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638B1 - 지지 유니트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지지 유니트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638B1
KR102558638B1 KR1020210068696A KR20210068696A KR102558638B1 KR 102558638 B1 KR102558638 B1 KR 102558638B1 KR 1020210068696 A KR1020210068696 A KR 1020210068696A KR 20210068696 A KR20210068696 A KR 20210068696A KR 102558638 B1 KR102558638 B1 KR 10255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unit
upper mold
molding
mo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445A (ko
Inventor
정영화
이연형
정동연
Original Assignee
(주)대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테크 filed Critical (주)대호테크
Priority to KR102021006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6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면적 성형 장치는,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 유니트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Wide Area Forming Apparatus with Supporting Unit}
본 발명은 대면적의 피성형물을 금형으로 성형하는 대면적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휘어진 곡면부를 갖는 대면적 글라스는 모바일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윈도우 또는 후면 백 커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곡면부를 갖는 글라스는 카메라의 렌즈로 사용될 수도 있다.
피성형물을 대면적 금형에 넣고 가열 및 가압하면 원하는 3D 형상의 글라스 또는 렌즈를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대면적 금형의 경우, 무게가 상당하여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면적이 될수록 커지는 금형의 자중이 성형 전의 피성형물에 작용하면 피성형물이 성형하기도 전에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무게가 무거운 대면적 피성형물의 성형을 위한 대면적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면적 성형 장치는,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면적의 금형을 입구 유니트, 진공 유니트, 성형 유니트, 냉각 유니트 중 어느 하나로 이송할 때,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거나 피성형물과 상부 금형의 비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 유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하부 금형을 이송하는 이송 유니트,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연동시켜서 이송하는 연결 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무게가 무거운 대면적의 상부 금형을 피성형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성형 후 3D 형상의 피성형물을 흡착 유니트에 의해 제거할 수 있고, 세정 유니트에 의해 공기를 분사하여 금형을 세정할 수 있고, 성형 전 피성형물을 흡착 유니트로 금형에 투입할 수 있고, 연결 유니트에 의해 하부 금형의 이송력을 상부 금형에 전달할 수 있다.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은 동기화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금형을 입구 유니트 또는 진공 유니트에서 이송시, 지지 유니트가 상부 금형을 지지하거나 이송하면, 피성형물에 가해지는 금형의 자중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 유니트에 도달하기 전에 성형 준비가 덜 된 피성형물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에서 이송 롤러가 하강하면 하부 블록에 하부 금형이 대면될 수 있다. 열의 접촉식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블록은 제1 액츄에이터의 작동으로 하강하여 상부 금형을 누를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작되는 지지 유니트는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고 있다. 상부 블록이 상부 금형을 아래로 누르면 상부 금형과 함께 지지 유니트가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부재인 제1 액츄에이터와 제2 액츄에이터를 동일 높이나 동일 제어 조건으로 조작할 복잡성이 제거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는 공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스프링 작용을 하므로 이들을 의도적으로 위치 제어할 필요없이, 공기의 탄성력에 의하여 적정 범위의 간섭으로 부드럽게 연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거운 대면적 금형의 이송 과정에서는 상부 금형의 자중을 피성형물에 지지하지 않고 지지 유니트에 의해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지탱하므로, 피성형물에 아무런 하중을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금형의 무게로 인하여 피성형물이 성형 전에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금형이 입구 유니트로부터 진공 유니트를 거쳐서 성형 유니트와 냉각 유니트를 거치는 과정에서 연결 유니트에 의해 상부 금형이 하부 금형에 연동되므로, 상부 금형의 제3 방향 하중은 제1 방향의 구속력이 없는 지지 유니트로 지지하고, 제1 방향 이송력은 하부 금형이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 이송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상호간의 복잡한 상대 위치 제어나 이송력 연동의 복잡성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입구 유니트에 마련된 지지 유니트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 유니트의 일 실시예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성형 장치는 금형(100), 금형(100)을 투입하는 입구 유니트(10), 진공 유니트(20), 성형 유니트(30), 냉각 유니트(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유니트(20), 성형 유니트(30), 냉각 유니트(40)의 입구 및 출구에는 셔터가 마련되어 개폐되면서 금형(100)의 이송시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금형(100)은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의 사이에 피성형물(130)이 수납될 수 있다.
