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58B1 - Method of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258B1
KR102572258B1 KR1020210106028A KR20210106028A KR102572258B1 KR 102572258 B1 KR102572258 B1 KR 102572258B1 KR 1020210106028 A KR1020210106028 A KR 1020210106028A KR 20210106028 A KR20210106028 A KR 20210106028A KR 102572258 B1 KR102572258 B1 KR 102572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midframe
connection
display device
fold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4019A (en
Inventor
박성수
오정원
Original Assignee
(주)중우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우엠텍 filed Critical (주)중우엠텍
Priority to KR102021010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58B1/en
Publication of KR2023002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 부분에 주름이나 자국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높여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제1폴딩부와, 제1평탄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폴딩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폴딩부와, 상기 제1평탄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평탄부를 가지는 미드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폴딩부 및 상기 제2폴딩부를 연결하는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와, 상기 제1평탄부 및 상기 제2평탄부를 연결하는 점착성의 제2연결부를 가지는 연결층;을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wrinkles or marks on a folding portion and improving surface quality by increasing dur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 display panel having a first folding portion and a first flat portion; a midframe having a second folding par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olding part and a second flat par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lat part; and a connection layer having a non-adhesive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folding portion and the second folding portion, and a second adhesiv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flat portion. Initiate.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APPARATUS}Manufacturing method of folda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에 따른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폴딩 부분에 주름이나 자국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can increase durability due to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reduce the occurrence of wrinkles or marks on a folded portion, and improve surface quality. It relates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이 발명을 지원한 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D2020158
[부처명] 경기도
[연구관리전문기관]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연구사업명] 경기도 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폴더블 디스플레이 글라스 미드프레임 기술 개발
[기여율] 1/1
[주관연구기관] ㈜중우엠텍
[연구기간] 2020. 9. 1 ~ 2021. 8. 31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표시 장치는 중/소형 전자 장치로서 휴대의 편의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최근에는 휴대용 표시 장치에서도 큰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장치를 휘어지도록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또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가 디스플레이 분야의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R&D project supporting this invention]
[Assignment identification number] D2020158
[Name of department] Gyeonggi-do
[Research management institution] Gyeonggi-do Economics & Science Promotion Agency
[Research project name] Gyeonggi-do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Research project name] Development of foldable display glass mid-frame technology
[Contribution rate] 1/1
[Host Research Institution] Joongwoo M-Tech Co., Ltd.
[Research period] 2020. 9. 1 ~ 2021. 8. 31
Display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that are used by many people are small/medium-sized electronic devices and are very convenient to carry. However, recently, as the demand for a large display screen increases even in a portable display device, a flexible or fold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bending or folding the devic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display technology.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제로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기본적으로 화소들이 구비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미드프레임 등과 같은 지지체를 포함한다.The foldable display device is a part that actually displays an image, and basically includes a foldable display panel having pixels and a support such as a midframe supporting the foldable display panel.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었다 펴는 동작을 반복할수록 접히는 부분에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접히는 부분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이 일어나 영상을 제대로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Such a foldable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an image may not be properly displayed due to de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at the folded portion due to stress being concentrated on the foldable portion as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are repeated.

