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664B1 - 적층 코어, 코어 블록, 회전 전기 기기 및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코어, 코어 블록, 회전 전기 기기 및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664B1
KR102573664B1 KR1020217016140A KR20217016140A KR102573664B1 KR 102573664 B1 KR102573664 B1 KR 102573664B1 KR 1020217016140 A KR1020217016140 A KR 1020217016140A KR 20217016140 A KR20217016140 A KR 20217016140A KR 102573664 B1 KR102573664 B1 KR 102573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teel
steel sheet
adhesive
cor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509A (ko
Inventor
레이 혼마
류 히라야마
가즈토시 다케다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3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he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lo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Magnetic core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9Magnetic cores comprising laminations characterised by being fastened by caul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과,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전자 강판끼리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전자 강판끼리를 각각 접착하는 복수의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서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30°이상 90°이하인, 적층 코어이다.

Description

적층 코어, 코어 블록, 회전 전기 기기 및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적층 코어, 코어 블록, 회전 전기 기기 및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12월 17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235856호, 2018년 12월 17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235872호, 2019년 6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118338호, 2019년 6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11833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적층 코어가 알려져 있다. 이 적층 코어에서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끼리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23523호 공보
상기 종래의 적층 코어에는 자기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적층 코어의 자기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1)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과,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전자 강판끼리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전자 강판끼리를 각각 접착하는 복수의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서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30°이상 90°이하인, 적층 코어이다.
(2) 상기 (1)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52.3°이상인 구성이어도 된다.
(3)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보다 작은 구성이어도 된다.
(4) 상기 (3)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67%±5%인 구성이어도 된다.
(5) 상기 (4)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75°±5°인 구성이어도 된다.
(6)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보다 큰 구성이어도 된다.
(7) 상기 (6)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167%±5%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85°이상인 구성이어도 된다.
(8) 상기 (6)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233%±5%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85°이상인 구성이어도 된다.
(9)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과,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전자 강판끼리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전자 강판끼리를 각각 접착하는 복수의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서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368% 이하인, 적층 코어이다.
(10) 상기 (1) 내지 상기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평균 두께가 1.0㎛ 내지 3.0㎛인 구성이어도 된다.
(11) 상기 (1) 내지 상기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평균 인장 탄성률 E가 1500MPa 내지 4500MPa인 구성이어도 된다.
(12) 상기 (1) 내지 상기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가, 엘라스토머 함유 아크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SGA를 포함하는 상온 접착 타입의 아크릴계 접착제인 구성이어도 된다.
(13)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환상으로 복수개를 연결함으로써 적층 코어를 구성하는 코어 블록이며,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편과,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전자 강판편끼리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전자 강판편끼리를 각각 접착하는 복수의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서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편의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45°이상 90°이하인, 코어 블록이다.
(14) 상기 (13)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편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52.3°이상인 구성이어도 된다.
(15) 상기 (13) 또는 상기 (14)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원호상의 코어 백부와, 상기 코어 백부로부터 상기 코어 백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티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티스부는 상기 압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16) 상기 (13) 내지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보다 작은 구성이어도 된다.
(17) 상기 (16)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60% 이하인 구성이어도 된다.
(18) 상기 (17)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43% 이하인 구성이어도 된다.
(19) 상기 (17)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43%±5%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편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45°이상인 구성이어도 된다.
(20) 상기 (16)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60%±5%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편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60°이상인 구성이어도 된다.
(21) 상기 (13) 내지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보다 큰 구성이어도 된다.
(22) 상기 (21)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150%±5%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편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85°이상인 구성이어도 된다.
(23) 상기 (13) 내지 상기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평균 두께가 1.0㎛ 내지 3.0㎛인 구성이어도 된다.
(24) 상기 (13) 내지 상기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평균 인장 탄성률 E가 1500MPa 내지 4500MPa인 구성이어도 된다.
(25) 상기 (13) 내지 상기 (2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어 블록에서는, 상기 접착부가, 엘라스토머 함유 아크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SGA를 포함하는 상온 접착 타입의 아크릴계 접착제인 구성이어도 된다.
(26)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13) 내지 상기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어 블록을 환상으로 복수개를 연결함으로써 구성되는, 적층 코어이다.
(27)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1) 내지 상기 (12), 상기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코어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이다.
(28)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전자 강판으로부터 복수의 전자 강판편을 펀칭하는 제1 공정과, 복수의 상기 전자 강판편끼리의 사이에 접착부를 마련하면서 적층하는 제2 공정을 갖고, 상기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강판편은, 티스부가 상기 전자 강판의 압연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펀칭되고, 상기 제2 공정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접착부를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으로 되도록 형성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접착부를 서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이상 90°이하로 되도록 복수의 상기 전자 강판편을 적층하는,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이다.
(29) 상기 (28)에 기재된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보다 작은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 코어의 자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모식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전기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변형예의 스테이터의 접착부의 모식도이다.
도 8은 제1 검증 시험에 있어서, 접착부의 폭 치수와 간격 치수의 비율 및 각도에 대한 철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제2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기준 모델의 스테이터 코어의 평면도이며, 전자 강판을 코오킹 접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전기 기기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로서 전동기, 구체적으로는 교류 전동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기 전동기, 한층 더 구체적으로는 영구 자석 계자형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종류의 전동기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등에 적절하게 채용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기초로,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10)는, 스테이터(20)와, 로터(30)와, 케이스(50)와, 회전축(60)을 구비한다. 스테이터(20) 및 로터(30)는 케이스(50)에 수용된다. 스테이터(20)는 케이스(50)에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10)에 있어서, 예를 들어 스테이터(20)의 각 상에는 실효값 10A, 주파수 100Hz의 여자 전류가 인가되며, 이에 수반하여 로터(30) 및 회전축(60)이 회전수 1000rpm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10)로서, 로터(30)가 스테이터(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이너 로터형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회전 전기 기기(10)로서, 로터(30)가 스테이터(20)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로터형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10)가 12극 18슬롯의 3상 교류 모터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극수나 슬롯수, 상수 등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스테이터(20)는, 스테이터 코어(적층 코어)(21)와, 도시하지 않은 권선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 코어(21)는 일체 코어이다. 스테이터 코어(21)는, 환상의 코어 백부(22)와, 복수의 티스부(23)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스테이터 코어(21)(코어 백부(22))의 축 방향(스테이터 코어(21)의 중심 축선(O)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하고, 스테이터 코어(21)(코어 백부(22))의 직경 방향(스테이터 코어(21)의 중심 축선(O)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하고, 스테이터 코어(21)(코어 백부(22))의 둘레 방향(스테이터 코어(21)의 중심 축선(O) 둘레로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코어 백부(22)는, 스테이터(20)를 축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으로 보아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티스부(23)는, 코어 백부(22)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직경 방향을 따라 코어 백부(22)의 중심 축선(O)을 향하여) 돌출된다. 복수의 티스부(23)는, 둘레 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심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각 20도 간격으로 18개의 티스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티스부(23)는 서로 동등한 형상이며, 또한 동등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권선은 티스부(23)에 권회되어 있다. 상기 권선은 집중 감기되어 있어도 되고, 분포 감기되어 있어도 된다.
로터(30)는, 스테이터(20)(스테이터 코어(21))에 대하여 직경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30)는, 로터 코어(31)와, 복수의 영구 자석(32)을 구비한다.
로터 코어(31)는, 스테이터(20)와 동축에 배치되는 환상(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 코어(31) 내에는 상기 회전축(60)이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60)은 로터 코어(31)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영구 자석(32)은 로터 코어(31)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1조의 영구 자석(32)이 1개의 자극을 형성하고 있다. 복수조의 영구 자석(32)은, 둘레 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심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각 30도 간격으로 12조(전체로는 24개)의 영구 자석(3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구 자석 계자형 전동기로서 매립 자석형 모터가 채용되고 있다. 로터 코어(31)에는, 로터 코어(31)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공(33)은, 복수의 영구 자석(32)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영구 자석(32)은, 대응하는 관통공(33) 내에 배치된 상태로 로터 코어(31)에 고정되어 있다. 각 영구 자석(32)의 로터 코어(31)에의 고정은, 예를 들어 영구 자석(32)의 외면과 관통공(33)의 내면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것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 계자형 전동기로서, 매립 자석형 모터 대신에 표면 자석형 모터를 채용해도 된다.
