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232B1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232B1
KR102599232B1 KR1020170160343A KR20170160343A KR102599232B1 KR 102599232 B1 KR102599232 B1 KR 102599232B1 KR 1020170160343 A KR1020170160343 A KR 1020170160343A KR 20170160343 A KR20170160343 A KR 20170160343A KR 102599232 B1 KR102599232 B1 KR 10259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ank layer
organic light
display panel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1695A (en
Inventor
여동현
오은진
이충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232B1/en
Publication of KR2019006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2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하는 서브화소에서 발생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높이가 서로다른뱅크층이 배치되어 시야각의 변화에 따른 색생변화가 최소화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기판상에 구동소자(TFT)가 배치되고 구동소자와 연결된 화소전극은뱅크층에 의해 오픈되어서브화소의 발광영역이 정의된다. 뱅크층은서브화소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서브화소에서 발광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배치하여 시야각에 따라 색상이 바뀌거나 시야각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provided in which color changes due to changes in viewing angle are minimized by arranging bank layers with different height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light generated from adjacent sub-pixels. A driving element (TFT) is placed on the substrate, and the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iving element is opened by a bank layer to define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sub-pixel. The bank layer is arranged to surround the sub-pixel and has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sub-pixel, so that the color can chang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r the change in luminanc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can be minimized.

Figure R1020170160343
Figure R1020170160343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감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can minimize color changes due to changes in viewing angl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표시장치 분야는 부피가 큰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할 수 있고, 얇고 가벼우며 대면적이 가능한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로 급속히 변화해 왔다.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그리고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D) 등이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The display device field has been rapidly changing to Flat Panel Display Device (FPD), which can replace bulky cathode ray tubes (CRT) and are thin, light, and capable of large areas. Flat panel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an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 ED), etc.

이 중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 소자로서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연한(flexible) 플라스틱 기판 위에도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이나 무기 전계발광(EL) 디스플레이에 비해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으며, 색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Among thes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self-emitting devices that emit light on their own and have the advantages of fast response speed, high luminous efficiency, brightness, and viewing angle. In particula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can not only be formed on flexible plastic substrates, but can also be driven at lower voltages and consume relatively less power than plasma display panels or 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mall and having excellent color.

최근 모바일이나 노트북 등 폴더블(foldable) 기기의 사용이 대중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와 다양한 형상의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의 표시 장치 중에서 구부러지기 쉬운 플라스틱 계열의 기판을 사용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또는 접거나 구부릴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use of fold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laptops has become popular, and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with various functions and display devices of various shapes is increasing. Among display devices with various functions, demand for flexible display devices using plastic substrates that are easy to bend or foldable display devices that can be folded or bent is increasing.

이와 같이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로 사용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화소를 정의하는 뱅크층의 높이로 인해 시야각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화소의 면적이 다르게 시인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한 색감이 바뀌어 보일 수 있다.In the cas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ed as a bendable or foldable display device, the area of the pixel that emits light is view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due to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that defines the pixel, resulting in the display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color of the image may appear to change.

또는 시야각에 따라 휘도가 변하게 됨으로 인해 플렉서블한 환경 또는 폴더블한 환경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왜곡되어 보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Alternativ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appear distorted in a flexible or foldable environment due to the luminance changing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이와 같이 시야각에 따라 휘도 또는 색감이 달리 보일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활동이 시행되고 있다.As such, many research activities are being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that luminance or color may appear different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양극인 애노드(Anode) 상에 유기발광층이 배치된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유기발광소자의 화소 영역을 정의할 수 있도록 애노드의 일부를 오픈하는 뱅크층이 사용되고 있다. 유기발광층은 애노드(Anode) 외에 음극인 캐소드(Cathode)를 더 포함하고, 애노드와 캐소드로부터 발생된 전자와 정공이 유기발광층에서 만나 결합하여 발생되는 엑시톤 현상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disposed on an anode, and a bank layer that opens a portion of the anode is used to define a pixel ar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addition to the anode,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further includes a cathode, which is a negative electrode, and emits light by an exciton phenomenon generated when electrons and holes generated from the anode and cathode meet and combine i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뱅크층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소영역을 정의하도록 배치되는데 뱅크층은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뱅크층의 일정한 높이로 인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시야각에 따라 발광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시야각에 따른 휘도 변화 또는 색상의 왜곡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더욱이 레드 블루 및 그린의 삼원색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뱅크층의 높이에 따라 가려지는 영역이 동일하여도 각각의 색상의 빛의 파장에 따라 색상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bank layer is arranged to define the pixel area, as described above, and the bank layer is arranged to have a constant height. However, due to the constant height of the bank layer, at least part of the light emitting area is obscured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may cause luminance changes or color distortion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Moreover,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images in the three primary colors of red, blue, and green, color distortion may occur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of each color even if the area covered by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is the same.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시야각에 따라 휘도와 색상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새로운 구조를 발명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a new structure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can minimize distortion of luminance and color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시야각에 따른 휘도 변화가 최소화되도록 뱅크층의 형태를 새롭게 구성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hape of the bank layer is newly configured to minimize the change in luminanc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시야각에 따라 색감이 왜곡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빛의 파장별 화소를 둘러싼 뱅크층의 구조를 새롭게 구성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a new structure of a bank layer surrounding a pixel for each wavelength of light to minimize color distortion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화소로 정의되는 화소가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서브화소는 뱅크층의 오픈영역으로 정의되는데, 화소전극 상에 뱅크층 배치되면서 화소전극상에 발광영역은 오픈하여 유기 발광층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서브화소에인접하여 배치된 뱅크층의 높이가 각각 인접한 서브화소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되, 인접한 서브화소의 발광 파장에 따라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시야각에 따른 색감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pixel defined by a plurality of sub-pixels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pixel is defined as an open area of the bank layer. As the bank layer is disposed on the pixel electrode, the light-emitting area on the pixel electrode is opened so that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can be dispos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disposed adjacent to the subpixel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djacent subpixel, and the heigh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mission wavelength of the adjacent subpixel.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can be arranged to minimize color chang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뱅크층의 오픈영역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발광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뱅크층의 오픈영역으로 발광영역이 정의되기에 뱅크층과 발광영역이 이루는 각도를 발광영역의 각각의 빛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르도록 뱅크층을 배치하여 시야각에 따라 휘도가 변경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areas defined as open areas of a bank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area is defined by the open area of the bank layer, the bank layer is arranged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bank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area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each light in the light emitting area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luminance changing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ligh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인접한 서브화소에서 발광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뱅크층을 구비함으로써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 및 휘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color and luminance change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by providing bank layers with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adjacent sub-pixel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본 발명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광영역과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층은 발광영역에서 발광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이루는 각도가 상이하도록 뱅크층을 배치함으로써 시야각에 따라 색감이 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emitting area and the bank layer defining the light-emitting area are arranged so that the angles forme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area, thereby minimizing color chang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Since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 do not specify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 the scope of the claim is not limi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도 1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1예시도이다.
도 3은 서브 픽셀의 또다른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2 예시도이다.
도 4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서브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폴더블한 환경의 시야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적용된 폴더블 표시장치의 한 예이다.
도 5b는 시야각에 따른 서브화소의 발광면적이 뱅크층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뱅크층의 높이에 따라 가려지는 영역의 변화와 빛의 파장별휘도변화를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6a는 서브화소에 따른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뱅크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b는 서브화소에 따른 서로 다른 뱅크층의 테이퍼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igure 2 is a first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a subpixel.
Figure 3 is a second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circuit configuration of a subpixel.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a subpixel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igure 5a is an example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explain changes in viewing angle in a foldable environment.
Figure 5b is a schematic diagram to explain the area where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sub-pixel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s obscured by the bank layer.
FIG. 5C is a table explaining the change in the area cover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shown in FIG. 5B and the change in luminance by wavelength of light.
FIG. 6A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bank layers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according to subpixels.
FIG. 6B is a schematic diagram to explain the taper angles of different bank layers according to subpixel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after’, ‘after’, ‘before’, etc., ‘immediately’ or ‘directly’ Non-consecutive cases may also be included unless ' is used.

