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570B1 - Multi-function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570B1
KR102598570B1 KR1020230017638A KR20230017638A KR102598570B1 KR 102598570 B1 KR102598570 B1 KR 102598570B1 KR 1020230017638 A KR1020230017638 A KR 1020230017638A KR 20230017638 A KR20230017638 A KR 20230017638A KR 102598570 B1 KR102598570 B1 KR 102598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ing
cable
guide
til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상진
Original Assignee
임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진 filed Critical 임상진
Priority to KR102023001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5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5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4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by moving the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풀리에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는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측에 수직의 가이드레일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적층되는 중량판,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 일단은 상기 양측 중량판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를 각각 관통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저항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로 이루어진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관통하는 터닝어셈블리, 상기 터닝어셈블리에 틸팅조인트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익스텐션암, 및 상기 익스텐션암을 관통하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 저항 운동을 안내하도록 엔드풀리를 갖는 엔드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익스텐션바가 회전어셈블리와 터닝어셈블리에 의해 프레임 내의 운동공간이나 그 밖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틸팅조인트에 의해 상하 및 좌우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좁은 공간 내에서 다양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that can perform various types of weight training using a cable connected to the dual pulle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having vertical guide rails on both sides, a weight plate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a pair of rotation assemblies that are each elevatingly coupled to the guide rails on both sides and rotate left and right about a vertical axis. , a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consisting of a cabl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each of the weight plates on both sides and the other end of which passes through each of the pair of rotation assemblies, and a plurality of guide pulleys installed on the frame to guide the resistance exercise of the cable. a turning assembly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rotation assembli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cable passes, and is connected to the turning assembly with a tilting joint in an angle-adjustable manner so as to extend inside the guide rail. The technical idea is to include an extension arm having a length of and an end support having an end pulley to guide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cable penetrating the extension arm.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bar is not only located in the exercise space or outside of the frame by a rotation assembly and a turning assembly, but also adjusts the angles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by a tilting joint, making it possible to perform various weight training within a narrow space. It has a useful effect.

Description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Multi-function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Multi-function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본 발명은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듀얼 풀리에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는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that can perform various types of weight training using a cable connected to the dual pulley.

주지된 바와 같이,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은 양측 풀리에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가슴, 팔, 어깨 등의 근육을 발달시키고 강화하는 운동기구의 하나이다.As is well known, a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is a type of exercise equipment that develops and strengthens muscles such as the chest, arms, and shoulders using cables connected to pulleys on both sides.

이러한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20178호(공개일자 2022년02월18일)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is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20178 (publication date February 18, 2022) 'Strength exercise that enables strength exercise in a comfortable position regardless of the user's physique A device and a cable guide device mounted thereon are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바닥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frame),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 프레임 위의 영역에 있는 상부 프레임, 및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랙(rack)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들 중 두 기둥 사이에서 상기 높이 방향의 레일(rail)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중량 판(weight plate); 상기 랙 프레임 및 상기 중량 판에 장착되는 도르래들; 일단(one end)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에 상기 도르래들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중량 판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중량 판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cable);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기둥들 중 한 기둥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에 상기 케이블이 상기 경로 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guide)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기둥들 중 상기 한 기둥에의 장착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형성되는 상기 높이 방향의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회전 축 상에서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로의 연결이 제공되는 방향의 제 2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도르래들 중 한 도르래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상기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 편 영역에서 당겨지거나 놓이는 근력 운동 장치.”를 기술의 요지로 한다.The prior art includes “a lower frame configured to lie on the floor, an upper frame in an area above the lower frame at a distance from the lower frame, and a device connecting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rack frame including a support frame; a weight plate configured to move along a rail in the height direction between two of the pillars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Pulleys mounted on the rack frame and the weight plate; a cable that moves on a path formed along the pulleys when one end is pulled or released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a pulling or releasing force to cause the weight plate to move along the rail; and a cable mounted on one of the pillars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able so that the cable moves on the path when the end of the cable is pulled or placed. A guide device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configured to provide mounting to the one of the poles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an extension part configured to rotate about a first rotation axis in the height direction formed on the mount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on the first rotation axis; and a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extension portion and configured to rotate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to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wherein the cable is connected from one of the pulleys to the guide portion through the extension portion. Accordingly, the gist of the technology is “a muscle exercise device in which the end of the cable is pulled or placed in an area opposite to the area where the extension part and the guide part are connected, based on the guide part.”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케이블 가이드장치가 지지 프레임의 안쪽으로 연장이 안되어 롱풀이나 랫 풀 다운 등의 다양한 운동을 머신 내의 공간에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d a problem in that the cable guide device did not extend inside the support frame, making it impossible to perform various exercises, such as long pulls and lat pulldowns, in the space within the machine.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20178호(공개일자 2022년02월18일)(000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20178 (publication date: February 18, 2022)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32869호(공개일자 2021년11월05일)(000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32869 (publication date: November 5, 202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머신 내의 공간에서 다양한 종류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는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that can perform various types of weight training in the space within the machi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측에 수직의 가이드레일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적층되는 중량판,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 일단은 상기 양측 중량판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를 각각 관통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저항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로 이루어진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관통하는 터닝어셈블리, 상기 터닝어셈블리에 틸팅조인트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익스텐션암, 및 상기 익스텐션암을 관통하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 저항 운동을 안내하도록 엔드풀리를 갖는 엔드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having vertical guide rails on both sides, a weight plate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a device that is coupled to the guide rails on both sides to be able to lift and rotate left and right about a vertical axis. A multi-functional dual consisting of a pair of rotation assembli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eight plates on both sides, a cable with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each of the pair of rotation assemblies, and a plurality of guide pulleys installed on the frame to guide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cables. In the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a turning assembly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rotation assembli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cable penetrates, and is connected to the turning assembly with a tilting joint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guide rail The technical idea is to include an extension arm of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inward, and an end support having an end pulley to guide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cable penetrating the extension arm.

