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842B1 -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 - Google Patents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842B1
KR102557842B1 KR1020210032975A KR20210032975A KR102557842B1 KR 102557842 B1 KR102557842 B1 KR 102557842B1 KR 1020210032975 A KR1020210032975 A KR 1020210032975A KR 20210032975 A KR20210032975 A KR 20210032975A KR 102557842 B1 KR102557842 B1 KR 10255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ise
firefighting
st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209A (ko
Inventor
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노
Priority to KR102021003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8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4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by spraying extinguishants from the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16L3/0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usin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1)에 있어서,
화재 현장으로 이동, 소방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량(FC)이 위치, 형성되는 소방차량위치층(100);과, 고층 화재 현장으로 소방용수(FW)를 방수하는 화재진압수단(FF)이 위치, 형성되는 화재진압수단위치층(200); 및 상기 소방차량위치층(100)과 화재진압수단위치층(200) 사이에 위치, 형성되고, 소방차량(FC)의 소방용수(FW)가 화재진압수단(FF)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고층 화재 지점으로의 소방용수(FW)의 직접 방수를 도모하는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으로 구성되어,
지상(地上)의 소방용수(FW)를, 고층의 화재 현장에 위치한 화재진압수단(FF)으로 직접 전달, 공급하여,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해, 고층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소방관이 진입할 수 없는 고층 및 초고층의 화재 현장에 화재진압수단(FF)을 위치시켜, 화재 지점으로, 화재진압수단(FF)을 이용, 일정 방수압을 가진 소방용수(FW)의 연속적인 직접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화재를 초기에 진압, 고층 및 초고층의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Fire fighting water passage means for high-rise fire suppression}
본 발명은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차량의 루프(roof) 일측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다단(多段) 구조로 펼쳐져, 소방관이 바로 진입할 수 없는 고층의 화재 지점에, 화재진압수단, 즉, 방수총 및 소방드론을 이용하여, 소방용수를 직접 방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층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 화재 진압의 골든타임을 확보하여, 고층 건물의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관한 것이다.
건축법에서는 건물의 높이가 200[m] 이상 또는 50[층] 이상일 경우, 초고층 건물로 분류된다.
현재, 이러한 초고층 건물이 점점 많이 건축되고 있지만, 초고층 건물에 적합한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 및 대응의 기술의 발달은 여전히 다양한 부가적인 문제점에 의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
즉, 초고층 건물에서 화재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 지점에 소방차에서 방수되는 소방용수가 닿기에는 방수압의 한계가 있어 턱없이 부족하고, 소방헬기로 건물 위에서 뿌리는 물은 초고층 건물의 화재 진압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문제점을 조금이라도 해결하기 위해 고성능 펌프를 탑재하여 소방차가 400[m]까지 소방용수를 뿜어 올릴 수 있도록 할 수 있지만, 이마저도 소방관이 화재 현장까지 올라가서 소화전에 소방 호스를 연결해야 한다.
그러나, 소방관은 화재 현장으로 다 올라가기도 전에 체력이 고갈되고, 더욱이, 소방관이 멘 공기통의 공기가 고갈되어, 오히려, 구조 활동은 커녕 소방관을 더욱 위험에 빠드리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고층, 초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진압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드론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용 드론의 기술이 점점 개발, 출시되고 있지만, 현재는, 화재 지점에 물 또는 소화약제를 뿌리거나 낙하시키는 정도로, 화재 진압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즉, 아직까지도 화재 현장에서는 소방용 드론보다는, 소방관의 튼튼한 심장과 두 팔, 두 다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소방관 및 소방차가 쉽게 진입할 수 없는 화재 현장의 화재 진압 방법으로 오히려, 소방관을 어떻게 하면 빠르고 안전하게 화재 지점까지 보내느냐에 중점이 맞춰지고 있다.
예를 들어, 헬기로 초고층 건물 옥상에 내린 소방관이 화재 지점으로 내려가 불을 끄고 인명을 구조하는 훈련이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마저도, 헬기 이용에는 날씨와 시간대 등 여러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초고층 건물의 경우, 스스로 불을 끄도록 건축 기준을 강화해 건설사나 건축주가 각종 첨단 장비를 갖추게끔 하는 사전적 방지를 위한 제도적인 방향으로 건축법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흘러가고 있다.
