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766B1 - Mixing product - Google Patents

Mixing 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766B1
KR102560766B1 KR1020170161816A KR20170161816A KR102560766B1 KR 102560766 B1 KR102560766 B1 KR 102560766B1 KR 1020170161816 A KR1020170161816 A KR 1020170161816A KR 20170161816 A KR20170161816 A KR 20170161816A KR 102560766 B1 KR102560766 B1 KR 102560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part
mixing
accommodating
agen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3043A (en
Inventor
허정은
김성태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16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766B1/en
Publication of KR2019006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0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7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5Flexible holders, pouches for powder or powder puff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33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81/3238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은, 제1 제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제와 물성이 다른 제2 제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는, 혼합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신체에 사용되는 화장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 first agen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a second agent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the first agent, wherein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mixed to create cosmetics used for the user's body. .

Description

믹싱 제품{MIXING PRODUCT}Mixing product {MIXING PRODUCT}

본 발명은 믹싱 제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화장품을 혼합시 가루 날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비율을 최적화하여 이용할 수 있고, 제1 제와 제2를 덜어낼 필요가 없고 혼합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할 수 있는 믹싱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product, and specifically, when mixing cosmetics, dusting does not occur, 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can be optimized and used, and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It is to provide a mixing product that is easy to use and easy to use.

최근 다양한 화장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기능에 따라 크게는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화장품 산업이 발전하면서 기본 기능은 베이스로 하고, 이에 부가하여 기능적인 효능을 가지는 특화된 화장품이 출시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cosmetics have been released, and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basic cosmetics and color cosmetic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In particular, as the cosmetic industry develops, specialized cosmetics with basic functions as a base and additional functional effects are being released.

이러한, 화장품의 기본 기능은 피부를 청결하게 하고, 아름답게 하며, 보습, 유연효과를 주어 노화를 예방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에 관련된 주요 기작으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피부로부터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되는 것을 막아 주는 보습효과, 자외선 차단작용, 환경오염과 외부 자극으로부터의 피부 보호작용, 스트레스, 흡연, 식생활 등으로 인해 가속화되는 노화의 지연작용 등이 있다. 이러한 작용을 위하여, 피부 과학적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화장품이 상품화되고 있다.The basic function of these cosmetics is to clean and beautify the skin, and to provide moisturizing and softening effects to prevent aging. The main mechanisms related to this are the moisturizing effect that supplies moisture to the skin or prevents excessive evaporation of moisture from the skin, the action of blocking ultraviolet rays, the action of protecting the skin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xternal stimuli, and accelerated by stress, smoking, and dietary habits. There is a delayed effect of aging that becomes. For this action, dermatological cosmetics are being developed, and various cosmetics are being commercialized.

특히, 피부는 외부환경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는데, 인체 안으로 침입하려는 유해 인자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의 역할을 담당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유해오염물질, 유해자외선, 스트레스, 과로 및 영양 불균형 등으로 인해 피부를 형성하는 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활성 및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부에 주름 노화의 가속화, 탄력 하락 및 피부 건조화 등의 노화가 빠르게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skin has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serves as an important protective film to protect the human body from harmful factors trying to invade the human body. As we age, various harmful pollutants, harmful UV rays, stress, overwork, and nutritional imbalance damage the cells that form the skin, and the cell activity and proliferation are not performed properly, resulting in wrinkles and aging on the skin. Aging, such as acceleration, loss of elasticity, and skin drying, occurs rapidl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베이스 제품(보습 기능 등의 화장품)에 기능성 화장품(미백, 주름 방지 등의 화장품)을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모델링 마스크를 이용하고 있으며, 모델링 마스크의 종류는 크게 혼합파우더형 마스크, 석고 마스크, 콜라겐 마스크 등의 특수한 제형으로 구분된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 recent years, functional cosmetics (cosmetics such as whitening and anti-wrinkle) are added to base products (cosmetics such as moisturizing function), or modeling masks are used. The types of modeling masks are largely mixed powder It is classified into special formulations such as mold mask, plaster mask, and collagen mask.

특히 혼합파우더형 모델링 마스크는 탈크, 규조토, 머드, 황토, 각종 식물성가루 등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것에 물을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파우더가 배합된 모델링 마스크는 (파우더로 이루어져) 가루 날림으로 인해 주위가 지저분해질 뿐만 아니라 미세 가루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유입될 우려가 있다.In particular, a mixed powder modeling mask is used by mixing water with a mixture of talc, diatomaceous earth, mud, ocher, various vegetable powders, etc. in a certain ratio. Not only does it become messy, but there is a concern that fine powder may flow in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user's respiratory system.

또한, 모델링 마스크는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여 파우더와 물을 혼합시킨 후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이 번거로우며, 파우더와 물의 배합 양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화장품의 굳는 정도가 너무 빠르거나 개어짐이 뻑뻑하여 덩어리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점도가 낮아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In addition, the modeling mask is cumbersome to use as it must be used after preparing a separate container and mixing the powder and water. Lumps may be formed, or the viscosity is low, so it is inconvenient to flow down from the user's face, and improvement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 화장품을 일일이 덜어낼 필요가 없어 가루 날림이 적으며, 사용에 적합한 혼합비율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는 믹싱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re is no need to remove mixed cosmetics one by one, so there is little powder scattering, and it can be used at a mixing ratio suitable for use, so it is convenient to use. It is to provide a mixing product that can be d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은, 제1 제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제와 물성이 다른 제2 제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는, 혼합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신체에 사용되는 화장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 first agen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a second agent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the first agent, wherein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mixed to create cosmetics used for the user's body. .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하나의 실링지 또는 개별의 실링지에 의하여 출구가 실링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let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be sealed by one sealing paper or a separate sealing paper.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혼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mixing container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introduced and mix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를 수용하며 상기 혼합용기에서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 lid accommodating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covering one side opened in the mixing vessel may be further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를 격리 수용하기 위한 격벽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may have a partition wall for isolating and accommodat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용기는, 상기 뚜껑의 하단이 인입되도록 하는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mixing container may have a depression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lid is drawn in.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부의 내벽은, 상기 함몰부의 외벽 대비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ner wall of the depression may have a relatively low height compared to the outer wall of the depress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출구의 주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have a rim protruding outward around the outlet.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기 혼합용기에 결합되는 하단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는 상기 테두리부를 상기 함몰부의 내벽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may have a step difference formed at a lower end coupled to the mixing container, and the step difference may tightly fix the rim portion to the inner wall of the depression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수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파쇄부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쇄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파쇄부의 가압에 의해 파쇄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s inserted and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having a crushing por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In the stat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rushing unit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crushed by the pressure of the crushing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쇄되어, 상기 제2 수용부의 내부로 상기 제1 제를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may be crushed by the crushing part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first agent may be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의 내부를 개폐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coupled to the insertion part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art.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일면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면이 외부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제1 수용부를 향해 변형되면서 상기 파쇄부가 상기 제1 수용부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utton portion has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s the one side is pressed from the outside and deformed towar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the crushing portion is forme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The receiving part can be pressurized.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깊이를 갖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수용부를 상기 삽입부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파쇄부가 상기 제1 수용부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sertion portion has a depth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protrudes when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is inserted, and the button portion is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while allowing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It can be pushed out so that the crushing part presses the first receiving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를 갖고 상기 버튼부가 결합되는 일측 제2 수용부; 및 상기 일측 제2 수용부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타측 제2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n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the insertion portion coupled to the button portion; And it may include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provided to be separable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n one side.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파쇄되도록 파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forming a space into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s insert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may include a crushing portion so as to be crushed by rotation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파쇄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간섭에 의해 파쇄되는 실링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aterial that is crushed by interference according to a rotational angle of the crushing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파쇄부와 연결되어 상기 파쇄부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may have a handle that is connected to the crushing part and rotates the crushing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파우치 형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be in the form of a pouch.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부는, 일면에 상기 제1 수용부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have a seating part to allow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o be seated on on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상기 안착부에 접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may be provided by being adhered to the seating par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부는, 출구에 결합되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출구에 인입되어 상기 제1 제를 상기 제2 수용부의 내부로 전달하는 주입구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further includes a lid coupled to the outlet,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has an inlet inserted into the outle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o deliver the first agent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can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구는, 밀봉되었다가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개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let may have a form in which it is sealed and then torn or damaged to be opened.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내용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실링 뚜껑; 및 상기 실링 뚜껑을 감싸며, 상기 실링 뚜껑이 제거되면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배출 슬릿이 형성되며 스파츌러(spatula) 형태를 가지는 도포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the sealing lid to block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nd an application lid having a spatula shape and having a discharge slit surrounding the sealing lid so that contents can be discharged when the sealing lid is remov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서로 연결된 파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have a pouch 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찢어짐에 의해 개방되는 출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출구들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each have an outlet opened by tearing, and the outlets may be provided in parallel directions.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압축되어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슬릿을 갖는 스파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 spatula having a slit for discharging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by compressing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while passing in an overlapped state with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can include mor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보관되거나,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가 배출되는 혼합용기; 및 상기 혼합용기를 덮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 각각은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Specifically, a mixing container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stored or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discharged; and a lid covering the mixing vessel, and each of the mixing vessel and the lid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ing toward the inside.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제의 혼합물이 혼합시, 상기 뚜껑의 천장면 및 상기 혼합용기의 내측 바닥면에서는 상기 혼합물이 모이고,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영역에서는 퍼지도록,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영역과 상기 뚜껑의 천장면 및 상기 혼합용기의 내측 바닥면 사이는 급격한 곡률 변화를 이룰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mixture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is mixed inside the mixing vessel and the lid, the mixture gathers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lid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vessel, and the mixing vessel and A rapid change in curvature may be achieved between a region where the mixing container and the lid are coupled, a ceiling surface of the lid, and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container so as to spread in the region where the lid is coupled.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 각각의 내부 단면적은,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영역의 단면적에 대비하여 2/3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mixing container and the lid may be formed to be 2/3 or less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gion where the mixing container and the lid are coupl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는 젤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제는 액상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는 혼합에 의해 마스크팩을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gent is made of a gel type, the second agent is made of a liquid type, and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may be mixed to create a mask pack.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는 일체로 형성되되,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를 함께 커버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spaces is provided, and a sealing member covering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gether may be further included. .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혼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mixing container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introduced and mix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가 내장되고, 상기 혼합용기를 커버하며, 상기 실링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may further include a lid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built in, cover the mixing container, and have a through groove through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ealing member protrudes.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관통홈을 통해 노출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재를 따라 당겨져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개구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handle member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sealing member may be pulled along the handle member to op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실링부재 상에 맞닿게 접어져, 상기 관통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실링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handle member may be extend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ling member so as to be folded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and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홈에 대응하는 보조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n auxiliary through-groov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is formed, and may further include a packing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의 결합은, 상기 혼합용기에 대한 상기 뚜껑의 간섭으로 이루어져, 상기 혼합용기에 대한 상기 뚜껑의 간섭 길이에 따라 상기 관통홈이 노출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bination of the mixing vessel and the lid is made by the interference of the lid with respect to the mixing vessel, so that the through hole may be exposed or clos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lid's interference with the mixing vessel.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관통홈의 폐쇄를 허용하되, 상기 뚜껑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 stopper may be provided on one of the mixing container and the lid to allow the through hole to be closed, but to limit rotation of the lid.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단 높이와 상기 제2 수용부의 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버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체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동시에 커버하여,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the same, and a cover body covering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further provided. However, the cover body may simultaneously cover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 prevent mixing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수용부가 일방향으로 끼워져 보관되거나, 상기 커버체가 분리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반대방향으로 끼워질 때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혼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inserted and stor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cover body is exposed, or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from which the cover body is separated are insert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stored. A mixing container forming a mixing space may be further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용기는, 내부에 상기 제2 수용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되거나, 내부의 공간이 상기 제2 수용부의 공간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수용부와 상하 일렬로 연장되게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ixing container is coupl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accommodated therein, or extends in a vertical line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inner spac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space. can be combined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의 혼합물의 점도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점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iscosity in order to indicate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본 발명에 따른 믹싱 제품은, 제1 제와 제2 제를 혼합시 각각을 덜어낼 필요가 없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혼합시 가루 날림의 발생이 줄거나 발생되지 않아 호흡기 질환 등의 우려가 없고, 사용에 적합한 혼합비율로 사용할 수 있어 마스크팩 등이 흘러내리거나 빠르게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최상의 효능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 mixing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onvenient because there is no need to remov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gents when mixing, but also reduces or does not cause dusting during mixing, so there is no concern about respiratory diseases, etc. It can be used at a mixing ratio suitable for use, so it can be used with the best efficacy as it can prevent mask packs from flowing down or hardening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뚜껑과 혼합용기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뚜껑으로부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에서 부착물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사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사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사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버튼부에 의해 제1 수용부가 파쇄되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사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버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제1 수용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손잡이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d는 제1 수용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a의 상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사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구성이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사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분리된 구성으로부터 제1 제와 제2 제가 혼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스파츌러를 이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스파츌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스파츌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스파츌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내부가 도시되도록 정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사용과정에서, 손잡이부재의 구비 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사용과정에서, 손잡이부재가 이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 사용시 혼합용기와 제2 수용부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에서 다양한 형태의 제2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lid and the mixing vessel of the mixing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are separated from the lid of the mixing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of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ttachment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of the mixing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ep of the mixing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are separated.
Figure 7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ep of the mixing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are combined.
FIG. 7C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us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broken and opened by the button part.
FIG. 7D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utton unit, which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 step of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form of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of FIG. 8A.
Figure 8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of Figure 8a is rotated.
8D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rotated.
FIG. 9 is a top plan view of FIG. 8A.
10 is a diagram show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ep of us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components are separated.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us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how a first agent and a second agent are mixed from a separate configuration.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show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of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tula for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17 is a view showing a spatula for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spatula for mixing produc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spatula for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ront view so that the inside of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23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us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B is a view for explaining whether a handle member is provided in a process of us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C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handle member is separat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ixing produc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front view show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ixing container and a second accommodating unit are disposed when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27 is a view showing various types of second accommodating parts in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front view show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스파츌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의 스파츌러를 도시한 도면이다.1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12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to 17 are views for explain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a spatula for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view showing a spatula for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20 내지 도 23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0 to 23c are views for explain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4 to 27 are views for explain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and 29 are views for explaining a mixing produc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는 다양한 변형예를 이룰 수 있고, 혼합용기(130)와 뚜껑(140)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형상 및 위치가 달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편의상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나, 이들의 구성은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the mixing vessel 130 and the lid 140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d the position may be made differently. In addition, this embodiment is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for convenience,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nfiguration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또한, 제1 수용부(110), 제2 수용부(120), 혼합용기(130), 뚜껑(140)의 재질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제품의 형태 또는 혼합 여부 등을 알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햇빛 노출 등을 피할 수 있도록 불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 the mixing container 130, and the lid 140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shape or mixing of the product with the naked eye. Alternatively, the material is not limited as it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or a translucent material so as to avoid exposure to sunlight.

