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850B1 -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850B1
KR102557850B1 KR1020220098993A KR20220098993A KR102557850B1 KR 102557850 B1 KR102557850 B1 KR 102557850B1 KR 1020220098993 A KR1020220098993 A KR 1020220098993A KR 20220098993 A KR20220098993 A KR 20220098993A KR 102557850 B1 KR102557850 B1 KR 10255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encoder
input
unit
sequence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호
Original Assignee
다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겸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6Recognition of objects for industrial auto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동작 데이터 생성을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상 탐지 장치는,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동작 영상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동작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특징벡터를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특징벡터에 미리 정해진 단위의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입력 시퀀스(Input sequence)를 생성하는 영상 전처리부, 상기 입력 시퀀스를 미리 학습된 오토인코더에 인가하는 학습부, 및 상기 오토인코더에서 출력된 출력 시퀀스(Output sequence)와 상기 입력 시퀀스를 비교하여, 상기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Abnormal detection device using real-time motion sensing data}
본 발명은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LSTM 오토인코더((Long Short Term Memory Autoencoder)를 학습시킴으로써, 이상동작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상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등과 같은 초 기술 집약적 상품은 기계장치의 미세한 오작동에 의해서도 완제품의 품질이 굉장히 저하될 수 있다. 다만, 사람의 눈으로 기계장치의 오작동을 계속해서 감시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우므로,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기계장치에 대한 이상탐지를 수행하고 있다. 이상탐지에는 진동센서, 음향센서에서 감지된 센싱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서도 이상탐지가 가능하다.
최근에는 AI 및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기계장치의 이상탐지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 중에 있다. 이때, 이상탐지는 새로운 현상 발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머신러닝에서 정상 패턴을 학습 후, 정상이 아닌 새로운 패턴이 보였을 때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머신러닝은 크게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으로 나뉘는데, 정답 레이블(label)을 학습셋에 포함시켜 제공해주는 지도학습의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지도학습을 위해서는 정답 레이블이 이미 포함된 학습 데이터셋을 사전에 준비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학습 데이터셋을 준비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이상탐지 알고리즘의 경우 정상/비정상 학습 데이터셋 모두를 준비해야 하는데, 비정상 학습 데이터셋의 경우 기계장치를 일부러 오작동을 일으켜야 하기에 준비하기 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의 경우,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동작 영상을 대상으로 이상 여부에 대한 탐지를 해야 하므로, 이상 탐지를 위한 리소스가 커지고 동작 속도도 느려지는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니즈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 대상 장비를 촬영한 동작 영상을 기초로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상 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 대상 장비를 촬영한 동작 영상을 전처리함으로써, 딥러닝 모듈의 이상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상 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동작에 관한 데이터셋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상 판별부를 학습시킴으로써,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이상유무의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상 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여부 뿐만 아니라 이상부위까지 함께 판단할 수 있는 이상 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상 탐지 장치는,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동작 영상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동작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특징벡터를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특징벡터에 미리 정해진 단위의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입력 시퀀스(Input sequence)를 생성하는 영상 전처리부, 상기 입력 시퀀스를 미리 학습된 오토인코더에 인가하는 학습부, 및 상기 오토인코더에서 출력된 출력 시퀀스(Output sequence)와 상기 입력 시퀀스를 비교하여, 상기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 전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특징벡터를 생성하는 특징 벡터 변환 모듈과, 생성된 복수의 상기 특징벡터에 미리 정해진 단위의 윈도우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그룹핑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특징 벡터 변환 모듈은, 하나 이상의 합성곱 계층(convolution layer) 및 하나 이상의 풀링 계층(pooling layer)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 구조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핑 모듈은, 연속되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관한 특징벡터들을 대상으로, 상기 윈도우를 미리 정한 프레임 개수만큼 시프팅(shifting)하여 복수의 상기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토인코더는, 입력 노드에 인가된 입력 데이터를 압축시켜 입력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인코더 신경망과, 상기 인코더 신경망에서 축소된 데이터를 상기 입력 노드에 인가된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크기로 변환하는 디코더 신경망과, 상기 인코더 신경망 및 상기 디코더 신경망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중간 레이어를 포함하되, 성가 인코더 신경망과 상기 디코더 신경망은, RNN(Recurrent Neural Network)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LSTM(Long Short Term Memor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STM 모듈은, 복수의 상기 입력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고, 입력에 따라 상기 인코더 신경망의 셀 상태(cell state)를 업데이트 하고, 업데이트된 상기 셀 상태를 상기 디코더 신경망에 전달하여 상기 출력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토인코더는, 상기 영상 전처리부에서 미리 전처리되어 생성된 상기 입력 시퀀스들을 이용하여 학습되고, 상기 학습에 이용되는 입력 시퀀스는, 정상 동작으로 분류된 상기 검사 대상 장비의 동작 영상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정상 동작으로 레이블된 입력 시퀀스로 구성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제1 오토인코더와, 상기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기초로 미리 학습되되 상기 제1 오토인코더보다 적은 횟수로 학습된 제2 오토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기초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이상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부는, 상기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상기 제2 오토인코더에 인가하여 출력된 정상변환 입력 시퀀스와, 상기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상기 이상 판별부의 입력 노드에 인가하고, 상기 이상 판별부의 출력 노드에 비정상을 나타내는 값을 인가하여, 상기 이상 판별부를 학습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데이터 생성부는, 임의의 제1 랜덤 영상에 대한 입력 시퀀스를 상기 제2 오토인코더에 인가하여 출력된 제1 변환 시퀀스와, 임의의 제2 랜덤 영상에 대한 입력 시퀀스를 상기 제2 오토인코더에 인가하여 출력된 제2 변환 시퀀스를 합성하여 중간 시퀀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중간 시퀀스를 상기 제1 오토인코더에 입력하여 상기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판별부에 상기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대상 입력 시퀀스와, 상기 제1 오토인코더 또는 상기 제2 오토인코더에 상기 대상 입력 시퀀스를 입력하여 얻은 출력 시퀀스를 상기 이상 판별부에 인가하고, 이에 대한 출력인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을 기초로 상기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상 탐지 장치는, 검사 대상 장비를 촬영한 동작 영상(즉,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을 이용하여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동작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작업자가 계속해서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 유무를 체크해야 하는 이상탐지업무의 비효율적인 측면을 개선시키고, 이상동작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딥러닝 모듈을 학습시킴으로써, 딥러닝 모듈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리소스의 양을 감소시키고, 이상여부 판단에 대한 속도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이상 탐지 장치의 운용 비용을 감소시키고, 이상 발생시 빠른 탐지 및 대응이 가능하기에 시스템 운영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동작에 관한 데이터셋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상 판별부를 학습시킴으로써, 충분한 이상동작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어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이상여부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동작에 관한 데이터셋을 확보하는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이상동작 패턴의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경우에 대한 이상동작 여부 판단도 가능할 수 있어, 이상탐지성능의 향상과, 제품 수율 및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여부 뿐만 아니라 이상부위까지 함께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빠른 수리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계장비 유지보수에 필요한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품생산라인이 기계 오작동으로 인하여 중단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상 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상 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이상 탐지 장치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영상 전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특징 벡터 변환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그룹핑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오토인코더의 몇몇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학습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수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이상 판별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학습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이상 판별부를 학습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이상 데이터 생성부에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이상동작 탐지모델에서 이상여부판단을 위한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이상동작 탐지모델에서 이상여부판단을 위한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상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상 탐지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은 AI의 한 분야로 데이터를 바탕으로 컴퓨터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과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이며, 데이터 처리, 영상 인식, 음성 인식, 인터넷 검색 등의 다양한 분야의 핵심 기술로 예측(prediction) 및 이상 탐지(anomaly detection)에 탁월한 성과를 나타낸다.
