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021B1 -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021B1
KR102599021B1 KR1020230014718A KR20230014718A KR102599021B1 KR 102599021 B1 KR102599021 B1 KR 102599021B1 KR 1020230014718 A KR1020230014718 A KR 1020230014718A KR 20230014718 A KR20230014718 A KR 20230014718A KR 102599021 B1 KR102599021 B1 KR 10259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information
gum bone
gum
periodon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호정
유명선
Original Assignee
(주)스마투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투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스마투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14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16X-ray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제1 기간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제1 구강 영상에서 제1 잇몸뼈 라인(line)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에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제2 구강 영상에서 제2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잇몸뼈 라인 및 상기 제1 잇몸뼈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별로 잇몸뼈 높이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1 치아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구강 영상에서 상기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제1 치아 영역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에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여 결과 구강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oral state information including periodontiti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의 섭취는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음식의 섭취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치아와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구강을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올바르게 양치질을 수행하고, 치실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음식을 섭취한 후 사용자가 양치질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거나 치실을 사용하지 않으면 음식 찌꺼기가 치아에 남으며, 이로 인해 세균이 증식하게 되어 충치 등의 감염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각종 무기질이 침착되어 치석, 치태, 잇몸 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치주 질환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잇몸(치은), 치주인대 및 잇몸뼈(치조골) 등 치아 주위 조직에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진행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구분된다.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로 잇몸 즉, 연조직에만 국한된 형태를 치은염이라고 하고,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치주 탐침(periodontal probe)과 같은 수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환자)의 잇몸에 들어간 탐침의 길이와 출혈 여부를 확인하여 치주염을 진단하거나, 사용자의 잇몸에 대한 치과 방사선 영상을 의료진이 직접 판독하여 치주염을 진단한다.
하지만, 치주 탐침을 이용하는 경우, 치주염으로 인해 쉽게 출혈이 발생하여 치주낭 깊이가 더 깊게 측정될 수 있고, 진단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방사선 영상을 이용하는 경우, 방사선 영상을 판독하는 의료진의 주관적인 경험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부정확한 진단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더불어, 구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야 정확한 구강 진단이 가능하다. 특히, 의료진은 이전 구강 상태와 현재 구강 상태를 상호 비교하여 구강 진단을 수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전 구강 상태와 현재 구강 상태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유의미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기적으로 촬영된 사용자의 구강 영상에 기초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전 및 현재의 잇몸의 상태의 비교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및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구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된 잇몸 상태에 기초하여 잇몸과 관련된 유의미한 정보, 특히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사용자 및 의료진에게 제공하는 구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은,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제1 기간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제1 구강 영상에서 제1 잇몸뼈 라인(line)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에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제2 구강 영상에서 제2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잇몸뼈 라인 및 상기 제1 잇몸뼈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별로 잇몸뼈 높이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1 치아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구강 영상에서 상기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제1 치아 영역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에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여 결과 구강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프로세서와, 상기 명령의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기간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제1 구강 영상에서 제1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고,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에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제2 구강 영상에서 제2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잇몸뼈 라인 및 상기 제1 잇몸뼈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별로 잇몸뼈 높이차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1 치아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구강 