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093B1 -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093B1
KR102575093B1 KR1020180130393A KR20180130393A KR102575093B1 KR 102575093 B1 KR102575093 B1 KR 102575093B1 KR 1020180130393 A KR1020180130393 A KR 1020180130393A KR 20180130393 A KR20180130393 A KR 20180130393A KR 102575093 B1 KR102575093 B1 KR 10257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tone
skin
purple
test substance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364A (ko
Inventor
최지예
연영민
김은주
한지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3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0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높은 새로운 평가 지표를 이용함으로써, 소비자 트렌드에 부합하지 못하는 종래의 측정 방법에 비하여 인지 피부 톤을 개선할 수 있는 정확한 평가 방법 및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Method for Evaluating Improvement Ability of Skin Tone and Method for Screening Improvement Active Materials of Skin Tone}
본 발명은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높은 새로운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성장 시대에 접어들면서 뷰티 관련 기업의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소비자의 감성과 민감도는 더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 가장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제품 군이 피부 톤 표현에 관련된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들이다. 관련 제품의 소비자 트렌드를 살펴 보면 보다 자신에게 적합한 피부 톤을 재현하는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최근 수행된 설문 조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해외 화장품 소비자 심층 조사, 2014, pp. 24 ~ 411) 결과에 따르면, 국적, 인종을 불문하고 밝은 피부 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비자의 제품 선호도를 반영하여 밝은 피부 톤을 구현할 수 있는 피부 톤 개선 효능을 나타내거나 나타낼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예컨대, 인공합성 화합물, 천연 추출물 등) 또는 제품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 피부 톤 개선 기능성 화장품의 연구, 개발 과정에서 또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피부 톤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색차계를 사용하여 피부 톤의 명도, 채도 등을 측정하여 피부 톤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색차계를 활용한 피부 톤 분석 및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2227호에서도 색차계를 사용하여 피험자의 상태를 실질적으로 반영하는 피부 톤 등급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실측 피부 톤만을 기초로 피험자의 피부 톤 등급을 평가하는 위 방법은 여전히 소비자가 선호하는 피부 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실측 피부 톤 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실측 피부 톤뿐만 아니라, 실측 피부 톤과 인지 피부 톤을 함께 반영하여 화장품, 특히 피부 톤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과 색조 화장품을 개발하고, 또 소비자에게 개발 제품에 기반하여 메이크업을 가이드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22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높으면서 또 인지 피부 톤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지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새로운 평가 지수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피부 톤 선호 트렌드에 부합하면서 실제로 피부 톤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화장료 소재 및/또는 제품에 대한 정확한 효능 평가 방법 및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톤 개선 물질 및 제품의 효능을 검증하는데 유용하며, 소비자가 선호하는 인지 피부 톤 트렌드를 제대로 또 즉각적으로 반영한 기능성 또는 색조 화장품 개발에 매우 유용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Rt)에 대한 자색, 청색, 또는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S)의 비(S/Rt)가 피험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유의적인 상관 관계가 있음을 지견하였으며, 본 발명은 (a) 시험대상 물질을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하기 전, 후 각각에 대하여,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1이 설정된 연산부에서 처리하여 시험대상 물질 적용 전의 피부 톤 지수(Tb)와 적용 후의 피부 톤 지수(Ta)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8107066036-pat00001
(T: 피부 톤 지수,
S: 자색, 청색, 또는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Rt: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높은 새로운 피부 톤 평가 지수를 이용함으로써, 소비자 메이크업 트렌드에 부합하지 못하는 종래의 측정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측 피부 톤 및 인지 피부 톤 간의 상관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하여 피부 톤을 개선할 수 있는 활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가 선호하는 피부 톤을 반영하여 시장의 흐름 및 메이크업 트렌드에 부합하면서 실제로 피부 톤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화장료 소재 및/또는 제품에 대한 정확한 효능 평가 방법 및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지수를 포함한 분석 지수들과 인지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피부 톤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피부 톤과 본 발명에 따른 지표인 피부 톤 지수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인지 피부 톤’은 메이크업 또는 비-메이크업 상태에서 피험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전반적인 피부의 색, 밝기 및 상태(예컨대, 균일도, 여드름, 뾰루지, 검버섯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의 유무, 등)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험자의 