신호의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A 노드에서 B 노드로 신호가 전달된다'의 경우에도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은 이상, A 노드에서 다른 노드를 경유하여 B 노드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signal flow relationship, for example,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node A to node B', unless 'immediately' or 'directly' is used, it is transmitted from node A to another node. This may include cases where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 node.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various technolog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It may be possib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1예시도이며, 도 3은 서브 픽셀의 또다른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력작언 제2 예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IG. 2 is a schematic first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subpixel, and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circuit configuration of a subpixel. This is the second example of a reform plan for reform.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영상 처리부(10), 타이밍 제어부(20), 데이터 구동부(30), 게이트 구동부(40) 및 표시 패널(5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n image processor 10, a timing controller 20, a data driver 30, a gate driver 40, and a display panel 50.

영상 처리부(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와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외에도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 신호들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 도시한다. 영상 처리부(10)는 시스템 회로기판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0 outputs a data enable signal (DE) in addition to a data signal (DATA)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image processing unit 10 may output one or more of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clock signal in addition to the data enable signal DE, but these signal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IC) on a system circuit board.

타이밍 제어부(20)는 영상 처리부(10)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또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을 포함하는 구동신호와 더불어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받는다.The timing control unit 20 receives a data enable signal (DE) or a driving signal including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clock signal, as well as a data signal (DATA)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0.

타이밍 제어부(20)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구동부(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20)는 제어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된다.The timing control unit 20 includes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er 40 and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30 based on the driving signal. outputs. The timing control unit 2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C on a control circuit board.

데이터 구동부(30)는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기판 상에 IC 형태로 부착된다.The data driver 30 samples and latches the data signal DATA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 unit 20 in response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 unit 20, converts it to a gamma reference voltage, and outputs it. . The data driver 30 outputs a data signal DATA through the data lines DL1 to DLn. The data driver 30 is attached in the form of an IC on a substrate.

게이트구동부(40)는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40)는 게이트라인들(GL1 ~ GLm)을 통해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40)는 게이트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시 패널(5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ate driver 40 outputs a gate signal while shifting the level of the gate voltage in response to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20. The gate driver 40 outputs a gate signal through the gate lines GL1 to GLm. The gate driver 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IC on a gate circuit board or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50 in a gate in panel manner.

표시 패널(50)은 데이터 구동부(30) 및 게이트 구동부(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 및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50)은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픽셀들(SP)을 포함한다.The display panel 50 displays images in response to data signals and gate signals supplied from the data driver 30 and the gate driver 40. The display panel 50 includes subpixels SP that display image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서브 픽셀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보상회로(CC)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one subpix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ing transistor (SW), a driving transistor (DR), a storage capacitor (Cst), a compensation circuit (CC),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perates to emit light according to a driving current formed by a driving transistor (DR).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 게이트 라인(GL1)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데이터 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The switching transistor SW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gate signal supplied through the first gate line GL1 so that the data signal supplied through the first data line DL1 is stored as a data voltage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고전위 전원라인(VDD)과 저전위 전원라인(GND)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The driving transistor (DR) operates so that a driving current flows between the high-potential power line (VDD) and the low-potential power line (GND)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store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스위칭 트랜지스터(SW)나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연결된 커패시터는 보상회로(CC) 내부로 위치할 수 있다. The compensation circuit (CC) is a circuit for compensating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driving transistor (DR). Additionally, the capacitor connected to the switching transistor (SW) or driving transistor (DR) may be located inside the compensation circuit (CC).

보상회로(CC)는 하나 이상의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와 보상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mpensation circuit (CC) consists of one or more compensation thin film transistors and a compensation capacitor. The composition of the compensation circuit (CC)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compensation method, so specific examples an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상회로(CC)가 포함된 경우 서브 픽셀(SP)에는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함과 더불어 특정 신호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라인과 전원라인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추가된 신호라인은 서브 픽셀에 포함된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1-2 게이트 라인(GL1b)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된 전원라인은 서브 픽셀의 특정 노드를 특정 전압으로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화 전원라인(INIT)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compensation circuit (CC) as shown in FIG. 3 is included, the subpixel (SP)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line and a power line for supplying a specific signal or power in addition to driving the compensation thin film transistor. there is. The added signal line may be defined as the 1-2 gate line GL1b for driving the compensation thin film transistor included in the subpixel. And the added power line can be defined as an initialization power line (INIT) for initializing a specific node of a subpixel to a specific voltag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is.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하나의 서브 픽셀에 보상회로(CC)가 포함된 것을 일례로 하였다. 하지만, 보상의 주체가 데이터 구동부(30) 등과 같이 서브 픽셀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보상회로(CC)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서브 픽셀은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되지만, 보상회로(CC)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6T2C, 7T2C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ures 2 and 3, one subpixel includes a compensation circuit (CC) as an example. However, if the subject of compensation is located outside the subpixel, such as the data driver 30, the compensation circuit (CC) may be omitted. That is, one subpixel is basically composed of a 2T (Transistor) 1C (Capacitor) structure including a switching transistor (SW), driving transistor (DR), storage capacitor (Cs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but compensation If a circuit (CC) is added,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3T1C, 4T2C, 5T2C, 6T2C, 7T2C, etc.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보상회로(CC)가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구동 트랜지스터(DR)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동 트랜지스터(DR)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이에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보상회로(CC)의 위치와 구조는 도 2와 도 3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Figures 2 and 3, the compensation circuit (CC) is shown as being located between the switching transistor (SW) and the driving transistor (DR), but it may be located further between the driving transistor (D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t may be possible.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the compensation circuit (CC) are not limited to FIGS. 2 and 3.

