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496B1 -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496B1
KR102593496B1 KR1020210181914A KR20210181914A KR102593496B1 KR 102593496 B1 KR102593496 B1 KR 102593496B1 KR 1020210181914 A KR1020210181914 A KR 1020210181914A KR 20210181914 A KR20210181914 A KR 20210181914A KR 102593496 B1 KR102593496 B1 KR 10259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ble tennis
training device
subunit
ping p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3117A (ko
Inventor
카만디아미르
브룩스엘리엇루이스
Original Assignee
패스트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패스트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패스트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496B1/ko
Priority to PCT/KR2022/019922 priority patent/WO2023113379A1/ko
Publication of KR2023009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37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on a target surface or at impact on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3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by performance parameters, e.g. distance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identification means that can be read by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 탁구공을 유저에게 발사하는 탁구공 발사부, 탁구공 발사부를 통해 발사된 탁구공이 유저에 의해 리턴되는 지점을 디텍트하는 타겟 보드를 포함하되, 타겟 보드는 제 1 유닛, 제 2 유닛, 제 3 유닛, 및 제 4 유닛을 포함하고, 타겟 보드는 제 1 유닛, 제 2 유닛, 제 3 유닛 및 제 4 유닛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제 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제 1 유닛, 제 2 유닛, 제 3 유닛 및 제 4 유닛 각각은 두 개의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두 개의 서브 유닛에 기초하여 타겟 보드에서 유저에 의해 탁구공이 리턴되는 지점을 디텍트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APPARATUS FOR TABLE TENNIS TRAINING WITH SHOCK ABSORBER}
실시예들은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타겟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를 통해 탁구공의 각도 및 경로를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탁구는 대중적으로 인기있는 실내 스포츠로써 테이블, 라켓 및 탁구공만 구비되면 남녀노소가 쉽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이다. 또한, 탁구는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서도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많은 대중들이 즐기고 있는 스포츠이다. 다만, 탁구는 대인운동의 일종으로서 시합이나 연습을 위해서는 반드시 2 인 이상이 함께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대방없이 혼자 연습이나 훈련을 진행하는데 한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탁구의 기본동작 연습이나 수비훈련을 위한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 탁구공이 발사되고, 이를 유저가 받아서 연습하는 수비훈련을 위한 장치가 다수였으며, 유저가 탁구공을 쳐서 공격훈련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존재하였습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하기에서는 탁구대 상의 목표 영역에 탁구공을 떨어트리는 공격 훈련이 가능한 탁구 트레이닝 장치에 대해 서술한다.
한국공개특허 KR 10-2011-0010203A
본 명세서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에서 각각의 타겟 영역을 구별하고, 타겟 영역별로 탁구공을 인식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타겟 영역에 기초하여 탁구공의 각도 및 경로를 인식하여 유저의 탁구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타겟 영역에서 탁구공을 인식하기 위해 센서 및 완충부를 구비한 유닛을 제공하는 탁구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 탁구공을 유저에게 발사하는 탁구공 발사부, 탁구공 발사부를 통해 발사된 탁구공이 유저에 의해 리턴되는 지점을 디텍트하는 타겟 보드를 포함하되, 타겟 보드는 제 1 유닛, 제 2 유닛을 포함하고, 타겟 보드는 제 1 유닛, 제 2 유닛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제 1 유닛, 제 2 유닛 각각은 두 개의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두 개의 서브 유닛에 기초하여 타겟 보드에서 유저에 의해 탁구공이 리턴되는 지점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유닛은, 탁구공을 디텍트하기 위한 압력 센서, 서브 유닛 상호 간의 하드웨어 결합 및 소프트웨어 결합을 제공하는 컨넥터, 서브 유닛 상호 간의 하드웨어 결합을 제공하는 매그넷부, 압력 센서 및 컨넥트를 제어하고, 디텍트된 신호를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유닛 각각은 제 1 타입 완충부 및 제 2 타입 완충부에 기초하여 상판과 결합되고, 압력 센서 위에 위치하는 상판이 탁구공에 의해 위치 이동 또는 형태 변화되면 압력 센서에 의해 신호가 센싱되고, 압력 센서는 센싱된 신호를 회로 기판으로 전달하고, 회로 기판은 전달받은 센싱된 신호를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타입 완충부는 서브 유닛과 상판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제 2 타입 완충부는 서브 유닛과 상판의 중심에 하나가 구비되되, 제 1 타입 완충부는 상하 진동을 완충하는 스프링, 스프링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하 진동을 가이드하는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홈을 포함하고, 제 2 타입 완충부는 스프링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유닛 각각은 컨넥터에 기초하여 연결되되, 제 1 유닛, 제 2 유닛, 각각에 포함된 서브 유닛으로써 8개의 서브 유닛이 결합되는 경우,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제어부는 8개의 서브 유닛 각각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결합 신호를 수신하고,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제어부가 8개의 서브 유닛 각각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결합 신호를 모두 수신하면 서브 