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516B1 -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516B1
KR102598516B1 KR1020210116307A KR20210116307A KR102598516B1 KR 102598516 B1 KR102598516 B1 KR 102598516B1 KR 1020210116307 A KR1020210116307 A KR 1020210116307A KR 20210116307 A KR20210116307 A KR 20210116307A KR 102598516 B1 KR102598516 B1 KR 10259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diting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393A (ko
Inventor
이남호
문우리
Original Assignee
(주)포티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티파이 filed Critical (주)포티파이
Priority to KR102021011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5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편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정보인 편집 정보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편집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 관리 결과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의해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 편집 내역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편집 내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CONTENT EDI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BATTERY FOR DEVELOPING APPL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개발자가 어플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들을 제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편집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개발자"라 함은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을 갖춘 사람에 한정되지 않으며 편집 기능을 갖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산하는 사람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 다양한 서비스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비교적 사소한 서비스나 상품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서비스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주로 해당 사업자의 자체적인 개발 조직을 통해 개발을 진행하거나, 사업자 내의 능력으로 개발이 어려운 경우 외주의 개발 업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진행하기도 한다.
다만,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는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필요한 모든 절차를 모두 진행하기 다소 어려운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단순히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절차 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구성을 기획하는 절차 및 사용자를 위한 UI 및 UX를 디자인하는 절차 등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개발자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전문가일 수 있으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절차 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절차 외의 절차에 대해서는 전문적이지 못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해당 절차를 수행 가능한 다른 사용자(즉, 다른 전문가 등)와 협업을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는 대략적으로 3개월에서 6개월 정도 시간 등의 기간이 소요되거나 그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고 있지만,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의 기간을 단축하거나 개발자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를 개발하는 절차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인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현실적으로 개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개발자가 어플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들을 제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편집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개발자가 어플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들을 제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편집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콘텐츠를 편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편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정보인 편집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편집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 상기 관리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의해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 편집 내역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내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편집하는 콘텐츠 정보가 노출되는 편집 영역 및 상기 편집 영역을 통해 사용된 콘텐츠 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반영되는 상태가 노출되는 노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주소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대한 뷰잉(view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뷰잉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서로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연동하는 단계, 상기 연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콘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편집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상기 편집 정보의 컴파일링을 통해 상기 편집 정보가 웹 브라우징(web browsing)으로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집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된 콘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고유한 식별 정보 별로 구분되도록 상기 콘텐츠의 편집 정보를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편집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집 내역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편집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편집 정보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고유한 식별 정보의 편집 정보를 가장 최근의 편집 내역으로 저장하여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집 정보는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편집이 수행된 시각 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내용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에 대한 비율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편집 내역은 상기 편집 정보에 포함된 각 항목을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저장된 내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내역에 포함된 각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 및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하여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추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내역에 포함된 콘텐츠 및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을 위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가 서로 매칭된 형태로 저장되는 상기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고 편리하게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편집 내역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편집 내역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편집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뷰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웹 브라우징으로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예를 들어,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개발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고,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미리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예를 들어,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인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고,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노출하거나 출력할 수 있는 웹 브라우징(web browsing)과 관련된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하드웨어적인 구조의 일 예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특히, 이하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하드웨어적인 구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시 말해,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하드웨어적인 구조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뿐 아니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의 하드웨어적인 구조에 적용되는 설명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인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데이터(예를 들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음)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데이터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거나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4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420) 및 저장 장치(4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4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450) 및 저장 장치(4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장치(4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4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의미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편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미리 포함되어 있거나 미리 연동된 출력 수단(예를 들어, 모니터 및 스크린 등과 같은 장치를 의미할 수 있음.)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발용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생성, 수정 및 삭제 등과 같은 절차인 편집을 수행하는 개발을 위한 전용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개발용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편집하는 콘텐츠 정보가 노출되는 편집 영역 및 편집 영역을 통해 사용된 콘텐츠 정보가 어플리케이션에 반영되는 상태가 노출되는 노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 영역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사용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노출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편집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콘텐츠를 생성, 수정 및 삭제 등의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편집의 결과가 어플리케이션에 반영된 상태가 노출되는 '미리보기'와 같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정보인 편집 정보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편집 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S320).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정보인 편집 정보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편집 내역을 관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편집 내역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된 콘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21).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콘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를 구분하거나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인 고유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고유한 식별 정보는 해당 콘텐츠를 구분하거나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ID(Identification)와 같은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고유한 식별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콘텐츠를 관리하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콘텐츠를 구분하거나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생성된 고유한 식별 정보 별로 구분되도록 콘텐츠의 편집 정보를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편집 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S322).