<적층 코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21)는 적층 코어이다. 스테이터 코어(21)는, 복수의 전자 강판(40)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스테이터 코어(21)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40)을 구비한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21)의 적층 두께는, 예를 들어 50.0mm로 된다. 스테이터 코어(21)의 외경은, 예를 들어 250.0mm로 된다. 스테이터 코어(21)의 내경은, 예를 들어 165.0mm로 된다. 단, 이들 값은 일례이며, 스테이터 코어(21)의 적층 두께, 외경이나 내경은, 이들 값에 한하지 않는다. 여기서, 스테이터 코어(21)의 내경은, 스테이터 코어(21)에 있어서의 티스부(23)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21)의 내경은, 모든 티스부(23)의 선단부에 내접하는 가상원의 직경이다.
스테이터 코어(21)를 형성하는 각 전자 강판(40)은, 예를 들어 압연된 판형의 모재를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전자 강판(40)으로서는, 공지된 전자 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강판(40)의 화학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강판(40)으로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채용하고 있다. 무방향성 전자 강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JIS C 2552:2014의 무방향성 전강대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강판(40)으로서, 무방향성 전자 강판 대신에 방향성 전자 강판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향성 전자 강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JIS C 2553:2012의 방향성 전강대를 채용할 수 있다.
무방향성 전강대는, 철손의 이방성의 최댓값이, JIS에서 규정된 역치보다 작아, 철손에 현저한 방향성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무방향성 전강대는 압연판이기 때문에, 압연 방향을 따라, JIS에서 규정된 역치 이하의 철손의 방향성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방향성 전자강대는 압연 방향에 있어서 가장 철손이 작다. 따라서, 무방향성 전강대 및 방향성 전강대는 모두 압연 방향의 철손이 다른 방향과 비교하여 작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테이터 코어(21)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은, 서로 일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강판(40)은, 압연 방향에 있어서 가장 철손이 작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21)는,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에 있어서 가장 자기 특성이 우수하다.
전자 강판의 가공성이나 적층 코어의 철손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 강판(40)의 양면에는 절연 피막이 마련되어 있다. 절연 피막을 구성하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1) 무기 화합물, (2) 유기 수지, (3) 무기 화합물과 유기 수지의 혼합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 중크롬산염과 붕산의 복합물, (2) 인산염과 실리카의 복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수지로서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서로 적층되는 전자 강판(40) 사이에서의 절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절연 피막의 두께(전자 강판(40) 편면당 두께)는 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절연 피막이 두꺼워짐에 따라 절연 효과가 포화된다. 또한, 절연 피막이 두꺼워짐에 따라 스테이터 코어(21)에 있어서의 절연 피막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절연 피막은, 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얇은 편이 좋다. 절연 피막의 두께(전자 강판(40) 편면당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2㎛ 이하이다.
전자 강판(40)이 얇아짐에 따라 점차 철손의 개선 효과가 포화된다. 또한, 전자 강판(40)이 얇아짐에 따라 전자 강판(40)의 제조 비용은 증가한다. 그 때문에, 철손의 개선 효과 및 제조 비용을 고려하면 전자 강판(40)의 두께는 0.1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전자 강판(40)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전자 강판(40)의 프레스 펀칭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전자 강판(40)의 프레스 펀칭 작업을 고려하면 전자 강판(40)의 두께는 0.6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강판(40)이 두꺼워지면 철손이 증대된다. 그 때문에, 전자 강판(40)의 철손 특성을 고려하면, 전자 강판(40)의 두께는 0.3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mm 또는 0.25mm이다.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각 전자 강판(4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0mm 이상 0.6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0mm 이상 0.3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mm나 0.25mm이다. 또한 전자 강판(40)의 두께에는 절연 피막의 두께도 포함된다.
스테이터 코어(21)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자 강판(40)은, 접착부(41)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접착부(41)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의 사이에 마련되며,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이다. 접착제에는, 예를 들어 중합 결합에 의한 열경화형 접착제 등이 사용된다. 접착제의 조성물로서는, (1) 아크릴계 수지, (2) 에폭시계 수지, (3)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한 조성물 등이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열경화형 접착제 외에, 라디칼 중합형 접착제 등도 사용 가능하며,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상온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 경화형 접착제는 20℃ 내지 30℃에서 경화된다. 상온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아크릴계 접착제에는 SGA(제2 세대 아크릴계 접착제. Second Generation Acrylic Adhesiv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혐기성 접착제, 순간 접착제, 엘라스토머 함유 아크릴계 접착제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접착제는 경화 전의 상태를 말하며, 접착제가 경화된 후에는 접착부(41)로 된다.
접착부(41)의 상온(20℃ 내지 30℃)에 있어서의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1500MPa 내지 4500MPa의 범위 내로 된다. 접착부(41)의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1500MPa 미만이면, 적층 코어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 때문에, 접착부(41)의 평균 인장 탄성률 E의 하한값은 1500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0MPa로 된다. 반대로, 접착부(41)의 평균 인장 탄성률 E가 4500MPa를 초과하면, 전자 강판(40)의 표면에 형성된 절연 피막이 박리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 때문에, 접착부(41)의 평균 인장 탄성률 E의 상한값은 4500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3650MPa로 된다.
또한,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공진법에 의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JIS R 1602:1995에 준거하여 인장 탄성률을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측정용 샘플(도시하지 않음)을 제작한다. 이 샘플은 2매의 전자 강판(40) 사이를 측정 대상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고, 경화시켜 접착부(41)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화는, 접착제가 열경화형인 경우에는, 실제 조업 상의 가열 가압 조건에서 가열 가압함으로써 행한다. 한편, 접착제가 상온 경화형인 경우에는 상온 하에서 가압함으로써 행한다.
그리고, 이 샘플에 대한 인장 탄성률을 공진법으로 측정한다. 공진법에 의한 인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JIS R1602:1995에 준거하여 행한다. 그 후, 샘플의 인장 탄성률(측정값)로부터, 전자 강판(40) 자체의 영향분을 계산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접착부(41) 단체의 인장 탄성률이 구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샘플로부터 구해진 인장 탄성률은, 적층 코어 전체로서의 평균값과 동등하게 되므로, 이 수치로서 평균 인장 탄성률 E로 간주한다.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그 적층 방향을 따른 적층 위치나 적층 코어의 중심 축선 둘레의 둘레 방향 위치에서 거의 변하지 않도록 조성이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적층 코어의 상단 위치에 있는, 경화 후의 접착부(41)를 측정한 수치로서 그 값으로 할 수도 있다.
모터는 구동 시에 발열한다. 이 때문에, 접착부(41)의 융점이 낮으면, 모터의 발열에 의해 접착부(41)가 용융되어 접착 영역(42)의 형상이 변화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터 코어(21)에 감기는 권선의 표면에는 절연성 피복(에나멜)이 마련된다. 이 피복의 내열 온도는, 예를 들어 180℃ 정도이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모터는 180℃ 이하로 되도록 구동된다. 즉, 모터는 180℃ 정도까지 승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착부(41)의 융점은 1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국소적으로 고온으로 되는 부위가 있는 것을 가미한 안전율을 고려하여, 접착부(41)의 융점은 2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 강판(4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가열 및 압착 중 어느 것 또는 양쪽에 의해 접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수단은, 예를 들어 고온조나 전기로 내에서의 가열, 또는 직접 통전하는 방법 등, 어떠한 수단이어도 된다.
