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662B1 -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662B1
KR102564662B1 KR1020210067196A KR20210067196A KR102564662B1 KR 102564662 B1 KR102564662 B1 KR 102564662B1 KR 1020210067196 A KR1020210067196 A KR 1020210067196A KR 20210067196 A KR20210067196 A KR 20210067196A KR 102564662 B1 KR102564662 B1 KR 102564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ion
generating
negative ions
water vapor
neg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174A (ko
Inventor
이경희
조성천
Original Assignee
이경희
조성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조성천 filed Critical 이경희
Priority to KR102021006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6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는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생성 공간(11); 생성 공간(11)의 아래쪽에 형성되면서 음이온 출구(121)가 형성된 방출 테두리(12); 생성 공간(11)의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분무시키는 분무 출구(143); 공기의 일부로부터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음이온 생성 모듈(15); 음이온 생성 모듈(15)에서 생성된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분무 출구(143) 또는 음이온 출구(121)로 유도하는 공급 조절 모듈(1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An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Integrated with an Air Sterilization}
본 발명은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배출되는 수증기에 음이온이 포함되거나 또는 주변 환경으로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증기를 발생시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전자제품에 해당하는 가습기는 초음파 방식으로 작동되거나, 스팀 발생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가습기에 의하여 실내 습도가 조절되는 과정에서 또는 생환 환경 자체의 조건으로 인하여 공기 중에 다양한 형태의 세균 또는 박테리아가 부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습기의 작동과 함께 이와 같은 세균 또는 박테리아가 함께 제거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특허등록번호 10-2015884는 액상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증기와 함께 플라즈마를 방출시킴으로써 방출된 공간에 대한 습도 조절은 물론 살균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플라즈마 발생기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9-0122939는 플라즈마의 멸균 기능을 이용하여 가습기 수조의 미생물 등 균류 살균 및 부패 방지를 통하여 청정의 가습 증기를 방출하는 플라즈마-멸균 가습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은 플라즈마가 증기와 함께 방출되는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만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의 살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라즈마는 독립적으로 생성되어 주변 환경으로 방출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가진 가습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등록번호 10-2015884(주식회사 플라리트 외, 2019.08.30. 공고) 플라즈마 발생기를 포함하는 가습기 선행기술2: 특허공개번호 10-2019-0122939(광운대학교 산학합력단, 2019.10.31. 공개) 플라즈마-멸균 가습기
본 발명의 목적은 음이온 발생기에 의하여 생성된 음이온이 방출되는 수증기에 포함되거나, 주변으로 직접 방출되어 습도 조절과 함께 주변 환경의 살균이 가능한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기능은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생성 공간; 생성 공간(11)의 아래쪽에 형성되면서 음이온 출구(121)가 형성된 방출 테두리; 생성 공간의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분무시키는 분무 출구; 공기의 일부로부터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음이온 생성 모듈; 음이온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분무 출구 또는 음이온 출구로 유도하는 공급 조절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음이온 생성 모듈은 실린더 형상의 접촉 전극; 접촉 전극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접촉 전극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유도 전극; 및 접촉 전극과 유도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무 출구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기체 입구; 음이온이 유입되는 이온 입구; 및 증기 입구 및 이온 입구와 유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수증기와 음이온이 함께 분무되는 분무 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는 수증기의 방출과 함께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방출하여 생활 환경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세균 또는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음이온을 수증기와 함께 방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초음파 가습기에서 나타나는 유해 미생물의 방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 장치는 가습 기능만 작동하거나 또는 가습 기능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음이온이 방출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지고, 이에 의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초음파 방식, 스팀 방식 또는 이와 다른 방식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장치에 적용되는 음이온 생성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 장치에 적용 가능한 분무 노즐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는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생성 공간(11); 생성 공간(11)의 아래쪽에 형성되면서 음이온 출구(121)가 형성된 방출 테두리(12); 생성 공간(11)의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분무시키는 분무 출구(143); 공기의 일부로부터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음이온 생성 모듈(15); 음이온 생성 모듈(15)에서 생성된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분무 출구(143) 또는 음이온 출구(121)로 유도하는 공급 조절 모듈(16)을 포함한다.
