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353B1 - 부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353B1
KR102559353B1 KR1020230049010A KR20230049010A KR102559353B1 KR 102559353 B1 KR102559353 B1 KR 102559353B1 KR 1020230049010 A KR1020230049010 A KR 1020230049010A KR 20230049010 A KR20230049010 A KR 20230049010A KR 102559353 B1 KR102559353 B1 KR 10255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isposed
sorting
roller shaf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예현
Original Assignee
디케이인터네셔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인터네셔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인터네셔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09Sorting of fasteners, e.g. screws, nuts,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배치되는 테이블(50); 상기 테이블(50) 상측에 거치되고,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복수개의 부품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무빙장치(100); 상기 무빙장치(100)에서 공급된 볼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부품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부품을 크기 별로 선별하여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부품 선별장치{Parts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볼트를 선별하는 부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요소 중 부품 결합 및 고정에 사용되는 나사는 대형 기계에서부터 소형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나사는 결합물을 조일 때 모재의 암나사에 직접 고정하는 것을 스크류(Screw), 모재를 관통하여 너트로 조여지는 것을 볼트(Bolt)로 분류하고 있고, 산업 현장에선 통상 볼트로 불린다.
이러한 볼트의 생산은 특수제품에 사용되는 소량생산의 특수 볼트 외에 일반 볼트(특히 크기가 작은 경우)는 다품종 대량생산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대량 생산은 가공 기계의 노후화, 기계의 오작동 및 누적오차,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불가피하게 불량이 발생한다.
현재 대부분의 볼트의 불량선별검사는 작업자의 불량기준에 대한 주관적 인지 및 판단에 근거하여 판별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단시간의 적은 양의 부품검사에는 적합하나 장시간 많은 양의 다품종 검사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다품종의 다량부품 검사에 적용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검사 항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은 비 접촉식이며, 실시간 검사가 가능한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검사 시스템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 중 머신비전(Machine vision)이 검사공정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검사결과의 신뢰도 확보 및 고임금 대체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제조공정의 중요한 포인트가 되어가고 있다.
머신비전은 전기적, 광학적, 비접촉 방식의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를 얻고 그 영상을 처리 분석하여 목적하는 결론을 도출해 내는 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부품검사 분야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96826호(명칭: 와셔취부볼트의 양품 선별 장치)는 머신비전을 이용하여 볼트의 양품 여부를 선별하는 장치로서, 머신비전을 이용하여 와셔취부볼트의 양품 여부를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셔취부볼트가 양품 선별을 위한 머신비전의 카메라에 도달되면 동일한 자세를 갖도록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 교정장치와; 상기 와셔취부볼트를 머신비전의 카메라에 공급하고, 머신비전의 판단에 따른 와셔취부볼트의 양품과 불량품을 분리 배출하는 선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장치는, 공급되는 와셔취부볼트의 두부가 걸쳐지는 요홈을 등간격으로 배치한 피딩판과; 상기 피딩판의 요홈에 걸쳐져서 회전식으로 공급되는 와셔취부볼트를 가이드하고, 불량품 수거용 배출홈을 형성한 가이드판과; 상기 피딩판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피딩판과 결합되고, 둘레에는 조명투과용 조명홀을 상기 피딩판의 요홈과 동일한 등간격으로 배치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피딩판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단은 자세 교정장치가 장착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프레임에 수용되는 조명을 장착하되, 상기 조명은 카메라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자세 교정장치는 조명과 평행한 선상인 임의의 지점에 장착한 상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양품 선별 장치는 불규칙한 자세로 공급되는 와셔취부볼트의 양품 판정을 위한 머신비전의 양품 판정알고리즘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양품 판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배출가이드판에 의해 양품의 와셔취부볼트가 배출됨으로 이를 담는 박스는 와셔취부볼트를 고루 담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와셔취부볼트를 담는 박스가 두 개일 경우 상기와 같이 고루 담을 수 있는 효과는 없어지지만 두 개의 박스에 동시에 배출할 수 있어, 박스에 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박스 제공에 따른 시간지연이 줄어들어 결국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품 선별 장치는 검사 대상 볼트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검사 위치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피딩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가공하고 볼트의 머리부를 홈에 거치하여 피딩판을 회전시킨다.
