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393B1 -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 Google Patents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393B1
KR102559393B1 KR1020230025848A KR20230025848A KR102559393B1 KR 102559393 B1 KR102559393 B1 KR 102559393B1 KR 1020230025848 A KR1020230025848 A KR 1020230025848A KR 20230025848 A KR20230025848 A KR 20230025848A KR 102559393 B1 KR102559393 B1 KR 102559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wall
fixing
block
fix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희
한지범
Original Assignee
한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지범 filed Critical 한지범
Priority to KR102023002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393B1/ko
Priority to KR1020230089748A priority patent/KR102679878B1/ko
Priority to KR1020230089747A priority patent/KR102679877B1/ko
Priority to KR1020230089746A priority patent/KR102679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 외부에서 나사 조임을 통해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고, 볼트 회전을 통해 고정블록이 세워진 후 전진하면, 고정블록이 벽체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벽체의 외부 뿐만 아니라 벽체의 내부에서도 견고한 고정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벽체 내외부에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보강대를 이용한 부착물을 고정하였을 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Reinforcement bar for fixing attachments to walls}
본 발명은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벽체 외부는 물론 내측에서도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콘센트는 건물 및 가정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전기기구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크기로 규격화되어 벽체에 일정 부분 매립 설치되는 형태로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선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플러그가 꽂히는 콘센트 단자와, 콘센트단자를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하우징의 입구에 고정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제작된다. 여기서 플레이트는 나사나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콘센트는 벽체에 설치되기 위하여, 벽체의 일정 부위에 홈을 파고, 홈을 통해 배선을 하며, 배선된 말단에 콘센트를 설치하게 되는데, 콘센트의 설치를 위하여 벽체의 홈에 설치된 브라켓과 콘센트를 볼트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콘센트를 벽체의 홈에 설치된 브라켓에 나사나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하더라도, 벽체의 외부에서만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지지력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물론 벽체의 내부에서도 나사나 볼트 결합을 한다면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겠으나, 콘센트의 크기가 작아 벽체의 홈을 통해 도구를 삽입하여 나사를 조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물론 콘센트의 경우에는 무거운 물체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벽체의 외부에서만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더라도 큰 문제가 되진 않는다. 하지만 콘센트와 같이 벽체에 일부 매립되어 부착물을 고정시키는 구조체, 예컨대 셋톱박스, 전선함, 경보장치 등의 경우에는 보다 견고한 고정력이 담보되어야만 한다.
한편 벽체에 부착물을 고정시키는 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20463호(2013.02.27.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벽체 외부는 물론 벽체 내부에서도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체를 부착시키더라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는,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볼트공과 연통되는 블록이동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이동홀에서 상기 본체 둘레의 바깥 방향으로 슬롯부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지지체; 상기 볼트지지체의 블록이동홀에서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트가 회전할 시 상기 볼트지지체의 슬롯부를 따라 전후방 이동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에 따르면, 벽체 외부에서 나사 조임을 통해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고, 볼트 회전을 통해 고정블록이 세워진 후 전진하면, 고정블록이 벽체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벽체의 외부 뿐만 아니라 벽체의 내부에서도 견고한 고정력이 발휘된다. 