상기 터닝어셈블리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터닝홀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어셈블리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닝플레이트; 및 상기 터닝플레이트의 상하 선회를 단속하도록 상기 터닝홀에 결합되는 터닝단속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turning assembly includes: a fixing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turn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fixed to an outer end of the rotating assembly; A turning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up and down; and a turning control pin coupled to the turning hole to control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turning plate.

상기 틸팅조인트는, 상기 터닝플레이트의 중심에 접합된 터닝암; 상기 터닝암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틸팅샤프트를 갖는 고정서포트; 상기 고정서포트의 틸팅샤프트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틸팅홀이 형성된 틸팅브래킷; 및 상기 틸팅브래킷의 조절 각도를 단속하도록 상기 틸팅홀에 결합되는 틸팅단속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tilting joint includes a turning arm joined to the center of the turning plate; a fixed support fixed to an outer end of the turning arm and having a tilting shaft; a tilting bracket connected to the tilting shaft of the fixed support in an angle-adjustable mann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ilting holes formed along an edge; and a tilting control pin coupled to the tilting hole to control the adjustment angle of the tilting bracket.

상기 엔드서포트는, 상기 익스텐션암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타단을 축 방향으로 도출하도록 안내하는 엔드슬리브; 상기 엔드슬리브의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엔드슬리브에서 도출된 상기 케이블의 타단을 소정 각도로 인출시켜서 저항 운동을 안내하는 엔드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d support includes an end sleeve install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arm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cable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A pair of end plat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end sleeve; and an end pulley that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end plates and guides resistance movement by drawing out the other end of the cable derived from the end sleeve at a predetermined angle.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익스텐션바가 회전어셈블리와 터닝어셈블리에 의해 프레임 내의 운동공간이나 그 밖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틸팅조인트에 의해 상하 및 좌우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좁은 공간 내에서 다양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as the above-mentioned solution, the extension bar is not only located in the exercise space or outside the frame by the rotation assembly and the turning assembly, but also is adjust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gles by the tilting joint, so that various weights can be moved within a narrow space.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that training can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익스텐션암의 상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익스텐션암의 좌우 회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익스텐션암의 각도조절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익스텐션암에 스미스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main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rtical rotation state of the extension a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state of the extension a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6.
Figures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extension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ith bar connected to an extension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xample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shapes of components expressed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Additionally,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은, 양측에 수직의 가이드레일(120)을 갖는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적층되는 중량판(200), 양측 가이드레일(120)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축(31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300), 일단은 양측 중량판(20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300)를 각각 관통하는 케이블(CB), 케이블(CB)의 저항 운동을 안내하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170),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300)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케이블(CB)의 타단이 관통하는 터닝어셈블리(400), 터닝어셈블리(400)에 틸팅조인트(600)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이드레일(120)의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익스텐션암(500), 익스텐션암(500)을 관통하는 케이블(CB)의 타단 저항 운동을 안내하도록 엔드풀리(730)를 갖는 엔드서포트(700)를 포함한다.The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having vertical guide rails 120 on both sides, weight plates 200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00, and guide rails on both sides. A pair of rotation assemblies 300 that are each capable of being lifted and lowered at 120 and rotate left and right about the vertical axis 31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eight plates 200 on both side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 pair of rotation assemblies ( A cable (CB) passing through 300, a plurality of guide pulleys (170) installed on the frame (100) to guide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cable (CB), each capable of turning up and down on a pair of rotation assemblies (300) It is connected to a turning assembly 400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penetrates, and is connected to the turning assembly 400 with a tilting joint 600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 extend inside the guide rail 120. It includes an extension arm 500 and an end support 700 having an end pulley 730 to guide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penetrating the extension arm 500.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룬다.Frame 100 forms the frame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멤버(110), 베이스멤버(110)의 선단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0), 베이스멤버(110)의 후단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컬럼(130), 양측 컬럼(130)과 양측 가이드레일(120)의 상부를 연결하는 어퍼 크로스멤버(140), 베이스멤버(110)의 후단을 좌우로 연결하는 로워 크로스멤버(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frame 100 includes a base member 110 arranged in parallel on both sides of the floor, a guide rail 120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tip of the base member 110, and a base member 110. ), a column 130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an upper cross member 140 connecting the tops of both columns 130 and both guide rails 120, and a rear end of the base member 110 left and right. Includes lower crossmember (150).