도 4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서브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a subpixel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PI) 상에 제1 버퍼층(BUF1)이 위치한다. 기판(PI)은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 기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판(PI)은 유연한(flexible)한 특성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4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buffer layer BUF1 located on the substrate PI. The substrate (PI) may be a plastic substrate, for example, a polyimide substrate. Therefore, the substrate (PI)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lexible characteristics.

제1 버퍼층(BUF1)은 기판(PI)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버퍼층(BUF1)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The first buffer layer BUF1 serves to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a subsequent process from impurities such as alkali ions leaking from the substrate PI. The first buffer layer (BUF1) may be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a multilayer thereof.

제1 버퍼층(BUF1) 상에 쉴드층(LS)이 위치한다. 쉴드층(LS)은 폴리이미드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패널구동 전류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hield layer LS is located on the first buffer layer BUF1. The shield layer (LS) serves to prevent the panel driving current from being reduced, which may occur when using a polyimide substrate.

쉴드층(LS) 상에 제2 버퍼층(BUF2)이 위치한다. 제2 버퍼층(BUF2)은 쉴드층(LS)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버퍼층(BUF2)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A second buffer layer (BUF2) is located on the shield layer (LS). The second buffer layer BUF2 serves to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a subsequent process from impurities such as alkali ions leaking from the shield layer LS. The second buffer layer (BUF2) may be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a multilayer thereof.

제2 버퍼층(BUF2) 상에 반도체층(ACT)이 위치한다. 반도체층(ACT)은 실리콘 반도체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리콘 반도체는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화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결정 실리콘은 이동도가 높아(100㎠/Vs 이상), 에너지 소비 전력이 낮고 신뢰성이 우수하여, 구동 소자용 게이트 드라이버 및/또는 멀티플렉서(MUX)에 적용하거나 화소 내 구동 TFT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산화물 반도체는 오프-전류가 낮으므로, 온(On) 시간이 짧고 오프(Off) 시간을 길게 유지하는 스위칭 TFT에 적합하다. 또한, 오프 전류가 작으므로 화소의 전압 유지 기간이 길어서 저속 구동 및/또는 저 소비 전력을 요구하는 표시장치에 적합하다. 또한, 반도체층(ACT)은 p형 또는 n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을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채널을 포함한다. The semiconductor layer (ACT) is located on the second buffer layer (BUF2). The semiconductor layer (ACT) may be made of a silicon semiconductor or an oxide semiconductor. Silicon semiconductors may include amorphous silicon or crystallized polycrystalline silicon. Here, polycrystalline silicon has high mobility (over 100㎠/Vs), low energy consumption and excellent reliability, so it can be applied to gate drivers and/or multiplexers (MUX) for driving elements or to driving TFTs within pixels. there is. Meanwhile, oxide semiconductors have low off-current, so they are suitable for switching TFTs that have a short on time and a long off time. In addition, since the off-current is small, the pixel voltage maintenance period is long, making it suitable for display devices that require low-speed driving and/or low power consumption. Additionally, the semiconductor layer ACT includes a drain region and a source region containing p-type or n-type impurities, and includes a channel between them.

반도체층(ACT) 상에 게이트 절연막(GI)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A gate insulating film (GI) is locat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ACT). The gate insulating film (GI) may be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a multilayer thereof.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상기 반도체층(ACT)의 일정 영역, 즉 불순물이 주입되었을 경우의 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게이트 전극(GA)이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GA)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전극(GA)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다중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GA)은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 또는 몰리브덴/알루미늄의 2중층일 수 있다. A gate electrode (GA) is locat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GI) in a certain area of the semiconductor layer (ACT), that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hannel where impurities are injected. The gate electrode (GA)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neodymium (Nd), and copper (Cu). It is formed from either one or an alloy thereof. In addition, the gate electrode (GA) is a group consisting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neodymium (Nd), and copper (Cu). It may be a multi-layer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or an alloy thereof. For example, the gate electrode GA may be a double layer of molybdenum/aluminum-neodymium or molybdenum/aluminum.

게이트 전극(GA) 상에 게이트 전극(GA)을 절연시키는 층간 절연막(ILD)이 위치한다. 층간 절연막(ILD)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층간 절연막(ILD) 및 게이트 절연막(GI)의 일부 영역에 반도체층(ACT)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콘택홀들(CH)이 위치한다. An interlayer dielectric (ILD) that insulates the gate electrode (GA) is located on the gate electrode (GA).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LD) may be a silicon oxide layer (SiOx), a silicon nitride layer (SiNx), or a multilayer thereof. Contact holes (CH) exposing a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layer (ACT) are located in some areas of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LD)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층간 절연막(ILD) 상에 드레인 전극(DE)과 소스 전극(SE)이 위치한다. 드레인 전극(DE)은 반도체층(ACT)의 드레인 영역을 노출하는 콘택홀(CH)을 통해 반도체층(ACT)에 연결되고, 소스 전극(SE)은 반도체층(ACT)의 소스 영역을 노출하는 콘택홀(CH)을 통해 반도체층(ACT)에 연결된다.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단일층일 경우에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다중층일 경우에는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의 2중층,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몰리브덴의 3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drain electrode (DE) and a source electrode (SE) are locat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LD). The drain electrode (DE) is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ayer (ACT) through a contact hole (CH) that exposes the drain region of the semiconductor layer (ACT), and the source electrode (SE) exposes the source region of the semiconductor layer (ACT). It is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ayer (ACT) through the contact hole (CH). The source electrode (SE) and drain electrode (DE) may be made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When the source electrode (SE) and drain electrode (DE) are a single layer, molybdenum (Mo), aluminum (Al), or chromium It may b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neodymium (Nd), and copper (Cu), or an alloy thereof. In addition, when the source electrode (SE) and drain electrode (DE) are multilayers, a double layer of molybdenum/aluminum-neodymium, a triple layer of titanium/aluminum/titanium, molybdenum/aluminum/molybdenum, or molybdenum/aluminum-neodymium/molybdenum. It can be done.