피성형물(130)은 카메라 렌즈, 곡면부를 갖는 글라스, 시계 커버 유리, 자동차 계기판 유리, 각종 계측기 커버 유리, 사파이어, 광투과성 플레이트, 합성 수지, 모바일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론트 윈도우 및 백 커버를 포함한다. 피성형물(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곡면의 3D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송 유니트(200)는 간격을 두고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이송 롤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롤러(210)는 이송 롤러 회전부(217)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회전력이 베벨 기어(213, 215)나 체인(230)을 통하여 이송 롤러(210)에 전달될 수 있다.
금형(100)의 이송시, 하부 금형(120)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220)가 이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입구 유니트(10)의 금형(100)에는 평판 형상의 2D 피성형물(130)이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성형 장치에서 배출된 금형(100)이 입구 유니트(10)에 재투입될 수 있다. 이때, 성형 완료된 곡면 형상의 3D 피성형물(130)은 입구 유니트(10)에서 금형(100)의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입구 유니트(10)에는 상부 금형(11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유니트(300)가 갖추어질 수 있다.
지지 유니트(300)는 승강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상부 금형(110)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홈(111)에 삽입되어 금형(1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유니트(300)는 상부 금형(110)의 지지홈(111)안에 삽입되는 지지롤(310), 지지롤(310)을 회전 가능 또는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금형(110)의 측면에는 하부 금형(120)과 함께 이송 가능하도록 상부 금형(110)을 구속하는 연결 유니트(400)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유니트(400)는 상부 금형(110)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부재(410), 하부 금형(120)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42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410)가 걸림홈(420)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1 방향 이송력이 전달될 수 있다.
입구 유니트(10)에서는 성형된 피성형물(130)을 금형(100)으로부터 제거하고, 피성형물(130)이 제거된 금형(100)의 내부를 세정하며, 성형 전의 원재료인 피성형물(130)을 금형(100)에 수납하고, 금형(100)을 이루는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을 조립할 수 있다.
입구 유니트(10)에서는 성형된 피성형물(130)을 금형(100)에서 배출하기 전에, 상부 금형(110)을 하부 금형(120)으로부터 제3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상승시켜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성형된 피성형물(130)을 제거하며, 이때 제거를 위한 수단으로서, 흡착 유니트(500)가 마련될 수 있다. 진공 흡착을 위한 흡착 유니트(500)는 회전 동작, 승강 동작을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는 로봇 아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성형물(130)을 흡착하여 금형(100)으로부터 이동시키기 위한 흡착 부재(510)가 갖추어지며, 이러한 흡착 부재(51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흡착 부재(510)에 의해 하부 금형(120)으로부터 피성형물(130)을 제거한 다음, 공기를 분사하는 세정 유니트(600)를 통해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의 세정 작업을 할 수 있다.
세정 유니트(600)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부 금형(110) 및 하부 금형(120)의 내부를 세정할 수 있다. 세정 유니트(600)는 회전하면서 공기의 블로잉 작업을 할 수 있고, 상부 금형(100) 및 하부 금형(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블로잉 작업을 할 수 있다.
세정 유니트(600)에 의해 금형(100)를 세정한 다음, 성형 전의 피성형물(130)을 흡착 유니트(500)를 통해 흡착하여 금형(100)안에 수납시킬 수 있다.
금형(100)안에 피성형물(130)이 수납된 다음에는 상부 금형(110)을 하강시켜서 하부 금형(120)에 근접시킬 수 있다. 연결 유니트(400)의 체결을 위함이다.
상부 금형(110)의 측면에는 연결 유니트(40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지지 유니트(300)의 하강에 따라 상부 금형(110)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유니트(400)의 걸림 부재(410)는 하부 금형(12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420)에 삽입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은 서로 연동되어 이송 롤러(210)의 회전에 의해 제1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입구 유니트(10)에서 진공 유니트(20)로 이송시, 상부 금형(110)은 지지 유니트(3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될 수 있다.
