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163B1 - 레인지 후드 장치 - Google Patents

레인지 후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163B1
KR102557163B1 KR1020210124503A KR20210124503A KR102557163B1 KR 102557163 B1 KR102557163 B1 KR 102557163B1 KR 1020210124503 A KR1020210124503 A KR 1020210124503A KR 20210124503 A KR20210124503 A KR 20210124503A KR 102557163 B1 KR102557163 B1 KR 10255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unit
discharge
dust collecting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1192A (ko
Inventor
차동순
이정준
Original Assignee
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앤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1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팬 소음이 적을 뿐만 아니라 포집된 먼지 오염물을 편리하게 수거하고 청소할 수 있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가 제공된다. 이 레인지 후드 장치는, 후드; 후드의 개구부를 통해 상하로 수직이동 가능한 집진부; 및 집진부 내부에 배치된 농형(squirrel cage) 구조의 대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인지 후드 장치{Range hood apparatus}
본 발명은 레인지 후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집진된 오염물을 편리하게 수거하고 청소할 수 있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사용되는 레인지 후드는 조리 시 발생되는 열기, 증기, 각종 냄새 또는 유해가스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오염물질이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레인지 후드는 여과 필터와 팬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데, 레인지 후드가 레인지로부터 다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 시 발생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해서는 대용량 팬이 필요하며 이는 큰 소음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만일 오랜 사용으로 여과 필터에 오염물질이 달라붙을 경우 강력한 팬을 사용하더라도 흡입력이 떨어져 오염물질이 레인지 후드에 도달하기 전에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 또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고, 팬 소음이 적을 뿐만 아니라 포집된 먼지 오염물을 편리하게 수거하고 청소할 수 있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 장치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로서, 레인지로부터 발생된 오염공기의 유입로를 형성하는 후드; 상기 후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염공기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전기 집진하는 집진 어셈블리; 및 상기 집진 어셈블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 어셈블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 어셈블리는,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결합되는 탑 커버부; 상기 탑 커버부의 하부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탑 커버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관형 집진부; 상기 집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집진부 내부에 상기 집진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집진부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 부재를 복수 개 구비한 대전부; 및 상기 탑 커버부와 상기 집진부에 연결되어, 상기 탑 커버부를 기준으로 상기 집진부의 수직 이동을 제어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후드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중심에 배치된 방전축; 상기 방전축의 상하단에 각각 리브를 통해 결합된 한 쌍의 링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링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방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방전 부재는 상기 방전축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된 농형(squirrel cage) 구조로 이루어져 코로나 방전 시 상기 집진부 내에 환형 방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의 하단을 감싸고 상기 집진부 내벽에 집진된 먼지 오염물을 수거하는 수거용기; 및 상기 수거용기 내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용기와 상기 집진부를 이격시켜 상기 먼지 오염물의 배출로를 형성하는 간격부를 포함하는 오염물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 커버부의 내벽에 형성된 제1 단턱부는 상기 집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집진부의 상단과 접촉하여 상기 탑 커버부와 상기 집진부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의 개구부에 형성된 제2 단턱부는 상기 집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거용기의 바깥둘레 상단과 접촉하여 상기 후드와 상기 수거용기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레이지 후드 장치가 설치된 벽면의 배연구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된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대전부는 상기 탑 커버부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 후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첫째, 관형 집진부 및 그 안에 배치된 농형(squirrel-cage) 구조의 대전부는 환형 방전 영역 및 전기풍을 형성함으로써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환형 방전 영역>은 집진부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방전 부재 주변에 형성되고, <전기풍>은 인접한 방전 부재 사이에 집진부를 향해 형성된다. 따라서 오염 공기가 집진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환형 방전 영역을 연속적으로 지나가게 되고, 그 동안 대전된 먼지입자는 전기풍에 의해 집진부로 가속되어 포집될 수 있다. 특히 집진 어셈블리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때까지 전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대전 및 집진이 일어나기 때문에 대전입자가 다시 중성화되어 재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둘째, 레인지 후드 장치는 필터가 없는 집진 방식으로 구현되고 후드와 배연구 사이의 압력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오염 공기의 유입을 위해 별도의 팬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선택적으로 유입량을 늘리기 위해 배출관 상부와 벽면 배연구 사이에 소용량 팬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드를 통해 오염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다만 종래 여과 필터를 구비한 레인지 후드에 대비해 본 발명은 소용량 팬을 사용하기 때문에 팬 소음 문제를 현격히 줄일 수 있다.