따라서, 반도체층(ACT), 게이트 전극(GA), 드레인 전극(DE) 및 소스 전극(SE)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TFT)가 구성된다.Accordingly, a thin film transistor (TFT) is constructed including a semiconductor layer (ACT), a gate electrode (GA), a drain electrode (DE), and a source electrode (SE).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기판(PI) 상에 무기막(IOL)이 위치한다. 무기막(IOL)은 하부의 소자를 보호하는 절연막으로,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무기막(IOL) 상에 오버코트층(OC)이 위치한다. 오버코트층(OC)은 하부 구조의 단차를 완화시키기 위한 평탄화막일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아크릴레이트(acrylate)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오버코트층(OC)은 상기 유기물을 액상 형태로 코팅한 다음 경화시키는 SOG(spin on glass)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n inorganic layer (IOL) is located on a substrate (PI) contain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The inorganic layer (IOL) is an insulating layer that protects the underlying device and may be a silicon oxide layer (SiOx), a silicon nitride layer (SiNx), or multiple layers thereof. An overcoat layer (OC) is located on the inorganic membrane (IOL). The overcoat layer (OC) may be a flattening film to alleviate steps in the lower structure, and is made of organic materials such as polyimide, 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and acrylate. The overcoat layer (OC) can be formed in a method such as SOG (spin on glass) in which the organic material is coated in a liquid form and then cured.

오버코트층(OC)의 일부 영역에는 드레인 전극(DE)을 노출시키는 비아홀(VIA)이 위치한다. 오버코트층(OC) 상에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위치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전극(ANO), 유기물층(LEL) 및 제2 전극(CAT)를 포함할 수 있다.A via hole (VIA)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DE) is located in some areas of the overcoat layer (OC).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located on the overcoat layer (OC).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ANO), an organic material layer (LEL), and a second electrode (CAT).

보다 자세하게는, 오버코트층(OC) 상에 제1 전극(ANO)이 위치한다. 제1 전극(ANO)은 애노드로 작용하며, 비아홀(VIA)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된다. 제1 전극(ANO)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ZnO(Zinc Oxide) 등의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ANO)이 반사 전극인 경우, 제1 전극(ANO)은 반사층을 더 포함한다. 반사층은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니켈(Ni)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PC(은/팔라듐/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ANO) is located on the overcoat layer (OC). The first electrode (ANO) acts as an anode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through a via hole (VIA). The first electrode (ANO)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or Zinc Oxide (ZnO). When the first electrode (ANO) is a reflective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ANO) further includes a reflective layer. The reflective layer may be made of aluminum (Al), copper (Cu), silver (Ag), nickel (Ni), or an alloy thereof, and is preferably made of APC (silver/palladium/copper alloy).

제1 전극(ANO)을 포함하는 기판(PI) 상에 화소를 구획하는 뱅크층(BNK)이 위치한다. 뱅크층(BNK)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아크릴레이트(acrylate)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뱅크층(BNK)은 흑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블랙 뱅크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뱅크층(BNK)은 반사율이 높고 굴절률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뱅크층(BNK)은 제1 전극(ANO)을 노출시키는 화소정의부(OP)가 위치한다. A bank layer (BNK) dividing pixels is located on the substrate (PI)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ANO). The bank layer (BNK) may b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such as polyimide, 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or acrylate. Additionally, the bank layer (BNK) may be composed of a black bank layer capable of absorbing light and including black pigment. Additionally, the bank layer (BNK)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reflectance and low refractive index. The bank layer (BNK) has a pixel definition portion (OP) that exposes the first electrode (ANO).

뱅크층(BNK)의 화소정의부(OP)에는 제1 전극(ANO)에 컨택하는 유기물층(LEL)이 위치한다. 유기물층(LEL)은 적어도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발광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n organic material layer (LEL)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ANO) is located in the pixel definition portion (OP) of the bank layer (BNK). The organic material layer (LEL) includes at least a light emitting layer that emits light by combining electrons and holes, and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tc.

유기물층(LEL) 상에 제2 전극(CAT)이 위치한다. 제2 전극(CAT)은 표시 영역부(A/A) 전면에 위치하고, 일함수가 낮은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Al),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CAT)은 반투과전극으로 광이 일부 투과될 수 있을 정도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electrode (CAT) is located on the organic layer (LEL). The second electrode (CAT) is located in front of the display area (A/A) and may be made of magnesium (Mg), calcium (Ca), aluminum (Al), silver (Ag), or an alloy thereof with a low work function. . The second electrode (CAT) is a semi-transmissive electrode that is thin enough to allow some light to pass through.

한편, 본 발명은 시야각의 변화에 대하여 색감의 변화와 휘도 변화가 최소화되도록 구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하부의 구성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표시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minimize color and luminance changes with respect to changes in viewing angle. In the foll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by omitting or briefly display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lower structure shown in FIG. 4.

도 5a는 폴더블한 환경의 시야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적용된 폴더블디스플레이의 한 예이고, 도 5b는 시야각에 따른 서브화소의 발광면적이 뱅크층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뱅크층의 높이에 따라 가려지는 영역의 변화와 빛의 파장별 휘도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Figure 5a is an example of a foldable display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explain changes in viewing angle in a foldable environment, and Figure 5b shows an area where the light emitting area of a sub-pixel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s obscured by the bank layer. This is a schematic diagram, and FIG. 5C is a table explaining the change in the area obscur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shown in FIG. 5B and the change in luminance by wavelength of light.

도 5a 내지 도 5c는 뱅크의 높이에 따라 시야각이 달라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색감 차이와 휘도의 감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5a의 경우 폴더블(foldable) 표시장치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폴더블 표시 장치 이외에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 또는 일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뱅크의 높이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는 폴더블한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색감변화 및 휘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시야각에 따른 휘도 및 색감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라 할 수 있겠다.Figures 5A to 5C are diagrams to explain color differences and reduction in luminance that may occur as the viewing angle changes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bank.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IG. 5A, a foldable display device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bank h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or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addition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there is. In other words, this specification will describe a configuration that can minimize color and luminance changes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minimize luminance and color change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It can be said tha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can

도 5a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하여 폴더블한 표시장치를 구현하였으나, 이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일 예일뿐이며 폴더블 표시장치의 다양한 구성에 따라 하나의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하거나 둘 이상의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한 폴더블 표시장치 또한 가능하다.The foldabl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5A implements a foldable display device using a plurality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can be divided into one type depending on the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 foldable display device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 two or mor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s is also possible.

도 5a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장치는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Panel A)과 제2 유기 발광 표시 패널(Panel 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표시장치는 기준 시야각(X)을 기준으로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Panel A) 또는 제2 유기 발광 표시 패널(Panel B)을 특정한 각도로 구부리거나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폴더블 표시장치를 손에 쥔 상태에서 기준 시야각(X)을 기준으로 편한 각도로 구부릴 수 있는 각도를가 120도로 가정하면, 제1유기 발광 표시 패널(Panel A)과 제2 유기 발광 표시 패널(Panel B)의 시야각(R)은 60도를 이룰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the foldabl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Panel A) and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Panel B). This foldable display device can be used by bending or folding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Panel A) or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Panel B) at a specific angle based on the reference viewing angle (X).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ngle at which a user can bend a foldable display device to a comfortable angle based on the reference viewing angle (X) while holding the foldable display device in his hand is 120 degrees,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Panel A) The viewing angle (R)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Panel B) may be 60 degrees.