생성 공간(11)는 밀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물로부터 수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생성 공간(11)는 원통형, 박스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생성 공간(11)의 내부에 적절한 수위(WL)로 물이 채워질 수 있고, 초음파 진동 수단 또는 가열 수단과 같은 수증기의 생성을 위한 생성 수단(13)에 의하여 수증기 또는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 수단(13)은 작동 모듈(131)에 의하여 작동되어 물로부터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은 수증기 또는 에어로졸의 발생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생성 공간(11)의 아래쪽에 방출 테두리(12)가 형성될 수 있고, 방출 테두리(12)에 음이온 출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방출 테두리(12)는 생성 공간(11)의 아래쪽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생성 공간(11)과 분리될 수 있다. 방출 테두리(12)는 생성 공간(11)의 아래쪽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생성 공간(1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방출 테두리(12)는 내부에 기체의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내부에서 유동되는 기체는 음이온 출구(121)를 통하여 방출될 수 있다. 음이온 출구(121)는 예를 들어 기체 배출이 가능한 다수 개의 슬릿 또는 홀이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생성 공간(11)의 위쪽에 분무 출구(143)가 형성될 수 있고, 분무 출구(143)은 유동 커넥터(142)와 연결되고, 유동 커넥터(142)의 아래쪽에 유도 관(141)이 위치할 수 있다. 생성 공간(11)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 또는 에어로졸은 유도 관(141)에 의하여 유동 커넥터(142)에 유동될 수 있고, 유동 커넥터(142)에서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와 함께 분무 출구(143)를 통하여 가습 환경으로 배출되어 가습 기체(V0)로 배출되어 주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습 기체(VO)는 생성 공간(11)에서 생성된 수증기와 음이온 생성 모듈(15)에 의하여 생성된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는 음이온 생성 모듈(15)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음이온 생성 모듈(15)은 독립된 모듈 형태로 만들어져 가습기의 내부에 배치되어 다른 구성과 연결되거나, 가습기의 내부에 빌트인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음이온 생성 모듈(15)은 플라즈마 챔버(PC)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플라즈마 챔버(PC)는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플라즈마 챔버(PC)의 한쪽 부분에 필터 입구(F)가 형성될 수 있고, 필터 입구(F)를 통하여 주변 공기(AI)가 플라즈마 챔버(PC)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 입구(F)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부직포 필터, 활성탄 필터, 헤파 필터 또는 이와 유사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입구(F)를 통하여 플라즈마 챔버(PC)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음이온 생성 모듈(15)을 통과하면서 플라즈마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음이온 생성 모듈(15)은 서로 분리된 전극 판 및 방전 침을 포함할 수 있고, 주변 기체(AI)가 음이온 생성 모듈(15)을 통과하면서 일부 공기가 플라즈마 또는 음이온으로 변할 수 있다. 필터 입구(F)의 맞은 편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유동 팬(18)이 형성될 수 있고, 유도 팬(18)에 의하여 생성된 음이온을 포함하는 공기가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플라즈마 챔버(PC)에 음이온의 유동을 위한 음이온 유동 관(P)이 연결될 수 있고, 음이온 유동 관(P)에 의하여 음이온이 공급 조절 모듈(16)로 유동될 수 있다. 공급 조절 모듈(16)은 방향 조절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 조절 모듈(16)에 의하여 음이온이 분무 출구(143)로 또는 음이온 출구(121)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 조절 모듈(16)에 제1 음이온 공급 경로(171) 및 제2 음이온 공급 경로(172)가 각각 연결되고, 제1 및 2 음이온 공급 경로(171, 172)는 다시 유동 커넥터(142) 및 방출 테두리(12)와 연결될 수 있다. 음이온 발생을 위한 장치로 독립 구조로 만들어져 가습기에 미리 형성된 공급 경로와 연결될 수 있고, 독립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또는 작동 스위치와 같은 독립 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음이온 발생 장치는 가습기의 작동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음이온 발생 장치의 작동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장치에 적용되는 음이온 생성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이온 생성 모듈(15)은 실린더 형상의 접촉 전극(151); 접촉 전극(151)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접촉 전극(151)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유도 전극(152); 및 접촉 전극(151)과 유도 전극(152)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체(153)로 이루어진다. 