인지 피부 톤 관련 정보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의 문진, 피험자의 자가 설문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전문가의 문진, 피험자의 자가 설문이 반드시 모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피험자의 피부 톤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험대상 물질은, 별도로 정의하지 않는 한, 피부 톤 개선 효능을 갖거나 가질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이 물질은 피부 톤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주성분의 피부 톤 개선 기능을 향상시키는 보조성분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또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또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은, (a) 시험대상 물질을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하기 전, 후 각각에 대하여,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저장하는 단계(S100), (b)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1이 설정된 연산부에서 처리하여 시험대상 물질 적용 전의 피부 톤 지수(Tb)와 적용 후의 피부 톤 지수(Ta)를 산출하는 단계(S200) 및 (c)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을 출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 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a) 단계(S100)에서는 시험대상 물질을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하기 전, 후 각각에 대하여,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반사율은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느끼는 인지 피부 톤을 객관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사람의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빛의 영역인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시광선 파장 영역은 400 내지 700 nm의 파장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광원으로서 할로겐 램프, 제논 램프, 중수소 램프 또는 백색 발광다이오드 등이 사용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선은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서 반사되며, 가시광선 스펙트로미터는 상기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광을 분광시켜 파장 또는 진동수의 감응 함수값으로서 반사율을 출력한다. 상기 가시광선 스펙트로미터는 광 다이오드, 광 트랜지스터 또는 전자 결합 소자 등의 수광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b) 단계(S200)에서는 상기 (a) 단계(S100)에서 저장된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1이 설정된 연산부에서 처리하여 시험대상 물질 적용 전의 피부 톤 지수(Tb)와 적용 후의 피부 톤 지수(Ta)를 산출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107066036-pat00002
(T: 피부 톤 지수,
S: 자색, 청색, 또는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Rt: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일반적으로 피부의 인지 밝기 및 실측 밝기는 광원에서 반사된 광의 전체 스펙트럼과 관계가 있는데, 본 발명자들은 특히 인지 피부 톤과 상기 400 내지 490 nm의 파장 영역의 스펙트럼 간에 유의적인 상관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상기 자색 영역은 400 내지 455 nm이고, 상기 청색 영역은 455 내지 490 nm이고, 상기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은 400 내지 490 nm의 파장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전체의 연속적인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과 피험자의 인지 피부 톤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따라, 자색 또는 청색 각각의 영역에 비하여,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전체의 연속적인 영역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색 내지 청색 파장의 연속된 영역이 아닌, 상기 자색 또는 청색 각각의 영역을 이용할 경우, 상기 자색 영역은 400 내지 450 nm이고, 상기 청색 영역은 460 내지 490 n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S300)에서는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을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또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은 상기 (c) 단계(S300)가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이 1.03% 이상인 경우, 피부 톤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310)일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인 1.0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95% 신뢰구간으로 계산 시 도출된 하한값에 해당한다. 상기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결과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방식으로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결과 또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출력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인지 피부 톤과 실측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1. 설문조사를 통한 인지 피부 톤 조사
평균 연령이 33.8 ± 7.8세인 건강한 한국 여성 61 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설문은 자가 응답 형식으로 실시하였으며 피부 톤에 대하여 ‘1) 밝다, 2) 붉다, 3) 노랗다’의 세 가지 문항 중 본인이 생각하는 항목에 체크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2.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한 실측 피부 톤 측정
측정 전 모든 피험자들의 얼굴을 클렌징 폼(Foam)으로 세안하게 한 후 항온 항습 조건(22±2℃, 45±5% RH)에서 15분 간 대기시켰다.
피부 색은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 CM2600d,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전 스펙트로포토미터의 blank 값을 0과 99로 교정한 후 측정을 시작하였다.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여 얼굴 전면 뺨 부위를 측정하여 피부 밝기 값(lightness, L* 파라미터 값), 피부 붉은기 값(redness, a* 파라미터 값) 및 피부 노란기 값(yellowness, b* 파라미터 값)을 구하였다.