이때 피딩판 회전에 필요한 구동장치(모터 및 피딩판 드라이브 등)는 무게 문제로 인해 보통 피딩판 아래 방향에 설치되며, 이로 인해 중심부 공간 활용이 힘들어 카메라와 양품, 불량품을 배출하는데 필요한 각종 장치들을 피딩판의 외곽에 설치해야 하고 이에 따라 수평 공간이 비교적 넓게 필요로 한다. 또한, 나사부 검사를 위한 카메라를 피딩판 외곽에만 설치 가능하고 피딩판 지지대와 볼트 나사부의 시야가 겹칠 경우 나사부 형상이 나타나지 않아 홈 가공 간격 배열시 추가 고려가 필요하다.
그러나 다양한 치수의 볼트가 혼합된 경우, 이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79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804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826호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볼트를 선별하는 부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배치되는 테이블(50); 상기 테이블(50) 상측에 거치되고,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복수개의 부품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무빙장치(100); 상기 무빙장치(100)에서 공급된 볼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부품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무빙장치(100)는, 상기 테이블(50)의 상측에 거치되어 지면과 이격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배치되는 무빙모터(20); 상기 베이스(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하우징(200);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0) 및 선별하우징(20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상기 선별하우징(200)을 지지하는 서포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하우징(200)은, 상기 무빙모터(20)에 조립되어 회전되는 회전베이스(212); 일단이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상측면(21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으로 상승되게 형성된 스파이럴가이드(220);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와 연결되고,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를 따라 이송된 부품을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로 안내하는 가이드하우징(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는,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원주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360도 형성되고, 일단(221)이 회전베이스(212)와 연속된 곡면 또는 평면을 형성하고 타단(222)이 상기 일단(221)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연결되어 나선형으로 360도 형성되고, 일단(231)이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연결되어 연속된 곡면 또는 평면을 형성하고 타단(232)이 상기 일단(231)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스파이럴가이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는,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제 1 롤러(310);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롤러(320); 상기 테이블(5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또는 제 2 롤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선별모터(350);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된 부품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셀렉하우징(36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가 소정의 사이각(A)을 형성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부품을 크기 별로 선별하여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간격조절어셈블리를 통해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사이각을 간격 및 사이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제 1 롤러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선별홈 및 제 2 선별홈을 통해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을 보다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장치는, 지면에 배치되는 테이블(50)과, 상기 테이블(50) 상측에 거치되고,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복수개의 부품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무빙장치(100)와, 상기 무빙장치(100)에서 공급된 볼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50)이 상기 무빙장치(100)를 지면 상측에 위치시킨다.
상기 테이블(50)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장치(100)는, 상기 테이블(50)의 상측에 거치되어 지면과 이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배치되는 무빙모터(20)와, 상기 베이스(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하우징(200)과,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0) 및 선별하우징(20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상기 선별하우징(200)을 지지하는 서포터(40)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는 상기 선별하우징(200)과 연결되고,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40)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선별하우징(200)에 결합된다.
상기 서포터(40)를 통해 상기 선별하우징(200)이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빙모터(20)의 주변에 4개의 서포터가 배치되고, 이를 구분할 경우, 제 1 서포터, 제 2 서포터, 제 3 서포터 및 제 4 서포터라 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포터(40)는 2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무빙모터(20)는 수직방향으로 모터축이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된다.
상기 무빙모터(20)의 상측을 향해 모터축이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상기 선별하우징(200)이 조립된다.
상기 선별하우징(200)은, 상기 무빙모터(20)에 조립되어 회전되는 회전베이스(212)과, 일단이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상측면(21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으로 상승되게 형성된 스파이럴가이드(220)와,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와 연결되고,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를 따라 이송된 부품을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로 안내하는 가이드하우징(250)을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회전베이스(212)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베이스(212)는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축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베이스축(2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축(213)이 상기 무빙모터(20)의 모터축에 결합된다.