이송 롤러(210)의 구동으로 금형(100)의 이송시, 상부 금형(110)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홈(111)에는 지지 유니트(300)의 지지롤(3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금형(100)은 이송하는 과정에서 지지롤(310)에 의해 하중 지지됨과 동시에 제1 방향으로 자유 이동될 수 있다. 제1 방향 이송력은 연결 유니트로 연결된 하부 금형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 유니트(400)가 아직 체결되기 전에는 지지롤(310)의 회전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지지 유니트(300)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부 금형(110)이 지지대(320)와 함께 제1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진공 유니트(20)에서는 금형(10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금형(100)이 대면적일수록 피성형물(130)이나 금형(100)의 산화를 유발하는 산소의 양이 많으므로, 성형 챔버부(30)에서 산화 방지를 위하여 진공 형성 또는 불활성 가스인 질소 등의 주입이 중요할 수 있다.
금형(100)은 진공 유니트(20)의 통과시, 이송 롤러(210)의 회전에 따라 x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금형(100)이 진공 유니트(20)에서 성형 유니트(30)로 이송되면, 이송 롤러(210)는 승강 수단(미도시)에 의해 하강하고, 그에 따라 하부 금형(120)도 동시에 하강하여 하부 블록(160)에 대면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금형(110)은 정지된 상태이므로, 상부 금형(110)은 하강한 하부 금형(120)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에는 하나 이상의 상부 블록(150) 및 지지 유니트(300)를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블록(150)에는 제1 액츄에이터(152)가 연결될 수 있고, 제1 액츄에이터(152)는 공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형(100)은 대면적이므로, 상부 블록(150)은 복수로 마련하여 상부 금형(110)을 가압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의 내부에 마련된 지지 유니트(300)에는 제2 액츄에이터(330)가 연결될 수 있고, 제2 액츄에이터(330)에 의해 지지 유니트(300)는 승강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330)는 공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의 내부에서 금형(100)의 예열 및 성형을 위한 프레스 동작시, 제1 액츄에이터(152)의 작동에 의해 상부 블록(150)이 하강하여 상부 금형(110)의 상면을 가압하면, 상부 금형(110)은 하강하며, 이와 동시에 지지 유니트(300)도 동시에 하강할 수 있다.
지지 유니트(300)에는 제2 액츄에이터(330)가 연결되고, 제1 액츄에이터(152)의 작동에 의해 상부 금형(110)의 하강시 지지 유니트(300)도 제2 액츄에이터(330)가 압축되며 간섭력을 최소화하고 동시 하강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330)는 제1 액츄에이터(152)의 작동에 따른 상부 블록(150)의 하강에 의한 상부 금형(110)의 하강과 동시에 별개로 작동되거나, 또는 제1 액츄에이터(152)의 작동에 따라 종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부 금형(110)의 측면에 마련된 연결 유니트(400)인 걸림 부재(410)는 하부 금형(12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420)에 삽입되고, 걸림홈(420)의 z축 방향을 따라 걸림 부재(410)는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에서, 상부 금형(110)은 제1 액츄에이터(152)의 작동에 의해 상부 블록(150)이 하강하는 힘에 의해 하강할 때, 걸림 부재(410)는 걸림홈(420)의 삽입홈에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걸림 부재(410)는 걸림홈(420)에 삽입되면, x축 방향으로는 걸림되어 이동될 수 없는 상태이고, z축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걸림 부재(410)가 걸림홈(4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강하였던 이송 롤러(210)가 상승하여 하부 블록(160)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부 금형(110) 및 하부 금형(120)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1 액츄에이터(152)도 적정 범위에서 상승하거나, z축 방향으로 구속되지 않는 걸림 부재(410) 및 걸림홈(420)은 하부 금형(120)의 상승에 상부 금형(110)이 간섭받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송 롤러(210)의 상승 동작에 의해 하부 금형(120)의 상승시, z축 방향으로 구속되지 않는 걸림 부재(410) 및 걸림홈(420)은 하부 금형(120)의 상승에 상부 금형(110)이 간섭받지 않게 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는 금형(100)을 성형 온도로 가열하고 금형(100)를 가압하며 피성형물(130)을 곡면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승한 이송 롤러(210)에 하부 금형(120)이 대면되면, 이송 롤러(2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은 냉각 유니트(40)로 이송될 수 있다.
