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151B1 - Industrial Breat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ndustrial Breat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151B1
KR102563151B1 KR1020200170415A KR20200170415A KR102563151B1 KR 102563151 B1 KR102563151 B1 KR 102563151B1 KR 1020200170415 A KR1020200170415 A KR 1020200170415A KR 20200170415 A KR20200170415 A KR 20200170415A KR 102563151 B1 KR102563151 B1 KR 102563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nector
compressed air
pipe
respi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1014A (en
Inventor
최대근
정문성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아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아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아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20017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151B1/en
Publication of KR2022008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1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공구와 연결된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가 호흡기로 분기되며 안내되도록 하여,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각종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호흡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압축공기커넥터가 구비된 압축공기이송관이 단부에 구비된 압축공기저장탱크; 상기 압축공기커넥터와 탈착 결합되는 제1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제1분기이송관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제2분기이송관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커넥터가 구비된 분기관; 상기 제2커넥터에 탈착 결합되는 분무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에어이송관과, 상기 에어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분사기로 구성된 에어공구; 상기 제2분기이송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을 통하여 분기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감압시키는 정압기; 상기 정압기의 일단에 호흡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압기를 통하여 감압이 이루어진 공기를 공급받는 호흡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verges and guides the compressed air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air tool to the respiratory tract, preventing workers working in places where gas, steam, and dust are generated from exposure to various harmful substances and stable breathing It relates to an industrial air respirator that can achieve, and its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is a compressed air storage tank equipped with a compressed air transfer pipe equipped with a compressed air connector at the end; A first branch transfer pipe having a first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is provided at one end, and a second branch transfer pip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rst branch transfer pipe, and a second connecto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Equipped branch pipe; An air tool composed of an air delivery pipe having a spraying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at an end thereof, and an injector connected to the air delivery pipe to receive compressed air from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 pressure regulato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to receive and depressurize the compressed air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branched through the branch pip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spira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essure regulator through a breathing pipe and supplied with air decompressed through the pressure regulator.

Description

산업용 공기 호흡기{Industrial Breathing Apparatus}Industrial Breat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산업용 공기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공구와 연결된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가 호흡기로 분기되며 안내되도록 하여,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각종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호흡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air respirator, and more particularly, by branching and guiding compressed air from a compressed air storage tank connected to an air tool to a respirator, so that workers who work in places where gas, steam, and dust are generated It relates to an industrial air respirator that prevents exposure to various harmful substances and enables stable breathing.

호흡기란, 공기통 속에 들어 있는 고압의 공기를 사용자가 숨을 쉴 수 있도록 외부의 압력과 같이 조절하며 입까지 보내주는 장비로 흔히 조절기라고도 부른다.A respirator is a device that adjusts the high-pressure air contained in the air cylinder with the external pressure so that the user can breathe and sends it to the mouth, and is often called a regulator.

이러한 호흡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공급되는 산소의 양을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으나, 스포츠 용품, 병원,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도 고압의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Such a respirator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oxygen supplied according to the purpose to be used, but the method of supplying high-pressure air to users in sports equipment, hospitals, and various industrial sites is the same.

위와 같이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장비를 산소호흡기라고 하며, 이러한 산소호흡기는 유해한 가스, 증기, 분진이 존재하는 곳에서 작업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방식에 따라, 개방식, 순환식, 산소발생식으로 나누어져 있다.Equipment capable of supplying oxygen as described above is called a respirator, and such an oxygen respirator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the worker's body in the presence of harmful gases, steam, and dust, depending on the method, open type, circulation It is divided into formula and oxygen generation formula.

예컨대, 종래에는 유해한 환경을 이는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문헌(1)에서와 같이, 공기통에 수용된 산소가 마스크로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호흡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공기호흡기가 제안된 바 있다.For example,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hat are conventionally harmful environments, as in the literature (1), an air respirator is proposed in which oxygen contained in an air box is supplied to a mask, so that a user wearing a mask can easily breathe. there is a bar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공기호흡기는 산소가 수용된 공기통을 작업자가 매거나,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지속적으로 운반하며 사용해야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ir respirator such as the document (1) had a problem in that the convenience of use was reduced because the operator had to tie the air container containing oxygen or continuously transport and use it according to the place to be used.

또한, 공기통에 수용되는 압축공기를 사용한 후에는 별도의 비용을 소비하여 공기통에 압축공기를 재충전하거나, 재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어 비용에 비하여 높은 경제적 효과를 이루기는 어렵고, 지속적인 호흡을 유지하기 힘이 들어 이에 따른, 안전성의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fter using the compressed air accommodated in the air box, there may be a problem of recharging or repurchasing compressed air in the air box by consuming a separate cost, so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high economic effect compared to the cost, and it is difficult to achieve continuous breathing.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o there is a safety problem.