먼저, 도 1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100)은 제1 수용부(110), 제2 수용부(120), 혼합용기(130), 뚜껑(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 및 제2 제는, 혼합이 이루어져서 사용자의 신체에 사용되는 화장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도포 가능한 마스크팩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혼합이 이루어져 사용되는 제품이라면 의약품일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29, the mixing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 a mixing container 130, and a lid 140 It may include, and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may be cosmetics that are mixed and used on the user's body. Preferably, a mask pack that can be applied to the user's face can be created by mixing,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long as the product is mixed and used, it may be a medicine.

예를 들어, 제1 제와 제2 제는 에센스 등의 화장품을 이루어, 제1 제와 제2 제 각각이 베이스 화장품(예를 들어, 수분 공급 화장품)과 기능성 화장품(예를 들어 비타민 파우더와 같이 액상물질과 혼합시 변질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시에 혼합되는 제품)일 수 있다. 또는 제1 제와 제2 제가 염모제를 이룰 수도 있는 바와 같이, 혼합이 이루어지는 화장품, 기타 혼합 이후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For example,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constitute cosmetics such as essence, and each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is a base cosmetic (eg, moisture supply cosmetic) and a functional cosmetic (eg, vitamin powder). It can be a product that is mixed during use because it can quickly deteriorate when mixed with liquid substances. Alternatively, as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may form a hair dy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f it is a cosmetic product that is mixed or a material used after mixing.

이하에서는 제1 제와 제2 제가 마스크팩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제1 제와 제2 제는 물성이 서로 달리 이루어져, 예를 들어 제1 제와 제2 제 각각이 파우더, 액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 제가 젤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제가 액상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will be described as creating a mask pack,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may be powder or liquid respectively. However, preferably, the first agent is made of a gel type, and the second agent may be made of a liquid typ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수용부(110)는 제1 제를 수용하고, 제2 수용부(120)는 제2 제를 수용하는데, 제1 수용부(110) 및 제2 수용부(120)는, 하나의 실링지 또는 개별의 실링지에 의하여 출구가 실링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형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accommodates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 accommodates the second agent. The outlet may be sealed by paper or individual sealing paper, and a specific form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제1 제는 수분 공급, 미백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믹싱 제품(100)이 제공하는 성능을 포함하는 물질(화장료)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공지된 다양한 추출물(식물, 해양생물 등을 재료로 할 수 있음), 향료 등이 포함되는 화장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젤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first agent may include substances (cosmetics) that generally include performance provided by the mixing product 100, such as moisture supply and whitening, and various known extracts (plants, marine organisms, etc. may be), and may be made of cosmetics including fragrances, etc., and in particular, may be made of a gel type.

여기서, 젤 타입으로 이루어진 제1 제는, 젤의 특성상 서로 뭉쳐 있으므로 일반적인 파우더 형태의 물질과 달리 바람 등에 의해 날릴 염려가 없어 제1 제를 덜어 내는 과정에서 가루 날림의 우려가 없으므로 주변이 지저분해질 우려가 없고, 사용자의 호흡기로 제1 제가 공기를 타고 유입될 우려가 없어 호흡기 질환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Here, since the gel-type first agent is clumped together due to the nature of the gel, unlike general powder-type substances, there is no fear of being blown away by wind, etc., so there is no fear of powder blowing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irst agent, so there is no fear of messy surroundings There is no risk of the first agent entering the user's respiratory tract through the air, so side effect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can be prevented and safe use is possible.

제2 제는 액체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1 제와 성분, 점성 등이 달리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기능성 앰플과 같이 사용자의 피부 타입, 요구 조건 등에 따라 기능이 달리 이루어지는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제의 점도를 낮추기 위한 물질, 일례로 제1 제는 점도가 높고 제2 제는 제1 제에 대비하여 점도가 낮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2 제는 물, 화장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제2 제는 제1 제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agent may be made of a liquid type, and may have different ingredients and viscosity from the first agent,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skin type and requirements, such as a functional ampoule, for example, A substance for lowering the viscosity of the first agent, for example, as the first agent has a high viscosity and the second agent may have a low viscosity compared to the first agent, the second agent may be made of water, lotion, etc. Various variations are possible. The second agent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agent.

또한, 본 실시예의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는 1회 사용 가능한 용량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마스크팩을 이용시 매번 제1 제와 제2 제를 사용 용량만큼 측정하여 덜어낼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를 개방시킨 후 바로 흔들어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할 뿐만 아니라, 1회 이용시 최적의 혼합비율로 제1 제와 제2 제가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에 제공/보관/이용될 수 있으므로, 마스크팩의 점도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마스크팩의 점도가 낮아 얼굴에서 흘러내리거나 점도가 높아 굳기가 너무 빠르지 않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팩의 활용/성능이 최적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 of this embodiment can accommodate a capacity that can be used once, and accordingly, when the user uses a mask pack,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used each time. It is convenient because there is no need to measure and take off the amount, and it is convenient to shake and use immediately after open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 as well as providing the optimal mixing ratio for one time use. Since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can be provided/stored/u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 the viscosity of the mask pack can be made appropriate, and the viscosity of the mask pack is low, so it can be applied to the face. Utilization/performance of the mask pack can be optimized as it can be made not to flow down or harden too quickly due to high viscosity.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100)은, 제1 수용부(110A), 제2 수용부(120A), 혼합용기(130A), 뚜껑(140A)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mixing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a mixing container 130A, and a lid 140A. ) may be included.

본 실시예의 믹싱 제품(100)은 제1 수용부(110A), 제2 수용부(120A)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이룰 수 있고, 별도의 혼합용기(130A)가 마련될 수 있다.In the mixing product 100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and a separate mixing vessel 130A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제1 수용부(110A)는 일측(도 1을 기준으로 하부)이 개구되는 용기를 이루어 제1 제를 수용할 수 있고, 제2 수용부(120A)는 제1 수용부(110A)와 동일/유사하게 일측이 개구되는 용기를 이루어 제2 제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과 타측은 구성의 방향 전환 등에 의해 일측이 상측 또는 하측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 과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may form a container having one side (lower side with respect to FIG. 1) opened to accommodate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may conta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 In the same/similar way, a container having one side opened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second agent. Her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 process, such that one side may be an upper side or a lower side due to a change in direction of a configuration.

이러한,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는, 뚜껑(140A)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여 외관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뚜껑(140A)의 수직절단면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에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가 마련될 수 있어,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의 형상은 좌우 또는 앞뒤가 대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may have appearances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lid 140A, for example,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based on the vertical cut surface of the lid 140A. Sinc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may be provided, the shap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may be symmetrical from left to right or back and forth.

여기서,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는 하나의 사출물로 이루어지거나 각각 별도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는 하나의 용기로 이루어지고, 용기 사이에 공간을 구획하는 벽면이 마련되어 제1 제와 제2 제가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may be made of one injection-molded material or may be made of separate injection-molded materials.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is made of one container, and a wall partitioning a space between the containers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can be separated and accommodated.

이와 달리,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가 개별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되는 뚜껑(140A)의 격벽(141A)을 기준으로 좌우에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가 쌍을 이루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Unlike thi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may be made of separate injection-molded materials,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partition wall 141A of the lid 140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may have a pair form.

한편,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가 하나의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뚜껑(140A)의 격벽(141A)을 기준으로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의 일단(하단)은 서로 연결되고 타단은 좌우가 이격된 형태를 이루어 서로 벌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Meanwhile, even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are made of one injection-molded material,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based on the partition wall 141A of the lid 140A. As one end (lower end) of (120A)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modification examples are various, such as being open to each other.

더불어,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수용부(110A) 및/또는 제2 수용부(120A)는 테두리부(111)를 가질 수 있으며, 테두리부(111)는 뚜껑(140A)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뚜껑(140A)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111)가 마련되어,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가 서로 마주하는 영역을 제외한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의 외곽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111)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and 3B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or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may have an rim 111, and the rim 111 is attached to the lid 140A. As a configuration made to contact, preferably, an edge portion 111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d 140A, and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120A are excluded from facing each other. An edge portion 111 may be provided in a protruding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즉 테두리부(111)는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의 출구(개구된 하단)의 주변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테두리부(111)가 뚜껑(140A) 및/또는 혼합용기(130A)에 맞닿아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믹싱 제품(100)을 상하로 흔들어 제1 제와 제2 제를 혼합할 때,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가 뚜껑(140A)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rim portion 111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outlets (opened lower end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And / or the position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mixing container (130A), when the mixing product 100 is shaken up and down to mix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10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rt 120A from coming out of the lid 140A.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 각각은 제1 제와 제2 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1 제와 제2 제가 배출되도록 일단(도 4를 기준으로 상단, 도 1에서 상하가 뒤집어진 상태)이 개구될 수 있는데, 미사용시 즉 보관시에는 제1 제와 제2 제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의 일단에 부착물(112)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4 and 5,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s well as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One end (the upper end in FIG. 4, upside down in FIG. 1) can be opened so that the second agent is discharged, and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can be stored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not in use, that is, when stored. Thus, attachments 112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여기서, 부착물(112)은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 각각에 개별로 마련되거나, 또는 하나의 부착물(112)이 제1 수용부(110A)로부터 제2 수용부(120A)까지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의 개봉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재(113)가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attachment 112 is provided individually in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or one attachment 112 is provid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 120A), the outer side from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to facilitate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A handle member 113 protruding may be provided.

이러한, 부착물(112)은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에 점착제, 열 융착 등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착물(112)을 떼어내어 제거할 필요없이 절개선이 마련되어 부착물(112)을 찢는 형태로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를 개방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로부터 제1 제와 제2 제가 배출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These attachments 112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by means of an adhesive, thermal fusion, or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s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may be opened in the form of tearing the attachment 112 without the need to remove and remove the attachment 112,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may be opened. Various structures for discharging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are possible.