유닛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고,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타겟 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유닛 각각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타겟 보드가 구성되는 경우, 8개의 서브 유닛 각각에는 식별 번호가 할당되고, 서브 유닛이 탁구공을 압력 센서에 기초하여 센싱하는 경우, 서브 유닛은 서브유닛의 식별 번호와 함께 센싱 정보를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모션 센서는 서브 유닛에 탁구공이 인식되는 경우, 탁구공의 방향 정보, 각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스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센싱하고,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와 함께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탁구공의 난이도는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탁구공 발사부에 기초하여 발사되는 탁구공은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발사되는 탁구공의 방향 정보, 각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스핀 정보가 상이하게 설정되고, 유저에 의해 리턴되는 탁구공의 모션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탁구공의 방향 정보, 각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스핀 정보는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참조 데이터와 비교되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판의 가장자리 및 측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 유닛 위에 위치하는 상판에 의한 센싱이 중복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유닛 각각에 대한 경계를 인식하여 센싱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에서 각각의 타겟 영역을 구별하고, 타겟 영역별로 탁구공을 인식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타겟 영역에 기초하여 탁구공의 각도 및 경로를 인식하여 유저의 탁구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타겟 영역에서 탁구공을 인식하기 위해 센서 및 완충부를 구비한 유닛을 제공하는 탁구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위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래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로 확장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탁구 트레이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영역을 각각의 유닛으로 구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영역의 각 유닛에서 탁구공을 센싱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영역의 각 유닛에서 탁구공을 센싱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영역에서 각각의 유닛을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영역에서 각각의 유닛을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 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에 결합되는 상판 구조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탁구공의 경로 및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탁구공의 경로 및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차량 내 클러스터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일 예로, 하기에서 서술하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도 상술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탁구 트레이닝 장치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서술하지만, 탁구 트레이닝 장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구성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소프웨어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도 1은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일 수 있다. 이때,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제어부(110), 점수 산출부(111), 타겟 보드(120), 광 출력부(121), 측정부(122), 복수의 세그먼트(123), 탁구공 발사부(130), 메모리(140), 사용자 입력부(150), 디스플레이부(160), 통신부(170) 및 카메라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0)는 탁구공 발사부(130)가 사용자 방향으로 탁구공을 발사하도록 탁구공 발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탁구공 발사 패턴에 기초하여 탁구공 발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탁구공 발사 패턴은 탁구공이 발사되는 방향, 탁구공의 구질(탁구공의 스핀 방향), 탁구공이 발사되는 속도 및 탁구공이 발사되는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탁구공 발사부(130)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사용자 단말은 탁구공을 발사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탁구공 발사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탁구공 발사부(130)에서 발사된 탁구공의 발사 패턴에 대한 정보를 탁구공 발사부(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탁구공의 발사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예컨대, 자이로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접 인식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탁구공 발사부(130)가 탁구공을 발사하도록 제어한 후 복수의 세그먼트(123)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의 최 외곽에 구비된 광 출력부(121)가 턴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탁구공 발사부(130)에서 발사된 탁구공을 인식한 후 복수의 세그먼트(123)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의 최 외곽에 구비된 광 출력부(121)가 턴 온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0)는 탁구공 발사부(130)에서 탁구공이 발사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탁구공이 발사된 것을 인식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때, 복수의 세그먼트(123)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의 최 외곽에 구비된 광 출력부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122)는 타겟 보드(120)에 