셋째, 집진부 내벽에 쌓인 먼지입자, 기름때 등으로 이루어진 먼지 오염물은 중력에 의해 집진부 하부에 형성된 오염물 수거부에 수집되고, 오염물 수거부 내에 형성된 배출로, 흡착포 등을 통해 편리하게 먼지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레인지 후드 장치는 주방 서랍장 또는 벽면 등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집진부가 탑 커버부의 하부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집진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집진부와 대전부 사이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전기 집진을 수행하고, 청소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후드 개구부를 통해 집진부를 제2 위치까지 아래로 잡아당겨 오염물 수거부에 수집된 오염물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종단면도 중 상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종단면도 중 하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오염물 수거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 장치에 있어서 집진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 장치에 있어서 집진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집진기능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집진기능을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레인지는 주방에서 사용되는 가스 레인지, 인덕션, 핫포트 등의 가열기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방전 부재는 집진부와의 전위차에 의해 주변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와이어, 복수의 니들이 형성된 와이어, 스트링, 끈, 스트랩, 복수의 니들이 형성된 스트랩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와이어 형상의 방전 부재, 즉 방전 와이어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언급된 다양한 형상의 방전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 장치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종단면도 중 상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종단면도 중 하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오염물 수거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 장치에 있어서 집진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 장치에 있어서 집진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레인지 후드 장치(200)는 주로 주방에서 레인지 상부에 배치되어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 또는 먼지를 제거하거나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레인지 후드 장치(200)는 주방의 서랍장(220) 및/또는 벽면(210)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레인지 또는 레인지 상부의 조리기구에서 발산되는 오염공기가 열기에 의해 상승하여 레인지 후드 장치(200)의 하부로 유입되면 레인지 후드 장치(200)는 오염공기 중 먼지입자 등을 하전시켜 포집한 후 정화된 공기를 레인지 후드 장치(200)의 상부로 토출한다.
레인지 후드 장치(200)는 레이지 상부에 배치되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로서, 후드(130), 집진 어셈블리(100) 및 배출관(120)을 포함한다.
후드(130)는 레인지로부터 발생된 오염공기의 유입로를 형성한다. 후드(130)는 집진 어셈블리(100)에서 멀어질수록 내경이 커지는 구조, 예를 들어 콘(cone) 구조를 가진다. 후드(130)의 상부에는 개구부(132)가 형성되어 집진부(30)의 상하 수직 이동 시 이동 통로가 된다. 후드(130)는 넓은 입구를 통해 레인지 또는 그 위의 조리기구에서 발산된 오염공기를 수집하여 열기, 자연대류 등에 의해 집진 어셈블리(100)로 이동시킨다.
집진 어셈블리(100)는 후드(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오염공기에 포함된 먼지입자 등을 전기 집진한다. 배출관(120)은 집진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집진 어셈블리(100)로부터 유입된 정화된 공기를 벽면(210)의 배연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레인지 후드 장치(200)는 필터가 없는 전기 집진 방식으로 구현되고 후드(130)와 배연구(212) 사이의 압력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팬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다만 선택적으로 오염공기의 유입량을 늘이기 위해 레인지 후드 장치(200)가 설치된 벽면(210)의 배연구(212)와, 배출관(120) 상부 사이에 소용량 팬(11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집진 어셈블리(100)는 탑 커버부(20), 집진부(30), 위치 조절부(24, 26), 대전부(40) 및 오염물 수거부(50)를 포함한다.
탑 커버부(20)는 전체적으로 관형 구조를 가지며 배출관(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집진 어셈블리(100)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관(120)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탑 커버부(20)는 내부에 공기유로 제어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유로 제어부(22)는 집진부(30)에서 배출된 정화된 공기의 분산 및 확산을 강화할 수 있다.
집진부(30)는 탑 커버부(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탑 커버부(20)의 하부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집진부(30)는 후드(130)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인지 또는 조리기구에서 발산된 연소 공기는 집진부(30)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먼지입자의 포집과정을 거쳐 집진부(30)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집진부(30)는 정전기력에 의해 대전입자를 끌어들이도록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관형 집진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관형 집진부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형 집진부의 단면은 다각형, 타원형 등이 될 수도 있다.