이와 같은,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는 뚜껑(140A) 내부에 탈착 가능하여 사용 후 교체가 가능할 수 있어, 1회 사용 후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만을 교체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 구매시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를 교체하여, 개인별 맞춤이 가능할 수 있다.As suc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may be detachable inside the lid 140A and may be replaced after use,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10A may be replaced after use. Since only the accommodating portion 120A can be replaced and used, unnecessary waste when purchasing a product can be reduced and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dividual customization may be possible by replac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140A)의 격벽(141A)을 통해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가 좌우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격벽(141A)이 생략되고,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에는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홈이 마련되고 뚜껑(140A)에는 홈에 끼워져 제1 수용부(110A) 및/또는 제2 수용부(120A)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are fix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141A of the lid 140A as an example, but, unlike this, the partition wall 141A ) is omitted, and one or more grooves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and the lid 140A is fitted into the groove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or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or the seco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the protrusions are formed to fix the accommodating portion 120A.

혼합용기(130A)는 제1 제 및 제2 제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혼합물(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물)을 별도의 용기에 덜어낼 필요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혼합용기(130A)는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량의 부피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 각각의 공간의 합의 부피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으로 부피가 감소될 수도 있음에 따라 혼합용기(130A)의 부피/용량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ixing container (130A) forms a space in which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introduced and mixed, so that the mixture (the mixture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can be used immediately without the need to pour it into a separate container. (130A) may be made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mixing amount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For example, although it may be made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sum of the spac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the mixing container may reduce the volume by mixing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The volume / capacity of (130A) is not limited.

아울러, 혼합용기(130A)는 스파츌러(200, 200A, 200B)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덜어낼 때, 걸림이 없도록 뚜껑(140A)과 달리 내벽이 마련되지 않는 용기의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내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mixing container (130A) can form a container that does not have an inner wall unlike the lid (140A) so that when the mixture is removed using a tool such as a spatula (200, 200A, 200B), , the inner surface may be made of a curved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혼합용기(130A)는 내용기(131A)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개구된 일측(도 3a를 기준으로 상단)으로부터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특히 일측의 단면적에 대비하여 바닥면의 단면적이 2/3이하 내지 1/2로 형성될 수 있게 내용기(131A)의 일측에서 내부의 바닥면 사이는 급격한 곡률 변화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and 3A, the mixing container 130A may include an inner container 131A, and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inside from one side of the opening (top of FIG. 3A). In particula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ttom surface may have a rapid change in curvature between one side of the inner container 131A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ttom surface is less than 2/3 to 1/2 compare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one side.

여기서,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 또한 개구된 일측으로부터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를 이루어, 일측과 내부의 바닥면 사이는 급격한 곡률 변화를 가질 수 있어,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의 전체 형상은 혼합용기(130A)의 형상과 상하가 대칭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He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also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inside from one side of the opening, so that the curvature changes rapidly between one side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The overall shap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may b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the shape of the mixing vessel 130A.

이에 따라, 믹싱 제품(100)의 내부 형상은 중심부로부터 상하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믹싱 제품(100)을 상하로 흔들 때 제1 제와 제2 제는 제1 수용부(110A)와 제2 수용부(120A) 및 혼합용기(130A) 내에서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서로 모이고 중심부에서 서로 퍼질 수 있어, 혼합물이 상하로 흔들리면서 퍼짐과 모임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inner shape of the mixing product 100 may form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vertically from the center, when the mixing product 100 is shaken up and down,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 110A),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and the mixing container 130A, they can gather together at the top and bottom and spread to each other at the center, so that the mixture can be repeatedly spread and gathered while shaking up and down, so mixing is easy. can be done

또한, 내용기(131A) 역시, 제1 수용부(110A) 또는 제2 수용부(120A)의 테두리부(111)와 대응되는 테두리(1310A)를 가질 수 있어, 내용기(131A)의 테두리(1310A)가 테두리부(111)를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테두리(1310A)는 테두리부(111)와 함께 후술되는 뚜껑(140A)의 하단에 형성된 단차(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밀착 고정할 수 있어, 혼합용기(130A)와 뚜껑(140A)의 내측에서 내용기(131A), 제1 수용부(110A), 제2 수용부(120A)가 밀착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ontainer 131A may also have an rim 1310A corresponding to the rim 111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or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so that the rim of the inner container 131A ( 1310A) can support the rim portion 111, and the rim portion 1310A can be tightly fixed together with the rim portion 111 to a step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id 140A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inside the mixing container 130A and the lid 140A, the container 131A,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이러한, 내용기(131A)는 혼합용기(130A)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 형태를 이루거나 단순히 수용된 형태 또는 끼워지는 형태를 이루어 분리가 가능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결합방식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container 131A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coupling methods and structures, such as being fixed to the mixing container 130A by an adhesive, or being simply accommodated or inserted into the mixing container 130A.

그리고 도 3a를 참조하면, 혼합용기(130A)는, 뚜껑(140A)의 하단이 인입되도록 하는 함몰부(142A)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혼합용기(130A)에서 함몰부(142A)가 형성되도록 내벽(143A)과 외벽(144A)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함몰부(142A)의 내벽(143A)은 함몰부(142A)의 외벽(144A) 대비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어, 함몰부(142A)의 외벽(144A)에 뚜껑(140A)이 삽입될 경우, 내벽(143A)에 뚜껑(140A)이 걸리지 않고 유입되어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3A, the mixing vessel 130A may have a recessed portion 142A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lid 140A is drawn in. For example, in the mixing vessel 130A, the recessed portion 142A is The inner wall 143A and the outer wall 144A may be formed so as to be formed. The inner wall 143A of the depression 142A may have a relatively low height compared to the outer wall 144A of the depression 142A, When the lid 140A is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144A of the 142A, the lid 140A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wall 143A without being caught, and coupling may be facilitated.

뚜껑(140A)은 제1 수용부(110A) 및 제2 수용부(120A)를 수용하며 혼합용기(130A)에서 개방된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The lid 140A accommodate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and may cover one side opened in the mixing container 130A.

여기서, 뚜껑(140A)이 혼합용기(130A)에 결합시, 일례로 뚜껑(140A)의 하단이 혼합용기(130A)의 함몰부(142A)에 대향하도록 삽입되어, 뚜껑(140A)의 하단 외측이 혼합용기(130A)의 외벽(144A) 내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바와 같이 단순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져 결합 및 분리가 편리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뚜껑(140A)의 내측에 혼합용기(130A)가 끼움되거나, 또는 혼합용기(130A)와 뚜껑(140A)이 서로 맞닿는 각각의 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Here, when the lid 140A is coupled to the mixing vessel 130A,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lid 140A is inserted to face the recessed portion 142A of the mixing vessel 130A, so that the outside of the lower end of the lid 140A is As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144A) of the mixing container (130A), it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easily by simple fitting, but, on the contrary, the mixing container (130A) is fitted inside the lid (140A), Alternatively,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that a screw thread is formed on each surface where the mixing container 130A and the lid 140A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upling may be performed in a screw coupling method.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뚜껑(140A)은, 제1 수용부(110A) 및 제2 수용부(120A)를 격리 수용하기 위한 격벽(141A)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격벽(141A)은 뚜껑(140A)의 내측 중심부를 가로질러 수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141A)의 양측에 제1 수용부(110A) 및 제2 수용부(120A)가 배치되어, 믹싱 제품(100)을 흔들 경우 격벽(141A)에 의해 제1 수용부(110A) 및 제2 수용부(120A)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 , the lid 140A may have a partition wall 141A for isolating and accommodating the first housing part 110A and the second housing part 120A. For example, the partition wall 141A The silver lid 140A may be provided vertically across the inner center of the lid 140A.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141A, and when the mixing product 100 is shak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from shaking left and right.

게다가, 뚜껑(140A)은 혼합용기(130A)에 결합되는 하단에 단차(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고, 단차는 테두리부(111) 및/또는 테두리(1310A)를 함몰부(142A)의 내벽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d 140A may have a step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end coupled to the mixing container 130A, and the step may be formed by dividing the rim 111 and/or the rim 1310A into a depression 142A. It can be tightly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더불어, 뚜껑(140A)은 상단부가 외곽 둘레에 대비하여 높게 이루어져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거나(도 3a 참조), 제1 수용부(110A) 및 제2 수용부(120A)와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2 참조).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lid 140A is made high compar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to form a protruding upper part (see FIG. 3A), or a gap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It may be arranged to be formed (see FIG. 2).

여기서, 뚜껑(140A)은 후술되는 버튼부(123)와 유사하게 탄성 재질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과 같이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마스크팩의 이용이 완료되어 혼합용기(130A)와 뚜껑(140A)이 분리된 상태에서, 도 3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뚜껑(140A)의 하단을 가압하면, 뚜껑(140A) 하단의 형상 변형과 함께 뚜껑(140A)의 상단 위로 제1 수용부(110A) 및 제2 수용부(120A)가 돌출될 수 있어,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Here, the lid 140A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forming its shape, such as an elastic material or soft plastic, similar to the button portion 123 described later, so that the use of the mask pack is completed and the mixing container 130A and the lid In a state where 140A is separated, as shown in FIG. 3B , when the lower end of the lid 140A is pressed, the lower end of the lid 140A is deformed and the first receiving part 110A is placed on top of the upper end of the lid 140A. )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A may protrude, and separation may be facilitated.

이와 같은 실시예의 믹싱 제품(100)은, 혼합용기(130A)와 뚜껑(140A)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제1 수용부(110A) 및 제2 수용부(120A)의 교체만으로 지속적으로 이용이 가능하여,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전달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mixing product 100 of this embodiment, the mixing container 130A and the lid 140A can be reus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A can be continuously used only by replacing Thus, it is possible to minimize waste of resources, and by providing a new type of container,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by delivering a sense of aesthetics to the user.

또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100)은, 제1 수용부(110B), 제2 수용부(12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와 달리, 혼합용기(130), 뚜껑(140)이 생략될 수 있다.6 to 9, the mixing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B, and Alternatively, the mixing vessel 130 and the lid 140 may be omitted.

본 실시예의 제1 수용부(110B)는, 삽입부(12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파쇄부(1212B, 1102B)와 대응되는 부분이 가압에 의해 파쇄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쇄부(1212B, 1102B)와 대응되는 부분은 일례로 실링재(1101B)로 이루어져 제1 수용부(110B)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실링재(1101B)는 취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비닐류, 폴리에스테르, PET, 고무(풍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되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코팅된 종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de of a material in which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rushing portions 1212B and 1102B described below are crushed by pressing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11B, and the crushing portion ( The parts corresponding to 1212B and 1102B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sealing material 1101B and may be provided across the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In addition, the sealing material 1101B may be made of a brittle material,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vinyl, polyester, PET, rubber (balloon), etc., made of plastic, but made of a thin film, and may be made of coated paper. material can be made.

이러한, 제1 수용부(110B)는, 도 7a에서와 같이, 삽입부(1211B)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형상 일례로 하부가 실링재(1101B)에 의해 커버되되 파쇄부(1212B, 1102B)에 의해 개구되는 원통, 육각 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용부(110B)가 제2 수용부(120B)의 삽입부(12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쇄부(1212B)에 의해 파쇄되어, 제2 수용부(120B)의 내부로 제1 제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7A,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has a shape capable of sliding vertically from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211B, for example, the lower portion is covered by the sealing material 1101B, but the crushing portion 1212B and 1102B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ylinder, a hexagonal column, etc. opened by the. A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11B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B, it is crushed by the crushing part 1212B, and the first agent enters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B. can be transmit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수용부(120B)는, 제1 실시예에서 별도의 혼합용기(130)가 구비되는 것과 달리, 제1 수용부(110B)가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제가 유입되어 제2 제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 후 혼합물을 수용하는 용기로 이용될 수도 있다. Unlike the separate mixing vessel 130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B may form a space into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is introduced, and the first agent flows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B. Not only can it form a space where the second agent is mixed, but it can also be used a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mixture after mixing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예를 들어, 제2 수용부(120B)는, 일측 제2 수용부(121B) 및 타측 제2 수용부(122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례로 도 7a를 참조하면, 일측 제2 수용부(121B)는 삽입부(1211B)를 갖고 버튼부(123)가 결합되거나(나사산에 의한 결합), 다른 예로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수용부(110B)의 손잡이부(113B)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타측 제2 수용부(122B)는 일측 제2 수용부(121B)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B may include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1B on one side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2B on the other side.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7A ,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n one side ( 121B) has an insertion portion 1211B and the button portion 123 is coupled (coupled by a screw thread), or 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8A, the handle portion 113B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may be coupled. And, the other sid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2B may be provided to be separable from the one sid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1B.

여기서, 일측 제2 수용부(121B)와 타측 제2 수용부(122B)의 분리 결합은, 일측 제2 수용부(121B)와 타측 제2 수용부(122B)가 서로 맞닿는 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도 6 참조), 억지 끼움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the separation coupling betwe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1B on one sid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B on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surface wher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1B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B abut on each other. It can be screwed (see FIG. 6),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coupling by interference fit are of course possible.