포함된 복수의 세그먼트(123) 각각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점수 산출부(111)는 측정부(122)에서 감지된 진동에 기초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정부(122)는 타겟 보드(120)에 포함된 복수의 세그먼트(123)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점수 산출부(111)는 측정부(122)에서 감지된 압력 변화에 기초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광 출력부의 발광 패턴 및 탁구공 발사부의 발사 패턴 등)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디스플레이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10)에 의하여 상기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 선수의 제 1 모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40)에 저장된 제 1 모션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제 2 모션 데이터와 비교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 내에 구비된 입력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부(160)의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50)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가 아닌 외부 기기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PC, 사용자 단말기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광 출력부(121)의 발광 패턴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탁구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160)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탁구 트레이닝의 결과와 관련된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5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및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70)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70)는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80)는 사용자가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를 이용하여 탁구 트레이닝을 수행할 때,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부(180)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80)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에 구비되는 카메라부(180)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부(180)를 통하여,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80)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부(180)는 사용자의 트레이닝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트레이닝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 2 모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프로 선수의 제 1 모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 1 모션 데이터와 제 2 모션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모션 데이터에 기반하여, 프로 선수의 탁구 자세와 사용자의 탁구 자세를 비교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0)는 제 1 모션 데이터와 제 2 모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모션 데이터와 제 2 모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스매싱 자세에서 팔꿈치의 높이를 교정하는 것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예컨대, "스매싱 할 때, 팔꿈치를 낮추세요." 등과 같은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10)는 제 1 모션 데이터와 제 2 모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자세에서 허리의 굽힘 정도를 교정하는 것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예컨대, "서비스할 때, 허리를 더 숙이세요." 등과 같은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탁구 트레이닝이 종료된 이후에도 자세 교정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세 교정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카메라부(18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트레이닝 영상을 전문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문가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전문가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직접 트레이닝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용자의 트레이닝 영상을 전문가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또한, 사용자는 전문가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타겟 보드(120)는 광 출력부(121), 측정부(122) 및 복수의 세그먼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출력부(121)는 제어부(110)에 의해 턴 온 또는 턴 오프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탁구공 발사부(130)에서 탁구공이 발사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탁구공이 발사된 것을 인식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0초, 0.5초 및 1초 등)이 경과된 때, 복수의 세그먼트(123)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의 최 외곽에 구비된 광 출력부(121)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탁구공 발사부(130)가 탁구공을 발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0)는 탁구공 발사부(130)에서 탁구공이 발사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탁구공이 발사된 것을 인식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0초, 0.5초 및 1초 등)이 경과된 때, 복수의 세그먼트(123)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타겟 세그먼트)의 최 외곽에 구비된 광 출력부(121)가 턴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측정부(122)는 타겟 보드(120)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22)는 진동이 감지된 세그먼트의 위치 정보를 점수 산출부(111)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1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감지센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정부(122)는 타겟 보드(120)에 발생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때, 측정부(122)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또는, 측정부(122)는 타겟 보드(12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할 수도 있다. 