이로 인하여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운동공간이 형성된다.As a result, an exercise space is formed inside the frame 100.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로드(160)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중량판(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Guide rods 160 are provided vertical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100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eight plate 200.

가이드레일(120)의 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리프트홀(121)이 형성되어 슬라이더(310)를 관통하는 리프트핀(312)이 결합된다.A plurality of lift holes 12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guide rail 120, and the lift pin 312 penetrating the slider 310 is coupled thereto.

중량판(200)은 복수로 이루어져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적층된다.The weight plates 200 are made up of a plurality and are stack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100, respectively.

도 1을 참조하면, 중량판(200)은 가이드로드(16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weight plate 2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od 160.

회전어셈블리(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The rotation assembly 300 consists of a left and right pair as shown in FIG. 1.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어셈블리(300)는, 가이드레일(120)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축(311) 및 단속플레이트(도시생략)를 갖는 슬라이더(310), 슬라이더(310)의 수직축(311)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회전조절공(321)이 형성된 회전플레이트(320), 회전플레이트(3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케이블(CB)의 타단 회전 저항 및 수평 인출을 안내하도록 회전풀리(331) 및 수평슬리브(332)를 갖는 회전서포트(330), 회전서포트(330)의 좌우 회전을 단속하도록 회전조절공(321)에 결합되는 단속핀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to 5, the rotation assembly 300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120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includes a slider 310 having a vertical axis 311 and an intermittent plate (not shown). A rotation plate 3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axis 311 to form a plurality of rotation adjustment holes 321,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plate 320 to provide rotation resistance and horizontal withdrawal of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It includes a rotation support 330 having a rotation pulley 331 and a horizontal sleeve 332 to guide the rotation support 330, and an intermittent pin coupled to the rotation adjustment hole 321 to control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330.

슬라이더(310)의 외면 일측에는 단속공(도시생략)이 형성된 단속플레이트가 연결되고, 단속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축(311)이 연결된다.An intermittent plate with an intermittent hole (not show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er 310, and a vertical axis 311 formed vertically is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intermittent plate.

회전플레이트(320)는 수직축(311)의 중심과 같은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된 적어도 일부의 원호를 이루는 둘레를 갖는다. 회전플레이트(32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회전조절공(321)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회전플레이트(320)는 단속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축(311)으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rotating plate 320 has a circumference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a circular arc that is concentric with the center of the vertical axis 311. A plurality of rotation control holes 32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the edge of the rotation plate 320. The rotation plate 3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ittent plate so that it can rotate left and right about the vertical axis 311.

