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154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154B1
KR102569154B1 KR1020180136303A KR20180136303A KR102569154B1 KR 102569154 B1 KR102569154 B1 KR 102569154B1 KR 1020180136303 A KR1020180136303 A KR 1020180136303A KR 20180136303 A KR20180136303 A KR 20180136303A KR 102569154 B1 KR102569154 B1 KR 102569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display
external device
pow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111A (ko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1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외부 기기의 연결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에 의하면, 외부 기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력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전력 용량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외부 기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외부 기기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마련하고,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기기가 인터페이스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인터페이스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여, 외부 기기가 동작하도록 하거나,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력 안정성을 위해 외부 기기의 최대 소비 전력을 감안한 전력 용량을 갖도록 설계된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가 최대 소비 전력이 10W인 LNB(Low Noise Block)와 연결 가능한 LNB 포트 및 BT 기기와 연결 가능한 최대 소비 전력이 5W인 BT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LNB 및 BT 모듈의 최대 소비 전력의 합 15W를 감안하여, 내부 동작에 필요한 전력에 15W를 더한 전력 용량을 갖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가 LNB 및 BT 기기와 동시에 연결되는 경우는 드물며, 동시에 연결되더라도 LNB 및 BT 모듈이 항상 최대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LNB 및 BT 모듈의 최대 소비 전력을 감안한 전력 용량의 설계는 비용 및 구조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최대 소비 전력을 감안한 전력 용량의 설계에 대한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최대 소비 전력을 감안한 전력 용량의 설계에 대한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외부 기기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에 공급할 전력에 대응하는 값만큼 상기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외부 기기의 전력 소모량에 대응하는 값만큼 상기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된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전력 소모량에 대응하여 저감되는 휘도의 값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공급할 전력량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여유 전력량보다 크면, 상기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휘도의 저감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소정 저감률로 상기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화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휘도가 저감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외부 기기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에 공급할 전력에 대응하는 값만큼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외부 기기의 전력 소모량에 대응하는 값만큼 상기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된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전력 소모량에 대응하여 저감되는 휘도의 값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공급할 전력량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여유 전력량보다 크면,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휘도의 저감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소정 저감률로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화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가 저감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기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력을 관리함으로써, 전력 용량의 설계에 대한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 기기의 연결에 대응하여 적응적 전력 관리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도 5 및 6은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른 적응적 전력 관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른 적응적 전력 관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휘도 저감률에 따른 적응적 전력 관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내부 전력량에 따른 적응적 전력 관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사용자입력에 따라 적응적 전력 관리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적응적 전력 관리를 알리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구성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기기(20)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10)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영상(1)을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영상(1)을 표시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나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전자액자, 디지털 광고판, LFD(Large Format Display), 디지털 싸이니지(Digital Signage), 셋탑박스, 냉장고 등의 가전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TV로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다양한 외부 기기(20)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20)가 연결된 경우 외부 기기(2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외부 기기(20)와 연결을 위한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장치(10)는 LNB(22)와 연결되는 경우, LNB 포트로 전력을 공급하여 LNB(22)가 공급된 전력을 사용하여 위성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등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는 BT 기기(26)와 연결되는 경우, BT 기기(26)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BT 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외부 기기(20)의 구현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외부 기기(20)는 디스플레이장치(1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USB(Universal Serial bus)(21), 외부 HDD(Hard Disk Drive) 등과 같은 저장매체, 셋탑박스(23), 오디오 기기(24), 조명 기기, 충전 기기, 영상 기기 등과 같은 가전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20)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스마트 