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001B1 -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001B1
KR102596001B1 KR1020170002098A KR20170002098A KR102596001B1 KR 102596001 B1 KR102596001 B1 KR 102596001B1 KR 1020170002098 A KR1020170002098 A KR 1020170002098A KR 20170002098 A KR20170002098 A KR 20170002098A KR 102596001 B1 KR102596001 B1 KR 102596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topper
retainer
home applianc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942A (ko
Inventor
민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001B1/ko
Priority to EP18150334.3A priority patent/EP3345505B1/en
Priority to US15/862,878 priority patent/US10517397B2/en
Publication of KR2018008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942A/ko
Priority to US16/730,267 priority patent/US1084226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47B88/57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preventing complete withdrawal of the dra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drawer-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2088/401Slides or guides for wire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47B2088/4278Quick-release cli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2B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37Rollers for slides or gu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에 구비된 대상물 수용부를 인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레일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레일은, 상기 저장실에 장착되는 제1레일; 상기 대상물 수용부와 결합되는 제2레일; 제1레일과 제2레일 사이에 구비되는 제3레일; 상기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리테이너;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리테이너; 상기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레일과 제1리테이너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제1스토퍼; 그리고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레일과 제2리테이너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drawer rail and a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나 식기세척기와 같은 가전제품은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선반 또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대상물 수용부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일례로 식기세척기에서의 대상물 수용부는 바스켓이며, 사용자는 바스켓을 잡아 당겨 인출시킨 후 식기를 바스켓에 담거나 바스켓에서 꺼내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바스켓을 밀어 인입시키게 된다.
대상물 수용부의 전후 이동은 다양한 구조에 의해서 가능할 수 있다.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레일 홈과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롤러가 대상물 수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 수용부는 레일 홈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구조는 대상물 수용부의 전후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고 대상물 수용부의 무게가 증가되는 경우 안정적인 작동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식기세척기의 바스켓의 경우에는 매우 무거운 식기들이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바스켓의 전후 이동을 위해서는 매우 견고한 형태의 지지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무거운 식기들을 바스켓에 담거나 꺼낼 때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바스켓은 식기세척기의 본체나 캐비닛 또는 터브로부터 최대한 전방으로 인출될 필요가 있다. 특히, 식기들은 바스켓에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수용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식기들이 전체적으로 세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바스켓이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식기들을 배치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식기세척기의 바스켓은 전체가 터브로부터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바스켓의 상대적으로 큰 이격 거리, 인출 위치 그리고 바스켓과 식기들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매우 견고한 지지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미국공개특허 US2010/0108109A1(이하 "종래 발명"이라 한다)은 식기세척기에서의 드로워 레일을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드로워 레일은 터브에 장착되는 아우터 레일(제1레일)과 바스켓이 장착되는 아우터 레일(제2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레일들 사이에는 이너 레일이 구비되며, 이너레일(제3레일)은 리테이너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을 통해서 아우터 레일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바스켓이 인출될 때 가장 먼저 제2레일과 제3레일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제2레일이 제3레일에 대해서 최대로 이동하게 되면 이후 제3레일이 제1레일에 대해서 최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2단으로 인출하게 되어 인출 거리를 늘릴 수 있고 하중을 견고히 견딜 수 있게 된다.
제1레일, 제2레일 그리고 제3레일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서로 간격을 갖고 결합된다. 따라서, 제1레일, 제2레일 그리고 제3레일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이들 구성들 사이의 간격은 충분한 공차를 갖고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바스켓의 인출과 인입의 빈도가 많아질 수록 그리고 바스켓의 인출에 매우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 레일들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제2레일이 제3레일에 대해서 최대로 이동한 상태나 제3레일이 제1레일에 대해서 최대로 이동한 상태에서 각각의 레일들 사이의 간격이 더욱 크게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레일과 레일 사이의 최대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부터 각 레일의 말단까지의 길이가 증가될 수록 좌우로 벌어질 수 있는 최대 이격 거리가 더욱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바스켓은 제2레일에 장착되고 필요한 경우 제2레일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2레일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드로워 레일은 터브에 장착되고 필요한 경우 터브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드로워 레일은 터브 내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로워 레일을 구성하는 서브 레일들 사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높인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로워 레일과 대상물 수용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로워 레일은 가전제품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가전제품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로워 레일은 가전제품에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로워 레일과 가전제품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드로워 레일과 가전제품에 장착하는 브라켓과 드로워 레일 사이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에 구비된 대상물 수용부를 인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레일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레일은, 상기 저장실에 장착되는 제1레일; 상기 대상물 수용부와 결합되는 제2레일; 제1레일과 제2레일 사이에 구비되는 제3레일; 상기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리테이너;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리테이너; 상기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레일과 제1리테이너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제1스토퍼; 그리고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레일과 제2리테이너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식기세척기일 수 있다.