물론, 제도적인 방향도 중요한 사항이지만, 결국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대응 방안 또한 꾸준히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말끔히 해결할 수 있는 소방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드론을 포함한 화재진압수단에 제대로된 소방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677호의 "초고층건물 화재진압장치"(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건물의 옥상에 배치되는 리프트유닛, 일측이 제 1 와이어를 통해 건물의 옥상에 배치된 상기 리프트유닛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제 2 와이어를 통해 지상에 지지되며, 상기 리프트유닛에 의해 상기 제 1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하기 때문에, 초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상기 리프트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소화유닛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가사다리차 등으로 진압할 수 없는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초고층건물 화재진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4316호의 "고층빌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함.)로,
건물의 전면 일측 혹은 유리창이 구비된 면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며, 발화지점을 향해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유닛, 상기 가이드레일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건물의 각 층에 대응되는 지점별로 분기된 도킹관을 갖는 소화수배관, 상기 소화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도킹관에 도킹되는 유닛도킹부, 상기 소화수배관의 하단이 연결 배관된 소화수탱크, 상기 소화수배관의 길이 일부에 설치된 펌프,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화유닛, 유닛도킹부,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초고층 빌딩과 같이 초기 화재진압이 어려운 지역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발화점을 신속히 분석하여 최단시간내 접근 및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층빌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분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일부 유사, 동일하지만,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있어 기술적 특징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고층, 초고층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기술과는 다른, 본원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677호 (2011.08.3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4316호 (2019.01.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방관이 바로 진입할 수 없는 고층의 화재 지점에, 화재진압수단, 즉, 방수총 및 소방드론을 이용하여, 소방용수를 직접 방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층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 화재 진압의 골든타임을 확보하여, 고층 건물의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단(多段) 구조로 형성되어 펼쳐지는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의 최상단에 다양한 화재진압수단(방수총 및 소방드론)을 결합하여,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있어서,
화재 현장으로 이동, 소방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량이 위치, 형성되는 소방차량위치층;
고층 화재 현장으로 소방용수를 방수하는 화재진압수단이 위치, 형성되는 화재진압수단위치층;
상기 소방차량위치층과 화재진압수단위치층 사이에 위치, 형성되고, 소방차량의 소방용수가 화재진압수단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고층 화재 지점으로의 소방용수의 직접 방수를 도모하는 소방용수이동수단층;으로 구성되어,
지상(地上)의 소방용수를, 고층의 화재 현장에 위치한 화재진압수단으로 직접 전달, 공급하여, 화재진압수단을 통해, 고층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소방용수이동수단층에는,
소방차량의 루프(roof) 일측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동심원을 형성하여 중첩된 배관이, 작동힘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다단(多段) 구조를 형성하고, 내부로, 소방용수를 연속적으로 공급, 고층에 발생된 화재 현장에 직접 소방용수를 전달하여, 화재진압수단을 통해, 고층 화재 지점으로 방수되도록 함으로서, 고층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방수배관부;로 구성되어,
소방차량에 저장된 소방용수를, 다단방수배관부의 단부와 결합, 체결된 화재진압수단으로 전달, 공급하여, 고층의 화재 현장에 직접 소방용수가 방수되도록 하고,
다단방수배관부는,
소방차량의 루프(roof) 일측에 결합, 고정되고, 화재 발생 시, 다단(多段) 구조로 형성되는 다단방수배관부의 최하위 단(段)으로, 다단방수배관부의 기준이 되는, 제 1직경으로 이루어진 최하단배관모듈;
상기 최하단배관모듈 내부에 동심원을 형성하여 하나 이상 내삽되고, 화재 발생 시, 작동힘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펼쳐져, 다단(多段)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제 2직경으로 이루어진 다단연장배관모듈;
상기 다단연장배관모듈의 최상위 단(段)으로, 상단부에 방수총 및 소방드론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3직경으로 이루어진 최상단배관모듈;
상기 최하단배관모듈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최하단배관모듈과 소방차량의 루프(roof) 일측이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소방차량고정모듈;
상기 최하단배관모듈, 다단연장배관모듈, 최상단배관모듈이 직립하여 연장될 시, 각각의 단(段)이 펼쳐지되, 일측이 고정되어, 다단(多段) 구조로 고정되게 하는 다단구조형성고정모듈;
상기 최하단배관모듈, 다단연장배관모듈, 최상단배관모듈이 작동힘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펼쳐질 시, 내부에 생성되고, 소방용수가 최하단배관모듈을 통과하여, 순차적으로 다단연장배관모듈, 최상단배관모듈로 유동되어, 화재진압수단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직립소방용수이동유로모듈;로 구성되되,
최상단배관모듈의 상단부에는,
방수총 및 소방드론의 하부 일측과 결합되도록 하는 화재진압수단결합요소;가 형성되어,
고층 화재 현장에 위치한 화재진압수단으로, 지상(地上)에 저장된 소방용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소방용수이동수단층에는,
화재 발생 시, 작동힘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다단(多段) 구조로 형성되는 다단방수배관부의 각각의 단(段)의 외주연면 일측에 형성되어, 다단(多段) 구조로 펼쳐진 다단방수배관부의 각각의 단(段)을 지지하는 다단방수배관지지부;가 더 포함, 구성되어,
화재 발생 시, 작동힘에 의해 다단(多段) 구조로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펼쳐진 다단방수배관부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소방관이 바로 진입할 수 없는 고층의 화재 지점에, 다양한 화재진압수단(예를 들어, 방수총 및 소방드론)을 이용하여, 소방용수를 직접 방수할 수 있도록 한다.
