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056B1 - 수목의 플랜터 - Google Patents

수목의 플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056B1
KR102559056B1 KR1020220181171A KR20220181171A KR102559056B1 KR 102559056 B1 KR102559056 B1 KR 102559056B1 KR 1020220181171 A KR1020220181171 A KR 1020220181171A KR 20220181171 A KR20220181171 A KR 20220181171A KR 102559056 B1 KR102559056 B1 KR 102559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tree
storage tank
sensor unit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진병철
김병일
강호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filed Critical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3Transplanting devices for grasping, undercutting or transporting the root ba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05Agricul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025/003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with an impermeable layer i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oi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수목이 관통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빗물이 투과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된 상판; 상부가 개방된 측면을 이루는 측면판들; 상기 측면판들의 하단 모서리와 결합하고 배수공이 형성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과 측면판의 내면에 부착된 방수방근 복합시트;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부착된 방수방근 복합시트의 상면에 부착된 배수시트; 상기 배수시트 상에 적층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 상에 적층되는 식생층; 상기 상판의 하부 및 식생층의 상부 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투입된 빗물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수목에 공급하기 위한 빗물여과용 여재 및 상기 여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빗물여과모듈, 상기 빗물여과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며, 여과수를 저장하는 빗물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여과수를 수목의 뿌리에 공급하기 위한 관수펌프 및 빗물공급관을 포함하는 빗물저장모듈, 및 대기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대기센서부 및 토양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토양센서부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하는 우수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수목의 플랜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목의 플랜터{Planter of a tree}
본 발명은 수목(樹木)의 플랜터(plant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터는 수목의 이동이 매우 쉬우며, 현장에서의 간편한 시공으로 굴취 및 식재가 가능하고, 포장 위 토심부족공간 등 다양한 공간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가식(假植)이 필요 없고 수목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며,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주위와 어울리는 디자인적 처리가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특별히 본 발명은 대형수목에 적용되었을 때 적합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목이 본래 있던 자리에서 다른 자리로 옮기는 경우, 즉 수목의 이동시 통상적으로 이식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식은 굴취, 운반, 식재 등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서 용이한 일이 아니며, 특별히, 근원 직경 30cm 이상의 대형수목의 경우 더 더욱 어려운 일이 된다.
수목이 이동된 후 식재되어 유지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이상의 토심이 필요한데, 현대의 도심공간은 포장이 되거나 인공지반 등으로 구성되어 수목을 식재하여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토심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대형수목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관련되어 토심확보를 위해 설치되는 기존의 구조용 플랜터는 여러 단계의 시공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하며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주로 콘크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수목 생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으로 수목을 식재하여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도, 다른 공정과의 조화를 위하여 가식(假植)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가식 후 본래의 공간으로 이식할 때 추가적인 수목의 굴취 및 이동 등이 필요하게 되어 수목이 훼손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목의 하자율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목과 관련되어 수목이 조경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고, 그 과정에서 수목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아 수목의 하자율을 줄일 수 있고, 토심이 부족한 공간에서도 배치될 수 있으며, 가식이 필요 없다면 바람직하다할 것인데, 특별히 이러한 요청은 대형수목에서 크게 요구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목을 조경되는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수목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아 수목의 하자율을 최소화하고, 식재기반 조성이 불가능하거나 토심이 부족한 공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고, 가식이 필요 없고, 계절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언제나 완성형의 녹화공간을 조성하도록 하는 수목용 플랜터(planter)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별히 본 발명은 대형수목에 더욱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중앙에 수목이 관통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빗물이 투과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된 상판; 상부가 개방된 측면을 이루는 측면판들; 상기 측면판들의 하단 모서리와 결합하고 배수공이 형성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과 측면판의 내면에 부착된 방수방근 복합시트;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부착된 방수방근 복합시트의 상면에 부착된 배수시트; 상기 배수시트 상에 적층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 상에 적층되는 식생층; 상기 상판의 하부 및 식생층의 상부 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투입된 빗물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수목에 공급하기 위한 빗물여과용 여재 및 상기 여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빗물여과모듈, 상기 빗물여과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며, 여과수를 저장하는 빗물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여과수를 수목의 뿌리에 공급하기 위한 관수펌프 및 빗물공급관을 포함하는 빗물저장모듈, 및 대기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대기센서부 및 토양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토양센서부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하는 우수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수목의 플랜터.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월류저장탱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플랜터.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월류저장탱크의 덮개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빗물저장모듈의 일측 상부에는 월류관이 형성되고, 상기 월류관의 단부는 제1이송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이송관의 타단은 월류저장탱크의 상부를 덮는 바닥판에 형성된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월류저장탱크 내로 삽입되며,
상기 월류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은 제2이송관을 통해 빗물저장모듈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플랜터.