측정부(122)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측정부(122)는 타겟 보드(120)에서 발생되는 진동, 압력 변화 및 충격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즉, 측정부(122)는 복수 개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부(122)는 보다 정확하게 타겟 보드(120) 상에 탁구공이 히트된 세그먼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점수 산출부(111)는 측정부(122)가 타겟 보드(120)의 진동(또는, 압력 변화 및 충격 등)을 감지한 경우, 감지된 진동(또는, 압력 변화 및 충격 등)에 기초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수 산출부(111)는 측정부(122)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점수 산출부(111)는 제어부(110)로부터 광 출력부가 턴 온 된 세그먼트의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점수 산출부(111)는 측정부(122)로부터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점수 산출부(111)는 제 1 위치 정보 및 제 2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점수를 부여하고, 위치가 일지하지 않는 경우, 점수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점수 산출부(111)가 산출하는 점수는 제어부(110)가 결정한 타겟 세그먼트를 탁구공으로 히트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점수 산출부(111)는 제어부(110)가 결정한 타겟 세그먼트에 탁구공이 히트되면 1점, 타겟 세그먼트에 탁구공이 히트되지 않으면 0점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타겟 보드의 각각의 세그멘트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타겟 보드(120)는 복수의 세그멘트(12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측정부(122)를 통해 탁구공의 압력을 측정하여 히트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일 예로, 타겟 보드(120)의 복수 개의 세그멘트(123)는 유닛화될 수 있다. 즉, 타겟 보드(120)는 제 1 유닛 내지 제 4 유닛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각각의 유닛에는 두 개의 세그멘트(123)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닛 위에는 상판(310)이 고정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판에 탁구공이 떨어지면 해당 상판 아래 위치한 압력 센서에 압력이 가해져 신호가 발생하고, 이에 기초하여 탁구공의 낙하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유닛 위에 상판(310)은 각각의 세그멘트(12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타겟 보드(120)에는 제 1 유닛 내지 제 4 유닛으로 4개의 유닛이 위치하고, 각각의 유닛에는 2개의 세그멘트(123)가 구비되어 총 8개의 세그멘트(123) 영역이 설정되고, 8개의 상판(310)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에서는 각 유닛에서 각각의 세그멘트에 대응되는 부분을 서브유닛으로 지칭하지만, 해당 용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각 유닛은 두 개의 서브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유닛 위에 상판이 고정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유닛 내의 서브 유닛(123-1, 123-2)은 분리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며, 각 서브 유닛에 구비된 컨넥터 및 매그넷부에 기초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직렬로 결합되는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에서 제 1 유닛의 제 1 서브유닛(123-1)과 제 2 유닛의 제 1 서브유닛(123-3)이 컨넥터와 매그넷부에 기초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일 예로, 탁구 트레이닝 장치(120)는 각 유닛의 서브유닛 단위로 각각의 세그멘트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탁구 트레이닝 장치(120)는 3비트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값을 서브유닛에 대응하고, 대응된 값을 통해 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유닛의 제 1 서브유닛(123-1)에 탁구공이 센싱된 경우, 탁구 트레이닝 장치(120)는 3비트 값 중 제 1 값에 대응되는 신호를 인식 정보로써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장치나 그 밖의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인식 정보를 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각 유닛에 대응되는 서브유닛(123)에 상판(31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판(310)은 상술한 측정부(122)가 탁구공의 압력을 인식하는 정확도를 높일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유저가 친 탁구공이 수직에 가깝게 서브유닛(123)에 인식된다면 인식되는 면적이 넓고, 압력도 클 수 있기 때문에 탁구공 인식이 원활할 수 있다. 반면, 유저가 친 탁구공이 낮은 각도로 서브유닛(123)에 인식된다면 인식되는 면적도 작고, 압력도 작을 수 있어 탁구공 인식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서브유닛(123, 또는 세그멘트) 위에 상판(3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판(310)과 서브유닛(123) 사이에는 완충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유닛(123) 위에 압력센서(미도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압력센서 위에 상판이 밀접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면 상판의 휘어짐이나 가장자리 부분에 닿는 경우에 압력센서가 탁구공을 인지하는데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서브유닛(123)과 상판 사이에는 완충부(32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판(310) 전면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가장자리 부분에서도 센싱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서브유닛(123)과 상판(310) 사이에 복수 개의 완충부(320-1, 320-2, 320-3, 320-4, 33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서브 유닛(123)과 상판(310)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 