영상에서 상기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제1 치아 영역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에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여 결과 구강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은,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잇몸들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는 제1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의 치아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는 제2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결과 영상 및 제2 결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결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기간에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제1 구강 영상에서 제1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에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제2 구강 영상에서 제2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잇몸뼈 라인 및 상기 제1 잇몸뼈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별로 잇몸뼈 높이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1 치아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구강 영상에서 상기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제1 치아 영역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에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여 상기 제1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결과 영상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 별 제1 치아 상태 수치값과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아 별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아 별 치아 악화 수치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치아 별 치아 악화 수치값을 총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아 별 치아 악화 수치값을 상기 제2 구강 영상의 치아 영역들 중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영역에 표현하고, 상기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을 상기 제2 구강 영상에 표현하여 상기 제2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촬영된 사용자의 구강 영상에 기초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전 및 현재의 잇몸의 상태의 비교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및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된 잇몸 상태에 기초하여 잇몸과 관련된 유의미한 정보, 특히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사용자 및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모드의 동작 방법, 즉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구강 엑스선 영상에서 추출되는 잇몸뼈 라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및 제2 잇몸뼈 라인를 제2 구강 엑스선 영상에 표현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상태 모드의 동작 방법, 즉 치아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및 제2 기간에서 측정된 치아 상태 수치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4 치아 별 치아 악화 수치값과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이 표현되는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구강 CT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시스템(1)은 치아 진단 장치(10), 엑스레이 장치(20), 단말 장치(30) 및 관리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치아 진단 장치(10)는 사용자의 치아 상태, 일례로 충치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치아 진단 장치(10)는 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치아의 상태를 측정하는 휴대용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타입의 치아 진단 장치(10)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치아 진단 장치(10)는, 산도(pH) 측정 방식의 치아 진단 장치, 카메라 기반의 치아 진단 장치, 엑스레이와 연동되는 치아 진단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진단 장치(10)는 외부 기기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치아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프로브 형태의 상태 측정부와, 통신부 및 상태 측정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아 상태 정보는 치아 상태 수치값, 일례로, 충치 수치값과 대응될 수 있다. 치아 상태 수치값은 0점 ~ 99점 중 어느 하나의 수치값을 가질 수 있다. 치아 상태 수치값이 높을수록 치아의 충치가 더 많이 진행될 수 있고, 치아 상태 수치값이 낮을수록 치아가 건강한 상태일 수 있다.
엑스레이 장치(20)는 사용자(환자)의 구강 엑스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엑스레이 장치(20)는 단말 장치(30) 및/또는 관리 서버(40)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되어 촬영된 구강 엑스선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는 의료진이 소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일례로, 단말 장치(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단말 장치(3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PC(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30)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단말 장치(30)는 치아 진단 장치(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치아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치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할 치아 악화 수치 정보가 표현된 사용자의 치아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30)는 엑스레이 장치(20)에서 전송된 구강 엑스선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구강 엑스선 영상에 기초하여 후술할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가 표현된 치주염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40)는 엑스레이 장치(20)에서 전송된 구강 엑스선 영상에 기초하여 치주염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단말 장치(30)는 관리 서버(40)로부터 치주염 결과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치아 결과 영상 및 치주염 결과 영상을 포함하는 구강 결과 영상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단말 