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111B1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111B1
KR102561111B1 KR1020170166106A KR20170166106A KR102561111B1 KR 102561111 B1 KR102561111 B1 KR 102561111B1 KR 1020170166106 A KR1020170166106 A KR 1020170166106A KR 20170166106 A KR20170166106 A KR 20170166106A KR 102561111 B1 KR102561111 B1 KR 10256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layer
case
electrolyte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6410A (en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111B1/en
Publication of KR2019006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4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1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동방지 테이프의 유동방지층이 팽창률이 다른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므로, 전극조립체와 케이스 사이의 간격이 크더라도, 유동방지 테이프가 팽창되어 전극 조립체를 케이스 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동에 따른 저항성 증가를 억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삽입되는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전해액과 반응시 부피가 팽창하는 유동 방지 테이프 및,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케이스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유동 방지 테이프는 전해액과 반응시 부피가 팽창하는 유동방지층을 적어도 두층 포함하고, 두 개의 층인 유동 방지층의 팽창률은 서로 상이한 이차전지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hat the anti-flow layer of the anti-flow tape is composed of two layers having different expansion rates, so even if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se is large, the anti-flow tape expands and the electrode Since the assembly can be fixed inside the case, an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flow is suppress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e having a space therein, an electrode assembly inserted into the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 flow prevention tape tha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expands in volume when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a case It includes a cap plate coupled to the top to seal the case, and the flow prevention tape includes at least two layers of flow prevention layers whose volume expands upon reaction with the electrolyte, and the expansion rates of the two layers of the flow prevention lay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isclosed is a secondary battery.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 및 이들 두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구성된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에 수납하여 형성된다. 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is formed by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two electrode plates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in a case.

또한 이차전지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전원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as power sources f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particula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rapidly expanding in terms of high operating voltage and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이러한 리튬이차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전해질 전지와 고분자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이온전지라 하고, 고분자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폴리머전지라고 한다. 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a lithium-based oxide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and a carbon material as an anode active material. In general, it is classified into a liquid electrolyte battery and a polymer electrolyte battery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and a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ion battery, and a battery using a polymer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polymer battery.

또한, 리튬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 그리고 파우치형 등이 있다. 그리고 리튬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 내에 삽입되며, 기구적/ 전기적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극 조립체의 위치가 고정될 것이 요구된다.In additio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representative shapes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 prismatic shape, and a pouch shape.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case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and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required to be fixed to ensure mechanical/electrical reliability.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방지 테이프의 유동방지층이 팽창률이 다른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므로, 전극조립체와 케이스 사이의 간격이 크더라도, 유동방지 테이프가 팽창되어 전극 조립체를 케이스 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동에 따른 저항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nti-flow layer of the anti-flow tape is composed of two layers having different expansion rates, so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se is large, the anti-flow ta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suppressing an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flow, since is expanded to fix the electrode assembly inside the ca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하여, 유동방지 테이프의 유동방지층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팽창하고, 기재층이 전해액에 용융되어 케이스의 내측에 접착되어, 유동 방지층의 팽창력과 기재층의 접착력에 의해서 전극 조립체를 케이스 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동에 따른 저항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the anti-flow layer of the anti-flow tape reacts with the electrolyte and expands, and the base layer is melted in the electrolyte and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case, so that the expansion force of the anti-flow layer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base lay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suppressing an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flow,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fixed inside the case by th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삽입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전해액과 반응시 부피가 팽창하는 유동 방지 테이프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방지 테이프는 전해액과 반응시 부피가 팽창하는 유동방지층을 적어도 두층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층인 유동 방지층의 팽창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rrounds a case having a space therein, an electrode assembly inserted into the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reacts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a flow prevention tape that expands in volume when the volume is increased, and a cap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seal the case, wherein the flow prevention tape includes at least two layers of flow prevention layers whose volume expands when reacted with an electrolyte, The expansion rates of the two layers, the anti-flow lay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유동방지층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아크릴계 바인더로 이루어진 제1유동방지층 및, 상기 제1유동방지층과 접하고,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PVDF로 이루어진 제2유동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nti-flow layer may include a first anti-flow layer made of an acrylic binder that reacts with the electrolyte and expands in volume, and a second anti-flow layer made of PVDF that contacts the first anti-flow layer and expands in volume by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

상기 제1유동 방지층은 마이크로스피어 구조의 발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ti-flow layer may further include a foaming agent having a microsphere structure.

상기 마이크로스피어 구조의 발포제는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쉘과 상기 쉘에 의해 봉지되고 탄화수소로 구성되어 전해액에 의해 팽창하는 봉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sphere-structured foaming agent may include a shell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an encapsulant made of hydrocarbons sealed by the shell and expanded by an electrolyte solution.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는 전해액과 접촉하면 접착성을 갖으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하는 최외곽면에 위치하는 기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i-flow tape has adhesiveness when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and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layer positioned on an outermo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상기 기재층은 고분자 필름으로 PS 필름 또는 OPS필름일 수 있다. The base layer is a polymer film and may be a PS film or an OPS film.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는 상기 유동방지층의 일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prevention tape is formed by coating one surface of the flow prevention layer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made of an acrylic adhesive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유동방지층은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The flow prevention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상기 전해액은 상기 전해액은 LiPF6, LiBF4, LiClO4 등의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solution may include a non-aqueous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that is a mixture of lithium salts such as LiPF6, LiBF4, and LiClO4 and high-purity organic solvents.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는 상기 유동방지층의 일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prevention tape is formed by coating one surface of the flow prevention layer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made of an acrylic adhesive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유동방지 테이프의 유동방지층이 팽창률이 다른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므로, 전극조립체와 케이스 사이의 간격이 크더라도, 유동방지 테이프가 팽창되어 전극 조립체를 케이스 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동에 따른 저항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i-flow layer of the anti-flow tape is composed of two layers having different expansion rates, even if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se is large, the anti-mobility tape expands and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fixed inside the ca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the flow.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유동방지 테이프의 유동방지층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팽창하고, 기재층이 전해액에 용융되어 케이스의 내측에 접착되어, 유동 방지층의 팽창력과 기재층의 접착력에 의해서 전극 조립체를 케이스 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동에 따른 저항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fluidity layer of the anti-fluid tape reacts with the electrolyte and expands, and the substrate layer is melted in the electrolyte and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anti-flow layer an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layer. Since it can be fixed inside the cas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flow.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종단면도, 횡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c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케이스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의 형태를 일부 확대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c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케이스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된 이후의 형태를 일부 확대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케이스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의 형태를 일부 확대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케이스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된 이후의 형태를 일부 확대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1A, 1B, 1C, and 1D are a perspective view,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ly enlarged form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1C befor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enlarged and showing the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1C after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4 befor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4 after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addition, the meaning of "connec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not only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indirectly connected by interposing member C between member A and member B.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when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specifies the presence of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or portions, but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or portions are limited by these terms. It is self-evident that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Accordingly,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in detail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는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Space-related terms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and “upper” are associated with an element or feature shown in a drawing. Used for easy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erminology related to this space is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process conditions or us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in a drawing is flipp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lower" or "below" becomes "above" or "above." Therefore, "below" is a concept encompassing "upper" or "below".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를 도시한 사시도, 종단면도, 횡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1A, 1B, 1C, and 1D are a perspective view,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케이스(110)과, 케이스(110) 내부에 수납된 전극 조립체(120)와, 전극 조립체(120)의 최외곽면에 부착된 유동방지 테이프(130) 및 케이스(110)의 상단 개구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1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A, 1B, 1C, and 1D,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0, an electrode assembly 120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and an electrode assembly. It includes a flow prevention tape 130 attached to the outermost surface of 120 and a cap assembly 140 sealing the top opening of the case 110.