접촉 전극(151)은 위쪽 면과 아래쪽 면이 열린 원통 형상의 망 구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또는 이와 유사한 도전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망 구조는 예를 들어 마름모 꼴, 육각형, 팔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균일하게 배치된 형상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다각형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절단 구조가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하나의 변의 중간 부분에 분리 틈이 형성되어 플라즈마 또는 음이온의 생성 효과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원통 형상의 접촉 전극(151)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위쪽 면 및 아래쪽 면이 닫힌 밀폐 구조를 가지는 절연체(153)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전극(151)의 내부 면과 절연체(153)의 외부 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체(153)의 내부에 원통 형상의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유도 전극(152)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립 블록(154)에 접촉 전극(151), 절연체(153) 및 유도 전극(152)의 아래쪽 부분이 고정될 수 있고, 조립 블록(154)의 내부에 접촉 전극(151)과 유도 전극(152) 사이에 정해진 전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이 배치될 수 있고, 조립 블록(154)의 아래쪽에 전기 공급 단자(155)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전극(151)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방향과 수직이 되는 제2 방향으로 유입 공기(AI)가 유도되어 접촉 전극(151)에 접촉되어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음이온 방출 방향(PO)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도 2의 (나)를 참조하면,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유도 전극 벽(21a, 21b)에 의하여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유도 전극 벽(21a, 21b)은 서로 마주보면서 유입 공기(AI)를 유도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두 개의 유도 전극 벽(21a, 21b)은 절연 소재의 베이스(25)의 위쪽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안쪽 면은 입구 부분과 출구 부분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유선형 또는 이와 유사한 곡면 구조가 될 수 있다. 두 개의 유도 전극 벽(21a, 21b)의 중간 부분에 절연 블록(22)이 형성될 수 있고, 절연 블록(22)은 수직 판 형상이 되면서 유도 전극 벽(21a, 21b)에 비하여 큰 높이 및 작은 연장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전극 벽(21a, 21b)과 절연 블록(22) 사이에 방전 침(24a, 24b)이 배치될 수 있다. 방전 침(24a, 24b)은 유도 전극 벽(21a, 2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간 부분에 배치되면서 유도 전극 벽(21a, 21b)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유도 전극 벽(21a, 21b)은 절연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내부에 유도 전극 판(23a, 23b)가 배치되어 방전 침(24a, 24b)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유도할 수 있다. 방전 침(24a, 24b)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되면서 사각형상과 삼각형상이 연결된 침 몸체(241), 침 몸체(241)의 위쪽 부분으로부터 끝 부분이 날카로운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연장되는 방전 팁(242); 및 침 몸체(241)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탭(2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안정적으로 유동되도록 하면서 방전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홀(244)이 침 몸체(241)에 형성될 수 있다. 방전 팁(242)은 A로 표시된 확대 부분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마주보면서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분리 방전 팀(242a, 24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음이온 생성 모듈(15, 20)에 각각 5 내지 100 V의 크기를 가지는 펄스 형태의 전압이 인가되어 저전압 플라즈마 생성이 유도될 수 있고, 유입 공기(AI)은 음이온 생성 모듈(15, 20)을 통과하면서 음이온 공기(PO)로 방출될 수 있다. 음이온 생성 모듈(15, 2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 장치에 적용 가능한 분무 노즐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무 출구(143)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입구(32a); 음이온이 유입되는 이온 입구(32b); 및 증기 입구(32a) 및 이온 입구(32b)와 유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수증기와 음이온이 함께 분무되는 분무 팁(37)으로 이루어진다.
