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380B1 -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380B1
KR102594380B1 KR1020210087321A KR20210087321A KR102594380B1 KR 102594380 B1 KR102594380 B1 KR 102594380B1 KR 1020210087321 A KR1020210087321 A KR 1020210087321A KR 20210087321 A KR20210087321 A KR 20210087321A KR 102594380 B1 KR102594380 B1 KR 102594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t
strip
drawer
support pie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6292A (ko
Inventor
이재원
김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포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포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포엘
Priority to KR102021008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3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6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305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devices or blood samp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0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means for indicating when used correctly or incorrectly; means for alar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61B2560/0425Ergonomically shaped hou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abet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채혈 기능과 혈당 분석 기능을 하나의 본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어서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고 스트립과 란셋의 탈착이 용이하여 시각장애인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Onebody type glucometer}
본 발명은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채혈 기능과 혈당 분석 기능을 하나의 본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당뇨병 환자를 비롯하여 예비 당뇨 환자들은 본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주기적인 혈당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혈당 검사를 위해 사용자는 휴대용 혈당 측정 장치를 이용한다.
혈당은 혈액중에 함유된 글루코오스(glucose)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에서 채혈된 혈액을 스트립 또는 측정 검사지라 불리는 바이오센서에 묻혀주는 과정을 통해 분석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혈당 측정을 위해서는 혈당 측정 장치, 채혈기는 물론 스트립과 란셋을 각각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보관과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시각장애인의 경우 란셋을 채혈장치에 장착하고 빼내는 과정, 스트립을 측정 장치에 끼우고 빼내는 과정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혈당 측정을 위해 필요한 채혈기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16070호(2020.02.14. '무통 채혈기') 등이 있고, 혈당 측정 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95198호(2011.08.24. '스트립 수납 장치를 가지는 혈당 측정기 및 스트립 보관 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채혈 기능과 혈당 분석 기능을 하나의 본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고 스트립과 란셋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도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는, 측면으로 서랍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랍장착공간 내측으로 란셋결합부와 스트립접속포트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서랍장착공간에 장착되어 진출입하며, 란셋이 장착되는 란셋장착공간과 스트립이 장착되는 스트립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장착서랍; 및 상기 란셋결합부에 결합되는 란셋을 작동시켜 타격이 이루어지게 하는 슈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서랍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측 공간이 란셋장착공간과 스트립장착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란셋장착공간의 전방으로 란셋출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장착공간의 전방으로 스트립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서랍본체; 상기 서랍본체의 란셋장착공간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란셋장착공간에 장착된 란셋을 밀착 지지하는 란셋지지편; 및 상기 서랍본체의 스트립장착공간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장착공간에 장착된 스트립을 밀착 지지하는 스트립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란셋결합부 양측에는 상기 란셋지지편의 후방이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접속포트의 양측에는 상기 스트립지지편의 후방이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란셋지지편과 상기 스트립지지편의 전방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전방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서랍본체가 후퇴할 때 상기 란셋지지편의 전방걸림부가 란셋을 밀어 함께 후퇴시키고, 상기 스트립지지편의 전방걸림부가 스트립을 밀어 함께 후퇴 시키되, 상기 란셋지지편의 후방과 상기 스트립지지편의 후방이 상기 란셋지지편접촉면과 상기 스트립지지편접촉면에 접촉된 상태로 후퇴하면, 상기 란셋지지편의 전방 부분이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란셋의 구속이 해제되고, 상기 스트립지지편의 전방 부분도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스트립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스트립의 전방이 상기 스트립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의 란셋결합부 측면에는 측면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란셋결합부는 란셋결합부스프링에 의해 상기 본체 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슈팅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슈팅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란셋결합부의 