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209B1 - Management server for navigating of ca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anagement server for navigating of ca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209B1
KR102597209B1 KR1020220060181A KR20220060181A KR102597209B1 KR 102597209 B1 KR102597209 B1 KR 102597209B1 KR 1020220060181 A KR1020220060181 A KR 1020220060181A KR 20220060181 A KR20220060181 A KR 20220060181A KR 102597209 B1 KR102597209 B1 KR 102597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route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소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소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소엔
Priority to KR102022006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2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2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3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a camera or code reader, e.g. for optical or magnetic c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는, 차량의 운전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관리하는 식별코드관리부와, 승객이 사용하는 제2 사용자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승객으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목적지관리부와, 상기 목적지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목적지정보로의 경로안내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경로안내실행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nd a management method thereof. The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n identification cod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An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unit, a destina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and manages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passenger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obtained through a second user terminal used by the passenger, and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1 It includes a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that executes route guidance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MANAGEMENT SERVER FOR NAVIGATING OF CAR AND METHOD THEREOF}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nd its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SERVER FOR NAVIGATING OF CA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자와 승객이 직접 대화없이도 목적지정보를 공유하여 내비게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nd its management method. More specifically, a technology is disclosed that allows a vehicle driver and passengers to shar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erform navigation without direct conversation.

현재의 택시의 탑승 방법은 호출 차량과 일반 차량으로 나뉜다. 호출 차량의 경우에는 이미 목적지가 입력되어 운행하면 된다. 그러나 일반 도로에서 승차한 차량은 승객과 운전자의 대화에 의해서 목적지를 알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이미 알고 있는 곳이 아닌 경우 내비게이션을 실행시키거나 여러번에 걸친 승객과의 대화로 목적지에 도착하게 된다.Current taxi rides are divided into call vehicles and regular vehicles. In the case of a calling vehicle, the destination has already been entered and the vehicle can be driven. However, for vehicles on public roads, the destination can be known through conversations between passengers and drivers. In this case, if the destination is not already known to the driver, he or she will arrive at the destination by running a navigation system or talking to the passenger several times.

또한 언어장애자와 외국인의 경우 택시 이용시 대화를 통한 소통이 어려워서 명함이나 스마트폰, 안내 책자를 운전자에게 보여주어 목적지를 안내하기도 한다. 호출 택시의 경우에도 운행중 목적지가 바뀌면 다시 내비게이션을 실행 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도로에서의 정차나 주행 중 내비게이게션의 실행은 위험하고 불편하며 현행법상 불법이다. 또한, 목적지 설명을 듣지 못한 운전자가 승객으로부터 폭행을 당하는 등의 폭력사고도 발생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Additionally, for people with language impairments and foreigners,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through conversation when using a taxi, so they show their business cards, smartphones, or brochures to the driver to guide them to their destination. Even in the case of a taxi called, if the destination changes while driving, the navigation must be started again. For this purpose, running the navigation system while stopping or driving on the road is dangerous, inconvenient, and illegal under the current law. In addition, violent accidents such as drivers being assaulted by passengers who did not receive an explanation of the destination are occurring, which is becoming a problem.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1393호(2014년 2월 20일 공개)는 도착지 정보를 출력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택시요금 선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광객이 승차 후 QR코드 판독기에 QR코드를 접촉하고, 주행결과 연산 프로그램이 택시현재위치와 도착지 위치로부터 주행결과를 연산하고, 산출된 주행결과를 네비게이션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합니다.Among conventional technologie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21393 (published on February 20, 2014) relates to a taxi fare calcul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 smart phone that prints destination information, and allows tourists to use QR after boarding.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when you touch the QR code to the code reader, the driving result calculation program calculates the driving results from the taxi's current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location, and displays the calculated driving results on the navigation screen.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목적지 정보가 저장된 QR코드 카드 또는 소책자를 승객이 항상 소지해야 하며, 차량의 QR코드 판독기가 설치되어야 하며, 새로운 목적지에 대한 QR코드를 생성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limitations in that passengers must always carry a QR code card or booklet containing destination information, a QR code reader must b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QR codes for new destinations cannot be generated. .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운전자와 승객이 대화없이도 목적지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내비게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nd a management method that allows the vehicle driver and passengers to execute navigation by accurately communicating the destination without conversation.

또한, 운전자의 내비게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승객으로부터 추가적인 목적지 입력이 있더라도 이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경로안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nd its management method that can prevent route guidance from being changed by automatically blocking even if there is an additional destination input from a passenger when the driver's navigation is running.

또한, 운전자의 내비게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승객으로부터 추가적인 목적지 입력이 있으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s navigation is runn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nd a management method that can change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if there is an additional destination input from the passenger.

