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351B1 - 고정력이 향상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고정력이 향상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351B1
KR102576351B1 KR1020230024128A KR20230024128A KR102576351B1 KR 102576351 B1 KR102576351 B1 KR 102576351B1 KR 1020230024128 A KR1020230024128 A KR 1020230024128A KR 20230024128 A KR20230024128 A KR 20230024128A KR 102576351 B1 KR102576351 B1 KR 102576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print
ring
stra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빛나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빛나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빛나래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02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7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0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fi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는 소정의 거리 이격된 'C'자 형상의 링(ring)이 복수개 형성되어, 손가락을 에워쌀 때의 종단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핑거 스프린트, 상기 'C'자 형상의 링의 개방 부위에 착탈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와 상기 손가락을 고정시키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에 착탈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 상기 고정구 및 상기 손가락을 에워싸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력이 향상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FINGER SPRINT ASSEMBLY WITH IMPROVED CLAMPING FORCE}
본 발명은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기 치료 시 이용되는 핑거 스프린트의 국부적인 고정 범위를 제공함과 동시에 고정력을 높이고, 더 나아가 치료도 병행할 수 있는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관절 중에서 손가락(핑거)에 대한 수기 치료는 손을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손가락 저림 현상, 골절, 인대 손상, 손목 터널 증후군 등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손가락을 감싸는 별도의 보호대를 매개로 손가락 스트레칭이나 운동법을 병행하고 있으며 이때 보호대를 스프린트라 하고 손가락에 사용하는 스프린트를 핑거 스프린트라 한다.
핑거 스프린트는 질환 등이 있는 손가락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공지의 밴드나 붕대와 달리 일정한 움직임을 보장하면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프린트에 대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2271801호에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른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는, 수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스프린트와, 통기구멍이 형성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린트가 안착되며 환부를 감싸는 몸체와, 일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에 안착된 스프린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와 점착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스프린트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나, 손가락 같이 가동 범위가 넓은 부위에 있어서는 가동 범위의 제어가 과도하여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핑거 스프린트는 본 발명자가 발명한 한국 등록특허 제10-2286026호로서,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져 핑거를 감싸는 금속 재질의 베이스 시트(1); 상기 베이스 시트(1)의 중앙 측에서 마름모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베이스 홀(10); 상기 베이스 홀(10)의 상부 좌우 양 측 주변에서 핑거의 일부 둘레를 따라 관통 연장된 제 1 홀(20); 상기 베이스 홀(10)의 하부 좌우 양 측 주변에서 핑거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홀(20)의 위치 및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관통 연장된 제 2 홀(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손가락에 착용 시 일정한 가동 범위를 보장하면서 손가락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핑거 스프린트는 제1 홀(20) 및 제2 홀(30)이 구비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고정 범위가 손가락 두 개의 마디에 모두 간섭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고, 손가락을 국부적으로 고정하여 한 개 마디의 원활한 가동 범위를 보장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핑거 스프린트와 손가락 사이의 국부적으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시켜 보다 원활한 가동 범위를 보장함과 동시에 손가락 치료도 병행할 수 있는, 보다 더 신규하고 진보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는 소정의 거리 이격된 'C'자 형상의 링(ring)이 복수개 형성되어, 손가락을 에워쌀 때의 종단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핑거 스프린트, 상기 'C'자 형상의 링의 개방 부위에 착탈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와 상기 손가락을 고정시키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에 착탈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 상기 고정구 및 상기 손가락을 에워싸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 스프린트는 제1 링 및 상기 제1 링 보다 직경이 큰 제2 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과 상기 제2 링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 스프린트는 상기 제1 링과 상기 제2 링의 사이 공간에 손가락 마디가 위치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 스프린트의 재질은 폴리락틱애시드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 스프린트는 착용 시 손가락을 마주하는 면에 기능성 조성물이 함유된 보강층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층은 탄성을 갖는 일면에 약물점착층이 도포되고, 상기 약물점착층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물 조성물 5 내지 70 중량부, 점착성 폴리머 50 내지 90 중량부, 가소제 1 내지 70 중량부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제1 플랜지,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상기 고정구를 에워싸는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1 스트랩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와 상기 손가락을 에워싸는 제2 스트랩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제1 스트랩 타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된 홀인 스트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일면이 암 벨크로 타입 및 타면이 숫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숫 벨크로 면이 상기 손가락을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숫 벨크로 타입에 약물점착층이 도포되고, 상기 약물점착층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물 조성물 5 내지 70 중량부, 점착성 폴리머 50 내지 90 중량부, 가소제 1 내지 70 중량부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는 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인체공학적 구조 기반으로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가동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착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기 치료를 돕는 약물점착층이 도포되어 수기 치료에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핑거 스프린트의 재질로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핑거 스프린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프린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프린트에 결속된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핑거 스프린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핑거 스프린트는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져 핑거를 감싸는 금속 재질의 베이스 시트(1), 상기 베이스 시트(1)의 중앙 측에서 마름모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베이스 홀(10), 상기 베이스 홀(10)의 상부 좌우 양 측 주변에서 핑거의 일부 둘레를 따라 관통 연장된 제 1 홀(20) 및 상기 베이스 홀(10)의 하부 좌우 양 측 주변에서 핑거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홀(20)의 위치 및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관통 연장된 제 2 홀(30)을 포함한다.
