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359B1 -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359B1
KR102557359B1 KR1020210080308A KR20210080308A KR102557359B1 KR 102557359 B1 KR102557359 B1 KR 102557359B1 KR 1020210080308 A KR1020210080308 A KR 1020210080308A KR 20210080308 A KR20210080308 A KR 20210080308A KR 102557359 B1 KR102557359 B1 KR 10255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itron
citron peel
carbonat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782A (ko
Inventor
이보배
조혜성
박재옥
조윤섭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21008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3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박 추출물 및 발포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부산물로 폐기되는 유자박을 활용할 수 있으며,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 역시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itron residue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하며 생화학적 및 물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이 조직은 크게 3가지, 즉, 표피, 진피, 그리고 피하조직으로 나누어진다. 사람의 피부색은 주로 피부세포속에 들어있는 멜라닌을 함유하는 멜라노좀의 숫자, 크기, 종류 및 분포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멜라노좀은 멜라닌 세포에 의해 생산되고, 표피에서 생성되는 검은 색소인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라는 세포에서 생산된다. 멜라닌은 햇빛 중 자외선의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더 깊숙이 있는 세포들이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면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변이 유발되고 반대로 자외선 등에 의해 멜라닌이 과도하게 합성되면 피부에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게 되고, 더 나아가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멜라닌 형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티로시나아제 효소로 알 려져 있으며, 이 효소는 조직 중에 존재하는 티로신이라고 하는 아미노산에 작용하는 도파퀴논을 생성시키며 이 도파퀴논으로부터 여러 단계의 자동 산화과정을 거쳐 흑색 색소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단계의 어느 과정중에 작용하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여러 방법으로 미백용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첫 번째로는 멜라닌 생성의 주원인인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시키는 것으로, 이 방법에 의한 조성물은 광 산란제 또는 광 차단제를 함유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DNA 손상 또는 염증을 줄여 글루코사민과 같은 티로시나아제가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코어 탄수화물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미백 A 단계에 작용). 두 번째는 효소산(코직산), 루시놀, 에릭산 또는 알부틴과 같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의 기능을 방해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미백 B 단계에 작용). 세 번째로는 도파크롬을 안정화하여 흑색 멜라닌인 유-멜라닌(Eu-Melanin)으로의 진행을 저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미백 C 단계에 작용). 네 번째는 티로신이 도파와 도파크롬을 거쳐 복잡한 산화와 축합 반응을 거치는 동안에, 강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여 미백효과를 낼 수 있는 비타민 C와 같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미백 D 단계에 작용). 다섯 번째로는, 효소 또는 AHA(Alpha Hydroxy Acid) 등을 사용하여, 생성된 멜라닌을 각질층에서 제거 및 환원시켜 줄 수 있는 방법도 있다(미백 E 단계에 작용).
또한 MMP(matrix metalloproteinase)는 ECM(extracellular matrix, 세포외기질)과 BM(basement membrane, 기저막)의 분해에 관여하는 여러 효소의 family로 구조와 기능적 특성에 따라 interstitial collagenase, stromelysin, gelatinase, membrane-type MMP(MT-MMP) 등 네개의 subfamily로 나누어진다. MMP는 활성중심부에 아연을 가지는 금속단백분해효소로 생체 내에서 잠재성 전효소(zymogen) 형태로 분비된다. 효소활성을 가지기 위해서 구조적 변형이 일어나 아미노 말단 부위가 절단,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MMP는 2-macroglobulin이나 TIMPs(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같은 저해제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고 피부의 keratinocyte, fibroblast를 포함한 대다수의 많은 세포들이 MMP를 분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1회 의 UV 조사에도 피부내의 MMP 활성이 증가되며 피부내 콜라겐을 현저하게 붕괴시킴으로써 MMP들이 진피층의 콜라겐 붕괴에 영향을 미치며 광노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한편, 유자는 레몬과 같은 과일과 비교하여 비타민 함량이 높고 유용한 유기산이 많이 들어 있어 다수의 농가에 의해 재배되고 있다. 다만 국내 유자 가공율은 전체 생산의 20% 정도로 낮고 다양하지 못하며, 부가가치가 낮은 단순 유자차, 유자과즙이 60% 이상을 차지하며, 유자차나 유자즙 가공시에 부산물이 다량 발생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21-005646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자 가공시 발생하는 유자박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자박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자박 추출물 및 발포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유자박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발포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유자박 추출물은, 유자박을 동결건조, 냉풍건조 또는 열풍건조한 후,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칼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칼슘 및 탄산수소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유자박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또는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1(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자박을 동결건조, 냉풍건조 또는 열풍건조하는 단계(S1);
상기 건조된 유자박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유자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 추출물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정으로 제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S1 단계에서,
동결건조는 -100 내지 -60℃의 온도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70 내지 90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고,
냉풍건조는 20 내지 45℃의 온도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15 내지 20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며,
