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966B1 -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966B1
KR102564966B1 KR1020207017606A KR20207017606A KR102564966B1 KR 102564966 B1 KR102564966 B1 KR 102564966B1 KR 1020207017606 A KR1020207017606 A KR 1020207017606A KR 20207017606 A KR20207017606 A KR 20207017606A KR 102564966 B1 KR102564966 B1 KR 10256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wp
user terminal
bwps
control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438A (ko
Inventor
카즈키 타케다
사토시 나가타
리후이 왕
시아오린 호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0010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L/UL 통신에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의 스루풋을 향상시킨다. 유저단말은, 캐리어 내에서 주파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향 링크 통신과 하향 링크 통신의 적어도 하나의 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사양화되었다(비특허문헌 1). 또, LTE로부터의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LTE-A(LTE-Advanced), FRA(Future Radio Access), 4G, 5G, 5G+(plus), NR(New RAT), LTE Rel. 14, 15∼, 등이라고도 한다)도 검토되고 있다.
또,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8-13)에서는, 1 ms의 서브 프레임을 스케줄링 단위로서, 하향 링크(DL: Downlink) 및/또는 상향 링크(UL: Uplink)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해당 서브 프레임은, 예를 들면, 통상 사이클릭 프리픽스(NCP: Normal Cyclic Prefix)의 경우, 서브 캐리어 간격 15 kHz의 14 심벌로 구성된다. 해당 서브 프레임은,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등이라고도 불린다.
또, 유저단말(UE: User Equipment)은, 무선기지국(예를 들면, eNB: eNodeB)으로부터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DL 어사인먼트 등이라고도 한다)에 기초하여, D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DL 공유 채널 등이라고도 한다)의 수신을 제어한다. 또, 유저단말은,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DCI(UL 그랜트 등이라고도 한다)에 기초하여, U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UL 공유 채널 등이라고도 한다)의 송신을 제어한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NR)에서는, 유저단말은, DL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할당되는 후보 영역인 제어 리소스 영역(예를 들면,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 control resource set))을 감시(블라인드 복호)하여, DCI를 수신(검출)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 해당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캐리어(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 또는 시스템 대역 등이라고도 한다) 내의 하나 이상의 부분적인(partial) 주파수 대역(부분 대역(Partial Band),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 등이라고도 한다)을, DL 및/또는 UL 통신(DL/UL 통신)에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DL/UL 통신에 이용하여, 무선 통신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DL/UL 통신에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유저단말의 일 형태는, 캐리어 내에서 주파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향 링크 통신과 하향 링크 통신의 적어도 하나의 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DL/UL 통신에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1c는, BWP의 설정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의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S 셀 내의 하나 이상의 BWP의 액티브화 또는 비액티브화의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액티브화된 복수의 BWP에 있어서, BWP마다의 인액티비티-타이머를 이용한 액티브화/비액티브화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액티브화된 복수의 BWP에 있어서, BWP 공통의 인액티비티-타이머를 이용한 액티브화/비액티브화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NR, 5G 또는 5G+)에서는,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8-13)보다 넓은 대역폭(예를 들면, 100∼800 MHz)의 캐리어(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 셀 또는 시스템 대역 등이라고도 한다)를 할당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해당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해당 캐리어 전체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송수신)하는 능력(capability)을 갖는 유저단말(Wideband(WB) UE, single carrier WB UE 등이라고도 한다)과, 해당 캐리어 전체에서 송수신하는 능력을 갖지 않는 유저단말(BW reduced UE 등이라고도 한다)이 혼재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와 같이,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서포트하는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유저단말이 혼재하는 것(various BW UE capabilities)이 상정되기 때문에, 캐리어 내에 하나 이상의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해당 캐리어 내의 각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50 MHz 또는 200 MHz 등)은, 부분 대역 또는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 등이라고 불린다.
도 1은, BWP의 설정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a에서는, 1 캐리어 내에 1 BWP가 유저단말에 설정되는 시나리오(Usage scenario#1)가 도시된다. 예를 들면, 도 1a에서는, 800 MHz의 캐리어 내에 200 MHz의 BWP가 설정된다. 해당 BWP의 액티브화(activation) 또는 비액티브화(deactivation)는 제어되어도 좋다.
여기서, BWP의 액티브화란, 해당 BWP를 이용 가능한 상태인(또는 해당 이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遷移)하는) 것이며, BWP의 설정 정보(configuration)(BWP 설정 정보)의 액티브화 또는 유효화 등이라고도 불린다. 또, BWP의 비액티브화란, 해당 BWP를 이용 불가능한 상태인(또는 해당 이용 불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이며, BWP 설정 정보의 비액티브화 또는 무효화 등이라고도 불린다. BWP가 스케줄링됨으로써, 이 BWP가 액티브화되게 된다.
도 1b에서는, 1 캐리어 내에 복수의 BWP가 유저단말에 설정되는 시나리오(Usage scenario#2)가 도시된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복수의 BWP(예를 들면, BWP#1 또는 #2)의 적어도 일부는 중복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b에서는, BWP#1은, BWP#2의 일부의 주파수 대역이다.
또, 해당 복수의 BWP의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화 또는 비액티브화가 제어되어도 좋다. 또, 어느 시간에 있어서 액티브화되는 BWP의 수는 제한되어도 좋다(예를 들면, 어느 시간에 있어서 1 BWP만이 액티브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b에서는, 어느 시간에 있어서 BWP#1 또는 #2의 어느 하나만이 액티브이다.
예를 들면, 도 1b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BWP#1이 액티브화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는 경우, BWP#2가 액티브화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발생하면, BWP#1로부터 BWP#2로의 전환이 수행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종료되면, BWP#2로부터 BWP#1로의 전환이 수행되어도 좋다. 이로 인해, 유저단말은, BWP#1보다도 대역폭이 넓은 BWP#2를 항상 감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1b에 있어서, 네트워크(예를 들면, 무선기지국)는, 유저단말이 액티브 상태인 BWP 밖에서 수신 및/또는 송신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1a에 있어서, 캐리어 전체를 서포트하는 유저단말이, 해당 BWP 밖에서 신호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는 것은 어떤 억제도 되지 않는다.
도 1c에서는, 1 캐리어 내의 다른 대역에 복수의 BWP가 설정되는 시나리오(Usage scenario#3)가 도시된다.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복수의 BWP에는 다른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다. 여기서, 수비학은, 서브 캐리어 간격, 심벌 길이, 슬롯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길이, 슬롯(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길이, 슬롯 당의 심벌 수 등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c에서는, 캐리어 전체에서 송수신하는 능력을 갖는 유저단말에 대해, 수비학이 다른 BWP#1 및 #2가 설정된다. 도 1c에서는, 유저단말에 대해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BWP의 액티브화 또는 비액티브화되고, 어느 시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BWP가 액티브여도 좋다.
또한, DL 통신에 이용되는 BWP는, DL BWP(DL용 주파수 대역)라 불려도 좋고, UL 통신에 이용되는 BWP는, UL BWP(UL용 주파수 대역)라 불려도 좋다. DL BWP 및 UL BWP는, 적어도 일부의 주파수 대역이 중복해도 좋다. 이하, DL BWP 및 UL BWP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BWP라 총칭한다.
