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631B1 -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y inspection using it - Google Patents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y inspection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631B1
KR102559631B1 KR1020200174436A KR20200174436A KR102559631B1 KR 102559631 B1 KR102559631 B1 KR 102559631B1 KR 1020200174436 A KR1020200174436 A KR 1020200174436A KR 20200174436 A KR20200174436 A KR 20200174436A KR 102559631 B1 KR102559631 B1 KR 10255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photo
terminal
display unit
insp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4703A (en
Inventor
변종걸
Original Assignee
변종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종걸 filed Critical 변종걸
Priority to KR102020017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31B1/en
Publication of KR20220084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7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점검시 촬영한 사진의 정리를 손쉽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RTK장비와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 데이터베이스, 사진 정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사진촬영이 가능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과 동기화되어 점검자의 위치가 시설물 표시부 중 점검자가 위치한 시설물 블록부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점검자가 휴대하는 RTK장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사진 정리 프로그램 및 이와 연동하는 RTK장비를 활용하여 시설물 중 손상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에 손상부위에 대한 사진 및 손상부위에 대한 이력을 저장함으로써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시설물 관리를 위한 시설물 표시부를 RTK장비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작업을 실시한 후,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 RTK장비를 휴대한 점검자의 실시간 위치가 매우 정확하게 표기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은 물론, 시설물 관리의 신뢰성 및 시설물 유지 관리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asily organize photos taken during facility inspe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facility inspection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facility management by using RTK equipment and a photo organizer program, and a facility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acility management by using RTK equipment to save photos of damaged parts and the history of damaged parts at the exact location where damage occurred among facilities,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acility management.

Description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y inspection using it}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y inspection using it

본 발명은 시설물 점검시 촬영한 사진의 정리를 손쉽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RTK장비와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organize photos taken during facility inspe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facility inspection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facility management by using RTK equipment and a photo organization program, and a facility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안전점검은 정기점검, 정밀점검 및 긴급점검으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점검은 모니터링, 외관조사, 구조검토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며,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보수, 보강, 해체, 철거, 기능 회복여부를 판단하게 된다.In general, safety inspections of facilities are divided into regular inspections, precise inspections, and emergency inspections. Inspection consists of items such as monitoring, exterior inspection, and structural review, and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s, whether to repair, reinforce, dismantle, demolish, or restore functions is judged.

따라서, 시설물의 결함이나 내재되어 있는 위험요소를 빠르게 발견하고 조치를 취하여 붕괴나 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해야 하므로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점검은 매우 중요하다. Therefore, safety diagnosis and maintenance inspection are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quickly detect defects or inherent risk factors in facilities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the risk of collapse or accidents.

한편, 통상의 시설물의 점검은 한명 이상의 점검자가 해당 시설물을 이동하면서 손상부위의 종류, 진행상황 등을 육안으로 확인 한 후 해당 손상부위를 촬영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normal facility inspection, one or more inspectors move the facility, visually check the type and progress of the damaged area, and then take a picture of the damaged area.

특히, 상기와 같이 시설물의 손상부위의 촬영시에는 손상부위의 식별 및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각도에서 여러 컷의 사진을 촬영하게 되며, 이렇게 촬영한 사진을 기반으로 손상부위 내용, 위치 및 가장 잘 표현된 사진을 선택하여 기록으로 보관하기 위한 야장을 작성하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photographing the damaged part of the facility as described above, several cuts are taken from various angles to identify and express the state of the damaged part.

그런데, 상기와 같이 시설물에 대한 손상부위에 대한 기록 작성을 위한 야장은 점검자가 점검을 마친 후 당일 또는 수일 후 사무실에서 시설물에 대한 사진을 정리하면서 시설물의 어느 위치에 손상이 발생하였는지, 손상내용은 어떠한 것인지 및 손상의 정도에 대해 기재해야 한다.By the way, as described above, the field field for creating a record of the damaged part of the facility is where the damage occurred, what the damage is, and the degree of damage while arranging photos of the facility in the office on the same day or several days after the inspector finishes the inspection.

더욱이, 하나의 손상부위에 대해 손상부위를 잘 표현하기 위해 여러컷의 사진을 촬영한 만큼 사진의 선별하는 데에만 적게는 수시간에서 많게는 수일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또한, 선택한 사진을 이용하여 손상위치, 손상내용 및 상태를 기억력에 의존하여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주관적이며, 정확도가 저하됨은 물론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Moreover, since several pictures were taken to express the damaged part well, it may take from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to select the pictures, and also, since the location of the damage, the content and condition of the damage must be written based on memor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subjective, and the accuracy is lowered as well as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600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centl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060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has been proposed.

상기 특허문헌 1은,The Patent Document 1,

(a) 현장조사 및 상태평가를 위한 모바일단말기가 시설물의 개별부재별로 부착된 QR코드를 촬영하면 모바일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메인서버에 보안 접속되고 메인서버는 해당하는 QR코드에 포함된 개별부재별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데이터의 명칭을 써 넣을 수 있는 전자야장(Electronic Data Recorder, 전자자료 기록장치) 및 정보이력을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a) When a mobile terminal for field survey and condition evaluation photographs the QR code attached to each individual member of a facility, the mobile terminal is securely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ain server records data for each individual member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QR code or transmits an electronic data recorder (electronic data recorder) and information history to the mobile terminal;