(4) 상기 (1)에 있어서,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IoT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플랜터.
(5) 상기 (4)에 있어서,
빗물저장모듈은 중앙이 빈 사각형상의 이중벽으로 이루어지되, 빗물저장조, 양액저장조 및 IoT제어부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은 내벽과 외벽 및 격벽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대기센서부 및 토양센서부는 내벽의 일측에 부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활용 일체형 수목생장 및 보호시스템.
본 발명은 수목과 관련되어 이동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수목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식재기반 조성이 불가능하거나 토심이 부족한 공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고, 가식이 필요 없고, 계절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언제나 완성형의 녹화공간을 조성하도록 하는 플랜터(planter)를 제공한다.
특별히 본 발명은 대형수목에 매우 적합하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포장이 이루어진 광장이나 수영장의 풀(pool) 주변부와 같이 종래 대형수목의 식재가 불가능하던 곳에 본 발명에 따른 플랜터를 배치하여 조경을 즐기게 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른 수목의 플랜터의 제조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공급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내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 따른 수목의 플랜터 구성도이다.
도 8은 수목의 생체정보와 관련된 직접지표인 수액데이터의 시각화된 형상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플랜터가 상차되어 이동되는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수목의 플랜터에 장식마감재가 설치된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플랜터가 적용되는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른 수목의 플랜터(1000)의 제조방법을 보인다.
먼저, 도 1의 (a)를 참고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100)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판들(11)(12)(13)(14)과 상기 박스(100)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16)이 제공되고, 이들 측면판들(11)(12)(13)(14)과 바닥판(16)이 조립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박스(100)를 이룬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들 측면판들(11)(12)(13)(14)과 바닥판(16)은 상호간에 맞대어지는 부분에 단(段)이 형성되어 상호간에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측면판들(11)(12)(13)(14)과 바닥판(16)은 식재 시 주입되는 토양과 수목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니며, 장기간의 실외의 노출에도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며, 각각의 판부재는 인력에 의하여 운반이 가능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어떠한 소재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나무소재로 이루어져 친환경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16)에는 배수수단이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배수공이 제공되거나, 또는 배수공과 더불어 배수관이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판(16)에는 배수공(168)이 설치된 것이 보인다.
다음, 도 1의 (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박스(100)의 측면판들(11)(12)(13)(14)을 그 횡방향을 둘러 제1스트랩(103)(103)(103)으로 묶어 상기 측면판들(11)(12)(13)(14)을 상호간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다음, 도 1의 (c)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박스(100)의 내측면과 바닥면에 방수 및 방근처리를 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방수와 방근을 이루는 방수/방근 복합시트(41)를 상기 박스(100)의 내측면과 바닥면에 각각 설치한다. 물론 방수시트와 방근시트를 각각 제공하고 이들을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배수시트(46)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박스(100)의 측면과 바닥면은 방수를 이루고, 상기 박스(100)의 내부공간에 나무가 식재되어도 뿌리가 외부로 뚫고 나가지 못한다. 또한 바닥판(16)의 바닥면을 통하여 배수가 가능해진다.
다음, 도 1의 (d)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박스(100)의 바닥판(16)의 바닥면에 자갈, 쇄석 또는 흑요석, 펄라이트 등의 배수용 토양를 깔아 배수층(70)을 형성한다.