유저단말에 설정되는 DL BWP의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프라이머리 CC에 포함되는 DL BWP)는, DL 제어 채널(DCI)의 할당 후보가 되는 제어 리소스 영역을 포함해도 좋다. 해당 제어 리소스 영역은,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 control resource set), 컨트롤 서브 밴드(control subband), 서치 스페이스 세트, 서치 스페이스 리소스 세트, 제어 영역, 제어 서브 밴드, NR-PDCCH 영역 등이라 불려도 좋다.
유저단말은, CORESET 내의 하나 이상의 서치 스페이스를 감시(monitor)하여, 해당 유저단말에 대한 DCI를 검출한다. 해당 서치 스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유저단말에 공통의 DCI(예를 들면, 그룹 DCI 또는 공통 DCI)가 배치되는 공통 서치 스페이스(CSS: Common Search Space) 및/또는 유저단말 고유의 DCI(예를 들면, DL 어사인먼트 및/또는 UL 그랜트)가 배치되는 유저단말(UE) 고유 서치 스페이스(USS: UE-specific Search Space)를 포함해도 좋다.
유저단말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등)을 이용하여, CORESET의 설정 정보(CORESET 설정 정보)를 수신해도 좋다. CORESET 설정 정보는, 각 CORESET의 주파수 리소스(예를 들면, RB 수 및/또는 개시 RB 인덱스 등), 시간 리소스(예를 들면, 개시 OFDM 심벌 번호), 시간 길이(duration), REG(Resource Element Group) 번들 사이즈(REG 사이즈), 송신 타입(예를 들면, 인터리브, 비 인터리브), 주기(예를 들면, CORESET마다의 모니터 주기) 등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도 좋다.
도 2를 참조하여, BWP의 액티브화 및/또는 비액티브화(액티브화/비액티브화 또는 전환(switching), 결정 등이라고도 한다)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의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도 1b에 도시하는 시나리오를 상정하지만,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의 제어는, 도 1a, 1c에 도시하는 시나리오 등에도 적절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 도 2에서는, BWP#1 내에 CORESET#1이 설정되고, BWP#2 내에 CORESET#2가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CORESET#1 및 CORESET#2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서치 스페이스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CORESET#1에 있어서, BWP#1용 DCI 및 BWP#2용 DCI는, 동일한 서치 스페이스 내에 배치되어도 좋으며, 또는, 각각 다른 서치 스페이스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 도 2에 있어서, BWP#1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 유저단말은, 소정 주기(예를 들면, 1 이상의 슬롯마다, 1 이상의 미니 슬롯마다 또는 소정 수의 심벌마다)의 CORESET#1 내의 서치 스페이스를 감시(블라인드 복호)하여, 해당 유저단말에 대한 DCI를 검출한다.
해당 DCI는, 어느 BWP에 대한 DCI인지를 나타내는 정보(BWP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해당 BWP 정보는, 예를 들면, BWP의 인덱스이며, DCI 내의 소정 필드 값이면 된다. 또, 해당 BWP 인덱스 정보는, 하향의 스케줄링용 DCI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으며, 상향의 스케줄링용 DCI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으며, 또는 공통 서치 스페이스의 DCI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유저단말은, DCI 내의 BWP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DCI에 의해 PDSCH 또는 PUSCH이 스케줄링되는 BWP를 결정해도 좋다.
유저단말은, CORESET#1 내에서 BWP#1용 DCI를 검출하는 경우, 해당 BWP#1용 DCI에 기초하여, BWP#1 내의 소정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시간/주파수 리소스)에 스케줄링된(할당된) PDSCH를 수신한다.
또, 유저단말은, CORESET#1 내에서 BWP#2용 DCI를 검출하는 경우, BWP#1을 비액티브화하여, BWP#2를 액티브화한다. 유저단말은, CORESET#1에서 검출된 해당 BWP#2용 DCI에 기초하여, DL BWP#2의 소정의 시간/주파수 리소스에 스케줄링된 PDSCH을 수신한다.
또한, 도 2에서는, CORESET#1에서 BWP#1용 DCI와 BWP#2용 DCI가 다른 타이밍에서 검출되지만, 동일한 타이밍에서 다른 BWP의 복수의 DCI를 검출 가능하게 해도 좋다. 예를 들면, CORESET#1 내에 복수의 BWP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치 스페이스를 마련하고, 해당 복수의 서치 스페이스에서 각각 다른 BWP의 복수의 DCI를 송신해도 좋다. 유저단말은, CORESET#1 내의 복수의 서치 스페이스를 감시하여, 동일한 타이밍에서 다른 BWP의 복수의 DCI를 검출해도 좋다.
BWP#2가 액티브화되면, 유저단말은, 소정 주기(예를 들면, 1 이상의 슬롯마다, 1 이상의 미니 슬롯마다 또는 소정 수의 심벌마다)의 CORESET#2 내의 서치 스페이스를 감시(블라인드 복호)하여, BWP#2용 DCI를 검출한다. 유저단말은, CORESET#2에서 검출된 BWP#2용 DCI에 기초하여, BWP#2의 소정의 시간/주파수 리소스에 스케줄링된 PDSCH를 수신해도 좋다.
또한, 도 2에서는, 액티브화 또는 비액티브화의 전환용으로 소정 시간이 도시되지만, 해당 소정 시간은 없어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ORESET#1 내에 있어서의 BWP#2용 DCI의 검출을 트리거로서 BWP#2가 액티브화되는 경우, 명시적인 지시 정보 없이 BWP#2를 액티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액티브화의 제어에 동반하는 오버헤드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유저단말이, CORESET#1에서 BWP#2용 DCI(즉, BWP#2의 액티브화용 DCI)의 검출에 실패(miss)해도, 무선기지국은, 해당 검출의 실패를 인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유저단말이 BWP#1의 CORESET#1을 계속 감시하고 있는데, 무선기지국은, BWP#2를 유저단말이 이용 가능하다고 오인식하여, BWP#2 내에 PDSCH을 스케줄링하는 DCI를 CORESET#2에서 송신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무선기지국은, 해당 PDSCH의 송달 확인 정보(HARQ-ACK, ACK/NACK 또는 A/N 등이라고도 한다)를 소정 기간 내에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유저단말이, BWP#2의 액티브화용 DCI의 검출에 실패했다고 인식하고, CORESET#1에서 액티브화용 DCI를 재송해도 좋다. 혹은,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BWP#1 및 #2에 공통의 CORESET이 마련되어도 좋다.
또, 액티브화된 BWP에 있어서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 및/또는 PUSCH)이 소정 기간 스케줄링되지 않는 경우, 해당 BWP를 비액티브화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서는, 유저단말은, DL BWP#2에 있어서 PDSCH이 소정 기간 스케줄링되지 않기 때문에, BWP#2를 비액티브화하여, BWP#1을 액티브화한다.
유저단말은, 액티브화되어 있는 BWP에 있어서,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 및/또는 PUSCH)의 수신이 완료될 때마다 타이머를 설정하고, 해당 타이머가 만료되면, 해당 BWP를 비액티브화해도 좋다. 해당 타이머는, DL BWP용과 UL BWP용과의 사이에서 공통의 타이머(조인트 타이머 등이라고도 한다)여도 좋으며, 또는, 개별의 타이머여도 좋다.