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나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영상(1)을 표시하는 동안 외부 기기(20)와 연결되는 경우, 영상(1)의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11)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외부 기기(2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외부 기기(20)와 연결을 위한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영상(1)을 표시하는 동안 LNB(22) 또는 BT 기기(26)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11)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LNB(22) 또는 BT 모듈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영상(1)을 표시하는 동안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함으로써, 적응적 전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적응적 전력 관리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가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대응하여 적응적 전력 관리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디스플레이(11)에 소정 휘도의 영상(1)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소정 휘도의 영상(1)을 표시하는 동안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일 예로, 소정 휘도의 영상(1)을 표시하는 동안 LNB(22) 또는 BT 기기(26)가 연결되는 경우,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영상(1)의 휘도 저감에 따라 디스플레이(11)에 공급되는 전력이 저감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설계된 전체 전력 용량 내에서 외부 기기(2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외부 기기(20)와 연결되는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영상(1)의 휘도 저감에 의해 디스플레이(11)에 공급되는 전력이 저감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전체 전력 용량이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따라 공급되는 전력의 합만큼 저감된 전체 전력 용량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체 전력 용량이 100W이고, 복수의 외부 기기(20) 또는 복수의 외부 기기(20)에 연결되는 구성에 공급할 전력이 20W라고 가정하면, 디스플레이(11)의 휘도 저감에 따라 전력 20W를 저감할 수 있는 경우, 본 실시예의 적응적 전력 관리에 따르면, 전체 전력 용량을 80W로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부 기기(20)의 연결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력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전력 용량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디스플레이(11), 인터페이스부(12), 전력공급부(13), 및 프로세서(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1)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1)은 소정 휘도를 갖도록 표시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의 제어에 따라 휘도가 조절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는 영상(1)을 표시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발광 구조 또는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않는 비발광 구조를 갖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이 비발광 구조를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11)는 광을 생성하여 패널에 공급하는 백라이트부(backlight) 또는 백라이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16)의 구현 예는 한정되지 않으며,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는 외부 기기(20)와 연결되어 전력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20)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부(12)는 USB 포트(31), LNB 포트(32), 및 튜너 포트(3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AV(Audio/Video), SCART, 헤드폰, 이어폰, 또는 광 입력을 위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USB 포트(31), LNB 포트(32), 및 튜너 포트(33)는 USB(21) 등과 같은 외부 저장매체, LNB(22), 및 셋탑박스(23) 등과 같은 방송 통신 기기와 각각 연결 가능하다. 인터페이스부(12)는 상기한 포트 중 2이상의 포트를 통합한 하나의 포트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는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는 경우, 전력공급부(1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연결된 외부 기기(2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2)는 외부 기기(2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4)는 Wi-Fi 기기와 연결 가능한 Wi-Fi 모듈(35), BT 기기(26)와 연결 가능한 BT 모듈(36), NFC 기기와 연결 가능한 NFC 모듈(37), 및 5G(5-generation) 기기와 연결 가능한 5G 모듈(38)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BLE(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Wideband) 등이 가능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4)는 상기한 모듈 중 2이상의 모듈을 통합한 하나의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4)는 외부 기기(20)와 연결되는 경우, 전력공급부(13)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공급부(13)는 외부 전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내부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공급부(13)는 내부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부(13)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부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공급부(13)는 프로세서(14)의 제어에 따라 영상(1)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에 전력을 공급을 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중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는 경우, 전력공급부(13)는 프로세서(14)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저감하고,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2)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반대로, 기 연결된 외부 기기(20)가 인터페이스부(12)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경우, 전력공급부(13)는 인터페이스부(12)로 공급되던 전력을 저감하고, 디스플레이(1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성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는 소정 휘도를 갖는 영상(1)을 표시하고,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는지에 따라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 또는 전력공급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는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에 제공되는 영상신호의 밝기값 등을 저감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가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는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대응하여 전력공급부(13)가 디스플레이(11)의 백라이트에 공급되는 전력을 