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491B1 -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491B1
KR102579491B1 KR1020210083487A KR20210083487A KR102579491B1 KR 102579491 B1 KR102579491 B1 KR 102579491B1 KR 1020210083487 A KR1020210083487 A KR 1020210083487A KR 20210083487 A KR20210083487 A KR 20210083487A KR 102579491 B1 KR102579491 B1 KR 10257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raint
electric pole
restraining
worker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854A (ko
Inventor
김민구
이원호
박창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4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착용부에 장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와, 조절부에 연결되고 전주의 발판볼트가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어댑터부를 포함하여, 전주에서 매달려 작업하거나 승하강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PREVENTING FALL DEVICE FOR ELECTRIC POLE WORKER}
본 발명은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매달려서 작업하거나 승하강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요구되면 통상의 고소차량을 통해 작업자를 전주 상부의 설비 지점까지 승강시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고소차량의 사용이 곤란하여 작업자가 직접 전주의 상부에 올라가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작업자는 전주에 형성되는 발판볼트를 이용하여 전주에 설치된 설비의 점검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전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허리에 안전대를 착용하고, 안전로프를 전주에 감은 다음 안전대에 결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발판볼트를 이용하여 전주를 승하강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안전대 및 안전로프를 확실하게 체결해야 하지만,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전주로부터 작업자가 추락하는 추락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007451호(2021.01.20. 공개, 발명의 명칭 : 전주용 추락방지 안전망)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주에 매달려서 작업하거나 승하강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는: 작업자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장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고, 전주의 발판볼트가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어댑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착용부에 장착되는 조절결합부; 및 상기 조절결합부와 상기 어댑터부에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조절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조절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가 장착되고, 상기 발판볼트가 삽입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판볼트와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자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된 상기 발판볼트의 머리부를 구속하여 상기 발판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구속막대부; 및 상기 구속막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발판볼트의 삽입경로로 돌출되어 상기 머리부를 구속하는 구속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구속막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속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구속막대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구속연결부; 및 상기 구속연결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작업자가 가압 가능한 구속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는 작업자가 착용중인 착용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가 장착되고, 조절부에 연결된 어댑터부가 전주에 장착된 발판볼트와 자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전주에서 매달려 작업하거나 승하강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전주에서 작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에 발판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를 조작하여 발판볼트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전주에서 작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1)는 착용부(10)와, 조절부(20)와, 어댑터부(30)를 포함한다.
착용부(10)는 작업자에 착용된다. 일예로, 착용부(10)는 허리띠 형상을 하여 작업자의 허리에 장착될 수 있다. 그 외, 착용부(10)는 작업자의 다양한 신체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조절부(20)는 착용부(10)에 장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일예로, 조절부(20)는 자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착용부(10)와 어댑터부(30) 사이에 배치되어 착용부(10)와 어댑터부(30)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어댑터부(30)는 조절부(20)에 연결되고, 전주(100)의 발판볼트(90)가 삽입되어 고정 가능하다. 일예로, 전주(10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발판볼트(90)가 설치되어 작업자를 지지할 수 있다. 발판볼트(90)는 머리부(91)와, 머리부(91)에서 연장되고 전주(100)에 고정 설치되는 몸통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착용부(10)를 착용하고, 착용부(10)에 조절부(20)를 연결하며, 조절부(20)에 어댑터부(30)를 연결한다. 작업자는 어댑터부(30)에 발판볼트(9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다음, 전주(100)에서 작업을 한다. 작업자가 전주(100)에서 작업을 하는 동안 미끄러지거나 균형을 잃는 경우, 어댑터부(30)가 발판볼트(9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어댑터부(30)는 어느 하나의 발판볼트(90)에서 분리된 후 다른 하나의 발판볼트(90)에 고정 가능하므로, 전주(100)에서 승하강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20)는 조절결합부(21)와 조절릴부(22)를 포함한다.
조절결합부(21)는 착용부(10)에 장착된다. 일예로, 조절결합부(21)는 착용부(10)에 형성되는 고리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그 외, 조절결합부(21)는 착용부(10)에 장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다.
조절릴부(22)는 조절결합부(21)와 어댑터부(30)에 와이어로 연결되고,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준다. 일예로, 조절릴부(22)는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가 자동으로 권취되거나 와이이의 길이 조절이 제한될 수 있다. 와이어가 자동으로 권취되는 경우, 작업자는 어댑터부(30)를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켜 발판볼트(90)와의 고정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어댑터부(30)가 발판볼트(90)에 고정 설치되면, 작업자는 와이이어 길이 조절을 제한할 수 있다.
그 외, 조절부(20)는 조절로프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로프부(23)는 조절결합부(21)와 조절릴부(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추락할 때 펼쳐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에 발판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30)는 연결부(40)와, 하우징부(50)와, 자력부(60)를 포함한다.