생성 공간에서 생성된 수증기와 음이온 발생 모듈에서 생성된 플라즈마가 각각 노즐 몸체(31)에 형성된 증기 입구(32a) 및 이온 입구(32b)로 유입될 수 있다. 노즐 모듈은 두 개의 유체를 유입시켜 분무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되는 노즐 몸체(31)의 양쪽 부분에 증기 입구(32a) 및 이온 입구(32b)가 형성될 수 있다. 증기 입구(32a)를 통하여 유입된 유입 기체(VI)는 노즐 몸체(31)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 유동 경로(33)를 통하여 유도될 수 있다. 증기 입구(32a)를 통하여 유입된 유입 이온(PI)은 유동 경로(33)의 외부 둘레 면에 형성된 경로 블록(34)에 형성된 이온 경로(341)를 따라 유동되어 결합 블록(36)에 형성된 혼합 경로(361)로 유도될 수 있다. 결합 블록(36)에 밀폐 캡(35)이 결합될 수 있고, 밀폐 캡(36)의 끝 부분에 분무 팁(3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무 팁(37)의 둘레 면을 따라 형성된 분무 틈을 통하여 음이온이 혼합된 증기가 외부로 방출되어 가습이 될 수 있다. 수증기 및 음이온은 다양한 방법으로 주변 환경으로 방출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습 장치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하우징(41)을 포함하고, 하우징(41)의 아래쪽에 음이온 발생 공간(43)이 형성될 수 있다. 음이온 발생 공간(43)에서 발생된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는 하우징(41)의 아래쪽 둘레 면에 형성된 방출 슬릿(4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음이온 발생 공간(43)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 입구(F1, F2)가 형성되어 주변 공기가 음이온 발생 공간(4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증기 발생 공간(42)에 배치된 생성 수단(13)에 의하여 발생된 수증기가 수위(WL)의 위쪽에 형성된 유도 관(141)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고, 유도 관(141)은 음이온 공급 경로(171)에 연결될 수 있다. 음이온 공급 경로(171)는 음이온 유도 관(174)에 의하여 음이온 발생 공간(43)과 연결될 수 있다. 음이온 발생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플라즈마 표시 수단(D1)에 의하여 음이온 발생 상태가 표시될 수 있고, 가습 상태 표시 수단(D2)에 의하여 가습 모듈의 작동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 모듈(45)에 의하여 장치의 전체 작동이 제어될 수 있고, 수증기의 발생을 위한 작동 모듈(46)의 작동 및 음이온의 발생을 위한 음이온 발생 모듈(47)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작동 모듈(46)에 작동 상태 유닛(461)이 설치되어 작동 모듈(46)의 작동 상태가 음이온 발생 모듈(47)로 전송될 수 있다. 음이온 발생 모듈(47)은 작동 상태 유닛(461)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이온 발생 모듈(47)의 작동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음이온 생성 데이터 모듈(48)이 형성되어 주변 환경 또는 작동 모듈(46)의 작동 상태에 따른 음이온 발생 수준을 결정하는 생성 데이터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음이온 발생 모듈(47)은 음이온 생성 데이터(48)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수증기의 발생 상태, 음이온 발생 수준 또는 주변 환경이 탐지 모듈(49)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탐지 정보가 음이온 생성 데이터 모듈(48)로 전송될 수 있다. 음이온 생성 데이터 모듈(48)은 탐지 정보에 기초하여 음이온 생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음이온 발생 모듈(47)이 작동될 수 있다. 가습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생성 공간 12: 방출 테두리
15: 음이온 생성 모듈 16: 공급 조절 모듈
32a: 증기 입구 32b: 이온 입구
37: 분무 팁
121: 음이온 출구 143: 분무 출구
151: 접촉 전극 152: 유도 전극
153: 절연체

Claims (3)

  1.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생성 공간(11);
    생성 공간(11)의 아래쪽에 형성되면서 음이온 출구(121)가 형성된 방출 테두리(12);
    생성 공간(11)의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분무시키는 분무 출구(143);
    공기의 일부로부터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음이온 생성 모듈(15);
    음이온 생성 모듈(15)에서 생성된 음이온 또는 플라즈마를 분무 출구(143) 또는 음이온 출구(121)로 유도하는 공급 조절 모듈(16)을 포함하고,