(b)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현장조사를 통하여 시설물의 개별부재별로 반발경도 및 탄산화 깊이 시험에 따른 외관 및 내구성조사를 포함하는 손상정보가 입력된 전자야장과 더불어 균열 및 단면결손으로 구분하여 촬영된 사진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b)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o the main server the photo information taken by dividing it into cracks and cross-section defects along with the electronic field field into which damage information including appearance and durability investigations according to rebound hardness and carbonation depth tests for each member of the facility through on-site inspection is input;

(c)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균열에 관한 사진정보로부터 메인서버에 설치된 이미지 기반균열 검출프로그램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검출된 균열위치와 손상규모를 손상 물량 산정프로그램으로 산정하는 단계와,(c) calculating, by the main server, the crack location and damage scale detected through image processing of the image-based crack detec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ain server from the photo information about the crack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using a damage quantity estimation program;

(d)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면결손에 관한 사진정보로부터 메인서버에 설치된 이미지 기반 균열 검출프로그램의 이미지 프로세싱과 더불어 전자야장에 입력된 손상정보로부터 검출된 손상위치 및 손상규모를 손상 물량 산정프로그램으로 산정하는 단계와,(d) the main server performs image processing of the image-based crack detec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ain server from the photo information on the cross-sectional defect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alculates the damage location and damage scale detected from the damage information input to the electronic field with a damage quantity calculation program;

(e)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야장에 입력된 반발경도 및 탄산화 깊이 정보에서 상태평가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와,(e) calculating, by the main server, a state evaluation grade from rebound hardness and carbonation depth information input to the electronic field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f) 상기 메인서버는 검출된 개별부재별 균열위치, 손상위치 및 손상규모를 포함하는 손상정보를 부재별 상태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손상평가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와,(f) calculating, by the main server, a damage evaluation grade based on damage information including crack locations, damage locations, and damage scales for each detected individual member through a state evaluation algorithm for each member;

(g) 상기 메인서버는 개별부재별로 산정된 상태평가 등급과 손상평가 등급을 상태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복합부재 및 종합 상태평가의 등급으로 산정하는 단계, 및(g) calculating, by the main server, the condition evaluation grade and the damage evaluation grade calculated for each individual member as a composite member and comprehensive condition evaluation grade through a condition evaluation algorithm; and

(h)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단말기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기록된 전자야장과, 상태평가 알고리즘으로 산정된 상태평가 정보 및 사진첩을 포함하는 종합 상태평가 내용을 보고서 형태로 출력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h) The main server outputs and stores, in the form of a report, comprehensive condition evaluation contents including an electronic field in which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s recorded, condition evalua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a condition evaluation algorithm, and a photo album.

이러한, 특허문헌 1은 위치 기반의 시설물의 부재별 QR코드를 설치하여 별도의 측점분할이 필요 없어 즉각적인 현장 조사가 가능하고, 서버연동으로 상태평가 산출이 가능하며, 점검 및 진단보고서를 적용하여 점검 및 진단에 따른 기간단축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미지 기반의 손상 규모의 객관성을 확보와 위치 기반의 손상위치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Patent Document 1, by installing a QR code for each member of a location-based facility, it is possible to conduct an immediate on-site investigation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point division, an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state evaluation by interlocking a server.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eriod due to inspection and diagnosis by applying an inspection and diagnosis report, and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image-based damage scale and the accuracy of the location-based damage location.

또한, 서버연동으로 상태평가 알고리즘 분석과 더불어 관리주체나 지자체의 비전공의 담당 공무원의 자체 점검이 가능하고, 시설별, 개별적인 부재별로 보수 이력과 점검 및 진단 이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점검 및 진단 기간의 단축으로 인한 비용 절검과 재난이나 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손실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관리자 및 점검자가 모바일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UI를 적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erver linkage enables self-inspection by non-major officials in charge of management or local governments, along with analysis of state evaluation algorithms, management of repair history and inspection and diagnosis history by facility and individual member, reduction of cost due to shortened inspection and diagnosis period, and prevention of disasters or disasters in advance, thereby reducing economic loss, as well as enabling administrators and inspectors to utilize application services through mobile using smart devices, and providing convenience to apply effective UI through user analysis. there is

(특허문헌 1) KR10-1606002 B1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시설물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방법(Patent Document 1) KR10-1606002 B1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method for facilitie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한편,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위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를 위해서는 첫째, 시설물에 필수적으로 위치 기반의 QR코드가 설치되어야만 한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was able to obtain the above effect by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for this, first, a location-based QR code must be installed in the facility.

따라서, 처음 점검하는 시설물에는 매번 QR코드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ability is deteriorated because the QR code must be installed every time the facility to be inspected for the first tim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은 사진 정리 프로그램과 RTK장비를 이용하여 시설물 중 손상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에 손상부위에 대한 사진 및 손상부위에 대한 이력을 저장함으로써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a facility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re aimed at providing a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a facility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facility management by storing photos of damaged parts and history of damaged parts at the exact location where damage occurs among facilities using a photo organizing program and RTK equip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설물 관리를 위한 시설물 표시부를 RTK장비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작업을 실시한 후,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 RTK장비를 휴대한 점검자의 실시간 위치가 매우 정확하게 표기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은 물론, 시설물 관리의 신뢰성 및 시설물 유지 관리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rrect the facility display unit for facility management using RTK equipment, and then display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inspector carrying the RTK equipment in a photo arrangement program very accurately,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operator as well as the reliability of facility management and efficiency in facility mainten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 포함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통한 손상내용 선택기능을 통해 사진촬영 기능시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이 사진데이터에 포함되어 점검자가 쉽게 사진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inspector to easily organize the photos by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damaged part in the photo data during the photo taking function through the damage content selection function through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included in th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테베이스에 저장되는 시설물 표시부와 시설물 블록부를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직접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시설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facility display unit and a facility block unit stored in a database to be applied and used to various facilities by directly creating a facility display unit and a facility block unit by an operator or inspec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시설물 블록부는 해당 시설물에 표기된 위치표시부를 기준으로 위치표시부 내에서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분할함으로써 손상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n operator or inspector to easily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a damaged part by dividing a facility block stored in a database within the location display unit based on the location display unit marked on the corresponding fac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점검자가 저장 전 사진선별기능을 통해 사진을 선별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용량 확보 및 사진 정리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n inspector to secure a storage capacity of a database and improve workability for a photo arrangement task by selecting photos through a photo selection function before storage.