종래의 핑거 스프린트는 제1 홀(20) 및 제2 홀(30)을 구비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고정 범위가 손가락 두 개의 마디에 모두 간섭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고, 손가락을 국부적으로 고정하여 한 개 마디의 원활한 가동 범위를 보장할 수는 없었다.
또한, 종래의 핑거 스프린트는 베이스 시트(1)에서 제 1 홀(20) 사이 부위 및 제 2 홀(30) 사이 부위에 부착되는 띠 형상의 구조체인 고정 밴드(미도시)를 구비하여, 종래의 핑거 스프린트의 고정 성능을 보조하였지만, 상기 고정 밴드(미도시)는 배면의 점착층을 매개로 베이스 시트(1)에 부착되는 형태로, 상기 점착층의 수명이 다하게 될 경우, 상기 고정 밴드(미도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는 소정의 거리 이격된 'C'자 형상의 링(ring)이 복수개 형성되어, 손가락을 에워쌀 때의 종단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핑거 스프린트(100), 상기 'C'자 형상의 링의 개방 부위에 착탈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와 상기 손가락을 고정시키는 고정구(200) 및 상기 고정구(200)에 착탈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 상기 고정구(200) 및 상기 손가락을 에워싸는 스트랩(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프린트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손가락을 에워쌀 때의 종단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를 전개하였을 때는 타원형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타원의 중심점이 손가락 마디에 위치되도록 하여 타원의 장축이 손가락 양측을 에워싸는 형태로 감긴 형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소정의 거리 이격된 'C'자 형상의 링(ring)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제1 링(110) 및 상기 제1 링(110) 보다 직경이 큰 제2 링(1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링(110)과 상기 제2 링(120)은 소정의 각(D100)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링(110)은 상기 제2 링(120)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 링(110)과 상기 제2 링(120)의 직경의 차이를 보고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손가락 삽입 방향을 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링(110)의 직경과 상기 제2 링(120)의 직경은 1:1.03 내지 1:1.05 일 수 있다. 이는 손가락 형상이 손톱 단부에서 손바닥으로 향할수록 손가락이 두꺼워지는 통상적인 손가락 형상이 반영된 인체공학적 설계값이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링(110)의 직경 및 상기 제2 링(120)의 직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상기 제1 링(110)과 상기 제2 링(120)의 사이 공간에 손가락 마디가 위치되도록 소정의 공간(S10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각(D100)은 50 내지 120도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도일 수 있다. 이는,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를 착용 시, 상기 제1 링(110)과 상기 제2 링(120)의 사이의 소정의 공간(S100)에 손가락 마디가 위치될 때의 안착감과 고정력이 고려된 각도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D100)은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와 마디 간 길이에 따라 50 내지 120도 범위 내에서 변동이 가능하며, 상기 소정의 각(D100)이 50도 미만일 경우 손가락의 소정의 가동 능력이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각(D100)이 120도 초과할 경우 고정을 원치 않는 다른 손가락 마디를 침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각(D100)은 통상적인 손가락 형상이 반영된 인체공학적 설계값이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각(D10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상기 제1 링(110)의 개구 단부와 상기 제2 링(120)의 개구 단부가 라운딩 처리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 단부는 'C'자 형상의 링의 개구 부위를 일컫는 것으로 상기 개구 단부에 후술될 고정구(200)가 착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링(110)의 개구 단부와 상기 제2 링(120)의 개구 단부가 연결된 부위(C100)는 소정의 거리(D200)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상기 제1 링(110)의 개구 단부와 상기 제2 링(120)의 개구 단부가 연결된 부위(C100)가 소정의 거리(D200) 만큼 이격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에 탄성력이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력은 상기 제1 링(110) 및 상기 제2 링(120)의 'C'자 형상이기 때문에 발생되는 힘으로, 상기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 착용 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가 손가락 양측으로 다소 벌어질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거리(D200)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mm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거리(D200)가 3mm를 초과할 경우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와 손가락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고정력이 약화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거리(D200)가 1mm 미만일 