2. 고도의 고층 화재 진압 기술 확보로 고층 건물 거주자와 이용자 등, 국민의 재산과 안전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3. 고층 화재 진압의 효과가 극대화됨은 물론, 구성이 간단하여, 국내 도로 여건과 주거 환경에 적합한 저가의 한국형 고층 화재 진압 장비를 확보, 활용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소방차량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4.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방드론과 소방차량을 활용한 초고층 화재 진압 시스템의 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5. 또한, 소방드론의 사용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소방드론을 이용한 화재 진압 시스템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소방드론의 추락 위험을 제거하므로, 소방드론의 추락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제 2의 인명 및 재산 피해와 더불어, 추락으로 인한 소방드론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6. 나아가, 고층 빌딩의 유리창 및 외관 벽체를 드론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안전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용 드론 차량의 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즉, 고층 화재 현장을 진압하기 위한 다양한 화재진압수단(예를 들어, 방수총, 소방드론 등)에, 소방용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화재진압수단을 통한, 고층 화재 지점으로의 소방용수의 직접 방수를 도모하여, 고층에서 발생한 화재임에도,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상기 소방용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기술적 의미는,
예를 들어, 소방드론의 경우, 방수할 수 있는 소방용수의 용량이 일정량 정해져 있어, 반복적으로 소방용수를 충전하거나, 일정량 소방용수가 담긴 저장통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면, 본 발명은, 소방드론에 소방용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소방용수를 충전하거나, 일정량 소방용수가 담긴 저장통의 교체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이러한, 효과를 기반으로, 소방드론에 소방용수를 탑재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방드론의 비행시간 및 비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대한 실시 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의 구성요소 중, 소방용수이동수단층에 대한 실시 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대한 작동 메커니즘을 간략하게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대한 구성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대한 실시 예를, 도 4는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의 구성요소 중, 소방용수이동수단층에 대한 실시 예를, 도 5는 본 발명인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대한 작동 메커니즘을 간략하게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1)에 있어서,
화재 현장으로 이동, 소방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량(FC)이 위치, 형성되는 소방차량위치층(100);
고층 화재 현장으로 소방용수(FW)를 방수하는 화재진압수단(FF)이 위치, 형성되는 화재진압수단위치층(200);
상기 소방차량위치층(100)과 화재진압수단위치층(200) 사이에 위치, 형성되고, 소방차량(FC)의 소방용수(FW)가 화재진압수단(FF)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고층 화재 지점으로의 소방용수(FW)의 직접 방수를 도모하는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으로 구성되어,
지상(地上)의 소방용수(FW)를, 고층의 화재 현장에 위치한 화재진압수단(FF)으로 직접 전달, 공급하여,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해, 고층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소방관의 진입이 불가한 고층, 초고층에 발생되는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다양한 화재진압수단(FF)으로, 지상(地上)에 저장된 소방용수(FW)를 연속적으로 전달, 공급하여,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해, 화재 지점으로 소방용수(FW)를 직접 방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1)에 대한 것이다.
쉽게 말해,
지상(地上)에 저장되어 있는 소방용수(FW)를 고층, 초고층의 화재 현장으로 직접 공급, 전달함으로서, 종래, 일정량 정해진 용량(소량)의 소방용수(FW)만으로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해, 화재 지점에 분무(噴霧)하던 소화(消火) 활동이 아닌, 소방용수(FW)가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화재 지점으로, 직접 분사(噴射)되도록 함으로서, 화재를 실제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1)에 대한 것이다.
즉, 종래, 고층, 초고층 화재 발생 시, 화재 지점으로,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한, 소방용수(FW)의 방수(放水) 방식은 분무(噴霧)에 가까워,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다단방수배관부(310)로 인해, 소방용수(FW)가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해, 일정 방수압으로 방수(放水)되도록 함으로서, 화재를 실제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되도록 한다.