연결부(40)는 조절부(20)에 결합된다. 일예로, 연결부(40)는 조절릴부(22)의 와이어와 직접 결합되거나, 조절릴부(22)의 와이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에 결합 가능한 형상을 할 수 있다.
하우징부(50)에는 연결부(40)가 장착되고, 하우징부(50)에는 발판볼트(90)가 삽입된다. 일예로, 하우징부(50)는 외측에 연결부(40)가 장착되고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하우짐몸체부(51)와, 하우징몸체부(51)의 일단부에서 하우징몸체부(51)의 내부까지 형성되어 발판볼트(9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삽입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60)는 하우징부(50)에 형성되고, 발판볼트(90)와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일예로, 자력부(60)는 하우징몸체부(51)에 내장되고, 금속재질인 발판볼트(90)는 자력부(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자력부(60)는 머리부(91)가 삽입된 영역에 집중 배치되어 머리부(91)와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그 외, 자력부(60)는 하우징삽입부(52)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를 조작하여 발판볼트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30)는 구속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속부(70)는 하우징부(50)에 삽입된 발판볼트(90)의 머리부(91)를 구속하여 발판볼트(9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구속부(70)는 삽입 완료된 머리부(91)가 걸림 고정되도록 기계적으로 발판볼트(9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속부(70)는 구속막대부(71)와 구속돌기부(7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속막대부(71)는 하우징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예로, 하우징몸체부(51)에는 하우징지지부(53)가 형성되고, 하우징지지부(53)에 구속막대부(71)가 회전 가능하도록 핀결합될 수 있다. 구속막대부(71)는 하우징몸체부(51)의 외측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지지부(53)는 하우징몸체부(51)의 타단부에서 돌출되고, 구속막대부(71)의 중앙부가 하우징지지부(53)에 장착될 수 있다.
구속돌기부(72)는 구속막대부(71)에서 연장되고, 발판볼트(90)의 삽입경로로 돌출되어 머리부(91)를 구속한다. 일예로, 하우징몸체부(51)에는 하우징삽입부(52)와 연통되는 하우징연통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막대부(71)의 일단부에서 하우징연통부(54) 방향으로 구부러진 구속돌기부(72)는 하우징연통부(54)를 통과하여 하우징삽입부(52)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속막대부(71)의 회전으로 구속돌기부(72)가 하우징삽입부(52)에서 벗어나면, 발판볼트(90)는 하우징삽입부(52)로 삽입되어 자력부(60)에 의해 1차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발판볼트(90)가 1차 고정된 상태에서, 구속막대부(71)의 회전으로 구속돌기부(72)가 하우징삽입부(52)로 삽입되면, 구속돌기부(72)가 머리부(91)를 구속하여 발판볼트(90)를 추가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70)는 구속복원부(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속복원부(73)는 구속막대부(7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구속복원부(73)는 구속막대부(71)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구속막대부(7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 구속복원부(73)는 하우징몸체부(51)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어 구속막대부(7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구속복원부(73)에 의해 외력이 제거되면 구속돌기부(72)는 하우징삽입부(52)로 삽입되어 머리부(91)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구속막대부(71)의 타단부를 가압하면, 구속막대부(71)가 회전되면서 구속복원부(73)는 수축되고, 구속돌기부(72)는 머리부(91)의 삽입경로에서 벗어나 머리부(91)에 대한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70)는 구속연결부(74)와 구속버튼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속연결부(74)는 구속막대부(71)에 연결된다. 일예로, 구속연결부(74)는 복수개의 구속막대부(71) 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속연결부(74)는 하우징부(50)의 중심축 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구속막대부(7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속연결부(74)는 구속막대부(71)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자체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구속버튼부(75)는 구속연결부(74)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작업자가 가압 가능한 형상을 한다. 일예로, 구속버튼부(75)는 구속연결부(7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개별 제작되어 후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구속버튼부(75)를 누르면, 구속연결부(74)의 인장력에 의해 구속막대부(71)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신체에 착용부(10)를 착용하고, 어댑터부(30)가 연결된 조절부(20)를 착용부(10)에 장착하며 전주(100)를 이동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전주(100)에는 발판볼트(90)가 장착되고, 작업자는 전주(100)에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어댑터부(30)에 발판볼트(90)를 삽입시킨다.
