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080B1 -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080B1
KR102578080B1 KR1020230065791A KR20230065791A KR102578080B1 KR 102578080 B1 KR102578080 B1 KR 102578080B1 KR 1020230065791 A KR1020230065791 A KR 1020230065791A KR 20230065791 A KR20230065791 A KR 20230065791A KR 102578080 B1 KR102578080 B1 KR 102578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lectric vehicle
water supply
parked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 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하 filed Critical (주) 아하
Priority to KR1020230065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및 주차 시스템에 통합되어 화재 발생 시 조기 경보 및 적절한 대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기차 충전소의 운영자 및 관리자가 화재 위험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의 바닥면 하부에 승강되도록 매설되며, 상승시 상기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를 둘러싸면서 상승하는 방수장치; 상기 방수장치 상승시, 상기 방수장치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에서 발생하는 소리, 연기, 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방수장치, 상기 급수장치,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기차의 화재 감지 시, 상기 방수장치와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FIRE DETECTION AND FIRE HANDL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차 충전 및 주차 시스템에 통합되어 화재 발생 시 조기 경보 및 적절한 대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기차 충전소의 운영자 및 관리자가 화재 위험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차 충전소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였다. 그러나 충전소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동안 또는 전기차 자체의 결함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전기차 충전 도중에 발생하는 과열, 단락, 배터리 고장 등은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전기차 화재는 일반 화재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위험할 수 있다.
먼저, 전기차는 대용량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면 빠르게 확대될 수 있으므로, 화재 진압이 어려울 수 있으며, 불안정한 배터리가 폭발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차의 배터리는 고온에서 작동하며,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주변 환경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주변 재료나 구조물에 빠르게 열이 전달되어 추가적인 화재의 확산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구성 요소에서 방출되는 독성 가스와 유해 물질도 화재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차의 화재는 전기 시스템과 배터리 시스템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대응이 어렵다. 즉 전기적인 요소와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물리적인 요소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하며, 전기적인 위험성으로 인해 소방관들의 접근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화재 진압 및 대응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의 배터리는 화재가 진압되고 소화된 후에도 배터리의 잔류 열이나 손상된 부품 등으로 인해 화재가 재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철저한 안전 점검 및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전기차 충전소에는 많은 수의 전기차가 주차되어 있다. 한 대의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인접한 차량으로의 빠른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화재 대응의 신속성과 효율성이 중요하다.
또한, 전기차 충전소에는 충전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데, 화재로 인한 열 및 화염은 충전 설비에 직접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충전 시설의 기능 저하나 정전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소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화재로 인해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면 주변 지역의 전력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인프라에 대한 파급 효과를 가져와 넓은 범위의 전력 공급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소는 주차장과 충전 시설, 그리고 관련된 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규모 화재 발생 시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소에서의 화재 예방과 조기 대응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전기차 충전소에서는 화재 위험을 감지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이 부족하거나 제한적인 경우가 많았다. 이에 전기차 충전소 환경에서의 화재 감지와 적절한 조치를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00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501449호(2023.02.22.) (00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503331호(2023.02.21.) (000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3-0048258호(2023.04.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차 충전소에서의 화재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주차된 다른 전기차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의 확산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재 발생 시 관련 당사자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재 발생 시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 발생 상황을 알리고, 대피 및 안전 조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소에 주차된 전기차의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화재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의 바닥면 하부에 승강되도록 매설되며, 상승시 상기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를 둘러싸면서 상승하는 방수장치; 상기 방수장치 상승시, 상기 방수장치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에서 발생하는 소리, 연기, 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방수장치, 상기 급수장치,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기차의 화재 감지 시, 상기 방수장치와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비상 관제센터, 사용자 스마트폰 및 소방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서버와 통신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재 발생 시, 화재 상황을 안내하는 알림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은, 별도의 수납함에 구비되어 출몰되며, 상기 주차장에 전기차가 주차될 경우에만 전기차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장치에는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급수장치의 급수량과 급수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례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전기차 충전소에서의 화재를 조기에 탐지하고 적절한 대응을 취함으로써 화재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센서 모듈을 통해 화염, 연기, 열 등의 조짐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관련 당사자들에게 경고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방수장치를 통해 물을 이용하여 전기차를 침수 및 격리시켜 주차된 다른 전기 차량과 충전소 인프라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비상 관제센터, 소방서, 전기차 소유자 등과의 