탄올을 분산제로,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니아 볼을 볼 밀링 매질로 사용하여 12시간 동안 볼 밀링을 수행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건조한 후 균일한 혼합물을 수득한다.
(3) 단계 (2)에서 수득한 혼합 분체를 산화알루미늄 도가니에 넣고 하소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승온 속도는 5℃/min, 온도 범위는 1000℃, 보온 시간은 3시간이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다. 종료 후에는 실온으로 자연 냉각한다.
(4) 하소 이후, 분체 중량비가 2.5%인 소결 보조제 B2O3를 첨가한 후, 2차 볼 밀링을 수행한다. 볼 밀링 조건 등은 단계 (2)와 동일하며, 건조한 후 예비 분체를 수득한다.
(5) 단계 (4)에서 수득한 예비 분체를 몰드에 넣고 1MPa 압력 하에서 그린 시트를 수득한 후 그린 시트에 대해 소결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소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승온 속도는 5℃/min, 온도 범위는 1500℃, 보온 시간은 24시간이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다. 종료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여 치밀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를 수득한다.
비교예 1
본 비교예의 재료는 BaSnO3이며,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1) 화학식 BaSnO3의 몰비에 따라, 19.7340g의 BaCO3 및 15.071g의 SnO2 반응물 분체를 칭량한다.
(2) 상술한 반응물 분체를 볼 밀링 탱크에 넣고, 에탄올을 분산제로,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니아 볼을 볼 밀링 매질로 사용하여 12시간 동안 볼 밀링을 수행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건조한 후 균일한 혼합물을 수득한다.
(3) 단계 (2)에서 수득한 혼합 분체를 산화알루미늄 도가니에 넣고 하소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승온 속도는 5℃/min, 온도 범위는 1200℃, 보온 시간은 3시간이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다. 종료 후에는 실온으로 자연 냉각한다.
(4) 하소 이후, 분체 중량비가 5%인 소결 보조제 B2O3를 첨가한 후, 2차 볼 밀링을 수행한다. 볼 밀링 조건 등은 단계 (2)와 동일하며, 건조한 후 예비 분체를 수득한다.
(5) 단계 (4)에서 수득한 예비 분체를 몰드에 넣고 1MPa 압력 하에서 그린 시트를 수득한 후 그린 시트에 대해 소결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소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즉, 승온 속도는 5℃/min, 온도 범위는 1450℃, 보온 시간은 12시간이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다. 종료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여 치밀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를 수득한다.
도 1은 실시예 1(BaLa0.0005Nb0.0005Sn0.999O3), 실시예 2(BaLa0.001Nb0.001Sn0.998O3), 실시예 3(BaLa0.025Nb0.025Sn0.95O3) 및 실시예 4(BaLa0.001Ta0.001Sn0.998O3)에서 제조한 (A3++B5+)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및 비교예 1(BaSnO3)에서 제조한 도핑되지 않은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XRD 스펙트럼이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A3++B5+)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와 비교예 1(BaSnO3)이 동일한 입방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고, 또한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을 합성한 재료는 모두 단상(single phase) 특징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BaLa0.0005Nb0.0005Sn0.999O3), 실시예 2(BaLa0.001Nb0.001Sn0.998O3) 및 실시예 3(BaLa0.025Nb0.025Sn0.95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후방 산란 전자(BSE) 이미지 및 상응하는 2차 전자(SE) 이미지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는 단상이며 다른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음을 더 입증한다.