다음, 도 1의 (e)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배수층(70)의 상부에 수목(300)을 놓고 마사토, 인공토 및 유기질비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식생토양을 충전하여 식생층(80)을 형성하여 식재한다.
이때 사용되는 식생토양은 수목을 장기간 플랜트 내부에서 생육하는 것을 고려하여, 배수성과 통기성 확보를 제1조건으로 하며, 뿌리부의 왕성한 신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최소필요 영양분만을 배합하며, 차후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은 액비주입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300)의 분(340)은 식생층(80)에 놓이게 된다. 물론 나분으로 식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2의 (f)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박스(100)의 상면에 상판(15)(15')을 조립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5)(15')은 상호간에 대칭인 두 개의 판(15)(15')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맞닿는 부분의 중앙에 수목(300)이 관통되는 공간부(15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15)(15')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수목(300)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목재(63)(63')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판(15)(15')을 수목(300)이 공간부(158)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박스(100)의 상부에 상호간에 맞대어 설치한다.
이후, 상기 수목(300)을 지지하게 되는데, 우선, 상기 제1목재(63)(63')를 가로질러 제2목재(636)(636)를 설치한다.
다음, 환형을 이루는 띠부재(630)를 상기 수목(300)의 주변을 둘러 설치하여 수목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띠부재(630)는 상기 제2목재(636)(636)의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6364)(6364)의 내면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후, 도 3의 (g)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바닥판(16)의 하면과 상기 측면판(12)(14)과 상기 상판(15)(15')에서 수목(300)의 측부에 위치한 상기 제1목재(63)(63')의 상면을 둘러 제2스트랩(108)(108)으로 묶어 플랜터(1000)를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플랜터(1000)에는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박스(100)에서 상기 제1목재(63)(63)와 상기 제1목재(63)(63)의 바깥쪽의 측면판(12)(14)의 사이에 점적관수수단(82)(82)(82)(8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적관수수단(82)(82)(82)(82)은 물이 방울형태로 공급되는 관수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몸체부(8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바닥면에 밸브(828)가 설치되어 밸브(828)를 열면 이를 통하여 물이 방울형태로 그 하부의 식색층(80)으로 공급되는 종류의 것이다.
점적관수수단은 다양한 것이 제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036795은 호스형태의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상판(15)(15')에는 점적관수수단(82)(82)(82)(82)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공급구멍(828)(828)이 형성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의 측면판(11)(12)(13)(14)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그 길이가 줄어드는 사각의 역사다리꼴 형태이고 상기 박스(10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사각의 한 변의 길이는 수목의 근원직경의 6배 이상이 적당한다. 만일 근원직경의 6배인 경우 상기 플랜터(1000)는 6배분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투과하기 위한 다수의 장공(15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판(15)의 하부 및 식생층(80)의 상부 공간에 우수공급장치(200)가 삽입된다.
도 5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공급장치(200)는 빗물여과모듈(210), 빗물저장모듈(220), 및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빗물여과모듈(210) 및 빗물저장모듈(220)과 별도로 구성되어도 좋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부속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부는 빗물저장모듈(220)에 부착되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생장 및 보호장치(200)는 중앙에 수목(300)이 놓이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최상부에는 빗물이 투입되는 홈이 형성된 상판(15)이 결합된다. 상기 상판(15)은 상기 홈을 통해 투입되는 빗물을 여과할 하부의 빗물여과모듈(210)에 결합된다.
상기 빗물여과모듈(210)은 상기 상판(15)의 하부에 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수목이 지나가는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의 내벽과 외벽으로 이루어지는 여재 수용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여재(211)는 모래, 자갈, 또는 우드칩과 같은 여재일 수 있다. 상기 여재(211)는 수용부(212)에 균일하게 적재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빗물여과모듈(210)의 일측에 양액공급홀(214)이 형성된다. 양액공급홀(214)을 통해 수목의 생장에 필요한 양액을 수동 혹은 자동으로 공급한다.
상기 빗물여과모듈(210)의 일측 하부에는 여재(211)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하부의 빗물저장모듈(220)로 배출되는 여과수배출관(213)이 형성된다.