장치(30)는 통신부와, 디스플레이부와,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 기기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원거리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일례로, 블루투스 모듈 및 WiF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구강 결과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더불어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메모리는 애플리케이션(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과 관계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 장치(30)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는 단말 장치(3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한 후 저장할 수 있고, 구강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40)는 엑스레이 장치(20)에서 전송된 구강 엑스선 영상에 기초하여 치주염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30)는 치주염 정보를 포함하는 치주염 결과 영상(제1 결과 영상)을 사용자 및 의료진에게 제공하는 치주염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더불어 치아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치아 결과 영상(제2 결과 영상)을 사용자 및 의료진에게 제공하는 치아 상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30) 또는 관리 서버(40)와 연동하여 단말 장치(30)에서 수행되는 구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잇몸들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는 제1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치아들의 치아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는 제2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제1 결과 영상 및 제2 결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의료진의 선택 하에 제1 결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결과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치주염 정보 및 치아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구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모드의 동작 방법, 즉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 2의 방법의 모든 단계들은 단말 장치(30)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도 2에 방법의 일부의 단계들은 관리 서버(4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의 단계들은 후술할 단계(S102) 내지 단계(S112)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방법이 모두 단말 장치(3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치주염은 잇몸 및 잇몸뼈까지 염증이 진행되는 질환으로서, 치주염의 정도는 잇몸 또는 잇몸뼈의 침하 정도와 비례한다. 즉, 치주염이 심하게 발생할수록 잇몸뼈의 침하 정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잇몸뼈의 침하 정도에 기초하여 치주염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S102)에서, 단말 장치(30)는 이전 기간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제1 구강 엑스선 영상에서 제1 잇몸뼈 라인(line)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S104)에서, 단말 장치(30)는 현재 기간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제2 구강 엑스선 영상에서 제2 잇몸뼈 라인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전 기간(즉, 제1 기간) 및 현재 기간(즉, 제2 기간)은 특정 일(day)과 대응되는 기간으로서, 이전 기간과 현재 기간 사이의 기간은 대략 4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잇몸뼈 라인은 사용자의 잇몸뼈를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한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구강 엑스선 영상의 각 픽셀값에 기초하여 잇몸뼈 라인이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구강 엑스선 영상에서 추출되는 잇몸뼈 라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이전 기간에서 촬영된 제1 구강 엑스선 영상(310)에서 추출되는 제1 잇몸뼈 라인(311)을 도시하고 있고, 도 3의 (b)는 현재 기간에서 촬영된 제2 구강 엑스선 영상(320)에서 추출되는 제2 잇몸뼈 라인(321)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3의 도시된 구강 엑스선 영상은 사용자 또는 의료진에게 디스플레이되지는 않으며, 단순히 잇몸뼈 라인(311, 321)의 추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06)에서, 단말 장치(30)는 제2 잇몸뼈 라인(321) 및 제1 잇몸뼈 라인(311)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치아들 별로 잇몸뼈 높이차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및 제2 잇몸뼈 라인(311, 321)를 제2 구강 엑스선 영상(320)에 표현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30)는, 치아들 중 치아 A에 대하여, 복수의 샘플 지점을 선택하고, 복수의 샘플 지점에 대하여 제2 잇몸뼈 라인(321)과 제1 잇몸뼈 라인(311)의 길이(즉, 수직 길이)를 산출하고, 복수의 샘플 지점 별 길이 중 상위 N(1 이상의 정수)의 길이를 평균하여 치아 A의 잇몸뼈 높이차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도시된 구강 엑스선 영상 역시 사용자 또는 의료진에게 디스플레이되지는 않으며, 단순히 잇몸뼈 라인(311, 321)의 추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08)에서, 단말 장치(30)는 사용자의 치아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1 치아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치아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임계값은 현재 기간의 치아의 제2 잇몸뼈 라인(321)이 이전 기간의 치아의 제1 잇몸뼈 라인(311)과 의미하게 차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일 수 있다. 일례로, 임계값은 0.4일 수 있다.
단계(S110)에서, 단말 장치(30)는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에 기초하여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치주염의 정도는 잇몸뼈의 침하 정도와 비례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30)는, 현재 기간에서의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와 이전 기간에서의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1 치아의 잇몸에 발생 또는 발생할 수 있는 치주염이 악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는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는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와 대응되는 높이차 레벨일 수 있다. 일례로, 높이차 레벨은 제1 내지 제3 레벨을 포함할 수 있되, 제1 레벨의 잇몸뼈 높이차의 구간은 0.5mm~0.8mm일 수 있고, 제2 레벨의 잇몸뼈 높이차의 구간은 0.8mm~1.1mm일 수 있고, 제3 레벨의 잇몸뼈 높이차의 구간은 1.1mm 이상일 수 있다.
