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219B1 -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219B1
KR102589219B1 KR1020210169028A KR20210169028A KR102589219B1 KR 102589219 B1 KR102589219 B1 KR 102589219B1 KR 1020210169028 A KR1020210169028 A KR 1020210169028A KR 20210169028 A KR20210169028 A KR 20210169028A KR 102589219 B1 KR102589219 B1 KR 10258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lap
module
senso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904A (ko
Inventor
윤두선
최봉석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219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 E01F13/08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는 크랭크 축; 일 단이 상기 크랭크 축과 연결되고, 크랭크 축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플랩 날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단축하는 로드 선형 액츄에이터; 및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의 연장 및 단축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링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플랩 차단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 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특정 공간에 차량의 주차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장소로서, 차량 보급률이 증가하고, 차량이 밀집되는 도심이 발달함에 따라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부족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부족한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변의 노상 주차장 또는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을 유료 주차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노상 주차장 또는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은 독립적인 공간으로서 차량의 진입출을 통제할 수 없고, 대신하여 지면으로부터 상하이동되는 차단판을 통해 차량의 바닥면을 가로막아 진입출을 통제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문헌 KR 10-2005-0028510 A는 주차시스템의 플랩형 주차 차단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위와 같은 선행문헌에 따르면, 차단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계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차단판을 상하이동하기 위하여 웜기어(worm gear)와 베벨기어(bevel gear)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다수의 기어를 사용하면, 주차된 차량이 차단판이 상승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단을 차량의 출차를 시도하는 경우에 기어 또는 기어에 연결된 모터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렇게 파손된 플랩형 주차차단기가 수리가 될 때까지 해당 주차구역은 사용되지 못하여 수익성 감소로 이어진다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야기된다.
특허공개공보 10-2005-0028510A (2005.3.23)
본 개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차량이 무단으로 출차를 시도하는 경우라도 내부 구동계와 같은 주요 부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여 내구성이 증대되고, 내부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내부 부품의 교환을 쉽게하여 수리비 및 수리시간을 절감하도록 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내의 소모 부품의 교환 시기를 예측하여 유지보전이 가능한 플랩형 주차차단기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는 크랭크 축; 일 단이 상기 크랭크 축과 연결되고, 크랭크 축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플랩 날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단축하는 로드 선형 액츄에이터; 및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의 연장 및 단축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링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조는 브레이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모서리가 브레이크 판에 걸려, 상기 외력이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에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브레이크 본체 및 브레이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는 일부가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의 연장 또는 단축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판을 따라 미끄러지듯 이동하고,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대한 외력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삽입되어,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포함된 상기 모서리가 상기 브레이크 판에 포함된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판에 포함된 걸림홈은 상기 브레이크 모듈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 나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는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가 상기 링크 구조가 연결된 측의 반대측에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스프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모듈은 스프링 모듈 본체 및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 단이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함께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대한 외력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압축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는 상기 브레이크 모듈의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에 설치되는 센서, 및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체결된 제1 센서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제1 센서 인식부에 대한 거리를 검지하여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검지하는 제1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는 상기 스프링 모듈의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2 센서 인식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센서홀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2 센서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홀을 인식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가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되는 경우, 관리서버에 상기 브레이크 판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가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되는 경우, 관리서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본체의 내부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a는 정상작동상태의 플랩 날개 구동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b는 비정상 상태의 플랩 날개 구동장치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모듈의 측면을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b는 스프링 모듈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가 설치된 주차장 구성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알리는 운용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형 주차 차단기(100)(이하 플랩 차단기(100)로 지칭)는 주차면(101)에 각각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주차면(101)에 차량(102)이 주차되면, 주차면(101)에 설치된, 예를 들어 루프 코일, 무게 감지 센서, 또는 카메라와 같은 센서를 통해 차량이 주차되었음이 감지할 수 있다. 