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090B1 -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090B1
KR102560090B1 KR1020220063039A KR20220063039A KR102560090B1 KR 102560090 B1 KR102560090 B1 KR 102560090B1 KR 1020220063039 A KR1020220063039 A KR 1020220063039A KR 20220063039 A KR20220063039 A KR 20220063039A KR 102560090 B1 KR102560090 B1 KR 10256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material
sandwich panel
scratch groove
scr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신범
한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광판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광판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광판넬
Priority to KR1020220063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제1판재, 제2판재 및 심재를 접합하여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판재가 권취되는 제1롤러; 상기 제1판재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판재가 상기 심재에 접하는 면에 제1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제1스크래치홈 형성부;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심재 사이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상기 제1판재 및 상기 심재 사이 및 상기 제1스크래치홈 내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1접착제 분사부; 및 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Appratus for manufacturing sandwich panel}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샌드위치패널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패널이란, 조립식 건축물에 활용되는 건축자재로서, 일반적으로 판넬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철판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철판의 내부에는 속재료로 스티로폼, 우레탄, 글라스울, 미네랄울 등의 단열재가 충전되어 건축자재로서 금속 소재가 가지고 있는 단열 문제를 보완한 소재이다.
샌드위치패널은 단열재가 일체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공정으로 공사를 마무리 하기 쉬워 사용이 편리하고, 다량 생산이 용이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내부나 외부의 별도 마감이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조립식 건축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가축 돈사 등에서도 지붕, 벽, 바닥 등의 건축소재로서 샌드위치패널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가축 돈사 등에서는 분뇨가스나 부패에 의해 발생되는 암모니아, 메탄, 이산화탄소 또는 황화합물 등의 반응성과 부식성이 높은 화학물질이 많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어, 통상적인 금속재질의 판재로 둘러싸여 있는 샌드위치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표면에서의 부식, 열화가 일어나 건축물의 수명이 저하되고 붕괴의 위험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그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특히 돈사 내부에 설치되는 용도인 경우 판재로 열전도도가 높고 비열이 낮은 금속소재를 사용하게 되면, 낮과 밤에 외부 기온에 따른 내부의 온도 관리가 어려우며, 내부에서도 위치에 따른 온도편차가 심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140111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는 내화학성 및 내부식성을 가진 샌드위치패널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재와 심재사이의 접착층에 습기(수증기)가 침투하여 양자간의 접착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제1판재, 제2판재 및 심재를 접합하여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판재가 권취되는 제1롤러;
상기 제1판재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판재가 상기 심재에 접하는 면에 제1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제1스크래치홈 형성부;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심재 사이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상기 제1판재 및 상기 심재 사이 및 상기 제1스크래치홈 내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1접착제 분사부; 및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제조장치는,
상기 제2판재가 권취되는 제2롤러;
상기 제1판재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판재가 상기 심재에 접하는 면에 제2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제2스크래치홈 형성부;
상기 제2판재와 상기 심재 사이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상기 제1판재 및 상기 심재 사이 및 상기 제2스크래치홈 내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2접착제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크래치홈 형성부는,
상기 제1판재의 이송 경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대; 및 양단이 상기 제1지지대에 연결되며 복수의 니들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제1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어셈블리는 이송되는 상기 제1판재에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니들과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지 제1판재의 면에 스크레치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스크래치홈 형성부는,
상기 제2판재의 이송 경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대; 및 양단이 상기 제1지지대에 연결되며 복수의 니들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제2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어셈블리는 이송되는 상기 제2판재에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니들과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제2판재의 면에 스크레치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거치대는 유압장치에 의해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좌우로 요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스크래치홈 및 제2스크래치홈은 상기 제1판재 및 제2판재가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스크래치홈 및 상기 제2스크래치홈의 폭:길이 비는 1:1 내지 1:2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스크래치홈 및 상기 제2스크래치홈은 폭이 0.1 내지 0.2mm, 깊이가 0.1 내지 0.4mm 이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는 직경이 20 ~ 7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래치홈들간의 거리는 1cm 내지 6cm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샌드위치패널의 제조장치는 고분자 판재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판재에 스크래치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따라 제조된 샌드위치패널은 종래의 소재 대비 중량이나 비중이 낮은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여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구조물의 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중량 대비 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형성된 스크래치홈은 판재 및 심재 사이 및 상기 스크래치홈 내부에 접착층이 구비되어, 종래 스크래치홈이 없는 경우 습기(수증기)가 침투하여 양자간의 접착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샌드위치패널의 판재는 종래 금속판재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져 열용량을 높일 수 있어 항온성 유지를 위하여 전열기등을 가동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전력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ASTM D790 시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샌드위치패널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간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에 스크래치홈 형성부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가 판재상에 스크래치홈이 지그제그(zigzag)로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니들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1)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에/아래에" 또는 "상에/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위에/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측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샌드위치패널(1)은 제1판재(10), 제2판재(30) 및 제1판재(10)와 제2판재(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심재(20)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1)이다.