본 발명은 사진 정리 프로그램과 RTK장비를 이용하여 시설물 중 손상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에 손상부위에 대한 사진 및 손상부위에 대한 이력을 저장함으로써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facility management by using a photo organizing program and RTK equipment to store a photo of the damaged part and a history of the damaged part at the exact location where the damage occurred among the facilities.

또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시설물 표시부를 RTK장비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작업을 실시한 후,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 RTK장비를 휴대한 점검자의 실시간 위치가 매우 정확하게 표기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은 물론, 시설물 관리의 신뢰성 및 시설물 유지 관리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fter correcting the facility display unit for facility management using RTK equipment,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inspector carrying the RTK equipment is displayed very accurately in the photo arrangement program, thereby increasing the workability of the operator as well as the reliability of facility management and efficiency in facility maintenance.

그리고 단말기에 포함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통한 손상내용 선택기능을 통해 사진촬영 기능시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이 사진데이터에 포함되어 점검자가 쉽게 사진을 정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amage content selection function through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included in the terminal, the content of the damaged part is included in the photo data during the photo taking function, so that the inspector can easily organize the photos.

또한, 데이테베이스에 저장되는 시설물 표시부와 시설물 블록부를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직접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시설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facility display unit and a facility block unit stored in the database can be applied and used to various facilities by directly creating a facility display unit or a facility inspector.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시설물 블록부는 해당 시설물에 표기된 위치표시부를 기준으로 위치표시부 내에서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분할함으로써 손상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block stored in the database can be easily identified by an operator or inspector dividing the damaged part in the location display unit based on the location display unit marked on the corresponding facility.

아울러, 점검자가 저장 전 사진선별기능을 통해 사진을 선별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용량 확보 및 사진 정리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In addition, it is a useful invention in which the inspector can secu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atabase and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photo arrangement work by selecting the photos through the photo selection function before stor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시설물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hoto organizing system fo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acility;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of organizing photos for facility inspection using the facility inspection photo organizing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서버(10)와 데이터베이스(20) 및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이 탑재된 사진촬영이 가능한 단말기(30), 점검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하는 RTK장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rmal server 10, a database 20, a photo-capable terminal 30 equipped with a photo organizing program 40, and a portable RTK device 60 to confirm the location of an inspector.

상기 RTK(Real Time Kinematic)의 개념은 실시간 이동측위라는 개념으로 정밀한 위치정보를 가지는 기준국의 반송파 위상에 대한 보정치를 이용하여 이동국에서 실시간으로 1 ∼ 2cm의 정확한 측위 결과를 얻는 일련의 측량과정을 말하며, GPS가 설치되어 있는 기준점의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음을 전제로 할 경우 GPS의 위창 오차를 알 수 있어서 그 위상 오차를 주변 이동국에 전달해 오차를 보정하여 아주 정밀하게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RTK장비(60)는 위와 같은 개념을 이용하여 매우 정확한 GPS좌표(위도, 경도, 고도)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oncept of RTK (Real Time Kinematic) is a concept of real-time mobile positioning. It refers to a series of measurement processes in which a mobile station obtains an accurate positioning result of 1 to 2 cm in real time by using a correction value for the phase of a carrier of a reference station having precise position information. Assuming that the exact position of a reference point in which GPS is installed is known, the positioning error of the GPS can be known, so the phase error can be transmitted to neighboring mobile stations to correct the error and measure the position very accurately. The RTK equipment 60 in is a configuration for knowing very accurate GPS coordinates (latitude, longitude, altitude) using the above concept.

다음으로, 서버(10) 및 데이터베이스(20)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the server 10 and the database 20 are typical configura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다만,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3)와 상기 시설물 표시부(3)를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형성한 다수의 시설물 블록부(4)를 포함하고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database 20 includes a facility display unit 3 for a facility to be inspected and a plurality of facility block units 4 formed by dividing the facility display unit 3 into a plurality of sectors.

여기서, 상기 시설물 표시부(3)는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도면이나 또는 스캔한 사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acility display unit 3 may be made of either a drawing or a scanned photo of a facility to be inspected.

이러한, 시설물 표시부(3)는 실제 길이에 대한 내용이 더 포함될 수 있다.Such, the facility display unit 3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length.

예컨대, 전체가 가로 100m, 세로 20m의 시설물일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entire facility is 100 m wide and 20 m long, it may be configured to check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또한, 상기 시설물 블록부(4)는 위의 시설물 표시부(3)를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점검자가 시설물 내에서 손상부위에 대한 위치를 알고자 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가로, 세로 별로 다양한 개수로 분할하여 데이터화시킬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가로, 세로의 길이 별로 섹터를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block unit 4 is formed to allow an inspector to know the location of a damaged part in a facility by dividing the facility display unit 3 above into a plurality of sectors.