플랩 차단기(100)는 이러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102)이 주차되었음을 식별하고, 플랩 날개(110)를 상승시켜 차량(102)이 주차 요금의 결제전에 출차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100)는 플랩 날개(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기구로서 크랭크 기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랩 차단기(100)는 보호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구조는 플랩 날개(110)가 상승되었을 때 강제 출차함에 따라 플랩 날개(110)에 가해지는 외력과 같은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플랩 차단기(100) 내의 구동장치로서 크랭크 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100)는 센서를 포함하여 센서의 검지 결과에 따른 소모 부품에 대한 소모 횟수, 결함을 식별하고 이에 기초하여 교환시기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이러한 플랩 차단기(100)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랩 차단기(200)는 본체(210), 메인 플랩판(220), 플랩 날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하우징(2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1)은 플랩 차단기(200)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를 실장할 수 있다. 하우징(211)은 착탈 가능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12)는 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출력부 및 소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12)는 하우징(211)에 형성된 개구 또는 투명창(transparent window)를 통하여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플랩판(220)은 플랩 차단기(200)가 주차면에 설치되었을 때 바닥에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플랩 날개(230)는 플랩 차단기(200)가 주차면에 설치되었을 때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 날개(230)의 일 단을 축으로 메인 플랩판(220)에 대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플랩 날개(230)가 메인 플랩판(220)에 대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동작을 플랩(flap) 동작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메인 플랩판(220)과 플랩 날개(230)는 차량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서로 맞닿는 부분이 산(mountain)을 이루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차량의 바퀴가 경사면을 통하여 메인 플랩판(220)과 플랩 날개(230)를 지나 플랩 차단기(200)를 통과할 수 있다. 메인 플랩판(220)과 플랩 날개(230)는 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양쪽 바퀴가 모두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지거나,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양쪽 바퀴 중 하나만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12)는 플랩 날개(230)의 상승과 하강에 대응하는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12)는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램프는 플랩 날개(230)가 상승하여 차량이 통과하지 못할 때에는 적색을 출력하고, 플랩 날개(230)가 하강하여 차량이 통과할 수 있을 때에는 녹색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출력 인터페이스(212)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플랩 날개(230)의 상승과 하강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본체의 내부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a는 플랩 날개가 하강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3b는 플랩 날개가 상승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플랩 차단기의 본체는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플랩 날개(301)의 일 단을 축으로 회전 운동시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다관절 링크 구조 또는 크랭크 구조를 통해 플랩 날개(301)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고정파트(310), 선형 액츄에이터(320)(linear actuator), 크랭크 암(330)(crank arm), 브레이크 모듈(340), 스프링 모듈(350), 브레이크 판(360)(break plate)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파트(310)는 크랭크 축(311)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랭크 축(311)은 플랩 날개(301)의 일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크랭크 축(311)은 플랩 날개(301)의 플랩 동작의 기준이 될 수 있다. 고정파트(310)에 대하여 크랭크 축(311)이 회전함에 따라 플랩 날개(301)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고정파트(310)는 플랩 차단기의 본체의 바닥면(302)에 고정되어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를 지지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실린더(321)(cylinder) 및 텔레스코픽 로드(322) (telescopic rod)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로드(322)는 실린더(321)에 대하여 선형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실린더(321)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텔레스코픽 로드(322)를 실린더(321)에 대하여 선형 슬라이딩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21)에서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위치한 측의 맞은편의 단부는 스프링 모듈(350)과 연결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제1 회전축(351)을 기준으로 스프링 모듈(3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 모듈(350)은 바닥면(302)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모듈(350)과 선형 액츄에이터(320)가 연결된 제1 회전축(351)은,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환경에서는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고정파트(310) 및 스프링 모듈(350)을 고정(또는 구속)하고 양 구성 사이에 크랭크 암(330), 브레이크 모듈(340) 및 선형 액츄에이터(320)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4절 링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모듈(350)은 제2 고정파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스프링 모듈(350)은 선형 액츄에이터(3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데, 스프링 모듈(350)은 선택적인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스프링 모듈(35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에 대한 설명에서 스프링 모듈(350)의 구조와 기능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고정파트(310) 및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사이에 크랭크 암(330) 및 브레이크 모듈(340)이 연결될 수 있다. 고정파트(310), 선형 액츄에이터(320), 크랭크 암(330) 및 브레이크 모듈(340)은 각 구성의 단부들이 이웃하는 구성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다관절 링크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모듈(340)은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선형 운동을 크랭크 축(311)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힘을 전달하는 부재로서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라고 지칭될 수 있다.
