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305B1 -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 Google Patents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305B1
KR102568305B1 KR1020230014920A KR20230014920A KR102568305B1 KR 102568305 B1 KR102568305 B1 KR 102568305B1 KR 1020230014920 A KR1020230014920 A KR 1020230014920A KR 20230014920 A KR20230014920 A KR 20230014920A KR 102568305 B1 KR102568305 B1 KR 102568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odular
hole
fluid suppl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9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상언
권현욱
김화성
민정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씨
Priority to KR102023001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3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3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8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vacuum spaces, e.g. Dewar flask
    • F17C3/085Cryost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5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medium-size and small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2Lo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66Shape complex divided in several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71Shape complex comprising a communication hole betwee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3Orientation
    • F17C2201/035Orientation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mai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29Tw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6Preventing slo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Abstract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가 제공된다.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는 각각이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며,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모듈형 탱크와 제2 모듈형 탱크를 포함하는 내조탱크, 상기 제1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2 모듈형 탱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센터파이프, 및 상기 내조탱크 및 상기 센터파이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외조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센터파이프는 상기 제1 모듈형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얼리지 홀 및 상기 제2 모듈형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유체 공급 홀을 정의하고, 상기 얼리지 홀을 통해 상기 제1 모듈형 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극저온 유체의 유량은 상기 유체 공급 홀을 통해 상기 제2 모듈형 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극저온 유체의 유량보다 작다.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is provided.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cryogenic fluid, and includes an internal tank including a first modular tank and a second modular tank having different shapes,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e. A center pip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molded tank, and an outer tank for accommodating the inner tank and the center pipe therein, wherein the center pipe includes an ullage hol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e Define a fluid supply hole located inside the mold tank, and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into the first modular tank through the ullage hole is supplied into the second modular tank through the fluid supply hole. smaller than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Description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Cryogenic fluid storage tank}Cryogenic fluid storage tank

본 발명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화석 연료 사용에 따른 에너지 문제들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대체 연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As the seriousness of energy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fossil fuels has emerged, research on alternative fuel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그 중 수소를 연료로 하는 기술적 사상이 친환경적이면서 높은 효율을 가져 대체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휘발유나 경유 등이 아닌 수소를 연료로 하는 수소 차량은 물론, 선박 및 비행기 등의 운송 수단 및 산업용 기계에도 그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Among them, the technological idea of using hydrogen as a fuel is in the limelight as an alternative fuel because it is eco-friendly and highly efficient. Hydrogen vehicles using hydrogen as fuel rather than gasoline or diesel fuel, as well as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ships and airplanes, and industrial machinery are expanding their use.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산업용 기계 등에 사용되는 수소는 액체나 기체 상태로 저장 탱크에 저장되고 있다. 특히, 동일한 질량을 기준으로 기체는 액체에 비해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저장 탱크에 저장되는 수소는 액화되어 저장 탱크에 저장되어야 저장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general, hydrogen used in automobiles or industrial machines is stored in a storage tank in a liquid or gaseous state. In particular, since gas has a larger volume than liquid based on the same mass, hydrogen stored in the storage tank must be liquefied and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increase storage efficiency.

수소는 대략 영하 250℃ 정도의 극저온 상태에서 액화 및 기화될 수 있어, 단열 성능 및 내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저장 탱크 내부의 슬로싱(sloshing)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Since hydrogen can be liquefied and vaporized at a cryogenic temperature of about -250 ° C, continuous research on methods for improving insulation performance and pressure resistance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loshing inside the storage tank have been conducted. It's going 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극저온 유체를 저장함에 있어서, 단열 성능 및 내압 성능이 향상되어,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 홀딩 타임(holding time)이 향상된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with improved holding time (holding time) capable of storing and maintaining cryogenic fluid by improving insulation performance and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in storing cryogenic flui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는 각각이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며,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모듈형 탱크와 제2 모듈형 탱크를 포함하는 내조탱크, 상기 제1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2 모듈형 탱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센터파이프, 및 상기 내조탱크 및 상기 센터파이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외조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센터파이프는 상기 제1 모듈형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얼리지 홀 및 상기 제2 모듈형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유체 공급 홀을 정의하고, 상기 얼리지 홀을 통해 상기 제1 모듈형 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극저온 유체의 유량은 상기 유체 공급 홀을 통해 상기 제2 모듈형 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극저온 유체의 유량보다 작다.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cryogenic fluid, respectively, an internal tank including a first modular tank and a second modular tank having different shapes, the A center pip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and an outer tank for accommodating the inner tank and the center pipe therein, wherein the center pipe is inside the first modular tank defining an ullage hole located in and a fluid supply hole located inside the second modular tank, and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into the first modular tank through the ullage hole is It is smaller than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into the second modular tank.

상기 센터파이프는 상기 극저온 유체가 공급되며 상기 얼리지 홀 및 상기 유체 공급 홀이 정의된 유체 공급부, 및 상기 유체 공급부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 공급부의 내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부는 서로 분리되어 각각이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의 상기 내부는 진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enter pipe includes a fluid supply unit in which the cryogenic fluid is supplied and the ullage hole and the fluid supply hole are defined, and a support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wherein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and the inside of the support unit are mutually related. Separately, each is made of a hollow, and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may be made of a vacuum.

상기 내조탱크와 상기 외조탱크 사이에서 정의되며, 진공으로 이루어지는 사이 공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 관통홀을 정의하고, 상기 지지부 관통홀을 통해, 상기 지지부의 상기 내부와 상기 사이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space between the inner tank and the outer tank and made of vacuum, wherein the support part defines a support part through hole, and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communicates with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part through the support part through hole. It can be.

상기 지지부 관통홀은 상기 내조탱크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hrough-hole of the support par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inner tank.

상기 센터파이프는 상기 유체 공급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매니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매니폴드부의 내부는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 공급부의 상기 내부와 분리되고, 상기 매니폴드부의 상기 내부는 진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enter pipe further includes a manifold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the inside of the manifold part being hollow and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and the inside of the manifold part being made of a vacuum. can

상기 내조탱크와 상기 외조탱크 사이에서 정의되며, 진공으로 이루어지는 사이 공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매니폴드부는 매니폴드 관통홀을 정의하고, 상기 매니폴드 관통홀을 통해 상기 매니폴드부의 상기 내부와 상기 사이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A space defined between the inner tank and the outer tank and made of vacuum is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manifold part defines a manifold through-hole, and through the manifold through-hole, a space between the inside of the manifold part and the inside of the manifold part is formed. Space can be connected.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내조탱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포터는 상기 외조탱크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A supporter penetrated and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tank, wherein the supporter may come into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tank.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내조탱크의 타측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외조탱크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spacer passed through and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tank may be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spacer may be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tank.

상기 스페이서는 단열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pacer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 센터파이프는 상기 얼리지 홀과 상기 유체 공급 홀이 정의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유체 공급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부, 및 상기 유체 공급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 공급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매니폴드부는 내부가 분리되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매니폴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enter pipe includes a fluid supply unit in which the ullage hole and the fluid supply hole are defined, a support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and a manifold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wherein the fluid supply unit, the support unit and An inside of the manifold part may be separated, the supporter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and the spacer may be disposed on the manifold part.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외조탱크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내조탱크와 상기 지지 링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 support ring disposed to be penetrated by the center pipe and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outer tank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wherein the spac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tank and the support ring.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외조탱크의 내측면과 접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1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2 모듈형 탱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 supporter passed through and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and contacting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tank may be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suppor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3 모듈형 탱크, 및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외조탱크의 내측면과 접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형 탱크는 상기 제1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3 모듈형 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2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3 모듈형 탱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third modular tank penetrated and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and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the cryogenic fluid, and a supporter penetrated and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ank, , The second modular tank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third modular tank, and the suppor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modular tank and the third modular tank.

상기 얼리지 홀의 크기는 상기 유체 공급 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A size of the ullage hole may be smaller than a size of the fluid supply hole.

상기 얼리지 홀의 크기는 상기 유체 공급 홀의 크기의 1/2 내지 1/3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The size of the ullage hole may be within a range of 1/2 to 1/300 of the size of the fluid supply hole.

상기 얼리지 홀 및 상기 유체 공급 홀은 평면상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 공급 홀의 직경은 20mm 내지 60mm의 범위 내에 있으며, 상기 얼리지 홀의 직경은 0.1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The ullage hole and the fluid supply hole may have a circular shape on a plane, the fluid supply hole may have a diameter in a range of 20 mm to 60 mm, and a diameter of the ullage hole may be in a range of 0.1 mm to 20 mm.

상기 제1 모듈형 탱크는, 곡률을 포함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로부터 연장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부재, 내부에 저장 공간을 마련하도록 상기 제1 모듈 부재와 결합되는 제2 모듈 부재, 상기 저장 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제1 모듈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는 모듈 지지부 , 및 상기 모듈 지지부와 상기 제1 모듈 부재의 상기 리세스 사이를 충진하는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odular tank includes a first module member including a curved portion including a curvature and a recess extending from the curved portion, and a second module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odule member to provide a storage space therein. , a module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module member outside the storage space and penetrated by the center pipe, and a filling material filling a space between the module support portion and the recess of the first module member. .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는 각각이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1 모듈형 탱크와 제2 모듈형 탱크를 포함하는 내조탱크, 상기 제1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2 모듈형 탱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센터파이프, 및 상기 내조탱크 및 상기 센터파이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외조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센터파이프는 복수의 홀을 정의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유체 공급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가 진공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유체 공급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유체 공급관을 포함하는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공급부의 내부, 상기 지지부의 상기 내부 및 상기 매니폴드부의 내부는 분리되고,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상기 극저온 유체가 제1 모듈형 탱크 및 상기 제2 모듈형 탱크 내부로 공급된다.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internal tank including a first modular tank and a second modular tank each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the cryogenic fluid, the first modular tank and A center pip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modular tank, and an outer tank for accommodating the inner tank and the center pipe therein, wherein the center pipe defines a plurality of holes, a fluid supply unit, the fluid supply unit It includes a support part disposed on one side and having a vacuum inside, and a manifold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and including a fluid supply pipe, wherein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inside of the manifold part are separated. An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the cryogenic fluid is supplied into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embodiment specific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장치에 의하면, 극저온 유체를 저장함에 있어서, 단열 성능 및 내압 성능이 향상되어,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 홀딩 타임(holding time)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ryogenic flui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storing the cryogenic fluid, insulation performance and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are improved, so that the holding time for storing and maintaining the cryogenic fluid can be improved.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내조탱크의 제1 모듈형 탱크와 제2 모듈형 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모듈형 탱크 및 제2 모듈형 탱크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파이프 및 내조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홀과 얼리지 홀의 크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지지부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매니폴드부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파이프 및 내조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듈형 탱크 및 제2 모듈형 탱크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ular tank and a second modular tank of an inn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nter pipe and an interna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comparing sizes of a fluid supply hole and an ullage ho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portion of FIG. 1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manifold portion of FIG. 1 .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nter pipe and an internal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or region, layer, section, etc.) is referred to as being “on,”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is directly placed/placed on the other element. It means that they can be connected/combined or a third component may be placed between them.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components.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ratio, and dimension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at the associated elements may defin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below", "lower side", "above", and "upper side"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above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n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explicitly defined herein unless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do.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are presen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들에서, 제1 방향(DR1)은 센터파이프(300)가 연장된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제1 방향(DR1)과 다른 방향이며, 제1 방향(DR1)과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first direction DR1 may refe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er pipe 300 extends. The second direction DR2 is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DR1 and may cross the first direction DR1.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represent directions perpendicularly crossing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directions mentioned in the embodiments refer to relative directions, and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directions mentioned.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는 극저온 상태의 물질을 저장 또는 보관할 수 있다.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에 저장된 극저온 물질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이송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는 극저온 상태의 유체를 저장 또는 보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tore or store materials in a cryogenic state. The cryogenic material stored in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may be transported by the transfer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 For example,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may store or store fluid in a cryogenic state.