경우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가 손가락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착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재질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만으로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가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폐기 시에, 모든 부분이 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핑거 스프린트(100) 폐기 시에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인한 공기 오염이나 토양오염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분해될 때, 이산화탄소, 질소, 물, 생물유기자원(biomass), 무기 염류 등의 천연 부산물이나 메탄 등의 저분자 화합물이 분해산물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플라스틱에 비해 분해되는 데에 단기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 폴리글리코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오쏘에스터(polyorthoester), 포스파진(phosphagene),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는 락틱산 또는 옥수수의 발효 등으로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생분해성 고분자로 인장강도 및 가공성 등이 우수하나 강한 취성 및 낮은 연신율로 인해 산업으로의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에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를 블렌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의 유리전이온도가 증가하고 및 결정화온도가 감소되며, 인장강도는 낮아지고 파단연신율 등 신도가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를 함께 사용함으로 인하여, 본원 발명에서 핑거 스프린트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에 요구되는 물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 대비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중량비는, 상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중량비 1에 대하여 상기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 중량비가 8 보다 크고, 12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중량비 1에 대하여 상기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 중량비가 8 미만이면,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의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나,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의 잘 부러지는 성질의 보완 및 파단연신율이 증가하나, 견딜 수 있는 최대인장하중 및 인장강도의 수치가 본원 발명에서 요구되는 것보다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중량비 1에 대하여 상기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 중량비가 12 를 초과하면,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의 견딜 수 있는 최대인장하중 및 견인장강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나, 파단연신율 등 신도가 감소하고,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의 잘 부러지는(brittle) 성질을 보완할 수 없게 되고,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 사용시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는 탄소소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소재는 카본 블랙,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탄소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에 탄소소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의 강도 및 탄성이 증가하고, 무게가 감소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100 중량부 대비 탄소소재의 함량은 50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소재의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의 강도 및 탄성이 저하되어, 본원 발명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탄소소재의 함량이 15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강도 및 탄성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최대인장하중 평균이 2,890 N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최대인장하중 평균는 Universal Testing Machine(UT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속도는 50 mm/min이고, 로드셀은 30000 N이며, 분석환경은 온도 21~23 ℃ 상대습도 40~50 % 였다.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최대인장하중 평균이 2,890 N 이상, 바람직하게는 2,950 N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N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최대인장하중 평균이 2,890 N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의 제조 방법은 재료 용융 단계 및 금형 주입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재료 용융 단계(S11)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대비 폴리락틱애시드(polylactic acid; PLA)의 중량비를 1:8 내지 1:12로 혼합하여 170 내지 180℃의 온도로 용융시킨다.