상기 무빙모터(20)의 모터축이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무빙모터(2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베이스(212)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축(213)이 가장 높고 가장자리가 낮게 형성된다. 그래서 회전베이스(212)의 회전 시 상측에 적재된 부품이 반경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그래서 복수개의 볼트가 회전베이스(212) 내측으로 투입될 경우, 볼트의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가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는,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원주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360도 형성되고, 일단(221)이 회전베이스(212)와 연속된 곡면 또는 평면을 형성하고 타단(222)이 상기 일단(221)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연결되어 나선형으로 360도 형성되고, 일단(231)이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연결되어 연속된 곡면 또는 평면을 형성하고 타단(232)이 상기 일단(231)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스파이럴가이드(240)를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의 일단(231) 및 타단(232)은 상기 베이스축(213)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는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상측면과 연속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 1 가이드어퍼(233)와,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상측면과 연결된 제 1 가이드사이드(2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가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360도의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360도 나선형은 360도의 환형으로 형성되되 일단에서 타탄 측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는 곡률중심을 향하게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의 일단은 상기 회전베이스(212)와 높이차를 형성하지 않지만, 타단은 상기 회전베이스(212)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베이스축(213)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베이스축(213)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된다.
상기 회전베이스(212)가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베이스(212)만 제자리 회전된다.
그래서 회전베이스(212)의 회전 부품이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의 일단을 통해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 상측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고, 면적 보다 많은 부품이 올라탄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 측으로 낙하되어 다시 회전베이스(212) 상측에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파이럴가이드(240)는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와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어퍼(243)와,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상측면과 연결된 제 2 가이드사이드(24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가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360도의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사이드(244)는 곡률중심(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축)을 향하게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베이스축(213)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사이드(244)의 일단 및 타단 역시 상기 베이스축(213)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스파이럴가이드(240)가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의 외측 가장자리 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스파이럴가이드(240)가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의 외측 가장자리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 및 제 2 가이드어퍼(243)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 및 제 2 가이드사이드(244)가 수직 또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게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 및 제 2 가이드어퍼(243)가 연결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의 나선형을 형성한다.
또한,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 및 제 2 가이드사이드(244)가 연결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의 나선형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하우징(250)은, 상기 제 2 가이드사이드(244)와 연속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연장사이드(254)와,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와 연속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사이드(254)의 상단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연장어퍼(253)와, 상기 연장어퍼(253) 및 연장사이드(254)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랭크(251)과, 상기 연장어퍼(253)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아우터가드(256)와, 상기 연장어퍼(253)의 내측 가장자리르 따라 형성된 이너가드(258)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가드(256) 및 이너가드(258)가 수직하게 직립되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가드(256) 및 이너가드(258)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아우터가드(256) 및 이너가드(258)가 호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가드(256) 및 이너가드(258)의 곡률중심이 상기 베이스축(213)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랭크(251)가 상기 연장어퍼(253)의 일부 및 연장사이드(254)의 일부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어퍼(253) 중 상기 가이드블랭크(251)와 접한 부분을 셀렉존(255)이라 하고, 상기 연장어퍼(253) 중 상기 가이드블랭크(251) 통과한 부분을 연장가이드(252)라 한다.
상기 가이드블랭크(251)가 상기 셀렉존(255)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가드(258)는 상기 연장가이드(252)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가드9257)는 상기 셀렉존(255) 및 연장가이드(25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셀렉존(255)의 폭이 부품 1개가 통과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셀렉존(255)의 폭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볼트 헤드 직경의 1/2 < 셀렉존 폭 < 볼트 헤드 직경"
그래서 복수개의 부품이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로 동시에 진입하더라도 상기 셀렉존(255)을 통과하면서 1개만 남고 나머지가 가이드블랭크(251)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블랭크(251)가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시작 부분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블랭크(251)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된 부품은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시작부분으로 이동되어 재 이송길이를 최소화한다.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는,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제 1 롤러(310)와,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롤러(320)와, 상기 테이블(5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또는 제 2 롤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선별모터(350)와,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된 부품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셀렉하우징(360)을 포함한다.