또한, 승객의 사용자단말을 통해 광고정보를 노출시켜 운행 도중에 별도의 광고물의 전달 없이도 광고를 할 수 있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nd management method for a vehicle that exposes advertising information through a passenger's user terminal and allows advertising without the delivery of separate advertising materials during driv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는, 차량의 운전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관리하는 식별코드관리부와, 승객이 사용하는 제2 사용자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승객으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목적지관리부와, 상기 목적지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목적지정보로의 경로안내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경로안내실행부를 포함한다.The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an identification cod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a second user terminal used by the passenger. When an identification code is obtained, a destina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and manages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passenger,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executes route guidance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s a route guidance execution unit.

또한, 상기 경로안내실행부는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제1 목적지정보로 상기 경로안내가 실행된 후,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제2 목적지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의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transmits the route guidance to the first user terminal when the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fter the route guidance is executed using the first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user terminal. You can block it.

또한, 상기 경로안내실행부는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제1 목적지정보로 상기 경로안내가 실행된 후,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제2 목적지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운전자가 승인하면 상기 제2 목적지정보로 상기 경로안내를 재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executes the route guidance using the first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user terminal, and when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driver is activat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If approved, the route guidance can be re-executed using the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경로안내실행부는 상기 제1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로 상기 경로안내를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when the preset distance is exceeded, send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e above route guidance can be execu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의 관리방법은, 차량의 운전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관리하는 식별코드관리단계와, 승객이 사용하는 제2 사용자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승객으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목적지관리단계와, 상기 목적지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목적지정보로의 경로안내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경로안내실행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aging a vehicle's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step of managing an identification cod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an identification code used by the passenger. 2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obtai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 destination management step of receiving and managing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passenger,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s a route guidance execution step to execute route guidance.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와 승객이 대화없이도 목적지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내비게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er and passengers of the vehicle can accurately convey the destination and execute the navigation without conversation.

또한, 운전자의 내비게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승객으로부터 추가적인 목적지 입력이 있더라도 이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경로안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driver's navigation is running, even if there is an additional destination input from the passenger, it is automatically blocked to prevent the route guidance from changing.

또한, 운전자의 내비게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승객으로부터 추가적인 목적지 입력이 있으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driver's navigation is running, if there is an additional destination input from the passenger, the destina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또한, 승객의 사용자단말을 통해 광고정보를 노출시켜 운행 도중에 별도의 광고물의 전달 없이도 광고를 할 수 있다.Additionally, advertisement information can be exposed through the passenger's user terminal, allowing advertisements to be made without the need to deliver separate advertisements during the ride.

도 1은 차량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의 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운전자의 회원가입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승객의 목적지정보 입력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에서 제1 사용자단말에서 경로안내가 실행 중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신규 목적지정보가 입력시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광고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navigation system.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of a management method of a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driver's membership registration screen provided by th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passenger's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by th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Figure 1.
FIG. 6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ss when new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a second user terminal while route guidance is being executed on a first user terminal in the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
FIG. 7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dvertis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보호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embodiment,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guardian or operator or precedents. Therefore, the meaning of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f specifical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follow the defini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the meaning will be interpreted as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차량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navig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제1 사용자단말(11), 제2 사용자단말(12) 및 관리서버(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navig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11, a second user terminal 12, and a management server 100.

제1 사용자단말(11)은 운전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형단말일 수 있으며, 차량(10)에 장착되는 고정형단말일 수 있다. 제1 사용자단말(11)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관리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단말(11)에는 통신모듈, 카메라모듈, GPS 등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는 제1 사용자단말(11)을 이용하여 식별코드(20)를 인증하여 사용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단말(11)은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이를 통해 경로안내를 진행할 수 있다.The first user terminal 11 refers to a terminal used by the driver. For example, it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it may be a fixed terminal mounted on the vehicle 10. The first user terminal 11 can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camera module, GPS, etc. The driver can use the first user terminal 11 to authenticate the identification code 20 and apply for registration. The first user terminal 11 has a navigation program installed and can provide route guidance through it.

제2 사용자단말(12)은 승객이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형단말일 수 있다. 제2 사용자단말(12)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관리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사용자단말(12)에는 통신모듈, 카메라모듈, GPS 등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객은 차량(10)에 형성된 식별코드(20)를 인식하여 관리서버(100)로부터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는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되고, 목적지정보를 입력을 하면 제1 사용자단말(11)에서 내비게이션을 실행된다.The second user terminal 12 refers to a terminal used by passengers. For example, it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e second user terminal 12 can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12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camera module, GPS, etc. The passenger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20 formed on the vehicle 10 and is provided with an interface to input the destin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0. In this case, the interfa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web page, and navigation is executed on the first user terminal 11 when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

