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284B1 -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284B1
KR102570284B1 KR1020210055599A KR20210055599A KR102570284B1 KR 102570284 B1 KR102570284 B1 KR 102570284B1 KR 1020210055599 A KR1020210055599 A KR 1020210055599A KR 20210055599 A KR20210055599 A KR 20210055599A KR 102570284 B1 KR102570284 B1 KR 10257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key input
service server
speed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495A (ko
Inventor
강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5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2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화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키 입력에 기초하여 캡쳐(capture) 영역 사이즈(size)를 설정하는 동작; 캡쳐 영역 사이즈에 기초하여 브라우저에서 렌더링(rendering)된 이미지를 캡쳐하는 동작; 및 캡쳐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SERVICE SERVER FOR PROVIDING SCREE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비스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 화면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클라우드 스트리밍(Cloud streaming) 기술의 발전으로 저사양의 사용자 단말로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가상화 기술이 게임 서비스를 중심으로 많이 제안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795537호(발명의 명칭: 네트워크 환경 적응형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출원인: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가 있다. 해당 등록특허공보에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비디오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네트워크 상태 및 클라우드 서버와 사용자 단말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비디오 품질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의 재생 품질을 향상시키는 네트워크 환경 적응형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 서비스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세션(session)을 관리하는 것이 서비스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이미지를 제공받는 도중 화면을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다소의 지연 내지 동작 상 래깅(lagging)을 경험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의 화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키 입력에 기초하여 캡쳐(capture) 영역 사이즈(size)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에 기초하여 브라우저에서 렌더링(rendering)된 이미지를 캡쳐하는 동작; 및 상기 캡쳐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키 입력이 임계 시간 미만의 방향키 입력, 임계 속도 미만의 드래그(drag) 및 상기 임계 속도 미만의 스크롤(scroll)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제공 영역 사이즈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키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의 방향키 입력, 임계 속도 이상의 드래그(drag) 및 상기 임계 속도 이상의 스크롤(scroll) 중 어느 하나인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의 방향, 상기 임계 시간 및 상기 임계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제공 영역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캡쳐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고속 이동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에 따라 캡쳐된 이미지의 화질을 다운 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캡쳐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고속 이동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화질을 원래 화질로 복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는, 웹 앱(web app)을 실행하고 렌더링(rendering)하는 브라우저(browser);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access)하여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키 입력에 기초하여 캡쳐(capture) 영역 사이즈(size)를 설정하고,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브라우저에서 렌더링된 이미지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 입력이 임계 시간 미만의 방향키 입력, 임계 속도 미만의 드래그(drag) 및 상기 임계 속도 미만의 스크롤(scroll)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제공 영역 사이즈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의 방향키 입력, 임계 속도 이상의 드래그(drag) 및 상기 임계 속도 이상의 스크롤(scroll) 중 어느 하나인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의 방향, 상기 임계 시간 및 상기 임계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제공 영역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속 이동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에 따라 캡쳐된 이미지의 화질을 다운 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속 이동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화질을 원래 화질로 복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access)하여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 키 입력을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키 입력에 따른 캡쳐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키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캡쳐(capture) 영역 사이즈(size)에 따라 캡쳐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화면을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의 키 입력을 분석하고 키 입력에 따른 확장된 캡쳐 영역을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빠르게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키 입력에 기초하여 확장된 캡쳐 영역을 설정하되 화질을 다운 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리소스 사용량을 유지함으로써 다수 사용자의 동시 접속 환경을 고려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세션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서버 간 세션이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화면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화면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닌 경우 캡쳐 영역이 설정되고 화면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캡쳐 영역이 설정되고 화면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키 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비스 서버>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00)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80)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가상화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액세스(access) 