여기서, 시설물 블록부(4)를 나누는 기준은 시설물 내에 위치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표시한 문자로 이루어진 위치표시부(2)를 기준점으로 하여 위치표시부(2) 내에서 점검자가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기존에 설정된 값에 의해 자동으로 분할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criterion for dividing the facility block part 4 can be formed by dividing the facility block part 4 into a plurality of sectors by an inspector within the location display part 2 with the location display part 2 composed of characters displayed to grasp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in the facility as a reference point.

상기와 같은 시설물 표시부(3) 및 시설물 블록부(4)는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단말기(30)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이용해 직접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할 수 있다.The facility display unit 3 and the facility block unit 4 as described above can be directly created by a worker or inspector using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installed in the terminal 30 and stored in the database 20 .

특히, 상기 시설물 표시부(3)는 점검자가 RTK장비(60)를 소지한 상태에서 시설물 경로를 이동하면서 시설물 경로별 GPS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이를 서버(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0)에 송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시설물 경로별 GPS 데이터와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3)와 매칭하여 GPS 데이터를 이용해 시설물 표시부(3)를 보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acility display unit 3 obtains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while the inspector is carrying the RTK device 60, transmits and stores the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through the server 10, and matches the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stored in the database 20 with the facility display unit 3 stored in the photo organizer 40 to calibrate the facility display unit 3 using the GPS data.

다음으로, 단말기(30)는 상술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이 탑재된 전자기기 형태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가 탑재되어 서버(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내용을 전송 받아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기이다.Next, the terminal 30 is a device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photo organizing program 40, and is equipped with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to receive and store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20 through the server 10, or transmit stored data.

이러한, 단말기(30)는 도 1에서와 같이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31) 및 컴퓨터(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30 may include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31 and a computer 32 as shown in FIG. 1 .

다음으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은 상기 단말기(3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으로 단말기(30) 내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다.Next,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is a program included in the terminal 30 and is configured to generate data by utilizing data stored in the terminal 30 .

이러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은 사진촬영기능,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 손상부위 선택기능, 사진선별기능 및 리포트 작성기능을 포함한다.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includes a photo taking function, a facility block selection function, a damaged part selection function, a photo selection function, and a report writing function.

여기서, 상기 사진 정리 프로그램(40)과 RTK장비(60)는 점검자의 위치를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서로 동기화된다.Here,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and the RTK equipment 60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cation of the inspector can be checked through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또한, 상술한 사진촬영기능은 점검자가 시설물 점검시 손상부위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기능으로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4)의 선택은 자동방식과 수동방식으로 구분되어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hoto taking function is a function for the inspector to take a picture of the damaged part when inspecting the facility, and the selection of the facility block part 4 at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d part occurs can be selected by dividing it into an automatic method and a manual method.

우선, 자동방식은 점검자가 RTK장비(60)를 소지한 상태에서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의 시설물 표시부(3) 내의 시설물 블록부(4)에서 사진촬영기능을 활성화하면 사진촬영기능이 활성화되며, 이때에, 촬영되는 사진은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에서 표시되는 점검자의 위치, 즉, 사진 정리 프로그램(40)과 동기화되는 RTK장비(60)가 위치한 시설물 블록부(4)로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First of all, in the automatic method, when an inspector possesses the RTK equipment 60 and activates the photo taking function in the facility block part 4 in the facility display part 3 at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 occurred, the photo taking function is activated.

이와는 다르게, 부득이한 이유로 인해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4)에 점검자가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에 표시되는 작업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자가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4)를 터치하는, 다시 말해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을 활용하게 되면 사진촬영기능이 활성되어 현재 위치가 아닌 점검자가 선택한 시설물 블록부(4)로 촬영되는 사진이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Unlike this, if the inspector cannot move to the facility block part 4 at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d part occurred due to unavoidable reasons, the operator touches the facility block part 4 at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d part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operator displayed in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that is, when the facility block part selection function is used, the photo taking function is activated so that a photo taken with the facility block part 4 selected by the inspector, not the current location, can be stored.

여기서, 사진촬영기능의 활성화시 사진촬영은 점검자가 휴대하는 단말기(30) 또는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의 사진촬영기능과 연동하는 카메라 중 어느 하나가 촬영모드가 되어 촬영할 수 있다.Here, when the photo taking function is activated, a photo can be taken by either the terminal 30 carried by the inspector or a camera linked to the photo taking function of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in a shooting mode.

그리고 손상부위 선택기능은 진 촬영시에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을 별도로 기재하지 않고도 해당 내용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In addition, the damaged part selection func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contents of the damaged part to be described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describe the contents of the damaged part when photographing.

이러한 손상부위 선택기능은 다양한 형태의 손상부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점검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손상부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점검자가 해당 내용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메뉴도 포함시켜 구성될 수 있다.Since there are various types of damaged parts, this function for selecting damaged parts allows the inspector to select commonly occurring damaged parts, but can also be configured by including a user input menu through which the inspector can directly input the contents.

여기서, 상기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과 손상부위 선택기능은 사진촬영기능 전, 후에 실시할 수 있다.Here, the facility block portion selection function and the damaged part selec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photo taking function.

예컨대, 사용자가 사진촬영기능 전에 사용하기를 원할 경우에는 사진촬영기능이 이루어지기 전에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과 손상부위 선택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면 되고, 이와 반대로 사진촬영기능 후에 사용하기를 원할 경우에는 사진촬영기능 후에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진촬영기능 전, 후에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사진촬영기능 전, 후에도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된다.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use it before the photo-taking function, a user interface can be form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facility block part selection function and the damaged part selection function before the photo-taking function is performed. Conversely, if the user wants to use it after the photo-taking function, the function can be activated after the photo-taking function.

