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831B1 -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831B1
KR102589831B1 KR1020220185797A KR20220185797A KR102589831B1 KR 102589831 B1 KR102589831 B1 KR 102589831B1 KR 1020220185797 A KR1020220185797 A KR 1020220185797A KR 20220185797 A KR20220185797 A KR 20220185797A KR 102589831 B1 KR102589831 B1 KR 102589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backhaul
reconnection
terminal device
backhau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연수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형 기지국인 인밴드백홀(In-band backhaul) 기지국의 단말장치가 이동통신 기지국(백홀망 기지국)과 백홀링크(backhaul link)(또는 백본링크(backbone link))를 형성하기 위한 접속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을 구성하는 기지국장치의 기지국 신호로 인해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단말장치가 백홀링크에 접속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BACKHAUL LINK IN IN-BAND BACKHAUL BASE STATION}
본 발명은 셀룰러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형 기지국인 인밴드백홀(In-band backhaul) 기지국의 단말장치가 이동통신 기지국(백홀망 기지국)과 백홀링크(backhaul link)(또는 백본링크(backbone link))를 형성하기 위한 접속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을 구성하는 기지국장치의 기지국 신호로 인해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단말장치가 백홀링크에 접속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통신에서 사용자 과밀지역 및 음영지역 등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중계기와 함께 이동형 기지국을 사용한다. 이러한 이동형 기지국은 상위망 연결을 위해 백홀링크(backhaul link) 또는 백본링크(backbone link)가 필요하고, 이동형 기지국의 운용 편의성을 위해서는 무선 백홀링크가 필요하다.
4G 및 5G 시스템에서는 무선 백홀링크를 지원하기 위해 릴레이(relay) 기술 및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와 같은 표준 기술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러한 표준 기술은 기술 성숙도가 낮아 제품화 및 상용화에 한계가 있다. 반면 앞서 기술한 표준 기술과 별개로 기지국장치, 단말장치 및 게이트웨이장치를 하나로 묶어 이동형 기지국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일체형 통합 액세스 백홀 기지국이라 한다.
이러한 일체형 통합 액세스 백홀 기지국은 군통신과 같은 특수 목적의 통신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다. 일체형 통합 액세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백홀링크를 위해 별도의 주파수와 통신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기지국의 서비스 망과 동일한 통신방식과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밴드백홀(In-band backhaul) 기지국'이라고도 부른다.
인밴드백홀 기지국은 단말기능과 기지국기능이 하나의 장비(또는,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지국신호와 단말신호 간에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신호와 단말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경감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사용하고 필터장치를 통해 기지국장치와 단말장치의 인접대역신호를 억압하여 송출한다.
KR 10-2021-0030396 A, 2021. 03. 17. KR 10-2010-0014190 A, 2010. 02. 10. KR 10-2012-0038399 A, 2012. 04. 23. KR 10-2013-0007551 A, 2013. 01. 18.
본 발명의 목적은 인밴드백홀 기지국에서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기지국장치의 기지국 신호로 인해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단말장치가 백홀링크에 접속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와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에서 단말장치의 초기 백홀망 접속을 위한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 송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확인 결과,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가 미송출 상태이면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가 송출 상태이면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의 송출을 차단한 후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 송출을 시작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와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인밴드백홀 기지국 운용 중에 단절된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을 위한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 송출을 차단하는 과정;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를 초기화하는 과정;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 완료를 확인하는 과정; 확인 결과,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이 비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가 최대 재접속 카운팅 회수(Nmax)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 과정과 상기 백홀망 재접속 완료 확인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 상기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가 상기 최대 재접속 카운팅 회수(Nmax)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 송출을 시작하는 과정; 및 설정된 백홀망 재접속 대기시간(Wt) 동안 대기한 후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의 초과 여부의 판단을 위한 최대 재접속 카운팅 회수(Nmax)는 아래 [수학식]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Nmax=floor(Rt/Pt)
여기서, 'Rt'는 RLF(Radio Link Failure) 시간으로 기지국장치와 단말장치가 신호를 받지 못하여도 통신 단절로 인지하지 않는 최대 시간을 나타내고, 'Pt'는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 송출을 차단하는 과정에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 완료를 확인하는 과정까지의 프로세스 시간을 나타내고, 'floor()'은 '()'의 계산 결과가 소수점 자리를 버림 연산으로 정수값을 가짐.