도 5b를 참조하면, 뱅크층(BNK)의 높이가 h 일때 시야각이 R인 경우 뱅크층(BNK)의 높이에 의해 화소전극인 제1전극(ANO)이 가져지는 부분(w)을 계산하면 다음 식과 같다.Referring to FIG. 5b, when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is h and the viewing angle is R, the portion (w) occupied by the first electrode (ANO), which is a pixel electrode, is calculated by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as follows: It is the same as the formula.

상기 [식 1]에 의하여 시야각 R이 60도일 경우, 뱅크층(BNK)의 높이에 따라 가려지는 부분 w를 계산면 도5c와 같다. According to [Equation 1], when the viewing angle R is 60 degrees, the portion w obscur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is calculated as shown in Figure 5c.

도 5c를 참조하면, 시야각(R)이 60도일 때, 뱅크층(BNK)에 의해 가려지는 제1 전극(ANO)의 가림 영역이 동등한 수준에서 레드, 블루 및 그린의 각 색상별 발광 휘도는 서로 달라진다. 이로 인해, 레드, 블루 및 그린 색상별 발광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발광 휘도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when the viewing angle (R) is 60 degrees, the occlusion area of the first electrode (ANO) obscured by the bank layer (BNK) is at the same level, and the luminance of each color of red, blue, and gree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It chang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luminanc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or each color of red, blue, and green.

이와 같이, 레드, 블루 및 그린 색상별 빛의 파장에 따라 발광 휘도의 증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색상별 발광 휘도의 증감 변화를 고려하여 뱅크층(BNK)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In this way, since differences in the increase/decrease in luminance occur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for each color of red, blue, and gree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crease/decrease in luminance for each color. A method was proposed.

도 5c를 참조하면, 레드 서브화소의 경우 레드 서브화소을 정의하기 위한 뱅크층(BNK)의 두께가 0.7㎛일 때, 그린 서브화소의 경우 그린 서브화소를 정의하기 위한 뱅크층(BNK)의 두께가 0.8㎛일 때, 및 블루 서브화소의 경우 블루 서브화소를 정의하기 위한 뱅크층(BNK)의 두께가 1㎛일 때 발광 휘도가 거의 유사해짐을 알 수 있다. 즉, 레드, 블루 및 그린 중 레드를 발광하는 서브화소를 정의하기 위한 뱅크층(BNK)의 두께를 가장 얇게 배치하고, 블루 서브화소를 정의하기 위한 뱅크층(BNK)의 두께를 가장 두껍게 배치함으로써 서브화소 간의 발광 색상별 발광 휘도의 색감 차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in the case of the red subpixel, when the thickness of the bank layer (BNK) for defining the red subpixel is 0.7㎛, in the case of the green subpixel, the thickness of the bank layer (BNK) for defining the green subpixel is 0.7㎛. It can be seen that the luminance becomes almost similar when the thickness is 0.8 ㎛ and, in the case of the blue sub-pixel, when the thickness of the bank layer (BNK) for defining the blue sub-pixel is 1 ㎛. That is, by arranging the bank layer (BNK) to be the thinnest to define the subpixels that emit red among red, blue and green, and the bank layer (BNK) to be the thickest to define the blue subpixels, It is possible to reduce color differences in emission luminance for each emission color between sub-pixels.

상술한 바와 같이 시야각은 동일한 경우 뱅크층(BNK)의 높이에 따라 빛의 파장별로 발광 휘도의 증감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시야각이 변하는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색감이 또다시 변화될 수 있으며, 휘도 또한 변경되는 폭이 시야각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시야각의 변화에 대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품빌 변화가 커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iewing angle is the sam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increase or decrease in luminance for each wavelength of light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However, when the viewing angle changes, the color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hanges again. In addition, since the width of change in luminanc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the change in th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increase due to a change in the viewing angle.

도 6a는 서브화소에 따른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뱅크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FIG. 6A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bank layers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according to subpixels.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전극(ANO)이 오버코트층(OC)상에 배치되고, 뱅크층(BNK)은레드, 그린 및 블루를 발광할 수 있는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전극(ANO)을 오픈하도록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6A, the first electrode (ANO) is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OC), and the bank layer (BNK) includes a first sub-pixel (SP1) and a second sub-pixel capable of emitting red, green, and blue. It is arranged to open the first electrode (ANO)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기판(PI)상에 배치된 박막트랜지스터(TFT)는 오버코트층(OC)상에 배치된 각 서브화소에 배치된 제1 전극(ANO) 각각과 박막트랜지스터(TFT)가 비아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구동신호에 따라 제1 전극(ANO)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The thin film transistor (TFT) disposed on the substrate (PI)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ANO) disposed in each sub-pixel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OC) through a via hole. A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O)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뱅크층(BNK)은 상술한 서브화소들의 제1 전극(ANO)을 오픈하도록 배치되고, 서브화소들과 인접한 뱅크층(BNK)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서브화소들 각각과 인접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자면,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 각각과 인접한 뱅크층(BNK)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에서 발광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뱅크층(BNK)을 배치함으로써 시야각에 따른 색감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bank layer (BNK) is arranged to open the first electrode (ANO) of the sub-pixels described above, and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sub-pixels is adjacent to each of the sub-pixels that emit different colors and has different heights. It can be arranged to have. To explain again,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each of the first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may be arranged to have different heights. 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 layer (BNK) has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By arranging , the change in color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can be minimized.