제1판재(10)는 심재(20)의 일 측면에서 접촉되거나 심재(20)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넓은 형태의 판재로서, 제1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판재(10)는 샌드위치패널(1)의 구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강도, 내구성, 및 내스크래치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돈사나 가축용 축사, 화학물질을 주로 다루는 공장 또는 창고와 같은 건축물의 구조재 또는 내외장재, 특히 내부칸막이나 중천장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메탄(methane), 암모니아(ammonia) 또는 아민(amine) 등의 화학물질에 대한 내화학성, 내부식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제1판재(10)는 종래에 사용되던 강판, 스테인리스 합금 또는 기타 구조재용 금속소재보다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 고분자 수지(resin)계 소재를 제1소재로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고분자 수지로는 비스페놀A를 단량체로 포함하여 합성된 페놀계 중합체 또는 페놀계 공중합체 수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가 제1소재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제1소재로 사용되는 경우, 4,4'-디히드록시디아릴알칸계 폴리카보네이트, 특히 비스페놀 A와 포스겐을 반응시키는 포스겐법 또는 비스페놀 A와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의 탄산디에스테르를 반응시키는 에스테르 교환법에 의해 얻어지는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비스페놀 A의 일부를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또는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으로 치환한 변성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및 난연화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도 이용할 수 있다.
제1판재(10)에 금속 소재가 아닌 고분자 수지와 같은 유기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화학성이나 내부식성이 쉽게 얻어질 수 있으나, 고분자 수지는 금속에 비해 연성이나 전성이 부족하고 성형이 어려워 연속적으로 생산이 어려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구조체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가 부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소재를 제1판재(10)로 사용하는 경우, 후술할 기계적 특징을 가져 종래의 소재를 대체가능한 샌드위치패널(1)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로, 제1소재는 연속적인 샌드위치패널(1) 생산공정에 적용하기 위해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조,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판재(10)를 이루는 제1소재는 굴곡탄성률과 굴곡강도가 낮아 휘어지는 힘을 받았을 때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고, 탄성변형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거나 쉽게 펴질 수 있어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판재(10)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제1소재가 롤(Roll)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됨으로써 기존의 샌드위치패널(1) 제조 방식 및 제조장치를 활용하여 연속적으로 본 발명의 샌드위치패널(1)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고분자 수지계 소재의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이 강판 등의 소재보다 높거나, 소재가 휘어진 후 다시 펴지기 어려워 롤 형태로 권취한 상태에서 원료로 공급, 활용되기 어려운 점을 해소하고 롤 형태로 활용가능한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굴곡강도란, 굴곡 압력이 가해졌을때 소재가 버틸 수 있는 강도를 의미하며,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시험편을 지지대에 놓고 두 지지대 사이의 시험펀 중앙에 하중을 가하여 구부리며 시험편이 최대 변형 5%에 도달하거나, 외부파열이 발생할 때까지 일정한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시험편에 부하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험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ISO 178 또는 ASTM D790의 3점 굴곡시험을 통해 측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ASTM D790 시험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굴곡탄성률이란, 재료의 딱딱함(stiffness) 또는 굽힘에 저항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기계적 특성으로서, 평평한 형태의 재료에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응력을 변형량으로 나눈 값으로서, 재료의 응력에 대한 변형량의 그래프를 도시하였을 때, 초기 직선구간의 기울기로 계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재의 굴곡탄성률이 높을수록 소재의 굽힘이 어려우며 반대로, 굴곡탄성률이 낮을수록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재료가 쉽게 휘어질 수 있다.
굴곡탄성률은 ISO 178 또는 ASTM D790의 3점 굴곡시험을 통해 측정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ASTM D790 시험방법을 사용하여 소재의 굴곡탄성률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탄성률 및 굴곡강도가 특정 값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소재로부터 제조된 제1판재(10)는 굴곡탄성률이 2.0 내지 2.5 GPa 인 것이 좋고, 2.1 내지 2.47 GPa, 2.2 내지 2.43 GPa, 2.25 내지 2.40 GPa 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39 GPa 인 것이 좋다. 제1판재(10)의 굴곡탄성률이 해당 범위보다 높으면 롤형태로 권취되기 어려우며, 특히 롤의 심부에 가까워 권취시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에서의 휘어진 제1판재(10)가 비가역적으로 변형되거나 물성이 저하되고,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제1판재(10)는 굴곡강도가 90 내지 120 MPa, 93 내지 117 MPa, 95 내지 115 MPa, 바람직하게는 97 내지 110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6 MPa 인 것이 좋다. 제1판재(10)의 굴곡강도가 해당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전술한 굴곡탄성률이 높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롤형태로 권취되기 어려워지며, 특히 롤의 심부에 가까워 권취시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에서의 휘어진 제1판재(10)가 비가역적으로 변형되거나 물성이 저하되고,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제1판재(10)의 굴곡특성으로 인하여, 제1판재(10)는 직경이 20 ~ 70cm, 예를들어 직경이 30 ~ 60 cm,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45 ~ 55 cm인 롤에 권취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둘째로, 제1소재는 전체 구조체를 지지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 등에 잘 버틸 수 있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필요하며, 예를들어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가 우수한 것이 좋다.
아이조드 충격강도란, 시험규격 ASTM D 256, KS M ISO 180, ISO 180 등에 의해 시험되는 항목으로서, 재료 시편에 충격하중을 가하여 재료의 인성, 취성의 정도를 평가하는 시험으로서, 시편에 망치를 이용하여 충격을 주어 파괴하였을때 망치가 튕기는 높이를 결과값으로 나타내며, 시료가 흡수한 에너지를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여 J/m의 단위로 표기된다.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충전되지 않은 컴파운드, 충전 또는 강화된 컴파운드, 성형 및 압출재료, 시트, 필름, 매트, 직물, 강화재 등의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한 시험으로 주로 활용된다.