도 1은 종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oldable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착층(30)을 매개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는 미드프레임(20)이 접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제1폴딩부(11)와 미드프레임(20)의 제2폴딩부(21)에 접착층(30)이 점착된 상태에서는, 점착된 접착층(30)에 의해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인장력에 반대되는 저항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시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정상적인 인장 작용이 불가하다. 즉, 폴딩이 시작되는 영역과 폴딩의 중심 영역 간에 서로 다른 응력 분포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미드프레임(20)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품질을 떨어트리는 요인이 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foldable display device is configured by bonding a foldable display panel 10 and a midframe 20 supporting the foldable display panel 10 with an adhesive layer 30 as a medium. 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adhesive layer 30 is adhered to the first folding portion 11 of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 of the midframe 20, the adhesive layer 30 controls the control. Since the resisting force opposite to the tensile force of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 is generated, normal tension of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 during folding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function is not possible That is, different stress distributions are generated between the region where folding starts and the central region of folding. 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midframe 20 is reduced, which becomes a factor in deteriorating screen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한편, 미드프레임(20)의 제2폴딩부(21)에는 색종이를 그물망 패턴으로 자르면 신축성이 생겨 그물망 패턴 영역이 쉽게 접히는 원리와 마찬가지로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패턴이 형성된 경우, 제1폴딩부(11)와 제2폴딩부(21)가 접착층(30)으로 점착된 상태에서는 불규칙한 응력 분포로 인하여 패턴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는 폴딩 영역에서의 화면 품질을 떨어트리는 요인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se where a pattern is formed in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 of the midframe 20 in the same way as the principle in which when colored paper is cut into a mesh pattern, elasticity is generated and the mesh pattern area is easily folded. In a state where the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 are adhered with the adhesive layer 30, the durability of the pattern deteriorates due to irregular stress distribution, which becomes a factor in deteriorating screen quality in the folding area.

도 2는 종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foldable display device.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폴딩부(11)와 제2폴딩부(21)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30)의 점착력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 사이에 빈 공간(31)을 유지하여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원활한 인장 작용을 도모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시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인장력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가 접촉 충격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 또는 미드프레임(20)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언폴딩 시에는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 간에 지지력이 상실되기 때문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 평탄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Referring to FIG. 2 ,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30 disposed between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in some cases, an empty space 31 is maintained between the second folding parts 21 to achieve a smooth tensile action between the first folding parts 11 and the second folding parts 21 . 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foldabl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excessive tensil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 and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 has a problem that the display panel 10 or the mid frame 20 is damaged by contact impact.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force is lost between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 during unfold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flatness is deteriorated, such as wrinkle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82799호(2016.07.11.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6-0082799 (published on July 11, 2016)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에 따른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폴딩 부분에 주름이나 자국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fold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durability due to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reduc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or marks on a folding portion, and improving surface quality. And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폴딩부와 제1평탄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점착력을 가지는 연결층을 접합하는 연결층 접합단계; 상기 제1폴딩부에 상응하는 제2폴딩부와 상기 제1평탄부에 상응하는 제2평탄부를 가지는 미드프레임을 상기 연결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미드프레임 접합단계; 상기 미드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제1폴딩부 및 상기 제2폴딩부에 상응하는 영역이 개방된 마스크를 배치하는 마스크 배치단계; 및 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1폴딩부 및 상기 제2폴딩부에 상응하는 상기 연결층의 일부 영역인 제1연결부의 점착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연결층 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를 통과한 광이 상기 미드프레임을 투과하여 상기 제1연결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미드프레임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connection layer bonding step of bonding a connection layer having adhesiveness to one surface of a display panel having a first folding portion and a first flat portion. ; a mid-frame bonding step of bonding a midframe having a second fol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ortion and a second fla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t portion to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layer; a mask arrangement step of disposing a mask having open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art and the second folding part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rame; and a connection layer processing step of irradiating light to lose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which is a partial region of the connection lay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ortion and the second folding portion, wherein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mask The midframe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o that the midframe may pass through the midframe and reach the first connection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드프레임 접합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폴딩부 사이의 마찰 저항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에 밀착되는 상기 제2폴딩부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미드프레임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erformed before the mid-frame bonding step, and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olding part is reduced, so that the second folding part is reduced. A mid-frame surface treatment step of surface-treating one surface of the second folding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드프레임은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frame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폴딩부는 연결선 및 관통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olding part may have a pattern in which connection lines and penetration parts are repeatedly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폴딩부 및 미드프레임의 제2폴딩부 사이에 배치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 및 제2폴딩부의 정상적인 인장 작용과 균일한 응력 분포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가 제1폴딩부 및 제2폴딩부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 및 제2폴딩부의 접촉 충격에 의해 손상을 예방하고, 주름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폴딩 영역에서의 표면 품질을 크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n-adhesive first connecting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olding part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folding part of the mid-frame, the first folding part and the second folding part occur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Since the normal tensile action and uniform stress distribution can be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non-adhesive first connection part can act as a support structure between the first folding part and the second folding part, repeated folding and unloading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performed. During folding, damage caused by contact impact of the first folding unit and the second folding unit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deterioration such as wrinkles can be prevented, and as a result, surface quality in the folding area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종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a) 및 미드프레임의 평면 예시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oldable display devi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foldable display devic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a) and a plan view (b) of a midframe illustrat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blem to be solved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may b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accordingly may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미드프레임(200) 그리고 연결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00 , a midframe 200 and a connection layer 300 .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접히더라도 기능이 구현 및 유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품에 설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트 패널(100)은 접히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1폴딩부(110)와, 접히지 않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1평탄부(120)를 가질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may use various types of display panels capable of implementing and maintaining functions even when folded. That is,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product, the display panel 100 may have a first folding portion 110 corresponding to a foldable portion and a first flat portion 120 corresponding to a non-foldable portion.