크기별로 다른 크기의 부품을 선별하기 위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가 이격되어 소정의 사이각(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는 자중에 의해 부품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이각(A)에 의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간격이 증가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 사이의 간격을 기준선별간격이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를 통해 부품이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 사이에 끼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31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과, 상기 제 2 롤러(32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 2-1 롤러축(321) 및 제 2-2 롤러축(322)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롤러축(311)이 상기 제 1 롤러(310)의 일측(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이 상기 제 1 롤러(310)의 타측(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1 롤러축(321)이 상기 제 2 롤러(320)의 일측(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2 롤러축(322)이 상기 제 2 롤러(320)의 타측(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는, 상기 선별모터(350)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 1 드럼(미도시)과, 상기 제 1-1 롤러축(311) 또는 제 2-1 롤러축(321)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제 2 드럼(352)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352)을 감싸게 형성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풀리(353)와, 상기 제 1-1 롤러축(311)에 조립된 제 1 롤러기어(315)와, 상기 제 2-1 롤러축(321)에 조립된 제 2 롤러기어(325)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블(50)은,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 1 지지부(51)와, 하단에서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측으로 연장된 로어테이블(53)과, 상기 로어테이블(53)에서 상측으로 돌출연장되는 제 2 지지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롤러축(311) 또는 제 2-1 롤러축(321)이 상기 제 1 지지부(51)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부(51)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2 롤러축(312) 및 제 2-2 롤러축(322)이 상기 제 2 지지부(52)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부(5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1 롤러축(311) 또는 제 2-1 롤러축(321)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 및 제 2-2 롤러축(322)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셀렉하우징(360)이 상기 로어테이블(53)에 거치되어 설치된다.
상기 셀렉하우징(360)은 크기별로 분류된 부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제 1 수납공간(361) 및 제 2 수납공간(36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납공간(361)이 상기 제 1 지지부(51) 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수납공간(362)이 상기 제 2 지지부(52) 측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수납공간(361) 및 제 2 수납공간(362)이 상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셀렉하우징(360)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배치된다.
상기 셀렉하우징(360)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셀렉하우징(360)은 상기 제 1 수납공간(361) 및 제 2 수납공간(362)을 구획하는 파티션(365)를 더 포함한다.
부품의 크기별 선별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선별하우징(200)을 통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상측으로 부품이 낙하되고, 낙하된 부품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길이 방향으로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 사이의 기준선별간격보다 상기 부품의 크기가 작으면 해당 부품이 하측으로 낙하된다.
그래서 크기가 작은 부품이 상기 제 1 수납공간(361)에 적재되고, 크기가 큰 부품이 상기 제 2 수납공간(362)에 적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종류의 볼트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더 많은 수납공간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더 많은 종류의 부품은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300)는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의 형상이 상기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는 2종류의 부품을 신속하게 선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직경이 작은 볼트를 제 1 부품이라 정의하고, 직경이 보다 큰 볼트를 제 2 부품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사이각(A)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증가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에서 가장 짧은 간격을 최소간격(D0)이라 하고,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의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에서 가장 긴 간격을 제 2 간격(D2)이라 하고,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에서 중간 간격을 제 1 간격(D1)이라 하고,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의 길이 방향 중간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부품의 직경이 최소간격(D0) 보다 크고 제 1 간격(D1) 보다 작다.
상기 제 2 부품의 직경이 제 1 간격(D1) 보다 크고 제 2 간격(D2) 보다 작다.
그래서 제 1 실시예의 경우 제 1 부품이 최소간격(D0) 및 제 1 간격(D1)의 어느 사이에서 낙하되고, 제 2 부품은 제 1 간격(D1) 및 제 2 간격(D2) 사이에서 낙하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 사이로 제 1 부품이 낙하되더라도 최소간격(D0) 및 제 1 간격(D1) 사이에서 제 1 부품이 낙하될 때까지 소정 시간이 소요되었다.