열풍건조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12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자 가공 후 부산물로 발생하는 유자박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자박 추출물은, 유자박을 동결건조, 냉풍건조 또는 열풍건조한 후,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이를 발포제와 혼합하여 발포정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유자박 활용 효율 극대화 및 유자소비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유자 추출물의 외관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의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유자추출물, 발포정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NNGH(MMP 억제제)의 MMP1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유자추출물, 발포정 추출물의 MMP1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부산물인 유자박을 활용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건조 및 추출조건과, 제공되는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효과가 크게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유자박 추출물 및 발포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자박을 동결건조, 냉풍건조 또는 열풍건조하는 단계(S1);
상기 건조된 유자박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유자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 추출물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정으로 제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유자박이란, 유자를 짜내어 즙으로 만들거나 과육을 이용해 차를 제조한 후 발생하는 부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자의 씨, 과피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자박 추출물은 발포제와 함께 조성물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포제를 통해 발포정으로 제조되며, 상기 발포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칼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칼슘 및 탄산수소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정은 과립형태로 화장료에 용이하게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발포제는 10 내지 60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 외에, 미분당, 유당, 사과산, 비타민 C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분당 5~ 25 중량%, 유당 5~ 25 중량%, 사과산 1~15 중량% 및 비타민 15~2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분말형태로서, 주정처리하여 건조기에서 과립 상태로 만든 후 유자박 추출물과 발포제와 혼합되어, 타정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다. 상기 성분들의 함량은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타정에 사용되는 타정기는 통상의 기술자가 수득하여 이용 가능한 기기라면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유자박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또는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1(MMP-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와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가장 우수한 티로시나제 효소 억제 효과와 MMP-1 효소 억제 효과를 가지는 12 내지 1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자박 추출물은, 유자박을 동결건조, 냉풍건조 또는 열풍건조한 후,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된다. 상기 동결건조는 -100 내지 -60℃의 온도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70 내지 90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냉풍건조는 20 내지 45℃의 온도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15 내지 20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풍건조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12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가장 우수한 미백 효과 및 주름예방 효과를 갖는 열풍건조한 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농축, 또는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추출물의 증류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토너제, 로션제, 또는 크림제의 제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더 포함함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고, 용제로는 헥산디올, 정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오일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형이 토너제인 경우,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 폴리소르베이트 80, 에탄올, 방주제, 항료,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로션제인 경우,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트, 쉐어버터, 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린산, 카르복실비닐폴리머, 아르기닌, 방부제, 향료,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크림제인 경우,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피토스쿠알란, 호호바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트, 알로에버터, 밀납,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스테아린산, 카르복실비닐폴리머, 아르기닌, 디메치콘, 방부제, 향료,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유자박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또는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1(MMP-1)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시료 추출
유자박 동결건조, 냉풍건조, 열풍건조 시료 각 5 g과 유자박 발포정 시료 각 2.5 g에 100 mL D.W.을 가하여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를 8,000 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여과(Watman No.4)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유자의 건조 방법에 따른 함량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시료를 하기 조건에 따라 건조하여 건조 시료를 수득하였다.
동결건조 : 온도 -85℃의 환경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80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
냉풍건조 : 온도40℃의 환경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15~20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
열풍건조 : 온도60℃의 환경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12~15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
건조가 완료된 시료를 대상으로 성분 함량 변화를 확인하여 표 1에는 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했을 때 결과를, 표 2에는 용매로 메탄올을 사용했을 때 결과를 나타내었다.