상세히 도시되진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예컨대 발광패널, 터치패널, 편광층, 보호층을 가질 수 있다. 발광패널은 LED, OLED 및 QLED 중 선택될 수 있다. 발광패널의 일면에는 광투명접착필름(예컨대, OCA필름)에 의해 터치패널이 접착될 수 있고, 터치패널의 일면에는 광투명접착필름에 의해 편광층이 접착될 수 있으며, 편광층의 일면에는 광투명접착필름에 의해 보호층이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최외곽에 배치되는 보호층은 투명층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품에 설치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보호층으로는 폴리이미드(PI)가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display panel 100 may have,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panel, a touch panel, a polarization layer, and a protective layer. The light emitting panel may be selected from LED, OLED and QLED. A touch panel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anel by an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film (eg, OCA film), and a polarizing layer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touch panel by an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film, and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layer may be adhered to a light-emitting panel. The protective layer may be adhered by a transparent adhesive film. In this case, the outermost protective layer may be a transparent layer, and may be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uched by a user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product. Polyimide (PI) may be used as the protective layer.

미드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폴딩 및 언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midframe 200 can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can stably support the folded and unfolded display panel 100 .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품에 설치되었을 때 미드프레임(200)은 접히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2폴딩부(210)와, 접히지 않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2평탄부(220)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폴딩부(110)의 일면에 제2폴딩부(210)가 배치되고, 제1평탄부(120)의 일면에 제2평탄부(220)가 배치된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product, the mid frame 200 may have a second folding portion 210 corresponding to a foldable portion and a second flat portion 220 corresponding to a non-foldable portion. That is, the second folding unit 21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lat unit 22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lat unit 120 .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드프레임(200)은 금속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midframe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metal or glass material.

예컨대, 미드프레임(200)은 50 내지 200㎛ 두께의 초박형 유리(UTG: Ultra Thin Glass)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는 연신률이 0(Zero)에 가깝기 때문에, 유리 소재의 초박형 미드프레임(200)은 폴딩 시 응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시 제2폴딩부(210)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확장 및 복원이 반복되더라도, 폴리이미드(PI)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주름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표면 품질이 우수할 수 있으며, 미드프레임(200) 표면에서 빛의 불균일한 반사현상이 개선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선명도가 향상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idframe 200 may be formed of ultra-thin glass (UTG) having a thickness of 50 to 200 μm. Since the elongation rate of glass is close to zero, the ultra-thin midframe 200 made of glass material may hardly generate stress when folded. Therefore, even when expansion and restoration are repeat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0 during folding, the generation of wrinkles can be suppressed compared to the case of forming a polyimide (PI)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d the surface quality is improved. It can be excellent, and non-uniform reflection of light on the surface of the mid frame 200 can be improved, so sharpness can be relatively improved.