정보를 저장하는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와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140), 웹 앱(web app)을 실행하고 렌더링(rendering)하는 브라우저(browser)(150) 및 메모리(140)에 억세스하여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cloud streaming)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80)로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80)에서는 입력 및 출력만 이뤄지게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80)의 성능에 관계없이 고사양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8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비스 서버(100)에서 실행 화면을 구현하여 사용자 단말(180)에서 실행된 것과 같은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캡쳐(capture)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이를 인코딩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8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변경된 실행 화면을 캡쳐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8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비스 서버(100)는 미디어 플랫폼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8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플랫폼은 서비스 서버(100)와는 별도로 소정의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혹은 VOD와 같은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미디어 플랫폼은 서비스 서버(100)와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과 서비스 서버(100)의 연동을 통해, 미디어 플랫폼(미도시)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가 서비스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와 융합되어 사용자 단말(18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또는 VOD의 비디오 영상에,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융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서로 다른 컨텐츠가 융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가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웹 앱(web app) 및 네이티브 앱(native app)이 포함될 수 있다. 웹 앱(web app)은 브라우저(150)를 통해 실행되고, 네이티브 앱(native app)은 사용자 단말(180)에 최적화된 언어로 개발되어 사용자 단말(180)에서 실행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웹 앱 실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브라우저(150)로 웹 앱 실행을 요청하고,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된 이미지에 대해 프로세서(120)가 캡쳐하고, 캡쳐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80)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네이티브 앱의 실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네이티브 앱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8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80)에서 네이티브 앱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VOD 컨텐츠 재생 요청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해당 VOD 컨텐츠 정보를 미디어 플랫폼(미도시) 등으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8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80)에서 네이티브 앱인 VOD 플레이어를 통해 해당 VOD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180)과 서비스 서버(100) 간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정보 송수신을 위한 클라우드 UI 클라이언트(cloud UI client),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은 서비스 서버(100) 또는 미디어 플랫폼(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모듈, 서비스 서버(100) 또는 미디어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화면 또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이 스마트 tv의 셋톱박스인 경우, 리모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80)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서비스 서버(100)로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80)은 인코딩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할 수 있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8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9에서 사용자 단말(18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기초하여 브라우저(150)로 웹 앱 실행을 요청할 수 있고, 브라우저(150)는 프로세서(120)로부터의 웹 앱(web app)실행 요청에 따라 웹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라우저(150)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예를 들어 HTML 기반의 웹 코드를 렌더링 및 파싱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브라우저(150)가 렌더링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캡쳐(capture)하고, 캡쳐 이미지를 인코딩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8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80) 각각에 대한 액세스(access) 정보를 저장하는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도 1에서 서비스 서버(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서버(100)와 별도의 서버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웹 앱(web app)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80)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사용자 단말 정보(132), 사용자 단말로 이전에 제공되었던 웹 앱에 대한 정보(134),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었던 앱 각각에서의 최종 화면에 대한 화면 정보(또는 ID)(136), 최종 화면 내 포인터의 위치에 대한 포커싱 정보(또는 ID)(138)가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정보(136)에 대해 도 3a 및 도 3b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정보(132), 앱 정보(134), 화면 정보(136) 및 포커싱 정보(138)는 각각에 대해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하나에 대해 이전에 접속했던 웹 앱 목록이 맵핑(mapping)되고, 각 웹 앱에 대한 최종 화면 정보가 맵핑되고, 각 최종 화면에 대한 포커싱 정보가 맵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홈 앱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정보(132)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80)로 이전에 제공되었던 앱 정보(134)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80)로 이전에 홈 앱이 제공된 바 있다면 홈 앱 내 화면 중 제공되었던 최종 화면(예: 홈 앱의 메인화면)에 대한 정보(136) 및 최종 화면 내 포인터의 위치(예: 홈 앱의 메인화면 내 화살표의 좌표)에 대한 포커싱 정보(138)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이에 기초하여 브라우저(150)로 홈 앱의 메인화면을 