또한, 공기통을 작업자가 매거나,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지속적으로 운반하며 사용해야 함으로써, 유해한 가스, 증기, 분진이 이루어지는 장소에서는 용이한 사용이 어렵고, 호흡기로 인하여 작업자의 신체 움직임이 제한을 받게 됨으로써,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cylinder must be hung by the worker or continuously transpor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place to be used, it is difficult to use it easily in a place where harmful gases, steam, and dust occur, and the movement of the worker's body is restricted due to the respiratory system.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ing work time and work cost.

그리고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작업을 이루는 작업자가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마스크와 메인탱크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And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 when the worker who makes the work separates the mask and the main tank for the convenience of work,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worker's stable breathing.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07181호(2020.09.16)(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07181 (2020.09.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용이한 호흡을 이루며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First, it enables workers who work in a place where gas, steam, and dust are generated to achieve work while achieving easy breathing.

둘째,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압축공기저장탱크의 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용이한 호흡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Second, workers who work in a place where gas, steam, and dust are generated can easily breathe by using the air i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셋째, 압축공기저장탱크의 공기가 에어공구와, 작업자가 착용하는 마스크로 분기되게 구성되어 용이한 작업을 이루면서도 작업자의 호흡이 안정적인 유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Third, the air i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is configured to branch to the air tool and the mask worn by the worker, so that the worker's breathing can be maintained stably while achieving easy work.

넷째,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의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저장탱크와 정압기의 구성을 통하여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공기저장탱크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호흡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Fourth,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storage tank and the pressure regulator connected betwee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nd the respirator, even whe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nd the respirator are separated, the worker can achieve continuous breathing using the air storage tank.

다섯째,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의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저장탱크와 정압기의 구성을 통하여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고, 호흡기 사용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Fifth,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storage tank and pressure regulator connected betwee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nd the respirator, it is possible to achieve easy use even whe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nd the respirator are separated, preventing the worker's body movement from being restricted It is possible to achieve stable work, prevent unnecessary work time and work cost from increasing due to the use of a respirator, and achieve stable use.

여섯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어, 높은 경제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Sixth,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when any one component is damaged during use, only the damaged part can be replaced and stable use can be achieved, and convenience in use can be secured accordingly, thereby securing high economic efficiency. make it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축공기커넥터가 구비된 압축공기이송관이 단부에 구비된 압축공기저장탱크; 상기 압축공기커넥터와 탈착 결합되는 제1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제1분기이송관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제2분기이송관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커넥터가 구비된 분기관; 상기 제2커넥터에 탈착 결합되는 분무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에어이송관과, 상기 에어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분사기로 구성된 에어공구; 상기 제2분기이송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을 통하여 분기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감압시키는 정압기; 상기 정압기의 일단에 호흡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압기를 통하여 감압이 이루어진 공기를 공급받는 호흡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ressed air storage tank having a compressed air transfer pipe equipped with a compressed air connector at an end; A first branch transfer pipe having a first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is provided at one end, and a second branch transfer pip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rst branch transfer pipe, and a second connecto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Equipped branch pipe; An air tool composed of an air delivery pipe having a spraying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at an end thereof, and an injector connected to the air delivery pipe to receive compressed air from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 pressure regulato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to receive and depressurize the compressed air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branched through the branch pip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spira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essure regulator through a breathing tube and supplied with air decompressed through the pressure regulator.

이때, 상기 제2분기이송관에는 상기 분기관을 통하여 정압기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공기저장탱크는 상기 제2분기이송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정압기와 연결되는 정압관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기이송관과 정압관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air storage tank for storing compressed air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through the branch pipe is further installed in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and the air storage tank is once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static pressure pipe connected to the pressure regula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ressure regulator, and a control valv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ontrol air flow between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and the static pressure pipe.

또한, 상기 압축공기커넥터와 제1커넥터 간 결합 시, 상기 압축공기이송관에서 제1분기이송관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압축공기커넥터와 제1커넥터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의 방향으로 공급된 공기는 압축공기이송관의 방향으로 재이동이 방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are coupled, the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transport pip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ranch transport pipe is transferred only when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are coupled, and the first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ir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branch transfer pipe may be prevented from re-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ed air transfer pipe.

또한, 상기 제2커넥터와 분무커넥터 간 결합 시, 상기 제2커넥터에서 에어이송관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커넥터와 분무커넥터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무커넥터의 방향으로 공급된 공기는 제2커넥터의 방향으로 재이동이 방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misting connector are coupled, the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connector to the air supply pipe is transferred only when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misting connector are coupled, and is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misting connector. The air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그리고 상기 호흡기는 상기 호흡관이 연결되는 연결공과, 상면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 구비되는 배기공과, 상기 배기공의 외측을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호흡기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공을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배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공은 호흡기의 상부 방향으로 호흡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And the respirator has a connection hole to which the respiration pipe is connected,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rim, and one end coupled to the respirator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exhaust hole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transported through the exhaust hole It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exhaust hole, and the exhaust hole may be formed to discharge air inside the respirator toward the top of the respirator.