즉 벽체 내외부에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보강대를 이용한 부착물을 고정하였을 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볼트지지체에 형성된 블록이동홀의 후방부분이 단차진 구조를 갖고 있어서, 고정블록의 밀착부가 벽체에 밀착된 이후에 볼트를 좀 더 조여주면 고정블록의 밀착부와 벽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볼트의 일부분이 약간 아래로 휘어지는 탄성변형을 하게되고, 이와 함께 고정블록도 탄성변형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볼트와 고정블록의 탄성변형에 의해 보강대의 벽체에 대한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보강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보강대가 벽체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보강대가 벽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를 회전시킬 시 고정블록이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보강대가 벽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를 회전시킬 시 고정블록이 작동하는 과정을 벽체 내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6은 도1에 도시된 보강대가 벽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시 고정블록이 벽체에 접촉을 시작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도1에 도시된 보강대의 고정블록이 벽체에 접촉한 이후 볼트가 계속해서 회전되어 고정블록이 벽체로부터 후방으로 밀리게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함몰면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6 및 도 7에서의 고정블록의 탄성변형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보강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보강대가 벽체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100)(이하 '보강대'라고 함)는 본체(110), 진입부(120), 볼트지지체(130), 볼트(150) 및 고정블록(14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보강대(100)를 벽체(10)에 형성된 장착공(11)에 장착하였을 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대략 사각형으로 제작되고, 내측으로는 전선 등이 인입되거나 다른 부착물이 장착되기 위한 인입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0)의 둘레에는 복수의 나사공(111)이 형성되어 있어서, 보강대(100)를 도3과 같이 벽체(10)의 장착공(11)에 장착시킨 후 나사공(111)을 통해 나사 체결을 하면, 보강대(100)가 벽체(10)에 고정된다. 다만 나사를 이용한 체결은 보강대(100)를 벽체(10)의 외부에서만 지지시켜 주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대(100)를 벽체(10) 내부에서도 지지시켜줄 수 있는 추가 구성이 더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전후방을 관통하는 볼트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공(113)은 이후 서술하게 되는 볼트지지체(130)의 블록이동홀(131)과 연통된다. 또한 볼트공(113)과 블록이동홀(131)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볼트(150)의 머리 부분 직경보다 작은 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150)가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진입부(120)는 본체(110)의 후방(이하에서는 보강대(100)가 벽체(10)에 장착되었을 시 벽체(10) 외부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벽체(10) 내부 방향을 '후방'이라고 간주한다)에서 인입공(112) 둘레를 따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진입부(120)는 보강대(100)가 벽체(10)에 장착되었을 시 장착공(11)의 내측 둘레에 접촉하게 되는 부분이다.
볼트지지체(130)는 본체(110) 및 진입부(120)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전후방을 관통하는 형태로 블록이동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블록이동홀(131)은 본체(110)에 형성된 볼트공(113)까지 연결된다. 블록이동홀(131) 도 6을 기준으로 보면 볼트공(113)에 인접한 부분은 볼트(15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그 좌측으로 일부분은 고정블록(140)의 결합부(141)의 원통형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그 다음 좌측부분은 내경면의 아래쪽 부분(도 6 기준)이 아래쪽으로 단차져서 아래로 함몰된 함몰면(136)이 형성된다. 함몰면(136)은 원통형 곡면의 형상을 갖는다. 함몰면(136)에는 미세한 다수개의 돌기(137)들이 형성된다.
또한 볼트지지체(130)에서 외측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는 블록이동홀(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도2에서 보강대(100)의 상부에 설치된 볼트지지체(130)를 기준으로 본다면 슬롯부(132)는 볼트지지체(130)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볼트지지체(130)의 슬롯부(132) 후방의 양측 구조물 중 일부 영역은 본체(110)의 안쪽 방향을 향하여 절개되어 개방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슬롯부(132)에서 개방부(133)가 형성된 부분과 마주하는 측면에는 고정블록(140)의 연장부(143)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걸림턱(134)이 형성되어 있는데, 걸림턱(134)은 슬롯부(132) 측벽의 연장선상에 있다.
볼트(150)는 본체(110)의 볼트공(113)을 통해 진입하여 볼트지지체(130)의 블록이동홀(131)까지 연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고정블록(140)은 벽체(10) 내부에서 보강대(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블록(140)은 크게 결합부(141), 연장부(143) 및 밀착부(144)로 구분된다.
결합부(141)는 볼트(150)에 체결되는 원통 형상이며, 전후방으로 관통되는 결합공(1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공(14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150)와 나사 결합된다. 연장부(143)는 결합부(141)의 외측면에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연장부(143)의 대략 가운데 지점에는 절개 형성된 절개홈(143a)이 형성된다. 연장부(143)의 끝단에는 벽체(10)의 내측면과 밀착하게 되는 부분인 밀착부(144)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대(100)는 이하 도6 내지 도9를 통해 설명하게 되는 보강대 장착 과정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 될 것이다.
보강대(100) 설치를 위해 먼저 벽체(10)에 장착공(11)을 형성시킨다. 장착공(11)의 크기는 본체(110)의 바깥 둘레의 크기보다는 작고, 진입부(120)의 바깥 둘레 크기보다는 커야 한다. 따라서 도1과 같이 보강대(100)의 볼트지지체(130)와 고정블록(140)이 벽체(10)의 내부를 향하도록 한 후, 보강대(100)를 장착공(11)을 향해 진입시키면, 도3과 같이 볼트지지체(130), 고정블록(140) 및 진입부(120)는 장착공(11)에 진입한 상태가 되고, 본체(110)는 장착공(11)에 진입할 수가 없어서 벽체(10) 외부를 향해 노출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보강대(100)를 장착공(11)에 진입시킬 때, 고정블록(140)의 연장부(143)와 밀착부(144)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되어야 한다.