안정적으로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기 위해, 접착부(41)의 두께는 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접착부(41)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접착력이 포화된다. 또한, 접착부(41)가 두꺼워짐에 따라 점적률이 저하되고, 적층 코어의 철손 등의 자기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접착부(41)의 두께는 1㎛ 이상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상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접착부(41)의 두께는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를 의미한다.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는 1.0㎛ 이상 3.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부(41)의 평균 두께가 1.0㎛ 미만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접착부(41)의 평균 두께의 하한값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로 된다. 반대로, 접착부(41)의 평균 두께가 3.0㎛를 초과하여 두꺼워지면, 열경화 시의 수축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변형량이 대폭 증가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 때문에, 접착부(41)의 평균 두께의 상한값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6㎛로 된다.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는, 적층 코어 전체로서의 평균값이다.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는 그 적층 방향을 따른 적층 위치나 적층 코어의 중심 축선 둘레의 둘레 방향 위치에서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는, 적층 코어의 상단 위치에 있어서, 원주 방향 10개소 이상에서 측정한 수치의 평균값으로서 그 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접착제의 도포량을 바꾸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41)의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예를 들어 열경화형 접착제인 경우에는, 접착 시에 가하는 가열 가압 조건 및 경화제 종류 중 한쪽 혹은 양쪽을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를 기초로, 전자 강판(40)과 접착부(41)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복수의 전자 강판(40)이 적층되는 방향을, 간단히 적층 방향이라고 칭한다. 적층 방향은, 전자 강판(40)의 두께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적층 방향은, 중심 축선(O)이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복수의 접착부(41)는 전체로서 줄무늬상으로 형성된다.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는, 전부 서로 전면 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들 전자 강판(40)끼리는, 전부 서로 국소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복수의 접착부(41)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각 제1 방향 D1을 따라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접착부(41)는, 각각 제2 방향 D2를 따라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강판(40)에 있어서 적층 방향을 향하는 면(이하, 전자 강판(40)의 제1 면이라고 함)은, 접착부(41)가 마련된 접착 영역(42)과, 접착부(41)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비접착 영역(43)(블랭크 영역)을 구비한다. 또한, 접착부(41)가 마련된 전자 강판(40)의 접착 영역(42)이란, 전자 강판(40)의 제1 면 중,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접착부(41)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전자 강판(40)의 비접착 영역(43)이란, 전자 강판(40)의 제1 면 중,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의미한다. 접착부(41)는,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는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방향 D2를 따라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자 강판(40)의 제1 면의 접착 영역(42) 및 비접착 영역(43)은, 각각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는 띠상으로 형성되고, 접착 영역(42)과 비접착 영역(43)은, 제2 방향 D2를 따라 교대로 나란히 형성된다.
또한, 제1 방향 D1이란, 띠상으로 형성된 접착부(41)가 연장되는 방향이며, 접착부(41)의 긴 변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제2 방향 D2란, 띠상으로 형성된 접착부(41)의 짧은 변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제1 방향 D1과 제2 방향 D2는 서로 직교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착부(41)의 폭 치수 및 접착부(41)끼리의 간극 치수가 균일한 경우가 상정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착부(41)가 연장되는 형상으로서의 「띠 형상」이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며, 폭이 스테이터 코어(21)의 외경의 1.5%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접착부(41)의 폭이 스테이터 코어(21)의 외경의 1.5% 이상임으로써, 전자 강판(40)끼리의 접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4에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 RD를 도시한다. 또한, 제1 방향 D1과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를 각도 α로 한다. 일반적으로, 2개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로서 대소의 2개의 각도가 정의되는데, 각도 α는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2개의 각도 중 각도가 작은 한쪽이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도 α는 0°이상 90°이하의 각도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착제는 경화 시에 수축한다. 이 때문에, 접착제의 경화에 수반하여 전자 강판(40)에는 압축 응력이 부여되고, 이에 수반하여 전자 강판(40)에는 변형이 생긴다. 전자 강판(40)에 변형이 생기면 철손의 값이 상승하고,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철손의 값이 상승하는 것을 「철손의 열화」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접착부(41)를 띠상으로 형성하면, 전자 강판(40)에 부여되는 압축 응력은, 접착부(41)가 연장되는 방향(제1 방향 D1)에 있어서 가장 커진다.
전자 강판(40)은, 압연 방향 RD와 직교하는 방향의 강성이 가장 높아, 압축 응력에 대하여 변형이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90°에 접근시킴으로써, 전자 강판(4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강판(40)의 철손은, 압연 방향 RD에 있어서 가장 작지만, 한편으로, 압연 방향 RD에 변형이 생기는 경우에, 철손의 열화가 가장 현저해진다. 따라서, 제1 방향 D1과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 RD가 일치하는 경우(각도 α=0°)에,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이 가장 저하된다. 이 때문에,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0°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함으로써, 전자 강판(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0°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여 90°에 접근시킴으로써, 전자 강판(40)의 변형을 억제하고, 전자 강판(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도 α는 30°이상 9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 α를 30°이상으로 하여 제1 방향 D1을 압연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을 갖고 교차시킴으로써, 접착제의 압축 응력이 전자 강판(40)의 철손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함과 함께, 전자 강판(4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전자 강판(40)은, 압연 방향 RD에 대하여 특정 각도로 기운 방향에 있어서, 철손이 가장 커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철손이 가장 커지는 방향을 특이 방향 SD라고 칭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자 강판(40)의 특이 방향 SD는, 압연 방향 RD에 대하여 57.3°기운 방향인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특이 방향 SD는, 전자 강판(40)의 결정 구조인 입방정에 있어서, 미러 지수 {111}<112>의 결정 방위이다. 전자 강판(40)은, 특이 방향 SD에 있어서 원래 철손이 크기 때문에, 특이 방향 SD를 따라 변형이 생기는 경우라도, 철손의 열화는 비교적 작아진다. 이 때문에, 특이 방향 SD에 가까운 방향을 변형이 생기는 방향으로 함으로써, 전자 강판(40)의 철손의 열화를 전체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강판(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하는 구성에 대하여 정리한다.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기인하는 전자 강판(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하는 구성은, 주로 이하의 2개이다.
첫 번째 구성은, 제1 방향 D1을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 RD에 직교하는 방향에 접근시키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는, 전자 강판(40)의 변형 그 자체를 억제하여 철손의 열화를 억제한다. 즉, 첫 번째 구성에 있어서, 각도 α는 90°에 접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구성은, 제1 방향 D1을 전자 강판(40)의 특이 방향 SD에 접근시키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는, 변형에 대한 전자 강판(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한다. 즉, 두 번째 구성에 있어서, 각도 α는 57.3°에 접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강판(40)의 철손은, 상술한 2개의 구성에 의해,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기인하는 열화가 억제된다. 이 때문에, 각도 α를 57.3°와 90°사이의 각도로 함으로써, 상술한 2개의 구성의 효과를 각각 향수할 수 있다. 또한, 각도 α는, ±5°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따라서,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는 52.3°이상 9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7.3°는, 약 60°라고도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는 60°이상 9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착부(41)는, 각각 전자 강판(40)의 제1 면 상에 있어서, 제2 방향 D2를 따르는 폭 치수 d1의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접착부(41)끼리는, 간격 치수 d2만큼의 간극이 마련된다. 간격 치수 d2는, 비접착 영역(43)의 폭 치수이다. 여기서 접착부(41)의 폭 치수 d1은 접착 영역(42)의 폭 치수에 상당하고, 접착부(41)끼리의 간격 치수 d2는 비접착 영역(43)의 폭 치수에 상당한다.
접착부(41)의 폭 치수 d1은, 스테이터 코어(21)의 외경에 대하여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 치수 d1을 스테이터 코어(21)의 외경의 5% 이하로 함으로써,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의해 전자 강판(40)에 국소적으로 큰 변형을 생기게 하지 않아, 전자 강판(40) 전체로서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접착부(41)의 폭 치수 d1은, 인접하는 접착부(41)끼리의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 d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d1<d2). 바꾸어 말하면, 폭 치수 d1은,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의해 전자 강판(40)에는 변형이 생기고, 이 변형에 의해 전자 강판(40)의 철손이 커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폭 치수 d1을 간격 치수 d2보다 작게 함으로써, 접착제에 기인하는 전자 강판(40)의 변형을 억제하고,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접착부(41)의 폭 치수 d1은, 인접하는 접착부(41)끼리의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폭 치수 d1을 지나치게 크게 하면,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기인하는 전자 강판(40)의 변형이 커질 우려가 있다. 한편,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폭 치수 d1이 지나치게 작으면, 전자 강판(40)끼리의 접착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폭 치수 d1을 67%±5%로 함으로써, 전자 강판(40)끼리의 접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전자 강판(40)의 변형을 억제하고,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7%±5%인 경우,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는 75°±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의 열화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접착부(41)의 폭 치수 d1이, 인접하는 접착부(41)끼리의 간격 치수 d2보다 큰 경우(d1>d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착부(41)의 폭 치수 d1을 간격 치수 d2보다 크게 함으로써, 전자 강판(40)끼리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기인하는 전자 강판(40)의 변형이 커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접착부(41)의 폭 치수 d1을 간격 치수 d2보다 크게 하는 경우, 접착부(41)가 연장되는 방향(제1 방향 D1)을, 강성이 높은 방향(압연 방향 RD와 직교하는 방향)에 접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41)의 폭 치수 d1을 간격 치수 d2보다 크게 하는 경우,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85°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자 강판(40)끼리의 접착력을 높임과 함께, 전자 강판(40)의 변형을 억제하고,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테이터 코어(21)를 형성하는 모든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 RD는 서로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 RD는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 코어(21)는, 전자 강판(40)을 돌려쌓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전자 강판(40)이 돌려쌓기된 스테이터 코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돌려쌓기된 스테이터 코어에 있어서, 1개의 접착부(41)의 층과, 당해 층을 사이에 두는 1조의 전자 강판(40)에 착안한다. 접착부(41)의 층을 사이에 두는 1조의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 RD는 서로 다르다. 이 경우, 제1 방향 D1은, 적층 방향 일방측에 위치하는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 RD와 이루는 각도 α가 상술한 바람직한 각도 범위에 포함됨과 함께, 적층 방향 다른 쪽의 전자 강판(40)의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가 상술한 바람직한 각도 범위에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돌려쌓기된 스테이터 코어에 있어서, 전자 강판(40)끼리의 사이에 마련된 접착부(41)의 각 층의 제1 방향 D1은 서로 달라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터 코어(31)는, 스테이터 코어(21)와 마찬가지로 적층 코어이다. 즉, 로터 코어(31)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터 코어(31)의 적층 두께는 스테이터 코어(21)와 동등하며, 예를 들어 50.0mm로 된다. 로터 코어(31)의 외경은, 예를 들어 163.0mm로 된다. 로터 코어(31)의 내경은, 예를 들어 30.0mm로 된다. 단, 이들 값은 일례이며, 로터 코어(31)의 적층 두께, 외경이나 내경은 이들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 코어(31)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자 강판은, 코오킹(C)(맞춤못, 도 1 참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로터 코어(31)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자 강판(40)은, 스테이터 코어(21)와 마찬가지의 접착부에 의해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5, 도 6을 기초로, 제2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110)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로터(30), 케이스(50) 및 회전축(60)과 스테이터(120)를 구비한다.