전술한 제1소재의 경우, 충격으로부터 버틸 수 있으면서 구조체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충격강도가 ASTM D256-10으로 측정하였을 때 650 내지 900 J/m인 것이 좋으며, 700 내지 900J/m일 수 있고, 705 내지 900 J/m, 708 내지 900 J/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소재의 충격강도가 해당 벗위보다 낮은경우, 외부의 충격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가지지 못하므로 구조의 지지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거나, 충격으로 인해 수명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로, 제1소재는 종래에 사용되던 금속 소재보다 가벼워 경량화에 유리하면서도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것이 좋으며, 예를들어 단위질량당 강도를 나타내는 비강도(specific strength)가 높은 것이 좋다.
비강도가 높을수록 샌드위치패널(1)의 중량을 낮추면서도 튼튼한 지지구조 및 강도를 얻을 수 있어 생산 및 시공이 유리하므로 경제적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소재의 비강도는 45,000 내지 60,000 Nm/kg 인 것이 좋고, 50,000 내지 60,000 Nm/kg 인 것도 좋으며, 52,000 내지 56,000 Nm/kg 인 것도 바람직하다.
제1소재로 사용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경우, 항복강도(Yield strength)가 62.1 MPa 정도이고, 폴리카보네이트의 밀도는 0.00119 g/mm3 으로 계산되었다. (폴리카보네이트 27.6g 의 부피가 23224.4 mm3) 항복강도를 밀도로 나누어 계산된 비강도의 값은 56,883 m/kg 정도로서, 해당 비강도 범위에 포함된다.
비강도의 값이 해당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동일한 강도나 물리적 특성을 얻기 위하여 더욱 무겁고 두꺼운 제1판재(10)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제품을 사용한 시공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소재는 ASTM D790 시험방법으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106 MPa 또는 그 이하의 수준이고, 굴곡탄성률이 2,39 GPa 또는 그 이하로 우수하여 롤 형태로 성형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면서도 ASTM D638-14 시험방법으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70,4 MPa정도로 강하고, 자기소화성이 있어 샌드위치패널(1)의 판재로 사용되기 좋은 장점이 있다.
한편, 제1판재(10)는 제1소재에 추가로 첨가제를 더 투입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제1판재(10)에 색상이나 다른 추가적인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마스터배치(Master batch)가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러 또는 첨가물을 폴리머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제품의 물성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필러 또는 첨가물이 포함된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를 제조한 후, 마스터 배치의 농도 및 양을 계산하여 폴리머 수지에 배함함으로써 원하는 조성의 제1소재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판재(10)의 제1소재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표면에서의 이형성이 우수하여 잘 오염되지 않으며, 표면에 오염물질이 묻는 경우에도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소재의 위와 같은 특징으로 인하여, 제1판재(10)는 표면에 이형성을 향상시키거나 내오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코팅이나 필름을 필요로하지 않을 수 있는데, 제1판재(10)가 내부에 계면을 포함하거나 적층구조를 포함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고압세척기 등을 활용한 표면세척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고, 이로인해 내부오염의 세척시 오염수의 배출이 적고 세척시간이 절감되어 운영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마스터배치를 활용하는 경우 원하는 색상이나 제품의 특성을 조절하면서 제품의 맞춤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원하는 색상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칼라 마스터배치와, 특수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능성 마스터배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마스터배치로는 난연특성을 향상시키는 난연성 마스터배치,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대전방지 마스터배치, 소재간 접착 등을 방지하는 슬립 마스터배치, 항균특성을 갖는 항균 마스터배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1)에 사용되는 제1판재(10)는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제1소재로부터 제조되며, 컬러 마스터배치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색상은 제한되지 않고, 롤 형태로 권취된 후 평평하게 펼쳐져 샌드위치패널(1)용 판재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굴곡탄성률 및 굴곡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마스터배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샌드위치패널(1)은 제1소재에 투입되는 마스터배치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열반사를 통한 온도변화를 줄일 수 있는 불투명 또는 밝은 색상을 가지는 마스터배치가 사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이때, 마스터배치에 포함되는 기능성 첨가제로는 칼슘카보네이트, 활석,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베이클라이트,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 휘스커(Whisker), 글라스버블, 카보네이트 실란 커플링제 및 폴리에틸렌 왁스와 스테아린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칼슘카보네이트, 활석, 탈크 또는 실리카, 알루미나, 베이클라이트, 휘스커, 글라스버블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경우 고분자 소재에 혼합되어 굴곡탄성률, 굴곡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내화학성 및 내부식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이 포함되는 경우 내습, 내부식성이 향상되고, 굴곡탄성률 및 굴곡강도 또한 개선되는 장점이 있으며, 카보네이트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경우 굴곡탄성률이 향상될 수 있고, 폴리에틸렌 왁스와 스테아린산염이 포함되는 경우 내습 및 내화학성이 향상될 수 있다.