관리서버(100)는 제1 사용자단말(11) 및 제2 사용자단말(12)과 통신한다. 이 경우, 관리서버(100)는 제1 사용자다말(11) 및 제2 사용자단말(12)과의 통신시 웹페이지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제1 사용자단말(11)의 운전자가 인증한 식별코드(20)를 관리한다. 관리서버(100)는 제2 사용자단말(12)에서 식별코드(20)를 획득하면 접속하면 목적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목적지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관리서버(100)는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입력된 목적지정보를 제1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한다. 이 경우, 제1 사용자단말(11)은 관리서버(100)로부터 목적지정보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내비게이션이 실행된다.The management server 10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11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12.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provide an interface in the form of a web page whe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11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he management server 100 manages the identification code 20 authenticated by the driv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 The management server 100 provides an interface through which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entered when accessed by obtaining the identification code 20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and stores and manages the input destination information. The management server 100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o the first user terminal 11. In this case, the first user terminal 11 automatically executes navigation when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의 관리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운전자의 회원가입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승객의 목적지정보 입력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에서 제1 사용자단말에서 경로안내가 실행 중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신규 목적지정보가 입력시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of a management method of the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and FIG. 4 is a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FIG. 1. It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driver's membership registration screen provided by the server, FIG. 5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assenger's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screen provided by the vehicle's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and FIG. 6 is FIG. This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ing process when new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while route guidance is running on the first user terminal in the vehicle's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1.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100)는 식별코드관리부(110), 목적지관리부(120) 및 경로안내실행부(130)를 포함한다.1 to 6, the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unit 110, a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and a route guidance execution unit 130.

식별코드관리부(110)는 차량(10)의 운전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단말(11)과 통신할 수 있는 식별코드(20)를 관리한다(S110). 여기서, 식별코드(20)는 바코드, QR코드, AR코드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식별코드(20)에는 차량(10)의 운전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단말(11)로 통신할 수 있는 연결정보가 설정된다. 이 경우, 제1 사용자단말(11)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식별코드(20)는 차량(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스티커 형태로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식별코드관리부(110)는 인증된 운전자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고유한 식별코드(20)를 발급하여 관리한다.The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unit 110 manages the identification code 20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11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10 (S110). Here, the identification code 20 may be a barcode, QR code, AR code, et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identification code 20 is set with connection information that allow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11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10.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 is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20 can be attach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vehicle 10 in the form of a sticker, or displayed through a display. The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unit 110 encrypts information about the certified driver and issues and manag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20.

또한, 식별코드관리부(110)는 운전자의 제1 사용자단말(11)로 회원가입을 인증할 수 있는 안내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원가입은 아이디,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식별코드관리부(110)는 승객의 사용자정보로 차량번호, 이메일, 이동통신번호, 소속회사명, 지역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식별코드관리부(110)는 운전자의 제1 사용자단말(11)의 이동통신번호로 인증번호를 전송하여 이를 입력하도록 하여 인증할 수 있다. 식별코드관리부(110)는 차량(10)에 부착될 식별코드(20)를 인식하여 인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 식별코드(20)를 차량(10)에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unit 110 may provide a guidance page for authenticating membership registration using the driver's first user terminal 11. In this case, you can sign up for membership by setting an ID and password. The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unit 110 can receive the passenger's user information such as vehicle number, email, mobile phone number, company name, and region. The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unit 110 can authenticate by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numb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of the driver's first user terminal 11 and having the driver input the authentication number. The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unit 110 can recognize and authenticate the identification code 20 to be attached to the vehicle 10. Accordingly, the authenticated identification code 20 can be used for the vehicle 10.

목적지관리부(120)는 승객이 사용하는 제2 사용자단말(12)을 통해 식별코드(20)가 획득되면 승객으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한다(S120). 이 경우, 제2 사용자단말(12)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목적지관리부(120)는 식별코드(20)를 획득하여 접속한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목적지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 경우, 승객의 목적지정보를 암호화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운전자 또는 제3자에게 승객의 목적지가 공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When the identification code 20 is obtained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12 used by the passenger,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receives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passenger and manages it (S120).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12 is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obtains the identification code 20 and stores and manages destination information when it is input from the connected second user terminal 12.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encrypt and manage the passenger's destination information. This is to prevent the passenger's destination from being disclosed to the driver or a third party.

예를 들어, 목적지관리부(120)는 제2 사용자단말(12)에서 식별코드(20)를 카메라로 스캔한 경우 목적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 형태의 URL로 연결한다. 이 경우, 승객은 제2 사용자단말(12)로 목적지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해당 웹페이지가 종료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전용어플리케이션 없이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승객에게 손쉽게 목적지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scans the identification code 20 with a camera in the second user terminal 12, it connects to a URL in the form of a web page where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entered. In this case, when the passenger inputs and transmits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he corresponding web page ends. This interface can be easily used without a dedicated application, allowing drivers to easily provide destination information to passengers.

또한, 목적지관리부(120)는 목적지정보를 기 설정된 주소정보와 비교하여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입력된 목적지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주소인 경우에 재입력을 요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유효한 목적지정보를 운전자인 제1 사용자단말(11)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정부에서 제공하는 주소정보를 조회하여 주소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목적지관리부(120)는 사용자가 목적지정보를 입력시 해당 주소에 해당하는 지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지도정보를 통해 자신이 입력한 목적지정보를 승객에게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Additionally,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valid by comparing it with preset address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is an invalid address, re-entry may be requested. This is to provide valid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11, which is the driver. In this case, the validity of the address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by looking up the addres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can provide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when the user inputs destination information. This is to allow passengers to confirm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y entered through map information.