고정파트(310)는 크랭크 축(311)을 통하여 크랭크 암(330)과 연결될 수 있다. 크랭크 암(330)은 크랭크 축(311)을 통하여 고정파트(310)와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서 브레이크 모듈(340)과 연결될 수 있다. 크랭크 암(330)은 제2 회전축(331)을 기준으로 브레이크 모듈(3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브레이크 모듈(340)은 제2 회전축(331)을 통하여 크랭크 암(330)과 연결되는 반대방향에서 선형 액츄에이터(320)와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 모듈(340)은 제3 회전축(341)을 기준으로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린더(321)에 대하여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돌출 또는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운동 또는 선형 운동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실린더(3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하면,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전체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로드(322)에 의한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연장과 단축과 같은 선형 운동은, 크랭크 암(330) 및 브레이크 모듈(340)을 통해 크랭크 축(311)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크랭크 축(311)은 플랩 날개(301)와 고정 연결되어 크랭크 축(311)의 회전에 따라 플랩 날개(301)가 회전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가 길이가 늘어나도록 작동하면 플랩 날개(301)가 상승할 수 있고, 선형 액츄에이터(320)가 짧아지도록 작동하면 플랩 날개(301)가 하강할 수 있다. 즉,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길이 변화에 따라 크랭크 축(311) 또는 플랩 날개(301)의 회전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길이가 얼마나 변화하느냐에 따라 크랭크 축(311) 또는 플랩 날개(301)의 회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실린더(321)에 대하여 최대한 삽입된 상태에서, 플랩 날개(301)는 완전히 하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실린더(321)에 대하여 완전히 돌출된 상태에서, 플랩 날개(301)는 완전히 상승된 상태일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길이 변화에 따라 플랩 날개(301)가 상승하는 정도 또는 하강하는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실린더(321)에 대하여 돌출되는 정도 또는 삽입되는 정도를 제어하며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선형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다관절 링크 구조 또는 크랭크 구조를 통하여 플랩 날개(301)를 플랩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기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플랩 날개(301)를 동작시킬 수 있다. 기어는 고가의 부품이며, 비정상적이고 강제적인 힘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기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어나 기어에 연결된 모터가 손상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브레이크 판(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브레이크 판(360)을 이용하여 플랩 날개(301)에 대한 비정상적이고 강제적인 힘이 가해져도, 이러한 힘이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대하여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a 및 도 5b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판(360)을 이용한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a는 정상작동상태의 플랩 날개 구동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b는 비정상 상태의 플랩 날개 구동장치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모듈(340)은 브레이크 본체(410), 스프링(420), 브레이크 방지부재(430), 센서부(440) 및 센서 인식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본체(410)는 양 단에 제1 개구부(411) 및 제2 개구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411) 및 제2 개구부(412)는 핀(미도시)을 통하여 각각 선형 액츄에이터(320) 및 크랭크 암(33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개구부(411)는 제3 회전축(341)으로 기능하고, 제2 개구부(412)는 제2 회전축(331)로 기능할 수 있다.
브레이크 본체(410)는 제2 개구부(411)가 위치한 일 단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브레이크 본체(410)에서 개방된 단부를 통하여 스프링(420) 및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는 브레이크 본체(41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에 삽입되는 힘을 받으면 스프링(410)이 압축되고, 힘이 해제되었을 때, 스프링(410)의 복원에 의하여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에 대하여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는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는 체결구(431)를 가질 수 있다. 센서부(440)는 센서(441)와 브라켓(442)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442)은 체결구(443)를 가질 수 있다. 센서부(440)의 체결구(443)와 브레이크 방지부재(430)의 체결구(431)는 브레이크 본체(410)의 길이방향 개구부(413)(longitudinal opening)를 통과하는 연결부재(예: 나사, 볼드, 핀 등)(fastener)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와 센서부(4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길이방향 개구부(413)에 구속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는 길이방향 개구부(413)가 정의하는 길이만큼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442)은 길이방향 개구부(444)를 가지고 브레이크 본체(410)는 체결구(414)를 가질 수 있다. 