유의적 상관성은 피부 톤 측정 후 통계분석프로그램(ANOVA(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인지 피부 톤과 실측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
인지 피부 톤과 실측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측 피부 톤
L* 파라미터 값 a* 파라미터 값 b* 파라미터 값
인지 피부 톤 밝다 상관 계수 0.383 -0.169 -0.424
p-value 0.002 0.194 0.001
붉다 상관 계수 -0.455 0.619 -0.462
p-value 0.000 0.000 0.000
노랗다 상관 계수 -0.076 -0.156 0.689
p-value 0.560 0.231 0.000
상기 표 1로부터, 피험자 스스로 피부가 밝다고 인지한 경우 L* 파라미터 값이 상관 계수 0.383로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 파라미터 값 또한 상관 계수 -0.424로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예 2> 인지 피부 톤과 유의적 상관성이 있는 지표 도출
L* 파라미터 값 및 b* 파라미터 값과 인지 피부 톤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참고예 1의 분석 결과로부터, 인지 피부 톤과의 상관성이 더 높은 지표를 도출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표 도출
참고예 1에서 측정된 피부 밝기 값(lightness, L* 파라미터 값), 피부 붉은기 값(redness, a* 파라미터 값), 피부 노란기 값(yellowness, b* 파라미터 값) 및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피험자가 실제로 보고 느낀 인지 피부 톤과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표를 도출한 후, 실제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유의적 상관성은 피부 톤 측정 후 ANOVA(SPSS 20.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지 피부 톤과 참고예 1에서 도출한 측정값 및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지표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2. 인지 피부 톤과 유의적 상관성이 있는 지표 도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Rt) 특히, 그 중에서도 자색 또는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이 차지하는 비율인 피부 톤 지수(T)의 경우 상관 계수 0.56, 0.51 로,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예 3> 인지 피부 톤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 간의 상관성 분석 1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Rt) 중에서 자색 또는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이 차지하는 비율인 피부 톤 지수(T)와 인지 피부 톤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참고예 2의 분석 결과를 좀 더 세부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실측 피부 톤 측정
측정 전 모든 피험자들의 얼굴을 클렌징 폼(Foam)으로 세안하게 한 후 항온 항습 조건(22±2℃, 45±5% RH)에서 15분 간 대기시켰다. 피부 반사 스펙트럼은 스펙트로미터(CM-2600d, Konica Minolt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용된 스펙트로미터의 광 분해능(optical resolution)은 0.01%이며, 측정 가능한 파장 범위는 360~740 nm이다.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얼굴 전면 뺨 부위를 측정하여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유의적 상관성은 피부 톤 측정 후 ANOVA(SPSS One-w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지 피부 톤과 실측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하기 도 4에 나타내었다.
2. 인지 피부 톤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전체의 연속적인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과 피험자의 인지 피부 톤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전체의 연속적인 영역 중에서도 특히, 400 내지 490 nm의 연속적인 파장 영역에서 피험자의 인지 피부 톤과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예 4> 인지 피부 톤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 간의 상관성 분석 2
참고예 3의 분석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지표인 피부 톤 지수(T)와 인지 피부 톤 간의 상관성을 좀 더 세부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인지 피부 톤 평가
모든 피험자들의 얼굴을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의 밝기 정도에 대하여, 전문가 8인의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매우 어두움의 1부터 매우 밝음의 9까지 9점 척도를 이용하여 등급을 설정하였다.
2.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실측 피부 톤 측정
측정 전 모든 피험자들의 얼굴을 클렌징 폼(Foam)으로 세안하게 한 후 항온 항습 조건(22±2℃, 45±5% RH)에서 15분 간 대기시켰다. 피부 반사 스펙트럼은 스펙트로미터(CM-2600d, Konica Minolt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용된 스펙트로미터의 광 분해능(optical resolution)은 0.01%이며, 측정 가능한 파장 범위는 360~740 nm이다.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얼굴 전면 뺨 부위를 측정하여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유의적 상관성은 피부 톤 측정 후 ANOVA(SPSS One-w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지 피부 톤과 실측 피부 톤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하기 도 5에 나타내었다(p=0.33).
3. 인지 피부 톤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지 등급이 3 에서 7로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인지 피부 톤 본 발명에 따른 지표인 피부 톤 지수(T) 또한 18.81에서 20.38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표인 피부 톤 지수(T)와 인지 피부 톤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1> 피부 톤 개선 제품의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시험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에서 인지 피부 톤과 유의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 피부 톤 지수(T)를 이용하여 피부 톤 개선 제품의 피부 톤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건강한 한국 여성의 얼굴을 클렌징 폼(Foam)으로 세안하게 한 후 항온 항습 조건(22±2℃, 45±5% RH)에서 15분 간 대기시켰다. 피험자의 얼굴 전면 뺨 부위의 피부 색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을 참고예 2 내지 참고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피부 톤 지수(T)를 산출하였다.
피험자의 얼굴 전면 뺨 부위에 피부 톤 개선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는 제품(제품 1, 제품 2 및 제품 3)을 하루 2회씩 28일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28일 후, 피험자의 얼굴 전면 뺨 동일 부위에 대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피부 색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얼굴 전면 뺨 부위의 피부 색과 피부 반사 스펙트럼을 참고예 2 내지 참고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피부 톤 지수(T)를 산출하였다.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에 대하여, Paired T-test에 의한 통계 분석(SPSS 20.0)을 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험 인원 (T a -T b )*100/T b p-value
제품 1 16명 1.100 0.028
제품 2 23명 1.787 0.007
제품 3 23명 1.812 0.004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표인 피부 톤 지수(T)를 활용한 실험 결과, p값이 0.05 미만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품 1, 제품 2 및 제품 3에 대하여 (Ta-Tb)*100/Tb 값이 각각 1.100, 1.787 및 1.812로 나타난 것에 비추어, 시험대상 제품의 피부 톤 개선 효능을 객관적으로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이 포함될 것이다.