첨가물의 함량은 마스터배치 전체의 3 ~ 20 중량%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 인 것이 좋다. 마스터배치에서 첨가물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원하는 물성을 얻기위한 마스터배치의 사용량이 증가되고, 첨가물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수지 본래의 물성을 저해하고, 마스터배치에서 첨가물이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1)의 제1판재(10)는 제1판재(10)대비 비열이 높고, 구체적으로는 비열이 1.0 내지 1.5 J/g·K 일 수 있고, 1.1 내지 1.4 j/g·K인 것이 좋으며, 1.2 내지 1.3 J/g·K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열이 높은 제1판재(10)를 사용함으로써, 샌드위치패널(1)에 의한 온도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내부 항온성 향상에 유리하고, 낮에 저장된 열을 밤에 방출함으로써 야간 난방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1)을 구성하는 제1판재(10) 및 제2판재의 제1소재는 열전도율이 심재(20)보다는 높은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소재의 열전도율이 0.1 내지 5.0 W/m·K 일 수 있고, 0.12 내지 2.0 W/m·K인 것도 좋으며, 0.15 내지 1.0 W/m·K 인 것도 좋고, 0.18 내지 0.2 W/m·K 인 것도 바람직하다.
제1소재의 비열 및 열전도도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기 위하여, 베이클라이트, 폴리우레탄, 에틸렌프로필렌, 클로로프렌 및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제1소재에 첨가되는 것도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열이 1.5 J/g·K 이상인 것이 좋으며, 폴리우레탄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첨가제를 제1소재에 0.01 내지 5wt%, 예를들어 0.01 내지 2 wt%,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0 wt% 로 첨가하는 경우 제1판재(10)의 비열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해당 범위보다 많이 첨가되는 경우 굴곡탄성이나 굴곡강도를 나쁘게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제1소재의 비열 및 열전도도 특성, 첨가제를 조절하는 방법 외에도, 제1판재(10)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샌드위치패널(1)의 열용량 및 열전도특성을 더욱 최적화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판재(10)의 두께는 두께 단위로 mm 대신 해당 기술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위인 T를 사용하였을 때, 1.5T~2T 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2T인 것이 좋으며, 제2판재(30)의 두께는 0.4T~0.5T 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0.5T인 것이 좋다.
여기에서 1T는 1mm와 동일하게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판재(10)의 두께는 제2판재(30)의 두께 대비 1 내지 5배일 수 있고, 3배 내지 5 배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3.8배 내지 4.2 배인 것이 좋다.
제1판재(10)와 제2판재(30)의 두께범위가 해당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품의 생산 효율이 저하되거나 경제성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제1판재(10)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 강도가 약하여 샌드위치 패널의 기계적 물성이 약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 제1소재를 롤형태로 제조, 사용하기가 어려워 샌드위치패널(1)의 양산이 어려워지고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이 제1판재(10)가 항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짐으로 인하여, 종래기술에서 내부 면에 항온성 향상을 위한 발포폼층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항온성을 얻을 수 있으며, 발포폼의 형성으로 인해 문제되었던 내부 청소 및 관리의 문제, 산업폐기물의 문제 또한 제1판재(10)를 사용하는 경우 청소 및 관리가 편리하고 소재의 재활용이 가능한 점을 고려할 때 해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샌드위치패널(1)은 전술한 제1판재(10)와 함께 제2판재(30)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제2판재(30)는 심재(20)의 타 측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며, 제1판재(10)가 적층된 심재(20)의 반대측면에 구비되어 제1판재(10)와 제2판재(30)의 사이에 심재(20)가 구비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2판재는 제1판재와 마찬가지로 고분자소재를 사용하고, 전술한 제1판재와 같은 제1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제1판재와 두께가 다르거나 같을 수 있다.
샌드위치패널(1)에서 제1판재(10) 및 제2판재(30)의 사이에 구비되는 심재(20)는 섬유가 서로 엉켜 있는 부직 섬유 구조를 가지는 충전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스티렌(스티로폼), 폴리우레탄, PUR, PIR, 글라스울, 미네랄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가 심재(20)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심재(20)로 발포 폴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 등과 같은 단열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폴리스티렌은 폴리스티렌수지에 펜탄 또는 부탄 등과 같은 발포제를 첨가하여 고온으로 가열시킴과 동시에 고압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발포한 것으로, 샌드위치패널(1)의 심재(20)로 사용시 내열성, 흡음성, 내충격성, 경량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심재(20)는 건물 내부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샌드위치패널(1)에서 단열재로서의 역할과 강도유지를 위해 포함된다. 샌드위치패널(1)이 시공되는 위치나 목적에 따라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중천장의 경우 100T 내지 150T 의 심재(2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심재(20)는 준불연 또는 난연 특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심재(20)의 밀도는 소재의 발포정도 및 발포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9 내지 21 kg/m3, 19.7 내지 20.9 kg/m3,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9 kg/m3인 것이 좋다.