측면후크에 걸리는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란셋결합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슈팅부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란셋결합부에 란셋이 결합되면서 후퇴하면 상기 측면후크가 상기 걸림후크에 걸리면서 상기 란셋결합부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슈팅버튼을 눌러 상기 걸림후크의 밀착이 해제되면 상기 란셋결합부에 결합된 란셋이 상기 란셋결합부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 상기 스트립접속포트와 상기 란셋결합부에 결합된 스트립과 란셋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서랍본체의 란셋장착공간과 스트립장착공간의 후방에는 각각 인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장착서랍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인출돌기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란셋결합부에 결합되어 있던 란셋과 상기 스트립접속포트에 결합되어 있던 스트립을 밀어 전방으로 함께 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는 본체 결합되는 장착서랍에 란셋과 스트립을 장착시킨 후 채혈과 혈액 분석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서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다. 즉 종래에는 채혈기, 혈당분석기, 스트립보관함, 란셋보관함을 각각 준비해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장착서랍의 보관공간에 여분의 란셋과 스트립을 보관하면 되고,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하나만으로 채혈과 혈당 분석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어서 보관과 휴대가 간편해지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채혈기에 란셋을 장착시키는 과정, 혈당분석기에 스트립을 장착시키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웠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는 란셋장착공간과 스트립장착공간에 각각 란셋과 스트립을 장착시킨 후 장착서랍을 본체에 밀어넣기만 하면 란셋의 장착과 타격, 그리고 스트립의 접속이 한 번에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을 마치면 장착서랍을 개방한 후 인출부를 통해 스트립과 란셋을 동시에 빼내어 휴지통에 털어냄으로써 소모품의 폐기 절차도 간편하다. 따라서 조그마한 채혈기에 란셋을 정확히 장착시키고 빼내거나, 혈당분석기의 조그마한 구멍에 스트립을 정확히 끼워넣고 빼낼 필요가 없어서 시각장애인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장착서랍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장착서랍이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란셋이 장착서랍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스트립이 장착서랍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사용을 마친 스트립과 란셋이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스트립접속포트와 인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장착서랍과 스트립접속포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장착서랍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장착서랍이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4는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란셋이 장착서랍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5는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스트립이 장착서랍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6은 도1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사용을 마친 스트립과 란셋이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1)는 크게 본체(10), 장착서랍(20), 슈팅부(50) 및 인출부(6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 다루어지는 구성 이름 뒤에 표기된 A 또는 B는 장착서랍(20)의 스트립지지편(32)과 연관되는 구성 이름과, 란셋지지편(42)과 연관되는 동일 구성 이름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일 뿐 특별한 의미를 갖지는 아니한다.
본체(10)는 장착서랍(20)을 감싸 보호하고, 장착서랍(20)에 장착된 스트립(70)을 통해 혈당 분석을 실시한 후 이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해 주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체(10) 외부에는 분석 정보 등을 화면 출력해주는 디스플레이(11)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10)의 내부에는 서랍장착공간(12)이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10)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장착서랍(20)이 서랍장착공간(12)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 양측으로는 장착서랍(2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서랍이동레일(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10) 내부에는 장착서랍(20)의 스트립장착공간(30)과 대응하는 위치에 스트립접속포트(14)가 마련되어 있고, 란셋장착공간(40)과 대응하는 위치에 란셋결합부(15)가 마련되어 있다.
란셋결합부(15)는 란셋(80)이 결합될 시 끼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며, 란셋결합부(15)의 일측면에는 측면후크(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란셋결합부(15)는 란셋결합부스프링(16)에 의해 본체(10) 내부의 벽면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스트립접속포트(14)의 양측에는 전방(본체의 바깥 방향을 말함)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스트립지지편접촉면(17)이 형성되어 있고, 란셋결합부(15)의 양측에도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란셋지지편접촉면(18)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립지지편접촉면(17)과 란셋지지편접촉면(18)의 역할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한다.
또한 본체(10)의 상부에는 전후방으로 길게 슬라이딩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홈(19)을 통해 인출부(60)의 슬라이딩블록(61)이 본체(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장착서랍(20)은 본체(10)의 서랍장착공간(12)에 장착되어 본체(10) 내외부로 진출입 가능하며, 장착서랍(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스트립(70)과 란셋(80)이 장착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서랍(20)은 크게 서랍본체(21), 스트립지지편(32) 및 란셋지지편(42)을 포함한다.