실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고,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된 이미지를 캡쳐하여 사용자 단말(180)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화면 제공으로 사용자는 보다 다이렉트하게 이전에 접속했던 화면에 액세스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00)는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브라우저(150)에서 실행된 웹 앱의 렌더링된 이미지 전부가 아닌, 변경된 영역에 대해서만 캡쳐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된 이미지에 대해 이전 화면과 현재 화면을 분할(예를 들어, 40개의 타일로 분할)하여 비교하고, 변경된 영역의 이미지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 가상화 화면 제공 중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수신된 요청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이티브 앱 실행 요청 및 다른 웹 앱 실행 요청이 브라우저(15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는 실행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80)과의 세션 연결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다수 사용자의 동시 접속 환경을 고려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네이티브 앱(native app)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에 대응하는 액세스(access) 정보를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로 네이티브 앱 실행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80)과의 세션(session) 연결을 중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80)에서 네이티브 앱 실행이 종료되고 다시 서비스 서버(100)로 세션 연결 요청이 전송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과 세션을 연결하고, 사용자 단말(180)에 대응하는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80)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180)로 제공 중인 웹 앱과 다른 웹 앱(web app)에 대한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에 대응하는 액세스(access)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로 다른 웹 앱 실행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80)과의 세션(session) 연결을 중단할 수 있다. 세션 연결 중단 후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다시 서비스 서버(100)로 해당 다른 웹 앱의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과 세션을 연결하고, 사용자 단말(180)에 대응하는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80)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세션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서버 간 세션이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설명한 서비스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180)과 세션 서버(2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세션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100)에 대한 노드와 관련된 정책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정책에 기초하여 서비스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서버 할당 요청이 수신되면, 세션 서버(200)는 정책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비스 서버(100)를 복수 개(예를 들어, 3개) 선정하고, 서비스 서버(100)의 IP를 사용자 단말(18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80)은 수신한 복수 개의 서비스 서버(100) IP 중 하나의 서비스 서버(100)로 세션 연결을 요청할 수 있고, 연결된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2에서 서비스 서버들(100)은 세션 서버(200)와 연결되고, 세션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80)과 연결되는 것으로만 도시되었지만, 사용자 단말(180)이 세션 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서버들의 IP를 수신하고 하나의 서비스 서버로 세션 연결을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180)과 해당 서비스 서버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비스 서버(100)들은 각각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거나,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가 포함된 별도의 서버를 통해 액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액세스 정보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들 간에 공통으로 업데이트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과 서비스 서버(100)와의 세션 연결이 중단된 후 다시 세션이 연결되는 경우, 세션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IP가 정책에 따라 이전 서비스 서버의 IP와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 단말(180)은 기존에 연결된 바 없는 서비스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기존에 연결된 바 없는 새로운 서비스 서버로 세션이 연결되어도, 모든 서비스 서버(100)는 공통으로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80)은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네이티브 앱 실행 요청 또는 제공 중인 웹 앱이 아닌 다른 웹 앱의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경우,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에 대응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80)과의 세션 연결을 중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80)이 다시 서버 할당을 요청하여 세션 서버(200)로부터 기존 연결되었던 서비스 서버와 다른 서비스 서버의 IP를 수신해도, 다른 서비스 서버는 액세스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80)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180)과 서비스 서버(100)의 연결에는 간명한 설명을 위해 세션 서버(200)의 동작이 생략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180)은 다시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는 경우 세션 서버(200)의 노드 정책에 기초하여 기존 서비스 서버와 다른 서비스 서버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화면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포함된 화면 정보(136)를 설명하기 위해, 화면 간 계층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웹 앱 실행 요청을 수신하여 브라우저(150)를 통해 실행된 웹 앱 어플리케이션에는 화면 간 계층이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310)에서 다음 화면으로의 사용자 입력(예: 선택)에 의해 1차 화면(330)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차 화면(330)에서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는 사용자 입력(예: 상위 화면으로, 뒤로, 이전 화면으로 등에 대한 입력)으로 초기 화면(310)이 제공될 수 있고, 다음 화면으로의 사용자 입력(예: 선택)에 의해 2차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차 화면(350)에서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는 사용자 입력(예: 상위 화면으로, 뒤로, 이전 화면으로 등에 대한 입력)으로 1차 화면(330)이 제공될 수 있고,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는 사용자 입력(예: 최상위 화면으로, 초기 화면으로, 처음으로 등에 대한 입력)으로 초기 화면(31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8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초기 화면, 1차 화면, 2차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예: 스마트 tv의 셋톱박스)로부터 홈 앱(home app) 실행 요청(예: 리모콘을 통한 홈 앱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경우,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 초기 화면(360)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초기 화면(360)에서 영화 탭(36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 1차 화면(370)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차 화면(370)에서 특정 영화 컨텐츠(37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 2차 화면(380)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서 1차 화면 및 2차 화면까지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더 많은 계층의 화면이 존재할 수 있다.