또한, 미드프레임(200)을 초박형 유리로 마련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시 폴딩 영역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중심 높이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폴딩 영역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중심은 미드프레임(200) 방향으로 좀 더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상대적으로 좀 더 작아질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구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작아지도록 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표면의 주름, 크랙 등의 자국 발생이 좀 더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idframe 200 is made of ultra-thin glass, the height of the center of stress generated in the folding region when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may be moved downward.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stress generated in the folding region may be moved more toward the midframe 200 . Accordingly, since stress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relatively reduced, durability of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00 is reduced, occurrence of marks such as wrinkles and cracks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a) 및 미드프레임의 평면 예시도(b)이다.4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a) and a plan view (b) of a midframe illustrat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폴딩부(210)는 패턴(211)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econd folding uni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pattern 211 .

패턴(211)은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가 폴딩 시 인장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211)은 색종이를 그물망 패턴으로 자르면 신축성이 생겨 그물망 패턴 영역이 쉽게 접히는 원리와 동일하다.The pattern 211 may be form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stretched when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0 of the midframe 200 is folded. This pattern 211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that when colored paper is cut into a mesh pattern, stretchability occurs and the mesh pattern area is easily folded.

예컨대, 패턴(211)은 연결선(211a) 및 관통부(211b)를 가질 수 있다. 즉, 연결선(211a) 및 관통부(211b)는 제2폴딩부(210)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212)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ttern 211 may have a connection line 211a and a through portion 211b. That is, the connection line 211a and the penetrating portion 211b may be repeatedly formed along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of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0 . The penetrating portion 212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or a diamond shape.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가 폴딩 시 패턴(211)이 연신되면서 제2폴딩부(210)에는 자국 발생이 더욱 예방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folding part 210 of the midframe 200 is folded, the pattern 211 is stretched, and marks may be further prevented from occurring on the second folding part 210 .

계속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미드프레임(200)의 사이에 전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미드프레임(200)을 서로 접착할 수 있다.Continuing,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connection layer 3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idframe 200 as a whole, and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idframe 200 may be provided. can adhere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층(300)은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layer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have a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320 .

제1연결부(310)는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와 함께 폴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and when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and Can be folded together.

제1연결부(310)는 비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연결부(310)는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서로 대향하는 일면에 대해 점착력이 마련되지 않는다.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may have non-adhesiveness.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does not have adhesive force with respect to surfaces of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facing each other.

도 1에서와 같이,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에 접착층(30)이 점착된 상태에서는, 점착된 접착층(30)에 의해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인장력에 반대되는 저항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폴딩 시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정상적인 인장 작용이 불가하다. 즉, 폴딩이 시작되는 영역과 폴딩의 중심 영역 간에 서로 다른 응력 분포가 발생된다. 특히 제2폴딩부(21)에 패턴이 형성될 경우에는 불규칙한 응력 분포로 인하여 패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1, in a state where the adhesive layer 30 is adhered to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Since a resistance force opposite to the tensile force of the folding portion 21 is generated, normal tensioning action of the first fold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 is impossible during folding. That is, different stress distributions are generated between the region where folding starts and the central region of folding. In particular, when a pattern is formed on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 durability of the pattern is deteriorated due to irregular stress distribution.

또한, 이러한 점착력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 사이에 빈 공간(31)을 형성하는 경우에서는, 폴딩 시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의 인장력이 과도하게 발생될 수 있고,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가 접촉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언폴딩 시에는 제1폴딩부(11) 및 제2폴딩부(21) 간에 지지력이 상실되기 때문에 단차가 발생하는 등 평탄도가 저하되어 표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adhesive force, in the case of forming an empty space 31 between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 as shown in FI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nsile force of the folding part 11 and the second folding part 21 may be excessively generated, and the first folding part 11 and the second folding part 21 may be damaged by contact impact. In addition, during unfolding, since the supporting force is lost between the first folding unit 11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 flatness is lowered, such as a level difference, and surface quality is deteriorated.

이와 달리,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를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사이에 배치하게 되면, 제1연결부(310)의 점착력이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정상적인 인장이 구현될 수 있고,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전체적으로 균일한 응력 분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가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접촉 충격에 의해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단차나 주름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Unlike this, when the non-adhesiv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olding part 110 and the second folding part 210, since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does not exist, during folding Normal tension of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may be implemented, and a uniform stress distribution may be formed throughout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 In addition, since the non-adhesive first connection part 310 can act as a support structure between the first folding part 110 and the second folding part 210, the first folding part 11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due to contact impact of the second folding unit 210, and to prevent degradation of durability, such as generation of steps or wrinkles.