서랍본체(2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서랍본체(21)는 도면상 위쪽으로부터 보관공간(22), 스트립장착공간(30) 및 란셋장착공간(40)으로 구획되어 있다. 보관공간(22)은 여분의 스트립(70)이나 란셋(80)이 보관되는 공간이며, 스트립장착공간(30)은 분석을 위해 필요한 스트립(70)이 장착되는 공간이고, 란셋장착공간(40)은 채혈을 위해 필요한 란셋(80)이 장착되는 공간이다.
또한 서랍본체(21)에서 스트립장착공간(30)의 전방으로 스트립노출공(31)이 형성되어 있고, 란셋장착공간(40)의 전방으로는 란셋출입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립지지편(32)은 전후방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스트립장착공간(30)을 이루는 양쪽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한쌍이 설치된다. 또한 스트립장착공간(30)의 양측에 설치되는 스트립지지편(3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태로 휘어지거나 일정 각도 꺾인 형태로 제작되고 후방의 일정 지점에서 고정힌지A(36)에 의해 서랍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스트립지지편(32)의 전방은 복원스프링A(35)에 의해 스트립장착공간(30)의 양쪽 벽면에 지지된 상태이다.
또한 스트립지지편(32)의 전방은 스트립장착공간(30)의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된 전방걸림부A(33)가 형성되어 있고, 스트립지지편(32)의 후방은 스트립장착공간(30)의 바깥을 향하도록 돌출된 후방걸림부A(34)가 형성되어 있다.
란셋지지편(42)은 전후방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란셋장착공간(40)을 이루는 양쪽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한쌍이 설치된다. 또한 란셋장착공간(40)의 양측에 설치되는 란셋지지편(4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태로 휘어지거나 일정 각도 꺾인 형태로 제작되고 후방의 일정 지점에서 고정힌지B(46)에 의해 서랍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란셋지지편(42)의 전방은 복원스프링B(45)에 의해 란셋장착공간(40)의 양쪽 벽면에 지지된 상태이다.
또한 란셋지지편(42)의 전방은 란셋장착공간(40)의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된 전방걸림부B(43)가 형성되어 있고, 란셋지지편(42)의 후방은 란셋장착공간(40)의 바깥을 향하도록 돌출된 후방걸림부B(44)가 형성되어 있다.
슈팅부(50)는 장착서랍(20)의 란셋장착공간(40)에 장착된 란셋(80)이 서랍본체(21) 전방의 란셋출입공(41)을 통해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슈팅부(50)는 슈팅버튼(51), 연장부(52), 슈팅부힌지(53), 걸림후크(54) 및 슈팅부스프링(55)을 포함한다.
슈팅버튼(51)은 본체(10)의 측면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본체(10) 내부에서는 슈팅버튼(51)에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연장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연장부(52)의 종단부에는 걸림후크(54)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후크(54)는 란셋결합부(15) 측면에 밀착된 상태이다. 또한 연장부(52)의 일 지점은 슈팅부힌지(53)에 의해 본체(10)의 내측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슈팅부힌지(53)를 기준으로 슈팅버튼(51)이 형성되는 연장부(52)의 후방 일정 지점에 슈팅부스프링(55)이 설치되어 있다. 즉 슈팅부스프링(55)은 연장부(52)와 본체(1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인출부(60)는 스트립접속포트(14)에 삽입된 스트립(70)과, 란셋결합부(15)에 삽입된 란셋(80)을 동시에 인출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슬라이딩블록(61), 스트립푸시부(62) 및 란셋푸시부(6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블록(61)은 본체(10) 상부의 슬라이딩홈(19)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본체(10) 내부에서는 슬라이딩블록(61)으로부터 양쪽 방향으로 갈라져서 연장되는 형태로 스트립푸시부(62)와 란셋푸시부(63)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스트립푸시부(62)와 란셋푸시부(63)는 각각 스트립접속포트(14)와 란셋결합부(15)의 후방 벽체를 관통하여 출입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슈팅부(50)와 인출부(60)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다루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1)를 이용하여 란셋(80)과 스트립(70)을 장착한 한 후, 채혈과 혈당 분석을 실시하고, 사용을 마친 란셋(80)과 스트립(70)을 제거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토록 한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서랍(20)이 본체(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서랍본체(21)의 전방 부분을 푸시하여 장착서랍(20)이 본체(10)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즉 장착서랍(20)은 푸시-록, 푸시-오픈 구조를 통해 본체(10)에 결합되어 있어서, 장착서랍(20)을 외부에서 눌러주면 잠기게 되고, 한번 더 누르면 탄성력에 의해 인출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푸시-록 / 푸시-오픈 구조를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랍 구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서랍(20)이 본체(10)에서 인출되면, 사용자는 보관공간(22)에 보관되어 있는 여분의 스트립(70)과 란셋(80)을 빼내어 각각 스트립장착공간(30)과 란셋장착공간(40)에 진입시킨다. 이 중 란셋(80) 장착 과정을 도4를 통해 먼저 설명토록 한다.