타입이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서브 유닛(123)과 상판(310) 사이의 외곽에는 제 1 타입 완충부(320-1, 320-2, 320-3, 320-4)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서브 유닛(123)과 상판(310) 사이의 중심에는 제 2 타입 완충부(33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타입 완충부(320-1, 320-2, 320-3, 320-4)는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중심에 위치한 제 2 타입 완충부(330)는 완충 및 지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서브 유닛(123)과 상판(310) 사이로써 외곽에만 완충부(320)가 존재한다면 상판이 아래로 쳐지고 지탱되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싱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완충부(320)로써 제 2 타입 완충부(330)가 서브 유닛(123)과 상판(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완충 및 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도 4c를 참조하면, 제 1 타입 완충부(320-1, 320-2, 320-3, 320-4)는 완충부(320)로써 지지홈(321), 하부부재(322), 상부부재(323) 및 스프링(3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홈(321)에 의해 하부부재(322), 상부부재(323) 및 스프링(324)이 지지될 수 있으며, 하부부재(322)와 상부부재(323)에 의해 스프링이 좌우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하부부재(322)와 상부부재(323)는 스프링(324)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좌우 흔들림으로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324)은 상하로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서브 유닛(123)과 상판(310)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 2 타입 완충부(330)는 스프링 형태의 완충부(330)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2 타입 완충부(330)는 서브 유닛(123)과 상판(310)의 중심에 위치하는 완충부일 수 있으므로 완충 및 지지 역할을 수항할 수 있으며, 지지 역할을 고려하여 도 4c의 스프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판(310)이 아래로 쳐지고, 센싱 정확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4d를 참조하면, 제 1 타입 완충부(320-1, 320-2, 320-3, 320-4, 320-5, 320-6, 320-7, 320-8)은 서브 유닛(123)과 상판(310) 외곽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 2 타입 완충부(330)는 서브 유닛(123)과 상판(31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서브 유닛(123)별로 센싱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각각의 유닛 내의 서브유닛(123)들은 컨넥터(510) 및 매그넷부(520)에 기초하여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제 1 유닛 내의 각각의 서브 유닛(123-1,123-2)는 컨넥터(510) 및 매그넷부(520)에 기초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유닛 및 제 2 유닛에서 대응되는 서브 유닛은 컨넥터(510)와 매그넷부(520)에 기초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유닛의 제 1 서브 유닛(123-1)과 제 2 유닛의 제 1 서브 유닛(123-3)은 각각의 컨넥터(510-1, 510-3)와 각각의 매그넷부(520-1, 520-3)가 매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b에서 각각의 매그넷부(520-1, 520-3)는 자석 형태로 각 유닛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컨넥트(510-1, 510-3)는 하드웨어적인 결합과 함께 소프트웨어적인 결합도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직렬로 연결되는 각 유닛 내의 각각의 서브 유닛을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탁구공에 의해 압력 신호가 발생한 지점에 대응되는 서브 유닛(123, 또는 세그멘트)를 인식하여야 탁구공의 위치, 경로 및 각도를 인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 유닛에 대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결합 여부를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각각의 컨넥트(510-1, 510-3)는 하드웨어적인 결합뿐만 아니라 회로기판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적인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상술한 유닛 및 서브유닛 각각에는 고유한 식별번호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직렬로 각 유닛들이 결합되면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결합된 유닛 및 서브유닛의 고유 식별번호를 인식하고,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고유 식별번호 및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보드(120)를 인식하고, 인식된 타겟 보드(120)에 기초하여 탁구공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각각의 유닛 및 서브 유닛은 고유 식별번호 없이 동일한 형태의 유닛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유닛 및 서브 유닛이 결합되어 상술한 타겟 보드(120)가 형성되면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각각의 서브 유닛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브 유닛을 구별하기 위한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유닛 각각은 컨넥터에 기초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유닛 내지 제 4 유닛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유닛으로써 8개의 서브 유닛이 결합된 경우,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8개의 서브 유닛 각각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결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8개의 서브 유닛 각각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결합 신호를 모두 수신하면 서브 유닛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타겟 보드(12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술한 8개의 서브 유닛을 모두 인지하여야 타겟 보드(120)가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8개의 서브 유닛이 인지되지 않으면 타겟 보드(120)를 구성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8개의 서브 유닛을 모두 인식하면 타겟 보드(12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유닛 