마찬가지로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 사이로 제 2 부품이 낙하되더라도 제 1 간격(D1) 및 제 2 간격(D2) 사이에서 제 2 부품이 낙하될 때까지 소정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롤러(1310)의 외주면에 오목한 제 1 선별홈(1330) 및 제 2 선별홈(1340)이 각각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 2 롤러(1320)의 외주면에 오목한 제 3 선별홈(1350) 및 제 4 선별홈(1360)이 각각 복수개 배치되고, 각 선별홈을 통해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을 신속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롤러에는 제 3 선별홈(1350) 및 제 4 선별홈(1360)을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은 제 1 부품을 신속하게 낙하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선별홈(1340) 및 제 4 선별홈(1360)은 제 2 부품을 신속하게 낙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의 크기가 동일하고, 상기 제 2 선별홈(1350) 및 제 4 선별홈(1360)의 크기가 동일하다.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이 각 롤러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선별홈(1340) 및 제 4 선별홈(1360)이 각 롤러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은 각각 6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선별홈(1350) 및 제 4 선별홈(1360)도 각각 6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선별홈(1330)은 제 1-1 선별홈(1331), 제 1-2 선별홈(1332), 제 1-3 선별홈(1333), 제 1-4 선별홈(1334), 제 1-5 선별홈(1335) 및 제 1-6 선별홈(133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1 선별홈(1331)이 가장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선별홈(1332) 부터 제 1-3 선별홈(1333), 제 1-4 선별홈(1334), 제 1-5 선별홈(1335) 및 제 1-6 선별홈(1336)까지 차례로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1 선별홈(1331)이 가장 깊게 형성되고, 상기 제 1-2 선별홈(1332), 제 1-3 선별홈(1333), 제 1-4 선별홈(1334), 제 1-5 선별홈(1335) 및 제 1-6 선별홈(1336) 순서로 깊이가 점진적으로 축소된다.
상기 제 2 선별홈(1340)은 제 2-1 선별홈(1341), 제 2-2 선별홈(1342), 제 2-3 선별홈(1343), 제 2-4 선별홈(1344), 제 2-5 선별홈(1345) 및 제 2-6 선별홈(1346)을 포함한다.
상기 제 2-1 선별홈(1341)이 가장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2 선별홈(1342), 제 2-3 선별홈(1343), 제 2-4 선별홈(1344), 제 2-5 선별홈(1345) 및 제 2-6 선별홈(1346) 순서로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6 선별홈(1336)의 하측에 상기 제 2-1 선별홈(1341)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1 선별홈(1341)이 가장 깊게 형성되고, 상기 제 2-2 선별홈(1342), 제 2-3 선별홈(1343), 제 2-4 선별홈(1344), 제 2-5 선별홈(1345) 및 제 2-6 선별홈(1346) 순서로 깊이가 점진적으로 축소된다.
상기 제 3 선별홈(1350)은 제 3-1 선별홈(1351), 제 3-2 선별홈(1352), 제 3-3 선별홈(1353), 제 3-4 선별홈(1354), 제 3-5 선별홈(1355) 및 제 3-6 선별홈(1356)을 포함한다.
상기 제 3-1 선별홈(1351)이 가장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2 선별홈(1352), 제 3-3 선별홈(1353), 제 3-4 선별홈(1354), 제 3-5 선별홈(1355) 및 제 3-6 선별홈(1356) 순서로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3-1 선별홈(1351), 제 3-2 선별홈(1352), 제 3-3 선별홈(1353), 제 3-4 선별홈(1354), 제 3-5 선별홈(1355) 및 제 3-6 선별홈(1356)의 깊이는 상기 제 1-1 선별홈(1331), 제 1-2 선별홈(1332), 제 1-3 선별홈(1333), 제 1-4 선별홈(1334), 제 1-5 선별홈(1335) 및 제 1-6 선별홈(1336) 깊이에 각각 대응된다.
상기 제 4 선별홈(1360)은 제 4-1 선별홈(1361), 제 4-2 선별홈(1362), 제 4-3 선별홈(1363), 제 4-4 선별홈(1364), 제 4-5 선별홈(1365) 및 제 4-6 선별홈(1366)을 포함한다.