저감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가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는 구성 전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 이외의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 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제조 시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서버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 예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14)는 소정 휘도를 갖는 영상(1)을 표시하고,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는지에 따라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배제하거나,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영상신호 수신부, 영상신호 처리부, 저장부, 사용자입력부, 또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신호 수신부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신호 수신부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부는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1)이 디스플레이(11)에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신호 처리부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등과 같은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신호 처리부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 구성들이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는 디스플레이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입력의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입력부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외측에 마련되는 메뉴버튼, 디스플레이(11)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리모컨신호 수신부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전방을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는 획득한 정보를 프로세서(14)에 제공하고, 프로세서(14)가 다양한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거나, 사용자의 위치 혹은 움직임, 사용자의 시청 방향, 시청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센서부는 카메라에 한정되는 아니므로, 적외선 센서, 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프로세서(14)가 앞서 설명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프로세서(14)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간략하게, 프로세서(14)의 동작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는 디스플레이(11)에 영상(1)을 표시할 수 있다(S401).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영상(1)은 소정 휘도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402). 프로세서(14)는 인터페이스부(12)로 인가되는 전류 혹은 전압의 변화, 또는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20)의 연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LNB 포트(32)에는 소정 전압이 인가되어, LNB(22)가 연결되지 않으면, 소정 전압이 감지될 수 있다. 만일 LNB(22)가 LNB 포트(32)에 연결되는 경우, 프로세서(14)는 통전 등에 의한 전류 혹은 전압의 변화에 기초하여 LNB(22)가 LNB 포트(32)에 연결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는 BT 기기(26)가 BT 모듈(36)에 연결되는 경우, BT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BT 기기(26)가 BT 모듈(36)에 연결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4)는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 기기(20)가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S403). 일 예로, 소정 휘도의 영상(1)을 표시하는 동안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LNB(22) 또는 BT 기기(26)가 연결되는 경우,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부 기기(20)의 연결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력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전력 용량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6은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외부 기기(20)의 종류에 따른 적응적 전력 관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는 디스플레이(11)에 영상(1)이 표시되는 동안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면, 외부 기기(20)의 소비 전력 정보(50)에 기초하여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소비 전력 정보(50)는 외부 기기(20)의 종류에 따른 최대 소비 전력, 유효 소비 전력, 또는 평균 소비 전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제조 시 또는 제조 이후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도 5가 외부 기기(2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소비 전력 정보(50)는 도 5에 도시되지 않는 종류의 외부 기기(20)의 소비 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외부 기기(20)의 소비 전력은 측정 기기 및 측정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소비 전력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1)에 영상(1)이 표시되는 동안 LNB 포트(32)에 LNB(22)가 연결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4)는 소비 전력 정보(50)를 참조하여, LNB(32)의 소비 전력인 8.10W에 대응하는 값만큼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복수의 외부 기기(20)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의 적응적 전력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1)에 영상(1)이 표시되는 동안 LNB(22) 및 BT 기기(26)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LNB 포트(32) 및 BT 모듈(36)에 연결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4)는 소비 전력 정보(50)를 참조하여, LNB(32)의 소비 전력인 8.10W에 대응하는 값 및 BT 모듈(36)의 소비 전력 4.44W에 대응하는 값만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소비 전력 정보(50)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20)의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값만큼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는 적응적 전력 관리를 통해, 전력 용량을 좀더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11)의 크기에 따른 적응적 전력 관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디스플레이(11)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1)의 크기에 따라 저감되는 휘도를 나타내는 휘도 저감 정보(70)를 가질 수 있다. 