또한, 종래에는, 화재진압수단(FF)이, 특정 저장통에 저장된 일정량 정해진 용량(소량)의 소방용수(FW)를, 고층, 초고층의 화재 지점으로 방수한 반면, 본 발명은, 일정량 정해진 용량(소량)의 소방용수(FW)가 담기는 특정 저장통이 필요 없이, 지상(地上)에 저장되어 있는 소방용수(FW)를 화재진압수단(FF)으로, 연속적으로 전달하여 고층, 초고층의 화재 지점으로 방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량 정해진 용량(소량)의 소방용수(FW)가 담긴 특정 저장통이 화재진압수단(FF)에 결합되지 않아도 되므로, 화재진압수단(FF)의 고유의 성능을 유지,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방차량위치층(100)은,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이 생성될 수 있는 소방차량(FC)이 위치하여, 화재진압수단위치층(200)에 위치한 다양한 화재진압수단(FF)으로 소방용수(FW)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화재진압수단위치층(200)은,
건물의 고층, 초고층에서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다양한 화재진압수단(FF)이 위치된다.
이때, 화재진압수단(FF)은,
예를 들어, 방수총(FW) 또는 소방드론(FD)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인한 효과 중 하나가, 상술한 바와 같이, 소방드론(FD)에 일정량 정해진 용량의 소방용수(FW)가 저장된 특정 저장통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즉, 이로 인해, 소방드론(FD)이 보다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소방드론(FD)이 감당해야 할 장치의 무게를 현저히 저하시켜, 장시간의 비행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동심원을 형성하여 중첩된 배관이, 작동힘(F)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다단(多段) 구조를 형성하고, 내부로, 소방용수를 연속적으로 공급, 고층에 발생된 화재 현장에 직접 소방용수를 전달하여,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해, 고층 화재 지점으로 방수되도록 함으로서, 고층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방수배관부(310);로 구성되어,
소방차량(FC)에 저장된 소방용수(FW)를, 다단방수배관부(310)의 단부와 결합, 체결된 화재진압수단(FF)으로 전달, 공급하여, 고층의 화재 현장에 직접 소방용수가 방수되도록 한다.
이때, 다단방수배관부(310)는,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에 결합, 고정되고, 화재 발생 시, 다단(多段) 구조로 형성되는 다단방수배관부(310)의 최하위 단(段)으로, 다단방수배관부(310)의 기준이 되는, 제 1직경(D1)으로 이루어진 최하단배관모듈(311);
상기 최하단배관모듈(311) 내부에 동심원을 형성하여 하나 이상 내삽되고, 화재 발생 시, 작동힘(F)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펼쳐져, 다단(多段)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제 2직경(D2)으로 이루어진 다단연장배관모듈(312);
상기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의 최상위 단(段)으로, 상단부에 방수총(FG) 및 소방드론(FD)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3직경(D3)으로 이루어진 최상단배관모듈(313);
상기 최하단배관모듈(3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최하단배관모듈(311)과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이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소방차량고정모듈(314);
상기 최하단배관모듈(311), 다단연장배관모듈(312), 최상단배관모듈(313)이 직립하여 연장될 시, 각각의 단(段)이 펼쳐지되, 일측이 고정되어, 다단(多段) 구조로 고정되게 하는 다단구조형성고정모듈(315);
상기 최하단배관모듈(311), 다단연장배관모듈(312), 최상단배관모듈(313)이 작동힘(F)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펼쳐질 시, 내부에 생성되고, 소방용수(FW)가 최하단배관모듈(311)을 통과하여, 순차적으로 다단연장배관모듈(312), 최상단배관모듈(313)로 유동되어, 화재진압수단(FF)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직립소방용수이동유로모듈(316);로 구성되되,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상단부에는,
방수총(FG) 및 소방드론(FD)의 하부 일측과 결합되도록 하는 화재진압수단결합요소(313a);가 형성되어,
고층 화재 현장에 위치한 화재진압수단(FF)으로, 지상(地上)에 저장된 소방용수(FW)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방수배관부(310)는, 평상 시에는,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에 고정되어, 1[단]으로 형성되고,
고층 및 초고층의 화재 발생 시, 화재 현장에서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방수배관부(310)가 다단(多段)으로 펼쳐져, 다단방수배관부(310)의 단부에 결합된 화재진압수단(FF)으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단방수배관부(310)의 최하단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평상 시, 다단방수배관부(310)를 소방차량(FC)의 루프(roof)와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단방수배관부(310)는, 좀 더 구체적인 실시 예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최하단배관모듈(311)의 직경을 'D1(제 1직경)',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의 직경을 'D2(제 2직경)',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직경을 'D3(제 3직경)'이라 할 때,
하기의 [부등식]이 성립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부등식]
D1 > D2 > D3
이때,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은,
하나 이상 형성되므로,
예를 들어, 다단방수배관부(310)가 5[단]으로 설계되었다면,
상기의 [부등식]은,
D1 > D2 1 > D2 2 > D2 3 > D3 으로 적용된다.
'D21'은,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의 첫 번째 단(段)을 형성하는 배관의 직경을,
'D22 '는,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의 두 번째 단(段)을 형성하는 배관의 직경을,
'D23'은,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의 세 번째 단(段)을 형성하는 배관의 직경을 말한다.