극저온 유체는 소정의 가스가 액화된 액화 가스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극저온 유체가 액체수소(Liquid Hydrogen)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극저온 유체는 액체질소, 액체헬륨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기체가 액화된 액화가스(또는, 액체가스)일 수도 있다.The cryogenic fluid may be a liquefied gas in which a given gas is liquefied. 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ase in which the cryogenic fluid is liquid hydroge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ryogenic fluid may be liquefied gas (or liquid gas) in which various types of gases such as liquid nitrogen and liquid helium are liquefied.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는 외조탱크(100), 내조탱크(200), 센터파이프(300), 수위 센서(400), 지지 부재(500) 및 단열 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may include an outer tank 100, an inner tank 200, a center pipe 300, a water level sensor 400, a support member 500, and an insulation member 700.

외조탱크(100), 내조탱크(200), 센터파이프(300), 및 지지 부재(500) 각각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재질은 스테인레스강, 인바강, 니켈강, 고망간강 및 알루미늄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외조탱크(100), 내조탱크(200), 센터파이프(300), 및 지지 부재(500) 각각은 금속 재질이 아니더라도, 일정 강도 이상을 가지며 극저온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outer tank 100, the inner tank 200, the center pipe 300, and the support member 5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the metal material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stainless steel, invar steel, nickel steel, high manganese steel, and aluminum, or a combination thereof.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of the outer tank 100, the inner tank 200, the center pipe 300, and the support member 500 have a certain strength or higher and can store cryogenic fluid even if they are not made of metal. material may be included.

외조탱크(100)는 내부에 내조탱크(200), 센터파이프(300), 수위 센서(400) 및 지지 부재(50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외조탱크(100)는 본체(110), 제1 커버(120), 및 제2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 제1 커버(120), 및 제2 커버(130)에 의해 외조탱크(100)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 The outer tank 100 may provide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inner tank 200, the center pipe 300, the water level sensor 400, and the support member 500 therein. The outer tank 100 may include a body 110 , a first cover 120 , and a second cover 130 . The inside of the outer tank 100 may be sealed by the main body 110,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본체(110)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단면도 상 본체(110)의 형상은 원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을 포함하거나, 타원형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hollow interior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a cross-sectional view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not only a circular shape, but also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a quadrangle, and a pentagon, or an elliptical shape.

제1 커버(120) 및 제2 커버(130)는 각각 본체(110)의 제1 방향(DR1)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120) 및 제2 커버(130)에 의해, 원통 형상의 본체(110)의 일측 밑 타측이 커버될 수 있고, 본체(110)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 나아가, 외조탱크(100)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제1 커버(120) 및 제2 커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 respectively. By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one side under the other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110 may be covered, and the inside of the body 110 may be sealed. Furthermore, the inside of the outer tank 100 may be seale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may have a concave shape.

제1 커버(120)는 본체(110)의 제1 방향(DR1) 일측에 배치되며, 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커버(120)는 본체(110)의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가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평면상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커버(120)는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평면상 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ver 1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1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may be coupled to the body 110 . The first cover 120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dy 110 . For example, when the body 110 includes a cylindrical shape on a plane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the first cover 120 may include a circular shape on a plane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can

제1 커버(120)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120)는 본체(110)의 제1 방향(DR1) 일측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버(120)는 본체(110)의 제1 방향(DR1) 일측 끝단으로부터 본체(110) 내부를 향해 라운드(round)질 수 있다. The first cover 120 may have a concave shape. Specifically, the first cover 12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1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first cover 120 may be rou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110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

제2 커버(130)는 본체(110)의 제1 방향(DR1) 타측에 배치되며, 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커버(130)는 본체(110)의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가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평면상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커버(130)는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평면상 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ver 13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may be coupled to the body 110 . The second cover 130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0 . For example, when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cylindrical shape on a plane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the second cover 130 may include a circular shape on a plane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can

제2 커버(130)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커버(130)는 본체(110)의 제1 방향(DR1) 타측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130)는 본체(110)의 제1 방향(DR1) 타측 끝단으로부터 본체(110) 내부를 향해 라운드(round)질 수 있다.The second cover 130 may have a concave shape. Specifically, the second cover 13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second cover 130 may be rou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110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

제1 커버(120) 및 제2 커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목한 형상을 포함함에 따라, 내조탱크(200)의 내압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조탱크(200) 내부에 극저온 유체가 공급, 저장, 배출됨에 따라, 내조탱크(200)는 온도 변화 또는 내부 압력의 변화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제1 커버(120) 및 제2 커버(130)가 본체(110) 내부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내조탱크(200)의 팽창하더라도, 내조탱크(200)를 보다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조탱크(200)의 내압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극저온 유체 홀딩 타임(holding time)이 향상될 수 있다.As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has a concave shape, the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internal tank 200 can be improved. In detail, as the cryogenic fluid is supplied, stored, and discharged into the inner tank 200, the inner tank 200 may contract and expand due to a change in temperature or internal pressure. As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are formed to rou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even if the inner tank 200 expands, the inner tank 200 can be supported more smoothly. Accordingly, the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inner tank 200 may be improved, and the safety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may be improved. Furthermore, the cryogenic fluid holding tim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또한, 제1 커버(120) 및 제2 커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목한 형상을 포함함에 따라, 본체(110)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를 차량 및 선박 등에 설치하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includes a concave shape, there is no protruding part from the main body 110, so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That is, it may be easier than installing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on vehicles and ships.

내조탱크(200)는 내부에 극저온 유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조탱크(200)는 내부에 액체수소 및 이로부터 기화된 기체수소를 저장할 수 있다. 내조탱크(200)는 모듈(module)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조탱크(200)는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은 극저온 유체의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상 모듈형 탱크(210 ~ 270)는 7개가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모듈형 탱크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ner tank 200 may store cryogenic fluid therein. For example, the internal tank 200 may store liquid hydrogen and gaseous hydrogen vaporized therefrom. The inner tank 200 may be formed in a module type. Specifically, the internal tank 200 may includ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provide a storage space for cryogenic fluid. Although seven modular tanks 210 to 270 are shown in the drawings, the number of modular tanks is not limited thereto.

내조탱크(200)가 모듈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조탱크(200)의 용량 조절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별도의 설계 변경없이, 모듈형 내조탱크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내조탱크(200)가 저장할 수 있는 극저온 유체의 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용량 변경에 따른 설계 변경에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As the inner tank 200 is made of a modular type, the capacity of the inner tank 200 can be more easily adjusted. In other words, the volume of the cryogenic fluid that can be stored in the internal tank 200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modular internal tank tanks without a separate design chan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ime and cost required for design change according to capacity change.

또한, 내조탱크(200)가 모듈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조탱크(200) 내부의 슬로싱(sloshing)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inner tank 200 is made of a modular type, a sloshing phenomenon inside the inner tank 200 can be suppressed or prevented.

슬로싱이란, 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체 화물이 요동치면서 유동하는 액체유동 현상이다. 이러한 액체유동 현상에 의해, 상기 액체 화물이 기화되거나, 상기 액체 화물이 탱크 내벽을 강타하여 탱크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Sloshing is a liquid flow phenomenon in which the liquid cargo stored inside the tank flows while being fluctuated. Due to this liquid flow phenomenon, the liquid cargo may be vaporized or the liquid cargo may hit the inner wall of the tank and cause damage to the tank.

이러한 슬로싱에 의한 충격이 계속 반복되는 경우, 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체 화물의 기화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내부에 피로로 인한 균열(crack)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탱크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슬로싱 유동이 보다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한 탱크의 파괴도 보다 쉽게 발생할 수 있다. If the impact by such sloshing is repeated continuously, the evaporation rate of the liquid cargo stored inside the tank may increase. In addition, cracks due to fatigue may occur inside the tank, which may cause destruction of the tank. As the capacity of the fluid stored in the tank increases, the sloshing flow may more easily occur, and thus the destruction of the tank may more easily occur.

내조탱크(200)가 모듈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극저온 유체는 각각의 모듈형 탱크(210 ~ 270) 내부에 저장되므로, 각각의 모듈형 탱크(210 ~270) 내부에 저장되는 극저온 유체의 용량은 총 용량에 비해 작다. 내조탱크(200)에 저장될 수 있는 극저온 유체의 총 용량이 동일하더라도, 극저온 유체가 각각의 모듈형 탱크(210 ~ 270) 내부 분산되어 저장됨에 따라, 슬로싱 유동의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어, 내조탱크(200)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동적 에너지가 내부에 미치는 영향인 내부의 유체 움직임을 줄여줌으로써 탱크 내부에 저장된 극저온 액체의 기화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극저온 유체 홀딩 타임(holding time)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internal tank 200 is modular, the cryogenic fluid is stored in each of the modular tanks 210 to 270, so the capacity of the cryogenic fluid stored in each of the modular tanks 210 to 270 is smaller than the total capacity. Even if the total capacity of the cryogenic fluid that can be stored in the inner tank 200 is the same, as the cryogenic fluid is dispersed and stored in each of the modular tanks 210 to 270, the occurrence of sloshing flow can be suppressed or prevented. Thus, the safety of the inner tank 200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vaporation rate of the cryogenic liquid stored inside the tank by reduc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inside, which is an effect of external dynamic energy on the inside. Furthermore, the cryogenic fluid holding tim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은 서로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는 센터파이프(30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be disp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other words,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be disposed outside each other.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b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er pipe 300 extends.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는 서로 인접한 모듈형 탱크와 맞닿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은 서로를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의 내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come into contact with adjacent modular tanks.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support each other, and thus,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of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be improved.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은 극저온 유체에 의한 온도 변화 또는 내부 압력의 변화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가 팽창하더라도, 인접한 다른 모듈형 탱크(210 ~ 270)에 의해 상호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모듈형 탱크(230)가 팽창하더라도, 인접한 제2 모듈형 탱크(220) 및 제4 모듈형 탱크(2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의 내압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내조탱크(200)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극저온 유체 홀딩 타임(holding time)이 향상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contract and expand due to a change in temperature or internal pressure caused by the cryogenic fluid. Accordingly, even i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are inflated, they may be mutually supported by the other adjacent modular tanks 210 to 270 . For example, even if the third modular tank 230 expands, it may be supported by the adjacent second modular tank 220 and the fourth modular tank 240 . Accordingly, the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of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be improved, and the safety of the internal tank 200 may be improved. Furthermore, the cryogenic fluid holding tim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와 상이한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된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중 제1 방향(DR1) 일측 및 타측 끝단에 배치된 제1 모듈형 탱크(210)와 제7 모듈형 탱크(270)는 제2 내지 제6 모듈형 탱크(220 ~ 260)와 상이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e rest. Among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the first modular tank 210 and the seventh modular tank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irection DR1 The tank 270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to sixth modular tanks 220 to 260 .