도 3은 실시예 1(BaLa0.0005Nb0.0005Sn0.999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실온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3은 실시예 1(BaLa0.001Nb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는 20Hz 내지 1GHz 주파수 범위 내에서 유전상수가 1.6×103~3×103이고, 또한 0.2MHz 내지 25MHz 주파수 범위 내에서 그 유전손실은 1% 미만임을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1(BaLa0.0005Nb0.0005Sn0.999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선정한 4개 주파수(100Hz, 1KHz, 10KHz 및 100KHz)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온도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4는 실시예 1(BaLa0.001Nb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는 10K 내지 450K 온도 범위 내에서 그 유전상수는 온도 안정성이 우수하며 1.2×103~3×103이고, 또한 300K 이하에서 그 유전손실은 5% 미만임을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2(BaLa0.001Nb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실온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5는 실시예 2(BaLa0.001Nb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는 20Hz 내지 1GHz 주파수 범위 내에서 유전상수가 3.5×103~5×103이며, 또한 주파수가 1MHz보다 크면 그 유전손실은 4‰ 미만이고, 주파수가 300MHz보다 크면 그 유전손실은 0.5‰ 미만임을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 2(BaLa0.001Nb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선정한 4개 주파수(100Hz, 1KHz, 10KHz 및 100KHz)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온도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6은 실시예 2(BaLa0.001Nb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가 10K 내지 450K 온도 범위 내에서 유전상수는 온도 안정성이 우수하며 3.6×103~4.8×103이고, 또한 그 유전손실은 매우 작은 온도 의존성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 3(BaLa0.025Nb0.025Sn0.95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실온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7은 실시예 3(BaLa0.025Nb0.025Sn0.95O3)에서 제조한 (La+Nb)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는 20Hz 내지 2MHz 주파수 범위 내에서 유전상수가 1.8×104~8×103이고, 동시에 주파수가 20Hz에서 1.2×104Hz까지 커지면, 유전손실은 3에서 8%로 감소하고, 주파수가 계속해서 커지면 유전손실이 점차 30%까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 4(BaLa0.001Ta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Ta)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실온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8은 실시예 4(BaLa0.001Ta0.001Sn0.998O3)에서 제조한 (La+Ta) 동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는 20Hz 내지 2MHz 주파수 범위 내에서의 유전상수가 4×103~5.6×103이고, 또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유전손실이 점차 20%에서 2.7‰로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비교예 1(BaSnO3)에서 제조한 도핑되지 않은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실온에서의 유전상수 및 유전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스펙트럼이다. 도 9는 비교예 1(BaSnO3)에서 제조한 도핑되지 않은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는 20Hz 내지 1GHz 주파수 범위 내에서 그 유전상수가 15임을 나타낸다.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유전손실이 점차 20%에서 약 0.05%까지 감소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의 실질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수정 또는 동등한 수준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0)

  1.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에 있어서,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화학식은 BaAxBxSn1-2xO3이고, 상기 A는 In, Y, Bi 및 La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B는 Nb 및 Ta 중 적어도 하나이며, 0<x≤0.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2. 제1항에 따른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화학식의 몰비에 따라 바륨원, 4가 주석원, A3+를 함유한 반응물 및 B5+를 함유한 반응물을 칭량하는 단계;
    (2) 상술한 반응물을 볼 밀링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건조한 후 균일한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3) 단계 (2)에서 수득한 혼합 분체를 산화알루미늄 도가니에 넣고, 하소 처리를 수행하여 하소된 분체를 수득하는 단계;
    (4) 하소된 분체에 소결 보조제 B2O3를 첨가한 후, 2차 볼 밀링을 수행하고, 건조 후 예비 분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5) 단계 (4)에서 수득한 예비 분체를 타정한 후, 소결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하기의 (a), (b), (c) 및 (d)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
    (a) 상기 바륨원은 BaCO3, Ba(NO3)2, Ba(NO3)2의 수화물, BaSO4, BaSO4의 수화물, Ba(OH)2, Ba(OH)2의 수화물, Ba(C2H3O2)2, Ba(C2H3O2)2의 수화물, Ba3(PO4)2 및 Ba3(PO4)2의 수화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
    (b) 상기 주석원은 SnO2인 것;
    (c) 상기 A3+를 함유한 반응물은 A2O3 , A2(C2O4)3, A2(C2O4)3의 수화물, A(NO3)3, A(NO3)3의 수화물, A2(SO4)3, A2(SO4)3의 수화물, A2(CO3)3 , A2(CO3)3의 수화물, A(C2H3O2)3 및 A(C2H3O2)3의 수화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
    (d) 상기 B5+를 함유한 반응물은 B2O5인 것.