또한, 사진선별기능은 점검자가 다수의 손상부위 사진을 촬영하였을 때에 최종적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한개 이상의 사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당연히 사진촬영기능 이후에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hoto selection function is a function to allow the inspector to select one or more photos to be finally stored when a number of photos of the damaged area are taken, and should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after the photo taking function.

그리고 리포트 작성기능은 사진촬영기능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는 기능으로 손상부위 위치 및 손상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사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 이상의 리포트 폼의 형태로 리포트를 작성해주기 위한 기능이다.The report preparation function is a function separate from the photographing function, and is a function for preparing a report in the form of one or more report forms desired by the user using photo data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damaged part and the contents of the damag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facility inspection method using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발명은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점검하고자 하는 절토사면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구조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와 상기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를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형성하되, 시설물에 표기된 위치표시부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표시부 내에서 다수의 섹터로 분할한 시설물 블록부를 단말기의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기에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와, 상기 사진 정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단말기와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과 동기화되어 점검자의 위치가 시설물 표시부 중 점검자가 위치한 시설물 블록부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점검자가 휴대하는 RTK장비를 이용해 시설물의 손상부위를 촬영하는 사진촬영단계 및 상기 촬영된 사진을 저장 및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사진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acility display unit for the structure of a facility including a cut slope to be inspected stored in a database through a server and a facility display unit for the facility to be inspecte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and a data storage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a facility block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within the location display unit based on the location display unit marked on the facility in the terminal through a photo organizer program of the terminal, and synchronizing with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photo organizer program and the photo organizer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so that the inspector's location is displayed on the facility display unit Among them, a photographing step of taking a picture of the damaged part of the facility using the RTK equipment carried by the inspector so that it can be displayed in the block of the facility where the inspector is located, and a photo data transmission step of storing the photographed picture and transmitting it to a database through a server.

우선, 데이터 저장단계는 우선, 데이터 저장단계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시설물 표시부(3) 및 시설물 블록부(4)의 데이터를 단말기(30)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이용하여 전송받아 저장하기 위한 단계이다.First of all, the data storage step is a step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data of the facility display unit 3 and the facility block unit 4 stored in the above-described database 20 using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installed in the terminal 30.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30)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있거나 또는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를 이용한 후 이를 유선으로 저장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erminal 30 is in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or another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is used, it can be stored in a wired manner.

여기서, 본 단계인 데이터 저장단계 이전에는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시설물 표시부(3) 및 시설물 블록부(4)를 생성하기 위한 점검자 또는 작업자 데이터 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prior to the data storage step, which is this step, an inspector or operator data generation step for generating the facility display unit 3 and the facility block unit 4 by the operator or inspecto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단계는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할 시설물 표시부(3) 및 시설물 블록부(4)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시설물에 적용하여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위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is step is a step of generating the facility display unit 3 and the facility block unit 4 to be stored in the database 20, and a worker or inspector can generate the above data by applying it to various facilities.

여기서, 상기 데이터의 생성은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단말기(30)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data can be generated by a worker or inspector using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installed in the terminal 30 .

우선, 시설물 표시부(3)는 시설물에 대한 도면 또는 시설물을 스캔한 사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First, the facility display unit 3 stores data using either a drawing of the facility or a scanned photo of the facility.

또한, 상기 시설물 표시부(3)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점검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크기로 섹터를 분할하여 다수의 시설물 블록부(4)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data of the facility display unit 3, a plurality of facility block units 4 can be created by dividing the sector into a size that can be easily inspected by an operator or inspector.

여기서, 상기 시설물 블록부(4)의 생성은 시설물 표시부(3)의 가로, 세로 길이를 인지한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섹터를 나눌 수도 있고,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가로, 세로의 칸수를 지정하여 나눌 수도 있다.Here, in the creation of the facility block part 4, the sector may be divided into a certain length while recogniz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of the facility display part 3, or the operator or inspector may designate and divide the sector by the number of horizontal and vertical spaces.

특히, 시설물 블록부(4)의 생성시에는 실제 시설물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표시부(2)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표시부(2) 내에서 일정한 규칙에 의해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작업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creating the facility block unit 4, it is possible to work by dividing the location display unit 2 into a plurality of sector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based on the location display unit 2 installed in the actual facility.

여기서, 시설물 표시부(3)의 경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시설물에 대한 도면 또는 시설물을 스캔한 사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는데, 시설물이 사면일 경우 그에 대한 정확한 도면을 제작하기는 어렵고, 더욱이, 시설물을 스캔한 사진의 경우에도 3차원으로 이루어진 사면의 정확한 길이를 반영하여 도면화하기가 어렵다.Here, in the case of the facility display unit 3, as described above, data is stored using either a drawing of the facility or a scanned photo of the facility. If the facility is a slope, it is difficult to produce an accurate drawing of the facility. Moreover, even in the case of a photo of a facility scanned, it is difficult to make a drawing by reflecting the accurate length of the three-dimensional slop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점검자가 RTK장비(60)를 소지한 상태에서 시설물 경로를 이동하면서 시설물 경로별 GPS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이를 서버(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0)에 송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시설물 경로별 GPS 데이터와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3)와 매칭하여 GPS 데이터를 이용해 시설물 표시부를 보정하는 시설물 표시부 보정단계가 더 포함되어 시설물 표시부(3)를 정확한 수치로 보정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pector acquires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while carrying the RTK device 60 while moving along the facility route, transmits and stores the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through the server 10, and matches the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stored in the database 20 with the facility display section 3 stored in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to correct the facility display section using the GPS data. .