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과 하단에서 측방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면에는 복수 개의 타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동일 사이즈, 동일 형상 그리고 동일한 타공부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공부는 벤딩을 위한 벤딩 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는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벤딩 타공부에서 상기 수직면의 일부를 벤딩하여 형성되는 스토퍼 플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에는 좌우 각각 두 개의 벤딩 타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의 스토퍼 플렌지는 상기 제1레일의 좌측 첫번째 벤딩 타공부와 우측 두번째 벤딩 타공부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제2스토퍼의 스토퍼 플렌지는 상기 제2레일의 좌측 두번째 벤딩 타공부와 우측 첫번째 벤딩 타공부를 통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토퍼의 스토퍼 플렌지 위치는 상기 제2스토퍼의 스토퍼 플렌지 위치와 반전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는 상기 제1리테이너와 제2리테이너에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리테이너와 제2리테이너는, 상부와 하부에 볼이 수용되는 볼 수용부; 그리고 상기 상부 볼 수용부와 하부 볼 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리테이너와 제2리테이너의 좌우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 연결리브와 상기 말단 연결 리브에서 내측에 구비되는 중간 리브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중간 리브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 플렌지와 상기 스토퍼 돌기가 부딪히는 방향은 상기 스토퍼 플렌지의 벤딩 방향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딩 타공부는 최외측에 형성된 타공부보다 내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공부는 상기 드로워 레일을 가전제품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 타공부 그리고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상기 드로워 레일에 장착하기 위한 전방 홀더 타공부 및 후방 홀더 타공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홀더 타공부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부가 형성된 전방 홀더, 그리고 상기 후방 홀더 타공부에 결합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후방 홀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레일에는 상기 제1리테이너와 제2리테이너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리테이너 스토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레일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리테이너가 수용되고 타측에 상기 제2리테이너가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테이너 스토퍼는, 상기 제1리테이너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접촉하도록 전방 리테이너 스토퍼와 후방 리테이너 스토퍼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테이너 스토퍼는, 상기 제2리테이너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접촉하도록 전방 리테이너 스토퍼와 후방 리테이너 스토퍼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테이너 스토퍼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부와 하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는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에 형성되는 스토퍼 플렌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플렌지는, 상기 리테이너 스토퍼와 간섭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간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에 구비된 대상물 수용부를 인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레일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레일은, 상기 저장실에 장착되는 제1레일; 상기 대상물 수용부와 결합되는 제2레일; 제1레일과 제2레일 사이에 구비되는 제3레일; 상기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리테이너;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리테이너; 상기 제1레일에 대해서 상기 제3레일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레일의 전단보다 후방에서 상기 제1레일과 제1리테이너 사이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스토퍼(A점); 그리고 상기 제3레일에 대해서 상기 제2레일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레일의 후단보다 전방에서 상기 제2레일과 제2리테이너 사이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2스토퍼(A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타공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는 양단에 형성되는 타공부보다는 내측에 치우쳐 형성되는 타공부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에 구비된 대상물 수용부를 인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레일과 상기 드로워 레일을 상기 저장실에 장착하도록 구비되는 레일 브라켓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레일 브라켓은, 상기 저장실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개구부를 갖는 브라켓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레일은, 상기 전방 브라켓 후크와 후방 브라켓 후크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레일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후크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레일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 레일의 측방 이동을 제한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홀은 상기 걸림부와 커버부가 상기 레일홀에 모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와 커버부가 상기 레일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 레일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레일홀의 후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브라켓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저장실의 측벽과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저장실의 측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밀착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후크는 상기 융기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브라켓 후크를 형성하기 위한 후크 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후크는 상기 융기부의 일부를 벤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브라켓 후크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레일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스토퍼를 형성하기 위한 스토퍼 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융기부의 일부를 벤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기부는, 상측부, 하측부 그리고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를 상하로 연결하고 상기 후크 타공부와 스토퍼 타공부를 좌우로 구획하는 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비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홀은 전후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후방 레일홀과 전후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전방 레일홀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홀의 후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후방 레일홀의 전단은 상기 스토퍼와 이격되며 상기 전방 레일홀의 전단은 상기 스토퍼와 맞닿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레일홀의 전단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 레일홀 전단의 일부는 상기 스토퍼와 맞닿고 일부는 상기 스토퍼와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홀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서 상하 폭이 일정하게 상기 전단까지 연장되는 직선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융기부의 전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저장실의 측벽과 용접을 위한 용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레일은, 상기 저장실에 장착되는 제1레일; 상기 대상물 수용부와 결합되는 제2레일; 제1레일과 제2레일 사이에 구비되는 제3레일; 상기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리테이너;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리테이너; 상기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제1스토퍼; 그리고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과 하단에서 측방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면에는 복수 개의 타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동일 사이즈, 동일 형상 그리고 동일한 타공부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공부는 상기 레일홀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공부는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상기 드로워 레일에 장착하기 위한 전방 홀더 결합부 및 후방 홀더 결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홀더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수용홈이 형성된 전방 홀더, 그리고 상기 후방 홀더 결합부에 결합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후방 홀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로워 레일을 구성하는 서브 레일들 사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높인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로워 레일과 대상물 수용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로워 레일은 가전제품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가전제품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로워 레일은 가전제품에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로워 레일과 가전제품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 특히, 드로워 레일과 가전제품에 장착하는 브라켓과 드로워 레일 사이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드로워 레일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워 레일 중 제1레일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로워 레일 중 제2레일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와 도 5는 도 1에 드로워 레일 중 리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드로워 레일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드로워 레일이 최대로 인출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드로워 레일이 최대로 인입된 모습에서 리테이너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드로워 레일이 최대로 인출된 모습에서 리테이너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드로워 레일과 바스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드로워 레일의 후방 홀더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드로워 레일의 전방 홀더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드로워 레일을 장착하기 위한 레일 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레일 브라켓과 드로워 레일의 제1레일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드로워 레일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드로워 레일이 장착되는 가전제품은 식기 세척기를 전제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드로워 레일(100)은 제1레일(200), 제2레일(300) 그리고 제3레일(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레일(200)은 저장실 측벽 일례로 식기 세척기의 터브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이라 할 수 있다. 