냉각 유니트(40)에는 상부 블록(154)을 승강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152)가 마련될 수 있다. 금형(100)이 성형 유니트(30)로부터 이송되어 오면, 상승한 상태의 이송 롤러(210)는 하강할 수 있다. 그러면 하부 금형(120)은 하부 블록(162)에 대면되며, 이 상태에서, 제1 액츄에이터(152)의 작동에 의해 상부 블록(154)이 하강하여 상부 금형(110)의 상면에 대면될 수 있다.
냉각 유니트(40)에 마련된 상부 블록(154)과 하부 블록(162)은 금형(100)의 냉각을 위한 것으로서, 가열된 금형(100)을 상부 블록(154) 또는 하부 블록(160)의 접촉 열전도에 의하여 금형(100)을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성형물(130)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을 포함하는 금형(100); 금형(100)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피성형물(130)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30); 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의 상류로부터 성형 유니트(30)를 향하여 금형(100)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성형 유니트(30)로부터 성형 유니트(30)의 하류를 향하여 금형(100)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방향에 수직한 금형(100)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금형(100)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부 금형(110)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300)가 마련될 수 있다.
대면적 금형(100)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부 금형(110)의 자중이 성형 전의 피성형물(130)에 작용하면 상부 금형(110)의 자중에 의하여 성형 전의 피성형물(130)이 파단되는 경우를 대면적 금형(100)으로 정의할 수 있다. 대략 가로 및 세로 10cm 이상의 피성형물(130)을 가공할 때 대면적 금형(100)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피성형물(130)이 성형 유니트(30)에서 성형 온도로 가열되기 전, 상부 금형(110)은 지지 유니트(300)로 지지되며, 상부 금형(110)은 하부 금형(120)으로부터 상승된 위치에 있고, 상부 금형(110)은 피성형물(130)이 곡면으로 성형될 부분에 비접촉되며, 피성형물(130)에 작용되는 상부 금형(110)의 자중이 지지 유니트(300)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지지 유니트(300)는, 상부 금형(110)에 착탈되고, 상부 금형(110)을 제3 방향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다.
상부 금형(110)은 지지 유니트(300)와 함께 또는 지지 유니트(300)와 별개로 제1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상부 금형(110)은 제2 방향의 이동이 억제된 상태로 지지 유니트(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금형(110)은 지지 유니트(300)에 의하여 피성형물(130)로부터 이격된 비접촉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성형 후의 피성형물(130)을 하부 금형(120)으로부터 꺼내는 배출 공정, 상부 금형(110) 또는 하부 금형(120)의 이물질을 클리닝하는 세정 공정, 성형 전의 피성형물(130)을 하부 금형(120)에 투입하는 투입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은, 상부 금형(110)이 비접촉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의 상류에 입구 유니트(1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 공정, 세정 공정, 투입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은, 입구 유니트(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입구 유니트(10)에서 상부 금형(110)은 지지 유니트(300)로 지지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의 상부 블록(150)이 상부 금형(110)을 누르면 상부 금형(110)이 하강할 수 있다. 상부 블록(150)이 상부 금형(110)을 누르기 전에는, 상부 금형(110)은 성형 전의 피성형물(130)과 비접촉되는 비접촉 높이에 있고, 성형 유니트(30)의 상류에서 상부 금형(110)은 비접촉 높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의 상부 블록(150)이 상부 금형(110)을 누르면 상부 금형(110)이 지지 유니트(300)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상부 블록(150)은 제1 액츄에이터(152)에 의하여 승강되며, 지지 유니트(300)는 제2 액츄에이터(330)에 의하여 승강되고, 상부 블록(150)이 상부 금형(110)을 누르면 상부 금형(110)이 지지 유니트(300)와 함께 하강하며, 제1 액츄에이터(152) 및 제2 액츄에이터(330)가 모두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간섭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지지롤(310)은 상부 금형(110)의 자중을 지지하며, 이송 롤러(210)는 하부 금형(120)의 자중을 지지하고, 지지롤(310) 및 이송 롤러(21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력에 의하여 금형(100)이 제1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 유니트(200)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한 쌍의 이송 롤러(210)를 포함하며, 이송 롤러(210)의 단부를 돌출시킨 이송 롤러 돌출부(211)가 마련되고, 이송 롤러 돌출부(211)는 하부 금형(120)의 제2 방향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송 롤러(210)의 단부에 연결된 베벨 기어(213, 215)가 이송 롤러(210)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이송 롤러(210)를 제3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이송 롤러 액츄에이터(219)가 마련될 수 있다.