또한, 목적지관리부(120)는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입력된 목적지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유사 주소정보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목적지관리부(120)는 목적지정보와 키워드 유사도가 높은 제1 유사목적지를 추천하고, 목적지정보의 키워드 입력시 설정빈도가 높은 순서로 제2 유사목적지를 추천할 수 있다. 이는 승객이 목적지정보를 오입력하거나, 미완성으로 입력하는 경우 나머지 주소를 완성하여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승객이 목적지정보를 불완전하게 입력시에도 유사목적지를 추천하여 유효한 목적지정보를 설정하도록 도울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can also recommend similar address information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is invalid. In this case,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recommend a first similar destination with a high keyword similarity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recommend a second similar destination in the order of high setting frequency when entering a keyword i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is is to provide the remaining address by completing it if the passenger enter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correctly or incompletely. Accordingly, even when a passenger enters incomplete destination information, similar destinations can be recommended to help passengers set valid destination information.

또한, 목적지관리부(120)는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입력된 목적지정보가 운전자가 설정한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운행불가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운행불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승객이 지나치게 먼 거리에 있거나, 영업상 운행이 허용되지 않은 관할지역 등 운행이 불가한 곳을 목적지로 설정한 경우 이를 승객에게 안내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운행이 가능한 목적지만을 승객에게 안내하여 운행 중 이로 인한 시비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provide a message indicating the impossibility of driving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exceeds a preset distance set by the driver or falls within a preset non-driving area. there is. This is to inform passengers if the destination is too far away or if the destination is unavailable, such as a jurisdiction where commercial operation is not permitted. Accordingly, the driver can prevent disputes from occurring during driving by guiding passengers to only the destinations where driving is possible.

또한, 목적지관리부(120)는 승객이 목적지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한 경우 목적지를 아는 제3자가 사용하는 제3 사용자단말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승객이 외국인이거나 초행자여서 주소검색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승객의 지인인 제3자에게 목적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사용자단말은 식별코드를 획득하지 않고도 목적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를 전달받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객이 목적지정보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 경우에도 제3자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can also receiv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 third user terminal used by a third party who knows the destination when the passenger does not accurately recogniz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address search is not easy because the passenger is a foreigner or a first-time traveler, a link for entering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a third party who is an acquaintance of the passenger. In this case, the third user terminal can receive and input a link to input destination information without obtain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ly, even if the passenger does not accurately recogniz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passenger can receiv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 third party.

또한, 목적지관리부(120)는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입력된 사용언어와 제1 사용자단말(11)에 설정된 사용언어가 다른 경우 이를 번역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외국인 승객이 방문시에 목적지정보를 외국어로 입력하는 경우에도 이를 번역하여 제1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단말(12)에서 영어로 목적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제1 사용자단말(11)의 사용언어인 한국어로 번역하여 제1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사용언어가 다른 경우에도 목적지정보를 정확히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language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and the language set in the first user terminal 11 are different,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can translate and provide the language. This is to ensure that even when a foreign passenger enters destination information in a foreign language when visiting, it is transl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1. For example, when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 in English at the second user terminal 12, it can be translated into Korean, the language us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11,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1. Accordingly,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ccurately even when the languages used are different.

또한, 목적지관리부(120)는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이미지를 스캔하여 목적지정보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목적지관리부(120)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recognition) 기술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의 문자를 분석하여 목적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목적지관리부(120)는 인식된 문자열 중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추출하여 목적지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번주소, 도로명주소, 우편번호 등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분석하여 목적지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객은 목적지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손쉽게 명함 등에 있는 주소지를 스캔하여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is also capable of receiving destination information by scanning an image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For example,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extract destina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characters in an image captur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using optical character reader/recognition (OCR) technology. In this case, the destination management unit 120 can determin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by extracting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from the recognized character string. In this case, keywords corresponding to street address, road name address, zip code, etc. can be analyzed and extracted as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assenger can easily set the destination by scanning the address on a business card, etc., without directly enter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경로안내실행부(130)는 목적지정보를 제1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하고, 제1 사용자단말(11)에서 목적지정보로의 경로안내를 실행시키도록 한다(S130). 이 경우, 제1 사용자단말(11)에는 자체 내비게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목적지정보가 입력되어 경로안내가 실행된다. 목적지정보가 암호화된 경우에는 이를 복호화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로안내실행부(130)는 제1 사용자단말(11)에서 목적지정보에 따른 경로안내가 실행되면 제2 사용자단말(12)로 경로안내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의 승객이 운전자에게 목적지정보를 구두로 알려주지 않고도 운전자에게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130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11 and causes the first user terminal 11 to execute route guidance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S130). In this case, the first user terminal 11 is installed with its own navigation system,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o provide route guidance. I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encrypted, it is also possible to decrypt and process it. When route guidance according to destination information is execut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11,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130 may transmit a message notifying that route guidance has star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12. Accordingly,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10 can provide route guidance to the driver without verbally informing the driver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또한, 경로안내실행부(130)는 경로안내에 따른 예상도착시간, 예상요금을 제2 사용자단말(1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예상도착시간 및 예상요금은 제1 사용자단말(11)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에서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승객이 현재의 경로안내에 따른 예상도착시간 및 예상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경로안내실행부(130)는 목적지에 도착 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단말(1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승객에게 목적지에 도착이 임박함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알람신호는 문자나 SNS를 통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130 may transmit the expected arrival time and estimated fare according to the route guidanc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12. Here, the expected arrival time and estimated fare can be generated in a navigation program installed on the first user terminal 11. This is to allow passengers to check the expected arrival time and estimated far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urrent route information.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130 may generate an alarm signal at preset time intervals before arriving at the destination and provide the alarm sig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his is to inform passengers that arrival at their destination is imminent. These alarm signals can also be provided through text or SNS.