금형 주입 단계(S12)
용융된 재료를 미리 준비된 핑거 스프린트 금형에 주입하여, 상기 금형을 170 내지 20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가열할 후, 30℃의 온도로 냉각하고, 30℃로 냉각이 된 이후 30분 이상 경과한 후에 제조물을 상기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따라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를 적정 강성을 갖춘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로 제조함에 따라, 환경친화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일례로, 금속 재질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착용 시 손가락을 마주하는 면에 기능성 조성물이 함유된 보강층(P100)이 부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강층(P100)은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 90 내지 99 중량부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lkyl Acrylate)를 포함하는 강화재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발수 성능을 갖고 있어 보강층(P100)의 조성물로 첨가 시 발수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나아가 점착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보강층(P100)으로 하여금 미끄럼 방지, 즉 논슬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강화재를 첨가함에 따라 손가락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보강층(P100)이 발수성을 갖게 하여 피부에서 배출된 땀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논슬립성을 높여 압박하고자 하는 손가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화재는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강화재를 완성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21)
처음으로, 알킬 아크릴레이트(Alkyl Acrylate) 15 내지 25 중량부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20 내지 30 중량부 및, 톨루엔 45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발수 성능 및 점착성을 가진 물질이며, 톨루엔은 제 1 용액의 용매로 첨가된다.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에틸렌(Ethylene) 단량체와 초산비닐(Vinyl Acetate, VA)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유연한 특성으로 저온에서의 충격 흡수가 뛰어나고, 내후성, 인열강도, 내스트레스 크랙성, 내오존성이 양호하며, 접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내후성, 인열강도, 내스트레스 크랙성, 내오존성을 높이며 나아가 점착성을 높여 논슬립성을 강화할 수 있다.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22)
다음으로, 제1 용액 75 내지 85 중량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15 내지 20 중량부, 아인산에스터(phosphorous ester) 5 내지 10 중량부 및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 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는 열가소성 불소 중합체로서 우수한 내화학성 및 섭씨 171도의 높은 융점을 가지며, 다른 불소수지와 달리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이고, 내약품성, 내충격성 등이 뛰어나다. 따라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첨가하여 강화재는 물론 보강층(P100)의 내화학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아인산에스터는 아인산 계열의 에스테르로, 산화방지제의 역할을 수행하여 탄성재를 포함한 보강층(P100)이 피부에 접촉하여 수분, 그 중에서도 땀과 접촉함으로 인해 산화되어 품질이 저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벤조트리아졸은 무색이며 바늘 모양의 결정 구조를 가진 입상의 화합물로, UV에 대한 안정화제의 기능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벤조트리아졸은 자외선의 침투를 감소 및 지연시켜 보강층(P100)이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산화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형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강화재를 완성하는 단계(S23)
마지막으로, 상기 제2 용액 85 내지 95 중량부와,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adipateco-tere phthalate) 5 내지 10 중량부 및 산화아연(Zinc Oxide)을 포함하는 변색 차단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화재를 완성한다.
여기서,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adipate-co-tere phthalate)은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고분자 소재로서, 친환경성을 지닌 고분자 소재이자 강도가 높은 특성이 있어 강화재에 첨가 시 이러한 강화재가 포함된 보강층(P100)의 물성을 개선하고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변색 차단제는 산화아연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산화아연은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내구성 및 내열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피부에 접촉되는 면인 보강층(P100)의 착색 및 물질의 변형, 기능 저하 등의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보강층(P100)의 기능적 안정성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층(P100)에 상술한 구체적인 조성 및 제조공정을 포함한 강화재가 첨가되어 발수성을 높여 인체에서 배출되는 땀에 의한 오염이나 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점착성을 높여 논슬립성을 강화하여, 압박 내지 고정하고자 하는 손가락에서 불필요하게 핑거 스프린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높은 강도 및 내화학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사용이나 땀에 노출되더라도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층(P100)은 일면에 약물점착층(P200)이 도포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약물점착층(P200)은 소염진통제 성분과 같은 유효약제를 함유한 점착 성질을 구비한 층으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보강층(P100)에 도포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고, 유효약제가 경피에 흡수되어 약리적인 효능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점착층(P200)은 