입구 유니트(10) 또는 진공 유니트(20)에서 지지 유니트(300)가 상부 금형(110)을 제1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지지 유니트(300)는 상부 금형(110)의 지지홈(111)에 끼워지는 지지롤(310), 지지롤(3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의 상류에 배치되는 입구 유니트(10)에서 지지 유니트(300)의 지지롤(310)이 상부 금형(110)의 지지홈(111)에 도킹될 수 있다.
지지대(320)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지지대 이송부(미도시) 및 지지대(320)를 제3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액츄에이터(330)가 마련되며, 지지대 이송부(미도시)에 의하여 상부 금형(110)이 제1 방향으로 이송되고, 제2 액츄에이터(330)에 의하여 상부 금형(110)이 제3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부 금형(110)이 하부 금형(120)과 함께 이송되도록 상부 금형(110)을 하부 금형(120)에 연결하는 연결 유니트(400)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유니트(400)가 상부 금형(110) 및 하부 금형(120)을 연결하기 전에는 지지 유니트(300)가 상부 금형(110)을 제1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연결 유니트(400)가 상부 금형(110) 및 하부 금형(120)을 연결한 후에는 하부 금형(120)에 상부 금형(110)이 연동하여 제1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연결 유니트(400)는 상부 금형(110) 또는 하부 금형(120)에 각각 마련되는 걸림 부재(410)와 걸림홈(420)을 포함하며, 하부 금형(120)에 대한 상부 금형(110)의 승강 높이에 따라, 걸림 부재(410) 및 걸림홈(420)이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에서 하부 블록(160) 또는 이송 롤러(210)가 승강되고, 하부 금형(120)은 이송 롤러(210) 및 하부 블록(160)에 교대로 접촉될 수 있다.
이송 롤러(210)가 회전하면 성형 유니트(30)에서 금형(100)이 제1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에서 금형(100)의 이송시, 상부 금형(110)은 지지 유니트(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금형(120)은 이송 롤러(210)에 접촉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에서 금형(100)의 정지시, 상부 금형(110)은 성형 유니트(30)의 상부 블록(150)에 의하여 눌러지고, 하부 금형(120)은 성형 유니트(30)의 하부 블록(160)에 접촉될 수 있다.
상부 금형(110)에 접촉되도록 냉각 유니트(40)의 상부 블록(154)이 승강되고, 냉각 유니트(40)의 하부 블록(162)을 하부 금형(120)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이송 롤러(210)가 하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금형(120)을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롤러(210)가 하부 금형(120)의 아래에 배치되고, 하부 금형(120)의 제2 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가이드 롤러(220)가 하부 금형(1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220)의 회전축과 이송 롤러(210)의 회전축은 서로 직교하고, 가이드 롤러(220)의 회전축은 제3 방향에 평행하고, 이송 롤러(210)의 회전축은 제2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 롤러(210)의 일부가 돌출된 이송 롤러 돌출부(211) 또는 하부 블록(160,162)의 일부가 돌출된 하부 블록 돌출부(161)가 마련되고, 이송 롤러 돌출부(211) 또는 하부 블록 돌출부(161)가 금형(100)의 제2 방향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부 금형(110) 및 하부 금형(120)에 걸림 부재(410)와 걸림홈(420)이 각각 마련되고, 하부 금형(120)에 대한 상부 금형(110)의 승강 높이에 따라, 걸림 부재(410) 및 걸림홈(420)이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될 수 있다.
입구 유니트(10)에서, 지지 유니트(300)와 상부 금형(110)이 도킹되고, 지지 유니트(300)가 상부 금형(110)을 제3 방향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피성형물(130)이 금형(100)에 배출 또는 투입될 수 있다. 걸림 부재(410)와 걸림홈(420)의 체결 전, 지지 유니트(300)가 상부 금형(110)의 제3 방향의 자중을 지지하며 지지 유니트(300)가 상부 금형(110)을 제1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걸림 부재(410)와 걸림홈(420)의 체결 후, 걸림 부재(410) 및 걸림홈(420)이 체결된 하부 금형(120) 및 상부 금형(110)을 이송 롤러(210)가 제1 방향으로 이송하며, 지지 유니트(300)는 상부 금형(110)의 제1 방향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부 금형(110)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의 상부 블록(150)은 제1 액츄에이터(152)에 의하여 승강되며, 지지 유니트(300)는 제2 액츄에이터(330)에 의하여 승강될 수 있다.