이와 같이, 일측 제2 수용부(121B)와 타측 제2 수용부(122B)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여, 제1 제와 제2 제를 혼합한 이후 일측 제2 수용부(121B)와 타측 제2 수용부(122B)를 분리하여, 제1 수용부(110B)의 간섭없이 타측 제2 수용부(122B) 내의 혼합물(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물)을 바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1B on one sid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B on the other side can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after mixing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1B on one sid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B on the other side are combined. By separating the two accommodating parts 122B, the mixture (mixture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B on the other side can be used directly without interferen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which is convenient. .

또한, 제2 수용부(120B)는, 제1 수용부(110B)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파쇄부(1212B)를 갖는 삽입부(1211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삽입부(1211B)는 제1 수용부(110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원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삽입부(1211B)의 하부에 제1 수용부(110B)의 바닥면(실링재(1101B))과 일부가 맞닿거나 이격되도록 파쇄부(1212B)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B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1211B having a crushing portion 1212B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For example, the insertion portion 1211B ) may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sealing material 1101B)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portion 1211B. ) And the crushing portion (1212B) may be provided so that a part is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여기서, 파쇄부(1212B)는 제1 수용부(110B)를 개방시켜 제1 제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칼날과 같이 날카로운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또는 송곳 등과 같이 뾰족한 형태를 이루어 제1 수용부(110B)를 파쇄함으로써 제1 수용부(110B)의 바닥면을 개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버튼부(123)에 제1 수용부(110B)의 상부가 가압되면 제1 제로 가득찬 제1 수용부(110B)의 하부인 실링재(1101B)가 하측 방향으로 팽창되어 파쇄부(1212B)에 찔려 찢겨질 수 있다.Here, the crushing part 1212B is a configuration for open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to allow the first agent to be discharged, and may have, for example, a sharp shape like a blade or a pointed shape like an awl. 1 By crush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10B,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may be opened. In additio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is pressed by the button portion 123, the sealing material 1101B, which i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filled with the first agent, expands downward to form a crushing portion 1212B. It can be stabbed and torn.

이때, 파쇄부(1212B)는 실링재(1101B)의 일부분만 맞닿도록 형성되어, 즉 실링재(1101B)가 파손된 후 파쇄부(1212B)에 가로막히지 않도록 파쇄부(1212B)는 삽입부(1211B)의 하측에서 일부만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파쇄부(1212B)가 삽입부(1211B)의 하부에서 중심을 향해 뾰족하게 형성되는 고깔 형태를 이루되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홀을 통해 제1 제가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삽입부(1211B)의 하단 둘레에서 중심을 향해 막대 2개가 서로 맞닿아 뾰족하게 이루어진 ‘^’의 형태를 이루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rushing part 1212B is formed to contact only a part of the sealing material 1101B, that is, the crushing part 1212B is formed so as not to be blocked by the breaking part 1212B after the sealing material 1101B is broken. Only a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For example, the crushing portion 1212B forms a cone shape that is pointed toward the cente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211B, but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to discharge the first agent through the hole. can Alternatively,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two rods abut each other toward the center from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portion 1211B to form a sharp '^' shape.

또한, 도 7a의 실시예에서는 파쇄부(1212B)의 상부와 제1 수용부(110B)의 바닥면이 맞닿게 이루는 구조를 이루나, 이와 달리, 도 8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수용부(110B)가 회전을 이루어 절개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으므로, 파쇄부(1212B, 1102B)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7A, the upper part of the crushing part 1212B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8B,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Since (110B) may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cut is made by rotation,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rushing parts 1212B and 1102B are possible.

이와 같이, 제1 수용부(110B)를 제2 수용부(120B)에 결합하여 보관하는 것과 함께, 제1 수용부(110B)의 단순 조작(누름 또는 회전)으로 제1 수용부(110B)의 하부를 파쇄할 수 있어, 제1 수용부(110B) 내부의 제1 제를 제2 수용부(120B) 내의 제2 제로 유입시, 제1 제를 덜어내는 등의 번거로운 단계를 생략하고, 버튼부(123)를 누르거나, 손잡이부(113B)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으로 혼합과정을 이룰 수 있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1 수용부(110B)에서 배출되는 제1 제의 혼합은 제2 수용부(120B)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제1 제가 외부로 튈 염려가 없다.In this way,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is coupl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B and stor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is moved by a simple operation (pressing or rotating)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Since the lower part can be crushed, when the first agent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flows into the second agent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B, cumbersome steps such as removing the first agent are omitted, and the button unit It is not only easy to achieve the mixing process by pressing 123 or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handle part 113B, but also the mixing of the first ag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is carried out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 120B), there is no fear of the first agent splashing out.

구체적으로,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제2 수용부(120B)는, 버튼부(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버튼부(123)는 삽입부(1211B)에 결합되어 삽입부(1211B)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7A to 7D ,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B may include a button portion 123, and the button portion 123 is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1211B to insert the portion 1211B. ) can be opened and closed inside.

여기서, 버튼부(123)는, 삽입부(1211B)에 삽입된 제1 수용부(110B)와 대응되는 일면(도 7a를 기준으로 상면)(1231)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면(1231)이 외부로부터 가압되어 예를 들어 상부로부터 하부로 눌러져 제1 수용부(110B)를 향해 변형되면서, 제1 수용부(110B)를 파쇄부(1212B) 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파쇄부(1212B)가 제1 수용부(110B)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button part 123 may have one surface (upper surface based on FIG. 7A) 12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11B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one surface 1231 ) is pressurized from the outside and, for example, pr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deform towar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by expanding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in the direction of the crushing portion 1212B, the crushing portion 1212B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may be pressurized.

이러한, 버튼부(123)는, 도 7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10B)의 상단에 마련된 캡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측에 제1 수용부가 내장된 상태로 이루어져, 삽입부(1211B)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123)는 삽입부(1211B)의 상단과 나사산에 의해 결합될 수 있어, 버튼부(123)는 제2 수용부(120B)에 탈착 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123)는, 일면(1231)의 가압으로 제1 수용부(110B)의 실링재(1101B)를 하부 방향으로 팽창시켜 파쇄부(1212B)가 제1 수용부(110B)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A, the button portion 123 is made in the form of a cap provided on top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or a state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s built i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Consisting of, it can be inserted and coupl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insertion portion (1211B). In addition, the button portion 123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211B by a screw thread, so that the button portion 123 may form a detachable structure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B. The button part 123 expands the sealing material 1101B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downward by pressing the one surface 1231 so that the crushing part 1212B presse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can do.

본 실시예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10B)의 형태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구조를 이루되, 제1 수용부(110B)의 상단은 버튼부(123)에 의해 커버되고, 제1 수용부(110B)의 하단은 실링재(1101B)로 이루어져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수용부(110B)가 캡슐 형태로 이루어지고 버튼부(123)가 제1 수용부(110B)의 둘레면까지 연장되어 삽입부(1211B)에 수용되어 버튼부(123)에 의해 캡슐형태의 제1 수용부(110B)가 하부로 밀려 개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7A,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is covered by the button portion 123.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is made of a sealing material 1101B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Unlike this,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is made in the form of a capsule, and the button portion 123 extends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and is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portion 1211B by the button portion 123.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that the capsule-typ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may be opened by pushing downward.

게다가, 삽입부(1211B)는 제1 수용부(110B)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가 삽입부(1211B)에 제1 수용부(110B)를 넣은 후 제1 수용부(110B)를 눌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삽입부(1211B)는, 제1 수용부(110B)가 삽입되었을 때 제1 수용부(110B)의 적어도 일부(상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깊이를 가질 수도 있어, 버튼부(123)가 삽입부(1211B)에 결합되면서 제1 수용부(110B)를 삽입부(1211B)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파쇄부(1212B)가 제1 수용부(110B)를 가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버튼부(123)의 상단을 별도로 가압할 필요없이, 단순히 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해 실링재(1101B)가 파쇄부(1212B)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1211B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110B, so that the user inserts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110B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11B. can be used by pressing Alternatively, the insertion portion 1211B may have a depth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110B protrudes when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110B is inserted, so that the button portion 123 While being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1211B,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may be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211B so that the crushing portion 1212B presses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At this tim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the sealing material 1101B can be broken by the crushing part 1212B through a simple coupling process without the need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button part 123 separately.

한편, 도 8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파쇄부(1102B)는,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수용부(110B)의 실링재(1101B)와 간섭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7a의 실시예에서는 제1 수용부(110B)가 누름 동작을 통해 개방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을 통해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8A to 9 , the crushing part 1102B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selectively interferes with the sealing material 1101B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according to an angle.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 7A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is opened through a pressing operation,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may be made through rotation.

여기서, 제1 수용부(110B)는, 삽입부(12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면 파쇄부(1102B)의 가압(찌름)에 의해 실링재(1101B)가 파쇄될 수 있는데, 다만, 앞서 실시한 예에서는 파쇄부(1102B)가 삽입부(1211B)에 마련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파쇄부(1102B)가 제1 수용부(110B)의 내부에 제1 제와 함께 내장된 형태로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파쇄부(1102B)가 실링재(1101B)를 가압(찌름)하여 실링재(1101B)에 의해 밀봉되어 있던 제1 수용부(110B)를 개방할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is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11B, the sealing material 1101B may be crushed by pressing (piercing) of the crushing portion 1102B. In the above, the crushing part 1102B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part 1211B, but in this embodiment, the crushing part 1102B is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embedded with the first agent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B, and the crushing part is rotated. 1102B can press (pierce) the sealant 1101B to op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sealed by the sealant 1101B.

그리고 도 8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보관할 때는 실링재(1101B)가 파쇄부(1102B)와 맞닿지 않고, 도 8d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사용을 위해 회전할 때 파쇄부(1102B)가 실링재(1101B)를 찢을 수 있도록, 회전 각도에 따라 파쇄부(1102B)의 가장 뾰족한 부분(돌출된 부분)이 실링재(1101B)에 맞닿거나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 실링재(1101B)는 파쇄부(1102B)와 동일/유사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8B, when stored, the sealing material 1101B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rushing portion 1102B, and as shown in FIG.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the sharpest part (protruding part) of the crushing part 1102B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sealing material 1101B, for example, the sealing material 1101B It may be formed to achieve the same / similar inclination angle as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앞서 실시한 예에서의 파쇄부(1102B)와 유사하게 삽입부(1211B)에 파쇄부가 마련되고, 일례로 삽입부(1211B)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파쇄부가 마련되고, 제1 수용부(110B)가 이중격벽 구조로 이루어져 제1 수용부(110B)의 회전에 따라 실링재(1101B)가 가압/파쇄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similarly to the crushing part 1102B in the previous example, the crushing part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part 1211B, for example, the crushing part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1211B ,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that the sealing material 1101B may be pressurized/crush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becaus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has a double partition wall structure.

아울러, 제1 수용부(110B)는, 상단에 손잡이부(113B)가 마련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13B)는 삽입부(1211B)를 폐쇄할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삽입부(1211B)의 단면과 동일/대응되게 형성되고, 손잡이부(113B)의 상단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가로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may have a handle portion 113B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the handle portion 113B may have a partial reg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211B to close the insertion portion 1211B. Is formed the same / corresponding to, and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ortion 113B may have a hole opened in the side direction so that the user's finger can be easily inserted, and for example, a ring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formed.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손잡이부(113B)의 회전에 의해 파쇄부(1102B)가 회전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113B)와 파쇄부(1102B)는 함께 연동하도록 고정되거나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파쇄부(1102B)와 제1 제가 수용된 제1 수용부(110B)의 원통은 손잡이부(113B)가 아이들(idle) 회전되거나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는 바와 같이 원통에 대하여 손잡이부(113B)가 상대 회전되는 형태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113B and the crushing portion 1102B may be fixed or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interlocked together so that the crushing portion 1102B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113B, and the crushing portion 1102B And the cylinder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B in which the first agent is accommodated has any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113B rotates relative to the cylinder as the handle portion 113B rotates idle or is coupled in a screw manner. is also free

또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100)은, 제1 수용부(110C), 제2 수용부(120C)를 포함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S. 10 to 12 , the mixing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110C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C.

본 실시예의 제1 수용부(110C) 및/또는 제2 수용부(120C)는, 파우치 형태일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C and/or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C of this embodiment may be in the form of a pouch.

