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835B1 - 저녹스버너 - Google Patents

저녹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835B1
KR102587835B1 KR1020220076501A KR20220076501A KR102587835B1 KR 102587835 B1 KR102587835 B1 KR 102587835B1 KR 1020220076501 A KR1020220076501 A KR 1020220076501A KR 20220076501 A KR20220076501 A KR 20220076501A KR 102587835 B1 KR102587835 B1 KR 10258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uel
pipe
bur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규
배영욱
Original Assignee
(주)충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충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충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7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9/00Pilot flame igniters
    • F23Q9/02Pilot flame igniters without interlock with main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녹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써, 녹스를 절감할 수 있는 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가 경유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되고,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주입관; 하우징에 설치되고, 하우징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버너튜브; 하우징에 설치되어 버너튜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화염을 형성하기 위한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유동관; 및 연료유동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화염이 형성되는 버너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녹스버너{LOW NOx BURNER}
본 발명은 저녹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써, 녹스를 저감할 수 있는 버너에 관한 것이다.
질소 산화물은 일반적으로 NO와 NO2를 의미하며, 녹스(NOX)로 호칭된다.
NO는 무색, 무취의 유독성 기체이고, NO2는 가시광선의 흡수체로 보라색 내지 청색 같은 단파를 흡수하기 때문에 갈색을 띠며 부식성이 있고 강한 질식성 악취를 가지는 유독성 기체이다.
녹스는 화석연료가 연소할 때 다량으로 발생되고, 연소용 공기 중 질소가 고온에서 유리, 산화되어 생성되는 Thermal NOX와, 연료에 존재하는 질소 성분이 연소과정에서 산화되어 생성되는 Fuel NOX와, 연소 시 연료에서 발생되는 탄화 수소기가 연소용 공기 중 질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Prompt NOX 등으로 구별된다.
녹스의 가장 큰 피해는 광화학적 스모그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햇빛의 존재 하에 탄화수소와 반응하여 광화학적 산화물과 오존을 생성하는 것이며, 오존 이외에 PAN(Peroxyacetylnitrate) 등과 같은 스모그 공해 물질은 기침, 눈의 자극, 두통과 목에 심한 자극 등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연소 시 녹스를 저감시킬 수 있는 버너의 연구 및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스를 저감할 수 있는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가 경유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되고,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주입관; 하우징에 설치되고, 하우징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버너튜브; 하우징에 설치되어 버너튜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화염을 형성하기 위한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유동관; 및 연료유동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화염이 형성되는 버너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버너헤드는 일단이 연료유동관의 단부와 연통되는 제1연료노즐; 제1연료노즐의 타단에 설치되는 화염소켓; 및 제1연료노즐과 연통되는 제2연료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연료노즐은 일단에 연료유동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연결관; 일단이 제1연결관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이 화염소켓을 관통하여 화염소켓에 고정되는 제1분사관; 및 제1연결관과 제1분사관 간에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격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1연결관과 제1분사관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분사관의 타측면은 폐쇄되고, 제1분사관의 외주면에 제1연료배출공이 형성되어 화염소켓의 내부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설치되고, 단부가 제1분사관과 연통되어 점화를 위한 연료가 유입되는 점화가스유동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연료노즐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제1연결관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제1연결관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연료노즐은 일단이 제1연결관의 원주면을 관통하여 제1연결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절곡되어 화염소켓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2연결관; 일측면이 개방되어 제2연결관의 타단이 삽입되고, 화염소켓과 버너튜브 간에 배치되는 제2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분사관의 타측면에 제2연료배출공이 형성되고, 제2분사관의 원주면에 제3연료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3연료배출공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제2분사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제2분사관의 원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녹스버너는 제1연료노즐을 통해 화염소켓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와, 화염소켓의 보염공을 통해 화염소켓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혼합가스에 초기 점화가 이루어져서 1차 화염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연료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연료가 1차 화염에 공급되어 연속적으로 착화되면서 안정적인 메인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연료배출공과 제3연료배출공이 제2분사관의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제2분사관에 형성되어 연료가 제2연료배출공과 제3연료배출공을 통해 나누어 분사되어 2차, 3차 화염이 형성됨으로써, 박막의 분할 화염이 형성되어 화염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제3연료배출공으로 배출되는 연료에 의해 형성되는 3차 화염이 버너튜브의 단부와 연소실 사이 빈공간으로 회전하여 버너튜브의 공기유입공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만나 연소반응이 일어나며 자기재순환 연소를 유도할 수 있다.