도3과 같이 보강대(100)를 벽체(10)의 장착공(11)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나사공(111)에 나사 조임 작업을 수행하면, 보강대(100)와 벽체(10)가 임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후 도4와 같이 드라이버(또는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내측 영역 일부에 노출된 볼트(150)의 머리를 돌려주면 고정블록(140)을 이용한 내부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4 및 도5는 볼트(150) 회전에 따라 고정블록(140)이 이동하는 모습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인데, 주요 구성이 잘 보이도록 도4 및 도5에서는 벽체(10)를 도시하지 않은 것이다.
먼저 도4의 (a) 및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50)를 회전시키기 전에는 고정블록(140)의 연장부(143)와 밀착부(144)가 옆으로 누운 상태이다. 즉 고정블록(140)의 결합부(141)는 볼트(150)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이지만, 결합부(141)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43)는 볼트지지체(130)의 블록이동홀(131) 끝단에서 측면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개방부(133)를 통해 눕힘이 가능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볼트(150)를 회전시키면 결합부(141)가 회전하면서 연장부(143)와 밀착부(144)가 도4의 (b) 및 도5의 (b)와 같이 세워지게 된다.
볼트(150)와 결합부(141)는 나사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볼트(150)와 결합부(141) 사이에는 일정 수준의 마찰력이 존재한다. 따라서 볼트(150)가 회전할 때에 결합부(141)가 함께 회전되므로 고정블록(140)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4의 (b)와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50)가 회전하면 고정블록(140)이 함께 회전하는데 고정블록(140)의 연장부(143)의 측면이 볼트지지체(130)의 걸림턱(134)에 닿으면 더 이상 고정블록(140)은 회전하지 못한다. 이후 볼트(150)를 추가로 회전시키면, 결합부(141)를 포함한 고정블록(140)은 더 이상 회전을 못하는 상태에서 볼트(150)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5의 (b) 상태에서 볼트(150) 회전시 볼트(150)에 나사결합된 고정블록(140)은 볼트(150)의 머리 부분을 향해 전진 이동하게 된다.
즉 도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50)의 지속적인 회전에 따라 고정블록(140)이 볼트(150)의 머리 부분을 향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연장부(143)는 볼트지지체(130) 상부면에 형성된 슬롯부(132)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물론 연장부(143)의 일측면은 걸림턱(134)에서부터 시작하여 슬롯부(132)의 일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전진 이동만 가능한 것이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고정블록(140)의 밀착부(144)가 벽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를 추가로 회전시키면 고정블록(140)은 벽체(10)의 내측면에 의해 반발력을 받아서 후방향(도 7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고정블록(140)은 강하게 밀리게 된다. 이 때 고정블록(140)은 연장부(143)의 절개홈(143a)의 부분이 벌어지면서 고정블록(140)의 절개홈(143a)의 윗부분이 도 7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휘어지는 탄성변형을 한다. 고정블록(140)의 연장부(143)에서 가장 단면적이 작은 부분이 절개홈(143a)이 형성된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이 변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고정블록(140)이 후방향(도 7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벽체(10)의 반발력을 받아서 강하게 밀리면 볼트(150)가 아래쪽으로 다소간 휘어지는 탄성변형을 한다. 계속해서 볼트(150를 더욱 회전시키면 볼트(150)에 결합된 고정블록(140)의 결합부(141)의 하단이 볼록이동홀(131)의 후방부분의 단차져서 함몰된 함몰면(136)에 맞닿게 된다.