효과적인 통신 및 협력을 통해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을 통해 조기 화재 탐지하고,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으므로,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조기 화재 탐지와 신속한 대응을 통해 화재로 인한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과 에너지 관리 기능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여 환경 친화적인 운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조기 화재 탐지로 인한 화재 피해의 예방은 수리 및 복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동화된 시스템의 운영은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여 운영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구성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체 구성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주차장에 전기차의 충전 준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센서 모듈 및 알림수단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장치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 시 방수장치와 급수장치가 동작하여 화재 발생 차량을 침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처리 프로세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구성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체 구성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주차장에 전기차의 충전 준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센서 모듈 및 알림수단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장치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 시 방수장치와 급수장치가 동작하여 화재 발생 차량을 침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구성 상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도록 하며, 각각의 구성 상태와 동작 상태 등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소에 주차된 전기차(1)의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화재 상황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 관제센터, 사용자 스마트폰 및 소방서 등과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처리부(50) 및 처리부(50)와 연결된 방수장치(10), 급수장치(20), 카메라 모듈(30), 센서 모듈(40) 및 알림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처리부(50)는 서버를 통해 비상 관제센터, 사용자 스마트폰 및 소방서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 연결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부(50)와 서버 간의 통신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각각의 장치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처리부(50)는 주로 이더넷(Ethernet) 또는 무선 네트워크(Wi-Fi) 기술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처리부(50)와 서버 간의 통신은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명령 수신을 보장할 수 있다.
서버는 비상 관제센터, 사용자 스마트폰, 소방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간의 통신은 주로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비상 관제센터, 사용자 스마트폰, 소방서는 각각 클라이언트 역할을 수행하며,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고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연결하고, 인증 및 보안 절차를 거친 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비상 관제센터, 사용자 스마트폰, 소방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상 관제센터는 즉각적인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사용자 스마트폰와 소방서는 화재 상황을 파악하고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은 보안과 안정성을 위해 암호화 및 인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고, 불법적인 접근이나 데이터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비상 관제센터는 전기차(1)에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 발생 상황을 파악하고 관련된 안전 조치를 취하는 컨트롤 타워로 이해할 수 있다.
소방서는 전기차(1)에 화재가 발생되면, 서버를 통해 화재 발생 상황을 직접 전달받거나, 비상 관제센터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소방서는 전기차(1)에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화재가 발생한 장소로 출동할 수 있다.
서버에는 처리부(50)에서 전달된 모든 상황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처리부(50)는 화재 상황처리 제어 시스템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처리부(50)는 전기차(1)를 충전하기 위한 주차장(2)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방수장치(10), 급수장치(20), 카메라 모듈(30), 센서 모듈(40), 알림수단(60) 등과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다면 설치 위치는 다양한 곳에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처리부(50)를 전기차 충전기에 내설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주차장(1)은 전기차 충전기(4)가 배치된 주차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주차장(1)에는 일반적인 주차면과 같이 주차라인(도면번호 미기재)이 그려져 있고, 스토퍼(3)가 구성될 수 있다. 전기차(1)는 주차라인과 스토퍼(3)를 확인하고 주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차(1)에 발생하는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고,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조기에 안전 조치를 취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방수장치(10), 급수장치(20), 카메라 모듈(30), 센서 모듈(40), 알림수단(6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방수장치(10)는 주차장(2)의 바닥 하부에 내설되며,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즉, 주차장(2) 바닥면에서 상부 수직 방향으로 출몰되는 구조이며, 상승시 주차장(2)에 주차된 전기차(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기차(1)를 둘러싸는 형태이다. 또한 상승시에는 방수장치(10)의 내측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방수장치(10)는 상승 및 하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승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승강하는 다수 개의 포스트(11)와 포스트(11) 사이를 연결하는 방수막(12)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11)는 방수막(12)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녀야 하며, 방수막(12)과 포스트(11)는 내측에 채워지는 물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11)에는 수위감지센서(13)가 설치되어, 후술할 급수장치(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과 물의 공급 속도를 수위감지센서(13)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채워지는 물은 외부로 누수되지 않아야 하므로, 방수장치(10)는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미도시)을 승강 구조로 설계하고, 상승시 주차장 바닥면에 형성된 홀과 프레임이 접촉되면서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프레임의 상부에는 포스트(11)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포스트(11) 사이에는 방수막(12)이 연결될 수 있다. 홀의 크기는 포스트(11)와 방수막(12)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일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과 홀 상호간만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설계한다면 전술한 누수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과 홀 상호간에는 고무 패킹 등이 개재될 수 있을 것이며, 고무 패킹 등의 설치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기술을 접목할 수 있을 것이다.