단계(S112)에서, 단말 장치(30)는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 및 이전 기간에서 치주염이 발생한 잇몸과 대응되는 제2 치아에 기초하여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제1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14)에서, 단말 장치(30)는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 장치(30)에 디스플레이되는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서는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가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인 경우의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도시하고 있고, 도 5의 (b)에서는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가 치아의 높이차 레벨인 경우의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가 도 5의 (a)와 같이 표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구강 엑스선 영상은 사용자의 치아들과 각각 대응되는 치아 영역(510)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아 영역(510)은 제1 치아 영역(510a) 및 제2 치아 영역(5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치아 영역(510a)는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1 치아와 대응되는 치아 영역(510)일 수 있다. 이 때, 잇몸뼈 높이차와 대응되는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제1 치아 영역(510a)과 인접하여 제1 정보 표현 영역(520)이 표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30)는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제1 치아 영역(510a)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520)에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제2 구강 엑스선 영상에 표현하여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30)는 제1 정보 표현 영역(520)을 미리 설정된 제1 색상, 일례로, 파란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제2 치아 영역(510b)은 이전 기간에서 치주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잇몸과 대응되는 제2 치아에 대한 치아 영역(510)일 수 있다. 이 때 치주염은 의료진에 의해 판정될 수도 있고, 이전 기간에서 수행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해 판정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30)는 제2 치아에 대응되는 제2 치아 영역(510b)을 다른 치아 영역과 구별되도록 표시하여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30)는 제2 치아 영역(510b)의 경계선을 미리 설정된 제3 색상, 일례로 빨간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제2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는, 임계값을 초과할 수도 있고, 임계값 이하일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2 치아를 "제3 치아"로 호칭하기로 한다. 즉, 제3 치아는 제1 치아이면서 제2 치아인 치아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치아와 대응되는 제3 치아 영역(510c)의 경계선은 제3 색상(빨간색)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3 치아 영역(510c)과 인접하여 제1 정보 표현 영역(520)이 표현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치아들 모두에 대한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에 표현하는 것이 아니고,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1 치아, 즉 치주염이 더욱 진행될 수 있는 잇몸에 대응되는 제1 치아만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에 표현할 수 있다. 한정적인 정보만이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에 표현됨으로써, 의료진 및 사용자는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16)에서, 단말 장치(30)는 의료진(또는 사용자)으로부터 입력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구강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30)가 스마트 기기인 경우 선택 신호는 터치 신호와 대응될 수 있고, 단말 장치(30)가 PC인 경우 선택 신호는 마우스 클릭 신호와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단계(S116)의 구체적인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단말 장치(30)는 스마트 기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3 치아 영역(510c)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료진의 선택 신호(610)가 단말 장치(30)의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3 치아 영역(510c)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520)에 선택 신호(610)가 입력될 수도 있다. 또는,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3 치아 영역(510c)에 직접 선택 신호(610)가 입력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선택 신호(610)가 입력된 경우, 단말 장치(30)는,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2 정보 표현 영역(530)에 표현하고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3 정보 표현 영역(540)에 표현하여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고, 변화된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는 이전 기간에서의 제3 치아의 잇몸뼈 높이인 제1 잇몸뼈 높이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고,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는 현재 기간에서의 제3 치아의 잇몸뼈 높이인 제2 잇몸뼈 높이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잇몸뼈 높이(710)는, 제1 잇몸뼈 라인(311) 중 제3 치아와 대응되는 제1 잇몸뼈 서브 라인(311a)과 미리 설정된 정상 잇몸뼈 라인(331) 중 제3 치아와 대응되는 정상 잇몸뼈 서브 라인(331a) 사이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2 잇몸뼈 높이(720)는, 제2 잇몸뼈 라인(321) 중 제3 치아와 대응되는 제2 잇몸뼈 서브 라인(321a)과 정상 잇몸뼈 서브 라인(331a) 사이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서 설명한 복수의 샘플 지점에 따른 평균 길이 방식이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710, 720)의 산출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는 제3 치아의 제1 잇몸뼈 높이값과 대응될 수 있고,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는 제3 치아의 제2 잇몸뼈 높이값과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정보 표현 영역(530, 540)은 제3 치아 영역(510c)의 외부에서 제3 치아 영역(510c)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는 제3 치아의 제1 잇몸뼈 높이를 표현하는 제1 화살표 선(arrow line)과 대응될 수 있고,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는 제3 치아의 제2 잇몸뼈 높이를 표현하는 제2 화살표 선과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정보 표현 영역(530, 540)은 제3 치아 영역(510c)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30)는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높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높이는 치주염의 발생의 초기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일례로, 0.9mm)일 수 있다. 