도4는 란셋(80)이 장착서랍(20)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4의 (a)와 같이 장착서랍(20)이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본체(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란셋(80)을 진입시킨다. 즉 사용자는 란셋(80)의 바늘 부분이 장착서랍(20)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고, 란셋(80)의 후방이 본체(10)를 향하도록 한 후, 란셋장착공간(40)의 란셋지지편(42) 사이에 끼워준다.
란셋(80)의 장착이 완료되면 도4의 (a)와 같이 란셋지지편(42)의 전방은 복원스프링B(45)의 탄성력으로 란셋(80)의 양쪽을 가압해준다. 또한 란셋(80)의 전방 모서리 양측 부분은 란셋지지편(42) 전방의 전방걸림부B(43)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랍본체(21)를 본체(10)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본체(21)가 본체(10)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란셋(80)은 란셋지지편(42) 전방의 전방걸림부B(43)에 걸려 있는 상태로 함께 후방으로 밀려들어가고, 결국엔 란셋(80)의 후방 부분이 란셋결합부(15)에 끼워지게 된다.
물론 도4에서는 서랍본체(21)에서 란셋장착공간(40) 부분만 도시한 것이지만, 실제로 사용할 시에는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70)이 스트립장착공간(30)에 장착된 이후 란셋(80)과 스트립(70)이 한번에 본체(1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다시 도4의 (b)를 참조하면, 서랍본체(21)가 본체(10) 내부로 거의 진입되면 란셋(80)의 후방이 란셋결합부(15)에 일부 끼워진 상태에서 란셋지지편(42)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걸림부B(44)는 란셋지지편접촉면(18)에 접촉하게 된다. 란셋지지편접촉면(18)은 후방으로 갈수록 란셋결합부(15)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가 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4의 (b) 상태에서 서랍본체(21)를 추가적으로 본체(10)로 밀어 넣으면, 란셋지지편(42) 후방의 후방걸림부B(44)는 란셋지지편접촉면(18)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란셋지지편(42)의 후방은 란셋지지편접촉면(18)의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진입하면서 란셋결합부(15)를 향하는 안쪽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즉 란셋지지편(42) 전체가 고정힌지B(46)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란셋지지편(42) 전방 부분은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란셋지지편(42) 전방의 전방걸림부B(43) 부분이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과정은 한번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란셋지지편(42)이 본체(10)에 진입하면서 후방걸림부B(44)가 란셋지지편접촉면(18)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서히 전방걸림부B(43) 부분이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란셋지지편(42) 전방 부분이 벌어지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여전히 란셋(80) 전방 모서리 양측이 전방걸림부B(43)에 걸려 있는 상태라면, 서랍본체(21)가 본체(10)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란셋지지편(42)이 란셋(80)을 란셋결합부(15) 방향으로 밀어주고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란셋(80)이 란셋결합부(15)에 완전하게 끼워지게 된다. 더 나아가 란셋결합부(15) 역시 란셋결합부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추가적으로 후퇴하게 된다.