즉, 메인가스노즐의 다중 가스노즐(Multi Spud Gas Nozzle)을 통한 박막, 분할화염 형성으로 화염의 방열성을 높여서 녹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연료배출공에서 수직으로 분사되는 연료가스와, 공기유입공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만나서 연소실의 내부 빈 공간으로 자기재순환되며 형성되는 화염의 연소가스가 연소실 내부의 화염대를 지나며 재연소되면서 녹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녹스버너의 블록도, 정면도이다.
도 3a,b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저녹스버너의 좌측면도, 우측면도이다.
도 4,5는 도 2에 도시된 저녹스버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섹션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섹션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버너헤드의 확대도이다.
도 9a,b는 도 8에 도시된 부분 'A' 확대도로서, 제2분사관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과 이송로드 간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12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저녹스버너가 연소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녹스버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녹스버너의 블록도, 정면도이고, 도 3a,b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저녹스버너의 좌측면도,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5는 도 2에 도시된 저녹스버너의 단면도이고, 도 11,12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저녹스버너가 연소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도 11,12를 참조하면, 저녹스버너(100)는 공기가 경유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주입관(12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버너튜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버너튜브(130)의 내부에 배치되고, 화염을 형성하기 위한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유동관(140), 상기 연료유동관(140)의 단부에 설치되어 화염이 형성되는 버너헤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철재, 합금강과 같이 고열에 강하고, 일정강성을 띤 공지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열매체보일러에 설치되어 열매체유를 가열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분야의 가열용 장치로서 적용될 수 있다.
연료는 일 예로, LNG, LPG 등과 같은 가스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연료유동관(140)에서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육면체 또는 도면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관(120)은 상기 하우징(110)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원주면에 설치되어 볼트, 피스와 같은 공지의 고정부재(이하, '고정부재'라 함) 또는 용접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버너튜브(130)는 상기 공기주입관(120)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 또는 용접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버너튜브(130)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이며,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버너튜브(130)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버너튜브(13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볼트공(131a)이 형성되는 플랜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플랜지(131)와 하우징(110) 간에 설치되고, 걸고리공(132a)이 형성되는 보강플레이트(1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공(131a)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기 저녹스버너(100)를 보일러의 연소실(20, 도 11 도시)와 같은 가열대상장치에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3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과 버너튜브(130) 간 고정력을 보다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걸고리공(132a)을 통해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매개로 상기 저녹스버너(10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버너튜브(130)는 복수 개의 공기유입공(133)이 형성되어, 상기 버너튜브(13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공(133)을 통해 연소실(2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공(133)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너튜브(13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버너튜브(130)에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료유동관(140)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용접 또는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섹션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섹션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버너헤드의 확대도이고, 도 9a,b는 도 8에 도시된 부분 'A' 확대도로서, 제2분사관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버너헤드(150)는 일단이 상기 연료유동관(140)의 단부와 연통되는 제1연료노즐(160), 상기 제1연료노즐(160)의 타단에 설치되는 화염소켓(17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150)는 상기 제1연료노즐(160)과 연통되는 제2연료노즐(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단부가 상기 화염소켓(170)을 관통하고, 화염을 형성하기 위해 혼합가스를 점화하는 점화장치(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장치(111)는 스파크에 의한 점화방식으로서, 상기 점화장치(111)의 단부에 형성되는 스파크발생부(111a)가 상기 화염소켓(17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화염소켓(17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초기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염소켓(170)은 일측면이 폐쇄되고, 타측면이 개방된 원기둥형태로서, 상기 화염소켓(170)의 일측면에 상기 제1연료노즐(160)의 타단이 관통되어 용접 또는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화염소켓(170)의 일측면은 복수 개의 보염공(171)이 형성되고, 상기 보염공(171)을 통해 상기 버너튜브(13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화염소켓(17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염소켓(170)과 버너튜브(130) 간에 형성되는 유로(10)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여 상기 화염소켓(170)에서 형성되는 화염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연료노즐(160)은 일단에 상기 연료유동관(14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연결관(161), 일단이 상기 제1연결관(161)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화염소켓(170)을 관통하여 상기 화염소켓(170)에 고정되는 제1분사관(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료노즐(160)은 상기 제1연결관(161)과 제1분사관(162) 간에 형성되는 격벽(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163)은 관통공(163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관(161)과 제1분사관(162)이 상호 연통됨으로서, 상기 연료유동관(140)에서 상기 연결관으로 배출되는 연료가 상기 관통공(163a)을 통해 상기 제1분사관(16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관(162)의 타측면은 폐쇄되고, 상기 제1분사관(162)의 외주면에 제1연료배출공(162a)이 