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683B1 -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683B1
KR102582683B1 KR1020210134241A KR20210134241A KR102582683B1 KR 102582683 B1 KR102582683 B1 KR 102582683B1 KR 1020210134241 A KR1020210134241 A KR 1020210134241A KR 20210134241 A KR20210134241 A KR 20210134241A KR 102582683 B1 KR102582683 B1 KR 102582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ification
personal data
classification
sensitive personal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0903A (ko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픈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픈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픈잇
Priority to KR102021013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683B1/ko
Priority to US17/520,148 priority patent/US20230115071A1/en
Publication of KR20230050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7Static hand or arm
    • G06V40/11Hand-related biometrics; Hand pos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3Recognition of whole body movements, e.g. for sport training
    • G06V40/25Recognition of walking or running movements, e.g. gait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기준 유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METHOD FOR VERIFYING THE TARGET PERSON, AND SERVER AND PROGRA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서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생체 인증이란 인간의 신체적 또는 행동적 특성을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하고, 접근권한이 제한된 기기, 서비스, 또는 공간에 대한 접근권한을 부여하는 기술이다. 생체 인증에는 주로 지문, 얼굴, 또는 음성 등의 생체데이터가 이용되며, 생체 데이터에서 사람마다 고유하게 가지는 특성 또는 패턴이 생체 인증에 활용된다.
하지만, 생체 인증을 완료한 사용자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인증과 검증 관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다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것은 설비 구축의 경제성, 효율성 측면이나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서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기준 유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비민감 개인데이터는, 상기 검증 대상자를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는 없으나, 상기 검증 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류 기준들은, 상기 비민감 개인데이터의 데이터 종류에 따라 상기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분류하는 기준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류 기준들은, 상기 검증 대상자의 의상의 종류, 의상의 색상, 헤어스타일, 수염형태, 착용중인 장신구의 종류, 및 안경착용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류 유형은,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가지는 그룹별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기준 유형의 비교결과에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상기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최초에 수행되는 생체인증 과정에서 상기 검증 대상자의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상기 기준 유형을 판단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기준 유형은, 상기 검증 대상자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황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상기 검증 대상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집된 수집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상 상황이 발생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위치가 속한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를 통하여 상기 검증 대상자의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집 데이터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하여 수집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집 데이터는, 상기 휴대용 단말의 위치 데이터 및 움직임 센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증 서버는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판단하는 분류 유형 판단기 및 판단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기준 유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processor)와 결합되어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기준 유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장치들은 수집과 보관이 비교적 자유로운 검증 대상자에 대한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 대상자가 인지하지 못한 무자각 상태에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장치들은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검증 과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장치들은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검증에 활용함으로써 일부 비민감 개인데이터의 변동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장치들은 1차 인증을 마친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검증 대상자에 대해서만 