체결구(414)에 연결된 연결부재(fastener)가 길이방향 개구부(444)에 끼워질 수 있다. 브레이크 본체(410)의 길이방향 개구부(413)와 브라켓(442)의 길이방향 개구부(444)에 관통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센서부(440)가 브레이크 본체(410)에 대하여 안정적인 자세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센서 인식부(450)는 인식판(451) 및 체결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52)는 브레이크 본체(410)에 체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체결부(452)는 브레이크 모듈(340)이 선형 액츄에이터(320)와 연결되는 제3 회전축(341)을 공유하면서 브레이크 본체(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인식판(451)은 센서 인식부(450)가 브레이크 본체(410)에 연결되었을 때, 센서(441)를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인식부(450)는, 브레이크 본체(410)에 연결되었을 때, 센서 인식판(451)이 센서(441)를 마주하도록 위치한다면, 제3 회전축(341)을 공유하지 않으면서 브레이크 본체(410)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브레이크 모듈(340)은 플랩 날개(301)에 대한 비정상적이고 강제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 이러한 힘이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대비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플랩 차단기 또는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에 대하여, 플랩 날개(301)에 비정상적이고 강제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를 '정상 상태'로 정의하고, 비정상적이고 강제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를 '비정상 상태'로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비교하여 브레이크 모듈(340)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기로 한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는 하부에 슬라이딩부(432)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부(432)는 브레이크 본체(4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부 경사진 부분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모듈(340)의 아래에 브레이크 판(360)이 위치할 수 있다. 정상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모듈(340)의 슬라이딩부(432)는 브레이크 판(360)에 대하여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모듈(340)은 비정상 상태에서 브레이크 판(360)에 걸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랩 날개가 상승된 상태에서 강제적인 힘이 가해져서 플랩 날개가 강제적으로 하강하려는 힘을 받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강제적인 힘은 크랭크 축(311) 및 크랭크 암(330)로 전달되어 브레이크 모듈(340)을 후진하게 하고 이와 함께 후진하는 힘이 선형 액츄에이터(320)로 전달될 수 있다. 플랩 날개가 상승된 상태에서 길어진 상태의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이러한 후진하는 힘에 의하여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브레이크 모듈(340)이 브레이크 판(360)이 걸리게 되면서 후진하는 힘이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비정상 상태에서도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브레이크 모듈(340)의 브레이크 판(360)에 대한 걸림 동작은, 브레이크 본체(410)의 모서리(415) (edge)가 브레이크 판(360)이 포함하는 복수의 걸림홈(361)에 걸리면서 이뤄질 수 있다.
정상 상태에서 브레이크 모듈(340)은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연장과 단축, 또는 전진과 후진에 의해서 슬라이딩부(432)가 브레이크 판(360)에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비정상 상태에서 브레이크 모듈(340)은 크랭크 암(330)에 의하여 강제적인 힘을 받게 되면, 브레이크 본체(410)는 후진하는 힘을 받게 되는데,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연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한 항력을 동시에 받는다. 강제적으로 후진하는 힘과 항력에 의하여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부의 스프링(420)이 압축하게 되고,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구성된 브레이크 방지부재(430) 또한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브레이크 본체(410)의 모서리(415)가 최외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모서리(415)가 브레이크 판(360)의 걸림홈(361)에 걸리면서 더 이상 브레이크 모듈(340)이 강제적인 힘을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비정상 상태는 강제로 출차하는 차가 출차하게 되면 해제되는 것으로, 비정상 상태에서의 강제적인 힘을 일시적인 것일 수 있다. 강제적인 힘이 해제되면, 스프링(420)에 의하여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또는 모서리(415))보다 최외각으로 드러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판(360)의 걸림홈(361)에 걸린 모서리(415)도 걸림홈에서 해제되고, 브레이크 모듈(340)은 다시 정상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플랩 차단기 내의 구동장치는 파손되지 않고 다시 정상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브레이크 판(360)의 걸림홈(361)은 소모적일 수 있다.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져서 브레이크 모듈(340)의 모서리(415)가 걸림홈(361)에 걸릴 때마다 걸림홈(361)이 파손될 수 있다. 걸림홈(361)은 복수개 있기 때문에 하나의 걸림홈(361)이 파손되더라도 다른 걸림홈(361)이 기능할 수 있다.