제2레일(300)은 대상물 수용부 일례로 식기 세척기의 바스켓과 결합되는 이동 레일이라 할 수 있다. 즉, 제1레일(200)은 저장실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으며, 제2레일(300)은 저장실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 사이에는 제3레일(400)이 구비된다. 상기 제3레일(400)은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1은 바스켓이 터브 내부로 최대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좌측은 터브의 전방을 의미하며 우측은 터브의 후방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제2레일(300)에는 바스켓(10, 도 10 참조)이 결합되기 위한 홀더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는 바스켓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전방 홀더(600)와 후방 홀더(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2레일(300)에 장착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홀더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레일(300)이 이동됨에 따라 바스켓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드로워 레일은 좌측 드로워 레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 레일은 바스켓의 양쪽에 구비되어 바스켓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허용하게 된다. 물론, 좌측 드로워 레일과 우측 드로워 레일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홀더(700)는 제2레일(300)의 후방 말단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홀더(700)는 제2레일(300)의 후방 말단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레일(300)의 전방 말단에는 캡(700)이 구비된다. 상기 제2레일(300)의 전방 말단은 드로워 레일이 최대로 인출될 때 가장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말단은 날카롭기 때문에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방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캡(700)이 구비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레일(100)에는 리테이너(500, 도 4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500)는 상기 제1레일(200)과 제3레일(400)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500)는 상기 제2레일(300)과 제3레일(400)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500)는 좌우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3레일(400)은 좌우에 각각 상기 리테이너(500)를 수용하게 된다. 좌측 리테이너(500a, 도 6참조)는 제1레일(200)과 좌측 제3레일(400a, 도 6참조) 사이에 구비되며, 우측 리테이너(500b)는 제2레일(300)과 우측 제3레일(400b)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3레일(400)은 서로 대칭되는 좌측 리테이너와 우측 리테이너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레일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드로워 레일(100)을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통해서,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드로워 레일(100)이 바스켓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므로, 좌측 드로워 레일과 우측 드로워 레일을 구성하는 세부 구성들이 서로 다른 경우 제작 및 관리해야 하는 부품이 증가되어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의 형상이나 사이즈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하고 관리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에는 복수 개의 타공부(211, 3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타공부는 형상이나 위치에 따라 각각 기능 및 목적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은 강도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해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은 수직면(210, 310)과 상기 수직면의 상부와 하부에 측방으로 절곡된 절곡면(220, 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면은 제3레일(4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은 긴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를 절곡시켜 절곡면을 형성하고 수직면에는 복수 개의 타공부를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의 사이즈와 형상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복수 개의 타공부 위치와 형상도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타공부를 형성할 때까지 양자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은 스토퍼 플렌지(216, 316)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타공부는 상기 스토퍼 플렌지를 형성하기 위한 벤딩 타공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 타공부(213)는 채널 형상을 갖는 타공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타공부가 형성되지 않은 수직면(210)을 벤딩하여 스토퍼 플렌지(216, 31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플렌지는 후술하는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 플렌지는 상기 수직면(210)에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벤딩되어 상기 제3레일(400)을 향해 연장되게 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200)과 제3레일(300)에는 좌우에 각각 두 개의 벤딩 타공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레일(200)에서는 좌측 첫번째 벤딩 타공부와 우측 두번째 벤딩 타공부에서 스토퍼 플렌지가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 벤딩 타공부에는 벤딩되지 않은 수직면(216a, 316a)가 그대로 유지될 것이다. 그리고, 제2레일(200)에서는 좌측 두번째 벤딩 타공부와 우측 첫번째 벤딩 타공부에서 스토퍼 플렌지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벤딩 타공부에는 벤딩되지 않은 수직면(216a, 316a)가 그대로 유지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플렌지의 위치는 제1레일과 제2레일이 반전 대칭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의 스토퍼 플렌지를 형성하는 벤딩 공정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즉, 동일 벤딩 금형에 제1레일(200)은 순방향으로 투입하고 제2레일(300)은 역방향으로 투입하여 스토퍼 플렌지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순방향과 역방향의 구별은 벤딩 금형에 제1레일과 제2레일을 고정하는 지그를 통해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레일(200)과 제2레일(300)을 제작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상기 복수 개의 타공부(211, 311)은 전술한 벤딩 타공부뿐만 아니라 홀더 타공부(215, 217)와 캡 타공부(21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부(211, 311)은 브라켓 타공부(211, 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타공부(211, 311)는 레일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척 타공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타공부는 복수 개 형성되어 세척수가 유입되어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600, 700)와 캡(700)은 제1레일(200)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레일에 형성되는 홀더 타공부(215, 217)와 캡 타공부(218)에는 홀터와 캡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타공부들은 제2레일에도 형성된다. 따라서, 제2레일에 형성되는 홀더 타공부와 캡 타공부는 홀더와 캡의 장착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제조 편의상 형성되는 더미 타공부라 할 수 있다.
또한, 제1레일(200)이 레일 브라켓을 통해서 터브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제1레일(200)에 브라켓 타공부(211, 212)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타공부들은 제2레일에도 형성된다. 따라서, 제2레일에 형성되는 브라켓 타공부는 레일 브라켓과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제조 편의상 형성되는 더미 타공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더미 타공부들은 세탁 타공부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제1레일과 제2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세척수가 드로워 레일 내부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드로워 레일이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으며 이물질이 드로워 레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리테이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리테이너는 볼을 수용하는 하우징이라 할 수 있다. 즉,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드로워 레일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볼 베어링이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도록 하는 구성을 리테이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500)에는 볼 수용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 수용부(510)에 복수 개의 볼 수용홀(520)이 형성된다. 상기 볼 수용부는(520)는 상기 리테이너(50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볼 수용부와 하부 볼 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530, 540)이 형성된다.
