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569B1 -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569B1
KR102562569B1 KR1020210056269A KR20210056269A KR102562569B1 KR 102562569 B1 KR102562569 B1 KR 102562569B1 KR 1020210056269 A KR1020210056269 A KR 1020210056269A KR 20210056269 A KR20210056269 A KR 20210056269A KR 102562569 B1 KR102562569 B1 KR 10256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elastic
driver
dental impla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088A (ko
Inventor
서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엠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엠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엠에스티
Priority to KR102021005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5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로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에 구비되며,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삽입공(210)을 가진 삽입부(200); 및 상기 삽입공(210)의 입구 단부(220)에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310) 및 절개되지 않은 탄성부(320)를 갖는 탄성 결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200)에 임플란트가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320)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벌어진 탄성부(320)는 삽입된 임플란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Implant Driver for implanting tooth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인공 치아의 뿌리 기능을 담당하는 픽스쳐(fixture)와 잇몸 위로 노출되는 기둥 역할을 담당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로 구성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두개로 분리되어 스크류로 고정되는 분리형 임플란트 구조체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임플란트 구조체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드라이버(fixture driver)는 이러한 분리형 또는 일체형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삽입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진 임플란트 드라이버가 선행기술로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88306호의 경우 픽스쳐 식립시술용 드라이버에 관한 발명으로서,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스크류로 고정되는 분리형 임플란트에 관한것이다. 픽스쳐와 드라이버의 결합시에 픽스쳐 내부에서 지지력을 가지게 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한편, 일체형 임플란트는 분리형 임플란트의 픽스쳐와는 달리 픽스쳐와 드 라이버의 결합시 픽스쳐의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에, 종래 기술은 일체형 임플란트의 상부와 드라이버를 결합할 때에 결합 지지력을 부품간의 마찰력에 의존한다. 따라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방전가공 등의 방법으로 드라이버의 내부를 거칠게 만드는 기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마찰력으로 결합 지지력을 유지하는 기술은 사용횟수에 따라 결합 지지력이 약화되고 , 약한 결합 지지력은 임플란트를 포장에서 꺼내어 환자의 구강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지력을 잃어 임플란트를 바닥에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88306호 (2010.10.11)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임플란트를 임플란트 드라이버에 결합하기 위하여, 기존의 마찰력 방식이 아닌, 결합 지지력이 유지가능한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절개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진 삽입부; 및 상기 삽입공의 입구 단부에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 및 절개되지 않은 탄성부를 갖는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에 임플란트가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벌어진 탄성부는 삽입된 임플란트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비된 절개부는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비된 절개부는 상호 비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형상은 반원형상, 긴 반원형상, 타원형상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비된 각 절개부는 절개부의 높이가 높고 낮은 패턴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는 삽입부의 타 부분보다 두께가 더 얇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는 입구단부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더 얇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의 상부 내측에는 내부로 패인 함몰홈이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의 탄성부의 내경(Din)은, 탄성부 내면에 삽입 접촉되는 임플란트의 외경(Dout)보다 더 작아서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간섭량(Dout - Din)은 다음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0.01mm < (Dout - Din) < 1.0mm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드라이버 부분에 탄성결합부를 구비하여, 마찰력이 아닌 탄성력으로 픽스쳐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절개부의 형상과 패턴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임플란트의 탄성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탄성결합부의 두께 변화 및 함몰홈 구조 등을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탄성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나타내며, 도 1c는 드라이버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를 가진 치아 임플란트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드라이버 아래에 임플란트(어버트먼트)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내부가 보이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결합부에서 절개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결합부에서 절개부의 높이가 같은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결합부에서 절개부의 높이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a는 탄성 결합부의 두께가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6b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결합부의 두께가 입구단부쪽으로 갈수록 더 얇도록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의 각 실시예에서 함몰홈이 더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의 외경(Dout)과 탄성부의 내경(Din)에 간섭이 생기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드라이버는 분리형 임플란트 및 일체형 임플란트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마찰결합이 부적합한 일체형 임플란트에 더욱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일체형 임플란트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일체형 임플란트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형 임플란트의 픽스쳐 결합 또는 어버트먼트 결합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드라이버에 삽입되는 구성을 '임플란트'라고 통칭하는 경우도 있고, 도면에 근거하여 '어버트먼트' 또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등 구체적인 구성을 지칭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를 나타내며, 도 1c는 드라이버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를 가진 치아 임플란트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드라이버 아래에 임플란트(어버트먼트)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로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삽입부(200) 및 탄성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200)는 몸체부(100)의 일단에 구비되며,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삽입공(210)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임플란트는 분리형 구조체의 경우 어버트먼트(11) 또는 픽스쳐(12)가 해당될 것이며, 일체형 구조체의 경우 그 자체가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결합부(300)는 삽입부(200)에 속한 부분으로서, 특히 삽입공(210) 입구 쪽의 구성을 지칭한다.