만약, 제1 또는 제2 잇몸뼈 높이가 임계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제1 또는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는 제1 정보 표현 영역(520)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와 동일한 제1 색상(파란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도 6 참조). 반대로, 제1 또는 제2 잇몸뼈 높이가 임계 높이 이하인 경우, 제1 또는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는 제1 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일례로, 흰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7의 경우, 제3 치아 영역(510c)와 대응되는 제3 치아는 치주염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된 잇몸과 대응되는 치아이므로,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가 임계 높이를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30)는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1 색상(파란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 정보가 도 7의 (a)와 같이 표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후, 도 9의 (a)을 참조하면, 제3 정보 표현 영역(540)에 대한 선택 신호(610)가 의료진으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의 (b)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30)는 제2 기간에서의 제3 치아의 잇몸의 실제 사진(910)을 제3 정보 표현 영역(540)과 인접하게 표시하여 상기 변화된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재변화시킬 수 있고, 재변화된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잇몸의 실제 사진(910)는 단말 장치(30) 또는 관리 서버(4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정보 표현 영역(530)에 대한 선택 신호(610)가 의료진으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30)는 제1 기간에서의 제3 치아의 잇몸의 실제 사진을 제2 정보 표현 영역(530)과 인접하게 표시하여 상기 변화된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재변화시킬 수 있고, 재변화된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도 9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치아 영역(510a)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의료진의 선택 신호(610)가 제1 치아 영역(510a)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52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치아 영역(510a)는 고유의 선택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선택 신호(610)는 제1 정보 표현 영역(520)에만 입력될 수 있다.
선택 신호(610)가 입력된 경우, 단말 장치(30)는,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2 정보 표현 영역(530)에 표현하고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3 정보 표현 영역(540)에 표현하여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고, 변화된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제1 잇몸뼈 높이는 임계 높이 이하이므로, 단말 장치(30)는 제2 정보 표현 영역(530)의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2 색상(흰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잇몸뼈 높이는 임계 높이를 초과하므로, 단말 장치(30)는 제3 정보 표현 영역(540)의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1 색상(파란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내용들이 도 10의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치아 영역(510a)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의료진의 선택 신호(610)가 제1 치아 영역(510a)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520)에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30)는,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2 정보 표현 영역(530)에 표현하고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3 정보 표현 영역(540)에 표현하여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고, 변화된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 모두는 임계 높이 이하이므로, 단말 장치(30)는 제2 및 제3 정보 표현 영역(530, 540)의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2 색상(흰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내용들이 도 11의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치아 영역(510b)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의료진의 선택 신호(610)가 제2 치아 영역(510b)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2 치아 영역(510b)에는 제1 정보 표현 영역(520)이 표현되지 않는다.
이 경우, 단말 장치(30)는,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2 정보 표현 영역(530)에 표현하고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3 정보 표현 영역(540)에 표현하여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고, 변화된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제2 치아 영역(510b)와 대응되는 제2 치아는 치주염이 발생된 잇몸과 대응되는 치아이므로,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가 임계 높이를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30)는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1 색상(파란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내용들이 도 12의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은 치주염 정도가 악화된 잇몸과 대응되는 치아에 대한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에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은, 치주염 정도가 악화된 잇몸이 아니지만 이전 기간에 치주염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된 잇몸의 경우에도, 잇몸 상태의 경과를 확인하기 위해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에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진 및 사용자는 제1 치아 및 제2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치아 및 제2 치아에 대한 실제 사진이 더 제공됨으로써, 의료진 및 사용자는 사용자의 구강 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상태 모드의 동작 방법, 즉 치아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 13의 방법의 모든 단계들은 단말 장치(30)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도 13에 방법의 일부의 단계들은 관리 서버(40)에서 수행되거나 관리 서버(40)와 연동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3의 방법이 모두 단말 장치(3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S202)에서, 단말 장치(30)는 이전 기간(제1 기간)에서 치아 진단 장치(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치아들의 제1 치아 상태 수치값을 수집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단말 장치(30)는 현재 기간(제2 기간)에서 치아 진단 장치(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치아들의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을 수집할 수 있다.