또한, 상기 배기공에는 상기 호흡기 내측의 공기를 작업자의 눈 방향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구가 더 결합되며, 상기 공기안내구는 상기 배기공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관이 하단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삽입몸체와, 상기 체결공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guide hole for guiding the air inside the respirator toward the operator's eyes is further coupled to the exhaust hole,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inserted into the exhaust hole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guide hole,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sertion body formed with two fastening holes,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to be position-adjustable.

또한, 상기 호흡기의 내측면에는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작업자의 얼굴 테두리 부위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마스크가 더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사마스크는 상기 연결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호흡공이 형성되고, 상기 호흡공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 부위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끼움구와,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상기 끼움구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호흡공과 연통 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에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마스크와, 상기 호흡공의 내측에 탈착 결합되는 걸림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spray mask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spirator to surround the operator's face and spray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to the rim of the operator's face. It is detachably coupled to, a breathing hole is formed at the inner center, and a fitting with a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rim centered on the breathing hole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tting so as to surround the operator's face, and is coupled to the outer rim A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reathing hole is forme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guide hole, a mask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hole, and a catching net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reathing hole. can be configur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용이한 호흡을 이루며 작업을 이룰 수 있다.First, a worker who works in a place where gas, steam, or dust is generated can achieve work with easy breathing.

둘째,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압축공기저장탱크의 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용이한 호흡을 이룰 수 있다.Second, a worker who works in a place where gas, steam, or dust is generated can easily breathe by using the air i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셋째, 압축공기저장탱크의 공기가 에어공구와, 작업자가 착용하는 마스크로 분기되게 구성되어 용이한 작업을 이루면서도 작업자의 호흡이 안정적인 유지를 이룰 수 있다.Third, the air i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is configured to branch into the air tool and the mask worn by the worker, so that the worker's breathing can be maintained stably while achieving easy work.

넷째,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의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저장탱크와 정압기의 구성을 통하여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공기저장탱크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호흡을 이룰 수 있다.Fourth,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storage tank and the pressure regulator connected betwee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nd the respirator, even whe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nd the respirator are separated, the worker can achieve continuous breathing using the air storage tank.

다섯째,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의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저장탱크와 정압기의 구성을 통하여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고, 호흡기 사용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Fifth,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storage tank and pressure regulator connected betwee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nd the respirator, it is possible to achieve easy use even whe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nd the respirator are separated, preventing the worker's body movement from being restricted It can achieve stable work, prevent unnecessary work time and work cost from increasing due to the use of a respirator, and achieve stable use.

여섯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어, 높은 경제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Sixth,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when any one component is damaged during use, only the damaged part can be replaced and stable use can be achieved, and convenience in use can be secured accordingly, thereby securing high economic efficiency. can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공기 호흡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공기 호흡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산업용 공기 호흡기의 호흡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산업용 공기 호흡기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산업용 공기 호흡기의 호흡기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공기 호흡기의 분기관에서 압축공기저장탱크와 에어공구가 분리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호흡기의 배기공에 공기안내구가 결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dustrial air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ustrial air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spiratory structure of the industrial air respi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strial air respirator.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spiratory operating state of the industrial air respi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and the air tool are separated and used in the branch pipe of the industrial air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guide is coupled to the exhaust hole of the respirator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mmon or dictionary meaning, but 'the inventor must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ca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y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many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압축공기커넥터(11a)가 구비된 압축공기이송관(11)이 단부에 구비된 압축공기저장탱크(10);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탈착 결합되는 제1커넥터(21a)가 단부에 구비된 제1분기이송관(21)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21)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제2분기이송관(22)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커넥터(23)가 구비된 분기관(20); 상기 제2커넥터(23)에 탈착 결합되는 분무커넥터(31a)가 단부에 구비된 에어이송관(31)과, 상기 에어이송관(31)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분사기(32)로 구성된 에어공구(30);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분기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감압시키는 정압기(40); 상기 정압기(40)의 일단에 호흡관(5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압기(40)를 통하여 감압이 이루어진 공기를 공급받는 호흡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having a compressed air transport pipe 11 equipped with a compressed air connector 11a at an end; A first branch transfer pipe 21 having a first connector 21a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11a is provided at one end, and a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1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rst branch transfer pipe 21. A branch pipe 20 having a branch transfer pipe 22 and having a second connector 23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 air delivery pipe 31 provided at an end of a misting connector 31a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23 is connected to the air delivery pipe 31 to supply compressed air i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An air tool 30 composed of a supplied injector 32; a pressure regulator 4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to receive and depressurize the compressed air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branched through the branch pipe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spirator 50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through a breathing pipe 51 and supplied with air decompressed through the pressure regulator 40.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는 에어콤프레셔(미도시)와 연결되어 에어콤프레셔의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저장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is connected to an air compressor (not shown) and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storing air of the air compressor at a certain pressure.