휘도 저감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제조 시 또는 제조 이후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도 7이 디스플레이(11)의 크기 및 크기에 따라 저감되는 휘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휘도 저감 정보(70)는 도 7에 도시된 휘도 저감 정보와 상이하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는 크기 및 도 7에 도시되지 않는 크기에 따라 저감되는 휘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55인치 디스플레이(75)에 영상(1)이 표시되는 동안 LNB 포트(32)에 LNB(22)가 연결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4)는 55인치 디스플레이(75)의 휘도 저감 정보(70)를 참조하여, 55인치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되는 영상(1)의 휘도를 8nit만큼 저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의 크기가 다른 경우, 휘도 저감에 따라 소비 전력의 감소폭이 다르기 때문에, 휘도의 저감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55인치의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된 영상(1)이 동일한 휘도로 77인치의 디스플레이(77)에 표시되는 동안 LNB 포트(32)에 LNB(22)가 연결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4)는 77인치 디스플레이(77)의 휘도 저감 정보(70)를 참조하여, 77인치 디스플레이(77)에 표시되는 영상(1)의 휘도를 4nit만큼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휘도 저감 정보(70)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의 크기에 대응하는 값만큼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는 적응적 전력 관리를 통해, 전력 용량을 좀더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휘도 저감률에 따른 적응적 전력 관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는 디스플레이(11)에 영상(1)이 표시되는 동안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면, 영상(1)을 휘도의 저감률을 달리하여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휘도 저감률은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20)의 종류에 대응하는 소비 전력 정보(50)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는 영상(1)의 표시되는 동안 소비 전력이 8.10W인 LNB(32)가 연결된 경우, 제1 휘도 저감률(81)로 급격하게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는 반면에, LNB(32)의 소비 전력보다 작은 4.44W의 소비 전력을 갖는 BT 모듈(36)에 BT 기기(26) 연결된 경우, 제1 휘도 저감률(82)보다 완만한 제2 휘도 저감률(82)로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휘도 저감률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의 크기에 따른 휘도 저감 정보(70)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예로, 55인치 디스플레이(75)에 영상(1)이 표시되는 동안 LNB 포트(32)에 LNB(22)가 연결되는 경우, 프로세서(14)는 8nit만큼 휘도를 제2 휘도 저감률(82)로 저감할 수 있는 반면에, 77인치의 디스플레이(77)에 영상(1)이 표시되는 동안 LNB 포트(32)에 LNB(22)가 연결되는 경우, 프로세서(14)는 4nit만큼 휘도를 제1 휘도 저감률(81)로 저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휘도 저감률은 사용자의 존재 또는 상태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영상(1)이 표시되는 동안 외부 기기(20)가 연결되는 경우,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전방을 촬상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프로세서(14)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식별한 경우, 제1 휘도 저감률(81)로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는 반면에,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식별한 경우, 제2 휘도 저감률(82)로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시청 방향 등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1)을 시청하는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시청 방향 등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1)을 시청하지 않는 비시청 상태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4)는 제1 휘도 저감률(81)로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는 반면에, 시청 상태로 식별된 경우 제2 휘도 저감률(82)로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다만, 소비 전력 정보(50), 휘도 저감 정보(80), 사용자의 존재 또는 상태는 휘도 저감률의 기초가 되는 일 예이므로, 프로세서(14)는 다양한 방법으로 휘도 저감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 저감률로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전력 용량을 좀더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휘도 저감에 따른 시각적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내부 전력량에 따른 적응적 전력 관리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가 내부 전력량을 고려하여 적응적 전력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제외하고 상이한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의 프로세서(14)는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외부 기기(20)가 연결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S901), 인터페이스부(12)에 공급할 전력량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여유 전력량보다 더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S902). 여유 전력량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전체 전력 용량에서 소모 전력량을 제외한 것일 수 있다. 소모 전력량은 내부 동작을 위해 현재 소모되거나 소모가 예정된 전력량을 의미할 수 있으며, 현재 소모 중인 혹은 소모가 예정된 SMPS 전력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체 전력 용량이 80W이고, 현재 소모 중인 혹은 소모가 예정된 SMPS 전력 용량이 70W인 경우, 여유 전력량은 10W이다. 이 경우, 영상(1)의 표시 중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2)에 공급할 전력이 20W이면, 인터페이스부(12)에 공급할 전력이 여유 전력량보다 크므로, 프로세서(14)는 10W에 대응하는 값만큼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S903). 만일, 영상(1)의 표시 중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2)에 공급할 전력이 여유 전력량 10W보다 작은 5W인 경우, 프로세서(14)는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여유 전력량을 고려하여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하는 적응적 전력 관리를 통해, 전력 용량을 좀더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사용자입력에 따라 적응적 전력 관리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10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가 사용자입력에 따라 적응적 전력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제외하고 상이한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는 영상(1)을 표시하는 동안 외부 기기(20)의 연결이 식별된 경우, 적응적 전력 관리를 수행 여부를 묻는 UI(91,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UI(91)는 표시되는 영상(1) 위에 표시되거나, 영상(1)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도 10이 UI(91)의 표시 형태 또는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UI(91)는 다양한 형태 또는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리모컨(30)을 통해 적응적 전력 관리를 수행을 승인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다만, 도 10이 사용자입력의 수신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입력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외측에 마련되는 메뉴버튼, 또는 디스플레이(11)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대응하여 사용자입력에 따라 적응적 전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의도한 대로 휘도를 저감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동작 