상기 보강층(P100)의 일면 전체에 도포될 수 있고, 국부에만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층(P100) 없이 바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 상에 도포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약물점착층(P200)의 도포 부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약물점착층(P200)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물 조성물 5 내지 70 중량부, 점착성 폴리머 50 내지 90 중량부, 가소제 1 내지 70 중량부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약물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제1 알콜 50 내지 99 중량부, 제2 알콜 0.01 내지 2 중량부, 유기산 0.01 내지 2 중량부 및 유효약제 0.1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알콜은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옥탄디올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알콜은 라우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헥실데칸올, 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아라킬 알코올 및 옥틸도데칸올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기산은 아세트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아라키드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유기산은 조성물 및 피부 상에서 유효약제의 용해도를 높이는 작용을 하여 상기 약물 조성물의 경피 흡수성을 촉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효약제는 소염진통 및/또는 신경성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약제일 수 있으며, 상기 유효약제의 약물함량은 포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유효약제는 프레가발린, 가바펜틴, 트라마돌, 피록시캄 및 케토프로펜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기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유효약제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점착성 폴리머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등과 같은 고무계 폴리머; 실리콘 고무, 디메틸실록산 베이스, 디페닐실록산 베이스 등과 같은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비닐 에틸 에테르, 폴리비닐 이소부틸 에테르 등과 같은 비닐 에테르 폴리머; 아세트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등과 같은 비닐 에스테르 폴리머;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카르복실산 성분 및 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다가 알콜로 이루어지는 에스테르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점착성 폴리머는 약물점착층의 감압 점착성, 응집성 및 약물의 방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용매는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및 헥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가소제는 올리브유, 피마자유, 스쿠알렌 및 라놀린과 같은 유지류; 데실메틸 술폭시드, 메틸옥틸 술폭시드, 디메틸 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메틸피롤리돈 및 도데실피롤리돈과 같은 유기 용제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계면활성제류;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헵틸 프탈레이트 및 디옥틸 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프탈산 에스테르류;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부틸 세바케이트 및 디옥틸 세바케이트 등과 같은 세박산 에스테르류; 유동 파리핀과 같은 탄화수소류; 올레산에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옥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이소트리데실 및 라우르산에틸 등과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소제는 약물점착층(P200)를 가소화시켜 약물점착층에 소프트감을 부여하고 피부에서 박리할 때의 피부 접착력으로 인한 통증이나 피부 자극을 저감시킨다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약물점착층(P200)의 도포 두께는 20~300 ㎛가 바람직하고, 30 내지 300 ㎛가 더 바람직하며, 50~300 ㎛가 가장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약물점착층(P200)의 두께가 20 ㎛ 미만인 경우, 충분한 점착력을 얻는 것과 유효량의 약물을 함유시키는 것이 곤란할 수 있고, 두께가 3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약물점착층(P200)의 도포가 곤란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물점착층(P200)은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약물점착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약물점착층을 도포/건조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1)
처음으로, 제1 알콜 50 내지 99 중량부와, 제2 알콜 0.01 내지 2 중량부, 유기산 0.01 내지 2 중량부 및 유효약제 0.1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약물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제1 알콜은 프로필렌 글리콜, 상기 제2 알콜은 옥틸도데칸올, 유기산은 시트르산 및 유효약제는 피록시캄일 수 있다.
약물점착층을 제조하는 단계(S32)
다음으로, 상기 약물 조성물 5 내지 70 중량부, 점착성 폴리머 50 내지 90 중량부, 가소제 1 내지 70 중량부 및 잔량의 용매를 혼합하여 약물점착층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점착성 폴리머는 인간 피부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하고 접착 및 박리를 용이하게 반복할 수 있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N-비닐-2-피롤리돈의 공중합체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올레산에틸일 수 있다.
약물점착층을 도포/건조하는 단계(S33)