한편, 제1연결부(310) 또는 제2폴딩부(210)의 일면에는 미리 표면 처리된 코팅층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310) 또는 제2폴딩부(210)의 일면에 표면 처리된 코팅층이 마련되면, 제1연결부(310) 및 제2폴딩부(210) 사이의 마찰 저항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의 정상적인 인장이 더욱 보장될 수 있고, 제2폴딩부(210) 전체적으로 균일한 응력 분포가 더욱 보장될 수 있다.Meanwhile, a surface-treated coating layer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or the second folding unit 210 . When a surface-treated coating layer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or the second folding part 210,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second folding part 210 can be further reduced. Accordingly, normal tension of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0 of the midframe 200 can be further ensured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and stress distribution throughout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0 is more uniform. can be guaranteed

제2연결부(320)는 제1평탄부(120) 및 제2평탄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연결부(320)는 제1평탄부(120) 및 제2평탄부(220)의 서로 대향하는 일면에 대해 점착력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평탄부(120) 및 제2평탄부(220)는 제2연결부(320)를 매개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lat portion 120 and the second flat portion 220 and may have adhesive properties.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may have adhesive forc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lat portion 120 and the second flat portion 220 facing each other. Accordingly, the first flat portion 120 and the second flat portion 22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via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310)는 광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점착력이 상실될 수 있다.Meanwhil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first connector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lost through the light treatment process.

즉,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를 일체로 하는 점착성의 연결층(300)을 제작한 다음, 점착성을 가지는 연결층(300)에 대해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에 상응하는 제1연결부(310)만을 노광 처리하여 제1연결부(310)의 점착력을 제거할 수 있다.That is, after manufacturing the adhesive connection layer 300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are integrated, the first folding portion 110 and the first folding portion 110 are applied to the adhesive connection layer 300.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may be removed by exposing onl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0 .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층(300)으로는 OCA 필름이나,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PSA 필름은 단일층 점착제로 구성되거나 다층 점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SA 필름은 점착층과, 점착층을 사이에 두고 일면 또는 양측면에 이형 라이너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PSA 필름은 이형 라이너를 제거한 후 대상물(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미드프레임)의 일면에 점착될 수 있다.An OCA film or a 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may be used as the connection lay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PSA film may be composed of a single-layer adhesive or a multi-layer adhesive. In addition, the PSA film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nd a release lin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SA film with the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Such a PSA film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an object (display panel or midframe) after removing the release liner.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 대한 노광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광은 자외선(UV)이 사용될 수 있다. 점착력을 가지는 연결층(300)에 자외선을 일정한 강도 및 시간으로 조사하게 되면, 자외선이 조사된 영역에서 점착력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Ultraviolet rays (UV) may be used as the light used in the exposure process for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of the connection layer 300 . When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the connecting layer 300 having adhesive strength at a constant intensity and time, the adhesive force can be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area where the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연결층 접합단계(S110), 마스크 배치단계(S120), 연결층 처리단계(S130), 미드프레임 접합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layer bonding step (S110), a mask arrangement step (S120), a connection layer processing step (S130), a mid-frame A bonding step (S140) may be included.

연결층 접합단계(S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층(300)을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connection layer bonding step ( S110 ) may be a step of bonding the connection layer 300 to the display panel 100 .

즉, 제1폴딩부(110)와 제1평탄부(120)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미리 제작하고, 미리 제작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점착력을 가지는 연결층(300)을 접합한다.That is, the display panel 100 having the first folding portion 110 and the first flat portion 120 is manufactured in advance, and the connection layer 300 having adhesiveness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reviously manufactured display panel 100. do.

마스크 배치단계(S120)는 연결층(300)의 상측에 마스크(M)를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mask arrangement step ( S120 ) may be a step of disposing the mask M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layer 300 .