제2 수용부(120C)는, 제2 제가 수용되고 제1 제가 추가로 공급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2 수용부(120C)는 제2 제의 용량보다 큰 부피의 파우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2 수용부(120C)에 수용되는 물질의 용량에 따라 부피가 가감될 수 있도록, 제2 수용부(120C)의 둘레면이 내측으로 겹쳐진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may contain the second agent and additionally supply the first agent. To this e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ouch having a larger volume than the capacity of the second agent. For exampl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may be overlapped inward so that the volume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아울러, 제1, 2 실시예는 상하로 흔들어 제1 제와 제2 제를 혼합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제2 수용부(120C)를 상하로 흔들어 혼합할 수 있음은 물론, 제2 수용부(120C)가 파우치 형태를 이루므로 주무름을 통해 혼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agents were mixed by shaking up and down, but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C can be mixed by shaking up and down, as well as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 120C) is in the form of a pouch, so mixing may be performed through kneading.

이에 따라, 제1, 2 실시예의 혼합용기(130A) 또는 제2 수용부(120B)는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반면, 본 실시예의 제2 수용부(120C)는 파우치 형태를 이루도록 구김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mixing vessel 130A or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B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made of a hard material that does not deform in shape, whereas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wrinkled to form a pouch shape. It can be made of this easy material.

또한, 제2 수용부(120C)는 제1 수용부(110C)와 함께 보관되어, 보관이 편리하도록, 제2 수용부(120C)의 일면에 제1 수용부(110C)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125C)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is stored together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C,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C is se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for convenient storage. (125C).

여기서, 안착부(125C)는 제1 수용부(110C)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또는 홀)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안착부(125C)와 제1 수용부(110C)가 서로 맞닿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점착제가 마련되어 제1 수용부(110C)가 안착부(125C)에 부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또는, 점선의 형태로 제1 수용부(110C)의 외곽을 따라 열 융착을 이루어 부착이 이루어질 수도 이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Here, the seating portion 125C may have a groove (or hol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C, and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where the seating portion 125C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C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 adhesive is provided on one side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C can be stored while being attached to the seating part 125C. Alternatively, the attachment may be performed by thermal fus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C in the form of a dotted line, and as such,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더불어, 제2 수용부(120C)는, 출구(1201C)에 결합되는 뚜껑(140C)을 포함할 수 있는데, 뚜껑(140C)은, 실링 뚜껑(141C)과 도포 뚜껑(142C)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C may include a lid 140C coupled to the outlet 1201C, and the lid 140C may include a sealing lid 141C and an application lid 142C. .

실링 뚜껑(141C)은 내용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제2 수용부(120C)에 결합/분리되어 내용물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 뚜껑(141C)은 도포 뚜껑(142C)에 감싸진 형태(내부에 마련된 형태)로 제2 수용부(120C)를 개폐할 수 있다.The sealing lid 141C is a component that blocks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nd is coupled/separat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C to block or allow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Here, the sealing lid 141C may open and clos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C in a form (form provided inside) wrapped around the application cap 142C.

또한, 도포 뚜껑(142C)에 배출 슬릿(1421C)이 형성되더라도, 내용물이 임의로 배출되지 않도록 도포 뚜껑(142C) 내부에서 실링 뚜껑(141C)이 제2 수용부(120C)와 나사산에 의한 결합, 억지 끼움 등으로 체결될 수 있고, 스파츌러(spatula) 형태의 도포 뚜껑(142C)은 실링 뚜껑(141C)에 끼워져 보관되면서도 실링 뚜껑(141C)이 제거되더라도 제2 수용부(120C)와 실링 뚜껑(141C)이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discharge slit 1421C is formed in the application lid 142C, the sealing lid 141C is coupled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by a screw thread inside the application lid 142C so that the contents are not arbitrarily discharged. It can be fastened by fitting, etc., and the application cap 142C in the form of a spatula is stor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aling cap 141C, even if the sealing cap 141C is remove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C and the sealing cap 141C ) can be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combined.

특히, 도포 뚜껑(142C)은 실링 뚜껑(141C)이 제거되면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배출 슬릿(1421C)이 형성될 수 있고, 도포 뚜껑(142C)은 스파츌러(spatula) 형태를 가질 수 있어, 혼합물을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거나 펴 바를 수 있도록 표면적이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슬릿(1421C)은 제2 수용부(120C)와 연통 되도록 가로선으로 절개된 형태를 이루어 제2 수용부(120C)의 부피가 감소되어(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감소될 수 있음) 제2 수용부(120C)로부터 배출 슬릿(1421C)을 통해 내용물이 빠져나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lid 142C may have a discharge slit 1421C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when the sealing lid 141C is removed, and the application lid 142C may have a spatula shape, The surface area may be large so that the mixture can be applied or spread on the user's skin. Here, the discharge slit 1421C is cut in a horizontal lin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so that the volum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is reduced (can be reduced by user's pressuriza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is reduced in volume. Contents may escape from the accommodating part 120C through the discharge slit 1421C.

그리고 배출 슬릿(1421C)의 형태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포 뚜껑(142C)에서 가로선 외에 세로선, 대각선 등 다양한 변형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도 11에서는 정면에 도시하였으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의 편의성에 따라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discharge slit 1421C can be made of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vertical lines and diagonal lines in addition to horizontal lines in the application lid 142C made of silicon, etc., as well as shown in the front in FIG. Likewise, the loca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use.

특히, 사용자는 한 번에 내용물을 모두 배출시켜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내용물 모두를 동시에 펴 바를 수 없으므로, 즉 한 번에 내용물을 모두 배출시키는 경우 내용물이 덩어리로 뭉쳐져 흘러내리거나 낙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소량씩 내용물의 일부를 배출시키도록 실링 뚜껑(141C)을 개방시키고 내용물이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 뚜껑(141C)을 닫고, 나머지 내용물을 토출 시키기 위해 다시 실링 뚜껑(141C)을 개방시키고 닫는 등의 동작을 반복할 필요가 없도록, 실링 뚜껑(141C)을 제거한 이후 도포 뚜껑(142C) 만을 제2 수용부(120C)에 결합시키고, 도포 뚜껑(142C)의 배출 슬릿(1421C)을 통해 내용물을 조금씩 토출 시키면서 동시에 내용물을 펴 바를 수 있어 편리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user cannot discharge all the contents at once and spread all the contents on the front of the user's face at the same time, that is, when all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t once, the contents may clump together and flow or fall. Open the sealing lid 141C to discharge some of the contents in small amounts, close the sealing lid 141C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hardening, and open and close the sealing lid 141C again to discharge the remaining contents. To avoid the need to repeat the operation, after removing the sealing lid 141C, only the application lid 142C is coupl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C, and the contents are gradual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lit 1421C of the application lid 142C. It is convenient because you can apply the contents at the same time while doing it.

한편, 복수의 믹싱 제품(100)이 구비되어, 복수의 제1 수용부(110C), 제2 수용부(120C)가 한 쌍씩 유닛을 이루어 마련되는 경우, 이러한 도포 뚜껑(142C)은 하나 마련되고, 나머지는 실링 뚜껑(141C)에 의해 폐쇄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mixing products 100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110C and a plurality of second accommodating parts 120C are provided as a unit, one such application lid 142C is provided , the rest may form a closed form by the sealing lid (141C).

그리고 제1 수용부(110C)는, 제2 수용부(120C)에 공급하기 위한 제1 제를 수용하며, 제2 수용부(120C)의 부피 및 크기에 대비하여 작게 이루어져, 제2 수용부(120C)의 안착부(125C)에 접착되어 마련될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점착제 또는 열 융착으로 접착이 이루어져 분리 가능하게 안착부(125C)에 고정될 수 있다.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C accommodates the first agent to be suppli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and is made small compared to the volume and siz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so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 120C) may be provided by being adhered to the seating portion 125C. As mentioned above, the adhesive may be bonded with an adhesive or heat-sealed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seating portion 125C.

제1 수용부(110C)는, 제2 수용부(120C)의 출구(1201C)에 인입되어 제1 제를 제2 수용부(120C)의 내부로 전달하는 주입구(1101C)를 가질 수 있으며, 출구(1201C) 및 주입구(1101C)는 주둥이로서 제1 제 및 제2 제가 수용된 공간의 단면적에 대비하여 협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C may have an inlet 1101C that is drawn into the outlet 1201C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C and delivers the first agent to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C. 1201C and the inlet 1101C are spouts and may be made narrow in comparison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ace where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accommodated.

특히, 제1 수용부(110C)는 제1 제를 제2 수용부(120C)에 배출시키므로, 주입구(1101C)의 사이즈는 제2 수용부(120C)의 출구(1201C)에 대비하여 작게 이루어져, 출구(1201C)에 제1 수용부(110C)의 주입구(1101C)를 꼽은 상태로 제1 제를 배출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C discharges the first agent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the size of the inlet 1101C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utlet 1201C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C, The first agent may be discharged with the inlet 1101C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C plugged into the outlet 1201C.

여기서, 주입구(1101C)는, 밀봉되었다가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개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제1 수용부(110C)의 가로 방향으로 절개선(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찢어 내거나 가위 등의 도구를 통해 절단하여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inlet 1101C may have a shape that is sealed and then torn or broken to open. Incisions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C so that the user can tear it by hand or use scissors. It can be used by cutting through tools such as

또한,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100)은, 제1 수용부(110D), 제2 수용부(120D), 혼합용기(130D), 뚜껑(140D)을 포함할 수 있다.13 to 18, the mixing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a mixing container 130D, and a lid 140D. can include

본 실시예의 제1 수용부(110D) 및/또는 제2 수용부(120D)는, 파우치 형태일 수 있으며, 제3 실시예와 달리 제2 수용부(120D)에 제1 수용부가 유입/삽입될 필요가 없어, 제2 수용부(120D)는 한 쌍의 필름지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겹쳐져 테두리가 씰링 되도록 열 융착 등의 방식으로 밀봉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밀봉 형태는 제1 수용부(110D) 역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or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of this embodiment may be in the form of a pouch, and unlike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may be introduced/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There is no nee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D) can form a sealed form by a method such as thermal fusion so that a pair of film sheets are overlapped to form a space therein so that the edges are sealed. This sealing form may also be the same as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는, 연결된 파우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를 분리할 수 있도록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 사이에는 절취선(111D)이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5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 connected pouch shape, and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ively A perforated line 111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D so as to separate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D.

그리고 제1 수용부(110D) 및 제2 수용부(120D)는, 찢어짐에 의해 개방되는 출구(1201D)를 각각 구비할 수 있고,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 각각의 출구(1201D)는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를 동시에 짜내어 제1 제와 제2 제를 혼합용기(130D)에 배출시킬 수 있다.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may each have an outlet 1201D opened by tearing, and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The outlet 1201D is provided in a parallel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agents can be discharged into the mixing container 130D by simultaneously squeez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여기서, 제1 수용부(110D) 및 제2 수용부(120D)는, 밀폐된 출구(1201D)를 개방시키기 위해 절취될 수 있는데, 출구(1201D)에 인접하여 칼집(칼로 에어서 낸 진집) 등과 같은 절개홈(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거나 또는 절취선(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D may be cut to open the closed outlet 1201D, and adjacent to the outlet 1201D, a sheath (a sheath made by air with a knife), etc. The same incision groove (not shown) may be provided or a perforation line (not shown) may be provided.

게다가, 제1 제와 제2 제가 배출된 후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본 실시예의 혼합용기(130D)와 뚜껑(140D)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 미사용시에는 혼합용기(130D)와 뚜껑(140D)의 내부에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가 실링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고, 마스크팩을 이용시에는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제1 제와 제2 제가 혼합용기(130D)에 담겨진 후 혼합용기(130D)에 뚜껑(140D)이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가 될 수 있어, 쉐이커 용기로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ixing container 130D and the lid 140D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mixing occurs after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discharged, so that when not in use, the mixing vessel 130D and the lid ( 140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may be stored in a sealed state, and when using a mask pack,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After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discharged from each are contained in the mixing container 130D, the lid 140D may be coupled to the mixing container 130D to be sealed, so that it may be used as a shaker container.

이러한, 혼합용기(130D)와 뚜껑(140D)의 결합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끼움 결합 또는 나사산을 이용한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혼합용기(130D)와 뚜껑(140D)은 상하 대칭의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제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혼합용기(130D)와 뚜껑(140D)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하 양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combination of the mixing vessel 130D and the lid 140D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fitting or screwing, in the same/similar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mixing vessel 130D and the lid (140D) can form a vertically symmetrical shape, and in the same/similar manner to the first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mixing container (130D) and the lid (140D) are combined,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toward both ends of the mixing vessel (130D). .