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포함된 화면 정보(136)에는 각 계층의 화면들(도 3a의 310, 330, 350 또는 도 3b의 360, 370, 380)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사용자 단말(180) 각각에 대해 이전에 접속한 웹 앱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앱 내에서의 최종 화면에 대한 식별 정보가 맵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화면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80)이 세션 서버(2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와 연결되는 동작이 참조번호 410에서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180)은 세션 서버(200)로 서비스 서버 할당을 요청할 수 있고(415), 세션 서버(200)는 노드 정책에 기초하여 복수 개(예를 들어, 3개)의 서비스 서버를 선정(420)하여 사용자 단말(180)로 서버의 IP를 전송할 수 있다(425).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30 내지 470을 참조하여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180)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이미지를 전송하는 동작이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은 수신한 서비스 서버의 IP를 기초로 서비스 서버(100)로 웹 앱(web app)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430).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에 대응하는 액세스 정보를 확인하고(435), 수신한 웹 앱 실행 요청 및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브라우저(150)로 웹 앱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44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80)은 이전에 홈 앱(home app)의 초기 화면(예: 도 3b의 참조번호 360)에서 영화 탭(예: 도 3b의 참조번호 365)을 선택하여 홈 앱의 1차 화면(예: 도 3b의 참조번호 370)까지 제공받던 중 세션 연결이 중단되었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참조번호 430에서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홈 앱 실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80)에 대한 정보와 홈 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참조번호 435에서 액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와 관련하여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단말정보(132), 앱 정보(134), 화면 정보(136) 및 포커싱 정보(138)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80)에 이전에 제공된 바 있는 홈 앱의 최종 화면인 1차 화면(예: 도 3b의 참조번호 370)을 실행할 것을 브라우저(150)로 요청할 수 있다.
도 2에서 세션 서버(2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80)이 이전에 연결되었던 서비스 서버와 참조번호 430에서 실행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서버(100)의 IP는 다를 수 있으나, 액세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들 간 공통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새로 연결된 서비스 서버에서 이전에 연결되었던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한 액세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라우저(150)는 액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웹 앱을 실행하고, 이미지를 렌더링할 수 있고(450), 프로세서(120)는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한 결과를 캡쳐하여(460) 사용자 단말(180)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470).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된 이미지에 대해 이전 화면과 현재 화면을 분할(예를 들어, 40개의 타일로 분할)하여 비교하고, 변경된 영역의 이미지만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화면 제공으로 사용자는 보다 다이렉트하게 이전 접속 화면에 액세스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00)는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닌 경우 캡쳐 영역이 설정되고 화면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닌 경우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한 이미지(510)에 대해 프로세서(120)가 캡쳐 영역(520)의 사이즈를 설정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라우저(150)가 렌더링한 이미지(510)는 실행중인 웹 앱 화면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이미지(510)는 브라우저(150)에서의 렌더링 과정 중 레이아웃(layout) 단계에서 브라우저 화면의 어느 위치에 어느 크기로 출력할지 계산될 수 있고, 브라우저(150)는 이미지 렌더링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8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브라우저 창의 크기 등에 따라 그래픽이 표시되는 브라우저 영역 내에서 각 노드들의 상대적인 위치, 크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80)이 스마트 tv인 경우, 이미지(510)는 사용자 UI가 제공되는 tv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기초하여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지 결정할 수 있다. 고속 이동 입력인지 여부는 키 입력의 종류 및 키 입력 지속 시간 및 키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키 입력이 임계 시간(예: 3초) 미만인 경우, 드래그(drag)가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스크롤(scroll) 이동이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다. 각 키 입력의 종류, 키 입력 종류에 따른 입력 지속 임계 시간 및/또는 입력 임계 속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신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닌 경우 프로세서(120)는 캡쳐 영역 사이즈를 사용자 단말(18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제공 영역의 사이즈와 동일하게 설정(520)하고, 키 입력에 따라 렌더링된 화면을 캡쳐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8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80)에서는 참조번호 550과 같이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앱 화면을 제공받는 도중 아래 방향키를 임계 시간(예: 3초) 미만 동안 누른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브라우저(150)에서 키 입력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 웹 앱 화면을 사용자 단말(18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제공 영역의 사이즈와 동일하게 렌더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브라우저(150)에서 실행된 웹 앱의 렌더링된 이미지 전부가 아닌, 변경된 영역에 대해서만 캡쳐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된 이미지에 대해 이전 화면과 현재 화면을 분할(예를 들어, 40개의 타일로 분할)하여 비교하고, 변경된 영역의 이미지만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캡쳐 영역이 설정되고 화면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한 이미지(610)에 대해 프로세서(120)가 캡쳐 영역 사이즈를 설정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라우저(150)가 렌더링한 이미지(610)는 실행중인 웹 앱 화면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일 수 있고, 브라우저(150)에서의 렌더링 과정 중 레이아웃(layout) 단계에서 브라우저 화면의 어느 위치에 어느 크기로 출력할지 계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지 결정할 수 있다. 