제1 모듈형 탱크(210)와 제7 모듈형 탱크(270)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6 모듈형 탱크(220 ~ 260)는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odular tank 210 and the seventh modular tank 270 may have symmetrical shapes. The second to sixth modular tanks 220 to 26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 가 더 참조된다. Further reference is made to FIG. 2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내조탱크의 제1 모듈형 탱크와 제2 모듈형 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모듈형 탱크(210)에 대한 설명은 제7 모듈형 탱크(270)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제2 모듈형 탱크(220)에 대한 설명은 제3 내지 제6 모듈형 탱크(230 ~ 260)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2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ular tank and a second modular tank of an inn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 may be substantially equally applied to the seventh modular tank 270, and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modular tank 220 may include third to sixth modular tanks ( 230 to 260) may be substantially equally appli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모듈형 탱크(210)는 제1 모듈 부재(211) 및 제2 모듈 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듈형 탱크(220)는 제3 모듈 부재(221) 및 제4 모듈 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first modular tank 210 may include a first module member 211 and a second module member 212 . The second modular tank 220 may include a third module member 221 and a fourth module member 222 .

제1 모듈 부재(211)는 제1 곡면부(211a), 제1 둘레부(211b), 리세스(211c), 및 제1 중앙홀(211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odule member 211 may include a first curved portion 211a, a first peripheral portion 211b, a recess 211c, and a first central hole 211d.

제1 곡면부(211a)는 리세스(211c)의 둘레로부터 제1 방향(DR1)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둘레부(211b)는 제1 곡면부(211a)의 제1 방향(DR1) 타측의 외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211c)는 제1 방향(DR1)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앙홀(211d)은 제1 모듈 부재(211)는 리세스(211c)의 중앙 부분에서 정의될 수 있다. 제1 중앙홀(211d)의 크기는 센터파이프(300)의 외경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curved portion 211a may include a shape in which a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ss 211c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first circumferential portion 211b may include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1a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recess 211c may have a concave shap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first central hole 211d may be defin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cess 211c of the first module member 211 . The size of the first central hole 211d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center pipe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모듈 부재(211)가 리세스(211c)를 포함함에 따라, 제1 모듈형 탱크(210) 제1 방향(DR1) 일측에 별도의 모듈형 탱크가 배치되지 않더라도, 제1 모듈형 탱크(210)는 높은 내압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듈 부재(211)가 리세스(211c)를 포함함에 따라, 제1 모듈형 탱크(210)의 제1 방향(DR1) 일측면은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듈형 탱크(210)의 내압이 증가하더라도 제1 방향(DR1) 일측을 향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내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s the first module member 211 includes the recess 211c, even if a separate modular tank is no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first modular tank ( 210) can secure high withstand pressure performance. Specifically, as the first module member 211 includes the recess 211c,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include a curvature. Therefore, even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 increases, the pressure toward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can be dispersed, and thus the internal pressur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제2 모듈 부재(212)는 제1 평면부(212a), 제2 중앙홀(212b), 내측 돌출부(221c), 제2 곡면부(212d), 제2 둘레부(212e) 및 조글링부(joggling, 212f)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module member 212 includes a first flat portion 212a, a second central hole 212b, an inner protrusion 221c, a second curved portion 212d, a second peripheral portion 212e, and a joggling portion. , 212f).

제1 평면부(212a)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앙홀(212b)은 제1 평면부(212a) 중앙에서 정의될 수 있다. 제2 중앙홀(212b)은 센터파이프(3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planar portion 212a may have a circular planar shape. The second central hole 212b may be defin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planar portion 212a. The second central hole 212b may have a size that allows the center pipe 300 to be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외측 돌출부(212c)는 제1 모듈형 탱크(210)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돌출부(212c)는 제2 중앙홀(212b)의 둘레를 따라 제1 방향(DR1) 타측 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돌출부(212c)의 외경은 제3 모듈 부재(221)의 내측 돌출부(221c)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모듈 부재(221)의 내측 돌출부(221c)의 내주면에 외측 돌출부(212c)의 외주면이 압입되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모듈형 탱크(210)와 제2 모듈형 탱크(2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모듈 부재(212)의 제1 평면부(212a)와 제3 모듈 부재(221)의 제2 평면부(221a)는 서로 면접할 수 있다.The outer protrusion 212c may include a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modular tank 210 . The outer protrusion 212c may include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entral hole 212b. An outer diameter of the outer protrusion 212c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an inner diameter of the inner protrusion 221c of the third module member 221 . Therefo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rotruding portion 212c is press-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rotruding portion 221c of the third module member 221, so that the first modular tank 210 and the second modular tank 220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 can be combined. In this case, the first flat portion 212a of the second module member 21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221a of the third module member 221 may face each other.

제2 곡면부(212d)는 제1 평면부(212a)의 둘레로부터 제1 방향(DR1) 일측을 향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둘레부(212e)는 제2 곡면부(212d)에서 직경이 가장 큰 부분이면서 제일 후방 쪽 부분의 둘레를 지칭할 수 있다. 제2 모듈 부재(212)의 제2 둘레부(212e)는 제1 모듈 부재(211)의 제1 둘레부(211b)와 용접 등에 의하여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듈 부재(211)와 제2 모듈 부재(212)가 상호 접합될 수 있고, 내부에 극저온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The second curved portion 212d may include a shape in which a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flat portion 212a toward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circumferential portion 212e may refer to a circumference of the rearmost portion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212d having the largest diameter. The second peripheral portion 212e of the second module member 212 may be joined to the first peripheral portion 211b of the first module member 211 by welding or the like. Accordingly, the first module member 211 and the second module member 212 may be bonded to each other, and a space capable of storing cryogenic fluid may be provided therein.

조글링부(212f)는 제2 둘레부(212e)로부터 제1 방향(DR1) 일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조글링부(212f)의 직경은 제2 둘레부(212e)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조글링부(212f)의 외주 부분은 제1 둘레부(211b)의 내측과 결합되고, 제1 모듈 부재(211)와 제2 모듈 부재(212)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모듈 부재(211)와 제2 모듈 부재(212)의 용접 작업이 보다 정확하며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The jogling portion 212f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second peripheral portion 212e toward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A diameter of the joggling part 212f may be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second peripheral part 212e.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jogling portion 212f may be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portion 211b, and the first module member 211 and the second module member 212 may be fixed. In this case, the weld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module member 211 and the second module member 212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and easily.

제3 모듈 부재(221)는 제2 평면부(221a), 제3 중앙홀(221b), 내측 돌출부(221c), 제3 곡면부(221d), 및 제3 둘레부(221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module member 221 may include a second flat portion 221a, a third central hole 221b, an inner protrusion 221c, a third curved portion 221d, and a third peripheral portion 221e. there is.

제2 평면부(221a)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중앙홀(221b)은 제3 모듈 부재(221)의 제2 평면부(221a) 중앙에 정의될 수 있다. 제3 중앙홀(221b)은 센터파이프(300)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내측 돌출부(221c)는 제2 모듈형 탱크(220) 내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돌출부(221c)는 제3 중앙홀(221b)의 둘레를 따라 제1 방향(DR1) 타측 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제3 곡면부(221d)는 제2 평면부(221a)의 둘레로부터 제1 방향(DR1) 타측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둘레부(221e)는 제3 곡면부(221d)에서 직경이 가장 큰 부분이면서 제1 방향(DR1) 타측 쪽 부분의 둘레를 지칭할 수 있다. The second planar portion 221a may have a circular planar shape. The third central hole 221b may be defin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planar portion 221a of the third module member 221 . The third central hole 221b may have a size that allows the center pipe 300 to be inserted. The inner protrusion 221c may include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modular tank 220 . The inner protrusion 221c has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central hole 221b. The third curved portion 221d may include a shape in which a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lat portion 221a to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third circumferential portion 221e is a portion having the largest diameter in the third curved portion 221d and may refer to a circumference of a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DR1 .

제4 모듈 부재(222)는 제2 모듈 부재(2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용접 등에 의해, 제4 모듈 부재(222)는 제3 모듈 부재(221)와 접합될 수 있고, 제2 모듈형 탱크(220)는 내부에 극저온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제4 모듈 부재(22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ubstantially the same content as the second module member 212 may be applied to the fourth module member 222 . By welding or the like, the fourth module member 222 may be bonded to the third module member 221, and the second modular tank 220 may provide a space capable of storing cryogenic fluid therei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urth module member 222 will be omitt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센터파이프(30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센터파이프(300)는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터파이프(300)는 외조탱크(100) 내부에서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제1 커버(120)와 제2 커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외조탱크(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극저온 유체를 공급받거나, 내부에 저장된 극저온 유체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Again, referring to FIG. 1 , the center pipe 300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The center pipe 300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 The center pipe 30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tank 100 to pass through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an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It ca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tank 100 by penetrating any one of them. Through this, the cryogenic fluid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the cryogenic fluid stored insid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센터파이프(300)가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를 관통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는 센터파이프(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조탱크(200)와 외조탱크(100)는 상호간의 물리적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어,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극저온 유체 홀딩 타임(holding time)이 향상될 수 있다. As the center pipe 300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be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300. there is. In this case,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inner tank 200 and the outer tank 100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Furthermore, the cryogenic fluid holding tim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센터파이프(300)를 통해,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에 극저온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센터파이프(300)는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홀을 정의할 수 있다. 센터파이프(300)의 복수의 홀을 통해,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와 센터파이프(300)의 내부 중공이 연통될 수 있다. 센터파이프(300)의 복수의 홀을 통해,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는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는 극저온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Through the center pipe 300, the cryogenic fluid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The center pipe 300 may have a hollow interior and may defin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center pipe 300,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and the inner hollow of the center pipe 3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of the center pipe 300,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is a cryogenic fluid can be supplied.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얼리지 탱크(ullage tank))는, 나머지 모듈형 탱크(저장 탱크)가 가득 채워지더라도, 일정량 이상 채워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얼리지 탱크)는 나머지 모듈형 탱크(저장 탱크)보다 극저온 유체 공급량이 적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조탱크(200) 내부에 저장된 극저온 유체의 기화에 따라 내부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내조탱크(20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ullage tank) may not be filled by a certain amount or more even when the remaining modular tanks (storage tanks) are fille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ullage tank) may have less cryogenic fluid supply than the other modular tanks (storage tanks). Through this, even if the internal pressure rises due to the vaporization of the cryogenic fluid stored inside the inner tank 200,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inner tank 200 from being damaged.

센터파이프(300)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홀은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파이프(300)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홀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센터파이프(30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을 통해, 각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에 공급되는 극저온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holes defined by the center pipe 300 may be disposed inside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 A plurality of holes defined by the center pipe 300 may have different sizes. The center pipe 300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having different sizes.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 내지 도 5가 참조된다.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reference is made to FIGS. 3 to 5 .

도 3은 도 1의 제1 모듈형 탱크 및 제2 모듈형 탱크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파이프 및 내조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 홀과 얼리지 홀의 크기를 비교한 도면이다.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nter pipe and an interna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comparing sizes of a fluid supply hole and an ullage ho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터파이프(300)는 실선으로 표현하고, 내조탱크(200)는 점선으로 표현하였다.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FIG. 4 , the center pipe 300 is represented by a solid line and the internal tank 200 is represented by a dotted line.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파이프(300)는 유체 공급부(310), 지지부(320) 및 매니폴드(manifold)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to 5 , a center pip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luid supply unit 310 , a support unit 320 and a manifold unit 330 .

유체 공급부(3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 공급부(310)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체 공급부(310)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체 공급부(310)는 내조탱크(2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luid supply unit 310 may be made of a hollow structure with an empty inside. The fluid supply unit 3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luid supply unit 310 may include a polygonal columnar shape. The fluid supply unit 310 may be located inside the internal tank 200 .