집진부(30)는 전기적으로 접지 상태 또는 플로팅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인체 접촉에 의한 전기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집진부(30)의 외면에 절연 판, 절연 필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조절부(24, 26)는 탑 커버부(20)와 집진부(30)에 연결되어, 탑 커버부(20)를 기준으로 집진부(30)의 수직 이동을 제어한다. 위치 조절부(24, 26)는 집진부(30)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줄(26)과, 탑 커버부(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줄(26)을 감거나 푸는 권취부(24)를 포함한다. 권취부(24)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줄(26)을 감거나 풀 수 있다. 또는 권취부(24)는 태엽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수동으로 줄(26)을 감거나 풀 수도 있다. 권취부(24)에 의해 줄(26)이 감기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집진부(30)는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을 한다.
위치 조절부(24, 26)는 집진부(30)를 탑 커버부(20) 하부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 위치는 탑 커버부(20)에 가장 가까이 이동한 집진부(30)의 위치로 정의될 수 있고, 제2 위치는 탑 커버부(20)에 가장 멀리 이동한 집진부(30)의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집진부(30)가 위치 조절부(24, 26)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후드(130)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32)를 통해 하강한다.
대전부(40)는 제1 위칭 위치한 집진부(30)의 내부에서 집진부(3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체적으로 농형(squirrel cage)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대전부(40)는, 중심에 배치된 방전축(45)과, 방전축(45)의 상단 및 하단에 리브를 통해 결합된 한 쌍의 링 플레이트(41, 42)와, 한 쌍의 링 플레이트(41, 42)를 연결하는 복수의 방전 부재(48)를 포함한다.
각 방전 부재(48)는 집진부(30)의 종축 또는 방전축(45)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복수의 방전 부재(48)는 집진부(3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전축(45)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된 농형(squirrel cage) 구조로 이루어진다. 각 방전 부재(48)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심원 상에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방전 부재(48)는 기체 속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 가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방전 부재(48) 주변에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는 경우, 농형 구조의 방전 부재에 의해 집진부(30) 내에는 환형 방전 영역이 형성된다. 링 플레이트(41, 42)는 전원부(미도시)의 전원을 방전 부재(48)에 전달하기 위해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전축(45)이 도전성 전선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 전원부에서 인가된 전원은 방전축(45) 및 링 플레이트(41, 42)를 통해 방전 부재(48)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전축(45)이 절연성 관으로 이루어질 경우, 방전축(45) 내에 별도로 구비된 전선을 통하여 전원부와 링 플레이트(41, 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대전부(40)는 집진부(3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집진부(30)의 횡단면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됨에 따라 대전부(40)도 이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횡단면(예를 들어,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집진부(30)가 원형 횡단면을 가짐에 따라 대전부(40)도 원형 횡단면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대전부(40)가 원형 횡단면을 가진다는 것은 대전부(40)를 이루는 복수의 방전 부재(48)가 원형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집진부(3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대전부(40)는 집진 어셈블리(100) 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전부(40)는 탑 커버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전축(45)은 탑 커버부(20) 또는 공기유로 제어부(22)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링 플레이트(41, 42)의 아래위로 방전축(45) 주변에는 절연성 재질의 축 고정부(46, 47)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집진부(30)와 대전부(40)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방전 부재(48)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집진부(30)는 접지된 상태에서 전원부는 대전부(4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나아가 집진부(30)가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일 때에도, 전원부는 대전부(40)에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부(30)와 대전부(40)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할 수 있다.