일례로, 혼합용기(130D)와 뚜껑(140D)의 전체 형상의 중심부(혼합용기(130D)와 뚜껑(140D)의 결합영역)의 단면적에 대비하여 혼합용기(130D)의 내측 바닥면 및 뚜껑(140D)의 내측 천장면 각각이 2/3 이하 내지 1/2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container 130D and the lid ( 140D)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of 2/3 or less to 1/2 of each inner ceiling surface.

즉 혼합용기(130D)의 내측 바닥면 및 뚜껑(140D)의 내측 천장면의 단면적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형태를 이루어, 마스크팩을 혼합하기 위해 상하로 흔들 때, 제1 제와 제2 제는 혼합용기(130D)와 뚜껑(140D) 내부에서 상하부에서는 서로 모이고 중심부에서는 서로 퍼질 수 있어, 혼합물이 상하로 흔들리면서 퍼짐과 모임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container 130D and the inner ceiling surface of the lid 140D is rapidly reduced, when shaking up and down to mix the mask pack,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130D) and the inside of the lid (140D), the upper and lower parts can be gathered together and can be spread to each other in the center, so that the mixture can be repeatedly spread and gathered while shaking up and down, so that mixing can be easily achieved.

본 실시예의 스파츌러(200)는, 제1 수용부(110D) 및 제2 수용부(120D)가 겹쳐진 상태에서 통과하면서 제1 수용부(110D) 및 제2 수용부(120D)가 압축되어 제1 제 및 제2 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슬릿(201)을 가질 수 있다.In the spatula 200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D are compressed while passing in a state wher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D are overlapped. It may have a slit 201 through which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discharged.

즉 본 실시예의 제1 수용부(110D) 및 제2 수용부(120D)는 동일한 방향의 출구(1201D)를 통해 제1 제와 제2 제가 동시에 짜내질 수 있는데, 한 번에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를 가압할 수 있도록 스파츌러(200)에 마련된 슬릿(201)으로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를 함께 삽입시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를 잡아 당기면, 슬릿(201)의 내면에 제1 수용부(110D)와 제2 수용부(120D) 각각이 밀착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져, 제1 제와 제2 제가 배출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can be squeezed out simultaneously through the outlet 1201D in the same direction.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are inserted together into the slit 201 provided in the spatula 200 to pressuriz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from one end.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are pulled by the end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it 201 and pressurized. ,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can be discharged.

한편,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는 마스크팩을 덜어 낼 때 제4 실시예의 믹싱 제품(100)의 스파츌러(200)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파츌러(200A, 200B)를 이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may use the spatula 200 of the mixing product 100 of the fourth embodiment when removing the mask pack, but, unlike this,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same spatula 200A and 200B may be used.

여기서, 스파츌러(200A, 200B)는 혼합물이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즉 표면적이 넓게 이루어지도록 납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혼합물이 덜어지는 영역의 중심부에 홀(201B)이 형성되거나 홀이 생략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를 이룰 수 있다. Here, the spatula 200A, 200B may be flattened so that the mixture is easily seated, that is, to have a large surface area, and a hole 201B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rea where the mixture is dispensed or the hole can be omitte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s shown.

다만, 제4 실시예의 믹싱 제품(100)의 스파츌러(200)는 제1 수용부(110D) 및 제2 수용부(120D)가 관통되면서 밀착되도록 1mm 내지 3mm 내외의 폭을 가지는 슬릿(201)이 형성되는 반면, 다른 형태의 스파츌러(200B)에 형성된 홀(201B)은 4mm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홀(201B)을 통해 혼합물이 스파츌러(200) 상에서 점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어, 혼합물의 도포가 용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However, the spatula 200 of the mixing product 100 of the fourth embodiment has a slit 201 having a width of about 1 mm to 3 mm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D penetrate and adhere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hole 201B formed in the spatula 200B of another shape may have a width of 4 mm or more, and the mixture may easily fall off the spatula 200 through the hole 201B without sticking to it.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mixture may be eas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게다가, 도 20 내지 도 23c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100)은, 제1 수용부(110E), 제2 수용부(120E), 혼합용기(130E), 뚜껑(140E)을 포함할 수 있다.20 to 23c, the mixing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a mixing container 130E, and a lid 140E. can include

본 실시예의 믹싱 제품(100)의 제1 수용부(110E), 제2 수용부(120E)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이룰 수 있고, 별도의 혼합용기(130E)가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E of the mixing product 100 of this embodiment may have symmetrical shape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separate mixing container 130E can be provided.

구체적으로,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는 일체로 형성되되,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1112E)이 마련될 수 있고, 출구를 실링부재(112E)가 커버하여 제1 제와 제2 제를 밀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분리된 공간을 가지면서도 출구 측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사출물로 이루어지되 실링부재(112E)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E are integrally formed, a partition wall 1112E may be provided to separate the space, and the sealing member 112E covers the outlet to cover the first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may be seal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may form a form in which the exit side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having a separated space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or each is a separate injection material.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they can be connected by the sealing member 112E.

여기서, 실링부재(112E)는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를 함께 커버할 수 있으며, 실링부재(112E)는 후술되는 관통홈(141E)을 통해 노출되는 동일한 재질의 손잡이부재(1121E)를 포함할 수 있어, 실링부재(112E)는 손잡이부재(1121E)를 따라 당겨져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를 개구시킬 수 있다. 이때, 실링부재(112E)에 의해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가 동일/유사한 면적으로 개구 되도록 격벽(1112E)은 손잡이부재(1121E)와 동일 중심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sealing member 112E may cover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E together, and the sealing member 112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exposed through a through hole 141E to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handle member 1121E may be included, the sealing member 112E may be pulled along the handle member 1121E to op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At this time, the partition wall 1112E may be provided on the same center line as the handle member 1121E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E are opened to the same/similar area by the sealing member 112E. there is.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부재(1121E)를 당겨 실링부재(112E)를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로부터 벗겨지면,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 각각이 동일/유사한 면적으로 점진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나, 격벽(1112E)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격벽(1112E)을 통해 제1 제와 제2 제가 구획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격벽(1112E)의 높이는 실링부재(112E)에 맞닿도록 연장되어, 실링부재(112E)가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에 점착제, 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실링 되면서도 격벽(1112E)의 단부에도 밀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member 1121E and peels off the sealing member 112E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 120E) Each may be gradually opened to the same/similar area, but the location of the partition wall 1112E is not limited, but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can be partitioned and stor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1112E,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1112E is extend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112E, so that the sealing member 112E seals the first and second housing parts 110E and 120E with an adhesive, heat fusion, etc. The end of (1112E) can also be formed in close contact.

아울러, 손잡이부재(1121E)는, 실링부재(112E) 상에 맞닿게 접어져, 관통홈(141E)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실링부재(112E)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재(1121E)는 실링부재(112E)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실링부재에서 연장된 측에서 반대측으로 손잡이부재(1121E)가 관통홈(141E)을 통해 돌출되게 마련되어, 손잡이부재(1121E)를 잡아당기면 돌출된 손잡이부재(1121E)의 반대편이 당겨지면서 실링부재(112E)가 끌어 당겨지게 되어 실링부재(112E)가 벗겨질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member 1121E may be extend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ling member 112E so as to be folded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112E and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41E. That is, the handle member 1121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ling member 112E, and the handle member 1121E protrudes from the side extending from the sealing member to the opposite 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41E, so that the handle member 1121E When pulling,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ding handle member 1121E is pulled and the sealing member 112E is pulled, so that the sealing member 112E can be peeled off,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실링부재(112E)와 손잡이부재(1121E)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실링부재(112E)는 손잡이부재(1121E)에 대비하여 찢김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져, 실링부재(112E)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실링부재(112E)에 손잡이부재(1121E)가 결합된 형태를 이루면,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재(1121E)가 당겨지면서, 손잡이부재(1121E)를 따라 실링부재(112E)가 당겨지는 과정에서 실링부재(112E)가 파손되어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를 개구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member (112E) and the handle member (1121E)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112E)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y to tear in preparation for the handle member (1121E), sealing member When the handle member 1121E is coupled to the sealing member 112E so as to cross at least a portion of 112E, the handle member 1121E is pulled by the user and the sealing member along the handle member 1121E ( 112E) is pulled, the sealing member 112E may be damaged to op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그리고 혼합용기(130E)는 제1 실시예의 혼합용기(130A)와 동일/유사하게 제1 제 및 제2 제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혼합물을 별도의 용기에 덜어낼 필요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lso, the mixing container 130E forms a space where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introduced and mixed, the same as/similar to the mixing container 130A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mixture can be used immediately without the need to pour the mixture into a separate container. It can be made so that it can be made, and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의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의 결합은, 혼합용기(130E)에 대한 뚜껑(140E)의 간섭으로 이루어지면서도, 혼합용기(130E)에 대한 뚜껑(140E)의 간섭 길이에 따라 후술되는 관통홈(141E)을 노출시키거나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 중 어느 하나에 스토퍼(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관통홈(141E)의 폐쇄를 허용하되, 뚜껑(140E)의 회전을 제한하여, 사용자가 혼합용기(130E) 또는 뚜껑(140E)을 돌릴 때 돌려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However, the combination of the mixing container 130E and the lid 140E in this embodiment is made of the interference of the lid 140E with respect to the mixing container 130E, and the interference of the lid 140E with respect to the mixing container 130E. Depending on the length, the through hole 141E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exposed or closed. Here, a stopper (not shown) is provided on either of the mixing container 130E and the lid 140E to allow the through hole 141E to be closed, but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lid 140E so that the user can (130E) or when turning the lid (140E) can determine the degree of rotation.

이러한, 스토퍼는 돌기 등에 의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이 서로 맞닿으면서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부딪힘이 발생하여 딸깍거리는 소리 등을 발생할 수도 있어, 사용자에게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인식시킬 수도 있다.Such a stopper may be jammed by a protrusion or the like, and when the mixing container 130E and the lid 140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collision may occu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tic material and may generate a clicking sound, etc.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container 130E and the lid 140E are stably bonded.

또한, 뚜껑(140E)은, 혼합용기(130E)를 커버하며 외관을 이루어,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가 내장되는 보관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실시예의 뚜껑(140E)은, 혼합용기(130E)와 분리될 필요없이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로부터 제1 제와 제2 제가 혼합용기(130E)에서 혼합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재(1121E)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관통홈(141E)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d 140E covers the mixing container 130E and forms an exterior, and may be formed as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are built. In particular, the lid 140E of this embodiment, without the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mixing container 130E,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E in the mixing container 130E To be mixed,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dle member 1121E may protrude through grooves 141E.

그리고 도 23b 및 도 23c를 참조하면, 뚜껑(140E)에는 패킹(115E)이 마련될 수 있는데, 패킹(115E)은 폐곡선의 형태를 이루어 뚜껑(140E)의 내주면에 밀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관통홈(141E)에 대응하는 보조관통홈(1151E)이 형성되며,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뚜껑(140E)에 대비하여 패킹(115E)의 재질은 형태 변형 등이 이루어지도록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연질,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nd referring to FIGS. 23B and 23C, the lid 140E may be provided with a packing 115E. The packing 115E may form a closed curv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140E, An auxiliary through-groove 1151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141E is formed, and the material of the packing 115E is soft, ductile, such as silicone or rubber, so that shape deformation is made in preparation for the lid 140E made of plastic. It can be made of the material of

이때, 보조관통홈(1151E)은 패킹(115E)의 재질 특성상 벌어질 수도 있어 손잡이부재(1121E)가 당겨질 때 손잡이부재(1121E)의 두께보다 보조관통홈(1151E)의 상하 폭이 작게 이루어져도 손잡이부재(1121E)가 보조관통홈(1151E)을 통해 용이하게 빠져나오면서도, 보조관통홈(1151E)의 내주면에 실링부재(112E)가 밀착되는 형태로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112E)에 묻은 제1 제 또는 제2 제가 패킹(115E)이나 관통홈(141E)의 내주면에 긁어져 화장품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실링부재(112E)를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through-groove (1151E) may be opened due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packing (115E), so even if the vertical width of the auxiliary through-hole (1151E)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andle member (1121E) when the handle member (1121E) is pulled, the handle While the member 1121E easily comes out through the auxiliary through-hole 1151E, the sealing member 112E can come ou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through-hole 1151E, so that the sealing member 112E is buried. The first agent or the second agent is scratch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ing 115E or the through groove 141E so that cosmetics can be used without any residue, and the sealing member 112E can be neatly treated, which is convenient.