이 중에서, 이상 탐지란, 데이터에서 예상과는 다른 패턴을 보이는 개체 또는 데이터를 찾는 것을 말하는 것을 의미하며, 머신러닝 기반의 이상 탐지 모델은 실제 데이터와 예측 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고,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이상이 있는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이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에 구비된 장비들에 대한 이상탐지방법에서 대해서도 점차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해당 연구가 이루어지는 한 분야로 오토인코더(autoencoder)를 이용한 방식이 있다.
오토인코더는 입력단의 데이터를 더 적은 차원의 매니폴드(manifold) 공간으로 매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매핑 동작을 통해 도출된 잠재 벡터(latent vector)와, 오토인코더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의 차이값인 재구성 오류(Reconstruction Error)는 파생변수로써 이상탐지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 및 이상 탐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상 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상 탐지 시스템은, 이상 탐지 장치(100), 카메라(200), 및 검사 대상 장비(30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대상 장비(300)는 정상 상태일 때 일정한 패턴 및/또는 주기를 갖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장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대상 장비(300)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특정 공정에 이용되는 반도체 제조 장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200)는 검사 대상 장비(300)에 대한 이미지(image) 또는 동영상(video)을 촬영하는 장치이다. 카메라(200)는 검사 대상 장비(300)를 특정 각도로 촬영하여, 연속되는 이미지들로 구성되는 모션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카메라(200)가 검사 대상 장비(300)의 동작에 관한 영상(이하, 동작 영상)을 촬영하여 이상 탐지 장치(100)에 전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상 탐지 장치(100)는 카메라(200)로부터 수신한 검사 대상 장비(300)의 동작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 영상을 기초로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통신망(400)은 이상 탐지 장치(100) 및 카메라(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400)은 이상 탐지 장치(100)가 카메라(200)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이상 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이상 탐지 장치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상 탐지 장치(100)는 데이터 수신부(110), 데이터베이스부(120), 영상 전처리부(130),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 학습부(140), 이상판별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부(110)는 카메라(200)로부터 검사 대상 장비(300)의 동작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 영상을 이상 탐지 장치(100) 내의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400)을 통해 외부 장비와 이상 탐지 장치(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이상 탐지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20)는 검사 대상 장비(300)에 대한 동작 영상과, 동작 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frame)을 영상 전처리부(130)에서 전처리한 입력 시퀀스(Input sequence)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20)는 검사 대상 장비(300)에 대한 정상동작에 관한 영상(이하, 정상동작 영상)들을 포함하는 정상동작 데이터셋과 이를 전처리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 이상동작에 관한 영상(이하,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이상동작 데이터셋과 이를 전처리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정상동작 데이터셋은 검사 대상 장비(300)의 동작 영상에 정상동작에 관한 레이블(label)이 함께 포함될 수 있으며, 이상동작 데이터셋은 검사 대상 장비(300)의 동작 영상에 이상동작에 관한 레이블(label)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동작 데이터셋에는, 검사 대상 장비(300)의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레이블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전처리부(130)는 데이터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동작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의 특징 벡터(feature vector; 또는 특성값)를 생성하고,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특징 벡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단위의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입력 시퀀스(Input Sequence)를 생성한다.
이때, 영상 전처리부(130)는 윈도우를 타임 시프팅(time shifting) 함으로써, 연속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특징 벡터들에 대하여 복수의 입력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동작 영상을 포함하는 동작 데이터셋을 기초로 이상동작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학습부(140)에 포함된 오토인코더를 이용하여 이상동작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동작 데이터셋을 생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에서 생성된 이상동작 데이터셋은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이상판별부(150)를 학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학습부(140)는 이상판별부(150)가 정확한 이상동작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오토인코더 및 이상판별부(150)를 학습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학습부(140)는 이상판별부(150)의 학습을 위해 오토인코더를 이용한다.
여기에서, 오토인코더는 인코더를 통해 입력 받은 데이터(즉, 입력 데이터)를 압축시켜 데이터를 축소시킨 후, 디코더를 이용하여 축소된 데이터를 인코더에서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크기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오토인코더의 출력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와 동일하도록 만드는 일종의 딥 뉴럴 네트워크 모델(Deep Neural Network Model)이다. 오토인코더는 입력 데이터의 특징을 비지도(unsupervised) 방식으로 학습한다. 이를 위해, 오토인코더는 인코더를 통해 입력 받은 데이터를, 해당 특징을 잘 표현하는 저차원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는 이후 디코더를 통해 다시 원 데이터로 복원될 수 있다. 오토인코더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9를 기초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학습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오토인코더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학습부(140)는 검사 대상 장비(300)의 정상동작에 관련된 동작 영상을 전처리하여 생성된 입력 시퀀스를 이용하여 오토인코더(141)를 학습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학습부(140)는 제1 검사 대상 장비(300)의 동작 영상들을 이용하여 오토인코더(141a)와 제2 오토인코더(141b)를 학습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오토인코더(141a)의 학습 횟수는 제2 오토인코더(141b)의 학습 횟수보다 많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제1 오토인코더(141a)가 검사 대상 장비(300)의 동작 영상들을 이용하여 약 500~1000회 반복학습을 하는 경우, 제2 오토인코더(141b)는 약 1~10회 반복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상판별부(150)는 오토인코더(141)에 입력된 데이터(즉, 입력 시퀀스) 및 출력된 데이터(즉, 출력 시퀀스)와의 차이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함으로써, 입력된 데이터와 관련된 검사 대상 장비(300)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상판별부(150)는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머신 러닝을 통하여 입력된 동작 영상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상판별부(150)는 학습 인자로 입력되는 파라미터들에 대하여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20)에는 이상판별부(150)의 머신 러닝에 사용되는 데이터,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의 일종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단계로 깊은 수준까지 내려가 학습하는 것이다. 딥러닝(Deep learning)은, 단계를 높여가면서 복수의 데이터들로부터 핵심적인 데이터를 추출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의 집합을 나타낸다.