상기 볼 수용홀(520)에서 볼은 상하 관통된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볼의 상부는 제1레일 또는 제2레일의 절곡면에 접하게 되며, 볼의 하부는 제3레일의 절곡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1레일 또는 제2레일은 상기 리테이너(5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볼들을 통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0, 540)는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테이너(500)의 양단 부분에 형성되는 말단 연결 리브(530)와 상기 말단 연결 리브(530)의 내측에 위치되는 중간 리브(5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4 개의 연결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2 개의 중간 리브(54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들 사이의 간격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리브(540) 중 어느 하나에는 스토퍼 돌기(5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돌기(540)는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제1스토퍼를 구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스토퍼 돌기(540)는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 돌기(540)는 전술한 스토퍼 플렌지(216)과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즉, 스토퍼 돌기(540)와 스토퍼 플렌지(216)가 접촉하면 더이상 상기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의 슬라이딩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의 스토퍼 돌기(540)와 스토퍼 플렌지(216)을 제1스토퍼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토퍼 돌기(540)와 스토퍼 플렌지(216)가 접촉하면 더이상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의 슬라이딩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의 스토퍼 돌기(540)와 스토퍼 플렌지(316)를 제2스토퍼라 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500)는 제1레일 내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리테이너(500)는 제3레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를 전제로 상기 제1레일이 제3레일에 대한 이동 가능 거리를 최대로 늘리기 위해서는 상기 리테이너(500)가 제1레일 일단에서 타단까지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500)가 제1레일 일단에서 이탈되거나 타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1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리테이너(500)가 제1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제1레일이 제3레일에 대해서 더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1스토퍼가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레테이너(500)가 제2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제2레일이 제3레일에 대해서 더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2스토퍼가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1스토퍼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즉, 리테이너(500)의 양단에 각각 스토퍼 돌기(540)가 형성되지 않고, 중간 리브(540)에 스토퍼 돌기(540)를 형성하여 스토퍼 돌기(540)를 리테이너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돌기(540)의 위치 그리고 스토퍼 돌기(540)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토퍼 플렌지의 위치로 인해서 제1레일이 제3레일에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레일이 제3레일에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은 드로워 레일(10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인 제3레일(400)은 좌측 레일(400a)와 우측 레일(400b)를 포함하고 있다. 좌측 레일(400a)은 제1레일(200)에 좌측 리테이너(500a)를 통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측 레일(400b)는 제2레일(300)에 우측 리테이너(500b)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레일(200)의 스토퍼 플렌지(216)은 좌측 리테이너(500a)의 스토퍼 돌기(545)와 접촉하여 이동이 제한됨을 알 수 있으며, 제2레일(300)의 스토퍼 플렌지(316)은 우측 리테이너(500b)의 스토퍼 돌기(545)와 접촉하여 이동이 제한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 돌기와 스토퍼 플렌지를 포함하는 제1스토퍼 또는 제2스토퍼는 리테이너의 상하 중간 부분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플렌지는 리테이너의 말단 연결리브를 자유롭게 지나칠 수 있게 되며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중간 리브도 자유롭게 지나칠 수 있게 된다.
제3레일(400)에는 리테이너(500)의 전후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90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900)는 좌측 레일(400a)에 2개소 우측 레일(400b)에 2개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500)는 2개의 스토퍼(900) 사이에서만 이동될 수 있다. 즉, 리테이너(500)가 스토퍼(900)에 접촉하게 되면 더이상 리테이너(500)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스토퍼(900)는 리테이너(500)의 상부와 하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즉, 볼 수용부의 상하부 전단과 상하부 후단이 상기 스토퍼(900)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플렌지(316)와 상기 스토퍼(900) 사이의 접촉은 배제된다.
상기 스토퍼(900)는 체결부(910)와 걸림부(920)를 포함한다. 스토퍼(900)의 상하 중심에 형성된 체결부(910)는 제3레일의 타공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걸림부(9020)는 상기 체결부(910)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리테이너(500)의 전단 또는 후단과 접촉하게 된다.
도 7은 드로워 레일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오른쪽이 터브 후방 그리고 왼쪽이 터브 전방이라 할 수 있다.
제1레일(200)에 대해서 제3레일(400)이 최대로 인출되어 있으며, 제3레일에 대해서 제2레일(300)이 최대로 인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드로워 레일이 최대 인입 상태와 최대 인출 상태에서 리테이너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른쪽이 터브 전방이며 왼쪽이 터브 후방이라 할 수 있다.
드로워 레일이 최대 인입된 상태에서 좌측 리테이너(500a)의 전단은 스토퍼(800a)와 접촉하고 좌측 리테이너(500a)의 스토퍼 돌기는 제1레일의 스토퍼 플렌지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좌측 리테이너(500a)와 제3레일(400)의 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드로워 레일(100)이 최대 인입된 상태에서 우측 리테이너(500b)의 후단은 스토퍼(800b)와 접촉하고 우측 리테이너(500b)의 스토퍼 돌기는 제2레일(300)의 스토퍼 플렌지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우측 리테이너(500b)와 제2레일(300)의 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드로워 레일이 최대 인입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 제2레일 그리고 제3레일이 중첩된 구간이 매우 길다. 따라서, 이들 사이의 결합력이 상하 좌우 매우 견고하다. 즉, 이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하더라도 외부 힘에 의해서 이들 사이의 간격이 더욱 벌어져 서로 분리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레일이 최대 인출 상태에서는 제1레일, 제2레일 그리고 제3레일이 중첩된 구간은 없고, 제1레일과 제3레일의 중첩구간과 제2레일과 제3레일의 중첩 구간만 발생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첩 구간도 매우 짧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데 외부 힘에 의해서 이들 사이의 간격이 더욱 벌어져 서로 분리되기 쉬울 수 있다.