상기 제 4-1 선별홈(1361)이 제 3-6 선별홈(1356)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4-2 선별홈(1362), 제 4-3 선별홈(1363), 제 4-4 선별홈(1364), 제 4-5 선별홈(1365) 및 제 4-6 선별홈(1366) 순서로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4-1 선별홈(1361), 제 4-2 선별홈(1362), 제 4-3 선별홈(1363), 제 4-4 선별홈(1364), 제 4-5 선별홈(1365) 및 제 4-6 선별홈(1366)의 깊이는 상기 제 2-1 선별홈(1341), 제 2-2 선별홈(1342), 제 2-3 선별홈(1343), 제 2-4 선별홈(1344), 제 2-5 선별홈(1345) 및 제 2-6 선별홈(1346)의 깊이에 각각 대응된다.
상기 제 1 롤러(1310)에서 제 1 선별홈(1330) 및 제 2 선별홈(1340)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을 제 1 외주면(1315)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롤러(1320)에서 제 3 선별홈(1350) 및 제 4 선별홈(1360)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을 제 2 외주면(1325)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외주면(1315) 및 제 2 외주면(1325) 사이의 간격을 기준선별간격이라 정의한다. 특히,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 사이 기준선별간격을 제 1 기준선별간격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선별홈(1340) 및 제 4 선별홈(1360) 사이의 기준선별간격을 제 2 기준선별간격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선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선별간격보다 상기 부품의 크기가 작으면 해당 부품이 하측으로 낙하되며, 헤드 직경이 큰 부품은 잔류된다.
상기 제 1 선별홈(1330)의 가장 오목한 지점에서 상기 제 2 외주면(1325)까지의 최단거리를 제 1 선별간격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3 선별홈(1350)의 가장 오목한 지점에서 상기 제 1 외주면(1315)까지의 최단거리가 제 1 선별간격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기준선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중간 사이 사이에 제 1 선별간격이 다수개 배치되어 제 1 부품을 신속하게 배출/낙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의 선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이 각각 다른 크기의 6개 사이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부품이 낙하되는 위치보다 먼저 제 1 부품을 신속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선별간격의 직경이 상기 제 2 부품의 헤드 직경보다 작고, 기준 선별간격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부품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선별홈(1340)의 가장 오목한 지점에서 상기 제 2 외주면(1325)까지의 최단거리를 제 2 선별간격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4 선별홈(1360)의 가장 오목한 지점에서 상기 제 1 외주면(1315)까지의 최단거리가 제 2 선별간격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기준선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중간 사이 사이에 제 2 선별간격이 다수개 배치되어 제 2 부품을 신속하게 배출/낙하시킬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는 상기 무빙모터(2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혼합된 부품의 공급속도를 증가시켜도 혼합된 부품이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 상측에 잔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의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장치는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어셈블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1 지지부(51)에 배치되고, 상기 기준선별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간격조절어셈블리(400)를 통해 최소간격(D0)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1 지지부(5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롤러축(311)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블럭(410)과, 상기 제 1 지지부(5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블럭(420)과,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롤러축(311)에 밀착되는 제 1 갭블럭(430)과,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에 밀착되는 제 2 갭블럭(440)과,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부(51)에 고정되는 탑블럭(450)과,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블럭(460)과, 상기 탑블럭(450)을 관통하고 상기 조절블럭(46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핸들(470)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블럭(460)은 하측으로 뾰족한 콘형상 또는 웨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블럭(460)의 일측경사면(461) 및 타측경사면(462)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을 동시에 지지한다.