각각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타겟 보드가 구성되는 경우, 8개의 서브 유닛 각각에는 식별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8개의 서브 유닛 각각에 식별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유닛이 탁구공을 압력 센서에 기초하여 센싱하는 경우, 서브 유닛은 서브 유닛의 식별 번호와 함께 센싱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10)는 서브 유닛의 상대적 위치와 함께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유닛은 8개이므로 상술한 3비트 정보로써 각각의 서브 유닛에 개별 값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각각의 유닛 및 서브 유닛을 구별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유닛 및 서브 유닛은 모듈화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브 유닛은 케이블 형태가 아닌 컨넥트(5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넥터(510) 상호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연결을 지지하기 위해 측면에 매그넷부(5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겟 보드(120) 각각에 대한 모듈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인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모듈화된 각각의 서브 유닛(123, 또는 세그멘트)은 컨넥터(510), 매그넷부(520), 회로기판(530) 및 압력센서(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서브 유닛(123)은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회로 기판(530)는 상술한 컨넥터(510)와 연결되어 하드웨어적인 결합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다른 서브 유닛(123)과 컨넥터를 통해 각각의 회로 기판(53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호 간의 신호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회로 기판(530)는 각 서브 유닛(123)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컨넥터(510)와 압력 센서(5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회로 기판(530)은 압력 센서(540)에서 발생한 센싱 신호(즉, 탁구공의 인식)를 확인하고,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서브 유닛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술한 측정부(122)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122)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탁구공이 어느 서브 유닛에서 센싱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저의 탁구 트레이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유닛 및 서브 유닛은 모듈화를 통해 각각의 독립적인 컨넥터(510), 회로 기판(530) 및 압력 센서(5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체가 결합되어 타겟 보드(120)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은 상판을 가장자리를 곡면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상판(310) 및 완충부(320, 330)는 탁구공의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탁구공이 서브 유닛(123, 또는 세그멘트)의 중심부에 떨어지면 센싱이 용이할 수 있으나, 각각의 서브 유닛(123)의 가장자리나 측면에 떨어지면 센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가장자리 및 측면이 곡면 형태인 상판(31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가장자리 및 측면이 곡면형태인 상판(310)은 측면이나 가장자리 측정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압력 센싱 정확도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각각의 유닛 및 서브 유닛은 모듈화된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각각의 유닛 및 서브 유닛이 결합되는 지점에서 센싱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경계에서는 복수 개의 서브 유닛(123)에 의해 센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센싱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모듈화에 기초하여 각 경계에서는 센서가 인식하지 못하는 음영 영역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상술한 상판(310)의 가장자리 및 측면을 곡면 형태로 구성하고, 결합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판(310)들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모듈화된 각각의 유닛 및 서브 유닛이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음영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경계 영역에서는 복수 개의 서브 유닛(123)이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인 일 예로,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유닛(123)에 부여된 값(3비트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서브 유닛(123)에서 센싱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복수 개의 서브 유닛(123) 각각으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센싱된 서브 유닛(123)의 값에 따라 각각의 서브 유닛(123) 중 인접한 서브 유닛(123)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각 값에 대응되는 서브 유닛(123) 경계에 탁구공이 떨어짐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유닛의 제 1 서브 유닛(123-1), 제 1 유닛의 제 2 서브 유닛(123-2), 제 2 유닛의 제 1 서브 유닛(123-3) 및 제 2 유닛의 제 2 서브 유닛(123-4) 모두 탁구공을 센싱한 경우라면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네 개의 서브 유닛(123-1, 123-2, 123-3, 123-4)의 경계 위치에 탁구공이 위치함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센싱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예로,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유저의 탁구 공격 훈련을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즉, 상술한 탁구공 발사부(130)에서 발사된 탁구공을 유저가 받아치고, 받아친 탁구공이 타겟 보드(120) 내의 모듈화된 세그멘트(123) 중 어느 세그멘트(123)에서 센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유저의 탁구 공격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상술한 압력 센서(540)를 통해 세그멘트(123)에서 탁구공을 인식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동작만으로는 훈련에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a를 참조하면, 탁구공은 세그멘트(123)에서 높은 각도로 입사되어 압력 센서(540)에 의해 센싱되고, 높은 각도로 반사되어 날아갈 수 있다. 