상부 블록(150)이 하강하면서 상부 금형(110)에 접근하는 제1 상태, 상부 블록(150)이 상부 금형(110)에 접촉되고 상부 금형(110), 지지 유니트(300) 및 상부 블록(150)이 모두 하강되는 제2 상태, 상부 블록(150)이 상승하면서 상부 금형(110)으로부터 분리되는 제3 상태의 순서로 성형 유니트(30)의 상부 블록(150)이 이동될 수 있다.
냉각 유니트(40)에서 지지 유니트(300)는 상부 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냉각 유니트(40)에서 상부 금형(110)의 자중은 하부 금형(120) 또는 성형 후의 피성형물(130)이 지지할 수 있다.
10...입구 유니트 20...진공 유니트
30...성형 유니트 40...냉각 유니트
100...금형 101...성형면
110...상부 금형 111...지지홈
120...하부 금형 130...피성형물
150,154...상부 블록
152...제1 액츄에이터 160,162...하부 블록
200...이송 유니트 210...이송 롤러
210a...제1 이송 롤러 210b...제2 이송 롤러
161...하부 블록 돌출부 211...이송 롤러 돌출부
213, 215...베벨 기어 217...이송 롤러 회전부
219...이송 롤러 액츄에이터
220...가이드 롤러 230...체인
300...지지 유니트 310...지지롤
320...지지대 330...제2 액츄에이터
400...연결 유니트 410...걸림 부재
420...걸림홈 500...흡착 유니트
510...흡착 부재 600...세정 유니트

Claims (26)

  1.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 유니트는, 상기 상부 금형에 착탈되고,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며,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지지 유니트와 함께 또는 상기 지지 유니트와 별개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제2 방향의 이동이 억제된 상태로 상기 지지 유니트에 결합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이 성형 전의 피성형물에 작용하면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성형 전의 피성형물이 파단되는 대면적 금형이고,
    상기 피성형물이 상기 성형 유니트에서 성형 온도로 가열되기 전,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지지 유니트로 지지되며,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상승된 위치에 있고,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피성형물이 곡면으로 성형될 부분에 비접촉되며, 상기 피성형물에 작용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이 상기 지지 유니트에 의하여 제거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지지 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피성형물로부터 이격된 비접촉 높이를 유지하고,
    성형 후의 피성형물을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꺼내는 배출 공정, 상기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의 이물질을 클리닝하는 세정 공정, 성형 전의 피성형물을 상기 하부 금형에 투입하는 투입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은,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비접촉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대면적 성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에 입구 유니트가 마련되고,
    성형 후의 피성형물을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꺼내는 배출 공정, 상기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의 이물질을 클리닝하는 세정 공정, 성형 전의 피성형물을 상기 하부 금형에 투입하는 투입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은, 상기 입구 유니트에서 수행되며,
    상기 입구 유니트에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지지 유니트로 지지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6.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성형 유니트는 상기 상부 금형을 가압하는 상부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상부 금형을 누르면 상기 상부 금형이 하강하며,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상부 금형을 누르기 전에는, 상기 상부 금형은 성형 전의 피성형물과 비접촉되는 비접촉 높이에 있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에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비접촉 높이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니트는 상기 상부 금형을 가압하는 상부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상부 금형을 누르면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지지 유니트와 함께 하강하는 대면적 성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니트는 상기 상부 금형을 가압하는 상부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블록은 제1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기 지지 유니트는 제2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승강되고,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상부 금형을 누르면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지지 유니트와 함께 하강하며, 상기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가 모두 움직이는 대면적 성형 장치.
  9.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 금형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지지롤 및 상기 하부 금형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롤은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며,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하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롤 및 이송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금형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니트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롤러가 회전하면, 상기 이송 롤러와 접촉하는 상기 하부 금형이 제1 방향으로 이송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니트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한 쌍의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롤러의 단부를 돌출시킨 이송 롤러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이송 롤러 돌출부는 상기 하부 금형의 제2 방향 유동을 억제하고,
    상기 이송 롤러의 단부에 연결된 베벨 기어가 상기 이송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이송 롤러를 상기 제3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이송 롤러 액츄에이터가 마련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12.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며,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에 입구 유니트 또는 진공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입구 유니트 또는 진공 유니트에서 상기 지지 유니트가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대면적 성형 장치.