따라서, 제1스토퍼를 제1레일(200)의 말단과 좌측 리테이너(500a)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 제1스토퍼를 제1레일(200)의 말단과 좌측 리테이너(500a)의 말단(B지점)에 위치시키는 경우, D 거리만큼의 변형 가능 구간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1레일(200)과 제3레일(400)이 서로 벌어질 수 있는 구간이 매우 길어지게 된다. 일단이 고정단이고 타단이 켄틸레버인 경우 동일 하중이 가해졌을 때 타단의 변위는 켄틸레버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반면, 제1스토퍼의 위치를 A 지점으로 위치시키는 경우, d 거리만큼의 변형 가능 구간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켄틸레버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갖게 되므로, 제1레일(200)과 제3레일(400) 사이가 벌어지는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2스토퍼에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제2레일(300)과 제3레일(400) 사이가 벌어지는 변위를 제2스토퍼의 위치 변화를 통해서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의 위치 변화는 스토퍼 플렌지의 벤딩 방향이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만약 스토퍼 플렌지가 제1레일 또는 제2레일의 말단에 형성되는 경우 벤딩 방향은 제1레일과 제2레일의 내부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플렌지에 리테이너가 접촉하여 밀어내는 방향은 제1레일과 제2레일의 외부 방향이다. 즉, 벤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서 스토퍼의 기능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스토퍼 플렌지를 제1레일 또는 제2레일의 말단이 아닌 내측에 형성하는 경우 벤딩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레일과 제2레일의 외측 방향으로 벤딩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벤딩 방향은 일치하게 된다. 금속 벤딩 구조의 강도 특성상 벤딩 방향으로의 힘을 지지하는 것이 벤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지지하는 것보다 매우 유리하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서 스토퍼가 효과적으로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드로워 레일(100)과 바스켓(10)의 결합 및 분리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바스켓(10)이 터브에 최대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바스켓(10)의 일측 즉 좌측 또는 우측에는 적어도 2개소의 지지점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2개소의 지지점은 바스켓(10)과 드로워 레일(100)의 결합 개소를 의미한다. 바스켓(10)의 일부분이 드로워 레일(100) 특히 제2레일(300) 위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착 지점들은 하중 방향으로만 지지될뿐 전후 방향과 상부 방향으로의 지지는 가능하지 않다.
상기 지지점은 후방 홀더(700)와 제1돌기(11)에 의한 지지점과 전방 홀더(600)와 제2돌기(12)에 의한 지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11)와 제2돌기(12)는 바스켓(10)에서 측방 즉 드로워 레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11)는 후방 홀더(700)에 결합되고 제2돌기(12)는 전방 홀더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홀더(700)는 바스켓(10)을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방 홀더(700)에 제1돌기(11)가 삽입되어야 하므로 삽입 방향으로의 지지 허용 한계가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지지 허용 한계보다 크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돌기(11)의 삽입 방향은 후방에서 전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스켓(10)을 잡아 당기면서 제1돌기(11)가 후방 홀더(7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방 홀더(700)는 바스켓(10)의 인출 방향으로 보다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전방 홀더(600)는 바스켓(10)을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방 홀더(600)에 제2돌기(12)가 삽입되어야 하므로 삽입 방향으로의 지지 허용 한계가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지지 허용 한계보다 크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돌기(12)의 삽입 방향은 상부에서 하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스켓(10)을 내리면서 제2돌기(12)가 전방 홀더(6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방 홀더(600)를 통해서 바스켓(10)의 전후 방향 지지가 매우 견고해 진다.
제1돌기(11)과 후방 홀더(700)의 결합 방향과 제2돌기(12)와 전방 홀더(600)의 결합 방향이 다름으로 인해 양자의 결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즉, 후방 바스켓(10)의 후방을 하부 그리고 전방을 상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바스켓(10)을 잡아 당기면 제1돌기(11)가 후방 홀더(700)에 결합된다. 이후, 바스켓 전방을 하방으로 내리면 제2돌기(12)가 전방 홀더(600)에 결합된다. 여기서, 바스켓(10)을 잡아 당긴다는 것은 드로워 레일(100)이 인출된 이후이므로 터브 밖에서 바스켓(10)을 드로워 레일(100)에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물론, 양자의 분리 순서는 이와는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방 홀더(7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후방 홀더(700)는 수직면(710)과 수직면의 상부와 하부에 굴곡면(730)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면(710)은 제2레일(300)의 수직면과 맞닿게 되며 굴곡면(730)은 제2레일(300)의 굴곡면을 상부와 하부를 덮게 된다. 상기 후방 홀더(700)는 제2레일(300)의 후단에 장착되므로 제2레일(300)에서 후단에서 후방으로 이탈되거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직면(710)에는 돌기(72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720)는 제2레일(300)에 형성되는 후방 홀더 타공부(217)에 삽입된다.