여기서, 편집 정보는 콘텐츠에 대하여 편집이 수행된 시각 정보 및 콘텐츠의 내용을 어플리케이션에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에 대한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내용을 어플리케이션에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은 인터랙티브(interactive) 요소, 텍스트(text) 요소 및 이미지(image) 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편집 내역은 편집 정보에 포함된 각 항목을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저장된 내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관리 결과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의해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 편집 내역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관리 결과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의해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 편집 내역을 업데이트 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편집 내역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편집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S331).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개발용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이용하는 개발용 인터페이스 상으로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편집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편집 정보의 생성을 감지하는 경우, 감지된 편집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편집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편집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감지된 편집 정보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고유한 식별 정보의 편집 정보를 가장 최근의 편집 내역으로 저장하여 업데이트 할 수 있다(S332).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편집 정보에 포함된 각 콘텐츠의 편집이 수행된 시각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수행된 편집의 편집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콘텐츠의 최종적인 상태 및 최종적인 편집 내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편집 내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40).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편집 내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편집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편집 내역에 포함된 각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 및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하여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41).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편집 내역에 포함된 각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 및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하여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편집 내역에 포함된 콘텐츠 및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을 위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학습할 수 있다(S341-1).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편집 내역에 포함된 각 콘텐츠 별로 사용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을 기반으로 콘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주로 사용된 방법적인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콘텐츠 및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학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는 편집 내역을 학습함으로써 각 콘텐츠 별로 사용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각 콘텐츠 별로 사용되거나 선택될 확률이 높은 방법적인 요소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자가 개발용 인터페이스 상으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고, 해당 텍스트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기반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개발용 인터페이스의 편집 영역에 '다음으로'라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고, 해당 텍스트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터랙티브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자는 '다음으로' 라는 텍스트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해당 텍스트를 선택함으로써 화면이나 페이지를 전환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요소로 표현될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다음으로'라는 텍스트에 대하여 '인터랙티브 요소'가 사용된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다음으로' 텍스트에 대한 방법적인 요소로 '인터랙티브 요소'를 매칭하여 선택될 확률이 높은 방법적인 요소로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이를 콘텐츠 추천 정보의 생성해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자가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텍스트에 대하여 사용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대한 학습을 통해 각 텍스트에 기초하여 선택될 확률이 높은 방법적인 요소에 대한 정보를 미리 보유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 및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가 서로 매칭된 형태로 저장되는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41-2).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콘텐츠의 종류 및 해당 종류의 콘텐츠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중 해당 종류의 콘텐츠에서 사용될 확률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계 S341-1에서 각 콘텐츠 별로 사용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이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산출된 비율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 별로 사용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미리 설정된 수의 방법적인 요소를 해당 종류의 콘텐츠에서 사용될 확률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를 해당 종류의 콘텐츠와 매칭된 형태가 되도록 서로 매칭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매칭된 형태로 생성된 콘텐츠 추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콘텐츠 추천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를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추천할 수 있다(S342).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편집 정보가 감지된 경우, 감지된 편집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콘텐츠 추천 정보에 기초하여 감지된 편집 정보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대하여 미리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에 대한 정보를 감지된 편집 정보를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를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추천할 수 있다.
이후,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가 추천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감지된 편집 정보를 생성한 주체가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인 경우,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감지된 편집 정보를 생성한 주체가 서비스 제공 장치인 경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되고 있는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가 추천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설명된 내용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제공되고 있는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를 실시간으로 추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감지된 편집 정보가 개발용 인터페이스의 편집 영역에 텍스트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에 대하여 선택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미리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를 해당 편집 정보를 발생시킨 사용자의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추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사용되는 개발용 인터페이스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뷰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50).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개발용 인터페이스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소 정보는 생성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외부의 장치에서 접속 등을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링크의 역할을 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개발용 인터페이스의 주소 정보로 해당 개발용 인터페이스로 접근할 수 있는 URL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생성된 주소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하여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대한 뷰잉(view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60).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생성된 주소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하여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대한 뷰잉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웹 브라우징으로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서로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연동할 수 있다(S361).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편집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연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콘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편집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362).
여기서, 예를 들어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하는 편집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편집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자에 직접적으로 발생된 편집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편집 정보의 컴파일링을 통해 편집 정보가 웹 브라우징으로 노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S363).