방수막(12)의 재질은 방수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높은 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방수막(12)은 화재 발생 시에도 장치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재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방수장치(10)는 상승시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1)의 배터리 높이보다 높게 상승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왜냐하면 배터리에서 발생된 화재는 일반적인 소화작업으로는 진화가 어렵기 때문에, 방수장치(10)를 상승시킨 후 물을 공급하여 배터리가 완전히 물에 잠기도록 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차장(2)에 주차되는 전기차(1)의 차종과 배터리의 설치 위치를 감안하여, 방수장치(10)의 승강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급수장치(20)는 전술한 방수장치(10)와 연계 동작할 수 있다. 방수장치(10) 상승시, 방수장치(10)의 내측, 즉 전기차(1)가 위치된 쪽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급수장치(20)를 통해 방수장치(10) 내측으로 공급된 물은 방수장치(10) 내측에 채워지면서 전기차(1)를 침수시킨다.
급수장치(20)는 상수관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도 있지만, 공급할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탱크는 충분한 용량을 갖추어 방수장치(10)가 동작하는 동안 필요한 물의 공급을 보장해야 한다. 탱크는 방수장치(10)에 통합되거나 별도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장치(20)는 전술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3)와 연동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13)는 물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후술할 처리부(5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처리부(50)는 수위감지센서(13)의 신호에 따라 필요한 물의 양과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방수장치(10)가 상승하다가 오동작하여 멈출 경우 수위감지센서(13)를 통해 물이 계속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장치(10)의 상승시 포스트(11)에 배치된 수위감지센서(13)도 함께 상승하므로, 방수장치(10)의 상승 속도에 따라 물 공급 속도를 조절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방수장치(10)와 급수장치(20)를 통해 전기차(1)에 화재 발생 시에도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다만, 전기차(1)에 발생되는 화재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전기차(1) 주변에 방수장치(10)를 설치하고,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전기차(1)를 완전히 침수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이므로, 전기차(1) 자체는 침수에 의해 폐차처리를 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잘못된 화재 감지로 인해 전기차(1)가 폐차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 여부의 정확한 판단을 위해 카메라 모듈(10)과 센서 모듈(20)이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경광등과 같은 알림수단(6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은 주차장(2)에 주차된 전기차(1)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은 높은 해상도와 이미지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는 주차된 전기차(1)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30)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장치는 영상의 신호 처리, 노이즈 제거, 해상도 조절 및 색상 보정 등을 수행하여 최적화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은 후술할 처리부(50)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의 전송과 통신이 이루어지며, USB나 Ethernet과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30)은 적절한 위치와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확하고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다. 고정 장치는 카메라 모듈(30)을 주차장(2)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알림수단(60)인 경광등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상태로만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전술한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30)은 전기차 충전소에 주차된 전기차(1)를 촬영하여 화재 감지, 번호판 인식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다.