형성되어 상기 화염소켓(170)의 내부에 노출됨으로서, 상기 제1분사관(162)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연료가 상기 제1연료배출공(162a)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화염소켓(17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료배출공(162a)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사관(162)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분사관(162)에 형성되어 상기 화염소켓(170)에 연료가 보다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제1분사관(162)과 연통되어 점화를 위한 연료가 유입되는 점화가스유동관(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소량의 연료가 상기 점화가스유동관(112)을 통해 주입되고, 상기 제1연료배출공(162a)을 통해 상기 화염소켓(170)의 내부로 유입되어 초기 점화가 이루어져서 안정적인 1차 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료노즐(18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결관(161)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연결관(161)과 연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연료노즐(180)은 일단이 상기 제1연결관(161)의 원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관(16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절곡되어 상기 화염소켓(170)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2연결관(18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료노즐(180)은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제2연결관(181)의 타단이 삽입되고, 상기 화염소켓(170)과 버너튜브(130) 간에 배치되는 제2분사관(1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사관(182)의 타측면에는 제2연료배출공(18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관(182)의 원주면에 제3연료배출공(182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료가 상기 제2연료배출공(182a), 제3연료배출공(182b)을 통해 배출되어 1차 화염에 공급됨으로써, 메인화염이 연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연료배출공(182b)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분사관(18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2분사관(182)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1차 화염에 연료를 보다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화염소켓(17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화염소켓(170)과 버너튜브(130) 간에 배치되는 보염플레이트(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염플레이트(17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염소켓(17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화염소켓(17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관(182)은 상호 인접한 상기 보염플레이트(172) 간에 배치되어 메인화염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제1연료노즐(160)을 통해 상기 화염소켓(170)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와, 상기 보염공(171)을 통해 상기 화염소켓(17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혼합가스에 초기 점화가 이루어져서 1차 화염(31)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료노즐(180)을 통해 배출되는 연료와, 상기 유로(1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1차 화염(31)에 공급되어 1차 화염(31)에 연속적으로 착화되면서 안정적인 메인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료배출공(182a)과 제3연료배출공(182b)이 상기 제2분사관(182)의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분사관(182)에 형성되어 연료가 상기 제2연료배출공(182a)과 제3연료배출공(182b)을 통해 나누어 분사되어 2차, 3차 화염(32,33)이 형성됨으로써, 박막의 분할 화염이 형성되어 화염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연료배출공(182b)으로 배출되는 연료에 의해 형성되는 3차 화염(33)이 상기 버너튜브(130)와 연소실(20) 사이 빈 공간으로회전하여 상기 공기유입공(133)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만나 연소반응이 일어나며 자기재순환 연소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료배출공(182a), 제3연료배출공(182b)을 통한 박막, 분할화염 형성으로 화염의 방열성을 높여서 녹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연료배출공(182b)에서 수직으로 분사되는 연료와, 상기 공기유입공(133)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만나서 상기 버너튜브(130)의 내부 빈 공간으로 자기재순환되며 형성되는 화염의 연소가스가 연소실(20) 내부의 화염대를 지나며 재연소되면서 녹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제1연결관(161)의 원주면에 설치되는 가변플레이트(164), 일단이 상기 가변플레이트(164)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유동관(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변플레이트(164)를 선형이동시키는 이송로드(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로드(165)의 선형이동에 동조하여 상기 제2분사관(182)이 상기 버너튜브(130)에 인입 또는 인출되고, 상기 제2분사관(182)이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3연료배출공(182b)의 개수에 따라서 화염의 크기,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가변플레이트(164)와 제1연결관(161) 간에 형성되는 보강플레이트(16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66)를 통해 상기 가변플레이트(164)와 제1연결관(161) 간 고정력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버너튜브(130)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버너튜브(13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1고정고리(141), 상기 연료유동관(140)에 관통되어 상기 연료유동관(14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2고정고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고리(141)와 제2고정고리(142) 간에 설치되는 지지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43)는 막대부재로서, 복수 개로 이루어져서 상기 연료유동관(14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고리(141)와 제2고정고리(142) 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고리(141), 제2고정고리(142), 지지대(143)는 용접 또는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기 버너튜브(130), 연료유동관(140), 제1고정고리(141), 제2고정고리(14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료유동관(140)이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상기 화염소켓(170)이 경량으로 제작되어 상기 연료유동관(140)의 위치변동이 발생할 우려가 적으나, 상기 화염연소장치에 가해지는 불특정한 외력에 의해 상기 연료유동관(140)에 요동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연료유동관(140)이 상기 제1고정고리(141), 제2고정고리(142), 지지대(143)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 버너튜브(13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불특정한 외력에 의해 상기 연료유동관(140)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요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염이 안정적으로 발생될 수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공기주입관(12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주입관(120)을 