스테이터(120)는, 스테이터 코어(적층 코어)(121)와, 체결 링(129)과, 도시하지 않은 권선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코어(121)는 분할 코어이다. 따라서, 스테이터 코어(121)는, 복수의 코어 블록(적층 코어)(124)을 갖는다. 복수의 코어 블록(124)은, 환상으로 복수개를 연결함으로써 스테이터 코어(121)를 구성한다. 복수의 코어 블록(124)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체결 링(129)이 배치된다. 복수의 코어 블록(124)은, 체결 링(129)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 코어(121)의 구성은, 분할 코어인 점을 제외하고, 각 부의 치수 등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코어 블록(124)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어 블록(124)은 적층 코어의 일 양태이다. 코어 블록(124)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상의 코어 백부(122)와, 티스부(123)를 갖는다.
코어 백부(122)는, 스테이터(120)를 축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으로 보아 중심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티스부(123)는, 코어 백부(122)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직경 방향을 따라 코어 백부(122)의 중심 축선(O)을 향하여) 돌출된다. 복수의 코어 블록(124)이 둘레 방향을 따라 환상으로 배열되어 스테이터 코어(121)가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티스부(123)는 둘레 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120)에는, 중심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20도 간격으로 18개의 티스부(123)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티스부(123)는 서로 동등한 형상이며, 또한 동등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권선은 티스부(123)에 권회되어 있다. 상기 권선은 집중 감기되어 있어도 되고, 분포 감기되어 있어도 된다.
코어 블록(124)은, 전자 강판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전자 강판편(140)을 축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구성된다. 즉, 코어 블록(124)은,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편(140)을 갖는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121)는 적층 코어이다. 각각의 복수의 전자 강판편(140)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T자 형상이다.
코어 블록(124)을 형성하는 각 전자 강판편(140)은, 예를 들어 압연된 판형의 모재를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전자 강판편(140)으로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강판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코어 블록(124)을 형성하는 복수의 전자 강판편(140)은, 접착부(141)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접착부(141)를 구성하는 접착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것이 사용된다.
다음에, 도 6을 기초로, 전자 강판편(140)과 접착부(141)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접착부(141)를 도트 모양으로 강조하여 도시한다.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복수의 접착부(141)는 전체로서 줄무늬상으로 형성된다.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편(140)끼리는, 전체면 접착되어 있지 않고 국소적으로 접착되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접착부(141)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각 제1 방향 D1을 따라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접착부(141)는, 각각 제2 방향 D2를 따라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강판편(140)에 있어서 적층 방향을 향하는 면(이하, 전자 강판편(140)의 제1 면이라고 함)은, 접착부(141)가 마련된 접착 영역(142)과, 접착부(141)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비접착 영역(143)(블랭크 영역)을 구비한다. 또한, 접착부(141)가 마련된 전자 강판편(140)의 접착 영역(142)이란, 전자 강판편(140)의 제1 면 중,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접착부(141)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전자 강판편(140)의 비접착 영역(143)이란, 전자 강판편(140)의 제1 면 중,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의미한다. 접착부(141)는,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는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방향 D2를 따라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자 강판편(140)의 제1 면의 접착 영역(142) 및 비접착 영역(143)은, 각각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는 띠상으로 형성되고, 접착 영역(142)과 비접착 영역(143)은, 제2 방향 D2를 따라 교대로 나란히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코어 블록(124)에 있어서, 전자 강판편(140)의 압연 방향 RD는, 티스부(123)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이다. 즉, 티스부(123)는, 압연 방향 RD를 따라 연장된다. 전자 강판편(140)은, 압연 방향 RD에 있어서 가장 철손이 작아진다. 자속은, 티스부(123)에 있어서 티스부(123)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압연 방향 RD를 티스부(123)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함으로써, 코어 블록(124)의 자기 특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따라 연장된다」 및 「대략 평행이다」란, 엄밀하게 평행인 경우에 더하여 ±5°이내의 범위에서 병행하여 연장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티스부(123)가 연장되는 방향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는 5°이내이다.
도 6에 있어서, 제1 방향 D1과 전자 강판편(140)의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도시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자 강판편(140)은, 압연 방향 RD와 직교하는 방향의 강성이 가장 높아, 압축 응력에 대하여 변형이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90°에 접근시킴으로써, 전자 강판편(14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은, 압연 방향 RD에 있어서 가장 작지만, 한편, 압연 방향 RD에 변형이 생기는 경우에, 철손의 열화가 가장 현저해진다. 따라서, 제1 방향 D1과 전자 강판편(140)의 압연 방향 RD가 일치하는 경우(각도 α=0°)에, 코어 블록(124)의 자기 특성이 가장 저하된다. 이 때문에,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0°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함으로써,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0°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여 90°에 접근시킴으로써, 전자 강판편(140)의 변형을 억제하고,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도 α는 45°이상 9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 α를 45°이상으로 하여 제1 방향 D1을 압연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을 갖고 교차시킴으로써, 접착제의 압축 응력이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함과 함께, 전자 강판편(14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코어 블록(124)의 자기 특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전자 강판편(140)은, 특이 방향 SD에 있어서 원래 철손이 크기 때문에, 특이 방향 SD를 따라 변형이 생기는 경우라도, 철손의 열화는 비교적 작아진다. 이 때문에, 특이 방향 SD에 가까운 방향을 변형이 생기는 방향으로 함으로써,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의 열화를 전체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하는 구성에 대하여 정리한다.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기인하는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하는 구성은, 주로 이하의 2개이다.
첫 번째 구성은, 제1 방향 D1을 전자 강판편(140)의 압연 방향 RD에 직교하는 방향에 접근시키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는, 전자 강판편(140)의 변형 그 자체를 억제하여 철손의 열화를 억제한다. 즉, 첫 번째 구성에 있어서, 각도 α는 90°에 접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구성은, 제1 방향 D1을 전자 강판편(140)의 특이 방향 SD에 접근시키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는, 변형에 대한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한다. 즉, 두 번째 구성에 있어서, 각도 α는 57.3°에 접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은, 상술한 2개의 구성에 의해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기인하는 열화가 억제된다. 이 때문에, 각도 α를 57.3°와 90°사이의 각도로 함으로써, 상술한 2개의 구성의 효과를 각각 향수할 수 있다. 또한, 각도 α는 ±5°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기 때문에,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는 52.3°이상 9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7.3°는, 약 60°라고도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는 60°이상 9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할 수 있다.
복수의 접착부(141)는, 각각 전자 강판편(140)의 제1 면 상에 있어서, 제2 방향 D2를 따르는 폭 치수 d1의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접착부(141)끼리는, 간격 치수 d2만큼의 간극이 마련된다. 간격 치수 d2는, 비접착 영역(143)의 폭 치수이다. 여기서 접착부(141)의 폭 치수 d1은 접착 영역(142)의 폭 치수에 상당하고, 접착부(141)끼리의 간격 치수 d2는 비접착 영역(143)의 폭 치수에 상당한다.