회전서포트(330)는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서포트 플레이트(333)와, 서포트 플레이트(333)의 내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CB)의 타단 회전 저항을 안내하는 회전풀리(331)와, 회전풀리(331)로 안내된 케이블(CB)의 수평 인출을 안내하도록 서포트 플레이트(333)의 외측 단부에 결합된 수평슬리브(332)를 포함한다.The rotation support 330 includes a support plate 333 consisting of a pair of opposing plates, and a rotation pulley 33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inner end of the support plate 333 and guides the rotation resistance of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 and a horizontal sleeve 332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plate 333 to guide the horizontal withdrawal of the cable (CB) guided by the rotary pulley 331.

단속핀은 단속플레이트의 단속공을 지나 회전플레이트(320)의 회전조절공(321)으로 결합되어 회전서포트(330)의 좌우 회전을 단속한다.The intermittent pin passes through the intermittent hole of the intermittent plate and is coupled to the rotation control hole 321 of the rotation plate 320 to interdic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330.

상술한 회전어셈블리(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바깥쪽에 위치한 익스텐션암(50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운동공간 깊숙이 안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described rotation assembly 300 can rotate the extension arm 500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rame 100 as shown in FIG. 6 inward deep into the movement space of the frame 100 as shown in FIG. 7. will be.

케이블(CB)은 중량판(200)을 당기거나 내리도록 복수의 가이드풀리(170)에 연결된다.The cable (CB)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guide pulleys (170) to pull or lower the weight plate (200).

케이블(CB)의 일단은 중량판(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100)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170)로 안내된 후 회전어셈블리(300)와 터닝어셈블리(400) 및 익스텐션암(500)을 관통해서 엔드서포트(700)를 통해 인출된다.One end of the cable (CB) is connected to the weight plate 200, and the other end is guided to a plurality of guide pulleys 170 installed on the frame 100 and then connected to the rotation assembly 300, turning assembly 400, and extension arm ( 500) and is drawn out through the end support (700).

케이블(CB)의 타단에는 링이 연결되어 핸들(810)이나 기타 웨이트 트레이닝 연결 도구를 체결할 수 있다.A r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so that the handle 810 or other weight training connection tool can be fastened.

가이드풀리(170)는 복수로 이루어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주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guide pulley 170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guide pulleys 170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key positions of the frame 100 as shown in FIG. 1 .

이러한 가이드풀리(170)는 케이블(CB)의 저항 운동을 안내한다.This guide pulley 170 guides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cable (CB).

이상에서 언급한 프레임(100), 중량판(200),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300), 케이블(CB), 가이드풀리(170) 등의 자세한 설명 및 작용은 상술한 종래기술로부터 갈음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and operation of the frame 100, the weight plate 200, the pair of rotation assemblies 300, the cable (CB), and the guide pulley 170 mentioned above can be replaced with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Omit it.

터닝어셈블리(400)는 회전어셈블리(300)의 외측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turning assembly 400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rotation assembly 300 so that it can pivo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터닝어셈블리(400)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터닝홀(411)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수평슬리브(332)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10), 고정플레이트(410)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닝플레이트(420), 터닝플레이트(420)의 상하 선회를 단속하도록 터닝홀(411)에 결합되는 터닝단속핀(4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to 5, the turning assembly 400 includes a fixing plate 410 in which a plurality of turning holes 41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s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horizontal sleeve 332. It includes a turning plate 420 connected to the plate 410 so as to be able to turn up and down, and a turning control pin 430 coupled to the turning hole 411 to control the up and down turning of the turning plate 420.

고정플레이트(410)는 회전어셈블리(300)로 안내된 케이블(CB)의 타단이 관통하도록 중앙에 허브(도시생략)를 갖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수평슬리브(332)의 외측 단부에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된다. 고정플레이트(410)의 둘레에는 복수의 터닝홀(411)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The fixing plate 4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with a hub (not shown) in the cent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guided by the rotation assembly 300 penetrates, and is fixed to form a right angle to the outer end of the horizontal sleeve 332. do. A plurality of turning holes 411 are formed around the fixing plate 4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터닝플레이트(420)의 중앙에는 터닝샤프트(421)가 구비되어 고정플레이트(410)의 허브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터닝샤프트(421)의 내부에는 고정플레이트(410)의 허브를 지나는 케이블(CB)의 타단이 관통한다.A turning shaft 42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urning plate 42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ub of the fixing plate 4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passing through the hub of the fixing plate 410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turning shaft 421.