상기 케이스(110)는 원형의 바닥부(111)와, 바닥부(11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측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차전지(100)는 원통형 이차전지로 도시하였으나, 각형 및 파우치형의 이차 전지에도 적용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이차전지의 형상을 원형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차전지(100)의 제조 공정 중 케이스(1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의 조립 공정 중 전극 조립체(120) 및 유동방지 테이프(130)가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11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은 스틸, 스틸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이의 등가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케이스(110)에는 전극 조립체(1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캡 조립체(140)를 중심으로 그 하부에 내부로 함몰된 비딩부(beading part)(113)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내부로 절곡된 크림핑부(crimping part)(114)가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110 includes a circular bottom portion 111 and a side portion 112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111 . Here,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shown a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but it can also be applied to prismatic and pouch-shaped secondary batteries, and the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the upper part of the case 110 is open. Therefore,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flow prevention tape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110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steel, steel alloy, aluminum, aluminum alloy, or an equivalent thereof,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ase 110 has a beading part 113 recessed into the lower part around the cap assembly 140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2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an inner beading part 113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 crimping part 114 bent into may be formed.

상기 전극 조립체(12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전해액은 상기 전극 조립체(120)를 구성하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될 수 있도록 주입되는 염을 함유한 유기 액체로서, LiPF6, LiBF4, LiClO4 등의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10 . Here, the electrolyte solution is an organic liquid containing a salt injected so that lithium ions can move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a lithium salt such as LiPF6, LiBF4, and LiClO4 and a high-purity organic solvent. It may include a non-aqueous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that is a mixture of classes.

전극 조립체(120)는 음극 활물질(예를 들면, 흑연, 탄소 등)이 코팅된 음극판(121), 양극 활물질(예를 들면, 전이금속산화물(LiCoO2, LiNiO2, LiMn2O4 등))이 코팅된 양극판(122) 및, 음극판(121)과 양극판(122) 사이에 개재되어, 음극판(121)과 양극판(122) 사이의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만 가능하게 하는 세퍼레이터(123)로 이루어진다. 음극판(121), 양극판(122) 및 세퍼레이터(123)는 대략 원기둥 형태로 권취된다. 여기서, 음극판(121)은 구리(Cu) 또는 니켈(Ni) 포일, 양극판(122)은 알루미늄(Al) 포일, 세퍼레이터(123)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위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음극판(121)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연장된 음극탭(124)이, 양극판(122)에는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양극탭(125)이 용접될 수 있으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더불어, 음극탭(124)은 구리 또는 니켈 재질, 양극탭(125)은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위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de assembly 120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plate 121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g, graphite, carbon, etc.), and a posi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g, transition metal oxide (LiCoO2, LiNiO2, LiMn2O4, etc.)) 122) and a separator 123 interpos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1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2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1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2 and to allow only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1,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2, and the separator 123 are woun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Here, the negative plate 121 may be a copper (Cu) or nickel (Ni) foil, the positive plate 122 may be an aluminum (Al) foil, and the separator 123 may be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above materials. 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4 protruding and extending downward by a certain length may be welded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1,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5 protruding upward by a certain length may be weld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2, but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4 may be made of copper or nickel,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5 may be made of aluminum, but the above materials are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극 조립체(120)의 음극탭(124)은 케이스(110)의 바닥부(111)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10)은 음극으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양극탭(125)이 케이스(110)의 바닥부(111)에 용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케이스(110)은 양극으로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4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may be welded to the bottom portion 111 of the case 110 . Accordingly, the case 110 may operate as a negative electrode. Conversely,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5 may be welded to the bottom portion 111 of the case 110, and in this case, the case 110 may operate as a positive electrode.

더불어, 케이스(110)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1홀(126a) 및 그 외측에 제2홀(126b)이 형성된 제1절연판(126)이 전극 조립체(120)와 바닥부(111)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절연판(126)은 전극 조립체(120)가 케이스(110) 중 바닥부(111)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1절연판(126)은 전극 조립체(120) 중 양극판(122)이 바닥부(111)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홀(126a)은 이차 전지의 이상에 의해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였을 경우, 가스가 상부로 신속히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제2홀(126b)은 음극탭(124)이 관통하여 바닥부(111)에 용접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전극 조립체(120)는 대략 중심에 속이 빈 원형 파이프 형태의 센터핀(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이차전지 이상시 생성된 다량의 가스가 센터핀의 내부 통로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insulating plate 126 coupled to the case 110 and having a first hole 126a in the center and a second hole 126b outside thereof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bottom portion 111. can be interposed in The first insulating plate 126 serves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20 from electrically contacting the bottom portion 111 of the case 110 . In particular, the first insulating plate 126 serves to prevent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2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from electrically contacting the bottom portion 111 . Here, the first hole 126a serves to allow the gas to quickly move upward when a large amount of gas is generated due to an abnorma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4 passes through the second hole 126b. It serves to be welded to the bottom portion 111. Additionally, a center pin (not shown) in the form of a hollow circular pipe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so that a large amount of gas generated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abnormal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passage of the center pin. there is.