유체 공급부(310)는 복수의 홀을 정의할 수 있다. 복수의 홀을 통해, 유체 공급부(310)의 내부 중공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복수의 홀은 센터파이프(300)의 연장 방향(제1 방향(DR1))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복수의 홀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은 내부에 복수의 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luid supply unit 310 may defin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the inner hollow of the fluid supply unit 310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 plurality of holes may be arrang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of the center pipe 300.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helically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but is not limited thereto.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holes therein.

유체 공급부(310)는 매니폴드부(330)에 포함된 유체 공급관(미도시)을 통해 극저온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유체 공급부(310)에 공급된 극저온 유체는 복수의 홀을 통해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각각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입되는 극저온 유체의 유량은 나머지에 유입되는 극저온 유체의 유량보다 적을 수 있다. The fluid supply unit 310 may receive cryogenic fluid through a fluid supply pipe (not shown) included in the manifold unit 330 .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unit 310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flowing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may be less than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flowing into the rest.

복수의 홀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유체 공급 홀(LH) 및 얼리지 홀(UH)을 포함할 수 있다. 얼리지 홀(UH)을 통해 공급되는 극저온 유체의 유량은 유체 공급 홀(LH)을 통해 공급되는 극저온 유체의 유량보다 작을 수 있다. 얼리지 홀(UH)의 크기는 유체 공급 홀(LH)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얼리지 홀(UH)의 크기는 유체 공급 홀(LH)의 크기의 1/2 내지 1/300의 범위 내에 있거나, 유체 공급 홀(LH)의 크기의 1/4 내지 1/15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얼리지 홀(UH)의 크기와 유체 공급 홀(LH)의 크기는 각각의 평면상 면적을 지칭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oles may include a fluid supply hole (LH) and an ullage hole (UH) having different sizes. A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through the ullage hole UH may be smaller than a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hole LH. A size of the ullage hole UH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luid supply hole LH. The size of the ullage hole (UH) may be within a range of 1/2 to 1/300 of the size of the fluid supply hole (LH), or within a range of 1/4 to 1/150 of the size of the fluid supply hole (LH). there is. Here, the size of the ullage hole UH and the size of the fluid supply hole LH may refer to respective planar areas.

유체 공급 홀(LH) 및 얼리지 홀(UH)은 평면상 원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공급 홀(LH)의 직경(DL)은 15mm 내지 100mm의 범위 내에 있거나, 20mm 내지 40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얼리지 홀(UH)의 직경(DU)은 0.1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 있거나, 1mm 내지 15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The fluid supply hole LH and the ullage hole UH may include a circular shape in plan. In this case, the diameter DL of the fluid supply hole LH may be in the range of 15 mm to 100 mm or in the range of 20 mm to 40 mm. The diameter DU of the ullage hole UH may be in the range of 0.1 mm to 20 mm or in the range of 1 mm to 15 mm.

유체 공급 홀(LH)의 직경 및 얼리지 홀(UH)의 직경이 상기 범위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극저온 유체의 유량 제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diameters of the fluid supply hole LH and the ullage hole UH are larger or smaller than the above ranges, it may not be easy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체 공급 홀(LH)의 크기 및 얼리지 홀(UH)의 크기는 내조탱크(200)의 저장용량, 각 모듈형 탱크(210 ~ 270)의 용량, 유체 공급 홀(LH)의 개수 및 얼리지 홀(UH)의 개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ize of the fluid supply hole (LH) and the ullage hole (UH) a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inner tank 200, the capacity of each modular tank 210 to 270, the fluid supply hole ( LH) and the number of ullage holes (UH).

얼리지 홀(UH)은 제1 모듈형 탱크(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체 공급 홀(LH: LH1, LH2, LH3, LH4, LH5, LH6)은 복수로 제공되며, 각각은 제2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20 ~ 270) 각각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체 공급 홀(LH: LH1, LH2, LH3, LH4, LH5, LH6) 각각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20 ~ 270)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는 유체 공급 홀(LH)의 개수는 제1 모듈형 탱크(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얼리지 홀(UH)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The ullage hole UH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modular tank 210 . A plurality of fluid supply holes (LH: LH1, LH2, LH3, LH4, LH5, and LH6) are provided, and each may be disposed inside each of the second to seventh modular tanks 220 to 270. Each of the fluid supply holes (LH: LH1, LH2, LH3, LH4, LH5, LH6) may be formed as a pair. In this case, the number of fluid supply holes (LH) located inside each of the second to seventh modular tanks 220 to 270 is the number of ullage holes (UH) located inside the first modular tank 210.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예를 들어, 유체 공급 홀(LH)은 제1 내지 제6 유체 공급 홀(LH1, LH2, LH3, LH4, LH5, LH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체 공급 홀(LH1)은 제2 모듈형 탱크(220) 내에 배치되고, 제2 유체 공급 홀(LH2)은 제3 모듈형 탱크(230) 내에 배치되고, 제3 유체 공급 홀(LH3)은 제4 모듈형 탱크(240) 내에 배치되고, 제4 유체 공급 홀(LH4)은 제5 모듈형 탱크(250) 내에 배치되고, 제5 유체 공급 홀(LH5)은 제6 모듈형 탱크(260) 내에 배치되고, 제6 유체 공급 홀(LH6)은 제7 모듈형 탱크(27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luid supply hole LH may include first to sixth fluid supply holes LH1 , LH2 , LH3 , LH4 , LH5 , and LH6 . The first fluid supply hole LH1 is disposed in the second modular tank 220, the second fluid supply hole LH2 is disposed in the third modular tank 230, and the third fluid supply hole LH3 is disposed in the fourth modular tank 240, the fourth fluid supply hole LH4 is disposed in the fifth modular tank 250, and the fifth fluid supply hole LH5 is disposed in the sixth modular tank 260 ), and the sixth fluid supply hole LH6 may be disposed within the seventh modular tank 270 .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체 공급 홀(LH: LH1, LH2, LH3, LH4, LH5, LH6) 각각은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유체 공급부(310)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공급 홀(LH1)은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내지 제6 유체 공급홀(LH2, LH3, LH4, LH5, LH6)도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20 ~ 270)의 충진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each of the fluid supply holes (LH: LH1, LH2, LH3, LH4, LH5, LH6) is spaced between the inner space of the fluid supply unit 310 based o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It can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For example, a pair of first fluid supply holes LH1 facing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formed. The second to sixth fluid supply holes LH2 , LH3 , LH4 , LH5 , and LH6 may also be formed as a pair facing each other based o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 In this case, filling of the second to seventh modular tanks 220 to 270 may be easier.

유체 공급 홀(LH)에 의해, 제2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20 ~ 270) 각각에 공급되는 극저온 유체의 유량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유체 공급 홀(LH)에 의해 제2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20 ~ 270) 각각에 공급되는 극저온 유체의 유량은 얼리지 홀(UH)에 의해 제1 모듈형 탱크(210)에 공급되는 극저온 유체의 유량보다 클 수 있다. Flow rates of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to each of the second to seventh modular tanks 220 to 270 through the fluid supply hole LH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to each of the second to seventh modular tanks 220 to 270 by the fluid supply hole (LH) is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to the first modular tank 210 by the ullage hole (UH). may be greater than the flow rate of

복수의 모듈형 탱크 중 얼리지 홀(UH)을 포함하는 모듈형 탱크를 얼리지 탱크로 지칭하고, 유체 공급 홀(LH)을 포함하는 모듈형 탱크를 저장 탱크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듈형 탱크(210)는 극저온 유체를 일부 저장하면서 얼리지 탱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20 ~ 270) 각각은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얼리지 탱크의 극저온 유체 저장 용량은 저장 탱크의 극저온 유체 저장 용량보다 작을 수 있다. Among the plurality of modular tanks, a modular tank including an ullage hole (UH) may be referred to as an ullage tank, and a modular tank including a fluid supply hole (LH) may be referred to as a storage tank. For example, the first modular tank 210 may serve as an ullage tank while partially storing the cryogenic fluid, and each of the second to seventh modular tanks 220 to 270 stores the cryogenic fluid. It can act as a tank. The cryogenic fluid storage capacity of the ullage tank may be less than the cryogenic fluid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tank.

센터파이프(300)를 통해 극저온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제2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20 ~ 270)는 제1 모듈형 탱크(210, 또는 얼리지 탱크)보다 먼저 내부가 충진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20 ~ 270, 또는 저장 탱크)가 완전히 충진되면,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다. 이를 감지하여, 극저온 유체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20 ~ 270)의 내부가 충진되더라도, 제1 모듈형 탱크(210)는 극저온 유체(액체)가 채워지지 않은 일정 크기만큼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When the cryogenic fluid is supplied through the center pipe 300, the insides of the second to seventh modular tanks 220 to 270 may be filled before the first modular tank 210 (or ullage tank). When the second to seventh modular tanks 220 to 270 (or storage tanks) are completely filled, internal pressure may rapidly rise. By detecting this, the supply of the cryogenic fluid can be stopped. In this case, even if the insides of the second to seventh modular tanks 220 to 270 are filled, the first modular tank 210 can secure an internal space of a certain size that is not filled with cryogenic fluid (liquid). there is.

상기 내부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극저온 액체의 기화에 의한 가스(gas)가 압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내조탱크(200) 내부의 극저온 액체가 기화하여 내부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내조탱크(20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By securing the inner sp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ce in which gas can be compressed due to vaporization of the cryogenic liquid. Therefore, even if the cryogenic liquid inside the internal tank 200 vaporizes and the internal pressure rises,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internal tank 200 from being damaged.

유체 공급 홀(LH)의 크기 대비 얼리지 홀(UH)의 크기가 상기 범위가 상술한 범위보다 큰 경우, 얼리지 홀(UH)을 포함하는 제1 모듈형 탱크(210) 내부에 충분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마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유체 공급 홀(LH)의 크기 대비 얼리지 홀(UH)의 크기가 상기 범위가 상술한 범위보다 작은 경우, 얼리지 홀(UH)을 포함하는 제1 모듈형 탱크(210) 내부에 저장되는 극저온 유체의 양이 감소하고, 내조탱크(200) 내부에 저장되는 극저온 유체의 저장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When the size of the ullage hole (UH) compared to the size of the fluid supply hole (LH) is greater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internal space of a sufficient size inside the first modular tank 210 including the ullage hole (UH) may be difficult to obtain. When the size of the ullage hole (UH) compared to the size of the fluid supply hole (LH) i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the cryogenic fluid stored in the first modular tank 210 including the ullage hole (UH) As the amount decreases, the storage efficiency of the cryogenic fluid stored in the internal tank 200 may decrease.

복수의 모듈형 탱크(210 ~ 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얼리지 탱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얼리지 탱크(제1 모듈형 탱크(210))가 저장 탱크(제2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20~ 270))의 외부에 배치됨으로써,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조립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얼리지 탱크가 저장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얼리지 탱크가 저장 탱크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용접 등의 공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공정에 필요한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odular tanks 210 to 270 serves as an ullage tank, the ullage tank (first modular tank 210) is a storage tank (second to seventh modular tanks 220). - 270)) may facilitate easier assembly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In other words, a process such as welding may be easier when the ullage tank is disposed outside the storage tank than when the ullage tank is disposed inside the storage tank. Thus,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process can be improved, and the cost required for the process can be reduced.

지지부(320)와 매니폴드부(330)의 내부는 진공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열이 내조탱크(200)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320)와 매니폴드부(330)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6 및 도 7이 참고된다.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320 and the manifold part 330 may be made in a vacuum state. Accordingly, transfer of external heat to the inner tank 200 can be suppressed and prevented. 6 and 7 are referred to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pport part 320 and the manifold part 330.