마지막으로, 상기 보강층(P100)의 일면에 상기 약물점착층을 20~300 ㎛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따라서, 상기 보강층(P100)의 일면에 상술한 구체적인 조성 및 제조공정을 포함한 약물점착층(P200)이 도포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유효약제가 경피에 흡수되어 약리적인 효능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프린트에 결속된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구(200)는 제1 플랜지(210), 제2 플랜지(220) 및 상기 제1 플랜지(210)와 상기 제2 플랜지(220)를 연결하는 웨브(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구(200)는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상기 제1 링(110) 개구 단부와 상기 제2 링(120) 개구 단부가 연결된 부위(C100)에 착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링(110) 개구 단부와 상기 제2 링(120) 개구 단부가 연결된 부위(C100, 도 3 참조.)는 소정의 거리(D200, 도 3 참조.) 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부위(C100)의 간격(D200)에 따라 인입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쉽게 탈락되거나 손가락 인입이 불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구(200)를 상기 부위(C100)에 장착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를 착용함에 있어서, 편안한 착용감과 적절한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플랜지(210) 및 상기 제2 플랜지(220)는 상기 웨브(230)와 함께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개구 단부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브(230)의 두께(T100)를 조절하여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상기 간격(D200, 도 3 참조.)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에 비해 다소 두꺼울 경우 상기 웨브(230)의 두께(D100)가 기본 간격(D200)보다 큰 고정구(200)를 장착하여 상기 간격(D200)을 상기 웨브(230)의 두께(T100) 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랜지(220)의 두께(T200)를 조절하여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에 비해 다소 얇을 경우 상기 제2 플랜지(220)의 두께(T200)가 두꺼운 고정구(200)를 장착하여 상기 제2 플랜지(220)의 일면이 손가락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구(200)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염화비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트랩(300)은 상기 고정구(200)를 에워싸는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1 스트랩(310)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와 상기 손가락을 에워싸는 제2 스트랩(3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트랩(320)은 상기 제1 스트랩(310) 타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된 홀인 스트랩홀(H10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트랩(300)은 일면이 암 벨크로 타입(V100) 및 타면이 숫 벨크로 타입(V200)으로 형성되어, 상기 숫 벨크로 타입(V200)이 상기 손가락을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트랩(300)의 암 벨크로 타입(V100)의 재질은 섬유 재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면, 나일론, 폴리에스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스트랩(300)의 숫 벨크로 타입(V20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끝단부가 후크 형태나 날카롭고 뽀족한 형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스트랩(300)이 손가락에 맞닿을 경우 상기 손가락에 지압 효과를 발생시켜 혈액순환을 개선시킴으로써, 수기 치료에 도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300)은 플라스틱 재질의 상기 숫 벨크로 타입(V200)에 약물점착층(P200)이 도포되어 약리적인 효능을 제공하여 수기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약물점착층(P200)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숫 벨크로 타입(V200)의 재질 및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상기 스트랩(300)의 고정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스트랩(300)은 숫 벨크로 타입(V200)이 사용자 손가락을 마주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고정구(200)를 상기 제1 스트랩(310)으로 에워싸고, 상기 제1 스트랩(310)이 상기 스트랩홀(H100)을 관통한 다음, 상기 스트랩홀(H100)을 관통한 상기 제1 스트랩(310)의 숫 벨크로 타입(V200)이 상기 고정구(200)를 에워싸는 제1 스트랩(310)의 암 벨크로 타입(V100)과 적층되어 서로 접착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스트랩(320)이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와 사용자의 손가락을 에워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상기 제1 링(110)과 상기 제2 링(120)의 사이 공간(S100, 도 2 참조.)에 손가락 마디가 위치되는데, 이때, 상기 제2 스트랩(320)의 숫 벨크로 타입(V200)이 상기 사이 공간(S100)에 위치된 손가락 마디를 에워싸게 되고, 제1 및 제2 스트랩(310, 320)의 암 벨크로 타입(V100)과 제2 스트랩(320)의 숫 벨크로 타입(V200)이 적층되어 서로 접착 고정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는 상기 핑거 스프린트(100)의 보강층(P100)에 의해 1차로 고정력이 증대되며, 상기 보강층(P100)에 도포된 약물점착층(P200)에 의해 약리적인 효능과 더불어 2차로 고정력이이 증대되며, 고정구(200)에 의해 3차로 고정력이 증대되며, 스트랩(300)에 의해 지압효능과 더불어 4차로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상기 스트랩(300)의 숫 벨크로 타입(V200)에 도포된 약물점착층(P200)에 의해 약리적인 효능과 더불어 5차로 고정력이 증대되어 국부적인 부위를 효과적으로 수기 치료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핑거 스프린트
200 : 고정구
300 : 스트랩

Claims (11)

  1. 제1 링 및 제2 링을 포함한 복수의 'C'자 형상의 링(ring)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핑거 스프린트;
    상기 'C'자 형상의 링의 개방 부위에 착탈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와 손가락을 고정시키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에 착탈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 상기 고정구 및 상기 손가락을 에워싸는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제1 플랜지;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며,