단계(S206)에서, 단말 장치(30)는 사용자의 치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4 치아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치아는 사용자의 치아들 중 미리 설정된 치아 상태 임계 수치값 이상의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을 가지는 치아일 수 있다. 여기서, 치아 상태 임계 수치값은 치아의 법랑질을 손상시키는 최소의 치아 상태 수치값과 대응될 수 있다.
단계(S206)에서, 단말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치아 별 제1 및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4 치아 별로 치아 악화 수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아 악화 수치값은 제2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치아 상태가 제1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치아 상태보다 얼마나 더 나빠졌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치아 상태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지 않고는 자연적으로 좋아질 수 없다. 따라서, 치아 악화 수치값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없고 0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치아 상태가 더욱 나빠질수록 치아 악화 수치값은 높아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30)는, 제4 치아의 제2 치아 상태 수치값과 제4 치아의 제1 치아 상태 수치값을 감산하여 제4 치아의 치아 악화 수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 장치(30)는, 제4 치아의 제2 치아 상태 수치값과 제4 치아의 제1 치아 상태 수치값을 가중치를 반영하여 감산함으로써 제4 치아의 치아 악화 수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도 13의 단계(S206) 및 단계(S208)의 수행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을 참조하면, 제1 기간에서 6개의 치아들인 치아 A, B, C, D, E, G의 제1 치아 상태 수치값이 측정되었다. 한편, 제1 기간에서 치아 F는 치아 상태가 측정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치아 F는 디폴드 값(=0)의 제1 치아 상태 수치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간에서 7개의 치아인 치아 A, B, C, D, E, F, G의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이 측정되었다. 치아 G의 경우,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이 제1 치아 상태 수치값보다 작다. 따라서, 치아 G는 병원에서 치료받은 것으로 추론될 수 있다.
이 때, 치아 상태 임계 수치값은 25점인 것으로 가정하면, 단말 장치(30)는 7개의 치아 중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이 치아 상태 임계 수치값(=25) 이상인 4개의 치아(치아 A, B, D, E)을 제4 치아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30)는 4개의 제4 치아(치아 A, B, D, E) 별로, 제2 치아 상태 수치값과 제1 치아 상태 수치값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4개의 제4 치아(치아 A, B, D, E) 별로 치아 악화 수치값이 산출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S210)에서, 단말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치아 별로 치아 악화 수치값을 총합하여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3의 일례에서, 단말 장치(30)는 4개의 제4 치아(치아 A, B, D, E) 별 치아 악화 수치값을 총합한 "38"을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단계(S212)에서, 단말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치아 별 치아 악화 수치값을 제2 구강 엑스선 영상의 치아 영역들 중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영역에 표현하고,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을 제2 구강 엑스선 영상에 표현하여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제2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212)에서, 단말 장치(30)는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치아 별 치아 악화 수치값과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이 표현되는 결과 구강 엑스선 영상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은 치아 진단 장치(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수집된 치아 정보에 기초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치아 상태 정보, 즉 적어도 하나의 제4 치아 별 치아 악화 수치값 및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을 의료진 및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치아 상태 임계 수치값 이하의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을 가지는 치아(즉, 충치가 발생되지 않는 치아)가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의 산출에 이용되는 경우, 실제 사용자의 치아들의 악화 정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30)는 치아 상태 임계 수치값을 초과하는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치아만을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의 산출에 사용할 수 있고, 치아 상태 임계 수치값 이하의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을 가지는 치아는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의 산출에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 악화 수치값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없도록 정의된다. 그런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치아가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의 산출에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은 음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치아 악화 수치값의 산출의 오류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치아는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의 산출에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엑스레이 장치(20) 이외에, 사용자의 구강의 CT 영상을 촬영하는 CT 장치(도 16 참조), 사용자의 구강의 일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등과 같이 사용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다양한 촬영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구강 엑스선 영상은 다양한 촬영 장치에서 촬영되는 구강 영상에 포함될 수 있고, 상술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30)는 구강 영상에 기초하여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기간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제1 구강 영상에서 제1 잇몸뼈 