또한, 케이스(110)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1홀(127a) 및 그 외측에 다수의 제2홀(127b)이 형성된 제2절연판(127)이 전극 조립체(120)와 캡 조립체(14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절연판(127)은 전극 조립체(120)가 캡 조립체(14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절연판(127)은 전극 조립체(120) 중 음극판(121)이 캡 조립체(14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홀(127a)은 이차 전지의 이상에 의해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였을 경우, 가스가 캡 조립체(140)로 신속히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제2홀(127b)은 양극탭(125)이 관통하여 캡 조립체(140)에 용접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나머지 제2홀(127b)은 전해액 주입 공정에서, 전해액이 상기 전극 조립체(120)로 신속히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해액은 충방전시 전지 내부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 이온의 이동 매체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econd insulating plate 127 coupled to the case 110 and having a first hole 127a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es 127b outside thereof is formed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cap assembly 14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plate 127 serves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20 from electrically contacting the cap assembly 140 . In particular, the second insulating plate 127 serves to prevent the negative plate 121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from electrically contacting the cap assembly 140 . Here, the first hole 127a serves to quickly move the gas to the cap assembly 140 when a large amount of gas is generated due to an abnorma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second hole 127b is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5 ) serves to penetrate and be welded to the cap assembly 140. In addition, the remaining second holes 127b serve to allow the electrolyte to quickly flow into the electrode assembly 120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process. The electrolyte serves as a moving medium for lithium ions generated by electrochemical reactions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of the battery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130)는 전극 조립체(120)의 외부 표면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전극 조립체(120)에 결합된다.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130)는 전극 조립체(120)의 외면과 케이스(110)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130)는 전해액과 접촉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유동방지층(131)과 전극 조립체(120)의 최외측의 표면에 접착되는 점착층(132)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130)는 전극 조립체(120)의 최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접착된 상태로, 케이스(11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130)는 권취된 전극 조립체(120)의 최외측 끝단을 덮도록 접착되어, 전극 조립체(120)의 끝단을 마감 및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동방지 테이프(130)는 전극 조립체(1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착될 수 있다. The flow prevention tape 130 is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coupl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20 . The flow prevention tape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 The anti-flow tape 130 includes an anti-flow layer 131 whose volume expands upo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and an adhesive layer 132 adhered to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 The movement prevention tape 13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10 while being adher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 The flow prevention tape 130 may be adhered to cover the outermost end of the rolled electrode assembly 120 to finish and fix the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 Preferably, the anti-flow tape 130 may be adher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

상기 케이스(110)내에 전해액이 유동방지 테이프(130)로 침투하면, 유동방지층(131)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팽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동방지층(131)이 팽창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측 표면에 전극 조립체(120)를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 조립체(120)의 유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When the electrolyte solution penetrates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flow prevention tape 130, the flow prevention layer 131 reacts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expands. Accordingly, since the flow prevention layer 131 can adhere and fix the electrode assembly 12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by expansion, the flow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can be reduced.

추가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도 1c에 도시한 이차전지에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의 형태를 일부 확대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3을 참조하면 도 1c에 도시한 이차전지에 전해액이 주입된 이후의 형태를 일부 확대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케이스(110)의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과 이후에 이차전지(100)의 유동방지 테이프(1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2, it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1C before the electrolyte is injected, and referring to FIG. 3,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enlargement of is show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the structure of the flow prevention tape 130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before and after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유동방지층(131)은 전극 조립체(120)에 접착된 유동방지 테이프(130)에서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최외곽면에 위치한다.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13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120)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해서, 케이스(110)의 측부(112)의 내부 단면 크기보다 더 작은 횡단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동방지 테이프(130)는 외면(130a)이 케이스(110)의 측부(112) 내면(112a)으로 부터 이격된 상태로 전극 조립체(120)가 케이스(110)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유동방지층(1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로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에는 케이스(110)의 측부(112)의 내면(112a)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First, the flow prevention layer 131 is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in the flow prevention tape 130 attach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20 . The electrode assembly 120 to which the flow prevention tape 130 is attached may have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e inner cross section size of the side portion 112 of the case 110 in order to be inserted into the case 110. . Therefore, the electrode assembly 1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with the outer surface 130a of the anti-flow tape 130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112a of the side portion 112 of the case 110. That is, as shown in FIG. 2 , the flow prevention layer 131 may maintain a spaced state from the inner surface 112a of the side portion 112 of the case 110 before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

상기 유동방지층(131)은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유동방지층(131a)과 제2유동방지층(13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유동방지층(131)은 점착층(132)에 접하는 제1유동방지층(131a)과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최외곽면에 위치하는 제2유동방지층(131b)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반대로 점착층(132)에 접하는 제2유동방지층(131b)과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최외곽면에 위치하는 제1유동방지층(131a)이 위치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서 유동방지층(131)내에서 제1유동방지층(131a)과 제2유동방지층(131b)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flow prevention layer 131 may be formed of two layers and may include a first flow prevention layer 131a and a second flow prevention layer 131b. 2 and 3, the flow prevention layer 131 includes a first flow prevention layer 131a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132 and a second flow prevention layer 131b positioned on the outermost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 but, conversely, the second flow prevention layer 131b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132 and the first flow prevention layer 131a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may be located.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and the second anti-flow layer 131b in the anti-flow layer 131 are not limited.