즉, 다단방수배관부(310)는, 화재 발생 시, 고층 및 초고층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다단(多段) 구조로 연장, 펼쳐지되, 소방차량(FC)의 루프(roof)의 일측에 결합, 고정된 최하단 배관에서부터, 화재진압수단(FF)이 체결, 결합되는 최상단 배관까지 각각의 단(段)을 형성하는 배관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하여, 소방용수(FW)의 마찰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방수압이 유지되도록 한다.(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손실을 저하시키고, 중력반대방향으로 거슬러 이동하는 소방용수(FW)의 방수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에는,
다단방수배관부(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소방차량(FC)에 장착된 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전원을 전달, 공급할 수 있는 전원선(PC) 및 통신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IC)이,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다단방수배관부(310)의 연장(延長)에 따라 전원선(PC) 및 통신케이블(IC)도 동시에 상승하여,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상단부에 체결, 결합되는 화재진압수단(FF)에 지속적으로 전원 및 통신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공급통로관부(32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상단부에 체결, 결합되는 화재진압수단(FF)에 지속적으로 전원 및 통신을 공급함으로서, 화재진압수단(FF)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화재진압수단(FF)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단방수배관부(310)와 케이블공급통로관부(320)는,
다양한 금속, 철, 비철금속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합 재료, 즉, 신소재 등의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탄소섬유(carbon fiber)복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소섬유(carbon fiber)는,
유기섬유를 비활성 기체 속에서 가열, 탄화하여 만든 섬유로, 탄성과 강도가 뛰어나, 각 분야의 고성능 산업용 소재로 쓰인다.
또한, 탄소섬유(carbon fiber)복합체로 이루어질 경우,
내부 표면조도(표면 거칠기)가 작아, 소방용수(FW)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소방용수(FW)가 일정 방수압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또한, 탄성력이 우수하여, 다양한 요인의 진동이나 흔들림 현상을 견딜 수 있다.
또한,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제작 및 관리, 운반, 설치, 활용이 용이해진다.
한편,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에는,
화재 발생 시, 작동힘(F)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다단(多段) 구조로 형성되는 다단방수배관부(310)의 각각의 단(段)의 외주연면 일측에 형성되어, 다단(多段) 구조로 펼쳐진 다단방수배관부(310)의 각각의 단(段)을 지지하는 다단방수배관지지부(330);가 더 포함, 구성되어,
화재 발생 시, 작동힘(F)에 의해 다단(多段) 구조로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펼쳐진 다단방수배관부(310)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단방수배관지지부(330)는, 더욱 상세하게,
단부는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최하단배관모듈(311)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최하단배관모듈(311)의 직립 유지성 및 안전성을 보조하는 제 1배관지지와이어모듈(331);
단부는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의 직립 유지성 및 안전성을 보조하는 제 2배관지지와이어모듈(332);
단부는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직립 유지성 및 안전성을 보조하는 제 3배관지지와이어모듈(333);
상기 제 1배관지지와이어모듈(3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와이어요소(W)의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하는 제 1와이어조절모듈(334);
상기 제 2배관지지와이어모듈(332)의 일측에 형성되어, 와이어요소(W)의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하는 제 2와이어조절모듈(335);
상기 제 3배관지지와이어모듈(333)의 일측에 형성되어, 와이어요소(W)의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하는 제 3와이어조절모듈(336);로 구성되되,
제 1배관지지와이어모듈(331), 제 2배관지지와이어모듈(332), 제 3배관지지와이어모듈(333)은, 공통적으로,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에 형성되어, 와이어요소(W)의 단부 일부가 고정되는 지상와이어고리요소(GR);
다단방수배관부(310)를 지지하는 일정 장력을 가진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요소(W);
각각의 단(段)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와이어요소(W)의 타단부 일부가 고정되는 단와이어고리요소(SR);로 구성되고,
제 2배관지지와이어모듈(332)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의 단(段)의 수(數)에 대응하여, 동일하게, 각 단(段)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방수배관부(310)의 직립 유지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한다.
이때의 '직립 유지성'이란,
화재 발생 시, 연장, 직립하여 펼쳐진 다단방수배관부(310)가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성질을 말하고,
'안전성'이란,
화재 발생 시, 연장, 직립하여 펼쳐진 다단방수배관부(310)가 예상하지 못한 외부의 힘 또는 자연환경, 주변환경에 의해 파손될 경우, 파손된 배관이 바로 지상(地上)으로 낙하되어 또 다른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저하시키는 성질을 말한다.