센서 모듈(40)은 주차장(2)에 주차된 전기차(1)에서 발생하는 소리, 연기, 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먼저, 센서 모듈(40)은 주차된 전기차(1)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리감지 센서(43)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감지 센서(43)는 주면 소음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화재로 인한 비정상적인 소리나 경보음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소리감지 센서(43)는 주변 소음 수준을 감지하고 측정하는 장치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기 마이크로폰(Electret Microphone), 컨덴서 마이크로폰(Condenser Microphone), 압전 센서(Piezoelectric Sensor) 및 패시브 적외선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 PI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 모듈(40)은 주차된 전기차(1)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감지 센서(4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기감지 센서(44)는 주변 공기의 연기 농도를 측정하여 화재로 인한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연기감지 센서(44)는 주변 공기의 연기 농도를 감지하고 측정하는 장치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광전식 연기 센서(Optical Smoke Sensor), 이온화 연기 센서(Ionization Smoke Sensor), 레이저 연기 센서(Laser Smoke Sensor), 굴절율 연기 센서(Refraction Index Smoke Sensor), 화학 센서(Chemical Sens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센서 모듈(40)은 주차된 전기차(1)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 센서(45)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감지 센서(45)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고, 화재로 인한 비정상적인 열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열감지 센서(45)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측정하는 장치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적외선 열감지 센서(Infrared Thermal Sensor), 열전대(Thermocouple), 적외선 카메라(Infrared Camera), 서미스터(Thermistor), 백금 저항 온도계(Pm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센서 모듈(40)은 전술한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화재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모듈(40)은 후술할 처리부(50)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40)은 센싱을 위해 적절한 위치에 센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수단(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수단(42)은 별도의 수납함(41)에 수납되어 출몰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함(41)을 구성하는 이유는 습기 및 먼지 등 이물질에 취약한 센서가 외부에 장시간 노출된 상태로 있을 경우, 고장날 확률이 높아지며, 이는 화재 감지에 매우 치명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함(41)을 구성하고, 수납함(41)에서 출몰되는 구조의 이송수단(42)을 설치할 수 있다. 이송수단(42)에는 적어도 하나의 소리감지 센서(43), 적어도 하나의 연기감지 센서(44) 및 적어도 하나의 열감지 센서(4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각 센서의 구성 상태를 개념적으로만 도시한 것으로써, 이송수단(42)에 소리감지 센서(43), 연기감지 센서(44) 및 열감지 센서(45)가 이송수단(42)의 일측 단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송수단(42)을 통해 각각의 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된 전기차(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전기차(1)를 완전히 침수시키는 만큼, 오동작 방지를 위해 전술한 소리감지 센서(43), 연기감지 센서(44) 및 열감지 센서(45)를 모두 구비하여 세 가지의 센서들을 통해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최종 화재 상황을 한 번 더 확인하고 조치할 수도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화재 상황을 안내하는 알림수단(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알림수단(60)은 경광등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상황을 주변에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카메라 모듈(30), 센서 모듈(40) 및 알림수단(60) 중 적어도 하나는 한 곳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곳에 배치될 수도 있다.
처리부(50)는 방수장치(10), 급수장치(20), 카메라 모듈(30), 센서 모듈(40) 및 알림수단(60)과 연결되며, 카메라 모듈(30)과 센서 모듈(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기차(1)의 화재 감지 시, 방수장치(10)와 급수장치(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처리부(50)는 제어 유닛(Control Unit),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신호 처리 모듈(Signal Processing Module), 동작 제어 모듈(Actuation Control Module), 알림 및 통보 모듈(Notification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제어 유닛에는 화재 감지 신호를 분석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필요한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이 내장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핵심적인 부분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계산과 제어 작업을 수행하며, 주변 장치와의 통신과 데이터 처리를 담당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 중간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ROM(Read-Only Memory)은 시스템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RAM(Random-Access Memory)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데이터와 임시 결과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센서 모듈(40), 카메라 모듈(30) 및 통신 모듈 등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화재 감지 신호를 분석하고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화재 감지 기술, 위험 상황을 분석하고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전원 공급 및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이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유지하고, 절전 모드 또는 비상 상황에서의 전력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시스템의 오류 처리 및 예외 상황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장치 오작동, 통신 오류 또는 화재 상황에서의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처리부(50)와 외부 시스템 또는 장치 간의 통신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관제센터, 사용자 스마트폰, 소방서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제어 유닛과 다른 시스템 또는 장치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흐름과 제어 신호 전달을 처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다른 시스템 또는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화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시리얼 통신 (RS-232, RS-485), 이더넷, USB, 블루투스, Wi-Fi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CP/IP, Modbus, MQTT, HTTP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과 제어 신호 전달을 처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다른 시스템 또는 장치 간에 데이터를 변환하고 패킷화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형식 변환, 데이터 압축, 암호화, 오류 검출 및 복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요소인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프로토콜의 다양한 계층(물리적,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등)을 처리하고 상호 작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통신 모듈은 통신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한 처리 및 재시도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은 통신 오류 검출, 에러 코드 처리, 데이터 재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통신 모듈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감지된 문제 또는 이상 상황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은 카메라 모듈과 센서 모듈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있다. 화재 감지를 위해 영상 처리, 음향 처리, 온도 데이터 처리 등의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은 제어 유닛에서 받은 입력 신호를 분석, 처리 및 조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모듈은 다양한 신호 처리 기술과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입력 신호를 해석하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은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 앰프,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차(1)의 화재 감지를 위해 소리, 연기, 열 등과 관련된 입력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입력 신호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원하는 형태로 변환될 수 있으며, 신호 필터링, 노이즈 제거, 샘플링 또는 감소, 주파수 변환 등과 같은 신호 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정제할 수 있다.