상기 후방 홀더(700)는 제1돌기(11)가 삽입되는 삽입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740)는 삽입 방향으로 상하 폭이 감속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 리브(741)와 하부 리브(742)가 구비되며, 상부 리브(741)와 하부 리브(742) 사이에 삽입부(7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740)에는 제1돌기(11)가 억지 끼움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74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리브(741)에는 걸림턱(74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743)에 제2레일의 말단이 접촉하여 후방 홀더(700)가 제2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더욱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바스켓(10)을 잡아당길 때, 상기 걸림턱(743)에 의해서 후방 홀더(70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740)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후방 홀더(700)는 좌우 드로워 레일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전방 홀더(6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방 홀더(600)는 수직면(610)과 수직면의 상부에 굴곡면(630)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면(610)은 제2레일(300)의 수직면과 맞닿게 되며 굴곡면(630)은 제2레일(300)의 굴곡면을 상부를 덮게 된다. 상기 전방 홀더(600)는 제2레일(300)의 중간 부분에 장착되므로 제2레일(300)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직면(610)에는 돌기(62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720)는 제2레일(300)에 형성되는 전방 홀더 타공부(215)에 삽입된다.
상기 전방 홀더(600)는 제2돌기(12)가 삽입되는 삽입부(65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650)는 삽입 방향(하부 방향)으로 좌우 폭이 감속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좌우 리브(653)가 구비되며, 좌우 리브(653) 사이에 삽입부(6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650) 하부에는 제2돌기(11)가 안착되는 안착부(652)가 형성된다. 상기 좌우 리브는 제2돌기(12)가 삽입될 때 좌우 폭이 증가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기(12)가 삽입되어 안착부(652)에 안착되면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돌기(12)가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제2돌기(12)는 좌우 리브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강제로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를 통해서 좌우 리브의 간격을 넓히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삽입부(652)의 좌우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6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부(740)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전방 홀더(600)는 좌우 드로워 레일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방 홀더(600)와 후방 홀더(70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되므로 자체적인 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체의 구조 그리고 이에 형합되는 제2레일의 구조 및 타공부들을 통해서 별도의 체결 수단이 없더라도 제2레일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드로워 레일(100)이 터브에 장착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13에는 드로워 레일(100)을 터브에 장착하기 위한 레일 브라켓(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레일 브라켓(20)은 터브의 측면에 고정되며 레일 브라켓(20)에 드로워 레일(100)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200)이 레일 브라켓(20)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드로워 레일(100)이 레일 브라켓(20)에 결합된다.
상기 레일 브라켓(20)은 다양한 방법으로 터브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신뢰성이 있는 결합을 위해서 용접을 통해서 레일 브라켓(20)이 터브 측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레일 브라켓(20)에는 용접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브라켓(20)은 바디(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30)는 상기 저장실의 측벽과 밀착되는 밀착부(50)와 상기 저장실의 측벽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밀착부(5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융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융기부(40)의 전후에 밀착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50)에 복수 개의 용접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브라켓(20)에는 상기 바디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브라켓 후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후크(42)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개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 후크(42)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레일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44)와 상기 걸림부(44)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 레일의 측방 이동을 제한하는 커버부(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3)는 상기 걸림부(44)에 대해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후크(42)는 후크 타공부(41)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후크 타공부(41)를 통해서 융기부(40)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 후크(42)는 상기 융기부(4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기부(40)에는 상기 브라켓 후크(42)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레일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형성을 위해 상기 융기부(40)에는 스토퍼 타공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융기부의 일부를 벤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기부(40)는 상측부(48)와 하측부(4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부와 하측부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9)는 상기 후크 타공부(41)와 스토퍼 타공부(45)를 좌우로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후크(42)에는 드로워 레일(100)을 통해서 하부로 하중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부(48)와 하측부(47)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부(48)와 하측부(47)에는 비드(49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드는 전후로 형성되며 측방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드를 통해서 비틀림 저항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일 브라켓(20)은 상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구조를 통해서 좌우 양쪽의 레일 브라켓(20)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레일 브라켓(20)에 드로워 레일(100) 중 제1레일(200)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제1레일(200)에는 브라켓 후크(42)가 삽입되기 위한 후크 타공부(211, 212)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 타공부의 크기는 브라켓 후크(4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브라켓 후크(42)가 후크 타공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 후크(42)가 후크 타공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제1레일(200)을 잡아당기면, 상기 커버부(43)가 제1레일의 수직면(210)을 덮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44)가 후크 타공부의 일단(211d, 212d)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더이상 제1레일이 잡아 당겨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레일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후크 타공부의 타단(211c, 212c)은 상기 스토퍼(4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레일이 레일 브라켓과 분리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레일이 레일 브라켓과 결합 완료된 후 후방 이격이 허용되어야 하는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후크 타공부의 타단과 스토퍼(46) 사이에 이격을 허용할지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이격 허용은 추후 제1레일과 레일 브라켓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격 허용으로 인해 바스켓의 인출 시 후크 타공부의 타단과 스토퍼가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후크 타공부의 타단과 스토퍼 사이에는 이격을 허용하고 다른 하나의 후크 타공부의 타단과 스토퍼는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후크 타공부의 타단과 스토퍼의 접촉에 의해서 제1레일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소음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후크 타공부의 크기가 다른 하나의 후크 타공부의 크기보다 크게 된다.
상기 스토퍼와 후크 타공부의 타단과의 접촉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1레일이 저장실 측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동은 분리를 위해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서 이러한 이동은 제1레일의 전방에서 수행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사용자의 힘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 타공부 중 전방의 후크 타공부의 타단에는 단차부가(212e)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부에 의해서 후크 타공부의 일부는 스토퍼에 접촉하고 일부는 스토퍼와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에 공구를 삽입하여 제1레일을 측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레일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후방의 후크 타공부에서 브라켓 후크가 분리될 수 있다.
후방 후크 타공부도 측방으로 이동되어야 스토퍼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후방 후크 타공부의 타단은 스토퍼와 이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전방 후크 타공부보다는 후방 후크 타공부의 크기가 더욱 큰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 타공부는 전방의 경사부(212a)와 후방의 수평부(212b)를 포함한다. 경사부는 상하 폭이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수평부는 상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후크가 후크 타공부의 경사부를 타고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평부까지 이동될 수 있다.