Claims (8)

  1. (a) 가시광선 스펙트로미터가 시험대상 물질을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하기 전, 후 각각에 대하여, 광원을 통해 상기 소정 영역으로 방출되어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광의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저장하는 단계;
    (b) 하기 수학식 1이 설정된 연산부가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측정값을 처리하여 시험대상 물질 적용 전의 피부 톤 지수(Tb)와 적용 후의 피부 톤 지수(Ta)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출력부가 상기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험대상 물질의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23041537469-pat00003

    (T: 피부 톤 지수,
    S: 자색, 청색, 또는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Rt: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 파장 영역은 400 내지 700 nm의 파장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대상 물질의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 이 1.03% 이상인 경우, 피부 톤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대상 물질의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색 영역은 400 내지 455 nm이고, 상기 청색 영역은 455 내지 490 nm이고, 상기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은 400 내지 490 nm의 파장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대상 물질의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5. (a) 가시광선 스펙트로미터가 시험대상 물질을 피험자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하기 전, 후 각각에 대하여, 광원을 통해 상기 소정 영역으로 방출되어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광의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저장하는 단계;
    (b) 하기 수학식 1이 설정된 연산부가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측정값을 처리하여 시험대상 물질 적용 전의 피부 톤 지수(Tb)와 적용 후의 피부 톤 지수(Ta)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출력부가 상기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23041537469-pat00004

    (T: 피부 톤 지수,
    S: 자색, 청색, 또는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Rt: 전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반사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 파장 영역은 400 내지 700 nm의 파장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시험대상 물질의 적용 전, 후의 피부 톤 지수 증가율 (Ta-Tb)*100/Tb이 1.03% 이상인 경우, 피부 톤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색 영역은 400 내지 455 nm이고, 상기 청색 영역은 455 내지 490 nm이고, 상기 자색 내지 청색 파장 영역은 400 내지 490 nm의 파장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0180130393A 2018-10-30 2018-10-30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57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393A KR102575093B1 (ko) 2018-10-30 2018-10-30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393A KR102575093B1 (ko) 2018-10-30 2018-10-30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364A KR20200048364A (ko) 2020-05-08
KR102575093B1 true KR102575093B1 (ko) 2023-09-06

Family

ID=7067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393A KR102575093B1 (ko) 2018-10-30 2018-10-30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0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227A (ko) 2010-01-11 2011-07-1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색 평가 방법 및 이에 기초한 피부 카운셀링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364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7959B2 (ja) 肌色測定装置および肌画像処理装置
US20150099947A1 (en) Skin youthfulness index, methods and applications thereof
Mayer et al. BMI and WHR are reflected in female facial shape and texture: a geometric morphometric image analysis
JP2003533283A (ja) 毛髪分析及び達成可能な毛髪染色仕上がり色の予測方法
KR20160008171A (ko) 피부 다크닝 평가 장치 및 피부 다크닝 평가 방법
Pérez et al. Does background color influence visual thresholds?
Korichi et al. Relation between facial morphology, personality and the functions of facial make‐up in women
JP2018023756A (ja) 肌状態の評価方法
US20030149347A1 (en) Method of evaluating the region around the eye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Demirel et al. Influence of age,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on tooth color
Matsubara Differences in the surface and subsurface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facial skin by age group
Wang et al.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 of human skin colour
O’Mahony et al. A validated photonumeric scale for infraorbital dark circles and its application in evaluating the efficacy of a cosmetic treatment product in a split‐face randomized clinical trial
Kikuchi et al. Development of an image evaluation method for skin color distribution in facial images and its application: Aging effects and seasonal changes of facial color distribution
Flament et al. Evaluating the respective weights of some facial signs on the perceived radiance/glow in differently aged women of six countries
CN107005642B (zh) 图像捕获设备与感测保护设备
KR102575093B1 (ko) 피부 톤 개선 효능 평가 방법 및 피부 톤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ikuchi et al. Long‐term changes in Japanese women's facial skin color
JP6131597B2 (ja) 皮膚の評価方法及び皮膚の評価システム
Kim et al.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pigmented skin lesions using the L* a* b* color coordinates
Jeon et al.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 of minimal erythema dose sites after narrowband ultraviolet B phototesting: clinical implication of spetrophotometric values in phototherapy
Azmi et al. Color correction of baby images for cyanosis detection
JP3734741B2 (ja) しみ・そばかす評価方法
Anderson et al. The challenge of objective scar colour assessment in a clinical setting: using digital photography
JP2019217253A (ja) 皮膚透明感を評価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