접착부(141)의 폭 치수 d1은, 스테이터 코어(121)의 외경에 대하여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 치수 d1을 스테이터 코어(121)의 외경의 5% 이하로 함으로써,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의해 전자 강판편(140)에 국소적으로 큰 변형을 생기게 하지 않아, 전자 강판편(140) 전체로서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접착부(141)의 폭 치수 d1은, 인접하는 접착부(141)끼리의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 d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d1<d2). 바꾸어 말하면, 폭 치수 d1은,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의해 전자 강판편(140)에는 변형이 생기고, 이 변형에 의해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이 커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폭 치수 d1을 간격 치수 d2보다 작게 함으로써, 접착제에 기인하는 전자 강판편(140)의 변형을 억제하고, 코어 블록(124)의 자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접착부(141)의 폭 치수 d1은, 인접하는 접착부(141)끼리의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접착제에 기인하는 전자 강판편(140)의 변형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여 코어 블록(124)의 자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접착부(141)의 폭 치수 d1은, 인접하는 접착부(141)끼리의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4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에, 접착부(141)의 폭 치수 d1이, 인접하는 접착부(141)끼리의 간격 치수 d2보다 큰 경우(d1>d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착부(141)의 폭 치수 d1을 간격 치수 d2보다 크게 함으로써, 전자 강판편(140)끼리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접착제의 압축 응력에 기인하는 전자 강판편(140)의 변형이 커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접착부(141)의 폭 치수 d1을 간격 치수 d2보다 크게 하는 경우, 접착부(141)가 연장되는 방향(제1 방향 D1)을, 강성이 높은 방향(압연 방향 RD와 직교하는 방향)에 접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141)의 폭 치수 d1을 간격 치수 d2보다 크게 하는 경우,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85°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자 강판편(140)끼리의 접착력을 높임과 함께, 전자 강판편(140)의 변형을 억제하고, 코어 블록(124)의 자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코어 블록(124) 및 스테이터 코어(12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어 블록(124)의 제조 방법은, 주로,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갖는다.
우선, 제1 공정으로서, 압연한 전자 강판으로부터 복수의 T자형의 전자 강판편(140)을 펀칭한다. 제1 공정에 있어서, 전자 강판편(140)은, 티스부가 전자 강판의 압연 방향 RD를 따라 연장되도록 펀칭된다.
다음에, 제2 공정으로서, 복수의 전자 강판편(140)끼리의 사이에 접착부(141)를 마련하면서 적층한다. 제2 공정에 있어서, 복수의 접착부(141)를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각 제1 방향 D1로 연장되는 띠상으로 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접착부(141)를 서로 제2 방향 D2로 나란히 배치한다. 또한,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가 45°이상 90°이하로 되도록 복수의 전자 강판편(140)을 적층한다. 접착부(141)가 경화함으로써, 복수의 전자 강판편(140)은 서로 고정된다.
(변형예)
다음에,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채용 가능한, 변형예의 접착부(241)에 대하여 도 7을 기초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양태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변형예의 전자 강판(40)(또는 전자 강판편(140))끼리의 사이에는, 복수의 접착부(241)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접착부(241)는, 전자 강판(40)의 제1 면 상에 있어서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방향 D1을 따라 띠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접착부(241)는, 제2 방향 D2에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제2 방향 D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접착부는, 간격 치수 d2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의 접착부(241)는, 제1 방향 D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요소 접착부(241c)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요소 접착부(241c)란, 제1 방향 D1을 복수 따라 나란히 접착부(241)를 구성하는 접착제의 덩어리이다. 복수의 접착제끼리는, 서로 대략 동일 형상이다. 제1 방향 D1에 있어서 인접하는 요소 접착부(241c)끼리는 서로 이어져 있다. 각각의 요소 접착부(241c)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방향 D1을 장축으로 하는 대략 타원 형상이다. 따라서, 접착부(241)의 폭 방향 양단부는, 제1 방향 D1을 따라 꼬불꼬불 구부러져 연장된다. 요소 접착부(241c)는, 본 변형예에 나타내는 대략 타원 형상 외에, 대략 원 형상 등이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띠상으로 연장되는 접착부」는, 폭 방향 양단부가 반드시 직선형일 필요는 없고, 제1 방향 D1을 따라 꼬불꼬불 구부러져 있어도 된다.
접착부(241)는, 제1 방향 D1과 평행인 중심선 CL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선 CL을 따라 연장된다. 접착부(241)는, 중심선 CL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 형상이다.
본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부(241)의 폭 방향 양단부가 꼬불꼬불 구부러져 연장되는 경우, 접착부(241)의 폭 치수 d1의 정의를 이하와 같이 할 수 있다. 즉, 접착부(241)의 폭 방향 양단부를 직선형으로 근사한 가상선 VL을 설정하여, 접착부(241)의 폭 치수 d1을 정의한다. 가상선 VL은, 중심선 CL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가상선 VL은, 한 쌍의 가상선 VL 사이에 끼워진 영역의 면적이,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접착부(241)의 면적과 동등하게 되도록 정의되는 가상적인 직선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접착부(241)의 폭 치수 d1은, 한 쌍의 가상선 VL끼리의 제2 방향 D2를 따르는 거리 치수이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간격 치수 d2는, 인접하는 접착부(241)의 가상선 VL끼리의 거리 치수이다.
본 변형예에 나타내는 접착부(241)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착부(4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접착부(241)는,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펜서로부터 접착제를 전자 강판(40)에 점상으로 복수 개소, 제1 방향 D1을 따라 도포한 후, 이 전자 강판(40)을 다른 전자 강판(40)에 압박하여 접착제를 양쪽 전자 강판(40) 사이에서 압축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접착부(241)의 폭 치수가 불균일해진 경우라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그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착부가 전자 강판(40) 또는 전자 강판편(140)의 면 내의 전역에 마련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접착부는, 전자 강판(40) 또는 전자 강판편(140)의 면 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전자 강판의 코어 백부에 겹치는 영역에만 줄무늬상의 접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자 강판의 티스부에 겹치는 영역에만 줄무늬상의 접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스테이터 코어의 형상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터 코어의 외경 및 내경의 치수, 적층 두께, 슬롯수, 티스부의 둘레 방향과 직경 방향의 치수 비율, 티스부와 코어 백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 비율 등은 원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특성에 따라 임의로 설계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코어 블록(124)에 있어서, 코어 백부(122)의 둘레 방향 일방측의 단부면에 볼록 형상이 마련되고, 둘레 방향 타방측의 단부면에 오목 형상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볼록 형상을 오목 형상에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코어 블록(124)의 둘레 방향의 연결 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블록은, 1개의 코어 백부에 대하여 2개 이상의 티스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코어 백부와 티스부 각각 별체의 코어 블록이어도 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로터에서는, 2개 1조의 영구 자석(32)이 1개의 자극을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개의 영구 자석(32)이 1개의 자극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3개 이상의 영구 자석(32)이 1개의 자극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로서, 영구 자석 계자형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회전 전기 기기의 구조는,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나아가 이하에 예시하지 않는 여러 가지 공지된 구조도 채용 가능하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동기 전동기로서, 영구 자석 계자형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 전기 기기가 릴럭턴스형 전동기나 전자석 계자형 전동기(권선 계자형 전동기)여도 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교류 전동기로서, 동기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 전기 기기가 유도 전동기여도 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기로서, 교류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 전기 기기가 직류 전동기여도 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로서,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 전기 기기가 발전기여도 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적층 코어를 스테이터 코어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로터 코어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적층 코어를 변압기 등, 회전 전기 기기 이외의 적층 코어에 적용해도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에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하게 가능하며, 또한 상기한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에, 상기한 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검증 시험을 실시하였다. 검증 시험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실시하였다. 소프트웨어로서는, JSOL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유한 요소법 전자장 해석 소프트웨어 JMAG를 이용하였다.
<제1 검증 시험>
우선, 제1 검증 시험으로서, 제1 실시 형태로서 예시한 일체 코어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사용하는 모델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모델 No.A1 내지 모델 No.A22의 스테이터 코어(적층 코어)를 상정하였다. 각 모델에 사용하는 전자 강판은, 판 두께 0.25mm의 무방향성 전자 강판이다. 전자 강판의 형상은,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 형상이다.