10 : 바스켓 20 : 레일 브라켓
100 : 드로워 레일 200 : 제1레일
300 : 제2레일 400 : 제3레일
500 : 리테이너 600 : 전방 홀더
700 : 후방 홀더 800 : 캡
900 : 스토퍼

Claims (22)

  1. 저장실에 구비된 대상물 수용부를 인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레일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레일은,
    상기 저장실에 장착되는 제1레일;
    상기 대상물 수용부와 결합되는 제2레일;
    제1레일과 제2레일 사이에 구비되는 제3레일;
    상기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리테이너;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리테이너;
    상기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레일과 제1리테이너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제1스토퍼; 그리고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허용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레일과 제2리테이너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복수 개의 타공부가 형성되는 수직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공부는
    상기 드로워 레일을 가전제품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 타공부, 및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상기 드로워 레일에 장착하기 위한 전방 홀더 타공부 및 후방 홀더 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상기 수직면의 상단과 하단에서 측방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동일 사이즈, 동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벤딩을 위한 벤딩 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는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벤딩 타공부에서 상기 수직면의 일부를 벤딩하여 형성되는 스토퍼 플렌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에는 좌우 각각 두 개의 벤딩 타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의 스토퍼 플렌지는 상기 제1레일의 좌측 첫번째 벤딩 타공부와 우측 두번째 벤딩 타공부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제2스토퍼의 스토퍼 플렌지는 상기 제2레일의 좌측 두번째 벤딩 타공부와 우측 첫번째 벤딩 타공부를 통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의 스토퍼 플렌지 위치는 상기 제2스토퍼의 스토퍼 플렌지 위치와 반전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는 상기 제1리테이너와 제2리테이너에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테이너와 제2리테이너는,
    상부와 하부에 볼이 수용되는 볼 수용부; 그리고
    상기 상부 볼 수용부와 하부 볼 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리테이너와 제2리테이너의 좌우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 연결리브와 상기 말단 연결 리브에서 내측에 구비되는 중간 리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중간 리브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플렌지와 상기 스토퍼 돌기가 부딪히는 방향은 상기 스토퍼 플렌지의 벤딩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타공부는 최외측에 형성된 타공부보다 내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홀더 타공부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부가 형성된 전방 홀더, 그리고 상기 후방 홀더 타공부에 결합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후방 홀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레일에는 상기 제1리테이너와 제2리테이너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리테이너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레일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리테이너가 수용되고 타측에 상기 제2리테이너가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스토퍼는, 상기 제1리테이너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접촉하도록 전방 리테이너 스토퍼와 후방 리테이너 스토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스토퍼는, 상기 제2리테이너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접촉하도록 전방 리테이너 스토퍼와 후방 리테이너 스토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스토퍼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부와 하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는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에 형성되는 스토퍼 플렌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플렌지는, 상기 리테이너 스토퍼와 간섭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중간 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KR1020170002098A 2017-01-05 2017-01-05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596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098A KR102596001B1 (ko) 2017-01-05 2017-01-05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EP18150334.3A EP3345505B1 (en) 2017-01-05 2018-01-04 Home appliance including a drawer rail
US15/862,878 US10517397B2 (en) 2017-01-05 2018-01-05 Drawer rail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US16/730,267 US10842268B2 (en) 2017-01-05 2019-12-30 Drawer rail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098A KR102596001B1 (ko) 2017-01-05 2017-01-05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942A KR20180080942A (ko) 2018-07-13
KR102596001B1 true KR102596001B1 (ko) 2023-11-01

Family

ID=6092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098A KR102596001B1 (ko) 2017-01-05 2017-01-05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517397B2 (ko)
EP (1) EP3345505B1 (ko)
KR (1) KR102596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90349A1 (en) * 2014-07-15 2017-02-02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Sliding bracket
WO2020132823A1 (zh) * 2018-12-24 2020-07-0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滑动结构、碗篮及洗碗机
CN113834270B (zh) * 2020-06-08 2022-12-2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USD1008793S1 (en) * 2021-07-20 2023-12-26 Julius Blum Gmbh Furniture fitting
US20230225507A1 (en) * 2022-01-17 2023-07-20 DICKSON FURNITURE INTERNATIONAL, LLC dba AVALON FURNITURE Extension limiter, reinforced stopper and spacer for drawer glid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0523A1 (en) * 2004-01-09 2005-07-14 Schock Metallwerk Gmbh Device incorporating a chamber through which fluid is adapted to flow and the use of a drawer guide in such a device
US20150201754A1 (en) 2014-01-17 2015-07-23 King Slide Technology Co., Ltd. Slid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8198A (en) * 1969-08-15 1971-06-28 Lyon Metal Products Inc Suspension system for filing cabinet
US3771849A (en) * 1972-03-06 1973-11-13 Standard Precision Inc Bayonet-mounting means for sliding drawers
US5980007A (en) * 1997-04-23 1999-11-09 Accuride International, Inc. Drawer slide undermount bracket with flexible locking tab
DK1158185T3 (da) * 2000-05-26 2005-12-19 Hettich Paul Gmbh & Co Hurtigfastgörelseselement
US6938617B2 (en) * 2002-07-10 2005-09-06 Accuride International Inc. Oven assembly with slides
US7216646B2 (en) * 2002-07-10 2007-05-15 Accuride International Inc. Oven rack with slide assembly
DE102004001402A1 (de) * 2004-01-09 2005-08-04 Schock Metallwerk Gmbh Vorrichtung mit einer von einem Fluid durchströmbaren Kammer und Verwendung einer Auszugsführung in einer solchen Vorrichtung
US20050231083A1 (en) * 2004-04-15 2005-10-20 Garcie Kent C Jr Undermount drawer slide
US20060250058A1 (en) * 2005-03-29 2006-11-0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Utensil Rack and Slides Therefor
DE102005021591A1 (de) * 2005-05-10 2006-11-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Teleskopauszug
KR20070076661A (ko) * 2006-01-19 2007-07-25 박윤식 롤 성형에 의한 스테인레스 강 슬라이드의 제조방법
US8056996B2 (en) * 2006-09-01 2011-11-15 General Electric Company Support assembly for an appliance storage bin or storage shelf
US20090050186A1 (en) * 2007-08-24 2009-02-26 Distinctive Appliances, Inc. (Dba Dacor) Dishwasher with adjustable wash basket
US20090074334A1 (en) * 2007-09-13 2009-03-19 Juan Teng-Yi Concealed Slide Assembly
MX2008006644A (es) * 2008-05-22 2009-11-23 Mabe Sa De Cv Sistema de nivelacion para panel o cajon.