볼트(150)가 휘어지면서 고정블록(140)의 결합부(141)가 아래로 하강하여 결합부(141)의 최하단이 함몰면(136)에 밀착하게 되면, 고정블록(140)의 결합부(141)의 최하단이 함몰면(136)의 돌기(137)들에 걸려서 도 7을 기준으로 고정블록(140)은 좌측으로 밀리지 않게된다. 이렇게 돌기(137)들에 의해 고정블록(140)의 후퇴가 방지되므로 고정블록(140)은 벽체(10)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결합부(141)의 최하단은 모서리진 부분으로서 각진 구조이기 때문에 돌기(137)들에 걸릴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고정블록(140)이 벽체(10)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벽체(10)에 대한 보강대(100)의 고정은 헐거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보강대(100)에 외력이 작용해도 보강대(100)는 흔들거리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고정블록(140)이 벽체(10)에 밀착한 이후에도 볼트(150)가 계속해서 회전됨으로써 고정블록(140)이 벽체(10)의 반발력에 의해 도 7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밀리게되어 볼트(150)가 탄성변형하여 도 7의 아래방향으로 다소간 휘어지는 것에 있어서, 볼트(150)의 휘어짐의 양이 작아서 고정블록(140)의 결합부(141)의 최하단이 함몰면(136)에 밀착되지 못하고 떠있는 상태가 되더라도, 볼트(150)는 이미 탄성변형하여 휘어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고정블록(140)은 볼트(150)의 탄성변형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벽체(10)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벽체(10)에 대하여 보강대(100)는 유격이 없이 항상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며 헐거워지지 않는다.
또한 고정블록(140)이 벽체(10)를 가압하면 벽체(10)이 반발력을 받기 때문에 고정블록(140)에서 단면적이 가장작은 절개홈(143a)의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하며, 절개홈(143a) 부분에서의 탄성변형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고정블록(140)은 벽체(10)에 밀착된다. 따라서 벽체(10)에 대한 보강대(100)의 고정은 항상 밀착상태를 유지하며 헐거워지지 않는다.
또한 고정블록(140)의 결합부(141)와 볼트(150)의 사이의 나사결합은 볼트(150)의 탄성변형 및 고정블록(140)의 탄성변형에 따른 복원력 때문에 양자의 나사산들은 상호간에 더욱 밀착하게 되어, 고정블록(140)과 볼트(150)의 상호간의 나사의 풀림이 방지된다.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고정블록(140)과 볼트(150)의 나사의 풀림이 방지되기 때문에, 벽체(10)에 대한 보강대(100)의 밀착상태는 양호하게 유지되며 헐거워지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100)는 벽체(10) 외부에서 나사 조임을 통해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고, 볼트(150) 회전을 통해 고정블록(140)이 세워진 후 전진하면, 고정블록(140)이 벽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벽체(10)의 외부 뿐만 아니라 벽체(10)의 내부에서도 견고한 고정력이 발휘된다. 즉 벽체(10) 내외부에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보강대(100)를 이용한 부착물을 고정하였을 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블록이동홀(131)에 단차져서 추가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면(136)이 구비되어 있어서 볼트의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볼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이 고정블록을 벽체에 더욱 밀착시켜서 보강대의 고정을 더욱 확실하게 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사각 형상의 본체(110)가 구비된 보강대(100)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체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만 볼트지지체(130), 고정블록(140), 볼트(150)가 각각 구비된 예시를 도시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볼트지지체, 고정블록 및 볼트는 형성위치나 형성 개수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벽체
11 : 장착공
100 : 보강대
110 : 본체
111 : 나사공
112 : 인입공
113 : 볼트공
120 : 진입부
130 : 볼트지지체
131 : 블록이동홀
132 : 슬롯부
133 : 개방부
134 : 걸림턱
136 : 함몰면
137 : 돌기
140 : 고정블록
141 : 결합부
142 : 결합공
143 : 연장부
143a : 절개홈
144 : 밀착부
150 : 볼트

Claims (5)

  1.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볼트공과 연통되는 블록이동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이동홀에서 상기 본체 둘레의 바깥 방향으로 슬롯부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지지체;
    상기 볼트지지체의 블록이동홀에서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트가 회전할 시 상기 볼트지지체의 슬롯부를 따라 전후방 이동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볼트지지체의 후방에는 상기 블록이동홀에서 상기 본체의 안쪽 방향을 향하여 절개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와 마주하는 상기 슬롯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블록의 회전을 차단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본체 안쪽 방향을 향해 누워 있거나, 상기 본체 둘레의 바깥 방향을 향해 세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벽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에는 일측이 절개된 홈형태의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이동홀은 후방 부분에 단차져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면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25848A 2023-02-27 2023-02-27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559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848A KR102559393B1 (ko) 2023-02-27 2023-02-27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89748A KR102679878B1 (ko) 2023-02-27 2023-07-11 볼트의 탄성변형을 이용한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89747A