라인(line)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에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제2 구강 영상에서 제2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잇몸뼈 라인 및 상기 제1 잇몸뼈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별로 잇몸뼈 높이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1 치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구강 영상에서 상기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제1 치아 영역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에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여 결과 구강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표현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기간에서의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치아의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2 정보 표현 영역에 표현하고,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치아의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3 정보 표현 영역에 표현하여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화된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는, 상기 잇몸뼈 높이차 또는 상기 잇몸뼈 높이차와 대응되는 높이차 레벨과 대응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정보 표현 영역은 상기 제1 치아 영역의 외부에서 상기 제1 치아 영역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는 잇몸뼈 높이값과 대응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정보 표현 영역은 상기 제1 치아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는 잇몸뼈 높이를 표현하는 화살표 선(arrow line)과 대응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에서의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는 상기 제1 잇몸뼈 라인 중 상기 제1 치아와 대응되는 제1 잇몸뼈 서브 라인과 미리 설정된 정상 잇몸뼈 라인 중 상기 제1 치아와 대응되는 정상 잇몸뼈 서브 라인 사이의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는 상기 제2 잇몸뼈 라인 중 상기 제1 치아와 대응되는 제2 잇몸뼈 서브 라인과 상기 정상 잇몸뼈 서브 라인 사이의 길이와 대응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잇몸뼈 높이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가 치주염의 발생의 초기 높이와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임계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또는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제1 색상으로 표현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잇몸뼈 높이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가 상기 임계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또는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제2 색상으로 표현되되,
    상기 제1 색상은 상기 제2 색상과 다른 색상인,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된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정보 표현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기간에서의 상기 제1 치아의 잇몸의 실제 사진을 상기 제2 정보 표현 영역과 인접하게 표시하여 상기 변화된 결과 구강 영상을 재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변화된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된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3 정보 표현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제1 치아의 잇몸의 실제 사진을 상기 제3 정보 표현 영역과 인접하게 표시하여 상기 변화된 결과 구강 영상을 재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변화된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중 제2 치아와 대응되는 제2 치아 영역을 다른 치아 영역과 구별되도록 표현하되,
    상기 제2 치아는 상기 제1 기간에서 치주염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된 잇몸과 대응되는 치아인,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치아 영역의 경계선을 미리 설정된 제3 색상으로 표현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치아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기간에서의 상기 제2 치아의 잇몸뼈 높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 치아의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2 정보 표현 영역에 표현하고,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제2 치아의 잇몸뼈 높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 치아의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3 정보 표현 영역에 표현하여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화된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주염 정보 제공 방법.
  13.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명령의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기간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제1 구강 영상에서 제1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고,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에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제2 구강 영상에서 제2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잇몸뼈 라인 및 상기 제1 잇몸뼈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별로 잇몸뼈 높이차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1 치아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구강 영상에서 상기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제1 치아 영역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에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여 결과 구강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 표현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기간에서의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치아의 제1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2 정보 표현 영역에 표현하고,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치아의 제2 잇몸뼈 높이 정보를 제3 정보 표현 영역에 표현하여 상기 결과 구강 영상을 변화시키고, 상기 변화된 결과 구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말 장치.