또한, 이러한 압축공기저장탱크(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압축공기이송관(11)이 단부에 구비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분기관(20)과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is provided with a compressed air delivery pipe 11 at an en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a branch pipe 2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그리고 상기 분기관(2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공기이송관(11)과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이송관(1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에어공구(30)와 정압기(40)의 방향으로 분기되어 안내될 수 있게 구성된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branch pipe 20 is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to the compressed air transport pipe 11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an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mpressed air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ipe 11 is branched and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air tool 30 and the pressure regulator 4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때, 상기 분기관(20)은 구비된 제1커넥터(21a)를 통하여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도 1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제1커넥터(21a)가 결합을 이루는 경우, 상기 압축공기관(11)에서 상기 제1커넥터(21a)와 연결된 제1분기이송관(21)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제1커넥터(21a)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제1커넥터(21a)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분기이송관(21)의 방향에서 압축공기송관(11)의 방향으로는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branch pipe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11a through the provided first connector 21a, and 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 and 6,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When (11a) and the first connector (21a) form a combination, the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pipe (1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ranch transfer pipe (21)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1a) is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11a) is configured to be transferred only when the first connector (21a) is coupled, so that, 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separates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11a) and the first connector (21a), the It is configured so that air does not move from the direction of the first branch transfer pipe 21 to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ed air supply pipe 11.

이는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분기관(20)의 제1커넥터(21a)와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공기커넥터(11a)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제1분기이송관(21)의 방향에서 압축공기이송관(11)의 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압축공기저장탱크(10)와 분기관(20)을 분리한 상태에서도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even when the first connector 21a of the branch pipe 20 and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11a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are separated, the first branch By configuring so that the air does not move from the direction of the pipeline 21 to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ed air delivery pipe 11, the user can use it easily even whe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and the branch pipe 20 are separated. It is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제1분기이송관(21)은 상기 제1커넥터(21a)가 단부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분기이송관(21)과 대향 되는 타단에는 제2분기이송관(22)이 구비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정압기(40)가 상기 제2분기이송관(22)과 연결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branch transfer pipe 2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onnector 21a is provided at an end, and a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rst branch transfer pipe 21, A pressure regulator 4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또한, 상기 분기관(20)의 상면에 구비된 제2커넥터(23)는 도 1, 도 3,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에어공구(30)의 분무커넥터(31a)와 연결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2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nch pipe 20 is, as shown in FIGS. 1, 3, and 6, the atomizing connector 31a of the air tool 3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를 통하여 분기관(20)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공기가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2커넥터(23)의 구성을 통하여 에어공구(30)의 방향으로 이송되게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ir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20 through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is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through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and the It is configured to be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air tool 30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two connectors 23.

이때, 상기 에어공구(30)는 도 1, 도 3,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23)에 분무커넥터(31a)의 구성을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분무커넥터(31a)와 연결된 에어이송관(31)의 단부에는 분사기(32)가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분사기(32)를 조절하여 에어이송관(31)으로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를 분사할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 3 and 6, the air tool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23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pray connector 31a, and the spray connector 31a ) is provided with an injector 32 at the end of the air delivery pipe 31 connected to the air delivery pipe 31, so that the operator adjusts the injector 32 to inject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air delivery pipe 31.

또한, 상기 에어공구는 공기를 사용하여 작동되는 그라인더, 에어 분무기, 폐인트 분사기 등과 같이, 작업시 분진과 유해물질을 다량 발생시키는 장비 등을 말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ir tool refers to equipment tha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dust and harmful substances during operation, such as a grinder, an air sprayer, and a waste sprayer operated using air.

또한, 상기 정압기(40)는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의 단부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분기관(20)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공기를 공급받아 감압시키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sure regulator 4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to receive and depressurize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supplied to the branch pipe 20.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가 분기관(20)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경우, 이러한 공기를 정압기(40)의 내측에서 감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that is, when the compressed air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is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through the branch pipe 20, the air is depressurized inside the pressure regulator 40. It will be.

이는, 상기 정압기(40)의 구성을 통하여 압축된 공기를 감압시킴으로써, 상기 정압기(40)의 일단에 호흡관(51)을 통하여 연결된 호흡기(50)로 공기를 전달하는 경우, 작업자가 감압된 공기를 안정적으로 흡입하며 호흡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by reducing the compressed ai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when the air is delivered to the respirator 5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through the breathing tube 51, the operator uses the depressurized air It is configured to stably inhale and breathe.