아울러, 관통홈(141E)의 상하 폭이 실링부재(112E)의 두께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보조관통홈(1151E)의 상하 폭은 실링부재(112E)의 두께보다 작게 이루어져 보조관통홈(1151E)이 관통홈(141E)에 대응되게 마련되더라도 관통홈(141E)을 간섭하게 되며,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물은 물에 대비하여 점성이 높으므로 보조관통홈(1151E)을 통해 누출될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through grooves 141E are mad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ember 112E, and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auxiliary through grooves 1151E ar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ember 112E. 1151E)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 141E, but interferes with the through hole 141E, and since the mixture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has high viscosity compared to water, it leaks through the auxiliary through hole 1151E. risk may be reduced.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100)의 사용방법은, 도 23a(믹싱 제품 사용 과정 도면)의 a, b, c, d 중에서 a 와 이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 도 23b의 a, b 중에서 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실링부재(112E)를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로부터 벗겨내기 위해, 손잡이부재(1121E)를 잡아당긴다. A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ethod of using the mixing product 100 is a in a, b, c, and d of FIG. 23a (a drawing of a process of using a mixing product) and among a and b in FIG. Referring to a, in order to peel off the sealing member 112E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E, the handle member 1121E is pulled.

이때, 도 23C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1121E)는 실링부재(112E)에 접혀진 상태에서, 손잡이부재(1121E)가 잡아 당겨지면 그 반대편의 실링부재(112E)가 손잡이부재(1121E)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딸려가게 되면서 벗겨지게 된다. 이때, 실링부재(112E)의 하부가 점착제 등에 의해 밀착 고정된 형태이므로 힘이 작용하는 반대편으로 밀리게 되어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효과가 발생하면서 손잡이부재(1121E)를 따라 벗겨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3C, when the handle member 1121E is pulled in a state where the handle member 1121E is folded on the sealing member 112E, the sealing member 112E on the opposite side is moved to the handle member 1121E. As it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pulling, it is peeled off. At this time,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112E is tightly fix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it is pushed to the opposite side to which force acts, so that it can be peeled off along the handle member 1121E while generating an effect of being lifted upward.

이때, 손잡이부재(1121E)와 함께 실링부재(112E)가 관통홈(141E)과 보조관통홈(1151E)을 빠져 나가게 되어, 실링부재(112E)에 제1 제 또는 제2 제가 묻은 경우 관통홈(141E)이나 보조관통홈(1151E)의 둘레면에 긁어지게 되어 화장품이 실링부재(112E)에 잔여 되지 않고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에 떨어져 모두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ling member 112E together with the handle member 1121E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41E and the auxiliary through hole 1151E, and when the first agent or the second agent is applied to the sealing member 112E, the through hole ( 141E) o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through-hole 1151E is scratched, so that cosmetics do not remain on the sealing member 112E and fall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and can be used.

아울러, 손잡이부재(1121E)만 아니라, 실링부재(112E)가 함께 벗겨지면서 배출되므로, 혼합용기(130E)나 뚜껑(140E)에 실링부재가 남겨 지지 않아, 제1 제와 제2 제가 혼합시 실링부재(112E)에 붙지 않으므로, 혼합물을 깔끔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not only the handle member 1121E, but also the sealing member 112E is peeled off and discharged, the sealing member is not left in the mixing container 130E or the lid 140E, so that when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mixed, sealing Since it does not adhere to the member 112E, the mixture can be used neatly.

그리고 나서 도 23a(믹싱 제품 사용 과정 도면)의 a, b, c, d 중에서 b 와 도 23b의 a, b 중에서 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뚜껑(140E)에 대하여 혼합용기(130E)를 상대회전시켜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의 간섭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 각각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 나사 결합의 길이를 높임으로써, 혼합용기(130E)를 뚜껑(140E)에 더욱 진입시킬 수 있다.Then, as referring to b among a, b, c, and d in FIG. 23A (a drawing of a mixing product use process) and b among a, b in FIG. 23B, the mixing container 130E is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id 140E. Thus, the interference length between the mixing vessel 130E and the lid 140E may be increased. For example, when threads are formed on each of the mixing vessel 130E and the lid 140E, the mixing vessel 130E can be further entered into the lid 140E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crew connection.

이에 따라, 실링부재(112E)가 배출되기 위해 관통홈(141E)이 노출된 상태에서, 혼합용기(130E)의 간섭 길이의 증가로 관통홈(141E)이 가로막힐 수 있어, 도 23a(믹싱 제품 사용 과정 도면)의 a, b, c, d 중에서 c와 d와 같이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 경우라도, 혼합물이 관통홈(141E)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through hole 141E is exposed to discharge the sealing member 112E, the through hole 141E may be block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interference length of the mixing container 130E, which is shown in FIG. 23A (mixing product). Even when shaking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s in c and d among a, b, c, and d of the use process drawing), the mixture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41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 내부에 마련되는 제1 수용부(110E), 제2 수용부(120E)를 꺼낸 후 실링부재(112E)를 제거하여 다시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에 넣을 필요없이,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 내부에 마련된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로부터 손잡이부재(1121E)를 잡아 당기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실링부재(112E)를 벗겨냄으로써, 제1 제와 제2 제를 노출시킨 후 바로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을 흔들어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after taking ou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provided inside the mixing container 130E and the lid 140E, the sealing member 112E is removed to mix again. Hold the handle member 1121E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provided inside the mixing container 130E and the lid 140E without putting it into the container 130E and the lid 140E. By peeling off the sealing member 112E through a simple pulling motion, the mixture can be prepared by shaking the mixing container 130E and the lid 140E immediately after exposing the first and second agents, so it can be easily used. there is.

아울러,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는 폐기되더라도, 새로운 제1 수용부(110E)와 제2 수용부(120E)를 구입하여 이미 구비한 혼합용기(130E)와 뚜껑(140E)에 내장시킨 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구매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are discarded, a new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are purchased and the already equipped mixing container 130E and lid Since it can be used after being embedded in (140E), the purchase cost of consumers can be reduced, and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게다가,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100)은, 제1 수용부(110F), 제2 수용부(120F), 혼합용기(130F)를 포함할 수 있다.24 to 27, the mixing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110F,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and a mixing container 130F. .

본 실시예의 제1 수용부(110F)와 제2 수용부(120F)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수용부(110F)와 제2 수용부(120F)의 구조는, 공간을 분리하는 제5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1112E)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이중 용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F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F of this embodiment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structur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F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F separates the space. It may be formed by partition walls 1112E separating spaces in the same/similar way as in the fifth embodiment, but, unlike this, it may be made of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예를 들어,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수용부(110F)의 내측에는 제1 제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제1 수용부(110F)의 외측에 제2 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2 수용부(120F)가 제1 수용부(110F)를 내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5,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agent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F, and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econd agen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F is embedded so that a space is formed.

여기서, 제1 수용부(110F)와 제2 수용부(120F)는 동일한 바닥면을 공유하면서 상부 방향으로 둘레면이 이루어지는 2중 용기 구조를 이루거나, 제1 수용부(110F)와 제2 수용부(120F) 각각이 별도의 바닥면을 가지는 개별의 용기로 이루어져 제1 수용부(110F)가 제2 수용부(120F) 내에 수용된 형태를 이루는 구조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Her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F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share the same bottom surface and form a double container structure with a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upper direction, o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F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10F. As each part 120F is composed of an individual container having a separate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F can form a structu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

다만, 제2 수용부(120F)의 내부에 제1 수용부(110F)가 마련되어도, 제1 수용부(110F)와의 사이에 제2 제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 수용부(110F)의 직경(또는 폭)보다 제2 수용부(120F)의 직경(또는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even i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F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F, a space for storing the second agen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F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F. The diameter (or width)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F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r width).

아울러, 제2 수용부(120F)의 상단 높이가, 제2 수용부(120F) 내부에 마련된 제1 수용부(110F)의 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제2 수용부(120F)를 커버하는 하나의 커버체(121F)에 의해 제1 수용부(110F)와 제2 수용부(120F)가 동시에 커버될 수 있어, 커버체(121F)에 맞닿은 제1 수용부(110F)의 상단에 의해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is mad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F provid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and one covering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Sinc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F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can be simultaneously covered by the cover body 121F of the cover body 121F, the upp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F abuts the first housing part 110F. Mixing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may be prevented.

게다가, 도 27을 참조하면(혼합물의 점도에 대응하는 제2 수용부 외관을 도시한 도면), 제2 수용부(120F)는,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물의 점도를 표시하기 위해 점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어, 사용자는 제2 수용부(120F)의 외관을 통해 혼합물의 점도를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믹싱 제품(100)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어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7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F displays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Since the user can know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the user can select and use the mixing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hereby improving satisfaction. can

예를 들어,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물의 점도에 따라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굴곡을 이루는 곡면 또는 일직선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어, 혼합물의 점도가 높은 경우 혼합물이 점진적으로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짐을 표현하는 도 27의 a와 같이, 제2 수용부(120F)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복수의 층(물결)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it may have a curved surface or a straight slope forming a curve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when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is high, the mixture is gradually laminated. As shown in a of FIG. 27,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wa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또는 혼합물의 점도가 상대적으로 더 묽은 경우 도 27의 b와 같이, 도 27의 a에 대비하여 묽게 형성되는 혼합물이 상대적으로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표현되어 물결에 대비하여 경사가 크게 이루어져 단순히 곡면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는, 도 27의 b에 대비하여 더욱 묽게 형성되어, 혼합물의 점도가 더욱 낮은 경우, 제2 수용부(120F)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일직선의 경사면으로 표현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2 수용부(120F)의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is relatively thinner, as shown in b of FIG. 27, the mixture formed thin compared to a of FIG. It can be. Alternatively, when it is formed more thinly compared to b of FIG. 27 and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is lower, the second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20F may be formed.

그리고 혼합용기(130F)는 커버체(121F)가 노출되도록 제2 수용부(120F)가 일방향으로 끼워져 보관되거나, 커버체(121F)가 분리된 제2 수용부(120F)가 반대방향으로 끼워질 때 제1 제와 제2 제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ixing container 130F is stored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inser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cover 121F is exposed, or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F from which the cover 121F is separated is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 space in which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mixed may be formed.

즉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혼합용기(130F)는 내부에 제2 수용부(120F)가 수용되도록 제2 수용부(120F)와 결합되거나,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혼합용기(130F)의 공간이 제2 수용부(120F)의 공간에 연통되도록 제2 수용부(120F)와 상하 일렬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혼합물의 혼합공간을 확장시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24 and 25, the mixing vessel 130F is coupl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F so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F is accommodated therein, or as shown in FIGS. 26 and 27 Likewise, the space of the mixing vessel 130F may be coupled to extend vertically and vertically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F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F to expand the mixing space of the mixture.

이와 같이, 혼합용기(130F)의 결합 방향에 따라, 혼합물을 혼합하기 위해 부피를 증가시키거나 보관의 용이성을 위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혼합물을 이루면서도, 제1 제와 제2 제를 보관하는 부피에 해당되는 크기로 외관을 이룰 수도 있어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mixing container (130F), the volume can be increased to mix the mixture or the volume can be decreased for ease of storage, so that the mixture can be prepared without having a separate container for forming the mixture. While forming, the appearance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storing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so that storage may be facilitated.

한편,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제7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100)은, 제1 수용부(110G), 제2 수용부(120G), 혼합용기(130G)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믹싱 제품(100)의 제1 수용부(110E), 제2 수용부(120E), 혼합용기(130E)와 동일/유사하게 이루어지되, 뚜껑(140E)이 생략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28 and 29, the mixing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110G,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G, and a mixing container 130G. , This is made the same / similar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E, and the mixing container 130E of the mixing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but the lid 140E is omitted shape can be achieved.

본 실시예의 제1 수용부(110G)와 제2 수용부(120G)의 구조는 제1 실시예, 제5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일체의 사출물로 이루어지되 격벽(1101G)으로 공간이 구획된 구조를 이루거나, 개별의 사출물로 이루어지되 서로 연결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The structur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G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G of this embodiment may be made the same/similar to the structures of the first and fifth embodiments, so that they are made of an integral injection molding material, but the partition wall 1101G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pace is partitioned, or forming a structure made of individual injection moldings but connected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제1 수용부(110G)와 제2 수용부(120G)를 커버하는 별도의 구성이 생략되고, 제1 수용부(110G)와 제2 수용부(120G) 자체가 외관을 이루면서, 상부에 혼합용기(130G)가 결합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Preferably, a separate configuration covering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G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G is omitt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0G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20G themselves form the appearance, A structure in which a mixing container 130G is coupled to the top may be achieved.