  14.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구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잇몸들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는 제1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의 치아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는 제2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결과 영상 및 제2 결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기간에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제1 구강 영상에서 제1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에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제2 구강 영상에서 제2 잇몸뼈 라인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잇몸뼈 라인 및 상기 제1 잇몸뼈 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별로 잇몸뼈 높이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치아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잇몸뼈 높이차를 가지는 제1 치아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치아의 잇몸뼈 높이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구강 영상에서 상기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제1 치아 영역과 인접한 제1 정보 표현 영역에 상기 제1 치아의 치주염 악화 수치 정보를 표현하여 상기 제1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과 영상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 별 제1 치아 상태 수치값과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아 별 제2 치아 상태 수치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아 별 치아 악화 수치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아 별 치아 악화 수치값을 총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아 별 치아 악화 수치값을 상기 제2 구강 영상의 치아 영역들 중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영역에 표현하고, 상기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값을 상기 제2 구강 영상에 표현하여 상기 제2 결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KR1020230014718A 2023-02-03 2023-02-03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10259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718A KR102599021B1 (ko) 2023-02-03 2023-02-03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718A KR102599021B1 (ko) 2023-02-03 2023-02-03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021B1 true KR102599021B1 (ko) 2023-11-06

Family

ID=8874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718A KR102599021B1 (ko) 2023-02-03 2023-02-03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02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1313A (ja) * 2007-11-28 2009-06-18 Sun Tec Kk 光断層画像表示方法
JP2011072573A (ja) * 2009-09-30 2011-04-14 Medeia Kk デンタルx線による歯周病管理支援システム
WO2015008491A1 (ja) * 2013-07-19 2015-01-22 株式会社アクシオン・ジャパン パノラマ画像撮影装置及び同装置で用いる画像診断方法
JP2017525408A (ja) * 2014-07-31 2017-09-07 シロナ・デンタル・システムズ・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歯肉モデルの仮想二次加工方法
JP2020093061A (ja) * 2019-02-08 2020-06-18 メディア株式会社 歯周病診断支援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20040023A (ko) * 2020-09-23 2022-03-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복수의 치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1313A (ja) * 2007-11-28 2009-06-18 Sun Tec Kk 光断層画像表示方法
JP2011072573A (ja) * 2009-09-30 2011-04-14 Medeia Kk デンタルx線による歯周病管理支援システム
WO2015008491A1 (ja) * 2013-07-19 2015-01-22 株式会社アクシオン・ジャパン パノラマ画像撮影装置及び同装置で用いる画像診断方法
JP2017525408A (ja) * 2014-07-31 2017-09-07 シロナ・デンタル・システムズ・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歯肉モデルの仮想二次加工方法
JP2020093061A (ja) * 2019-02-08 2020-06-18 メディア株式会社 歯周病診断支援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20040023A (ko) * 2020-09-23 2022-03-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복수의 치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050534T3 (en) TRACKING AND PREDICTING DENTAL CHANGES
Pretty et al. Quantification of dental plaque in the research environment
CA2658807C (en) Methods and products for analyzing gingival tissues
CA3062187C (en) A method and system for 3d root canal treatment planning
US8439681B2 (en) Method of assessing oral health risk
Zhang et al. Management of apical periodontitis: healing of post-treatment periapical lesions present 1 year after endodontic treatment
Mensi et al. Plaque disclosing agent as a guide for professional biofilm removal: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US10010299B2 (en) Periodontal disease diagnosis supporting device, periodontal disease diagnosis supporting system, periodontal disease diagnosis supporting program, and periodontal disease diagnosis supporting method
DK180567B1 (en) Method for assessing oral health of a person
Liu et al. A pilot study of a deep learning approach to detect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s
ten Bosch et al. Characterization and validation of diagnostic methods
Bertl et al. Association between maxillary lateral incisors' root volume and palatally displaced canines: An instrumental variables approach to the guidance theory
KR102599021B1 (ko)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US202302482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dental health based on digital imagery
Gu et al. Measurement of root surface area of permanent teeth in a Chinese population
Barros et al. Effects of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 on the alveolar bone density
KR102532116B1 (ko) 충치가 발생된 치아와 충치가 발생되지 않는 치아를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US202401360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for clinical diagnosis and prescription
US20230368907A1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tooth deterioration information to user
EP3941355B1 (en) Medical imaging tooth displacement systems and methods
Erkan et al. Objective characterization of dental occlusal and fissure morphologies: Method development and exploratory analysis
Roca-Obis et al. Sex-specific reference values for the crown heights of permanent anterior teeth and canines for assessing tooth wear
JP2022068483A (ja) 口腔状態評価システム
Neda Measurement of vertical anterior teeth display and lip position at smiling in Kurdish population. Age and gender-based evaluation
JP2022068486A (ja) 口腔状態通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