    상기 웨브는, 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서 상기 제1 링의 개구 단부와 상기 제2 링의 개구 단부가 연결된 부위의 이격된 간격인 상기 핑거 스프린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고정구를 에워싸는 제1 스트랩; 상기 제1 스트랩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핑거 스프린트와 상기 손가락을 에워싸는 제2 스트랩; 및 상기 제1 스트랩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 형성된 스트랩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은, 암 벨크로 타입 및 숫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숫 벨크로 타입이 상기 손가락을 마주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숫 벨크로 타입은, 플라스틱 재질의 후크 형태나 날카롭고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과 맞닿은 상기 제2 스트랩을 통해서 지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숫 벨크로 타입의 일측에는, 약물점착층이 도포되며,
    상기 약물점착층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물 조성물 5 내지 70 중량부, 점착성 폴리머 50 내지 90 중량부, 가소제 1 내지 70 중량부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스프린트는,
    제1 링 및 상기 제1 링 보다 직경이 큰 제2 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과 상기 제2 링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스프린트는,
    상기 제1 링과 상기 제2 링의 사이 공간에 손가락 마디가 위치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스프린트의 재질은,
    폴리락틱애시드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복합체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스프린트는,
    착용 시 손가락을 마주하는 면에 기능성 조성물이 함유된 보강층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일면에 약물점착층이 도포되고,
    상기 약물점착층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물 조성물 5 내지 70 중량부, 점착성 폴리머 50 내지 90 중량부, 가소제 1 내지 70 중량부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30024128A 2023-02-23 2023-02-23 고정력이 향상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KR102576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128A KR102576351B1 (ko) 2023-02-23 2023-02-23 고정력이 향상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128A KR102576351B1 (ko) 2023-02-23 2023-02-23 고정력이 향상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351B1 true KR102576351B1 (ko) 2023-09-08

Family

ID=8801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128A KR102576351B1 (ko) 2023-02-23 2023-02-23 고정력이 향상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3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5925B1 (en) * 2000-05-18 2003-06-10 Apothecary Products, Inc. Finger splint
KR20130029033A (ko) * 2011-09-13 2013-03-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약물의 경피 흡수를 증대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패치 제제
KR101873623B1 (ko) * 2015-10-28 2018-07-0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2286026B1 (ko) * 2021-04-22 2021-08-03 김민기 수지 치료용 핑거 스프린트
KR102481758B1 (ko) * 2022-08-03 2022-12-27 주식회사 두빛나래바이오 핑거 스프린트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핑거 스프린트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5925B1 (en) * 2000-05-18 2003-06-10 Apothecary Products, Inc. Finger splint
KR20130029033A (ko) * 2011-09-13 2013-03-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약물의 경피 흡수를 증대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패치 제제
KR101873623B1 (ko) * 2015-10-28 2018-07-0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2286026B1 (ko) * 2021-04-22 2021-08-03 김민기 수지 치료용 핑거 스프린트
KR102481758B1 (ko) * 2022-08-03 2022-12-27 주식회사 두빛나래바이오 핑거 스프린트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핑거 스프린트용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7405B2 (en) Pressure device
JP5308470B2 (ja) 長時間接してとどまっている包帯
US11389561B2 (en) Methods for applying a skin treatment
EP1716850B1 (en) Transdermal plaster
US20110319798A1 (en) Wound and bandag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10517767B2 (en) Application of kinesiology tape bandage
ES2257366T3 (es) Cinta u hoja adhesiva medica sensible a la presion, y cinta adhesiva de primeros auxilios.
US20240082041A1 (en) Finger splint for manual therapy
TW201831155A (zh) 具條帶之肌肉或關節支撐物品
KR102576351B1 (ko) 고정력이 향상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US20130218060A1 (en) Adhesive Wrist Support System
JP2004049541A (ja) 皮膚貼着用部材
TW201526880A (zh) 可調整之傷口敷料
US20090253824A1 (en) Extended stay on wound dressing
JP3557356B2 (ja) 血管カテーテル刺入部の衛生管理用パッチ
JPWO2009084611A1 (ja) かゆみ止めシート
JP4492868B2 (ja) 絆創膏又は粘着ドレッシング
TWI689293B (zh) 膠布結構
US20220015950A1 (en) Bandage with removable cap
TW202333655A (zh) 附覆蓋材料之貼附劑
TWI612945B (zh) 防止傷口疤痕增生的貼片
JP2020048853A (ja) 絆創膏
WO2019089900A1 (en) Bandage and anchor for bandages
US20150245871A1 (en) Incision protection
TWM531256U (zh) 一種防疤貼片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