BWP의 비액티브화에 타이머를 이용하는 경우, 명시적인 비액티브화의 지시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액티브화의 제어에 동반하는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그런데, 캐리어 당 설정 가능한 BWP의 최대수는, 미리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Paired spectrum)에서는, 1 캐리어 당 최대 4개의 DL BWP와 최대 4개의 UL BWP가 각각 설정되어도 좋다.
한편, 시간 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unpaired spectrum)에서는, 1 캐리어 당 DL BWP와 UL BWP의 최대 4개의 페어가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TDD에서는, 페어가 되는 DL BWP와 UL BWP는, 중심 주파수는 동일하며 다른 대역폭을 가져도 좋다.
이상에서는, 단일의 캐리어가 도시되지만, 복수의 캐리어(셀, 서빙 셀 등이라고도 한다)가 통합되어도 좋다(예를 들면,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 Dual Connectivity)). 해당 복수의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BWP가 설정되면 된다.
CA 또는 DC에 의해 복수의 셀이 통합되는 경우, 해당 복수의 셀은, 프라이머리 셀(P 셀: Primary Cell) 및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셀(S 셀: Secondary Cell)을 포함해도 좋다. P 셀은, 단일의 캐리어(CC)에 대응하고, 하나 이상의 BWP를 포함해도 좋다. 또, 각 S 셀은, 단일의 캐리어(CC)에 대응하고, 하나 이상의 BWP를 포함해도 좋다.
P 셀의 각 BWP에는, 랜덤 액세스 수순(RACH: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용 공통 서치 스페이스가 마련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P 셀의 각 BWP에는, 폴백용 공통 서치 스페이스, 페이징용 공통 서치 스페이스, 또는 RMSI(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용 공통 서치 스페이스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 하나 이상의 셀(P 셀 및/또는 S 셀)의 각 BWP에는, 하나 이상의 유저단말에 공통의 PDCCH(그룹 공통 PDCCH(group-common PDCCH))용 공통 서치 스페이스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 유저단말에는, 특정한 BWP가 미리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전송하는 PDSCH이 스케줄링되는 BWP(초기 액티브 BWP(initial active BWP))는, 해당 PDSCH을 스케줄링하는 DCI가 배치되는 CORESET의 주파수 위치 및 대역폭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다. 또, 초기 액티브 BWP에는, RMSI와 동일한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다.
또, 유저단말에는, 디폴트의 BWP(디폴트 BWP)가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디폴트 BWP는, 상술한 초기 액티브 BWP여도 좋으며,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S 셀에 있어서의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유저단말에 있어서의 이(異)주파수 메저먼트(Inter-frequency measurement)의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에 대해, S 셀을 설정함과 동시에, 해당 S 셀 내의 하나 이상의 BWP를 설정한다.
도 3은, S 셀 내의 하나 이상의 BWP의 액티브화 또는 비액티브화의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서는, S 셀 내의 BWP#1 및 #2가 유저단말에 설정되지만, 일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 셀에서는, 유저단말에 설정되는 복수의 BWP 중에서 보다 넓은 대역폭의 BWP가 초기 액티브 BWP로서 설정되어도 좋다. 해당 초기 액티브 BWP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에 의해,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유저단말에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BWP#1보다도 넓은 대역폭을 갖는 BWP#2가 초기 액티브 BWP로서 유저단말에 설정(통지)되어도 좋다. 또, 도 3에서는, 초기 액티브 BWP와는 다른 BWP#1이, 디폴트 BWP로서 유저단말에 설정(통지)되는 것으로 하지만, 초기 액티브 BWP와 디폴트 BWP가 동일한 BWP에 설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유저단말은, BWP#2에서 PDSCH의 수신을 완료할 때마다, 디폴트 BWP로의 전환(폴백)용 타이머 T1과, S 셀의 비액티브용 타이머 T2를 기동해도 좋다. 예를 들면, 타이머 T2의 기간은, 타이머 T1의 기간보다도 길게 설정된다.
도 3에서는, 유저단말은, 타이머 T1, T2의 기동 후에도, BWP#2의 CORESET#2 내의 서치 스페이스를 소정 주기로 감시(블라인드 복호)하지만, DCI를 검출하지 않은 채, 타이머 T1이 만료된다. 타이머 T1이 만료(expire)되면, 유저단말은, 초기 액티브 BWP인 BWP#2를 비액티브화하고, 디폴트 BWP인 BWP#1을 액티브화한다.
유저단말은, 액티브화된 BWP#1의 CORESET#1 내의 서치 스페이스를 소정 주기로 감시(블라인드 복호)하지만, DCI를 검출하지 않은 채, 타이머 T2가 만료된다. 타이머 T2가 만료되면, 모든 BWP가 비액티브화되고, S 셀이 비액티브화된다.
이상과 같이, S 셀의 모든 BWP가 비액티브화되는 경우, 묵시적으로, S 셀이 비액티브화되는 경우, S 셀의 비액티브화하기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캐리어(셀)에서는, 복수의 BWP가 설정(configure)되어 있었다고 해도, 액티브화되는 BWP의 수는 최대 하나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하향 링크에서도 상향 링크에서도 동일하다.
장래적으로는, 하나의 캐리어(셀)에서 동시에 복수의 BWP가 액티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BB(Mobile Broad Band) 서비스에 있어서, 다른 수비학에서 동일 유저에 다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복수의 BWP가 액티브화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하여 DL/UL 통신을 수행하는 점에 주목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또한,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한 DL/UL 통신에 있어서, 설정(configure)된 복수의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제어하는 수법에 이르렀다.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면, 액티브화된 BWP에 있어서의 데이터 채널의 이용 완료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는 제어(인액티비티-타이머(Inactivity-timer)의 이용), 디폴트(또는 초기) BWP로 전환하는 제어(폴백 제어), DL/UL 사이의 BWP의 페어링 제어, 또는, 이들의 제어 중 2개 이상을 조합한 제어를 적용하는 것에 도달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에 설명하는 형태에서는, 2개의 BWP가 설정되어 있지만, 설정되는 BWP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형태)
우선, 제1 형태로서, 인액티비티-타이머를 이용한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인액티비티-타이머는, 서빙 셀/캐리어마다 설정된다.
인액티비티-타이머란, 액티브화된 BWP에 있어서의 데이터 채널의 이용 완료로부터의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타이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하향 링크 통신이라면,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의 수신 완료를 계기로 타이머가 기동되어도 좋다. 상향 링크 통신이라면,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USCH)의 송신 완료를 계기로 타이머가 기동되어도 좋다.
인액티비티-타이머에 있어서 설정(configure)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후술하는 제어가 수행된다. 인액티비티-타이머에 설정되는 소정 시간(predetermined time, pre-configured period)은,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에 의해 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되어도 좋다. 또, 상기 소정 시간은,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정보(예를 들면, DCI)에 의해, 동적으로 설정(configure)되어도 좋다. 혹은, 유저단말 고유로 미리 설정(configure)되어 있어도 좋다.
이 제1 형태에서는, 이하의 옵션 1-1∼1-3까지의, 3개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옵션 1-1∼1-3의 제어는, 유저단말마다 다르게 수행되어도 좋으며, 셀/캐리어마다 다르게 수행되어도 좋다.