이때, 이상판별부(150)는 공지된 다양한 딥러닝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판별부(150)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GNN(Graph Neural Network) 등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은 사람이 물체를 인식할 때 물체의 기본적인 특징들을 추출한 다음 뇌 속에서 복잡한 계산을 거쳐 그 결과를 기반으로 물체를 인식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사람의 뇌 기능을 모사한 모델이다.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은 자연어 처리 등에 많이 이용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data) 처리에 효과적인 구조로 매 순간마다 레이어를 쌓아올려 인공신경망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DBN(Deep Belief Network)은 딥러닝 기법인 RBM(Restricted Boltzman Machine)을 다층으로 쌓아 구성되는 딥러닝 구조이다. RBM(Restricted Boltzman Machine) 학습을 반복하여 일정 수의 레이어가 되면, 해당 개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DBN(Deep Belief Network)이 구성될 수 있다.
GNN(Graphic Neural Network, 그래픽 인공신경망, 이하, GNN)는 특정 파라미터 간 매핑된 데이터를 기초로 모델링된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 데이터 간의 유사도와 특징점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된 인공신경망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이상판별부(150)의 인공신경망 학습은 주어진 입력에 대하여 원하는 출력이 나오도록 노드간 연결선의 웨이트(weight)를 조정(필요한 경우 바이어스(bias) 값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은 학습에 의해 웨이트(weight) 값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의 학습에는 역전파(Back Propagation)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120)에는 머신 러닝으로 미리 학습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이 탑재될 수 있다.
이상판별부(150)는 도출된 파라미터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반의 개선 프로세스 추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공신경망의 머신 러닝 방법으로는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과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상판별부(150)가 지도학습을 통해 미리 학습된 CNN을 이용하여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이상 탐지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각 구성요소 간의 연결, 데이터 교환, 명령 수행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 탐지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이상 탐지 동작의 수행주체는 제어부(160)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영상 전처리부(130)의 전처리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영상 전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특징 벡터 변환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그룹핑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전처리부(130)는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동작 영상(FS)(또는, 시간에 따른 복수의 이미지)를 데이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한다. 동작 영상(FS)은 복수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은 이미지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영상 전처리부(130)는 특징 벡터 변환 모듈(131)과 그룹핑 모듈(13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동작 영상(FS)을 구성하는 연속하는 프레임(F1, F2, F3, F4)의 경우, 특징 벡터 변환 모듈(131)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특징 벡터로 변환된다.
특징 벡터 변환 모듈(131)은 하나 이상의 합성곱 계층(convolution layer) 및 하나 이상의 풀링 계층(pooling layer)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 구조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또는, 하나의 모션 이미지)는 복수의 레이어 구조체(예를 들어, LS1 내지 LS6)를 거치면서 차원의 구성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224 x 224 x 3의 차원을 갖는 제1 프레임(F1)은 제1 레이어 구조체(LS1)을 거치면서 224 x 224 x 64의 차원으로 변환되고, 제2 레이어 구조체(LS2)을 거치면서 112 x 112 x 128의 차원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어서, 제3 및 제5 레이어 구조체(LS3, LS4, LS5)를 거치면서 14 x 14 x 512의 차원으로 변환되고, 마지막으로 제5 레이어 구조체(LS6)를 거치면서 1 x 1 x 1000 차원으로 변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레이어 구조체는 합성곱과 ReLU 함수를 결합한 합성곱 계층(convolution layer)과, 맥스 풀링을 이용한 풀링 계층(pool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레이어 구조체에는 복수의 합성곱 계층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합성곱 계층에서는 3 x 3 필터를 사용하여 합성곱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레이어 구조체(즉, LS6)에서는 풀리 커넥티드 계층(fully connected layer)과, 정규화를 위한 소프트맥스(softmax) 함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1000차원을 갖는 특징벡터(F1')가 최종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특징 벡터 변환 모듈(131)은 VGGNet(Visual Geometry Group Networks)으로 알려져 있는 구조가 이용될 수 있으며, 각 레이어 구조체에 포함된 합성곱 레이어의 수에 따라 VGG11, VGG13, VGG16, VGG19로 불리는 공지의 네트워크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몇몇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FS)에 대해 특징 벡터 변환 모듈(131)에서 변환된 복수의 특징벡터(FS')는 연속되는 프레임의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그룹핑 모듈(133)은 연속되는 특징벡터들을 미리 정해진 단위의 윈도우(W)를 적용하여 입력 시퀀스(ISn)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핑 모듈(133)은 50 프레임 단위의 윈도우(W)를 이용하여 입력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그룹핑 모듈(133)은 윈도우(W)를 미리 정해진 프레임 개수만큼 시프팅(shifting)하여 입력 시퀀스(ISn)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핑 모듈(133)는 2 프레임 단위로 윈도우(W)를 이동시켜가며 입력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입력 시퀀스(IS1)는 연속되는 제1 내지 제50 프레임의 특징벡터로 구성되고, 제2 입력 시퀀스(IS2)는 연속되는 제3 내지 제52 프레임의 특징벡터로 구성되고, 제3 입력 시퀀스(IS3)는 연속되는 제5 내지 제54 프레임의 특징벡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전처리부(130)에서 생성된 입력 시퀀스(ISn)는 학습부(140)에 전달되어, 딥러닝 모듈을 학습시키거나,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오토인코더의 몇몇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이상동작 탐지모델은 학습부(140)의 오토인코더(141)와, 이상판별부(150)로 구성된다.
오토인코더(141)는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를 이용하여 비지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미리 저장된 정상동작 데이터셋(NDS)를 영상 전처리부(130)에 입력한 결과값에 해당한다. 정상동작 데이터셋(NDS)은 검사 대상 장비(300)에 대한 정상동작에 관한 동작영상을 의미한다.
이때, 오토인코더(141)에는 다양한 구조의 오토인코더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오토인코더(141)는 인코더 신경망(Encoder Network; 이하, 인코더(EN))와 디코더 신경망(Decoder Network; 이하, 디코더(DC))을 포함하며, 인코더(EN)와 디코더(DC)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레이어(Middle Layer)를 포함한다. 중간 레이어에는 인코딩된 특징값(Encoded Feature; EF)이 할당될 수 있다.
도 8의 오토인코더는 인코더(EN)를 통해 입력 받은 데이터(즉, 입력 데이터)를 압축시켜 데이터를 축소시킨 후, 디코더(DC)를 이용하여 축소된 데이터를 인코더(EN)에서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크기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오토인코더의 출력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와 동일하도록 만드는 일종의 딥 뉴럴 네트워크 모델(Deep Neural Network Model)이다.