도 6은 도 1의 지지부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매니폴드부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portion of FIG. 1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manifold portion of FIG. 1 .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320)는 유체 공급부(310)의 제1 방향(DR1) 타측에 배치되어, 유체 공급부(310)와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320)는 서포터(5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터파이프(300)가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 6 and 7 , the support part 32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3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coupled to the fluid supply part 310 . The support 32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er 520 . Through this, the center pipe 300 can be supported.

지지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내조탱크(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20)의 내부는 비어있는 중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320)의 내부와 유체 공급부(310)의 내부는 분리될 수 있다. 유체 공급부(310)에 극저온 유체가 공급되더라도, 지지부(320)의 내부에는 극저온 유체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체 공급부(310)를 통해 공급되는 극저온 유체에 대한 단열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part 32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inner tank 200 .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320 may be made of an empty hollow.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320 and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310 may be separated. Even if the cryogenic fluid is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unit 310 , the cryogenic fluid may not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unit 320 . Through this, it may be easier to insulate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unit 310 .

지지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관통홀(TH3)을 정의할 수 있다. 지지부 관통홀(TH3)은 내조탱크(2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 관통홀(TH3)을 통해, 지지부(320)의 내부는 사이 공간(600)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320)의 내부는 진공 상태가 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320 may define at least one support part through hole TH3. The support through-hole TH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inner tank 200 .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rspace 600 through the support through hole TH3. 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320 may be in a vacuum state.

지지부 관통홀(TH3)이 배치된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부 관통홀(TH3)은 지지부(320)가 사이 공간(600)에 노출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through-hole TH3 is disposed is not limited, and the support through-hole TH3 may be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support 320 is exposed to the space 600 between them.

예를 들어, 지지부 관통홀(TH3)은 지지부(320)의 제1 방향(DR1) 타측면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부(320)의 제1 방향(DR1) 타측면은 제2 커버(130)와 대향하는 면을 지칭한다. 이 경우, 지지부 관통홀(TH3)의 크기는 제1 방향(DR1) 타측면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즉, 지지부(320)는 제1 방향(DR1) 타측이 오픈(open)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support through-hole TH3 may be defin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320 in the first direction DR1 . Here,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20 in the first direction DR1 refers to a surface facing the second cover 130 .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TH3 of the support part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other side surface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s, the support part 3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open.

지지부(320)의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는 경우, 유체 공급부(310) 내부에 제공되는 극저온 유체에 대한 단열이 보다 원활할 수 있다. 나아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극저온 유체 홀딩 타임(holding time)이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320 is in a vacuum state,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310 may be more smoothly thermally insulated. Furthermore, the cryogenic fluid holding tim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매니폴드부(330)는 유체 공급부(310)의 제1 방향(DR1) 일측에 배치되어, 유체 공급부(310)와 결합할 수 있다. 매니폴드부(330)의 내부는 유체 공급부(310)의 내부와 분리될 수 있다. 매니폴드부(330)는 제1 커버(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매니폴드부(330)는 스페이서(51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manifold unit 3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310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coupled to the fluid supply unit 310 . The interior of the manifold unit 330 may be separated from the interior of the fluid supply unit 310 . The manifold part 330 may protrude outside through the first cover 120 . The manifold part 330 may be coupled to the spacer 510 .

매니폴드부(330)는 외부관(321), 내부관(322), 매니폴드 단열층(323), 유체 공급관(324), 기체 배출관(325), 및 결합체(32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nifold unit 330 may include an outer pipe 321 , an inner pipe 322 , a manifold insulation layer 323 , a fluid supply pipe 324 , a gas discharge pipe 325 , and an assembly 326 .

외부관(321)은 제1 방향(DR1) 타측의 일단부가 유체 공급부(310)와 결합될 수 있다. 외부관(321)은 관(pipe)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외부관(321)의 내부는 유체 공급부(310)의 내부와 분리될 수 있다. 외부관(321)은 내부에 내부관(322) 및 매니폴드 단열층(323)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outer tube 321 on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coupled to the fluid supply unit 310 . The outer tube 321 may have a pipe-like structure.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321 may be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310 . The outer tube 321 may provide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inner tube 322 and the manifold insulation layer 323 therein.

외부관(321)의 내부에는 유체 공급관(324)과 기체 배출관(325) 등이 지나갈 수 있다. 외부관(321)의 내부가 유체 공급부(310)의 내부와 분리되더라도, 외부관(321)의 제1 방향(DR1) 타측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 유체 공급관(324) 및 기체 배출관(325) 등이 지나갈 수 있다. A fluid supply pipe 324 and a gas discharge pipe 325 may pass inside the outer pipe 321 . Even if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321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310, the other side of the outer tube 321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have at least one through hole, and the fluid flows into the through hole. A supply pipe 324 and a gas discharge pipe 325 may pass through.

내부관(322)은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관(3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내부관(322)은 외부관의 내측으로부터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1 커버(120) 및 지지 링(530)을 관통하여 외조탱크(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내부관(322)은 일측이 외부관(321)과 결합되고, 타측이 결합체(326)와 결합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tube 322 may be located inside the outer tube 321 . The inner tube 322 may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to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tank 100 through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upport ring 530 . One side of the inner tube 322 may be coupled to the outer tube 321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assembly 326 .

내부관(322)의 제1 방향(DR1) 타측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 유체 공급관(324) 및 기체 배출관(325) 등이 지나갈 수 있다. The other side of the inner pipe 322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have at least one through hole, and the fluid supply pipe 324 and the gas discharge pipe 325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내부관(322)은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 관통홀(TH4)을 정의할 수 있다. 매니폴드 관통홀(TH4)은 내조탱크(2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매니폴드 관통홀(TH4)이 배치된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매니폴드 관통홀(TH4)은 내부관(322)이 사이 공간(600)에 노출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매니폴드 관통홀(TH4)을 통해, 매니폴드부(330)의 내부는 사이 공간(600)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니폴드부(330)의 내부는 진공 상태가 될 수 있다. The inner tube 322 may define at least one manifold through hole TH4. The manifold through hole TH4 may be disposed outside the inner tank 200 . The position where the manifold through-hole TH4 is disposed is not limited, and the manifold through-hole TH4 may be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inner tube 322 is exposed to the space 600 between them. Through the manifold through-hole TH4, the inside of the manifold part 330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600 between them. 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manifold unit 330 may be in a vacuum state.

매니폴드 관통홀(TH4)은 단열 부재(700)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510)는 단열 부재(700)와 대향하는 면에서, 스페이서(510)의 내측(제1 방향(DR1) 일측)을 향해 오목한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511)를 정의할 수 있다. 매니폴드 관통홀(TH4)이 단열 부재(700) 외측에 배치되더라도, 스페이서(510)의 단차부(511)에 의해, 매니폴드 관통홀(TH4)은 사이 공간(600)에 노출될 수 있다. The manifold through hole TH4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 The spacer 510 may define a stepped portion 511 forming a concave step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spacer 510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 on the surface facing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 Even when the manifold through hole TH4 is disposed outside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 the manifold through hole TH4 may be exposed to the interspace 600 by the stepped portion 511 of the spacer 510 .

매니폴드 단열층(323)은 외부관(321)과 내부관(3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매니폴드 단열층(323)은 내부관(32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매니폴드 단열층(323)은 단열 성능이 뛰어난 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매니폴드 단열층(323)은 복합 단열재(MLI, Multi-layer insul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매니폴드 단열층(323)은 알루미늄 박막과 공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nifold insulation layer 32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tube 321 and the inner tube 322 . The manifold insulation layer 323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inner pipe 322 . The manifold insulation layer 3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 material having excellent insulation performance. The manifold insulation layer 323 may include a multi-layer insulation (MLI). The manifold insulation layer 323 may include an aluminum thin film and an air layer.

매니폴드 단열층(323)을 통해, 외부관(321)과 내부관(322)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조탱크(200)의 단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Heat transfer that may occur between the outer tube 321 and the inner tube 322 may be minimized through the manifold insulation layer 323 . Accordingly,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inner tank 200 may be improved.

유체 공급관(324)은 센터파이프(300)의 유체 공급부(310)에 극저온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유체 공급관(324)은 외부로부터 연장되어, 유체 공급부(310)의 내부로 관통 설치된다. The fluid supply pipe 324 may supply cryogenic fluid to the fluid supply unit 310 of the center pipe 300 . The fluid supply pipe 324 extends from the outside and is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310 .

기체 배출관(325)은 내조탱크(20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기체 배출관(325)은 외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모듈형 탱크(210)의 내부로 관통 설치된다. The gas discharge pipe 325 may discharge gas inside the internal tank 200 to the outside. The gas discharge pipe 325 extends from the outside and is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 .

유체 공급관(324)과 기체 배출관(325) 각각은 내부관(322) 내부에서 360° 만큼 트위스트(twist)되어 비틀린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관(324)과 기체 배출관(325)은 서로 얽혀서 꼬인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공급관(324)과 기체 배출관(325) 각각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어, 열 손실이 감소할 수 있다. 나아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Each of the fluid supply pipe 324 and the gas discharge pipe 325 may include a twisted shape by being twisted by 360° inside the inner pipe 322 . The fluid supply pipe 324 and the gas discharge pipe 325 may include a twisted state in which they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length of each of the fluid supply pipe 324 and the gas discharge pipe 325 may be increased, and heat loss may be reduced. Furthermor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may be improved.

도면에서는, 유체 공급관(324)과 기체 배출관(325)만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관들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drawing, only the fluid supply pipe 324 and the gas discharge pipe 325 are shown, but various pipes may be further disposed as needed.

결합체(326)는 내부관(322)의 제1 방향(DR1)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체(326)는 유체 공급관(324)이 지나가는 관통공 및 기체 배출관(325)이 지나가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ssembly 326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ner tube 322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assembly 326 may includ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supply pipe 324 passes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as discharge pipe 325 passes.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는 지지 링(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링(530)은 내부관(3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링(530)은 내부관(322)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지지 링(530)은 외조탱크(100)의 내측으로부터, 제1 커버(120)를 관통하여 외조탱크(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ring 530 . A support ring 53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tube 322 . Support ring 530 may be pierced by inner tube 322 . The support ring 530 may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tank 100 to the outside of the outer tank 100 through the first cover 120 .

지지 링(530)은 내부관(322) 상에 접착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링(530)은 스페이서(510) 외측에 배치되어, 스페이서(5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조탱크(200)의 내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support ring 530 may be fixed on the inner tube 322 by bonding or we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upport ring 53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pacer 510 to support the spacer 510 . Accordingly, the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inner tank 200 may be improved.