제1 서브화소(SP1), 제2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에서 발광되는 빛은 각각 레드, 그린 및 블루의 파장의 빛일 수 있으며, 블루의 빛을 내는 서브화소와 인접하는 뱅크층(BNK)의 높이가 가장 높을 수 있다. 왜냐하면, 도 5c를 참조하면, 적색, 녹색 및 블루 각각을 발광하는 서브화소가 동일한 시야각을 갖는 경우, 각 색상별 색감 변화가 거의 유사한 시점의 가림 영역들을 살펴보면, 뱅크층(BNK)에 의한 가림 영역이 가장 넓은 서브화소는 블루 서브화소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가림 영역이 블루 서브화소가 가장 넓었기 때문에 이에 따라 뱅크층(BNK)의 높이를 가장 높게 배치할 수 있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may be light of red, green, and blue wavelengths, respectively, and are adjacent to the subpixel that emits blue light.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may be the highest. This is because, referring to Figure 5c, when subpixels emitting red, green, and blue each have the same viewing angle, looking at the occluded areas at a time when the color change for each color is almost similar, the occluded area by the bank layer (BNK) This is because the widest subpixel is the blue subpixel. Accordingly, since the blue sub-pixel has the widest blocking area, the bank layer (BNK) can be placed at the highest height.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드를 발광하는 제1 서브화소(SP1) 및 그린을 발광하는 제2 서브화소(SP2)와 인접한 뱅크층의 높이를 h2라고 하고, 블루를 발광하는 제3 서브화소(SP3)와 인접한 뱅크층(BNK)의 높이는 h1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때, h1은 h2보다 큰 값을 갖는다.As shown in FIG. 6A,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adjacent to the first sub-pixel SP1 emitting red and the second sub-pixel SP2 emitting green is h2, and the third sub-pixel emitting blue is h2.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SP3) can be defined as h1. At this time, h1 has a larger value than h2.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 중에서 서브화소의 지름이 가장 큰 서브화소, 즉, 발광 면적이 가장 큰 서브화소와 인접한 뱅크층(BNK)의 높이가 가장 높고, 지름이 작은 서브화소, 즉, 발광 면적이 가장 작은 서브화소와 인접한 뱅크층(BNK)의 높이가 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화소의 발광 영역이 작을수록 시야각의 변화에 따라 가려지는 영역에 의해 휘도가 급격히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블루의 빛을 내는 서브화소의 지름이 가장 크므로, 제3 서브화소(SP3)에 인접한 뱅크층(BNK)의 높이가 제1 및 제2 서브화소(SP1, SP2)에 인접한 뱅크층(BNK)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among the first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the sub-pixel with the largest diameter, that is, the sub-pixel with the largest light-emitting area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pixel may be the highest, and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subpixel with the smallest diameter, that is, the subpixel with the smallest light emitting area, may be arranged so as to be low. Accordingly, the smaller the light-emitting area of the sub-pixel, the more rapidly the luminance may be reduced by the area obscured by changes in the viewing angle. Since the diameter of the sub-pixel that typically emits blue light is the largest, the third sub-pixel (SP3 )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s (SP1 and SP2).

일 실시예로서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 각각 레드, 그린 및 블루의 색을 발광하는 서브화소일 경우 레드 서브화소와 인접한 뱅크층(BNK)의 높이는 0.6~0.7㎛이고, 상기 그린 서브화소와 인접한 뱅크층(BNK)의 높이는 0.7~0.8㎛이며, 블루 서브화소와 인접한 뱅크층(BNK)의 높이는 0.9~1㎛ 일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first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are sub-pixels that emit red, green, and blue colors, respectively, a bank layer adjacent to the red sub-pixel (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green sub-pixel may be 0.6 to 0.7 μm,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green sub-pixel may be 0.7 to 0.8 μm, and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blue sub-pixel may be 0.9 to 1 μm.

이와 같이,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의 발광부의 넓이를 고려한 인접하는 뱅크층(BNK)의 높이를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heights of adjacent bank layers (BNK) to be different considering the areas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s of the first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의 서로 다른 발광면적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뱅크층(BNK)을 배치하여 시야각의 변화에 따라 관측가능한 발광면적의 감소율을 서로 다르게 하여 시야각에 따른 색감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의 순서로 발광 면적이 커지는 경우 인접한 뱅크층(BNK)의 높이를 발광면적과 비례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a bank layer (BNK) having different heights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emission areas of the first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By arranging them, the rate of decrease in the observable luminous area varies depending on the change in the viewing angle, thereby minimizing color change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dditionally, when the light emitting area increases in the order of the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the height of the adjacent bank layer BNK can be made proportional to the light emitting area.

실 예로서 제1 서브화소(SP1)의 지름은 15~19㎛이고, 제2 서브화소의 지름은 19~24㎛이며, 제3 서브화소의 지름은 25~28㎛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기 빛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지름을 갖도록 서브화소을 구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레드 서브화소의 지름이 가장 작고 그린 서브화소 및 상기 블루 서브화소의 순으로 지름이 증가하도록 서브화소를 구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iameter of the first sub-pixel SP1 may be 15 to 19 μm, the diameter of the second sub-pixel may be 19 to 24 μm, and the diameter of the third sub-pixel may be 25 to 28 μm. In this way, subpixels can be implement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For example, subpixels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red subpixel has the smallest diameter and the diameter increases in that order of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 You can.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화소과 인접하는 뱅크층(BNK)의 높이를 인접한 서브화소에 따라 각각 다른 높이로 배치하되, 폴더블 또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폴더블 방향에 따라 뱅크층(BNK)의 높이를 조절하여 폴더블 방향에 따른 시야각의 변화에 따른 색감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sub-pixel is arranged at a different height depending on the adjacent sub-pixel, but in a foldable or flexible display device,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BNK)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olding direction. Color changes due to changes in viewing angle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foldable can be minimized.

도 6b는 서브화소에 따른 서로 다른 뱅크층의 테이퍼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FIG. 6B is a schematic diagram to explain the taper angles of different bank layers according to subpixels.

도 6b를 참조하면 기판(PI)상에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오버코트층(OC)이 배치된다. 화소전극인 제1 전극(ANO)은 오버코트층(OC) 상에 배치되고 제1 전극(ANO)은 비아홀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6B, a thin film transistor (TFT) and an overcoat layer (OC)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PI). The first electrode (ANO), which is a pixel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OC), and the first electrode (ANO)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through a via hole.