터닝단속핀(430)은 터닝플레이트(420)의 외면에 구비된 터닝부싱(4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터닝홀(411)에 결합된다. 터닝단속핀(430)은 터닝부싱(431)에 내장된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탄성적으로 터닝홀(411)에 결합되도록 지지된다. 터닝단속핀(430)의 외측 단부에는 터닝노브(432)가 구비된다.The turning intermittent pin 4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turning bushing 43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rning plate 420 and coupled to the turning hole 411. The turning intermittent pin 430 is supported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turning hole 411 by a spring (not shown) built into the turning bushing 431. A turning knob 432 is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turning intermittent pin 430.

상술한 터닝어셈블리(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 익스텐션암(5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turning assembly 400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rotating the extension arm 500 located at the top, as shown in FIG. 1, downward as shown in FIG. 6.

익스텐션암(500)은 운동공간의 안쪽까지 깊숙이 연장되도록 소정의 길이는 갖는 각관(속이 비어 있고 그 단면이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터닝어셈블리(400)에 틸팅조인트(600)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extension arm 5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hollow and has a square cross-section) with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extend deep into the exercise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turning assembly 400 with a tilting joint 600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do.

여기서, 틸팅조인트(600)는 터닝플레이트(420)의 중심에 접합된 터닝암(440)에 대하여 익스텐션암(500)의 기울이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Here, the tilting joint 600 functions to adjust the tilting angle of the extension arm 500 with respect to the turning arm 440 joined to the center of the turning plate 42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틸팅조인트(600)는, 터닝암(440)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틸팅샤프트(612)를 갖는 고정서포트(610), 고정서포트(610)의 틸팅샤프트(612)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틸팅홀(622)이 형성된 틸팅브래킷(620), 틸팅브래킷(620)의 조절 각도를 단속하도록 틸팅홀(622)에 결합되는 틸팅단속핀(630)을 포함한다.2 to 5, the tilting joint 600 includes a fixed support 610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turning arm 440 and having a tilting shaft 612, and a tilting shaft 612 of the fixed support 610. ) A tilting bracket 620 connected to the angle-adjustable and having a plurality of tilting holes 622 along the edge, and a tilting control pin 630 coupled to the tilting hole 622 to control the adjustment angle of the tilting bracket 620. ) includes.

고정서포트(610)는 터닝암(440)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측판(611)과, 양측 고정측판(611)을 연결하는 고정연결판(613)을 포함하여 대략 ‘┗┛’ 단면으로 형성된다. 양측 고정측판(611)의 중앙은 틸팅샤프트(612)로 연결되고, 틸팅샤프트(612)에는 틸팅풀리(614)가 설치되어 터닝암(440)을 관통하는 케이블(CB)의 각도 조절을 안내한다.The fixed support 610 includes a fixed side plate 611 fixed to both sides of the turning arm 440, and a fixed connection plate 613 connecting both fixed side plates 611, and has a cross section of approximately '┗┛'. is formed The centers of the fixed side plates 611 on both sides are connected to a tilting shaft 612, and a tilting pulley 614 is installed on the tilting shaft 612 to guide the angle adjustment of the cable (CB) passing through the turning arm 440. .

틸팅브래킷(620)는 익스텐션암(500)의 단부 양 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고정서포트(610)의 틸팅샤프트(612)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측판(621)과, 양측 틸팅측판(621)을 연결하는 틸팅연결판(623)을 포함하여 대략 ‘┗┛’ 단면으로 형성된다. 어느 한 틸팅측판(621)의 가장자리에는 틸팅샤프트(612)의 중심과 같은 동심원을 이루도록 복수의 틸팅홀(622)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The tilting bracket 620 is formed to support each end side of the extension arm 500 and includes a tilting side plate 621 that is angle-adjustably coupled to the tilting shaft 612 of the fixed support 610, and both tilting side plates ( It is formed with a cross section of approximately '┗┛', including the tilting connection plate 623 connecting the 621). At the edge of one tilting side plate 621, a plurality of tilting holes 62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form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center of the tilting shaft 612.

틸팅단속핀(630)은 고정측판(611)의 외면에 구비된 틸팅부싱(6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틸팅홀(622)에 결합된다. 틸팅단속핀(630)은 틸팅부싱(631)에 내장된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탄성적으로 틸팅홀(622)에 결합되도록 지지된다. 틸팅단속핀(630)의 외측 단부에는 틸팅노브(632)가 구비된다.The tilting intermittent pin 6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tilting bushing 63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side plate 611 and coupled to the tilting hole 622. The tilting intermittent pin 630 is supported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tilting hole 622 by a spring (not shown) built into the tilting bushing 631. A tilting knob 632 is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tilting control pin 630.