얼리지 홀(UH)을 포함하는 얼리지 탱크(제1 모듈형 탱크(210))가 매니폴드부(330)가 위치한 제1 방향(DR1)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경우, 매니폴드부(33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외부열이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 내부에 저장된 극저온 유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극저온 유체 홀딩 타임(holding time)이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ullage tank (first modular tank 210) including the ullage hole UH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direction DR1 where the manifold unit 330 is located, through the manifold unit 330 Direct contact of external heat that may be transferred with the cryogenic fluid stored inside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minimized, and thus,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Furthermore, the cryogenic fluid holding tim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다시, 도 1 및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수위 센서(400)는 내조탱크(2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위 센서(400)는 내조탱크(200) 내부에 저장된 극저온 유체의 수위를 센싱할 수 있다. 수위 센서(400)는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중력방향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수위 센서(400)는 제2 모듈형 탱크(220)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위 센서(400)는 제1 내지 제7 모듈형 탱크(210 ~ 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Again, referring to FIGS. 1 and 3 to 5 , the water level sensor 4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ternal tank 200 . The water level sensor 400 may sense the level of the cryogenic fluid stored in the inner tank 200 . The water level sensor 400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DR2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gravity. Although the water level sensor 400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inside the second modular tank 220, the water level sensor 400 may be disposed insid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modular tanks 210 to 270. can

센터파이프(300)의 유체 공급부(310)는 제1 관통홀(TH1) 및 제2 관통홀(TH2)을 더 정의할 수 있다. 제1 관통홀(TH1) 및 제2 관통홀(TH2)을 통해, 유체 공급부(310)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제1 관통홀(TH1) 및 제2 관통홀(TH2)은 제2 모듈형 탱크(2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통홀(TH1) 및 제2 관통홀(TH2)은 유체 공급부(310)의 내부 중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The fluid supply unit 310 of the center pipe 300 may further define a first through hole TH1 and a second through hole TH2.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T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2,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31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first through hole T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2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modular tank 220 . The first through hole T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2 may be disposed with the inner hollow of the fluid supply unit 310 interposed therebetween.

수위 센서(400)는 제1 관통홀(TH1) 및 제2 관통홀(TH2)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통홀(TH1) 및 제2 관통홀(TH2)의 크기 및 평면상 형상은 수위 센서(400)의 외경 및 평면상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The water level sensor 400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T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2. The size and planar shape of the first through hole T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and planar shape of the water level sensor 400 .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는 수위 센서(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미도시)은 유체 공급 홀(LH), 얼리지 홀(UH) 및 매니폴드부(330)를 지나 외부의 수위 표시 장치(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내부의 극저온 유체의 수위를 전달할 수 있다.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may further include a cable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sensor 400 . The cable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fluid supply hole (LH), the ullage hole (UH) and the manifold unit 330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level display device (not shown) to transfer the level of the cryogenic fluid inside. .

지지 부재(500)는 센터파이프(300) 및 내조탱크(2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스페이서(510)와 서포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510)와 서포터(520)는 내조탱크(200)의 외측에 배치되거나, 모듈형 탱크(210 ~ 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510)와 서포터(520) 각각의 개수 및 위치는 내조탱크(200)의 용량, 모듈형 탱크의 개수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500 may support the center pipe 300 and the internal tank 200 . The support member 500 may include a spacer 510 and a supporter 520 . The spacer 510 and the supporter 52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internal tank 200 or between the modular tanks 210 to 270 . The number and position of each of the spacer 510 and the supporter 520 may be variously applied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inner tank 200 and the number or shape of the modular tank.

스페이서(510)는 제1 모듈형 탱크(210)와 제1 커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510)는 중앙 부분에 홀을 포함하며, 이를 센터파이프(300)가 관통할 수 있다. 스페이서(510)는 매니폴드부(3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510)는 매니폴드부(330)의 내부관(322, 도 7 참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pacer 5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dular tank 210 and the first cover 120 . The spacer 510 includes a hole in its central portion, through which the center pipe 300 may pass. The spacer 510 may be disposed on the manifold unit 330 . The spacer 51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tube 322 (see FIG. 7 ) of the manifold unit 330 .

스페이서(510)는 내조탱크(200) 및 내조탱크(200)를 감싸고 있는 단열 부재(700)와 외조탱크(100)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510)는 단열 부재(700)와 제1 커버(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방향(DR1)으로 일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510)는 단차부(511)를 정의할 수 있다. The spacer 510 may separate the internal tank 200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surrounding the internal tank 200 from the external tank 100 . The spacer 5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insulation member 700 and the first cover 120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spacer 510 may define a stepped portion 511 .

스페이서(510)는 단열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단열성 재료는 예를 들어, 유리 섬유와 에폭시(epoxy) 수지를 포함하는 재료(G-10 재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pacer 510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 material (G-10 material) including glass fiber and an epoxy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스페이서(510)가 배치됨에 따라, 내조탱크(200)와 제1 커버(120)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단열 부재(700)가 배치된 경우, 스페이서(510)에 의해 단열 부재(700)와 제1 커버(120)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나아가, 외조탱크(100)에서 전달되는 외부 열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s the spacer 510 is disposed, there may be a space between the inner tank 200 and the first cover 120 . When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is disposed,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and the first cover 120 may be spaced apart by the spacer 510 . Furthermore, by minimizing external heat transferred from the external tank 100, the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이에 따라, 외조탱크(100)와 단열 부재(700) 또는 외조탱크(100)와 내조탱크(20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조탱크(100)로부터 내조탱크(200)에 외부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내조탱크(2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direct contact between the outer tank 100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or between the outer tank 100 and the inner tank 200 can be minimized, and external heat is transmitted from the outer tank 100 to the inner tank 200. transmission can be minimized. Furthermore,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inner tank 200 may be improved.

스페이서(510)는 본체(110)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510)가 본체(110)의 내측면과 이격되더라도, 센터파이프(300)가 제1 커버(120)를 관통함에 따라, 센터파이프(3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조탱크(200)가 외조탱크(100) 내부에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The spacer 5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 Even if the spacer 51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center pipe 300 may be fixed as the center pipe 300 passes through the first cover 120. Through this, the inner tank 200 can be fixed and supported inside the outer tank 100 .

스페이서(510)의 외측에는 지지 링(530, 도 7 참조)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페이서(510)가 보다 원활하게 지지될 수 있다. A support ring 530 (see FIG. 7 ) may be further disposed outside the spacer 510 , and through this, the spacer 510 may be more smoothly supported.

서포터(520)는 제7 모듈형 탱크(270)와 제2 커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520)는 중앙 부분에 홀을 포함하며, 이를 센터파이프(300)가 관통할 수 있다. 서포터(520)는 지지부(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upporter 5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venth modular tank 270 and the second cover 130 . The supporter 520 includes a hole in its central portion, through which the center pipe 300 may pass. The supporter 520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320 .

서포터(520)는 본체(110)의 내측면과 적어도 일부분에서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서포터(520)는 외조탱크(100) 내부에 고정되며, 서포터(520)를 관통하는 센터파이프(300)가 외조탱크(100) 내부에 고정되며, 내조탱크(200)가 고정될 수 있다. The supporter 52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t least in part. Through this, the supporter 520 is fixed inside the outer tank 100, the center pipe 300 passing through the supporter 520 is fixed inside the outer tank 100, and the inner tank 200 can be fixed. there is.

서포터(520)를 통해 센터파이프(300)가 고정됨에 따라, 센터파이프(300)는 외부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극저온 유체 홀딩 타임(holding time)이 향상될 수 있다. As the center pipe 300 is fixed through the supporter 520, the center pipe 300 can minimize transfer of external heat, and thus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Furthermore, the cryogenic fluid holding tim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사이 공간(600)은 외조탱크(100)와 내조탱크(200)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즉, 사이 공간(600)은 외조탱크(100)와 내조탱크(200)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을 지칭할 수 있다. 사이 공간(600)은 진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조탱크(100)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열이 내조탱크(2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An interspace 600 may be defined between the outer tank 100 and the inner tank 200 . That is, the interspace 600 may refer to a space located between the outer tank 100 and the inner tank 200 . The interspace 600 may be made of a vacuum. Through this, transfer of external heat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outer tank 100 to the inner tank 200 can be minimized, and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 can be improved.

단열 부재(700)는 사이 공간(600)에 배치될 수 있다. 단열 부재(700)는 외조탱크(100)와 내조탱크(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열 부재(700)는 내조탱크(2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열 부재(700)는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지지 부재(500)와 내조탱크(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열 부재(700)는 센터파이프(30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in the interspace 600 . The insulation member 7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tank 100 and the inner tank 200 .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inner tank 200 . The heat insulation member 7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500 and the internal tank 2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heat insulation member 700 may be penetrated by the center pipe 300 .

단열 부재(700)는 단열 성능이 뛰어난 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 부재(700)는 복합 단열재(MLI, Multi-layer insul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 부재(700)는 알루미늄 박막과 공기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30겹에서 50겹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열 부재(700)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에어로젤(aerogel)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글라스울(glass wool)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ng performance. The heat insulation member 700 may include a multi-layer insulation (MLI).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may include an aluminum thin film and an air layer, and may be formed by stacking 30 to 50 layer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may include airgel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or glass wool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단열 부재(700)가 배치됨에 따라, 외조탱크(10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사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조탱크(2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s the heat insulation member 700 is disposed, transfer of radiant heat that may occur inside the outer tank 100 can be minimized, and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inner tank 200 can be improved.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전에 이미 설명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previously described will be omitted or simplified, and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파이프 및 내조탱크의 사시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nter pipe and an internal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_1)의 내조탱크(200)는 복수의 모듈형 탱크(210, 220_1)를 포함하되, 저장 탱크(제2 모듈형 탱크(220_1))가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 및 복수의 모듈형 탱크(210, 220_1) 사이에 제2 서포터(521_1)가 더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8 and 9, the internal tank 200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_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modular tanks 210 and 220_1, and includes a storage tank (a second modular tank). 220_1)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second supporter 521_1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modular tanks 210 and 220_1, and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1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조탱크(200)는 제1 모듈형 탱크(210) 및 제2 모듈형 탱크(220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형 탱크(210) 및 제2 모듈형 탱크(220_1)는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모듈형 탱크(210) 및 제2 모듈형 탱크(220_1)는 서로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ternal tank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modular tank 210 and a second modular tank 220_1. The first modular tank 210 and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may be disp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modular tank 210 and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may be disposed outside each other.

제2 모듈형 탱크(220_1)는 제1 방향(DR1) 일측 끝단에 제3 모듈 부재(221, 도 2 참조)가 배치되고, 제1 방향(DR1) 타측 끝단에 제1 모듈 부재(211, 도 2 참조)과 대칭인 형상을 갖는 부재가 배치되고, 그 사이를 원통형 형상을 같는 부재가 배치되어, 서로 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a third module member 221 (see FIG. 2) is disposed at one 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first module member 211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2) and members having a symmetrical shape are disposed, and members having a cylindrical shape are dis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y may have shapes coupled to each other.

제1 모듈형 탱크(210) 내부에는 얼리지 홀(UH)이 배치되고, 제1 모듈형 탱크(210)는 얼리지 탱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모듈형 탱크(220_1)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공급 홀(LH)이 배치되어, 제2 모듈형 탱크(220_1)는 저장 탱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n ullage hole (UH)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modular tank 210, and the first modular tank 210 may serve as an ullage tank. At least one fluid supply hole (LH)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so that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may serve as a storage tank.

제2 모듈형 탱크(220_1)의 용량은 제1 모듈형 탱크(210)보다 클 수 있다. 제2 모듈형 탱크(220_1)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 모듈형 탱크(210)보다 길 수 있다. The capacity of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 . An extended length of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 .

제2 모듈형 탱크(220_1) 내부에 배치된 유체 공급 홀(LH)의 개수는 제1 모듈형 탱크(210) 내부에 배치된 얼리지 홀(UH)의 개수와 같거나 많을 수 있다. 제2 모듈형 탱크(220_1) 내부에 배치된 유체 공급 홀(LH)의 개수는 제1 모듈형 탱크(210) 내부에 배치된 얼리지 홀(UH)의 개수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모듈형 탱크(220_1)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제2 모듈형 탱크(220_1)를 충진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number of fluid supply holes LH disposed inside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ullage holes UH disposed inside the first modular tank 210 . The number of fluid supply holes LH disposed inside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may be twice or more than the number of ullage holes UH disposed inside the first modular tank 210 . Accordingly, even if the size of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increases, the filling time of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can be shortened.