또한, 상기 제2커넥터(23)와 분무커넥터(31a)가 결합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2커넥터(23)에서 에어이송관(31)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커넥터(23)와 분무커텍터(31a)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무커넥터(31a)의 방향으로 공급된 공기는 제2커넥터(23)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구성됨으로써, 도 1,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에어공구(30)를 통하여 작업을 이룬 후에,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와 분기관(20)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에어공구(30)의 방향에서 분기관(20)의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정압기(40)의 감압된 공기가 호흡기(50)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nnector 23 and the misting connector 31a are coupled, the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connector 23 in the direction of the air delivery pipe 31 is sprayed with the second connector 23. Transfer is made only when the connector 31a is coupled, and the air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mist connector 31a is configured not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3, as shown in FIGS. 1 and 3 Likewise, after the worker has completed the work through the air tool 30, even whe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and the branch pipe 20 are used separately, the branch pipe 20 in the direction of the air tool 30 It prevents air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pressure-reduced air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to be easily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respirator 50.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가 상기 에어공구(3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전달받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가 분기관(20)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정압기(40)의 감압된 공기를 호흡기(50)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작업자의 호흡을 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wants to use the air tool 30, the compressed air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can be received and used through the branch pipe 20, and the compressed air storage When the compressed air in the tank 10 is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through the branch pipe 20, the pressure-reduced air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is easily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respirator 50 to allow workers to breathe. will be able to help

한편, 도 1, 도 3,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에는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6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공기저장탱크(60)는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정압기(40)와 연결되는 정압관(61a)이 구비된 본체(61)와, 상기 본체(61)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기이송관(22)과 정압관(61a)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3, and 6,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through the branch pipe 20 is included in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An air storage tank 60 for storing air is further installed, and one end of the air storage tank 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regulator 40. A main body 61 having a pipe 61a, and a control valve 6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61 to control the air flow between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and the static pressure pipe 61a. It is composed by

이러한 구성은,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압축된 공기를 상기 공기저장탱크(60)에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압축공기저장탱크(10)와 분기관(20)의 결합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공기저장탱크(60)에 저장된 공기를 이용하여 용이한 호흡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store compressed air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through the branch pipe 20 in the air storage tank 60, so as shown in FIG. 6,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 10) and the branch pipe 20 are separat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breathe using the air stored in the air storage tank 60.

이를 통하여, 압축공기저장탱크(10)를 작업을 이루고자 하는 장소로 운반하며 사용을 이루지 않고도 편리한 호흡을 유지할 수 있어, 호흡기의 사용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arry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to the place where the work is to be performed and maintain convenient breathing without using it, thereby preventing the worker's work efficiency from falling due to the use of a respirator.

또한, 상기 호흡기(5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흡관(51)이 연결되는 연결공(52)과, 상면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 구비되는 배기공(53)과, 상기 배기공(53)의 외측을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호흡기(50)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배기공(53)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차단판(5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기공(53)은 호흡기(50)의 상부 방향으로 호흡기(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to 5, the respirator 50 includes a connection hole 52 to which the breathing pipe 51 is connected,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53 provided on the upper edge portion, and the exhaust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54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espirator 50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ball 53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exhaust hole 53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transported through the exhaust hole 53. ), and the exhaust hole 53 is form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respirator 50 is discharg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respirator 50.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정압기(40)에 연결되는 호흡관(51)이 상기 연결공(52)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공(52)으로 유입이 이루어지는 공기를 통하여 작업자가 호흡을 이루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내뱉는 공기가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호흡기(50)의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reathing tube 51 connected to the pressure regulator 4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52, and the worker breathes throug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hole 52. Even in this case, the air exhaled by the worker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spirator 50 through the exhaust hole 53.

이때,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호흡기(5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공(53)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차단판(54) 구성을 통하여, 개폐되게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숨을 내뱉는 경우에는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작업자가 숨을 내뱉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배기공(53)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전한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spirator 51 through the exhaust hole 53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54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exhaust hole 53, so that the operator When exhaling,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53, and when the worker does not exhale, external ai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rough the exhaust hole 53 and safe use can be achieved will be.

이를 통하여,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이루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호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호흡기(50)의 내측으로 작업장의 가스, 증기, 분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전한 사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is, even when the worker is working in a place where gas, steam, and dust are generated, the worker's breathing is stably performed, while preventing gas, steam, dust, etc. from the workplace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respirator 50 and safe use.