    방출 테두리(12)는 생성 공간(11)의 아래쪽에 생성 공간(11)과 분리되고 생성 공간(1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음이온 생성 모듈(15)은 실린더 형상의 접촉 전극(151); 접촉 전극(151)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접촉 전극(151)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유도 전극(152); 및 접촉 전극(151)과 유도 전극(152)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체(153)로 이루어지고, 접촉 전극(151)은 위쪽 면 및 아래쪽 면이 닫힌 밀폐 구조를 가지는 절연체(153)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접촉 전극(151)의 내부 면과 절연체(153)의 외부 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되도록 배치되고,
    분무 출구(143)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기체 입구(32a); 음이온이 유입되는 이온 입구(32b); 및 증기 입구(32a) 및 이온 입구(32a)와 유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수증기와 음이온이 함께 분무되는 분무 팁(3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67196A 2021-05-25 2021-05-25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 KR102564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196A KR102564662B1 (ko) 2021-05-25 2021-05-25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196A KR102564662B1 (ko) 2021-05-25 2021-05-25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174A KR20220159174A (ko) 2022-12-02
KR102564662B1 true KR102564662B1 (ko) 2023-08-08

Family

ID=8441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196A KR102564662B1 (ko) 2021-05-25 2021-05-25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6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873A (ja) * 2001-08-10 2003-02-26 Sharp Corp 加湿機能付き電気暖房機器
JP2005069496A (ja) * 2003-08-25 2005-03-17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1336B2 (ja) * 1997-06-16 2006-01-05 松下電工株式会社 加湿装置
KR102015884B1 (ko) 2018-03-16 2019-08-30 주식회사 플라리트 플라즈마 발생기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2117752B1 (ko) 2018-04-23 2020-06-0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멸균 가습기
KR20200094066A (ko) * 2019-09-05 2020-08-06 (주)신영에어텍 유전체 장벽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873A (ja) * 2001-08-10 2003-02-26 Sharp Corp 加湿機能付き電気暖房機器
JP2005069496A (ja) * 2003-08-25 2005-03-17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174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433B1 (ko) 이온 발생 장치 및 전기 기기
KR20120064021A (ko) 플라즈마 발생방법 및 플라즈마 발생장치
WO2016103724A1 (ja) 加湿装置
KR101913301B1 (ko) 실내환경에서 사용가능한 히드록실 라디칼을 생성 및 배출하는 공기살균장치
JP6936850B2 (ja) 放電装置および電気機器
KR101808979B1 (ko)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2564662B1 (ko) 공기 살균 기능이 결합된 가습 장치
JP5819560B1 (ja) 微粒化した液体にマイナスの電荷を帯びさせ放出する装置
JPWO2013051730A1 (ja) プラズマ発生装置
KR102015884B1 (ko) 플라즈마 발생기를 포함하는 가습기
JP5867534B2 (ja) 加湿装置
JP2015176762A (ja) 除電装置および除電ヘッド
KR20190118700A (ko) 플라즈마 이용 가습기
KR20190052191A (ko) 전기적 개질화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2005192822A (ja) 浄化方法と浄化装置
JP2014121424A (ja) 放電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清浄装置
KR102025203B1 (ko) 공기정화기능을 포함하는 가습기
KR102296602B1 (ko) 플라즈마-증기 방출 가습기
JP6641182B2 (ja) イオン風式液体気化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102186342B1 (ko) 이온 발생기
JP6512324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加湿装置
CN220193617U (zh) 基于雾化液体消毒剂的高效消杀装置
JP2012075964A (ja) 洗浄器及び該洗浄器を備えた加湿装置
JP2013238385A (ja) 加湿機構
JP2012075479A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