오토인코더는 입력 데이터의 특징을 비지도(unsupervised) 방식으로 학습한다. 이를 위해, 오토인코더는 인코더(EN)를 통해 입력 받은 데이터를, 해당 특징을 잘 표현하는 저차원의 데이터(즉, 잠재 벡터(Latent Vector; LV))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는 이후 디코더(DC)를 통해 다시 원 데이터로 복원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토인코더는 양단에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를 각각 인가함으로써 지도(supervised)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다.
오토인코더의 중간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는, 입력 레이어의 입력노드 및 출력 레이어의 출력노드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입력노드와 출력노드 사이의 노드 및 에지의 가중치는, 오토인코더의 학습 과정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오토인코더는 원 데이터와 복원된 데이터(즉, 출력 데이터)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재구성 오류(Reconstruction Error; 이하 RE)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원 데이터에 내재되어 있는 패턴들을 학습할 수 있다. 오토인코더를 기반으로 한 이상 탐지 기법들은 이러한 오토인코더의 학습 목표를 역으로 이용한다.
즉, 오토인코더는 극히 적은 빈도로 발생하는 이상 데이터(즉,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검사 대상 장비(300)의 센싱 데이터)의 특징을 제대로 학습하지 못할 것이므로, 이상 데이터에 대하여 오토인코더는 원 데이터를 제대로 복원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오토인코더가 복원한 데이터와 원 데이터 간의 차이가 매우 크거나 일정 기준치 이상인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를 감지함으로써, 센싱 데이터의 이상여부(즉, 이상동작여부)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오토인코더의 이상여부 감지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오토인코더를 학습시키기 위한 학습 데이터를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으로만 구성할 수 있다. 즉, 오토인코더를 학습시키기 위한 학습 데이터셋은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으로 구성되고, 후술할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의 데이터는 제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서 오토인코더는 입력값의 이상여부를 탐지하기 위해 다양한 오토인코더 모델 중에서도 시퀀스를 다루기에 가장 적합한 LSTM 오토인코더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인코더는 LSTM(Long Short Term Memory)로 구성되는 인코더(EN)와 디코더(DC)를 포함하는 오토인코더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LSTM 오토인코더는 인코더(EN)를 통해 입력 받은 데이터(즉, 입력 데이터)를 압축시켜 데이터를 축소시킨 후, 디코더(DC)를 이용하여 축소된 데이터를 인코더(EN)에서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크기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LSTM 오토인코더의 출력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와 동일하도록 만드는 일종의 딥 뉴럴 네트워크 모델(Deep Neural Network Model)이다.
LSTM 오토인코더는 입력값의 이상여부를 탐지하기 위해 다양한 LSTM 오토인코더 모델 중에서도 시계열적으로 연속되는 시퀀스 데이터를 다루기에 가장 적합한 학습모델에 해당한다. LSTM 오토인코더는 시계열 데이터를 학습하는 딥러닝 모델인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이하, RNN)에 상태 정보를 지니는 셀 상태(cell state) 개념을 추가하고 상태(state)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어느 정도 반영할지 여부를 게이트 연산을 통해 정함으로써 오래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모델이다. 참고적으로, RNN은 현재 들어온 입력 데이터와 과거에 입력 받았던 데이터를 학습에 동시에 고려한다.
따라서, LSTM 오토인코더는 RN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LSTM 오토인코더는 여러 게이트(gate)가 붙어있는 셀(cel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당 셀에 연결된 게이트의 값 또는 가중치를 확인하여 어떤 값을 저장할지, 언제 정보를 내보내거나 삭제할지를 결정한다. 각 셀 마다 이 가중치 값을 학습함으로써 학습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토인코더는 다른 인공신경망 네트워크(예를 들어, CNN, DNN, GNN)를 채용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LSTM 오토인코더는 인코더(EN)의 입력단에 복수의 입력 시퀀스(ISn)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인코더(EN)를 구성하는 LSTM의 셀 상태는 업데이트되고, 업데이트된 인코더(EN)의 셀 상태(ES)는 디코더(DC)에 전달될 수 있다.
인코더(EN)는 입력받은 복수의 입력 시퀀스(ISn)의 차원을 감소시켜 인코딩된 특징값(EF)를 출력하고, 인코더(EN)에서 출력된 인코딩된 특징값(EF)은 디코더(DC)에 반복하여 전달된다. 이때, 인코딩된 특징값(EF)은 일정한 크기의 벡터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코더(DC)는 인코더(EN)로부터 전달받은 셀 상태(ES)를 이용하여 인코딩된 특징값(EF)을 기초로 출력 시퀀스(OSn)를 생성한다. 출력 시퀀스(OSn)는 입력 시퀀스(ISn)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코더(DC)에서 출력된 출력 시퀀스(OSn)는 이상판별부(150)에 전달되어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오토인코더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오토인코더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토인코더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10은 도 7의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학습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수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학습 단계에서, 오토인코더(141)는 정상동작에 대한 입력 시퀀스(NIS)를 입력받고 이에 대한 출력으로 출력 시퀀스(NIS)를 이상판별부(150)에 전달한다.
이상판별부(150)는 정상동작에 대한 입력 시퀀스(NIS)와 출력 시퀀스(NIS)를 수신하고, 이들의 차에 해당하는 재구성 에러를 도출한다. 이때, 이상판별부(150)는 입력 시퀀스(NIS)와 출력 시퀀스(NIS)의 중첩되는 구간에 대한 재구성 에러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시퀀스(NIS)가 (n, … n+49)의 값으로 구성되고, 출력 시퀀스(NIS)가 (n+1, … n+50)의 값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상판별부(150)는 중첩되는 49개의 벡터셋을 기초로 재구성 에러를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이상판별부(150)는 도출된 재구성 에러들에 대한 값을 기초로 재구성 에러의 기준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재구성 에러의 기준치는 이동평균의 3*시그마가 넘어가는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재구성 에러의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할 때, 99.85%의 범위에 해당하는 신뢰구간을 갖도록 재구성 에러의 기준치를 설정한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수행 단계에서, 오토인코더(141)에는 카메라(200)에서 측정된 실시간 센싱 데이터를 전처리한 입력 시퀀스(SIS)가 입력되고, 이에 대한 출력인 출력 시퀀스(SIS')가 이상판별부(150)에 전달된다.
이상판별부(150)는 입력 시퀀스(SIS)와 출력 시퀀스(SIS')를 입력받고, 이들에 대한 재구성 에러를 도출하며, 도출된 재구성 에러가 도 10에서 설명한 기준치 이내인지 여부를 기초로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이상 탐지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이상 탐지 방법을 순서도를 이용하여 정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과 도 1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모션 이미지 중 정상 동작으로 레이블된 모션 이미지로 구성된 정상동작 데이터셋(NDS)은 영상 전처리부(130)에 의해 전처리된다.