또한,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기공(53)에는 상기 호흡기(50) 내측의 공기를 작업자의 눈 방향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구(7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공기안내구(70)는 상기 배기공(53)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관(71a)이 하단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71b)이 형성된 삽입몸체(71)와, 상기 체결공(71b)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배출관(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air guide hole 70 for guiding the air inside the respirator 50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or's eyes is further coupled to the exhaust hole 53, and the air guide hole ( 70) includes an insertion body 71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71a inserted into the exhaust hole 53 at the lower en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71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astening hole 71b.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72 coupled to enable position adjustment.

이러한 구성은, 호흡기(50) 내측의 공기가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 상기 공기안내구(70)를 통하여 작업자의 눈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air inside the respirator 50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53,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or's eyes through the air guide hole 70.

이는, 호흡기(50) 내측의 공기가 배기공(53)을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 상기 삽입몸체(71)의 삽입관(71a)을 통하여 배출관(72)으로 안내됨으로써, 상기 배출관(72)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작업자의 눈 방향으로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air inside the respirator 50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53, it is guided to the discharge pipe 72 through the insertion tube 71a of the insertion body 71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72. The air to be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or's eyes.

이를 통하여, 가스, 증기, 분진 등이 발생 되는 장소에서 작업을 이루는 작업자가 보호경(미도시)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호흡기(5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보호경(미도시)의 방향으로 분사되게 구성되어, 보호경(미도시)의 렌즈(미도시)가 오염물질로 뒤덮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Through this, when a worker performing work in a place where gas, steam, dust, etc. is generated is wearing protective glasses (not show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spirator 50 is sprayed in the direction of the protective glasses (not shown). It is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lens (not shown) of the protective glasses (not shown) from being covered with contaminants.

또한, 상기 배출관(72)은 상기 삽입몸체(71)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작업을 이루고자 하는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배출관(72)의 방향을 조절하며 용이한 사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72 is coupled to the insertion body 71 so that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operator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ipe 72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to achieve the work and achieves easy use will be.

더하여, 도시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호흡기(50)의 내측면에는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공(5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작업자의 얼굴 테두리 부위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마스크(8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공기분사마스크(80)는 상기 연결공(5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호흡공(81a)이 형성되고, 상기 호흡공(81a)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 부위에는 배출공(81b)이 형성된 끼움구(81)와,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상기 끼움구(8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호흡공(81a)과 연통 되는 가이드공(82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82a)에는 복수개의 배출공(82a-1)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53)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통공(82b)이 형성된 마스크(82)와, 상기 호흡공(81a)의 내측에 탈착 결합되는 걸림망(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inner surface of the respirator 50 is installed to cover the operator's face,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52 is sprayed to the edge of the operator's face. The air injection mask 80 is further installed and configured, the air injection mask 8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52, and a breathing hole 81a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portion, and the breathing hole A fitting 81 having a discharge hole 81b formed on the rim portion centered on (81a)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tting 81 so as to surround the operator's face, and the outer rim portion has the breathing hole 81 A guide hole 82a communicating with the ball 81a is forme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82a-1 are formed in the guide hole 82a,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hole 53.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sk 82 formed with (82b) and a hooking net 83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reathing hole 81a.

이러한 구성은, 상기 호흡기(50)의 내측으로 공기분사마스크(80)를 더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호흡기(50)를 통하여 작업자가 호흡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호흡기(50)의 연결공(52)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끼움구(81)의 배출공(81b)으로 안내된 후, 마스크(82)의 가이드공(82a)으로 안내되며 배출공(82a-1)으로 분사됨으로써, 호흡기(50)를 통하여 작업자가 용이한 호흡을 이루면서도, 상기 연결공(52)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마스크(82)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서 배출되어, 작업자가 착용한 호흡기의 내측으로 작업장의 가스, 증기, 분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is configured by further coupling the air injection mask 80 to the inside of the respirator 50, so that even when the worker breathes through the respirator 50, the connection hole 52 of the respirator 50 ) After the air flowing in is guided to the outlet hole 81b of the fitting 81, guided to the guide hole 82a of the mask 82 and sprayed into the outlet hole 82a-1, the respirator ( 50), the air flowing into the connection hole 52 is discharged from the outer rim of the mask 82 formed to cover the worker's face while the worker breathes easil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vent gas, steam, dust, etc. from entering the workplace and achieve stable use.