상기 제1유동방지층(131a)은 케이스(110) 내에 전해액이 주입되면,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윤 소재로 이루어진 필름 타입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유동방지층(131a)은 아크릴계 바인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는 케이스(110)내에 전해액이 주입되면 전해액과 반응하여 도 3과 같이 부피가 팽창되어, 제1유동방지층(131a)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first flow prevention layer 131a may be a film type made of a swelling material that expands in volume by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 More preferably,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may be made of an acrylic binder. The acrylic binder is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it reacts with the electrolyte and expands in volume as shown in FIG. 3, there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또한 제1유동방지층(131a)은 추가적으로 전해액과 반응하여 팽창하는 마이크로스피어 구조의 발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유동방지층(131a)은 아크릴계 바인더 내에 마이크로스피어스 구조의 발포제를 혼합하여 필름타입으로 형성한 층일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스피어 구조는 열가소성 수지의 쉘(shell) 내부에 전해액과 반응시 팽창이 가능한 봉지재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재는 탄화수소(Hydrocarbon)일 수 있다. 탄화수소는 소수성으로 물과 반응하지 않지만, 전해액에 대해서는 흡입력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마이크로스피어 구조는 전해액이 쉘 내부로 침투하여, 전해액이 봉지재와 반응하여 봉지재가 팽창하게 되는 매커니즘을 통해 동작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may further include a foaming agent having a microsphere structure that expands by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In this case,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may be a layer formed in a film type by mixing a foaming agent having a microsphere structure in an acrylic binder. Such a microsphere structure may be formed by providing an encapsulant capable of expanding when reacting with an electrolyte inside a shell of a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the encapsulant may be a hydrocarbon. Hydrocarbons are hydrophobic and do not react with water, but have suction power for electrolytes. Therefore, the microsphere structure of this configuration operates through a mechanism in which the electrolyte penetrates into the shell and the electrolyte reacts with the encapsulant to expand the encapsulant.

또한 상기 제2유동방지층(131b)은 케이스(110) 내에 전해액이 주입되면,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유동방지층(131b)은 PVDF(Poly Vinylidene Fluor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VDF는 케이스(110)내에 전해액이 주입되면 도 3과 같이 팽윤되어, 제2유동방지층(131b)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anti-flow layer 131b may be made of a swelling material that expands in volume by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 More preferably, the second anti-flow layer 131b may be made of PVDF (Poly Vinylidene Fluoride). Whe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the PVDF swells as shown in FIG. 3, there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nti-flow layer 131b.

예를 들어, 케이스(110) 내에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과 주입된 이후에 유동방지 테이프(130)의 유동방지층(131)의 두께 변화 및 팽창률의 실험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For example,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hange in thickness and the expansion rate of the anti-flow layer 131 of the anti-flow tape 130 before and after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are shown in Table 1 below.

전해액 주입 전 두께(㎛)Thickness before electrolyte injection (㎛) 전해액 주입 후 두께(㎛)Thickness after electrolyte injection (㎛) 팽창률rate of expansion AA 제1유동방지층1st anti-flow layer 4040 8888 89%89% 제2유동방지층Second anti-flow layer 2525 3535 BB 제1유동방지층1st anti-flow layer 4040 6060 46%46% 제2유동방지층Second anti-flow layer 2525 3535

여기서 실험 결과1(A)는 제1유동방지층(131a)내에 아크릴계 바인더만 포함할 경우이고, 실험 결과2(B)는 제1유동방지층(131a)내에 아크릴계 바인더와 발포제를 모두 포함할 경우이다. Here, experiment result 1 (A) is a case in which only an acrylic binder is included in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and experiment result 2 (B) is a case in which both an acrylic binder and a foaming agent are included in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상기 표 1과 같이 제1유동방지층(131a)과 제2유동방지층(131b)은 모두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에 비해서 전해액이 주입된 이후에 그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유동방지층(131a)은 아크릴계 바인더 내에 발포제가 포함될 경우에 비해서, 아크릴계 바인더만 있을 경우가 팽창률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동방지층(131)은 제1유동방지층(131a)내에 발포제의 유무에 따라서 팽창률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극 조립체(120)와 케이스(110)의 이격 거리에 따라 유동방지 테이프(130)에 발포제의 포함 여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thickness of both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and the second anti-flow layer 131b increases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compared to before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xpansion rate of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is higher when only the acrylic binder is present than when the foaming agent is included in the acrylic binder. Since the expansion rate of the anti-flow layer 13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aming agent in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the foaming agent is applied to the anti-flow tape 130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case 110. You can choose whether or not to include it.

또한 실험 결과1(A)을 보면, 제1유동방지층(131a)은 팽창률이 120%를 가지고 제2유동방지층(131b)은 팽창률이 40%를 갖는다. 또한 실험결과 2(B)을 보면, 제1유동방지층(131a)은 팽창률이 50%를 가지고 제2유동방지층(131b)은 팽창률이 40%를 갖는다. 즉, 유동방지층(131)은 팽창률이 서로 상이한 두 개의 층인 제1유동방지층(131a)과 제2유동방지층(131b)을 포함한다.Also, in Experiment Result 1 (A),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has an expansion rate of 120% and the second anti-flow layer 131b has an expansion rate of 40%. In addition, looking at Experimental Result 2(B), the first anti-flow layer 131a has an expansion rate of 50% and the second anti-flow layer 131b has an expansion rate of 40%. That is, the anti-flow layer 131 includes a first anti-flow layer 131a and a second anti-flow layer 131b, which are two layers having different coefficients of expansion.

상기와 같이 하여, 유동방지 테이프(130)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12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할 경우, 전해액과 반응하여 팽창률이 상이한 유동방지층(131)이 팽창하여 전극 조립체(120)를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동에 따른 저항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nti-moisture tape 130 is used and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the anti-moisture layer 131 having a different expansion rate reacts with the electrolyte and expands, thereby placing the electrode assembly 120 in a case ( 110) Since it can be fixed inside, the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flow can be suppressed.

상기 점착층(132)은 유동방지층(131)의 일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2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32)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필름타입의 유동방지층(131)상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EMA(poly ethyl methacrylate) 또는 PBMA(poly butyl methacrylate)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132 is formed by coating one surface of the flow prevention layer 131 and may be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 The adhesive layer 132 may be formed by applying an acrylic adhesive on the anti-flow layer 131 of the film type. The acrylic adhesive may be selected from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poly ethyl methacrylate (PEMA), or poly butyl methacrylate (PBMA).