여기서, 터닝어셈블리(400)를 통과한 케이블(CB)의 타단은 터닝암(440)의 내부를 지나서 틸팅풀리(614)로 각도 조절된 후 익스텐션암(500)의 내부를 관통하게 된다.Here,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passing through the turning assembly 40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turning arm 440, is angle adjusted by the tilting pulley 614, and then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extension arm 500.

상술한 익스텐션암(500)은 틸팅조인트(600)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8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 extension arm 500 described above can adjust its angle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7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8 by the tilting joint 600.

엔드서포트(700)는 익스텐션암(500)의 말단(501)에 연결되어 케이블(CB)의 타단 저항 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The end support 700 is connected to the end 501 of the extension arm 500 and functions to guide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엔드서포트(700)는, 익스텐션암(500)의 말단(501)에 설치되어 케이블(CB)의 타단을 축 방향으로 도출하도록 안내하는 엔드슬리브(710), 엔드슬리브(710)의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720),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7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엔드슬리브(710)에서 도출된 케이블(CB)의 타단을 소정 각도로 인출시켜서 저항 운동을 안내하는 엔드풀리(7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to 5, the end support 700 includes an end sleeve 710, which is installed at the end 501 of the extension arm 500 and guides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A pair of end plates 72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leeve 710,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end plates 720, and tilting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derived from the end sleeve 710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ncludes an end pulley 730 that is pulled out and guides resistance exercise.

엔드플레이트(720)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엔드슬리브(710)의 외측 단부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연결된다.The end plate 720 consists of a left and right pair and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end of the end sleeve 7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엔드풀리(730)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720) 사이의 내측 및 외측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엔드슬리브(710)에서 도출된 케이블(CB)의 타단은 두 개의 엔드풀리(730) 사이를 지나면서 소정 각도로 꺾이면서 인출된다.The end pulley 730 is installed at the inner and outer ends between a pair of end plates 720, respectively.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derived from the end sleeve 710 is pulled out while passing between the two end pulleys 730 and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요약하면, 익스텐션암(500)의 내부를 관통하는 케이블(CB)의 타단은 엔드슬리브(710)의 내부를 지나서 두 개의 엔드풀리(730)에 의해 각도 조절된 후 인출되는 것이다.In summary,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extension arm 50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end sleeve 710 and is pulled out after adjusting the angle by the two end pulleys 730.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익스텐션암(500)의 각도조절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Meanwhile, Figures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extension arm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익스텐션암(500)은 틸팅조인트(600)에 의해 프레임(100)의 운동공간 내에서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8, the extension arm 500 can adjust the vertical angle within the movement space of the frame 100 by the tilting joint 600.

이때, 엔드서포트(700)로 안내된 케이블(CB)의 타단에는 고리(800)가 연결되고, 고리(800)에는 핸들(810)이 체결되며, 센터컬럼(180)(130)에는 발판(190)이 승강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벤치(BC)에 앉은 이용자의 발을 지탱할 수 있다.At this time, a ring 8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guided to the end support 700, a handle 810 is fastened to the ring 800, and a footrest 190 is attached to the center column 180 and 130. ) is combin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to support the feet of the user sitting on the bench (BC).

이 상태에서 이용자는 벤치(BC)에 앉아서 발판(190)에 발을 지탱하고 양손으로 핸들(810)을 잡아서 당기는 롱풀 운동을 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perform a long pull exercise by sitting on the bench (BC), supporting the feet on the footrest (190), and pulling by holding the handle (810) with both hands.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익스텐션암(500)은 틸팅조인트(600)에 의해 프레임(100)의 운동공간 내에서 도 8과 다르게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9, the extension arm 500 can adjust its vertical angle within the movement space of the frame 100 by the tilting joint 600, differently from FIG. 8.

이때, 센터컬럼(180)(130)에는 바디서포트(191)가 승강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용자의 가슴 또는 등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 body support 191 is coupled to the center column 180 and 13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to support the user's chest or back.