오버코트층(OC)상에 뱅크층(BNK)이 배치되되, 제1 전극(ANO)의 적어도 일부를 오픈하도록 배치되어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뱅크층(BNK)의 오픈영역으로 정의되는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인 제1 서브화소(SP1), 제2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를 구획하는 뱅크층(BNK)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 bank layer (BNK) is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OC), and is disposed to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O) to form the first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Ensure that (SP3) is placed. At this time, the bank layer (BNK) dividing the first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which are 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areas, is defined as an open area of the bank layer (BNK).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여기서, 제1 서브화소(SP1)과 인접한 뱅크층(BNK)의 경사면은 제1 경사면(SL1), 제2 서브화소(SP2)과 인접한 뱅크층(BNK)의 경사면은 제2 경사면(SL2) 및 제3 서브화소(SP3)과 인접한 뱅크층(BNK)의 경사면은 제3 경사면(SL3)이라고 정의한다면, 제1 경사면(SL1), 제2 경사면(SL2) 및 제3 경사면(SL3)들은 각 서브화소에서 발광하는 색에 따라 제1 전극(ANO)과 이루는 각도가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사면(SL1), 제2경사면(SL2) 및 제3 경사면(SL3)과 제1 전극(ANO)이 이루는 각은 블루 빛을 내는 제3 서브화소(SP3)과 인접한 뱅크층(BNK)의 제3 경사면(SL3)의 각도(θ3)가 가장 작고(90도에 가깝고) 레드 및 그린의 빛을 내는 서브화소와 인접한 뱅크층(BNK)의 제1 및 제2 경사면(SL1, SL2)의 제1 및 제2 각도(θ1, θ2)가 제3 각도(θ3)보다 크도록(90도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화소(SP1)는 레드 서브화소이고, 제2 서브화소(SP2)는 그린 서브화소이며, 제3 서브화소(SP3)는 블루 서브화소이라고 하면, 제1 경사면(SL1)과 제1 서브화소(SP1)의 제1 전극(ANO)이 이루는 제1 각(θ1)은 제2 경사면(SL2)과 제2 서브화소(SP2)의 제1 전극(ANO)이 이루는 제2 각(θ2)보다 클 수 있고, 제3 경사면(SL3)과 제3 서브화소(SP3)의 제1 전극(ANO)이 이루는 제3 각(θ3)은 제2 각(θ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3 각(θ3)은 90도에 가까운 각일 수 있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각도(θ1)가 가장 크고, 제2 각도(θ2) 및 제3 각도(θ3) 순으로 그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Here, the slope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first sub-pixel (SP1) is the first slope (SL1), the slope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second sub-pixel (SP2) is the second slope (SL2), and If the slope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third sub-pixel (SP3) is defined as the third slope (SL3), the first slope (SL1), the second slope (SL2), and the third slope (SL3) are each sub-pixel (SP3). The angle formed with the first electrode (ANO) may be arrang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lor emitted from the pixel.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slope (SL1), the second slope (SL2), and the third slope (SL3) and the first electrode (ANO) is the angle between the third sub-pixel (SP3) emitting blue light and the adjacent bank layer (BNK). The angle θ3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SL3 is the smallest (close to 90 degrees) and the angle θ3 of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SL1 and SL2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subpixels emitting red and green light is the smallest (close to 90 degrees). The first and second angles θ1 and θ2 may be arranged to be greater than the third angle θ3 (90 degrees or more). For example, if the first sub-pixel (SP1) is a red sub-pixel, the second sub-pixel (SP2) is a green sub-pixel, and the third sub-pixel (SP3) is a blue sub-pixel, the first slope SL1 The first angle θ1 formed by the first electrode ANO of the first subpixel SP1 is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second slope SL2 and the first electrode ANO of the second subpixel SP2. It may be greater than θ2, and the third angle θ3 formed between the third slope SL3 and the first electrode ANO of the third sub-pixel SP3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θ2. At this time, the third angle θ3 may be an angle close to 90 degrees. That is, as shown in FIG. 6B, the first angle θ1 is the largest, and the second angle θ2 and third angle θ3 may become smaller in that order.

이와 같이, 빛의 파장별로 뱅크층(BNK)의 경사면과 서브화소의 제1 전극(ANO)이 이루는 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시야각에 따른 발광영역과 대향하는 제1 전극(ANO)이 가려지는 것을 서로 다르게 하여 시야각에 따라 색감 변화 및 휘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slope of the bank layer (BNK) and the first electrode (ANO) of the sub-pixel is set differently for each wavelength of light, so that the first electrode (ANO) opposing the light emitting area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s obscured. By making them different from each other, color and luminance changes can be minimized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상술한 바와 같이 빛의 파장에 따라 서브화소와 인접한 뱅크층(BNK)의 경사면의 각도를 조절하여 배치하는 방법 이외에, 서브화소의 발광영역에 따라 발광영역이 작은 서브화소와 인접한 뱅크층(BNK)의 각도를 제일 크게 하고 발광영역이 비교적 넓은 서브화소와 인접한 뱅크층(BNK)이 이루는 각도를 제일 작게 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뱅크층의 높이와 각도를 병행하여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method of arranging the slope of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sub-pixel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ub-pixel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light as described above,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sub-pixel with a small light-emitting area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sub-pixel.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angle of the largest and the angle formed by the bank layer (BNK) adjacent to the sub-pixel with a relatively wide emission area to the smallest. 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height and angle of the bank layer differently in parallel.

이와 같이 뱅크층의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절하면, 시야각에 따라 색감이 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도의 변화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djusting the height or angle of the bank layer in this way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color change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nd also minimizing changes in luminan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1 : 제1 서브화소 SP2 : 제2 서브화소
SP3 : 제3 서브화소 BNK: 뱅크층
SL1 : 제1 경사면 SL2 : 제2 경사면
SL3 : 제3 경사면
SP1: 1st subpixel SP2: 2nd subpixel
SP3: Third sub-pixel BNK: Bank layer
SL1: First slope SL2: Second slope
SL3: Third slope