상기 점착층(132)은 유동방지층(131)상에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다양한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층(132)은 점착제를 나이프 코팅에 의해 0.5 내지 10㎛의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점착제의 코팅방법과 코팅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adhesive layer 132 may be coated in various thicknesses on the anti-flow layer 131 by various known methods.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32 may be coated with an adhesive to a thickness of 0.5 to 10 μm by knife coat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ating method and coating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상기 캡 조립체(140)는 다수의 관통홀(141d)이 형성된 캡 업(cap-up)(141), 캡 업(141)의 하부에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143), 안전 플레이트(143)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링(145), 연결링(145)에 결합되고 제1,2관통홀(146a,146b)이 형성된 캡 다운(cap-down)(146), 캡 다운(146)의 하부에 고정되어 양극탭(12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서브 플레이트(147), 그리고 캡 업(141) 및 안전 플레이트(143), 연결링(145) 및 캡 다운(146)을 케이스(110)의 측부(111)로부터 절연시키는 절연 가스켓(148)을 포함한다. The cap assembly 140 includes a cap-up 141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1d, a safety plate 143 installed under the cap-up 141, and a lower portion of the safety plate 143. An installed connection ring 145, a cap-down 146 coupled to the connection ring 145 and having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46a and 146b formed therein, and a positive electrod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p-down 146 The sub plate 147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b 125, the cap up 141 and the safety plate 143, the connection ring 145 and the cap down 146 are removed from the side 111 of the case 110. It includes an insulating gasket 148 for insulation.

여기서, 절연 가스켓(148)은 실질적으로 케이스(110)의 측부(111)에 형성된 비딩부(113)와 크림핑부(114)의 사이에 압착된 형태를 한다. 또한, 상기 캡 업(141)에 형성된 관통홀(141d)과, 상기 캡 다운(146)에 형성된 관통홀(146b)은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이상 내압 발생시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러한 내압에 의해 우선 안전 플레이트(143)가 상부 방향으로 반전되면서 서브 플레이트(147)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이후 안전 플레이트(143)가 찢어지면서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방출된다.Here, the insulation gasket 148 is substantially compressed between the beading portion 113 and the crimping portion 114 formed on the side portion 111 of the case 110 .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141d formed in the cap up 141 and the through hole 146b formed in the cap down 146 play a role of discharging internal gas to the outside when abnormal internal pressure occurs inside the case 110. do. Of course, firstly, the safety plate 143 is inverted upward due to this internal pressure and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sub plate 147, and then the safety plate 143 is torn to release internal gas to the outside.

더불어,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전해액(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주액되어 있으며, 이는 충방전시 전지 내부의 음극판(121) 및 양극판(122)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 이온이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해액은 LiPF6, LiBF4, LiClO4 등의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 또는 고분자 전해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electrolyte (not shown)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and lithium ions generated by electrochemical reactions in the negative plate 121 and the positive plate 122 inside the battery mov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play an enabling role. The electrolyte may include either a non-aqueous organic electrolyte or a polymer electrolyte, which is a mixture of lithium salts such as LiPF6, LiBF4, and LiClO4, and high-purity organic solvents.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케이스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의 형태를 일부 확대 도시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케이스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된 이후의 형태를 일부 확대 도시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lso, referring to FIG. 5,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enlarged and showing the shape befor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4 is shown. Referring to FIG. 6,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4 is shown.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enlarged and showing the shape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s shown.

이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이차전지(200)의 사시도, 종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는 도 1a, 도 1b 및 도 1d에 도시된 이차전지(100)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이차전지(200)는 케이스(110), 전극 조립체(120) 및 캡 조립체(140)의 구성은 도 1a, 도 1b 및 도 1d에 도시된 이차전지(100)와 동일할 수 있다. As such, a perspective view,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200 shown in FIG. 4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shown in FIGS. 1A, 1B, and 1D. That is, in the secondary battery 200 shown in FIG. 4, the case 110,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cap assembly 14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ondary battery 100 shown in FIGS. 1A, 1B, and 1D. can do.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a, 도 1b, 도 1d,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차전지(200)의 유동방지 테이프(230)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Therefor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A, 1B, 1D, 4, 5, and 6, the flow prevention tape 230 of the secondary battery 200 will mainly be described.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230)는 전극 조립체(120)의 외부 표면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전극 조립체(120)에 결합된다.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230)는 전극 조립체(120)의 외면과 케이스(110)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230)는 전해액과 접촉하면 접착성을 갖는 기재층(231), 전해액과 접촉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유동방지층(232)과 전극 조립체(120)의 최외측의 표면에 접착되는 점착층(233)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230)는 전극 조립체(120)의 최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접착된 상태로, 케이스(11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230)는 권취된 전극 조립체(120)의 최외측 끝단을 덮도록 접착되어, 전극 조립체(120)의 끝단을 마감 및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동방지 테이프(230)는 전극 조립체(1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착될 수 있다. The flow prevention tape 230 is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coupl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20 . The flow prevention tape 230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 The anti-moisture tape 230 is adhered to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231 having adhesiveness when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the anti-flow layer 232 whose volume expands when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assembly 120. Layer 233 is included. The movement prevention tape 23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10 while being adher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 The flow prevention tape 230 may be adhered to cover the outermost end of the rolled electrode assembly 120 to finish and fix the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 Preferably, the anti-flow tape 230 may be adher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23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120)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해서, 케이스(110)의 측부(112)의 내부 단면 크기보다 더 작은 횡단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동방지 테이프(230)는 외면(230a)이 케이스(110)의 측부(112) 내면(112a)으로 부터 이격된 상태로 전극 조립체(120)가 케이스(110)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유동방지층(23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로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에는 케이스(110)의 측부(112)의 내면(112a)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120 to which the movement prevention tape 230 is attached may have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e inner cross section size of the side portion 112 of the case 110 in order to be inserted into the case 110. . Therefore, the electrode assembly 120 of the anti-flow tape 2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with the outer surface 230a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112a of the side portion 112 of the case 110. That is, as shown in FIG. 5 , the flow prevention layer 232 may maintain a spaced state from the inner surface 112a of the side portion 112 of the case 110 before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