란셋결합부(15)가 란셋결합부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후퇴하면 도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란셋결합부(15) 측면에 형성된 측면후크(15a)가 슈팅부(50)의 걸림후크(54)를 지나쳐 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랍본체(21)를 밀어 넣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란셋결합부(15)는 슈팅부(50)의 걸림후크(5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란셋결합부스프링(16) 역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란셋(80)이 란셋결합부(15)에 결합된 상태에서, 란셋(80) 전방의 바늘 부분은 서랍본체(21)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채혈을 위해 손가락을 란셋출입공(41)에 갖다 댄 후 슈팅버튼(51)을 누르면, 연장부(52)가 슈팅부힌지(53)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걸림후크(54)가 란셋결합부(15)의 바깥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란셋결합부(15)의 측면후크(15a)는 걸림후크(54)로부터 구속이 해제되며, 동시에 란셋결합부스프링(16)의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란셋결합부(15)가 전방으로 강하게 튀어나가게 된다. 즉 란셋결합부(15)에 결합된 란셋(80) 역시 강하게 튀어나가면서 란셋(80) 전방의 바늘 부분이 란셋출입공(41) 바깥 방향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란셋(80) 전방의 바늘이 란셋출입공(41)에 대고 있던 손가락을 강하게 타격하면서 피부 안쪽까지 침투하여 상처를 낼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손가락의 혈액을 스트립노출공(31) 바깥으로 노출된 스트립(70)의 끝 부분에 묻혀 분석을 실시하게 된다. 물론 스트립(70)을 장착시키는 과정이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
도5는 스트립(70)이 장착서랍(20)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5의 (a)와 같이 장착서랍(20)이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본체(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스트립(70)을 진입시킨다. 즉 사용자는 스트립(70)의 혈액 채취 부분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스트립장착공간(30)의 스트립지지편(32) 사이에 끼워준다.
스트립(70)의 장착이 완료되면 도5의 (a)와 같이 스트립지지편(32)의 전방은 복원스프링A(35)의 탄성력으로 스트립(70)의 양쪽을 가압해준다. 또한 스트립(70)의 전방 모서리 양측 부분은 스트립지지편(32) 전방의 전방걸림부A(33)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랍본체(21)를 본체(10)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본체(21)가 본체(10)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스트립(70)은 스트립지지편(32) 전방의 전방걸림부A(33)에 걸려 있는 상태로 함께 후방으로 밀려들어가고, 결국엔 스트립(70)의 후방 부분이 스트립접속포트(14)에 끼워지게 된다.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본체(21)가 본체(10) 내부로 거의 진입되면 스트립(70)의 후방이 스트립접속포트(14)에 일부 끼워진 상태에서 스트립지지편(32)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걸림부A(34)는 스트립지지편접촉면(17)에 접촉하게 된다. 스트립지지편접촉면(17)은 후방으로 갈수록 스트립접속포트(14)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가 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5의 (b) 상태에서 서랍본체(21)를 추가적으로 본체(10)로 밀어 넣으면, 스트립지지편(32) 후방의 후방걸림부A(34)는 스트립지지편접촉면(17)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트립지지편(32)의 후방은 스트립지지편접촉면(17)의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진입하면서 스트립접속포트(14)를 향하는 안쪽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즉 스트립지지편(32) 전체가 고정힌지A(36)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스트립지지편(32) 전방 부분은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스트립지지편(32) 전방의 전방걸림부A(33) 부분이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과정은 한번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스트립지지편(32)이 본체(10)에 진입하면서 후방걸림부A(34)가 스트립지지편접촉면(17)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서히 전방걸림부A(33) 부분이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트립지지편(32) 전방 부분이 벌어지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여전히 스트립(70) 전방 모서리 양측이 전방걸림부A(33)에 걸려 있는 상태라면, 서랍본체(21)가 본체(10)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스트립지지편(32)이 스트립(70)을 스트립접속포트(14) 방향으로 밀어주고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스트립(70)이 스트립접속포트(14)에 완전하게 끼워지게 된다.
스트립(70)이 스트립접속포트(14)에 완전하게 끼워진 이후에는 스트립지지편(32)의 전방이 바깥 방향으로 벌어진 상태가 되는데, 이에 따라 스트립(70)은 이제 스트립지지편(32)에 의해 구속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서랍본체(21)가 추가적으로 본체(10) 방향으로 진입할 경우 스트립지지편(32)은 스트립(70)의 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후퇴하게 되고, 결국 스트립(70)의 전방 부분은 도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본체(21) 전방의 스트립노출공(31)을 통해 바깥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트립노출공(31) 바깥으로 노출된 부분에 혈액을 묻힐 수 있고, 본체(10)에 내장된 제어부(미도시)는 스트립접속포트(14)를 통해 접속된 스트립(70)을 분석하여 혈당 정보를 취득하고 디스플레이(11)를 통해 화면 출력해 줄 수 있다.