검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검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과정을 포함하는 인증 및 검증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민감 개인 데이터 수집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검증 서버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U(Accelerate Processor Unit), DSP(Drive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와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검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과정을 포함하는 인증 및 검증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검증 시스템(10)은 제1인증 데이터 수집기(100), 게이트웨이(gateway, 110), 제2인증 데이터 수집기(120),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및 검증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대상자를 확인하는 수준에 따라 "인증"의 용어와 "검증"의 용어가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인증"과 "검증"은 경우에 따라 모두 대상자를 확인하는 절차라는 점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두 용어는 상호 간에 혼용될 수도 있다. 도 1의 검증 대상자(TGP)는 검증의 대상인 동시에 인증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도 1의 검증 서버(300)는 검증 과정과 인증 과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인증/검증 시스템(10)은 1차 인증(S210)과 2차 인증(S250)으로 구성되는 2단계의 인증 절차를 포함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1차 인증(S210) 과정은 검증 대상자(TGP)가 최초에 출입 제한 시설 내로 들어갈 때(또는 최초에 접근 제한 서비스에 접근할 때)에 수행되고, 2차 인증(S250) 과정은 검증 대상자(TGP)가 출입 제한 시설 내에서 별도의 인증 절차가 필요한 공간으로 들어갈 때 또는 출입 제한 시설 내에서 추가 인증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할 때(또는 접근 제한 서비스 내에서도 추가적인 접근 제한이 존재하는 서비스에 접근할 때) 수행될 수 있다. 이 외에도, 1차 인증(S210) 과정과 2차 인증(S250) 과정이 사용되는 예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차 인증(S210) 과정에서 사용될 인증 데이터는 제1인증 데이터 수집기(100)에 의해 수집되어 검증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1차 인증(S210) 과정은 검증 대상자(TGP)가 인증을 위하여 별도의 행위를 수행하여야 하는 자각 인증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1차 인증(S210) 과정은 생체 인증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1차 인증(S210) 과정이 생체인증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생체인증을 위해 수집된 생체 데이터가 생체 인식 모조(biometric mimicking)에 의한 것이 아닌지 여부의 확인을 위한 라이브니스(liveness) 검증(S215) 절차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1차 인증(S210) 과정에서 검증 대상자(TGP)의 생체정보, 검증 대상자(TGP)의 ID, 및 검증 대상자(TGP)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50)의 식별정보(예컨대,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등) 중 적어도 2이상은 서로 매핑되어 검증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2차 인증(S250) 과정에서 사용될 인증 데이터는 제2인증 데이터 수집기(120)에 의해 수집되어 검증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2차 인증(S250) 과정은 검증 대상자(TGP)가 인증을 위하여 별도의 행위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무자각 인증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2차 인증(S250) 과정은 검증 대상자(TGP)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50)의 식별정보(예컨대,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등)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50) 자체를 인증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2차 인증(S250) 과정은 검증 대상자(TGP)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50)을 통해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검증 대상자(TGP)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인증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2차 인증(S250) 과정은 검증 대상자(TGP)에 대한 영상(이미지)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이미지)으로부터 판단되는 검증 대상자(TGP)의 생체 정보 또는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1차 인증(S210)과 2차 인증(S250) 간에는 검증 대상자(TGP) 또는 검증 대상자(TGP)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50)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판단(S220)하고,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검증(S240)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상황은 검증 대상자(TGP)가 최초 1차 인증(S210) 과정에서 소지하였던 휴대용 단말(50)의 동작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여 휴대용 단말(50)을 활용한 2차 인증(S250)에 장애가 있거나, 휴대용 단말(50)이 검증 대상자(TGP)가 아닌 타인에 의해 소지되어 남용될 수 있는 경우 등을 폭넓게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상 상황은 검증 대상자(TGP)가 최초 1차 인증(S210) 과정에서 부여받은 인증 권한이 소멸 또는 만기되었거나, 부여받은 인증 권한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해당할 수도 있다.
검증(S240) 과정에서 검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1차 인증(S210) 과정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 경우, 검증 대상자(TGP)는 1차 인증(S210) 절차를 다시 수행하여야 하며, 1차 인증(S210) 과정에서 인증에 성공해야 다시 출입 제한 시설(또는 접근 제한 서비스)로 들어갈 수 있다.