즉, 연결층(300)의 상측에 제1폴딩부(110)에 상응하는 영역이 개방된 마스크(M)를 배치한다. 마스크(M)는 연결층 처리단계(S130)가 완료되면 제거될 수 있다.That is, a mask M having an ope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ortion 11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layer 300 . The mask M may be removed when the connection layer processing step (S130) is completed.

연결층 처리단계(S130)는 연결층(300)의 일부 영역인 제1연결부(310)의 점착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connection layer processing step ( S130 ) may be a step of allowing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 which is a partial region of the connection layer 300 , to be lost.

즉, 마스크(M)에 의해 개방된 제1폴딩부(110)에 상응하는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만 광(L)을 조사하고, 이로써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 존재하는 점착력만을 제거할 수 있다.That is, the light L is irradiated only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of the connection layer 3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ortion 110 opened by the mask M, and thereby the first connection layer 300 Only the adhesive force present in the connecting portion 310 may be removed.

미드프레임 접합단계(S140)는 연결층(300)의 일면에 미드프레임(200)을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midframe bonding step ( S140 ) may be a step of bonding the midframe 200 to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layer 300 .

즉, 먼저 제1폴딩부(110)에 상응하는 제2폴딩부(210)와 제1평탄부(120)에 상응하는 제2평탄부(220)를 가지는 미드프레임(200)을 미리 제작한다. 물론 미드프레임(200) 제작 시, 제2폴딩부(210)에는 연결선(211a) 및 관통부(211b)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패턴(211)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미리 제작된 미드프레임(200)을 연결층(300)의 일면에 접합한다.That is, first, a mid frame 200 having a second folding portion 2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ortion 110 and a second flat portion 2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t portion 120 is manufactured in advance. Of course, when manufacturing the midframe 200,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pattern 211 in which connection lines 211a and penetrating portions 211b are repeatedly formed. The prefabricated midframe 200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layer 300 .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폴딩부(110) 및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는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평탄부(120) 및 미드프레임(200)의 제2평탄부(220)는 점착성의 제2연결부(3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합될 수 있다.Thus, the first folding part 110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second folding part 210 of the midframe 200 are connected with the non-adhesive first connection part 310 therebetween, and the display panel 100 The first flat portion 120 of ) and the second flat portion 220 of the midframe 20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interposed therebetwee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연결층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layer surface treatment step.

연결층 표면처리단계는 연결층 처리단계(S1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제2폴딩부(210)가 밀착되는 제1연결부(310)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connection layer surface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connection layer treatment step ( S130 ), and may be a step of surface treatment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to which the second folding part 210 comes into close contact.

이러한 제1연결부(310)의 표면 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연결층(300)에 미드프레임(200)을 접합하게 되면, 제1연결부(310)와 제2폴딩부(210) 사이의 마찰 저항이 더욱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정상적인 인장이 더욱 보장될 수 있고,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전체적으로 균일한 응력 분포가 더욱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으로는 열처리 및 화학처리 방식 등 다양한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midframe 200 is bonded to the connection layer 300 after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increases. Therefore, normal tension of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can be further guaranteed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first folding unit 110 ) and a uniform stress distribution throughout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0 can be further ensured. As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various surface treatment processes such as heat treatment and chemical treatment may be perform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연결층 접합단계(S210), 미드프레임 접합단계(S220), 마스크 배치단계(S230), 연결층 처리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layer bonding step (S210), a mid-frame bonding step (S220), a mask arrangement step (S230), a connection layer bonding step (S210). A processing step (S240) may be included.

연결층 접합단계(S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층(300)을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connection layer bonding step ( S210 ) may be a step of bonding the connection layer 300 to the display panel 100 .

즉, 제1폴딩부(110)와 제1평탄부(120)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미리 제작하고, 미리 제작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점착력을 가지는 연결층(300)을 접합한다.That is, the display panel 100 having the first folding portion 110 and the first flat portion 120 is manufactured in advance, and the connection layer 300 having adhesiveness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reviously manufactured display panel 100. do.