브레이크 판(360)에 포함된 걸림홈(361)은 브레이크 모듈(340) 또는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 나열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홈(361)이 모두 파손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모듈(340)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없다. 혹은, 브레이크 모듈(340) 내부의 스프링(420)이 반복되는 압축에 의해 훼손되어 복원력을 상실하면, 모서리(415)가 브레이크 방지부재(430) 보다 최외각으로 드러나 항상 걸림홈(361)에 걸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판(360) 및 스프링(420)은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일 수 있다. 적절한 시기에 브레이크 판(360) 및 스프링(42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모듈(340)이 비정상 상태에서 작동하는 횟수, 또는 모서리(415)가 걸림홈(361)에 걸리는 횟수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비정상 상태에서, 강제적인 후진하는 힘과 항력에 의하여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부로 삽입되면, 브레이크 방지부재(430)와 체결구(431)를 통해 연결된 센서부(440) 또한 센서 인식판(45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센서(441)는 센서 인식판(451) 사이의 거리(g)가 일정값보다 커지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센서(441)가 거리(g)가 일정값보다 커지는 것을 검지할 때마다, 브레이크 모듈(340)에 강제적인 외력이 작용하여, 브레이크 모듈(340)이 걸림홈(361)에 걸리게 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센서(441)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모듈(340)이 비정상 상태에서 작동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센서(441)의 검지 횟수에 따라 브레이크 모듈(340)의 비정상 상태에서의 작동 횟수가 결정될 수 있다. 비정상 상태에서의 작동 횟수가 일정 횟수 넘어가면 유효한 걸림홈(361)이 모두 소모된 것으로 판단하고, 운용자는 브레이크 판(360)을 교체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모듈의 측면을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b는 스프링 모듈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모듈(350)은 스프링 모듈 본체(610), 연결부(620), 센서 인식부(630), 제1 센서(640), 및 제2 센서(6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모듈 본체(610)는 고정(또는 구속)되어 스프링 모듈(350)의 작동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연결부(620)는 스프링 모듈 본체(6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620)는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620)에서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반대 방향의 단부는 선형 액츄에이터(32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620)는 제1 회전축(351)에 의하여 선형 액츄에이터(320)와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인식부(630)는 연결부(620)에 고정될 수 있다. 센서 인식부(630)는 연결부(62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때 함께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 모듈 본체(610)는 길이방향의 가이드슬릿(611)(guide slit)을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슬릿(611)에는 연결부(620)가 포함하는 가이드부(612)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슬릿(611)에 삽입된 가이드부(612)에 의하여 연결부(62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모듈 본체(61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613) 및 제2 스프링(614)이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프링(613) 및 제2 스프링(614)은 서로 다른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 또는 탄성률(elastic modulus)을 가질 수 있다. 제1 스프링(613)의 스프링 상수가 제2 스프링(614)의 스프링 상수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62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삽입될 때, 제1 스프링(613)이 먼저 압축된 후, 제2 스프링(614)이 압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모듈(350)은 브레이크 모듈(350)을 보완하여, 강제적인 외력에 의한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모듈(350)이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브레이크 모듈(350)의 모서리(415)가 브레이크 판(360)의 걸림홈(361)에 걸리기 전까지 강제적인 외력에 의하여 선형 액츄에이터(320)를 후진시키는 힘이 가해질 수 있는데, 스프링 모듈(350)의 연결부(62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일부 삽입됨으로써 이러한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스프링(613)의 압축에 의한 연결부(620)의 삽입이 이뤄질 수 있다. 강제적인 외력이 사라진 후, 압축됐던 제1 스프링(613)이 복원될 수 있다. 즉, 스프링 모듈(350)은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대한 강제적인 외력에 대비하는 쿠션 또는 완충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모듈(340)이 구비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나, 브레이크 판(360)의 걸림홈(361)이 모두 파손되거나, 브레이크 모듈(340)의 브레이크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는, 강제적인 외력이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그대로 전달될 우려가 남아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제1 스프링(613)의 압축에 의한 흡수에도 불구하고, 강제적인 외력이 더 가해지는 경우, 스프링 모듈(350)의 연결부(620)는 제2 스프링(614)의 압축에 의한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한 삽입이 더 이뤄질 수 있다. 제2 스프링(614)은 브레이크 모듈(340)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에,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전달되는 강제적인 외력을 감쇄하고, 이를 흡수할 수 있다. 강제적인 외력이 사라진 후, 압축됐던 제1 스프링(613) 및 제2 스프링(614)이 복원될 수 있다.
스프링 모듈(350) 내부의 스프링(613, 614)은 반복되는 압축에 의해 그 복원력을 상실할 수 있다. 스프링 모듈(350)은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작동에 기준이 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스프링(613, 614)의 복원력이 상실되면, 연결부(620)의 위치가 달라지고, 선형 액츄에이터(320)가 정상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모듈(350)의 스프링(613, 614)은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일 수 있다. 적절한 시기에 스프링(613, 614)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스프링(613, 614)의 압축여부를 검지하고 횟수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제1 센서(640) 및 제2 센서(650)는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센서(640) 및 제2 센서(650)는 센서 인식부(63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640)는 복수의 센서홀(641)을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650)는 복수의 센서홀(651)을 가질 수 있다. 센서들(640, 650)는 복수의 센서홀(641, 651)을 통해 센서 인식부(630)를 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홀(641, 651)은 센서 인식부(63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650) 중 적어도 하나가 검지하는 센서 인식부(630)에 따라 연결부(62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이동한 거리가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613)에 의하여 연결부(620)가 삽입될 때, 제1 센서(640)의 센서홀(641) 만이 센서 인식부(630)를 인식할 수 있고, 제1 스프링(613)의 압축에 의한 연결부(620)의 삽입이 끝난 후, 제2 스프링(614)에 의하여 연결부(620)가 삽입될 때에는 제2 센서(650)의 센서홀(651)이 센서 인식부(630)를 인식할 수 있다.