US8882351B2 (en) * 2010-08-20 2014-11-11 Paul Hettich Gmbh & Co. Kg Pull-out guide
DE102011051126A1 (de) * 2011-06-17 2012-12-20 Schock Metallwerk Gmbh Auszugführung und Auszugsvorrichtung
KR101299064B1 (ko) * 2011-06-23 2013-08-27 박윤식 레일 고정 장치
US20130152983A1 (en) * 2011-12-19 2013-06-20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for mounting a rack in a dishwasher
US9282877B2 (en) * 2012-03-21 2016-03-1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a pivot system for a dish rack
KR20130117369A (ko) * 2012-04-17 2013-10-28 (주)세고스 슬라이더
US8915560B2 (en) * 2012-11-27 2014-12-23 Whirlpool Corporation Twist-preve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 rack in a dishwasher
US10022037B2 (en) * 2013-02-04 2018-07-1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dish rack
US9022496B2 (en) * 2013-03-20 2015-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Vertically adjustable shelf support assembly for an appliance
KR101481655B1 (ko) * 2013-05-02 2015-01-13 (주)세고스 슬라이더
CN105208895A (zh) * 2013-06-11 2015-12-30 Segos株式会社 球保持架、包括该球保持架的滑动装置以及球保持架制造用模具
DE102013211560B4 (de) * 2013-06-19 2023-09-28 BSH Hausgeräte GmbH Baukasten zum wahlweisen Herstellen eines Leichtlaufauszugs oder eines Schienenauszugs für eine Spülgutaufnahme einer Geschirrspülmaschine, Spülbehälter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und Geschirrspülmaschine
DE102013222576A1 (de) * 2013-11-06 2015-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KR20150081744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9833123B2 (en) * 2014-01-08 2017-12-0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mounting a slide rail in a dishwasher appliance
DE102014226820A1 (de) * 2014-12-22 2016-06-23 BSH Hausgeräte GmbH Unterkorb für ein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mit Unterkorb-Anhebung
KR102383287B1 (ko) 2015-06-29 2022-04-05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소스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0159344B2 (en) * 2016-08-23 2018-12-25 Grass America, Inc. Pull-out guide
CN105508422A (zh) * 2016-01-27 2016-04-20 无锡海达尔精密滑轨股份有限公司 三排滚珠滑轨
US9596931B1 (en) * 2016-04-18 2017-03-21 Clairson, Inc. Basket and rail assemblies
DE102016225086A1 (de) * 2016-12-15 2018-06-21 BSH Hausgeräte GmbH Anordnung für ein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Drahtkorb sowie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derartigen Anordn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0523A1 (en) * 2004-01-09 2005-07-14 Schock Metallwerk Gmbh Device incorporating a chamber through which fluid is adapted to flow and the use of a drawer guide in such a device
US20150201754A1 (en) 2014-01-17 2015-07-23 King Slide Technology Co., Ltd. Slid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28961A1 (en) 2020-04-30
US20180184807A1 (en) 2018-07-05
US10842268B2 (en) 2020-11-24
US10517397B2 (en) 2019-12-31
KR20180080942A (ko) 2018-07-13
EP3345505B1 (en) 2020-03-11
EP3345505A1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001B1 (ko)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668746B1 (ko)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US9549660B2 (en) Dishwasher
KR20150081744A (ko) 식기세척기
CN104736935B (zh) 拉出导向件、家用器具和家具、以及附加成套工具
CN101963433A (zh) 冰箱抽屉以及具有这种抽屉的冰箱
US20130263896A1 (en) Silverware basket with features for assisting removal of the silverware basket from a dishwasher appliance
US11930986B2 (en) Dishwasher
KR102641374B1 (ko) 식기세척기
KR20210033373A (ko)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102057985B1 (ko) 냉장고
KR102572080B1 (ko) 식기세척기
EP4056867A1 (en) Ball bearing roller assembly
JP5711286B2 (ja) 組立式収納体
KR101685807B1 (ko) 냉장고
SE540276C2 (en) Guide adapted to support a container, a storage system and an attachable plug
KR20210033307A (ko)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20210054973A (ko) 식기선반
KR20210014287A (ko)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CN112839560A (zh) 家用洗碗机
KR20020000541A (ko) 식기건조대
KR19980033530U (ko) 바스켓스톱퍼를 갖는 식기세척기
JP2007130125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