  13.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 유니트는 상기 상부 금형의 지지홈에 끼워지는 지지롤, 상기 지지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에 배치되는 입구 유니트에서 상기 지지 유니트의 지지롤이 상기 상부 금형의 지지홈에 도킹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14.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 유니트는 상기 상부 금형에 착탈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지지대 이송부 및 상기 지지대를 제3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액츄에이터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대 이송부에 의하여 상기 상부 금형이 제1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2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상기 상부 금형이 제3 방향으로 승강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15.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금형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 유니트;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하부 금형과 함께 이송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에 연결하는 연결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니트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연결하기 전에는 상기 지지 유니트가 상기 상부 금형을 제1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연결 유니트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연결한 후에는 상기 하부 금형에 상기 상부 금형이 연동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이 상기 하부 금형과 함께 이송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에 연결하는 연결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니트는 상기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에 각각 마련되는 걸림 부재와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한 상기 상부 금형의 승강 높이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 및 걸림홈이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니트에서 하부 블록 또는 이송 롤러가 승강되고,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이송 롤러 및 하부 블록에 교대로 접촉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18.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며,
    상기 성형 유니트에서 상기 금형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성형 유니트에는 이송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성형 유니트에서 상기 금형의 이송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지지 유니트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금형은 이송 롤러에 접촉되며,
    상기 성형 유니트에서 상기 금형의 정지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부 블록에 의하여 눌러지고,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부 블록에 접촉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이송 롤러가 회전하면 상기 금형이 제1 방향으로 이송되고,
    냉각 유니트가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금형에 접촉되도록 상기 냉각 유니트의 상부 블록이 승강되고,
    상기 냉각 유니트의 하부 블록을 상기 하부 금형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 롤러가 하강하는 대면적 성형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롤러가 상기 하부 금형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금형의 제2 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가이드 롤러가 상기 하부 금형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축은 서로 직교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제3 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대면적 성형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금형에 접촉되는 하부 블록이 마련되며,
    상기 이송 롤러의 일부가 돌출된 이송 롤러 돌출부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의 일부가 돌출된 하부 블록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이송 롤러 돌출부 또는 하부 블록 돌출부가 상기 금형의 제2 방향 이동을 억제하는 대면적 성형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에 진공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진공 유니트는 상기 성형 유니트 투입전에 상기 금형을 진공 상태로 만들거나 상기 금형에 비활성 가스를 충전하는 대면적 성형 장치.
  23.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걸림 부재와 걸림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한 상기 상부 금형의 승강 높이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 및 걸림홈이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며,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에 입구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입구 유니트에서,
    상기 지지 유니트와 상기 상부 금형이 도킹되고,
    상기 지지 유니트가 상기 상부 금형을 제3 방향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피성형물이 상기 금형에 배출 또는 투입되며,
    상기 걸림 부재와 걸림홈의 체결 전, 상기 지지 유니트가 상기 상부 금형의 제3 방향의 자중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 유니트가 상기 상부 금형을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대면적 성형 장치.
  24.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걸림 부재와 걸림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한 상기 상부 금형의 승강 높이에 따라, 상기 걸림 부재 및 걸림홈이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며,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에 입구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입구 유니트에서,
    상기 걸림 부재와 걸림홈의 체결 후, 걸림 부재 및 걸림홈이 체결된 하부 금형 및 상부 금형을 이송 롤러가 제1 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지지 유니트는 상기 상부 금형의 제1 방향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대면적 성형 장치.