상기와 같은 시설물 표시부 보정단계는 사면을 포함하는 시설물들의 3차원 특성, 즉, 고도 및 기울기 등의 변수에 따라 가로, 세로 값을 보정하여 정확한 수치로 시설물 표시부(3)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In the facility display unit correction step as described above, the facility display unit 3 can be corrected with accurate numerical values by correc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alues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including slopes, that is, variables such as altitude and inclination.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30)가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31)와 컴퓨터(32)를 포함하게 되는데,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컴퓨터(32)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30 includes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31 and a computer 32, and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data using the computer 32 for ease of work.

한편, 사진촬영단계는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 이후 검검자는 단말기(30)를 휴대한 후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점검이 이루어지게 되며, 시설물(3) 중 손상부위가 발견되면 단말기(30)의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이용해 사진촬영기능 또는 시설물 블록부 선택기능을 활성화하여 점검자가 위치한 손상부위가 발생한 시설물의 시설물 블록부(4) 또는 점검자가 선택한 특정 시설물 블록부(4)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단계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hoto taking step, after the data storage step, the inspector carries the terminal 30 and then inspects the facility to be inspected. If a damaged part is found in the facility 3,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of the terminal 30 is used to activate the photo taking function or the facility block selection function to take a picture of the facility block part 4 of the facility where the damaged part is located or the specific facility block part 4 selected by the inspector.

즉, 점검자는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이 탑재된 단말기(30)와 사진 정리 프로그램(40)과 연동하는 RTK장비(60)를 휴대한 상태로 시설물을 점검하게 된다.That is, the inspector inspects the facility while carrying the terminal 30 on which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is loaded and the RTK equipment 60 interworking with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

따라서, 점검자가 이동할 때마다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에 표기되는 시설물 표시부(3)에는 점검자의 현 위치가 표시된다.Therefore, whenever the inspector mov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nspector is displayed on the facility display unit 3 displayed on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RTK장비(60)는 GPS를 보정하여 위치 오차가 1 ∼ 2cm 이내 이므로 시설물 표시부(3)에 표시되는 정확한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4)에 점검자의 위치가 표시된다Specifically, since the above-described RTK equipment 60 corrects the GPS and the position error is within 1 to 2 cm, the location of the inspector is displayed on the facility block section 4 at the exact location displayed on the facility display section 3.

따라서, 점검자는 상기와 같이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의 사진촬영기능을 활성화시키면 현 위치인 시설물 블록부(4)에 촬영되는 사진이 저장될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점검자가 접근하지 못하는 위치, 즉, 시설물의 위치가 위험지역이거나 높은 위치의 사면일 경우 점검자의 접근이 어려울 경우에는 해당 시설물 블록부(4)를 선택하게 되면 사진촬영기능이 활성화되어 해당위치에 촬영되는 사진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inspector activates the photo taking function of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as described above, the photo taken at the facility block part 4, which is the current location, can be stored. In contrast, if the inspector cannot access the location, that is, if the facility is located in a dangerous area or on a high slope, and it is difficult for the inspector to access, selecting the corresponding facility block part 4 will activate the photo taking function so that the photo taken at that location can be saved.

이때에, 상기 사진촬영기능을 통한 사진촬영은 다양한 각도, 줌인, 줌아웃을 통해 손상부위를 촬영할 수 있으며, 위의 사진촬영단계는 시설물을 점검하면서 동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hoto taking through the photo taking function may take a photo of the damaged part through various angles, zoom-in, and zoom-out, and the above photo taking step may be repeatedly performed while inspecting the facility.

특히, 본 단계에서의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에는 손상부위 선택기능이 더 포함되어 있어 사진촬영기능을 통한 사진촬영시 손상부위 선택기능을 이용해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in this step further includes a damaged part selection function, so that when taking a picture through a photo taking function, the contents of the damaged part can be selected using the damaged part selection function.

만약, 미리 정해놓은 손상부위의 내용에 점검시 발생한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이 없을 경우 사용자 설정을 통해 점검자가 직접 손상부위에 대한 내용을 기재할 수 있다.If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damaged part that occurred during the inspection in the contents of the damaged part set in advance, the inspector can directly write the contents of the damaged part through the user setting.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사진촬영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시설물 내의 손상부위에 대한 사진촬영을 완료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ing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to complete photographing of the damaged part in the facility.

여기서, 본 단계에서는 시서물(1) 점검을 위해 이동하면서 사진을 촬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30)는 휴대가 편하고 사진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31)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Here, in this step, since a picture must be taken while moving to check the poetry object 1, it is preferable to use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31 that is easy to carry and capable of taking pictures as the terminal 30.

그런 후, 시설물의 점검이 완료되면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통해 촬영한 위치정보 및 손상내용이 포함된 사진데이터를 서버(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하게 된다.After that, when the inspection of the facility is completed, the photo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damage information taken through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is stored in the database 20 through the server 10 .

여기서, 시설물의 점검시 사진촬영은 여러번 반복적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하나의 손상부위에 적게는 수십장에서 많게는 백여장 가까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since photography is repeatedly taken several times during inspection of facilities, at least several tens to as many as one hundred pictures can be taken at one damaged part.

이에 본 발명은 사진촬영단계 이후에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의 사진선별기능(44)을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사진만을 선택할 수 있는 사진선별단계를 도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photo selection step of selecting only the photos to be used by using the photo selection function 44 of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after the photo taking step.