검증(S240) 과정에서 검증에 성공한 경우에는 이상 상황 판단(S220) 과정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 경우, 검증 대상자(TGP)는 1차 인증(S210) 절차를 새롭게 수행할 필요는 없다. 실시 예에 따라, 검증에 성공한 경우라도 이상 상황 판단(S220) 과정에서의 판단기준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검증(S240) 과정을 거친 횟수에 상응하여 이상 상황 판단기준은 낮아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검증(S240)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이상 상태로 판단될 수 있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이상 상황 판단(S220) 과정에서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거나, 검증(S240) 과정에서 검증에 실패한 경우 또는 검증에 성공한 경우에는 모두 해당 상황에 대하여 관제상황 알림(S230)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상 상황이 발생한 사실, 이상 상황의 유형, 이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 이상 상황이 발생한 휴대용 단말의 식별정보, 해당 휴대용 단말을 보유한 대상자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인증/검증 시스템(10)을 관리하는 중앙관제실(미도시) 측에 알림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로 돌아와서, 검증 대상자(TGP)는 휴대용 단말(50)을 소지하고, 인증/검증 시스템(10)에 의해 관리되는 공간(또는 서비스)에 출입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50)은 검증 대상자(TGP)에 의해 휴대가 가능하며,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폭넓게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50)은 검증 대상자(TGP)가 착용하는 형태로 휴대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50)은 위치 데이터와 검증 대상자(TGP)의 움직임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50)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50)은 검증 대상자(TGP)와의 접촉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50)은 비콘(beacon)으로 구현되어 인증/검증 시스템(10) 내에 위치한 게이트웨이(110) 측으로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50)로부터 전송된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50)의 위치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50)은 움직임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예컨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인증 데이터 수집기(100)는 1차 인증(S210) 과정에서 인증에 사용될 인증 데이터를 검증 대상자(TGP)로부터 수집하여 검증 서버(3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1차 인증(S210) 과정이 생체인증으로 수행되는 경우, 제1인증 데이터 수집기(100)는 검증 대상자(TGP)로부터 생체 데이터(예컨대, 얼굴, 홍채, 망막, 목소리, 지문, 손모양, 정맥, 또는 필체 등)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 데이터를 검증 서버(3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인증 데이터 수집기(100)는 1차 인증(S210) 과정에서 인증에 사용될 인증 데이터 이외에도, 검증 대상자(TGP)가 보유한 휴대용 단말(50)의 식별정보, 검증 대상자(TGP)의 ID 등을 함께 수집할 수 있다.
검증 서버(300)는 제1인증 데이터 수집기(100)로부터 전송된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1차 인증(S210)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는 1차 인증(S210)이 완료된 검증 대상자(TGP)의 휴대용 단말(50)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 데이터(휴대용 단말(50)이 비콘 방식의 측위를 사용하는 경우 블루투스 신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음)와 움직임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1개의 게이트웨이(110)가 휴대용 단말(50)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게이트웨이들이 휴대용 단말(50)로부터 위치 데이터(휴대용 단말(50)이 비콘 방식의 측위를 사용하는 경우 블루투스 신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음)를 수신함으로써 휴대용 단말(5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는 휴대용 단말(50)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와 움직임 센싱 데이터를 검증 서버(3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검증 서버(300)는 수신된 위치 데이터와 움직임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이상 상황의 발생여부 및 이상 상황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검증 서버(300)에 의해 이상 상황 판단(S220)을 수행한 결과,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검증(S240)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검증 서버(300)는 이상 상황이 발생한 휴대용 단말(50)의 위치가 속한 영역(예컨대, RG2)을 모니터링하는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200-2)를 통하여 검증 대상자(TGP)의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각각은 1차 인증(S210)이 완료된 검증 대상자(TGP)에 대해서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연속적, 주기적, 또는 이벤트 기반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기반으로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는, 이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검증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이상상황이 발생한것으로 판단되는 휴대용 단말(50)의 위치가 속한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만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민감 개인데이터"라 함은 인증 대상자(검증 대상자)를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는 없으나 인증 대상자(검증 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비민감 개인데이터는 인증 대상자(검증 대상자)의 의상의 종류, 의상의 색상, 헤어스타일, 수염형태, 착용중인 장신구의 종류, 및 안경착용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각각은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각각에 할당된 영역(RG1~RG3)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이상상황이 발생한 검증 대상자(TGP)가 제1영역(RG1)에 있는 경우 제1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200-1)가 검증 대상자(RGP)의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상상황이 발생한 검증 대상자(TGP)가 제2영역(RG2)에 있는 경우 제2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200-2)가 검증 대상자(RGP)의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상상황이 발생한 검증 대상자(TGP)가 제3영역(RG3)에 있는 경우 제3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200-3)가 검증 대상자(RGP)의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각각은 검증 대상자(TGP)로부터 수집된 영상(또는 이미지)으로부터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직접 추출한 뒤에 추출된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검증 서버(3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각각은 검증 대상자(TGP)로부터 수집된 영상(또는 이미지) 자체를 검증 서버(300) 측으로 전달하고, 검증 서버(300)는 수신된 영상(또는 이미지)으로부터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각각의 세부적인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검증 서버(300)는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검증 서버(300)의 세부적인 구성과 검증 과정에 대해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을 도시하고 있으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의 개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게이트웨이(110)도 휴대용 단말(50)의 통신 커버리지에 맞추어 인증/검증 시스템(10) 내의 공간별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민감 개인 데이터 수집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중에서 어느 하나(200-1)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으나, 나머지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2~200-3)도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200-1)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프로세서(230), 영상 수집기(240), 및 암호화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검증 서버(300)와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200-1)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싱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싱 과정에서 송수신 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30)의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 프로세서(230)의 처리 과정 중 또는 처리 완료 후에 생성된 데이터, 또는 영상 수집기(240)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100) 내에서 수행되는 전반적인 동작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암호화기(250)를 모듈 형태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 수집기(240)는 해당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예컨대, 200-1)가 커버하는 영역(예컨대, RG1)의 영상(또는 이미지)을 수집할 수 있다.