Claims (14)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제2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상기 제2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히고, 상기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상기 제2 유기 발광 표시 패널 각각에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제1 서브화소, 제2 서브화소 및 제3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화소가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화소, 상기 제2 서브화소 및 상기 제3 서브화소 각각은 제1 뱅크층, 제2 뱅크층 및 제3 뱅크층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뱅크층, 상기 제2 뱅크층 및 상기 제3 뱅크층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되,
상기 각 뱅크층의 높이는 상기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구부러져 이루는 시야각과 함께 상기 제1 서브화소, 상기 제2 서브화소 및 상기 제3 서브화소에서 발광되는 빛의 파장을 고려하여 높이가 설정되고,
상기 제1 뱅크층, 상기 제2 뱅크층 및 상기 제3 뱅크층 순으로 높이가 높고,
상기 제1 서브화소는 레드를 발광하고, 상기 제2 서브화소는 그린을 발광하며, 상기 제3 서브화소는 블루를 발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서브화소 내지 상기 제3 서브화소 중 상기 제3 서브화소의 오픈 영역이 가장 넓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ny one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ing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bent or folded, and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bent or folded, and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bent or folded, and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bent or fold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ach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has pixels including a first subpixel, a second subpixel, and a third subpixel that emit different colors,
Each of the first subpixel, the second subpixel, and the third subpixel is defined by a first bank layer, a second bank layer, and a third bank layer,
The first bank layer, the second bank layer, and the third bank layer have different heights,
The height of each bank layer is determined by the viewing angle formed by bending any one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s well as the height of the first subpixel, the second subpixel, and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height is set considering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sub-pixel,
The first bank layer, the second bank layer, and the third bank layer have a higher height in that order,
The first sub-pixel is configured to emit red, the second sub-pixel is configured to emit green, and the third sub-pixel is configured to emit blue. Among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the third sub-pixel is configured to emit r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the widest open area of subpixe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제2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상기 제2 유기 발광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구부러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상기 제2 유기 발광 표시 패널 각각은,
기판상에 있는 뱅크층으로 정의되는 제1 발광부, 제2 발광부 및 제3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들의 지름은 상기 구부러지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이루는 시야각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발광부, 상기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3 발광부의 순서로 증가하고,
상기 제1 발광부, 상기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3 발광부 각각을 정의하는 상기 뱅크층의 높이는 상이하되
상기 제1 발광부, 상기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3 발광부의 순으로 인접한 상기 뱅크층의 높이가 높고,
상기 제1 발광부는 레드를 발광하고, 상기 제2 발광부는 그린을 발광하며, 상기 제3 발광부는 블루를 발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발광부 내지 상기 제3 발광부 중 상기 제3 발광부의 오픈 영역이 가장 넓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wherein one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bent,
Each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t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section, a second light emitting section, and a third light emitting section defined by a bank layer on a substrate,
The diameters of the light emitting units increase in the order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viewing angle formed by the benda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defining each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is different,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adjacent to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in that order is high,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emits re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emits green,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is configured to emit blue,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of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units is op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the largest area.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의 지름은 15~19um 이고 상기 제2 발광부의 지름은 19~24um 이며 상기 제3 발광부의 지름은 25~28um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5,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has a diameter of 15~19um,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has a diameter of 19~24um,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part has a diameter of 25~28um.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제2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상기 제2 유기 발광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구부러지며, 상기 제1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상기 제2 유기 발광 패널 각각은 기판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의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오픈영역으로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뱅크층은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 각각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전극 각각과 서로 다른 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갖도록 배치되되,
상기 경사면의 각도는 상기 발광영역에서 발광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상기 발광영역과 이루는 각이 상이하고,
상기 뱅크층의 높이는 상기 발광영역에서 발광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은 레드를 발광하는 제1 발광영역, 그린을 발광하는 제2 발광영역 및 블루를 발광하는 제3 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영역 내지 상기 제3 발광영역 중 상기 제3 발광영역의 오픈 영역이 가장 넓고,
상기 제1 발광영역, 상기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 각각은 제1 뱅크층, 제2 뱅크층 및 제3 뱅크층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뱅크층, 상기 제2 뱅크층 및 상기 제3 뱅크층 순으로 높이가 높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ne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ing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bent, and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re bent. Each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panels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on a substrate, an overcoat layer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first electro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and an open area of the first electrode that emits different colors.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nk layer defin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areas,
The bank layer is arrang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forming a different angle from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dispos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The angle of the inclined plane is different from the light-emitting area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area,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varie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area,
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areas include a first light-emitting area that emits red, a second light-emitting area that emits green, and a third light-emitting area that emits blue, and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among the first to third light-emitting areas is 3 The open area of the emitting area is the widest,
Each of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the second light-emitting area, and the third light-emitting area is defined by a first bank layer, a second bank layer, and a third bank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height of the first bank layer, the second bank layer, and the third bank layer is increased in that ord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상기 뱅크층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의 경사면의 각도가 가장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ngle of an inclined plan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bank layer defining the third light emitting area is the smallest.
삭제delete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기판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의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오픈영역으로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뱅크층은 상기 복수의 패널이 접히는 방향과 수직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과 인접한 각각의 뱅크층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되,
상기 뱅크층과 상기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각각의 발광영역 내의 상기 제1 전극이 이루는 각이 서로 다르도록 설정되어 상기 폴더블 표시 장치가 접히는 방향에 따른 색상 변화가 최소화되고,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은 레드를 발광하는 제1 발광영역, 그린을 발광하는 제2 발광영역 및 블루를 발광하는 제3 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영역 내지 상기 제3 발광영역 중 상기 제3 발광영역의 오픈 영역이 가장 넓고,
상기 제1 발광영역, 상기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 각각은 제1 뱅크층, 제2 뱅크층 및 제3 뱅크층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뱅크층, 상기 제2 뱅크층 및 상기 제3 뱅크층 순으로 높이가 높은, 폴더블 표시 장치.
In a foldable display devic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nels,
The panel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on a substrate, an overcoat layer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first electro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areas that emit different colors in an open area of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bank layer that defines
Each bank layer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areas emitting different colors has a different height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anels,
The angle between the bank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in each light emitting area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is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color change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ldable display device is folded is minimized,
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areas include a first light-emitting area that emits red, a second light-emitting area that emits green, and a third light-emitting area that emits blue, and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among the first to third light-emitting areas is 3 The open area of the emitting area is the widest,
Each of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the second light-emitting area, and the third light-emitting area is defined by a first bank layer, a second bank layer, and a third bank layer,
A folda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height of the first bank layer, the second bank layer, and the third bank layer is increased in that or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중 어느 하나의 패널이 구부러져 상기 복수의 패널의 시야각이 R이고, 상기 뱅크층의 높이가 h일 때, 상기 뱅크층의 높이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이 가려지는 부분(W)은 (√3)/2×2h 의 식에 의해 연산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panels is bent, the viewing angle of the plurality of panels is R, and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is h, the portion (W) where the first electrode is obscured by the height of the bank layer is A foldable display device calculated by the equation (√3)/2×2h.

KR1020170160343A 2017-11-28 2017-11-2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5992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43A KR102599232B1 (en) 2017-11-28 2017-11-2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43A KR102599232B1 (en) 2017-11-28 2017-11-2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695A KR20190061695A (en) 2019-06-05
KR102599232B1 true KR102599232B1 (en) 2023-11-06

Family

ID=6684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343A KR102599232B1 (en) 2017-11-28 2017-11-2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2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3831B (en) * 2019-12-04 2021-04-0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LED display
KR20230010157A (en) * 2021-07-09 202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ix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360A1 (en) * 2009-06-11 2010-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Organic el display
WO2012017500A1 (en) * 2010-08-06 2012-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Organic el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 display panel
JP2014110132A (en) 2012-11-30 2014-06-12 Samsung R&D Institute Japan Co Ltd organic EL display device
JP2015149298A (en) 2015-04-16 2015-08-20 株式会社Joled Organic light-emitting panel and organi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040B1 (en) * 2005-11-18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990116B1 (en) * 2012-10-22 2019-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TW201442226A (en) * 2013-03-21 2014-11-01 Sony Corp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KR102226726B1 (en) * 2014-09-30 2021-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360A1 (en) * 2009-06-11 2010-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Organic el display
WO2012017500A1 (en) * 2010-08-06 2012-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Organic el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 display panel
JP2014110132A (en) 2012-11-30 2014-06-12 Samsung R&D Institute Japan Co Ltd organic EL display device
JP2015149298A (en) 2015-04-16 2015-08-20 株式会社Joled Organic light-emitting panel and organi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695A (en)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64862B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84959B1 (en) Display Device
KR10247851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10429109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34953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Of The Same
KR102651733B1 (en) Display device
CN108269944B (en) Display device
KR102437327B1 (en) Display device
CN111326673B (en) Display device
KR102460917B1 (en) Display Device
US10665820B2 (en) Display device
KR2015003944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59923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WI644424B (en) Display device
KR102612371B1 (en) Display Device
KR20220038649A (en) Display Device
KR102597232B1 (en) Display Device
KR102417452B1 (en) Display Device
KR102344142B1 (en) Display Device
KR2016005640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46400B1 (en) Display Device
KR102463164B1 (en) Display device
KR102590336B1 (en) Display device
KR102668224B1 (en) Display Device
KR20200039258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