제1 센서(640) 및 제2 센서(650)의 검지 결과에 따라, 연결부(620) 및 센서 인식부(630)의 삽입되는 정도 및 제1 스프링(613) 및 제2 스프링(614)의 압축 여부 및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가 설치된 주차장 구성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차장(700)은 관리서버(710), 정산기(720) 및 적어도 하나의 플랩 차단기(7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 차단기(730)는 각각의 주차면마다 설치될 수 있다. 관리서버(710), 정산기(720) 및 플랩 차단기(730)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구성은 차량의 주차면에 대한 주차 및 주차에 따른 각 플랩 차단기(730)의 작동, 및 정산기(720)에서 주차요금 결제 등 주차장(700)의 운용에 필요한 일반적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플랩 차단기(730)는 제어부(731), 구동부(732), 센서부(733), 인터페이스부(734) 및 통신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31)는 구동부(732), 센서부(733), 인터페이스부(734) 및 통신부(735)를 제어하여 플랩 차단기(730)가 작동하는데 일반적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31)는 플랩 차단기(730)의 소모품의 교체시기를 예측하여 관리서버(710)에 알릴 수 있다.
구동부(732)는 플랩 차단기(730)의 플랩 날개를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732)는 플랩 날개 구동장치(예: 도 3의 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732)는 선형 액츄에이터(예: 도 3의 320), 브레이크 모듈(예: 도 3의 340), 스프링 모듈(예: 도 3의 350), 브레이크 판(예: 도 3의 3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732)는 소모품으로서 브레이크 판(예: 도 3의 360), 브레이크 모듈 내의 스프링(예: 도 4의 420), 스프링 모듈의 스프링(예: 도 6b의 613, 61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33)는 구동부(732)가 강제적인 외력이 작용하는 비정상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733)는 브레이크 모듈(340)에 포함된 센서부(예: 도 4의 440), 스프링 모듈(350)의 센서(예: 도 6a의 640, 6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33)는 브레이크 모듈(340)의 작동 또는 브레이크 판(360)에 대한 브레이크 모듈(340)의 걸림, 스프링 모듈(350) 내의 스프링의 압축을 검지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34)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운용자는 플랩 차단기(730)를 제어하거나 설정하는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는 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출력부 및 소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플랩 차단기(730)의 상태가 표현될 수 있다.
플랩 차단기(730)는 외부 장치로서 관리서버(710) 및 정산기(720)와 통신부(735)를 통하여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35)는 외부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수립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알리는 운용 방법의 예시적인 프로세스(800)를 도시한다. 이하,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알리는 운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소모품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플랩 차단기(예: 도 7의 7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스(800)는 블록(810, 820 및/또는 830)에 의하여 예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개략적인 동작들은 예시로서만 제공되고,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작들 중 일부가 선택적일 수 있거나, 더 적은 동작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추가적인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예시된 개략적인 동작들은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810, 820, 830)은 순차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동시에 수행되거나 다른 순서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랩 차단기(730)의 제어부(731)는 센서부(733)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고(801), 수신한 검지값을 축적할 수 있다(803). 제어부(731)는 축적한 검지값이 일정 기준 이상이 누적되면, 소모품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관리서버(71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733)는 브레이크 모듈(340)의 센서부(440)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440)는 브레이크 모듈(340)이 브레이크 판(360)에 걸릴 때마다 검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 판(360)은 복수회 브레이크 모듈(340)이 걸리게 되면 파손될 수 있어서, 브레이크 모듈(340)이 걸리는 횟수를 센서부(440)의 검지 결과를 축적하여 카운팅함으로서, 브레이크 판(360)의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부(733)는 스프링 모듈(350)의 센서부(650, 660)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650, 660)는 스프링 모듈(350)의 스프링(613, 614)가 압축될 때 마다 검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프링(613, 614)는 반복되는 압축에 의하여 피로 파괴될 수 있어서, 스프링(613, 614)가 압축되는 횟수를 센서부(650, 660)의 검지 결과를 축적하여 카운팅함으로서, 스프링(613, 614)의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9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신호 베어링 매체(910)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900)의 신호 베어링 매체(910)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930) 및/또는 기록 가능 매체(93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베어링 매체(910)에 포함된 명령어(920)는 플랩 차단기(730)에 포함된 제어부(731)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명령어(920)는,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센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명령어,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하는 명령어;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가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되는 경우, 관리 서버(71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크랭크 축;