  4. 제2항에 있어서,
    단계 (3)에서 상기 하소 처리는 4℃/min내지 6℃/min의 승온 속도 하에서 1000℃내지 1200℃의 온도 범위까지 승온하며, 3시간의 보온 시간이 종료된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단계 (4)에서 상기 소결 보조제 B2O3의 첨가량이 상기 하소된 분체의 중량백분율 함량의 0.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단계 (5) 이후에, 단계 (5)에서 수득한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에 대해 표면 연마 처리를 수행한 후 어닐링을 수행하는 단계 (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은 1.5℃/min내지 15℃/min의 승온 속도 하에서 1000℃내지 1500℃까지 승온하고,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보온하며, 기체 분위기는 공기이고, 종료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단계 (5)에서 상기 소결 처리는 4℃/min내지 6℃/min의 승온 속도 하에서 1300℃내지 1500℃의 온도 범위까지 승온하며, 보온 시간은 6시간 내지 24시간이고, 종료 후 실온으로 자연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단계 (3)과 단계 (4)에서 상기 볼 밀링은,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니아 볼을 매질로 사용하며, 분산 매질은 에탄올 및 아세톤 중 적어도 하나이고, 볼 밀링 시간은 12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따른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를 사용하여 저주파 세라믹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20217015097A 2020-03-27 2020-03-31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KR102599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33747.7 2020-03-27
CN202010233747.7A CN111410526B (zh) 2020-03-27 2020-03-27 一种掺杂钙钛矿锡酸钡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PCT/CN2020/082581 WO2021189513A1 (zh) 2020-03-27 2020-03-31 一种掺杂钙钛矿锡酸钡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225A KR20210122225A (ko) 2021-10-08
KR102599848B1 true KR102599848B1 (ko) 2023-11-10

Family

ID=7148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097A KR102599848B1 (ko) 2020-03-27 2020-03-31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99848B1 (ko)
CN (1) CN111410526B (ko)
WO (1) WO2021189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2459A (zh) * 2020-09-04 2020-12-29 临沂金成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高介电常数的微波陶瓷材料的制备方法
CN114408963B (zh) * 2022-01-14 2022-12-09 中国科学院地球环境研究所 一种利用微波法制备钙钛矿氧化物纳米材料的方法
CN114573339B (zh) * 2022-03-31 2023-04-18 华北电力大学 高储能密度无铅高熵钙钛矿陶瓷、制备方法、及电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186B1 (ko) 1993-09-03 2002-06-24 전민제 결정성세라믹페로브스카이트화합물분말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757B1 (ko) * 1970-09-21 1977-02-07
US5361187A (en) * 1993-03-11 1994-11-01 Ferro Corporation Ceramic dielectric compositions and capacitors produced therefrom
WO2001021546A1 (en) * 1999-09-21 2001-03-29 Cts Corporatio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JP2003034573A (ja) * 2000-11-20 2003-02-07 Kyocera Corp 誘電体磁器及びこれを用いた誘電体共振器
US6649553B2 (en) * 2001-04-12 2003-11-1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dielectric ceramic compact an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CN1159256C (zh) * 2002-06-21 2004-07-28 清华大学 一种锂钛共掺杂氧化镍基陶瓷的制备方法及其应用
US7101491B2 (en) * 2002-07-16 2006-09-05 Denso Corporation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tion of same, piezoelectric element, and dielectric element
CN1169748C (zh) * 2003-03-20 2004-10-06 武汉理工大学 高介电常数陶瓷及其制备方法
JP4155132B2 (ja) * 2003-04-23 2008-09-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用誘電体磁器組成物、誘電体共振器、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機装置