탄성 결합부(300)는 삽입공(210)의 입구 단부(220)에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310) 및 절개되지 않은 탄성부(320)를 가질 수 있다.
삽입공(210)에 도 8b와 같이 임플란트(어버트먼트(11))가 강제 삽입되면, 탄성부(320)는 절개부(310)로 인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때, 벌어진 탄성부(320)는 삽입된 어버트먼트(11)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320)는 탄성력이 발생되어야 하므로,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절개부(310) 구조에 의해 탄성부(32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구조적 요인에 기인하여 탄성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탄성부(320)의 재질이 반드시 탄성 재질로 구비될 필요는 없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비된 절개부(310)는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1b 및 도 3a 참조). 또한, 복수개로 구비된 절개부(310)는 상호 비대칭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미도시). 다만, 절개부(310)가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실시예가 삽입된 어버트먼트(11)에 균일하게 탄성력을 인가하기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310)의 형상은 반원형상, 긴 반원형상, 타원형상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결합부에서 절개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며, 원통 형상인 탄성 결합부(300)를 전개도 형태로 펼쳐서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절개부(310)가 반원형상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4b는 절개부(310)가 긴 반원형상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4c는 절개부(310)가 타원형상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4d는 절개부(310)가 사각형상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4e는 절개부(310)가 삼각형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310)는 탄성부(320)가 용이하게 외측으로 잘 벌어지게 하기 위하여,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도 4a, 도 4c 및 도 4e 참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결합부에서 절개부의 높이가 같은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결합부에서 절개부의 높이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결합부에서 절개부의 높이가 같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된 각 절개부(310)는 절개부의 높이가 높고 낮은 패턴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배치되는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b의 실시예의 경우, 임플란트(어버트먼트(11))를 보다 깊이 삽입시키기 위해, 절개부(310)의 높이를 높게 구비시킨 후, 삽입된 어버트먼트(11)의 체결력을 확보하기 위해 높이가 낮은 절개부(310)도 함께 구비시키는 실시예에 해당된다.
즉, 삽입되는 어버트먼트(11) 또는 픽스쳐(12)의 형상과 요구되는 탄성 체결력 등을 고려하여,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a는 탄성 결합부의 두께가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6b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결합부의 두께가 입구단부쪽으로 갈수록 더 얇도록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결합부(300)의 탄성부(320)가 외측으로 잘 벌어지게 하기 위하여, 절개부(310)의 구성 뿐 아니라, 탄성 결합부(300)의 두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탄성 결합부(300)는 삽입부(200)의 타 부분보다 두께가 더 얇게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탄성 결합부(300) 자체도 입구 단부(220)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더 얇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b는 탄성 결합부(300)의 두께가 내면과 외면 모두 입구 단부(220) 쪽으로 경사지면서 얇게 구비되는 실시예이다. 도 6c는 탄성 결합부(300)의 외면이 입구 단부(220) 쪽으로 경사지면서 얇게 구비되는 실시예이다. 도 6d는 탄성 결합부(300)의 내면이 입구 단부(220) 쪽으로 경사지면서 얇게 구비되는 실시예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결합부(300)의 상부 내측에는 내부로 패인 함몰홈(330)이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의 각 실시예에서 함몰홈(330)이 더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함몰홈(330)이 구비되면, 임플란트(어버트먼트(11))가 삽입될 때 탄성부(320)가 더욱 용이하게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탄성부(320)의 소재가 탄성재질이 아닌 경우에 적절하게 활용가능할 것이다.