심재(20)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 단열성능이 낮아지고, 너무 두꺼운 경우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심재(20)의 밀도가 너무 높은 경우 발포가 충분하지 않아 단열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밀도가 너무 낮은 경우 강도가 충분하지 못해 지지하는 힘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측면에 따른 샌드위치패널(1)은 전술한 제1판재(10) 및 제2판재(30)를 심재(20)와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40)을 심재(20)의 양측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판재(10) 및 제2판재(30)와 심재(20)의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착액의 분사 전에 제1판재(10)의 접착면의 표면을 처리하여 표면에 스크래치홈(33)을 형성함으로써 접착층(40)을 통한 제1판재(10)와 심재(20)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고분자재질로 만들어진 제1판재 및 제2판재와 심재 사이의 접착력은 매우 중요한데 접착력이 약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고분자 판재와 심재사이의 접착층에 습기(수증기)가 침투하여 양자간을 접착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착층(40)을 초기부터 매우 견뢰성있게 형성하여 수증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 스크래치홈(33)은 판재의 표면에서 내부로 침투해들어가는 홈으로서, 폭 0.1 내지 0.2mm, 깊이 0.1 내지 0.4mm로 복수개로 형성되며, 판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홈으로서 외부로 접착층이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한다.
즉, 통상 샌드위치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짧은 변에서 짧은 변으로의 이동방향을 길이방향이라고 할 때, 스크래치홈은 일단의 짧은 변에서부터 타단의 짧은 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스크래치홈(33)의 폭:길이 비는 1:1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홈에 접착층이 완전히 충진되지 못하여 접착력이 떨어지거나, 상기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지 못해 접착제가 침투하는 홈으로서 기능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크래치홈은 깊이, 폭, 그리고 연장되는 방향이 종래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판재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도록 굴곡을 주는 것는 것과는 차별된다.
또한, 스크래치홈간 거리는 1cm 내지 6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래치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경우 스크래치홈들간 거리는 보다 간격이 넓어지고,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크래치홈들간 거리는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경우 3 내지 6cm, 직선상으로 형성될 때 1 내지 3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40)은 심재(20)와 제1판재(10) 또는 심재(20)와 제2판재(30)를 접착하기 위해 형성되는 층이며, 심재(20)와 제1판재(10)를 접합하는 제1접착층(40) 및 심재(20)와 제2판재(30)를 접합하는 제2접착층(4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접착층(40)은 접착액을 심재(20) 또는 판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들어 발포성 접착제를 표면에 도포한 후 발포시켜 접착층(40)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접착층(40)을 형성하는 접착액은 폴리우레탄 접착액일 수 있으며, 제1액과 제2액을 반응시켜 발포성의 접착액으로 활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액과 제2액이 미리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착시키고자 하는 심재(20)나 판재의 일측면에 분사되어 혼합된 후, 접착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발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액은 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아이소시아네이트계 혼합물로서, 아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우레탄을 합성하기 위한 반응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의 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것이 좋고, 예를들어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아릴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포함하는 제1액을 개시하며, 제1액에는 추가적으로 접착액의 물성과 샌드위치패널(1)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열필러, 발포성필러 등과 같은 기타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는 전체 제1액에서 20wt% 이내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wt% 로 포함될 수 있다.
제2액은 한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제1액과 혼합되는 경우 제1액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반응하여 폴리우레탄을 합성할 수 있다.
제2액에는 한 분자에 3개 이상의 알코올기를 포함하는 폴리올 또는 2개의 알코올기를 가지는 글리콜 화합물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사용될 수 있다.
제2액에는 폴리우레탄 합성 반응시 촉매 역할을 수행하여 반응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경화제로 활용가능한 아민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는데, 아민화합물로는 3차 아민 화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들어 디 메틸에탄올 아민(dimethyletanol amine, DMEA), 디메틸시클로헥신아민(dimethylcyclohexyl amine, DMCHA), 펜타메틸렌디에틸렌트리아민(pentametylenediethylene triamine, PMDETA), 테트라메틸렌-헥실디아민(tertamethylene-hexyldiamine,TMHDA) 또는 1,4 다이아자 바이사이클로(2, 2, 2) 옥테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액에는 계면활성제 또는 정포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난구조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형 폴리디메틸실록산 화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추가적으로, 제2액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을 촉진해 프리폴리머의 경화를 촉진하기위한 촉매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촉매로는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디옥틸틴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 디옥토에이트, 디부틸틴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디클로라이드, 디부틸틴디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유기주석화합물, 비스무스트리옥토에이트, 비스무스트리스(네오데카노에이트) 등의 비스무스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표 1은 본 측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제1액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며, 표 2는 제2액의 조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화학물질명 관응명 및 이명 CAS번호 함유량(%)
폴리에틸렌 폴리페닐 Polymethylene polyphenyl 9016-87-9 55~65
이소시아네이트 isocyanate
4,4-메틸렌 디페닐 4,4-Methylene diphenyl 101-68-8 15~24
디이소시아네이트 Diisocyanate
첨가제 실리카, 탄산칼륨, 탈크(Talc) - 10~30
화학물질명 관응명 및 이명 CAS번호 함유량(%)
Polyprop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25322-69-4 85~95
POLYMER
Tertiary amine 1,4-DIAZABICYCLO(2.2.2) 280-57-9 1~3
OCTANE
Surfactant POLYALKYLENEOXIDE MODIFIED 68937-55-3 1~2
POLYDIMETHYLSILOXANE
Water DIHYDROGEN OXIDE 7732-18-5 3~5
도 2는 본원발명에서 판재의 굴곡탄성률 및 굴곡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ASTM D790시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판재는 한 쌍의 지지대 상에 평평하게 올려져 고정되며, 지지대의 사이에서 아래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며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판재의 변형량을 계산하여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이 측정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계산방법은 통상적인 구체적인 실험방법 및 통상적인 기술상식으로 지득될 수 있다.