또한, 상기 백홀망 재접속 대기시간(Wt)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Wt=T×2(n-1)
여기서, 'T'는 통신방식에서의 1 frame의 길이 시간이고, n은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를 나타냄.
또한, 상기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는 최대 카운팅 회수를 3으로 제한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기지국 신호로 인해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단말장치가 백홀링크에 접속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단말장치가 최초 백홀망 접속시 백홀링크에 원활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지국 서비스 중 백홀링크가 단절되는 경우에도 기지국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망 단절없이 백홀링크에 재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밴드백홀 기지국은 고정 및 이동시에 접속 단말에 대해 안정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운용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밴드백홀 기지국에서 단말장치의 초기 백홀망 접속을 위한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운용 중 단절된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이 필요할 때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인밴드백홀 기지국에서는 기지국신호와 단말신호 간의 상호 간섭을 경감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을 구분하는 한편, 필터장치를 이용하여 인접대역신호를 억압하여 송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밴드백홀 기지국에서 기지국 신호가 있을 경우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단말장치는 백홀링크(서비스망)의 접속에 제약이 따른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단말과 기지국 간 통신을 위해서는 단말이 기지국 신호를 기반으로 시각 동기를 맞춘 후 그 동기된 타이밍에 맞춰 망 접속에 필요한 신호를 기지국과 주고 받는데, 단말의 시각 동기는 가장 센 기지국의 신호를 기준으로 동기를 맞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밴드백홀 기지국과 같이 단말장치에 인접해서 기지국이 있을 경우, 단말장치는 인접해 있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백홀링크(서비스) 기지국(이동통신 기지국/백홀망 기지국)이 아닌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신호를 기준으로 동기를 맞추고 해당 접속을 시도한다. 이로 인해 백홀링크(서비스 망)의 접속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기지국신호를 차단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기존에 인밴드백홀 기지국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인밴드백홀 기지국과의 통신 단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밴드백홀 기지국에서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기지국신호로 인해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단말장치가 백홀링크에 접속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운용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밴드백홀 기지국(10)은 기지국장치(11), 단말장치(12) 및 게이트웨이장치(13)가 하나도 통합된 이동형 기지국으로 이루어지고,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제1 및 제2 안테나(14, 15)를 포함한다.
도 2와 같이, 기지국장치(11)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장비)로서, 예를 들어 5G의 gNode B, LTE의 eNode B 등의 장비가 해당할 수 있다. 단말장치(12)는 기지국장치(11)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모뎀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인밴드백홀 기지국(10)은 도 1과 같이, 단말장치(12)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백홀망 기지국'이라 함)(20)과 백홀링크를 구성하고, 기지국장치(11)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 서비스 영역(1) 밖의 단말2(40)와 서비스 링크를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게이트웨이장치(13)는 5G 및 LTE의 가입자 신호처리 및 상위망과의 연결을 위한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및 제2 안테나(14, 15)는 기지국장치(11)와 단말장치(12)의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로서, 이동통신기술에 따라 개수는 가감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장치(11)는 단말2(40)와의 통신에 필요한 RF 신호를 생성 및 수신하는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111)와, 이동통신 방식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물리 계층, MAC 계층 및 Layer 3계층의 신호 등을 처리하는 기지국 디지털 신호 처리부(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111)와 기지국 디지털 신호 처리부(112)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기지국 제어부(113)는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111)와 기지국 디지털 신호 처리부(112)의 제어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 기능을 정상적으로 제공하고, 본 발명의 동작 구현에 필요한 RF 신호 송출 시작 및 차단(ON/OFF) 처리와 단말장치(12)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2)는 이동통신 기지국(20)과의 통신에 필요한 RF 신호를 생성 및 수신하는 단말 RF 신호 처리부(121)와, 이동통신 방식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물리계층, MAC계층 및 Layer 3계층의 신호 등을 처리하는 단말 디지털 신호 처리부(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 RF 신호 처리부(121)와 단말 디지털 신호 처리부(122)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123)를 포함한다.