그리고 상기 끼움구(81)의 호흡공(81a) 내측으로 걸림망(83)이 더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호흡기(50)의 연결공(52a)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불순물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망(83)의 구성을 통하여 호흡기(5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작업자의 호흡을 더욱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And, by being further provided with a hooking net 83 inside the breathing hole 81a of the fitting 81, even when there are impurities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52a of the respirator 50, the hooking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net 8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into the respirator 50 and achieve a more stable breathing of the operator.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known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claims below. It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압축공기저장탱크 11: 압축공기이송관
11a: 압축공기커넥터 20: 분기관
21: 제1분기이송관 21a: 제1커넥터
22: 제2분기이송관 23: 제2커넥터
30: 에어공구 31: 에어이송관
31a: 분무커넥터 32: 분사기
40: 정압기 50: 호흡기
51: 호흡관 52: 연결공
53: 배기공 54: 차단판
60: 공기저장탱크 61: 본체
61a: 정압관 62: 조절밸브
70: 공기안내구 71: 삽입몸체
71a: 삽입관 71b: 체결공
72: 배출관 80: 공기분사마스크
81: 끼움구 81a: 호흡공
81b: 배출공 82: 마스크
82a: 가이드공 82a-1: 배출공
82b: 통공 83: 걸림망
10: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1: compressed air transfer pipe
11a: compressed air connector 20: branch pipe
21: first branch transfer pipe 21a: first connector
22: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3: second connector
30: air tool 31: air transfer pipe
31a: spray connector 32: sprayer
40: pressure regulator 50: respiratory
51: breathing tube 52: connecting hole
53: exhaust hole 54: blocking plate
60: air storage tank 61: main body
61a: static pressure pipe 62: control valve
70: air guide hole 71: insertion body
71a: insertion tube 71b: fastening hole
72: discharge pipe 80: air spray mask
81: fitting 81a: breathing hole
81b: discharge hole 82: mask
82a: guide hole 82a-1: discharge hole
82b: through hole 83: hooking net

Claims (7)

압축공기커넥터(11a)가 구비된 압축공기이송관(11)이 단부에 구비된 압축공기저장탱크(10);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탈착 결합되는 제1커넥터(21a)가 단부에 구비된 제1분기이송관(21)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21)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제2분기이송관(22)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커넥터(23)가 구비된 분기관(20);
상기 제2커넥터(23)에 탈착 결합되는 분무커넥터(31a)가 단부에 구비된 에어이송관(31)과, 상기 에어이송관(31)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분사기(32)로 구성된 에어공구(30);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분기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감압시키는 정압기(40);
상기 정압기(40)의 일단에 호흡관(5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압기(40)를 통하여 감압이 이루어진 공기를 공급받는 호흡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호흡기(50)는
상기 호흡관(51)이 연결되는 연결공(52)과,
상면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 구비되는 배기공(53)과,
상기 배기공(53)의 외측을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호흡기(50)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배기공(53)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차단판(54)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공(53)은 호흡기(50)의 상부 방향으로 호흡기(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53)에는
상기 호흡기(50) 내측의 공기를 작업자의 눈 방향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구(70)가 더 결합되며,
상기 공기안내구(70)는
상기 배기공(53)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관(71a)이 하단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71b)이 형성된 삽입몸체(71)와,
상기 체결공(71b)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배출관(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A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having a compressed air transport pipe 11 having a compressed air connector 11a at an end thereof;
A first branch transfer pipe 21 having a first connector 21a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11a is provided at one end, and a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1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rst branch transfer pipe 21. A branch pipe 20 having a branch transfer pipe 22 and having a second connector 23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 air delivery pipe 31 provided at an end of a misting connector 31a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23 is connected to the air delivery pipe 31 to supply compressed air i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An air tool 30 composed of a supplied injector 32;
a pressure regulator 4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to receive and depressurize the compressed air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branched through the branch pipe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spirator 5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through a breathing pipe 51 and supplied with air decompressed through the pressure regulator 40,
The respirator 50 is
A connection hole 52 to which the breathing pipe 51 is connected,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53 provided on the upper edge portion,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respirator 50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exhaust hole 53,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exhaust hole 53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transported through the exhaust hole 53. (54),
The exhaust hole 53 is formed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respirator 50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respirator 50,
In the exhaust hole 53
An air guide 70 for guiding the air inside the respirator 50 toward the operator's eyes is further coupled,
The air guide 70 is
An insertion body 71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71a inserted into the exhaust hole 53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71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dustrial air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72)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71b) to be position-adjust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에는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60)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공기저장탱크(60)는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정압기(40)와 연결되는 정압관(61a)이 구비된 본체(61)와, 상기 본체(61)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기이송관(22)과 정압관(61a)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An air storage tank 60 for storing the compressed air of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10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40 through the branch pipe 20 is further installed,
The air storage tank 60 is
A main body 6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transfer pipe 22 and a static pressure tube 61a connected to the pressure regulator 40 at the other end, an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61 to Industrial air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valve (62) for controlling the air flow of the two-branch transfer pipe (22) and the static pressure pipe (61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제1커넥터(21a) 간 결합 시,
상기 압축공기이송관(11)에서 제1분기이송관(21)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제1커넥터(21a)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21)의 방향으로 공급된 공기는 압축공기이송관(11)의 방향으로 재이동이 방지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coupling between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11a and the first connector 21a,
The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transport pipe 11 to the first branch transport pipe 21 is transported only when the compressed air connector 11a and the first connector 21a are coupled, and the first branch transport pipe An industrial air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21) is configured to prevent re-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ed air delivery pipe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23)와 분무커넥터(31a) 간 결합 시,
상기 제2커넥터(23)에서 에어이송관(31)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커넥터(23)와 분무커넥터(31a)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무커넥터(31a)의 방향으로 공급된 공기는 제2커넥터(23)의 방향으로 재이동이 방지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23 and the spray connector 31a,
The air supplied from the second connector 23 in the direction of the air delivery pipe 31 is transferred only when the second connector 23 and the atomizing connector 31a are coupled, and the air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atomizing connector 31a An industrial air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ied to is configured to prevent re-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3).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50)의 내측면에는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공(5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작업자의 얼굴 테두리 부위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마스크(80)가 더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사마스크(80)는
상기 연결공(5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호흡공(81a)이 형성되고, 상기 호흡공(81a)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 부위에는 배출공(81b)이 형성된 끼움구(81)와,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상기 끼움구(8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호흡공(81a)과 연통 되는 가이드공(82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82a)에는 복수개의 배출공(82a-1)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53)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통공(82b)이 형성된 마스크(82)와,
상기 호흡공(81a)의 내측에 탈착 결합되는 걸림망(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According to claim 1,
An air spray mask 8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spirator 50 to surround the operator's face and spray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52 to the edge of the operator's face,
The air blowing mask 80 is
Fitting hole 81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52, has a breathing hole 81a formed at the inner center, and has a discharge hole 81b formed at the rim around the breathing hole 81a. and,
It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tting 81 so as to surround the operator's face, and a guide hole 82a communicating with the breathing hole 81a is formed at the outer rim portion, and a plurality of guide holes 82a are formed. A mask 82 having two exhaust holes 82a-1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82b formed in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holes 53;
Industrial air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ing net (83)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reathing hole (81a).
KR1020200170415A 2020-12-08 2020-12-08 Industrial Breathing Apparatus KR102563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15A KR102563151B1 (en) 2020-12-08 2020-12-08 Industrial Breat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15A KR102563151B1 (en) 2020-12-08 2020-12-08 Industrial Breat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014A KR20220081014A (en) 2022-06-15
KR102563151B1 true KR102563151B1 (en) 2023-08-04