〈옵션 1-1: 액티브 BWP마다의 타이머 설정〉
옵션 1-1에서는, 액티브화된 BWP마다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설정(configure)된다. 예를 들면, 액티브화된 BWP가 하나인 경우, 이 BWP에 대응되는 하나의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설정된다. 액티브화된 BWP가 복수인 경우(예를 들면, 어느 BWP가 15 kHz이고, 다른 BWP가 60 kHz 등), 이들의 BWP 각각에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설정된다.
도 4에서는, BWP1에 대해 인액티비티-타이머 1이 설정되어 있으며, BWP2에 대해 인액티비티-타이머 2가 설정되어 있다. 동일한 도에서는, 인액티비티-타이머 1, 2가 타이머 카운트를 수행하고 있는 시간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어느 타이머도 소정 시간의 만료 전에 대응되는 BWP가 스케줄링되어 있다.
설정(configure)된 인액티비티-타이머는, 액티브화된 BWP에 있어서의 데이터 채널의 이용 완료(송신 또는 수신의 완료)로부터의 시간의 경과를 측정한다. 측정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만료)되기까지 BWP가 스케줄링된 경우, 인액티비티-타이머의 측정은 중지되고, 측정 시간은 리셋된다.
측정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까지 BWP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인액티비티-타이머가 소정 시간의 만료가 된 경우), 대응되는 BWP는 비액티브화된다(유저단말은 대응되는 BWP를 비액티브화한다).
〈옵션 1-1a〉
옵션 1-1a에서는, 디폴트 옵션 1-1에 비해, 디폴트 BWP(초기 BWP)를, 다른 BWP와 구별한 액티브화/비액티브화 제어가 수행된다. 또한, 옵션 1-1a에서는, 상기 옵션 1-1과 마찬가지로 액티브화된 BWP마다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설정(configure)된다. 액티브화된 BWP가 복수인 경우, 이들의 BWP 각각에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설정된다.
초기 BWP(initial BWP)이란, 유저단말이 초기 액세스(예를 들면, 동기 처리 등)를 수행했을 때에 이용된 주파수 대역폭으로 규정된다. 예를 들면, 초기 BWP는, 초기 액세스가 수행된 PDCCH, CORESET의 대역폭으로 규정된다.
디폴트 BWP(default BWP)란, 미리 디폴트로서 지정된 BWP를 의미한다. 디폴트 BWP는, 초기 액세스 후에 무선기지국(네트워크)으로부터의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에 의해 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되어도 좋다. 초기 액세스 후에 네트워크로부터 디폴트 BWP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유저단말은, 상기 초기 BWP를 디폴트 BWP로서 설정한다.
또, 디폴트 BWP는,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정보(예를 들면, DCI)에 의해, 동적으로 설정(configure) 또는 변경되어도 좋다. 디폴트 BWP는, 유저단말 고유, 또는 복수의 유저단말을 포함하는 그룹마다 설정(configure)되어 있어도 좋으며, 셀 또는 캐리어마다 설정(configure)되어도 좋다.
액티브화된 BWP가, 디폴트 BWP(경우에 따라서는 초기 BWP와 같은 BWP)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이며, 측정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까지 BWP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대응되는 BWP는 비액티브화된다(유저단말은 대응되는 BWP를 비액티브화한다).
옵션 1-1a에서는, 디폴트 옵션 1-1에 비해, 디폴트 BWP 및 초기 BWP를, 다른 BWP와 구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액티브화된 BWP가, 디폴트 BWP이며, 대응되는 인액티비티-타이머의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기까지 액티브화된 BWP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디폴트 BWP는 비액티브화되어도 좋다.
디폴트 BWP가 비액티브화된 경우, 디폴트 BWP 이외의, 액티브화되어 있는 BWP도 비액티브화해도 좋다. 이로 인해, 유저단말에 설정(configure)되어 있는 복수의 BWP 전부를 비액티브화해도 좋다. 예를 들면, 디폴트 BWP가 비액티브화된 경우, 다른 BWP를 액티브화해 둘 필요가 없다고 하여 비액티브화의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유저단말에 있어서, BWP의 모니터링에 걸리는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단말이, 간헐 수신 제어, 이른바 DRX(Discontinuous Reception) 제어의 상태가 된다. 이 경우, DRX 인액티비티-타이머를, 상기 디폴트 BWP의 인액티비티-타이머에 이용해도 좋다. 한편, DRX 인액티비티-타이머와 디폴트 BWP의 인액티비티-타이머를 병존하여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각 타이머에 다른 만료 시간을 설정(configure)해도 좋다.
또한, 디폴트 BWP와, 그 이외의 BWP에서, 인액티비티-타이머에 설정(configure)되는 소정 시간을 다르게 해도 좋다.
〈옵션 1-1b〉
옵션 1-1b에서는, 디폴트 BWP에 대해서는, 대응되는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설정(configure)되지 않는다. 즉, 디폴트 BWP에 대해서는, 항상 액티브화되어 있다.
디폴트 BWP 이외의 BWP에 대해서는,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설정(configure)된다. 따라서, 디폴트 BWP 이외의 BWP에 대해서는, 상기 옵션 1-1의 제어와 같아도 좋다.
디폴트 BWP가 설정(configure)되어 있지 않은 경우, 초기 BWP가 항상 액티브화되어도 좋다. 또는, 디폴트 BWP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초기 BWP를 항상 액티브화하고, 디폴트 BWP에 대해 인액티비티-타이머를 마련해도 좋다. 또, 디폴트 BWP와 초기 BWP가 다른 BWP를 나타내는 경우, 양방의 BWP를 항상 액티브화해도 좋다.
〈옵션 1-2: 셀/캐리어마다의 타이머 설정〉
옵션 1-2에서는,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서빙 셀/캐리어마다 설정(configure)된다. 복수의 BWP가 액티브화되어 있는 경우, 이들의 BWP에서 공통의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설정(configure)된다.
도 5에서는, BWP1, 2에 대해 공통의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다. 공통의 인액티비티-타이머는, BWP1, 2의 쌍방의 데이터 채널이 이용되고 있지 않은 시간을 계측(카운트)하고 있다. 동일한 도에서는, 인액티비티-타이머가 타이머 카운트를 수행하고 있는 시간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소정 시간의 만료 전에 BWP1, 2의 어느 하나가 스케줄링되어 있다.
공통의 인액티비티-타이머의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기까지 액티브화된 복수의 BWP의 어느 것도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이들의 액티브화된 복수의 BWP는 비액티브화된다. 이로 인해, 액티브화된 복수의 BWP 전부가 비액티브화된다.
또한, 액티브화된 복수 BWP에 대해, 모든 BWP가 소정 시간을 경과하기까지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복수의 BWP를 비액티브화해도 좋다.