상기 탑블럭(450)이 상기 제 1 지지부(51)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탑블럭(450)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절블럭(46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이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멀어지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을 더 이격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조절블럭(460)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이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가까워지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를 더 근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지지블럭(410) 및 제 2 지지블럭(420)을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장축볼트(481) 및 너트(482)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지지블럭(410)은 하측으로 돌출된 제 1 간격지지부(4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블럭(420)은 하측으로 돌출된 제 2 간격지지부(4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간격지지부(412) 및 제 2 간격지지부(422)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장축볼트(481)가 상기 제 1 간격지지부(412) 및 제 2 간격지지부(422)를 관통하고, 상기 너트(482)가 상기 장축볼트(481)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간격지지부(412) 및 제 2 간격지지부(422)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갭블럭(430)은 상기 제 1-1 롤러축(311)을 지지하는 제 1 축면(431)과, 상기 조절블럭(460)을 지지하는 제 1 조절면(4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축면(431) 및 제 1 조절면(432)이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축면(431)은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조절면(432)은 상단이 상기 제 1-1 롤러축(311)에 가깝고 하단이 상기 제 1-2 롤러축(312)에 가까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지블럭(410)은 상기 제 1 축면(431)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1 롤러축(311)을 지지하는 제 1 지지축면(4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블럭(420)은 상기 제 2 축면(441)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2 롤러축(312)을 지지하는 제 2 지지축면(4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축면(431) 및 제 1 지지축면(411)이 상기 제 1-1 롤러축(311)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축면(441) 및 제 2 지지축면(421)이 상기 제 1-2 롤러축(312)의 양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핸들(470)은 상기 탑블럭(450)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절블럭(460)과 결합된 핸들축(471)과, 상기 핸들축(471)의 상단에 조립되고 상기 핸들축(47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핸들레버(472)를 포함한다.
상기 탑블럭(450)에 상기 핸들축(471)이 관통되는 축홀(45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탑나사산(455)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축(471)의 외주면에 핸들나사산(475)이 형성되고, 상기 탑나사산(455)과 치합된다.
상기 핸들나사산(475) 및 탑나사산(455)의 치합을 통해 상기 핸들축(47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조절블럭(46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미도시된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핸들레버(472)를 탑블럭(450) 또는 제 1 지지부(51)에 고정하여 핸들레버(472)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어셈블리(400)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무빙장치 200 : 선별하우징
212 : 회전베이스 220 : 스파이럴가이드
250 : 가이드하우징 300 : 선별어셈블리
310 : 제 1 롤러 320 : 제 2 롤러
350 : 선별모터 360 : 셀렉하우징
400 : 간격조절어셈블리 410 : 제 1 지지블럭
420 : 제 2 지지블럭 430 : 제 1 갭블럭
440 : 제 2 갭블럭 450 : 탑블럭
460 : 조절블럭 470 : 핸들

Claims (5)

  1. 지면에 배치되는 테이블(50);
    상기 테이블(50) 상측에 거치되고,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복수개의 부품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무빙장치(100);
    상기 무빙장치(100)에서 공급된 볼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어셈블리(300);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장치(100)는,
    상기 테이블(50)의 상측에 거치되어 지면과 이격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배치되는 무빙모터(20);
    상기 베이스(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하우징(200);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0) 및 선별하우징(20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상기 선별하우징(200)을 지지하는 서포터(40);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하우징(200)은,
    상기 무빙모터(20)에 조립되어 회전되는 회전베이스(212);
    일단이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상측면(21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으로 상승되게 형성된 스파이럴가이드(220);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와 연결되고,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를 따라 이송된 부품을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로 안내하는 가이드하우징(250);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는,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제 1 롤러(310);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롤러(320);
    상기 테이블(5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또는 제 2 롤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선별모터(350);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된 부품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셀렉하우징(360);