이때, 특징 벡터 변환 모듈(131)은 정상동작 데이터셋(NDS)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제1 특징벡터를 생성한다(S110).
이어서, 특징 벡터 변환 모듈(131)에서 생성된 제1 특징벡터들은 그룹핑 모듈(133)로 전달된다. 그룹핑 모듈(133)은 미리 정해진 단위의 윈도우(W)를 이용하여 복수의 입력 시퀀스를 생성한다(S120).
이어서, 생성된 복수의 입력 시퀀스는 오토인코더(141)에 인가됨으로써 오토인코더(141)의 비지도 학습을 수행한다(S130). 오토인코더(141)는 입력 데이터의 특징을 비지도(unsupervised) 방식으로 학습한다. 즉, 오토인코더(141)가 많은 수의 정상동작에 대한 입력 시퀀스로 학습되는 경우, 오토인코더(141)의 정상동작에 대한 판단 정확도는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학습 과정을 거친 오토인코더(141)에 정상동작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인가되는 경우, 오토인코더(141)의 재구성 에러의 크기는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내가 된다.
이때, 이상판별부(150)는 오토인코더(141)의 학습 과정에서 오토인코더(141)에 대한 재구성 에러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이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치는 학습 과정에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을 오토인코더(141)에 인가했을 때 이상판별부(150)에서 도출된 재구성 에러의 최대치일 수 있고,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여기에서,
Figure 112022082991816-pat00002
는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의미하고,
Figure 112022082991816-pat00003
는 오토인코더의 입력 데이터를 의미하고,
Figure 112022082991816-pat00004
는 오토인코더의 출력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어서, 영상 전처리부(130)는 카메라(200)에서 감지한 영상을 전처리하여 모션센서 입력 시퀀스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모션센서 입력 시퀀스는 동작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를 기초로 영상 전처리부(130)에서 생성한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영상 전처리부(130)는 카메라(200)에서 센싱된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각각의 제2 특징벡터를 생성한다(S140). 이어서, 제2 특징벡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단위의 윈도우를 적용하여 복수의 입력 시퀀스(즉, 모션센서 입력 시퀀스)를 생성한다(S150).
이어서, 미리 학습된 오토인코더(141)는 전처리과정을 통해 생성된 입력 시퀀스를 입력으로 수신하고, 이에 대한 출력으로 출력 시퀀스를 출력한다(S160).
이어서, 이상판별부(150)는 오토인코더(141)에 입력된 입력 시퀀스와, 오토인코더(141)에서 출력된 출력 시퀀스를 입력 받는다. 이어서, 이상판별부(150)는 입력받은 데이터 간의 차이인 재구성 에러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구성 에러가 학습 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기초로 이상동작여부를 판단한다(S170).
만약, 산출된 재구성 에러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이상판별부(150)는 오토인코더(141)에 인가된 대상 이미지(SI)의 대상이 되는 검사 대상 장비(300)가 정상동작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산출된 재구성 에러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큰 경우, 이상판별부(150)는 검사 대상 장비(300)가 이상동작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이상판별부(150)는 카메라(200)에서 측정된 실시간 센싱 데이터를 전처리한 입력 시퀀스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상기 오토인코더(141)의 입출력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비교하여,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값인 이상동작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 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상판별부(150)는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머신 러닝을 통하여 입력된 센싱 데이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상판별부(150)는 학습 인자로 입력되는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오토인코더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에 대하여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20)에는 이상판별부(150)의 머신 러닝에 사용되는 데이터,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상판별부(150)의 인공신경망 학습은 주어진 입력에 대하여 원하는 출력이 나오도록 노드간 연결선의 웨이트(weight)를 조정(필요한 경우 바이어스(bias) 값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은 학습에 의해 웨이트(weight) 값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의 학습에는 역전파(Back Propagation)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이상판별부(150)는 도출된 파라미터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반의 이상동작여부 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공신경망의 머신 러닝 방법으로는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과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학습의 경우, 이상판별부(150)에 입력단에는 오토인코더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가 인가되고, 출력단에는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동작여부가 인가됨으로써, 이상판별부(150)에 포함된 인공신경망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상동작 탐지모델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이상 판별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마찬가지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는 정상동작에 관한 데이터셋을 전술한 영상 전처리부(130)에서 전처리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부(120)에 미리 저장된 검사 대상 장비(300)에 관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는 학습부(140)에 인가될 수 있다. 학습부(140)는 제1 오토인코더(141a) 및 제2 오토인코더(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오토인코더(141a) 및 제2 오토인코더(141b)에서 모션 이미지를 입력으로 출력된 변환 시퀀스는 이상판별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을 이용하여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외부에서 수신한 임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에서 생성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는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는 이상판별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이상판별부(150)에 전달되는 데이터는 학습부(14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 또는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와, 제1 오토인코더(141a) 및 제2 오토인코더(141b)의 출력으로 도출된 변환 시퀀스는 학습부(140)를 통해 이상판별부(150)의 입력 노드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이상판별부(150)의 출력 노드에는, 이상판별부(150)의 입력 노드에 인가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상 동작 여부에 대한 값이 인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이상판별부(150)는 비교 대상이 되는 이상여부 판단대상이 되는 입력 시퀀스와, 해당 입력 시퀀스를 입력으로 제1 오토인코더(141a) 또는 제2 오토인코더(141b)에서 출력된 출력 시퀀스를 입력노드로 하는 입력 레이어(input)와,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을 출력노드로 하는 출력 레이어(Output)와, 입력 레이어와 출력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M 개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레이어들의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에는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 혹은 에지의 유무는 학습 과정에서 추가, 제거, 또는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 과정을 통하여, k개의 입력노드와 i개의 출력노드 사이에 배치되는 노드들 및 에지들의 가중치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상판별부(150)가 학습을 수행하기 전에는 모든 노드와 에지는 초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누적하여 정보가 입력될 경우, 노드 및 에지들의 가중치는 변경되고, 이 과정에서 학습인자로 입력되는 파라미터들(즉, 모션 이미지 및 복원 이미지)과 출력노드로 할당되는 값(즉,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 사이의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상 탐지 장치(100)에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를 이용하는 경우, 이상판별부(150)는 많은 수의 파라미터들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판별부(150)는 방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판별부(150)를 구성하는 입력노드와 출력노드 사이의 노드 및 에지의 가중치는 이상판별부(150)의 학습 과정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상판별부(150)에서 출력되는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은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여부 및 이상부위를 도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이상판별부(150)에서 출력되는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은 0 내지 1 사이의 확률값, Grad-CAM(Gradient-weighted CAM) 이미지, 및 CAM(Class Activation Mapping)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학습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이상판별부(150)를 학습시키는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5 및 도 16은 학습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이상 판별부를 학습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기술하도록 한다.