도면상, 제2 모듈형 탱크(220_1) 내부에는 제1 유체 공급 홀(LH1) 및 제2 유체 공급 홀(LH2)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유체 공급 홀(LH)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체 공급 홀(LH)의 개수는 제2 모듈형 탱크(220_1)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the drawings, it is shown that the first fluid supply hole LH1 and the second fluid supply hole LH2 are disposed inside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but the number of the fluid supply holes LH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umber of fluid supply holes (LH) may vary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제2 모듈형 탱크(220_1) 내부로 유입되는 극저온 유체의 유량은 제1 모듈형 탱크(210) 내부로 유입되는 극저온 유체의 유량보다 많을 수 있다. 제2 모듈형 탱크(220_1) 내부가 우선적으로 완전히 충진되며, 제1 모듈형 탱크(210)는 극저온 유체(액체)가 충진되지 않은 일정 크기만큼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flowing into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may be greater than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modular tank 210 . The inside of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is preferentially completely filled, and the first modular tank 210 may secure an internal space of a certain size that is not filled with the cryogenic fluid (liquid).

본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_1)의 지지 부재(500)는 복수의 모듈형 탱크(210, 220_1)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서포터(521_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분을 위해, 도 1의 서포터(520)는 제1 서포터(520)로 지칭한다. 제2 서포터(521_1)는 제1 서포터(52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서포터(521_1)는 얼리지 탱크와 저장 탱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500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_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er 521_1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modular tanks 210 and 220_1. For distinction, the supporter 520 of FIG. 1 is referred to as a first supporter 520 . The second supporter 521_1 may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pporter 520 . The second supporter 521_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llage tank and the storage tank.

제2 서포터(521_1)는 센터파이프(300)에 의해 관통되며, 외조탱크(100)의 본체(110)의 내측면과 적어도 일부분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서포터(521_1)는 센터파이프(30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er 521_1 is penetrated by the center pipe 300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of the outer tank 100 at least in part.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er 521_1 may support the center pipe 300 .

다만, 내조탱크(200)의 용량 등에 따라, 제2 서포터(521_1)는 생략될 수도 있다. However,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inner tank 200 and the like, the second supporter 521_1 may be omitted.

제2 서포터(521_1)가 배치되는 경우, 단열 부재(700)는 제2 서포터(521_1) 근처에서 모듈형 탱크(210, 220_1)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단열 부재(700)는 제2 서포터(521_1) 근처에서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서포터(521_1)가 배치되더라도, 복사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supporter 521_1 is disposed,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modular tanks 210 and 220_1 near the second supporter 521_1 .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round to have a curvature near the second supporter 521_1 . Accordingly, even when the second supporter 521_1 is disposed, radiant heat can be minimized.

이 경우에도, 내조탱크(200) 내부의 극저온 액체가 기화하여 내부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내조탱크(20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even if the cryogenic liquid inside the internal tank 200 vaporizes and the internal pressure rises, damage to the internal tank 200 can be suppressed or prevented.

저장 탱크(제2 모듈형 탱크(220_1))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제조 공정이나 조립 공정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이 감소할 수 있으며, 저장 탱크의 저장 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As the storage tank (the second modular tank 220_1) is integrally formed, time and cost required for a manufacturing process or assembly process may be reduced, and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tank may be increased.

제2 서포터(521_1)가 더 배치됨에 따라, 센터파이프(300)를 보다 원활하게 지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조탱크(200)의 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센터파이프(300)가 보다 원활하게 지탱될 수 있다. As the second supporter 521_1 is further disposed, the center pipe 300 can be supported more smoothly. In this case, even if the capacity of the inner tank 200 increases, the center pipe 300 can be supported more smoothly.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_2)는 스페이서(510, 도 1 참조) 대신 서포터(510_2, 제2 서포터)가 배치되며, 복수의 모듈형 탱크(210 ~ 270) 사이에 제3 서포터(521_2)가 더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_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upporter 510_2 (second supporter) is disposed instead of a spacer 510 (see FIG. 1), and a plurality of modular tanks 210 to 270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of FIG. 1 in that a third supporter 521_2 is further disposed therebetween.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10_2)의 지지 부재(500)는 제2 서포터(510_2) 및 제3 서포터(521_2)를 더 포함하며, 스페이서(510, 도 1 참조)는 생략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500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_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er 510_2 and a third supporter 521_2, and the spacer 510 (see FIG. 1) is omitted. It can be.

제2 서포터(510_2)는 내조탱크(200)의 외측에 배치되며, 내조탱크(200)의 제1 방향(DR1)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포터(510_2)는 단열 부재(700)와 제1 커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er 510_2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tank 200 an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tank 2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second supporter 510_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and the first cover 120 .

제3 서포터(521_2)는 저장 탱크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형 탱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포터(521_2)는 제3 모듈형 탱크(230)와 제4 모듈형 탱크(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그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hird supporter 521_2 may be disposed between modular tanks serving as storage tanks. For example, the third supporter 521_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modular tank 230 and the fourth modular tank 240, but its lo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서포터(510_2)와 제3 서포터(521_2)는 함께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제2 서포터(510_2)와 제3 서포터(521_2) 중 어느 하나만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upporter 510_2 and the third supporter 521_2 do not need to be disposed together, and only one of the second supporter 510_2 and the third supporter 521_2 may be disposed.

제3 서포터(521_2)가 배치되는 경우, 단열 부재(700)는 제3 서포터(521_2) 근처에서 모듈형 탱크(230, 24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단열 부재(700)는 제3 서포터(521_2) 근처에서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서포터(521_2)가 배치되더라도, 복사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the third supporter 521_2 is disposed, the heat insulation member 700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modular tanks 230 and 240 near the third supporter 521_2 .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round to have a curvature near the third supporter 521_2 . Accordingly, even if the third supporter 521_2 is disposed, radiant heat can be minimized.

이 경우에도, 내조탱크(200) 내부의 극저온 액체가 기화하여 내부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내조탱크(20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서포터(510_2)와 제3 서포터(521_2)를 포함함에 따라, 센터파이프(300)를 보다 원활하게 지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조탱크(200)의 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센터파이프(300)가 보다 원활하게 지탱될 수 있다. In this case, even if the cryogenic liquid inside the internal tank 200 vaporizes and the internal pressure rises, damage to the internal tank 200 can be suppressed or prevented. In addition, as the second supporter 510_2 and the third supporter 521_2 are included, the center pipe 300 can be supported more smoothly. In this case, even if the capacity of the inner tank 200 increases, the center pipe 300 can be supported more smoothly.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듈형 탱크 및 제2 모듈형 탱크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듈형 탱크(210_3)는 모듈 지지부(213) 및 충진재(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modular tank 210_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3 in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support 213 and a filler 214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듈형 탱크(210_3)는 제1 모듈 부재(211, 도 2 참조) 및 제2 모듈 부재(212, 도 2 참조) 뿐만 아니라, 모듈 지지부(213) 및 충진재(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modular tank 210_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module member 211 (see FIG. 2) and a second module member 212 (see FIG. 2), as well as a module support 213 and a filler. (214) may be further included.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7 모듈형 탱크(270, 도 1 참조)도 모듈 지지부(213) 및 충진재(2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된 모듈형 탱크(210 ~ 270, 도 1 참조) 중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에 배치된 모듈형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모듈 지지부(213) 및 충진재(2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venth modular tank 270 (see FIG. 1 ) may further includ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odule support 213 and the filler 214 . In other words, at least one of the modular tanks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odular tanks 210 to 270 (see FIG. 1)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includes the module support 213 and the filler 214 And may further includ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모듈 지지부(213) 및 충진재(214)는 단열 부재(700, 도 1 참조)로 둘러싸인 공간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듈 지지부(213) 및 충진재(214)는 단열 부재(700, 도 1 참조)와 제1 모듈 부재(2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odule support 213 and the filling material 214 may be disposed inside the space surrounded by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see FIG. 1). In other words, the module support 213 and the filler 21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ember 700 (see FIG. 1 ) and the first module member 211 .

모듈 지지부(213)는 제1 모듈형 탱크(210_3)의 리세스(211c, 도 2 참조)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듈 지지부(213)는 매니폴드부(330)와 결합될 수 있다. 모듈 지지부(213)는 제1 모듈 부재(211)와 결합될 수 있다. 모듈 지지부(213)는 제1 모듈 부재(211, 도 2 참조)에서 제1 방향(DR1) 일측으로 돌출된 최외각 부분과 결합할 수 있다. 모듈 지지부(213)는 용접에 의해 제1 모듈 부재(211, 도 2 참조) 및 매니폴드부(330)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module support 213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recess 211c (see FIG. 2 )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_3 . The module support part 213 may be coupled to the manifold part 330 . The module support 21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dule member 211 . The module support portion 213 may be coupled to an outermost portion protruding toward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DR1 from the first module member 211 (see FIG. 2 ). The module support part 21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dule member 211 (see FIG. 2 ) and the manifold part 330 by we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모듈 지지부(213)는 제1 모듈 부재(211, 도 2 참조) 및 제2 모듈 부재(212, 도 2 참조)의 결합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듈형 탱크(210_3)의 내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module support part 213 may support an assembly of a first module member 211 (see FIG. 2 ) and a second module member 212 (see FIG. 2 ). Accordingly, the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_3 may be improved.

충진재(214)는 제1 모듈 부재(211, 도 2 참조)와 모듈 지지부(213) 사이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충진재(214)는 제1 모듈 부재(211, 도 2 참조)의 리세스(211c, 도 2 참조)와 모듈 지지부(213) 사이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The filler 214 may fill a space between the first module member 211 (see FIG. 2 ) and the module support 213 . The filler 214 may fill a space between the recess 211c (see FIG. 2 ) of the first module member 211 (see FIG. 2 ) and the module supporting part 213 .

충진재(214)는 단열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단열성 재료는 예를 들어, 유리 섬유와 에폭시(epoxy) 수지를 포함하는 재료(G-10 재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진재(214)가 배치됨에 따라, 외부의 열이 제1 모듈형 탱크(210_3)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Filler 214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 material (G-10 material) including glass fiber and an epoxy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the filler 214 is disposed, transfer of external heat to the inside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_3 may be suppressed or prevented.