모델 No.A1 내지 모델 No.A21의 스테이터 코어에 있어서, 전자 강판끼리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수의 접착부가 마련된다. 즉, 모델 No.A1 내지 모델 No.A21의 스테이터 코어에 있어서 복수의 접착부는, 제1 방향 D1을 따라 띠상으로 연장된다. 한편, 모델 No.A22의 스테이터 코어에 있어서, 전자 강판끼리의 사이에는, 전자 강판의 제1 면의 전체면에 접착부가 마련된다. 즉, 모델 No.A22의 접착부는, 전자 강판의 제1 면의 전체면에 마련되어 있다. 모델 No.A22의 스테이터 코어는, 철손의 기준값을 구하기 위해 준비된 모델이다. 이하, 모델 No.A22의 스테이터 코어를 「기준 모델」이라고 칭한다.
모델 No.A1 내지 No.A7의 스테이터 코어를 제A1 군의 모델로 한다. 제A1 군의 모델에서는,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인접하는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233%이다. 제A1 군의 각 모델의 접착부의 폭 치수 d1은 7mm이고,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는 3mm이다.
모델 No.A8 내지 No.A14의 스테이터 코어를 제A2 군의 모델로 한다. 제A2 군의 모델에서는,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인접하는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167%이다. 제A2 군의 각 모델의 접착부의 폭 치수 d1은 5mm이고,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는 3mm이다.
모델 No.A15 내지 No.A21의 스테이터 코어를 제A3 군의 모델로 한다. 제A3 군의 모델에서는,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인접하는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7%이다. 제A3 군의 각 모델의 접착부의 폭 치수 d1은 2mm이고,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는 3mm이다.
제A1 군, 제A2 군 및 제A3 군에 있어서,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도 4 참조)를 0°, 15°, 30°, 45°, 60°, 75°및 90°로 한 모델을 준비하였다.
각 모델에 대하여, 전자 강판의 철손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각 모델의 철손에 대하여, 기준 모델(모델 No.A22의 스테이터 코어)의 철손의 값을 기준으로 하여 백분율로 표시한다. 또한, 표 1에는, 각 모델과 마찬가지의 접착부를 마련한 실물 모형에 대하여 낙하 시험을 행한 결과를 기재한다. 낙하 시험에서는, 각 모델 1m 높이로부터 10회의 낙하를 행하였다. 평가 A는, 10회의 낙하 후에 접착부의 박리가 생기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또한, 평가 A-는, 5회의 낙하 후에 접착부의 박리가 생기지 않았지만, 10회까지에 박리가 생긴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21061126227-pct00001
모델 No.A1 내지 모델 No.A21의 스테이터 코어를 비교하면, 제A1 내지 제A3 군의 어느 군에 속하는 모델에 있어서도,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30°이상으로 함으로써, 철손이 억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도 α를 60°이상으로 함으로써, 철손이 더 억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A1 군, 제A2 군 및 제A3 군을 서로 비교하면, 제A3 군의 모델의 철손이 가장 작다. 제A3 군의 모델은,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7%이다. 즉, 제A3 군의 모델은,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접착제를 기인으로 하는 전자 강판(40)의 변형이 억제되고,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폭 치수 d1을 67%로 하는 경우에, 전자 강판(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간격 치수 d2에 대한 폭 치수 d1의 비율이 ±5% 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이 때문에,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폭 치수 d1이 67%±5%인 경우라도, 전자 강판(40)의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제A3 군 내에 있어서 각각의 모델을 비교하면,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75°로 한 모델 No.A20의 스테이터 코어가 가장 철손이 작다. 즉,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7%인 경우, 각도 α를 75°로 함으로써, 가장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도 α는, ±5°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또한, 간격 치수 d2에 대한 폭 치수 d1의 비율이 ±5% 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이 때문에,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7%±5%인 경우, 각도 α를 75°±5°로 함으로써, 가장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제A2 군의 모델은,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167%이다. 제A2 군 내에 있어서 각각의 모델을 비교하면,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90°로 한 모델 No.A14의 스테이터 코어가 가장 철손이 작다. 즉,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167%인 경우, 각도 α를 90°로 함으로써, 가장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도 α는, ±5°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또한, 간격 치수 d2에 대한 폭 치수 d1의 비율이 ±5% 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이 때문에,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167%±5%인 경우, 각도 α를 85°이상으로 함으로써, 가장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제A1 군의 모델은,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233%이다. 제A1 군 내에 있어서 각각의 모델을 비교하면,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90°로 한 모델 No.A7의 스테이터 코어가 가장 철손이 작다. 즉,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233%인 경우, 각도 α를 90°로 함으로써, 가장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도 α는, ±5°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또한, 간격 치수 d2에 대한 폭 치수 d1의 비율이 ±5% 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이 때문에,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233%±5%인 경우, 각도 α를 85°이상으로 함으로써, 가장 철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A1 군 및 제A2 군의 실물 모형은, 제A3 군의 실물 모형과 비교하여 낙하 강도가 우수하다. 제A1 군 및 제A2 군의 실물 모형은,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보다 크고, 제A3 군의 실물 모형은,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보다 작다. 이 점에서,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인접하는 접착부끼리의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 d2보다 큰 경우에,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상술한 No.A1 내지 A21의 각 모델에 더하여, 폭 치수 d1/간격 치수 d2 및 각도 α를 폭넓은 범위에서 변화시킨 모델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치수 d1/간격 치수 d2를 0%, 50%, 67%, 100%, 150%, 167%, 200%, 233%, 250%, 300%, 350%, 400%, 450%, 500%로 각각 변경하고, 각도 α를 0°, 15°, 30°, 45°, 60°, 75°, 90°로 각각 변경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준비하고, 각각 철손을 산출하였다. 또한, 이들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초로, 종래 기술인 기준 모델 No.A22에 대하여, 철손이 개선되는 역치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도 8은, 폭 치수 d1/간격 치수 d2를 횡축, 각도 α를 종축으로 하고, 그레이 스케일의 농담에 의해 기준 모델 No.22에 대한 철손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있어서, 그레이 스케일의 농도가 옅은 영역이, 기준 모델 No.A22에 대하여 철손이 개선된(즉 철손비 100% 이하) 것을 의미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치수 d1/간격 치수 d2가 368% 이하인 경우, 각도 α에 상관없이, 종래 기술인 기준 모델 No.A22에 대하여 철손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접착부의 폭 치수 d1은, 인접하는 접착부끼리의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36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폭 치수 d1/간격 치수 d2는 작을수록 철손이 개선되며, 바람직하게는 23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7% 이하이다.
<제2 검증 시험>
다음에, 제2 검증 시험으로서, 제2 실시 형태로서 예시한 분할 코어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사용하는 모델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모델 No.B1 내지 모델 No.B21의 스테이터 코어(적층 코어)를 상정하였다. 모델 No.B1 내지 모델 No.B21의 스테이터 코어는, 둘레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코어 블록을 갖는다. 각 스테이터 코어의 코어 블록은, 판 두께 0.25mm의 무방향성의 전자 강판편으로 구성된다. 전자 강판편의 형상은,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 형상이며, 전자 강판편의 압연 방향 RD는, 티스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모델 No.B1 내지 모델 No.B21의 코어 블록에 있어서, 전자 강판편끼리의 사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수의 접착부가 마련된다. 즉, 모델 No.B1 내지 모델 No.B21의 코어 블록에 있어서 복수의 접착부는, 제1 방향 D1을 따라 띠상으로 연장된다.
모델 No.B1 내지 No.B7의 스테이터 코어를 제B1 군의 모델로 한다. 제B1 군의 모델에서는,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인접하는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150%이다. 제B1 군의 각 모델의 접착부의 폭 치수 d1은 3mm이고,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는 2mm이다. 제B1 군에 있어서,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도 6 참조)를 0°, 15°, 30°, 45°, 60°, 75°및 90°로 한 스테이터 코어를 각각의 모델 No.B1 내지 No.B7로 하였다.
모델 No.B8 내지 No.B14의 스테이터 코어를 제B2 군의 모델로 한다. 제B2 군의 모델에서는,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인접하는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0%이다. 제B2 군의 각 모델의 접착부의 폭 치수 d1은 3mm이고,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는 5mm이다. 제B2 군에 있어서,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도 6 참조)를 0°, 15°, 30°, 45°, 60°, 75°및 90°로 한 스테이터 코어를 각각의 모델 No.B8 내지 No.B14로 하였다.
모델 No.B15 내지 No.B21의 스테이터 코어를 제B3 군의 모델로 한다. 제B3 군의 모델에서는,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인접하는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43%이다. 제B3 군의 각 모델의 접착부의 폭 치수 d1은 3mm이고, 접착부끼리의 간격 치수 d2는 7mm이다. 제B3 군에 있어서,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도 6 참조)를 0°, 15°, 30°, 45°, 60°, 75°및 90°로 한 스테이터 코어를 각각의 모델 No.B15 내지 No.B21로 하였다.