암호화기(250)는 영상 수집기(240)에서 수집된 영상(또는 이미지)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영상(또는 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암호화기(160)는 공개키 암호화(public key cryptography) 방식(예컨대, FIDO(Fast Identity Online) 규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생채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으며, 암호화기(160)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100) 자체에서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 비민감 개인데이터 추출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100)는 영상 수집기(240)로부터 수집된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특정인을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을 제거하거나, 특정인을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에 특수효과 처리(예컨대, 블러(blur), 모자이크 처리 등)를 함으로써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검증 서버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검증 서버(300)는 통신 인터페이스(310), 복호화기(320), 메모리(330) 및 프로세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검증 서버(300)와 제1인증 데이터 수집기(100) 간의 통신, 검증 서버(300)와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200-1~200-3) 간의 통신, 검증 서버(300)와 게이트웨이(110) 간의 통신, 및 검증 서버(300)와 제2인증 데이터 수집기(120)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싱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싱 과정에서 송수신 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복호화기(320)는 제1인증 데이터 수집기(100)에 의해 수집되어 암호화된 1차 인증 데이터 또는 제2인증 데이터 수집기(100)에 의해 수집되어 암호화된 2차 인증 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기(320)는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으로부터 수집되어 암호화된 영상(또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암호화된 비민감 개인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40)의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 프로세서(340)의 처리 과정 중 또는 처리 완료 후에 생성된 데이터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인증기(341), 이상 상황 판단기(343), 비민감 개인데이터 추출기(345), 분류 유형 판단기(347), 및 검증기(349)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기(341)은 제1인증 데이터 수집기(100)로부터 수집된 인증 데이터를 이용한 1차 인증(S210) 과정과, 제2인증 데이터 수집기(120)로부터 수집된 인증 데이터를 이용한 2차 인증(S250)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상황 판단기(343)는 검증 대상자(TGP)의 휴대용 단말(5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휴대용 단말(50)의 위치 데이터 또는 움직임 센싱 데이터 등)를 통하여 검증 대상자(TGP) 또는 휴대용 단말(50)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50)의 위치가 장시간 한 곳에 머물러 있고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휴대용 단말(50)의 위치가 비정상적인 움직임 패턴(예컨대, 비정상적으로 급격한 움직임 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등의 경우에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상 상황 판단기(343)는 이상 상황의 유형을 구분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상 상황의 유형은 휴대용 단말(50)의 미착용, 파손, 분실, 또는 도난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민감 개인데이터 추출기(345)는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로부터 수집된 영상(또는 이미지)으로부터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비민감 개인데이터 추출기(345)는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특정인을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을 제거하거나, 특정인을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에 특수효과 처리(예컨대, 블러(blur), 모자이크 처리 등)를 함으로써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 각각에 의해 비민감 개인데이터가 추출된 형태로 검증 서버(300)로 전송되는 경우, 검증 서버(300)는 비민감 개인데이터 추출기(34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분류 유형 판단기(347)는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들(200-1~200-3)에 의해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은 비민감 개인데이터의 데이터 종류에 따라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분류하는 기준일 수 있다. 