  25. 피성형물이 수납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상기 금형을 가열 또는 가압하며 상기 피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류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 또는 상기 성형 유니트로부터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를 향하여 상기 금형이 이송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측면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기 금형의 높이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부 블록은 제1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기 지지 유니트는 제2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승강되고,
    상기 상부 블록이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 금형에 접근하는 제1 상태,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상부 금형에 접촉되고 상기 상부 금형, 지지 유니트 및 상부 블록이 모두 하강되는 제2 상태,
    상기 상부 블록이 상승하면서 상기 상부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제3 상태의 순서로 상기 성형 유니트의 상부 블록이 이동되는 대면적 성형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니트의 하류에 냉각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냉각 유니트에서 상기 지지 유니트는 상기 상부 금형으로부터 이격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냉각 유니트에서 상기 상부 금형의 자중은 상기 하부 금형 또는 성형 후의 피성형물이 지지하는 대면적 성형 장치.
KR1020210068696A 2021-05-27 2021-05-27 지지 유니트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KR10255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96A KR102558638B1 (ko) 2021-05-27 2021-05-27 지지 유니트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96A KR102558638B1 (ko) 2021-05-27 2021-05-27 지지 유니트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45A KR20220160445A (ko) 2022-12-06
KR102558638B1 true KR102558638B1 (ko) 2023-07-26

Family

ID=8440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696A KR102558638B1 (ko) 2021-05-27 2021-05-27 지지 유니트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6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53B1 (ko) 2006-06-19 2007-03-29 (주)와이에스썸텍 Fpd용 유리성형장치
KR101597526B1 (ko) * 2014-11-17 2016-02-25 (주)대호테크 금형 가열상태를 유지하여 성형사이클 타임을 최소화한 유리 성형장치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931B1 (ko) * 2004-07-02 2006-06-26 주식회사 파이컴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KR101820011B1 (ko) * 2010-11-09 2018-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장치
KR101578779B1 (ko) * 2013-10-02 2015-12-18 김기종 비정질 제품 성형 시스템 및 비정질 제품 성형 방법
KR20150136307A (ko) * 2014-05-27 2015-12-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리기판 이송장치
KR101741635B1 (ko) * 2015-10-19 2017-06-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적외선 광학계용 비구면 렌즈 성형장치
KR102058792B1 (ko) * 2018-04-06 2019-12-23 김광채 글라스 성형장치
KR102257193B1 (ko) * 2019-06-14 2021-05-28 (주)대호테크 피성형물 및 더미 부재가 삽입되는 금형 유니트
KR102257240B1 (ko) * 2019-07-18 2021-05-28 (주)대호테크 방열 유니트를 구비한 성형 장치
KR102257251B1 (ko) * 2019-10-31 2021-05-28 (주)대호테크 마찰 방지 수단을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53B1 (ko) 2006-06-19 2007-03-29 (주)와이에스썸텍 Fpd용 유리성형장치
KR101597526B1 (ko) * 2014-11-17 2016-02-25 (주)대호테크 금형 가열상태를 유지하여 성형사이클 타임을 최소화한 유리 성형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45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24690B (zh) 悬挂输送装置
JPH1111661A (ja) 板ガラスの供給装置
KR101750261B1 (ko) 곡면 윈도우 글라스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글라스 제조방법
KR20090130038A (ko) 기판 반송장치
CN110884864A (zh) 一种自动翻转装置
KR102277400B1 (ko) 메인 롤러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KR102558638B1 (ko) 지지 유니트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CA2684843A1 (en) Horizontal conveyor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CN112660795B (zh) 装配生产线
KR100631480B1 (ko) 유리의 곡면화 시스템
CN117393471A (zh) 半导体器件装配设备及装配方法
KR101665868B1 (ko)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EP1473261A1 (en) Assembly for testing portions of glass sheets of any size, and sheet processing unit equipped with such an assembly
KR100631482B1 (ko) 프레스장치
KR101064485B1 (ko) 프레스 가공 라인 및 이에 적용되는 리프트 및 트레이 셔틀 어셈블리
JP4185446B2 (ja) プレス間用搬送装置
CN217376269U (zh) 一种板材上料设备
CN117446528B (zh) 一种瓶坯成型后输送及转运装置
KR102409979B1 (ko) 이송 수단이 마련된 성형 장치
KR102277394B1 (ko) 가이드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KR100631481B1 (ko) 이송장치
KR102414331B1 (ko) 분리 가능한 성형 이송 시스템
CN213058740U (zh) 物料上下料输送设备
JPH04101993A (ja) ワゴン搬送設備におけるエレベーターのケージに設けるワゴン搬出装置
JPH04201923A (ja) 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