또한 비교 대상으로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무방향성의 전자 강판편(140)이 전체층 코오킹되어 있는 모델 No.B22의 스테이터 코어(121X)의 철손도 구하였다. 모델 No.B22의 스테이터 코어(121X)는, 종래 구성과 본 발명의 철손을 비교하기 위해 준비된 모델이다. 이하, 모델 No.B22의 스테이터 코어를 「기준 모델」이라고 칭한다. 기준 모델의 스테이터 코어(121X)는, 복수의 코어 블록(124X)을 갖는다. 기준 모델의 스테이터 코어(121X)도, 전자 강판편(140)의 판 두께가 0.25mm이며, 전자 강판편의 압연 방향 RD 내지 티스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기준 모델의 스테이터 코어(121X)의 코어 블록에는, 코어 백부(122)에 마련된 제1 코오킹(C1)과, 티스부(123)에 마련된 2개의 제2 코오킹(C2)이 각각 마련된다. 제1 코오킹(C1)은, 코어 백부(122)의 둘레 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2개의 제2 코오킹(C2)은, 티스부(123)의 둘레 방향 중앙에 있어서 직경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전자 강판편(140)의 제1 면 중, 코오킹(C1, C2)이 점유하는 면적의 비율은 3.2% 정도이다.
각 모델에 대하여, 전자 강판편의 철손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에는, 각 모델과 마찬가지의 접착부를 마련한 실물 모형에 대하여 낙하 시험을 행한 결과를 기재한다. 낙하 시험은, 상술한 제1 검증 시험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행해진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의 낙하 시험의 평가 기준도, 제1 검증 시험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철손 억제율 Rt란, 각 모델의 철손과 기준 모델(모델 No.B22의 스테이터 코어)의 철손의 차분을, 기준 모델의 철손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즉, 표 중의 철손 억제율은, 각 모델의 철손을 W라고 하고 기준 모델의 철손을 Worg라고 하였을 때 이하의 식 (1)로 표시된다.
Figure 112021061126227-pct00002
Figure 112021061126227-pct00003
모델 No.B1 내지 모델 No.B21의 스테이터 코어를 비교하면, 제B1 내지 제B3 군의 어느 군에 속하는 모델에 있어서도,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45°이상으로 함으로써, 철손이 충분히(철손 억제율 Rt가 -7.8% 이하로) 억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도 α를 60°이상으로 함으로써, 철손이 더(철손 억제율 Rt가 -7.9% 이하로) 억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B1 군, 제B2 군 및 제B3 군을 서로 비교하면, 제B1 군의 모델의 철손보다 제B2 군의 모델의 철손이 작고, 또한 제B3 군의 모델의 철손이 가장 작다. 제B2 군 및 제B3 군의 모델은,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접착제에 기인하는 전자 강판편(140)의 변형이 억제되어, 스테이터 코어(121)의 자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제B2 군의 모델의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0%이고, 제B3 군의 모델은,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43%이다. 즉, 제B3 군의 모델은 제B2 군의 모델과 비교하여, 폭 치수 d1의 간격 치수 d2에 대한 비율이 작다. 제B3 군의 모델에서는, 제B2 군의 모델보다, 전자 강판편(140)의 철손의 열화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이 검증 시험에 의해,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0% 이하임으로써 철손을 억제할 수 있고, 43% 이하임으로써 한층 더 철손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B1 군, 제B2 군 및 제B3 군의 군별로 폭 치수 d1의 간격 치수 d2에 대한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바람직한 각도 α의 범위가 서로 다르다. 표 2 중의 철손 억제율 Rt는, 1개의 기준으로서 -8%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B1 군의 모델은,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150%이다. 제B1 군 내에 있어서 각각의 모델을 비교하면,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를 90°로 한 모델 No.B7의 스테이터 코어만 철손이 -8%를 하회하고 있다. 즉,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150%인 경우, 각도 α를 90°로 함으로써, 가장 철손의 열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도 α는, ±5°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또한, 간격 치수 d2에 대한 폭 치수 d1의 비율이 ±5% 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이 때문에,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150%±5%인 경우, 각도 α를 85°이상으로 함으로써, 철손의 열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제B2 군의 모델은,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0%이다. 제B2 군 내에 있어서 각각의 모델을 비교하면,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가 60°이상인 모델 No.B12, 13, 14의 스테이터 코어에 있어서 철손이 -8%를 하회하고 있다. 즉,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0%인 경우, 각도 α를 60°이상으로 함으로써, 철손의 열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격 치수 d2에 대한 폭 치수 d1의 비율이 ±5% 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이 때문에,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60%±5%인 경우, 각도 α를 60°이상으로 함으로써, 가장 철손의 열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제B3 군의 모델은,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43%이다. 제B3 군 내에 있어서 각각의 모델을 비교하면, 제1 방향 D1과 압연 방향 RD가 이루는 각도 α가 45°이상인 모델 No.B18, 19, 20, 21의 스테이터 코어에 있어서 철손이 -8%를 하회하고 있다. 즉,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43%인 경우, 각도 α를 45°이상으로 함으로써, 철손의 열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격 치수 d2에 대한 폭 치수 d1의 비율이 ±5% 정도 변화한 경우라도, 철손에 큰 변화는 없다. 이 때문에,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에 대하여 43%±5%인 경우, 각도 α를 60°이상으로 함으로써, 가장 철손의 열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B1 군의 실물 모형은, 제B2 군 및 제B3 군의 실물 모형과 비교하여 낙하 강도가 우수하다. 제B1 군의 실물 모형은,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보다 크고, 제B2 군 및 제B3 군의 실물 모형은,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간격 치수 d2보다 작다. 이 점에서, 분할 코어에 있어서도, 접착부의 폭 치수 d1이, 인접하는 접착부끼리의 제2 방향 D2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 d2보다 큰 경우에,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크다.
10, 110: 회전 전기 기기
21, 121: 스테이터 코어(적층 코어)
22, 122: 코어 백부
23, 123: 티스부
40: 전자 강판
41, 141, 241: 접착부
124, 124X: 코어 블록
140: 전자 강판편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1: 폭 치수
d2: 간격 치수
RD: 압연 방향
α: 각도

Claims (29)

  1.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과,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전자 강판끼리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전자 강판끼리를 각각 접착하는 복수의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접착부 각각은, 열경화형, 상온 경화형 또는 라디칼 중합형의 접착제가 경화된 것이고,
    상기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30°이상 90°이하인, 적층 코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52.3°이상인, 적층 코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보다 작은, 적층 코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67%±5%인, 적층 코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75°±5°인, 적층 코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보다 큰, 적층 코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167%±5%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85°이상인, 적층 코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233%±5%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85°이상인, 적층 코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368% 이하인, 적층 코어.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평균 두께가 1.0㎛ 내지 3.0㎛인, 적층 코어.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평균 인장 탄성률 E가 1500MPa 내지 4500MPa인, 적층 코어.
  12.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가, 엘라스토머 함유 아크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SGA를 포함하는 상온 접착 타입의 아크릴계 접착제인, 적층 코어.
  13. 환상으로 복수개를 연결함으로써 적층 코어를 구성하는 코어 블록이며,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편과,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전자 강판편끼리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전자 강판편끼리를 각각 접착하는 복수의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접착부 각각은, 열경화형, 상온 경화형 또는 라디칼 중합형의 접착제가 경화된 것이고,
    상기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접착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편의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45°이상 90°이하인, 코어 블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편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52.3°이상인, 코어 블록.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원호상의 코어 백부와, 상기 코어 백부로부터 상기 코어 백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티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티스부는 상기 압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코어 블록.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보다 작은, 코어 블록.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60% 이하인, 코어 블록.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43% 이하인, 코어 블록.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43%±5%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편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45°이상인, 코어 블록.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60%±5%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편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60°이상인, 코어 블록.
  21.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보다 큰, 코어 블록.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에 대하여 150%±5%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전자 강판편의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85°이상인, 코어 블록.
  23.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평균 두께가 1.0㎛ 내지 3.0㎛인, 코어 블록.
  24.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평균 인장 탄성률 E가 1500MPa 내지 4500MPa인, 코어 블록.
  2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가, 엘라스토머 함유 아크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SGA를 포함하는 상온 접착 타입의 아크릴계 접착제인, 코어 블록.
  2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기재된 코어 블록을 환상으로 복수개를 연결함으로써 구성되는, 적층 코어.