도6은 사용을 마친 스트립(70)과 란셋(80)이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란셋(80)을 이용하여 채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트립(70)을 통해 혈액 분석을 마치면 사용자는 서랍본체(21)를 푸시하여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장착부 전체가 본체(10)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스트립(70)과 란셋(80)은 각각 스트립접속포트(14)와 란셋결합부(15)에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서랍본체(21)가 돌출되더라도 스트립(70)과 란셋(80)은 함께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출부(60)를 이용하여 스트립(70)과 란셋(80)이 본체(10)에서 인출되도록 한다.
즉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70)과 란셋(80)이 각각 스트립접속포트(14)와 란셋결합부(15)에 결합된 상태라면, 인출부(60)의 슬라이딩블록(61) 역시 후퇴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블록(61)을 전방으로 밀어내면, 스트립푸시부(62)와 란셋푸시부(63)가 각각 스트립(70)과 란셋(80)의 후방을 함께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70)과 란셋(80)이 스트립접속포트(14)와 란셋결합부(15)에서 이탈하여 본체(10) 전방으로 인출된 서랍본체(21)의 스트립장착공간(30)과 란셋장착공간(40)까지 배출된다. 이후 사용자는 장착서랍(20)이 인출된 상태의 본체(10)를 뒤집어서 털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스트립(70)과 란셋(80)이 동시에 서랍본체(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빠져나와 폐기될 수 있다.
도7은 인출부(60)가 스트립접속포트(14)에 결합된 상태의 스트립(70)을 인출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접속포트(14)의 상부에는 인출부(60)의 스트립푸시부(62)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이동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트립(70)이 스트립접속포트(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출부(60)의 슬라이딩블록(6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딩블록(61)에서 연장되어 있는 스트립푸시부(62)가 스트립접속포트(14)의 이동홈(14a)을 따라 전방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트립푸시부(62)가 스트립(70)을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스트립(70)과 스트립접속포트(14)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면에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란셋결합부(15)에도 란셋푸시부(63)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인출부(60)의 슬라이딩블록(6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스트립푸시부(62)가 스트립(70)을 밀어낼 때, 란셋푸시부(63)가 란셋결합부(15)에 결합되어 있는 란셋(80)을 함께 밀어내어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8에 도시된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1)에서는 인출부(60)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더라도, 장착서랍(20)이 본체(10)에서 인출될 때, 스트립접속포트(14)와 란셋결합부(15)에 결합되어 있는 스트립(70)과 란셋(80)이 함께 인출되도록 한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1)에서는 장착서랍(20)의 서랍본체(21)에서 스트립장착공간(30)의 후방 끝단에 위로 돌출된 형태로 인출돌기(21a)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랍본체(21)에서 란셋장착공간(40)의 후방 끝단에도 위로 돌출된 형태로 인출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립접속포트(14)의 저면에는 서랍본체(21)의 인출돌기(21a)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14a)이 형성되어 있고, 란셋결합부(15)의 저면에도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트립장착공간(30)에 스트립(70)이 장착되고, 란셋장착공간(40)에 란셋(80)이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서랍(20)이 본체(10) 내부로 진입하면, 인출돌기(21a)는 스트립접속포트(14)의 이동홈(14a)을 관통하여 스트립접속포트(14)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트립(70)은 스트립접속포트(14)에 결합된다. 동시에 란셋장착공간(40)에 형성된 인출돌기도 란셋결합부(15)의 이동홈을 관통하여 란셋결합부(15)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란셋(80)은 란셋결합부(15)에 결합된다.