상기 케이스(110)내에 전해액이 유동방지 테이프(230)로 침투하면, 기재층(231)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성을 갖고, 유동방지층(232)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팽창하고 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동방지층(232)이 팽창하고 기재층(231)이 접착력을 갖게 되어, 케이스(110)의 내측 표면에 기재층(231)이 접착되고, 유동방지층(232)의 팽창에 의해서 전극 조립체(120)를 밀착하여 고정하여, 유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When the anti-flow tape 230 penetrates the electrolyte into the case 110, it has adhesiveness to at least a part of the substrate layer 231, and the anti-flow layer 232 reacts with the electrolyte and expands. Accordingly, the anti-flow layer 232 expands and the substrate layer 231 has adhesive strength, so that the substrate layer 231 i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and the electrode is expanded by the anti-flow layer 232. By fixing the assembly 120 in close contact, it is possible to reduce flow.

먼저, 기재층(231)은, 전극 조립체(120)에 감싸진 이후 케이스(110)와 접하는 최외곽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기재층(231)은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기재층(21)은 전해액과의 접촉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어 부분적으로 점착성을 갖는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분자 필름은 전해액과의 접촉시 전해액 중 카보네이트계 용매가 고분자와 고분자 사이에 침투하여 필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켜 점착성을 갖는 필름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필름은 전해액과 접촉하면 전해액 중 카보네이트계 용매가 고분자와 고분자 사이에 침투하면서 필름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고분자는 필름 제조과정에서 부여된 방향성을 잃으면서 수축되고, 그 수축된 부분은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방향성이라 함은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1축연신, 2축연신 또는 압축을 포함한다. First, the substrate layer 231 may be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ase 110 after being wrapped around the electrode assembly 120 . That is, the base layer 231 may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 The base layer 21 is formed of a polymer film having at least a part melted by contact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nd partially having adhesiveness. That is, the polymer film is a film having adhesiveness by melting at least a part of the film by infiltrating between the polymer and the polymer when the carbonate-based solvent in the electrolyte is contacted with the electrolyte. For example, when the polymer film comes into contact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the carbonate-based solvent in the electrolyte penetrates between the polymers and melt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m, and thus the polymer shrinks while losing the orientation imparted during the film manufacturing process, The constricted portion may have tackiness. Here, directionality includes uniaxial stretching, biaxial stretching, or compression appli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film using a resin.

상기한 바와 같이 기재층(231)의 적어도 일부가 점착성을 나타낼 때 상기 점착성을 갖는 기재층(231)은 그 표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점착성을 갖는 기재층(231)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된다.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된 부분은 케이스(110)의 내면에 접촉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점착성을 갖는 기재층(231)에서 부분적으로 두께가 증가한 부분들은 전극 조립체(120)와 케이스(110)의 내부 표면 사이가 점착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2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t least a part of the base layer 231 exhibits adhesiveness,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31 having adhesiveness is irregularly formed as shown in FIG. 6 .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layer 231 having adhesiveness is thicker than at least other portions. The thicker portion than the other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 Accordingly, the partially increased thickness of the base layer 231 having adhesiveness helps to firmly fix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by adhesive for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20 from flowing inside the case 110 .

상기 고분자 필름은 전해액과의 접촉에 의하여 점착성을 갖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간의 거리가 넓어 전해액 중 카보네이트계 용매의 침투가 용이한 폴리스틸렌(PS),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 나이트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필름으로 PS(polystyrene)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좋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OPS(oriented polystyrene)필름이 좋다. The polymer film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adhesiveness due to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Preferably, a film of polystyrene (PS), polyamide, polyacrylonitrile, polyvinyl alcohol, polycarbonate, or polyethylene vinyl acetate, which has a wide distance between polymers and is easily penetrated by a carbonate-based solvent in an electrolyte, may be used. More preferably, a PS (polystyrene) film is preferably used as the polymer film, and an oriented polystyrene (OPS) film is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상기 전해액은 고분자 필름의 방향성을 풀어 줄 수 있는 비수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보네이트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보네이트계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DMC, DEC 및 DPC 등과 같은 무극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카보네이트계 유기용매는 폴리스틸렌과 같이 고분자간의 거리가 있는 형태의 고분자 사이에 용이하게 침투하여 고분자 방향성을 쉽게 풀어준다. The electrolyt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ontains a non-aqueous organic solvent capable of releasing the orientation of the polymer film.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bonate system is included. Examples of the carbonate system include dimethyl carbonate (DMC), diethyl carbonate (DEC), dipropyl carbonate (DPC), methylpropyl carbonate (MPC), ethylpropyl carbonate (EPC), methylethyl carbonate (MEC), ethylene carbonate (EC), Any one of propylene carbonate (PC) and butylene carbonate (BC) may be included. Particularly preferably, non-polar organic solvents such as DMC, DEC, and DPC are included. This carbonate-based organic solvent easily penetrates between polymers having a distance between the polymers, such as polystyrene, and easily releases the orientation of the polymers.

상기 유동방지층(232)은 전극 조립체(120)에 접착된 유동방지 테이프(230)에서 기재층(231)과 점착층(33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층(232)은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유동방지층(232a)과 제2유동방지층(23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유동방지층(232)은 점착층(233)에 접하는 제1유동방지층(232a)과 기재층(231)에 접하는 제2유동방지층(232b)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반대로 점착층(233)에 접하는 제2유동방지층(232b)과 기재층(231)에 접하는 제1유동방지층(232a)이 위치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서 유동방지층(232)내에서 제1유동방지층(232a)과 제2유동방지층(232b)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flow prevention layer 232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ase layer 231 and the adhesive layer 333 in the flow prevention tape 230 attach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20 . The flow prevention layer 232 may be formed of two layers and may include a first flow prevention layer 232a and a second flow prevention layer 232b. 5 and 6, the anti-flow layer 232 is shown as a first anti-flow layer 232a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233 and a second anti-flow layer 232b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layer 231, but on the contrary, the adhesive layer ( A second flow prevention layer 232b in contact with 233 and a first flow prevention layer 232a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layer 231 may be posi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and the second anti-flow layer 232b in the anti-flow layer 232 are not limited.