예컨대, 검증 대상자(TGP)의 의상의 종류, 의상의 색상, 헤어스타일, 수염형태, 착용중인 장신구의 종류, 또는 안경착용여부 등이 분류 기준이 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집되는 비민감 개인데이터에는 복수의 분류 기준들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분류 유형은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가지는 그룹별로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의상의 종류"라는 분류 기준 내에서는 공통적인 속성에 따라, 긴팔/반팔, 셔츠/티셔츠, 원피스/투피스 등이 분류 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헤어스타일"이라는 분류 기준 내에서는 공통적인 속성에 따라, 흑발/염색(색깔별), 장발/단발, 가르마(왼쪽, 중간, 오른쪽), 직모/곱슬 등이 분류 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검증기(349)는 판단된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기준 유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검증 대상자(TGP)에 의해 최초에 수집된 복수의 분류 기준별 기준 유형이, "의상의 종류" 분류 기준에서는 긴팔 셔츠, "헤어스타일" 분류 기준에서는 "흑발에 왼쪽 가르마"인 경우에,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200-1~200-3)에 의해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의 분류 기준별 기준 유형도 "의상의 종류" 분류 기준에서는 긴팔 셔츠, "헤어스타일" 분류 기준에서는 "흑발에 왼쪽 가르마"인 경우에 검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검증기(349)는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기준 유형의 비교 결과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분류 기준은 의상의 종류, 헤어스타일, 착용 중인 장신구의 종류 대한 가중치가 4:4:2이고, 검증 성공의 판단을 위한 일치율의 기준값은 0.7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의상의 종류와 헤어스타일에 대한 분류 유형은 기준 유형과 일치하는데, 착용 중인 장신구의 종류에 대한 분류 휴형은 기준 유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치율이 0.8로 기준값 0.7을 넘기 때문에 검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중치는 해당 분류 기준들의 변동 가능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변동 가능성이 높은 분류 기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 변동 가능성이 낮은 분류 기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최초에 수행되는 1차 인증(예컨대, S210 단계) 과정에서 검증 대상자(TGP)의 제1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510).
실시 예에 따라, 1차 인증(예컨대, S210 단계)은 생체인증(예컨대, 안면인식)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인증 데이터 수집기(100)는 검증 대상자(TGP)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검증 서버(3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검증 서버(300)는 수신된 생체 데이터로부터 제1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검증 서버(300)의 비민감 개인데이터 추출기(345)는 생체 데이터(예컨대 수집된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특정인을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을 제거하거나, 특정인을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에 특수효과 처리(예컨대, 블러(blur), 모자이크 처리 등)를 함으로써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S510 단계에서 수집된 제1비민감 개인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을 판단하여 기준 유형으로 저장할 수 있다(S520).
실시 예에 따라, 검증 서버(300)의 분류 유형 판단기(347)는 제1비민감 개인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을 판단 또는 추출하여, 기준 유형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준 유형은 검증 대상자(TGP)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황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검증 대상자(TGP)의 위치는 수술실에 위치하며, 시간 정보는 해당 수술실에서 수술이 진행될 시간이라면, 수술 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유형은 수술 상황에 맞는 유형, 예컨대 "의상의 종류" 분류 기준에 대하여 "수술복"이라는 유형으로 판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검증 대상자(TGP)에 대하여 이상 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30).
실시 예에 따라, 검증 서버(300)는 1차 인증(S210)을 완료한 검증 대상자(TGP)에 대하여 이상 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상황은 검증 대상자(TGP)가 최초에 1차 인증(S210) 과정에서 소지하였던 휴대용 단말(50)의 동작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휴대용 단말(50)이 검증 대상자(TGP)가 아닌 타인에 의해 남용될 수 있는 경우 등을 폭넓게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검증 서버(300)는 검증 대상자(TGP)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50)로부터 게이트웨이(110)를 통하여 수집된 위치 데이터와 움직임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이상 상황의 발생여부 및 이상 상황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S53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에서 검증 대상자에 대한 제2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540).
실시 예에 따라, 검증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50)로부터 수집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가 속한 영역(예컨대, RG2)을 모니터링하는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예컨대, 200-2)를 통하여 검증 대상자(TGP)의 제2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S540 단계에서 수집된 제2비민감 개인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S550).
검증 서버(300)의 분류 유형 판단기(347)는 제2비민감 개인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S540 단계에서 판단된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S520에서 저장된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기준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검증 대상자(TGP)를 검증할 수 있다(S560).