단말 제어부(123)는 단말 RF 신호 처리부(121)와 단말 디지털 신호 처리부(122)의 제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 기능을 정상적으로 제공하고, 본 발명의 동작 구현에 필요한 망 단절 여부를 확인하고, 망 단절 사실을 기지국 제어부(113)로 제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5G 통신 기술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G 및 LTE 이외의 이동통신 기술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인밴드백홀 기지국(10)은 단말장치(12)를 통해 백홀망 기지국(20)에 연결되어 백홀링크를 구성하고, 기지국장치(11)를 통해 단말2(40)와 서비스 링크를 구성하여 단말2(4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은 기지국장치(11)와 단말장치(12)의 제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은 크게 2가지 제어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이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초기 동작시 백홀링크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두번째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운용 중 단말장치의 백홀링크 단절로 백홀링크로 재접속이 필요할 때 백홀링크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서, 인밴드백홀 기지국에서 단말장치의 초기 백홀망 접속을 위한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인밴드백홀 기지국(10)의 기지국장치(11)가 제1 안테나(14)를 통해 기지국신호, 즉 RF 신호를 송출하고 있는지 그 여부를 확인한다(S11). 이때,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 송출 확인은 기지국 제어부(113)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확인 결과(S12),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가 송출 상태이면,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의 송출을 차단하여 미송출 상태로 전환한다(S13). 이때, 기지국 제어부(113)는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 송출을 차단(OFF)하여 기지국장치(11)를 RF 신호 미송출 상태로 전환한다. 반면,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가 미송출 상태이면, 단말장치(12)는 백홀링크에 접속을 위한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S14). 이때, 상기 백홀링크에 접속을 위한 망 접속 절차는 5G 통신방식의 경우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에 해당하는 절차일 수 있다.
단말장치(12)는 백홀링크에 접속을 위한 망 접속 절차 수행(S14) 후, 백홀망 접속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S15). 즉, 단말장치(12)의 망 접속 결과, 단말장치(12)가 백홀링크에 정상적으로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를 송출하여 서비스를 개시한다(S16). 반면, 단말장치(12)가 백홀링크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것(비정상적 접속)으로 판단되면, 재접속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서,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운용 중 단절된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이 필요할 때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2)의 백홀링크 단절이 식별되면, 단말장치(12)의 백홀링크 재접속 절차를 시작한다(S21). 이때, 단말장치(12)의 백홀링크 단절 여부는 단말 제어부(123)를 통해 인지될 수 있다. 단말장치(12)의 망 재접속을 위해, 우선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 송출을 차단하여 단말장치(12)와의 신호 간섭을 차단한다(S22).
이어서, 단말장치(12)의 백홀망 재접속 회수 카운터를 초기화한다(S23). 예를 들어,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 n(여기서, n은 자연수 임)을 n=1로 초기화한다.
이어서, 백홀링크에 접속을 위한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인밴드백홀 기지국(10)의 단말장치(12)는 백홀망 기지국(20)에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절차를 수행한다(S24). 가령, 이 과정은 5G 통신방식의 경우 PRACH에 해당하는 절차일 수 있다.
이어서, 망 접속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5). 이 과정에서는 인밴드백홀 기지국(10)의 단말장치(12)가 백홀망 기지국(20)의 초기 접속(initial access)이 완료되어 백본망에 접속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어서, 확인 결과(S25), 망 접속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 송출을 시작하여 기지국 서비스를 시작한다(S26). 반면, 망 접속이 비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 초과 여부를 확인한다(S27).