미드프레임 접합단계(S220)는 연결층(300)의 일면에 미드프레임(200)을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midframe bonding step ( S220 ) may be a step of bonding the midframe 200 to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layer 300 .

즉, 먼저 제1폴딩부(110)에 상응하는 제2폴딩부(210)와 제1평탄부(120)에 상응하는 제2평탄부(220)를 가지는 미드프레임(200)을 미리 제작하고, 미리 제작된 미드프레임(200)을 연결층(300)의 일면에 접합한다.That is, first, a mid frame 200 having a second folding portion 2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ortion 110 and a second flat portion 2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t portion 120 is manufactured in advance, A prefabricated midframe 200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layer 300 .

마스크 배치단계(S230)는 미드프레임(200)의 상측에 마스크(M)를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mask arrangement step ( S230 ) may be a step of disposing the mask M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rame 200 .

즉, 미드프레임(200)의 상측에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에 상응하는 영역이 개방된 마스크(M)를 배치한다.That is, a mask M having open area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rame 200 .

연결층 처리단계(S240)는 연결층(300)의 일부 영역인 제1연결부(310)의 점착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connection layer processing step ( S240 ) may be a step of allow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 which is a partial area of the connection layer 300 , to be lost.

즉, 마스크(M)에 의해 개방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에 상응하는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만 광(L)을 조사하고, 이로써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 존재하는 점착력만을 제거할 수 있다.That is, the light L is irradiated only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of the connection layer 3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0 opened by the mask M, thereby Only the adhesive force present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of the connection layer 300 may be removed.

이때, 마스크(M)를 통과한 광(L)은 미드프레임(200)을 투과하여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 도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드프레임(200)은 유리와 같이 광(L)을 흡수하지 않으면서 투과시킬 수 있는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ight L passing through the mask M may pass through the midframe 200 and reac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of the connection layer 300 . That is, the midfram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the light L without absorbing it, such as glass.

물론, 마스크(M)를 통과한 광(L)은 미드프레임(200)에 미리 형성된 패턴(211)의 관통부(211b)를 통과하여 연결층(300)의 제1연결부(310)에 도달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light L passing through the mask M passes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211b of the pattern 211 pre-formed in the midframe 200 and reache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of the connection layer 300. may be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폴딩부(110) 및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는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평탄부(120) 및 미드프레임(200)의 제2평탄부(220)는 점착성의 제2연결부(3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합될 수 있다.Thus, the first folding part 110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second folding part 210 of the midframe 200 are connected with the non-adhesive first connection part 310 therebetween, and the display panel 100 The first flat portion 120 of ) and the second flat portion 220 of the midframe 20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interposed therebetwee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미드프레임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mid-frame surface treatment step.

미드프레임 표면처리단계는 미드프레임 접합단계(S220)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연결층(300)에 밀착되는 제2폴딩부(210)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mid-frame surface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prior to the mid-frame bonding step (S220), and may be a step of surface-treating one side of the second folding unit 210 tha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layer 300.

이렇게 제2폴딩부(210)의 표면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연결층 처리단계(S130)를 통해 제1연결부(310)의 점착력이 상실되면, 제1연결부(310)와 제2폴딩부(210) 사이의 마찰 저항이 더욱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정상적인 인장이 더욱 보장될 수 있고,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전체적으로 균일한 응력 분포가 더욱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으로는 열처리 및 화학처리 방식 등 다양한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second folding unit 210, if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is lost through the connection layer treatment step (S130),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us, normal tension of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can be further ensured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Uniform stress distribution throughout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may be further guaranteed. As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various surface treatment processes such as heat treatment and chemical treatment may be perform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폴딩부(110) 및 미드프레임(200)의 제2폴딩부(210) 사이에 배치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정상적인 인장 작용과 균일한 응력 분포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비점착성의 제1연결부(310)가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폴딩부(110) 및 제2폴딩부(210)의 접촉 충격에 의해 손상을 예방하고, 주름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며, 폴딩 영역에서의 표면 품질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non-adhesive first connecting portion 310 between the first folding portion 110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second folding portion 210 of the midframe 200,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normal tensile action and uniform stress distribution of the first folding part 110 and the second folding part 210 can be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non-adhesive first connection part 310 ) can act as a support structure between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and thus the first f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folding unit 210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caused by contact impact, to prevent problems such as wrinkles from deteriorating durability, and to greatly improve the surface quality in the folding area.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may be modified or changed.