실시 예에 따라, 검증 서버(300)의 검증기(349)는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기준 유형의 비교 결과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S510 단계 내지 S56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매체와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인증/검증 시스템
100, 120 : 인증 데이터 수집기
110 : 게이트웨이
200-1~200-3 :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
300 : 검증 서버

Claims (15)

  1.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기준 유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 유형은,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가지는 그룹별로 구분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민감 개인데이터는,
    상기 검증 대상자를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는 없으나, 상기 검증 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들은,
    상기 비민감 개인데이터의 데이터 종류에 따라 상기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분류하는 기준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들은,
    상기 검증 대상자의 의상의 종류, 의상의 색상, 헤어스타일, 수염형태, 착용중인 장신구의 종류, 및 안경착용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기준 유형의 비교결과에 상기 가중치를 반영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상기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최초에 수행되는 생체인증 과정에서 상기 검증 대상자의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상기 기준 유형을 판단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기준 유형은,
    상기 검증 대상자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황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인,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은,
    상기 검증 대상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집된 수집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상 상황이 발생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위치가 속한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비민감 개인데이터 수집장치를 통하여 상기 검증 대상자의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데이터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하여 수집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데이터는,
    상기 휴대용 단말의 위치 데이터 및 움직임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14.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판단하는 분류 유형 판단기; 및
    판단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기준 유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 유형은,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가지는 그룹별로 구분되는, 검증 서버.
  15. 프로세서(processor)와 결합되어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검증 대상자에 대하여 비민감 개인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비민감 개인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상응하는 분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분류 유형과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 대한 기준 유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 유형은, 상기 복수의 분류 기준들 각각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가지는 그룹별로 구분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10134241A 2021-10-08 2021-10-08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582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241A KR102582683B1 (ko) 2021-10-08 2021-10-08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US17/520,148 US20230115071A1 (en) 2021-10-08 2021-11-05 Method of verifying target person, and server and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241A KR102582683B1 (ko) 2021-10-08 2021-10-08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903A KR20230050903A (ko) 2023-04-17
KR102582683B1 true KR102582683B1 (ko) 2023-09-26

Family

ID=8579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241A KR102582683B1 (ko) 2021-10-08 2021-10-08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15071A1 (ko)
KR (1) KR1025826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82B1 (ko) * 2018-08-30 2020-10-2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40213B2 (en) * 2014-09-30 2016-12-08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re-identification
KR20170082078A (ko) * 2016-01-05 2017-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원 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82B1 (ko) * 2018-08-30 2020-10-2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15071A1 (en) 2023-04-13
KR20230050903A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8226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безопасного обращения с биометрическими данными
KR102038851B1 (ko) 신원들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531710B2 (en) Behavioral authentication system using a biometric fingerprint sensor and user behavior for authentication
US83702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ecure online transactions
CN112182519B (zh) 一种计算机存储***安全访问方法及访问***
US9378346B2 (en) Optimize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1602190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al biometric identity verification
US8838989B2 (en) Optimize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6992956B (zh) 一种实现设备间认证的方法、装置和***
JP2002541533A (ja) トークンを使用しないバイオメトリックatmアクセスシステム
US11711215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secure authentication of users based on a biometric identifier and knowledge-based secondary information
Stockinger Implicit authentication on mobile devices
US20230108664A1 (en) Method for verifying liveness, and server using the same
KR102582683B1 (ko) 검증 대상자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CN113014543A (zh) 身份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819574A (zh) 生物特征的验证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553528B (zh) 一种内外网数据安全传输***及其传输方法
CN112334897A (zh) 认证用户的方法和电子设备
KR102400281B1 (ko) 검증 레벨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CN108959894A (zh) 一种指纹控制开机的实现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终端
Khatri et al. Biometrie based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techniques to secure mobile cloud computing
KR101750292B1 (ko) 휴대용 지정맥 리더기 및 그것을 이용한 생체 인증 방법
CA2712525C (en) Optimize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WO2022237550A1 (zh) 一种防止隐私泄露的门禁认证方法、装置及***
TWI736280B (zh) 基於生物特徵的身分驗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