KR102679877B1 (ko) 2023-02-27 2023-07-11 고정블록을 이용한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89746A KR102679876B1 (ko) 2023-02-27 2023-07-11 견고한 고정력이 발휘되는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848A KR102559393B1 (ko) 2023-02-27 2023-02-27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748A Division KR102679878B1 (ko) 2023-02-27 2023-07-11 볼트의 탄성변형을 이용한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89746A Division KR102679876B1 (ko) 2023-02-27 2023-07-11 견고한 고정력이 발휘되는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89747A Division KR102679877B1 (ko) 2023-02-27 2023-07-11 고정블록을 이용한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393B1 true KR102559393B1 (ko) 2023-07-26

Family

ID=8742746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848A KR102559393B1 (ko) 2023-02-27 2023-02-27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89748A KR102679878B1 (ko) 2023-02-27 2023-07-11 볼트의 탄성변형을 이용한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89746A KR102679876B1 (ko) 2023-02-27 2023-07-11 견고한 고정력이 발휘되는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89747A KR102679877B1 (ko) 2023-02-27 2023-07-11 고정블록을 이용한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748A KR102679878B1 (ko) 2023-02-27 2023-07-11 볼트의 탄성변형을 이용한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89746A KR102679876B1 (ko) 2023-02-27 2023-07-11 견고한 고정력이 발휘되는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1020230089747A KR102679877B1 (ko) 2023-02-27 2023-07-11 고정블록을 이용한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55939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348U (ko) * 1997-06-26 1999-01-25 정철호 배선기구용 지지대
KR20130020463A (ko) * 2011-08-19 2013-02-27 이병철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KR20170119949A (ko) * 2016-04-20 2017-10-30 두원소방 주식회사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JP2017218724A (ja) * 2016-06-02 2017-12-14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マンホール蓋の開蓋操作具係合孔の閉塞具
JP2020202742A (ja) * 2014-03-26 2020-12-17 エルベックスビデオ株式会社 電気ハイブリッドスイッチのためのインテリジェントサポートボックス、電力コンセント、及びそれらの組み合わせ
EP3788910A1 (en) * 2019-09-03 2021-03-10 Schneider Electric España, S.A. Coupling module for an office desk
KR20220138591A (ko) * 2021-04-06 2022-10-13 이석환 콘센트 벽면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348U (ko) * 1997-06-26 1999-01-25 정철호 배선기구용 지지대
KR20130020463A (ko) * 2011-08-19 2013-02-27 이병철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JP2020202742A (ja) * 2014-03-26 2020-12-17 エルベックスビデオ株式会社 電気ハイブリッドスイッチのためのインテリジェントサポートボックス、電力コンセント、及びそれらの組み合わせ
KR20170119949A (ko) * 2016-04-20 2017-10-30 두원소방 주식회사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JP2017218724A (ja) * 2016-06-02 2017-12-14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マンホール蓋の開蓋操作具係合孔の閉塞具
EP3788910A1 (en) * 2019-09-03 2021-03-10 Schneider Electric España, S.A. Coupling module for an office desk
KR20220138591A (ko) * 2021-04-06 2022-10-13 이석환 콘센트 벽면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9877B1 (ko) 2024-07-01
KR102679878B1 (ko) 2024-07-01
KR102679876B1 (ko) 202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7051B2 (en) Snap clamp for mounting sprinkler
JPH09159061A (ja) スタッド係合装置
KR100638637B1 (ko) 와이어링 간격유지용 밴드케이블
KR102559393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JP5439023B2 (ja) 天井下地構造体
JP4584893B2 (ja) 天井埋め込み型カメラ取付機構
KR102570002B1 (ko) 벽체 콘센트 고정용 보강대
US7611110B2 (en) Clamp support system for electrical, electronic, optical and mechanical devices and components
CN105307381B (zh) 固定装置和设备
JP5452159B2 (ja) 配線ボックス
KR20190063665A (ko) 열교차단형 건축외장패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외장패널 시공방법
KR200242769Y1 (ko) 단자함 구조
KR100493456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0281931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JP4754228B2 (ja) 屋根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200336138Y1 (ko) 천정부재 고정용 힌지식 행거
KR20060111212A (ko) 돔형 감시카메라
KR102123409B1 (ko) 접지단자
KR200175541Y1 (ko) 가스관 덮개 설치 구조
KR102627043B1 (ko) 도어 유격방지 장치
KR102621371B1 (ko) 고정장치
JP5416874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
KR200205771Y1 (ko) 도어잠금장치의 조립구조
KR200360452Y1 (ko) 앙카 볼트
JP3224980B2 (ja) 配線必要部材の固定及び配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