이 상태에서 이용자는 등 또는 가슴 부위를 바디서포트(191)에 지지한 후 양손으로 핸들(810)을 당기는 이두 또는 티바로우(T-bar row) 운동 등을 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support the back or chest area on the body support 191 and then do bicep or T-bar row exercises by pulling the handle 810 with both hands.

다른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익스텐션암(500)에 스미스바(193)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mith bar 193 connected to the extension arm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센터컬럼(180)(130)에는 레그서포트(192)가 승강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벤치(BC)에 앉은 이용자의 무릎이 들리지 않도록 허벅지를 지지한다.At this time, a leg support 192 is coupled to the center column 180 and 13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to support the thighs of the user sitting on the bench BC so as not to lift the knees.

그리고 엔드서포트(700)로 안내된 케이블(CB)의 타단은 고리(800)를 통해 스미스바(193)의 외측 단부에 연결한다.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CB) guided to the end support 700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Smith bar 193 through the ring 800.

이 상태에서 이용자는 벤치(BC)에 앉아서 양손으로 스미스바(193)의 양측을 잡고 당기는 랫풀다운 운동을 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sit on the bench (BC) and perform the lat pulldown exercise by holding and pulling both sides of the Smith Bar (193) with both hands.

상술한 본 발명의 익스텐션암(5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방향뿐만 위치와 각도를 사방으로 변형하여 다양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다.The extension arm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perform various weight training by changing the position and angle in all directions as well as the direction shown in FIGS. 8 to 1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익스텐션암(500)가 회전어셈블리(300)와 터닝어셈블리(400)에 의해 프레임(100) 내의 운동공간(WS)이나 그 밖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틸팅조인트(600)에 의해 상하 및 좌우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좁은 공간 내에서 다양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arm 500 is not only located in the movement space (WS) or elsewhere in the frame 100 by the rotation assembly 300 and the turning assembly 400, but also the tilting joint 600. ),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various weight training within a small space because the angle is adjust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사상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echnical spirit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works within the scope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ubstitutes.

100 : 프레임 120 : 가이드레일
200 : 중량판 300 : 회전어셈블리
400 : 터닝어셈블리 500 : 익스텐션암
600 : 틸팅조인트 700 : 엔드서포트
BC : 벤치 CB : 케이블
WS : 운동공간
100: frame 120: guide rail
200: Weight plate 300: Rotation assembly
400: Turning assembly 500: Extension arm
600: Tilting joint 700: End support
BC: Bench CB: Cable
WS: exercise space

Claims (4)

양측에 수직의 가이드레일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적층되는 중량판,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 일단은 상기 양측 중량판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를 각각 관통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저항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풀리로 이루어진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어셈블리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관통하는 터닝어셈블리, 상기 터닝어셈블리에 틸팅조인트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익스텐션암, 및 상기 익스텐션암을 관통하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 저항 운동을 안내하도록 엔드풀리를 갖는 엔드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중간부에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센터컬럼에는
벤치에 앉은 이용자의 발을 지탱할 수 있도록 발판이 승강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용자의 가슴 또는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바디서포트가 승강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며,
벤치에 앉은 이용자의 무릎이 들리지 않도록 하여 허벅지를 지지하도록 레그서포트가 승강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A frame having vertical guide rails on both sides, a weight plate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a pair of rotation assemblies that are coupled to the guide rails on both side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rotate left and right about a vertical axis, one end of which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In a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consisting of a cable each connected to a weight plate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each of the pair of rotation assemblies, and a plurality of guide pulleys installed on the frame to guide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cable,
a turning assembly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rotation assembli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cable passes, and is connected to the turning assembly with a tilting joint in an angle-adjustable manner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inside the guide rail. An extension arm consisting of, and an end support having an end pulley to guide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cable penetrating the extension arm,
In the center column provided vertically in the middle of the frame,
The footrest is combin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to support the feet of the user sitting on the bench.
The body support is combin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and protrudes forward to support the user's chest or back area.
A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characterized by a leg support that can be lifted up and down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support the thighs and prevent the knees of the user sitting on the bench from lif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닝어셈블리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터닝홀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어셈블리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닝플레이트; 및
상기 터닝플레이트의 상하 선회를 단속하도록 상기 터닝홀에 결합되는 터닝단속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In claim 1,
The turning assembly,
A fix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urning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fixed to an outer end of the rotation assembly;
A turning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up and down; and
a turning control pin coupled to the turning hole to control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turning plate;
A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compri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인트는,
상기 터닝플레이트의 중심에 접합된 터닝암;
상기 터닝암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틸팅샤프트를 갖는 고정서포트;
상기 고정서포트의 틸팅샤프트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틸팅홀이 형성된 틸팅브래킷; 및
상기 틸팅브래킷의 조절 각도를 단속하도록 상기 틸팅홀에 결합되는 틸팅단속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In claim 2,
The tilting joint is,
A turning arm joined to the center of the turning plate;
a fixed support fixed to an outer end of the turning arm and having a tilting shaft;
a tilting bracket connected to the tilting shaft of the fixed support in an angle-adjustable mann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ilting holes formed along an edge; and
a tilting control pin coupled to the tilting hole to control the adjustment angle of the tilting bracket;
A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드서포트는,
상기 익스텐션암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타단을 축 방향으로 도출하도록 안내하는 엔드슬리브;
상기 엔드슬리브의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엔드슬리브에서 도출된 상기 케이블의 타단을 소정 각도로 인출시켜서 저항 운동을 안내하는 엔드풀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In claim 1,
The end support is,
an end sleeve install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arm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cable in the axial direction;
A pair of end plat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end sleeve; and
an end pulley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end plates to guide resistance movement by drawing out the other end of the cable derived from the end sleeve at a predetermined angle;
A multi-functional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comprising:
KR1020230017638A 2023-02-09 2023-02-09 Multi-function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KR102598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638A KR102598570B1 (en) 2023-02-09 2023-02-09 Multi-function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638A KR102598570B1 (en) 2023-02-09 2023-02-09 Multi-function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570B1 true KR102598570B1 (en) 2023-11-06