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 초과 여부 확인 결과(S27), 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를 증가시킨다(S28). 이때, 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를 증가시키는 과정(S28)은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재접속 카운팅 회수 n을 증가시키고, 백홀망 접속 절차 수행과정(S24)으로 돌아가 백홀망 접속을 수행한다.
[수학식 1]
n=n+1, 만약 n이 3보다 크거나 같으면, n=3
반면, 망 재접속 회수 초과 여부 확인 결과(S27), 망 재접속 최대회수(Nmax)를 초과한 경우에는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 송출을 시작한다(S29).
이어서, 설정된 재접속 대기시간(Wt) 동안 대기한 후(S30), 백홀망 기지국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S21)으로 돌아간다. 여기서, 대기시간(Wt) 동안 대기하는 이유는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 송출이 중단된 시간 동안 발생한 기지국장치(11)와 단말장치(12) 간의 데이터 및 시그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함이다. 상기 재접속 최대회수(Nmax)는 기지국장치(11)의 RF 신호를 차단하여도 단말2(40)와의 링크 단절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하며 그 예는 아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최대 재접속 회수 Nmax=floor(Rt/Pt)
여기서, 'Rt'는 RLF(Radio Link Failure) 시간으로 백홀망 기지국(20)과 단말2(40)가 신호를 받지 못하여도 통신 단절로 인지하지 않는 최대 시간을 나타낸다. 'Pt'는 도 6에서 "백홀망 기지국 재접속 과정(S21)"에서부터 "백홀망 접속 완료를 확인하는 과정(S25)"까지의 프로세스 시간을 나타낸다. 'floor()'은 '()'의 계산 결과가 소수점 자리를 버림 연산으로 정수값을 가진다. 일 예로, 'floor(12.3)=12'가 된다.
재접속 대기시간(Wt) 기다림 과정(S30)에서 대기시간(Wt)은 아래 [수학식 3]으로 설정한다.
[수학식 3]
Wt=T×2(n-1)
여기서, 'T'는 통신방식에서의 1 frame의 길이 시간으로, 5G 통신의 경우 10msec가 된다. 'n'은 위 [수학식 1]에서 정의된 재접속 시도 카운팅 회수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 인밴드백홀 기지국
11 : 기지국장치
12 : 단말장치
13 : 게이트웨이장치
14 : 제1 안테나
15 : 제2 안테나
20 : 이동통신 기지국(백홀망 기지국)
30 : 단말1
40 : 단말2
111 :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
112 : 기지국 디지털 신호 처리부
113 : 기지국 제어부
121 : 단말 RF 신호 처리부
122 : 단말 디지털 신호 처리부
123 : 단말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기지국장치와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인밴드백홀 기지국 운용 중에 단절된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을 위한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 송출을 차단하는 과정;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를 초기화하는 과정;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 완료를 확인하는 과정;
    확인 결과,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이 비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가 최대 재접속 카운팅 회수(Nmax)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 과정과 상기 백홀망 재접속 완료 확인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
    상기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가 상기 최대 재접속 카운팅 회수(Nmax)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장치와 통신하는 단말과의 링크가 단절되지 않도록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 송출을 시작하는 과정; 및
    설정된 백홀망 재접속 대기시간(Wt) 동안 대기한 후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의 초과 여부의 판단을 위한 최대 재접속 카운팅 회수(Nmax)는 아래 [수학식]과 같이 산출하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수학식]
    Nmax=floor(Rt/Pt)
    여기서, 'Rt'는 RLF(Radio Link Failure) 시간으로 백홀망과 단말이 신호를 받지 못하여도 통신 단절로 인지하지 않는 최대 시간을 나타내고, 'Pt'는 상기 기지국장치의 RF 신호 송출을 차단하는 과정에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백홀망 재접속 완료를 확인하는 과정까지의 프로세스 시간을 나타내고, 'floor()'은 '()'의 계산 결과가 소수점 자리를 버림 연산으로 정수값을 가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망 재접속 대기시간(Wt)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설정하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수학식]
    Wt=T×2(n-1)
    여기서, 'T'는 통신방식에서의 1 frame의 길이 시간이고, n은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를 나타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망 재접속 카운팅 회수는 최대 카운팅 회수를 3으로 제한하여 증가시키는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KR1020220185797A 2022-12-27 2022-12-27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KR10258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797A KR102589831B1 (ko) 2022-12-27 2022-12-27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797A KR102589831B1 (ko) 2022-12-27 2022-12-27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831B1 true KR102589831B1 (ko) 2023-10-16

Family

ID=8850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797A KR102589831B1 (ko) 2022-12-27 2022-12-27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83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190A (ko) 2008-08-01 201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백홀링크 및 액세스링크를 위한 자원할당 방법