또한, 경로안내실행부(130)는 제2 사용자단말(12)에서 목적지정보가 입력되면 제1 사용자단말(11)에서 경로안내를 실행시키고, 동시에 제2 사용자단말(12)에서도 경로안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는 운전자 외에 승객에게도 경로안내를 제공함으로써 승객이 경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2 사용자단말(12)은 자신의 SNS계정에 연결된 지인이나 가족 등 제3자에게도 경로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경로안내에 대한 연결링크는 승객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종료된다. 이에 따라, 승객의 가족이나 지인들도 경로안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130 executes route guidance on the first user terminal 11 when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and simultaneously executes route guidance on the second user terminal 12. You can do it. This is to provide route guidance to passengers as well as drivers so that passengers can accurately understand the route. In this case, the second user terminal 12 can provide a link through which route guidance can be provided to third parties such as acquaintances or family members connected to the user's SNS account. In this case, the connection link for route guidance ends when the passenger arrives at the destination. Accordingly, the passenger's family or acquaintances can also share route information.

또한, 경로안내실행부(130)는 제1 사용자단말(11)에서 제1 목적지정보로 경로안내가 실행된 후,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제2 목적지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면 제1 사용자단말(11)로의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사용자단말(11)에서 경로안내가 실행 중에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추가적인 목적지정보 전송이 있는 경우 이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는 현재 실행 중인 경로안내를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경로안내실행부(130)는 제1 목적지정보에 대한 경로안내 실행 중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제2 목적지정보의 입력이 있는 경우 제2 사용자단말(12)로 전송불가 형태의 안내 팝업창 또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130 executes route guidance using the first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user terminal 11, and when the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he first use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11 can be blocked. In other words, if additional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while route guidance is being execut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11, this can be blocked. This is to maintain the currently executing route guidance. When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while executing route guidance for the first destination information,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130 displays a pop-up window or a guidance pop-up window in a form that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12. A message can be provided.

또한, 경로안내실행부(130)는 제1 사용자단말(11)에서 제1 목적지정보로 경로안내가 실행된 후,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제2 목적지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면 제1 사용자단말(11)로 승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단말(11)의 운전자가 승인하면 제2 목적지정보가 제1 사용자단말(11)로 전송되어 경로안내를 재실행한다. 이는 승객이 목적지를 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승인이 이뤄진 경우에 한해 목적지를 재설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운전자는 제1 사용자단말(11)의 설정을 통해 목적지정보의 수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수시로 수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130 executes route guidance using the first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user terminal 11, and when the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he first user Approval can be checked using the terminal 11. In this case, if the driv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 approves, the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1 to re-execute the route guidance. This is to ensure that if a passenger wishes to chang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destination can be reset only if the driver approves it. The driver can select whether to receive destin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ettings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 and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it at any time.

또한, 경로안내실행부(130)는 제1 사용자단말(11)의 위치정보와 제2 사용자단말(12)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경로안내실행부(130)는 제1 사용자단말(11)과 제2 사용자단말(12)의 거리 차이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사용자단말(11)로 제2 사용자단말(12)의 위치정보을 목적지로 하여 경로안내를 실행시킨다. 이는 승객을 차량(10)에 탑승시키기 위해 승객의 위치로 차량(10)을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2 사용자단말(12)은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GPS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객은 제2 사용자단말(12)로 차량(10) 이외의 장소에 노출된 식별코드(20)를 획득하여 차량(10)을 호출시킬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130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o determine whether the distance exceeds a preset distance.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user terminal 11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12 exceeds the set value, the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13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o the first user terminal 11. Run route guidance using the destination. This is to move the vehicle 10 to the passenger's location in order to allow the passenger to board the vehicle 1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12 is equipped with a GPS capable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e passenger may obtain the identification code 20 exposed in a place other than the vehicle 10 using the second user terminal 12 and call the vehicle 10.