예를들면, 시험편으로는 길이가 80 mm, 두께 4 mm, 폭이 10 mm 인 시험편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굴곡강도(MPa)는 다음 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으며, 이때 b는 미도시 되었으나 시험편의 폭(mm)이고, h, L은 mm 단위이고, F는 N 단위이다.
Figure 112022054422140-pat00002
굴곡탄성률은 변형량에 따른 굴곡강도(또는 응력)의 변화량을 나타내며,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2054422140-pat00003
<제2 측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샌드위치패널(1)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며, 해당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샌드위치패널(1)은 전술한 측면의 샌드위치패널(1)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샌드위치패널(1)의 구조나 구성에 대하여 전술한 측면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부분을 생략하여 기재하였다.
도 3은 본 측면의 샌드위치패널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샌드위치패널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여 설명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a) 내습 및 내부식성을 가지는 고분자를 포함하며, 두께가 1.5 내지 2.0mm(1.5T 내지 2,0T)인 제1판재 및 제2판재(10, 30)를 롤(roll)형태로 권취, 성형하여 준비하는 제1판재 및 제2판재 준비단계, (b) 단열재를 포함하는 심재(20)를 준비하는 심재(20) 준비단계, (c) 심재 및, 롤형태로 권취된 제1판재(10), 제2판재(30)를 이송하는 공급단계, (d) 제1판재(10)와 제2판재(30)가 심재와 밀착하게 될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단계, (e)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제1판재(10), 제2판재(30)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액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착액 분사단계, (f) 분사된 상기 분사된 접착액이 판재들과 심재사이 및 스크래치홈에 접착층(40)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단계, 및 (g) 심재(20)의 일면에 제1판재(10)를 적층시키고, 심재(20)의 타면에 제2판재(30)를 접착층(40)으로 접합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제1판재 및 제2판재 준비단계에서는 제조하고자 하는 패널의 형태, 폭(또는 너비)에 맞추어 성형하고, 권취하여 롤 형태로 만드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제1판재와 제2판재 준비단계가 함께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판재(30)에 포함되는 소재는 전술한 측면에서 언급한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부분의 기재는 생략하였다.
제1판재(10)와 제2판재(30)는 연속 생산이 가능하도록 롤형태로 권취되어 활용되며, 롤형태로 권취된 후 다시 평면으로 가공되어 샌드위치패널(1)로 제조될 수 있도록 굴곡탄성이 우수하고 변색이나 크랙발생 문제가 없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제1판재(10)와 제2판재(30)는 미리 정해진 형태와 폭으로 준비되는데, 특히, 본원발명의 샌드위치패널(1)은 제1판재(10)를 이루는 제1소재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제1소재를 이용해 샌드위치패널(1)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롤 형태로 성형, 제조된 제1소재 판재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고분자 수지가 롤 형태로 성형되는 경우 크랙이 발생하거나 탄성을 잃어버리는 문제를 가지는 것과 달리 제1소재의 경우 마스터배치를 활용해 필러를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소재의 탄성 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고분자 수지를 롤형태로 제조,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제1소재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머소재, 예를들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b) 심재(20) 준비단계는 판재와 동일한 형태 및 폭을 갖는 심재(20)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단열재를 포함하는 심재(20)를 원하는 두께와 밀도로 발포, 제조한 뒤 정해진 크기대로 가공해 준비하는 단계로, 심재(20)는 전술한 측면에 기재된 심재(20)와 동일한 심재(2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c) 심재 및, 롤형태로 권취된 제1판재(10), 제2판재(30)를 이송하는 공급단계는 롤형태로 권취된 제1 및 제2판재(30)를 연속적으로 롤러로부터 풀며 공급하고, 심재(20)를 컨베이어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 때, 각 롤러는 직경이 20 ~ 70cm, 예를들어 직경이 30 ~ 60 cm,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45 ~ 55 cm이다. 예를들어 심재(20)를 기준으로 하부에 제1판재(10)가, 상부에 제2판재(30)가 배치되도록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급되는 속도는 동일한 것이 좋다.
(d)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접착액 분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제1판재 및 제2판재가 심재와 접하는 면에 연속적인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스크래치홈은 접착층을 초기부터 매우 견뢰성있게 형성하여 수증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기위해 형성하는 판재의 표면에서 내부로 침투해들어가는 홈으로서, 폭 0.1 내지 0.2mm, 깊이 0.1 내지 0.4mm로 복수개로 형성되며, 연속하여 판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서 외부로 접착층이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한다.
스크래치홈의 폭:길이 비는 1:1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홈에 접착층이 완전히 충진되지 못하여 접착력이 떨어지거나, 상기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지 못해 접착제가 침투하는 홈으로서 기능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크래치홈은 깊이, 폭, 그리고 연장되는 방향이 종래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판재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도록 굴곡을 주는 것는 것과는 차별된다.
또한, 스크래치홈간 거리는 1cm 내지 6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래치홈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지그재그 형상으로 만들어지거나 직선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는데 스크래치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경우 스크래치홈들간 거리는 보다 간격이 넓어지고,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크래치홈들간 거리는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경우 3 내지 6cm, 직선상으로 형성될 때 1 내지 3cm인 것이 바람직하다.