고속 이동 입력인지 여부는 키 입력의 종류 및 키 입력 지속 시간 및 키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키 입력이 임계 시간(예: 3초) 이상인 경우, 드래그(drag)가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스크롤(scroll) 이동이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각 키 입력의 종류, 키 입력 종류에 따른 입력 지속 임계 시간 및/또는 입력 임계 속도는 다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캡쳐 영역 사이즈를 사용자 단말(18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제공 영역의 사이즈(620)보다 크게 설정(630)할 수 있다. 캡쳐 영역 사이즈가 UI 제공 영역 사이즈보다 얼마나 크게 설정되는지는 키 입력의 종류, 키 입력 지속 임계 시간, 입력 임계 속도에 기초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웹 앱 화면을 제공받는 도중 아래 방향키를 임계 시간(예: 3초) 이상 동안 누른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라고 판단하고, 캡쳐 영역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키 입력 시간이 길수록 브라우저(150)에서 사용자 단말(18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제공 영역의 사이즈에서 아래 방향으로 더 확대된 사이즈에 기초하여 웹 앱 화면을 렌더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가 UI 제공 영역 사이즈(620)보다 확대된 캡쳐 영역 사이즈(630)를 설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된 이미지가 캡쳐되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tv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을 제공받던 도중 리모콘 아래 방향 방향키를 길게 입력하는 경우, 기존보다 확대된 영역이 캡쳐되어 제공되므로 화면 제공시 사용자 경험 상 지연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브라우저(150)에서 실행된 웹 앱의 렌더링된 이미지 전부가 아닌, 변경된 영역에 대해서만 캡쳐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된 이미지에 대해 이전 화면과 현재 화면을 분할(예를 들어, 40개의 타일로 분할)하여 비교하고, 변경된 영역의 이미지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라고 판단하여 확대된 캡쳐 영역 사이즈(630)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80)로 전송하는 경우, 참조번호 650과 같이 화질을 다운 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전송할 수 있다.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사용자는 화면에 집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프로세서(120)는 확대된 캡쳐 영역 사이즈(630)에도 불구하고 화면의 화질을 다운 스케일링하여 전송함으로써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고속 이동 입력이 중단된 경우에는 다시 원래 화질로 복원하여 정상적으로 사용자 단말(180)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도 7 및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화면 제공 방법을 서비스 서버 측면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비스 서버를 중심으로 동작 방법을 설명하되, 간명한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 710 내지 740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10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하고, 동작 720에서 키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화면을 캡쳐하기 위한 캡쳐 영역의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동작 710 이전에 사용자 단말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세션 서버(200)를 통해 서비스 서버의 IP를 전송받아 서비스 서버(100)로 세션 연결을 요청함으로써 서비스 서버(100)와 연결되고, 웹 앱 화면을 제공받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 720에서 프로세서(120)는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80)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제공 영역 사이즈와 동일하게 캡쳐 영역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80)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제공 영역 사이즈보다 크게 캡쳐 영역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고, 키 입력의 방향, 키 입력의 지속 시간, 키 입력 속도 등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동작 720의 키 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 사이즈를 설정하는 동작은 도 8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730에서, 프로세서(120)는 동작 720에서 설정한 캡쳐 영역 사이즈에 따라 브라우저(150)에서 렌더링된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도 4의 참조번호 450 내지 47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 730에서 프로세서(120)는 이전 화면과 현재 화면을 분할하여 비교하고 변경된 영역의 이미지만 캡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740에서, 프로세서(120)는 캡쳐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 720에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라고 판단하여 캡쳐 영역 사이즈가 UI 제공 영역보다 크게 설정된 경우, 동작 740에서 프로세서(120)는 캡쳐 이미지의 화질을 다운 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질이 다운 스케일링되므로, 캡쳐 영역 사이즈가 기존 UI 제공 영역보다 크게 설정되더라도 이미지 전송 속도가 유지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고속 이동 입력이 중단되면 다시 원래 화질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키 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 810 내지 830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810 내지 830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키 입력에 기초하여 캡쳐 영역 사이즈를 설정하는 동작(예: 도 7의 동작 7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810에서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고속 이동 입력인지 판단하는 동작은 키 입력의 종류 및 키 입력 지속 시간 및 키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820에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캡쳐 영역 사이즈를 사용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제공 영역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키 입력이 임계 시간(예: 3초) 이상인 경우, 드래그(drag)가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스크롤(scroll) 이동이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라고 결정할 수 있고, UI 제공 영역을 포함하되 키 