오염물 수거부(50)는 수거용기(52) 및 간격부(54)를 포함한다. 수거용기(52)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집진부(30)의 하단을 감싸고 집진부(30) 내벽에 집진된 먼지 오염물(62)을 수거한다. 간격부(54)는 수거용기(52) 내에 형성되어 수거용기(52)와 집진부(30)를 이격시켜 먼지 오염물(62)의 배출로를 형성한다. 간격부(54)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및 전기풍에 의해 집진부(30) 내벽에는 먼지입자, 기름때 등이 포집되어 먼지 오염물(62)이 흡착된다. 먼지 오염물(62)은 중력에 의해 집진부(30) 내벽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데, 간격부(54)에 의해 생긴 배출로를 따라 수거용기(52)에 수집된다. 사용자는 흡착포(70) 등을 이용해 집진부(30) 외부에서 수거용기(52)에 담긴 먼지 오염물(62)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집진부(30)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집진부(30)와 대전부(40)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어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기 집진이 일어난다. 집진부(30) 내에 형성된 환형 방전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탑 커버부(20)의 내벽에는 제1 단턱부(21)가 형성되고, 후드(130)의 개구부(132)에는 제2 단턱부(131)가 형성된다. 집진부(3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단턱부(21)는 집진부(30)의 상단과 접촉하여 탑 커버부(20)와 집진부(30) 사이를 밀폐하고, 제2 단턱부(131)는 수거용기(52)의 바깥둘레 상단과 접촉하여 후드(130)와 수거용기(52) 사이를 밀폐한다.
전기 집진에 의해 수거용기(52)에 수집된 먼지 오염물(62)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후드(130)의 개구부(132)를 통해 집진부(30)를 아래로 당겨 집진부(3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킨 후 수거용기(52)에 담긴 먼지 오염물(62)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레인지 후드 장치에 의한 환형 방전 영역 및 전기풍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집진기능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집진기능을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레인지 후드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전원부가 집진부(30)와 대전부(40)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면 굵기가 가는 방전 부재(48) 주변에 코로나 방전 영역이 형성된다. 집진부(30)의 종축을 따라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공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60) 내에 포함된 먼지입자(64)는 코로나 방전 영역을 통과하면서 하전된 후 정전기력에 의해 집진부(3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오염공기(60) 중 유증기가 집진부(30) 내벽에 흡착되어 기름때를 형성하는데, 포집된 먼지입자, 기름때 등으로 이루어진 먼지 오염물(62)은 중력에 의해 집진부(30) 내벽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수거용기(52)에 수거된다.
한편 방전 부재(48) 주변에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방전 부재(48)는 농형 구조, 즉 집진부(30)의 종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집진부(30) 내에는 방전 부재(48)에 의한 환형 방전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레인지 후드 장치(200)로 유입된 공기(60)는 레인지 후드 장치(200)를 빠져나갈 때까지 연속적으로 환형 방전 영역을 거치게 되므로 하전된 먼지입자(64)가 집진부(30)로 이동하는 과정에 중성화가 발생하더라도 다시 환형 방전 영역에 의해 하전될 수 있기 때문에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도체 주변에는 전자기장이 형성되는데, 마찬가지로 방전 부재(48)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전자기장(80)이 형성된다. 방전 부재(48)는 집진부(30) 내 동심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이웃하는 방전 부재(48) 사이에는 전자기장(80)이 서로 상쇄되어 전기풍이 생성된다. 전기풍은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 때 근방의 공기가 배척되고 다른 공기가 밀려 들어오는 현상이 거듭됨으로써 일어나는 바람을 말하는데, 전자기파의 간섭현상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풍은 하전된 먼지입자(64)를 집진부(30)의 종축에 수직방향으로 집진부(30)를 향해 가속시켜서 집진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드 상에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내에 하나의 집진 어셈블리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레인지 후드 장치는 개구부 및 집진 어셈블리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후드 상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각 개구부마다 집진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복수의 집진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출관이 결합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 탑 커버부
21: 제1 단턱부
22: 공기유로 제어부
24: 권취부
26: 줄
30: 집진부
40: 대전부
41, 42: 링 플레이트
45: 방전축
46, 47: 축 고정부
48: 방전 부재
50: 오염물 수거부
52: 수거용기
54: 간격부
60: 오염공기
62: 먼지 오염물
64: 먼지입자
70: 흡착포
80: 전자기장
100: 집진 어셈블리
110: 팬
120: 배출관
130: 후드
131: 제2 단턱부
132: 개구부
200: 레인지 후드 장치
210: 벽면
212: 배연구
220: 서랍장

Claims (4)

  1.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로서,
    레인지로부터 발생된 오염공기의 유입로를 형성하는 후드;
    상기 후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염공기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전기 집진하는 집진 어셈블리; 및