제1 모듈형 탱크(210_3)가 모듈 지지부(213) 및 충진재(214)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모듈형 탱크(210_3)의 제1 모듈 부재(211, 도 2 참조)의 제1 곡면부(211a, 도 2 참조) 및 리세스(211c, 도 2 참조)의 곡률이 작아지더라도, 제1 모듈형 탱크(210_3)의 내압 성능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곡면부(211a, 도 2 참조) 및 리세스(211c, 도 2 참조)의 곡률이 작아지는 경우, 제1 모듈형 탱크(210_3)의 제1 모듈 부재(211, 도 2 참조)의 용접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제조 공정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modular tank 210_3 includes the module support 213 and the filler 214, the first curved portion of the first module member 211 (see FIG. 2 )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_3 ( Even if the curvature of the 211a (see FIG. 2 ) and the recess 211c (see FIG. 2 ) decreases, the decrease in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_3 may be suppressed or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1a (see FIG. 2) and the recess 211c (see FIG. 2) is reduced, the first module member 211 of the first modular tank 210_3 (see FIG. 2) ) can be more easily welded. Furthermor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can be reduc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100: 외조탱크
200: 내조탱크
210 ~ 270: 모듈형 탱크
300: 센터파이프
400: 수위 센서
500: 지지 부재
700: 단열 부재
UH: 얼리지 홀
LH: 유체 공급 홀
10: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100: outer tank
200: internal tank
210 to 270: modular tanks
300: center pipe
400: water level sensor
500: support member
700: insulation member
UH: Ulledge Hall
LH: fluid supply hole

Claims (18)

각각이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며,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모듈형 탱크와 제2 모듈형 탱크를 포함하는 내조탱크;
상기 제1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2 모듈형 탱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센터파이프; 및
상기 내조탱크 및 상기 센터파이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외조탱크;
를 포함하되,
상기 센터파이프는 상기 제1 모듈형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얼리지 홀 및 상기 제2 모듈형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유체 공급 홀을 정의하고,
한편, 상기 센터파이프는 상기 제1 모듈형 탱크 및 상기 제2 모듈형 탱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모듈형 탱크 및 상기 제2 모듈형 탱크가 상기 외조탱크와 이격되도록 상기 외조탱크 내부에서 상기 제1 모듈형 탱크 및 상기 제2 모듈형 탱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얼리지 홀을 통해 상기 제1 모듈형 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극저온 유체의 유량은 상기 유체 공급 홀을 통해 상기 제2 모듈형 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극저온 유체의 유량보다 작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n internal tank including a first modular tank and a second modular tank each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cryogenic fluid and having different shapes;
a center pip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and
an outer tank for accommodating the inner tank and the center pipe therein;
Including,
The center pipe defines an ullage hole located inside the first modular tank and a fluid supply hole located inside the second modular tank,
Meanwhile, the center pipe is coupled to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so that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ar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tank, and the outer tank is separated from the outer tank. It is configured to support one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In addition,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into the first modular tank through the ullage hole is smaller than the flow rate of the cryogenic fluid supplied into the second modular tank through the fluid supply hole in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파이프는 상기 극저온 유체가 공급되며 상기 얼리지 홀 및 상기 유체 공급 홀이 정의된 유체 공급부, 및
상기 유체 공급부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 공급부의 내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부는 서로 분리되어 각각이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의 상기 내부는 진공으로 이루어지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pipe includes a fluid supply unit in which the cryogenic fluid is supplied and the ullage hole and the fluid supply hole are defined, and
A support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Including,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and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ach is made of a hollow,
The inside of the support is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made of a vacuu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탱크와 상기 외조탱크 사이에서 정의되며, 진공으로 이루어지는 사이 공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 관통홀을 정의하고,
상기 지지부 관통홀을 통해, 상기 지지부의 상기 내부와 상기 사이 공간이 연통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pace defined between the inner tank and the outer tank and made of a vacuum,
The support defines a support through hole,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in which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pa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ar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관통홀은 상기 내조탱크의 외부에 배치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3,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of claim 1 , wherein the support through hole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tank.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파이프는 상기 유체 공급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매니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매니폴드부의 내부는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 공급부의 상기 내부와 분리되고,
상기 매니폴드부의 상기 내부는 진공으로 이루어지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2,
The center pipe further includes a manifold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The inside of the manifold part is made of a hollow, and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part,
The inside of the manifold part is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made of vacuum.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탱크와 상기 외조탱크 사이에서 정의되며, 진공으로 이루어지는 사이 공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매니폴드부는 매니폴드 관통홀을 정의하고,
상기 매니폴드 관통홀을 통해 상기 매니폴드부의 상기 내부와 상기 사이 공간이 연통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pace defined between the inner tank and the outer tank and made of a vacuum,
The manifold portion defines a manifold through hole,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in which the interior of the manifold unit and the space between the manifold uni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anifold through-hol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부에 의해 관통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에 의해, 상기 매니폴드 관통홀이 상기 사이 공간에 노출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pacer penetrated by the manifold portion,
The spacer includes a stepped portion formed concavely toward the inside of the spacer,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in which the manifold through-hole is exposed to the interspace by the stepped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내조탱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포터는 상기 외조탱크의 내측면과 접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er penetrated and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tank,
The supporter is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ank.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내조탱크의 타측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외조탱크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spacer penetrated and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tank,
The spacer is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ank.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단열성 재료를 포함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9,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of claim 1 , wherein the spacer includes an insulating material.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파이프는 상기 얼리지 홀과 상기 유체 공급 홀이 정의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유체 공급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부, 및 상기 유체 공급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 공급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매니폴드부는 내부가 분리되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매니폴드부 상에 배치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9,
The center pipe includes a fluid supply unit in which the ullage hole and the fluid supply hole are defined, a support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and a manifold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The fluid supply part, the support part, and the inside of the manifold part are separated,
The supporter is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and the spacer is disposed on the manifold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외조탱크의 내측면과 접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1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2 모듈형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er penetrated and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ank,
The supporter is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3 모듈형 탱크, 및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외조탱크의 내측면과 접하는 서포터,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형 탱크는 상기 제1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3 모듈형 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2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3 모듈형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modular tank penetrated and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and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the cryogenic fluid, and
A supporter penetrated and supported by the center pipe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ank;
Including more,
The second modular tank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third modular tank,
The supporter is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disposed between the second modular tank and the third modular tan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얼리지 홀의 크기는 상기 유체 공급 홀의 크기보다 작은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1,
A size of the ullage hole is smaller than a size of the fluid supply hol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얼리지 홀의 크기는 상기 유체 공급 홀의 크기의 1/2 내지 1/300의 범위 내에 있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14,
The size of the ullage hole is within a range of 1/2 to 1/300 of the size of the fluid supply hol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얼리지 홀 및 상기 유체 공급 홀은 평면상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 공급 홀의 직경은 20mm 내지 60mm의 범위 내에 있으며, 상기 얼리지 홀의 직경은 0.1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 있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15,
The ullage hole and the fluid supply hole have a circular shape on a plane,
A diameter of the fluid supply hole is in the range of 20 mm to 60 mm, and a diameter of the ullage hole is in the range of 0.1 mm to 20 m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형 탱크는,
곡률을 포함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로부터 연장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부재,
내부에 저장 공간을 마련하도록 상기 제1 모듈 부재와 결합되는 제2 모듈 부재,
상기 저장 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제1 모듈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센터파이프에 의해 관통되는 모듈 지지부, 및
상기 모듈 지지부와 상기 제1 모듈 부재의 상기 리세스 사이를 충진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odular tank,
A first module member including a curved portion including a curvature and a recess extending from the curved portion;
A second module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odule member to provide a storage space therein;
A module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module member outside the storage space and penetrated by the center pipe, and
A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comprising a filler filling between the module support and the recess of the first module member.
각각이 극저온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1 모듈형 탱크와 제2 모듈형 탱크를 포함하는 내조탱크;
상기 제1 모듈형 탱크와 상기 제2 모듈형 탱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센터파이프; 및
상기 내조탱크 및 상기 센터파이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외조탱크;
를 포함하되,
상기 센터파이프는 복수의 홀을 정의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유체 공급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가 진공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유체 공급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유체 공급관을 포함하는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공급부의 내부, 상기 지지부의 상기 내부 및 상기 매니폴드부의 내부는 분리되고,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상기 극저온 유체가 제1 모듈형 탱크 및 상기 제2 모듈형 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
an internal tank including a first modular tank and a second modular tank each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cryogenic fluid;
a center pip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and
an outer tank for accommodating the inner tank and the center pipe therein;
Including,
The center pipe includes a fluid supply unit defining a plurality of holes, a support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and having a vacuum inside, and a manifold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and including a fluid supply pipe,
The in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the inside of the support unit and the inside of the manifold unit are separat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the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through which the cryogenic fluid is supplied into the first modular tank and the second modular tank.
KR1020230014920A 2023-02-03 2023-02-03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KR1025683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920A KR102568305B1 (en) 2023-02-03 2023-02-03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920A KR102568305B1 (en) 2023-02-03 2023-02-03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305B1 true KR102568305B1 (en) 2023-08-21

Family

ID=8784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920A KR102568305B1 (en) 2023-02-03 2023-02-03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30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4478A (en) * 1979-01-11 1983-02-22 Ocean Phoenix Holdings Nv Storage tanks for liquids
JPH10513420A (en) * 1995-02-02 1998-12-22 サイオコル・コーポレーション Adaptable composite pressure vessel
US20150336680A1 (en) * 2014-05-23 2015-11-26 Airbus Operations Gmbh Tank System For The Cryogenic Storage Of Hydrogen, And Aircraft With A Tank System For The Cryogenic Storage Of Hydrogen
US20170254481A1 (en) * 2016-03-04 2017-09-07 Ilc Dover Ip, Inc. Collapsible cryogenic storage vessel
US20170299122A1 (en) * 2014-10-07 2017-10-19 United Technologies Research Center Pressure vessel fluid manifold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4478A (en) * 1979-01-11 1983-02-22 Ocean Phoenix Holdings Nv Storage tanks for liquids
JPH10513420A (en) * 1995-02-02 1998-12-22 サイオコル・コーポレーション Adaptable composite pressure vessel
US20150336680A1 (en) * 2014-05-23 2015-11-26 Airbus Operations Gmbh Tank System For The Cryogenic Storage Of Hydrogen, And Aircraft With A Tank System For The Cryogenic Storage Of Hydrogen
US20170299122A1 (en) * 2014-10-07 2017-10-19 United Technologies Research Center Pressure vessel fluid manifold assembly
US20170254481A1 (en) * 2016-03-04 2017-09-07 Ilc Dover Ip, Inc. Collapsible cryogenic storage vess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1775C (en) Container for holding a cryogenic fluid
US20100059528A1 (en) Apparatus for gas storage
JP3111660U (en) Ultra vacuum insulation tank for cryogenic liquefied gas
WO2005100210A1 (en) Super-vacuum insulation tank for cryogenic liquefied gas
JP3111656U (en) Ultra vacuum insulation tank for cryogenic liquefied gas
JP3111658U (en) Ultra vacuum insulation tank for cryogenic liquefied gas and its outer shell
KR102568305B1 (en)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KR102568292B1 (en)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US20050211710A1 (en) Double-wall tank
JP3111657U (en) Dome end of ultra vacuum insulation tank for cryogenic liquefied gas
KR20160061096A (en) A tank for storing liquid
EP1644659B1 (en) Cryogenic fluid tank and use in a motor vehicle
KR101686506B1 (en) Lng storage tank and insulation pannel thereof
JP4734043B2 (en) Thermal insulation support structure for liquefied gas tank
CN112344202A (en) Lower outlet structure of double-layer low-temperature liquid hydrogen spherical tank
KR102578458B1 (en) Cryogenic liquid fuel tank
US11746955B2 (en) Support system for inner and outer tank connection unit of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and cryogenic fluid storage tank using same
KR101707179B1 (en) Multi-Layer Container For Storing Liquefied Gas
CN213930390U (en) Lower outlet structure of double-layer low-temperature liquid hydrogen spherical tank
CN217422458U (en) Marine double-walled pipe is with spring support assembly and structure
WO2023217461A1 (en) Double-walled liquefied gas storage tank
CN217235266U (en) Cryogenic liquid storage device and vehicle
CN219346214U (en) Light-weight vehicle-mounted liquid hydrogen bottle
KR101310967B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a base support of a pump tower
US20230213146A1 (en) Insulation support and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containing the insulation support for automo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