입력의 방향, 키 입력 지속 임계 시간, 입력 임계 속도에 기초하여 UI 제공 영역보다 크게 캡쳐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래 방향으로의 방향키 입력이 임계 시간(예: 3초) 이상인 경우, 기존 UI 제공 영역을 포함하고 아래 방향으로 입력 시간에 대응하는 크기로 확장된 캡쳐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830에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닌 경우 프로세서(120)는 캡쳐 영역 사이즈를 사용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제공 영역 사이즈와 같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키 입력이 임계 시간(예: 3초) 미만인 경우, 드래그(drag)가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스크롤(scroll) 이동이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80) 디스플레이의 UI 제공 영역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캡쳐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래 방향으로의 방향키 입력이 임계 시간(예: 3초) 미만인 경우,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 웹 앱 화면에 대해 기존 UI 제공 영역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캡쳐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는 사용자 단말(180)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은 웹 앱(web app)을 실행하고 웹 앱 화면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910),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950),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940) 및 메모리에 억세스(access)하여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9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20)는 서비스 서버(100)로 웹 앱(web app) 실행 요청을 전송하고,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에서 캡쳐(capture)된 웹 앱 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8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정보 송수신을 위한 클라우드 UI 클라이언트(cloud UI client),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모듈, 인코딩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모듈, 디코딩된 데이터를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이 스마트 tv의 셋톱박스인 경우, 리모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80)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서비스 서버(100)로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8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 TV(smart tv)의 셋톱박스(set-top box),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80)의 프로세서(920)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웹 앱 화면을 제공받는 도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 입력을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키 입력에 따른 캡쳐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950)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캡쳐 이미지는 키 입력에 기초하여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가 설정한 캡쳐 영역 사이즈에 따라 캡쳐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키 입력의 종류 및 키 입력 지속 시간 및 키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키 입력이 임계 시간(예: 3초) 미만인 경우, 드래그(drag)가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스크롤(scroll) 이동이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고, 방향키 입력이 임계 시간(예: 3초) 이상인 경우, 드래그(drag)가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스크롤(scroll) 이동이 임계 속도 이상인 경우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각 키 입력의 종류, 키 입력 종류에 따른 입력 지속 임계 시간 및/또는 입력 임계 속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가 키 입력을 고속 이동 입력이 아니라고 결정한 경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캡쳐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180)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제공 영역 사이즈와 동일하게 설정된 캡쳐 영역 사이즈에 따라 캡쳐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캡쳐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180)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제공 영역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된 캡쳐 영역 사이즈에 따라 캡쳐된 것일 수 있다. 캡쳐 영역 사이즈는 UI 제공 영역을 포함하되, 키 입력의 방향, 키 입력의 지속 시간, 키 입력 속도 등에 기초하여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80)의 프로세서(920)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캡쳐 이미지는, 키 입력이 고속 이동 입력이라고 판단하여 캡쳐 영역 사이즈가 UI 제공 영역보다 크게 설정된 경우, 화질이 다운 스케일링(down-scaling)되어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캡쳐 영역 사이즈가 기존 UI 제공 영역보다 크게 설정되더라도 화질이 다운 스케일링되므로, 사용자 단말(180)에서의 이미지 수신 속도가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서비스 서버의 화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키 입력의 종류와 시간, 또는 종류와 속도에 기초하여 캡쳐(capture) 영역 사이즈(size)를 설정하는 동작 - 상기 키 입력의 상기 종류와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종류와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키 입력의 고속 이동 입력 여부가 결정됨 -;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에 기초하여 브라우저에서 렌더링(rendering)된 이미지를 캡쳐하는 동작; 및
    상기 캡쳐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화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키 입력이 임계 시간 미만의 방향키 입력, 임계 속도 미만의 드래그(drag) 및 상기 임계 속도 미만의 스크롤(scroll)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제공 영역 사이즈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화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키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의 방향키 입력, 임계 속도 이상의 드래그(drag) 및 상기 임계 속도 이상의 스크롤(scroll) 중 어느 하나인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의 방향, 상기 임계 시간 및 상기 임계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제공 영역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화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고속 이동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에 따라 캡쳐된 이미지의 화질을 다운 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화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고속 이동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화질을 원래 화질로 복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화면 제공 방법.