Family

ID=8874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638A KR102598570B1 (en) 2023-02-09 2023-02-09 Multi-function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57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3384A1 (en) * 2000-03-06 2007-07-26 Cybex International, Inc. Multiple exercise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arm mechanism
US9446285B1 (en) * 2013-03-01 2016-09-20 Thomas Walter Drath Unsupported pelvic/spine exercise system and method
KR20210132869A (en) 2020-04-28 2021-11-05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weight exercise equipment
KR20220020178A (en) 2020-08-11 2022-02-18 이봉수 Muscle building exercise apparatus facilitating muscle building exercise in easy posture regardless of physique of user and cable guide apparatus equipped thereto
KR200495994Y1 (en) * 2022-02-10 2022-10-06 변현정 Multi-use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cab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3384A1 (en) * 2000-03-06 2007-07-26 Cybex International, Inc. Multiple exercise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arm mechanism
US9446285B1 (en) * 2013-03-01 2016-09-20 Thomas Walter Drath Unsupported pelvic/spine exercise system and method
KR20210132869A (en) 2020-04-28 2021-11-05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weight exercise equipment
KR20220020178A (en) 2020-08-11 2022-02-18 이봉수 Muscle building exercise apparatus facilitating muscle building exercise in easy posture regardless of physique of user and cable guide apparatus equipped thereto
KR200495994Y1 (en) * 2022-02-10 2022-10-06 변현정 Multi-use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cab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8231B2 (en) Pilates exercise machine
US8968164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with sliding handle assembly
US5429569A (en) Training apparatus
JP6920772B2 (en) Weight exercise equipment
KR200474605Y1 (en) exercise equipment for ladder barrel
KR20140045763A (en) Cable crossover training machine
US7959543B2 (en) Isolated curl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TWM579544U (en) Exercising device
KR102598570B1 (en) Multi-function dual pulley weight training machine
US7377884B2 (en) Exercise apparatus
US20190054337A1 (en) Triceps press exercise machine with a moving user support
KR101419034B1 (en) Playing apparatus
JP5698962B2 (en) Training equipment
CN112843621A (en) Stretching exercise device for arm training
KR102340922B1 (en) weight exercise equipment
CN214388676U (en) Sports training dorsal muscle trainer
CN109331396B (en) Multifunctional strength training device
CN218686092U (en) Universal guide
KR20220098929A (en) Pilates ladder barrel
KR200374873Y1 (en) Total health machine
CN218357092U (en) Force training device
US20240042262A1 (en) Dual action weightlifting machine with selectorized resistance
CN217854353U (en) Rocker arm assembly and fitness equipment
KR102620462B1 (en) Sporting apparatus with variable load module
CN219595770U (en) Dorsum muscle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