도 7은 도 1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광고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dvertis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FIG. 1.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100)는 광고부(140) 및 보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7, the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ing unit 140 and a compensation unit 150.

광고부(140)는 제2 사용자단말(12)이 식별코드(20)를 획득하는 경우 목적지정보를 입력하는 웹페이지에 광고정보(200)를 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정보(200)는 이미지, 동영상 형태일 수 있으며, 팝업 또는 배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웹페이지에 삽입되는 광고정보(200)의 개수나 크기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광고부(140)는 광고정보(200)를 일정시간 노출 후에 목적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단말(12)의 승객에게 광고정보(200)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추가적인 부가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12 obtains the identification code 20, the advertising unit 140 may provide advertising information 200 by combining it with a web page where destination information is entered. Here, the advertising information 200 may be in the form of an image or video,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op-up or banner. The number or size of advertising information 200 inserted into a web page may vary depending on user settings. The advertising unit 140 is also capable of allowing destination information to be input after exposing the advertising information 20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ccordingly, advertising information 200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to passengers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2 and additional revenue can be generated.

또한, 광고부(140)는 승객이 제2 사용자단말(12)을 통해 입력한 목적지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변의 광고정보(200)를 우선하여 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목적지정보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사업체의 광고정보(200)를 제공하고, 승객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까지 추가적인 광고정보(200)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승객이 목적지 주변의 사업체의 광고정보(200)를 기반으로 광고효과를 보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advertising unit 140 may preferentially display advertising information 200 around the destination us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passenger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12.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dvertising information 200 of businesses within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o provide additional advertising information 200 until the passenger reaches the destination. This is so that passengers can see advertising effects based on advertising information 200 of businesses around their destination.

한편, 보상부(150)는 승객이 제2 사용자단말(12)을 통해 광고정보(200)를 클릭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동안 광고정보(200)를 시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보상수단(300)을 제공한다. 이 경우, 제2 사용자단말(12)의 이동통신번호를 계정으로 포인트, 쿠폰 등의 보상수단(300)을 적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보상수단(300)은 차량(10)을 이용 후 이용요금을 처리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mpensation unit 150 provides a preset compensation means 300 when the passenger clicks on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200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12 or watches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200 for a preset time. do.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accumulate compensation means 300 such as points and coupons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2 as an account. This compensation means 300 can also be used to process usage fees after using the vehicle 10.

또한, 보상부(150)는 승객이 차량(10)에 탑승하여 이동 중에도 제2 사용자단말(12)을 통해 광고정보(200)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승객에게 광고정보(200)에 따른 보상수단(300)을 제공하여 승객의 광고시청 참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보상부(150)는 승객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광고정보(200)를 시청하는 경우 보상지급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보상수단(300)을 위해 무분별하게 광고정보(200)를 클릭하는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compensation unit 150 can provide continuous compensation by providing advertising information 200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12 even while the passenger is moving in the vehicle 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passenger participation in watching advertisements by providing compensation means 300 according to advertisement information 200 to passengers. The compensation unit 150 is also capable of limiting compensation payments when a passenger watches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pieces of advertising information 200. This is to prevent illegal use of indiscriminately clicking on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200)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on (30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100)는 평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valuation unit 160.

평가부(160)는 운전자나 승객에 대한 평가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제1 사용자단말(11)을 통해 경로안내가 종료되면 승객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정보에는 별점, 리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승객은 제2 사용자단말(12)을 통해 경로안내가 종료되면 운전자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객이 작성한 평가정보는 운전자에게는 비공개되고 다른 승객들에게는 공유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나 승객에 대한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The evaluation unit 160 manages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drivers and passengers. For example, when the route guidance ends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11, the driver can input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passenger. In this case, the eval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tar ratings, reviews, etc. When the route guidance ends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he passenger can input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driver. In this case, the evaluation information written by the passenger can be kept private from the driver and shared with other passengers. Accordingly,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y using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drivers or passengers.

또한, 평가부(160)는 제1 사용자단말(11) 또는 제2 사용자단말(12)로부터 실시간으로 운전경로나 속도 등의 이동정보를 입력받아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가부(160)는 경로안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목적지까지의 이동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주행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운행시간, 평균운행속도, 신호위반건수 등을 이용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의 차량(10)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평가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관리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unit 160 is also capable of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movement information such as driving path or speed in real time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11 or the second user terminal 12. The evaluation unit 160 can generate quantitative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driver's driving by analyzing movement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route guidance. For example, evalu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using total driving time, average driving speed, number of signal violations, etc. This is to automatically generate and manage evalu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river's vehicle 10 operation information.