상기 빗물저장모듈(220)은 상기 빗물여과모듈(2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여과수를 저장하는 빗물저장조(221), 상기 빗물저장조(221)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여과수를 수목의 뿌리에 공급하기 위한 관수펌프(222) 및 빗물공급관(223)을 포함한다.
상기 빗물저장모듈(220)은 중앙이 빈 사각형상의 이중벽으로 이루어지되, 빗물저장조(221), 양액저장조(224) 및 IoT제어부(229)로 구획된다. 상기 구획은 내벽과 외벽 및 격벽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는 대기센서부(227) 또는/및 토양센서부(22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기센서부(227) 및 토양센서부(228)는 외부로부터의 불필요한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빗물저장조(220)의 내벽의 일측에 부착되어진다. 이때, 대기센서부(227)는 대기정보를 수집하며, 바람직하게는 온도 또는/및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토양센서부(228)는 토양의 pH, 전기전도도, 또는 수분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중 적어도 1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기센서부(227) 또는/및 토양센서부(228)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서버(미도시)에 전송하는 IoT 제어부(22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빗물저장모듈(220)은 빗물저장조(221)의 내측면에 압력센서(230)를 설치하고, 바닥면에는 발열선(231)을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230)는 빗물저장조(221)에 저장된 여과수가 겨울철에 얼어 팽창시, 팽창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IoT 제어부(229)로 신호를 전송된다. 상기 발열선(231)은 바람직하게는 빗물여과모듈(210)의 여과수배출관(213)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열선(231)은 내부 혹은 외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혹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되어질 수 있으며, IoT 제어부(229)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IoT 제어부(229)는 여과수가 얼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빗물저장조(221) 바닥면에 설치된 발열선(231)을 발열시켜 얼음을 녹이고, 얼음이 녹아 감소된 압력센서(230)로부터의 신호를 전송받아 즉시 혹은 일정시간 경과 후 관수펌프(222)를 가동시킨다.
만일, 대기센서부(227)로부터 전송된 온도값이 영상일 경우에는 상기 압력센서(230)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오류일 경우가 존재하므로 발열선(231)의 구동은 대기센서부(227)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이 영하이고, 압력센서(230)로부터 수신된 압력값이 소정 수치 이상일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플랜터(10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6)의 하부에 월류저장탱크(2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닥판(16)은 월류저장탱크(240)의 덮개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빗물저장모듈(220)의 일측 상부에는 월류관(232)가 형성되어, 우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월류하는 빗물은 상기 월류관(232)을 통해 빠져나와, 하부의 월류저장탱크(24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월류관(232)의 단부는 제1이송관(233)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이송관(233)의 타단은 월류저장탱크(240)의 상부를 덮는 바닥판(16)에 형성된 제1관통공(16a)을 관통하여 월류저장탱크(240) 내로 삽입되어진다.
상기 월류저장탱크(240)는 탱크내부에 수중펌프(250)가 장착되고, 물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시에 IoT 제어부(229)가 상기 수중펌프(250)를 작동시켜 제2이송관(251)을 통해 빗물저장모듈(220)로 월류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2이송관(251)의 일단은 상기 수중펌프(250)과 연결되고, 타단은 빗물저장모듈(220) 하부에 돌출형성된 투입관(234)에 삽입되어 진다. 이때, 상기 제2이송관(251)은 바닥판(16)에 형성된 제2관통공(16a)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활용 일체형 수목생장 및 보호시스템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액데이터는 수목의 생체정보와 관련된 직접지표로써, 수목이 활발하게 생장활동을 하는 시간대 즉 일조 등 환경이 양호한 경우에는 증발산, 광합성량이 최고조를 이루게 되고 수액의 이동속도가 최고조를 이루는 반면, 일조 등 환경이 불리한 시간대(일광감소, 흐림, 바람 미세먼지 등)에는 수액의 이동속도가 둔화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또한, 실험에 의하면 이러한 수액데이터(물관, 체관측 데이터)는 대기의 온도 및 습도, 토양의 pH, 전기전도도(EC), 수분함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대기 또는/ 및 토양의 각종 정보를 IoT 제어부(229)가 수신하고, 상기 IoT 제어부(229)는 관리서버에 이러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관리서버는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상태의 각 수목의 생육환경을 판단하고, 수분 및 양액의 공급여부를 결정한다. 판단결과 수분 및 양액이 필요한 시점으로 결정이 되면, IoT 제어부(229)에 이러한 정보를 전송하여 관수펌프(222) 및 양액펌프(225)를 작동시켜 빗물공급관(223)과 양액공급관(226)을 통해 수목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플랜터(1000)는 도 9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차되어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랜터(1000)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측면판이 차량의 적재면에 놓여 상기 수목이 횡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차량에 상차되어 이동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플랜터(1000)의 박스(100)의 외면에 대하여 마감재(901)(902)(903)(904)(905)(9011)(9026)를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장식(900)을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감적 가치가 크게 상승한다.