  6.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웹 앱(web app)을 실행하고 렌더링(rendering)하는 브라우저(browser);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access)하여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키 입력의 종류와 시간, 또는 종류와 속도에 기초하여 캡쳐(capture) 영역 사이즈(size)를 설정하고 - 상기 키 입력의 상기 종류와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종류와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키 입력의 고속 이동 입력 여부가 결정됨 -,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브라우저에서 렌더링된 이미지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 입력이 임계 시간 미만의 방향키 입력, 임계 속도 미만의 드래그(drag) 및 상기 임계 속도 미만의 스크롤(scroll)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제공 영역 사이즈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서비스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의 방향키 입력, 임계 속도 이상의 드래그(drag) 및 상기 임계 속도 이상의 스크롤(scroll) 중 어느 하나인 고속 이동 입력인 경우,
    상기 키 입력의 방향, 상기 임계 시간 및 상기 임계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제공 영역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하는,
    서비스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속 이동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캡쳐 영역 사이즈에 따라 캡쳐된 이미지의 화질을 다운 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속 이동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화질을 원래 화질로 복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11.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access)하여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 키 입력을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키 입력에 따른 캡쳐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키 입력의 종류와 시간, 또는 종류와 속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캡쳐(capture) 영역 사이즈(size)에 따라 캡쳐된 것인 - 상기 키 입력의 상기 종류와 상기 시간, 또는 상기 종류와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키 입력의 고속 이동 입력 여부가 결정됨 -,
    사용자 단말.
  12.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55599A 2021-04-29 2021-04-29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0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599A KR102570284B1 (ko) 2021-04-29 2021-04-29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599A KR102570284B1 (ko) 2021-04-29 2021-04-29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495A KR20220148495A (ko) 2022-11-07
KR102570284B1 true KR102570284B1 (ko) 2023-08-23

Family

ID=8404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599A KR102570284B1 (ko) 2021-04-29 2021-04-29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2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846B1 (ko) * 2015-05-07 2018-08-16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시프로컬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641A (ko) *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30883B1 (ko) * 2019-04-18 2022-08-10 (주)디디오넷코리아 고화질 동영상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846B1 (ko) * 2015-05-07 2018-08-16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시프로컬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495A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1137C2 (ru) Связывание устройств
US9532103B2 (en) Multi-user support for set top boxes and game consoles
US110893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back and seeking media in web browser
US20160044115A1 (en) Remote browsing session management
US20140237119A1 (en) Object mig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content service migration
CN112929234B (zh) 云流服务器
EP3267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ud streaming service
EP31313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intelligent terminal to television terminal
US9398505B2 (en) Reducing stream interruptions during network handover
US10560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ud streaming service
KR101942269B1 (ko) 웹 브라우저에서 미디어를 재생하고 탐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3289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70284B1 (ko)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06575423B (zh) 基于云端流媒体的广播链接服务、广播链接服务客户端设备、触发器内容提供服务器
KR102566262B1 (ko)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909257B1 (ko) 단말로부터 요청된 가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102566263B1 (ko) 화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874525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ndering video advertising on a mobile device
KR10227314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기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57143B1 (ko) 재생 단말을 제어하는 가상화 서버 및 방법
KR20160087225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멀티뷰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9162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 영역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618968A (zh) 一种面向云环境下的网络电视播放方法及***
KR10206308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01576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 제어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