우선 도 15는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을 이용하여 이상판별부(150)를 학습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모션 이미지 중 정상 동작으로 레이블된 모션 이미지를 기초로 전처리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는 제1 오토인코더(141a)에 인가된다. 이때, 제1 오토인코더(141a)는 제1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1)를 입력으로 수신하고, 이에 대한 출력으로 제1 정상변환 입력 시퀀스(NIS1a)를 출력하여 이상판별부(150)에 전달한다.
이어서, 이상판별부(150)의 입력 노드에는 제1 오토인코더(141a)의 입력으로 인가된 제1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1)와, 제1 오토인코더(141a)에서 출력된 제1 정상변환 입력 시퀀스(NIS1a)가 인가된다.
또한, 이상판별부(150)의 출력 노드에는 이상판별부(150)에 입력된 데이터의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이 인가된다. 이때, 이상판별부(150)의 입력 노드에 제1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1)와 이에 대한 제1 정상변환 입력 시퀀스(NIS1a)가 인가되었기에, 출력 노드에는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1')이 인가될 수 있다.
이어서, 이상판별부(150)에서는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에 인가된 값에 의해서 정상동작에 대한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이상판별부(150)에 포함된 뉴럴 네트워크(예를 들어, CNN)를 구성하는 각 노드 간 웨이트(weight) 값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반면, 도 16은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이용하여 이상판별부(150)을 학습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모션 이미지 중 정상 동작으로 레이블된 모션 이미지를 기초로 전처리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는 제2 오토인코더(141b)에 인가된다. 제2 오토인코더(141b)는 제1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1)를 입력으로 수신하고, 이에 대한 출력으로 제2 정상변환 입력 시퀀스(NIS1b)를 출력하여 이상판별부(150)에 전달한다.
이때, 제2 오토인코더(141b)는, 제1 오토인코더(14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동작방식을 지니나, 제1 오토인코더(141a)보다 적은 횟수로 사전학습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2 오토인코더(141b)에서 출력된 제2 정상변환 입력 시퀀스(NIS1b)는 제1 오토인코더(141a)에서 출력된 제1 정상변환 입력 시퀀스(NIS1a) 보다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이어서, 이상판별부(150)의 입력 노드에는 제2 오토인코더(141b)에서 출력된 제2 정상변환 입력 시퀀스(NIS1b)와,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가 인가된다.
또한, 이상판별부(150)의 출력 노드에는 이상판별부(150)에 입력된 데이터의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이 인가된다. 이때, 이상판별부(150)의 입력 노드에 제1 정상변환 입력 시퀀스(NIS1a)와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가 인가되었기에, 출력 노드에는 이상 상태(즉,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판별부(150)는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에 인가된 값에 의해서 이상동작에 대한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이상판별부(150)에 포함된 뉴럴 네트워크(예를 들어, CNN)를 구성하는 각 노드 간 웨이트(weight) 값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상판별부(150)는 입력 노드에 인가된 데이터들의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출력되는 값의 이상판단에 대한 정확도는 학습이 진행될수록 높아질 수 있다.
실제 검사 대상 장비의 운용사례에서는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의 수가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의 수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이상판별부(150)에서 출력되는 이상여부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의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의도적으로 생성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기에, 본 발명의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 또는 다른 외부 데이터(또는, 이미지)를 기초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생성하여 이상판별부(150)의 학습에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생성하는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7은 이상 데이터 생성부에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전술한 제1 오토인코더(141a) 및 제2 오토인코더(141b)를 이용하여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오토인코더(141b)는 제1 오토인코더(141a)보다 적은 수의 동작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학습될 수 있다.
우선,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복수의 랜덤 이미지(random image)에 대한 랜덤 시퀀스를 제2 오토인코더(141b)에 각각 인가하여 변환 시퀀스를 출력한다. 이때, 랜덤 이미지는 정상동작 데이터셋에 포함된 정상동작 영상 이거나, 외부에서 수집된 별개의 이미지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랜덤 시퀀스(RIS1)은 제2 오토인코더(141b)에 인가되고, 이에 대한 출력으로 제1 변환 시퀀스(RI1b)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2 랜덤 시퀀스(RIS2)은 제2 오토인코더(141b)에 인가되고, 이에 대한 출력으로 제2 변환 시퀀스(RI2b)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랜덤 시퀀스(RIS1)와 제2 랜덤 시퀀스(RIS2)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제1 랜덤 시퀀스(RIS1)와 제2 랜덤 시퀀스(RIS2)는 서로 다른 이미지일 수 있다.
이어서,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제2 오토인코더(141b)에서 각각 출력된 변환 시퀀스를 병합하여 중간 시퀀스(MIS)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제1 변환 시퀀스(RI1b)와 제2 변환 시퀀스(RI2b)를 병합하여 중간 시퀀스(MIS)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병합 로직으로 이미지 데이터의 평균값(average value)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병합 로직은 평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연산 로직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이상 데이터 생성부(135)는 제1 오토인코더(141a)에 중간 시퀀스(MIS)를 입력하고, 이에 대한 출력으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 또는, MISa)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에는 제2 오토인코더(141b)의 특성과 제1 오토인코더(141a)의 특성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상 탐지 장치(100)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많은 수의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3의 이상동작 탐지모델에서 이상여부판단을 위한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이상동작 탐지모델에서 이상여부판단을 위한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상동작 탐지모델(즉,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은 검사 대상 장비(300)에 대한 이상동작여부를 판단할 대상 입력 시퀀스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대상 입력 시퀀스는 현재 검사 대상 장비(300)의 상태를 모션 센서(230)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 또는 모션 센싱 데이터를 영상 전처리부(130)에서 전처리한 입력 시퀀스일 수 있다.
이때,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제1 오토인코더(141a) 또는 제2 오토인코더(141b)와, 전술한 방법으로 미리 학습된 이상판별부(150)를 이용하여 대상 입력 시퀀스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판별부(150)는 검사 대상 장비(300)에 관한 대상 입력 시퀀스와, 대상 입력 시퀀스를 입력으로 제1 오토인코더(141a) 또는 제2 오토인코더(141b)에서 출력한 출력 시퀀스를 입력받는다.