S403과 관련하여, 적응적 전력 관리를 알리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가 적응적 전력 관리를 알리는 과정에 대해,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제외하고 상이한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는 영상(1)이 표시되는 동안 외부 기기(20)의 연결이 식별된 경우, 적응적 전력 관리에 따라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영상(1)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20)의 연결의 감지를 알리거나, 또는 외부 기기(20)의 연결의 감지에 따라 영상(1)의 휘도를 저감을 알리는 UI(92)를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UI(92)는 영상(1) 위에 표시되거나, 영상(1)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으나, 도 11이 UI(92)의 표시 형태 또는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UI(92)는 다양한 형태 또는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부 기기(20)의 연결에 대응하여 적응적 전력 관리의 수행을 알리는 UI(92)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휘도 저감에 대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
12: 인터페이스부
13: 전력공급부
14: 프로세서
20: 외부 기기

Claims (19)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식별하고,
    상기 외부기기의 제1전력 소모량에 대응하여 제1휘도 저감률로 상기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고,
    상기 외부기기의 상기 제1전력 소모량보다 작은 제2전력 소모량에 대응하여 상기 제1휘도 저감률보다 작은 제2휘도 저감률로 상기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에 공급할 전력에 대응하는 값만큼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전력 소모량에 대응하는 값만큼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전력 소모량에 대응하여 저감되는 휘도의 값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공급할 전력량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여유 전력량보다 크면,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휘도의 저감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소정 저감률로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화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지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휘도가 저감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외부기기의 제1전력 소모량에 대응하여 제1휘도 저감률로 상기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의 상기 제1전력 소모량보다 작은 제2전력 소모량에 대응하여 상기 제1휘도 저감률보다 작은 제2휘도 저감률로 상기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에 공급할 전력에 대응하는 값만큼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전력 소모량에 대응하는 값만큼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전력 소모량에 대응하여 저감되는 휘도의 값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공급할 전력량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여유 전력량보다 크면,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휘도의 저감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소정 저감률로 상기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화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가 저감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저감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외부기기의 제1전력 소모량에 대응하여 제1휘도 저감률로 상기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의 상기 제1전력 소모량보다 작은 제2전력 소모량에 대응하여 상기 제1휘도 저감률보다 작은 제2휘도 저감률로 상기 영상의 휘도를 저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80136303A 2018-11-08 2018-11-0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69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303A KR102569154B1 (ko) 2018-11-08 2018-11-0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303A KR102569154B1 (ko) 2018-11-08 2018-11-0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111A KR20200053111A (ko) 2020-05-18
KR102569154B1 true KR102569154B1 (ko) 2023-08-24

Family

ID=7091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303A KR102569154B1 (ko) 2018-11-08 2018-11-0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1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269A (ko) *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111A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09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EP3248380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of display apparatus
US20080122825A1 (en) Display system that reduces power consumption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power modes
EP3648094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99706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2013019450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09020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71466B1 (ko) 외장형 통신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24709A1 (en) Display device, host device, display system, methods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he host device, and the display system
US108038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50301580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72004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16960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6915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07176B2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12423042A (zh) 一种双***蓝牙遥控器的升级方法及***
KR102561860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94282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169876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30169654A1 (en) Upgrad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20140078914A (ko)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US20140333842A1 (en) Method for setting time of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setting time of display apparatus by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CN111462702B (zh) 显示设备背光控制方法及显示设备
CN111526409B (zh) 一种显示设备
CN112995113B (zh) 一种显示设备、端口控制方法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