〈옵션 1-3: BWP의 그룹화〉
옵션 1-3에서는, BWP를 그룹화하여 BWP 그룹을 규정하고, BWP 그룹마다 인액티비티-타이머를 설정(configure)한다. BWP의 그룹화는, 유저단말에 설정(configure)된 복수의 BWP에 대해 그룹화하는 것이어도 좋다. 혹은, 셀 또는 캐리어 내에서 설정(configure)되어 있는 복수의 BWP에 대해 그룹화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BWP 그룹은, 예를 들면, TAG(Timing Advanced Group) 인액티비티-타이머와 같이 취급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1 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한 DL/UL 통신이 수행되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액티비티-타이머를 이용함으로써, 설정(configure)된 복수의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 통신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적절한 비액티브화 제어에 의해, 유저단말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형태에서는, 하향 링크 통신에 대해 설명했지만, 하향 링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옵션을 상향 링크 통신에 적용해도 좋다.
또, 유저단말은, 타이머에 설정되는 시간(소정 시간, 만료 시간)을,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신호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정보는, 미리 유저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시간을 특정하는 인덱스여도 좋다.
(제2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형태에서는, 디폴트 BWP가 설정되고,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설정(configure)된 복수의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의 제어가 수행된다. 이하, 이 디폴트 BWP의 구성/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제2 형태에서는, 이하의 옵션 2-1, 2-2의 제어가 수행된다. 또한, 각 제어는, 유저단말마다 다르게 수행되어도 좋으며, 셀/캐리어마다 다르게 수행되어도 좋다.
〈옵션 2-1: 단일의 디폴트 BWP의 설정〉
옵션 2-1에서는, 소정의 서빙 셀/캐리어마다, 하나의 디폴트 BWP가 미리 설정된다. 유저단말은, 액티브화된 모든 BWP에 대응되는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소정 시간을 만료한 경우, 액티브화된 상기 BWP를 디폴트 BWP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액티브화된 BWP에 디폴트 BWP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유저단말은, 액티브화된 모든 BWP를 비액티브화하고, 비액티브화되어 있던 디폴트 BWP를 액티브화한다. 한편, 액티브화된 BWP에 디폴트 BWP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디폴트 BWP 이외의 BWP를 비액티브화한다.
〈옵션 2-2: 복수의 디폴트 BWP의 설정〉
옵션 2-2에서는, 소정의 서빙 셀/캐리어마다, 복수의 디폴트 BWP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유저단말에 설정(configure)되어 있는 복수의 BWP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디폴트 BWP의 어느 하나에 대응지어져 있다(결합되어 있다).
유저단말은, 액티브화된 BWP에 대응되는 인액티비티-타이머가 소정 시간을 만료한 경우, 액티브화된 상기 BWP를 대응되는 디폴트 BWP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액티브화된 BWP를 비액티브화하고, 비액티브화되어 있던 대응의 디폴트 BWP를 액티브화한다. 이로 인해, 유저단말은, 복수의 BWP의 액티브화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유저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BWP와, 복수의 디폴트 BWP와의 대응짓기는 1대1이어도 좋다. 또, 상기 〈옵션 1-3〉의 BWP 그룹과 조합하여, BWP 그룹 각각에 대해 하나의 디폴트 BWP를 대응지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2 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한 DL/UL 통신이 수행되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빙 셀/캐리어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디폴트 BWP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설정(configure)된 복수의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 통신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적절한 비액티브화 제어에 의해, 유저단말은, 필요 최저한의 BWP에 대해 모니터하면 좋으며,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형태에서는, 하향 링크 통신에 대해 설명했지만, 하향 링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옵션을 상향 링크 통신에 적용해도 좋다.
또, 유저단말은,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BWP와, 하나 또는 복수의 디폴트 BWP(또는 초기 BWP)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신호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정보는, 미리 유저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대응을 특정하는 인덱스여도 좋다.
(제3 형태)
다음으로 제3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형태에서는, 서빙 셀/캐리어마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BWP(이하, 'UL BWP')와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BWP(이하, 'DL BWP')에서 페어링이 규정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설정(configure)된 복수의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상기 페어링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이하, 이 UL/DL의 BWP의 구성/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제3 형태에서는, 이하의 옵션 3-1∼3-3의 제어가 수행된다. 또한, 각 제어는, 유저단말마다 다르게 수행되어도 좋으며, 셀/캐리어마다 다르게 수행되어도 좋다.
〈옵션 3-1〉
옵션 3-1에서는, 복수의 DL BWP와 복수의 UL BWP가 1대1 대응으로 페어링된다. 이 경우, 유저단말은, 복수의 DL BWP가 액티브화되어 있는 경우, 이들의 DL BWP에 대응되는 복수의 UL BWP가 액티브화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의 쌍방에서, 복수의 BWP를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되게 된다.
유저단말은, DL BWP에 관련하는 PDSCH이 스케줄링된 경우, DL BWP에 페어링된 UL BWP에서 HARQ-ACK를 송신한다. 또, UL BWP에 관련하는 PUSCH이 스케줄링된 경우, UL 그랜트는, UL BWP에 페어링된 DL BWP에서 유저단말로 보내진다.
〈옵션 3-1a〉
옵션 3-1a에서는, 상기 〈옵션 3-1〉의 경우와 페어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DL BWP에 대해 하나의 UL BWP가 페이링된다.
복수의 DL BWP에 대응되는 복수의 PDSCH이 스케줄링된 경우, 이들 복수의 PDSCH의 HARQ-ACK는, 페어링된 하나의 UL BWP의 PUCCH/PUSCH에 다중된다.
〈옵션 3-1b〉
옵션 3-1b에서는, 복수의 DL BWP에 대해 복수의 UL BWP가 페어링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DL BWP에 대응되는 복수의 PDSCH이 스케줄링된 경우, 이들 복수의 PDSCH의 HARQ-ACK는, 대응되는 복수의 UL BWP의 PUCCH/PUSCH에 다중된다.
〈옵션 3-2〉
옵션 3-2에서는, 상기 〈옵션 3-1a〉의 경우와 같은 페어링을 상정한다. 단, 여기서는, 하향 링크에 있어서 액티브화된 복수의 DL BWP에 대해, 페어링된 하나의 UL BWP만이 상향 링크에서 액티브화된다. 이로 인해, 유저단말에서는, 하향 링크에서 복수의 BWP가 액티브화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향 링크에서는 하나의 BWP만을 액티브화하면 된다.
따라서, 복수의 DL BWP에 대응되는 복수의 PDSCH이 스케줄링된 경우, 이들 복수의 PDSCH의 HARQ-ACK는, 페어링된 UL BWP이며, 상향 링크에서 유일 액티브화되어 있는 UL BWP의 하나의 PUCCH/PUSCH에 다중된다.
〈옵션 3-3〉
옵션 3-3에서는, 상기 〈옵션 3-1b〉의 경우와 같은 페어링을 상정한다. 단, 여기서는, 하향 링크에 있어서는 하나의 DL BWP만이 액티브화된다. 한편, 상향 링크에 있어서는, 이 DL BWP에 대해, 페어링된 복수의 UL BWP가 액티브화된다.
따라서, 유일 액티브화된 DL BWP에 대응되는 PDSCH이 스케줄링된 경우, 이 PDSCH의 HARQ-ACK는, 페어링된 UL BWP인 복수의 UL BWP에 다중된다. 또한, 상향 링크에 있어서 액티브화된 유일한 UL BWP 이외의 UL BWP는, 서플리멘터리 상향 링크(SUL: Supplementary Uplink)에 있어서 이용된다.