이어서, 이상판별부(150)는 대상 입력 시퀀스와 출력 시퀀스에 대한 출력으로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은, 0 내지 1 사이의 확률값, Grad-CAM(Gradient-weighted CAM) 이미지, 및 CAM(Class Activation Mapping)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이 0 내지 1 사이의 확률값인 경우,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의 제어부(160)는 확률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60)는 검사 대상 장비(300)에 대한 대상 입력 시퀀스가 정상(즉, 정상동작상태)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60)는 검사 대상 장비(300)에 대한 대상 입력 시퀀스가 비정상(즉, 이상동작상태)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은 이미지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이미지는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 탐지를 위한 이미지(이하, 이상 탐지 이미지)로, 예를 들어, Grad-CAM 이미지 또는 CAM 이미지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상 탐지 이미지가 'Grad-CAM 이미지'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을 참조하면, Grad-CAM 이미지는 이상판별부(150)에 포함되어 학습부(140)에 의해 미리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검사 대상 장비(300)의 대상 입력 시퀀스와 출력 시퀀스가 뉴럴 네트워크에 인가된다(S21).
이어서, 뉴럴 네트워크에 마지막 레이어의 CAM(Class Activation Map)을 계산한다. 이때, CAM은 마지막 레이어의 전체 필터를 추출한 뒤, 각 필터가 이상동작여부 판단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가중치(weight)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각 노드에 대한 복수의 히트맵(HeatMap)을 생성한다(S22).
이어서, 생성된 복수의 히트맵을 픽셀-와이즈썸(Pixel-wise Sum)을 이용하여 병합한다(S23)
이어서, 병합된 이미지에 ReLU 함수를 적용시킴으로써, 양의 가중치를 갖는 부분을 선별한다(S24).
참고로, Grad CAM 이미지를 도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상 탐지 이미지를 도출하는 데에 있어, 다양한 공지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위 S21 내지 S24 단계를 통해 도출된 이상 탐지 이미지는,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여부 뿐만 아니라, 이상부위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여부 뿐만 아니라 이상부위까지 함께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검사 대상 장비(300)에 대한 빠른 수리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계장비 유지보수에 필요한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품생산라인이 기계 오작동으로 인하여 중단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상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상 탐지 방법의 동작주체가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데이터베이스부(120)에 미리 저장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을 기초로 제1 오토인코더(141a) 및 제2 오토인코더(141b)를 서로 다른 횟수로 학습시킨다(S210). 이때,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제1 오토인코더(141a)의 학습 횟수가 제2 오토인코더(141b)보다 많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제1 오토인코더(141a) 및 제2 오토인코더(141b)를 이용하여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을 기초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생성한다(S220). 또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는 복수의 랜덤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으며, 랜덤 이미지는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수집된 이미지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NIS)과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기초로 이상판별부(150)의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킨다(S230). 이때,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S320 단계에서 충분한 수가 확보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ABIS)를 이용하여 이상판별부(150)를 학습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카메라(200)로부터 검사 대상 장비(300)의 동작 영상(또는, 복수의 동작 이미지)을 수신한다(S240).
이어서,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수신된 동작 영상을 기초로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즉, 대상 입력 시퀀스)를 생성한다(S250).
이어서,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미리 학습된 이상판별부(150)에 모션 이미지(즉, 대상 입력 시퀀스)를 인가하여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을 출력시킨다(S260). 이때, 이상판별부(150)에는 제1 오토인코더(141a) 또는 제2 오토인코더(141b)에 대상 입력 시퀀스를 인가하여 나온 출력값과, 대상 입력 시퀀스가 동시에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출력으로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은, 이상여부에 대한 확률값 및 이상탐지 이미지(예를 들어, Grad-CAM 이미지 또는 CAM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출력된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을 이용하여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동작여부를 판단한다(S270). 만약,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이 확률값인 경우,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검사 대상 장비(300)에 대한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만이 가능하다. 반면,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이 이상 탐지 이미지인 경우, 제2 이상동작 탐지모델(M2)은 이상 탐지 이미지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여부 뿐만 아니라, 이상부위도 함께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이상 탐지 방법에서, S210 내지 S230 단계는 이상판별부(150)에 포함된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단계로써 동작하고, S240 내지 S270 단계는 학습된 이상판별부(150)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 장비(300)의 이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 수행단계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학습부(140)는 복수의 정상동작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제1 오토인코더(141a) 및 제2 오토인코더(141b)를 학습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상판별부(150)를 학습시키는 데이터의 양도 증가될 수 있다. 학습되는 데이터량이 증가됨에 따라 이상판별부(150)에서 출력되는 이상동작여부의 판단값의 정확도도 함께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상 탐지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이상 탐지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0)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컨트롤러(1010, controller), 입출력 장치(1020, I/O), 메모리 장치(1030, memory device), 인터페이스(1040, interface) 및 버스(1050,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10), 입출력 장치(1020), 메모리 장치(1030) 및/또는 인터페이스(1040)는 버스(1050)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버스(1050)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0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020)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030)는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40)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10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모리 장치(1030)는 컨트롤러(1010)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 메모리로서, 고속의 디램 및/또는 에스램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장치(1030)는 내부에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상 탐지 장치(100)는 각각 복수의 전자 장치(1000)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모듈 또는 모듈의 조합들이 전자 장치(1000)로 구현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이상 탐지 장치(100)는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데이터 센터,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IDC)), DAS(direct attached storage) 시스템, SAN(storage area network) 시스템,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시스템,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or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시스템, 및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 탐지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카메라(200) 또는 검사 대상 장비(3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인터넷 기술, 무선 인터넷 기술 및 근거리 통신 기술에 의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은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은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M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및 5G NR(New Radio)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근거리 통신 기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5G NR (New Radi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이상 탐지 장치(10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 및 표준 통신 방식을 준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통신 방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및 5G NR(New Radi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이상 탐지 장치는, 검사 대상 장비를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동작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작업자가 계속해서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 유무를 체크해야 하는 이상탐지업무의 비효율적인 측면을 개선시키고, 이상동작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학습시킴으로써, 딥러닝 