전처리된 신호는 신호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해석되고 분석될 수 있으며, 입력 신호의 특성을 추출하고, 패턴 인식, 분류, 통계 분석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화재 상황을 탐지하거나 신호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분석된 신호에 따라 신호 처리 모듈은 적절한 작업, 예컨대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는 신호 처리 모듈이 화재 경보를 작동시키거나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은 필요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다른 구성 요소나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컨대 화재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방수장치, 급수장치 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은 최종 결과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는 경보, 알림, 상태 표시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관련된 이해 관계자에게 화재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동작 제어 모듈은 화재 감지 시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장치와 급수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주차된 전기차(1)를 보호하고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제어 모듈은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처리 시스템 내에서 방수장치(10)와 급수장치(20)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모듈은 주어진 상황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고, 화재 상황에 대응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동작 제어 모듈은 방수장치(10)와 급수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화재 감지 신호나 기타 입력 신호를 분석하고, 필요한 조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알고리즘은 시스템의 동작 원칙을 정의하고, 화재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제어 모듈은 방수장치(10)와 급수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고, 동작 명령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제어 모듈은 동작 제어 로직을 포함하여 방수장치(10)와 급수장치(20)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이 로직은 제어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방수장치(10)와 급수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정확한 순서와 타이밍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 신호를 받으면 방수장치(10)를 우선적으로 동작시킨 다음, 급수장치(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동작 제어 모듈은 방수장치(10)와 급수장치(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방수장치(10)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 급수장치(20)의 수위 및 급수 속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시스템의 정상 작동을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알림 및 통보 모듈은 화재 상황을 관련된 당사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관제센터, 사용자 스마트폰, 소방서 등에 경고 및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알림 및 통보 모듈은 화재 상황의 중요성과 긴급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경로로 알림과 통보를 수행하여 신속한 대응과 조치를 촉진시킬 수 있다.
알림 및 통보 모듈은 관련 이해 관계자에게 알림과 통보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인터넷, 무선 통신 등을 통해 관련 이해 관계자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알림 및 통보 모듈은 화재 상황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알림 수단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 메시지, 전자메일, 음성 호출, 경보기 등의 알림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이는 관련 이해 관계자의 선호 및 효과적인 통보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알림 및 통보 모듈은 화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달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화재 감지 위치, 화재 유형, 위험 정도 등과 같은 중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는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긴급한 상황임을 인식시킬 수 있어야 한다.