Family

ID=8198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415A KR102563151B1 (en) 2020-12-08 2020-12-08 Industrial Breat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15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356Y1 (en) * 2001-04-23 2001-10-12 이정문 Air division
KR101968591B1 (en) * 2017-10-26 2019-04-15 최정일 High performance air purification mas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4291B (en) * 1995-08-23 1999-08-11 Draeger Ltd Breathing apparatus
KR20020022218A (en) * 2000-09-19 2002-03-27 정동빈 Portable respirator
KR102357561B1 (en) 2019-03-06 2022-02-04 미노언 주식회사 Filter equipment for air respira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356Y1 (en) * 2001-04-23 2001-10-12 이정문 Air division
KR101968591B1 (en) * 2017-10-26 2019-04-15 최정일 High performance air purification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014A (en)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9912A (en) Supplied air respirator system
US20080210242A1 (en) Mask-nebulizer-metered-dose-inhaler assembly
KR200466807Y1 (en) Portable Oxygenator
US4312339A (en) Device for administering an anesthetic gas
RU2010142290A (en) RESPIRATORY CIRCUIT ADAPTER AND PROXIMAL DELIVERY SYSTEM
KR20120033615A (en) Multi functional mask
US20070283951A1 (en) Mask-nebulizer assembly
US20080245370A1 (en) Oxygen mask with rebreather bag for use with pulse oxygen delivery system
US20210121649A1 (en) Portable rebreathing system with staged addition of oxygen enrichment
EP0957992B2 (en) Breathing equipment
US20170361057A1 (en) Inhalation apparatus
KR20170110791A (en) Oxygen mask
KR102563151B1 (en) Industrial Breathing Apparatus
KR101340583B1 (en) Portable Oxygen Respiratory Apparatus
KR20180027483A (en) Oxygen mask
CN111617397B (en) Independent convenient renew cartridge self-rescuer
JPS5946615B2 (en) breathing apparatus
EP1364671B1 (en) Breathing device with nebuliser
CN218572666U (en) Multifunctional chemical oxygen respirator
KR101338497B1 (en) Portable Oxygen Respiratory Apparatus
KR20160143421A (en) Oxygen mask
KR102067401B1 (en) Mask device
KR102651183B1 (en) Breath apparatus for fire fighting
KR19980043002U (en) Portable blower mask
US200700396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breathing gas to a d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