반면, 도 8b를 참조하면, 탁구공은 도 8a보다 낮은 각도로 입사되어 압력 센서(540)에 의해 센싱되고, 낮은 각도로 반사되어 날아갈 수 있다. 이때, 탁구 숙련도를 고려하면, 도 8b처럼 낮은 각도로 탁구공이 입사되어 반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에서는 도 8a 및 도 8b는 모두 동일한 세그멘트에서 동일한 신호로 센싱될 뿐, 이를 구별하지 못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모션 센서(550-1, 5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모션 센서(550-1, 550-2)는 상술한 카메라부(180)일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모션 센서(550-1, 550-2)는 탁구공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센서(550-1, 550-2)를 통해 탁구공이 입사되는 방향 정보, 각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스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센싱할 수 있다. 즉, 탁구공이 인식되는 압력뿐만 아니라 탁구공이 움직임 정보도 더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의 트레이닝 패턴이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탁구공 발사부(130)에서 발사되는 탁구공의 발사되는 방향, 각도, 속도 및 스핀에 기초하여 각각의 난이도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각각의 난이도에 대응되는 탁구공이 인식되는 세그멘트, 방향, 각도, 속도 및 스핀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유저가 실제 탁구공을 쳐서 인식되는 정보와 비교될 수 있다. 즉, 각 난이도에 대응되는 참고 데이터와 유저의 의한 실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동작을 위해 모듈화된 각 세그멘트에서 압력 센서(540) 및 모션 센서(550-1, 550-2)가 더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탁구 트레이닝 장치(120)는 참고 데이터와 유저의 실제 데이터를 비교하여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저는 상술한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도 8b처럼 낮은 각도로 탁구공을 치기 위한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트레이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탁구 트레이닝 장치(100)는 탁구공에 대한 트래킹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난이도를 인지할 수 있다. 즉, 난이도는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분류되고, 제어부(110)는 대응되는 값을 디텍트하면 해당 난이도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탁구공 발사부(130)에 기초하여 발사되는 탁구공은 난이도에 따라 설정이 상이할 수 있다. 즉, 탁구공 발사부(130)는 제어부(110)를 통해 전달 받은 상술한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발사되는 탁구공의 방향 정보, 각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스핀 정보가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유저에 의해 리턴되는 탁구공의 모션 센서(550-1, 550-2)에 의해 센싱되는 탁구공의 방향 정보, 각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스핀 정보는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참조 데이터와 비교될 수 있다. 즉, 각 난이도에 기초하여 참조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으며, 실제 유저가 탁구공을 친 후에 압력 센서(540) 및 모션 센서(550-1, 550-2)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유저 트레이닝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 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명세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
    탁구공을 유저에게 발사하는 탁구공 발사부;
    상기 탁구공 발사부를 통해 발사된 상기 탁구공이 상기 유저에 의해 리턴되는 지점을 디텍트하는 타겟 보드;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보드는,
    제 1 유닛; 및 제 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보드는 상기 제 1 유닛, 및 상기 제 2 유닛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유닛, 및 상기 제 2 유닛 각각은 두 개의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서브 유닛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보드에서 상기 유저에 의해 상기 탁구공이 리턴되는 지점을 디텍트하며,
    상기 서브 유닛은,
    상기 탁구공을 디텍트하기 위한 압력 센서;
    상기 서브 유닛 상호 간의 하드웨어 결합 및 소프트웨어 결합을 제공하는 컨넥터;
    상기 서브 유닛 상호 간의 하드웨어 결합을 제공하는 매그넷부;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컨넥터를 제어하고, 디텍트된 신호를 상기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서브 유닛 각각은 제 1 타입 완충부 및 제 2 타입 완충부에 기초하여 상판과 결합되고, 상기 제 1 타입 완충부는 상기 서브 유닛과 상기 상판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타입 완충부는 상기 서브 유닛과 상기 상판의 중심에 하나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타입 완충부는 상하 진동을 완충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하 진동을 가이드하는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입 완충부는 스프링만을 포함하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위에 위치하는 상기 상판이 상기 탁구공에 의해 위치 이동 또는 형태 변화되면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신호가 센싱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센싱된 신호를 상기 회로 기판으로 전달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전달받은 센싱된 신호를 상기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 각각은 상기 컨넥터에 기초하여 연결되되, 상기 제 1 유닛, 및 상기 제 2 유닛, 각각에 포함된 상기 서브 유닛으로써 8개의 서브 유닛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8개의 서브 유닛 각각의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결합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상기 제어부가 상기 8개의 서브 유닛 각각의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상기 