알림 및 통보 모듈은 관련 이해 관계자의 정보와 연락처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절한 대상에게 정확하게 알림과 통보를 전달할 수 있다. 관련 이해 관계자는 소방서, 비상 관제센터, 전기차 소유자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상 관리는 효율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철저히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림 및 통보 모듈은 화재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알림과 통보를 제공하여 적절한 조치와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화재 상황의 경중을 인식하고 관련 이해 관계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화재의 확산과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처리부(50)는 미도시 하였으나, 데이터 저장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처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제반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저장함으로써, 화재 감지 및 처리 과정을 추적하고 분석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일반적으로 내장형 저장장치 또는 외부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내장형 저장장치는 주로 시스템의 일부로써 처리부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일정한 저장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저장장치는 별도의 장치로 연결되어 추가적인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예컨대 화재 감지 및 처리 시스템의 동작 기록, 화재 감지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 카메라 모듈(3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화재 경보 이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검토, 분석, 추적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재 상황의 이해와 대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추어야 하며, 저장된 데이터의 무결성과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적절한 보안 및 데이터 관리 정책을 따르고, 필요한 경우 백업과 복구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지속적인 운영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전원 공급 장치는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안정화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AC(교류) 전원을DC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필요한 전압 및 전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로 전원 변환기, 전압 조절 장치, 전류 제어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정화된 전원이 시스템 내의 각 구성 요소에 제공되어 정확하고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해진다.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 공급의 중단이나 과부하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오버로드 보호, 단락 보호, 과전압 보호 등의 기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정전 등의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백업 전원 시스템이나 배터리 백업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지속적인 운영을 보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시스템 간의 데이터 및 신호 교환, 통신, 제어 등을 위해 사용되며, 시스템의 상호 운용성과 통합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처리 프로세스이며, 도 2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처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전기차 충전을 위해 전기차 충전소의 주차장(2)에 전기차(1)가 주차될 수 있다. 주차면의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30)이 동작하고, 주차 영상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차 충전소의 주차면 주차확인, 번호판 인식 및 회원 확인을 할 수 있다.
전기차(1)가 주차되고 나서 5분 이내에 충전을 시작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화재감지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다.
센서 모듈(40), 즉 수납함(41)에 보관된 소리감지 센서(43), 연기감지 센서(44) 및 열감지 센서(45)가 이송수단(42)에 의해 전기차(1) 하부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전기차(1) 화재 감지 시 전기차 충전기(4)는 전기 충전을 중단하고, 센서 모듈(40)은 이송수단(42)을 따라 수납함(41) 내부에 보관된다.
처리부(50)는 서버를 통해 관제센터, 사용자 스마트폰 및 소방서에 화재 발생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동시에 처리부(50)는 방수장치(10)와 급수장치(20)를 동작시킨다. 즉 방수장치(10)를 상승시키고, 방수장치(1) 내측에 물을 급수하여 전기차(1)를 침수시켜 화재를 진압함은 물론,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차(1)가 주차장(2)에 주차된 후 5분 이내에 충전을 시작하지 않으면, 전기차 충전기(4)에서 음성 메시지가 방송될 수 있다. 예컨대 "충전하지 않으려면 다른 곳으로 이동 주차해 주세요."라고 음성 메시지가 방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5분 이내 이동주차가 확인되면 상황이 완료되고, 이동주차가 확인되지 않으면, 이에 대한 사실을 차량 소유자 및 관제센터에 안내하여 이동주차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후 이동주차가 확인되면 상황이 종료되고, 이동주차가 확인되지 않으면 다시 5분 이내에 충전을 시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술한 절차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소에서의 화재를 조기에 탐지하고 적절한 대응을 취함으로써 화재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기차 2: 주차장
3: 스토퍼 4: 전기차 충전기
10: 방수장치 11: 수위감지센서
20: 급수장치 30: 카메라 모듈
40: 센서 모듈 41: 수납함
42: 이송수단 43: 소리감지 센서
44: 연기감지 센서 45: 열감지 센서
50: 처리부 60: 알림수단

Claims (5)

  1. 전기차 충전소에 주차된 전기차의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화재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차가 주차되는 주차장의 바닥면 하부에 승강되도록 매설되며, 상승시 상기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를 둘러싸면서 상승하는 방수장치;