모듈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리소스의 양을 감소시키고, 이상여부 판단에 대한 속도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이상 탐지 장치의 운용 비용을 감소시키고, 이상 발생시 빠른 탐지 및 대응이 가능하기에 시스템 운영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동작에 관한 데이터셋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상 판별부를 학습시킴으로써, 충분한 이상동작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어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이상여부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동작에 관한 데이터셋을 확보하는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이상동작 패턴의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경우에 대한 이상동작 여부 판단도 가능할 수 있어, 이상탐지성능의 향상과, 제품 수율 및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여부 뿐만 아니라 이상부위까지 함께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빠른 수리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계장비 유지보수에 필요한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품생산라인이 기계 오작동으로 인하여 중단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동작 영상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동작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특징벡터를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특징벡터에 미리 정해진 단위의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입력 시퀀스(Input sequence)를 생성하는 영상 전처리부;
    상기 입력 시퀀스를 미리 학습된 오토인코더에 인가하는 학습부;
    상기 오토인코더에서 출력된 출력 시퀀스(Output sequence)와 상기 입력 시퀀스를 비교하여, 상기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별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저장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기초로,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이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정상 동작으로 레이블된 입력 시퀀스로 구성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제1 오토인코더와, 상기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기초로 미리 학습되되 상기 제1 오토인코더보다 적은 횟수로 학습된 제2 오토인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상기 제2 오토인코더에 인가하여 출력된 정상변환 입력 시퀀스와, 상기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상기 이상 판별부의 입력 노드에 인가하고,
    상기 이상 판별부의 출력 노드에 비정상을 나타내는 값을 인가하여, 상기 이상 판별부를 학습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이상 탐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특징벡터를 생성하는 특징 벡터 변환 모듈과,
    생성된 복수의 상기 특징벡터에 미리 정해진 단위의 윈도우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그룹핑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특징 벡터 변환 모듈은,
    하나 이상의 합성곱 계층(convolution layer) 및 하나 이상의 풀링 계층(pooling layer)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 구조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이상 탐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 모듈은,
    연속되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관한 특징벡터들을 대상으로, 상기 윈도우를 미리 정한 프레임 개수만큼 시프팅(shifting)하여 복수의 상기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상 탐지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인코더는,
    입력 노드에 인가된 입력 데이터를 압축시켜 입력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인코더 신경망과,
    상기 인코더 신경망에서 축소된 데이터를 상기 입력 노드에 인가된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크기로 변환하는 디코더 신경망과,
    상기 인코더 신경망 및 상기 디코더 신경망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레이어를 포함하되,
    성가 인코더 신경망과 상기 디코더 신경망은, RNN(Recurrent Neural Network)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LSTM(Long Short Term Memory) 모듈을 포함하는 이상 탐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LSTM 모듈은,
    복수의 상기 입력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고,
    입력에 따라 상기 인코더 신경망의 셀 상태(cell state)를 업데이트 하고,
    업데이트된 상기 셀 상태를 상기 디코더 신경망에 전달하여 상기 출력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상 탐지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인코더는, 상기 영상 전처리부에서 미리 전처리되어 생성된 상기 입력 시퀀스들을 이용하여 학습되고,
    상기 학습에 이용되는 입력 시퀀스는, 정상 동작으로 분류된 상기 검사 대상 장비의 동작 영상을 기초로 생성되는 이상 탐지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데이터 생성부는,
    임의의 제1 랜덤 영상에 대한 입력 시퀀스를 상기 제2 오토인코더에 인가하여 출력된 제1 변환 시퀀스와, 임의의 제2 랜덤 영상에 대한 입력 시퀀스를 상기 제2 오토인코더에 인가하여 출력된 제2 변환 시퀀스를 합성하여 중간 시퀀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중간 시퀀스를 상기 제1 오토인코더에 입력하여 상기 이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이상 탐지 장치.
  10.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동작 영상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동작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특징벡터를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특징벡터에 미리 정해진 단위의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입력 시퀀스(Input sequence)를 생성하는 영상 전처리부;
    상기 입력 시퀀스를 미리 학습된 오토인코더에 인가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정상 동작으로 레이블된 입력 시퀀스로 구성된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제1 오토인코더와, 상기 정상동작 입력 시퀀스를 기초로 미리 학습되되 상기 제1 오토인코더보다 적은 횟수로 학습된 제2 오토인코더를 포함하는 학습부;
    상기 오토인코더에서 출력된 출력 시퀀스(Output sequence)와 상기 입력 시퀀스를 비교하여, 상기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별부; 및
    상기 검사 대상 장비에 대한 대상 입력 시퀀스와, 상기 제1 오토인코더 또는 상기 제2 오토인코더에 상기 대상 입력 시퀀스를 입력하여 얻은 출력 시퀀스를 상기 이상 판별부에 인가하고, 이에 대한 출력인 이상여부판단에 관한 값을 기초로 상기 검사 대상 장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상 탐지 장치.
KR1020220098993A 2022-02-21 2022-08-09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 KR102557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942 2022-02-21
KR20220021942 2022-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850B1 true KR102557850B1 (ko) 2023-07-24

Family

ID=8742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993A KR102557850B1 (ko) 2022-02-21 2022-08-09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8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512A (ko) * 2019-08-02 2021-0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심층 신경망을 기반으로 동작을 인식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512A (ko) * 2019-08-02 2021-0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심층 신경망을 기반으로 동작을 인식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ung Kieu 외 3명, "Outlier Detection for Time Series with Recurrent Autoencoder Ensembles", IJCAI, pp.2725-2732* *
Zijian Niu 외 2명, "LSTM-Based VAE-GAN for Time-Series Anomaly Detection", Sensors 2020, pp.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4006A4 (en) Radar target recognition method based on feature pyramid lightweigh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he et al. Hybrid multimodal fusion with deep learning for rolling bearing fault diagnosis
CN113191387B (zh) 结合无监督学习与数据自增强的文物碎片点云分类方法
CN111275171B (zh) 一种基于参数共享的多尺度超分重建的小目标检测方法
KR102469871B1 (ko) 반복 사이클을 보유한 기계장비에 대한 이상 탐지 장치
Zhang et al. Self-blast state detection of glass insulators based on stochastic configuration networks and a feedback transfer learning mechanism
CN113095370A (zh) 图像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414875B (zh) 基于深度回归森林的三维点云头部姿态估计***
CN110930378A (zh) 基于低数据需求的肺气肿影像处理方法及***
CN112507778B (zh) 一种基于线特征的改进词袋模型的回环检测方法
Li et al. Stochastic configuration networks for self-blast state recognition of glass insulators with adaptive depth and multi-scale representation
CN115908112A (zh) 一种面向低重叠率的点云配准方法
KR102616873B1 (ko) 변화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557850B1 (ko) 실시간 모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
CN113673774A (zh) 基于自编码器和时序卷积网络的航空发动机余寿预测方法
CN113469013A (zh) 一种基于迁移学习和时间序列的电机故障预测方法及***
CN117516939A (zh) 基于改进EfficientNetV2的轴承跨工况故障检测方法及***
CN108898157B (zh) 基于卷积神经网络的数值型数据的雷达图表示的分类方法
KR102608977B1 (ko) 전처리된 모션 이미지를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
CN116311349A (zh) 一种基于轻量神经网络的人体关键点检测方法
KR102611403B1 (ko) 수리 파트 결정 기능 및 수리 완성도 평가 기능을 포함하는 이상 탐지 장치
KR20230120183A (ko) 이상동작 데이터 생성을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
KR102611399B1 (ko) 1차원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이상 탐지 장치
KR102459220B1 (ko) 다중 센서 기반의 이상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606750B1 (ko) 도로 추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