결합 신호를 모두 수신하면 상기 서브 유닛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보드를 구성하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 각각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보드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8개의 서브 유닛 각각에는 식별 번호가 할당되고, 상기 서브 유닛이 상기 탁구공을 상기 압력 센서에 기초하여 센싱하는 경우, 상기 서브 유닛은 상기 서브 유닛의 식별 번호와 함께 상기 센싱 정보를 상기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서브 유닛에 상기 탁구공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탁구공의 방향 정보, 각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스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센싱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와 함께 상기 탁구 트레이닝 장치의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탁구공의 난이도는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탁구공 발사부에 기초하여 발사되는 상기 탁구공은 상기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발사되는 탁구공의 방향 정보, 각도 정보, 속도 정보 및 스핀 정보가 상이하게 설정되고,
    상기 유저에 의해 리턴되는 상기 탁구공의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상기 탁구공의 상기 방향 정보, 상기 각도 정보, 상기 속도 정보 및 상기 스핀 정보는 상기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참조 데이터와 비교되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 및 측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서브 유닛 위에 위치하는 상기 상판에 의한 센싱이 중복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유닛 각각에 대한 경계를 인식하여 센싱하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KR1020210181914A 2021-12-17 2021-12-17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KR10259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14A KR102593496B1 (ko) 2021-12-17 2021-12-17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PCT/KR2022/019922 WO2023113379A1 (ko) 2021-12-17 2022-12-08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14A KR102593496B1 (ko) 2021-12-17 2021-12-17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117A KR20230093117A (ko) 2023-06-27
KR102593496B1 true KR102593496B1 (ko) 2023-10-25

Family

ID=8677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914A KR102593496B1 (ko) 2021-12-17 2021-12-17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3496B1 (ko)
WO (1) WO202311337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961B1 (ko) * 2019-03-27 2019-06-25 우복연 자동 탁구 연습장치
KR102053903B1 (ko) * 2018-11-27 2019-12-09 아미르 카만디 탁구 트레이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4787B2 (ja) * 1999-08-03 2010-03-03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卓球遊戯装置
JP2002095782A (ja) * 2000-09-25 2002-04-02 Hama Bowl:Kk 卓球競技装置
KR101114595B1 (ko) 2009-07-24 2012-02-20 이종택 탁구 게임 로봇
KR102129586B1 (ko) * 2018-11-15 2020-07-02 주식회사 제이제이글로벌 탁구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03B1 (ko) * 2018-11-27 2019-12-09 아미르 카만디 탁구 트레이닝 장치
KR101992961B1 (ko) * 2019-03-27 2019-06-25 우복연 자동 탁구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117A (ko) 2023-06-27
WO2023113379A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050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CN102327697B (zh) 投影式台球训练***及其实现方法
US20160314620A1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100700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212086A1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EP2890114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deo recording device
KR101371892B1 (ko) 재생 속도를 제어 가능한 동화상 재생 장치
US2016032883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4133911A (zh) 基于头颈部运动的信息交互方法和装置
CN109529317B (zh) 游戏交互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240038933A (ko) 프로젝터 및 로봇팔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당구 훈련을 제공하는 당구 훈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285832A1 (en) Automatic ball machine apparatus utilizing player identification and player tracking
KR102593496B1 (ko) 완충장치를 가지는 탁구 트레이닝 장치
TWI818597B (zh) 作為遊戲控制器的鍛練或體育器材
KR20130114512A (ko) 영상인식장치를 이용한 자동 당구 게임시스템
JP5733298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Yeo et al. Augmented learning for sports using wearable head-worn and wrist-worn devices
US8715049B2 (en) Game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 game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1705836B1 (ko) 깊이 정보를 이용한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6706470B2 (ja) 情報処理装置、位置情報検出方法及び位置情報検出プログラム
JP5539936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44764B1 (ko) 스포츠 코트에서의 인아웃 판정 방법 및 장치
KR102434326B1 (ko) 몸동작 실시간 영상비교가 가능한 테니스 온라인 가상훈련 시스템
JP6149891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54801B1 (ko)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