상기 제1유동방지층(232a)은 케이스(110) 내에 전해액이 주입되면,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유동방지층(232a)은 아크릴계 바인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는 케이스(110)내에 전해액이 주입되면 전해액과 반응하여 도 6과 같이 부피가 팽창되어, 제1유동방지층(232a)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may be made of a swelling material that expands in volume by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 More preferably,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may be made of an acrylic binder. The acrylic binder is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it reacts with the electrolyte and expands in volume as shown in FIG. 6, there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또한 제1유동방지층(232a)은 추가적으로 전해액과 반응하여 팽창하는 마이크로스피어 구조의 발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유동방지층(232a)은 아크릴계 바인더 내에 마이크로스피어스 구조의 발포제를 혼합하여 필름타입으로 형성한 층일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스피어 구조는 열가소성 수지의 쉘(shell) 내부에 전해액과 반응시 팽창이 가능한 봉지재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재는 탄화수소(Hydrocarbon)일 수 있다. 탄화수소는 소수성으로 물과 반응하지 않지만, 전해액에 대해서는 흡입력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마이크로스피어 구조는 전해액이 쉘 내부로 침투하여, 전해액이 봉지재와 반응하여 봉지재가 팽창하게 되는 매커니즘을 통해 동작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may further include a foaming agent having a microsphere structure that expands by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In this case,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may be a layer formed in a film type by mixing a foaming agent having a microsphere structure in an acrylic binder. Such a microsphere structure may be formed by providing an encapsulant capable of expanding when reacting with an electrolyte inside a shell of a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the encapsulant may be a hydrocarbon. Hydrocarbons are hydrophobic and do not react with water, but have suction power for electrolytes. Therefore, the microsphere structure of this configuration operates through a mechanism in which the electrolyte penetrates into the shell and the electrolyte reacts with the encapsulant to expand the encapsulant.

또한 상기 제2유동방지층(232b)은 케이스(110) 내에 전해액이 주입되면,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유동방지층(232b)은 PVDF(Poly Vinylidene Fluor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VDF는 케이스(110)내에 전해액이 주입되면 도 6과 같이 팽윤되어, 제2유동방지층(232b)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anti-flow layer 232b may be made of a swelling material that expands in volume by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 More preferably, the second anti-flow layer 232b may be made of PVDF (Poly Vinylidene Fluoride). Whe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case 110, the PVDF swells as shown in FIG. 6, there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nti-flow layer 232b.

예를 들어, 케이스(110) 내에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과 주입된 이후에 유동방지 테이프(230)의 기재층(231) 및 유동방지층(232)의 두께 변화 및 팽창률의 실험 결과는 아래의 표 12과 같다. For example,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hange in thickness and expansion rate of the base layer 231 and the anti-flow layer 232 of the anti-flow tape 230 before and after the injection of the electrolyte into the case 110 are shown in Table 12 below. Same as

전해액 주입 전 두께(㎛)Thickness before electrolyte injection (㎛) 전해액 주입 후 두께(㎛)Thickness after electrolyte injection (㎛) 팽창률rate of expansion AA 제1유동방지층1st anti-flow layer 4040 8888 67%67% 제2유동방지층Second anti-flow layer 2525 3535 기재층base layer 2525 27.527.5 BB 제1유동방지층1st anti-flow layer 4040 6060 36%36% 제2유동방지층Second anti-flow layer 2525 3535 기재층base layer 2525 27.527.5

여기서 실험 결과1(A)는 제1유동방지층(232a)내에 아크릴계 바인더만 포함할 경우이고, 실험 결과2(B)는 제1유동방지층(232a)내에 아크릴계 바인더와 발포제를 모두 포함할 경우이다. Experimental result 1 (A) is the case in which only the acrylic binder is included in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and experimental result 2 (B) is the case in which both the acrylic binder and the foaming agent are included in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상기 표 2과 같이 제1유동방지층(232a)과 제2유동방지층(232b)은 모두 전해액이 주입되기 이전에 비해서 전해액이 주입된 이후에 그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유동방지층(232a)은 아크릴계 바인더 내에 발포제가 포함될 경우에 비해서, 아크릴계 바인더만 있을 경우가 팽창률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험 결과1(A)을 보면, 제1유동방지층(232a)은 팽창률이 120%를 가지고 제2유동방지층(232b)은 팽창률이 40%를 갖는다. 또한 실험결과 2(B)을 보면, 제1유동방지층(232a)은 팽창률이 50%를 가지고 제2유동방지층(232b)은 팽창률이 40%를 갖는다. 즉,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유동방지층(232)은 제1유동방지층(232a)과 제2유동방지층(232b)의 팽창률이 서로 상이하다. As shown in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thickness of both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and the second anti-flow layer 232b increases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compared to before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xpansion rate of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is higher when only the acrylic binder is present than when the foaming agent is included in the acrylic binder. In addition, in Experimental Result 1 (A),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has an expansion rate of 120% and the second anti-flow layer 232b has an expansion rate of 40%. In addition, looking at Experimental Result 2(B),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has an expansion rate of 50% and the second anti-flow layer 232b has an expansion rate of 40%. That is, in the anti-flow layer 232 composed of two layers, the expansion rates of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and the second anti-flow layer 232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유동방지층(232)은 제1유동방지층(232a)내에 발포제의 유무에 따라서 팽창률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극 조립체(120)와 케이스(110)의 이격 거리에 따라 유동방지 테이프(230)에 발포제의 포함 여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200)은 기재층(231)이 전해액에 의해서 용융되어 케이스(110) 내면에 접착되므로, 유동방지층(231)만 구비할 때에 비해서 기재층(231)을 구비하여 팽창률을 저감되지만 팽창 뿐만 아니라 접착력에 의해서 전극 조립체(120)를 케이스(110)에 내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전극 조립체(120)의 고정은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xpansion rate of the anti-flow layer 232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aming agent in the first anti-flow layer 232a, the foaming agent is included in the anti-flow tape 230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case 110. You can choose whether or not to use it. In the secondary battery 200, since the substrate layer 231 is melted by the electrolyte and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the expansion rate is reduced by providing the substrate layer 231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the anti-flow layer 231 is provided, but the expansion rate i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120 can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by adhesive force, the electrode assembly 120 can be easily fixed.