즉 도 9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플랜터(1000)를 상차하여 이동한 후, 플랜터(1000)를 설치하는 장소에 도 10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조립식으로 마감재를 설치하여 장식(900)을 이루어, 도 11, 도 12 및 도 1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공원, 아파트단지, 도로 등에서 다양한 조경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박스(100)의 내부에 나무의 생육에 필요한 식생층(80)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배수층(70)이 형성되고, 또한, 관수수단(82)도 설치가 되어 수목의 유지관리를 매우 편리하게 이룰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터(1000)를 이용할 경우, 수목을 손쉽게 이동하여 다양한 장소에 배치할 수 있으며, 특별히, 토심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곳에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장소에 배치함에 있어서 가식 등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 수목의 이식 시에 수목이 받던 스트레스의 문제나, 수목을 다른 장소로 이식할 때 발생하는 기타원인에 의한 고사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매번 이식시 마다 분뜨기 등을 행하던 불편함이 없어지고, 가식에 따라 발생하던 불편함이나 수목의 스트레스가 없어지며, 종래 토심공간이 부족하여 배치가 불가능한 공간에도 수목을 배치하여 조경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목의 생육에 있어서 최적의 식생층을 제공하며, 이동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수목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토심이 부족한 공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고, 가식이 필요 없도록 하는 수목용 플랜터(planter)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플랜터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플랜터는 특별히 대형수목의 경우에 적합하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수목 전정을 최소화 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어서 완성형태의 최상의 수형으로 녹화를 할 수 있으며, 광화문광장이나 수영장 등과 같이 기존에 수목의 조경이 불가능하던 곳에 수목의 조경을 이룰 수 있으며, 계절별로 나무의 종류를 바꾸어 조경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박스
11, 12, 13, 14: 측면판
16: 바닥판
103: 제1스트랩
108: 제2스트랩
200: 보호장치
210: 빗물여과모듈
220: 빗물저장모듈
300: 대형수목
900: 장식마감재
1000, 2000: 대형수목의 플랜터

Claims (5)

  1. 중앙에 수목이 관통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빗물이 투과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된 상판; 상부가 개방된 측면을 이루는 측면판들; 상기 측면판들의 하단 모서리와 결합하고 배수공이 형성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과 측면판의 내면에 부착된 방수방근 복합시트;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부착된 방수방근 복합시트의 상면에 부착된 배수시트; 상기 배수시트 상에 적층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 상에 적층되는 식생층; 상기 상판의 하부 및 식생층의 상부 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투입된 빗물을 여과하여 여과수를 수목에 공급하기 위한 빗물여과용 여재 및 상기 여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빗물여과모듈, 상기 빗물여과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며, 여과수를 저장하는 빗물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여과수를 수목의 뿌리에 공급하기 위한 관수펌프 및 빗물공급관을 포함하는 빗물저장모듈, 및 대기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대기센서부 및 토양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토양센서부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하는 우수공급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월류저장탱크가 장착되고,
    상기 바닥판은 월류저장탱크의 덮개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빗물저장모듈의 일측 상부에는 월류관이 형성되고, 상기 월류관의 단부는 제1이송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이송관의 타단은 월류저장탱크의 상부를 덮는 바닥판에 형성된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월류저장탱크 내로 삽입되며,
    상기 월류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은 제2이송관을 통해 빗물저장모듈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플랜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IoT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플랜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모듈은 중앙이 빈 사각형상의 이중벽으로 이루어지되, 빗물저장조, 양액저장조 및 IoT제어부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은 내벽과 외벽 및 격벽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대기센서부 및 토양센서부는 상기 내벽의 일측에 부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플랜터.