이후 사용을 마친 스트립(70)과 란셋(80)을 회수하기 위해 장착서랍(20)을 한번 더 푸시해 주면, 푸시-록 / 푸시-오픈 작동에 의해 장착서랍(20)이 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때 스트립(70)은 스트립접속포트(14)에 결합된 상태이지만, 장착서랍(20)이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인출돌기(21a)가 이동홈(14a)을 따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인출돌기(21a)가 스트립(70)을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스트립(70)과 스트립접속포트(14)의 결합도 해제된다. 즉 장착서랍(20)의 전방 인출 시 스트립(70) 역시 함께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며, 같은 원리로 란셋(80) 역시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후 장착서랍(20)이 인출된 상태의 본체(10)를 뒤집어서 털어주면, 스트립(70)과 란셋(80)이 동시에 서랍본체(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빠져나와 폐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1)에서는 본체(10) 결합되는 장착서랍(20)에 란셋(80)과 스트립(70)을 장착시킨 후 채혈과 혈액 분석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서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다. 즉 종래에는 채혈기, 혈당분석기, 스트립보관통, 란셋보관통을 각각 준비해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장착서랍(20)의 보관공간(22)에 여분의 란셋(80)과 스트립(70)을 보관하면 되고,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1) 하나만으로 채혈과 혈당 분석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어서 보관과 휴대가 간편해지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채혈기에 란셋(80)을 장착시키는 과정, 혈당분석기에 스트립(70)을 장착시키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웠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1)에서는 란셋장착공간(40)과 스트립장착공간(30)에 각각 란셋(80)과 스트립(70)을 장착시킨 후 장착서랍(20)을 본체(10)에 밀어넣기만 하면 란셋(80)의 장착과 타격, 그리고 스트립(70)의 접속이 한 번에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을 마치면 장착서랍(20)을 개방한 후 인출부(60)를 통해 스트립(70)과 란셋(80)을 동시에 빼내어 휴지통에 털어냄으로써 소모품의 폐기 절차도 간편하다. 따라서 조그마한 채혈기에 란셋(80)을 정확히 장착시키고 빼내거나, 혈당분석기의 조그마한 구멍에 스트립(70)을 정확히 끼워넣고 빼낼 필요가 없어서 시각장애인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10 : 본체
11 : 디스플레이
12 : 서랍장착공간
13 : 서랍이동레일
14 : 스트립접속포트
14a : 이동홈
15 : 란셋결합부
15a : 측면후크
16 : 란셋결합부스프링
17 : 스트립지지편접촉면
18 : 란셋지지편접촉면
19 : 슬라이딩홈
20 : 장착서랍
21 : 서랍본체
21a : 인출돌기
22 : 보관공간
30 : 스트립장착공간
31 : 스트립노출공
32 : 스트립지지편
33 : 전방걸림부A
34 : 후방걸림부A
35 : 복원스프링A
36 : 고정힌지A
40 : 란셋장착공간
41 : 란셋출입공
42 : 란셋지지편
43 : 전방걸림부B
44 : 후방걸림부B
45 : 복원스프링B
46 : 고정힌지B
50 : 슈팅부
51 : 슈팅버튼
52 : 연장부
53 : 슈팅부힌지
54 : 걸림후크
55 : 슈팅부스프링
60 : 인출부
61 : 슬라이딩블록
62 : 스트립푸시부
63 : 란셋푸시부
70 : 스트립
80 : 란셋

Claims (6)

  1. 측면으로 서랍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랍장착공간 내측으로 란셋결합부와 스트립접속포트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서랍장착공간에 장착되어 진출입하며, 란셋이 장착되는 란셋장착공간과 스트립이 장착되는 스트립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장착서랍; 및
    상기 란셋결합부에 결합되는 란셋을 작동시켜 타격이 이루어지게 하는 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서랍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측 공간이 란셋장착공간과 스트립장착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란셋장착공간의 전방으로 란셋출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장착공간의 전방으로 스트립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서랍본체;
    상기 서랍본체의 란셋장착공간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란셋장착공간에 장착된 란셋을 밀착 지지하는 란셋지지편; 및
    상기 서랍본체의 스트립장착공간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장착공간에 장착된 스트립을 밀착 지지하는 스트립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란셋결합부 양측에는 상기 란셋지지편의 후방이 접촉되고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란셋지지편접촉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접속포트의 양측에는 상기 스트립지지편의 후방이 접촉되고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의 스트립지지편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란셋지지편과 상기 스트립지지편의 전방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전방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서랍본체가 후퇴할 때 상기 란셋지지편의 전방걸림부가 란셋을 밀어 함께 후퇴시키고, 상기 스트립지지편의 전방걸림부가 스트립을 밀어 함께 후퇴 시키되, 상기 란셋지지편의 후방과 상기 스트립지지편의 후방이 상기 란셋지지편접촉면과 상기 스트립지지편접촉면에 접촉된 상태로 후퇴하면, 상기 란셋지지편의 전방 부분이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란셋의 구속이 해제되고, 상기 스트립지지편의 