또한, 평가부(160)는 목적지정보로 경로안내가 실행 중에 제1 사용자단말(11)의 위치정보가 경로안내 상의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이를 제2 사용자단말(12)로 알람할 수 있다. 평가부(160)는 경로이탈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의 평가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가 경로안내를 얼마나 준수하는지에 따른 평가정보를 생성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unit 160 may alert the second user terminal 12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 deviates from the route in the route guidance while the route guidance is being executed us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evaluation unit 160 may collect route deviation information and reflect it in the driver's evaluation information. This is to generate evaluation information based on how well the driver follows the route guidance.

또한, 평가부(160)는 제1 사용자단말(11)의 위치정보 경로안내 상의 경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이탈하는 경우 관제센터로 신고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관제센터는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서나 도로교통공사와 같은 기관을 의미한다. 이는 운전자가 경로안내를 무시하고 이를 이탈하여 승객의 안전의 위험한 경우라 판단하여 관제센터에 이를 모니터링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평가부(160)는 제2 사용자단말(12) 및 그와 연계된 가족과 지인에게도 경로이탈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unit 160 is also capable of reporting to the control center when the route deviates from the route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oute guidance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 by more than a preset distance. Here, the control center refers to an organization such as a police station or road traffic corporation in charge of public security. This is to determine that the driver ignores the route guidance and deviates from it, which is a risk to the safety of passengers, and has the control center monitor this. In this case, the evaluation unit 160 can alert the second user terminal 12 and its associated family members and acquaintances of route departure information in real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recitation of the claims, which are intended to cover obvious modifications that may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관리서버
110 : 식별코드관리부
120 : 목적지관리부
130 : 경로안내실행부
140 : 광고부
150 : 보상부
160 : 평가부
200 : 광고정보
300 : 보상수단
10 : 차량
11 : 제1 사용자단말
12 : 제2 사용자단말
20 : 식별코드
100: Management server
110: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department
120: Destination management department
130: Route guidance execution unit
140: Advertising Department
150: Compensation unit
160: Evaluation department
200: Advertising information
300: Compensation means
10: vehicle
11: first user terminal
12: Second user terminal
20: identification code

Claims (5)

차량의 운전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관리하는 식별코드관리부;
승객이 사용하는 제2 사용자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승객으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거나, 상기 승객의 지인인 제3자가 사용하는 제3 사용자단말로 상기 목적지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링크를 전달하고, 상기 제3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목적지정보를 관리하는 목적지관리부;
상기 목적지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목적지정보로의 경로안내를 실행시키도록 하되,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제1 목적지정보로 상기 경로안내가 실행된 후,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제2 목적지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의 전송을 차단하거나,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운전자가 승인하면 상기 제2 목적지정보로 상기 경로안내를 재실행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로 상기 경로안내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SNS계정에 연결된 상기 제3자에게 상기 경로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기 링크를 제공하는 경로안내실행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상기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목적지정보에 광고정보를 결합하여 제공하되, 상기 목적지정보 주변의 사업체의 상기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광고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광고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시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보상수단을 제공하되, 상기 승객이 상기 차량에 탑승하여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상기 광고정보를 클릭하는 경우 상기 보상수단의 지급을 제한하는 보상부; 및
상기 운전자의 주행에 대한 총운행시간, 평균운행속도 및 신호위반건수를 이용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경로안내 상의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 알람하고, 경로이탈정보를 상기 평가정보에 반영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
an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an identification cod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obtained through a second user terminal used by the passenger,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input and managed from the passenger, or the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input by a third user terminal used by a third party who is an acquaintance of the passenger. a destination management unit that delivers a link and manag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third user terminal;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route guidance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executed, after the route guidance is execu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first destination information. , if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ransmiss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is blocked, or if the driver approves in the first user terminal, the route guidance is re-executed with the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preset distance is exceeded, the route guidance is perform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route guidance executing unit that provides the link through which the route guidance can be provided to the third party connected to the SNS accoun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obtains the identification code, an advertising unit that combines advertising information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advertising information of businesses arou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When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is view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for a preset time, a preset compensation means is provided, but when the passenger gets on the vehicle and clicks on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ore than a preset number, the compensation means is provided. limiting compens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total driving time, average driving speed, and number of signal violations for the driver's driving,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route in the route guidance, it is sent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for a vehicle including an evaluation unit that issues an alarm and reflects route deviation information in the evaluation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서버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관리하는 식별코드관리단계;
승객이 사용하는 제2 사용자단말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승객으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거나, 상기 승객의 지인인 제3자가 사용하는 제3 사용자단말로 상기 목적지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링크를 전달하고, 상기 제3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목적지정보를 관리하는 목적지관리단계;
상기 목적지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목적지정보로의 경로안내를 실행시키도록 하되,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제1 목적지정보로 상기 경로안내가 실행된 후,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부터 제2 목적지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의 전송을 차단하거나, 상기 제1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운전자가 승인하면 상기 제2 목적지정보로 상기 경로안내를 재실행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로 상기 경로안내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의 SNS계정에 연결된 제3자에게 상기 경로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기 링크를 제공하는 경로안내실행단계;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이 상기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목적지정보에 광고정보를 결합하여 제공하되, 상기 목적지정보 주변의 사업체의 상기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광고부;
상기 제2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광고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시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보상수단을 제공하되, 상기 승객이 상기 차량에 탑승하여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상기 광고정보를 클릭하는 경우 상기 보상수단의 지급을 제한하는 보상부; 및
상기 운전자의 주행에 대한 총운행시간, 평균운행속도 및 신호위반건수를 이용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경로안내 상의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 알람하고, 경로이탈정보를 상기 평가정보에 반영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관리방법.
In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server,
An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step of managing an identification code that can communicate with a first user terminal u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obtained through a second user terminal used by the passenger,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input and managed from the passenger, or the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input by a third user terminal used by a third party who is an acquaintance of the passenger. A destination management step of delivering a link and manag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third user terminal;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route guidance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executed, after the route guidance is execu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first destination information. , if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pu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ransmiss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is blocked, or if the driver approves in the first user terminal, the route guidance is re-executed with the secon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preset distance is exceeded, the route guidance is perform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route guidance execution step of providing the link through which the route guidance can be provided to a third party connected to the SNS accoun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obtains the identification code, an advertising unit that combines advertising information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advertising information of businesses arou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When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is view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for a preset time, a preset compensation means is provided, but when the passenger gets on the vehicle and clicks on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ore than a preset number, the compensation means is provided. limiting compens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total driving time, average driving speed, and number of signal violations for the driver's driving,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route in the route guidance, it is sent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 vehicle navigation management method including an evaluation step of raising an alarm and reflecting route departure information in the evaluation information.
KR1020220060181A 2022-05-17 2022-05-17 Management server for navigating of car and method thereof KR1025972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181A KR102597209B1 (en) 2022-05-17 2022-05-17 Management server for navigating of ca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181A KR102597209B1 (en) 2022-05-17 2022-05-17 Management server for navigating of ca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209B1 true KR102597209B1 (en) 2023-11-06