즉, 본 발명으로 인해, 본 발명과 결합되어 활용되는 화재진압수단(FF), 즉, 소방드론(FD) 활용 시,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라 함은,
소방드론(FD)이 최상단배관모듈(313)의 화재진압수단결합요소(313a)에 소방호스를 매개체로 결합되어,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 활동 중에, 소방드론(FD)의 오작동 또는, 부득이한 다양한 이유로 비행이 정지되어 추락할 경우, 지상(地上)으로 바로 추락되지 않고, 다단방수배관부(310)에 의해,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에 위치되므로, 소방드론(FD)의 추락으로 인한, 2차적인 안전사고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소방드론(FD)의 안정성이라 함은,
본 발명에 활용되는 소방드론(FD)의 경우,
지상(地上)에서부터 비행이 시작되는 것이 아닌, 다단방수배관부(310)의 최상단배관모듈(313)에서부터 비행을 시작되므로, 소방드론(FD)의 비행 능력을 극대화하여, 비행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제 1와이어조절모듈(334), 제 2와이어조절모듈(335), 제 3와이어조절모듈(336)은,
다단방수배관부(310)가 연장, 직립하여 펼쳐짐에 따라, 동시에, 각각의 단(段)에 고정된 와이어(W)의 길이가 함께 연장되도록 하여, 각각의 단(段)이 최적의 상태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고층, 초고층의 화재를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다양한 화재진압수단(FF) 중, 특히, 소방드론(FD)의 경우, 임무 중의 오작동 및 예상치 못한 외부의 환경에 의해 지상(地上)으로 낙하(落下)되어, 또 다른 안전사고 및 소방드론(FD)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외에도,
본 출원인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소방총, 소방드론)를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화재진압수단(FF)으로 적용하여, 상호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메커니즘을 순서도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
도 5의 (a)는, 고층, 초고층 화재 발생 시의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 메커니즘을,
도 5의 (b)는, 고층, 초고층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을 통한 소방용수(FW)의 유동 경로를 간략하게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참고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작동힘(F)은,
다단방수배관부(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동력전달장치(예를 들어, 모터, 실린더 등)를 이용, 자동 및 반자동으로 다단방수배관부(310)가 연장, 직립하여, 펼쳐지도록 하는 힘, 또는, 소방드론(FD)의 이륙에 의한 힘, 또는, 상기 두 힘이 조합된 힘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와이어고리요소(SR)와, 케이블공급통로관부(320)를 일체로, 동일한 구성요소로 표시되었지만,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재진압수단결합요소(313a)에는,
화재진압수단(FF)의 일측과 직결(直結) 또는, 소방호스를 매개체로 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진압수단(FF)의 하나인, 소방드론(FD)의 페이로드(payload)를 최소화하여, 소방드론(FD)의 성능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에 관한 것으로, 이를 제작하는 제작업 및 판매업, 그리고, 고층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방수총 및 소방드론을 이용한 화재 초기 진압,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구조 활동 등, 다양한 소방 관련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고층, 초고층을 포함한 소방관의 진입이 어려운 화재 현장에, 즉시, 소방용수를 방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층, 초고층에서 발생한 화재임에도 불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소화(消火) 활동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1: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
100: 소방차량위치층 200: 화재진압수단위치층
300: 소방용수이동수단층 310: 다단방수배관부
311: 최하단배관모듈 312: 다단연장배관모듈
313: 최상단배관모듈 313a: 화재진압수단결합요소
314: 소방차량고정모듈 315: 다단구조형성고정모듈
316: 직립소방용수이동유로모듈 320: 케이블공급통로관부
330: 다단방수배관지지부 331: 제 1배관지지와이어모듈
332: 제 2배관지지와이어모듈 333: 제 3배관지지와이어모듈
334: 제 1와이어조절모듈 335: 제 2와이어조절모듈
336: 제 3와이어조절모듈
D1: 제 1직경 D2: 제 2직경
D3: 제 3직경
F: 작동힘 W: 와이어
FC: 소방차량 FD: 소방드론
FF: 화재진압수단 FG: 방수총
FW: 소방용수 GR: 지상와이어고리요소
SR: 단와이어고리요소

Claims (4)

  1. 화재 현장으로 이동, 소방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량(FC)이 위치, 형성되는 소방차량위치층(100),
    고층 화재 현장으로 소방용수(FW)를 방수하는 화재진압수단(FF)이 위치, 형성되는 화재진압수단위치층(200),
    상기 소방차량위치층(100)과 화재진압수단위치층(200) 사이에 위치, 형성되고, 소방차량(FC)의 소방용수(FW)가 화재진압수단(FF)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고층 화재 지점으로의 소방용수(FW)의 직접 방수를 도모하는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으로 구성되어,
    지상(地上)의 소방용수(FW)를, 고층의 화재 현장에 위치한 화재진압수단(FF)으로 직접 전달, 공급하여,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해, 고층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1)에 있어서,