    상기 제 1 롤러(31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
    상기 제 2 롤러(32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 2-1 롤러축(321) 및 제 2-2 롤러축(3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가 소정의 사이각(A)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블(50)은,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 1 지지부(51)와, 하단에서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측으로 연장된 로어테이블(53)과, 상기 로어테이블(53)에서 상측으로 돌출연장되는 제 2 지지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어셈블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1 지지부(5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롤러축(311)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블럭(410);
    상기 제 1 지지부(5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블럭(420);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롤러축(311)에 밀착되는 제 1 갭블럭(430);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에 밀착되는 제 2 갭블럭(440);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부(51)에 고정되는 탑블럭(450);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블럭(460);
    상기 탑블럭(450)을 관통하고 상기 조절블럭(46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핸들(470);을 포함하는 부품 선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49010A 2023-04-13 2023-04-13 부품 선별장치 KR102559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010A KR102559353B1 (ko) 2023-04-13 2023-04-13 부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010A KR102559353B1 (ko) 2023-04-13 2023-04-13 부품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353B1 true KR102559353B1 (ko) 2023-07-26

Family

ID=8742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010A KR102559353B1 (ko) 2023-04-13 2023-04-13 부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35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1689Y2 (ja) * 1992-05-18 1999-03-10 小橋工業株式会社 農産物等の選別装置
JP2000317403A (ja) * 1999-05-12 2000-11-21 Nichizou Gijutsu Service Kk 空容器サイズ分別装置
KR200277956Y1 (ko) 1999-06-02 2002-06-15 비요른 시도프 볼트 선별장치
KR100825852B1 (ko) * 2008-02-12 2008-04-28 강현수 볼트 인입/선별 기능이 구비된 볼트 자동 포장장치
KR100908042B1 (ko) 2009-02-16 2009-07-15 (주)진합 볼트 휨 선별장치
KR101296826B1 (ko) 2011-09-15 2013-08-14 (주)진합 머신비전을 이용한 와셔취부볼트의 양품 선별 장치
KR20160033277A (ko) * 2014-09-17 2016-03-28 (주)진합 불량 볼트 선별장치
KR101657268B1 (ko) * 2016-04-25 2016-09-20 주식회사 에스탑 부품선별기
KR20170142677A (ko)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프론텍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회전식 샤프트 선별장치
KR102324970B1 (ko) * 2021-04-16 2021-11-10 김기삼 로터리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1689Y2 (ja) * 1992-05-18 1999-03-10 小橋工業株式会社 農産物等の選別装置
JP2000317403A (ja) * 1999-05-12 2000-11-21 Nichizou Gijutsu Service Kk 空容器サイズ分別装置
KR200277956Y1 (ko) 1999-06-02 2002-06-15 비요른 시도프 볼트 선별장치
KR100825852B1 (ko) * 2008-02-12 2008-04-28 강현수 볼트 인입/선별 기능이 구비된 볼트 자동 포장장치
KR100908042B1 (ko) 2009-02-16 2009-07-15 (주)진합 볼트 휨 선별장치
KR101296826B1 (ko) 2011-09-15 2013-08-14 (주)진합 머신비전을 이용한 와셔취부볼트의 양품 선별 장치
KR20160033277A (ko) * 2014-09-17 2016-03-28 (주)진합 불량 볼트 선별장치
KR101657268B1 (ko) * 2016-04-25 2016-09-20 주식회사 에스탑 부품선별기
KR20170142677A (ko)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프론텍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회전식 샤프트 선별장치
KR102324970B1 (ko) * 2021-04-16 2021-11-10 김기삼 로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826B1 (ko) 머신비전을 이용한 와셔취부볼트의 양품 선별 장치
KR101980860B1 (ko) 스프링 핀 선별장치
KR101613444B1 (ko) 불량 볼트 선별장치
US4457622A (en) Screw inspection device
KR100861742B1 (ko) 과일 자동분류장치
KR101341947B1 (ko) 볼트 양품 선별 장치
KR101879639B1 (ko) 부품의 흔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비젼 선별기
KR102559353B1 (ko) 부품 선별장치
EP0085124B1 (en) Screw inspection device
KR100995495B1 (ko) 바형상 프레임 비전검사기
CA1238600A (en) Equal spacing positioning apparatus
KR20220056094A (ko) 위치 정렬이 가능한 파이프 볼트의 검사장치
KR100862900B1 (ko) 스크류 선별장치
CN206502361U (zh) 一种弹簧的分配送料装置
KR101613441B1 (ko) 불량 볼트 선별 장치의 원형 인덱스 장치
KR101310712B1 (ko) 다목적 멀티 선별기
CN218422992U (zh) 一种加工宠物饲料的设备
CN103831234B (zh) 摆动笼式核桃分级筛
KR102500236B1 (ko) 초정밀 부품 및 소재 품질관리용 자동선별장치
KR101613443B1 (ko) 불량 볼트 자동 선별 장치의 볼트 나사부 전방향 동시 검사 장치
KR100460538B1 (ko) 농산물 선별기
KR102673488B1 (ko) 너트용 탭핑장치
CN110022996B (zh) 用于分级***的调节机构
KR102626824B1 (ko)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이송장치
US4557125A (en) Apparatus for on line, random sample, inspection of cold-formed blanks for threaded faste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