건조방법 총페놀
(mg/g)
플라보노이드
(mg/g)
DPPH
(%)
ABTS
(%)
나린진
(mg/g)
헤스페리딘
(mg/g)
동결건조 5.7 83.62 60.2 19.2 4.97 9.67
냉풍건조 5.42 80.62 3.1 9.2 3.77 6.78
열풍건조 6.27 89.02 50.1 19.2 5.41 10.09
건조방법 총페놀
(mg/g)
플라보노이드
(mg/g)
DPPH
(%)
ABTS
(%)
나린진
(mg/g)
헤스페리딘
(mg/g)
동결건조 235 56.62 0.19 2.61 8.85 53.59
냉풍건조 208 13.04 0.17 2.14 7.69 41.72
열풍건조 210 53.7 0.18 2.24 8.82 46.18
건조방법(동결, 냉풍, 열풍)을 달리한 유자박을 에탄올로 추출시 기능성 성분은 열풍건조가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메탄올로 추출했을 경우 동결건조에서 기능성 성분 함량이 많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상기 건조된 시료를 증류수에 용해한 용액을 도 1의 좌측에 나타내었으며, 발포정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발포제로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유자박을 0%, 5%, 10%, 15% 또는 20%로 포함하는 발포정 형태로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유자박을 이용한 발포정은 탄산을 이용한 제형으로 수분의 접촉이 없어야 하므로 건조분말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발포정제의 성형은 발포비타민 제형에 사용되는 탄산수소나트륨, 미분당, 유당, 사과산, 비타민 C 등을 첨가하여 기본재료로 하였다. 모든 분말은 주정처리를 하여 건조기에서 과립상태로 만든 후 실험실용 단발식타정기(CRP-6, 금성산기)를 이용하여 발포정을 제조하였다. 유자박 함량에 따른 발포정의 함량은 하기 표 3과 같다.
성분명 #1 #2 #3 #4 #5
유자박 0 5 10 15 20
탄산수소나트륨 30 30 30 30 30
미분당 20 20 20 20 10
유당 20 15 10 5 10
사과산 10 10 10 10 10
비타민C 20 20 20 20 20
합계 100 100 100 100 100
발포정을 증류수에 용해한 용액은 도 1의 우측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미백효과 평가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피부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닌 합성에 필요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0.1 M Sodium phosphaste buffer(pH 7.0) 100 uL와 enzyme solution(tyrosinase 100 U/mL) 50 uL를 혼합한 후 각 시료 50 uL를 첨가하여 10 min 동안 37℃에서 방치하였다. 기질로서 5 mM DOPA용액 50 uL를 첨가하고 37℃에서 10 min 반응하여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 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고,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Positive control로 ascorbic acid 이용하였다(도 2).
Tyrosinase inhibition rate (%) = (1-(A-A')/(B-B'))×100
A : 시료 반응 후의 흡광도
A': 시료와 완충액의 흡광도
B : 공시료 반응 후의 흡광도
B': 공시료와 완충액의 흡광도
피부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닌 합성에 필요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C는 97.40%, 냉풍건조 23%, 동결건조 26%, 열풍건조 44%로 티로시나제 억제율을 나타내어, 냉풍건조에 비해 약 2배 더 높은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포정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효소 억제 효과 실험 결과 유자박 함량 15%까지 억제율이 73%까지 증가하였으나 20%에서는 71%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4. 주름효과 평가 (MMP1 저해 활성 측정)
피부 주름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1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buffer 50 uL와 enzyme solution(MMP1 0.76 U/uL) 20 uL를 혼합한 후 각 시료 20 uL를 첨가하여 30 min 동안 37℃에서 방치하고 1 mM substrate solution 10 uL를 첨가하고 37℃에서 10 min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1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MP1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 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고,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Positive control로 통상의 MMP1 저해제인 NNGH를 이용하였다(도 4).
MMP1 inhibition rate (%) = (1-(A-A')/(B-B'))×100
A : 시료 반응 후의 흡광도
A': 시료와 완충액의 흡광도
B : 공시료 반응 후의 흡광도
B': 공시료와 완충액의 흡광도
MMP는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로 아연-의존 엔도프로티아제(zinc dependent endoprotease)로 MMP-1은 간질성 콜라게나제(interstitial collagenase)로 피부에 UV 노출시 증가되어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피부 주름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1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NNGH 85%, 냉풍건조 26%, 동결건조 42%, 열풍건조 52%로 MMP 효소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발포정 추출물의 MMP 효소 억제율 측정 결과 유자박 함량 15%까지 억제율이 66%까지 증가하였으나 20%에서는 64%로 감소하였다.