    소방차량위치층(100)은,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이 생성될 수 있는 소방차량(FC)이 위치하여, 화재진압수단위치층(200)에 위치한 화재진압수단(FF)으로 소방용수(FW)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진압수단(FF)은,
    소방드론(FD)으로,
    소방드론(FD)에 일정량 정해진 용량의 소방용수(FW)가 저장된 특정 저장통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소방차량위치층(100)과,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에 의해 소방드론(FD)이 보다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소방드론(FD)이 감당해야 할 장치의 무게를 저하시켜, 장시간의 비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에는,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동심원을 형성하여 중첩된 배관이, 작동힘(F)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다단(多段) 구조를 형성하고, 내부로, 소방용수를 연속적으로 공급, 고층에 발생된 화재 현장에 직접 소방용수를 전달하여,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해, 고층 화재 지점으로 방수되도록 함으로서, 고층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방수배관부(310);로 구성되어,
    소방차량(FC)에 저장된 소방용수(FW)를, 다단방수배관부(310)의 단부와 결합, 체결된 화재진압수단(FF)으로 전달, 공급하여, 고층의 화재 현장에 직접 소방용수가 방수되도록 하고,
    다단방수배관부(310)는,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에 결합, 고정되고, 화재 발생 시, 다단(多段) 구조로 형성되는 다단방수배관부(310)의 최하위 단(段)으로, 다단방수배관부(310)의 기준이 되는, 제 1직경(D1)으로 이루어진 최하단배관모듈(311);
    상기 최하단배관모듈(311) 내부에 동심원을 형성하여 하나 이상 내삽되고, 화재 발생 시, 작동힘(F)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펼쳐져, 다단(多段)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제 2직경(D2)으로 이루어진 다단연장배관모듈(312);
    상기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의 최상위 단(段)으로, 상단부에 방수총(FG) 및 소방드론(FD)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3직경(D3)으로 이루어진 최상단배관모듈(313);
    상기 최하단배관모듈(3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최하단배관모듈(311)과 소방차량(FC)의 루프(roof) 일측이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소방차량고정모듈(314);
    상기 최하단배관모듈(311), 다단연장배관모듈(312), 최상단배관모듈(313)이 직립하여 연장될 시, 각각의 단(段)이 펼쳐지되, 일측이 고정되어, 다단(多段) 구조로 고정되게 하는 다단구조형성고정모듈(315);
    상기 최하단배관모듈(311), 다단연장배관모듈(312), 최상단배관모듈(313)이 작동힘(F)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펼쳐질 시, 내부에 생성되고, 소방용수(FW)가 최하단배관모듈(311)을 통과하여, 순차적으로 다단연장배관모듈(312), 최상단배관모듈(313)로 유동되어, 화재진압수단(FF)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직립소방용수이동유로모듈(316);로 구성되되,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상단부에는,
    방수총(FG) 및 소방드론(FD)의 하부 일측과 결합되도록 하는 화재진압수단결합요소(313a);가 형성되어,
    고층 화재 현장에 위치한 화재진압수단(FF)으로, 지상(地上)에 저장된 소방용수(FW)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최하단배관모듈(311)의 직경을 'D1(제 1직경)',
    다단연장배관모듈(312)의 직경을 'D2(제 2직경)',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직경을 'D3(제 3직경)'이라 할 때,
    하기의 부등식,
    D1 > D2 > D3 이 성립되도록 형성되고,
    다단방수배관부(310)는,
    화재 발생 시, 고층 및 초고층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다단(多段) 구조로 연장, 펼쳐지되, 소방차량(FC)의 루프(roof)의 일측에 결합, 고정된 최하단 배관에서부터, 화재진압수단(FF)이 체결, 결합되는 최상단 배관까지 각각의 단(段)을 형성하는 배관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하여, 소방용수(FW)의 마찰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방수압이 유지되도록 하고,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에는,
    다단방수배관부(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소방차량(FC)에 장착된 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전원을 전달, 공급할 수 있는 전원선(PC) 및 통신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IC)이,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다단방수배관부(310)의 연장(延長)에 따라 전원선(PC) 및 통신케이블(IC)도 동시에 상승하여,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상단부에 체결, 결합되는 화재진압수단(FF)에 지속적으로 전원 및 통신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공급통로관부(32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최상단배관모듈(313)의 상단부에 체결, 결합되는 화재진압수단(FF)에 지속적으로 전원 및 통신을 공급함으로서, 화재진압수단(FF)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화재진압수단(FF)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에는,
    화재 발생 시, 작동힘(F)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다단(多段) 구조로 형성되는 다단방수배관부(310)의 각각의 단(段)의 외주연면 일측에 형성되어, 다단(多段) 구조로 펼쳐진 다단방수배관부(310)의 각각의 단(段)을 지지하는 다단방수배관지지부(330);가 더 포함, 구성되어,