상기와 같이 사진 선별작업이 완료되면 사진데이터는 단말기(30)에 저장됨은 물론,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을 이용하여 서버(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다.When the photo sorting oper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photo data is stored in the terminal 30 and also stored in the database 20 through the server 10 using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

따라서, 점검자는 시설물 점검시 손상부위의 사진을 촬영할 때에 시설물 블록부(4)의 선택과 손상부위 선택 및 사진선별기능을 통한 사진 선별작업만을 실시하게 되면 자동으로 사진이 정리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것이다.Therefore, when the inspector takes a picture of the damaged part during facility inspection, if the inspector selects the facility block part 4, selects the damaged part, and selects the photo through the photo selection function, the photos are automatically organiz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work.

특히, 기존 시설물에 설치되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부(2)를 기준으로 하여 시설물 블록부(4)를 분할하여 생성하고, 사진 정리 프로그램(40)과 RTK장비(60)를 동기화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4)에 해당 사진을 저장하여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facility block part 4 is divided and created based on the location display part 2 for displaying the location installed in the existing facility, and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and the RTK equipment 60 are synchronized, the corresponding photo can be stored in the facility block part 4 at the correct loc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acility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진 정리 프로그램(40)의 리포트 작성기능을 이용하여 관공서 및 상급기관 등에 제출할 리포트를 자동으로 작업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work on reports to be submitted to government offices and higher institutions by using the report creation function of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40,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mproving operator convenience.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항임을 명시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described for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practiced by changing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2 : 위치표시부 3 : 시설물 표시부 4 : 시설물 블록부
10 : 서버
20 : 데이터 베이스
30 : 단말기
31 :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32 : 컴퓨터
40 : 사진 정리 프로그램
60 : RTK장비
2: location display unit 3: facility display unit 4: facility block unit
10: Server
20: database
30: Terminal
31: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32: computer
40: Photo Organizer
60: RTK equipment

Claims (18)

서버;
점검하고자 하는 절토사면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구조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와 상기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를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형성하되, 시설물에 표기된 위치표시부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표시부 내에서 다수의 섹터로 분할한 시설물 블록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블록부를 저장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며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손상부위를 사진 촬영할 수 있는 사진촬영기능과, 사진 촬영시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를 선택할 수 있는 시설물 표시부 선택 기능이 포함하며, 시설물 블록부를 통한 시설물 내에서 손상부위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사진데이터를 저장 및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할 수 있는 사진 정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사진촬영이 가능한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과 동기화되어 점검자의 위치가 시설물 표시부 중 점검자가 위치한 시설물 블록부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점검자가 휴대하는 RTK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는 시설물의 도면 또는 시설물을 스캔한 사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블록부는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는 점검자가 RTK장비를 소지한 상태에서 시설물 경로를 이동하면서 시설물 경로별 GPS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이를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송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경로별 GPS 데이터와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와 매칭하여 GPS 데이터를 이용해 시설물 표시부를 보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server;
The facility display unit for 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including the cut slope to be inspected and the facility display unit for the facility to be inspecte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and based on the location display unit marked on the facility, a database storing data including a facility block uni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within the location display unit;
A terminal capable of taking a photo, including a photo-taking function that stores a facility display unit and a facility block unit in a database through the server, and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database to take a picture of a damaged part of a facility to be inspected, and a facility display unit selection function that selects a facility block unit at a location where a damaged part occurs when taking a picture, and is equipped with a photo organizing program capable of storing photo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a damaged part within a facility through the facility block unit and transmitting it to the database through the server;
RTK equipment carried by the inspector so that the inspector's location can be displayed in the facility block part where the inspector is located among the facility display unit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facility display unit for the facility stored in the database is made of one selected from a drawing of the facility or a scanned photo of the facility, and the facility display unit and the facility block unit are created and stored by a worker or inspector using a photo organizer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acility display unit stored in the database acquires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while the inspector is carrying the RTK equipment, transmits and stores the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to the database through a server, and matches the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stored in the database with the facility display unit stored in the photo organizer program to calibrate the facility display unit using the GPS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은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촬영시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의 선택은 RTK 장비를 소지한 점검자의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를 자동 활성화시켜 사진을 촬영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손상부위가 발생한 시설물 블록부를 선택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automatically activates the facility block at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d part is selected when taking a picture using the terminal, and the inspector possessing the RTK equipment takes a picture, or the user manually selects the damaged part and takes the pi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사진촬영기능을 활성화하면 단말기 또는 단말기의 사진 정리 프로그램과 연동가능한 카메라 중 어느 하나가 촬영모드로 활성화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a photo taking function of the terminal is activated, one of the terminal and a camera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 photo organizing program of the terminal is activated in a photograph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은 사진 촬영시 시설물의 손상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손상내용 선택기능을 포함하여 사진데이터에 손상내용을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includes a damage content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the damage content of the facility when taking a photo, and stores the photo data including the damage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comprises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pu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는 사진데이터를 선별하는 사진선별기능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photo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photo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하나 이상의 리포트 폼을 통해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는 리포트 작성기능이 더 포함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report writing function for writing a report through one or more report forms set by a user.
제1항의 시설물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방법에 있어서,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점검하고자 하는 절토사면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구조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와 상기 점검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를 다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형성하되, 시설물에 표기된 위치표시부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표시부 내에서 다수의 섹터로 분할한 시설물 블록부를 단말기의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기에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사진 정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단말기와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과 동기화되어 점검자의 위치가 시설물 표시부 중 점검자가 위치한 시설물 블록부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점검자가 휴대하는 RTK장비를 이용해 시설물의 손상부위를 촬영하는 사진촬영단계;
상기 촬영된 사진을 저장 및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사진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표시부는 시설물의 도면 또는 시설물을 스캔한 사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설물 표시부 및 시설물 블록부는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는 점검자가 RTK장비를 소지한 상태에서 시설물 경로를 이동하면서 시설물 경로별 GPS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이를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송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경로별 GPS 데이터와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 저장된 시설물 표시부와 매칭하여 GPS 데이터를 이용해 시설물 표시부를 보정하는 시설물 표시부 보정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방법.
In the facility inspection method using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of claim 1,
The facility display unit for 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including the cut slope to be inspected stored in the database through the server and the facility display unit for the facility to be inspecte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and a data storage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facility block uni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in the location display unit based on the location display unit marked on the facility in the terminal through a photo organizing program of the terminal;
Photographing the damaged part of the facility using RTK equipment carried by the inspector so that the inspector's location can be displayed in the facility block part where the inspector is located among the facility display unit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photo organizer program and the photo organizer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A photo data transmission step of storing the taken photo and transmitting it to a database through a server;
In the data storage step, the facility display unit for the facility stored in the database is made of one selected from a drawing of the facility or a scanned photo of the facility, and the facility display unit and the facility block unit are created and stored by a worker or inspector using a photo organizing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In the data storage step, the facility display unit stored in the database acquires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while the inspector is carrying the RTK device, transmits and stores the GPS data to the database through the server, and matches the GPS data for each facility route stored in the database with the facility display unit stored in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to correct the facility display unit using the GPS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단계에서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은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촬영시 손상부위가 발생한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의 선택은 RTK 장비를 소지한 점검자의 위치의 시설물 블록부를 자동 활성화시켜 사진을 촬영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손상부위가 발생한 시설물 블록부를 선택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방법.
11. The facility inspection method using a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photographing step,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takes a picture by automatically activating the facility block at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d part occurs when the terminal is used to take a picture, or the user manually selects the damaged part and takes the pictu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의 사진촬영기능을 활성화하면 단말기 또는 단말기의 사진 정리 프로그램과 연동가능한 카메라 중 어느 하나가 촬영모드로 활성화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방법.
11. The facility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in the photo taking step, when a photo taking function of the terminal is activated, one of the terminal or a camera interoperable with a photo arrangement program of the terminal is activated in a shooting m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단계에서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은 사진 촬영시 시설물의 손상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손상내용 선택기능을 포함하여 사진데이터에 손상내용을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방법.
11. The facility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photographing step,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includes a damage content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the damage content of the facility when taking a photo and stores the photo data including the damage conte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단계에서 단말기는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n the photographing step, the terminal comprises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put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단계에서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는 사진데이터를 선별하는 사진선별기능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방법.
11. The facility inspection method using a facility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a photo sorting function for selecting photo data is further included in the photo organizing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in the photographing step.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단계에서 단말기에 탑재된 사진 정리 프로그램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하나 이상의 리포트 폼을 통해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는 리포트 작성기능이 더 포함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설물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n the photographing step, a photo organizing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report writing function for writing a report through one or more report forms set by a user.
KR1020200174436A 2020-12-14 2020-12-14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y inspection using it KR1025596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36A KR102559631B1 (en) 2020-12-14 2020-12-14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y inspection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36A KR102559631B1 (en) 2020-12-14 2020-12-14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y inspection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703A KR20220084703A (en) 2022-06-21
KR102559631B1 true KR102559631B1 (en) 2023-07-24