상기와 같이 하여, 유동방지 테이프(230)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12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할 경우, 전해액과 반응하여 유동방지층(232)이 팽창하고 기재층(231)의 접착력에 의해서 전극 조립체(120)를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동에 따른 저항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nti-flow tape 230 is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the anti-flow layer 232 expands by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substrate layer 231. Since 120 can be fixed inside the case 110,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flow.

상기 점착층(233)은 유동방지층(232)에서 기재층(231)과 접촉된면의 반대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2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233)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필름타입의 유동방지층(232)상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EMA(poly ethyl methacrylate) 또는 PBMA(poly butyl methacrylate)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233 is formed by being coat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layer 231 in the anti-flow layer 232, and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The adhesive layer 233 may be formed by applying an acrylic adhesive on the anti-flow layer 232 of a film type. The acrylic adhesive may be selected from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poly ethyl methacrylate (PEMA), or poly butyl methacrylate (PBMA).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goes beyo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this, anyon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100, 200; 이차전지
110; 케이스 120; 전극 조립체
130, 230; 유동방지 테이프 140; 캡 조립체
100, 200; secondary battery
110; case 120; electrode assembly
130, 230; Flow prevention tape 140; cap assembly

Claims (10)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삽입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전해액과 반응시 부피가 팽창하는 유동 방지 테이프;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방지 테이프는 전해액과 반응시 부피가 팽창하는 제1유동방지층과 제2유동방지층으로 이루어진 유동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동방지층과 상기 제2유동방지층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팽창하는 팽창률이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유동 방지층은 마이크로스피어 구조의 발포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스피어 구조의 발포제는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쉘과 상기 쉘에 의해 봉지되고 탄화수소로 구성되어 전해액에 의해 팽창하는 봉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A case having a space inside;
an electrode assembly inserted into the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 flow prevention tape tha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expands in volume when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a cap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seal the case;
The anti-flow tape includes an anti-flow layer comprising a first anti-flow layer and a second anti-flow layer, the volume of which expands when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and the expansion rate of the first anti-flow layer and the second anti-flow layer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to exp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anti-flow layer includes a microsphere-structured foaming agent, and the microsphere-structured foaming agent includes a shell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a sealing material made of hydrocarbon and expanded by an electrolyte solution sealed by the shell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b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층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아크릴계 바인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1유동방지층; 및
상기 제1유동방지층과 접하고,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PVDF로 이루어진 상기 제2유동방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i-flow layer
The first anti-flow layer further comprising an acrylic binder whose volume expands by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and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econd anti-moisture layer made of PVD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nti-moisture layer and expands in volume by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는 전해액과 접촉하면 접착성을 갖으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하는 최외곽면에 위치하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2,
The anti-flow tape has adhesiveness when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and further comprises a substrate layer located on an outermo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고분자 필름으로 PS 필름 또는 OPS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5,
The base layer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S film or OPS film as a polymer fil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는 상기 유동방지층의 일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5,
The anti-flow tape is formed by coating on one surface of the anti-flow layer and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layer made of an acrylic adhesive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층은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7,
The anti-flow layer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상기 전해액은 LiPF6, LiBF4, LiClO4 등의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lyte solution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non-aqueous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that is a mixture of lithium salts such as LiPF6, LiBF4, LiClO4 and high-purity organic solven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테이프는 상기 유동방지층의 일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i-flow tape is formed by coating on one surface of the anti-flow layer and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layer made of an acrylic adhesive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KR1020170166106A 2017-12-05 2017-12-05 Secondary battery KR1025611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106A KR102561111B1 (en) 2017-12-05 2017-12-05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106A KR102561111B1 (en) 2017-12-05 2017-12-05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410A KR20190066410A (en) 2019-06-13
KR102561111B1 true KR102561111B1 (en) 2023-07-28

Family

ID=6684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106A KR102561111B1 (en) 2017-12-05 2017-12-05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1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3235A4 (en) * 2019-12-18 2023-01-04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inorganic layer coating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4134408A4 (en) * 2020-04-06 2023-08-30 LG Energy Solution, Ltd.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220037250A (en) * 2020-09-17 2022-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630B1 (en) 2014-03-18 2015-09-14 (주)앤디포스 Waterproof tape for automobi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1951B (en) * 2012-11-16 2017-05-03 Lg化学株式会社 Swelling tape for filling gap
KR101711696B1 (en) * 2014-03-26 2017-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Swelling tap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547065B1 (en) * 2016-02-29 2023-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630B1 (en) 2014-03-18 2015-09-14 (주)앤디포스 Waterproof tape for automobi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410A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502B1 (en) Secondary Battery
KR101136254B1 (en) Secondary battery
US7442465B2 (en)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289782B2 (en) Secondary battery
EP3696873A1 (en) Secondary battery
KR102561111B1 (en) Secondary battery
US9478833B2 (en) Secondary battery with a heat shrinkable insulation member
KR20240054255A (en) The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Gas Discharger
US20220190418A1 (en) Secondary battery
US11476550B2 (en)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equalizing internal/external pressure
JP2018125109A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EP3522262B1 (en) Battery cell having overcharge prevention member
KR101174919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EP3989306A1 (en)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KR100614385B1 (en) Cap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KR20160142589A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KR20160059776A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4262010A1 (en) Secondary battery
KR20130090097A (en) Secondary battery
KR101222255B1 (en) Secondary battery
KR102450148B1 (en) Closing tap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230021915A (en) Secondary battery
KR20220112034A (en) Secondary Battery
KR20060037846A (en) Secondary battery
KR20070108747A (en) Secondary battery and the sealing method of electrolyte inle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