CN101402521B (zh) * 2008-10-31 2011-07-20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ntc热敏导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423244A (zh) * 2008-11-19 2009-05-06 西北大学 一种掺锡钛酸钡纳米粉体的制备方法
CN101747036B (zh) * 2009-12-22 2012-07-04 河北理工大学 低温烧结超低温度变化率低频介质陶瓷及其制备方法
CN105439555A (zh) * 2014-08-12 2016-03-30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高比表面积纳米锡酸钡的制备方法
CN104692792B (zh) * 2015-02-09 2016-08-24 陕西师范大学 低温烧结温度稳定型锡酸盐微波介质陶瓷材料
CN105859285B (zh) * 2016-04-01 2018-03-23 广东国华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损耗复合微波介质陶瓷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948736A (zh) * 2016-05-03 2016-09-2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氧化锂-三价氧化物共掺杂abo3结构高温度稳定性压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977178A (zh) * 2017-03-05 2017-07-25 临沂金成电子有限公司 一种微波陶瓷介质材料及制备方法
CN107746273A (zh) * 2017-11-14 2018-03-02 周开珍 一种高储能密度的无铅陶瓷材料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186B1 (ko) 1993-09-03 2002-06-24 전민제 결정성세라믹페로브스카이트화합물분말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10526A (zh) 2020-07-14
KR20210122225A (ko) 2021-10-08
WO2021189513A1 (zh) 2021-09-30
CN111410526B (zh)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9848B1 (ko) 도핑된 페로브스카이트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CN107188557B (zh) 一种微波介质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Jiayu et al. Effects of rare earth oxides on dielectric properties of Y2Ti2O7 series ceramics
CN106145931A (zh) 一种新型超低损耗微波介质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244912B (zh) 一种新型bczt基储能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473732B (zh) 一种钛酸锶基高储能密度和低介电损耗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242454B (zh) 一种钛酸铋钠基四元系高温稳定的高介无铅陶瓷电容器介质材料及制备
CN109516799B (zh) 一种具有高温度稳定性的高介陶瓷电容器材料及其制备方法
JP2004339040A (ja) 誘電体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004030A (zh) 一种MgTiO3基微波介质陶瓷及其制备方法
CN107445616B (zh) 一种钛酸锶基无铅耐高压储能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US20210300827A1 (en) Doped perovskite barium stannate material with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2020152630A (ja) 低い誘電損失を有する誘電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る誘電体
CN111825445B (zh) 一种高介电常数微波介质陶瓷材料、制备及其应用
JP2017088480A (ja) 銀置換ニオブ酸ストロンチウム誘電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773070B (zh) 温度稳定型高介电常数微波介质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304916A (zh) 一种抗还原BaTiO3基介质陶瓷及制备方法
CN114773054B (zh) 一种三元钛酸铋钠基高介超宽温无铅多层陶瓷电容器介质材料及制备
JP7392015B2 (ja) 誘電分散のないニオブ酸カルシウムリチウム誘電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231977A (zh) 一种高温稳定介质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Rao et al. New dielectric materials based on pyrochlore-type oxides-Ca 3 RE 3 Ti 7 Ta 2 O 26.5 (RE= Pr, Sm, Gd, Dy or Y): Structure, FT-IR spectra, microstructure and dielectric properties
CN108439975B (zh) 一种具有稳定缺陷结构的钛酸锶钙基储能陶瓷及其制备方法
Li et al. Effects of zinc substitution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Ca 5 Nb 4 TiO 17 microwave ceramics
Jiang et al. Low-temperature sintering of (Co0. 35Zn0. 65) TiNb2O8 temperature-stable microwave dielectric ceramics with BaCu (B2O5) additions
Chen et al. Low-loss dielectrics in Pb (Mg1/3Nb2/3) O3–SrTiO3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