또한, 제1 수용부(110G)와 제2 수용부(120G)는 밀폐를 위해 하나의 실링부재(112F)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실링부재(112F)는 제1 수용부(110G)와 제2 수용부(120G)에 혼합용기(130E)가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부재(1121G)가 실링부재(112F)의 상단에 일부 접혀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one sealing member 112F may be provided for seal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G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G, and since this structure is the same as/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verlapping descriptions omit it. However, the sealing member 112F of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mixing container 130E is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G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G, and the handle member 1121G It may be provided in a partially folded form at the top of the sealing member (112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제와 제2 제가 젤/액상 타입으로 이루어져 가루 날림의 문제가 없으며, 스파출러(200)를 이용하여 제1 제와 제2 제를 잔량 없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제1 제와 제2 제를 혼합시 각각을 덜어낼 필요가 없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에 적합한 혼합비율로 사용할 수 있어, 마스크팩이 흘러내리거나 빠르게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최상의 효능으로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made in a gel/liquid type, so there is no problem of powder scattering, and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can be used without remaining amount using the spatula 200, which is convenient. , When mixing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it is not only convenient because there is no need to remove each agent, but it can be used in a mixing ratio suitable for use, preventing the mask pack from dripping or hardening quickly, so it can be used with the best efficacy. can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known technology as another embodimen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clear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믹싱 제품
110, 110A, 110B, 110C, 110D, 110E, 110F, 110G: 제1 수용부
120, 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 제2 수용부
130, 130A, 130D, 130E, 130F, 130G: 혼합용기
140, 140A, 140C, 140D, 140E: 뚜껑 121F: 커버체
111: 테두리부 112: 부착물
113, 1121E: 손잡이부재 113B: 손잡이부
112E: 실링부재 115E: 패킹
1151E: 보조관통홈 1101C: 주입구
111D: 절취선 110E, 141A, 1112E: 격벽
121B: 일측 제2 수용부 122B: 타측 제2 수용부
1211B: 삽입부 1102B, 1212B: 파쇄부
123: 버튼부 125C: 안착부
1201C, 1201D: 출구 131A: 내용기
141C: 실링뚜껑 1401C: 배출 슬릿
141E: 관통홈 142A: 함몰부
143A: 내벽 144A: 외벽
200: 스파츌러 201: 슬릿
100: mixing product
110, 110A, 110B, 110C, 110D, 110E, 110F, 110G: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20, 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30, 130A, 130D, 130E, 130F, 130G: mixing vessel
140, 140A, 140C, 140D, 140E: Lid 121F: Cover body
111: rim portion 112: attachment
113, 1121E: handle member 113B: handle member
112E: sealing member 115E: packing
1151E: Auxiliary through hole 1101C: Inlet
111D: perforated line 110E, 141A, 1112E: bulkhead
121B: second accommodating part on one side 122B: second accommodating part on the other side
1211B: insertion part 1102B, 1212B: crushing part
123: button part 125C: seating part
1201C, 1201D: exit 131A: content
141C: sealing lid 1401C: discharge slit
141E: through hole 142A: depression
143A: inner wall 144A: outer wall
200: spatula 201: slit

Claims (43)

제1 제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제와 물성이 다른 제2 제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는,
혼합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신체에 사용되는 화장품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혼합용기 및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를 수용하며 상기 혼합용기에서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first agen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a second agent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the first agent,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The mixture is made to create cosmetics used on the user's body,
Further comprising a mixing container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introduced and mixed, and a lid accommodat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covering one side opened in the mixing container. Mixing products made with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하나의 실링지 또는 개별의 실링지에 의하여 출구가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ixing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is sealed by one sealing paper or individual sealing pap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를 격리 수용하기 위한 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d,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artition wall for isolating and accommodat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는,
상기 뚜껑의 하단이 인입되도록 하는 함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xing vessel,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epression that allows the lower end of the lid to be drawn 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내벽은, 상기 함몰부의 외벽 대비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6,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wall of the recessed portion is formed relatively low in height compared to the outer wall of the recessed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출구의 주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7,
At least on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im protruding outward around the outl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혼합용기에 결합되는 하단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는 상기 테두리부를 상기 함몰부의 내벽에 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8,
the lid,
A step is formed at the bottom coupled to the mixing container,
The step difference is a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for closely fixing the edge portion to the inner wall of the recess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수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파쇄부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쇄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파쇄부의 가압에 의해 파쇄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 insertion portion having a crushing por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and forming a space into which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is inserte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rushing part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crushed by the pressure of the crushing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쇄되어, 상기 제2 수용부의 내부로 상기 제1 제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he first agent is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by being crushed by the crushing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의 내부를 개폐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utton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일면이 외부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제1 수용부를 향해 변형되면서 상기 파쇄부가 상기 제1 수용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utton unit,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crushing part presse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s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is pressed from the outside and deformed towar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깊이를 갖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수용부를 상기 삽입부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파쇄부가 상기 제1 수용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12,
The insertion part has a depth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ccommodation part protrudes when the first accommodation part is inserted;
The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unit pushe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wardly of the insertion part while being coupled to the insertion part so that the crushing part presse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를 갖고 상기 버튼부가 결합되는 일측 제2 수용부; 및
상기 일측 제2 수용부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타측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12,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 second accommodating part having the insertion part and to which the button part is coupled; and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provided separably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n the on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파쇄되도록 파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has an insertion part forming a space into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inserted,
The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crushing part to be crushed by rotation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파쇄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간섭에 의해 파쇄되는 실링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ling material that is crushed by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rush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파쇄부와 연결되어 상기 파쇄부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andle for rotating the crushing unit connected to the crush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파우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uch form.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일면에 상기 제1 수용부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ating portion to allow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 be seated on one surfa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상기 안착부에 접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ttached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출구에 결합되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출구에 인입되어 상기 제1 제를 상기 제2 수용부의 내부로 전달하는 주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20,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lid coupled to the outle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let that is drawn into the outle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delivers the first agent to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밀봉되었다가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개방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inlet,
A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rm that is sealed and then torn or damaged to ope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용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실링 뚜껑; 및
상기 실링 뚜껑을 감싸며, 상기 실링 뚜껑이 제거되면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배출 슬릿이 형성되며 스파츌러(spatula) 형태를 가지는 도포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lid,
Sealing lid to block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nd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pplication lid that surrounds the sealing lid, has a discharge slit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when the sealing lid is removed, and has a spatula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서로 연결된 파우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uch 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찢어짐에 의해 개방되는 출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출구들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25,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Each having an exit opened by tearing,
Mixing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s are provided in parallel directions.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압축되어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슬릿을 갖는 스파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26,
Further comprising a spatula having a slit for discharging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by compressing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while passing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in an overlapping state.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보관되거나,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가 배출되는 상기 혼합용기; 및
상기 혼합용기를 덮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 각각은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19,
The mixing container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stored or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discharged; and
Further comprising a lid covering the mixing container,
Mixing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mixing vessel and the lid decreases toward the insid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제의 혼합물이 혼합시, 상기 뚜껑의 천장면 및 상기 혼합용기의 내측 바닥면에서는 상기 혼합물이 모이고,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영역에서는 퍼지도록,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영역과 상기 뚜껑의 천장면 및 상기 혼합용기의 내측 바닥면 사이는 급격한 곡률 변화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28,
When the mixture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is mixed inside the mixing vessel and the lid, the mixture gathers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lid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vessel, and the mixing vessel and the lid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a rapid change in curvature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mixing container and the lid are coupled, the ceiling surface of the lid,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container so as to spread in the combined region.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의 내측 바닥면과 상기 뚜껑의 내측 천장면 각각의 단면적은,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영역의 단면적에 대비하여 2/3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28,
Mixing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vessel and the inner ceiling surface of the lid is less than 2/3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gion where the mixing vessel and the lid are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는 젤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제는 액상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는 혼합에 의해 마스크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gent is made of a gel type,
The second agent is made of a liquid type,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sk pack is created by mixing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는 일체로 형성되되,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를 함께 커버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space is provided,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ling member that covers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gether.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 및 상기 제2 제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혼합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mixing product further comprises the mixing container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introduced and mixed.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가 내장되고, 상기 혼합용기를 커버하며, 상기 실링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34. The method of claim 33,
The mixing product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d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built in, cover the mixing container, and have a through groove through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ealing member protrudes.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관통홈을 통해 노출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재를 따라 당겨져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개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sealing member,
A mixing product comprising a handle member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pulled along the handle member to op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실링부재 상에 맞닿게 접어져, 상기 관통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실링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35,
The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member is formed to exten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ling member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by being folded on the sealing member.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에 대응하는 보조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mixing product further comprises a packing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wherein an auxiliary through-groov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의 결합은, 상기 혼합용기에 대한 상기 뚜껑의 간섭으로 이루어져, 상기 혼합용기에 대한 상기 뚜껑의 간섭 길이에 따라 상기 관통홈이 노출되거나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mixing container and the lid is made by the interference of the lid with respect to the mixing container, so that the through hole is expos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length of the lid with respect to the mixing container.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와 상기 뚜껑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관통홈의 폐쇄를 허용하되, 상기 뚜껑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39. The method of claim 38,
The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opper provided on any one of the mixing vessel and the lid to allow the through-hole to be closed, but to limit rotation of the l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단 높이와 상기 제2 수용부의 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버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체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동시에 커버하여,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의 혼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the same,
Further comprising a cover body covering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he mixing product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ver body simultaneously covers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 prevent mixing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수용부가 일방향으로 끼워져 보관되거나, 상기 커버체가 분리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반대방향으로 끼워질 때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혼합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41. The method of claim 40,
A space where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are mixed wh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inserted and stored in one direction so as to expose the cover body, or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from which the cover body is separated are inserted in opposite directions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mixing vessel to form.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는,
내부에 상기 제2 수용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되거나, 내부의 공간이 상기 제2 수용부의 공간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수용부와 상하 일렬로 연장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the mixing vessel,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s accommodated therein, or coupled to extend in a vertical line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inner space communicates with the sp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제와 상기 제2 제의 혼합물의 점도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점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 제품.
The method of claim 40, where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 mix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iscosity to indicate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of the first agent and the second agent.
KR1020170161816A 2017-11-29 2017-11-29 Mixing product KR1025607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816A KR102560766B1 (en) 2017-11-29 2017-11-29 Mixing 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816A KR102560766B1 (en) 2017-11-29 2017-11-29 Mixing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43A KR20190063043A (en) 2019-06-07
KR102560766B1 true KR102560766B1 (en) 2023-07-28

Family

ID=6685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816A KR102560766B1 (en) 2017-11-29 2017-11-29 Mixing pro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7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817B1 (en) * 2020-04-29 2020-07-31 한국콜마주식회사 Cosmetic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95Y1 (en) * 2005-05-06 2005-07-18 주식회사 태평양 Essence cosmetic case for mixing powder
KR101325865B1 (en) 2012-11-20 2013-11-05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Essence cosmetic case for mixing pow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807A (en) * 2013-03-14 2014-09-25 주식회사 두코 Is it possible to use mixing cosmetics containers
KR20150091639A (en) * 2014-02-03 2015-08-12 애경산업(주) Container for massage p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95Y1 (en) * 2005-05-06 2005-07-18 주식회사 태평양 Essence cosmetic case for mixing powder
KR101325865B1 (en) 2012-11-20 2013-11-05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Essence cosmetic case for mixing pow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43A (en)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731B2 (en) Mask pack packaging material
EP2013098B1 (en) Multi-chambered dispenser and process
US10543956B2 (en) Dispenser and process
KR101285335B1 (en) The cosmetics case
CN106458408B (en) Packing material
EP3446591B1 (en) Cosmetics containing other cosmetic materials
US6695515B1 (en) Disposable multi-compartment applicator
KR102560766B1 (en) Mixing product
KR20190033314A (en) Pouch for easy to mix two contents
KR20180131277A (en) Multifunctional beauty mask pack set
CN105452126B (en) For providing the unit and method of skin caring ingredient
CN113998298B (en) Packaging body
KR100930753B1 (en) Portable for make-up remover tool
JP5271609B2 (en) Single use container
KR20180000361U (en) Capsule typ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mash net and a rubber discharging pad
GB2421489A (en) A product containing pack with spatula for spreadable material
KR200475545Y1 (en) A disposable one touch modeling pack set
KR10150597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water pocket
JP5887579B2 (en) Cosmetic applicator
JP6830812B2 (en) Individual packaging material with agent
KR20110105309A (en) Cosmetics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614661Y2 (en) Cosmetic container
KR20150091639A (en) Container for massage pack
KR20180001374U (en) Cosmetic vessel
KR101819483B1 (en) Package receptacle with a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