개폐하는 급기댐퍼(121), 상기 연료유동관(140)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유동관(14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급기댐퍼(121), 개폐밸브(144)를 통해 상기 공기주입관(120)과 연료유동관(140)의 개방량을 조절하여 공기와 연료의 유동량, 화염의 크기와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과 이송로드 간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10을 참조하면,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제1연결관(161)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유동관(140)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1오링(145),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로드(165)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2오링(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통공(113)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로드(165)가 상기 통공(11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저녹스버너(100)는 상기 제1연결관(16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연결관(161)의 내주면에 제1오링(145)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오링(145)이 상기 제1오링(145)홈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공(113)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제2오링홈(114)이 형성되어 상기 제2오링(115)이 상기 제2오링홈(114)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오링(145)과 제2오링(115)을 통해 상기 이송로드(165)와 하우징(110), 상기 제1연결관(161)과 연료유동관(140) 간 기밀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저녹스버너 110 : 하우징
120 : 공기주입관 130 : 버너튜브
140 : 연료유동관 150 : 버너헤드

Claims (10)

  1. 공기가 경유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주입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버너튜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버너튜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화염을 형성하기 위한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유동관; 및
    상기 연료유동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염이 형성되는 버너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헤드는,
    일단이 상기 연료유동관의 단부와 연통되는 제1연료노즐;
    상기 제1연료노즐의 타단에 설치되는 화염소켓; 및
    상기 제1연료노즐과 연통되는 제2연료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료노즐은,
    일단에 상기 연료유동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연결관;
    일단이 상기 제1연결관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화염소켓을 관통하여 상기 화염소켓에 고정되는 제1분사관; 및
    상기 제1연결관과 제1분사관 간에 형성되는 격벽;
    을 포함하는 저녹스버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관과 제1분사관이 상호 연통되는 저녹스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관의 타측면은 폐쇄되고,
    상기 제1분사관의 외주면에 제1연료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화염소켓의 내부에 노출되는 저녹스버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제1분사관과 연통되어 점화를 위한 연료가 유입되는 점화가스유동관을 더 포함하는 저녹스버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료노즐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결관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연결관과 연통되는 저녹스버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료노즐은,
    일단이 상기 제1연결관의 원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절곡되어 상기 화염소켓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2연결관;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이 삽입되고, 상기 화염소켓과 버너튜브 간에 배치되는 제2분사관;
    을 포함하는 저녹스버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관의 타측면에 제2연료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관의 원주면에 제3연료배출공이 형성되는 저녹스버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료배출공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분사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2분사관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저녹스버너.
KR1020220076501A 2022-06-23 2022-06-23 저녹스버너 KR102587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501A KR102587835B1 (ko) 2022-06-23 2022-06-23 저녹스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501A KR102587835B1 (ko) 2022-06-23 2022-06-23 저녹스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835B1 true KR102587835B1 (ko) 2023-10-12

Family

ID=8829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501A KR102587835B1 (ko) 2022-06-23 2022-06-23 저녹스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8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883B1 (ko) * 2012-10-11 2012-12-18 주식회사 수국 저열량 가스용 저녹스형 버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883B1 (ko) * 2012-10-11 2012-12-18 주식회사 수국 저열량 가스용 저녹스형 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4221C (en) Low nox premix burner apparatus and methods
US5915954A (en) Low emission gas burner
US6106276A (en) Gas burner system providing reduced noise levels
CA2844828C (en) Burner
US4645449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urning fuel with low nox formation
JP6325930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CN101611263A (zh) 燃气锅炉的燃烧器
US67556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aseous fuel fired heater
US4604048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urning fuel with low NOx formation
JP5316947B2 (ja) マイクロガスタービン用燃焼器
KR102587835B1 (ko) 저녹스버너
CA2101047A1 (en) Fire tube boiler
JPS5838686B2 (ja) 気体燃料用バ−ナ装置
KR102599129B1 (ko) 부분 예혼합 유로계를 통한 역화방지용 수소 보일러
KR200421616Y1 (ko) 저녹스 가스버어너
KR200421615Y1 (ko) 저녹스 가스버어너
KR102587825B1 (ko) 수소버너
EP3926236A2 (en) Ported burner
KR101508216B1 (ko) 가스 및 오일 겸용 저녹스 버너
KR200209805Y1 (ko) 증기,연료혼합 건 타입 버너장치
KR20030021915A (ko) 가스 급탕기의 분젠가스버너
KR101071660B1 (ko) 탄화수소계 연료의 연소장치 및 이를 열발생원으로 구비한 장치
KR102573037B1 (ko) 가스조리기용 버너
EP2354662A2 (en) Burner assembly for a gas turbine plant and a gas turbine plant comprising said burner assembly
US20220214084A1 (en) A Thermal-Compression Heat Pump With Four Chambers Separated by Three Regener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