    화재 발생 시, 작동힘(F)에 의해 다단(多段) 구조로 중력반대방향으로 직립, 연장되어 펼쳐진 다단방수배관부(310)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고층, 초고층의 화재를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소방드론(FD)의 임무 중의 오작동 및 예상치 못한 외부의 환경에 의해 지상(地上)으로 낙하(落下)되어, 또 다른 안전사고 및 소방드론(FD)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휘되도록 하는 것과,
    종래, 고층, 초고층 화재 발생 시, 화재 지점으로,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한, 소방용수(FW)의 방수(放水) 방식은 분무(噴霧)에 가까워,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는 어려웠던 문제점을 다단방수배관부(310)로 인해, 소방용수(FW)가 화재진압수단(FF)을 통해, 일정 방수압으로 방수(放水)되도록 함으로서, 화재를 실제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되도록 함과 동시에,
    종래에는, 화재진압수단(FF)이, 특정 저장통에 저장된 일정량 정해진 용량의 소방용수(FW)를, 고층, 초고층의 화재 지점으로 방수한 반면, 소방차량위치층(100)과, 소방용수이동수단층(300)으로 인해 일정량 정해진 용량(소량)의 소방용수(FW)가 담기는 특정 저장통이 필요 없이, 지상(地上)에 저장되어 있는 소방용수(FW)를 화재진압수단(FF)으로, 연속적으로 전달하여 고층, 초고층의 화재 지점으로 방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일정량 정해진 용량(소량)의 소방용수(FW)가 담긴 특정 저장통이 화재진압수단(FF)에 결합되지 않아도 되므로, 화재진압수단(FF)의 고유의 성능을 유지,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32975A 2021-03-12 2021-03-12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 KR10255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75A KR102557842B1 (ko) 2021-03-12 2021-03-12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75A KR102557842B1 (ko) 2021-03-12 2021-03-12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09A KR20220128209A (ko) 2022-09-20
KR102557842B1 true KR102557842B1 (ko) 2023-07-24

Family

ID=8344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975A KR102557842B1 (ko) 2021-03-12 2021-03-12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8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743A (ja) * 2006-09-29 2008-05-22 Hideo Tanida 伸縮式タワー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CN111840857A (zh) * 2020-07-21 2020-10-30 长沙市云智航科技有限公司 一种集装箱式系留消防灭火救援装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67538C (nl) * 1973-08-16 1981-12-16 Gen Electric Inrichting voor het tegenhouden van een pijp bij pijp- breuk.
KR101062677B1 (ko) 2011-03-21 2011-09-06 주식회사 에스엠이씨 초고층건물 화재진압장치
KR101944316B1 (ko) 2018-03-07 2019-01-31 탱크테크 주식회사 고층빌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743A (ja) * 2006-09-29 2008-05-22 Hideo Tanida 伸縮式タワー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CN111840857A (zh) * 2020-07-21 2020-10-30 长沙市云智航科技有限公司 一种集装箱式系留消防灭火救援装备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09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056B1 (ko) 드론을 이용한 산불 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5135055A (en) Ground and airborne fire fighting system and method of fighting high rise building fires
US20090078434A1 (en) Helicopter supported system for fire fighting including high elevation located fires
KR20160130100A (ko) 화재 진압용 장비 및 화재진압 방법
US20130277074A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CN102886107A (zh) 一种高层建筑物消防救生装置
CN211158269U (zh) 一种无人机搭载灭火装置
KR200392365Y1 (ko) 다목적 소방차
CN209361720U (zh) 一种高空消防***
CN109289139A (zh) 一种高空消防***
KR100699088B1 (ko) 다목적 소방차
KR101967838B1 (ko) 2-채널 방향 조작 소방용 방수총 거치대
RU22895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с применением вертолета
KR102557842B1 (ko) 고층 화재 진압용 소방용수 이동통로 수단
CN106178296B (zh) 一种建筑物消防救生***
WO2008079035A1 (fr) Système d'extinction d'incendies
JP2004065905A (ja) 高層ビル火災の外部からの消火システム
CN102179016A (zh) 超高层火灾救援***
CN209612059U (zh) 一种高空消防实验***
CN105363154B (zh) 嵌入式可伸缩火灾救援设备
CN107088275A (zh) 一种高层灭火装置以及采用该灭火装置的灭火方法
CN113827897A (zh) 自携式与外接式可控切换的联合消防机器人***
CN111905315B (zh) 一种应用于斜拉索桥的火灾监控及灭火方法
KR20240000946A (ko) 이동 및 조립이 가능한 소방 물호스 지지대
JPH03157298A (ja) 消防ヘリコ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