  27. 제1항 또는 제9항에 기재된 적층 코어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
  28. 전자 강판으로부터 복수의 전자 강판편을 펀칭하는 제1 공정과,
    복수의 상기 전자 강판편끼리의 사이에, 열경화형, 상온 경화형 또는 라디칼 중합형의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부를 마련하면서 적층하는 제2 공정을 갖고,
    상기 제1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강판편은, 티스부가 상기 전자 강판의 압연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펀칭되고,
    상기 제2 공정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접착부를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으로 되도록 형성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접착부를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압연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이상 90°이하로 되도록 복수의 상기 전자 강판편을 적층하는,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 치수는,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보다 작은,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

KR1020217016140A 2018-12-17 2019-12-17 적층 코어, 코어 블록, 회전 전기 기기 및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 KR102573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5856 2018-12-17
JP2018235872 2018-12-17
JP2018235856 2018-12-17
JPJP-P-2018-235872 2018-12-17
JP2019118338 2019-06-26
JPJP-P-2019-118338 2019-06-26
JPJP-P-2019-118339 2019-06-26
JP2019118339 2019-06-26
PCT/JP2019/049289 WO2020129938A1 (ja) 2018-12-17 2019-12-17 積層コア、コアブロック、回転電機およびコアブロック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509A KR20210082509A (ko) 2021-07-05
KR102573664B1 true KR102573664B1 (ko) 2023-09-04

Family

ID=7110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140A KR102573664B1 (ko) 2018-12-17 2019-12-17 적층 코어, 코어 블록, 회전 전기 기기 및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343466A1 (ko)
EP (1) EP3872963A4 (ko)
JP (1) JP6940007B2 (ko)
KR (1) KR102573664B1 (ko)
CN (1) CN113169595A (ko)
BR (1) BR112021009584A2 (ko)
CA (1) CA3131358A1 (ko)
SG (1) SG11202108886SA (ko)
TW (1) TWI753335B (ko)
WO (1) WO20201299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6616B (zh) 2018-12-17 2024-03-29 日本制铁株式会社 层叠铁芯及旋转电机
JP7055209B2 (ja) 2018-12-17 2022-04-15 日本製鉄株式会社 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EP3902109A4 (en) 2018-12-17 2022-10-05 Nippon Steel Corporation LAMINATED CORE AND ROTARY MACHINE
TWI709982B (zh) 2018-12-17 2020-11-11 日商日本製鐵股份有限公司 接著積層鐵芯、其製造方法及旋轉電機
EP3902105A4 (en) 2018-12-17 2022-10-05 Nippon Steel Corporation LAMINATED CORE AND ELECTRIC ROTATING MACHINE
JP7412351B2 (ja) 2018-12-17 2024-01-12 日本製鉄株式会社 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US11863017B2 (en) 2018-12-17 2024-01-02 Nippon Steel Corporation Laminated core and electric motor
KR102531969B1 (ko) 2018-12-17 2023-05-12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기
WO2020129946A1 (ja) 2018-12-17 2020-06-25 日本製鉄株式会社 ステータ用接着積層コア、そ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
KR102614581B1 (ko) 2018-12-17 2023-12-19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US11698695B2 (en) * 2019-06-27 2023-07-11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Chip on flex, touc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US20230238163A1 (en) * 2022-01-24 2023-07-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al steel lamination stacks with magnetic insulator coating for electrical apparatus cores
JP2023132233A (ja) * 2022-03-10 2023-09-22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順送り金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274A (ja) * 2002-03-22 2003-10-03 Nippon Steel Corp 永久磁石同期モータのロータ
JP2007015302A (ja) * 2005-07-08 2007-01-25 Toyobo Co Ltd ポリアミド系混合樹脂積層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38389B2 (ja) * 2006-09-06 2012-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コアおよびステータ
WO2016017132A1 (ja) * 2014-07-29 2016-02-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積層用電磁鋼板、積層型電磁鋼板、積層型電磁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モーター用鉄心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6058A (en) * 1966-11-21 1968-05-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ductive assembly with supporting means
JPS4938389B1 (ko) * 1968-03-19 1974-10-17
US4025379A (en) * 1973-05-03 1977-05-24 Whetstone Clayton N Method of making laminated magnetic material
US4103195A (en) * 1976-08-11 1978-07-25 General Electric Company Bonded laminations forming a stator core
US4413406A (en) * 1981-03-19 1983-11-08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ing amorphous metal into packets by bonding with low melting point material
JPS60186884U (ja) * 1984-05-18 1985-12-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磁アクチユエ−タ
JPS60186834U (ja) * 1984-05-18 1985-12-11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の固定子鉄心
JP2002164224A (ja) * 2000-08-30 2002-06-07 Mitsui Chemicals Inc 磁性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94929A (ja) * 2003-09-17 2005-04-07 Toyota Motor Corp ステータコア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ステータコアを有する電動機、および製造装置
JP4548049B2 (ja) * 2004-09-01 2010-09-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電機
JP4498154B2 (ja) * 2005-01-27 2010-07-0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モータ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製造装置
NL2001190C1 (nl) * 2008-01-16 2009-07-20 Lagerwey Wind B V Generator voor een direct aangedreven windturbine.
JP5172367B2 (ja) * 2008-01-23 2013-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コア、積層コアの製造方法、積層コアの製造装置およびステータ
DE112009004598B4 (de) * 2009-03-26 2023-02-23 Vacuumschmelze Gmbh & Co. Kg Verfahren zum stoffschlüssigen fügen von paketlamellen zu einem weichmagnetischen blechpaket
JP2011023523A (ja) * 2009-07-15 2011-02-03 Nippon Steel Corp 良好な熱伝導性を有する電磁鋼板積層コ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179002B2 (en) * 2011-03-31 2012-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Axial cooled generator
JP5956277B2 (ja) * 2012-08-07 2016-07-27 山洋電気株式会社 永久磁石式モータ、および永久磁石式モータの製造方法
JP6064923B2 (ja) * 2014-01-29 2017-01-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6247630B2 (ja) * 2014-12-11 2017-12-13 Ckd株式会社 コイルの冷却構造
CN108292866B (zh) * 2015-11-27 2021-03-12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和马达的制造方法
JP6908035B2 (ja) * 2016-05-20 2021-07-21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コアの製造方法
WO2017208290A1 (ja) * 2016-05-30 2017-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固定子、電動機、圧縮機、および冷凍空調装置
JP6543608B2 (ja) * 2016-12-22 2019-07-10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積層鉄心の製造装置
TWI689258B (zh) 2017-12-29 2020-04-01 康建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牛樟芝醱酵糙米,其製法及其組成物
JP6578405B2 (ja) 2018-04-09 2019-09-18 ヤマトエスロン株式会社 Pcr用容器及び試薬入りpcr用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274A (ja) * 2002-03-22 2003-10-03 Nippon Steel Corp 永久磁石同期モータのロータ
JP2007015302A (ja) * 2005-07-08 2007-01-25 Toyobo Co Ltd ポリアミド系混合樹脂積層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38389B2 (ja) * 2006-09-06 2012-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コアおよびステータ
WO2016017132A1 (ja) * 2014-07-29 2016-02-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積層用電磁鋼板、積層型電磁鋼板、積層型電磁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モーター用鉄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0957A (zh) 2020-08-16
JPWO2020129938A1 (ja) 2021-02-15
JP6940007B2 (ja) 2021-09-22
CA3131358A1 (en) 2020-06-25
BR112021009584A2 (pt) 2021-08-17
EP3872963A1 (en) 2021-09-01
KR20210082509A (ko) 2021-07-05
EP3872963A4 (en) 2022-08-03
SG11202108886SA (en) 2021-09-29
TWI753335B (zh) 2022-01-21
CN113169595A (zh) 2021-07-23
WO2020129938A1 (ja) 2020-06-25
US20210343466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664B1 (ko) 적층 코어, 코어 블록, 회전 전기 기기 및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
KR102572555B1 (ko)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TWI724690B (zh) 積層鐵芯及旋轉電機
TWI733277B (zh) 定子用接著積層鐵芯及旋轉電機
JP7486434B2 (ja) ステータ用接着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TWI732384B (zh) 積層鐵芯及旋轉電機
JP7422679B2 (ja) ステータ用接着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KR102643516B1 (ko)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계
CN113196634A (zh) 层叠铁芯及旋转电机
KR20210082511A (ko)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KR20210088642A (ko)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TW202037041A (zh) 定子用接著積層鐵芯、其製造方法、及旋轉電機
KR20220010609A (ko) 코어 블록,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