KR1020220181171A 2022-12-21 2022-12-21 수목의 플랜터 KR10255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171A KR102559056B1 (ko) 2022-12-21 2022-12-21 수목의 플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171A KR102559056B1 (ko) 2022-12-21 2022-12-21 수목의 플랜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056B1 true KR102559056B1 (ko) 2023-07-21

Family

ID=8742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171A KR102559056B1 (ko) 2022-12-21 2022-12-21 수목의 플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0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2493A1 (en) * 2003-06-13 2006-04-05 Kawada Construction Co., Ltd. Greening apparatus
KR101067023B1 (ko) * 2011-02-11 2011-09-22 (주) 엘아이디 솔루션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KR20110126917A (ko) * 2010-05-18 2011-11-24 이은정 빗물저장탱크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101251988B1 (ko) * 2012-07-13 2013-04-08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수목의 플랜터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플랜터
KR20160086677A (ko) * 2015-01-12 2016-07-20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수목용 이동식 플랜터 및 그 제조방법
JP2018148860A (ja) * 2017-03-14 2018-09-27 公立大学法人大阪府立大学 植物育成装置
KR102166539B1 (ko) * 2020-06-09 2020-10-15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빗물활용 일체형 수목생장 및 보호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2493A1 (en) * 2003-06-13 2006-04-05 Kawada Construction Co., Ltd. Greening apparatus
US20120227321A1 (en) * 2003-06-13 2012-09-13 Kawada Construction Co., Ltd. Greening system
KR20110126917A (ko) * 2010-05-18 2011-11-24 이은정 빗물저장탱크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101067023B1 (ko) * 2011-02-11 2011-09-22 (주) 엘아이디 솔루션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KR101251988B1 (ko) * 2012-07-13 2013-04-08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수목의 플랜터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플랜터
KR20160086677A (ko) * 2015-01-12 2016-07-20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수목용 이동식 플랜터 및 그 제조방법
JP2018148860A (ja) * 2017-03-14 2018-09-27 公立大学法人大阪府立大学 植物育成装置
KR102166539B1 (ko) * 2020-06-09 2020-10-15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빗물활용 일체형 수목생장 및 보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547B2 (en) Plant cultivating unit and plant cultivating container
EP3355686B1 (en) Sub-surface irrigation system
CN204860389U (zh) 盐碱地乔木种植结构
KR20160086677A (ko) 수목용 이동식 플랜터 및 그 제조방법
JPH1175568A (ja) 植栽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JPH0499411A (ja) 植栽装置
KR102559056B1 (ko) 수목의 플랜터
KR100736847B1 (ko) 옥상녹화용 식물식재 방법 및 그 포트
JP2002345342A (ja) 水位調節装置、水位調節可能な水受け器および水位調節可能なプランター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KR101251988B1 (ko) 수목의 플랜터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플랜터
KR20230034533A (ko) 빗물을 이용한 옥상 녹화장치 및 그 방법
JP5187752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二重管ユニット
CN103651091B (zh) 全自动灌溉润孔栽培种植***
GB2288306A (en) Modular sports field construction
JP2000144749A (ja) 自生型屋上緑化施工方法
KR101584938B1 (ko) 옹벽녹화블록
KR20090117453A (ko)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JPH1031A (ja) 擬似樹木型集合プランター装置
JP2002291342A (ja) 植栽設備
US20050115149A1 (en) Device for adjusting water level
JP3506371B2 (ja)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KR20050066768A (ko) 녹지조성용 블록
JPH09170236A (ja) 緑化工法
CN105746300A (zh) 一种包括雨水收集的灌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