    일 단이 상기 크랭크 축과 연결되고, 크랭크 축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플랩 날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단축하는 로드 선형 액츄에이터; 및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의 연장 및 단축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링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구조는 브레이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모듈의 모서리가 브레이크 판에 걸려, 상기 외력이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에 전달되지 않게 하고,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브레이크 본체 및 브레이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는 일부가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의 연장 또는 단축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판을 따라 미끄러지듯 이동하고,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대한 외력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삽입되어,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포함된 상기 모서리가 상기 브레이크 판에 포함된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된,
    플랩 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판에 포함된 걸림홈은 상기 브레이크 모듈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 나열된 것인,
    플랩 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가 상기 링크 구조가 연결된 측의 반대측에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스프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모듈은 스프링 모듈 본체 및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 단이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함께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대한 외력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압축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플랩 차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모듈의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에 설치되는 센서, 및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체결된 제1 센서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제1 센서 인식부에 대한 거리를 검지하여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검지하는 제1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플랩 차단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모듈의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2 센서 인식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센서홀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2 센서 인식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홀을 인식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검지하는 것인,
    플랩 차단기.
  8. 제6항에 따른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가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되는 경우, 관리서버에 상기 브레이크 판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
  9. 제7항에 따른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가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되는 경우, 관리서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
KR1020210169028A 2021-11-30 2021-11-30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 KR102589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028A KR102589219B1 (ko) 2021-11-30 2021-11-30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028A KR102589219B1 (ko) 2021-11-30 2021-11-30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904A KR20230081904A (ko) 2023-06-08
KR102589219B1 true KR102589219B1 (ko) 2023-10-17

Family

ID=8676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028A KR102589219B1 (ko) 2021-11-30 2021-11-30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2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679A (ja) * 2000-05-17 2001-11-22 Techno Park Yamazaki:Kk 無人駐車場の車両拘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617B1 (ko) 2003-09-18 2005-12-06 지엘시스텍주식회사 주차시스템의 무인 차단기
KR101982121B1 (ko) * 2016-07-27 2019-05-27 (주)상경씨티 플랩형 노상주차 무인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679A (ja) * 2000-05-17 2001-11-22 Techno Park Yamazaki:Kk 無人駐車場の車両拘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904A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98334A1 (ja) 車両通行制御装置
DE102006030639B4 (de) Kraftfahrzeug
US9464392B2 (en) Battery operated parking barrier
CN109778743B (zh) 一种路面超载检测处置装置
US20220010510A1 (en) Roadway debris clearing system
US11965295B1 (en) Portable vehicle barrier
KR102589219B1 (ko)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
US2023024992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nsing vehicle positioning and vehicle restraint movement
CN107119598A (zh) 一种防碰撞门禁道闸
KR101005995B1 (ko)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CN1878925B (zh) 具有碰撞保护的卷帘百叶门
KR102645585B1 (ko)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CN111511170A (zh) 一种用于军用电磁屏蔽设备的强制通风装置
US8167320B2 (en) Vehicle with carriage anti-tilting structure
WO2003019233A1 (de)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s hindernisses
CN108556779B (zh) 一种安全防护装置以及载货汽车
JP6948201B2 (ja) 車両扉開閉検知装置
KR101460708B1 (ko)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
EP1736630A1 (en) Retractable safety edge mechanism, installation method and resultant door system
KR20050090674A (ko) 보행자 안내용 입출차 차단기를 구비한 주차관리시스템
CN219568673U (zh) 一种带有防护组件的道闸
CN112554095B (zh) 一种防撞门闸
NL1032353C2 (nl) Veerbreukbeveiliging.
CN218508300U (zh) 一种水平栏杆机
KR102453452B1 (ko) 파손방지기능을 구비한 굴절 주차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