    상기 집진 어셈블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 어셈블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집진 어셈블리는,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결합되는 탑 커버부;
    상기 탑 커버부의 하부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탑 커버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관형 집진부;
    상기 집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집진부 내부에 상기 집진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 부재를 복수 개 구비한 대전부; 및
    상기 탑 커버부와 상기 집진부에 연결되어, 상기 탑 커버부를 기준으로 상기 집진부의 수직 이동을 제어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후드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하강하고,
    상기 대전부는, 중심에 배치된 방전축; 상기 방전축의 상하단에 각각 리브를 통해 결합된 한 쌍의 링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링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방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전 부재는 상기 방전축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된 농형(squirrel cage) 구조로 이루어져 코로나 방전 시 상기 집진부 내에 환형 방전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후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하단을 감싸고 상기 집진부 내벽에 집진된 먼지 오염물을 수거하는 수거용기; 및 상기 수거용기 내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용기와 상기 집진부를 이격시켜 상기 먼지 오염물의 배출로를 형성하는 간격부를 포함하는 오염물 수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부의 내벽에 형성된 제1 단턱부는 상기 집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집진부의 상단과 접촉하여 상기 탑 커버부와 상기 집진부 사이를 밀폐하고,
    상기 후드의 개구부에 형성된 제2 단턱부는 상기 집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거용기의 바깥둘레 상단과 접촉하여 상기 후드와 상기 수거용기 사이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후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벽면의 배연구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된 팬을 더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장치.
KR1020210124503A 2021-09-17 2021-09-17 레인지 후드 장치 KR10255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03A KR102557163B1 (ko) 2021-09-17 2021-09-17 레인지 후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03A KR102557163B1 (ko) 2021-09-17 2021-09-17 레인지 후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192A KR20230041192A (ko) 2023-03-24
KR102557163B1 true KR102557163B1 (ko) 2023-07-19

Family

ID=8587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503A KR102557163B1 (ko) 2021-09-17 2021-09-17 레인지 후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1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3141A (ja) * 2000-06-06 2001-12-14 Tatsuro Sha 伸縮排煙装置
JP2019011888A (ja) * 2017-06-29 2019-01-24 坪田 章男 油煙浄化装置
KR101970531B1 (ko) 2017-10-23 2019-04-19 김효수 제연기가 구비된 자바라식 후드
KR102265630B1 (ko) * 2020-09-08 2021-06-16 이앤엠 주식회사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3141A (ja) * 2000-06-06 2001-12-14 Tatsuro Sha 伸縮排煙装置
JP2019011888A (ja) * 2017-06-29 2019-01-24 坪田 章男 油煙浄化装置
KR101970531B1 (ko) 2017-10-23 2019-04-19 김효수 제연기가 구비된 자바라식 후드
KR102265630B1 (ko) * 2020-09-08 2021-06-16 이앤엠 주식회사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192A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45278U (zh) 一种高压净化油烟装置
CN110402351A (zh) 用于抽油烟机的过滤单元和抽油烟机
KR20180047424A (ko) 원통형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기
KR101913815B1 (ko) 훈연 및 미세먼지 여과 집진장치
KR102265630B1 (ko)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US20090042500A1 (en) Hood and pollution control unit with ultra violet light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14024017A (ja) 空気処理装置
JP2019011888A (ja) 油煙浄化装置
KR102557163B1 (ko) 레인지 후드 장치
KR20170116393A (ko) 테이블형 숯불 로스터용 배기장치
KR100608704B1 (ko)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WO2019179115A1 (zh) 一种可净化油烟的烧烤炉
CN215863620U (zh) 一种双环型高效油烟净化机
KR101642369B1 (ko) 주방용 후드의 미세 기름 및 냄새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02716U (ko) 집진기능을 가진 조명장치
CN211801656U (zh) 一种静电装置及配置有静电装置的油烟机
CN107435960B (zh) 厨房空气净化***
JP3446417B2 (ja) ホットプレート
JP2000116530A (ja) フィルター浄化式ノンダクトロースター
KR102490235B1 (ko)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KR102656194B1 (ko) 공기 재생 기능을 갖는 언더 인덕션 시스템
US2521465A (en) Combination vacuum cleaner and burner
CN215637418U (zh) 集成灶
KR20240005334A (ko) 원주상 배열된 방전부재들을 이용한 집진장치
KR910006282Y1 (ko) 매연(煤煙)이 청정되는 고기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