서플리멘터리 상향 링크에서는, 상향 링크 송신만을 수행하는 캐리어가 서포트된다. 서플리멘터리 상향 링크에서는, 유저단말에는, 같은 셀에서, 하나의 하향 링크를 수행하기 때문에, 2개의 상향 링크가 설정(configure)된다.
이상 설명한 제3 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한 DL/UL 통신이 수행되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BWP와,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BWP와의 사이에서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를 결합시켜, 설정(configure)된 복수의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 통신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유저단말은, DL BWP와 UL BWP와의 페어링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신호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정보는, 미리 유저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페어링을 특정하는 인덱스여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상기 각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각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어도 좋으며, 조합하여 적용되어도 좋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면, 20 MHz)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은, SUPER 3G, LTE-A(LTE-Advanced), IMT-Advanced, 4G, 5G, FRA(Future Radio Access), NR(New RAT) 등이라 불려도 좋다.
도 6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1)은, 매크로 셀(C1)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1)과, 매크로 셀(C1) 내에 배치되고, 매크로 셀(C1)보다도 좁은 스몰 셀(C2)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2a-12c)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매크로 셀(C1) 및 각 스몰 셀(C2)에는, 유저단말(20)이 배치되어 있다. 셀 간에 다른 수비학이 적용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수비학이란, 서브 캐리어 간격,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길이, 1 전송 시간 간격(TTI) 당 심벌 수, TTI의 시간 길이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또, 슬롯은, 유저단말이 적용하는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여도 좋다. 슬롯 당 심벌 수는,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규정되어도 좋다.
유저단말(20)은, 무선기지국(11) 및 무선기지국(12)의 쌍방에 접속할 수 있다. 유저단말(20)은,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는 매크로 셀(C1)과 스몰 셀(C2)을, CA 또는 DC에 의해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셀(CC)(예를 들면, 2개 이상의 CC)을 이용하여 CA 또는 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유저단말은, 복수의 셀로서 라이선스 밴드 CC와 언라이선스 밴드 CC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유저단말(20)은, 각 셀(캐리어)에서,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 또는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DD의 셀, FDD의 셀은, 각각, TDD 캐리어(프레임 구성 제2 타입), FDD 캐리어(프레임 구성 제1 타입)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각 셀(캐리어)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를 갖는 슬롯(TTI, 통상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롱 서브 프레임 또는 서브 프레임 등이라고도 한다), 및/또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길이를 갖는 슬롯(미니 슬롯, 쇼트 TTI 또는 쇼트 서브 프레임 등이라고도 한다)이 적용되어도 좋다. 또, 각 셀에서, 2 이상의 시간 길이의 슬롯이 적용되어도 좋다.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 GHz)으로 대역폭이 좁은 캐리어(기존 캐리어, Legacy carrier 등이라 불린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3.5 GHz, 5 GHz, 30∼70 GHz 등)으로 대역폭이 넓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와 같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각 무선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유저단말은, 하나 이상의 BWP가 설정되어도 좋다. BWP는,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된다.
무선기지국(11)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또는, 2개의 무선기지국(12) 사이)는, 유선 접속(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1) 및 각 무선기지국(12)은, 각각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고, 상위국 장치(3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또한, 상위국 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각 무선기지국(12)은, 무선기지국(11)을 통해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무선기지국(11)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매크로 기지국, 집약 노드, eNB(eNode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2)은, 국소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스몰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eNB(Home eNodeB), RRH(Remote Radio Head),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무선기지국(11 및 12)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기지국(10)이라 총칭한다.
각 유저단말(20)은, LTE, LTE-A 등의 각종 통신 방식에 대응된 단말이며, 이동 통신 단말뿐 아니라 고정 통신 단말을 포함해도 좋다. 또, 유저단말(20)은, 다른 유저단말(20)과의 사이에서 단말 간 통신(D2D)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 링크(DL)에 OFDMA(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적용되고, 상향 링크(UL)에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UL에서 OFDMA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 단말 간 통신에 이용되는 사이드 링크(SL)에 SC-FDMA을 적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DL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DL 데이터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DL 공유 채널 등이라고도 한다),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L1/L2 제어 채널 등이 이용된다. PDSCH에 의해, DL 데이터(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의 적어도 하나)가 전송된다. 또, PBCH에 의해,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전송된다.
L1/L2 제어 채널은, DL 제어 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DCCH에 의해, 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등이 전송된다. PCFICH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벌 수가 전송된다. EPDCCH은, PDSCH과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PDCCH와 마찬가지로 DCI 등의 전송에 이용된다. PHICH에 의해, PUSCH의 송달 확인 정보(A/N, HARQ-ACK, HARQ-ACK 비트 또는 A/N 코드북 등이라고도 한다)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UL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UL 데이터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UL 공유 채널 등이라고도 한다), UL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이 이용된다. PUSCH에 의해, UL 데이터(유저 데이터 및/또는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가 전송된다. PDSCH의 송달 확인 정보(A/N, HARQ-ACK) 채널 상태 정보(CSI)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는, PUSCH 또는 PUCCH에 의해, 전송된다. PRACH에 의해, 셀과의 접속 확립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기지국(1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호 처리부(1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1), 앰프부(102), 송수신부(1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0)은, UL에 있어서 '수신 장치'를 구성하고, DL에 있어서 '송신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하향 링크에 의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유저단말(2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 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유저 데이터에 관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 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레이트 매칭, 스크램블링,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및 프리코딩 처리의 적어도 하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로 전송된다. 또, 하향 제어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 및/또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안테나마다 프리코딩하여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UL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103)는 앰프부(102)에서 증폭된 UL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UL 신호에 포함되는 UL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상위국 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105)는, 통신 채널의 설정, 해방 등의 호 처리, 무선기지국(10)의 상태 관리, 무선리소스의 관리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국 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접 무선기지국(10)과 신호를 송수신(백홀 시그널링)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103)는, DL 신호(예를 들면, DL 제어 신호(DL 제어 채널 또는 DCI 등이라고도 한다), DL 데이터 신호(DL 데이터 채널 또는 DL 데이터 등이라고도 한다), 및, 참조 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UL 신호(예를 들면, UL 제어 신호(UL 제어 채널 또는 UCI 등이라고도 한다), UL 데이터 신호(UL 데이터 채널 또는 UL 데이터 등이라고도 한다), 및, 참조 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예를 들면, MAC CE 및/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103)는,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하여 DL/UL 통신을 수행해도 좋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기지국(1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제어부(301)와, 송신신호 생성부(302)와, 맵핑부(303)와, 수신신호 처리부(304)와, 측정부(30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01)는, 무선기지국(1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302)에 의한 DL 신호의 생성, 맵핑부(303)에 의한 DL 신호의 맵핑, 수신신호 처리부(304)에 의한 UL 신호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복조 등) 및 측정부(305)에 의한 측정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데이터 채널(DL 데이터 채널 및/또는 UL 데이터 채널을 포함)의 스케줄링을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DL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단위가 되는 시간 단위(예를 들면, 슬롯)에 있어서의 심벌마다 전송 방향을 제어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1)는, 슬롯 내의 DL 심벌 및/또는 UL 심벌을 나타내는 슬롯 포맷 관련 정보(SFI)의 생성 및/또는 송신을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하나 이상의 BWP가 설정(configure)하고, 설정된 BWP를 이용하여, 유저단말(20)과의 사이에서, TDD(시분할 이중통신) 또는 FDD(주파수 분할 이중통신)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하여 DL/UL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유저단말에 있어서, 타이머(예를 들면, 인액티비티-타이머)를 이용한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제1 형태), 제어부(301)는, 타이머에 설정되는 시간(소정 시간, 만료 시간)을,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신호로 통지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정보는, 미리 유저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시간을 특정하는 인덱스여도 좋다.