Family

ID=8874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181A KR102597209B1 (en) 2022-05-17 2022-05-17 Management server for navigating of ca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20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8418A (en) * 2008-02-25 2009-09-03 Denso Corp Portable communicator and program for portable communicator
US20090292461A1 (en) * 2008-05-20 2009-11-26 Ibm Corporation Dynamic delivery of waypoint data associated with travel reservations
KR20100070867A (en) * 2008-12-18 2010-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KR20160058606A (en) * 2014-11-17 2016-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navigation device, a system for inputting a location into the navigation device, a method for inputting a location into the navigation device using a terminal device
KR20180044980A (en) * 2015-12-25 2018-05-0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terminal, and server
KR20210096492A (en)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케이에스티모빌리티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assenger transport service
KR102409097B1 (en) * 2021-12-10 2022-06-15 주식회사 코나투스 Method for inputting place of destination of a passenger into navigator of vehi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8418A (en) * 2008-02-25 2009-09-03 Denso Corp Portable communicator and program for portable communicator
US20090292461A1 (en) * 2008-05-20 2009-11-26 Ibm Corporation Dynamic delivery of waypoint data associated with travel reservations
KR20100070867A (en) * 2008-12-18 2010-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KR20160058606A (en) * 2014-11-17 2016-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navigation device, a system for inputting a location into the navigation device, a method for inputting a location into the navigation device using a terminal device
KR20180044980A (en) * 2015-12-25 2018-05-0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terminal, and server
KR20210096492A (en)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케이에스티모빌리티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assenger transport service
KR102409097B1 (en) * 2021-12-10 2022-06-15 주식회사 코나투스 Method for inputting place of destination of a passenger into navigator of vehi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23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able communication
US8001326B2 (en) Portable terminal
KR102270322B1 (en) Motor vehicle comprising driver identification device and driver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r
EP31727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re collection and validation on a transportation network
KR20120024135A (en) Proxy driving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of smart phon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US20130150078A1 (en) Service provision system
KR1019268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arget advertisement based on Customer in Public transportation
JP2007219785A (en) Method and system for taxi fare card-less settlement
KR20130037133A (en) Carpool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device
JP2007005961A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electronic settlement system led by receiver
GB2483094A (en) Taxi location and availability reporting system
JP7083859B2 (e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KR101042126B1 (en) Addi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of communication typ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597209B1 (en) Management server for navigating of car and method thereof
JP2005222481A (en) Taxi management system
JP4694428B2 (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biometric authentication, biometric authentication server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KR101647835B1 (en) Public Transportation advertisement Method and System For Using Beacon
KR1019192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call service
KR102163888B1 (en) Boarding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20060030796A (en) Method for supplying information using license number of car
KR100418095B1 (en)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on vehicles
US20220131859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2020074188A (en) Called party leadership base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electronic settlement system
KR20100068771A (en) System for providing custom-made advertisement as the custom pays a to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09923A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in accordance with advertising ratings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Using Beac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