전방 부분도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스트립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스트립의 전방이 상기 스트립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란셋결합부 측면에는 측면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란셋결합부는 란셋결합부스프링에 의해 상기 본체 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슈팅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슈팅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란셋결합부의 측면후크에 걸리는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란셋결합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슈팅부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란셋결합부에 란셋이 결합되면서 후퇴하면 상기 측면후크가 상기 걸림후크에 걸리면서 상기 란셋결합부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슈팅버튼을 눌러 상기 걸림후크의 밀착이 해제되면 상기 란셋결합부에 결합된 란셋이 상기 란셋결합부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접속포트와 상기 란셋결합부에 결합된 스트립과 란셋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인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본체의 란셋장착공간과 스트립장착공간의 후방에는 각각 인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장착서랍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인출돌기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란셋결합부에 결합되어 있던 란셋과 상기 스트립접속포트에 결합되어 있던 스트립을 밀어 전방으로 함께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KR1020210087321A 2021-07-02 2021-07-02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KR102594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321A KR102594380B1 (ko) 2021-07-02 2021-07-02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321A KR102594380B1 (ko) 2021-07-02 2021-07-02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292A KR20230006292A (ko) 2023-01-10
KR102594380B1 true KR102594380B1 (ko) 2023-10-26

Family

ID=8489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321A KR102594380B1 (ko) 2021-07-02 2021-07-02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3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2266A (ja) 2004-04-16 2007-11-15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片手での使用のために一体型ランセットデバイスおよびテストストリップ保管バイアルを有する血糖測定器、並びにそれ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542A (ko) * 2003-12-23 2005-03-14 주식회사 헬스피아 휴대용 란셋 장치
KR100681347B1 (ko) * 2005-04-27 2007-02-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랜싱장치
KR200443042Y1 (ko) * 2007-05-15 2009-01-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탈착식 카드형 혈당측정기
KR101281819B1 (ko) * 2010-02-17 2013-07-04 최인상 스트립 수납 장치를 가지는 혈당 측정기 및 스트립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2266A (ja) 2004-04-16 2007-11-15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片手での使用のために一体型ランセットデバイスおよびテストストリップ保管バイアルを有する血糖測定器、並びにそれ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292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6263B2 (en) Lancet removal tool
US8551017B2 (en) Lancet-integrated sensor, measuring device for lancet-integrated sensor, and cartridge
EP1031319B1 (en) Lancing device having a releasable connector
US7438694B2 (en) Lancing device
US6120463A (en) Biopsy surgical appliance
US8574255B2 (en) Narrow-profile lancing device
JP5922673B2 (ja) 検査テープ用デバイス
JP5952411B2 (ja) センサ挿入装置
US9488658B2 (en) Biological testing device
KR100971171B1 (ko) 재사용 방지기능 안전란셋
WO2011152580A1 (ko) 란셋 재사용 방지장치
KR102594380B1 (ko) 일체형 혈당 측정 장치
US20220233117A1 (en) Blood sampling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383316B1 (ko) 격발기능이 포함된 혈당측정기
JP3157011U (ja) 回転式安全注射針具
KR20090090659A (ko)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용 자동채혈장치
KR101589059B1 (ko) 채혈기
KR101120364B1 (ko) 채혈기
GB2465391A (en) Skin pricking device
KR20190055856A (ko) 당뇨 환자 전용 채혈기
EP3616615A1 (en) Integral blood glucose meter having ejecting unit
KR102558708B1 (ko) 사혈기
TWI397401B (zh) 採血裝置
JPH0921792A (ja) 使い捨てストリップの連続ゾーンを供給する装置
KR20150140018A (ko) 채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