    상기 방수장치 상승시, 상기 방수장치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에서 발생하는 소리, 연기, 열 모두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방수장치, 상기 급수장치,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전기차의 화재를 감지한 후에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최종 화재 상황을 한 번 더 확인하고, 상기 방수장치와 상기 급수장치를 동작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비상 관제센터, 사용자 스마트폰 및 소방서 모두와 연결되는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화재 발생 시, 화재 상황을 안내하는 알림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센서 모듈은,
    별도의 수납함에 구비되어 출몰되며, 상기 주차장에 전기차가 주차될 경우에만 전기차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수장치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승강하는 다수 개의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 사이를 연결하는 방수막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포스트에는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급수장치의 급수량과 급수 속도가 조절되는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65791A 2023-05-22 2023-05-22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 KR102578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791A KR102578080B1 (ko) 2023-05-22 2023-05-22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791A KR102578080B1 (ko) 2023-05-22 2023-05-22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080B1 true KR102578080B1 (ko) 2023-09-13

Family

ID=8802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791A KR102578080B1 (ko) 2023-05-22 2023-05-22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1596A (zh) * 2023-09-22 2023-12-22 上海邦盟成套电气有限公司 新能源车紧急撤离***
KR102654066B1 (ko) 2023-10-13 2024-04-04 (주)아하 전기 자동차 화재 진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856U (ko) * 2007-10-22 2009-04-27 김영훈 화재감지센서유닛 승강 시스템
KR102495227B1 (ko) * 2022-03-15 2023-02-06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화재시 배터리 안정화 작업용 냉각조 및 화재진압로봇 연동에 의한 배터리 자동안정화 시스템
KR102501449B1 (ko) 2018-03-27 2023-02-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설정 이력 버튼의 표시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2503331B1 (ko) 2022-10-26 2023-02-24 주식회사 케이제이지아이티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KR20230048258A (ko) 2023-03-23 2023-04-11 황의석 전기자동차 충전 중 화재감지 및 소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856U (ko) * 2007-10-22 2009-04-27 김영훈 화재감지센서유닛 승강 시스템
KR102501449B1 (ko) 2018-03-27 2023-02-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설정 이력 버튼의 표시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2495227B1 (ko) * 2022-03-15 2023-02-06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화재시 배터리 안정화 작업용 냉각조 및 화재진압로봇 연동에 의한 배터리 자동안정화 시스템
KR102503331B1 (ko) 2022-10-26 2023-02-24 주식회사 케이제이지아이티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KR20230048258A (ko) 2023-03-23 2023-04-11 황의석 전기자동차 충전 중 화재감지 및 소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1596A (zh) * 2023-09-22 2023-12-22 上海邦盟成套电气有限公司 新能源车紧急撤离***
KR102654066B1 (ko) 2023-10-13 2024-04-04 (주)아하 전기 자동차 화재 진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080B1 (ko)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
US8334763B2 (en) Automated, remotely-verified alarm system with intrusion and video surveillance and digital video recording
CN104408851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小区智能安全监控***
CN106205022B (zh) 一种用于家居安防的安保***和方法
CN107230313A (zh) 一种楼宇消防联动***
US11423765B2 (en) Portable alarm system
CN109591025A (zh) 机房巡检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211313A (zh) 基于物联网的电力管廊火情监控处置***
KR101872464B1 (ko) 이기종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갖는 론웍스 기반의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제어시스템
CN106297154A (zh) 一种智能消防维保监控***
CN102282863A (zh) 远程监控***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CN100495454C (zh) 无线消防监控报警***
KR100921931B1 (ko) 지능형 센서장치 및 그에 따른 구동방법
Kabir et al. IoT based smart home automation and security system using mobile app with assistant robot for developing countries
CN207883080U (zh) 一种视频火灾报警***
CN208086993U (zh) 一种升降机管理***
KR100796143B1 (ko) 경보메시지 송신 장치 및 방법
CN103813133A (zh) 远程控制现场监控***
CN114067518A (zh) 天然气长输管道智能防火报警***
CN107894739A (zh) 一种厂房全向移动消防监测机器人的控制方法
CN218336161U (zh) 一种输电线路通道可视化监拍装置
CN213338991U (zh) 一种智能化安防监控***
KR102522796B1 (ko) 태양광 자가 충전식 지진감지 및 응급구조요청 초고속 무선통신 시스템
CN216565609U (zh) 一种基于Lorawan无线传输的智能井盖防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