Family

ID=8222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436A KR102559631B1 (en) 2020-12-14 2020-12-14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y inspection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6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862B1 (en) * 2023-02-14 2024-02-13 김지원 Facility supervision and inspection report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13B1 (en) * 2018-12-21 2019-08-19 주식회사 지에스지 Continuous structure defec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950B1 (en) * 2011-06-13 2013-05-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Location-based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20190056730A (en) * 2017-11-17 2019-05-27 (주)진성전자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nsor using building drawing im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13B1 (en) * 2018-12-21 2019-08-19 주식회사 지에스지 Continuous structure defec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703A (en)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8340B2 (en) Cable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ble core wi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and programs thereof
Dai et al. Comparison of image-based and time-of-flight-based technologies fo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JP6020986B2 (e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object identification server, and object identification terminal
US8780207B2 (en) Image acquisition
EP2000768A1 (en) GPS enabled datalogging system for a non-destructive testing instrument
KR1020804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avement safety diagnosis and management based on deep-learning
KR1022040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3d based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KR101909212B1 (en) Facility safety check system and method
CN115314637B (en) Processing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panoramic image of construction site
KR101000949B1 (en) Web-based realtime surveying managing system
KR102559631B1 (en) Facili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y inspection using it
KR101557308B1 (en) Medium for automatically totaling the amount of defect material of structure based on appearance inspection drawing having error searching function of appearance inspection drawing
JP2009193407A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KR101606002B1 (en)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Infrastructure Base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K201400507A1 (en) Construction site im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866637B1 (en) Data collection process for optical leak detection
JP7297634B2 (en) Equipment construction inspection method and equipment construction inspection system
CN108122291B (en) Mobile phone inspection and attendance checking method, system and device based on two-dimensional code and GPS
KR102387717B1 (en) Method for inspection and diagnosis of facilities damage using photo album technique and drone photograph
KR102193260B1 (en) A system for organizing photos for inspection of facilities and a method for organizing photos for inspection of facilities using it
CN116499421A (en) Bridge insp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4700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quality of precast concrete
KR101393191B1 (en) A cathodic prote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voltage and cips detec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CN106017423A (en) Separation-localiza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existing building curtain walls
JP2016122361A (en) Inspe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roa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