상기 실시예 3 및 4의 결과를 정리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건조방법 또는 유자박 함량 Tyrosinase
inhibition
(%)
MMP1
Inhibition
(%)
추출물
(50 mg/mL)
냉풍 23.19 26.43
동결 26.97 42.75
열풍 44.06 52.44
발포정
(25 mg/mL)
0% 59.16 53.68
5% 62.34 64.81
10% 73.23 65.16
15% 73.71 66.35
20% 71.70 64.88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자박을 열풍건조한 후 에탄올 추출 시 기능성분 함량이 증가하고, 미백, 주름 기능성 효능평가도 우수한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자박 추출물 이용 발포정 제조시 버려지는 유자박을 다양한 용도로 가공할 수 있어 유자박 활용 효율 극대화 및 유자소비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유자박 추출물 및 발포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 중량%의 유자박 추출물 및 10 내지 60 중량%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박 추출물은, 유자박을 동결건조, 냉풍건조 또는 열풍건조한 후,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칼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칼슘 및 탄산수소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박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또는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1(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유자박을 동결건조, 냉풍건조 또는 열풍건조하는 단계(S1);
    상기 건조된 유자박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유자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 추출물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정으로 제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하고,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 중량%의 유자박 추출물 및 10 내지 60 중량%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칼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칼슘 및 탄산수소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동결건조는 -100 내지 -60℃의 온도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70 내지 90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고,
    냉풍건조는 20 내지 45℃의 온도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15 내지 20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며,
    열풍건조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용매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12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080308A 2021-06-21 2021-06-21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308A KR102557359B1 (ko) 2021-06-21 2021-06-21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308A KR102557359B1 (ko) 2021-06-21 2021-06-21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782A KR20220169782A (ko) 2022-12-28
KR102557359B1 true KR102557359B1 (ko) 2023-07-19

Family

ID=8453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308A KR102557359B1 (ko) 2021-06-21 2021-06-21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3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670A1 (ko) 2015-09-07 2017-03-16 엄익현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8035145A (ja) 2016-08-24 2018-03-08 御木本製薬株式会社 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ロリクリン産生促進剤、ヒスチダーゼ産生促進剤、sprr1b産生促進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785A (ko) * 2013-06-11 2014-12-22 한국식품연구원 유자(Citrus junos Tanak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1825512B1 (ko) * 2016-03-16 2018-02-06 (주)퍼스트코스메틱 화장품용 발포정 조성물
KR102333580B1 (ko) 2019-11-07 2021-12-01 류지만 히비스커스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고 스피루리나 천연활성 물질을 담지한 나노 섬유 전기방사층을 가지는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성 마스크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670A1 (ko) 2015-09-07 2017-03-16 엄익현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8035145A (ja) 2016-08-24 2018-03-08 御木本製薬株式会社 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ロリクリン産生促進剤、ヒスチダーゼ産生促進剤、sprr1b産生促進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다슬 외 5명. 유자 부산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노화 및 미백효과.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 36, No. 2, June 2010, 137-143
손미예 외 1명.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암세포 증식억제 상승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782A (ko)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9223B1 (en) 6 -acyloxy- 7-meth0xy- 2, 2 -dimethylchroma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pigmentation-regulators
KR20190035561A (ko) 발효된 쌀 부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복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8293A (ko) 천연한방약재 감초, 당귀, 고삼 혼합추출물로 항산화, 항염증억제, 주름억제, 미백 효과를 갖는 다기능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7824A (ko)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1414B1 (ko) 과나바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350083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557359B1 (ko) 유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4390B1 (ko) 꽃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011654B1 (ko)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5138262B2 (ja) 皮膚外用剤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3560A (ko) 적과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수렴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80128773A (ko) 연교 또는 작약 오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00046674A (ko) 흑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068482B1 (ko) 아보카도 및 상백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904216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459512B1 (ko) 싸이클로덱스트린글루카노트란스퍼라제를 이용한 능이, 국화, 목련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6653B1 (ko)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6200B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257089B1 (ko) 산하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622B1 (ko) 율무 오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율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9713B1 (ko) 탈리늄 크랏시톨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68808B1 (ko) 봉황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