유저단말에 있어서 폴백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제2 형태), 제어부(301)는, 유저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BWP와, 하나 또는 복수의 디폴트 BWP(또는 초기 BWP)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신호로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정보는, 미리 유저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대응을 특정하는 인덱스여도 좋다.
유저단말에 있어서, 페어링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제3 형태), 제어부(301)는, DL BWP와 UL BWP와의 페어링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신호로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정보는, 미리 유저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페어링을 특정하는 인덱스여도 좋다.
제어부(3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DL 신호(DL 데이터(채널), DCI, DL 참조 신호,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생성하여, 맵핑부(303)로 출력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할 수 있다.
맵핑부(303)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된 DL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103)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맵핑부(303)는, 제어부(301)에 의해 결정되는 배치 패턴을 이용하여, 참조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로 맵핑한다.
맵핑부(3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유저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UL 신호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및 복호의 적어도 하나 등)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 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305)로 출력해도 좋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305)는, 예를 들면,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또는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에 기초하여, UL의 채널 품질을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301)로 출력되어도 좋다.
〈유저단말〉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단말(20)은, MIMO 전송을 위한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애플리케이션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유저단말(20)은, UL에 있어서 '송신 장치'를 구성하고, DL에 있어서 '수신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각각 앰프부(202)에서 증폭된다. 각 송수신부(203)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 DL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F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DL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205)는, 물리 레이어 및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한편, UL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는, 재송 제어 처리(예를 들면, HARQ의 처리), 채널 부호화, 레이트 매칭, 펑쳐,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IFFT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어 각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UCI(예를 들면, DL 신호의 A/N, 채널 상태 정보(CSI), 스케줄링 요구(SR)의 적어도 하나 등)에 대해서도, 채널 부호화, 레이트 매칭, 펑쳐, DFT 처리 및 IFFT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어 각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201)로부터 송신된다.
또, 송수신부(203)는, DL 신호(예를 들면, DL 제어 신호(DL 제어 채널 또는 DCI 등이라고도 한다), DL 데이터 신호(DL 데이터 채널 또는 DL 데이터 등이라고도 한다), 및, 참조 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또, 송수신부(203)는, UL 신호(예를 들면, UL 제어 신호(UL 제어 채널 또는 UCI 등이라고도 한다), UL 데이터 신호(UL 데이터 채널 또는 UL 데이터 등이라고도 한다), 및, 참조 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203)는,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예를 들면, MAC CE 및/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 정보)를 수신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203)는, 캐리어 내에서 주파수 방향으로 설정된 UL용 주파수 대역 및 DL용 주파수 대역을 갖는 DL/UL 주파수 대역 페어(DL/UL BWP 페어)를 이용하여, TDD(시분할 다중 이중통신)에서 신호 및/또는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203)는,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하여 DL/UL 통신을 수행해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할 수 있다. 또, 송수신부(2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단말(2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제어부(401)와, 송신신호 생성부(402)와, 맵핑부(403)와, 수신신호 처리부(404)와, 측정부(40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01)는, 유저단말(2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4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에 의한 UL 신호의 생성, 맵핑부(403)에 의한 UL 신호의 맵핑, 수신신호 처리부(404)에 의한 DL 신호의 수신 처리 및 측정부(405)에 의한 측정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401)는, 하나 이상의 BWP가 설정(configure)하고, 설정된 BWP를 이용하여, 무선기지국(10)과의 사이에서, TDD(시분할 이중통신) 또는 FDD(주파수 분할 이중통신)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BWP를 이용하여 DL/UL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예를 들면, 액티브화된 BWP에 있어서의 데이터 채널의 이용 완료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는 제어(인액티비티-타이머(Inactivity-timer)를 이용한 제어), 디폴트(또는 초기) BWP로 전환하는 제어(폴백 제어), DL/UL 사이의 BWP의 페어링 제어, 또는, 이들의 제어 중 2개 이상을 조합한 제어로,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수행해도 좋다.
타이머를 이용한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제어부(401)는, 제1 형태에서 설명된 각 옵션에 따라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폴백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제어부(401)는, 제2 형태에서 설명된 각 옵션에 따라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페어링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제어부(401)는, 제3 형태에서 설명된 각 옵션에 따라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타이머를 이용한 제어에서는, 제어부(401)는, 타이머에 설정되는 시간(소정 시간, 만료 시간)을,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신호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정보는, 미리 유저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시간을 특정하는 인덱스여도 좋다.
폴백 제어에서는, 제어부(401)는, 유저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BWP와, 하나 또는 복수의 디폴트 BWP(또는 초기 BWP)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신호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정보는, 미리 유저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대응을 특정하는 인덱스여도 좋다.
페어링 제어에서는, 제어부(401)는, DL BWP와 UL BWP와의 페어링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유저단말 앞으로의 하향 제어 신호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정보는, 미리 유저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페어링을 특정하는 인덱스여도 좋다.
제어부(401)는, 캐리어 내에서 주파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2개의 액티브화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향 링크 통신 및/또는 하향 링크 통신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203)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액티브화된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 후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상기 액티브화된 주파수 대역에 공통 또는 개별로 상기 경과 시간을 계측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상기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내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 링크 통신 및/또는 하향 링크 통신을 수행하도록 액티브화/비액티브화를 제어해도 좋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는,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와 페어링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401)는,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한 ACK/NACK의 할당을, 상기 페어링에 기초하여 수행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UL 신호, DL 신호의 재송 제어 정보를 생성(예를 들면, 부호화, 레이트 매칭, 펑쳐, 변조 등)하여, 맵핑부(4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할 수 있다.
맵핑부(4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DL 신호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및 복호의 적어도 하나 등)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제어부(401)에 의해 결정되는 배치 패턴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DL 데이터 채널을 복조해도 좋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제어부(401) 및/또는 측정부(405)로 출력해도 좋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한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L1/L2 제어 정보(예를 들면, UL 그랜트 및/또는 DL 어사인먼트) 등을,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405)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의 참조 신호(예를 들면, CSI-RS)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또한, 채널 상태의 측정은, CC마다 수행되어도 좋다.
측정부(4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등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있어도 좋다. 또,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좋으며, 처리가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그 외의 수법으로, 1 이상의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204)), 호 처리부(105) 등은, 프로세서(1001)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20)의 제어부(4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RAM(Random Access Memory),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CD-ROM(Compact Disc ROM) 등),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또는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을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송수신 안테나(101(201)), 앰프부(102(202)), 송수신부(103(203)), 전송로 인터페이스(106) 등은, 통신장치(1004)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도 11에 도시하는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로 실장되어도 좋다.