100: 디스플레이 패널
110: 제1폴딩부
120: 제1평탄부
200: 미드프레임
210: 제2폴딩부
220: 제2평탄부
300: 연결층
310: 제1연결부
320: 제2연결부
100: display panel
110: first folding unit
120: first flat part
200: midframe
210: second folding unit
220: second flat part
300: connection layer
310: first connection part
320: second connection part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폴딩부와 제1평탄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점착력을 가지는 연결층을 접합하는 연결층 접합단계;
상기 제1폴딩부에 상응하는 제2폴딩부와 상기 제1평탄부에 상응하는 제2평탄부를 가지는 미드프레임을 상기 연결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미드프레임 접합단계;
상기 미드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제1폴딩부 및 상기 제2폴딩부에 상응하는 영역이 개방된 마스크를 배치하는 마스크 배치단계; 및
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1폴딩부 및 상기 제2폴딩부에 상응하는 상기 연결층의 일부 영역인 제1연결부의 점착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연결층 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를 통과한 광이 상기 미드프레임을 투과하여 상기 제1연결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미드프레임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bonding a connection layer having adhesiveness to one surface of a display panel having a first folding portion and a first flat portion;
a mid-frame bonding step of bonding a midframe having a second fol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ortion and a second fla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t portion to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layer;
a mask arrangement step of disposing a mask having open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art and the second folding part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rame; and
A connection layer treatment step of irradiating light to los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a partial area of the connection lay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ing part and the second folding par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midframe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o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mask can pass through the midframe and reac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프레임 접합단계 이전에 수행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폴딩부 사이의 마찰 저항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에 밀착되는 상기 제2폴딩부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미드프레임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8,
It is performed before the midframe bonding step,
and a mid-frame surface treatment step of surface-treating one surface of the second folding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so that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olding part is reduc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display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프레임은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 frame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폴딩부는 연결선 및 관통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folding part has a pattern in which connection lines and penetration parts are repeatedly formed.
KR1020210106028A 2021-08-11 2021-08-11 Method of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5722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28A KR102572258B1 (en) 2021-08-11 2021-08-11 Method of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28A KR102572258B1 (en) 2021-08-11 2021-08-11 Method of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019A KR20230024019A (en) 2023-02-20
KR102572258B1 true KR102572258B1 (en) 2023-08-30

Family

ID=8532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028A KR102572258B1 (en) 2021-08-11 2021-08-11 Method of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258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369B1 (en) 2014-12-29 2021-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arr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973163B1 (en) * 2016-03-22 2019-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422072B1 (en) * 2017-12-04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2454623B1 (en) * 2017-12-29 2022-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019A (en)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4327B2 (en) Display device
KR102062918B1 (en) Lamination Apparatus and Lamination Method
US2009016264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JP64127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80056004A (en) Lamina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TW201523377A (en) Capacitive touch panel
TW201425026A (en) Transparent surface material equipped with adhesive lay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KR20210116774A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160043964A (en) Capacitive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20077953A (en) Display device
JP2018509718A (en) Film touch sensor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JP6995580B2 (en) Production method of optical parts and production method of products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WO2016183856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257225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562076B1 (en) L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860837B2 (en) Capacitive touch panel
JP201009034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coated adhesive tape, display, and bonded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JP200415717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713836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30134014A (en) Bonding device and method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7270061B2 (en) DECO FILM, WINDOW FILM AND LAMINATE COMB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M558398U (en) Touch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occurrence of ripples
KR102388103B1 (en) Recycle equipment for window panel and recycling mathod of window panel
KR20080085247A (en) Laminated pa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533520A (en) LCD panel roll gask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