(e) 접착액 분사단계는 권취된 제1판재(10) 및 제2판재(30)가 연속적으로 풀리며 공급될 때, 각 판재의 일면에 제1액 및 제2액을 분사하여 혼합시키는 단계이다.
접착액분사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제1액 및 제2액을 제1판재(10) 및 제2판재(30)의 일측면에 분사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여기에서 접착액은 2액상의 접착액인 것이 좋고, 구체적으로 제1액과 제2액을 별도로 분사하여 분사된 면에서 제1액과 제2액이 혼합된다.
제1액은 전술한 측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서, 패널의 길이 1m 당 35 ~ 45 g 의 양이 도포되는 것이 좋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계절에 따라 여름에는 패널의 길이 1m 당 37g, 겨울에는 패널의 길이 1m 당 42g 양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액은 전술한 측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코올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제2액과 반응하여 폴리우레탄을 합성할 수 있는 용액으로서, 패널의 길이 1m당 35 ~ 45 g 의 양이 도포되는 것이 좋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계절에 따라 여름에는 패널의 길이 1m 당 37g, 겨울에는 패널의 길이 1m 당 42g 양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접착층형성단계에서는 각각 분리되어 있던 제1액과 제2액이 패널의 일면에 분사되어 접착면을 형성하고, 이때 제1액과 제2액이 서로 혼합되는 과정을 거치며 제1액과 제2액의 화합물 사이에서 반응이 일어나 폴리우레탄계 화합물이 합성된다.
폴리우레탄계 화합물은 제2액에 포함된 촉매, 3차아민에 의해 반응속도가 조절되고, 반응 후의 경도가 제어될 수 있으며, 제1액에 포함된 기타 첨가제를 통해 내열성이나 발포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g) 접합단계는 제1판재(10)와 심재(20), 제2판재(30)를 순으로 적층하고 압착하여 접착층(40)으로 심재(20)와 판재를 서로 접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심재(20)는 제1판재(10) 및 제2판재(30)와 동일한 형태 및 폭으로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조된 샌드위치 패널은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따라 절단되어 생산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샌드위치패널 제조방법은 제1판재(10)와 제2판재(30)가 고분자 수지임에도 불구하고 롤형태로 준비된 후 롤러에 의해 연속적으로 풀리며 공급되고, 그 표면에 접착층(40)이 형성되며, 최종적으로 패널의 사이에서 심재(20)가 접착된 상태로 압착되는 과정까지 전부 연속적인 공정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 경제성이 우수하고 일정한 품질의 샌드위치패널(1)이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고분자 수지인 판재와 심재 사이의 접착층으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강하게 판재와 심재를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제3 측면>
본 발명의 3측면은 샌드위치패널의 제조장치이다. 도 4는 제조장치의 간략도이고, 도 5는 제조장치에 스크래치홈 형성부의 구조도이다.
이에 따르면, 샌드위치패널의 제조장치는 제1롤러(110), 제2롤러(210), 제1스크래치홈 형성부(120), 제1접착제분사부(130), 제2스크래치홈 형성부(220), 및 제2접착제분사부(230)를 포함한다.
제1롤러(110) 및 제2롤러(210)는 각각 제1판재(10) 및 제2판재(30)가 권취되는 롤러로서, 롤러는 직경이 20 ~ 70cm, 예를들어 직경이 30 ~ 60 cm,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45 ~ 55 cm이다. 이 때, 제1판재와 제2판재가 고분자 소재이며, 롤러에 권취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해야 한다.
제1스크래치홈 형성부(130) 및 제2스크래치홈 형성부(230)는 접착제 분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제1판재(10) 및 제2판재(30)가 심재(20)와 접하는 면에 연속적인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제1스크래치홈 형성부(120)는 제1지지대(121, 122), 제1거치대(123), 제1니들어셈블리(125)를 포함한다. 지지대는 거치대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조체로서 양측에 2개가 구비되고, 거치대는 양단이 지지대에 연결되어 복수의 니들어셈블리가 장착되는 구조체이며, 니들어셈블리는 판재에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니들과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니들이 탄성부재에 의한 복원력으로 지속적으로 판재의 면에 스크레치홈을 형성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거치대(123)는 유압장치(127)에 의해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좌우로 요동칠 수 있으며, 이 경우 레일(129)이 구비되며, 거치대의 저면에는 레일이 끼워지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된다. 거치대가 좌우로 요동하는 경우 니들에 의해 형성되는 스크래치홈은 지그재그 형성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6은 판재상에 스크래치홈이 지그제그(zigzag)로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제2스크래치홈 형성부(220)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2지지대(221), 제2거치대(223), 제2니들어셈블리(225)를 포함한다.
도 7은 니들어셈블리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도로서, 니들어셈블리(125)는 니들(1251), 케이징(1253), 탄성수단(1255)을 포함한다. 니들(1251)은 케이징 내부의 압축된 탄성수단에 의해 복원력을 보유한 상태로 케이징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이송되는 판재에 스크래치홈(33)을 형성할 수 있다.