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편집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해당 편집 정보를 컴파일링함으로써 웹 브라우징으로 노출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추가적으로 더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편집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방향으로 뷰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서로 연동된 상태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서로 전송하는 편집 정보가 실시간으로 컴파일링을 통해 웹 브라우징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제공하는 개발용 인터페이스의 일 예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되는 개발용 인터페이스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편집 영역 및 노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좌측 영역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편집하는 콘텐츠 정보가 노출되는 편집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편집 영역 내에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사용자가 실제로 수정, 생성 및 삭제를 진행하고 있는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방법적인 요소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편집 영역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사용된 콘텐츠의 방법적인 요소로 이미지 요소 및 텍스트 요소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미지 요소에 대한 상세한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 명칭, 사이즈 및 여백 등) 및 텍스트 요소(예를 들어, 텍스트 내용, 정렬 기준, 텍스트 사이즈 및 텍스트 폰트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우측 영역은 편집 영역을 통해 사용된 콘텐츠 정보가 어플리케이션에 반영되는 상태가 노출되는 노출 영역으로 '미리보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노출 영역 내에는 편집 영역에서 확인된 콘텐츠의 방법적인 요소의 상세한 정보가 어플리케이션에 반영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노출 영역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사용된 콘텐츠의 방법적인 요소로 이미지 요소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내용 및 텍스트 요소에 상응하는 텍스트의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 요소에 대한 상세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요소에 대한 상세한 정보에 상응하는 텍스트가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각 장치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시에 개발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과정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콘텐츠와 관련된 방법적인 요소를 적절하게 추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기간 등을 단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장치 200: 제1 장치
300: 제1 장치 400: 서비스 제공 장치
410: 프로세서 420: 메모리
4130: 송수신 장치 4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4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460: 저장 장치
470: 버스

Claims (9)

  1.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콘텐츠를 편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편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정보인 편집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편집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
    상기 관리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의해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 편집 내역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내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정보는,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편집이 수행된 시각 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내용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에 대한 비율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편집 내역은,
    상기 편집 정보에 포함된 각 항목을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저장된 내역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편집하는 콘텐츠 정보가 노출되는 편집 영역 및 상기 편집 영역을 통해 사용된 콘텐츠 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반영되는 상태가 노출되는 노출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주소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에 대한 뷰잉(view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뷰잉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서로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연동하는 단계;
    상기 연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콘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편집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상기 편집 정보의 컴파일링을 통해 상기 편집 정보가 웹 브라우징(web browsing)으로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편집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된 콘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고유한 식별 정보 별로 구분되도록 상기 콘텐츠의 편집 정보를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편집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편집 내역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상기 개발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편집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편집 정보에 상응하는 콘텐츠의 고유한 식별 정보의 편집 정보를 가장 최근의 편집 내역으로 저장하여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내역에 포함된 각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 및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하여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추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내역에 포함된 콘텐츠 및 복수의 방법적인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을 위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법적인 요소가 서로 매칭된 형태로 저장되는 상기 콘텐츠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16307A 2021-09-01 2021-09-01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9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07A KR102598516B1 (ko) 2021-09-01 2021-09-01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07A KR102598516B1 (ko) 2021-09-01 2021-09-01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393A KR20230033393A (ko) 2023-03-08
KR102598516B1 true KR102598516B1 (ko) 2023-11-06

Family

ID=8550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307A KR102598516B1 (ko) 2021-09-01 2021-09-01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5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709B1 (ko) * 2011-06-17 201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데이터 표시 방법
US20170083292A1 (en) * 2015-09-18 2017-03-23 Amazon Technologies, Inc. Visual content developm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9233호(2012.12.27.)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9819호(2018.06.2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393A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äder et al. Towards automated traceability maintenance
CN109614424B (zh) 页面布局生成方法、装置、计算设备和介质
CA2937017C (en) Integrated design application
CN108304201A (zh) 对象更新方法、装置及设备
US201001915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rhetorical content
US20200387372A1 (en) Microservice file generation system
US20130325789A1 (en) Defining and Mapping Application Interface Semantics
CN101535934A (zh) 提供用于查看和编辑元数据的定制用户界面的方法和***
WO2006107529A2 (en) Method and system for aggregating rules for a property associated with a document element
US11902391B2 (en) Action flow fragment management
US11120200B1 (en) Capturing unstructured information in application pages
KR20150058237A (ko) 간략화된 지식공학 방법 및 시스템
CN112800370A (zh) 业务单据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754258B1 (ko) 마크업 언어 기반 문서에 대한 동시 편집 정합성 검증 장치 및 방법
US9251489B2 (en) Node-pair process scope definition adaptation
KR102598516B1 (ko)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콘텐츠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Rosenfield Boeira First steps with lean
CN113656022B (zh) 软件开发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003496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creation tool for use with shoppable content data
Zaidi et al. Learning Custom Experience Ontologies via Embedding-based Feedback Loops
Umuhoza Domain-specific modeling and code generation for cross-platform mobile and IoT-based applications
US20050096921A1 (en) Method and system to manage documentation
JP200703480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692657B2 (en) Node-pair process scope definition and scope selection computation
Malekan et al. Positioning collaboration in business process model consolidation in V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