고정된 발판볼트(90)가 하우징부(50)에 삽입되면, 자력부(60)에 의해 발판볼트(90)가 하우징부(5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50)에 구속부(70)가 추가로 설치된 경우, 작업자가 구속막대부(71)를 회전시켜 발판볼트(90)의 삽입을 유도하고, 발판볼트(90)의 삽입이 완료되면 구속막대부(71)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로 인해 구속돌기부(72)가 머리부(91)를 구속하여 발판볼트(90)의 추가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부(5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속막대부(71)는 복수개가 하우징부(5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구속연결부(74)는 각각의 구속막대부(71)와 연결되며, 구속연결부(74)의 중심부에 구속버튼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구속버튼부(75)를 가압하면, 구속연결부(74)가 이동됨에 따라 구속막대부(71)의 타단부를 당기므로, 각각의 구속막대부(71)가 동시에 회전되어 발판볼트(90)의 삽입경로를 개방할 수 있다.
어댑터부(30)는 작업자가 전주(100)를 승하강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전주(100)에서 승강하는 경우, 작업자는 어느 하나의 발판볼트(90)에 고정된 어댑터부(3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어느 하나의 발판볼트(90) 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발판볼트(90)에 어댑터부(30)를 고정시키고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외, 작업자가 전주(100)에서 하강하는 경우, 작업자는 어느 하나의 발판볼트(90)에 고정된 어댑터부(3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어느 하나의 발판볼트(90) 보다 낮은 곳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발판볼트(90)에 어댑터부(30)를 고정시키고 하방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1)는 작업자가 착용중인 착용부(10)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20)가 장착되고, 조절부(20)에 연결된 어댑터부(30)가 전주(100)에 장착된 발판볼트(90)와 자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전주(100)에서 매달려 작업하거나 승하강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착용부 20 : 조절부
21 : 조절결합부 22 : 조절릴부
30 : 어댑터부 40 : 연결부
50 : 하우징부 60 : 자력부
70 : 구속부 71 : 구속막대부
72 : 구속돌기부 73 : 구속복원부
74 : 구속연결부 75 : 구속버튼부
90 : 발판볼트 100 : 전주

Claims (7)

  1. 작업자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장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고, 전주의 발판볼트가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조절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가 장착되고, 상기 발판볼트가 삽입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판볼트와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자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착용부에 장착되는 조절결합부; 및
    상기 조절결합부와 상기 어댑터부에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조절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된 상기 발판볼트의 머리부를 구속하여 상기 발판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구속막대부; 및
    상기 구속막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발판볼트의 삽입경로로 돌출되어 상기 머리부를 구속하는 구속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구속막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속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구속막대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구속연결부; 및
    상기 구속연결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작업자가 가압 가능한 구속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KR1020210083487A 2021-06-25 2021-06-25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KR10257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487A KR102579491B1 (ko) 2021-06-25 2021-06-25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487A KR102579491B1 (ko) 2021-06-25 2021-06-25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54A KR20230000854A (ko) 2023-01-03
KR102579491B1 true KR102579491B1 (ko) 2023-09-19

Family

ID=8492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487A KR102579491B1 (ko) 2021-06-25 2021-06-25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4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343B1 (ko) * 2019-03-06 2019-11-15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퀵핀이 구비된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80B1 (ko) * 2012-04-03 2014-03-17 김진현 반좌식 벨트
KR20210041451A (ko) * 2019-10-07 2021-04-15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343B1 (ko) * 2019-03-06 2019-11-15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퀵핀이 구비된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54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3641B2 (ja) 巻取式墜落防止器を用いた墜落防止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ハーネス型安全帯
US9010487B2 (en) Safety line anchoring system
US10370898B2 (en) Tether system for a safety line
US7857099B2 (en) Twin retractable for fall arrest
KR102377117B1 (ko)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JP5651514B2 (ja) 2点係止型の墜落防止ロープとチョーク台付ベルトを備えた樹木昇降補助具とそれを用いた樹木昇降方法
KR102579491B1 (ko)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US20210016114A1 (en) Fall Prevention System
KR102243946B1 (ko) 가공송전선 설치가 가능한 철탑 고정기구
KR20210041451A (ko)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대
JP6733884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KR20210033717A (ko) 송배전 공사용 다목적 승강장치와 드론을 이용한 고소 작업방법
JP4985962B2 (ja) 柱状体昇降具
KR101568244B1 (ko) 스캐드다이빙 장치
JP4823054B2 (ja) 作業用補助具
KR20190049962A (ko) 추락방지용 개인용 죔줄 체결끈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의 추락방지방법
JP4810375B2 (ja) 下水道管渠等の人孔内の作業に使用される作業者用装置並びに該装置を使用する作業方法
JP6683317B2 (ja) 墜落防止装置
JP3181831U (ja) 墜落防止装置
KR101622711B1 (ko)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JP2019162198A (ja) 引き寄せロープ巻き取りシステム、及び、セーフティ装置
KR102637293B1 (ko)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EP3744404A1 (en) Apparatus for anchoring on vertical pilings integrating a device for immediate rescuing
JP3228472B2 (ja) 無墜落作業工法および機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