니들어셈블리(127)는 다수로 구비되며, 니들이 형성하는 간격은 1cm 내지 6cm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크래치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경우 스크래치홈들간 거리는 보다 간격이 넓어지고,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크래치홈들간 거리는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경우 3 내지 6cm, 직선상으로 형성될 때 1 내지 3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분사부(130)는 접착액을 심재와 판재사이에 분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샌드위치패널
10: 제1판재
20: 심재
30: 제2판재
40: 접착층
110 : 제1롤러
210 : 제2롤러
120 : 제1스크래치홈 형성부
125 : 니들어셈블리
1251 : 니들
1253 : 케이징
1255 : 탄성수단
130 : 제1접착제분사부
220 : 제2스크래치홈 형성부
230 : 제2접착제분사부

Claims (10)

  1.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제1판재, 제2판재 및 심재를 접합하여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판재가 권취되는 제1롤러;
    상기 제1판재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판재가 상기 심재에 접하는 면에 제1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제1스크래치홈 형성부;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심재 사이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상기 제1판재 및 상기 심재 사이 및 상기 제1스크래치홈 내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1접착제 분사부; 및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크래치홈 형성부는,
    상기 제1판재의 이송 경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대; 및 양단이 상기 제1지지대에 연결되며 복수의 니들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제1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어셈블리는 이송되는 상기 제1판재에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니들과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지 제1판재의 면에 스크레치홈을 형성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재가 권취되는 제2롤러;
    상기 제1판재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판재가 상기 심재에 접하는 면에 제2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제2스크래치홈 형성부;
    상기 제2판재와 상기 심재 사이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상기 제1판재 및 상기 심재 사이 및 상기 제2스크래치홈 내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2접착제 분사부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래치홈 형성부는,
    상기 제2판재의 이송 경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대; 및 양단이 상기 제1지지대에 연결되며 복수의 니들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제2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어셈블리는 이송되는 상기 제2판재에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니들과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제2판재의 면에 스크레치홈을 형성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는 유압장치에 의해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좌우로 요동가능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래치홈 및 제2스크래치홈은 상기 제1판재 및 제2판재가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샌드위치패널의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래치홈 및 상기 제2스크래치홈의 폭:길이 비는 1:1 내지 1:2로 형성되게 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래치홈 및 상기 제2스크래치홈은 폭이 0.1 내지 0.2mm, 깊이가 0.1 내지 0.4mm 로 형성되게 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는 직경이 20 ~ 70cm로 형성되게 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홈들간의 거리는 1cm 내지 6cm로 형성되게 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




KR1020220063039A 2022-05-23 2022-05-23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KR10256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039A KR102560090B1 (ko) 2022-05-23 2022-05-23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039A KR102560090B1 (ko) 2022-05-23 2022-05-23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090B1 true KR102560090B1 (ko) 2023-07-27

Family

ID=8743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039A KR102560090B1 (ko) 2022-05-23 2022-05-23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0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934B1 (ko) * 2005-03-22 2006-08-08 임근혁 자개 문자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자개 문자 액세서리
KR20120084402A (ko) * 2011-01-20 2012-07-30 (주)지이후렌드 페놀 폼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0111A (ko) 2016-06-10 2017-12-20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4346B1 (ko) * 2019-04-02 2019-09-23 한갑호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 및 샌드위치 패널의제조방법
KR102241539B1 (ko) * 2020-12-24 2021-04-16 조동석 샌드위치 판넬 제조 시스템
KR102400873B1 (ko) * 2021-07-13 2022-05-20 이정재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934B1 (ko) * 2005-03-22 2006-08-08 임근혁 자개 문자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자개 문자 액세서리
KR20120084402A (ko) * 2011-01-20 2012-07-30 (주)지이후렌드 페놀 폼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0111A (ko) 2016-06-10 2017-12-20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4346B1 (ko) * 2019-04-02 2019-09-23 한갑호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장치 및 샌드위치 패널의제조방법
KR102241539B1 (ko) * 2020-12-24 2021-04-16 조동석 샌드위치 판넬 제조 시스템
KR102400873B1 (ko) * 2021-07-13 2022-05-20 이정재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669B1 (ko)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4680214A (en) Reinforced foam composites
EP1871827B1 (en) Process of making a polyurethane foam
KR101843006B1 (ko) 고성능 피로저항 및 고단열 특성을 가지는 유리강화섬유 발포수지 폼을 적용한 운송체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A2503238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igid polyurethane foam
BRPI0620299A2 (pt) painéis compósitos que suportam carga
KR20080007487A (ko) 폼 라미네이트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64268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ufacturing foam wall structures
US20190153185A1 (en) Method for producing sandwich components
US11486135B2 (en) Glass fiber-reinforced polyurethane/polyisocyanurate foam insulation board
KR20090112288A (ko) 내부 복합 단열 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60090B1 (ko)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US6228296B1 (en) Rolled rigid foam
US20050260400A1 (en) Foam products with silane impregnated facer
KR101019513B1 (ko) 일체형 단열 보드
US20200317879A1 (en) Fiber-reinforcement of foam materials
CN111491799B (zh) 基于聚氨酯的隔热板
KR102573932B1 (ko)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6120682B2 (ja) 充填用ウレタンボード
JP4062730B2 (ja) 自動車内装材の製造方法
JP2021147760A (ja) 不燃性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不燃性パネル
KR101155503B1 (ko) 일체형 단열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389178B1 (ko) 발포수지 단열내외장패널의 제조방법
KR101449311B1 (ko)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포수지 단열내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1150558A (ja) ガラス繊維強化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