(변형 예)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용어 및/또는 본 명세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또는 심벌은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라 약칭할 수도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의해 파일럿(Pilot), 파일럿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셀, 주파수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기간(프레임)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각 기간(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여도 좋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등)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여도 좋다. 또,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로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은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또는 TTI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이 각 유저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및/또는 송신전력 등)를,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 시간 단위여도 좋으며, 스케줄링 및/또는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는, 통상 TTI(LTE Rel. 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또는 롱 서브 프레임 등이라 불려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또는 쇼트 서브 프레임 등이라 불려도 좋다.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서브 캐리어(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또, RB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 TTI의 길이어도 좋다. 1 TTI, 1 서브 프레임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 당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소정의 인덱스로 지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수식 등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개시한 것과 달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파라미터 등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 정보, 신호 등은, 상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 및/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신호 등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로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신호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신호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은, L1/L2(Layer 1/Layer 2) 제어 정보(L1/L2 제어 신호), L1 제어 정보(L1 제어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Connection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또, MAC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로 통지되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시적으로(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또는 다른 정보의 통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true) 또는 위(false)로 표현되는 진위 값(boolean)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또는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eNB', 'gNB',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및 '컴포넌트 캐리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및 '단말'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단말 간(D2D: Device-to-Device)의 통신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발명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기능을 유저단말(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 및/또는 '하향'은, '사이드'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은, 무선기지국으로 대체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단말(20)이 갖는 기능을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기지국 이외의 1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판단(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판단(결정)'은,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즉, '판단(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인 것이라도, 논리적인 것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또는 프린트 전기 접속을 사용함으로써,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또는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의 전자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Claims (6)

  1. 액티브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BWP))을 이용하여 상향 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송신부;
    상기 상향 링크 송신을 위해, 상향 링크 캐리어에 있어서의 액티브한 제1 BWP와, 상향 링크 송신만을 서포트하는 캐리어인 서플리멘털(supplemental)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액티브한 제2 BWP를 이용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는, 초기 BWP로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고 액티브화되는 단말.
  2. 액티브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BWP))를 이용하여 상향 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공정;
    상기 상향 링크 송신을 위해, 상향 링크 캐리어에 있어서의 액티브한 제1 BWP와, 상향 링크 송신만을 서포트하는 캐리어인 서플리멘털(supplemental)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액티브한 제2 BWP를 이용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는, 초기 BWP로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고 액티브화되는, 단말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
  3. 액티브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BWP))을 이용하여 상향 링크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상향 링크 신호의 수신을 위해, 상향 링크 캐리어에 있어서의 액티브한 제1 BWP와, 상향 링크 송신만을 서포트하는 캐리어인 서플리멘털(supplemental)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액티브한 제2 BWP를 이용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는, 초기 BWP로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단말에 설정되고 액티브화되는, 기지국.
  4. 단말과 기지국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액티브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BWP))을 이용하여 상향 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송신부;
    상기 상향 링크 송신을 위해, 상향 링크 캐리어에 있어서의 액티브한 제1 BWP와, 상향 링크 송신만을 서포트하는 캐리어인 서플리멘털(supplemental)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액티브한 제2 BWP를 이용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기지국은,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상향 링크 신호의 수신을 위해,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를 이용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는, 초기 BWP로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단말에 설정되고 액티브화되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207017606A 2017-12-27 2017-12-27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564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47136 WO2019130524A1 (ja) 2017-12-27 2017-12-27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438A KR20200102438A (ko) 2020-08-31
KR102564966B1 true KR102564966B1 (ko) 2023-08-09

Family

ID=6706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606A KR102564966B1 (ko) 2017-12-27 2017-12-27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403763A1 (ko)
EP (1) EP3735062B1 (ko)
JP (1) JP7254714B2 (ko)
KR (1) KR102564966B1 (ko)
CN (1) CN111567111B (ko)
WO (1) WO2019130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2571B (zh) * 2018-01-08 2021-01-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部分带宽维护的方法和设备
ES2929855T3 (es) 2018-01-09 2022-12-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rocedimientos de capa física y de MAC en un dispositivo inalámbrico
CN110035480B (zh) * 2018-01-11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去激活bwp的方法、设备及***
WO2019143146A1 (en) * 2018-01-17 2019-07-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
US11297674B2 (en) * 2018-02-14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s at a user equipment
CN112737740A (zh) * 2018-04-04 2021-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定时器的方法和装置
JP7332635B2 (ja) * 2018-06-21 2023-08-23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帯域幅部分処理方法、端末機器およびネットワーク機器
CN110635878B (zh) * 2018-06-22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命令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10830200B (zh) * 2018-08-09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带宽部分处理方法及装置
US11310723B2 (en) * 2018-09-26 2022-04-19 Ofinno, Llc Bandwidth part and uplink carrier switching
US11646856B2 (en) * 2018-10-19 2023-05-0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Timing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329501B (zh) * 2018-12-06 2023-05-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US11647460B2 (en) * 2018-12-26 2023-05-09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power sav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JP7394145B2 (ja) * 2019-03-29 2023-12-0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イドリンク通信のための制御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20294569A1 (en) * 2019-08-14 2022-09-15 Sony Group Corporatio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se station device
CN116491201A (zh) * 2021-01-11 2023-07-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管理多播和广播通信中的传输指示的***和方法
JPWO2022254673A1 (ko) * 2021-06-03 2022-12-08
WO2023097621A1 (zh) * 2021-12-02 2023-06-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检测、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1177B2 (en) * 2009-05-04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feedback information for multi-carrier operation
JP6105211B2 (ja) * 2012-05-11 2017-03-29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9485774B2 (en) * 2014-02-28 2016-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fficient transmission of stand-alone aperiodic CSI reporting for LTE carrier aggregation
EP2941063B1 (en) * 2014-04-29 2017-11-01 NTT Docomo, Inc. Macro-Cell Assisted Small Cell Discovery and Activation
WO2016010001A1 (ja) * 2014-07-15 2016-01-2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非アクティブ化タイマ制御方法
US20160050667A1 (en) * 2014-08-18 2016-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on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CN107079440A (zh) * 2014-11-06 2017-08-18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无线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CN112996006B (zh) * 2014-11-07 2024-01-19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控制通信设备的过程的集成电路
CN106031286B (zh) * 2015-01-28 2019-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移动通信***实现lbt的基站、用户设备及方法
JP2016219896A (ja) * 2015-05-14 2016-12-2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1788
3GPP R1-1712427
3GPP RP-172703
3GPP RP-172760*
3GPP TS38.213 v2.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438A (ko) 2020-08-31
EP3735062B1 (en) 2024-01-24
WO2019130524A1 (ja) 2019-07-04
JP7254714B2 (ja) 2023-04-10
EP3735062A1 (en) 2020-11-04
CN111567111B (zh) 2024-05-14
JPWO2019130524A1 (ja) 2020-12-17
CN111567111A (zh) 2020-08-21
US20200403763A1 (en) 2020-12-24
EP3735062A4 (en)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966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7121053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20200252180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7248594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KR102456057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7129742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7160835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1915929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200154428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9186724A1 (ja) 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
US11343063B2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WO2019021488A1 (ja) ユーザ端末、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7254860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1919369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50486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3528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30930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3528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8736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AU2017439398B2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9142326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8735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8736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