한편, 탄성 결합부(300)의 탄성부(320)의 내경(Din)은, 탄성부 내면에 삽입 접촉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11))의 외경(Dout)보다 더 작아서 간섭이 발생된다.
도 8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11))의 외경(Dout)과 탄성부의 내경(Din)이 차이에 의해, 임플란트(어버트먼트(11))가 삽입될 때 탄성부(320)와 간섭이 생기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간섭량(Dout - Din)은 다음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0.01mm < (Dout - Din) < 1.0mm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일체형 임플란트 11 : 어버트먼트
12 : 픽스쳐
100 : 몸체부 200 : 삽입부
210 : 삽입공 220 : 입구 단부
230 : 내부 안착부
300 : 탄성 결합부 310 : 절개부
320 : 탄성부 330 : 함몰홈

Claims (11)

  1. 치아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진 삽입부; 및 상기 삽입공의 입구 단부에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 및 절개되지 않은 탄성부를 갖는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에 임플란트가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벌어진 탄성부는 삽입된 임플란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며,
    상기 탄성 결합부는 입구단부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더 얇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비된 절개부는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비된 절개부는 상호 비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형상은 반원형상, 긴 반원형상, 타원형상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비된 각 절개부는 절개부의 높이가 높고 낮은 패턴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는 삽입부의 타 부분보다 두께가 더 얇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의 상부 내측에는 내부로 패인 함몰홈이 링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의 탄성부의 내경(Din)은, 탄성부 내면에 삽입 접촉되는 임플란트의 외경(Dout)보다 더 작아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간섭량(Dout - Din)은 다음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관계식] 0.01mm < (Dout - Din) < 1.0m
KR1020210056269A 2021-04-30 2021-04-30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KR10256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269A KR102562569B1 (ko) 2021-04-30 2021-04-30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269A KR102562569B1 (ko) 2021-04-30 2021-04-30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088A KR20220149088A (ko) 2022-11-08
KR102562569B1 true KR102562569B1 (ko) 2023-08-01

Family

ID=8404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269A KR102562569B1 (ko) 2021-04-30 2021-04-30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5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880B1 (ko) * 2016-11-01 2018-03-15 유종윤 드라이버 비트용 그리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9513A5 (ko) * 1986-07-07 1989-03-31 Maillefer Auguste Sa
US5944525A (en) * 1997-03-11 1999-08-31 Ura; Robert S. Dental impla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
KR100453726B1 (ko) * 2002-05-18 2004-10-26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KR100988306B1 (ko) 2008-11-11 2010-10-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픽스쳐 식립시술용 드라이버
KR20140062212A (ko) * 2012-11-14 2014-05-23 김형우 인공치아 고정체 시술용 드라이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880B1 (ko) * 2016-11-01 2018-03-15 유종윤 드라이버 비트용 그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088A (ko)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97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928654B1 (ko)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및 그 제조 방법
US9855119B2 (en) Dental implant fixture
KR0119187B1 (ko) 에노살 임플란트
JP201004615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20020110784A1 (en) Snap-in healing cap and insertion tool
KR20050042220A (ko)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KR101261541B1 (ko)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RU2637612C2 (ru) Набор дл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KR20070112075A (ko) 치과 임플란트의 분리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치과보철물의 제조방법
CN101621970A (zh) 牙齿植入体、基台结构和用于植入牙齿植入体的方法
US20080091208A1 (en) Implant
JP2010274103A (ja) 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リムーバー
JP2018079067A (ja) 歯根インプラント
KR102562569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US10507086B2 (en) Dental prosthesis with threaded crown on post and core
KR20190002347U (ko) 픽스쳐 재활용 가능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0059372A (ko) 인공치아 식립용 임플란트 구조체
KR10231560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JP2010252902A (ja) インプラント
KR20180009101A (ko) 임플란트 유닛
EP4364691A1 (en) Implant fixture for reducing periodontitis
KR200243870Y1 (ko)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KR102208556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20160008322A (ko) 임플란트 보철물의 고정스크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