KR20120038399A (ko) 2009-05-29 2012-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 백홀 상향링크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30007551A (ko) 2010-02-11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 노드 사이의 백홀 링크 실패를 복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10155A (ko) * 2014-07-18 2016-01-27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KR101782115B1 (ko) * 2016-10-14 2017-09-2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동형 기지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KR101803040B1 (ko) * 2016-12-23 2017-11-2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동형 기지국 장치
KR20180027349A (ko) * 2017-08-30 2018-03-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동형 기지국 장치
KR20190089510A (ko) * 2018-01-23 2019-07-31 한국과학기술원 대역 내 무선 백홀을 이용한 다계층 이종망의 상하향 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030396A (ko) 2018-08-03 202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액세스 및 백홀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190A (ko) 2008-08-01 201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백홀링크 및 액세스링크를 위한 자원할당 방법
KR20120038399A (ko) 2009-05-29 2012-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 백홀 상향링크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30007551A (ko) 2010-02-11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 노드 사이의 백홀 링크 실패를 복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10155A (ko) * 2014-07-18 2016-01-27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KR101782115B1 (ko) * 2016-10-14 2017-09-2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동형 기지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KR101803040B1 (ko) * 2016-12-23 2017-11-2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동형 기지국 장치
KR20180027349A (ko) * 2017-08-30 2018-03-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이동형 기지국 장치
KR20190089510A (ko) * 2018-01-23 2019-07-31 한국과학기술원 대역 내 무선 백홀을 이용한 다계층 이종망의 상하향 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030396A (ko) 2018-08-03 202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액세스 및 백홀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38.321 v15.13.0* *
3GPP TS38.331 v17.0.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1610B1 (en) Digital cellular overlay network
EP0472511B1 (en) Handoff of a mobile station between half rate and full rate channels
KR0149953B1 (ko)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892970A1 (en) Wireless base station system
US5946633A (en) Method and terminal for high bandwidth cellular data transmission
AU7318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after performing an inter-MSC soft handoff in a cellular system
EP1077582B1 (en) Method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mobiles using different duplex technology
US20070274216A1 (en) Signal processing system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401255B2 (ja) デジタルtdma無線システムの通話制御方法
KR102589831B1 (ko)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AU75459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fin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station
JP4039932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WO2009047064A2 (en) A method for reducing the risk of dropped call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JP3866909B2 (ja) 無線中継装置
JP3405928B2 (ja) ハンドオーバ方法
EP1502460B1 (en) Channel reconnection system and method
JP3507790B2 (ja) Phs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phs端末装置
JPH11355246A (ja) 周波数ホッピング方式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WO202407397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of supporting continuity of mrb
KR19980074164A (ko) 중첩 cdma(코드분할다원접속)통신방법 및 그 시스템
JPH0691488B2 (ja) 無線リンクのモニタ方法
JP4020827B2 (ja) 基地局装置、基地局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1516167A (ja) 移動部を固定局にログオン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00221283A1 (en) Installation of a private 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method for forming such an installation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JPH1098756A (ja) 簡易型携帯電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